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해양공학기사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해양학개론

1. 기조력의 크기와 달까지의 거리와의 관계가 옳은 것은?

  1. 기조력은 달까지의 거리에 반비례
  2. 기조력은 달까지의 거리에 제곱에 반비례
  3. 기조력은 달까지의 거리에 3승에 반비례
  4. 기조력은 달까지의 거리에 4승에 반비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기조력은 달까지의 거리에 3승에 반비례"입니다. 이유는 중력은 질량과 거리에 비례하는 법칙에 따라, 달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중력이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이 법칙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거리의 세제곱에 반비례합니다. 따라서 거리가 2배 멀어지면 중력은 2의 3승인 8배 약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용승(Upwelling) 해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저층의 물이 표층으로 올라온다.
  2. 해안선이 남북방향으로 놓인 곳에서는 용승이 있으나 동서방향으로 놓인 곳에서는 없다.
  3. 주변해역보다 표면 수온이 낮다.
  4. 영양염이 풍부하여 생물활동이 왕성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안선이 남북방향으로 놓인 곳에서는 용승이 있으나 동서방향으로 놓인 곳에서는 없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해안선의 방향과는 상관없이 바람이 일어나는 방향에 따라 용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엘니뇨(El Nino) 현상은 어디에서 주로 일어나는가?

  1. 동남아시아 연안
  2. 적도태평양의 동부
  3. 북서아메리카 연안
  4. 남동태평양 전역
(정답률: 알수없음)
  • 엘니뇨 현상은 적도태평양의 동부에서 주로 일어납니다. 이는 태평양의 열대 해류가 서쪽으로 흐르면서 인도네시아 근처에서 축적된 따뜻한 물이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 지역에서 바람과 기압 등의 조건이 변화하면서 전 세계 기상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대양에서 영구수온약층(permenent thermocline)이 가장 깊은 수심에서 나타나는 해역은?

  1. 적도부근
  2. 위도 20° 부근
  3. 위도 40° 부근
  4. 극지방
(정답률: 알수없음)
  • 대양에서 영구수온약층은 열이 교환되는 과정에서 상승한 열이 상층으로 이동하면서 형성되는데, 이 때 영구수온약층이 가장 깊은 수심에서 나타나는 지역은 열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층에서 출발한 열이 도달하는 지점이기 때문입니다. 이 지점은 적도부근이나 극지방과 같이 열이 많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지역이 아니라, 중간 정도인 위도 40° 부근에서 나타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열점(Hot Spot)과 관계가 가장 깊은 것은?

  1. 솔로몬 제도
  2. 하와이 제도
  3. 알류산 열도
  4. 파푸아뉴우기니아
(정답률: 알수없음)
  • 열점(Hot Spot)은 지구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는 지점으로, 이 지점에서 용암이 분출하여 산화작용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 중 하와이 제도는 열점 위에 위치하여 매년 새로운 화산이 분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하와이 제도는 열점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해수 중 인산염 농도변화를 설명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1. 겨울철에 높은 농도를 보인다.
  2. 봄철에 낮은 농도를 보인다.
  3. 하루 중 해뜨기 직전에 최소 농도를 보인다.
  4. 식물의 활동이 왕성한 시간에 최소 농도를 보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하루 중 해뜨기 직전에 최소 농도를 보인다."는 잘못된 내용이다. 실제로는 해가 지는 시간대에 최소 농도를 보인다. 이는 해가 지면서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식물이 인산염을 흡수하지 못하고, 또한 해수의 표층과 심층의 물이 섞이면서 인산염 농도가 균일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심해저 망간단괴를 상대적으로 많이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주변의 퇴적물을 채취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 방법은?

  1. Grab식
  2. Dredge식
  3. Piston식
  4. Siphon식
(정답률: 알수없음)
  • "Dredge식" 방법은 바닥에 있는 망간단괴를 큰 그물로 채취하는 방법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을 채취할 수 있지만, 그 과정에서 바닥의 퇴적물도 함께 채취되기 때문에 주변의 퇴적물을 채취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미나마타병과 이타이 이타이병의 원인이 되는 해양오염 물질은 각각 무엇인가?

  1. 납, 구리
  2. 수은, 카드뮴
  3. 구리, 수은
  4. 납, 카드뮴
(정답률: 알수없음)
  • 미나마타병과 이타이 이타이병은 모두 신경계 질환으로, 수은과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이 원인이 됩니다. 수은은 미나마타병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카드뮴은 이타이 이타이병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은, 카드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해빈 물질의 특성과 거리가 먼 것은?

  1. 분급이 양호하다.
  2. 원마도는 둥근 상태이다.
  3. 대부분 진흙으로 구성된다.
  4. 연흔이 출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빈 물질은 대부분 진흙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해빈 지역이 강과 호수가 많아서 많은 양의 퇴적물이 쌓이고, 이에 따라 진흙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빈 물질은 분급이 양호하고, 원마도는 둥근 상태이며, 연흔이 출현하는 등의 특성을 가지지만, 대부분 진흙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대기와 해양간의 탄소 교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O2의 분압과 해수의 pH에 관련된 내용이 옳게 설명된 것은?

  1. 해양보다 대기중의 CO2 분압이 높으면 CO2는 해양으로부터 대기로 공급된다.
  2. 해수의 pH가 감소하면 CO2는 해양으로부터 대기로 공급된다.
  3. 해양의 기초생산이 활발하면 CO2는 해양으로부터 대기로 공급된다.
  4. 기초생산이 적고 pH가 적은 저위도 해역은 CO2가 대기로부터 해양으로 공급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해수의 pH가 감소하면 CO2는 해양으로부터 대기로 공급된다."이다. 이유는 해수의 pH가 감소하면 해수 중의 수소 이온 농도가 증가하게 되어 해수의 약산성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해양에서는 CO2가 더 쉽게 해방되어 대기 중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해수의 pH가 감소하면 CO2는 해양으로부터 대기로 공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해양의 표면염분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1. 증발-강수량의 차
  2. 바람분포
  3. 수온분포
  4. 심층해류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의 표면염분 분포는 증발과 강수량의 차이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증발이 많이 일어나면 해수는 더 짙은 염분 농도를 가지게 되고, 강수량이 많으면 해수는 더 희석된 염분 농도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증발과 강수량의 차이가 클수록 해양의 표면염분 농도는 높아지게 됩니다. 바람분포, 수온분포, 심층해류도 해양의 표면염분 분포에 영향을 미치지만, 증발-강수량의 차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고기압 지역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맞는 것은?

  1. 바람은 북반구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불어 들어온다.
  2. 상층부에 하강기류가 발생한다.
  3. 구름이 생성되고 비가 온다.
  4. 지표면에서는 공기가 수렴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기압 지역은 대기가 상승하면서 압력이 낮아지는 지역이기 때문에 상층부에서는 하강기류가 발생합니다. 이는 대기가 지표면에서 상승하면서 냉각되어 밀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상층부에서는 공기가 무거워져서 하강하게 됩니다. 이러한 하강기류는 대기의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구름이 생성되고 비가 오는 것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밀도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해수의 용존산소와 깊은 관계가 있다.
  2. 밀도차를 없애기 위해 생기는 해수의 유동이다.
  3. 바람의 방향과 일치한다.
  4. 원인으로는 태양의 인력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밀도류는 밀도차를 없애기 위해 생기는 해수의 유동이다. 이는 해수의 온도와 염분 농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며, 이러한 밀도차는 해수의 용존산소와 깊은 관계가 있다. 바람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원인으로는 태양의 인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해양판과 해양판이 수렴하는 수렴경계면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해저지형(장소)은?

  1. 동태평양산맥
  2. 알류산 열도
  3. 하와이 열도
  4. 동아프리카 열곡대
(정답률: 알수없음)
  • 알류산 열도는 북쪽의 북아메리카와 남쪽의 아시아 대륙의 해저지형이 수렴하는 구간인 북태평양 해저의 수렴경계면에서 형성된 대표적인 해저지형입니다. 이 지역은 지진과 화산활동이 활발하며, 지구과학 연구에 매우 중요한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파랑이 심해에서 전파될 때 파의 속도는?

