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8-22)

방재기사
(2020-08-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재난관리

1.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령상 특별재난지역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것?

  1. 특별재난지역의 선포를 건의받은 대통령은 해당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할수있다.
  2. 대통령이 특별재난지역을 선포하는경에 중앙대책본부장은 특별재난 지역의 구체적인범위를 정하여 공고하여야한다.
  3. 사회재난과 관련하여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한 지역에 대해서는 「재해구호법」에 따른 의연금품을 지원할수 있다.
  4. 중앙대책본부장은 지원을 위한 피해금액과 복구비용의 산정, 국고지원 내용등을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 및 중앙대책본부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회재난과 관련하여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한 지역에 대해서는 「재해구호법」에 따른 의연금품을 지원할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사회재난과 관련하여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한 경우, 「재해구호법」에 따른 의연금품은 지원되지 않습니다. 대신, 「재난기본법」에 따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특별재난지역에서 발생한 피해를 신속하게 복구하기 위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자연재해대책법령상 비상대처계획을 수립하여야하는 내진설계 대상 시설물에 해당하지 않는것은?

  1. 「공항시설법」에 따른 공항시설중 여객터미널등 지진으로인한 재해가 우려되는 시설
  2. 「도시가스사업법」에 따른 가스사용시설 중 지진으로 인한 재해가 우려되는 시설
  3. 「항만법」에따른 항만시설 중 방파제등 지진으로 인한 재해가 우려되는 시설
  4. 「도시철도법」에 따른 도시철도중 철도모노레일 등 지진으로 인한 재해가 우려되는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재해대책법령상 비상대처계획을 수립하여야하는 대상은 일반적으로 지진, 홍수, 태풍 등의 자연재해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처계획을 수립해야하는 시설물이다. 따라서 「도시가스사업법」에 따른 가스사용시설 중 지진으로 인한 재해가 우려되는 시설도 대상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령상 ′사회재난′에 해당하는 것은?

  1. 태풍
  2. 낙뢰
  3. 소행성·유성체 등 자연우주물체의 추락·충돌
  4.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따른 미세먼지로인한 피해
(정답률: 알수없음)
  •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령에서 사회재난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난을 말합니다. 따라서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따른 미세먼지로인한 피해가 사회재난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령상 재난관리책임기관에 해당하지 않는 것?

  1. 국립검역소
  2. 한국방송공사
  3. 시 · 도의 교육청
  4. 한국관광공사
(정답률: 알수없음)
  • 한국방송공사는 재난관리책임기관이 아니라 방송사업을 수행하는 공사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댐·저수지 붕괴등에 의한 하류위험지역의 위험도 평가시 인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위험지역의 인구는 붕괴시 범람으로 인한 인명피해 잠재성의 정량화된 척도로 사용된다.
  2. 위험지역의 인구는 붕괴시 범람으로 인한 하류 위험지역으로부터 피난해야 될 사람의 수를 말한다.
  3. 위험지역의 인구는 상시 거주지뿐만 아니라 작업장과 임시거주지 인구까지 포한한다.
  4. 인구위험도는 PAR(Person At Risk)로 표시되기도 하는데 댐의 상류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의 수로 정의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구위험도는 PAR(Person At Risk)로 표시되기도 하는데 댐의 상류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의 수로 정의 할 수 있다."가 틀린 것입니다. 인구위험도는 댐 붕괴 등의 재해 발생 시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 중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은 인구를 말하며, 이는 상시 거주자뿐만 아니라 작업장과 임시거주지 인구까지 모두 포함됩니다. 따라서 인구위험도는 단순히 상류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의 수로만 정의할 수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대규모 복합재난 대응훈련 기본지침상 도상훈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

  1. 대표적인 도상훈련 참여자는 복합재난 대응훈련준비단의 구성원들로 주관기관 훈련부서,유관기관 훈련실무자, 고위직 공무원등이다.
  2. 보통 도상훈련은 개념의 이해를 돕고, 장단점을 식별하며, 태도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한다.
  3. 훈련주관 기관장이 소속기관 등의 직원에게 핵심적인 주요과제를 사전에 부여하여 실시한다.
  4. 도상훈련방법은 기본과정과 전문과정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도상훈련방법은 기본과정과 전문과정이 있다."

