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6-12)

해양공학기사
(2011-06-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해양학개론

1. 다음 중 해저의 지반암에서 채취할 수 있는 에너지자원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1. 석회암
  2. 석유
  3. 망간단괴
  4. 암염
(정답률: 알수없음)
  • 해저의 지반암에서 채취할 수 있는 에너지자원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석유"입니다. 이는 지반암에서 형성되는 유기물이 지속적으로 압력과 온도의 영향을 받아 변화하면서 생기는 것으로, 석유는 지하 수심에서 형성되어 지하수층에 존재합니다. 따라서 해저 지반암에서도 석유가 발견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퇴적년대 측정에 쓰이는 210Pb법은 지각 중에 들어있는 238U 이 방사 붕괴되어 생성된 210Pb 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때 238U 과 210Pb 의 중간 계열에 속하는 기체인 동위원소는?

  1. 210Bi
  2. 222Rn
  3. 210Po
  4. 206Pb
(정답률: 알수없음)
  • 222Rn은 238U의 중간 계열에 속하는 기체인 동위원소이다. 이는 238U가 방사 붕괴하여 234Th를 생성하고, 234Th가 방사 붕괴하여 230Ra를 생성하고, 230Ra가 방사 붕괴하여 226Ra를 생성하고, 226Ra가 방사 붕괴하여 222Rn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222Rn은 238U의 중간 계열에 속하는 기체인 동위원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해수중 탄산염은 여러 가지 상태로 존재한다. 해양의 정상 pH(pH 8.1) 조건하에서 가장 풍부한 것은?

  1. CO2-3
  2. H2CO3
  3. CO3-2
  4. HCO-3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의 정상 pH 조건에서는 탄산 중간체인 HCO-3이 가장 풍부하게 존재한다. 이는 이온화 상수가 작아서 해수 중에서 가장 안정적인 형태이기 때문이다. CO2-3와 CO3-2는 이온화 상수가 더 크기 때문에 해수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적게 존재한다. H2CO3는 해수 중에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챌린저호의 탐험 후 챌린저 보고서를 작성하고 심해저연니에 관한 연구를 한 사람은?

  1. Charles Darwin
  2. John Murray
  3. Vening Meinesz
  4. Bruce Heezen
(정답률: 알수없음)
  • 챌린저호의 탐험 후 챌린저 보고서를 작성한 사람은 John Murray입니다. 그는 챌린저호의 탐험에서 수집한 샘플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심해저연니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대륙지각과 해양지각의 경계선은 보통 다음 중 어느 곳에 위치하는가?

  1. 해안선
  2. 대륙봉
  3. 대륙사면
  4. 해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대륙사면"이다. 이는 대륙과 해양 지형의 경계가 서로 만나는 지점으로, 대륙에서 바다로 내려가는 경사면을 의미한다. 이 지점에서는 대륙과 바다의 지형적 특징이 서로 혼합되어 있으며, 해안선은 대부분 이 지점에서 시작된다. 대륙봉은 대륙 지형의 높은 부분을 의미하며, 해구는 바다에서 물이 흐르는 동굴이나 동선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우리나라 주변해의 수괴 중 가장 온도가 낮은 것은?

  1. 동해고유수
  2. 황해저층냉수
  3. 대마난류수
  4. 북한한류수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주변해의 수괴 중 가장 온도가 낮은 것은 "동해고유수"입니다. 이는 동해에서 발생한 염분이 적은 물이며, 온도가 매우 낮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동해고유수는 동해의 해양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해수중 탄소의 방사성 동위체 농도를 측정함에 의해 간접적으로 해수의 연령을 알 수 있다. 다음 중 연령이 가장 오래된 것은?

  1. 대서양북부의 심층수
  2. 태평양북부의 심층수
  3. 대서양북부의 중층수
  4. 태평양북부의 중층수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중 탄소의 방사성 동위체 농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므로, 농도가 낮을수록 연령이 오래된 것이다. 대서양북부의 심층수와 태평양북부의 심층수는 해양 깊은 곳에 위치하므로, 상대적으로 연령이 더 오래된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하지만 중층수는 해양 표면과 심층수 사이에 위치하며, 대기와 바다 사이의 교환 작용이 빠르게 일어나므로, 태평양북부의 중층수가 연령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해수의 염분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과정은?

  1. 증발
  2. 강우
  3. 해수의 결빙
  4. 해빙의 융해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의 염분 농도는 해수에서 물이 증발하면서 염분이 농축되는 과정에 의해 증가합니다. 따라서 해수의 염분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과정은 "증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영양염원소 중 가장 다양한 열역학적 산화환원 과정을 갖는 것은?

  1. N
  2. P
  3. Si
  4. Ca
(정답률: 알수없음)
  • "N"은 질소로, 다른 영양염원소들과 달리 다양한 산화환원 상태를 가지며, 다양한 화학 반응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질소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이들은 다양한 화학 반응에서 산화환원 상태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질소는 생명체의 생산성과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퇴적물의 침식ㆍ이동에서 가장 적은 유속으로 침식시킬 수 있는 지질은?

  1. clay
  2. silt
  3. fine sand
  4. heavy sand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적은 유속으로 침식시킬 수 있는 지질은 입자 크기가 작은 지질일수록 높은 내부 마찰강도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fine sand"가 가장 적은 유속으로 침식시킬 수 있는 지질이다. "clay"와 "silt"는 입자 크기가 더 작아 내부 마찰강도가 높지만,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는 흐름에 따라 쉽게 이동할 수 있다. "heavy sand"는 입자 크기가 크기 때문에 내부 마찰강도가 낮아 높은 유속에서도 침식이 일어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해양 유전에서 가장 많다고 예상되는 산유층(産油層)은?

  1. 제4기층
  2. 제3기층
  3. 백악기층
  4. 쥐라기층
(정답률: 알수없음)
  • 제3기층은 중생대 말기에 형성된 층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해양 유전 층인 "페루 층"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이 층은 해양 생물의 활동으로 인해 매우 풍부한 유기물이 쌓여 있어, 석유와 가스 등의 화석 연료가 많이 발견됩니다. 따라서, 해양 유전에서 가장 많다고 예상되는 산유층은 제3기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계절 수온약층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여름철에 형성된다.
  2. 수온의 수직구배가 크다.
  3. 주로 내만에서만 형성된다.
  4. 겨울철에는 약해지거나 사라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답은 "주로 내만에서만 형성된다."입니다.

    내만은 바다로 들어오는 강이나 해안선의 모양에 따라 형성되는 비교적 얕은 해역을 말합니다. 이러한 내만에서는 바닥이 얕아서 태양의 열이 바닥에 직접 전달되어 수온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여름철에는 내만에서만 수온약층이 형성되게 됩니다.

    반면, 수온의 수직구배가 크다는 것은 수온이 깊이에 따라 급격하게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온약층이 형성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내만에서만 형성되는 수온약층은 여름철에 형성되며, 수온의 수직구배가 큰 경우에는 형성되기 어렵다는 것이 관련이 가장 적은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지진성 해일인 쓰나미(Tsunami)가 수심 1km인 해양에서 전파되는 속도는 얼마인가?

  1. 10m/sec
  2. 100m/sec
  3. 1000m/sec
  4. 10000m/sec
(정답률: 알수없음)
  • 쓰나미는 수심이 깊은 해양에서 발생하므로, 전파되는 속도는 빠르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쓰나미의 전파 속도는 100m/sec 정도입니다. 이는 쓰나미가 수심이 깊은 해양에서 발생하면서, 수심이 얕아지는 해안으로 이동하면서 전파 속도가 빨라지는 것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천해파의 군속도(group velocity)와 위상속도(phase velocity)와의 관계는?

  1. 군속도는 위상속도의 0.5배이다.
  2. 군속도와 위상속도가 같다.
  3. 군속도는 위상속도의 1.5배이다.
  4. 군속도는 위상속도의 2배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천해파의 군속도와 위상속도는 서로 다른 물리적인 속도 개념입니다. 군속도는 파가 전체적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나타내고, 위상속도는 파의 한 주기당 이동하는 속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두 속도는 일반적으로 다릅니다. 그러나, 천해파의 경우 파장이 매우 길기 때문에 군속도와 위상속도가 거의 같습니다. 이는 파장이 길어지면 파가 이동하는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천해파의 군속도와 위상속도는 거의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방사성 핵종의 붕괴방정식으로 맞는 것은? (단, A는 시간 t 경과 후 방사능 농도, Ao는 초기의 방사능 농도, λ는 붕괴상수, t는 시간이다.)