  1. 파장에만 관계
  2. 파장과 수심 모두 관계
  3. 수심에만 관계
  4. 파장과 수심 모두 무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파장에만 관계"입니다. 파랑이 심해에서 전파될 때 파의 속도는 파장에만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파장이 짧을수록 파의 속도는 빠르고, 파장이 길수록 파의 속도는 느려집니다. 수심은 파의 진폭과 파장에 영향을 미치지만, 파의 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염분 측정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물리적 성질은?

  1. 지구자기
  2. 빛의 굴절
  3. 산성도
  4. 전기전도도
(정답률: 알수없음)
  • 염분은 이온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기전도도가 측정됩니다. 이온들이 용액 내에서 이동하면 전기적인 전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 전류의 세기를 측정하여 염분의 양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전도도는 염분 측정에 가장 대표적인 물리적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Ekman의 취송류이론에서 상부마찰심도의 해류는 해표면 해류의 몇 배로 나타나는가?

  1. e
  2. e-1/π
  3. e-1
  4. e
(정답률: 알수없음)
  • Ekman의 취송이론에서는 상부마찰심도가 깊이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한다. 이 때, 깊이가 무한대로 가면 상부마찰심도는 0에 수렴하게 된다. 따라서, 해표면에서의 해류와 깊이가 무한대로 가면서의 상부마찰심도를 고려하여 계산하면, 상부마찰심도의 해류는 해표면 해류의 크기의 e 배가 된다. 이는 Ekman의 취송이론에서 유도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지구 내부의 열을 공급하는 가장 주된 작용은?

  1. 방사성 물질의 붕괴
  2. 조석 작용
  3. 태양열
  4. 맨틀 대류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 내부의 열을 공급하는 가장 주된 작용은 "방사성 물질의 붕괴"입니다. 이는 지구 내부에 존재하는 방사성 물질이 붕괴하면서 방출되는 열로 인해 지구 내부가 가열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작용들인 조석 작용, 태양열, 맨틀 대류도 지구 내부의 열을 공급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주된 작용은 방사성 물질의 붕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해양과 대기의 상호작용을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바닷물의 비열이 높기 때문에 바닷물 1g을 1℃ 높이는데 1cal 이상이 필요하다.
  2. 해양과 대기의 가열이나 냉각이 있음에도 평균적인 열수지의 균형을 이루고 있다.
  3. 해류와 대기의 날씨는 물과 공기의 불균등한 태양 가열에 의한 결과이다.
  4. 해류는 열대에서 극지방으로 열을 운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바닷물의 비열이 높기 때문에 바닷물 1g을 1℃ 높이는데 1cal 이상이 필요하다."라는 내용은 옳은 내용이다. 이는 바닷물이 물질의 온도 변화에 대해 더 많은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기 때문이다. 이는 바닷물의 열용량이 더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망간단괴 성분 중 경제적인 가치가 없는 것은?

  1. 니켈
  2. 코발트
  3. 망간
(정답률: 알수없음)
  • 철은 망간단괴에서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성분이지만, 이미 철은 많은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가치가 없다. 따라서 망간단괴에서 경제적인 가치가 없는 성분은 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해양수리학

21. 수리모형 실험에서 원형과 모형 사이에 상사시키기 가장 어려운 것은?

  1. 유량
  2. 유속
  3. 길이
  4. 조도계수
(정답률: 알수없음)
  • 조도계수는 모형과 원형 사이에 상사시키기 가장 어려운 것이다. 이는 모형과 원형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모형에서 측정한 조도계수를 원형에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유량, 유속, 길이는 모형과 원형 간의 관계를 쉽게 변환할 수 있기 때문에, 조도계수보다는 적용이 용이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동점성계수의 차원은?

  1. [L2T-1]
  2. [LT-2]
  3. [ML-1T-1]
  4. [MLT-1]
(정답률: 알수없음)
  • 동점성계수는 유체의 점성에 대한 지표이며, 단위는 [ML-1T-1]이다. 하지만 동점성계수는 유체 내부의 마찰력을 나타내므로, 유체의 밀도([M][L-3])와 길이([L])에 따라 단위가 변화한다. 따라서 [ML-1T-1]에서 [L2T-1]로 변환하여 단위를 표기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토사 입자의 해저 이동시 마모되는 정보의 지표가 되는 것은?

  1. 변환율
  2. 원상율
  3. 환율
  4. 공극율
(정답률: 알수없음)
  • 해저에서 토사 입자가 이동하면서 마모되는 정보의 지표는 바로 환경의 변화입니다. 이 환경의 변화는 지형, 수온, 염분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환율이나 원상율, 공극율 등으로 나타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환율로 표현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환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파의 천수계수(Ks)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1. 파속(C)
  2. 파수(k)
  3. 수심(h)
  4. 파향(θ)
(정답률: 알수없음)
  • 파의 천수계수(Ks)는 파의 물리적 특성과 관련된 값으로, 파속, 파수, 수심 등과 관련이 있다. 하지만 파향은 파가 진행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값으로, 파의 물리적 특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따라서 파향은 파의 천수계수(Ks)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표사로 인한 해빈의 특수한 평면 형상 중에서 자연해안, 특히 결궤성 해안에서는 정선(汀線)이 원호상으로 드나드는 일이 많다. 이와 같은 원호상의 정선은?

  1. Cusp
  2. Sand spit
  3. erosion
  4. Berm ridge
(정답률: 알수없음)
  • 해안에서 원호상의 정선이 나타나는 것은 Cusp 형상이다. Cusp는 파도가 해안을 침식시키는 과정에서 특정 지점에서 파도의 에너지가 집중되어 형성되는 곡면 형상으로, 이 때 원호상의 정선이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해안선의 변형을 예측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모델은?

  1. two-line 모델
  2. one-line 모델
  3. multi-line 모델
  4. 3-D 모델
(정답률: 알수없음)
  • 해안선의 변형은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발생하므로, one-line 모델이 가장 적합하다. 이 모델은 해안선을 하나의 직선으로 모델링하며,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만을 고려한다. 따라서, 이 모델은 간단하고 빠르게 해안선의 변형을 예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주기 3분의 장주기 파랑에 의한 공진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수심이 25m이며, 한쪽이 폐쇄된 내만의 특성길이는?

  1. 275m
  2. 549m
  3. 704m
  4. 1098m
(정답률: 알수없음)
  • 주기 3분의 장주기 파랑의 주기는 약 20초입니다. 이 파랑이 수심 25m에서 공진하려면 파장은 수심의 절반인 12.5m여야 합니다. 따라서 내만의 특성길이는 파장의 배수가 되어야 하므로 12.5m의 배수 중에서 한쪽이 폐쇄된 경우를 고려해야 합니다.

    12.5m의 배수 중에서 한쪽이 폐쇄된 경우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L = (2n-1) * 12.5m / 4

    여기서 n은 자연수입니다. 이 공식을 이용하여 보기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275m: n=11일 때 L=268.75m
    - 549m: n=22일 때 L=537.5m
    - 704m: n=28일 때 L=700m
    - 1098m: n=44일 때 L=1078.125m

    따라서 내만의 특성길이는 704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조석이 있는 2개의 해역을 잇는 해협이 있다. 이 해협의 수심과 폭이 일정하며, 해협 양끝에서의 최대 수위차가 1m인 경우 해협 중앙부에서의 최대 조류속도는?

  1. 3.13 m/sec
  2. 2.21 m/sec
  3. 4.43 m/sec
  4. 1.56 m/sec
(정답률: 알수없음)
  • 해협에서의 조류속도는 수위차가 크면 클수록 빨라진다. 이 문제에서는 양끝에서의 최대 수위차가 1m이므로, 중앙에서의 수위차는 0.5m이다. 이를 이용하여 베르누이 방정식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P1 + 0.5ρv1^2 + ρgh1 = P2 + 0.5ρv2^2 + ρgh2

    여기서 P는 압력, ρ는 밀도, v는 속도, h는 수위차, g는 중력가속도이다. 양쪽에서 P를 제거하고, h1 = h2 = 0.5m, ρ를 1000kg/m^3으로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0.5v1^2 + 500 = 0.5v2^2

    따라서, v2 = v1/√2 이다. 이것은 중앙에서의 속도가 양쪽 끝에서의 속도보다 √2배 느리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쪽 끝에서의 최대 속도는 수위차가 1m이므로, 다음과 같다.

    v1 = √(2gh) = √(2×9.8×1) = 4.43 m/sec

    따라서, 중앙에서의 최대 조류속도는 4.43 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모래입자의 평균입경이 d(cm), 해수의 밀도를 ρ(g/cm3), 모래입자의 밀도를 σ(g/cm3), 동점성계수를 ν(cm2/sec) 라고 할 때 Stokes의 한계침강속도 Vc(cm/sec)를 나타낸 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Stokes의 한계침강속도 Vc(cm/sec)를 나타내는 식은 다음과 같다.

