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7-18)

원형기능사
(2004-07-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금속재료일반

1. 상온에서 비중이 약 1.74인 금속은?

  1. Zn
  2. Hg
  3. Sn
  4. Mg
(정답률: 알수없음)
  • 상온에서 비중이 약 1.74인 금속은 "Mg"입니다. 이는 매우 간단한 이유로, 다른 보기들의 비중이 상온에서 훨씬 높기 때문입니다. Zn의 비중은 7.14, Hg의 비중은 13.53, Sn의 비중은 7.31인 반면, Mg의 비중은 1.74로 가장 낮습니다. 따라서, 상온에서 비중이 약 1.74인 금속은 M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주철 중에 함유되어 있는 탄소의 함유량(%)은?

  1. 2.5∼4.5
  2. 1.0∼1.8
  3. 0.6∼0.9
  4. 0.1∼0.5
(정답률: 알수없음)
  • 주철은 탄소와 철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탄소의 함유량이 2.5~4.5%인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탄소의 함유량이 너무 적거나 많아서 원하는 물성을 갖추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탄소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주철이 부서지기 쉽고, 너무 많으면 너무 단단해져 가공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2.5~4.5%가 적절한 범위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알파(α)철의 자기변태점은?

  1. A1
  2. A2
  3. A3
  4. A4
(정답률: 알수없음)
  • 알파(α)철은 강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장이 일정 온도 이상에서 강하게 변화하는 자기변태점이 존재합니다. 이 자기변태점은 약 770℃에서 일어나며, 이때 알파(α)철은 자기장을 잃고 감자성(soft magnetic)을 가지게 됩니다. 이 중에서 자기장이 가장 강하게 변화하는 지점이 A2이므로 정답은 A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금속 원소 중 모스 경도가 가장 큰 것은?

  1. Zn
  2. Mg
  3. Cu
  4. Fe
(정답률: 알수없음)
  • 모스 경도란 물질의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물질의 표면에 일정한 압력을 가해가며 그 표면에 생긴 흔적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 때, 모스 경도가 높을수록 물질의 경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Fe(철)은 다른 보기인 Zn(아연), Mg(마그네슘), Cu(구리)보다 원자 반지름이 작고 전자 수가 많아서 결합력이 강하며, 결정 구조가 밀도 높은 체계를 이루기 때문에 모스 경도가 가장 큽니다. 따라서 정답은 "F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동일 조건에서 비중이 가장 큰 것은?

  1. 주석
  2. 니켈
  3. 망간
(정답률: 알수없음)
  • 동일 조건에서 비중이 가장 큰 것은 "은"입니다. 이는 은의 밀도가 다른 보기에 비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금속의 결정구조에서 FCC는?

  1. 체심입방격자
  2. 면심입방격자
  3. 조밀육방격자
  4. 주밀체심격자
(정답률: 알수없음)
  • FCC는 "면심입방격자"입니다. FCC 구조는 각 코너와 중심을 잇는 대각선이 모두 같은 길이인 정육면체 형태를 띠고 있으며, 각 코너에는 원자가 위치하고, 각 면의 중심에도 원자가 위치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원자들이 가장 밀도가 높게 배치되어 있어서, 금속의 물성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축전지 전극, 퓨즈, 화폐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밀도가 약 11 인 금속은?

  1. 망간
  2. 아연
  3. 규소
(정답률: 알수없음)
  • 축전지 전극, 퓨즈, 화폐 등에 사용되는 금속은 전기 전도성이 높고 부식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 밀도가 약 11인 금속은 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탄소공구강의 한국산업규격의 기호는?

  1. SW
  2. STC
  3. SKT
  4. SPH
(정답률: 알수없음)
  • 탄소공구강의 한국산업규격의 기호는 "STC"입니다. 이는 "S"는 Steel(강철)을 의미하고, "T"는 Tool(공구)을 의미하며, "C"는 Carbon(탄소)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탄소공구강은 STC로 표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탄소 함유량이 0.2% 이하인 탄소강에 대한 설명 중 틀린것은?

