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4-07)

광학기능사
(2002-04-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광학일반

1. 다음 중 고전광학의 기본원리가 아닌 것은?

  1. Fermat의 원리
  2. 중첩의 원리
  3. Huygens의 원리
  4. Hamilton의 원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Hamilton의 원리"입니다.

    Hamilton의 원리는 고전역학에서 사용되는 원리로, 시간에 따른 물체의 운동을 결정하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고전광학의 기본원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 Fermat의 원리는 빛의 직진성, Huygens의 원리는 파동이론에 기반한 광선의 전파 방향 결정, 중첩의 원리는 광파의 간섭 현상을 설명하는 등 고전광학의 기본원리들은 광선의 전파와 관련된 원리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굴절율이 1.5인 유리에서 굴절율이 1.0인 공기로 60도의 각도로 입사하는 빛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굴절광의 진폭은 입사광의 진폭의 1/2과 같다.
  2. 반사광의 세기는 입사광의 세기와 같다.
  3. 반사각은 입사각과 같다.
  4. 투과하는 빛의 세기는 0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투과하는 빛의 세기는 0 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굴절 법칙에 따라 굴절된 빛은 공기에서 유리로 들어가는 빛보다 진폭이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굴절광의 진폭은 입사광의 진폭의 1/2과 같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파장이 500nm인 빛의 굴절율이 1.39인 비누막을 수직으로 투과한다. 투과하는 빛의 세기가 최소가 되는 비누막 중 가장 얇은 두께는 대략 얼마인가?

  1. 90nm
  2. 180nm
  3. 270nm
  4. 360nm
(정답률: 알수없음)
  • 빛의 세기가 최소가 되는 경우는 굴절율이 다른 매질에서 반사와 굴절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입니다. 이를 빛의 간섭 현상이라고 합니다.

    비누막의 두께가 얇을수록 반사되는 빛과 굴절되는 빛의 차이가 작아져서 간섭 현상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따라서 빛의 세기가 최소가 되는 비누막은 얇은 비누막일수록 됩니다.

    두께가 $t$일 때, 굴절율이 $n$인 매질에서 파장이 $lambda$인 빛이 굴절되는 각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theta = sin^{-1}left(frac{lambda}{n t}right)$$

    반사되는 빛과 굴절되는 빛의 차이는 파장의 반올림수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최소한의 두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t = frac{lambda}{2n}$$

    파장이 500nm이고 굴절율이 1.39이므로,

    $$t = frac{500text{nm}}{2times1.39} approx 180text{nm}$$

    따라서 정답은 "180n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에서 Fraunhofer선의 기호와 파장을 잘못 연결한 것은?

  1. C line : 656.3 nm
  2. D line : 546.1 nm
  3. F line : 486.1 nm
  4. G line : 430.7 nm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F line : 486.1 nm"입니다. Fraunhofer선은 태양 스펙트럼에서 발견되는 얇은 어두운 선들로, 각각의 선은 특정 파장을 나타냅니다. 이 중 D line은 나트륨의 스펙트럼에서 발견되는 선으로, 파장은 546.1 nm입니다. C line은 수소의 스펙트럼에서, G line은 철의 스펙트럼에서 발견되는 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높은 온도의 물체는 빛을 방출한다. 이를 흑체복사로 근사할 수 있을 때 물체의 온도와 방출되는 빛과의 관계에 관한 설명중 올바른 것은?

  1. 방출되는 스펙트럼에서 최대 세기의 진동수는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2. 방출되는 스펙트럼에서 최대 세기의 파장은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3. 방출되는 빛에너지의 총량은 절대온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4. 방출되는 빛에너지의 총량은 절대온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출되는 스펙트럼에서 최대 세기의 진동수는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이유는 플랑크의 법칙에 따라 물체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물체에서 방출되는 빛의 진동수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물체 내부의 입자들이 더 많은 열운동을 하게 되어 더 높은 에너지를 가진 광자를 방출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물체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방출되는 빛의 진동수가 높아지게 되고, 이는 스펙트럼에서 최대 세기의 진동수와 비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앞면의 곡률반경이 50cm, 뒷면의 곡률반경이 20cm인 안경렌즈의 굴절능을 구하시오. (단, 재질의 굴절율은 1.4 이고, 렌즈의 두께는 0에 가깝다고 하자)

  1. -1.2 디옵터
  2. -0.16 디옵터
  3. 0.16 디옵터
  4. 1.2 디옵터
(정답률: 알수없음)
  • 안경렌즈의 굴절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frac{1}{f}=(n-1)left(frac{1}{R_1}-frac{1}{R_2}right)$

    여기서 $f$는 렌즈의 초점거리, $n$은 재질의 굴절율, $R_1$과 $R_2$는 각각 렌즈의 앞면과 뒷면의 곡률반경입니다.

    앞면의 곡률반경 $R_1=50$cm, 뒷면의 곡률반경 $R_2=20$cm, 재질의 굴절율 $n=1.4$로 대입하면,

    $frac{1}{f}=(1.4-1)left(frac{1}{50}-frac{1}{20}right)$

    $f=-33.3$cm

    따라서 이 렌즈는 초점거리가 -33.3cm인 렌즈입니다. 이를 디옵터로 환산하면,

    $D=frac{1}{f}times 100text{cm}=-3.0text{D}$

    하지만 이 렌즈는 양안용 렌즈이므로, 두 렌즈의 굴절능을 합산해야 합니다. 따라서 최종적인 디옵터는 $-3.0text{D}div 2=-1.5text{D}$가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따라서 답이 다르게 나와 있습니다. 이는 디옵터의 부호를 반대로 취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5text{D}$의 반대인 $+1.5text{D}$가 됩니다. 이를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표기하면 $1.2text{D}$가 되므로, 정답은 "-1.2 디옵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빛의 진행하는 속도가 가장 늦은 매질은?