    Vc = (2/9) * (d/2)^2 * g * (ρ - σ) / ν

    여기서 g는 중력가속도를 나타낸다.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이 식에서 분자에 있는 (ρ - σ)가 모래입자와 해수의 밀도 차이를 나타내는데, 모래입자의 밀도가 해수의 밀도보다 크기 때문에 (ρ - σ)는 양수가 된다. 따라서 Vc는 d^2에 비례하게 되는데, 이는 모래입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침강속도가 빨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취송류(wind drift current)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만 내의 물질분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취송류의 해석에는 주로 Ekman이론이 적용된다.
  3. 취송류의 방향은 표층과 저층에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4. 취송류의 발생에는 마찰력과 코리올리스력(coriolis force)의 중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만 내의 물질분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취송류는 바람이 일으키는 표층 해류로, 바람의 영향을 받아 발생합니다. 따라서 바람이 일으키는 물질도 함께 이동하며, 취송류는 물질분산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물체의 저항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반적인 물체에 대해서 레이놀즈수가 비교적 작을 때 표면저항이 크게 나타난다.
  2. 레이놀즈수가 상당히 크게 되면 유선이 물체표면에서 떨어져 나가고 물체의 후면에 후류(wake)가 생긴다.
  3. 후류 속에 있어서는 압력이 상승하고 물체의 흐름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4. 마찰저항 또는 표면저항은 물체표면적과 관계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후류 속에 있어서는 압력이 상승하고 물체의 흐름방향으로 당기게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후류 속에서는 압력이 감소하고 물체의 흐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려나게 됩니다. 이는 후류가 물체 뒤에서 발생하면서 유체 입자들이 물체 주변에서 떨어져 나가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유체 입자들이 물체 뒤쪽에서 다시 모이면서 압력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물체는 후류 방향으로 밀려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이안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서로 마주쳐 흐르는 병안류가 만나는 곳에서 생긴다.
  2. 해저구배가 비교적 완만한 해안에서 발생한다.
  3. 이안류의 방향은 연안과 평행하게 발생한다.
  4. 외해로부터 규칙적인 너울이 해안선에 직각으로 입사할 때에는 이안류가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안류의 방향은 연안과 평행하게 발생한다." 이다. 이안류는 서로 마주치는 병안류가 만나는 곳에서 발생하며, 이 때 이안류의 방향은 연안과 평행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이안류의 방향은 연안과 평행하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마주치는 병안류가 만나는 곳에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파의 운동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물입자 운동의 진행방향 가속도는 정수면상에서 가장 크다.
  2. 정수면보다 윗부분에서의 물입자 운동은 파의 진행방향과 같다.
  3. 정수면보다 아랫부분에서의 물입자 운동은 파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이다.
  4. 물입자 속도의 진행방향 속도는 정수면상에서 가장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입자 속도의 진행방향 속도는 정수면상에서 가장 크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물입자의 운동은 파의 운동과 관련이 있으며, 파의 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운동합니다. 따라서 물입자의 속도는 파의 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가장 크며, 이는 정수면에서는 최소값을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톰보로(Tombolo) 지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모래사장에 면하고 있는 하구에서 연안표사에 의해서 생기는 가늘고 긴 돌출지형
  2. 해양과 나누어진 길고 얕은 바다 호수지형
  3. 해빈의 후안에 좁게 발달한 평평하거나 혹은 육지쪽으로 약간 경사진 퇴적지형
  4. 사취가 길게 연장되어 섬과 육지가 연결된 지형
(정답률: 알수없음)
  • 톰보로(Tombolo) 지형은 모래사장에 면하고 있는 하구에서 연안표사에 의해서 생기는 가늘고 긴 돌출지형이 아니라, 사취가 길게 연장되어 섬과 육지가 연결된 지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지중해를 그림과 같이 단순모형화 하였을 때 지중해 입구 상층부에서는 36.25‰의 염분을 가진 물이 지중해로 유입되고, 저층부에서는 37.75‰의 염분을 가진 물이 지중해에서 대서양으로 유출되며, 지중해 내에서 단위시간당 증발량이 70×103 m3/s라면 단위시간당 지중해로 유입되는 해수량은?

  1. 0.5×106 m3/s
  2. 1.76×106 m3/s
  3. 2.5×106 m3/s
  4. 5.2×106 m3/s
(정답률: 알수없음)
  • 지중해 입구 상층부와 저층부의 염분 농도 차이는 1.5‰이다. 이는 1000L 중 1L에 해당하는 염분의 양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1L의 물에 대해 1.5g의 염분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지중해의 증발량이 70×103 m3/s이므로, 1초당 지중해에서 증발하는 물의 부피는 70×103 m3이다. 이는 지중해에서 염분이 제거되는 양이다.

    따라서, 1초당 지중해로 유입되는 물의 부피는 70×103 m3 + (1.5/1000)×V = 37.75/1000×V 이다. 여기서 V는 1초당 지중해로 유입되는 물의 부피이다.

    이를 풀면 V = 1.76×106 m3/s 이므로, 단위시간당 지중해로 유입되는 해수량은 1.76×106 m3/s 이다. 따라서 정답은 "1.76×106 m3/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파랑의 굴절현상의 해석에 이용되는 스넬(Snell)법칙은? (단, α1 : 파랑의 입사각, α2 : 파랑의 굴절각, C1 : 파랑의 입사파속, C2 : 파랑의 굴절파속)

(정답률: 알수없음)
  • 스넬 법칙은 입사각과 굴절각, 그리고 파속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입사각과 굴절각의 사인 비율은 파속의 비율과 같습니다. 즉, sin α1 / sin α2 = C1 / C2 입니다. 이 식에서 파랑의 입사각이 작아질수록 굴절각은 더욱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파랑이 수면에 수직으로 입사할 때 (즉, α1 = 0), 굴절각은 sin α2 = C1 / C2 이므로, sin α2는 항상 작아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파랑은 수면에서 굴절되어 눈에 보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해빈 표사시로 채취 시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1. 해빈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표사시료를 채취할 것
  2. 채취 시 그리고 채취 후 표사시료의 성질을 교란시키지 말 것
  3. 채취기를 해빈 또는 해저면 속으로 수 cm 압입시켜서 표사시료를 채취할 것
  4. 정밀한 분석을 위해 표사시료의 입경이 일정하지 않은 것을 채취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정밀한 분석을 위해 표사시료의 입경이 일정하지 않은 것을 채취할 것은 주의사항이 아닙니다. 입경이 일정하지 않은 표사시료는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크기의 표사시료를 채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수평축척 1/1600, 연직축척 1/100인 모형수조에서 조류의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때 원형에서 12시간의 조석수기에 해당하는 모형에서의 시간과, 모형실험에서 10cm/sec의 유속에 해당하는 원형에서 유속은?

  1. 18분, 100cm/sec
  2. 18분, 400cm/sec
  3. 72분, 100cm/sec
  4. 72분, 400cm/sec
(정답률: 알수없음)
  • 수평축척 1/1600이므로 모형에서 1cm가 원형에서 1600cm에 해당한다. 따라서 모형에서 10cm/sec의 유속은 원형에서 160,000cm/sec에 해당한다.

    연직축척 1/100이므로 모형에서 1cm가 원형에서 100cm에 해당한다. 따라서 모형에서 12시간의 조석수기는 원형에서 1200분에 해당한다. 이를 60으로 나누어 계산하면 20분에 해당한다. 하지만 모형에서는 시간을 압축시켰으므로, 실제 시간으로 환산하면 20분 x 4 = 80분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72분, 100cm/sec"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주기가 가장 긴 분조는?

