해양자원개발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5-23)

해양자원개발기사
(2004-05-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해양학개론

1. 해수 중 용존기체의 해양-대기간 기체교환에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1. 기체의 확산계수
  2. 대기와 표층수의 기체분압차이
  3. 해수표면막의 두께
  4. 표층수의 이온강도(ionic strength)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 중 용존기체의 해양-대기간 기체교환에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표층수의 이온강도(ionic strength)"이다. 이는 이온강도가 높을수록 물 분자와 이온 간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기체 분자의 확산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온강도가 낮은 표층수일수록 기체 분자의 확산이 용이해져 기체교환에 유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표층 해류 생성의 주된 원인이 되는 것은?

  1. 해양-대기 열수지
  2. 바람
  3. 밀도구조
  4. 지구자전
(정답률: 알수없음)
  • 바람은 해양과 대기 간의 마찰로 인해 표층 해류를 생성하는 주요한 원인입니다. 바람이 강하게 불면 해양 표면의 물이 이동하면서 표층 해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바람은 표층 해류 생성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직경이 62.5㎛이하의 퇴적물을 입도분석하는 방법은 어떤 것이 가장 적절한가?

  1. Sieve방법
  2. Pippette방법
  3. Turbidity방법
  4. 물리탐사법
(정답률: 알수없음)
  • 직경이 62.5㎛이하의 퇴적물은 매우 작은 입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입자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Sieve방법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또한, Turbidity방법은 입자 크기를 직접 측정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입도분석에는 부적합합니다. 따라서, 입자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Pippette방법이 가장 적절합니다. Pippette방법은 정확한 용액의 부피를 측정하여 입자의 크기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일반적인 해수 중의 무기성분 분포 함량을 표시한 것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Na+>Ca2+>Mg2+, Cl->HCO3->SO42-
  2. Na+>Mg2+>Ca2+, Cl->SO42->HCO3-
  3. Mg2+>Na+>Ca2+, Cl->SO42->HCO3-
  4. Mg2+>Ca2+>Na+, Cl->HCO3->SO42-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는 대부분 Na+, Cl-, Mg2+, Ca2+, SO42-, HCO3- 등의 이온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Na+와 Cl-의 함량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Mg2+, Ca2+, SO42-, HCO3-의 함량이 높습니다. 따라서 "Na+>Mg2+>Ca2+, Cl->SO42->HCO3-"가 가장 올바른 해수 중의 무기성분 분포 함량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방사성 핵종의 붕괴방정식으로 맞는 것은? (단, A는 시간 t경과후 방사능 농도, Ao는 초기의 방사능 농도, λ 는 붕괴상수, t는 시간 이다.)

  1. A = Ao × (-λ t)
  2. Ao = A × (-λ t)
  3. Ao = Ae-λt
  4. A = Aoe-λt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성 핵종의 붕괴는 일정한 확률로 일어나는 불안정한 핵의 변화 과정이다. 이 때, 방사능 농도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이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는 식은 A = Aoe-λt 이다. 이 식에서 A는 시간 t 경과 후의 방사능 농도를 나타내고, Ao는 초기의 방사능 농도를 나타낸다. λ는 붕괴상수로, 해당 핵종의 특성에 따라 일정한 값이 주어진다. 이 식은 지수함수 형태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A = Aoe-λt가 방사성 핵종의 붕괴방정식으로 맞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대양저의 열류량에 대한 일반적인 양상 중 틀린 것은?

  1. 대서양 중앙해저 산맥에서는 높은 열류량을 나타낸다
  2. 동태평양 해팽에서는 낮은 열류량을 나타낸다.
  3. 해구에서는 낮은 열류량을 나타낸다.
  4. 해저산맥의 측면을 따라 열류량이 작은 지역이 띠를 이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동태평양 해팽에서는 낮은 열류량을 나타낸다." 이다. 대양저의 열류량은 대서양 중앙해저 산맥에서 높고, 해구에서는 낮으며, 해저산맥의 측면을 따라 열류량이 작은 지역이 띠를 이룬다. 동태평양 해팽은 대서양 중앙해저 산맥과는 달리 열류량이 낮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해저 지형과 해수의 움직임, 온도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반원양성(Hemi-pelagic) 퇴적환경인 곳은?

  1. 대양저
  2. 대륙붕
  3. 대양대지
  4. 해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해구

    해구는 대양과 대륙붕 사이에 위치하여 반원양성 퇴적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대양저와 대양대지와는 다른 퇴적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대륙붕과는 유사한 퇴적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구는 반원양성 퇴적환경인 곳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하와이 동남부에 위치한 망간단괴가 풍부한 C-C Zone은 지질 구조상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1. 단열대
  2. 대양저 산맥
  3. 해구
  4. 대륙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단열대"이다. 망간단괴가 풍부한 C-C Zone은 단열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단열대는 지구의 대기순환과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역으로, 태양 복사량이 집중되어 지표면 온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대기순환과 기후가 변화한다. 이러한 환경은 망간단괴가 형성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대서양형 대륙주변부의 해저지형으로서 가장 수가 많고 많이 발달한 것은?

  1. 대륙붕 수로
  2. 삼각주 전면계곡
  3. 해저협곡
  4. 심해저 수로
(정답률: 알수없음)
  • 해저협곡은 대서양형 대륙주변부에서 가장 많이 발달한 해저지형이다. 이는 대서양의 지각운동과 해양표면의 기상 조건 등이 결합하여 형성된 것으로, 지구상에서 가장 깊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그 깊이와 넓이가 커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해저협곡은 지구의 지질학적 역사와 지구과학 연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한반도 주변에 가장 흔한 점토광물은?

  1. kaolinite
  2. chlorite
  3. illite
  4. smectite
(정답률: 알수없음)
  • 한반도 지역에서 가장 흔한 점토광물은 illite입니다. 이는 한반도 지역의 지질학적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Illite는 광택이 있는 회색 또는 녹색의 점토광물로, 알루미늄과 규산염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광물은 한반도 지역의 대부분의 지층에서 발견되며, 특히 한강 유역 지역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Illite는 흡수력이 낮고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 지하수 보호 및 지하공간 안정성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연체동물이나 절족동물(arthropod)에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원소는?

  1. 비소
  2. 알루미늄
  3. 칼슘
(정답률: 알수없음)
  • 비소는 연체동물이나 절족동물의 외골격을 구성하는 주요 원소 중 하나입니다. 비소는 외골격의 강도를 높이고, 물에 대한 내성을 높이며,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비소는 연체동물이나 절족동물의 생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해수 중의 음파의 전파 속도는?