    해설: 대규모 복합재난 대응훈련 기본지침상 도상훈련에 관한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은 "도상훈련방법은 기본과정과 전문과정이 있다."입니다. 도상훈련은 개념의 이해를 돕고, 장단점을 식별하며, 태도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됩니다. 대표적인 도상훈련 참여자는 복합재난 대응훈련준비단의 구성원들로 주관기관 훈련부서, 유관기관 훈련실무자, 고위직 공무원 등이며, 훈련주관 기관장이 소속기관 등의 직원에게 핵심적인 주요과제를 사전에 부여하여 실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자연재해대책법령상 시·군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의 수립주기는?

  1. 2년
  2. 4년
  3. 8년
  4. 10년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재해대책법령상 시·군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의 수립주기는 10년입니다. 이는 자연재해의 발생 빈도와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고, 그에 따른 예산을 계획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10년마다 계획을 재검토하고 수정함으로써 지속적인 대책 수립과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지반의 액상화(Liquefaction)현상에 가장큰 영향을 주는 재난으로 옳은 것은?

  1. 홍수
  2. 대설
  3. 지진
  4. 화산활동
(정답률: 알수없음)
  • 지진은 지하에서 발생하는 지적파동으로 지반을 진동시키며, 이로 인해 지반 내부의 물이 압력을 받아 액상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진은 지반의 액상화 현상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재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재해구호법령상 재해구호계획에 포함되어야할 사항으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

  1. 임시주거시설의 제공에 관한 사항
  2. 재해구호기금의 운영·관리에 관한 사항
  3. 재해구호에 대한 교육 및 훈련에 관한사항
  4. 심리회복 지원에 관한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재해구호법령상 재해구호계획에 포함되어야할 사항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것은 "재해구호기금의 운영·관리에 관한 사항"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재해구호계획에 포함되어야할 사항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자연재해대책법령상 지구단위별 종합복구계획 수립대상지역에 포함되지않는 것은?

  1. 도로·하천등의 시설물에 복합적으로 피해가 발생하여 시설물별 복구보다는 일괄복구가 필요한지역
  2. 산사태로 인하여 하천 유로변경등이 발생한 지역으로서 근원적 복구가 필요한 지역
  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빗물저장시설등 환경기초 시설의 일괄 복구가 필요한지역
  4. 복구사업을 위하여 국가 차원의 신속하고 전문적인 인력·기술력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빗물저장시설등 환경기초 시설의 일괄 복구가 필요한지역은 자연재해로 인한 시설물 피해가 아니라 환경기초 시설의 복구가 필요한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은 지역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진·화산재해대책법령상 내진설계기준의 설정 대상으로 틀린것은?

  1. 「폐기물관리법」에 따른 폐기물감량화시설
  2. 「수도법」에 따른 수도시설
  3. 「송유관 안전관리법」에 따른 송유관
  4.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에 따른 석유정제시설·석유비축시설 및 석유저장 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진·화산재해대책법령상 내진설계기준의 설정 대상으로는 "「수도법」에 따른 수도시설", "「송유관 안전관리법」에 따른 송유관",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에 따른 석유정제시설·석유비축시설 및 석유저장 시설"이 포함되지만, "「폐기물관리법」에 따른 폐기물감량화시설"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폐기물감량화시설은 지진·화산재해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자연재해대책법령상 방재관리대책대행자(이하 ′대행자′라 한다)등록요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

  1. 「기술사법」에 따른 기술사무소의 개설자는 대행자로 등록할수있다
  2. 기술인력1명이 2종 이상의 기술자격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1종 기술자격만 보유한 것으로 본다.
  3. 대행자로 등록하려는 자가 이미보유한 기술인력은 대행자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으로 중복하여 등록할수 있다.
  4. 대행자의 기술인력으로 고용된 사람은 지방자치단체등에 이중으로 취업 할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행자의 기술인력으로 고용된 사람은 지방자치단체등에 이중으로 취업 할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대행자의 기술인력으로 고용된 사람은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이중 취업이 불가능합니다. 이는 대행자의 기술인력이 해당 지자체에서 일하는 것과 중복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령상 대규모 재난의 대응·복구 등에 관한사항을 총괄·조장하고 필요한 조치를 하기 위하여 행정안전부에 두는 기구는?

