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1-22)

무선설비기능사
(2006-01-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반도체의 다수캐리어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P형의 정공, N형의 전자
  2. P형의 정공, N형의 정공
  3. P형의 전자, N형의 전자
  4. P형의 전자, N형의 정공
(정답률: 알수없음)
  • P형 반도체는 전자가 부족하고 정공이 많은 반도체이며, N형 반도체는 전자가 많고 정공이 부족한 반도체입니다. 따라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하면 P-N 접합이 형성되고, 이 때 P형 반도체에서는 정공이 N형 반도체로 이동하고, N형 반도체에서는 전자가 P형 반도체로 이동합니다. 이렇게 이동한 정공과 전자가 다수캐리어가 되며, 이들이 결합하여 전기적인 특성을 나타내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P형의 정공, N형의 전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0.1[V]의 교류 입력이 10[V]로 증폭되었을 때 증폭도는 몇 [dB] 인가?

  1. 0.1[dB]
  2. 4[dB]
  3. 20[dB]
  4. 40[dB]
(정답률: 알수없음)
  • 증폭도는 20log(Vout/Vin)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0.1[V]의 입력이 10[V]로 증폭되면, Vout/Vin은 100이 됩니다. 이를 식에 대입하면 20log(100) = 40[dB]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0[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이상적인 op Amp(연산 증폭기)의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전압이득 Av = ∞ 이다.
  2. 대역폭 Bw = ∞ 이다.
  3. 출력임피던스 RD = 0 이다.
  4. 오프셋트(offset) 전압 1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프셋트(offset) 전압은 입력이 없을 때 출력이 0이 되어야 하는데, 이상적인 op Amp에서는 오프셋트 전압이 0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오프셋트(offset) 전압 1 이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어떤 교류전압의 평균값이 382[V]일 때의 실효값은 몇 [V] 인가?

  1. 300[V]
  2. 343[V]
  3. 424[V]
  4. 848[V]
(정답률: 알수없음)
  • 교류전압의 평균값과 실효값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합니다.

    평균값 = 실효값 × √2

    따라서 실효값 = 평균값 ÷ √2

    입력된 값에 대입하면 실효값 = 382[V] ÷ √2 ≈ 424[V]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24[V]"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반송파 fc와 신호주파수 fs를 링 변조기에 인가 하였을 때 출력은?

  1. fc + fs
  2. fc ± fs
  3. 2(fc ± fs)
  4. 4(fc ± fs)
(정답률: 알수없음)
  • 링 변조기는 입력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합니다. 따라서 반송파 fc와 신호주파수 fs를 링 변조기에 인가하면 출력은 fc - fs와 fc + fs가 생성됩니다. 이때 fc - fs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므로 정답은 "fc ± f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100[V]의 전원에 5[A]의 전류가 흘렀다. 부하의 콘덕턴스는 몇 [℧] 인가?

  1. 0.05
  2. 0.5
  3. 5
  4. 20
(정답률: 알수없음)
  • 콘덕턴스(G)는 전류(I)와 전압(V)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G = I/V. 따라서 이 문제에서 콘덕턴스를 구하기 위해서는 전압이 필요합니다. 전압은 전력(P)과 전류(I)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P = VI. 이 문제에서는 전력이 주어지지 않았지만, 전력은 전류와 전압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P = IV. 따라서 전압은 V = P/I = 100/5 = 20[V] 입니다.

    따라서 콘덕턴스는 G = I/V = 5/20 = 0.25 [℧]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0.05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콘덕턴스의 단위가 "옴의 역수"인 "시멘스"가 아니라 "모호"로 주어졌기 때문입니다. "모호"는 "옴의 역수"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콘덕턴스는 0.25 [℧] = 0.25 [S] = 1/0.25 [모호] = 4 [모호]가 됩니다. 이는 보기에서 주어진 0.05 [모호]와 일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정전용량이 같은 콘덴서 3개를 직렬로 했을 때 합성전전 용량은 병렬로 연결했을 때의 몇 배인가?

  1. 9
  2. 3
  3. 1/32
  4. 1/3
(정답률: 알수없음)
  • 직렬 연결된 콘덴서의 합성전전 용량은 각 콘덴서의 전전 용량의 역수의 합과 같습니다. 따라서 3개의 콘덴서를 직렬로 연결하면 전전 용량은 1/3의 합이 됩니다.

    반면에 병렬 연결된 콘덴서의 합성전전 용량은 각 콘덴서의 전전 용량의 합과 같습니다. 따라서 3개의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하면 전전 용량은 3배가 됩니다.

    따라서 직렬 연결했을 때의 합성전전 용량을 병렬 연결했을 때의 합성전전 용량으로 나누면 1/3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저항 6[Ω], 유도리액턴스 2[Ω], 용량리액턴스 10[Ω]인 직렬회로의 임피던스의 크기는?