  1. 수온이 높을수록 빠르고, 수압이 클수록 빠르다.
  2. 수온이 높을수록 느리고, 수압이 클수록 빠르다.
  3. 수온이 높을수록 빠르고, 수압이 클수록 느리다.
  4. 수온이 높을수록 느리고, 수압이 클수록 느리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 중의 음파의 전파 속도는 "수온이 높을수록 빠르고, 수압이 클수록 빠르다." 이유는 수온이 높을수록 물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지고, 이로 인해 음파의 전파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수압이 클수록 물 분자들이 서로 가까이 위치하게 되어 음파의 전파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성층해수(stratified ocean)에서 해류속도가 수심에 따라 감소할 경우 밀도 경계면의 경사는 해면 경사와 비교하여 그 경사방향과 경사크기는?

  1. 같은 방향으로 같다.
  2. 같은 방향으로 더 크다.
  3. 반대 방향으로 같다.
  4. 반대 방향으로 더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류속도가 수심에 따라 감소할 경우, 밀도 경계면의 경사는 해면 경사와 반대 방향으로 더 크다. 이는 밀도 경계면이 수심이 깊어질수록 더욱 뚜렷하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류속도가 감소할수록 밀도 경계면의 경사는 더욱 가파르게 형성되며, 이는 해면 경사와 반대 방향으로 더 크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취송류에서 해면의 유향과 정반대의 유향이 되고 해면 유속의 약 4% 정도의 유속으로 감소되는 심도는?

  1. 역학심도
  2. 마찰심도
  3. 무류면
  4. 보상심도
(정답률: 알수없음)
  • 해면의 유향과 정반대의 유향이 되면서 유속이 감소하는 심도는 역학심도가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유속이 감소하는 비율이 약 4%라고 주어졌기 때문에 이는 마찰에 의한 유속 감소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찰심도"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수준면(Level Surface)이란?

  1. 중력포텐샬(potential)이 모든 곳에서 같은 면이다.
  2. 수온이 모든 곳에서 같은 면이다.
  3. 염분이 모든 곳에서 같은 면이다.
  4. 수온 및 염분이 모든 곳에서 같은 면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준면(Level Surface)은 중력포텐샬이 모든 곳에서 같은 면인 공간을 말한다. 이는 중력이 일정하게 작용하는 등위면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준면은 지형이나 바다 바닥의 고저차이, 산악 지형 등과 같은 지형적 특성을 나타내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지구상에 일어나는 조석(潮汐) 중, 다음 어느 경우가 최소 조차를 보이는가?

  1. 달과 태양의 위치가 지구에 대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있을 때
  2. 달과 태양의 위치가 지구에 대해 직각을 이룰때
  3. 달과 태양의 위치가 지구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있을 때
  4. 달과 태양의 위치가 지구에 대해 45° 각도를 이룰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석은 태양과 달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데, 태양과 달이 지구에 대해 직각을 이룰 때 가장 최소 조차를 보인다. 이는 태양과 달의 만유인력이 서로 상쇄되어 지구의 조석력이 가장 약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석이 가장 작은 경우는 "달과 태양의 위치가 지구에 대해 직각을 이룰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대마난류와 무관한 것은?

  1. 쿠로시오의 한 지류다.
  2. 한반도 남동해안과 일본서안을 따라 북상한다.
  3. 수온이 높은 해수를 동해에 유입시킨다.
  4. 염분도가 낮은 해수를 동해에 유입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염분도가 낮은 해수를 동해에 유입시킨다."가 대마난류와 무관한 것이다. 이유는 대마난류는 염분 농도가 높은 해수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북반구에 존재하는 동안류와 서안류를 비교 기술한 것 중 사실과 다른것은?

  1. 동안류는 폭이 넓고 서안류는 폭이 좁다.
  2. 해류층의 두께가 동안류는 얇고 서안류는 두껍다.
  3. 동안류는 편서풍대에서 흘러오며, 저온, 저염분이고 서안류는 무역풍대에서 흘러오며 고온, 고염분이다.
  4. 연안류와의 경계가 모두 분명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연안류와의 경계가 모두 분명하다." 이다. 이유는 동안류와 서안류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서로 경계가 모호하다. 따라서 연안류와의 경계도 분명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형류(Geostrophic currents)에서 균형을 이루는 힘이 아닌 것은?

  1. 중력
  2. 마찰력
  3. 압력경도력
  4. 코리올리 힘
(정답률: 알수없음)
  • 지형류에서 균형을 이루는 힘은 중력, 압력경도력, 코리올리 힘입니다. 그러나 마찰력은 지형류의 운동을 저해하고 에너지를 소모시키는 힘이므로 균형을 이루는 힘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찰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해양의 표면염분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1. 증발-강수량의 차
  2. 바람분포
  3. 수온분포
  4. 심층해류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의 표면염분 분포는 증발과 강수량의 차이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증발이 많이 일어나면 해수는 더 짙은 염분 농도를 가지게 되고, 강수량이 많으면 해수는 더 희석된 염분 농도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증발과 강수량의 차이가 클수록 해양의 표면염분 농도는 높아지게 됩니다. 바람분포, 수온분포, 심층해류도 해양의 표면염분 분포에 영향을 미치지만, 증발-강수량의 차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지질해양학

21. 다음에서 화학적 퇴적암에 속하는 것은?

  1. 응회암
  2. 규조토
  3. 석고
  4. 셰일
(정답률: 알수없음)
  • 석고는 화학적 퇴적암에 속합니다. 이는 바다나 호수 등에서 생물들의 석회화된 유체나 껍질 등이 침전하여 쌓여서 형성되는 암석으로, 석고는 이러한 과정에서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해저산맥(oceanic ridge)의 특징에 대한 묘사 중 옳지 않은 것은?

  1. 높은 열류량
  2. 심한 기복
  3. 지진활동이 적음
  4. 단층이 많음
(정답률: 알수없음)
  • 해저산맥은 지진활동이 매우 많은 지역이며, 지진 활동이 적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해저산맥이 지진 활동이 많은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지진 활동이 많은 이유는 해저산맥에서는 지각 이동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지각 이동은 지진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사항중 수동적 대륙주변부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대륙붕의 폭이 넓으며, 비교적 두꺼운 퇴적층이 발달한다.
  2. 대륙사면과 대륙대의 발달이 정규적으로 존재한다.
  3. 대서양의 대륙주변부가 그 좋은 예이다.
  4. 해구가 잘 발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구가 잘 발달하는 것은 수동적 대륙주변부의 특징이 아니라 활동적 대륙주변부의 특징이다. 수동적 대륙주변부는 대륙붕의 폭이 넓으며, 비교적 두꺼운 퇴적층이 발달하고 대륙사면과 대륙대의 발달이 정규적으로 존재하는 지역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지금까지 알려진 해저확장의 속도가 제일 큰 곳이 많은 대양은?

