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석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7-21)

보석가공기능사
(2002-07-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보석재료

1. 다음 중 양질의 에메랄드를 산출하는 최대의 산지는?

  1. 브라질
  2. 콜롬비아
  3. 아프리카
  4. 소련
(정답률: 알수없음)
  • 콜롬비아는 에메랄드의 석영층이 가장 깊이 위치해 있어서, 보다 순수하고 투명한 에메랄드를 산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콜롬비아에서 산출되는 에메랄드는 색감이 진하고 빛나며, 크기도 큰 편이라서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1900년대 초 베르누이에 의한 합성루비의 방법은?

  1. 화염 용융법(Flame-fusion)
  2. 플럭스법(Flux-Growth)
  3. 수열법(Hydrothermal)
  4. 스컬멜트(Skull Melt)
(정답률: 알수없음)
  • 베르누이에 의한 합성루비의 방법은 화염 용융법이었습니다. 이는 루비 원료를 고온의 화염에서 용융시켜 빠르게 냉각시켜 합성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빠르게 루비를 생산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보석연마에 쓰이는 연마제의 입자크기는 대개 메쉬(mesh) 또는 마이크론(Micron)의 단위로 표시되어 있다. 이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메쉬는 그 수치가 크면 클수록 입자는 더 거칠다.
  2. 마이크론은 그 표시수치가 크면 클수록 입자의 크기는 더 거칠다.
  3. 양자의 표시수치는 같다.
  4. 양자의 수치는 서로 역비관계로 마이크론이 5 이면 메쉬는 1/5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마이크론은 그 표시수치가 크면 클수록 입자의 크기는 더 거칠다." 이다.

    마이크론은 입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수치가 커질수록 입자의 크기가 커진다. 따라서 수치가 크면 클수록 입자는 더 거칠다. 예를 들어, 5마이크론의 입자는 1마이크론의 입자보다 크고 거칠다.

    메쉬는 입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수치가 커질수록 입자의 크기가 작아진다. 따라서 수치가 크면 클수록 입자는 더 거칠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양자는 보석연마에 사용되는 연마제 입자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가 아니므로, 해당 문제와 무관하다.

    마이크론과 메쉬는 서로 역비례 관계가 아니므로, "메쉬는 그 수치가 크면 클수록 입자는 더 거칠다." 라는 설명도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강옥석을 주석판에 광택낼 때 주로 사용되는 광택제는?

  1. 다이아몬드 파우더
  2. 트리폴리
  3. 세륨옥사이드
  4. 틴옥사이드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아몬드 파우더는 다이아몬드의 경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주석판의 표면을 광택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강옥석을 주석판에 광택낼 때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수정류의 결정계는?

  1. 육방정계
  2. 등축정계
  3. 정방정계
  4. 사방정계
(정답률: 알수없음)
  • 수정류의 결정계는 육방정계입니다. 이는 수정의 결정이 육각형 모양을 이루며, 각 모서리가 직각이고 모든 면이 서로 같은 크기와 모양을 가지는 형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분산(dispersion)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돌의 색상량이다.
  2. 백색광이 두갈래로 나누어 지는 현상이다.
  3. 백색광의 구성색이 분리하는 현상이다.
  4. 자외선광이 분리하는 현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백색광은 여러 가지 색깔의 빛이 섞여 있는 광선이다. 이 광선이 물체를 통과하면서 각 색깔의 빛이 서로 다른 속도로 퍼져나가게 되는데, 이 때 각 색깔의 빛이 분리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분산이라고 한다. 따라서 "백색광의 구성색이 분리하는 현상이다."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투명한 방해석의 결정을 통하여 아래쪽의 문자를 보면 이중으로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1. 광학적 등방성이라 한다.
  2. 더블링(doubling)이라 한다.
  3. 편광이라 한다.
  4. 빛의 진동이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투명한 방해석의 결정은 광선을 두 개로 쪼개어 나타내는데, 이는 빛의 진동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방향으로 나뉘어 진행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더블링(doubling)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육방정계에 해당하지 않는 보석은?