  1. 중앙안전관리위원회
  2.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3. 재난안전상황실
  4. 안전정책조정위원회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대규모 재난의 대응과 복구 등에 관한 사항을 총괄하고 필요한 조치를 하기 위해 행정안전부에 두는 기구입니다. 따라서 이 기구가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령상 대규모 재난에 대한 대응과 복구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총괄하고 조장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령상 특별재난의 범위에 관한설명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ㄱ: 2.5, ㄴ: 4분의 1
  2. ㄱ: 2.5, ㄴ: 2분의 1
  3. ㄱ: 3, ㄴ: 4분의 1
  4. ㄱ: 3, ㄴ: 2분의 1
(정답률: 알수없음)
  • 특별재난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재난 종류 중 가장 심각한 것으로, 인명이나 재산에 대한 심각한 피해가 예상되는 재난을 말한다. 이 중에서도 "ㄱ: 2.5"에 해당하는 지진, 화산, 해일, 대설, 폭염, 한파, 건조, 대기오염, 전염병 등은 국가적으로 대응이 필요한 특별재난으로 분류되며, 이 경우 지방자치단체는 국가적 대응체계에 따라 대응해야 한다. "ㄴ: 4분의 1"은 이러한 특별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말하며, 지방자치단체는 해당 지역의 인구와 시설 등을 고려하여 대응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령상 재난관리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재난이나 그밖의 각종사고로부터 사람의 생명·신체 및 재산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
  2. 대한민국의 영역 밖에서 대한민국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에 피해를 주거나줄수있는 재난으로서 정부차원에서 대처할 필요가있는 재난을말한다.
  3. 재난의 예방·대비·대응 및 복구를 위하여 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
  4. 재난이 발생할 우려가 있거나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국민의 생명과 신체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재난의 예방·대비·대응 및 복구를 위하여 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입니다. 이유는 재난관리는 재난이 발생하기 전에 예방과 대비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재난이 발생하면 대응을 통해 피해를 줄이고, 재난이 종료된 후에는 복구를 통해 정상화를 이루는 모든 활동을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재난관리의 정의는 이러한 모든 활동을 포괄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에서 설명하는 위험분석기법은?

  1. 결함수분석기법(FTA)
  2. 예비위험분석기법(PHA)
  3. 사건수분석기법(ETA)
  4. 결함사고(위험)분석기법(FHA)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결함수분석기법(FTA)의 예시이다. FTA는 시스템의 결함이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원인들을 찾아내고, 그 원인들이 결함이나 오류를 발생시키는 경로를 추적하여 시스템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시스템의 결함이나 오류를 발생시키는 원인들과 그 원인들이 결함이나 오류를 발생시키는 경로를 파악하여 안전성을 평가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자연재난 구호 및 복구비용 부담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 재난복구사업을 위함 지원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주택복구
  2. 공공시설의 복구
  3. 농경지 및 염전 복구
  4. 토지매입 비용
(정답률: 알수없음)
  • 재난복구사업은 주로 피해를 입은 주택, 공공시설, 농경지 및 염전 등의 복구를 위한 지원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토지매입 비용은 재난복구사업과는 관련이 없는 지원 항목입니다. 따라서 토지매입 비용은 재난복구사업을 위한 지원항목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자연재해대책법령상 재해정보 및 비상지원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장은 자연재해가 발생하면 그 현황을 실시간으로 종합적인 재해정보체계에 입력하여야 한다.
  2. 지방자치단체의장은 필요하면 비상대처계획의 수립 실태를 점검할수있다.
  3. 해양경찰청은 해상에서의 각종지원 및 수난 구호등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긴급지원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4.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종합 재해정보체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재해정보체계 표준을 개발하여 보급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방자치단체의장은 필요하면 비상대처계획의 수립 실태를 점검할수있다."가 틀린 것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종합 재해정보체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재해정보체계 표준을 개발하여 보급해야 합니다. 이는 재해정보체계를 표준화하여 정보교환의 원활성을 높이고, 재해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자연재해대책법령상 재해정보지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방재교육형 재해정보지도
  2. 보험산정형 재해정보지도
  3. 방재정보형 재해정보지도
  4. 피난활용형 재해정보지도
(정답률: 알수없음)
  • 보험산정형 재해정보지도는 자연재해 대책법령에서 규정하는 재해정보지도 유형이 아니며, 보험 청구 등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입니다. 따라서 자연재해 대책법령상 재해정보지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일반자산의 총 직접피해액 산출 시 고려되지 않는 것은?