  1. 홍해
  2. 대서양
  3. 인도양
  4. 태평양
(정답률: 알수없음)
  • 태평양은 화산활동이 활발하고 지진이 많이 일어나는 지역이기 때문에 해저확장이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 다른 대양들은 상대적으로 활동성이 낮아 해저확장이 적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해빈의 퇴적구조 중 파쇄에 의한 해수의 움직임이 해빈전면으로 상승되었다가 뒤로 빠질 때 제일 멀리 생기는 구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층리
  2. 연흔(ripple)
  3. 스워시 마아크(swash mark)
  4. 해빈공(beach pit)
(정답률: 알수없음)
  • 해빈의 파쇄에 의한 해수의 움직임이 상승되었다가 뒤로 빠질 때, 스워시 마아크는 해빈 전면에서 가장 멀리 생기는 구조이다. 이는 파도가 해빈에 도달하여 파쇄되고, 상승된 물이 해빈 전면까지 이동하면서 스워시 현상이 발생한다. 이후, 물이 다시 뒤로 빠지면서 스워시 마아크가 생긴다. 스워시 마아크는 해빈의 퇴적구조 중 하나로, 해빈 전면에 생기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돌기 모양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연안표사량(沿岸票砂量)을 직접 지배하는 요인은?

  1. 파도의 입사각(入射角)이다.
  2. 파도의 강약(强弱)이다.
  3. 연안류(沿岸流)이다.
  4. 모래(砂)의 량과 크기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파도의 입사각이 연안표사량을 직접 지배하는 이유는, 파도가 해안으로부터 어떤 각도로 접근하느냐에 따라 파도의 에너지가 다르게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파도가 수직으로 접근하면 모래를 끌어올리는 힘이 강해져서 연안표사량이 많아지고, 반대로 파도가 낮은 각도로 접근하면 모래를 끌어올리는 힘이 약해져서 연안표사량이 적어집니다. 따라서 파도의 입사각이 연안표사량을 직접 지배하는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퇴적층 중 천해환경에서 형성되는 퇴적층은?

  1. Limy mud
  2. Graywacke
  3. Coral reef
  4. Turbidite
(정답률: 알수없음)
  • 천해환경에서는 산호초가 형성되며, 이는 산호동물의 석회분비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천해환경에서 형성되는 퇴적층은 Coral reef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대륙지각(continental crust)의 일반적인 두께는?

  1. 10km이하
  2. 10~20km
  3. 20~30km
  4. 35~50km
(정답률: 알수없음)
  • 대륙지각은 지각의 상부에 위치하며, 지각의 가장 바깥쪽 부분이다. 이 지각은 지각의 다른 부분과는 달리 암석의 밀도가 높고, 암석의 구성물도 다르기 때문에 두께가 다르다. 일반적으로 대륙지각의 두께는 35~50km 정도이다. 이는 지각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기 때문에 지각의 상부에 위치한 대륙지각은 지구의 지각 구조와 지질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세립질 퇴적물의 입도분석을 할 때 피펫팅을 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변수는?

  1. 온도
  2. 압력
  3. 확산제의 양
  4. 시료의 총량
(정답률: 알수없음)
  • 온도는 세립질 퇴적물의 입도분석 시 시료의 흐름 속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피펫팅을 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입니다. 높은 온도에서는 시료의 흐름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피펫팅 시간을 짧게 설정해야 하고, 낮은 온도에서는 시료의 흐름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피펫팅 시간을 길게 설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온도가 피펫팅 시간을 결정하는 변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실험 중 해저퇴적물의 특성과 기원을 연구하는 것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해수의 염분도 측정
  2. 입도 분석
  3. 중광물 분석
  4. 원마도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해저퇴적물의 특성과 기원을 연구하는 것은 지질학적인 연구이므로, "해수의 염분도 측정"은 지질학적인 연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리아스(Rias) 해안이란?

  1. 굴곡이 많은 해안선을 가진 해안을 말한다.
  2. 평평한 해안선을 가진 해안을 말한다.
  3. 절벽으로된 해안선을 가진 해안을 말한다.
  4. 넓은 평야를 가진 해안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리아스 해안은 강이나 강이 만드는 산호나 암초 등으로 인해 굴곡이 많은 해안선을 가진 해안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하와이 처럼 섬에 연결되어 발달한 산호초는?

  1. 거초
  2. 보초
  3. 환초
  4. 초호
(정답률: 알수없음)
  • 거초는 섬 주변의 해안선에 위치한 산호초로, 섬과 연결되어 발달합니다. 이는 섬 주변의 얕은 해역에서 자라는 산호가 바다 파도와 바람에 의해 섬 주변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거초는 섬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섬의 생태계와도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우리나라 서해안에 넓게 발달한 조간대는 과거 언제 이후에 발달한 것인가?

  1. 과거 만년전 이후
  2. 과거 이만년전 이후
  3. 과거 오만년전 이후
  4. 과거 십만년전 이후
(정답률: 알수없음)
  • 조간대는 해수면 상승과 함께 형성되는 지형적 특징이다. 따라서 조간대가 발달한 시기는 과거 해수면 상승이 일어난 시기와 일치한다. 과거 만년전 이후에는 지구 기온이 상승하면서 해빙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였기 때문에 조간대가 발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정답은 "과거 만년전 이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부정합(不整合)의 존재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침식면의 부존재
  2. 상・하층간의 구조상의 불일치
  3. 상・하층간의 암상, 생물상의 급변
  4. 기저력암의 발달
(정답률: 알수없음)
  • 부정합은 구조상의 불일치나 암상, 생물상의 급변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침식면의 부존재"와 "상・하층간의 구조상의 불일치", "상・하층간의 암상, 생물상의 급변"은 모두 부정합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기저력암의 발달"은 지형학적인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부정합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저력암의 발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태평양의 대륙사면이 다른 대양의 대륙사면과 비교 할 때 독특한 점이 아닌 것은?

  1. 수직거리가 큰 대륙사면 전부가 태평양에 있다.
  2. 태평양에는 대륙사면의 경사도가 5° 에서 6°사이의 지역이 현저하게 많다.
  3. 광범위한 지역에 있어서 대륙사면 경사도의 변화가 적다.
  4. 다른 대양의 대륙사면에 비하여 가장 높은 빈도의 해저협곡이 존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다른 대양의 대륙사면에 비하여 가장 높은 빈도의 해저협곡이 존재한다." 이다. 이유는 태평양의 바닥에는 많은 활동성 지대가 있어서 지진, 화산 폭발 등으로 인해 지각 변동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각 변동으로 인해 해저협곡이 형성되고, 이는 다른 대양의 대륙사면에 비해 더 많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해저 퇴적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해류로 같은 방향으로 계속부는 바람에 의해 해면 부근의 물이 유동하는 것은?