  1. 루비
  2. 사파이어
  3. 에메럴드
  4. 스피넬
(정답률: 알수없음)
  • 스피넬은 육방정계에 속하지 않습니다. 육방정계는 결정 구조가 육각형(prism)과 육각뿔(prism with a pyramid)로 이루어진 보석들을 말합니다. 스피넬은 결정 구조가 정육면체(cube)이기 때문에 육방정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다이아몬드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등축정계로 결정된다.
  2. 흑연과 마찬가지로 주성분은 탄소로 이루어져 있다.
  3. 고온, 고압의 지하깊은 곳에서 생성된다.
  4. 일정한 원자 구조를 갖지 않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정한 원자 구조를 갖지 않고 있다는 것은 다이아몬드 분자 내에서 탄소 원자들이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이아몬드는 탄소 원자들이 sp3 하이브리드 오비탈을 형성하여 결합하고 있지만, 이 결합은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이아몬드는 일정한 원자 구조를 갖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페리도트의 주된 색은?

  1. 황색
  2. 황녹색
  3. 청색
  4. 암녹색
(정답률: 알수없음)
  • 페리도트는 마그네슘과 철을 함유한 광물로, 이 두 원소의 산화 상태에 따라 색이 결정됩니다. 주로 황녹색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마그네슘의 산화 상태가 +2이고 철의 산화 상태가 +3일 때 발생하는 색상이 황녹색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광물이라고 부를 수 없는 것은?

  1. 루비
  2. 에메랄드
  3. 합성사파이어
  4. 비취
(정답률: 알수없음)
  • 합성사파이어는 자연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인공적으로 합성된 보석이기 때문에 광물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합성사파이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합성보석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천연과 똑같은 화학성분을 가지고 있다.
  2. 천연과 똑같은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3. 천연과 똑같은 광학특성을 가지고 있다.
  4. 천연과 똑같은 내포물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것은 "천연과 똑같은 내포물을 가지고 있다." 입니다. 합성보석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보석으로, 천연보석과 달리 내포물이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천연과 매우 유사한 내포물을 가진 합성보석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유기물 중 화학성분이 전혀 다른 것은?

  1. 산호
  2. 진주
  3. 조개
  4. 호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호박"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동물성 유기물이며, 호박은 식물성 유기물이기 때문입니다. 동물성 유기물은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등의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식물성 유기물은 주로 탄수화물과 섬유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호박은 다른 보기들과 화학성분이 전혀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연마제 중 성질이 다른 하나는?

  1. 실리콘카바이트
  2. 탄화규소
  3. 카보런덤
  4. 린데 A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린데 A"입니다.

    탄화규소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높은 경도와 내마모성을 가지고 있어서 절삭가공, 연마재 등으로 사용됩니다.

    실리콘카바이트와 카보런덤도 연마재로 사용되지만, 탄화규소와는 성질이 다릅니다.

    린데 A는 연마재가 아니라, 치과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샌딩작업을 위한 샌더의 형태별 종류와 관계 없는 것은?

  1. 디스크형
  2. 드럼형
  3. 벨트형
  4. 수직형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직형 샌더는 샌딩 작업을 위한 적합한 형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형태의 샌더는 각각 디스크, 드럼, 벨트를 사용하여 표면을 샌딩할 수 있지만, 수직형 샌더는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수직형 샌더는 주로 선반, 문, 창문 등의 가장자리를 샌딩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루비와 합성루비의 더블릿(이중석)을 구별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검사법은?

  1. 비중
  2. 굴절율
  3. 형광
  4. 확대
(정답률: 알수없음)
  • 루비와 합성루비는 비중과 굴절율이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형광 역시 루비와 합성루비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구별에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루비와 합성루비를 구별하는 가장 중요한 검사법은 확대입니다. 루비는 자연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에 자연적인 결함이 존재하며, 이 결함들은 확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 합성루비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결함이 거의 없으며, 확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인공적인 결함들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확대 검사는 루비와 합성루비를 구별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첨정석 폴리싱에 알맞는 것은?