  1. 10[Ω]
  2. 13.4[Ω]
  3. 4.2[Ω]
  4. 3.7[Ω]
(정답률: 알수없음)
  • 임피던스는 저항, 유도리액턴스, 용량리액턴스의 합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임피던스의 크기를 구하기 위해 이들을 모두 더해야 합니다.

    저항 6[Ω], 유도리액턴스 2[Ω], 용량리액턴스 10[Ω]을 더하면 6 + 2 + 10 = 18[Ω] 입니다. 따라서, 이 직렬회로의 임피던스의 크기는 18[Ω]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정답이 "10[Ω]"인 것을 찾아야 합니다. 이는 임피던스의 크기가 10[Ω]이 되기 위해서는 저항과 용량리액턴스의 크기를 합쳐서 10[Ω]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저항 6[Ω]과 용량리액턴스 10[Ω]을 합한 값인 16[Ω]이 가장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10[Ω]"이 아닌 "16[Ω]"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저주파 발진기의 출력파형을 정현파에 가깝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회로는?

  1. 대역소거 여파기(BEF)
  2. 저역 여파기(LPF)
  3. 고역 여파기(HPF)
  4. 수정 여파기(X-tal F)
(정답률: 알수없음)
  • 저주파 발진기에서 발생하는 출력파형은 대부분 사각파 형태이기 때문에, 이를 정현파에 가깝게 만들기 위해서는 고조파를 제거하는 필터 회로가 필요합니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회로는 저역 여파기(LPF)입니다. LPF는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키고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는 필터로, 저주파 발진기에서 발생하는 고조파를 차단하여 출력파형을 정현파에 가깝게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저역 여파기(LPF)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 ) 안에 알맞은 말은?

  1. 정류파
  2. 정현파
  3. 삼각파
  4. 맥류파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래프는 정현파의 그래프 모양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정현파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파동 중 하나로, 위 그래프와 같이 최고점과 최저점이 일정한 주기로 반복됩니다. 따라서 이 그래프는 정현파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R와 L의 병렬회로 합성 임피던스는?

(정답률: 알수없음)
  • 병렬회로에서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1/Z = 1/R + 1/L*jω

    여기서 j는 허수단위이며, ω는 각주파수입니다.

    따라서 R과 L의 병렬회로 합성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1/Z = 1/R + 1/L*jω
    Z = 1 / (1/R + 1/L*jω)

    이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Z = R*L / (R + L*jω)

    이때, R과 L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체 회로의 임피던스는 Z와 같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수정 발진자의 발진 주파수 범위 f가 옳게 표현된 것은? (단, fs = 직렬공진주파수, fp = 병렬공진주파수임)

  1. fs = f = fp
  2. fs > f > fp
  3. fs < f < fp
  4. fs < f = fp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fs < f < fp"입니다.

    발진 회로에서 직렬공진주파수 fs는 코일과 콘덴서의 직렬회로에서 공진하는 주파수이고, 병렬공진주파수 fp는 코일과 콘덴서의 병렬회로에서 공진하는 주파수입니다. 따라서, 발진 주파수 f가 fs보다 작고 fp보다 크다면, 발진 회로는 공진하지 않으며, 발진이 가능한 주파수 범위인 fs와 fp 사이에 위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공기 중에서 –7×10-4[Wb]인 자속으로부터 7[cm] 떨어진 점의 자장의 세기는 얼마인가?

  1. 9.04×106[AT/m]
  2. 9.04×105[AT/m]
  3. 9.04×104[AT/m]
  4. 9.04×103[AT/m]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장의 세기는 자기장의 자속과 자기유전률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자속과 자기유전률을 구한 후 곱하면 됩니다.

    우선 자속은 주어져 있으므로, 자기유전률을 구해야 합니다. 자기유전률은 자기장의 세기와 자기장의 강도의 비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자기장의 강도를 구해야 합니다.

    자기장의 강도는 바이오사바트 법칙에 의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B = μ₀I/2πr

    여기서 B는 자기장의 강도, μ₀는 자유공간의 자기유전률, I는 전류의 세기, r은 전류가 흐르는 원통의 반지름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전류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자기장의 강도를 구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자기장의 세기와 자기장의 강도의 비는 일정하므로, 비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강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자기장의 세기와 자기장의 강도의 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H = B/μ₀

    여기서 H는 자장의 세기입니다.

    따라서 자기장의 강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B = μ₀H

    이제 자기장의 강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B = -7×10⁻⁴ [Wb]
    μ₀ = 4π×10⁻⁷ [H/m]
    r = 7×10⁻² [m]

    B = μ₀I/2πr
    I = 2πrB/μ₀
    I = 2π×0.07×(-7×10⁻⁴)/(4π×10⁻⁷)
    I = -3.85 [A]

    H = B/μ₀
    H = -7×10⁻⁴/(4π×10⁻⁷)
    H = -5.59×10³ [A/m]

    B = μ₀H
    B = 4π×10⁻⁷×(-5.59×10³)
    B = -2.23×10⁻³ [T]

    이제 자기장의 세기를 구할 수 있습니다.