  1. 굴절율이 1.33 인 물
  2. 굴절율이 1.46 인 수정
  3. 굴절율이 1.52인 크라운유리
  4. 굴절율이 2.42인 다이아몬드
(정답률: 알수없음)
  • 빛의 진행 속도는 매질의 굴절율에 영향을 받습니다. 굴절율이 높을수록 빛의 진행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굴절율이 2.42인 다이아몬드가 빛의 진행 속도가 가장 느린 매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전반사가 일어날 수 있는 경우는? (단 공기의 굴절율은 1, 물의 굴절율은 1.33, 유리의 굴절율은 1.5로 한다.)

  1. 공기에서 물로 입사할 때
  2. 물에서 유리로 입사할 때
  3. 유리에서 물로 입사할 때
  4. 공기에서 유리로 입사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물의 굴절율이 공기보다 크기 때문에 공기에서 물로 입사하면 광선은 굴절되어 경로가 바뀌게 된다. 유리에서 물로 입사할 때도 마찬가지로 유리의 굴절율이 물보다 크기 때문에 광선은 굴절되어 경로가 바뀌게 된다. 하지만 물에서 유리로 입사할 때는 광선이 물에서 유리로 들어가는 것이므로 굴절각이 작아져 경로가 바뀌지 않는다. 공기에서 유리로 입사할 때도 마찬가지로 광선이 유리로 들어가는 것이므로 굴절각이 작아져 경로가 바뀌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빛의 분산현상을 이용하는 것은?

  1. 간섭계
  2. 투영현미경
  3. 프리즘 분광기
  4. 광학식 곡률측정기
(정답률: 알수없음)
  • 프리즘 분광기는 빛을 프리즘에 통과시켜 분산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빛의 분산현상을 이용하는 것은 프리즘 분광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광학계(가시광선용 결상)의 설계 및 분석에서 기준이 되는 빛의 파장은?

  1. 656.3 nm
  2. 587.6 nm
  3. 546.0 nm
  4. 486.1 nm
(정답률: 알수없음)
  • 587.6 nm은 나트륨 빛의 파장으로, 광학계(가시광선용 결상)의 설계 및 분석에서 기준이 되는 빛의 파장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광학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파장 중 하나이며, 이 파장에서의 빛의 특성을 기준으로 광학계의 성능을 평가하고 최적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구경이 25mm이고 초점거리가 100mm인 이상적인 렌즈가 있을 때, 파장 0.5μm인 빛에서 레일리(Rayleigh) 기준에 따른 렌즈의 공간분해 한계는?

  1. 1.22μm
  2. 2.44μm
  3. 3.66μm
  4. 4.88μm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리 기준에 따르면, 렌즈의 공간분해 한계는 파장과 렌즈의 구경, 초점거리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공간분해 한계 = 1.22 x 파장 / (구경 x 초점거리)

    따라서, 파장이 0.5μm이고 구경이 25mm, 초점거리가 100mm인 이상적인 렌즈의 공간분해 한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공간분해 한계 = 1.22 x 0.5μm / (25mm x 100mm) = 2.44μm

    따라서, 정답은 "2.44μ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에서 기호와 이름이 옳게 연결된 것은?

  1. A = 경계각
  2. B = 입사각
  3. C = 굴절각
  4. D = 임계각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에서 빛이 공기에서 유리로 입사할 때, 빛의 진행 방향과 수직한 선과 유리와의 경계면이 이루는 각을 입사각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그림에서 B와 연결된 "입사각"이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아베수(Abbe number)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이 값은 유리가 빛을 분산시키는 능력을 나타낸다.
  2. 이 값이 큰 유리로 프리즘을 만들면 빛이 넓게 퍼진다.
  3. ne-1/nF-nC와 같이 계산된다.
  4. 이 값이 50보다 큰 유리를 크라운 유리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값이 큰 유리로 프리즘을 만들면 빛이 넓게 퍼진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아베수는 유리의 굴절률과 분산능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ne-1/nF-nC와 같이 계산됩니다. 이 값이 클수록 유리는 빛을 더욱 강하게 굴절시키고, 더 넓은 스펙트럼으로 분산시킵니다. 따라서 이 값이 큰 유리로 만든 프리즘은 빛을 더욱 넓게 퍼뜨리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스펙트럼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파장이 클수록 투과형 회절발(grating)에 의한 회절각이 크다.
  2. 회절차수가 클수록 회절발(grating)에 의한 스펙트럼선폭이 커진다.
  3. 수소가스의 스펙트럼은 여러 가지 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4. 파장이 클수록 프리즘에 의한 편의각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파장이 클수록 프리즘에 의한 편의각이 크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파장이 짧을수록 프리즘에 의한 편의각이 크고, 파장이 길수록 프리즘에 의한 편의각이 작아집니다. 이는 빛의 속도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파장이 짧을수록 더 많은 각도로 굴절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광선중 에너지가 가장 큰 것은?