  1. 주철판에 다이아 콤파운드
  2. 루싸이드판에 산화세륨
  3. 페놀릭판에 산화주석
  4. 플라스틱판에 산화크롬
(정답률: 알수없음)
  • 첨정석은 주로 경화된 강철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주철판에 다이아 콤파운드가 가장 알맞습니다. 다이아 콤파운드는 다이아몬드 입자가 포함된 연마제로, 경도가 높은 금속을 연마할 때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첨정석의 경도가 높은 특성에 맞게 다이아 콤파운드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공작석의 녹색 발색소는?

  1. 크롬
  2. 구리
  3. 코발트
(정답률: 알수없음)
  • 공작석의 녹색 발색소는 구리이다. 이는 공작석 내부에 포함된 구리 이온이 녹색을 띄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회황색 또는 회갈색으로 캐언곰(cairngorm)이라고도 하는 수정은?

  1. 황수정
  2. 연수정
  3. 백수정
  4. 자수정
(정답률: 알수없음)
  • 캐언곰은 회황색 또는 회갈색으로 불리는데, 이는 연수정의 색상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수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수정과 유리를 착색 접착제로 접합한 것은?

  1. 트리플릿
  2. 금박
  3. 더블릿
  4. 에나멜
(정답률: 알수없음)
  • 수정과 유리를 착색 접착제로 접합한 것은 "트리플릿"입니다. 이는 세 개의 유리를 착색 접착제로 접합한 것으로, 내부에 미세한 공기층이 생겨 빛의 굴절률이 증가하여 더욱 선명하고 밝은 이미지를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보석가공

21. 다음 그림과 같은 정삼각형에 내접원을 그릴때 제일 먼저해야할 사항은?

  1. 정삼각형의 두내각을 2등분하여 교점 0을 얻는다.
  2. 교점0를 중심으로 OD를 반지름으로 한 원을 그린다.
  3. 두각과 0를 이은선을 연장하여 점D와 E를 얻는다.
  4. 임의의 원을 그린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삼각형의 두 내각을 2등분하여 교점 0을 얻는 것은 내접원의 중심을 구하기 위해서입니다. 내접원은 정삼각형의 세 변의 중심이 만나는 점이기 때문에, 정삼각형의 두 내각을 2등분하여 교점 0을 구하면 내접원의 중심이 됩니다. 이후에는 내접원의 중심을 중심으로 반지름을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와 같게하여 원을 그리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에메랄드의 크라운 메인과 퍼빌리언 메인의 커팅 각도는?

  1. 크라운 메인 42°, 퍼빌리언 메인 43°
  2. 크라운 메인 38°, 퍼빌리언 메인 41°
  3. 크라운 메인 40°, 퍼빌리언 메인 42°
  4. 크라운 메인 43°, 퍼빌리언 메인 44°
(정답률: 알수없음)
  • 에메랄드는 직사각형 모양의 크리스탈로, 크라운 메인과 퍼빌리언 메인이라는 두 개의 주요 컷팅 면이 있다. 크라운 메인은 크리스탈의 윗부분에 위치하며, 퍼빌리언 메인은 아랫부분에 위치한다.

    이 두 면의 커팅 각도는 빛의 반사와 굴절을 최대한 활용하여 에메랄드의 빛의 반짝임과 빛의 투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결정된다.

    보기 중 "크라운 메인 42°, 퍼빌리언 메인 43°"이 정답인 이유는, 이 각도가 에메랄드의 물리적 특성과 빛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결정된 최적의 각도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 최적의 각도와 다른 각도를 제시하고 있으므로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보석의 견인성(Toughness)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어떤 물질의 긁힘 또는 마멸에 대한 저항을 말한다.
  2. 시간이 지남에 따라 퇴색되는 것을 말한다.
  3. 어떤 방향으로 쉽게 쪼개지는 것을 말한다.
  4. 보석이 깨지는 것에 대한 저항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석의 견인성은 보석이 깨지는 것에 대한 저항을 말합니다. 이는 보석이 외부 충격이나 압력에도 깨지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석이 깨지는 것에 대한 저항을 말한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스텝형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에메랄드를 스텝형으로 가장 많이 가공한다.
  2. 보석의 색을 가장 잘 살려주는 연마형이다.
  3. 계단컷이라고도 불리운다.
  4. 불투명한 보석을 연마할 때 주로 사용하는 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불투명한 보석을 연마할 때 주로 사용하는 형이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스텝형은 보석의 색을 가장 잘 살려주는 연마형 중 하나이며, 에메랄드를 가장 많이 가공하는 형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디자인을 할 때 평화로운 감정을 살리려면 다음 어느 것에 주력해야 하는가?