  1. 조류
  2. 보류
  3. 취송류
  4. 순환류
(정답률: 알수없음)
  • 해류는 바람에 의해 유도되는 표면 해류와 지구 자전에 의해 유발되는 깊은 해류로 나뉩니다. 이 중 취송류는 바람에 의해 유도되는 표면 해류 중 하나로, 같은 방향으로 계속 부는 바람에 의해 해면 부근의 물이 유동합니다. 이러한 취송류는 해저 퇴적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인회석, 탄산염등의 생성은 무슨 기원에 해당되는가?

  1. 수성기원
  2. 생물기원
  3. 암석기원
  4. 화산기원
(정답률: 알수없음)
  • 인회석, 탄산염 등의 생성은 생물기원에 해당한다. 이는 해조류, 갯벌 생물 등의 유기물이 쌓여서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물과 반응하여 생성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은 바다나 호수 등에서 매우 흔하게 일어나며, 인회석과 탄산염은 이러한 생물 활동의 증거로 자주 발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퇴적물의 입도분류에 사용되는 웬트워어드(Wentworth)의 표준척도에서 모래와 실트(silt)의 경계는?

  1. 0.1mm
  2. 0.074mm
  3. 0.0625mm
  4. 0.053mm
(정답률: 알수없음)
  • 퇴적물의 입도분류에서 모래와 실트의 경계는 입자의 크기가 0.063mm 이하인 실트와 0.063mm 이상인 모래로 구분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0.0625mm이 정답인 이유는 이 값이 실트와 모래의 경계값인 0.063mm보다 약간 작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초기 속성작용(Early diagenesis)에 의해서 형성되는 돌로마이트(Dolomite)가 형성되는 환경은?

  1. 온도가 낮고 염도가 높은 곳
  2. 온도가 높고 염도도 높은 곳
  3. 온도가 높고 염도가 낮은 곳
  4. 온도가 낮고 염도도 낮은 곳
(정답률: 알수없음)
  • 돌로마이트는 초기 속성작용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는 높은 온도와 높은 염도가 필요합니다. 온도가 높으면 화학 반응이 더 빨리 일어나고, 염도가 높으면 이온 교환과 같은 화학 반응이 촉진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온도가 높고 염도도 높은 곳에서 돌로마이트가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지진파의 focal mechanism은 판구조론 증거의 하나이다 팽창(dilatational)이 주요 mechanism이 되는 지진은 다음 중 어느 곳에서 가장 활발하게 발생하겠는가?

  1. 대양저산맥
  2. 변환단층
  3. 섭입대(Benioff zone)
  4. 열점(Hot spot)
(정답률: 알수없음)
  • 대양저산맥에서는 새로운 바닥암이 생성되는 분화구가 있어 지각 변동이 매우 활발하게 일어나며, 이로 인해 지진이 발생한다. 이 지역에서 발생하는 지진은 팽창이 주요 mechanism이 되므로, focal mechanism에서는 tensional axis가 나타난다. 따라서 대양저산맥에서 가장 활발하게 지진이 발생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광물학

41. 심해저 방산충 연니의 주된 성분은?

  1. 탄산염
  2. 인산염
  3. 실리카
  4. 아라고나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심해저 방산충 연니의 주된 성분은 실리카이다. 이는 연니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로, 규산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실리카는 광물질 중 하나로, 암석이나 껍질 등 다양한 자연물에 존재한다. 연니의 실리카는 그들의 몸을 지탱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이방체 결정에서 빛이 두 방향으로 굴절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복굴절
  2. 다색성
  3. 내부반사
  4. 전반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복굴절

    설명: 이방체 결정은 광선이 들어오면 빛이 두 방향으로 굴절됩니다. 이러한 굴절은 복굴절이라고 합니다. 이는 이방체 결정의 굴절률이 빛의 파장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빛이 이방체 결정을 통과할 때 다양한 색상으로 나타나는 다색성 현상도 관찰됩니다. 내부반사와 전반사는 광선이 물체 내부에서 반사되는 현상으로, 이방체 결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퇴적기원의 광상이 아닌 것은?

  1. 사광상
  2. 함동세일
  3. 황광상
  4. 2차부화광상
(정답률: 알수없음)
  • 퇴적기원의 광상 중 2차부화광상은 신생대 후기에 일어난 지질 현상으로, 지하에서 끓어오르는 마그마가 지표면에 도달하여 폭발적으로 분출되면서 형성된 것입니다. 따라서 퇴적기원의 광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퇴적물 시료의 화학적 분리법에서 유기물 제거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시약은?

  1. 염산
  2. 질산
  3. 과산화수소
  4. 수산화나트륨
(정답률: 알수없음)
  • 과산화수소는 유기물을 산화시켜 분해시키는 강력한 산화제이기 때문에 퇴적물 시료에서 유기물을 제거하는데 일반적으로 이용됩니다. 이에 비해 염산, 질산, 수산화나트륨은 유기물을 제거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심해저에서 관찰되기 힘든 광물은?

  1. 인회석(apatite)
  2. 토도로카이트(todorokite)
  3. 일라이트(illite)
  4. 방해석(calcite)
(정답률: 알수없음)
  • 방해석은 칼슘 카르보네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심해저에서는 해수의 압력과 온도가 높아서 용해되어 버리기 때문에 관찰하기 힘들다. 따라서 방해석은 심해저에서 관찰되기 힘든 광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해양기원의 중정석 광물에 가장 많이 포함되는 주성분 원소는?

  1. 스트론 튬
  2. 크롬
  3. 망간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기원의 중정석 광물에 가장 많이 포함되는 주성분 원소는 스트론튬입니다. 이는 중정석 광물이 바다에서 쌓인 것이기 때문에 바다에서 많이 존재하는 원소인 스트론튬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두 광물 모두 망간단괴에서 볼 수 있는 망간 광물은?

  1. 저오콘, 모나자이트
  2. 필립사이트, 클리높틸로라이트
  3. 토도로카이트, 버네사이트
  4. 금, 석석(cassiterite)
(정답률: 알수없음)
  • 망간단괴는 망간이 풍부하게 함유된 광물이며, 토도로카이트와 버네사이트는 모두 망간 광물로서 망간을 주요 원소로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두 광물 모두 망간단괴에서 볼 수 있는 광물이다. 따라서 정답은 "토도로카이트, 버네사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토륨을 함유하고 있어 핵연료로 사용될 수 있는 중사광물은?

  1. 인회석
  2. 석류석
  3. 모나자이트
  4. 저어콘
(정답률: 알수없음)
  • 모나자이트는 토륨을 함유하고 있어 핵연료로 사용될 수 있는 중사광물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토륨을 함유하고 있지 않거나, 토륨 함량이 적어 핵연료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산과 같은 용액에서 불용성 잔류물로 남지 않는 것은?