  1. 소성가공이 용이하다.
  2. 냉간가공과 용접성이 좋다.
  3. 내마멸성과 강도를 필요로 하는 부품의 사용에 적합하다.
  4. 거의 림드강으로 사용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탄소 함유량이 0.2% 이하인 탄소강은 내마멸성과 강도를 필요로 하는 부품의 사용에 적합하다. 이는 탄소 함유량이 낮아서 강도가 높고, 동시에 소성가공이 용이하며 냉간가공과 용접성이 좋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마멸성과 강도를 필요로 하는 부품에 사용되며, 거의 림드강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스테인리스강의 성분 원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크롬
  2. 니켈
(정답률: 알수없음)
  • 스테인리스강은 크롬, 니켈, 철 등의 원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납은 스테인리스강의 성분 원소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납이 스테인리스강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납은 스테인리스강보다 부식성이 높아서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테인리스강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탄소강에서 펄라이트의 혼합조직은?

  1. 오스테나이트 + 솔바이트
  2. 오스테나이트 + 페라이트
  3. 페라이트 + 시멘타이트
  4. 페라이트 + 마텐자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탄소강은 탄소 함량에 따라 다양한 혼합조직을 가질 수 있습니다. 펄라이트의 혼합조직은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입니다. 이는 탄소강에서 가장 일반적인 혼합조직 중 하나이며, 탄소 함량이 낮은 경우에 나타납니다. 페라이트는 탄소 함량이 낮은 상태에서의 철의 기본 구조이며, 시멘타이트는 탄소 함량이 높아질수록 형성되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탄소강에서 펄라이트의 혼합조직은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감마(γ)철을 나타내는 조직은?

  1. 페라이트
  2. 시멘타이트
  3. 오스테나이트
  4. 솔바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감마(γ)철은 고온에서 안정적인 상태의 철의 결정 구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감마(γ)철을 나타내는 조직은 고온에서 형성되는 오스테나이트입니다. 페라이트, 시멘타이트, 솔바이트는 모두 감마(γ)철과는 다른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열분석에 의한 금속의 변태점 측정법은?

  1. 아말감 시험 방법
  2. 임펄스 투과 방법
  3. 슴프 시험 방법
  4. 시간-온도 곡선에 의한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열분석에 의한 금속의 변태점 측정법에서 시간-온도 곡선에 의한 방법은 금속 시료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면서 시간에 따른 금속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여 변태점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금속의 열적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신뢰성이 높고, 다양한 금속 시료에 적용할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용융점(℃)이 약 1538 인 금속 원소는?

  1. Pt
  2. W
  3. Fe
  4. Mn
(정답률: 알수없음)
  • 용융점이 1538℃인 금속 원소는 철(Fe)입니다. 이는 철이 다른 보기인 Pt, W, Mn보다 높은 용융점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P)을 많이 함유한 주철중에 나타나는 철, 인화철, 시멘타이트의 3원 공정조직은?

  1. 스테아다이트
  2. 아시큘라이트
  3. 마그마나이트
  4. 오스포나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마그마나이트"입니다.

    주철은 철과 인(P)을 함유한 합금으로, 철과 인(P)의 비율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철과 인(P)의 비율이 비슷한 주철은 인화철이라고 부릅니다. 인화철은 철과 인(P)이 고루 분포되어 있어서 3원 공정조직을 갖습니다.

    시멘타이트는 철과 칼슘, 실리콘 등의 원소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주로 시멘트 제조에 사용됩니다. 시멘타이트도 철과 다른 원소들이 고루 분포되어 있어서 3원 공정조직을 갖습니다.

    따라서, 주철중에서 나타나는 철, 인화철, 시멘타이트는 모두 3원 공정조직을 갖습니다.

    스테아다이트, 아시큘라이트, 오스포나이트는 모두 주철과는 관련이 없는 물질들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제도 도면에서 치수선으로 사용되는 선은?