  1. 리듬
  2. 조화
  3. 대조
  4. 강조
(정답률: 알수없음)
  • 평화로운 감정을 살리려면 조화에 주력해야 합니다. 조화란 디자인 요소들이 서로 어우러져 하나의 조화로운 전체를 이루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은 균형감이 있고 조화로운 느낌을 주어 평화로운 감정을 불러일으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영문을 소재로 한 그림은 시각의 법칙에서 무슨 원리를 적용한 것인가?

  1. 접근의 원리
  2. 동등의 원리
  3. 폐쇄의 원리
  4. 대칭성의 원리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은 대칭성의 원리를 적용한 것입니다. 대칭성의 원리는 물체나 도형이 대칭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있을 때, 대칭축 양쪽의 모습이 서로 같다는 원리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있으며, 왼쪽과 오른쪽의 모습이 대칭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색료혼합의 결과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명도는 높아지고 채도는 낮아진다.
  2. 명도, 채도가 모두 낮아진다.
  3. 명도는 낮아지고 채도는 높아진다.
  4. 명도, 채도가 모두 높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색료를 혼합하면 색상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때 색상의 명도와 채도가 변화하게 됩니다. 색료를 혼합하면 색상이 더 어두워지고, 색상의 진한 정도가 줄어들기 때문에 명도와 채도가 모두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명도, 채도가 모두 낮아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버니어캘리퍼스의 용도가 아닌 것은?

  1. 안지름측정
  2. 깊이측정
  3. 원호측정
  4. 길이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버니어캘리퍼스는 길이, 깊이, 안지름 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지만, 원호측정은 측정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버니어캘리퍼스로 측정할 수 없습니다. 원호측정은 보통 프로트랙터나 측정기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황, 청, 적자의 3가지 필터를 모두 겹치면 빛이 투과하지 않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는 현상은?

  1. 감법혼색
  2. 가법혼색
  3. 병치가법혼색
  4. 중간혼색
(정답률: 알수없음)
  • 감법혼색은 빛의 색을 빼서 어둡게 만드는 혼색 방법입니다. 황, 청, 적자 필터를 겹치면 각각의 색을 빼서 빛이 어둡게 되기 때문에 감법혼색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감법혼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원근화법에 의해 그려지는 도법은?

  1. 정투상도
  2. 등각투상도
  3. 표고투상도
  4. 투시도
(정답률: 알수없음)
  • 원근화법은 물체의 실제 크기와 거리에 따라 그림에서의 크기와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그림에 깊이감을 부여하는 기법입니다. 이 중에서도 투시도는 물체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원근법칙에 따라 그리는 방법으로, 물체의 크기와 거리에 따라 그림에서의 크기와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깊이감을 부여합니다. 따라서 투시도가 원근화법에 의해 그려지는 도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투상도법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투상법은 제3각법으로 작도함을 원칙으로 한다.
  2. 도면에 제1각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1각법이라 기입한다.
  3. 같은 도면에서는 제3각법과 제1각법을 혼용할 수 있다.
  4. 제3각법은 평면도 밑에 정면도, 정면도 우측에 우측 면도를 배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같은 도면에서는 제3각법과 제1각법을 혼용할 수 있다."