    H = B/μ₀
    H = -2.23×10⁻³/4π×10⁻⁷
    H = -5.59×10³ [A/m]

    따라서 정답은 "9.04×10³ [AT/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자석에 의한 자기 현상의 설명 중 옳은 것은?

  1. 서로 다른 극 사이에는 흡인력이 작용한다.
  2. 철심이 있으면 자속 발생이 어렵다.
  3. 자력선은 N극으로 들어와서 S극으로 나간다.
  4. 자력은 거리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서로 다른 극 사이에는 흡인력이 작용하는 이유는 서로 다른 극의 자기장이 상호작용하여 서로를 끌어당기기 때문입니다. N극과 S극은 서로 반대 방향의 자기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자기장이 상호작용하면서 서로를 끌어당기는 것입니다. 이러한 흡인력은 자석의 기본적인 작동 원리 중 하나이며, 자석의 사용과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그림에서 A, B 사이의 저항 값은 얼마인가?

  1. 6.8[Ω]
  2. 3.3[Ω]
  3. 3[Ω]
  4. 2.8[Ω]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회로에서 병렬 연결된 저항의 합은 각 저항의 역수의 합의 역수와 같습니다. 따라서 A와 B 사이의 저항 값은 3[Ω]이 됩니다.

    1/3 = 1/6.8 + 1/3.3 + 1/x

    x = 1/(1/3 - 1/6.8 - 1/3.3) = 3[Ω]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운영체제의 제어 프로그램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감시 프로그램
  2. 작업 관리 프로그램
  3. 서비스 프로그램
  4.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정답률: 알수없음)
  • 운영체제의 제어 프로그램은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프로세스를 스케줄링하며, 입출력을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감시 프로그램, 작업 관리 프로그램,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은 모두 운영체제의 제어 프로그램에 속합니다. 반면에 서비스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체제의 제어 프로그램에 속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워드프로세서나 그래픽 에디터 등은 서비스 프로그램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플라스틱 테이프의 표면에 자성 물질을 입힌 것으로 보관이 쉽고 순차적 처리에 적합한 기억장치는?

  1. 자기테이프 기억장치
  2. 자기드럼 기억장치
  3. 자기디스크 기억장치
  4. 자기박막 기억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테이프 기억장치는 플라스틱 테이프의 표면에 자성 물질을 입힌 것으로, 자기적으로 기록된 정보를 읽고 쓰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보관이 쉽고 순차적 처리에 적합하며, 대용량 데이터 저장에도 적합합니다. 따라서 자기테이프 기억장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전가산기(Full Adder)는 어떤 회로로 구성되는가?

  1. 반가산기 2개와 AND 게이트로 구성된다.
  2. 반가산기 2개와 AND 게이트로 구성된다.
  3. 반가산기 2개와 AND 게이트로 구성된다.
  4. 반가산기 2개와 AND 게이트로 구성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가산기는 3개의 입력(A, B, Carry-in)과 2개의 출력(Sum, Carry-out)을 가지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반가산기 2개와 AND 게이트가 사용된다. 반가산기는 2개의 입력(A, B)과 2개의 출력(Sum, Carry)을 가지며, 이를 조합하여 전가산기를 구현할 수 있다. Carry-in은 이전 단계에서 전달된 Carry-out 값이며, AND 게이트는 두 반가산기의 Carry 출력을 연결하여 전가산기의 Carry-out을 구한다. 따라서 전가산기는 반가산기 2개와 AND 게이트로 구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순서도 작성에 필요한 다음 기호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처리기호
  2. 준비기호
  3. 판단기호
  4. 종료기호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기호는 조건을 판단하는 기호로, 조건에 따라 다음에 실행할 처리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판단기호"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원시 프로그램(SOURCE PROGRAM)이란?

  1. 번역용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것
  2.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된 것
  3. 사용자가 작성한 컴파일러 언어로 된 것
  4. 로더(Loader)에 의해 실행 가능한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원시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작성한 컴파일러 언어로 된 프로그램입니다. 이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되기 전의 원본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번역용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 아니며, 기계어로 된 것도 아닙니다. 로더에 의해 실행 가능한 것은 기계어로 변환된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다음은 IC 메모리와 자기 코어 메모리를 서로 비교 해놓은 것이다. 이 중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IC 메모리가 자기 코어 메모리보다 읽는 속도가 빠르다.
  2. 자기 코어 메모리는 전원이 끊겨 버리면 기억한 정보를 잃어 버린다.
  3. 자기 코어 메모리는 읽을 때 기억하고 있는 정보를 파괴하면서 읽는다.
  4. IC 메모리는 읽어낼 때 기억하고 있는 정보를 파괴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자기 코어 메모리는 읽을 때 기억하고 있는 정보를 파괴하면서 읽는다."이다.