  1. 가는 실선
  2. 중간 굵기의 실선
  3. 가는 일점 쇄선
  4. 굵은 실선
(정답률: 알수없음)
  • 제도 도면에서 치수선은 가는 실선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치수선이 다른 선들과 구분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가는 실선은 다른 선들과 구분하기 쉽고, 치수를 측정하기에도 가장 정확하며 명확합니다. 또한, 가는 실선은 치수선으로서의 역할을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굵기와 종류가 표준화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도면을 접을 때 기준이 되는 크기는?

  1. A1
  2. A2
  3. A3
  4. A4
(정답률: 알수없음)
  • 도면을 접을 때 기준이 되는 크기는 A4입니다. 이는 ISO 216 규격에 따라서 A0 크기를 기준으로 한 번씩 접으면 A1, A2, A3, A4 크기로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4는 가장 작은 크기이며, 도면을 접을 때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척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척도에는 실척, 축척, 배척의 3 종류가 있다.
  2. 척도는 도면의 표제란에 기입한다.
  3. 도형이 치수에 비례하지 않을 때는 척도를 기입하지 않고, 별도의 표시도 하지 않는다.
  4. 척도는 도형의 크기와 실물의 크기와의 비율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형이 치수에 비례하지 않을 때는 척도를 기입하지 않고, 별도의 표시도 하지 않는 이유는 척도는 도면의 크기와 실물의 크기와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도형이 치수에 비례하지 않는다면, 척도를 표시하는 것은 의미가 없기 때문에 생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현과 호의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현의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선은 현에 평행한 직선으로 나타낸다.
  2. 호의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선은 호와 동심원으로 나타낸다.
  3. 현과 호를 구별할 때는 치수 숫자 앞에 현 또는 호라고 쓴다.
  4. 2개 이상의 원호일지라도 한 곳에만 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2개 이상의 원호일지라도 한 곳에만 표시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원호가 겹치는 부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원호에 대해 치수선을 따로 표시하여 구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제도에서 치수숫자와 같이 사용하는 기호가 아닌 것은?

  1. R
  2. Y
(정답률: 알수없음)
  • 위의 보기에서 Y는 제도에서 사용되지 않는 기호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나머지 기호들은 각각 치수숫자, 반지름, 정사각형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금속제도

21. 도면에 기입된 "43 - 20 드릴" 표시에서 43 이 뜻하는 것은?

  1. 드릴 지름
  2. 드릴 구멍수
  3. 드릴 구멍간격
  4. 드릴 구멍깊이
(정답률: 알수없음)
  • 43은 드릴 구멍수를 뜻합니다. 이는 도면상에서 해당 부품에 들어갈 드릴 구멍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드릴의 크기나 깊이, 간격 등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물체의 3각법의 우측면도를 옳게 나타낸 것은?(단, 화살표는 정면을 나타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물체의 우측면도를 보면, 물체의 높이와 너비가 모두 작아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시야가 물체의 우측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물체가 멀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높이와 너비가 모두 작아지는 것을 옳게 나타낸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기계구조용 탄소강재 "S M 45 C"에서 45가 뜻하는 것은?

  1. 최저인장강도
  2. 탄소함유량
  3. 종별기호
  4. 두께
(정답률: 알수없음)
  • S M 45 C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소강재 중 하나입니다. 여기서 45는 이 강재의 탄소함유량을 나타냅니다. 탄소함유량은 강재 내에 포함된 탄소의 양을 나타내며, 이는 강재의 경도와 강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탄소함유량이 높을수록 강도가 높아지고 경도가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치수공차 : 0.025
  2. 최소 허용치수 : 39.975
  3. 최대 허용치수 : 40.025
  4. 아래 치수허용차 : 0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것은 없습니다.

    최소 허용치수가 39.975인 이유는, 치수공차가 0.025이므로 최소값인 39.95에서 치수공차를 더한 0.025를 더한 값이 최소 허용치수인 39.97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나사 도시에서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은?