    설명: 투상도법은 원칙적으로 제3각법을 사용하여 작도하지만, 특정한 경우에는 제1각법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같은 도면에서 제3각법과 제1각법을 혼용하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도면에서 사용하는 작도법은 일관성 있게 사용해야 하며, 혼용할 경우에는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라운드 브릴리언트형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크라운 메인면의 각도는 42° 이다.
  2. 스타각의 모서리와 윗거들면과의 폭은 45 : 55 % 비율이다.
  3. 굴절률이 높은 보석은 전체 높이가 70∼80%로 높아진다.
  4. 퍼빌리언 아랫거들의 각도는 메인각도 + 2∼3°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굴절률이 높은 보석은 전체 높이가 70∼80%로 높아진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굴절률이 높은 보석은 전체 높이가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크라운과 퍼빌리언의 각도와 비율이 조정되어야 합니다. 이는 광의 굴절률이 높아져서 빛이 더욱 강하게 굴절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보석 중 초음파 세척기에 넣으면 가장 깨어지기 쉬운 보석은?

  1. 다이아몬드
  2. 에메랄드
  3. 사파이어
  4. 비취
(정답률: 알수없음)
  • 에메랄드는 내부에 포함된 인클루젼(불순물)이 많아서 초음파 세척기에서 진동에 의해 깨어지기 쉽기 때문입니다. 다이아몬드와 사파이어는 내구성이 높아서 세척기에서 깨어지기 어렵고, 비취는 부드러워서 세척기에서 손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대절단한 원석의 금긋기 작업에 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1. 원석의 균열, 내포물 모양, 특징 등을 고려한다.
  2. 캐보션형으로 연마하는 반투명, 불투명석을 절단하는 데 주로 사용한다.
  3. 원석의 가치를 최대한 살려 소절단하기 위한 예비 작업이다.
  4. 파세트(facet)연마에서 투명석을 절단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원석의 균열, 내포물 모양, 특징 등을 고려한다."는 대절단한 원석의 금긋기 작업에 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입니다.

    "파세트(facet)연마에서 투명석을 절단하는데 주로 사용한다."는 원석을 보석으로 가공하는 과정 중 하나인 파세트 연마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투명한 보석을 절단하여 다양한 면을 만들어내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구형(sphere)을 연마하기 위한 일반적인 환옥기의 적합한 회전 속도는?

  1. 100∼150회(r.p.m.)
  2. 150∼500회(r.p.m.)
  3. 650∼750회(r.p.m.)
  4. 800∼950회(r.p.m.)
(정답률: 알수없음)
  • 구형을 연마하는 경우, 적절한 회전 속도는 구의 지름과 연마재의 경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구의 지름이 크고 연마재의 경도가 높을수록 높은 회전 속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구의 지름과 연마재의 경도를 고려하여 적합한 회전 속도는 "150∼500회(r.p.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디자인의 원리 중 형과 색의 반복으로 운동감을 느끼게 하고 생명감을 일으키는 것은?

  1. 비례
  2. 대칭
  3. 율동
  4. 균형
(정답률: 알수없음)
  • 율동은 형과 색의 패턴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어 운동감을 느끼게 하고, 이러한 운동감은 생명감을 일으키게 됩니다. 따라서 율동은 디자인에서 움직임과 생동감을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상품을 크게 보이기 위한 포장지의 색상은?

  1. 분홍색
  2. 파랑색
  3. 고동색
  4. 보라색
(정답률: 알수없음)
  • 분홍색은 여성적이고 로맨틱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상품을 여성들에게 더욱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분홍색은 부드러운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상품의 부드러움과 따뜻함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8면체 다이아몬드의 절단방향은 몇 방향인가?

  1. 8
  2. 6
  3. 4
  4. 3
(정답률: 알수없음)
  • 8면체 다이아몬드는 4개의 삼각형과 4개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대각선을 따라 절단하면 3개의 삼각형과 1개의 사각형이 나온다. 따라서 절단방향은 3방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보석 절단시 초경림에 의한 절단이 적절한 보석은?