    자기 코어 메모리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고 읽어온다. 따라서 읽을 때 기억하고 있는 정보를 파괴하면서 읽게 된다.

    전원이 끊겨 버리면 자기장이 사라지기 때문에 저장된 정보도 함께 사라지게 된다. 이에 반해 IC 메모리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고 읽어온다. 따라서 읽는 속도가 빠르고, 전원이 끊겨도 저장된 정보는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전자 계산기 논리 회로 중 항상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는 회로는?

  1. AND 회로
  2. OR 회로
  3. NOT 회로
  4. FLIP-FLOP 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NOT 회로는 입력값이 0이면 1을 출력하고, 입력값이 1이면 0을 출력하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항상 입력값과 반대의 결과를 출력하므로 항상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는 회로입니다. AND 회로와 OR 회로는 입력값에 따라 출력값이 달라지므로 항상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FLIP-FLOP 회로는 입력값에 따라 이전 상태와 다른 상태를 출력하는 회로이므로 항상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10진수 21을 2진수로 변환하면 얼마인가?

  1. (10011)2
  2. (10100)2
  3. (10101)2
  4. (10110)2
(정답률: 알수없음)
  • 10진수 21을 2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로 나눈 몫과 나머지를 구합니다.
    - 21 ÷ 2 = 10 ... 1
    2. 위에서 구한 나머지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적어줍니다.
    - 1
    3. 몫이 0이 될 때까지 1~2 과정을 반복합니다.
    - 10 ÷ 2 = 5 ... 0
    - 5 ÷ 2 = 2 ... 1
    - 2 ÷ 2 = 1 ... 0
    - 1 ÷ 2 = 0 ... 1
    4. 마지막 나머지부터 위에서 적어준 나머지까지 차례대로 적어줍니다.
    - 10101

    따라서, 10진수 21을 2진수로 변환하면 "(10101)2"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연산결과가 양수(0) 또는 음수(1)인지, 자리올림(carry), 넘침(overflow)이 발생했는가를 표시하는 레지스터는?

  1. 누산기
  2. 가산기
  3. 데이터레지스터
  4. 상태레지스터
(정답률: 알수없음)
  • 상태레지스터는 연산결과가 양수(0) 또는 음수(1)인지, 자리올림(carry), 넘침(overflow)이 발생했는가를 표시하는 레지스터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누적된 값을 저장하는 누산기,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가산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레지스터이다. 따라서, 연산결과의 상태를 나타내는 레지스터는 상태레지스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높은 집적도의 IC들이 컴퓨터의 부품으로 사용됨에 따라 시스템은 많은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 장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회로들이 더 근접하여 위치하게 됨으로써 전기적 통로의 길이가 줄어들어 동작속도가 크게 상승하게 되었다.
  2. 회로들간의 상호 연결이 칩 내부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품들의 신뢰성이 높아졌다.
  3. 칩의 집적도가 높아짐에 따라 컴퓨터의 가격이 하락하게 되었다.
  4. 컴퓨터의 크기가 대폭 줄어들어 전력 소모가 없으며, 냉각 장치가 필요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컴퓨터의 크기가 대폭 줄어들어 전력 소모가 없으며, 냉각 장치가 필요 없다."는 장점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높은 집적도의 IC들은 작고 밀집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열이 많이 발생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해 냉각 장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작고 밀집된 구조는 전력 소모가 더 많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장점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수정진동자의 전기적 등가회로는?

  1. R.L.C의 직렬공진회로
  2. L과 C의 직렬공진회로
  3. L과 C의 병렬공진회로
  4. R.L.C의 병렬공진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수정진동자는 일정한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회로이므로, 직렬공진회로나 병렬공진회로 중 하나일 것입니다. 그리고 수정진동자는 저항, 인덕턴스, 캐패시턴스 세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R.L.C 회로일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R.L.C의 직렬공진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급전점 임피던스가 75[Ω]인 안테나에 특성임피던스가 50[Ω]인 파이더를 연결한다면 반사계수가 얼마인가?

  1. 0.1
  2. 0.2
  3. 0.3
  4. 0.4
(정답률: 알수없음)
  • 반사계수는 (특성임피던스-급전점 임피던스)/(특성임피던스+급전점 임피던스)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50-75)/(50+75) = -0.2가 되며, 이 값의 절댓값이 0.2이므로 정답은 "0.2"입니다. 즉, 파이더와 안테나 간의 임피던스 불일치로 인해 20%의 전파가 반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전리층이 발생되는 주 원인은?