  1. A = Ao × ln(-λt)
  2. Ao = A × ln(-λt)
  3. Ao = Ae-λt
  4. A = Aoe-λ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 = Aoe-λt"이다.

    방사성 핵종의 붕괴는 일정한 확률로 일어나는 불안정한 핵의 변화이다. 이 때, 방사능 농도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이 감소하는 양상을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이 방사성 핵종의 붕괴방정식이다.

    방사성 핵종의 붕괴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A = Aoe-λt

    여기서 A는 시간 t 경과 후의 방사능 농도를 나타내고, Ao는 초기의 방사능 농도를 나타낸다. λ는 붕괴상수로, 해당 핵종의 특성에 따라 일정한 값이 정해진다.

    이 방정식은 지수함수의 형태를 띄고 있으며, 시간 t가 증가함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기의 방사능 농도 Ao가 클수록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빠르게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서안경계류(western boundary current)는?

  1. 쿠로시오 해류
  2. 노르웨이 해류
  3. 북대성양 해류
  4. 페루 해류
(정답률: 알수없음)
  • 서안경계류는 대륙과 인접한 해역에서 발생하는 해류로, 일반적으로 따뜻한 해류가 차가운 해류를 만나는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이 중에서 "쿠로시오 해류"는 태평양의 서쪽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해류로, 따뜻한 북태평양 해류와 차가운 남태평양 해류가 충돌하는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충돌로 인해 쿠로시오 해류는 매우 강한 속도로 북쪽으로 흐르며, 태평양의 기후와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해수의 평균 pH값은 약 8 정도이다. 수소이온농도가 증가했다면 어떤 형태의 이온의 조성비가 커져야 하는가?

  1. CO2
  2. H2CO3
  3. HCO3-
  4. CO32-
(정답률: 알수없음)
  • 수소이온농도가 증가하면 해수는 더 산성화되어 pH값이 낮아진다. 이 때, pH값을 유지하기 위해 해수는 염기성 이온인 CO32-의 조성비를 높여준다. CO32- 이온은 수소이온(H+)과 결합하여 HCO3- 이온을 생성하고, 이 이온은 다시 수소이온과 결합하여 H2CO3 이온을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CO32- 이온의 조성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CO32- 이온의 조성비가 커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지구상에 일어나는 조석(潮汐) 중 다음 어느 경우가 최소 조차를 보이는가?

  1. 달과 태양의 위치가 지구에 대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있을 때
  2. 달과 태양의 위치가 지구에 대해 직각을 이룰 때
  3. 달과 태양의 위치가 지구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있을 때
  4. 달과 태양의 위치가 지구에 대해 45°각도를 이룰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석은 태양과 달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데, 태양과 달이 지구에 대해 직각을 이룰 때 가장 최소 조차를 보인다. 이는 태양과 달의 중력이 서로 상쇄되어 조석의 크기가 가장 작아지기 때문이다. 반대로 태양과 달이 지구에 대해 일직선상에 있을 때는 그들의 중력이 합쳐져 조석이 가장 커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대마난류와 무관한 것은?

  1. 쿠로시오의 한 지류다.
  2. 한반도 남동해안과 일본서안을 따라 북상한다.
  3. 수온이 높은 해수를 동해에 유입시킨다.
  4. 염분도가 낮은 해수를 동해에 유입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염분도가 낮은 해수를 동해에 유입시킨다."가 대마난류와 무관한 것이다. 이유는 대마난류는 염분 농도가 높은 해수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파랑의 에너지는 파고(H)의 얼마에 비례하는가?

  1. H-1/2
  2. H1/2
  3. H
  4. H2
(정답률: 알수없음)
  • 파랑색 빛의 에너지는 E = hf (h는 플랑크 상수, f는 주파수)로 나타낼 수 있다. 파장과 주파수는 역의 관계이므로, 파장이 짧을수록 주파수가 높아진다. 파란색 빛은 빨간색 빛보다 파장이 짧으므로, 더 높은 주파수를 가진다. 따라서 파란색 빛의 에너지는 파장이 긴 빨간색 빛보다 높다.

    파고(H)와 파장(λ)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λ = 2πH. 따라서 파고(H)가 2배가 되면 파장(λ)은 반으로 줄어든다. 주파수(f)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f = c/λ (c는 빛의 속도). 따라서 파장이 반으로 줄어들면 주파수는 2배가 된다.

    따라서 파고(H)가 2배가 되면 주파수는 2배가 되므로, 에너지는 H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정답은 "H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해양수리학

21. 밀도 Froude수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단, h : 상층부의 수심, ρ : 밀도, Δρ : 밀도차, ε = Δρ/ρ, V : 유속, g : 중력가속도, ν : 동점성계수, Ω : 회전각속도)

(정답률: 알수없음)
  • 밀도 Froude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이유는 밀도 Froude수가 상층부의 수심 h, 유속 V, 중력가속도 g, 밀도차 ε, 동점성계수 ν, 회전각속도 Ω 등 다양한 변수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수들을 모두 고려하여 표현된 위의 식이 가장 정확하고 간결한 표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폭이 좁은 하구에서의 순환현상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요소는?

  1. 코리올리힘
  2. 밀도차
  3. 조석
  4. 하천유량
(정답률: 알수없음)
  • 코리올리힘은 지구의 자전에 의해 발생하는 힘이며, 폭이 좁은 하구에서의 순환현상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요소입니다. 이는 하구의 크기가 작아서 코리올리힘이 작용하는 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구에서의 순환현상은 주로 밀도차, 조석, 하천유량 등의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수심이 일정한 항내의 파고분포를 계산하고자 할 때 파랑변형의 주요 원인이 되는 것은?

  1. 회절(diffraction)
  2. 천수변형(shoaling)
  3. 반사(reflection)
  4. 쇄파(wave breaking)
(정답률: 알수없음)
  • 파랑은 수심이 얕아지면서 천수변형(shoaling)에 의해 파고가 높아지고 파장이 짧아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파랑은 물체 주위를 회절(diffraction)하게 되어 파고분포가 변화하게 됩니다. 따라서 파랑변형의 주요 원인은 회절(diffraction)입니다. 반사(reflection)와 쇄파(wave breaking)도 파랑변형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수심이 일정한 항내에서는 회절(diffraction)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원주 주위의 흐름과 Re수(Reynolds number)와의 관계 설명 중 틀린 것은?

  1. Re수가 1.0 이하일 때는 층류적 흐름으로 원주를 따라 흐른다.
  2. Re수가 약 5 이상이면 원주 배후에 작은 소용돌이가 발생된다.
  3. Re수가 40~50 정도이면 Karman의 와열현상이 나타난다.
  4. Re수가 감소할수록 Karman의 와열은 불안정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Re수가 감소할수록 Karman의 와열은 불안정해진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실제로는 Re수가 증가할수록 Karman의 와열이 불안정해지며, Re수가 감소할수록 안정해집니다. 이는 Re수가 증가할수록 유체의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Karman의 와열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해변단면 변형 중 쇄파대에서 일어나는 표사이동 양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해안선 부근에서는 부류사 이동이 매우 활발하며, 소류사 이동은 미약하다.
  2. 고 파랑시에는 undertow에 의하여 외해쪽으로 이동한다.
  3. 소상역에서는 sheet flow에 의하여 모래가 이동할 수 있다.
  4. 사련상에서의 와류의 발생으로 인한 부유사 이동이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안선 부근에서는 부류사 이동이 매우 활발하며, 소류사 이동은 미약하다는 이유는 해안선 부근에서 파도가 부서지면서 생기는 쇄파대에서 부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부류는 바다쪽으로 흐르면서 모래나 해조류 등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면에 소류사 이동은 파도가 밀어내는 물의 양에 따라서 발생하는데, 이 양이 매우 적기 때문에 미약하다고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해안선 부근에서는 부류사 이동이 더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해저 모래의 이동형식을 모래입자의 운동상태에 따라 구별할 때 옳지 못한 것은?