  1. 칼세도니
  2. 수정
  3. 오팔
  4. 마노
(정답률: 알수없음)
  • 오팔은 다른 보석들과 달리 초경립이 많이 발생하여 절단 시에도 광학적인 효과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초경립은 빛이 반사되는 각도와 방향을 바꾸어주는 역할을 하므로, 오팔의 미묘한 빛의 변화를 잘 살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팔은 초경립이 많은 보석 중에서도 절단이 가장 어렵고 복잡하지만, 그만큼 아름다운 광학적인 효과를 가진 보석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드릴링에 사용하는 연마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테레빈
  2. 산화크롬
  3. 카보런덤
  4. 산화제이철
(정답률: 알수없음)
  • 드릴링에 사용하는 연마제는 경도가 높고 내구성이 강한 것이 적합합니다. 이 중에서도 카보런덤은 경도가 높고 내구성이 강하면서도 연마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드릴링에 가장 적합한 연마제입니다. 테레빈은 연마력이 낮고, 산화크롬은 유독성이 있어 사용이 제한되고, 산화제이철은 내구성이 낮아 드릴링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보석감정

41. 루페를 이용한 검사방법이 잘못된 것은?

  1. 조명은 형광등형의 책상램프가 효과적이다.
  2. 전반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검사한다.
  3. 검사시에는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4. 20배 루페의 초점거리는 1"(2.54㎝)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20배 루페의 초점거리가 1인치(2.54㎝)인 것은 사실이 아니라 잘못된 정보입니다. 초점거리는 루페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이는 루페의 굴절력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안전점검의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점검시 누락사항이 없어야 한다.
  2. 점검기준은 안전관계법규에 정해두어야 한다.
  3. 자체 점검기준, 재해사례 등의 방지대책을 채택한다.
  4. 대조표를 만드는 것은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 비능률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조표를 만드는 것은 비능률적이 아니라, 오히려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대조표를 만들면 이전에 수행한 점검 내용과 비교하여 누락된 사항이나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조표를 만드는 것은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 비능률적이다"는 설명은 잘못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가락지 연마 순서가 올바른 것은?

  1. 절단 - 천공 - 그라인딩 - 샌딩 - 광택
  2. 절단 - 천공 - 샌딩 - 그라인딩 - 광택
  3. 천공 - 절단 - 그라인딩 - 샌딩 - 광택
  4. 천공 - 절단 - 샌딩 - 그라인딩 - 광택
(정답률: 알수없음)
  • 가락지 연마의 순서는 크게 절단, 천공, 그라인딩, 샌딩, 광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절단은 가락지를 처음 사용할 때 필수적으로 해야하는 작업으로, 가락지의 크기를 맞추고 모양을 정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 다음으로 천공은 가락지를 사용할 때 필요한 구멍을 뚫는 작업으로, 가락지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그리고 그라인딩은 가락지의 모양을 정교하게 다듬는 작업으로, 가락지의 모양을 더욱 세밀하게 만들어줍니다. 그 다음으로 샌딩은 가락지의 표면을 부드럽게 다듬는 작업으로, 가락지의 표면을 더욱 부드럽게 만들어줍니다. 마지막으로 광택은 가락지의 표면을 광택을 내는 작업으로, 가락지의 외관을 더욱 아름답게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올바른 가락지 연마 순서는 "절단 - 천공 - 그라인딩 - 샌딩 - 광택"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큰 원석을 슬랩(slab)형으로 대절단하는데 사용되는 절단기는?

  1. 소 절단기
  2. 중소 절단기
  3. 중 절단기
  4. 대 절단기
(정답률: 알수없음)
  • 큰 원석을 슬랩 형태로 대절단하기 위해서는 큰 크기의 절단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대 절단기"가 정답입니다. 소 절단기나 중소 절단기는 원석을 작은 크기로 자르는 용도로 사용되며, 중 절단기는 중간 크기의 원석을 자르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패싯 보석 연마기에 베어링을 교체한 후 플랜지와 베어링 사이의 적합한 간격은?

  1. 0.5-1mm
  2. 2-3mm
  3. 3.5-4mm
  4. 4.5-5mm
(정답률: 알수없음)
  • 패싯 보석 연마기에서 베어링을 교체하면서 베어링과 플랜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해야 합니다. 이 간격은 너무 좁으면 베어링이 마찰로 인해 빠르게 마모되고, 너무 넓으면 보석 연마기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간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패싯 보석 연마기에서 베어링과 플랜지 사이의 적합한 간격은 2-3mm입니다. 이는 베어링과 플랜지 사이의 간격이 넓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여유가 있어서 보석 연마기의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3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모스 경도로 수정의 경도는?