  1. 연평균피해액
  2. 일반자산피해액
  3. 인명피해액
  4. 일반자산 피해액에 대한 공공시설물의 비율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일반자산 피해액에 대한 공공시설물의 비율"입니다. 이는 일반자산의 총 직접피해액을 산출할 때, 공공시설물의 비율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연평균피해액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평균적인 피해액을 의미하며, 일반자산피해액과 인명피해액은 직접적인 피해액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재시설

21. 유역의 시점부 표고가 170m이고 종점부 표고가 110m이며 시점부에서 종점부까지의 거리가 1200m일 때 유역의 경사는 얼마인가?

  1. 3%
  2. 5%
  3. 7%
  4. 9%
(정답률: 알수없음)
  • 유역의 경사는 (시점부 표고 - 종점부 표고) / 시점부에서 종점부까지의 거리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170m - 110m) / 1200m = 0.05 = 5% 이므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자연재해대책법령상 우수유출저감시설중 침투시설에 해당하지않는것은 ?

  1. 침투통
  2. 빗물받이
  3. 침투트렌치
  4. 투수성포장
(정답률: 알수없음)
  • 침투시설은 지하수 오염을 막기 위해 지표면 하부에 설치되는 시설로, 지표면 하부에 있는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지하수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빗물받이는 지하수 오염을 막는 것이 아니라, 비가 내리면 지표면에서 빗물을 집수하여 하수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빗물받이는 침투시설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내수재해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외수 증가에 따른 우수 및 하수의 역류
  2. 도시개발에 따른 유출량 증가
  3. 인공사면의 시공불량
  4. 배수로 및 하수로의 배수능력 부족
(정답률: 알수없음)
  • 내수재해의 원인으로는 외수 증가에 따른 우수 및 하수의 역류, 도시개발에 따른 유출량 증가, 배수로 및 하수로의 배수능력 부족 등이 있지만, 인공사면의 시공불량은 내수재해의 원인이 아닙니다. 인공사면의 시공불량은 건축물의 안전성과 관련된 문제이며, 내수재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은 내수시설물 중 어떤 설계기준에 관한 설명인가?

  1. 유수지
  2. 수문
  3. 배수펌프장
  4. 침전지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 축적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시설물인 배수펌프장은 내수시설물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물을 저장하거나 통제하는 시설물이지만, 배수펌프장은 이미 축적된 물을 효율적으로 배수하기 위한 시설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과 같은 혼성방파제의 직립부에 파고 5m주기 10sec의 파랑이 작용이 작용 할 때 최대충격압을 Minikin공식(pm=102.4pgd(1+d/h)H/L)으로 구하면 약 얼마인가? (단, 파장은 103m, 해수의 단위중량은 1.025kN/3이다.)

  1. 40kN/m2
  2. 45kN/m2
  3. 50kN/m2
  4. 55kN/m2
(정답률: 알수없음)
  • Minikin 공식은 다음과 같다.

    pm = 102.4pgd(1+d/h)H/L

    여기서,
    pm : 최대 충격압
    p : 해수의 단위중량 = 1.025kN/m^3
    g : 중력가속도 = 9.81m/s^2
    d : 직립부의 물깊이 = 5m
    h : 혼성방파제의 높이 = 10m
    H : 파고의 높이 = 5m
    L : 파장 = 103m

    따라서,
    pm = 102.4 x 1.025 x 9.81 x (1+5/10) x 5/103
    pm = 55kN/m^2

    따라서, 정답은 "55kN/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관리지침상 배수문, 유수지, 저류지 등 방재시설물 이 노후화하여 재해발생이 우려되는 시설물에 대해 지정하는 자연재해위 험지구는?