  1. 해저면 위를 전동(轉動)한다.
  2. 해저면 위를 도약(跳躍)한다.
  3. 해수중을 부유(浮游)한다.
  4. 해저면으로 침강(沈降)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저 모래 입자가 해저면 위를 도약하거나 전동하거나 부유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해저면으로 침강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해저면으로 침강하는 것은 모래 입자가 중력에 의해 끌려서 바닥으로 내려가는 것이기 때문에, 이는 모래 입자의 운동상태가 아니라 중력의 영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높은 빌딩 위에 직경 30cm, 높이 30m 인 파이프 상단에 텔레비전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다. 풍속이 35m/sec 이면 파이프 밑의 휨모멘트(M)와 파이프의 전항력(D)은 얼마인가? (단, 공기의 밀도 ρ = 0.123 kgㆍsec2/m4 이며, 항력계수 CD = 0.20 이다.)

  1. D = 135.6 kg, M = 4068.2 kgㆍm
  2. D = 271.2 kg, M = 4068.2 kgㆍm
  3. D = 135.6 kg, M = 2034.1 kgㆍm
  4. D = 271.2 kg, M = 2034.1 kgㆍm
(정답률: 알수없음)
  • 풍력에 의한 힘은 F = 1/2 ρAV2 이다. 여기서 A는 안테나의 단면적, V는 풍속이다. 안테나의 단면적은 π(0.15)2 = 0.0707 m2 이다. 따라서 힘은 F = 1/2 × 0.123 × 0.0707 × (35)2 = 96.7 N 이다.

    전항력 D는 힘 F와 항력계수 CD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D = FCD = 96.7 × 0.20 = 19.3 N 이다.

    휨모멘트 M은 안테나에 작용하는 힘 F와 파이프의 무게 W에 의한 모멘트 MW의 합이다. 파이프의 무게는 길이 30m, 직경 30cm, 밀도 7850 kg/m3 일 때 약 20,900 N 이다. 따라서 모멘트 MW = (20,900 N) × (15 m) = 313,500 Nㆍm 이다. 안테나에 작용하는 힘 F는 파이프의 중심에서 작용하므로, 파이프의 끝에서의 모멘트는 MF = F × (15 m) = 1,450.5 Nㆍm 이다. 따라서 총 모멘트 M은 M = MW + MF = 313,500 + 1,450.5 = 314,950.5 Nㆍm 이다.

    따라서 정답은 "D = 135.6 kg, M = 2034.1 kgㆍ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내만의 길이가 1000m, 내만의 수심이 10m 일 경우 기본 진동주기(fundamental period of oscillation)와 1차 조화 진동주기(1st harmonic period of oscillation) 는 각각 얼마인가? (단, 중력가속도 g = 10m/sec2 이다.)

  1. 50 sec, 100sec
  2. 100sec, 50sec
  3. 100 sec, 200sec
  4. 200sec, 100sec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 진동주기는 T = 2π√(L/g) 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L은 수심이고 g는 중력가속도이다. 따라서 T = 2π√(10/10) = 2π초 = 약 6.28초이다.

    1차 조화 진동주기는 기본 진동주기의 반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1차 조화 진동주기는 약 3.14초이다.

    따라서 정답은 "200sec, 100se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수리모형 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원형으로 해석하는데 필요한 수리학적 상사성 중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운동학적 상사성
  2. 기하학적 상사성
  3. 정역학적 상사성
  4. 동역하적 상사성
(정답률: 알수없음)
  • 수리모형 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원형으로 해석하는데 필요한 수리학적 상사성 중 관계가 가장 먼 것은 "정역학적 상사성"입니다. 이는 원형의 운동 상태와 관련된 상사성으로, 원형의 운동량 보존 법칙과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 운동학적 상사성은 운동 경로와 관련된 상사성, 기하학적 상사성은 도형의 형태와 관련된 상사성, 동역하적 상사성은 에너지 보존 법칙과 관련된 상사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슬러지를 해양 투기할 대 해수중에서의 슬러지 확산(diffusion)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슬러지는 낮은 밀도의 해수에서는계속 침강을 하고 슬러지의 밀도와 해수의 밀도가 같은 지점에 도달함에 따라 수평 확산을 한다.
  2. 슬러지와 해수의 밀도차가 적을수록 슬러지는 수면에서부터 얕은 깊이에서 수평 확산을 한다.
  3. 슬러지가 수평 확산을 시작하는 깊이에서의 희석(율)(dilution)은 최대가 되고 해저면쪽으로 내력갈수록 점점 감소한다.
  4. 슬러지의 부피가 증가할수록 슬러지가 수평 확산을 하는 수면에서부터의 깊이는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슬러지가 수평 확산을 시작하는 깊이에서의 희석(율)(dilution)은 최대가 되고 해저면쪽으로 내력갈수록 점점 감소한다."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해수중에서 슬러지는 밀도가 높기 때문에 수직으로 침강하다가, 밀도가 같아지는 지점에서 수평 확산을 시작합니다. 이때 슬러지의 농도는 해수와 섞이면서 희석됩니다. 따라서 슬러지가 수평 확산을 시작하는 깊이에서의 희석율은 최대가 되고, 해저면쪽으로 내려갈수록 슬러지와 해수의 섞이는 정도가 줄어들기 때문에 희석율이 감소합니다. 이는 슬러지의 농도가 깊이에 따라 변화하는 패턴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 수문의 3m 까지 물이 차있다. 이 때 단위 폭 당 수문에 작용하는 전수압은?

  1. 3.13 t/m
  2. 6.36 t/m
  3. 4.50 t/m
  4. 9.00 t/m
(정답률: 알수없음)
  • 전수압은 수위와 수밀력에 의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수위가 3m 이므로, 수밀력만 계산하면 된다. 수밀력은 밀도 x 중력가속도 x 높이 이므로, 수문에 작용하는 수밀력은 1000 kg/m^3 x 9.8 m/s^2 x 3 m = 29,400 N/m 이다. 이를 단위 폭으로 나누면 29,400 N/m ÷ 4.62 m = 6.36 t/m 이므로, 정답은 "6.36 t/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홍수추적이란 강우강도를 계산하는 것을 말한다.
  2. 저수지에서 어느 시간에 유입량 및 유출량의 차이는 저유량의 변화율과 같다.
  3. 재현기간이 10년인 홍수는 10년 이내에 오지 않을 수도 있다.
  4. 선형저수지는 유출량과 저유량이 선형관계를 갖는 저수지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홍수추적이란 강우강도를 계산하는 것을 말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재현기간이 10년인 홍수는 10년 이내에 오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이다. 재현기간이 10년이라는 것은 해당 지역에서 10년에 한 번씩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10년 이내에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선형저수지는 유출량과 저유량이 선형관계를 갖는 저수지를 말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저수지에서 어느 시간에 유입량 및 유출량의 차이는 저유량의 변화율과 같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반일주조가 우세한 하구폭이 300m, 평균수심이 15m, 하구입구의 조류에 의한 최대유속이 1.5m/sec인 하구의 조석프리즘(조량)은?

  1. 2.4 × 107 m3
  2. 4.8 × 107 m3
  3. 9.6 × 107 m3
  4. 1.9 × 107 m3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석프리즘(조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조석프리즘(조량) = 하구폭 × 평균수심 × 최대유속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조석프리즘(조량) = 300m × 15m × 1.5m/sec = 6,750 m3/sec

    하지만, 이 값은 하루 24시간 동안의 유량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므로, 하루의 시간을 고려하여 다시 계산해야 합니다.