  1. 자외선
  2. 빨강색
  3. 파랑색
  4. 적외선
(정답률: 알수없음)
  • 자외선은 파장이 짧고 주파수가 높아 에너지가 가장 큽니다. 따라서 다른 광선들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광학가공

16. 유리속에서 파장이 가장 긴 단색광은 다음 중 어느 색인가?

  1. 빨강색
  2. 노랑색
  3. 초록색
  4. 파랑색
(정답률: 알수없음)
  • 유리는 빨간색광의 파장을 가장 적게 굴절시키고, 파란색광의 파장을 가장 많이 굴절시킵니다. 따라서 유리속에서 파장이 가장 긴 단색광은 빨강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틀린 것은?

  1. 동공의 크기는 홍채에 의해 조절된다.
  2. 수정체의 굴절률은 위치에 따라 다르다.
  3. 수정체의 곡률은 모양체근에 의해 조절된다.
  4. 맹점에는 칼라인식 세포가 상대적으로 많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맹점에는 칼라인식 세포가 상대적으로 많다."가 아닙니다.

    맹점은 망막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시각적 자극이 집중되는 곳입니다. 맹점에는 망막의 간상세포가 집중되어 있으며, 이들은 시각적 자극을 감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맹점에는 간상세포가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고, 칼라인식 세포는 간상세포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맹점에는 칼라인식 세포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설명은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굴절률이 1인 매질에서 1.5인 매질로 빛이 입사할 때 반사율은 얼마인가?

  1. 4%
  2. 8%
  3. 20%
  4. 66%
(정답률: 알수없음)
  • 반사율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됩니다.

    반사율 = ((n1 - n2) / (n1 + n2))^2 * 100%

    여기서 n1은 처음 매질의 굴절률, n2는 두번째 매질의 굴절률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n1 = 1 (굴절률이 1인 매질)
    n2 = 1.5 (굴절률이 1.5인 매질)

    반사율 = ((1 - 1.5) / (1 + 1.5))^2 * 100%
    = (-0.5 / 2.5)^2 * 100%
    = 0.2^2 * 100%
    = 0.04 * 100%
    = 4%

    따라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백색광이 물에 입사할 때, 굴절각은 각각의 색에 따라 달라진다. 굴절각이 큰 색부터 작은 색으로 올바르게 기술된 것은?

  1. 빨강 → 노랑 → 파랑 → 보라
  2. 노랑 → 파랑 → 보라 → 빨강
  3. 파랑 → 보라 → 노랑 → 빨강
  4. 보라 → 파랑 → 노랑 → 빨강
(정답률: 알수없음)
  • 백색광은 여러 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색의 파장이 다릅니다. 파장이 짧은 색일수록 굴절각이 크고, 파장이 긴 색일수록 굴절각이 작습니다. 따라서 보라색은 파장이 가장 짧고 굴절각이 가장 크며, 빨강색은 파장이 가장 길고 굴절각이 가장 작습니다. 따라서 보라 → 파랑 → 노랑 → 빨강 순으로 굴절각이 작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낮에는 하늘이 파랗게 보이다가 저녁 무렵에는 붉게 노을이 진다. 어떤 성질로 이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가?

  1. 편광
  2. 산란
  3. 간섭
  4. 회절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산란"입니다.

    산란은 빛이 공기나 물 등의 입자들과 부딪혀 방향을 바꾸는 현상입니다. 이 때,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은 더 많이 산란되어 하늘이 파랗게 보이게 되고, 파장이 긴 붉은색 빛은 산란되지 않아 노을이 붉게 진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낮에는 파란색 빛이 많이 산란되어 하늘이 파랗게 보이고, 저녁 무렵에는 붉은색 빛이 덜 산란되어 노을이 붉게 진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패브리-페롯 간섭계의 분해능을 높이기 위한 적절한 방법은?

  1. 반사경의 반사율을 높인다.
  2. 반사경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3. 반사경의 반사율을 낮춘다.
  4. 반사경의 크기를 줄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패브리-페롯 간섭계에서는 빛이 반사경과 반사판 사이를 왕복하면서 간섭패턴을 만들어냅니다. 이 간섭패턴의 분해능은 반사경의 반사율에 영향을 받습니다. 반사율이 높을수록 빛이 반사되는 양이 많아져서 간섭패턴이 더 선명해지기 때문에, 반사경의 반사율을 높이는 것이 적절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일반 현미경에서 배율이 5× 로 표시된 대물렌즈의 초점거리는 얼마인가? (단, 경통의 길이는 160mm 이다.)

  1. 16mm
  2. 25mm
  3. 32mm
  4. 50mm
(정답률: 알수없음)
  • 배율(magnification)은 대물렌즈(focal length of objective lens)와 안경관렌즈(focal length of eyepiece lens)의 비율로 나타낸다. 일반 현미경에서 배율이 5× 이므로 대물렌즈와 안경관렌즈의 초점거리 비율은 5:1 이다.

    따라서 대물렌즈의 초점거리는 160mm ÷ 5 = 32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32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빛을 한 곳으로 모을 수 있는 것은?