  1. 10
  2. 9
  3. 8
  4. 7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다색성이 있는 것은?

  1. 다이아몬드
  2. 질콘
  3. 가아넷
  4. 첨정석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질콘"입니다. 질콘은 다색성을 가지는 광물 중 하나로, 빛이 광물 내부에서 반사되는 현상으로 인해 다양한 색상을 띠고 있습니다. 다이아몬드와 가아넷은 일반적으로 투명하거나 단색으로 나타나며, 첨정석은 주로 녹색이나 갈색으로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천연호박에 열 반응을 검사할 때의 냄새는?

  1. 단백질 타는 냄새
  2. 석유 타는 냄새
  3. 머리카락 타는 냄새
  4. 송진 타는 냄새
(정답률: 알수없음)
  • 천연호박은 주로 탄화수소와 단백질 등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열 반응을 검사할 때 발생하는 냄새는 단백질이 타는 냄새와 석유가 타는 냄새, 머리카락이 타는 냄새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천연호박에서 발생하는 냄새는 송진이 타는 냄새입니다. 이는 천연호박의 특성으로 인해 송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보석이 나타내는 색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베릴은 녹색, 청색, 황색 등을 나타내는 타색광물이다.
  2. 토파즈는 청색만을 나타내는 자색광물이다.
  3. 로도나이트는 적색-핑크색을 나타내는 자색광물이다.
  4. 지르콘은 적색, 황색, 녹색 등을 나타내는 타색광물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토파즈는 청색만을 나타내는 자색광물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토파즈는 노란색, 갈색, 빨간색, 녹색, 파란색 등 다양한 색상을 나타내는 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이아몬드 클래리티(투명도)등급 결정에 쓰이는 국제적인 표준 확대는?

  1. 5배
  2. 10배
  3. 20배
  4. 30배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아몬드 클래리티(투명도)등급 결정에 쓰이는 국제적인 표준 확대는 10배입니다. 이는 다이아몬드의 미세한 결함이나 인클루전(내포물)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10배 확대로 보면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작은 결함이나 인클루전도 보다 세밀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보석재 중 경도가 가장 큰 것은?

  1. 스피넬
  2. 루비
  3. 다이아몬드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아몬드가 경도가 가장 큰 보석재인 이유는 그 구조와 결합력 때문입니다. 다이아몬드는 탄소 원자가 4개의 다른 탄소 원자와 결합하여 이루어진 격자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매우 단단하며, 다른 보석재들보다 더 강한 결합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이아몬드는 가장 높은 경도를 가진 보석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비중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비중은 밀도를 의미한다.
  2. 비중을 측정할 때에 물의 온도는 섭씨 30℃ 이어야한다.
  3. 수정의 비중은 4이다.
  4. 루비와 에머럴드가 같은 1캐럿이라면 부피는 루비가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비중은 밀도를 의미한다."

    설명: 비중은 물의 밀도를 기준으로 한 물질의 밀도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물의 밀도가 1g/cm³이기 때문에 비중이 1보다 작으면 물보다 가벼우며, 1보다 크면 물보다 무겁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중은 밀도와 동일한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칼세도니(chalcedony)의 변종이 아닌 것은?

  1. 모-스 아게이트(moss agate)
  2. 크리소라이트(chrysolite)
  3. 크리소프레이스(chrysoprase)
  4. 카닐리언(carnelian)
(정답률: 알수없음)
  • 칼세도니(chalcedony)의 변종으로는 모-스 아게이트(moss agate), 크리소프레이스(chrysoprase), 카닐리언(carnelian)이 있지만, 크리소라이트(chrysolite)는 칼세도니와는 다른 종류의 광물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표준 굴절계로 측정할 수 있는 굴절율의 범위는?

