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조림학
1. 시비의 반응곡선을 옳게 설명한 것은?
2. 다음 중 가장 높은 온도 조건에서 접목이 실시되는 것이 이로운 수종은?
3. 다음 중에서 산벌작업을 바르게 설명하는 내용은?
4. 미생물의 활동이 대단히 왕성하고 양료의 이용률이 높으며 부식의 형성이 쉽게되는 임지의 pH는 대략 어느 정도인가?
5. 다음 조건하에 묘포 파종상에서 산파(散播)의 경우 파종량을 구하는 올바른 식은 어느 것인가?
6. 다음의 수종 중에서 삼림기후대를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강원도 북부 산간 지역에 식재 권장 가능 수종은?
7. 간벌의 효과와 거리가 먼 것은?
8. 보잔목 작업을 실시하면 그 뒤에 나타나는 임분은 대체로 어떻게 되는가?
9. 가지치기 목적을 바르게 설명하고 있는 내용은?
10. 대경목을 매년 생산할 수 있는 작업종은?
11. 테트라졸륨 검사는 어떠한 목적으로 하는가?
12. 다음 그림과 같은 임분 구조를 가진 것은?
13. 묘령(苗齡)이 2-1-2인 묘목의 이식 횟수는?
14. 다음 수종 중 종자 숙기가 5월인 것은?
15. 그림과 같은 구성을 보이는 동령임분에서 빗금친 부분을 간벌하였다면 어떠한 간벌방식이 적용된 것인가?
16. 발아세(發芽勢)를 구하는 공식은?
17. 수목의 생장과 광요인에 관한 내용이다. 틀리는 것은?
18. 한다발에 잎이 다섯개인 것은?
19. 어미나무(母樹)작업법으로 갱신할 때 어미나무(母樹)로 잔존시키는 양은 원래의 임목 재적의 몇 %로 하는가?
20. 묘목 식재시 나타나는 밀도 법칙을 옳게 설명한 것은?
2과목: 임목육종학
21. 일반 조합능력(General Combining Ability, G.C.A)을 옳게 설명한 것은?
22. 어떤 수종의 어떤 형질에 대한 유전모수가 VG = 50, VNA=10, 그리고 VE=50 이라고 추정되었다면 이 형질에 대한 협의의 유전력은?
23. 반수체에 대한 설명으로 잘 못된 것은?
24. 소나무류의 인공교배시 화분주입은 자화의 상태가 어떤 정도일 때가 가장 적당한가?
25. 육종에 있어서 수고, 형질 등 여러 형질을 동시에 개량하여야 하고, 효율적인 육종을 위해서는 이들 형질들간의 상관관계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 중 유전상관을 결정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26. 염색체의 수를 증가시켜 새로운 품종을 만드는 방법은?
27. 잣나무의 한 유전자좌(遺傳子座)에 4개의 대립유전자(對立遺傳子)가 존재하는 경우 이 유전자좌에서 실현 가능한 유전자형의 수는?
28. 임목육종은 일반적으로 육종 효과가 크다고 한다. 그 이유로 가장 적당한 것은?
29. 자식약세 현상은 어떠한 경우 발생하는가?
30. 지베렐린 처리로 개화 효과가 가장 높은 수종은?
31. 플러스임분(plus stand)을 정의한 것은?
32. 임목 육종에서 종이나 산지간의 경쟁 비교를 위해 가장 널리 쓰이는 플롯은 어느 것인가?
33. 다음 중 잡종강세 현상을 이용하여 육성한 수종은?
34. Clone bank 란?
35. 낙엽송은 어느 나라에서 도입되었는가?
36. Pinus densiflora Thunbergii는?
37. 다음 중 비교적 성공한 경우의 도입종 - 도입지의 예는?
38. 생물공학적 기법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39. Hardy-Weinberg의 법칙이 성립되는 집단에서 열성호모개체인 aa의 빈도가 4%라고 하면 우성유전자 A의 빈도는?
40. 근친교배(近親交配)에 의해 임목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결과가 아닌 것은?
3과목: 산림보호학
41. 식물에 기생하는 대부분의 세균 형태는?
42. 다음 중에서 목질의 재질을 저하시키는 해충이 아닌 것은?
43. 삼림화재가 토양에 미치는 피해가 아닌 것은?
44. 밤바구미의 피해를 받은 밤은 무엇으로 훈증하는가?
45. 1년에 2회 발생하며, 1화기에는 자두, 복숭아등의 열매를 가해하고 2화기에는 밤나무의 열매를 주로 가해하는 해충은?
46. 산림 해충 발생의 징후와 관계되는 현상은?
47. 솔잎혹파리의 월동 유충의 밀도를 나타낼 때 쓰이는 표현 방법은?
48. 다음 중 주로 곤충이나 소동물에 의하여 전반되는 병은?
49. 녹병의 방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50. 곤충의 체벽 중에서 세포층으로 되어 있는 부분은?
51. 파이토(마이코)플라스마에 의한 병해를 방제하는데 사용하는 약제는?
52. 아황산가스에 대한 식물체의 감수성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53. 그을음병을 방제하는데 가장 알맞는 방법은?
54. 다음 중 종자에 붙어서 월동하는 균으로 대표적인 것은?
55. 전염 후 발병되기까지의 잠복기간이 가장 긴 병은?
56. 소나무 혹병의 중간기주는?
57. 풍해에 대한 기술 중 가장 옳은 것은?
58. 솔나방의 월동 형태는 어느 것인가?
59. 대기 중에서 화학반응에 의하여 새로운 독성을 지니게 되는 대기오염 물질은?
60. 솔나방의 월동 습성을 이용한 방제법은?
4과목: 토양학 및 비료학
61. 수용성 인산의 주성분은?
62. 요소를 가수분해 시키는 효소는?
63. 석회를 과잉 시비한 곳에 결핍 현상을 나타내는 성분은?
64. 요소는 암모니아 외에 어떤 물질을 원료로 만드는가?
65. 유효질소 30 kg 이 필요한 경우에 요소(N 46%, 흡수율 83%)로써 질소 비료를 충당한다면 필요한 요소량은?
66. 식물생육에 필요한 원소 중 미량원소로 분류되는 것은?
67. 흡습성이 매우 커서 방습처리하여 저장하여야 하며, 화기의 접근 등 관리에 주의를 요하는 비료는?
68. 토양을 침식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69. 다음 점토광물 중 양이온치환용량이 가장 큰 것은?
70. 산성 토양을 중화하는데 가장 유효한 것은?
71. 녹색의 고등식물에 광선을 비치지 않는 경우 나타나는 주된 증상은?
72. 다음 중 토양 미생물의 작용이 아닌 것은?
73. 과린산석회 비료와 배합하면 수용성 인산의 일부가 불용성으로 변하는 비료는?
74. 질소기아(nitrogen starvation)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5. 요소와 석회질소를 각각 성분량으로 등량 시비 하였더니 요소시비구는 450 kg/10a, 석회질소시비구는 442 kg/10a의 수량을 얻었으며, 이 때의 무비료구 수량은 300 kg/10a 였다. 석회질소의 비효가는 얼마인가?
76. 토양의 산성화와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77. 우리나라 일반 경작지 토양의 진밀도의 평균값은?
78. 다음 점토광물 중 인산질비료의 고정력이 가장 큰 것은?
79. 글라이화 작용(gleization)이 가장 잘 일어나는 곳은?
80. 조성에 있어서 토양공기(soil air)가 대기와 뚜렷이 다른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