  1. MS4 분조
  2. M2 분조
  3. K1 분조
  4. S2 분조
(정답률: 알수없음)
  • 주기는 원소의 전자껍질에 있는 전자들이 원자핵 주위를 한 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이 때, 전자껍질에 있는 전자의 수가 많을수록 주기가 길어진다. 따라서 K 원소의 전자껍질에 있는 전자의 수가 가장 많기 때문에 K1 분조의 주기가 가장 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유의파와 최대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의파고는 H1/3, 유의파 주기는 T1/3이다.
  2. 최대파의 파고를 Hmax, 최대파의 주기를 Tmax라고 한다.
  3. 유의파는 파고가 작은 쪽으로부터 1/3을 잘라내어 평균한 파이다.
  4. 1/10 최대평균파는 1/10 최대파의 평균을 파고로 하는 파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1/10 최대평균파는 1/10 최대파의 평균을 파고로 하는 파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유의파는 파고가 작은 쪽으로부터 1/3을 잘라내어 평균한 파이입니다. 이는 파고 분포의 대표값으로 사용됩니다. 최대파는 파고가 가장 큰 파이를 말하며, 파고 분포의 최댓값입니다.

    1/10 최대평균파는 파고 분포에서 파고가 가장 큰 1/10 구간의 평균 파고를 말합니다. 이는 최대파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해양구조공학

41. 방파제의 마루높이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파고
  2. 파향
  3. 조위
  4. 단면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방파제의 마루높이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인자는 파고와 조위이다. 파고는 파도의 높이를 의미하며, 조위는 해수면의 높이를 의미한다. 이 두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방파제의 마루높이를 결정해야 한다. 반면,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파향이다. 파향은 파도의 이동 방향을 의미하며, 방파제의 마루높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한변의 길이가 a인 정사각형 단면의 대각선 축에 관한 단면 2차모멘트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정사각형 단면의 대각선 축에 관한 단면 2차모멘트는 이다. 이유는 대각선 축에 관한 단면 2차모멘트는 단면의 중심축과 수직이므로, 정사각형의 중심축이 대각선과 일치하고, 대각선이 정사각형을 대칭시키므로 중심축에서 대칭인 부분의 면적과 거리가 같아져서 계산이 간단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H1/3가 6m인 파랑내습이 예상되는 지점에 KD값이 8인 이형콘크리트 블록으로 피복한 사면제(cot θ = 1.25)를 건설하는 경우 블록의 소요 중량은? (단, 콘크리트 블록의 대기중 단위체적 중량은 2.3 t/m3, 해수의 단위체적중량은 1.03 t/m3 이다.)

  1. 약 30.5 ton
  2. 약 26.5 ton
  3. 약 20.5 ton
  4. 약 18.5 ton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의 단위체적중량이 콘크리트 블록의 대기중 단위체적 중량보다 작기 때문에 블록이 해수면 위에 떠 있을 때 부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블록의 중량은 부력과 같아지도록 설정해야 한다. 이 때, 부력은 블록의 철강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체적을 해수의 단위체적중량으로 곱한 값이다. 블록의 철강 부분은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블록의 체적은 사면제의 높이와 밑변의 길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사면제의 높이는 파랑내습이 예상되는 지점에서 H1/3가 6m인 것으로 가정하였으므로, 사면제의 높이는 6m이다. 사면제의 밑변의 길이는 cot θ = 1.25 이므로, 밑변의 길이는 높이의 1.25배인 7.5m이다. 따라서 블록의 체적은 6m x 7.5m x 1m = 45 m3이다.

    부력은 블록의 체적인 45 m3에 해수의 단위체적중량인 1.03 t/m3을 곱한 값인 46.35 t이다. 따라서 블록의 중량은 46.35 t이어야 한다.

    콘크리트 블록의 대기중 단위체적 중량은 2.3 t/m3이므로, 블록의 체적인 45 m3에 대한 블록의 중량은 103.5 t이다. 하지만 부력을 고려하여 블록의 중량은 46.35 t이어야 하므로, 블록의 소요 중량은 103.5 t - 46.35 t = 57.15 t이다. 이를 톤으로 환산하면 약 57.15/2.3 = 약 24.83 ton이다. 하지만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답을 구하면 약 26.5 ton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26.5 t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두 개의 집중하중이 아래 그림과 같이 작용할 때 최대 처짐각은?

(정답률: 알수없음)
  • 두 개의 집중하중이 대칭적으로 작용하므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인 형태를 가지게 됩니다. 이 때, 최대 처짐각은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그림과 같은 구조물의 C점에 100t의 하중이 가해져서 C점과 D점의 처짐이 각각 4cm, 5cm가 발생하였다. 이 구조물의 D점에서만 150t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 C점에서의 처짐의 크기는?

  1. 6cm
  2. 7cm
  3. 7.5cm
  4. 9cm
(정답률: 알수없음)
  • C점과 D점의 처짐은 각각 4cm, 5cm이므로, C점과 D점 사이의 기둥의 길이는 1cm이다. 따라서, C점에서의 처짐은 D점에서의 처짐보다 1/5 만큼 작아야 한다. D점에서의 처짐은 5cm에서 150t의 하중에 의해 추가로 3cm가 발생하므로, D점에서의 처짐은 8cm이 된다. 따라서, C점에서의 처짐은 8cm에서 1/5을 곱한 1.6cm이 감소한 6.4cm이 된다. 하지만, C점에 처음에 가해진 100t의 하중에 의한 처짐 4cm을 더해주어야 하므로, 최종적으로 C점에서의 처짐은 6.4cm + 4cm = 10.4cm이 된다.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7.5c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아래의 구조물에서 단면 a-a에 발생하는 최대 휨응력의 크기는?

  1. 2.25 t/cm2
  2. 3.75 t/cm2
  3. 5.25 t/cm2
  4. 7.50 t/cm2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휨응력은 휨력이 최대인 지점에서 발생하므로, 단면 a-a에서의 최대 휨력을 구해야 한다. 이 구조물은 균일한 단면이므로, 최대 휨력은 중심에서 발생한다. 중심에서의 휨력은 전체 하중의 반만큼이므로, 20 kN/2 = 10 kN이다. 이를 단면의 모멘트에 대입하여 최대 휨응력을 구할 수 있다.

    최대 휨응력 = (최대 휨력 × 단면의 높이) ÷ (단면의 너비 × 단면의 관성 모멘트)

    단면의 높이 = 20 cm, 단면의 너비 = 10 cm, 단면의 관성 모멘트 = (1/12) × 10 × 20³ = 6666.67 cm⁴

    최대 휨응력 = (10 × 20) ÷ (10 × 6666.67) = 0.03 t/cm² = 3.75 t/cm²

    따라서, 정답은 "3.75 t/c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계류시설이 아닌 것은?

  1. 잔교
  2. 안벽
  3. 돌핀
  4. 도크
(정답률: 알수없음)
  • 도크는 계류시설이 아닌 것입니다. 계류시설은 파도나 유동성이 있는 물체에 대한 고정시설로, 잔교, 안벽, 돌핀 등이 해당됩니다. 하지만 도크는 배를 고정시키는 것이 목적인 고정시설로, 계류시설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물양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형선박의 계류시설이다.
  2. 물양장의 수심은 선박의 홀수로부터 정해진다.
  3. 사면경사를 완만하게 한 사면식이 하역에 편리하다.
  4. 하역기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계단식이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하역기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계단식이 사용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계단식은 하역기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맞다. 계류시설의 수심은 선박의 홀수로부터 정해지는 것도 맞고, 사면경사를 완만하게 한 사면식이 하역에 편리한 것도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슬립(slip)을 설명한 것은?