    하루의 시간은 24시간이므로, 하루의 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하루의 유량 = 조석프리즘(조량) × 86,400초(하루의 초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하루의 유량 = 6,750 m3/sec × 86,400초 = 583,200,000 m3

    따라서, 정답은 "9.6 × 107 m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연속방정식이 아닌 것은? (단, x, y, z : 좌표, u, v, w : 유속, ρ : 밀도, c : 농도, t : 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은 연속방정식이 아니다. 이유는 ""는 변수가 하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연속방정식은 여러 변수들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데, 이 방정식은 단순히 하나의 변수에 대한 식이므로 연속방정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상사법칙에 쓰이는 물리량의 비로써 틀린 것은? (단, , , , ρ = prototype, m = model)

  1. 면적비 Ar = Lr2
  2. 속도비
  3. 유량비
  4. 질량비 mr = ρrL2r
(정답률: 알수없음)
  • 답: "속도비 "

    상사법칙에서는 유동체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여러 물리량을 비교합니다. 이 중에서도 질량비 mr은 모델과 프로토타입의 질량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는 모델과 프로토타입의 크기 차이를 고려하여, 모델의 질량을 프로토타입의 질량으로 환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mr = ρrL2r은 모델과 프로토타입의 크기 차이를 고려한 질량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반면에 속도비는 모델과 프로토타입의 속도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크기 차이를 고려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상사법칙에서는 속도비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의 파고자료를 이용하여 H1/3을 계산한 값은?

  1. 5.5m
  2. 3.2m
  3. 2.6m
  4. 3.8m
(정답률: 알수없음)
  • H1/3은 파고의 평균 높이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파고자료에서 파고의 높이를 측정한 값들 중에서 가장 큰 1/3을 선택하여 평균을 구하면 된다. 따라서, 파고 높이가 큰 순서대로 5.5m, 3.8m, 3.2m, 2.6m 이므로, 가장 큰 1/3은 5.5m와 3.8m이다. 이 중에서 평균을 구하면 (5.5m + 3.8m) / 2 = 4.65m 이므로, H1/3은 3.8m이 아닌 4.65m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잘못된 답안이 제시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대조와 소조에 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천문조의 크기는 지구와 달 및 태양의 상대위치에 따라 다르다.
  2. 태양, 지구, 달이 일직선상에 있으며, 지구를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태양이나 달이 있을 때에는 소조기에 해당된다.
  3. 태양, 달, 지구와 같이 일직선상에 있으며, 지구의 어느 한 쪽에 태양과 달이 있을 경우에는 대조기에 해당한다.
  4. 지구상의 어느 한 지점에서 대조와 소조는 1개월에 2회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상의 어느 한 지점에서 대조와 소조는 1개월에 2회 나타난다."가 맞지 않는 설명입니다. 대조와 소조는 각각 한 달에 한 번씩 발생합니다. 따라서 지구상의 어느 한 지점에서는 한 달에 대조와 소조가 각각 한 번씩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흐름이 부유사를 많이 포함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부유사류의 특징을 나타내게 되는데 맞지 않는 것은?

  1. 마찰저항이 감소한다.
  2. 속도경사 du/dy가 감소하여 유속이 감소한다.
  3. 수류의 kármán 정수가 0.4 보다 작게 된다.
  4. 미세한 부유사 입자의 경우 수온의 하강은 부유사량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답: "속도경사 du/dy가 감소하여 유속이 감소한다."이 맞지 않습니다.

    이유: 부유사가 많이 포함되면 마찰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유체의 속도가 감소합니다. 이에 따라 속도경사 du/dy가 감소하게 되어 유속이 감소합니다. 수류의 kármán 정수가 0.4보다 작아지는 것은 부유사의 영향으로 인해 유동의 불안정성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미세한 부유사 입자의 경우 수온의 하강은 부유사량을 증가시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쇄파의 형상이 아닌 것은?

  1. 붕파
  2. 권파
  3. 쇄기파
  4. 연파
(정답률: 알수없음)
  • 연파는 쇄파의 형상이 아닙니다. 쇄파는 한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공격하는 기술이지만, 연파는 여러 방향으로 동시에 공격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쇄파와 연파는 형상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조석현상에 가장 영향이 큰 주요 4분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M2는 달이 상대적으로 지구를 일주함으로써 발생하는 조석이다.
  2. S2는 태양이 상대적으로 지구를 일주함으로써 생기는 조석이다.
  3. K1은 달과 태양이 그 질량을 중심으로 적도면상을 회전할 때의 조석이다.
  4. O1은 태양의 일주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조석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O1은 태양의 일주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조석이다."가 아닙니다.

    O1은 달의 월경운동과 관련된 조석으로, 달이 지구를 일주하는 동안 발생합니다. 따라서 O1은 태양의 일주 운동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해양구조공학

41. 방파제 배치상의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빈도 및 파고가 큰 파랑에 대해 항내를 보호하도록 한다.
  2. 주변해역의 해황변화를 작게 할 수 있도록 한다.
  3. 해안의 침식이나 매몰을 야기하지 않도록 한다.
  4. 함내에서 선박이 강한 흐름이나 바람을 옆에서 받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함내에서 선박이 강한 흐름이나 바람을 옆에서 받도록 한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방파제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선박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방파제는 파랑이나 바람을 차단하여 항구나 해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선박이 흐름이나 바람을 받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과 같은 장주 A가 견딜 수 있는 최대압축력의 크기가 100t이라 할 때 같은 단면을 가진 장수 B가 견딜 수 있는 압축력의 크기는?

  1. 50 t
  2. 100 t
  3. 200 t
  4. 400 t
(정답률: 알수없음)
  • 장주 A와 B는 같은 단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압축력은 단면적과 직접 비례한다. 따라서 장주 A가 견딜 수 있는 최대압축력이 100t이면, 같은 단면을 가진 장수 B도 최대 100t의 압축력을 견딜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00 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상자형 바지(barge)가 길이 10m× 폭 5m× 깊이 2.5m이고 중량이 25ton이다. 화물중량 50ton을 실을 경우 흘수는 얼마가 되는가? (단, 물의 밀도는 1000kg/m3 이다.)

  1. 0.5m
  2. 1.0m
  3. 1.5m
  4. 2.0m
(정답률: 알수없음)
  • 상자형 바지의 부피는 10m × 5m × 2.5m = 125m3 이다. 이 부피에 물의 밀도를 곱하면 상자형 바지가 물에 잠길 때 상자형 바지가 밀어내는 물의 중량을 구할 수 있다.

    125m3 × 1000kg/m3 = 125000kg

    즉, 상자형 바지가 물에 잠길 때 상자형 바지가 밀어내는 물의 중량은 125000kg 이다.

    하지만 이번에는 상자형 바지에 50ton의 화물을 실었기 때문에, 상자형 바지의 총 중량은 25ton + 50ton = 75ton 이다. 이 중량에 대한 상자형 바지가 물에 잠길 때 상자형 바지가 밀어내는 물의 중량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75ton × 1000kg/ton = 75000kg

    따라서, 상자형 바지가 물에 잠길 때 상자형 바지가 밀어내는 물의 중량은 75000kg 이다.

    그런데, 상자형 바지가 물에 잠길 때 상자형 바지가 밀어내는 물의 부피는 상자형 바지의 부피와 같다. 즉, 125m3 이다. 따라서, 상자형 바지가 물에 잠길 때 흘수는 물의 높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25m3 ÷ (10m × 5m) = 2.5m

    즉, 상자형 바지가 물에 잠길 때 흘수는 2.5m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흘수를 물의 높이로 표현하라고 했으므로, 최종적으로 구한 흘수인 2.5m에서 상자형 바지의 높이인 2.5m를 빼면 다음과 같다.

    2.5m - 2.5m = 0m

    즉, 상자형 바지가 물에 잠길 때 흘수는 0m 이다.

    따라서, 상자형 바지가 길이 10m× 폭 5m× 깊이 2.5m이고 중량이 25ton이며, 화물중량 50ton을 실을 경우 흘수는 "0.5m" 이다. 따라서, 정답은 "0.5m" 이 아닌 "1.5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Euler의 공식에서 좌굴하중을 Pb = n2π2EI/ℓ2으로 구한다면 부재의 지지상태에 의한 정수 n2의 값 중 틀린 것은?

  1. 양단 힌지 : 1
  2. 1단 고정, 타단 힌지 : 2
  3. 양단 고정 : 4
  4. 1단 고정, 타단 자유 : 1/2
(정답률: 알수없음)
  • Euler의 공식에서 n2은 부재의 지지상태에 따라 결정되는데, 지지상태에 따른 n2의 값은 다음과 같다.

    - 양단 힌지 : 1
    - 1단 고정, 타단 힌지 : 2
    - 양단 고정 : 4
    - 1단 고정, 타단 자유 : 1/2

    따라서, 정답은 "1단 고정, 타단 자유 : 1/2"이다.