  1. 굵은 실선
  2. 가는 일점쇄선
  3. 가는 이점쇄선
  4. 숨은선
(정답률: 알수없음)
  •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는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이는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가 서로 다른 부품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굵은 실선으로 경계를 나타내어 구분해야 한다. 가는 일점쇄선, 가는 이점쇄선, 숨은선은 다른 부품이나 기능을 나타내는 경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도형의 일부를 도시하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에 그 필요한 일부분만 그린 투상도는?

  1. 보조 투상도
  2. 부분 투상도
  3. 회전 투상도
  4. 부분 확대도
(정답률: 알수없음)
  • 부분 투상도는 도형의 일부분만 그려서 충분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도형의 전체를 그리는 것이 필요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만 그리면 되기 때문에 부분 투상도라고 부릅니다. 다른 보기들은 도형을 다른 방식으로 투영하거나 확대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도면에서 표제란의 원칙적인 위치는?

  1. 왼쪽 위
  2. 왼쪽 아래
  3. 오른쪽 위
  4. 오른쪽 아래
(정답률: 알수없음)
  • 도면에서 표제란은 일반적으로 오른쪽 아래에 위치합니다. 이는 도면을 읽을 때, 왼쪽에서 오른쪽, 위에서 아래로 읽는 방향에 따라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게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도면의 크기와 비례에 따라 위치가 조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오른쪽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금형을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금형재료의 성질은?

  1. 연성
  2. 내구성
  3. 메짐성
  4. 전성
(정답률: 알수없음)
  • 금형은 반복적인 사용과 고온, 고압 등의 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내구성이 높은 금형재료를 사용하면 금형의 수명이 늘어나고, 생산성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형을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성질은 내구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미술 주물의 제작에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1. 진토형
  2. 왁스형
  3. 수지형
  4. 석고형
(정답률: 알수없음)
  • 미술 주물의 제작에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석고형입니다. 이는 석고가 비교적 저렴하고 쉽게 다룰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석고형은 다른 주물 형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단단하고 내구성이 높아서, 복제품을 만들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구멍뚫린 주물의 제품을 만들 때 사용되는 것은?

  1. 부분형
  2. 코어형
  3. 회전형
  4. 고르개형
(정답률: 알수없음)
  • 구멍뚫린 주물의 제품을 만들 때는 코어형이 사용됩니다. 이는 주물의 내부에 구멍을 만들기 위해 삽입되는 중심축이 있는 형태의 모형으로, 주물이 굳기 전에 코어를 제거하여 내부 구멍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현형 목형에서 실제 물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부분은?

  1. 코어프린트
  2. 모서리
  3. 라운딩
  4. 수평
(정답률: 알수없음)
  • 현형 목형에서는 실제 물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코어프린트"가 있습니다. 이는 목재를 가공할 때 사용되는 특수한 도구로, 목재의 내부에 새겨진 패턴이나 디자인을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실제 물건에서는 보이지 않는 부분입니다. 모서리와 라운딩은 실제 물건에서도 나타나는 부분이며, 수평은 목재의 수평선을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현형 목형에서도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아교로 붙여 접합한 부분을 절삭할 때 밀리지 않도록 튼튼히 고정하여 작업하기에 알맞도록 한 것은?

  1. 대못
  2. 쇠못
  3. 꺽쇠
  4. 만력
(정답률: 알수없음)
  • 꺽쇠는 끝 부분이 특별히 굽혀져 있어서 절삭할 때 밀리지 않고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대패에 덧날을 끼우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1. 원날이 잘 빠지게 하기 위해
  2. 작업에 힘이 덜들게
  3. 날이 흔들리지 않게
  4. 대패밥에 거슬럼이 일지 않게
(정답률: 알수없음)
  • 대패밥에 거슬럼이 일지 않게 - 대패에 덧날을 끼우면 대패와 원날 사이에 공간이 생겨서 대패밥이 원활하게 떨어지고 거슬럼이 일어나지 않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연재의 경우 대팻날의 절삭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5°
  2. 35°
  3. 50°
  4. 90°
(정답률: 알수없음)
  • 연재는 대팻날의 절삭각이 작을수록 좋습니다. 이는 대팻날이 더 날카로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5°보다는 35°가 더 적합합니다. 50°는 중간 정도이며, 90°는 대팻날이 없는 것과 같아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등대기톱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짧고 정밀하게 켜는데 쓰이는 톱은?