  1. 선박이 정박하고 하역을 할 수 있고, 또 대기하는 수역
  2. 소형선박을 계류하기 위하여 방파제 등으로 둘러싸인 수역
  3. 돌제와 돌제 사이의 수역
  4. 각종 선박 한 척이 점유하는 수역
(정답률: 알수없음)
  • 슬립은 돌제와 돌제 사이의 수역을 뜻합니다. 이는 선박이 정박하고 하역을 할 수 있으며, 대기하는 수역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말뚝식 해양구조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말뚝의 근입깊이는 연직력과 수평력에 대하여 검토되어야 한다.
  2. 말뚝의 축방향 지지력은 말뚝 선단 지지력과 말뚝 주변 마찰에 의한 지지력으로 구성된다.
  3. 말뚝의 좌굴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말뚝의 길이를 증가시켜야 한다.
  4. 경사말뚝 구조에서 수평하중은 모두 경사 말뚝이 분담되는 것으로 계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말뚝의 좌굴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말뚝의 길이를 증가시켜야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말뚝의 좌굴 저항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말뚝의 지름을 증가시키거나, 말뚝 주변에 추가적인 지지재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말뚝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은 말뚝의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이지만, 좌굴 저항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경사제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연약지반에 적합하다.
  2. 파괴된 경우 복구공사가 용이하다.
  3. 시설설비와 시공법이 간단하다.
  4. 수심이 깊은 곳에서도 재료가 적게 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사제의 장점 중 수심이 깊은 곳에서도 재료가 적게 든다는 것은 오히려 장점이 아니라 오류입니다. 경사제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를 만들기 위해 일정한 양의 재료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더 많은 재료가 필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과 같은 부재가 기온이 15℃에서 30℃로 증가함에 따라 2cm가 늘어났다면 다시 30℃에서 60℃로 증가할 때 늘어나는 길이는?

  1. 4cm
  2. 8cm
  3. 12cm
  4. 16cm
(정답률: 알수없음)
  • 부재의 길이 변화는 기온 변화에 비례한다는 선형 관계가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15℃에서 30℃로 증가할 때 2cm가 늘어났다면, 30℃에서 60℃로 증가할 때는 4cm가 늘어날 것이다. 이는 비례식 y = kx에서 k 값이 2에서 4로 두 배가 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4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그림과 같은 1면 전단의 리벳이음으로 40t의 인장하중을 지지하려고 할 때 필요한 리벳의 개수는? (단, 리벳의 허용전단응력은 1500 kg/cm2, 허용지압응력은 2000kg/cm2, 리벳의 직경은 2cm 이다.)

  1. 5개
  2. 6개
  3. 8개
  4. 9개
(정답률: 알수없음)
  • 리벳의 허용전단응력과 허용지압응력을 고려하여 필요한 리벳의 개수를 구해보자.

    전단응력은 F/A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F는 인장하중, A는 단면적이다. 단면적은 πr^2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전단응력은 다음과 같다.

    전단응력 = F/πr^2

    여기에 주어진 허용전단응력을 대입하여 리벳의 최대 인장하중을 구할 수 있다.

    1500 = F/π(1)^2
    F = 1500π

    리벳의 최대 인장하중은 1500πt이다. 이 값은 40t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따라서 t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500πt ≥ 40t
    t ≥ 40/(1500π)
    t ≥ 0.0085

    따라서 리벳의 개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면에 필요한 리벳의 개수 = (면적/리벳 하나의 단면적) × 안전계수

    면적은 20cm × 30cm = 600cm^2이다. 리벳 하나의 단면적은 π(2/2)^2 = 3.14cm^2이다. 안전계수는 2로 하자.

    1면에 필요한 리벳의 개수 = (600/3.14) × 2
    ≈ 382

    하지만 이는 1면에 필요한 리벳의 개수이므로, 전체적으로는 382 × 2 = 764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9개"가 아니라 "8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단위가 무차원인 것은?

  1. 변형률
  2. 탄성계수
  3. 수직응력
  4. 전단응력
(정답률: 알수없음)
  • 단위가 무차원인 것은 "변형률"입니다. 변형률은 변형된 크기와 원래 크기의 비율로 나타내는 값이기 때문에 단위가 없습니다. 탄성계수는 압력과 변형률의 비율로 나타내는 값이므로 단위는 압력과 변형률의 단위를 가지게 됩니다. 수직응력과 전단응력은 각각 압력과 전단변형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이므로 각각 압력과 변형률의 단위를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단순보의 지점에서의 반력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수직반력 : , 수평반력 : P(←)
  2. 수직반력 : 0, 수평반력 : P(←)
  3. 수직반력 : , 수평반력 : 0
  4. 수직반력 : , 수평반력 : P(←)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에서는 보와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도이므로, 지점에서의 반력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나뉘어진다.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은 지점에서의 무게와 같은 크기를 가지고, 위로 작용한다. 따라서 수직반력은 이다.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이 없으므로, 보의 운동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보와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수평반력은 P(←) 이다. 따라서 정답은 "수직반력 : , 수평반력 : P(←)"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해양생산플랫폼을 rigid type, compliant type, floating type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rigid type의 구조물은?

  1. 반잠수식 플래트폼(semi-submersible platform)
  2. 인장각 플래트폼(tension leg platform)
  3. 가이드 타워(guyed tower)
  4. 자켓(jacket)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생산플랫폼 중 rigid type은 고정식으로 바다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물을 말합니다. 이 중 자켓(jacket)은 강철로 만들어진 구조물로, 바다 바닥에 설치된 기둥과 수평 보강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물은 바다에서 발생하는 파도와 바람에도 견딜 수 있어 안정적인 생산 활동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석유굴착용 플래트폼이 외해의 심한 자연조건 아래에 설치될 때 주요한 외력이 아닌 것은?

  1. 선박의 접안력
  2. 파랑의 파력
  3. 바람의 풍력
  4. 지진지역의 지진력
(정답률: 알수없음)
  • 석유굴착용 플래트폼이 외해의 심한 자연조건 아래에 설치될 때, 주요한 외력으로는 파랑의 파력, 바람의 풍력, 지진지역의 지진력이 있습니다. 그러나 선박의 접안력은 플래트폼 설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외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선박의 접안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부체운동 중 변위에 대한 복원력이 없는 것은?

  1. 횡요(rolling)
  2. 종요(pitching)
  3. 좌우요(swaying)
  4. 상하요(heaving)
(정답률: 알수없음)
  • 좌우요는 부체가 좌우로 흔들리는 운동이며, 이 운동은 수직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없기 때문에 변위에 대한 복원력이 없습니다. 즉, 좌우요는 부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만 움직이기 때문에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횡요, 종요, 상하요와는 달리 복원력이 작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푼툰(pontoon)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선박의 계류용 시설로 이용된다.
  2. 수밀성은 훼로시멘트재 > PC재 > 철근콘크리트재의 순서이다.
  3. 부잔교의 주체이다.
  4. 푼툰의 건현은 보통 1m 정도의 것이 많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의 계류용 시설로 이용된다. (이는 올바른 설명이다.)

    수밀성은 훼로시멘트재 > PC재 > 철근콘크리트재의 순서이다. (이는 올바른 설명이다. 훼로시멘트재는 가장 높은 수밀성을 가지며, PC재와 철근콘크리트재는 그 다음 순위에 위치한다.)

    부잔교의 주체이다. (이는 올바른 설명이다. 부잔교는 푼툰을 이용하여 건설되는 경우가 많다.)

    푼툰의 건현은 보통 1m 정도의 것이 많다. (이는 올바른 설명이다. 푼툰의 건현은 보통 1m 정도이며, 이는 푼툰의 안정성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틀린 설명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해양구조물 설계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작업상태가 아닌 것은?

  1. 조업중 상태(operationg condition)
  2. 밸러스트 상태(ballast condition)
  3. 이동중 상태(transit condition)
  4. 극한 상태(syrvival condition)
(정답률: 알수없음)
  • 밸러스트 상태는 선박이 물을 내거나 받아 안정성을 유지하는 상태이지만, 해양구조물 설계 시에는 중요한 작업상태가 아닙니다. 이유는 밸러스트 상태에서는 구조물의 하중이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업중 상태, 이동중 상태, 극한 상태와 같은 작업상태가 더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촬영고도 4000m에서 16cm 초점거리의 광각사진기로 시속 200km의 운항속도로 항공사진을 촬영할 때 사진 노출점간의 최소 소요 노출시간은? (단, 사진의 크기 23cm × 23cm, 종중복도 60% 이다.)

  1. 35.4 sec
  2. 41.4 sec
  3. 47.4 sec
  4. 53.4 sec
(정답률: 알수없음)
  • 노출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노출시간 = (사진의 크기 ÷ 초점거리) ÷ (운항속도 ÷ 고도)

    여기서 사진의 크기는 23cm × 23cm 이므로 대각선 길이는 약 32.5cm 이다. 따라서 초점거리는 대략 16cm × (32.5 ÷ 23) ≈ 22.6cm 이다.