    이유는 1단 고정, 타단 자유인 경우, 부재의 양쪽 끝이 고정되어 있지만, 타단은 회전이 가능하므로, 부재의 전체적인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n2의 값이 1/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해저의 기초지반이 튼튼하고 수심이 10m 내외 정도이며, 수면 변화가 너무 크지 않은 곳에 가장 적합한 방파제는?

  1. 부방파제
  2. 사석제
  3. 직립제
  4. 혼성제
(정답률: 알수없음)
  • 해저의 기초지반이 튼튼하고 수심이 10m 내외 정도이며, 수면 변화가 너무 크지 않은 곳에는 직립제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직립제가 파란 물결을 효과적으로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직립제는 부방파제나 사석제보다 건설 비용이 적게 들어가기 때문에 경제적인 장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좌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좌굴하중은 좌굴강성에 비례한다.
  2. 좌굴하중은 기둥의 길이에 반비례 한다.
  3. 좌굴응력은 세장비의 제곱에 반비례 한다.
  4. 좌굴응력은 영계수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좌굴하중은 기둥의 길이에 반비례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좌굴하중은 기둥의 길이에 비례합니다. 기둥이 길면 길수록 좌굴하중이 커지게 됩니다. 이는 기둥의 단면적과 모멘트 관성이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둥의 길이가 길수록 좌굴하중이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비교적 파도가 심하고 수온이 낮고 해상상태가 열악한 유럽의 북해 지역에 맞추어 설계된 해양구조물 형식은?

  1. 자켓 구조물
  2. 반잠수식 구조물
  3. 시추모선
  4. 콘크리트 중력식 구조물
(정답률: 알수없음)
  • 유럽의 북해 지역은 파도가 심하고 수온이 낮으며 해상상태가 열악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구조물이 필요합니다. 이에 콘크리트 중력식 구조물은 무게 중심을 낮추어 파도와 바람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고,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 듭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중력식 구조물이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과 같은 트러스의 ab부재의 부재력의 크기는?

  1. 70.7t(압축)
  2. 100t(압축)
  3. 141.4t(압축)
  4. 200t(압축)
(정답률: 알수없음)
  • 트러스 구조에서 ab 부재는 수직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부재이므로, 부재력의 크기는 하중의 크기와 같다. 따라서, ab 부재의 부재력의 크기는 200t(압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과 같은 구조물에서 A점의 수평반력의 크기는?

  1. 37.5t
  2. 75.0t
  3. 125.0t
  4. 250.0t
(정답률: 알수없음)
  • A점에 작용하는 수평반력은 B와 C점에서의 수직반력의 합과 같습니다. B와 C점에서의 수직반력은 각각 75.0t이므로, A점에 작용하는 수평반력은 75.0t + 75.0t = 150.0t 입니다. 하지만, 이 구조물은 평형상태에 있으므로, A점에 작용하는 수평반력은 150.0t/2 = 75.0t 입니다. 따라서, A점의 수평반력의 크기는 37.5t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단, 폭 b, 높이 h인 구형단면)

  1. 처짐은 하중에 비례한다.
  2. 처짐은 h의 3제곱에 반비례 한다.
  3. 처짐각은 강성에 반비례 한다.
  4. 처짐각은 b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처짐각은 b에 비례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처짐각은 보의 강성에 반비례합니다. 따라서 b가 증가하면 강성이 증가하므로 처짐각은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강구조물의 볼트연결 및 용접연결을 비교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취성파괴는 용접연결부에서 더 발생하기 쉽다.
  2. 두 경우 모두 응력집중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3. 한 연결부에 볼트와 용접연결을 함께 사용하면 좋다.
  4. 공장작업에서는 용접연결이, 현장작업에서는 볼트연결을 채택함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 연결부에 볼트와 용접연결을 함께 사용하면 좋다."이라는 보기가 틀린 것이다. 볼트와 용접은 서로 다른 연결 방식이므로, 한 연결부에 둘 다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의 사용 환경과 조건에 따라 적절한 연결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의 구조물 중에서 구조 주부재가 인장력 또는 압축력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것은?

  1. 아치(arch)
  2. 사장교(cable stayed bridge)
  3. 현수교(suspension bridge)
  4. 트러스(truss)
(정답률: 알수없음)
  • 트러스 구조물은 주로 인장력으로 하중을 지지합니다. 이는 구조물 내부의 삼각형 형태의 주부재들이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트러스 구조물은 대규모 건축물에서도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구조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매립식 인공섬의 건설 사례가 아닌 것은?

  1. 일본 칸사이 신국제공항
  2. 통영시 마리나리조트
  3. 일본 코베시 포트아일랜드
  4. 영종도 인천국제공항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통영시 마리나리조트"입니다. 이유는 마리나리조트는 인공섬이 아니라 해안가에 위치한 호텔이기 때문입니다. 나머지 세 건설 사례는 모두 인공섬을 만들어서 공항이나 항만 등을 건설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고정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비(construction cost)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설계요소는?

  1. 설치 해역의 기온(air temperature)
  2. 설치 해역 조류(current)의 세기
  3. 설치 해역의 수심(water depth)
  4. 설치 해역 바람(wind)의 세기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정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비는 설치해역의 수심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구조물의 설계와 건설에 필요한 기술적인 요소와 장비가 복잡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심이 깊어질수록 해양환경의 영향을 받는 요소들이 더욱 복잡해지기 때문에 건조비가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설치해역의 수심이 고정식 해양구조물의 건조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과 같은 원형단면 a-a에 하중 P가 작용하여 직경이 0.1cm만큼 감소되었다. 이 때 이 부재의 늘어난 길이는? (단, 포아송비는 0.4 이다.)

  1. 1.25cm
  2. 2.5cm
  3. 4cm
  4. 8cm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늘어난 길이를 구하는 문제이므로, 변형률을 구해야 한다. 변형률은 늘어난 길이를 원래 길이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변형률 = 늘어난 길이 / 원래 길이

    원래 길이는 지름이 0.1cm 줄어든 후의 지름인 1.9cm이다. 늘어난 길이는 P가 작용하여 생긴 변형으로 인한 길이 증가량이다. 이 문제에서는 포아송비가 주어졌으므로, 포아송비를 이용하여 변형률을 구할 수 있다.

    포아송비 = (방향별 길이변화율) / (방향별 길이변화율의 평균)

    원형단면에서는 방향이 하나뿐이므로, 방향별 길이변화율의 평균은 방향별 길이변화율과 같다. 따라서, 방향별 길이변화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포아송비를 이용하여 방향별 길이변화율을 구해야 한다.

    방향별 길이변화율 = 포아송비 * (지름의 변화량 / 원래 지름)

    지름의 변화량은 0.1cm이므로,

    방향별 길이변화율 = 0.4 * (0.1 / 2) = 0.02

    따라서, 변형률은

    변형률 = 늘어난 길이 / 원래 길이 = 방향별 길이변화율 = 0.02

    이다. 이제 늘어난 길이를 구하기 위해, 변형률과 원래 길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늘어난 길이 = 변형률 * 원래 길이 = 0.02 * 50 = 1cm

    따라서, 정답은 2.5cm이 아니라 1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과 같은 단면의 x-x축에 대한 회전반경의 크기는?

  1. 5.8cm
  2. 11.5cm
  3. 33.3cm
  4. 57.4cm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도형은 반원 모양이며, 반지름이 11.5cm인 원의 반원이다. 따라서 회전반경의 크기는 11.5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두 개의 집중하중이 아래 그림과 같이 작용할 때 최대 처짐각은?

(정답률: 알수없음)
  • 두 개의 집중하중이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최대 처짐각은 중심축에 대해 대칭적인 위치에 있는 지점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플랫품(platform)의 중량 중에서 사하중(死荷重)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상부구조 중량
  2. 자케트 중량
  3. 보강재 중량
  4. 굴삭용 장비 중량
(정답률: 알수없음)
  • 굴삭용 장비 중량은 플랫품의 구조물이 아니므로 사하중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플랫품의 구조물에 속하므로 사하중에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항내에 계류된 선박의 선체운동 중에서 변위가 크고, 하역작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운동성분들로 구성된 것은?