  1. 양날톱
  2. 세공톱
  3. 활톱
  4. 오림톱
(정답률: 알수없음)
  • 등대기톱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짧고 정밀하게 켜는데 쓰이는 톱은 세공톱입니다. 이는 세공 작업을 위해 만들어진 톱으로, 작은 공간에서 정밀한 작업이 필요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등대기톱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작은 공간에서의 정밀한 작업에 적합한 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자동 대패 작업을 할 때 가장 위험한 것은?

  1. 길이가 짧은 목재는 깍지 않는다.
  2. 충분히 회전시킨 다음 사용한다.
  3. 한번에 3mm 이상을 깍는다.
  4. 길이가 200mm 이상의 것을 깍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번에 3mm 이상을 깍는 것은 너무 많은 재료를 제거하기 때문에 작업 도중에 대패가 흔들리거나 불안정해질 수 있으며, 이는 작업자와 기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은 양을 꾸준히 깍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나무의 벌채 시기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수액이 적을 때
  2. 여름철
  3. 유년기
  4. 성장 작용이 계속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나무의 수액은 나무가 생장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나무가 성장하는 봄철에는 수액이 많이 분비됩니다. 하지만 가을철이 되면 나무의 성장이 멈추고 수액 분비량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수액이 적은 가을철이나 겨울철에 벌채를 하면 나무가 손상을 입을 확률이 적어지므로 가장 적당한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접착제 중 합성수지계의 성분이 아닌 것은?

  1. 석탄산
  2. 질산
  3. 요소포르말린
  4. 아세틸렌
(정답률: 알수없음)
  • 질산은 산성 성분이며, 접착제에 사용되는 합성수지계의 성분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합성수지계의 성분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그림에서 목형용 재료로 가장 적합한 부분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C"는 나무의 줄기 부분으로, 목형용 재료로 가장 적합합니다. 이유는 나무의 줄기는 굵고 직선적인 형태를 가지며, 내구성이 높아서 목조 가구나 조각 등에 많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A"와 "B"는 가지 부분으로 곡선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목형용 재료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D"는 뿌리 부분으로 형태가 불규칙하고 내구성이 낮아서 목형용 재료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잔형(殘型)에 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잔형은 큰 목형이나 복잡한 목형에 쓰인다.
  2. 본체에서 유리할 수 있게 붙이는 형이다.
  3. 본체형을 뽑아낸 후 나머지 형을 뽑을 때의 형이다.
  4. 목형의 본체만을 제작하는 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잔형은 목형의 본체만을 제작하는 형이 아니라, 본체에서 유리할 수 있게 붙이는 형입니다. 목형의 본체만을 제작하는 형은 본체형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원형제작

41. 목형제작을 할 때 가공여유의 설명이 맞는 것은?