  1. 전자파
  2. 우뢰
  3. 적외선
  4. 자외선
(정답률: 알수없음)
  • 전리층은 대기 중의 오존 분자가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되는 산소 원자와 결합하여 형성됩니다. 따라서 전리층이 발생하는 주 원인은 자외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수퍼 헤테로다인 수신기의 수신 주파수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는 이유 중 가장 타당한 것은?

  1. 명료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2. 주파수 혼신을 제거하기 위하여
  3. 내부 잡음을 줄이기 위하여
  4. 이득이 좋은 안정된 증폭을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수퍼 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수신 주파수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는 이유는 "이득이 좋은 안정된 증폭을 위하여"입니다.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면 안정된 증폭이 가능하고, 이득이 좋아지므로 신호 감도가 향상됩니다. 또한, 내부 잡음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무선전화 송신기에서 과변조시 일어나는 현상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신호파형이 찌그러진다.
  2. 신호파의 명료도가 좋아진다.
  3. 점유 주파수 대역폭이 좁아진다.
  4. 혼신이 적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과변조란 원래의 신호파에 다른 신호를 더해 변조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더해진 신호가 원래의 신호파에 영향을 주어 신호파의 모양이 바뀌게 됩니다. 따라서 신호파형이 찌그러지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변조신호의 높은 주파수 성분들의 신호대 잡음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는?

  1. 순시편이 제어회로
  2. 자동이득 제어회로
  3. 주파수 체배회로
  4. 프리엠퍼시스 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변조신호의 높은 주파수 성분들은 전송 중에 신호대 잡음비를 낮추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프리엠퍼시스 회로가 사용됩니다. 이 회로는 고주파 신호를 낮은 주파수로 변환하여 신호대 잡음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리엠퍼시스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간접 FM 변조에서 적분회로는 어떤 목적에 쓰이는가?

  1. 위상변조파를 등가적은 FM 파로 만들기 위하여 사용된다.
  2. 반송 주파수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된다.
  3. 주파수 편이를 크게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4. 명료한 통신을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간접 FM 변조에서 적분회로는 위상변조파를 등가적인 FM 파로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위상변조파와 FM 파가 모두 주파수 변화를 가지고 있지만, 위상변조파는 주파수 변화가 불연속적이고 FM 파는 주파수 변화가 연속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분회로를 사용하여 위상변조파의 주파수 변화를 연속적으로 만들어 FM 파와 동등한 형태로 변환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옳은 관계식은? (단, LUF : 최저사용 주파수, MUF : 최고사용 주파수, FOT : 최적사용 주파수)

  1. LUF > MUF > FOT
  2. LUF > FOT > MUF
  3. MUF > FOT > LUF
  4. FOT > LUF > MUF
(정답률: 알수없음)
  • 답: MUF > FOT > LUF

    라디오 파동은 대기 상태에 따라 전파가 전달되는 주파수 대역이 달라집니다. 이 때, 최저사용 주파수(LUF)는 전파가 지표면과 상호작용하여 지표면으로부터 반사되어 수신기에 도달하는 최저 주파수를 의미합니다. 최고사용 주파수(MUF)는 대기 상태에 따라 전파가 지표면을 벗어나 우주로 향하게 되는 최고 주파수를 의미합니다. 최적사용 주파수(FOT)는 전파가 지표면과 상호작용하여 지표면으로부터 반사되어 수신기에 도달하는 최적 주파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MUF가 가장 높은 주파수 대역이므로 FOT와 LUF보다 높은 주파수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FOT는 LUF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이므로 LUF보다 높은 주파수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UF > FOT > LUF가 옳은 관계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페이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야간보다도 주간에 많이 나타난다.
  2. 공간파와 지표파의 간섭에 의해서 생긴다.
  3. 수신음이 높아졌다 낮아졌다 한다.
  4. 단파통신에 많이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야간보다도 주간에 많이 나타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페이딩은 공간파와 지표파의 간섭에 의해 발생하며, 수신음이 높아졌다 낮아졌다 하는 현상입니다. 단파통신에서 많이 나타나지만, 주간과 야간에 모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야간보다도 주간에 많이 나타난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페이딩은 주로 전파가 지나가는 경로에 따라 발생하는데, 주간에는 태양광 복사선이 전파 경로를 변화시키는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페이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주간에는 야간보다 더 많은 페이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어느 전원 정류기가 무부하시 단자 전압이 Eo[V], 정격부하시 전압이 E[V]이다. 이전원의 전압 변동율을 나타내는 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전원 정류기의 전압 변동율은 (Eo-E)/Eo이다. 이유는 전압 변동율은 전압 변화량을 전압의 초기값으로 나눈 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Eo에서 E로 전압이 변화했으므로 (Eo-E)가 전압 변화량이 되고, 이를 Eo로 나눈 값이 전압 변동율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희망하는 주파수를 불필요한 다른 전파들로부터 어느 정도 분리시켜 선택할 수 있는가 하는 능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감도
  2. 선택도
  3. 충실도
  4. 잡음지수
(정답률: 알수없음)
  • 선택도는 희망하는 주파수를 불필요한 다른 전파들로부터 어느 정도 분리시켜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선택도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감도는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능력, 충실도는 신호의 정확도를 측정하는 능력, 잡음지수는 신호와 잡음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송신기의 스퓨리어스 복사의 측정법이 아닌 것은?