  1. 취약방재시설지구
  2. 붕괴위험지구
  3. 고립위험지구
  4. 유실위험지구
(정답률: 알수없음)
  • 취약방재시설지구는 자연재해로부터 위험이 높은 방재시설물이 노후화하여 재해발생이 우려되는 지역을 지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지구는 붕괴, 고립, 유실 등의 위험보다는 방재시설물의 노후화로 인한 위험성이 높은 지역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자연재해대책법령상 수방기준을 제정하는 대상시설물에 해당하지않는것?

  1. 소하천정비법에 따른 소하천 부속물 중 제방
  2. 하천법에 따른 하천시설 중 제방
  3. 농어촌정비법에 따른 농업생산기반시설 중 농수산물 유통시설
  4. 하수도법에 따른 하수도중 하수관로 및 공공하수처리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재해대책법령에서 수방기준을 제정하는 대상시설물은 주로 수문시설과 하수도시설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농어촌정비법에 따른 농업생산기반시설 중 농수산물 유통시설은 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과거 발생한 풍수해 발생현황 조사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

  1. 연도별·시설물별 피해액 현황
  2. 연도별·시설물별 복구비 현황
  3. 연도별·시설물별 손상률 현황
  4. 연도별 피해시설 분석을 통한 지방자치단체 재해 특성
(정답률: 알수없음)
  • "연도별·시설물별 손상률 현황"은 풍수해 발생 시 해당 시설물의 손상 정도를 파악하는 것으로, 풍수해 발생 현황을 조사하는 대상에 해당합니다. "연도별·시설물별 피해액 현황"과 "연도별·시설물별 복구비 현황"은 풍수해 발생으로 인한 경제적인 피해를 파악하는 것으로, 조사 대상에 해당하지만, 풍수해 발생 현황을 직접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아닙니다. "연도별 피해시설 분석을 통한 지방자치단체 재해 특성"은 지방자치단체의 재해 대응 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풍수해 발생 현황을 직접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하천설계 시 하천제방에 대한 설계기준의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제방고는 계획홍수위에 여유고를 더한 높이 이상으로 한다
  2. 파랑고가 여유고보다 높은 경우는 파랑고를 여유고로 한다
  3. 계획홍수량이 200 m3/sec 미만인경우 여유고는 0.6m이상으로 한다
  4. 계획홍수량이 200 m3/sec 미만인경우 둑마루폭은 3.0m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계획홍수량이 200 m3/sec 미만인경우 둑마루폭은 3.0m이상으로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이유는 하천 제방은 계획홍수량, 여유고, 파랑고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에, 단일한 설계기준으로 설계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계획홍수량이 200 m3/sec 미만인경우 둑마루폭은 3.0m이상으로 한다"는 하천 제방 설계시 고려되는 하나의 요소에 불과하며, 다른 요소들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사면재해 방지시설에 대한 취약요인 검토사항이 옳게 연결되지 않은것?

  1. 옹벽 - 배수공, 균열, 기울기
  2. 석축 - 석축 간의 결합 상태, 석축파손상태, 기울기
  3. 낙석방지 울타리 - 울타리 파손여부, 인접시설물과의 이격거리
  4. 법면 보호 울타리 - 법면 보호면의 인장력
(정답률: 알수없음)
  • 법면 보호 울타리는 법면 보호면의 인장력을 검토하는 것이 옳은 연결이다. 이는 법면 보호 울타리가 법면 보호면을 충분히 지탱하지 못하면 법면이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법면 보호 울타리의 인장력을 검토하여 취약점을 파악하고 보완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해안재해중 해안침식의 원인이 아닌것은?

  1. 높은파고에 의한 모래유실
  2. 해사채취에 의한 해안토사 평형상태 붕괴
  3. 해안구조물에 의한 연안표사 이동
  4. 해안 표류물의 퇴적
(정답률: 알수없음)
  • 해안 표류물은 해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해안침식의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오히려 해안 표류물이 퇴적되면 해안 보호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해안 표류물의 퇴적"은 해안침식의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하천의 하상경사가 급하고 저수지의 관리수위이하의 저수율을 보유하고 있는 하천 시점부의 농경지에서의 취약한 재해유형은?

  1. 하천재해
  2. 가뭄재해
  3. 내수재해
  4. 토사재해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의 하상경사가 급하고 저수지의 관리수위 이하의 저수율을 보유하고 있는 하천 시점부의 농경지에서는 강한 비가 내리면 물이 급격히 상승하여 가뭄 상황에서도 갑작스러운 홍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가뭄으로 인한 토양의 수분흡수력이 떨어져 가뭄재해와 함께 홍수로 인한 가뭄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가뭄재해"가 취약한 재해유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일반현황 조사 대상중 인문현황조사 항목이 아닌것은?