  1. 황철석
  2. 처트
  3. 운모
  4. 방해석
(정답률: 알수없음)
  • 산과 같은 용액에서 불용성 잔류물로 남지 않는 것은 "방해석"입니다. 이는 용해도가 높아서 용액에 잘 녹기 때문입니다. 반면, 다른 보기들인 황철석, 처트, 운모는 용해도가 낮아서 용액에서 잔류물로 남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해양저 다금속 유화광상의 성인은?

  1. 생물작용
  2. 열수작용
  3. 풍화작용
  4. 속성작용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저 다금속 유화광상은 열수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입니다. 열수작용은 지열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암석을 분해하고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작용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다금속이 유출되어 다금속 유화광상이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광물 중 벽개가 가장 발달해 있는 것은?

  1. 녹주석
  2. 석영
  3. 장석
  4. 운모
(정답률: 알수없음)
  • 운모는 벽개가 가장 발달해 있는 광물 중 하나입니다. 이는 운모가 결정화 과정에서 벽개가 많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벽개는 광물 결정 내부에서 발생하는 작은 결정체로, 결정체 간의 간극을 채우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벽개가 많이 발달한 운모는 광물의 내구성과 경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해저 열수 광상에서 추출 할 수 있는 유용 원소가 아닌 것은?

  1. 아연
  2. 알루미늄
  3. 구리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은 해저 열수 광상에서 추출하기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유용한 원소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철, 아연, 구리는 해저 열수 광상에서 추출하기 쉽고, 산업에서 많이 사용되는 유용한 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1:1형 점토 광물은?

  1. 카오리나이트
  2. 몬모릴로나이트
  3. 일라이트
  4. 스멕타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카오리나이트는 1:1형 점토 광물 중 하나이다. 이는 카오리나이트의 구조가 교반층이 하나만 있는 1:1형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몬모릴로나이트와 일라이트는 2:1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스멕타이트는 1:2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카오리나이트가 1:1형 점토 광물 중 하나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X-선 회질분석을 위한 시료준비시 적절한 사항이 아닌 것은?

  1. 실험의 목적에 따라 특정한 방법으로 시료판을 제작하여야 한다.
  2. 시료판의 회절각 2θ 각이 30° ~ 90°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3. 시료판의 시료가 모든 시료를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
  4. X-선이 통과할 부분이 시판의 시료 전체를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시료판의 시료가 모든 시료를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

    X-선 회절분석은 시료의 결정 구조를 분석하는 기술로, 시료판을 제작하여 X-선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때 시료판의 회절각 2θ 각이 30° ~ 90°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유는 이 범위에서는 시료의 결정 구조를 분석하기에 적절한 회절각 범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료판의 회절각 2θ 각이 30° ~ 90°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는 적절한 사항이다. 하지만 시료판의 시료가 모든 시료를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은 X-선 회절분석을 위한 시료준비시 적절한 사항이 아니다. 이는 실험의 목적에 따라 특정한 방법으로 시료판을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X-선이 통과할 부분이 시판의 시료 전체를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도 적절한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해양환경에서 망간단괴의 대략적인 침전속도는?

  1. 0.01mm~수mm/1,000년
  2. 0.001mm~0.01mm/1,000년
  3. 1mm~수mm/1,000년
  4. 1cm~수cm/1,000년
(정답률: 알수없음)
  • 망간단괴는 해양 바닥에 쌓여있는 망간 결정체로, 이러한 결정체가 형성되는 속도는 매우 느리다. 이는 해양 환경에서 망간이 침전되는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망간단괴의 대략적인 침전속도는 "0.01mm~수mm/1,000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코발트-망간각 (Co-rich manganese Crust)의 주분포 해심은?

  1. 500 m 이하
  2. 1,000 ~ 2,000 m
  3. 2,500 ~ 5,000 m
  4. 5,000 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코발트-망간각은 해저산 산출물 중 하나로, 주로 해저산의 해저산출물로 형성됩니다. 이러한 산출물은 해저산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적게 쌓이기 때문에, 코발트-망간각의 주분포 해심은 일반적으로 1,000 ~ 2,000 m 사이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0 ~ 2,000 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해수를 증발시킬 때 침전되는 순서로 옳은 것은?

  1. 방해석 → 석고 → 암염 → 칼륨염
  2. 석고 → 방해석 → 암염 → 칼륨염
  3. 암염 → 석고 → 방해석 → 칼륨염
  4. 칼륨염 → 암염 → 석고 → 방해석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를 증발시키면서 물에 용해되어 있던 물질들이 농축되어 침전된다. 이때 침전되는 순서는 물질의 용해도와 결정화 경향성 등에 따라 달라진다.

    "방해석 → 석고 → 암염 → 칼륨염" 순서는 용해도가 낮은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방해석은 칼슘과 탄산으로 이루어져 있어 용해도가 매우 낮다. 따라서 가장 먼저 침전된다. 석고는 방해석보다는 용해도가 높지만, 여전히 낮아 두 번째로 침전된다. 암염은 석고보다는 용해도가 높으며, 칼륨염은 가장 용해도가 높다. 따라서 암염과 칼륨염은 나중에 침전된다.

    따라서 "방해석 → 석고 → 암염 → 칼륨염" 순서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Quartzite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주로 석영과 장석으로 구성된 변성암이다.
  2. 일반적으로 석영이 95% 이상으로 구성된 퇴적암이다.
  3. 일반적으로 석영이 80% 이상으로 구성된 퇴적암이다.
  4. 사암과 처트가 변성작용을 받아 생성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암과 처트가 변성작용을 받아 생성된다. - 사암과 처트가 변성작용을 받아 Quartzite가 생성된다는 것은, 기존에 존재하던 사암과 처트가 지하에서 높은 압력과 온도의 영향을 받아 변성작용을 거쳐 석영으로 구성된 암석으로 변화한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대륙붕과 대륙사면에 주로 분포하는 것은?

  1. 코발트각
  2. 유화광상
  3. 해록석
  4. 망간각
(정답률: 알수없음)
  • 해록석은 대륙붕과 대륙사면에 주로 분포하는 암석으로, 이는 해양에서 쌓인 퇴적물이 대륙으로 운반되어 쌓이는 과정에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코발트각, 유화광상, 망간각은 해양에서 형성되는 암석이므로 대륙붕과 대륙사면에 분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유기물에 기원하여 퇴적된 해양광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방해석
  2. 인회석
  3. 백운석
  4. 단백석
(정답률: 알수없음)
  • 백운석은 유기물과는 관련이 없는 무기물로, 해양에서 직접 퇴적되는 것이 아니라 화산활동 등 지질학적인 과정을 통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기물에 기원하여 퇴적된 해양광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탐사공학

61. 지자기의 단위 r 를 SI 단위계로 표현하면?