  1. 비틀리는 방향에 주로 해당된다.
  2. 절삭부분에 가공기호와 정밀도를 나타낸다.
  3. 형상이 작고 제조수량이 많은 주물에 사용된다.
  4. 대량생산의 경우 가능한 많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절삭은 재료를 자르는 가공 방법 중 하나이며, 이때 가공기호와 정밀도를 나타내는 것은 해당 부분의 가공 방법과 정확도를 나타내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절삭부분에 가공기호와 정밀도를 나타내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띠톱 기계로 재료를 절단할 때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지름이 큰 둥근막대를 절단할 때는 두손으로 단단히 쥐고 절단하여야 한다.
  2. 띠톱날을 너무 팽창하거나 늦추어서는 안된다.
  3. 판재는 테이블에 밀착시켜 밀어야 한다.
  4. 작업시는 장갑을 끼어서는 안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름이 큰 둥근막대를 절단할 때는 두손으로 단단히 쥐고 절단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두 손으로 재료를 고정하면 띠톱날과 손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대신에, 절단할 재료를 고정하는 특수한 클램프나 테이블속에 고정시켜서 절단하는 것이 안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현도 작성시 유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가능한한 기계가공면을 많게 한다.
  2. 보강용 리브는 원살두께보다 얇게 한다.
  3. 구조는 밀폐식을 피하고 개방식으로 한다.
  4. 신축되지 않은 두곳을 연결하는 아암(arm)등에는 직선보다 곡선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능한한 기계가공면을 많게 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기계가공면이 많을수록 제작 과정에서 정확도와 품질이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능한한 기계가공면을 많게 하는 것이 현도 작성시 유의사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목재의 함수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료를 건조하려면 건조기의 건조 온도를 몇도로 하는가?

  1. 70 ∼ 90℃
  2. 100 ∼ 105℃
  3. 130 ± 5℃
  4. 145 ± 5℃
(정답률: 알수없음)
  • 목재의 함수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료를 완전히 건조시켜야 합니다. 이때 건조기의 온도는 시료가 손상되지 않으면서 빠르게 건조될 수 있는 온도여야 합니다. 목재는 대부분 수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건조 온도가 낮으면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높으면 시료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목재의 함수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보통 100 ∼ 105℃의 온도에서 건조합니다. 이 온도는 목재를 빠르게 건조시키면서도 시료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적절한 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주형에서 목형을 뽑아낼 때 어느 일부분을 뽑아낼 수 없는 곳이 있으면 그 부분만을 미리 분할한 것으로서 먼저 본체를 뽑은 다음 턱 쪽을 뽑아내는 형은?

  1. 겹침형
  2. 일부조립형
  3. 반쪽형
  4. 단체형
(정답률: 알수없음)
  • 주형에서 목형을 뽑아낼 때 일부분을 뽑아낼 수 없는 경우, 그 부분만을 미리 분할한 후 본체를 뽑은 다음 분할한 부분을 따로 뽑아내는 형태를 일부조립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일부조립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목형제작 순서를 가장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목형제작→ 목재준비→ 현도→ 도면
  2. 도면→ 현도→ 목재준비→ 목형제작
  3. 현도→ 목형제작→ 도면→ 목재준비
  4. 목재준비→ 현도→ 목형제작→ 도면
(정답률: 알수없음)
  • 목형제작을 먼저 하면, 어떤 목재를 사용해야 할지, 어떤 크기와 모양으로 제작해야 할지 등의 정보가 없기 때문에 목재준비와 도면 작업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도면을 먼저 작성하고, 그에 따라 필요한 목재를 준비한 후에 현도를 사용하여 목재를 가공하고, 마지막으로 목형을 제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순서입니다. 따라서, "도면→ 현도→ 목재준비→ 목형제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왁스원형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변형이 작을 것
  2. 형에서 떨어지지 않을 것
  3. 회분이 적을 것
  4. 연화점이 높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왁스원형의 구비조건 중에서 "형에서 떨어지지 않을 것"은 제외되어야 합니다. 왁스원형은 회전대에 고정된 형에 왁스를 주입하여 만드는 주조 방법으로, 형과 왁스가 밀착되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형에서 떨어지지 않는 것이 중요한 조건이 아니라, 오히려 형과 왁스가 밀착되어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제품의 단면이 작고 지름이 일정하며 길이가 길 때 어느 목형으로 만들면 가장 좋은가?

  1. 분할형
  2. 회전형
  3. 단체형
  4. 긁기형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이 작고 지름이 일정하며 길이가 긴 제품은 긁기형 목형으로 만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는 긁기형 목형이 제품의 길이에 따라 나누어져 있어 제품의 길이에 맞게 목형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긁기형 목형은 제품의 표면을 깨끗하게 다듬을 수 있어 완성도가 높은 제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1자 2치각 길이 9자 목재는 몇 사이인가?