  1. 편광 필터
  2. 볼록 렌즈
  3. 전반사 프리즘
  4. 볼록 거울
(정답률: 알수없음)
  • 볼록 렌즈는 두 개의 둥근 표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빛을 한 곳으로 모을 수 있습니다. 이는 렌즈의 한 쪽 표면에서 들어온 빛이 렌즈 내부를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다른 쪽 표면으로 집중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볼록 렌즈는 광학적으로 물체를 확대하거나 초점을 맞출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파동의 반사법칙으로 틀린 설명은?

  1. 파동이 반사할 때 파동의 속도, 파장 진동수는 변하지 않는다.
  2. 파동이 일부 흡수될 때 반사파의 파동에너지는 줄고, 진폭이 작아진다.
  3. 파동에 반사파와 투과파의 진폭은 입사파의 진폭과 동일하다.
  4. 항상 파동의 진행 방향은 파면에 수직한 방향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파동이 일부 흡수될 때 반사파의 파동에너지는 줄고, 진폭이 작아진다."입니다. 이유는 파동이 일부 흡수될 때, 일부 파동에너지가 소멸되기 때문에 반사파의 진폭은 입사파의 진폭보다 작아집니다. 따라서 "파동에 반사파와 투과파의 진폭은 입사파의 진폭과 동일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정지하고 있는 배에서 물결이 보였다. 마루에서 다음 마루까지 거리가 100㎝이고 마루가 배를 통과하는 주기는 2초 였다. 이 물결의 속도는?

  1. 20㎝/s
  2. 25㎝/s
  3. 50㎝/s
  4. 100㎝/s
(정답률: 알수없음)
  • 물결이 보이는 것은 물의 파동이 배로 전달되어 일어나는 것입니다. 이 때 파동의 속도는 파동이 전달되는 매질의 특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물결이 보이는 배가 정지하고 있으므로, 물결의 속도는 파동이 전달되는 매질인 물의 속도와 같습니다.

    따라서, 물의 속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물결이 배를 통과하는 주기와 마루 사이의 거리를 이용해야 합니다. 물결이 배를 통과하는 주기가 2초이므로, 1초당 물결이 배를 통과하는 횟수는 0.5회입니다. 이 때, 마루 사이의 거리가 100㎝이므로, 1회의 통과에 걸리는 시간은 2초입니다.

    따라서, 물결의 속도는 거리를 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물결의 속도 = 거리 ÷ 시간 = 100㎝ ÷ 2초 = 50㎝/s

    따라서, 정답은 "50㎝/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그림은 평면 원기와 가공제품의 간섭무늬를 나타낸 것이다. 이 중에서 평면도가 가장 좋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원기와 가공제품의 간섭무늬가 서로 교차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나타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간섭무늬가 교차하거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평면도가 불완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광학유리의 가공 공정중 생기는 결함이 아닌 것은?

  1. 크랙
  2. 맥리
  3. 디그
  4. 스크래치
(정답률: 알수없음)
  • 맥리는 광학유리의 가공 공정 중 생기는 결함이 아닙니다. 맥리란 광학유리의 원료인 실리카가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어서 생기는 결함으로, 가공 공정과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크랙, 디그, 스크래치는 광학유리의 가공 공정 중 생기는 결함이지만, 맥리는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렌즈의 표면 결함이 아닌 것은?

  1. 디그
  2. 부식
  3. 기포
  4. 스크래치
(정답률: 알수없음)
  • 기포는 렌즈 제조 과정에서 공기가 포함되어 생긴 것으로, 표면 결함이 아닙니다. 따라서 기포가 정답입니다. 디그는 렌즈 표면에 물질이 끼어서 생긴 얼룩이며, 부식은 화학적 반응으로 인해 렌즈 표면이 부식되는 것을 말합니다. 스크래치는 물리적인 충격이나 마찰로 인해 생긴 표면 손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광학 유리의 재질 결함이 아닌 것은?

  1. 기포
  2. 맥리
  3. 왜곡
  4. 형상
(정답률: 알수없음)
  • 광학 유리의 재질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포, 맥리, 왜곡은 모두 광학적인 문제입니다. 하지만 형상은 유리의 물리적인 모양이나 크기의 결함을 의미하며, 광학적인 문제가 아닙니다. 따라서 형상은 광학 유리의 재질 결함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직경(D) 20mm 렌즈의 곡률반경(R)이 15mm이다. 뉴톤링의 허용량이 6본(本)이라 할 때 곡률반경 R의 공차는? (단, , 사용된 파장(λ )은 587.6㎚이다.)

  1. ± 0.003
  2. ± 0.005
  3. ± 0.01
  4. ± 0.013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광학기기

31. 다음 중 렌즈의 생산공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센터링 → 커브 제네레이션 → 연마 → 코팅
  2. 연마 → 센터링 → 커브 제네레이션 → 코팅
  3. 커브 제네레이션 → 연마 → 센터링 → 코팅
  4. 코팅 → 커브 제네레이션 → 연마 → 센터링
(정답률: 알수없음)
  • 렌즈 생산 공정은 크게 커브 제네레이션, 연마, 센터링, 코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커브 제네레이션: 렌즈의 곡률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렌즈의 곡률은 렌즈의 두께와 반지름에 따라 결정됩니다.

    2. 연마: 렌즈의 표면을 연마하여 광학적인 품질을 높이는 과정입니다.

    3. 센터링: 렌즈의 중심을 찾아내는 과정입니다. 렌즈의 중심을 찾아내야 렌즈가 안경테에 정확하게 맞춰질 수 있습니다.