  1. 인구현황
  2. 산업현황
  3. 문화재현황
  4. 토지이용현황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이용현황"은 인문학적인 측면보다는 지리학적인 측면에서 다루는 주제이기 때문에 인문현황조사 항목이 아닙니다. 인문학적인 측면에서는 인구, 산업, 문화재 등과 같은 주제가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지형현황 조사를 위한 분석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질분석
  2. 표고분석
  3. 질·성토 사면분석
  4. 경사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지질분석은 지형현황 조사를 위한 분석항목에 해당하지 않는다. 지질분석은 지질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으로, 지형현황 조사와는 관련이 적다. 다른 보기들은 지형현황 조사를 위한 분석항목으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재난대응훈련 프로그램 영역에서 위기관리 매뉴얼상의 정부 부처의 조치 목록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기상청:신속하고 정확한 호우특보 전파
  2. 교육부:긴급동원체계 및 인명구조 긴급지원태세 유지
  3. 산림청:산사태 취약지역 및 임도피해 우려지역 예찰강화
  4. 보건복지부:재해지역 식중독 예방대책 추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부 부처의 조치 목록 중에서 잘못 연결된 것은 "산림청: 산사태 취약지역 및 임도피해 우려지역 예찰강화"입니다. 이유는 이 조치는 기상청의 신속한 호우특보 전파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교육부의 조치는 긴급동원체계 및 인명구조 긴급지원태세 유지입니다. 이는 재난 상황에서 교육부가 인력과 시설 등을 적극 활용하여 인명구조 및 긴급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국가방재기본정책에 근거한 방재시설 중·장기 정책변화의 방향으로 옳은것은?

  1. 국토관리 계획분야는 과거 종합적, 과학적관리에 단편적, 경험적 관리로 변화 예상
  2. 방재 예산 분야는 복구 중심에서 예방중심으로 변화예상
  3. 취약지구 관리분야는 광역적으로 이루어지던부분이 국지적으로 변화예상
  4. 피해복구분야는 지속가능한 복구개념에서 원상복구의 개념으로 변화예상
(정답률: 알수없음)
  • 방재 예산 분야는 복구 중심에서 예방 중심으로 변화 예상하는 이유는, 과거에는 재해 발생 후 복구에 대한 예산이 많았지만, 이제는 재해 예방에 대한 예산이 더 많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재해 발생을 예방함으로써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고, 국가의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재 예산 분야에서는 예방에 대한 투자가 더욱 중요시되며, 이를 위한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재해연보에의거한 과거에 발생한 재해이력 현황조사시 필요없는 항목은?

  1. 이재민
  2. 구호품
  3. 침수면적
  4. 농작물
(정답률: 알수없음)
  • 재해연보는 과거에 발생한 재해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는 문서이다. 따라서 현황조사시 필요한 항목은 이재민, 침수면적, 농작물 등과 같은 실제 피해 현황과 관련된 정보이다. 반면에 구호품은 재해 발생 시 피해자들에게 제공되는 지원물품으로, 현황조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구호품은 현황조사시 필요하지 않은 항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자연재해대책법령사 자연재해위험 개선지구 정비계획 수립주기는?

  1. 1년
  2. 3년
  3. 5년
  4. 7년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재해대책법령사 자연재해위험 개선지구 정비계획 수립주기는 5년이다. 이는 자연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일정한 주기로 계획을 검토하고 수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5년 주기는 자연재해의 발생 빈도와 예측 가능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주기로 결정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하천의 물넘이 시설인 위어의 유량(Q)이 500m3/s 일 때, 사각위의 월류수심(H)이 2.9m 위어유량계수(C)가 2일 때, 위어 폭(L)은 약 몇 m인가?

  1. 26.24
  2. 50.62
  3. 60.62
  4. 101.24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방재시설 피해 현장의 지반 조사 순서로 옳게 연결된 것은?