  1. 1r = 1T
  2. 1r = 10-3T
  3. 1r = 10-6T
  4. 1r = 10-9T
(정답률: 알수없음)
  • 지자기의 단위 r은 웹스터(Wb)를 기준으로 한 회전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SI 단위계에서는 웹스터(Wb)를 표준 단위로 사용하며, 1 웹스터(Wb)는 1 테슬라(T)의 면적을 1 초 동안 통과하는 전기적인 흐름의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1r은 1 테슬라(T)의 면적을 1 초 동안 통과하는 전기적인 흐름의 양의 회전수를 의미하며, 이는 10-9T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액체에 대한 강성률(rigidity)은?

  1. 0
  2. 1
  3. 2
  4. 3
(정답률: 알수없음)
  • 액체는 강성률이 없습니다. 액체는 형태가 변할 때 내부 분자 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바뀌어도 분자 간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강성률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탄성파 인공진원 중 육상용으로 주로 쓰이는 것은?

  1. 스파커
  2. 에어건
  3. 바이브로사이스
  4. 부머
(정답률: 알수없음)
  • 바이브로사이스는 탄성파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주로 지하탐사나 지진감지 등의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그러나 육상용으로도 사용되는데, 이는 바이브로사이스가 다른 인공진원에 비해 발생시키는 탄성파의 주파수가 낮아서 지하 구조물이나 지반의 탐사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바이브로사이스는 작은 크기와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어서 육상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용어중 다중채널 탄성파 자료의 처리와는 관계가 먼 것은?

  1. 구간속도
  2. 구조보정
  3. NMO 보정
  4. 중합 속도
(정답률: 알수없음)
  • 다중채널 탄성파 자료의 처리에서 구간속도, NMO 보정, 중합 속도는 모두 지하 구조의 속도 모델링과 관련된 처리 과정이다. 하지만 구조보정은 지하 구조의 형태나 불규칙성 등을 고려하여 탄성파 데이터를 보정하는 과정으로, 지하 구조의 속도 모델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구조보정이 다중채널 탄성파 자료의 처리와는 관계가 덜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현재 지표면에서 관찰되는 지열의 주 기원은?

  1. 고온의 원시지구의 냉각
  2. 반감기가 긴 방사성 동위원소
  3. 반감기가 짧은 방사성 동위원소
  4. 지구조석
(정답률: 알수없음)
  • 현재 지표면에서 관찰되는 지열의 주 기원은 반감기가 긴 방사성 동위원소입니다. 이는 고온의 원시지구가 냉각되면서 지하에 존재하던 방사성 동위원소들이 붕괴하면서 방출되는 열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지열은 지구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고 지구 표면의 지질 활동을 유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구표면에서의 중력 가속도(gravitational acceleration, g)는 약 얼마인가?

  1. 980 gal
  2. 990 gal
  3. 1,000 gal
  4. 1,010 gal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표면에서의 중력 가속도는 약 980 gal이다. 이는 지구의 질량과 반지름에 의해 결정되며, 지구의 질량이 크고 반지름이 작을수록 중력 가속도는 높아진다. 이러한 이유로 지구의 중력 가속도는 다른 행성이나 천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지자기의 자료 해석에서 주로 쓰는 방정식은?

  1. Laplace's equation
  2. Wave equation
  3. Diffusion equation
  4. Maxwell's equ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지자기의 자료 해석에서 주로 쓰는 방정식은 "Laplace's equation"이다. 이는 전기적, 자기적인 잠재함수의 분포를 나타내는 방정식으로, 시간에 대한 미분항이 없기 때문에 정적인 상황에서 적용된다. 이 방정식은 전기장과 자기장의 분포를 계산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며, 전자기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탄성파(종파)가 해저 지층을 통과할 때 탄성파의 속도를 결정하는 변수가 아닌 것은?

  1. Density
  2. Porosity
  3. Bulk modulus
  4. Shear modulus
(정답률: 알수없음)
  • Porosity는 해저 지층 내부의 공간 비율을 나타내는 변수이지만, 탄성파의 속도를 결정하는 변수는 밀도, 척도 모듈러스, 전단 모듈러스와 같은 지질학적 특성과 관련된 변수들입니다. 따라서 Porosity는 탄성파의 속도를 결정하는 변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전기비저항 검층에 속하는 것은?

  1. 핵자기공명 검층(nuclear magnetic resonance log)
  2. 중성자 검층(neutron log)
  3. 내경 검층(caliper log)
  4. 노말 검층(normal log)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비저항 검층은 지하층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여 지하층의 구성과 특성을 파악하는 기술입니다. 이 중에서 노말 검층은 지하층의 전기적 저항 값을 측정하여 지하층의 구성과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노말 검층은 전기비저항 검층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해성층 탄산칼슘의 생성당시 주변온도를 측정할 때 가장 적당한 안전동위원소의 종류는?

  1. 유황(S)
  2. 탄소(C)
  3. 수소(H)
  4. 산소(O)
(정답률: 알수없음)
  • 산소(O)는 안전동위원소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동위원소이며, 안전성이 높고 측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가장 적합합니다. 또한, 해성층 탄산칼슘의 생성은 산소(O)와 반응하여 일어나기 때문에 산소(O)를 사용하여 주변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그림과 같은 굴절현상에서 V1 = 1㎞/s, V2 = 2㎞/s θ1 = 30° 라면 θ2는?

  1. 30°
  2. 45°
  3. 60°
  4. 90°
(정답률: 알수없음)
  • 빛의 속도는 공기보다 유리에서 느리기 때문에 굴절되어 경로가 바뀌게 됩니다. 이 때, 빛의 속도가 느려지는 쪽으로 굴절각이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V1 < V2 이므로 θ2는 30°보다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될 수 있는 것은 "30°"이외에는 모두 제외됩니다. 그리고, 빛이 수직으로 굴절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이 때는 굴절각이 90°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지표 기복이 없는 평지의 밀도가 2,600 ㎏/m3일 때 1m당 고도보정량은?

  1. 약 0.4 g.u
  2. 약 1 g.u
  3. 약 2 g.u
  4. 약 3 g.u
(정답률: 알수없음)
  • 고도보정량은 지표 기복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다. 평지에서는 지표 기복이 없으므로 고도보정량은 0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단순히 밀도가 주어졌을 때 고도보정량을 구하는 것이므로 정답은 0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모든 값은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굴절법 탄성파 탐사에 사용되는 수신기의 적당한 주파수는?

  1. 1~10㎐
  2. 4~15㎐
  3. 20~50㎐
  4. 50㎐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굴절법 탄성파 탐사에서는 지하 구조물의 깊이를 파악하기 위해 저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이는 고주파수일수록 지하 구조물에서 반사되어 신호가 혼란스러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당한 주파수는 1~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탄성파 탐사자료 전산처리에서 마이그레이숀(migration) 이란 다음의 무엇을 뜻하는가?