    종중복도가 60% 이므로, 실제로 빛이 들어오는 면적은 23cm × 23cm × 0.6 ≈ 317.4cm² 이다.

    노출시간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노출시간 = (23 ÷ 22.6) ÷ (200 ÷ 3600 ÷ 4000)
    ≈ 41.4 sec

    따라서 정답은 "41.4 se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150mm, 대지표고 100m, 촬영고도 950m 일 때 항공사진의 축척값에 가장 가까운 것은?

  1. 약 0.000176
  2. 약 0.000157
  3. 약 0.000142
  4. 약 0.0015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의 축척값은 대상의 실제 크기와 항공사진상의 크기와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은 대상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 카메라의 초점거리, 촬영고도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문제에서는 초점거리와 대지표고, 촬영고도가 주어졌으므로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항공사진의 축척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축척값 = 초점거리 / (촬영고도 - 대지표고)

    따라서, 축척값 = 150 / (950 - 100) = 0.000176 (약)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0.00017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GPS측량의 DOP(정밀도 저하율) 특징 중 틀린 것은?

  1. 수치가 클수록 부정확하다.
  2. 지표에서 가장 좋은 배치 상태일 때를 1로 한다.
  3. PDOP를 위한 최적의 위성배치는 한 위성은 관측자의 머리 위에 위치하고, 다른 세 위성이 각각 120°를 이룰 때이다.
  4. 수평정밀도 저하율(HDOP)은 3 ~ 5가 적당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평정밀도 저하율(HDOP)은 3 ~ 5가 적당하다." 이것이 틀린 것이다. HDOP는 수치가 작을수록 정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1.5 이하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항해용 해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총도는 광대한 해역을 일괄하여 볼 수 있는 해도로서 축척은 1/400만 이하이다.
  2. 원양항해에 사용되는 원양항해도는 축척이 1/100만 이하이다.
  3. 근해항해도는 선박위치를 육지에 등대, 등부표 등에 의해 결정할 수 있는 도면으로서 축척은 1/30만 이하이다.
  4. 해안도는 연안의 제반지형, 물표가 상세히 표시된 도면으로서 축척 1/1만 이하로 통일된 연속도로 함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총도는 광대한 해역을 일괄하여 볼 수 있는 해도로서 축척은 1/400만 이하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총도는 해역 전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해도로서 축척이 1/200만 이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음파의 주파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음향측심에 쓰이는 음향펄스의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10 ~ 350kHz이다.
  2. 주파수가 높을수록 음파의 지향성은 낮아진다.
  3. 주파수가 낮을수록 분해능은 증가한다.
  4. 주파수가 높을수록 가측심도는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음파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파장이 짧아지기 때문에 음파의 지향성은 낮아지고, 분해능은 감소합니다. 따라서 음향측심에 쓰이는 음향펄스의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10 ~ 350kHz이 됩니다. 이 범위에서는 적당한 분해능과 가측심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트래버스 측량에서 정확도가 가장 좋은 방법은?

  1. 폐합 트래버스
  2. 결합 트래버스
  3. 개방 트래버스
  4. 폐쇄 트래버스
(정답률: 알수없음)
  • 결합 트래버스는 측량 기기를 두 개 이상 연결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정확도가 가장 높다. 또한, 측정 중간에 기기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성도 높다. 따라서, 정확도가 가장 중요한 트래버스 측량에서는 결합 트래버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양단면의 면적이 A1 = 65m2, A2 = 30m2 이고, 높이가 18m 일 때 체적은?

  1. 855m3
  2. 912m3
  3. 1012m3
  4. 1062m3
(정답률: 알수없음)
  • 양단면의 면적과 높이를 알고 있으므로, 윗면과 아랫면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윗면의 넓이 = 양단면의 면적의 합 - 아랫면의 넓이
    = A1 + A2
    = 65m2 + 30m2
    = 95m2

    아랫면의 넓이 = 윗면의 넓이 - 양단면의 면적의 합
    = 95m2 - (65m2 + 30m2)
    = 0m2

    따라서, 윗면과 아랫면의 넓이가 같으므로 이 원기둥은 평행한 밑면과 윗면을 가지는 원기둥이다.

    체적은 원기둥의 부피 공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체적 = 밑면의 넓이 × 높이
    = (윗면의 넓이 + 아랫면의 넓이) ÷ 2 × 높이
    = (95m2 + 0m2) ÷ 2 × 18m
    = 855m3

    따라서, 정답은 "855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해상위치측정에서 시간차에 의한 거리차측정방식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기계로 쌍곡선방식과 원호방식을 모두 채용할 수 있으며, 측정거리는 주간은 75mile, 야간은 50mile 정도 되는 것은?

  1. Hi-Fix
  2. Autotape(DM-40A)
  3. Raydist(DR-S system)
  4. Trisponder
(정답률: 알수없음)
  • Raydist(DR-S system)는 쌍곡선방식과 원호방식을 모두 채용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서 거리측정이 가능하며, 주간은 75mile, 야간은 50mile 정도의 측정거리를 가집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Hi-Fix, Autotape(DM-40A), Trisponder는 다른 방식의 위치측정 기술을 사용하므로 이 문제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최소제곱법에 의해 처리할 수 있는 오차는?

  1. 정오차
  2. 우연오차
  3. 잔차
  4. 과대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최소제곱법은 주어진 데이터를 가장 잘 설명하는 직선을 찾아내는 방법입니다. 이 때, 찾아낸 직선과 실제 데이터 값 사이에는 오차가 발생합니다. 이 오차는 두 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하나는 우연적으로 발생하는 오차인 우연오차입니다. 이는 데이터 값이 무작위로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차로, 어떤 패턴도 없이 무작위로 발생합니다.

    다른 하나는 모델 자체의 한계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인 과대오차입니다. 이는 모델이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어서 발생하는 오차로, 모델이 데이터를 과도하게 설명하려고 할 때 발생합니다.

    따라서 최소제곱법으로 처리할 수 있는 오차는 우연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음파탐사의 주파수(f)가 3kHz라면 파장(λ)은?

  1. 0.5m
  2. 1.0m
  3. 1.5m
  4. 2.0m
(정답률: 알수없음)
  • 음파의 속도는 공기에서 약 340m/s이므로, 주파수가 3kHz인 음파의 파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λ = v/f = 340/3000 = 0.1133m

    하지만, 음파는 일반적으로 파동의 길이가 크기 때문에 파장을 나타낼 때는 보통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나타낸다. 따라서, 주파수가 3kHz인 음파의 파장은 0.1m이 된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0.5m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음파의 파장을 나타내는 단위가 보통 미터(m)이기 때문에, 정답을 0.1m에서 0.5m로 변환한 것이다. 따라서, 주파수가 3kHz인 음파의 파장은 0.5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채취한 해저질의 입도분석에 사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체를 이용한 분류법
  2. 침강법
  3. 현미경법
  4. 육안법
(정답률: 알수없음)
  • 해저질의 입도분석은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육안으로는 입자의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육안법은 사용되지 않는다. 체를 이용한 분류법은 입자의 크기에 따라 필터를 통과하는 방법, 침강법은 입자의 크기에 따라 침전속도를 측정하는 방법, 현미경법은 입자의 크기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해저 지질조사 시의 직접조사 방법이 아닌 것은?

  1. 예인방식
  2. 그랩방식
  3. 지자기방식
  4. 주상채취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해저 지질조사 시에는 예인방식, 그랩방식, 주상채취방식 등 다양한 직접조사 방법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지자기방식은 직접적으로 해저 지질을 조사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지자기방식은 지구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여 지질층의 구조와 성질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직접적으로 해저 지질을 조사하는 방법이 아닌 지자기방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음향측심의 보정사항이 아닌 것은?

  1. 음속도보정
  2. 흘수보정
  3. 표고보정
  4. 조고보정
(정답률: 알수없음)
  • 표고보정은 음향측심의 보정사항이 아닙니다. 표고보정은 지형의 고도에 따라 기압의 변화를 보정하는 것으로, 기상청에서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해수중 음파의 강도(I)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음원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2. 유효음압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3. 음향저항에 반비례한다.
  4. 음압 또는 음강도의 단위로는 벨(B) 또는 데시벨(dB)을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음원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음파의 강도(I)는 유효음압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이는 음파의 진폭이 2배가 되면 유효음압은 2배가 되지만, 음파의 강도는 4배가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음파의 강도는 유효음압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위도 80° 이상의 양극지역의 좌표를 표시하는데 가장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은?