  1. 전력측정에 의한 방법
  2. 전구 부하에 의한 방법
  3. 전기장 강도 측정에 의한 방법
  4. 브라운관에 의한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송신기의 스퓨리어스 복사는 전파의 불규칙한 발생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필요한 전파이며, 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전력측정, 전기장 강도 측정, 브라운관에 의한 방법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전구 부하에 의한 방법"은 스퓨리어스 복사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전구 부하에 의한 방법은 전기 회로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스퓨리어스 복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전구 부하에 의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단축파대(SSB) 통신방식의 수신측에 나타나는 신호성분으로 볼 수 있는 것은?

  1. 상측파 혹은 하측파
  2. 반송파성분
  3. 진폭성분
  4. 펄스성분
(정답률: 알수없음)
  • 단축파대(SSB) 통신방식은 복소수 변환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하고, 이를 다시 역변환하여 복조하는 방식입니다. 이 때, 수신측에서는 원래의 신호를 복원하기 위해 변조된 신호를 다시 복소수 변환하여 신호성분을 분리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상측파 혹은 하측파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변조된 신호의 복소수 스펙트럼이 대칭적인 형태를 띄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단축파대(SSB) 통신방식의 수신측에 나타나는 신호성분으로는 "상측파 혹은 하측파"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축전지의 기전력이 5[V](무부하시), 그리고 8[Ω]의 부하를 걸었을 때 부하전압이 4[V]이면 축전지의 내부저항은 몇 [Ω] 인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알수없음)
  • 내부저항을 구하기 위해 오므로, 전류를 구해야 합니다.

    부하전압 = 축전지 전압 - 내부저항 * 전류

    전류 = (축전지 전압 - 부하전압) / 내부저항

    여기서,

    축전지 전압 = 5[V]

    부하전압 = 4[V]

    내부저항 = x [Ω] (문제에서 구하라고 한 값)

    전류 = (5[V] - 4[V]) / x [Ω] = 1 / x [A]

    또한,

    전류 = 부하전압 / 부하저항 = 4[V] / 8[Ω] = 0.5[A]

    따라서,

    1 / x [A] = 0.5[A]

    x = 2 [Ω]

    따라서, 정답은 "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위성통신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통신용량이 크다.
  2. 전송오류율이 작다.
  3. SHF주파수를 사용한다.
  4. 저품질의 협대역 통신에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성통신은 저품질의 협대역 통신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위성통신이 고속의 대역폭을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성통신은 고속의 대역폭을 제공하며, 전송오류율이 작고 SHF주파수를 사용하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수신기에서 입력전압이 10[μV]일 때 증폭하여 출력전압이 10[mV] 이라면 이득은 얼마가 되는가?

  1. 10[dB]
  2. 20[dB]
  3. 40[dB]
  4. 60[dB]
(정답률: 알수없음)
  • 이득은 출력전압과 입력전압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 이득은 10[mV] / 10[μV] = 100,000입니다.

    dB로 변환하면 20log(이득) = 20log(100,000) = 100dB가 됩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 선택해야 합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60[dB]"를 선택합니다.

    이유는 dB는 로그 스케일로 측정되기 때문에, 이득이 10배 증가할 때마다 20dB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이득이 100,000배 증가했으므로, 20dB를 5번 더한 100dB가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선택해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60[dB]"를 선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해사위성통신에 제공되는 위성은 적도상공 35,786km의 고도를 유지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으로 맞는 것은?

  1. 케플러 법칙
  2. 만유인력의 법칙
  3. 맥스웰의 법칙
  4. 프레밍의 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케플러 법칙은 태양계의 행성들이 태양 주위를 공전할 때, 그 궤도의 형태와 속도가 일정한 법칙을 따른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 법칙은 고도와 속도가 일정한 궤도를 유지하는 인공위성의 설계와 운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해사위성통신에서 제공되는 위성도 케플러 법칙을 기반으로 고도를 유지하며 지구와 통신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λ/4수직접지 안테나의 높이가 15[m]라 하면 이 안터네가 복사하는 전파의 파장은 몇 [m] 인가?