  1. 108
  2. 90
  3. 54
  4. 16
(정답률: 알수없음)
  • 1자 2치각은 한쪽 끝이 직각이고 다른 쪽 끝이 45도 각인 목재를 말합니다. 이러한 목재를 대각선 목재라고도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대각선 목재의 길이가 9자이므로, 직각 삼각형의 빗변의 길이가 9자인 것입니다. 직각 삼각형에서 빗변의 길이는 밑변의 길이와 높이의 길이의 제곱합의 제곱근과 같습니다. 따라서, 밑변의 길이와 높이의 길이를 구해야 합니다. 1자 2치각의 밑변과 높이의 길이 비율은 1:1:√2 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밑변과 높이의 길이를 구하면, 밑변과 높이의 길이는 각각 9/√2, 9/√2 이 됩니다. 이제 밑변과 높이의 길이를 이용하여 면적을 구하면, 1/2 × (9/√2) × (9/√2) = 81/2 가 됩니다. 이 값을 2로 곱하면 대각선 목재의 면적이 됩니다. 따라서, 81/2 × 2 = 162/2 = 81 이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을 사이로 표현하라고 했으므로, 81을 2로 나누어 40.5를 반올림하여 41로 만들고, 이를 2로 곱한 값인 82를 1자 2치각 목재의 개수로 나누면, 108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목형의 도장작업에 필요한 도구가 아닌 것은?

  1. 도료 용기
  2. 스프레이건
  3. 로울러
(정답률: 알수없음)
  • 목형의 도장작업은 주로 붓이나 스프레이건을 사용하여 진행됩니다. 도료 용기는 도료를 담아두는 용도로 필요합니다. 하지만 로울러는 주로 벽면이나 바닥 등 대형 면적의 도장작업에 사용되는 도구이며, 목형의 작은 부분에는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로울러는 목형의 도장작업에 필요한 도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안전모를 사용하는 주 목적은?

  1. 보온을 위하여
  2. 추락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3. 작업장소를 알리기 위하여
  4. 작업중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모는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주로 높은 곳에서 작업할 때 추락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위험 유해물 작업상의 안전수칙 중 틀린 것은?

  1. 위험물 용기에는 품명을 흑색으로 명백히 표시하고 밀폐된 장소에 보관할 것
  2. 인화물질은 직사광선이 쪼이는 장소, 온도가 높은 장소, 화기주변에는 두지말 것
  3. 위험물 취급시 필요이상의 양을 작업장에 지참 하지 말 것
  4. 환기장치를 유효하게 사용하고 통풍이 잘되게 만들어 둘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위험물 용기에는 품명을 흑색으로 명백히 표시하고 밀폐된 장소에 보관할 것"이 틀린 것은, 위험물 용기에는 품명을 흑색으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규정에 따라 적절한 색상과 표시를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인화성물질은 빨간색으로 표시해야 합니다. 또한, 위험물 용기를 보관할 때에는 그 용기에 맞는 적절한 보관 방법을 따라야 하며, 모든 위험물이 밀폐된 장소에 보관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방화조치로서 적당치 못한 것은?

  1. 화기는 정해진 장소에서 취급한다.
  2. 흡연은 지정된 장소에서만 한다.
  3. 기름걸레 등은 정해진 용기에만 보관한다.
  4. 유류 취급장소에서는 방화수가 가장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류는 불에 매우 쉽게 붙어서 화재의 위험이 큽니다. 따라서 유류 취급장소에서는 방화수가 가장 좋은 방화조치입니다. 방화수는 불을 끄는 데 효과적이며, 유류와 같은 화재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미리 비치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작업장의 조명에 필요한 조건 중 틀린 것은?