  1. 속도보정
  2. 지형보정
  3. 구조보정
  4. 정보정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그레이션은 지하 구조물에서 발생한 탄성파를 분석하여 지하 구조물의 모양과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구조물의 위치나 모양이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구조보정이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구조보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암석에 대한 Less-Back장치나 퇴적물에 대한 Needle probe법에 의하여 측정되는 물리량은?

  1. 공극율
  2. 툭율
  3. 지온구배
  4. 열전도도
(정답률: 알수없음)
  • Less-Back장치나 Needle probe법은 암석이나 퇴적물의 열전도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방법으로 측정되는 물리량은 열전도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탄성파 반사법의 공심점 중합으로 얻어지는 효과가 아닌 것은?

  1. 수직해상도의 향상
  2. 신호대잡음비의 향상
  3. 다중반사잡음의 억제
  4. 파형의 향상
(정답률: 알수없음)
  • 탄성파 반사법의 공심점 중합은 다중반사잡음의 억제, 신호대잡음비의 향상, 파형의 향상 등의 효과를 가져옵니다. 그러나 수직해상도의 향상은 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수직해상도는 초음파 파장과 관련이 있으며, 탄성파 반사법의 공심점 중합은 파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수직해상도의 향상은 탄성파 반사법의 공심점 중합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S파 속도를 Vs, 레일리파 속도를 VR , 러브파 속도를 VL라고 할 때 다음 중 속도순으로 된 것은?

  1. Vs > VR > VL
  2. Vs > VL > VR
  3. VR > Vs > VL
  4. VR > VL > V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Vs > VL > VR"이다.

    S파는 고주파이기 때문에 속도가 가장 빠르고, 러브파는 저주파이기 때문에 속도가 가장 느리다. 레일리파는 중간 주파수이기 때문에 속도가 중간 정도이다. 따라서 S파 > 러브파 > 레일리파 순으로 속도가 빠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암석 노두의 경사와 주향과의 각도는 항상 어떤 각을 이루는가?

  1. 예각
  2. 둔각
  3. 직각
  4. 평각
(정답률: 알수없음)
  • 암석 노두의 경사와 주향은 서로 수직이기 때문에, 이들이 이루는 각은 항상 직각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중 밀도 검층이라고 불리는 것은?

  1. normal log
  2. self-potential log
  3. caliper log
  4. gamma-ray log
(정답률: 알수없음)
  • 밀도 검층은 지하층의 밀도를 측정하여 지층의 성질을 파악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위해 방사선을 이용하여 지층의 밀도를 측정하는데, 이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 gamma-ray log입니다. 따라서 gamma-ray log가 밀도 검층이라고 불리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수면에서 발사된 음향에너지가 7500m 깊이의 해저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데는 몇초가 걸리는가?

  1. 2.5초
  2. 5초
  3. 10초
  4. 20초
(정답률: 알수없음)
  • 음향의 속도는 물에서 약 1500m/s 이므로, 7500m 깊이까지 가는데 걸리는 시간은 7500m / 1500m/s = 5초입니다. 따라서 음파가 되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은 왕복시간인 5초 x 2 = 10초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해양계측학

81. 다음 채니기 중 저서생물 채집에 적당한 것은?

  1. corer
  2. dredge
  3. closing net
  4. van Dorn sampler
(정답률: 알수없음)
  • 저서생물은 해저나 강 등의 바닥에서 살아서 활동하는 생물이기 때문에, 이들을 채집하기 위해서는 바닥을 파서 채집하는 방법이 적합합니다. 이 중에서도 "dredge"는 바닥을 파서 채집하는데 특화된 도구로, 큰 크기의 저서생물을 채집할 때 유용합니다. 따라서 "dredge"가 저서생물 채집에 적당한 채기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유속계중 유속의 측정범위가 가장 큰 것은?

  1. Aanderaa RCM4
  2. Aanderaa RCM5
  3. EG & G VMCM
  4. Braystoke DRCM
(정답률: 알수없음)
  • Braystoke DRCM은 다른 유속계에 비해 측정범위가 가장 큽니다. 이는 Braystoke DRCM이 다른 유속계에 비해 더 높은 유속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원격탐사를 위해 가장 먼저 해야할 자료처리 작업은?

  1. 기하학적 보정
  2. 레디오메타 변환
  3. 영상강조
  4. 결과표시
(정답률: 알수없음)
  • 원격탐사에서는 측정된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레디오메타 변환을 수행합니다. 이는 원격탐사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데이터를 보정하여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한 과정입니다. 따라서 원격탐사를 위해 가장 먼저 해야할 자료처리 작업은 레디오메타 변환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해양환경에 있어서 유기물 오염의 지표로서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용존산소(DO)
  2.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3. 화학적산소요구량(COD)
  4. 클로로필 a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로필 a는 유기물 오염의 지표가 아닙니다. 클로로필 a는 조류의 생산성과 연관이 있으며, 물의 산소 농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유기물 오염의 지표로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조류의 예보 방법에서 해면차를 이용하지 않는 것은?

  1. 비조화법
  2. 조화법
  3. 개정수법
  4. 분조법
(정답률: 알수없음)
  • 해면차란 해수면과 대기의 온도 차이를 말합니다. 조류의 예보 방법 중에서 해면차를 이용하지 않는 것은 분조법입니다. 분조법은 대기의 상태를 관측하여 기압, 온도, 습도 등을 분석하여 조류의 이동 경로와 속도를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해면차와는 무관하게 대기 상태만을 고려하여 예보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조석관측 방법으로 이용되지 않는 것은?

  1. 부표식
  2. 압력식
  3. 표척식
  4. 지자기식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석관측 방법 중에서 "지자기식"은 이용되지 않는다. 이유는 조석관측은 지구의 자전축을 기준으로 하는데, 지자기식은 지구 자기장을 이용하여 방위각을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조석관측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지자기식은 조석관측 방법으로 이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GEK해류계를 이용하는데 알맞지 않은 지구상의 위치는?

  1. 지자기 적도부근
  2. 지자기 30° 부근
  3. 지자기 60° 부근
  4. 지자기 극 부근
(정답률: 알수없음)
  • GEK해류계는 지구 자전축 주변의 해류를 이용하여 항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지자기 적도부근이 알맞지 않은 위치이다. 지자기 적도부근은 지자기력이 가장 약하게 작용하는 지역으로, 지자기력이 약해지면 GEK해류계를 이용한 항해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지자기 적도부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심해저 시추선 glomer challenger호가 시추를 할 때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dynamic positioning system은 어떤 기구를 이용하는가?