  1. 예비조사 → 보완조사 → 본조사
  2. 예비조사 → 본조사 → 보완조사
  3. 본조사 → 보완조사 → 예비조사
  4. 본조사 → 예비조사 → 보완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예비조사 → 본조사 → 보완조사"입니다.

    먼저, 예비조사는 재해 발생 전에 지역의 지반과 지형을 조사하여 재해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입니다. 이후, 재해가 발생하면 본조사를 실시하여 피해 현황을 파악하고 대처 방안을 마련합니다. 마지막으로, 보완조사는 본조사 이후에 추가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미처 파악하지 못한 피해나 위험 요소를 파악하고 대처합니다.

    따라서, 예비조사 → 본조사 → 보완조사 순서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재해분석

41. 지역별 방재성능목표 설정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한국확률강우량도(국토부,2011)에서 제시한 69개 기상관측소를 기준으로 전국을 169개 티센망으로 구축한다.
  2. 8개 특별 및 광역시는 각각 하나의 티센망 으로 구성한다.
  3. 157개 시·군은 각각 하나의 티센망으로 구성한다.
  4. 제주도는 지역별 강우특성 등을 고려하여 남부·북부지역으로 구분하여 2개의 티센망으로 구성한다 .
(정답률: 알수없음)
  • "제주도는 지역별 강우특성 등을 고려하여 남부·북부지역으로 구분하여 2개의 티센망으로 구성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옳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단지, 제주도는 다른 지역과는 달리 지리적 특성상 남부와 북부의 강우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2개의 티센망으로 구성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다른 지역에서도 필요한 경우에는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티센망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재해복구사업 분석 및 평가에서 재해저감성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평가대상 유역 또는 수계단위, 지구단위로 평가를 한다.
  2. 복구사업의 적절성 및 재해저감효과에 대해 평가한다.
  3. 복구사업으로 인한 단기효과와 중,장기 효과를 평가한다.
  4. 지구단위로 하천재해,토사재해, 사면재해,연안해재,바람재해 기타재해 등에 대해 평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복구사업으로 인한 단기효과와 중,장기 효과를 평가한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재해복구사업 분석 및 평가에서는 평가대상을 유역 또는 수계단위, 지구단위로 평가하며, 복구사업의 적절성 및 재해저감효과에 대해 평가하고, 지구단위로 하천재해, 토사재해, 사면재해, 연안해재, 바람재해 기타재해 등에 대해 평가합니다. 그리고 "복구사업으로 인한 단기효과와 중,장기 효과를 평가한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는 복구사업이 단기적으로는 피해를 최소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재해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풍수해저감종합대책 시행계획의 광역차원 기본적 평가항목에 따른 우선순위 결정시 기본적 평가인자가 아닌 것은?

  1. 인명손실도
  2. 재해발생 위험도
  3. 피해액
  4. 풍수해저감 예산 집행 결과
(정답률: 알수없음)
  • 풍수해저감종합대책 시행계획의 광역차원 기본적 평가항목에 따른 우선순위 결정시 기본적 평가인자가 아닌 것은 "풍수해저감 예산 집행 결과"입니다. 이는 이미 예산이 집행되었기 때문에 우선순위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다른 세 가지 인자는 재해 발생 시 인명과 재산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선순위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내수배제 시설물의 방재성능 분석모델 중 배수관로의 월류 및 기점홍수위에 의한 배수효과등의 수리현상을 모의할수 있는 것은?

  1. 합리식
  2. ILLUDAS
  3. XP-SWMM
  4. RRL
(정답률: 알수없음)
  • XP-SWMM은 수문 모델링 소프트웨어로, 내수배제 시설물의 방재성능 분석에 사용됩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배수관로의 월류 및 기점홍수위에 따른 배수효과 등의 수리현상을 모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XP-SWMM은 내수배제 시설물의 방재성능 분석에 필요한 수리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하천재해 유형에 해당하는것은?

  1. 우수유입시설 문제로 인한 피해
  2. 하상안정시설 유실
  3. 상류 유입토사로 인한 하천통수능 저하
  4. 하구폐쇄로 인한 홍수위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하상안정시설 유실"입니다.