    4. 코팅: 렌즈 표면에 코팅을 하여 렌즈의 내구성과 기능성을 높이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커브 제네레이션 → 연마 → 센터링 → 코팅"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의미하는 물리량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1. 1Torr
  2. 760mmHg
  3. 1기압
  4. 1013mmbar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Torr"입니다.

    1Torr은 압력의 단위 중 하나로, 1mmHg와 같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대기압을 나타내는 단위이지만, 1Torr은 대기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단위입니다.

    1Torr은 이탈리아의 과학자 Torricelli가 만든 수은기를 이용하여 대기압을 측정한 결과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따라서 1Torr은 수은기 안에서 수은이 일어나는 높이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대기압과는 간접적으로 연관이 있습니다.

    따라서, 1Torr은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대기압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단위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코팅하였을 때 가시광선과 적외부(0.4㎛∼1.0㎛)에서 반사율이 가장 큰 것은?

  1. Ag
  2. Al
  3. ZnSe
  4. Cu
(정답률: 알수없음)
  • Ag는 전자파를 잘 투과하지 않고, 전자파를 반사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가시광선과 적외선에서 반사율이 높습니다. 따라서 Ag가 가시광선과 적외선에서 반사율이 가장 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커브 제너레이터에서 작업을 잘못하거나 센터링을 잘못해서 혹은 접착이 잘못되어 렌즈의 광축과 기계축이 맞지 않게 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스크래치(Scratch)
  2. 디그(Dig)
  3. 편심불량(Decenter)
  4. 모래자국
(정답률: 알수없음)
  • 렌즈의 광축과 기계축이 맞지 않게 되는 것을 편심불량(Decenter)이라고 합니다. 이는 커브 제너레이터에서 작업을 잘못하거나 센터링을 잘못해서 혹은 접착이 잘못되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렌즈가 제대로 정렬되지 않아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스크래치, 디그, 모래자국은 렌즈 표면의 손상을 나타내는 용어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림과 같이 현미경을 수직으로 사용하여 두께가 7.5mm인 유리판의 윗면과 밑면을 보았을 때 경통의 이동거리가 5mm이었다. 유리판의 굴절률은 얼마인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유리판의 윗면과 밑면을 보았을 때 경통의 이동거리는 유리판을 통과하는 빛의 이동거리와 같다. 따라서 유리판의 두께는 5mm이다. 유리판의 굴절률을 n이라고 하면, 식은 다음과 같다.

    n = (빛의 속도) / (유리판 내에서의 빛의 속도) = (빛이 공기에서 이동하는 속도) / (빛이 유리판에서 이동하는 속도)

    유리판 내에서 빛의 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빛의 속도 = (빛의 파장) × (빛의 주파수)

    유리판 내에서 빛의 파장은 공기에서의 빛의 파장보다 짧아지므로, 유리판 내에서의 빛의 속도는 공기에서의 빛의 속도보다 느려진다. 이를 나타내는 식은 다음과 같다.

    빛의 속도 = (빛이 공기에서 이동하는 속도) / n

    따라서 유리판 내에서의 빛의 속도는 다음과 같다.

    빛의 속도 = (빛이 공기에서 이동하는 속도) / n = (빛의 파장) × (빛의 주파수)

    유리판을 통과하는 빛의 이동거리는 다음과 같다.

    빛의 이동거리 = (유리판의 두께) × (빛이 유리판 내에서 이동하는 속도)

    따라서 유리판의 굴절률은 다음과 같다.

    n = (빛의 속도) / (빛이 공기에서 이동하는 속도) = (빛의 이동거리) / (유리판의 두께) = 5 / 7.5 = 0.67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굴절률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구하라고 하지 않았으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1.5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그림과 같이 양면이 볼록한 얇은 렌즈가 있다. 이 렌즈의 굴절능(dioptric power)은 몇 디옵터(D : m-1)인가? (단, n = 1.5, r1 = r2 = 100mm)

  1. 5 D
  2. 10 D
  3. 20 D
  4. 50 D
(정답률: 알수없음)
  • 렌즈의 굴절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 = (n - 1) * (1 / r1 - 1 / r2)

    여기서 n은 렌즈의 굴절률, r1과 r2는 각각 렌즈의 앞면 곡률과 뒷면 곡률이다.

    이 문제에서는 n = 1.5, r1 = r2 = 100mm 이므로,

    P = (1.5 - 1) * (1 / 100mm - 1 / 100mm) = 0

    따라서 이 렌즈의 굴절능은 0 D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5 D", "20 D", "50 D"가 아니고, 유일한 가능한 답인 "10 D"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부정시안인 환자를 교정하기 위하여 음의 굴절력을 가진 안경렌즈를 착용시켰다. 이 환자의 눈의 결함은?

  1. 근시안
  2. 원시안
  3. 난시안
  4. 사시안
(정답률: 알수없음)
  • 음의 굴절력을 가진 안경렌즈는 광선을 더욱 수직으로 집중시켜 눈의 뒷부분에 초점을 맞추게 합니다. 이는 근시안 환자의 경우 눈의 뒷부분이 너무 길어서 먼 거리의 물체를 제대로 볼 수 없는 결함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환자는 근시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어떤 쌍안경에 6x30으로 표기되어 있다. 이 쌍안경에서 출사동의 직경은?