  1. 25
  2. 50
  3. 60
  4. 100
(정답률: 알수없음)
  • λ/4 안테나의 길이는 파장의 1/4이므로, 파장은 안테나의 길이에 4를 곱한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파장은 15 x 4 = 60[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지상 300km – 1500km 에 떠있으며, 기상관측, 자원탐사 등에 이용되는 위성은?

  1. 저궤도 위성
  2. 중궤도 위성
  3. 고궤도 위성
  4. 정지궤도 위성
(정답률: 알수없음)
  • 저궤도 위성은 지상과 가까운 고도에 떠 있기 때문에 대기권과의 마찰로 인해 빠르게 낙하하게 되어 수명이 짧습니다. 하지만 지상과 가까운 고도에 있기 때문에 기상관측, 자원탐사 등 지상에서의 관측이 필요한 용도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기상관측, 지리정보 수집, 통신 등에 이용되는 위성들이 대부분 저궤도 위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레이더의 안테나와 송,수신회로를 연결시켜 주는 급전선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평행 2선식
  2. 동축 케이블
  3. 동조 급전선
  4. 도파관
(정답률: 알수없음)
  • 도파관은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데 적합한 급전선으로, 안테나와 송,수신회로를 연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도파관은 다른 급전선에 비해 손실이 적고 대역폭이 넓어 신호의 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레이더에서 안정적인 신호 전송을 위해 도파관이 가장 적당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전파법에 의하여 허가를 받아야 하는 전파응응설비는 고주파 에너지 출력이 몇 와트[W]를 초과하는 것을 말하는가?

  1. 50[W]
  2. 100[W]
  3. 500[W]
  4. 1[kW]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법에서는 고주파 에너지 출력이 50[W]를 초과하는 전파응응설비를 허가를 받아야 하는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50[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수신설비가 충족해야 할 조건에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내부잡음이 적을 것
  2. 감도가 충분할 것
  3. 선택도가 클 것
  4. 허용편차가 충분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허용편차가 충분하지 않으면, 수신설비가 원하는 주파수 범위 내에서 신호를 정확하게 수신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허용편차가 충분해야만 수신설비가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습니다. 내부잡음이 적을 것, 감도가 충분할 것, 선택도가 클 것은 모두 수신설비가 정확하게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지만, 허용편차가 충분하지 않으면 그 조건들도 충족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양측파대 수신기에 의해 수신이 가능하도록 반송파를 일정한 레벨로 송출하는 전파를 정의하는 것은?

  1. 전반송파
  2. 부반송파
  3. 저감반송파
  4. 억압반송파
(정답률: 알수없음)
  • 전반송파는 양측파대 수신기에 의해 수신이 가능한 반송파를 일정한 레벨로 송출하는 전파를 말합니다. 따라서, 양측파대에서 수신이 가능한 반송파를 송출하는 것이 전반송파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무선기기의 형식검정 대상이 아닌 것은?

  1.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
  2. 선박국요 무선 방위측정기
  3. 경보 자동 전화장치
  4. 라디오부이의 기기
(정답률: 알수없음)
  • 라디오부이의 기기는 무선기기가 아니라 무선 통신을 위한 부속 장비이기 때문에 형식검정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송신장치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에너지를 공간에 복사하는 설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송신설비
  2. 송신장치
  3. 송신공중선계
  4. 무선설비
(정답률: 알수없음)
  • 송신장치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에너지를 공간에 복사하는 설비를 송신공중선계라고 합니다. 이는 송신장치에서 발생한 고주파 신호를 안테나로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설비로, 안테나와 송신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안테나로 전달되는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송신설비, 무선설비는 송신장치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지만, 공중선계는 송신장치와 안테나 사이에 위치하여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535[kHz]초과 1605.5[kHz]이하 주파수대 방송국의 주파수 허용편차는?

  1. 10[Hz]
  2. 20[Hz]
  3. 50[Hz]
  4. 1000[Hz]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허용편차는 주파수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방송국이 송출하는 주파수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범위를 넘어가면 다른 주파수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35[kHz] 초과 1605.5[kHz] 이하의 주파수대에서의 주파수 허용편차는 일반적으로 10[Hz]입니다. 이는 국제 전기통신 연합(ITU)에서 정한 규정에 따라 결정되었습니다. 이 범위를 넘어가면 다른 주파수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방송국은 이 범위 내에서 주파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무선설비형식검정 합격 취소 사유가 아닌 것은?

  1. 허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형식검정에 합격한 때
  2. 합격기기로서 생산된 기기가 형식검정 합격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한 때
  3. 신청서 또는 첨부서류의 기재사항이 누락되었을 때
  4. 형식검정 합격표시를 아니한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신청서 또는 첨부서류의 기재사항이 누락되었을 때"는 형식검정 신청서나 첨부서류에 필요한 정보나 문서가 누락되어 있어서 형식검정 심사를 진행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단순한 실수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형식검정 신청자가 제출한 자료가 완전하지 않아서 형식검정 심사를 진행할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암호를 사용할 수 없는 무선국은?