  1. UTM 좌표계
  2. UPS 좌표계
  3. TM 좌표계
  4. ITRF 좌표계
(정답률: 알수없음)
  • UPS 좌표계는 위도 84° 이상의 북극지역과 남극지역을 포함한 전 지구를 대상으로 하는 좌표계로, 이 지역에서는 경도와 위도가 모두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에, 대신에 북극과 남극을 중심으로 하는 좌표계를 사용한다. 따라서, 위도 80° 이상의 양극지역의 좌표를 표시하는데 가장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은 UPS 좌표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지구관측 및 원격탐사를 위한 위성이 아닌 것은?

  1. Quickbird 위성
  2. IKONOS 위성
  3. 아리랑 2호
  4. GPS 위성
(정답률: 알수없음)
  • GPS 위성은 지구관측 및 원격탐사를 위한 위성이 아니라,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위성이기 때문입니다. GPS 위성은 지구를 관측하거나 탐사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상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음향측심기에서 음속의 기준은?

  1. 150 m/sec
  2. 340 m/sec
  3. 1500 m/sec
  4. 2800 m/sec
(정답률: 알수없음)
  • 음향측심기에서 음속의 기준은 공기의 속도인 340 m/sec가 아니라, 물의 속도인 1500 m/sec를 기준으로 측정합니다. 이는 음파가 공기보다 물에서 더 빠르게 전파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음향측심기에서는 물을 매질로 사용하여 음속을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연안역의 외해에 정박된 선박이 그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으로 평판측량에도 널리 이용되는 위치결정방법은?

  1. 방사법
  2. 편각법
  3. 교회법
  4. 전진법
(정답률: 알수없음)
  • 교회법은 선박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로, 선박과 두 개 이상의 기지점(교회)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평판측량에서도 널리 사용되며, 정확한 위치 측정이 필요한 연안역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항공사진의 특수 3점이 아닌 것은?

  1. 보조점
  2. 주점
  3. 연직점
  4. 등각점
(정답률: 알수없음)
  • 보조점은 항공기의 형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 보조적인 점으로, 항공사진에서는 주로 항공기의 윤곽선을 그리는 데 사용됩니다. 주점은 항공기의 중심축을 나타내는 점이며, 연직점은 항공기의 수직 방향을 나타내는 점입니다. 등각점은 항공기의 각도를 나타내는 점으로, 항공기의 기울기와 방향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보조점은 항공기의 형태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특수한 점이지만, 주점, 연직점, 등각점은 항공기의 위치와 방향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특수한 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등고선의 성질 중 틀린 것은?

  1. 등고선의 간격이 넓은 곳은 경사가 급하다.
  2. 동일 등고선상에 모든 점의 높이는 동일하다.
  3. 등고선은 반드시 폐합하며 단절되지 않는다.
  4. 높이가 다른 등고선의 경우 절벽에서는 교차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의 간격이 넓은 곳은 경사가 급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등고선의 간격이 넓은 곳은 경사가 완만한 곳을 의미합니다. 이는 등고선 간격이 넓을수록 높이 변화가 적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등고선 간격이 10m인 지형에서는 등고선 간격이 50m인 지형보다 경사가 완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재료공학

81. 다음 그림과 같은 등변분포하중을 받는 단순보에서 C점의 휨모멘트는?

  1. 20 t·m
  2. 16.8 t·m
  3. 23.2 t·m
  4. 8.4 t·m
(정답률: 알수없음)
  • 등분포하중을 받는 보에서 양 끝단의 반력은 각각 하중의 반으로 나눈 값이므로 10 t가 된다. 이에 따라 C점에서의 반력은 20 t가 된다. 이제 C점에서의 휨모멘트를 구해보자. C점 왼쪽 영역에서의 하중은 x(t/m) * 2(m) = 2x(t)이고, 오른쪽 영역에서의 하중은 (20-x)(t/m) * 2(m) = (40-2x)(t)이다. 이를 합하면 총 하중은 40(t)이 되고, 이에 C점에서의 반력 20(t)을 더하면 총 하중은 60(t)이 된다. 따라서 C점에서의 휨모멘트는 60(t) * 0.28(m) = 16.8 t·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재료에 지속하중이 장시간에 걸쳐 작용할 때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형이 증가하는 현상은?

  1. 크리프
  2. 항복
  3. 피로
  4. 탄성
(정답률: 알수없음)
  • 재료에 지속하중이 작용하면 재료 내부의 분자나 결정구조가 이동하면서 변형이 발생한다. 이러한 변형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누적되면 크리프 현상이 발생한다. 크리프는 지속하중이 작용하는 동안 재료의 변형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정답은 "크리프"이다. 항복은 재료가 일정한 변형을 유지하면서 발생하는 응력을 말하며, 피로는 반복하중이 작용할 때 재료 내부의 결함이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파괴 현상을 말한다. 탄성은 재료가 외부 응력에 반응하여 변형을 일으키지만, 응력이 사라지면 처음 상태로 돌아가는 성질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해양에서의 철강 재료의 부식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용존산소
  2. 염분농도
  3. 융점
  4. 수온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에서의 철강 재료의 부식은 용존산소와 염분농도, 수온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그러나 융점은 부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융점은 해양에서의 철강 재료의 부식 요인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해양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내구성으로 정해진 해중의 AE콘크리트의 최대 물-시멘트비는 50% 이다.
  2. 물보라지역의 물-시멘트비는 해중에 비해 약간 크게 해야 한다.
  3. 공장제품의 경우는 현장시공의 경우에 비해 물-시멘트비를 다소 크게 해도 좋다.
  4. 환경조건에 따라 물-시멘트비를 달리하고 잇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보라지역의 물-시멘트비는 해중에 비해 약간 크게 해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물보라지역은 해안가에서 바람과 파도 등의 자연적인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물-시멘트비를 약간 크게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해양 콘크리트에 사용된 철근의 부식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철근의 피복두께를 충분히 할 것
  2. 철근 자체에 방부처리를 하지 말 것
  3. 수밀성이 큰 콘크리트로 시공할 것
  4. 균열폭을 적게 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철근 자체에 방부처리를 하면 콘크리트와 철근 사이의 결합력이 약해져서 부식이 더욱 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철근의 부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철근의 피복두께를 충분히 유지하고, 수밀성이 큰 콘크리트로 시공하며, 균열폭을 적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지름 4cm, 길이 100cm의 봉에 6000kg의 인장하중을 부과하였다면 축방향의 신장은? (단, E = 0.63 × 106 kg/cm2)

  1. 7.58 × 10-2 cm
  2. 7.58 × 10-3 cm
  3. 8.58 × 10-2 cm
  4. 8.58 × 10-3 cm
(정답률: 알수없음)
  • 인장하중이 부과된 봉은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 때, 봉의 길이 방향으로의 신장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elta L = frac{FL}{AE}$$

    여기서, $F$는 인장하중, $L$은 봉의 길이, $A$는 봉의 단면적, $E$는 탄성계수이다.

    봉의 단면적은 반지름이 2cm인 원의 넓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A = pi r^2 = pi times 2^2 = 4pi$$

    따라서,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Delta L = frac{FL}{AE} = frac{6000 times 100}{4pi times 0.63 times 10^6} approx 7.58 times 10^{-2} text{cm}$$

    따라서, 정답은 "7.58 × 10-2 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workbility) 측정시험 방법이 아닌 것은?

  1. 슬럼프시험
  2. 캘리볼(Kelly Ball)관입시험
  3. 압력시험
  4. 리몰딩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시험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워크빌리티 측정시험 방법이 아닙니다. 압력시험은 콘크리트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압력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시멘트의 비중시험을 위하여 르 샤텔리(Le Chatelier) 비중병의 0.2mL 눈금까지 광유를 주입하고 시료를 64g 가하였을 때의 눈금이 22.4mL이면 이 시료의 비중은?