  1. 작업의 종류에 따라 충분한 밝기로 할 것
  2. 광원이 흔들리지 않을 것
  3. 보통의 작업상태에서 눈이 부실 것
  4. 작업면과 그 주변의 밝기가 크게 다르지 않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보통의 작업상태에서 눈이 부실 것은 올바른 조명 조건이 아닙니다. 이는 작업자의 눈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작업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적절한 조명은 작업의 종류와 작업환경에 맞게 충분한 밝기와 광원 안정성을 제공하며, 작업면과 주변의 밝기 차이를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시력을 보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목공용 끌의 규격으로 맞는 것은?

  1. 앞날의 나비
  2. 끌날의 길이
  3. 끌자루의 길이
  4. 끌목의 길이
(정답률: 알수없음)
  • 목공용 끌의 규격은 "끌자루의 길이"입니다. "앞날의 나비"는 일종의 목공용 날로, 끌자루에 고정되어 사용됩니다. "끌날의 길이"와 "끌목의 길이"는 각각 끌의 날과 목재의 길이를 나타내는 용어이며, 끌의 규격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주조용 금형의 특징이 틀린 것은?

  1. 치수 변화가 거의 없고 내구성이 높다.
  2. 표면이 깨끗하다.
  3. 목형에 비해 무겁고 제작비가 적게 든다.
  4. 대량 생산인 경우 경제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조용 금형은 목형에 비해 무겁고 제작비가 적게 드는 것은 오히려 틀린 설명입니다. 이는 주조용 금형 제작에 필요한 재료와 기술적인 요소들이 목형에 비해 더 많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조용 금형은 대량 생산인 경우 경제적이지만, 제작비는 목형에 비해 높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지름에 변화가 있고 동심원형인 직선관이나 원뿔 모양의 주물을 제작할 때 사용하는 원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현물형
  2. 단체형
  3. 골격형
  4. 회전 긁기형
(정답률: 알수없음)
  • 회전 긁기형은 지름에 변화가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도, 회전하면서 자연스럽게 형태를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동심원인 직선관이나 원뿔 모양의 주물을 제작할 때 가장 적합합니다. 또한, 회전 긁기형은 제작이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이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기어 종류를 제작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긁어내는 부분은 단단한 나무로 만들고 높이가 큰 것일 때에는 2개의 판을 턱맞춤하여 목재를 절약하는 마름질은?

  1. 회전형 마름질
  2. 긁기형 마름질
  3. 골격형 마름질
  4. 나선형 마름질
(정답률: 알수없음)
  • 회전형 마름질은 회전하는 칼날을 이용하여 목재를 절단하는 방식으로, 높이가 큰 기어를 제작할 때에도 효율적으로 목재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각도와 곡선을 자유롭게 절단할 수 있어 디자인적 자유도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원형의 원가 계산의 일반적인 항목 구성으로 옳은 것은?

  1. 원형재질, 사용용도, 노무비
  2. 자재비, 노무비, 제경비
  3. 자재비, 제경비, 사용용도
  4. 자재비, 노무비, 생산수량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형의 원가 계산에서는 자재비, 노무비, 제경비가 일반적인 항목으로 포함됩니다. 자재비는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나 부재료 등의 비용을 의미하며, 노무비는 생산에 참여하는 인력의 임금과 관련된 비용을 의미합니다. 제경비는 생산설비나 장비 등의 유지보수, 수리, 감가상각 등의 비용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항목들은 원형의 생산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으로, 원가 계산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목형을 검사할 때 유의할 사항과 관련이 가장 먼 것은?

  1. 분할면, 코어프린트, 중심선과 치수, 수축 여유
  2. 제작자의 목형제작 경력과 특기 사항
  3. 원형기울기와 라운딩 및 보정 여유와 고정 여유
  4. 목형에 대한 특기 사항의 표시 및 도장 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다른 보기들은 모두 목형 검사 시에 유의해야 할 사항들이지만, "제작자의 목형제작 경력과 특기 사항"은 검사 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다른 보기들과 관련이 가장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