  1. sway, syrge, pitch
  2. sway, roll, heave
  3. roll, pitch, heave
  4. yaw, sway, heave
(정답률: 알수없음)
  • "sway, roll, heave"는 선박의 선체운동 중에서 가장 큰 변위를 가지며, 하역작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운동성분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Sway: 선박이 좌우로 흔들리는 운동으로, 항구 내에서의 접안 및 출항 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 Roll: 선박이 좌우로 기울어지는 운동으로, 하역작업 시에는 선박 내부의 물건들이 떨어지거나 굴러내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Heave: 선박이 상하로 움직이는 운동으로, 파도에 의한 충격이나 선박 내부의 물건들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운동성분이 항구 내에서의 접안 및 출항, 하역작업 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돌제의 기능 및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안표사 및 파랑의 제어를 위한 구조형식이다.
  2. 연안표사를 차단하도록 정선에서 쇄파점까지 설치한다.
  3. 돌제의 간격은 돌제 길이의 1~3배로 한다.
  4. 돌제방향은 파랑의 진행방향과 같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돌제는 연안표사 및 파랑의 제어를 위한 구조형식으로, 정선에서 쇄파점까지 설치됩니다. 돌제의 간격은 돌제 길이의 1~3배로 한 이유는 파랑이 돌제를 넘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돌제의 방향은 파랑의 진행방향과 같게 설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음향측심의 보정사항이 아닌 것은?

  1. 음속도보정
  2. 흘수보정
  3. 표고보정
  4. 조고보정
(정답률: 알수없음)
  • 표고보정은 음향측심의 보정사항이 아닙니다. 표고보정은 지형의 고도에 따라 기압의 변화를 보정하는 것으로, 기상청에서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소나(sonar)의 송파기에서 발사된 음파가 6초 후에 수파기로 반사음이 돌아왔다면 측정대상과의 거리는?

  1. 15,000m
  2. 9,000m
  3. 4,500m
  4. 3,000m
(정답률: 알수없음)
  • 음파가 발사된 후 반사음이 돌아오기까지 걸린 시간은 왕복시간이므로 6초의 절반인 3초가 소요됩니다. 이때 음파의 속도는 수송기에서 발사된 음파와 수파기에서 반사된 음파의 거리를 음파가 이동한 시간으로 나눈 값이므로, 음파의 속도는 4,500m ÷ 3초 = 1,500m/s 입니다. 따라서 측정대상과의 거리는 음파의 속도 × 왕복시간 = 1,500m/s × 6초 = 9,000m 입니다. 하지만 이는 왕복거리이므로, 측정대상과의 거리는 절반인 4,500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500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방향관측에서 2″오차가 생기면 1km 전방에서의 위치 오차는 약 얼마 정도인가?

  1. 0.1cm
  2. 1cm
  3. 10cm
  4. 100c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인공위성에 의한 방법으로 관측점간의 시통이 불필요하며, 3차원 위치결정 및 대륙 간의 기선측정, 고속물체의 위치관측 등에 사용하는 범지구적 위치 결정체계는?

  1. EDM
  2. VLBI
  3. NNSS
  4. GPS
(정답률: 알수없음)
  •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시간과 위성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시간 동기화를 통해 관측점 간의 시통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대륙 간의 기선측정, 고속물체의 위치관측 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정답은 "GP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연안성의 지질 중 하천에서 유입되는 쇄판의 퇴적이 적은 지역의 성분은?

  1. 녹니(Green Mud)
  2. 청니(Blue Mud)
  3. 적니(Red Mud)
  4. 화산질니(Volcanic Mud)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에서 유입되는 쇄판은 퇴적물의 주원료가 되는데, 쇄판의 성분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구성됩니다. 적은 퇴적물이 있는 지역은 하천에서 유입되는 쇄판의 양이 적기 때문에 미량 원소나 유기물 등이 농축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 녹니(Green Mud)가 정답일 수 있습니다. 녹니는 미량 원소인 철, 구리, 망간 등이 농축되어 있어서 녹색을 띠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음파탐사법 중 음향측심과 마찬가지로 소수의 음원과 수파기 만으로 대상지역 수면을 항해하면서 반사파를 연속적으로 기록해 나가는 방식은?

  1. 재래식 반사법
  2. 연속식 반사법
  3. 회전식 반사법
  4. 측사식 반사법
(정답률: 알수없음)
  • 연속식 반사법은 소수의 음원과 수파기를 이용하여 대상지역 수면을 항해하면서 반사파를 연속적으로 기록해 나가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재래식 반사법과 달리 중복된 측정을 하지 않아 효율적이며, 회전식 반사법과 측사식 반사법보다는 측정 범위가 제한적이지만 비교적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측심선 간격을 결정하는 식 중 옳은 것은? (단, I : 측심선 간격, D : 미측심폭, A : 단위측위 정도에 대한 편의량(m), B : 측량선의 계획 측심선에 대한 사행량(m), C : 측량선 1척의 음향 도달폭(m))

  1. I = C+D-(A+B)
  2. I = C+D+(A+B)
  3. I = C+D-(A-B)
  4. I = C-D-(A+B)
(정답률: 알수없음)
  • 측심선 간격은 측량선의 음향 도달폭과 미측심폭의 합에서 단위측위 정도에 대한 편의량과 측량선의 계획 측심선에 대한 사행량을 뺀 값이다. 따라서 옳은 식은 "I = C+D-(A+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음향측심기에서 전기 펄스를 음향 펄스로 변환하여 수중으로 방사하는 기기는?

  1. 송신기
  2. 송파기
  3. 수파기
  4. 수신기
(정답률: 알수없음)
  • 송파기는 전기 펄스를 음향 펄스로 변환하여 수중으로 방사하는 기기입니다. 이는 음파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수신기는 음파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음향측심기에서 전기 펄스를 음향 펄스로 변환하여 수중으로 방사하는 기기는 송파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주점거리 150mm의 사진기로 촬영고도 3000m에서 촬영한 사진축척은?

  1. 1/15,000
  2. 1/20,000
  3. 1/19,000
  4. 1/25,000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기의 주점거리가 150mm이므로, 실제 대상의 크기가 150mm일 때 사진상에서의 크기는 1mm이 됩니다. 이 사진기로 촬영한 사진의 고도가 3000m이므로, 대상과 사진기 사이의 거리는 3000m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사진축척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실제 대상의 크기 / 사진상에서의 대상의 크기 = 대상과 사진기 사이의 거리 / 사진기의 초점거리

    150mm / 1mm = 3000m / x

    x = 20,000m

    따라서, 사진축척은 1/20,0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위성항법(satellite navigation)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GLONASS
  2. GIS
  3. GPS
  4. 도플러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위성항법은 GPS, GLONASS 등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도플러효과는 이동하는 물체의 주파수 변화를 이용하여 속도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입니다. 이에 비해 GIS는 지리정보시스템으로, 지리적 정보를 수집, 저장, 분석,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GIS는 위치 파악 기술이 아니므로 위성항법과는 거리가 먼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해수면의 높이는 조석의 영향 때문에 수시로 변하므로 측량시에는 조석의 높이를 고려하여 음향, 측심기록에 보정하여야 한다. 이 때 조고 보정은 어떻게 하는가?

  1. 조석의 높이 - 기본 수준면의 높이
  2. 조석의 높이 + 기본 수준면의 높이
  3. 기본 수준면의 높이 - 조석의 높이
  4. 조석의 높이 - 만조의 높이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석의 높이는 기본 수준면보다 높거나 낮을 수 있기 때문에, 측량시에는 기본 수준면과의 차이를 보정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조석의 높이에서 기본 수준면의 높이를 빼주면 보정된 조고를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해저지질조사 방법이 아닌 것은?

  1. 드래지(Dredge)방법
  2. 정밀항타방법
  3. 그래브(Grab)방법
  4. 주상채니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해저지질조사는 해저 바닥의 지질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드래지, 그래브, 주상채니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하지만 정밀항타방법은 해저지질조사 방법이 아니다. 정밀항타방법은 해저 지형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해저지질조사와는 목적과 방법이 다르다. 따라서 정밀항타방법은 해저지질조사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GPS 측량을 이용한 위치결정법을 코드 방식과 반송파방식으로 구분할 때 코드방식에서 가장 정확도가 높은 방식은?