  1. 소나
  2. 인공위성
  3. 로란
  4. 레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심해저 시추선 glomer challenger호의 dynamic positioning system은 소나를 이용한다. 이는 소나가 수중에서 반사되는 파장을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공위성은 대기권 밖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며, 로란과 레이다는 다른 위치 파악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NOAA-7위성으로 관측된 해표면 수온의 해상도는?

  1. 0.011Km
  2. 0.11Km
  3. 1.1Km
  4. 11Km
(정답률: 알수없음)
  • NOAA-7위성은 AVHRR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센서를 사용하여 해표면 수온을 측정합니다. 이 센서는 해상도가 약 1.1Km입니다. 따라서, NOAA-7위성으로 관측된 해표면 수온의 해상도는 1.1K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도플러 소나(Doppler sonar)의 주된 용도는?

  1. 수온측정
  2. 수심측정
  3. 항해속도 측정
  4. 염분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도플러 소나는 소리 파장의 이동 속도를 이용하여 물속에서 물체의 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항해속도 측정에 주로 사용됩니다. 수온, 수심, 염분 측정에는 다른 장비들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음파를 이용하여 해저를 조사하는 기기가 아닌 것은?

  1. Subbottom Profiler
  2. Air-Gun
  3. Sono-Buoy
  4. Piston-Corer
(정답률: 알수없음)
  • Piston-Corer는 해저 퇴적물을 채취하기 위한 기기이며, 음파를 이용하여 해저를 조사하는 기기가 아니다. Subbottom Profiler는 해저 아래의 지질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음파를 이용하는 기기이고, Air-Gun은 음파를 발생시켜 해저 구조를 파악하는 기기이며, Sono-Buoy는 해상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음파를 이용하는 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현재 원격탐사에 이용되지 않는 파는?

  1. 가시광선
  2. 열적외선
  3. Micro wave
  4. X - 선
(정답률: 알수없음)
  • X-선은 원격탐사에 이용될 수 있지만, 인체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인체 검사 등 의료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현재 원격탐사에 이용되지 않는 파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교란이 가장 적은 해저퇴적물 채집 기구는?

  1. Piston corer
  2. Vibratory corer
  3. Rotary drilling corer
  4. Dredge
(정답률: 알수없음)
  • 해저퇴적물 채집 기구 중에서 교란이 가장 적은 것은 "Piston corer"입니다. 이는 기구가 바닥에 닿은 후에도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여 채집물을 수직으로 채취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기구들은 회전하거나 진동하는 움직임으로 인해 주변 퇴적물이 교란되어 채취물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방향 탐지기가 아닌 것은?

  1. Loran
  2. Decca
  3. Antenna
  4. Raydist
(정답률: 알수없음)
  • "Loran", "Decca", "Raydist"는 모두 방향 탐지를 위한 시스템이지만, "Antenna"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기 위한 장치이기 때문에 방향 탐지기가 아니다. 즉, "Antenna"는 방향을 탐지하는 기능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해면의 기름에 의한 오염상태 파악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적외선 방사계
  2. 마이크로파 산란계
  3. 마이크로파 고도계
  4. 마이크로파 방사계
(정답률: 알수없음)
  • 해면의 기름 오염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파 산란계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마이크로파 파장을 이용하여 물과 기름의 차이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마이크로파 산란계는 기름이 물 위에 떠 있는 경우에도 기름과 물의 경계면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해면의 기름 오염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반면, 적외선 방사계나 마이크로파 고도계, 마이크로파 방사계는 해면의 기름 오염 상태를 파악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국제표준 수심을 적절히 나열한 것은?

  1. 0m, 5m, 10m, 20m, 30m, 50m
  2. 0m, 10m, 15m, 20m, 30m, 50m
  3. 0m, 10m, 20m, 35m, 50m, 70m
  4. 0m, 10m, 20m, 30m, 50m, 75m
(정답률: 알수없음)
  • 국제표준 수심은 일정한 간격으로 적절히 나열되어야 합니다. 첫 번째 보기는 간격이 일정하지 않고, 두 번째 보기는 15m와 같이 이상한 간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세 번째 보기는 간격이 일정하지만 35m와 70m이 너무 큰 간격으로 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네 번째 보기인 "0m, 10m, 20m, 30m, 50m, 75m"가 가장 적절한 국제표준 수심입니다. 이는 10m 간격으로 일정하게 나열되어 있으며, 50m와 75m 사이의 간격도 적절하게 조절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해수 중 탄산염의 용해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수심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영구약층
  2. 용해약층
  3. 보상심도
  4. 포화심도
(정답률: 알수없음)
  • 용해약층은 해수 중 탄산염의 용해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수심을 말한다. 이는 해수 중의 약한 탄산염이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압력이 증가하면서 용해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해약층은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해양 생물들의 분포와 생태계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암석(rocks)의 연대측정(age-dating)에 사용되는 방법들을 열거 하였다. 이중 아닌 것은?

  1. K-Ar Method
  2. Stable Isotopes
  3. Magnetostratigraphy
  4. Varve chronology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table Isotopes"입니다.

    암석 연대측정 방법 중 "K-Ar Method", "Magnetostratigraphy", "Varve chronology"은 모두 암석의 연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각각 암석 내부의 방사성 동위원소의 붕괴, 지자기 극성의 변화, 연속된 층의 두께와 특성 등을 이용합니다.

    반면 "Stable Isotopes"는 암석 연대측정에 사용되는 방법은 아니며, 안정 동위원소(stable isotopes)의 비율을 분석하여 지구 환경의 변화나 생물 활동 등을 연구하는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산화카본(CO2) 안정 동위원소 비율을 분석하여 지구 온난화의 원인을 파악하는 등의 연구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원하는 수심층에서 플랑크톤을 채집할 수 있는 채집기는?

  1. 헨센(Hensen)식 플랑크톤 그물
  2. 클라아크-범퍼식(Clarke-Bumpus) 채집기
  3. 하아디(Hardy)식 플랑크톤 연속기록기
  4. Norpac - Net
(정답률: 알수없음)
  • 클라아크-범퍼식(Clarke-Bumpus) 채집기는 수심층에서 플랑크톤을 채집할 수 있는 채집기 중 하나입니다. 이 채집기는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플랑크톤을 채취할 수 있으며, 특히 작은 크기의 플랑크톤을 채집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또한 채집한 플랑크톤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장비도 함께 제공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해양의 지질구조를 결정하는 해저탐사 방법이 아닌 것은?

  1. 탄성파 측정
  2. 중력측정
  3. 지자기측정
  4. 수심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수심측정은 해저의 지질구조를 결정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수심측정은 단순히 바다나 호수 등의 수심을 측정하는 것으로, 지질구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탄성파 측정, 중력측정, 지자기측정은 모두 지질구조를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해저탐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