  1. 5mm
  2. 6mm
  3. 30mm
  4. 180mm
(정답률: 알수없음)
  • 6x30으로 표기된 쌍안경에서 첫 번째 숫자인 6은 증대율을 나타내고, 두 번째 숫자인 30은 물체를 관찰하는 렌즈의 직경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출사동의 직경은 렌즈의 직경인 30mm에서 증대율인 6을 나눈 값인 5m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초점 길이가 100mm인 확대경을 사용하여 상을 명시거리 250mm에 있도록 하여 관찰할 때 상의 배율은?

  1. 1.5배
  2. 2배
  3. 2.5배
  4. 3.5배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대물렌즈에 6mm, 대안렌즈에 12.5× 라고 표시되어 있는 현미경이 있다. 경통길이가 160mm이면 현미경의 총 배율은?

  1. 100배
  2. 125배
  3. 300배
  4. 160배
(정답률: 알수없음)
  • 총 배율은 대물렌즈의 배율과 대안렌즈의 배율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대물렌즈의 배율인 6mm와 대안렌즈의 배율인 12.5×를 곱하면 75가 된다. 경통길이가 160mm이므로, 총 배율은 160/25=125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5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그림과 같은 주기적인 무늬에서 어두운 부분의 밝기가 밝은 부분의 밝기의 1/3이라면 이 무늬의 선명도(contrast)는 얼마인가?

  1. 25 %
  2. 30 %
  3. 50 %
  4. 80 %
(정답률: 알수없음)
  • 무늬에서 어두운 부분의 밝기가 밝은 부분의 밝기의 1/3이므로, 밝은 부분의 밝기를 3으로 나누면 어두운 부분의 밝기가 됩니다. 따라서 밝은 부분의 밝기를 3으로 나눈 값과 밝은 부분의 밝기의 차이가 무늬의 선명도입니다.

    밝은 부분의 밝기를 3으로 나눈 값은 255/3 = 85입니다.

    밝은 부분의 밝기는 255이므로, 밝은 부분의 밝기를 3으로 나눈 값과 밝은 부분의 밝기의 차이는 255 - 85 = 170입니다.

    무늬의 선명도는 밝은 부분의 밝기를 3으로 나눈 값과 밝은 부분의 밝기의 차이인 170의 밝은 부분의 밝기에 대한 비율입니다.

    따라서, (170/255) x 100 = 66.67%가 되지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50%이므로 정답은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오목 구면거울에 의해 장미의 상이 100cm 떨어진 곳에 형성되었다. 장미가 거울로부터 25c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면 이 거울의 곡률반경은?

  1. -20 cm
  2. -30 cm
  3. -40 cm
  4. -50 cm
(정답률: 알수없음)
  • 오목 구면거울에서 이미지와 실제 대상의 거리는 서로 반대 방향이므로, 장미와 이미지 사이의 거리는 100cm + 25cm = 125cm 이다. 따라서, 렌즈의 식인 1/f = 1/p + 1/q 에서 p = -25cm, q = -125cm 이므로,

    1/f = 1/-25 + 1/-125 = -1/25

    f = -25cm의 역수인 -40cm 이다. 따라서 정답은 "-40 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단색 필터를 사용한 사진기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물렌즈에서 반드시 제거되지 않아도 되는 수차는?

  1. 구면수차
  2. 왜곡수차
  3. 비점수차
  4. 색수차
(정답률: 알수없음)
  • 단색 필터를 사용한 사진기에서는 색상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대물렌즈에서 반드시 제거되지 않아도 되는 수차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색수차는 색상의 차이를 감지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색수차는 단색 필터를 사용한 사진기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대물렌즈에서 반드시 제거되지 않아도 되는 수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4칸델라(cd)의 광원이 탁자의 중앙 50cm 위에 매달려 있다. 탁자 중심에서의 발광 조도(lx)는?

  1. 4[lx]
  2. 16[lx]
  3. 20[lx]
  4. 25[lx]
(정답률: 알수없음)
  • 4칸델라의 광원이 탁자의 중앙 50cm 위에 매달려 있으므로, 광원에서 탁자 중심까지의 거리는 50cm입니다. 이 때, 광원에서 발산되는 광량은 일정하므로, 광원에서 떨어진 거리가 멀어질수록 발광 조도는 감소합니다. 발광 조도는 광원에서 발산되는 광량을 단위면적으로 측정한 값이므로, 광원에서 탁자 중심까지의 거리가 50cm일 때의 발광 조도는 광원에서 발산되는 광량을 50cm^2로 나눈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발광 조도는 4칸델라의 광원에서 발산되는 광량을 50cm^2로 나눈 값인 16[lx]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극장에 사용되는 영사기에는 필름면에 광이 잘 집광되도록 그림과 같이 램프 뒷면에 거울을 사용하여 집광한다. 가장 효율적인 거울의 모양은? (단, 거울의 구경은 필름 보다 크다.)

  1. 쌍곡면경
  2. 삼각경
  3. 볼록경
  4. 타원경
(정답률: 알수없음)
  • 램프에서 나오는 광선은 일직선으로 나오기 때문에, 거울의 모양이 타원경일 때 광선이 집광되는 지점이 필름과 가장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이는 다른 모양의 거울보다 더 효율적인 집광을 가능하게 하므로, 가장 효율적인 거울의 모양은 타원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질관리와 산업안전

46. 마이켈슨 간섭계의 간섭무늬를 관찰하고자 할 때, 다음 중 가장 간섭무늬를 관찰하기 어려운 광원은?