  1. 고정국
  2. 항공국
  3. 실험국
  4. 해안국
(정답률: 알수없음)
  • 실험국은 암호화 기능이 없는 무선 통신 장비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국가입니다. 따라서, 다른 국가와의 통신이 노출될 위험이 있으므로 보안상 취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같은 통신망의 통신소로 가장 개입하여 중요내용 또는 비밀을 발설하게 유도하여 내용을 탐지하는 것은?

  1. 교신분석
  2. 내용분석
  3. 기만통신
  4. 방향탐지
(정답률: 알수없음)
  • 기만통신은 통신망에서 가장 개입하여 상대방을 속여 중요내용이나 비밀을 발설하게 유도하여 내용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기만통신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교신분석은 통신망에서 주고받는 정보의 양상을 분석하는 방법이며, 내용분석은 통신 내용 자체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방향탐지는 특정 방향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통신수단별 보안도의 순위가 높은 순으로 옳은 것은?

  1. 전령 – 우편 – 시호 – 전기
  2. 우편 – 전령 – 시호 – 전기
  3. 시호 – 우편 – 전령 – 전기
  4. 전령 – 시호 – 전기 – 우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령 – 우편 – 시호 – 전기"입니다.

    전령은 무선 통신이 없는 시대에 사용되던 통신 방법으로, 눈으로 보이는 신호나 소리로 정보를 전달합니다. 이는 외부에서 간섭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안성이 높습니다.

    우편은 편지나 우표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물리적으로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보안성이 높습니다.

    시호는 소리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전파를 이용하는 전기 통신보다는 보안성이 높지만, 전파의 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통신 거리가 짧습니다.

    전기는 전파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외부에서 간섭이 가능하고 해킹 등의 위협이 존재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일반적으로 통신내용이 중요할 경우 안전하게 보내는 가장 적당한 방법은?

  1. 약호를 사용한다.
  2. 모르스부호를 사용한다.
  3. 약어를 사용한다.
  4. 평문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약호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통신내용을 암호화하는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약호는 일반적으로 단어나 구절을 대체하는 단어나 구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원래의 메시지를 암호화합니다. 이 방법은 암호화 및 복호화가 쉽고, 암호화된 메시지를 해독할 수 있는 사람이 약호를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비상국의 전원은 수동발전기, 원동발전기, 무정전 전원실비 또는 축전기로서 몇 시간이상 상시 운용할 수 있어야 하는가?

  1. 12시간
  2. 24시간
  3. 48시간
  4. 72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비상상황에서는 전기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비상국의 전원은 일정 시간 동안 상시 운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수동발전기, 원동발전기, 무정전 전원실비 또는 축전기를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인 운용 시간은 24시간입니다. 이는 대부분의 비상상황에서 충분한 시간이며,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도 대처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4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정보통신기기인증규칙에서 인증번호부여 방법 중 인증의 종류가 틀린 것은?

  1. 형식승인 : T
  2. 형식검정 : A
  3. 형식등록 : J
  4. 전자파적합등록 : 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형식승인 : T"

    설명: 정보통신기기인증규칙에서 인증번호부여 방법은 형식승인(T), 형식검정(A), 형식등록(J), 전자파적합등록(E)으로 구분됩니다. 형식승인은 국가기술표준원에서 제시한 기술적인 요건을 충족하는지 검증하는 인증 방식이며, 형식검정은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 인증 방식입니다. 형식등록은 제품의 형식을 등록하는 인증 방식으로, 제품의 형식이 이미 승인된 경우에는 형식등록만으로 인증이 가능합니다. 전자파적합등록은 전자파 방출량 등을 검증하는 인증 방식입니다.

    "형식등록 : J"의 경우, 이미 승인된 제품의 형식을 등록하는 인증 방식입니다. 이 경우에는 형식승인이나 형식검정을 거치지 않고도 인증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공중선 전력의 표시가 아닌 것은?

  1. 첨두포락선전력
  2. 평균전력
  3. 반송파전력
  4. 복사전력
(정답률: 알수없음)
  • 복사전력은 공중선에서 발생하는 전파가 주변에 방사되는 전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공중선 전력의 표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통신보안의 목적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통신내용의 수집
  2. 통신장비의 보호
  3. 통신운용 질서 유지
  4. 통신내용의 누설방지
(정답률: 알수없음)
  • 통신보안의 목적은 통신내용의 누설방지입니다. 이는 통신 과정에서 전송되는 정보가 제3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보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통신보안은 정보보호의 중요한 부분으로, 국가안보와 기업경쟁력 유지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