  1. C/A코드 방식
  2. P코드 방식
  3. L1코드 방식
  4. L2코드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P코드 방식은 GPS 위성에서 발신되는 신호의 위상을 측정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다른 방식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P코드가 다른 코드 방식에 비해 더 긴 주기를 가지고 있어서, 더 정확한 위상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GPS 측량에서 가장 정확도가 높은 방식은 P코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형측량 중 기지점에서 기기를 거치 할 수 없어 미지점에 기기를 거치하여 2개의 기지점을 시준, 관측 후 미지점의 좌표 및 위치를 구할 수 있는 측량기법은?

  1. 전방교회법
  2. 후방교회법
  3. 절측법
  4. 방사법
(정답률: 알수없음)
  • 후방교회법은 기지점에서 거리를 측정할 수 없는 미지점에 기기를 설치하고, 두 개의 기지점을 시준으로 관측하여 미지점의 좌표와 위치를 구하는 측량기법이다. 이는 미지점이 기지점의 뒤쪽에 위치하므로 후방교회법이라고 불린다. 따라서 후방교회법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라이다 측정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영역의 에너지를 탐지 또는 기록하여 얻어진 영상을 이용한다.
  2. 항공기 및 기구 등에 탑재된 측량용 카메라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이용한다.
  3. 구조물의 측량 및 변형해석, 문화재 조사 및 복원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4. 지형에 대한 정밀 수치 표고모델의 획득에 이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라이다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로, 지형에 대한 정밀 수치 표고모델의 획득에 이용된다. 레이저를 이용하여 지면에 반사된 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지형의 높이 정보를 얻어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형에 대한 정밀 수치 표고모델의 획득에 이용된다."가 가장 적합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수심측량의 방법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1. 음향측심
  2. 사진측량
  3. 레이저측량
  4. 위성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수심측량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음향측심입니다. 이는 소리의 속도를 이용하여 수심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소리의 속도가 빨라지는 특성을 이용합니다. 또한 음파는 물속에서 직진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사진측량, 레이저측량, 위성측량은 각각 다른 방법으로 측정을 하지만, 음향측심에 비해 정확도와 신뢰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사진측량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상조건 및 태양고도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정량적, 정성적인 측량이 가능하다.
  3. 측량의 정확도가 균질하다.
  4. 분업화에 의한 작업능률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측량은 사진을 이용하여 측량하는 방법으로, 사진을 찍을 때의 기상조건이나 태양고도와는 무관하게 측량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상조건 및 태양고도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다른 측량 방법에 비해 측량의 정확도가 균일하고, 정량적이고 정성적인 측량이 가능하며, 분업화에 의한 작업능률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A점과 B점간의 수평거리가 20m 이고, A점의 지반고가 9.5m, B점의 지반고가 12m 이다. 두 점간의 10m 높이의 등고선이 통과하는 위치는 A점에서 얼마인가?

  1. 3.2m
  2. 3.6m
  3. 4.0m
  4. 4.4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A와 B의 고도차이는 2.5m이다. 이를 이용하여 A에서 10m 높이의 등고선과 B에서 10m 높이의 등고선이 만나는 지점의 고도차이를 구할 수 있다. A에서 10m 높이의 등고선과 A점의 고도차이는 0.5m이고, B에서 10m 높이의 등고선과 B점의 고도차이는 -2m이다. 따라서 A에서 10m 높이의 등고선과 B에서 10m 높이의 등고선이 만나는 지점의 고도차이는 2.5m - 0.5m - (-2m) = 5m이다. 이 지점에서 A까지의 수직거리는 10m이므로, A에서의 고도는 9.5m + 5m - 10m = 4.5m이다. 따라서 A에서의 등고선과 10m 높이의 등고선이 만나는 지점의 고도는 4.0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음파탐사(acoustic prospecting)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해저층에 대한 투과력을 높이기 위하여 음향측심보다 저주파를 사용한다.
  2. 반사법은 해저표면 및 그 부근 저면에서 반사된 음파의 수신기록에 의하여 조사하는 방법이다.
  3. 굴절법은 음원과 수신점 사이의 거리와 음파도달시간 차에 의하여 지층 내 음파속도를 구하여 지층구조를 파악한다.
  4. 음파탐사는 음향측심과 따로 실시하여 양자의 기록을 비교함으로써 판독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음파탐사는 음향측심과 따로 실시하여 양자의 기록을 비교함으로써 판독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음파탐사는 음향측심과 함께 실시하여 양자의 기록을 비교하여 지층 구조를 파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해양측량에서 해안선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해수면의 높이는?

  1. 약최고고조면
  2. 평균해수최저면
  3. 평균해수면
  4. 약최저저조면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측량에서는 해안선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해수면의 높이를 측정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해수면의 높이는 일정한 기준면에 대한 높이를 의미합니다. 이 기준면은 평균해수면이나 약최고고조면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해안선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가장 적합한 것은 약최저저조면입니다. 이는 해안에서 가장 낮은 저조일 때의 해수면 높이를 의미하며, 해안선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가장 정확한 기준면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재료공학

81. P.C 강봉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제조방법에 따라 인발강봉, 압연강봉 및 열처리강봉으로 구분한다.
  2. 강봉의 신장율은 5% 이상이 되어야 한다.
  3. 강봉은 강연선에 비하여 부착강도가 크고 안전하다.
  4. 강봉(SBPD 930/1080)의 릴랙세이션은 1.5% 이하로 규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강봉의 신장율은 5%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강봉은 강연선에 비하여 부착강도가 크고 안전한 이유는 강도가 높기 때문이다. 강봉은 인발강봉, 압연강봉, 열처리강봉으로 구분되며, 강봉(SBPD 930/1080)의 릴랙세이션은 1.5% 이하로 규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지름 4cm, 길이 100cm의 봉에 6000kg의 인장하중을 부과하였다면 축방향의 신장은? (단, E = 0.63×106 kg/cm2)

  1. 7.58×10-2cm
  2. 7.58×10-3cm
  3. 8.58×10-2cm
  4. 8.58×10-3cm
(정답률: 알수없음)
  • 인장하중이 부과된 봉은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게 됩니다. 이 때, 봉의 길이 방향으로의 신장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Delta L = frac{FL}{AE}$$

    여기서, $F$는 인장하중, $L$은 봉의 길이, $A$는 봉의 단면적, $E$는 탄성계수입니다.

    봉의 단면적 $A$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A = frac{pi d^2}{4}$$

    여기서, $d$는 봉의 지름입니다.

    따라서, $Delta L$을 구하기 위해서는 $A$와 $E$의 값을 알아야 합니다.

    $$A = frac{pi times 4^2}{4} = 4pi$$

    $$Delta L = frac{6000 times 100}{4pi times 0.63times10^6} approx 7.58times10^{-2}$$

    따라서, 축방향의 신장은 약 7.58×10-2c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철강재료 함유 원소 중 기계적 성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1. 탄소
  2. 규소
  3. 유황
(정답률: 알수없음)
  • 탄소는 철강재료의 강도와 경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탄소 함량이 높을수록 강도와 경도가 높아지며, 탄소 함량이 낮을수록 연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기계적 성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탄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금속재료의 피로시험을 가장 적합하게 설명한 것은?

  1. 피로시험은 정하중 또는 사하중을 부하하는 시험이다.
  2. 피로시험은 정하중 또는 충격하중을 부하하는 시험이다.
  3. 피로시험은 반복하중 또는 교번하중을 반복적으로 부하하는 시험이다.
  4. 피로시험은 충격하중을 부하하는 시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피로시험은 금속재료가 반복적으로 부하를 받을 때 얼마나 오래 감당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따라서 "피로시험은 반복하중 또는 교번하중을 반복적으로 부하하는 시험이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단면적 10cm2 재료에 5000kg의 전단하중이 작용하고 있다. 전단변형도 a는? (단, 전단탄성계수 G = 0.81×106 kgf/cm2)

  1. a = 6.17 × 10-4
  2. a = 7.17 × 10-5
  3. a = 8.17 × 10-5
  4. a = 9.17 × 10-5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모듈러스 G는 τ/γ의 비로 정의된다. 따라서 τ = Gγ 이다. 이 문제에서는 τ와 A가 주어져 있으므로 γ를 구하면 된다. τ = F/A = 5000 kgf / 10 cm^2 = 500 kgf/cm^2 이다. 따라서 γ = τ/G = 500 / 0.81×10^6 = 6.17 × 10^-4 이다. 따라서 정답은 "a = 6.17 × 10^-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서 압축강도가 클수록 작게 되는 것은?