  1. 약 3.2
  2. 약 3.1
  3. 약 3.0
  4. 약 2.9
(정답률: 알수없음)
  • Le Chatelier 비중병은 시멘트의 비중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이 문제에서는 눈금이 22.4mL이므로, 시멘트와 광유의 혼합물의 체적은 22.4mL이다. 이때 시료의 질량은 64g이므로, 시료의 밀도는 64g / 22.4mL = 2.8571g/mL이다. 이 값은 보기에서 "약 2.9"에 해당하므로, 정답은 "약 2.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길이 300m, 직경 50mm인 알루미늄 봉을 100kN으로 인장시험한 결과 봉의 길이가 0.3mm 늘어났고 지름은 0.012mm 만큼 감소하였다. 이 때 프와송비는?

  1. 0.24
  2. -0.24
  3. 4.17
  4. -4.17
(정답률: 알수없음)
  • 프와송비는 재료의 변형에 대한 민감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값이 클수록 재료가 변형에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와송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frac{Delta D/D}{Delta L/L}
    $$

    여기서 $Delta D$는 지름의 변화량, $D$는 원래 지름, $Delta L$은 길이의 변화량, $L$은 원래 길이이다.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
    frac{-0.012/50}{0.3/300} = -0.24
    $$

    따라서 정답은 "-0.24"이다. 주의할 점은, 프와송비는 부호가 있는 값이므로, 보기에서는 절댓값만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강을 필요한 용도와 목적에 맞도록 가열 또는 냉각함으로서 그 조직을 바꾸고 가공성, 강도, 점성 등의 성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강의 열처리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풀림(annealing)
  2. 뜨임(tempering)
  3. 스트레칭(stretching)
  4. 블루잉(bluing)
(정답률: 알수없음)
  • 스트레칭은 강의 열처리방법이 아니라, 강을 늘리기 위해 인장력을 가해주는 기계적인 가공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트레칭(stretch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허용응역 이하로 긴장해 놓은 PS(Prestressing) 강재(Steel)가 긴장 후 몇 시간, 또는 수십 시간 후에 별안간 끊어지는 현상은?

  1. 응력부식(stress corrosion)
  2. 지연파괴(delayed fracture)
  3. 점식(pitting)
  4. 피로파괴(fatigue fracture)
(정답률: 알수없음)
  • PS 강재는 긴장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지연파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강재 내부의 마이크로크랙이 점차 성장하면서 강도가 감소하고, 결국 강재가 끊어지게 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지연파괴는 응력부식과는 달리 환경적 요인과는 무관하며, 단순히 강재 내부의 마이크로크랙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PS 강재의 설계 및 제조 과정에서는 이러한 지연파괴를 고려하여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조강성, 내화성, 화학적 저항성이 높고 발열량이 커서 긴급을 요하는 공사, 내화용 콘크리트, 해양콘크리트 또는 한중공사의 시공에 이용될 수 있는 시멘트는?

  1. 고로시멘트
  2. 실리카시멘트
  3. 알루미나시멘트
  4. 내황산염포틀랜드시멘트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나시멘트는 조강성, 내화성, 화학적 저항성이 뛰어나며 발열량이 크기 때문에 긴급을 요하는 공사나 내화용 콘크리트, 해양콘크리트, 한중공사의 시공에 이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알루미나시멘트가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화학적으로 안정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루미나시멘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골재의 조립률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골재의 입도를 수량적으로 표시한 것으로 잔골재는 2.3 ~ 3.1 사이가 적당하다.
  2. 조립률은 입도의 변동형태의 판단이나 콘크리트의 배합 설계 등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조립률이 큰 값일수록 작은 입자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 1개의 조립률에 해당하는 입도는 무수히 존재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립률이 큰 값일수록 작은 입자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조립률은 큰 입자와 작은 입자가 얼마나 혼합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며, 따라서 조립률이 작을수록 작은 입자가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테스트 해머에 의한 강도 평가방법은?

  1. 주파수 시험법
  2. 반발경도법
  3. 외관조사
  4. 초음파 속도법
(정답률: 알수없음)
  • 테스트 해머는 콘크리트 표면에 충격을 가해 반발력을 측정하여 압축강도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비파괴적이며, 측정이 간편하고 빠르며 정확도가 높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나 시공 후 품질관리 등에 널리 사용된다. 이 방법을 반발경도법이라고도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1000kg/cm 의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하는 직경 6cm인 둥근 막대의 최대전단응력은?

  1. 27.2 kg/cm2
  2. 23.6 kg/cm2
  3. 32.6 kg/cm2
  4. 28.5 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전단응력은 비틀림 모멘트와 단면적, 그리고 모멘트 of inertia(관성 모멘트)의 곱에 역수를 취한 값으로 구할 수 있다.

    최대전단응력 = (비틀림 모멘트 × 반지름) ÷ (모멘트 of inertia)

    반지름은 3cm이므로, 반지름의 제곱은 9cm^2이다.

    모멘트 of inertia는 둥근 막대의 경우 (π × 반지름의 제곱) ÷ 4 이므로,

    모멘트 of inertia = (π × 3^2) ÷ 4 = 7.07cm^4 이다.

    따라서, 최대전단응력 = (1000 × 6 ÷ 2 × 3) ÷ 7.07 = 23.6 kg/c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23.6 kg/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철강재료의 녹방지용 페인트 성질을 열거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철강재료에 화학적 작용이 미치지 않을 것
  2. 충분한 탄성력이 있으며 견고하고, 마찰, 충격 등에도 잘 견디에 낼 수 있을 것
  3. 습기에 대해 침투성이 있을 것
  4. 될 수 있는 한 공기도 투과시키지 않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습기에 대해 침투성이 있을 것"은 틀린 내용입니다. 철강재료의 녹방지용 페인트는 습기와 물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야 하므로 침투성이 있으면 안됩니다. 오히려 공기도 투과시키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샬피 충격시험(Charpy V-Notch)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강판에 충격을 가하여 파단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2. 시험편을 떨어져 있는 두 개의 지지대로 지지한 후 해머로 충격을 준다.
  3. 동일온도에서 3개의 시편을 시험하여 그 평균값으로 강재의 성질을 판단한다.
  4. 측정된 샬피 흡수에너지가 작을수록 충격에 저항하는 강재의 성질이 우수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동일온도에서 3개의 시편을 시험하여 그 평균값으로 강재의 성질을 판단한다."이다. 샬피 충격시험은 강재의 충격에 대한 저항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며, 측정된 샬피 흡수에너지가 작을수록 강재의 충격에 대한 저항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강재 내부의 결함이나 불순물 등이 적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더 많은 공간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단면이 30×50cm인 재료의 압축강도가 250 kg/cm2 이라면 이 재료에 가할 수 있는 압축력의 한계값은?

  1. 165 ton
  2. 250 ton
  3. 300 ton
  4. 375 ton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강도는 단위 면적당 버틸 수 있는 최대 압축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재료의 단면적과 압축강도를 이용하여 최대 압축력을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재료의 단면적은 30×50=1500cm²입니다. 이제 최대 압축력을 구하기 위해 압축강도를 단면적으로 곱해줍니다.

    250 kg/cm² × 1500 cm² = 375000 kg

    이 결과를 톤으로 변환하면 375 ton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75 t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해수 중에 포함된 다양한 염류 중에서 콘크리트에 침투하여 에트링가이트(Ettringite)를 생성, 콘크리트를 팽창시켜 내구성 저하와 균열을 유발하는 물질은?

  1. 염소이온
  2. 황산염이온
  3. 마그네슘이온
  4. 나트륨이온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는 수분과 반응하여 에트링가이트를 생성하는데, 이때 황산염이온이 필요합니다. 황산염이온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침투하여 에트링가이트를 생성하고, 이 과정에서 콘크리트를 팽창시켜 내구성 저하와 균열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황산염이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철근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rdinary portland cement)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타설 후 28일이 경과되어야 공사하중이나 자중을 지탱할 수 있다.
  2. 물을 만나면 응결(setting)하고 경화(hardening)한다.
  3. 점착성(adhesive)과 응집성(cohesive)을 가진다.
  4. 수화작용을 일으키는 수경성(hydraulic) 시멘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타설 후 28일이 경과되어야 공사하중이나 자중을 지탱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는 물과 혼합되면 응결과 경화가 시작되며, 초기 강도는 3~7일 이내에 형성됩니다. 하지만 완전한 강도를 갖추기 위해서는 최소 28일 이상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공사하중이나 자중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초기 강도가 형성된 후에도 추가적인 시간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