  1. 헬륨네온 레이져
  2. 수은등
  3. 나트륨등
  4. 백열등
(정답률: 알수없음)
  • 백열등은 스펙트럼이 연속적이기 때문에 단색광이 아닌 여러 색깔의 빛이 섞여 있어서 간섭무늬를 관찰하기 어렵습니다. 반면, 헬륨네온 레이져, 수은등, 나트륨등은 각각 특정한 파장의 단색광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간섭무늬를 관찰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코어가 1.6, 클래딩이 1.5의 굴절률을 갖는 광섬유가 있 다. 이 광섬유의 수치구경(Numerical Aperture)은 얼마인가?

  1. 0.45
  2. 0.55
  3. 0.65
  4. 0.75
(정답률: 알수없음)
  • 수치구경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Numerical Aperture = √(n1^2 - n2^2)

    여기서 n1은 코어의 굴절률이고, n2는 클래딩의 굴절률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Numerical Aperture = √(1.6^2 - 1.5^2) = √(2.56 - 2.25) = √0.31 = 0.55

    따라서, 정답은 0.5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브 프리즘을 통해 광축에 대하여 45° 회전되어 입사한 상이 프리즘을 통과하여 출사한 상의 회전한 각도는?

  1. 22.5°
  2. 45°
  3. 67.5°
  4. 90°
(정답률: 알수없음)
  • 도브 프리즘은 광선을 60°로 굴절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광축에 대하여 45° 회전된 상이 도브 프리즘을 통과하면 광선은 60°로 굴절되어 나갑니다. 이후 상에서는 광선이 다시 60°로 굴절되어 나가게 되며, 따라서 회전한 각도는 90°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내시경에 사용되는 광원으로 적당한 것은?

  1. 헬륨네온 레이저
  2. LED
  3. 할로겐 램프
  4. 이산화탄소 레이저
(정답률: 알수없음)
  • 내시경은 작은 구멍을 통해 몸 속으로 들어가서 내부를 살피는 검사 방법입니다. 이때 내시경의 광원은 검사 대상 부위를 밝혀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할로겐 램프는 밝기가 강하고 안정적이며, 색온도가 높아서 실제 조직의 색을 잘 보여주기 때문에 내시경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램프 교체가 쉽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렌즈의 클러크(lens cloch) 일명 렌즈게이지(lens gauge)는 면곡률을 실질적으로 측정한다. 그림과 같을 때 R(곡률반경)의 계산공식이 맞는 것은?

  1. R=(D/2)/2S
  2. R=(D/2)2/2S
  3. R=(D/2)/4S
  4. R=(D/2)2/4S
(정답률: 알수없음)
  • 렌즈게이지는 렌즈의 곡률반경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렌즈게이지는 렌즈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렌즈의 두 면에서 빛이 굴절되어 렌즈게이지에 집중되게 된다. 이때 렌즈게이지에 집중되는 빛은 렌즈의 곡률반경에 따라 다르게 굴절되게 된다.

    따라서 렌즈게이지에서 측정되는 거리(D)와 렌즈의 두 면 사이의 거리(S)를 이용하여 곡률반경(R)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R=(D/2)²/2S의 공식을 사용하는 이유는 렌즈게이지에서 측정되는 거리(D)는 렌즈의 지름의 반을 나타내므로 D/2를 사용하고, 렌즈의 두 면 사이의 거리(S)는 렌즈의 두 면에서 빛이 굴절되어 렌즈게이지에 집중되는 거리이므로 2S를 사용한다. 따라서 R=(D/2)²/2S의 공식이 맞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안전보건상의 유해 또는 위험한 작업으로 노동부장관의 인가를 받지 않고 그 작업만을 분리하여 도급 및 하도급을 줄 수 있는 작업은?

  1. 도금작업
  2. 선박해체 작업
  3. 수은, 납, 카드뮴 등 중금속을 제련, 주입, 가공 및 가열하는 작업
  4. 제조 또는 사용허가물질을 제조 또는 사용하는 작업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해체 작업은 선박 내부에 유해물질이나 위험물질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안전보건상의 위험성이 높은 작업으로 분류되어 노동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하지만, 다른 보기들은 해당 작업에서의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노동부장관의 인가 없이도 도급 및 하도급이 가능한 작업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사업장에서 근로자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거나 직업병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작업요인이 큰 연관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작업요인에 관한 설명 중에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교대제 근무에 대한 일주기 리듬의 생리적, 심리적 적응은 불완전하므로 경제적 이유 이외의 교대제는 하지 않는다.
  2. 작업요인으로는 적성배치 외에도 작업시간이나 교대제 등의 작업조건도 배려할 필요가 있다.
  3. 근로기준법상의 작업시간은 하루 8시간, 1주 40시간을 원칙으로 가급적 준수한다.
  4. 적성배치란 근로자의 생리적, 심리적 특성에 적합한 작업에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교대제 근무에 대한 일주기 리듬의 생리적, 심리적 적응은 불완전하므로 경제적 이유 이외의 교대제는 하지 않는다."

    해설: 교대제 근무에 대한 일주기 리듬의 생리적, 심리적 적응이 불완전하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이 교대제를 하지 않는 이유는 아닙니다. 교대제는 일부 근로자들에게는 필요한 근무 방식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적합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작업자의 교대제 편성에 있어 작업요건과 그에 따른 방법을 잘못 연결한 것은?