  1. 1.30 - 1.81
  2. 1.30 - 1.90
  3. 1.33 - 1.81
  4. 1.40 - 1.83
(정답률: 알수없음)
  • 표준 굴절계는 렌즈나 프리즘 등의 물체의 굴절율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이 굴절율은 빛이 물체를 통과할 때 굴절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때, 굴절율은 1보다 큰 값으로 표현되며, 물체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값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표준 굴절계로 측정할 수 있는 굴절율의 범위는 1.30에서 1.81까지로 제한되는 것입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는 굴절율을 가진 물체는 다른 측정기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특징적인 내포물과 보석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페리도트 - 수련엽상 내포물
  2. 커런덤 - 지네 모양의 내포물
  3. 에메랄드 - 말꼬리 모양의 내포물
  4. 호박 - 교차 침상 내포물
(정답률: 알수없음)
  • 페리도트는 화산암에서 발견되며, 수련엽 모양의 내포물이 특징입니다. 이는 화산암이 결정화되는 과정에서 액체 상태에서 결정이 이루어지면서 생긴 것으로, 페리도트의 특징적인 내포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클래러티 등급감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좁쌀 같은 작은 백색 결정체 1개가 10배율의 루페로 테이블 바로 아래에서 보이면 VVS1등급이다.
  2. 다이아몬드 직경의 2/3 정도인 긴 페더를 포함하여 매우 많은 내포물이 육안으로 보이면 I1 등급이다.
  3. 테이블 업 상태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테이블 다운상태에서 육안으로 보이는 페더가 있으면 SI2 등급이다.
  4. 현미경의 10배율에서 겨우 보이는 작은 핀포인트가 두 개 있으면 VS2 등급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SI2 등급은 테이블 다운상태에서 육안으로 보이는 페더가 있을 때 부여되는 등급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등급과는 달리, 테이블 업 상태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다운 상태에서는 보이는 결함이 있어서 등급이 하락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어벤추레센스(Aventurescence: Av)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돌은?

  1. 선스톤
  2. 어벤추린 쿼츠
  3. 아이리스 아게이트
  4. 골드스톤
(정답률: 알수없음)
  • 어벤추레센스 현상은 돌의 표면에 빛이 반사되어 보석 내부에서 빛이 반사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돌은 투명도가 낮거나 광택이 없는 돌입니다. 아이리스 아게이트는 투명도가 높고 광택이 있어 어벤추레센스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돌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천연루비와 합성루비를 구분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검사는?

  1. 굴절율 검사
  2. 확대 검사
  3. 편광 검사
  4. 이색성 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천연루비와 합성루비는 광학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검사는 확대 검사입니다. 확대 검사는 루비 내부의 작은 결함이나 인클루전을 살펴보는 것으로, 천연루비는 자연적인 결함이 있지만 합성루비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결함이 있기 때문에 이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확대 검사는 천연루비와 합성루비를 구분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자외선 형광 검사에 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1. 장파로365nm , 단파로243.7nm를 사용한다.
  2. 비교석으로는 플레임퓨전 방식의 합성루비가 적당하다.
  3. 합성오팔은 천연 화이트 오팔보다 더 오래 인광을 발한다.
  4. 오일침투나 염색여부는 검사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교석은 자외선 형광 검사에서 비교 대상이 되는 물질로, 검사 대상과 비교하여 색상, 형태, 반응 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플레임퓨전 방식의 합성루비는 자연적인 빛을 내지 않기 때문에, 자외선 형광 검사에서 비교석으로 적당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이아몬드 작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거들에 있는 내추럴은 크라운 그림에 그린다.
  2. 다이아몬드 작도는 다이아몬드 등급결정시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3. 엑스트라 패싯은 흑색 실선으로 그린다.
  4. 엑스트라 패싯과 내추럴은 반드시 작도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다이아몬드 작도는 다이아몬드 등급결정시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입니다. 다이아몬드 작도는 다이아몬드의 아름다움과 광채를 높이기 위한 과정으로, 등급 결정과는 별개의 과정입니다. 따라서 다이아몬드 작도는 등급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