  1. 압축강도에 대한 인장강도의 비
  2. 탄성계수
  3. 지압강도
  4. 전단강도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는 압축하면 강하고 인장하면 약하기 때문에, 압축강도가 클수록 인장강도는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압축강도에 대한 인장강도의 비"가 정답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탄성계수는 물질의 탄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지압강도는 표면에 작용하는 압력에 대한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전단강도는 물질이 전단력에 대해 얼마나 강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하중작용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의 최대 응력은 평균응력과 동일한 분포 양상을 보이고 응력집중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런 현상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재료의 연속성
  2. 재료의 등방성
  3. 생브낭 원리
  4. 선형탄성이론
(정답률: 알수없음)
  • 생브낭 원리는 하중이 가해지는 구조물에서 응력이 일정하게 분포되는 원리를 말한다. 이는 재료의 등방성과 연속성에 기반하며, 선형탄성이론에 따라 적용된다. 따라서 하중작용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의 최대 응력은 평균응력과 동일한 분포 양상을 보이고 응력집중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콘크리트를 이루는 기본적인 재료가 아닌 것은?

  1. 시멘트
  2. 철근
  3. 골재
(정답률: 알수없음)
  • 철근은 콘크리트의 보강재료로 사용되는 것이지만, 콘크리트를 이루는 기본적인 재료는 아닙니다. 콘크리트를 이루는 기본적인 재료는 시멘트, 물, 골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어떤 재료를 두들기면 엷게 늘어나는데 이 성질은?

  1. 연성(Ductility)
  2. 인성(Toughness)
  3. 취성(Brittleness)
  4. 전성(Malleability)
(정답률: 알수없음)
  • 재료가 두들겨져도 엷게 늘어나는 성질은 전성(Malleability)입니다. 이는 재료가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성이 높은 재료는 다양한 형태로 가공이 가능하며, 금속 등의 재료에서 많이 나타나는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해수 중에 포함된 다양한 염류 중에서 콘크리트에 침투하여 에트링가이트(Ettringite)를 생성, 콘크리트를 팽창시켜 내구성 저하와 균열을 유발하는 물질은?

  1. 염소이온
  2. 황산염이온
  3. 마그네슘이온
  4. 나트륨이온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는 수분과 반응하여 에트링가이트를 생성하는데, 이때 황산염이온이 필요합니다. 황산염이온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침투하여 에트링가이트를 생성하고, 이 과정에서 콘크리트를 팽창시켜 내구성 저하와 균열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황산염이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매스콘크리트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매스콘크리트란 댐 등과 같이 부피가 큰 콘크리트를 말한다.
  2. 단위시멘트량은 소요의 워커빌리티 및 강도가 얻어지는 범위 내에서 되도록 크게 정해야 한다.
  3. 사용하는 시멘트는 되도록 콘크리트 부재의 내부온도 상승이 적은 것을 택한다.
  4. 콘크리트를 친 후 표면에 급격한 온도 변화 및 건조가 일어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위시멘트량은 소요의 워커빌리티 및 강도가 얻어지는 범위 내에서 되도록 크게 정해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단위시멘트량이 크면 강도가 높아지고, 작으면 워커빌리티가 좋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범위 내에서 크게 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지름 3cm, 길이 100cm의 연강봉에 인장하중을 가해 0.05cm 신장되고, 0.0005cm 수축되었다. 포아송수는 얼마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알수없음)
  • 포아송수는 인장과 압축에 대한 변형률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즉, 포아송수는 (압축 변형률) / (인장 변형률) 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주어진 문제에서 인장하중을 가해 0.05cm 신장되었으므로 인장 변형률은 0.05cm / 100cm = 0.0005 이다. 또한, 수축 변형률은 0.0005cm / 100cm = 0.000005 이다.

    따라서 포아송수는 0.000005 / 0.0005 = 0.01 이다. 이 값은 보기에서 "3" 이므로 정답은 "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전단응력을 τ, 비틀림 모멘트를 T라 할 때 축의 직경 d는?

(정답률: 알수없음)
  • d는 τ와 T에 비례하며, d^3은 τ/T에 비례한다. 따라서 τ와 T가 같은 비율로 증가하면 d^3도 같은 비율로 증가하므로, d는 τ와 T에 비례한다. 그러므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짐이 필요한 다음 실험 중 실험 1회를 완료하는 동안 다짐회수가 서로 다른 시험은?

  1. 모르터 압축강도시험용 3연형 공시체 제작
  2. 슬럼프콘에 의한 된반죽 콘크리트의 슬럼프시험
  3. 공기실 압력법에 의한 콘크리트 공기함유량시험
  4.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블리딩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모르터 압축강도시험용 3연형 공시체 제작"은 실험 1회를 완료하는 동안 다짐회수가 서로 다른 시험이다. 이는 제작하는 3개의 공시체마다 다른 압축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 다른 다짐회수를 가지고 제작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해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감조부에 시공이음을 두어서는 안 된다.
  2. 염해를 가장 많이 받을 우려가 있는 부위는 해수 중에 있는 콘크리트이다.
  3. 콘크리트는 재령 5일까지 해수에 직접 닿지 않게 한다.
  4. 간격재를 설치하여 소정의 철근피복이 확보되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염해를 가장 많이 받을 우려가 있는 부위는 해수 중에 있는 콘크리트이다."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해수는 염분이 많아 콘크리트에 부식을 일으키기 때문에 해양콘크리트는 염해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공시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굳지 않은 콘크리트 시료를 채취하여 제조한다.
  2. 국제적으로 같은 형상의 공시체가 사용된다.
  3.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다.
  4. 28일 동안 습윤양생(표준양생) 후 시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국제적으로 같은 형상의 공시체가 사용된다."는 틀린 설명이 아니라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공시체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측정함으로써, 다른 나라나 지역에서도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환경 중에서 Ni 이 내식성을 가지는 환경은?

  1. 산소가 없는 물
  2. 해수
  3. 산화염
  4. 황을 포함한 환원성 분위기
(정답률: 알수없음)
  • Ni는 산화되기 쉬운 금속이므로 산화염이나 황을 포함한 환원성 분위기에서 내식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산소가 없는 물"은 산화 반응이 일어날 수 없으므로 Ni는 내식성을 가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산소가 없는 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연성 천이온도(dugtility transit)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재료의 연성 천이온도는 낮을수록 좋다.
  2. 연성 천이는 주로 체심 입방계 금속에서 일어난다.
  3. 결정립이 작을수록 연성 천이온도는 높아진다.
  4. 강 중의 Mn은 연성 천이온도를 낮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결정립이 작을수록 연성 천이온도는 높아진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실제로는 결정립이 작을수록 연성 천이온도는 낮아진다. 이는 결정립이 작을수록 재료 내부에서의 변형이 쉬워지기 때문이다. 즉, 결정립이 작을수록 재료는 더욱 강하고 내구성이 높아지며, 연성 천이온도가 낮아져서 더욱 우수한 재료로 평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하는 혼화재료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감수제
  2. AE제
  3. 포졸란
  4. 촉진제
(정답률: 알수없음)
  • 촉진제는 콘크리트의 초기 경화를 빠르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혼화재료로, 워커빌리티를 개선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촉진제는 적합하지 않은 혼화재료입니다. 감수제는 수분을 흡수하여 콘크리트의 경화를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며, AE제는 공기 포함제로서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를 조절하여 워커빌리티를 개선합니다. 포졸란은 시멘트 대체재로 사용되며, 콘크리트의 경화를 늦추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재료의 역학적 성질이 아닌 것은?

  1. 광성
  2. 탄성
  3. 소성
  4. 점성
(정답률: 알수없음)
  • 광성은 재료가 외부 충격에 대해 쉽게 파괴되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이는 재료의 역학적 성질이 아니라 물리적 성질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광성"입니다. 탄성은 외부의 작용에 대해 변형되었다가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오는 성질, 소성은 고체가 가열되어 녹는 성질, 점성은 물질이 흐르는 데에 저항을 가하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