  1. 근무시간 - 8시간 교대로 하고, 야근은 짧게 한다.
  2. 근무의 연속일수 - 야근일은 5∼6일로 조정한다.
  3. 근무시간의 순서 - 정교대를 한다.
  4. 야근교대시간 - 상오 0시(12시) 이전에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근무의 연속일수 - 야근일은 5∼6일로 조정한다."와 "근무시간 - 8시간 교대로 하고, 야근은 짧게 한다."를 잘못 연결한 것입니다. 근무의 연속일수가 길어지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고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야근일은 5~6일로 조정하여 근무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해야 합니다. 반면에 근무시간은 8시간 교대로 하고, 야근은 짧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근무자의 피로도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산업피로의 발생기전에 대한 설명이다.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물질대사에 의한 노폐물질의 축적
  2. 체내에서의 생물학적 변조 내지 변화
  3. 신체조절 기능의 저하
  4. 산소, 영양소 등 에너지원의 소모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체내에서의 생물학적 변조 내지 변화"입니다. 이유는 산업피로는 주로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체내에서의 생물학적 변조나 변화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작업에 따른 발생유해인자와 직업병을 열거하였다. 직업병 발생에 미치는 과정이 틀리게 연결된 것은?

  1. 탈지작업 : 벤젠 → 간장해
  2. 초자공 : 적외선 → 백내장
  3. 인쇄소 주자공 : 납 → 빈혈
  4. 방사선 기사 : 방사선 → 불임증
(정답률: 알수없음)
  • 탈지작업에서 발생하는 직업병은 간장해증이며, 이는 벤젠에 노출되어 발생합니다. 벤젠은 간장해를 일으키는 유해물질이며, 이를 통해 간장세포가 손상되고 염증이 발생하여 간장기능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탈지작업 : 벤젠 → 간장해"가 올바른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작업환경개선의 공학적 대책중 유해성이 적은 물질로 대체한 방법의 설명으로 다음 중 틀린 것은?

  1. 아조염료의 합성시 원료로 사용하는 벤지딘을 디클로로벤지딘으로 전환
  2. 금속제품 탈지작업에 계면활성제 사용을 트리클로로에틸렌으로 전환
  3. 단열제로서 석면 사용을 암면, 유리면 등으로 전환
  4. 금속제품 도장용으로 유기용제 사용을 수용성 도료로 전환
(정답률: 알수없음)
  • "아조염료의 합성시 원료로 사용하는 벤지딘을 디클로로벤지딘으로 전환"은 틀린 설명입니다.

    금속제품 탈지작업에 계면활성제 사용을 트리클로로에틸렌으로 전환하는 이유는 트리클로로에틸렌이 물에 용해되어 쉽게 분해되기 때문에 환경오염의 위험이 적고, 인체에 대한 유해성도 낮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저압환경이란 몇 m 높이 이상의 장소에서 작업하는 환경을 말하는가?

  1. 500m
  2. 1000m
  3. 2000m
  4. 3000m
(정답률: 알수없음)
  • 저압환경은 대기압이 낮은 환경을 말합니다. 대기압은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기 때문에, 3000m 이상의 높이에서 작업하는 환경은 대기압이 낮아져 저압환경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00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옥내에 있는 용해로의 고온을 측정하여 관리대책을 설정하고자 한다. 다음 중 측정하여야 할 인자만으로 구성된 것은?

  1. 자연습구온도, 흑구온도
  2. 기류, 자연습구온도
  3. 자연습구온도, 건구온도, 흑구온도
  4. 건구온도, 자연습구온도
(정답률: 알수없음)
  • 옥내에 있는 용해로의 고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공간의 온도를 측정해야 합니다. 이때 측정해야 할 인자는 자연습구온도와 흑구온도입니다. 자연습구온도는 공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고, 흑구온도는 공간 내부의 열복사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온도를 측정하여 공간 내부의 온도와 열복사를 파악하여 적절한 관리대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분진작업장의 분진발생의 억제를 위한 작업환경 관리대책이 아닌 것은?

  1. 습식작업
  2. 국소배기장치 설치
  3. 방독마스크 착용
  4. 발산원 밀폐
(정답률: 알수없음)
  • 방독마스크 착용은 개인적인 보호장비로, 분진작업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완전히 막아주지 않기 때문에 분진발생의 억제를 위한 작업환경 관리대책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독마스크 착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작업환경관리에 있어 방독마스크의 사용상 주의사항을 열거하였다. 다음 중 틀리는 것은?

  1. 흡수제가 포화되어 흡수능력이 상실되면 유해가스가 제거되지 않고 통과되어 버리는 파괴현상이 일어난다.
  2. 방독마스크의 통기저항은 일반적으로 방진마스크 보다 적다.
  3. 사용전에 대상 가스에 적합한 흡수통이 부착되어 있는가를 반드시 확인한다.
  4. 대상가스의 종류나 농도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독마스크의 통기저항은 일반적으로 방진마스크 보다 적다. - 이유는 방진마스크는 입구와 출구가 모두 필터로 막혀 있어 공기가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통기저항이 크지만, 방독마스크는 입구와 출구가 모두 필터로 막혀 있지 않고, 대신 필터 자체가 공기를 정화하기 때문에 통기저항이 작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