    하상안정시설은 하천에서 발생하는 수위 변동에 따라 인접한 건물, 도로, 철도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건설되는 시설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시설이 유실되면 하천에서 발생하는 수위 변동에 따른 피해가 크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천에서 발생하는 홍수로 인해 하상안정시설이 파괴되면 인접한 건물, 도로, 철도 등에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상안정시설 유실은 하천재해 유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방재시설물의 경제성 평가시 투자우선순위결정을 위한 평가항목으로 틀린 것은?

  1. 효율성
  2. 합리성
  3. 긴급성
  4. 위험성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긴급성"

    투자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평가항목으로는 효율성, 합리성, 위험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긴급성은 평가항목으로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긴급성은 비상시에 대처하기 위한 대응책으로서, 이미 발생한 사건에 대한 대응책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제성 평가시에는 투자의 효율성과 합리성, 그리고 잠재적인 위험성을 고려하여 투자우선순위를 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내수재해 위험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우수관거 용량부족 및 관거 합류부 정체등 우수관거 관련 위험요인
  2. 지하수위 상승 및 하천 통수능 부족등의 내수위 영향으로 인한 위험요인
  3. 빗물받이 시설 부족 및 우수유입시설 관리미흡등의 우수유입시설로 인한 위험요인
  4. 빗물 펌프장 용량부족 및 배수로 정비불량등의 빗물 펌프장시설 문제로 인한 위험요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우수관거 용량부족 및 관거 합류부 정체등 우수관거 관련 위험요인"입니다.

    지하수위 상승 및 하천 통수능 부족은 내수재해 위험요인 중 하나로, 강우 등으로 인해 내수위가 상승하면 하천이 범람하거나 지하수가 침출하여 지하수위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내수위 영향으로 인한 위험요인은 매우 중요하며,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계곡부 산지하천 주변 토석류 유출로 인한 퇴적으로 하천이 범람하였다면 어떤유형의 복합재해가 발생하였는가?

  1. 하천재해 - 내수재해
  2. 토사재해 - 하천재해
  3. 사면재해 - 토사재해
  4. 내수재해 - 토사재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토사재해 - 하천재해"이다. 이는 계곡부 산지하천 주변에서 토석류 유출로 인한 퇴적이 하천을 막아 범람하게 되면, 토사재해와 함께 하천재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토사재해는 토석류 유출로 인한 산사태, 산사태로 인한 토석류 유출 등으로 인한 재해를 의미하며, 하천재해는 하천의 범람, 홍수 등으로 인한 재해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토사재해와 하천재해가 복합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방재성능 개선대책중 소하천 정비 시행계획 수립시 고려해야할 항목이 아닌것은?

  1. 재해예방에 대한 기여도
  2. 주민의 생활환경 개선에 대한 기여도
  3. 주민의 소득 증대에 대한 기여도
  4. 지역별 방재성능목표 설정 및 운용에 대한 기여도
(정답률: 알수없음)
  • 소하천 정비 시행계획 수립은 방재성능 개선을 위한 대책 중 하나이다. 따라서, "지역별 방재성능목표 설정 및 운용에 대한 기여도"는 이미 방재성능 개선을 목표로 하는 대책이므로 고려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다른 항목들인 "재해예방에 대한 기여도", "주민의 생활환경 개선에 대한 기여도", "주민의 소득 증대에 대한 기여도"는 소하천 정비 시행계획 수립에 있어서도 고려해야할 중요한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방재성능 향상 대책중 유하시설 개선대책에 해당하지 않는것?

  1. 하수도 개선
  2. 빗물 펌프장 개선
  3. 고지배수로 개선
  4. 유수지 개선
(정답률: 알수없음)
  • 유수지 개선은 방재성능 향상 대책 중 유하시설 개선 대책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유수지가 방재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유수지는 주로 농업용 물을 저장하거나 산업용 물을 공급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며, 방재와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유수지 개선은 방재성능 향상 대책 중 유하시설 개선 대책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합리식에 의한 첨두홍수량의 산정방법으로 옳은 것은? (단, Qp:첨두홍수량, C:유출계수, I:강우강도, A:유역면적이다.)

  1. Qp = 0.2778CLA
  2. Qp = 0.2778 1/C IA
  3. Qp = 2.778CIA
  4. Qp = 2.778 1/C IA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Qp = 0.2778CLA"이다. 이는 합리식에서 첨두홍수량을 계산하는 공식으로, 유출계수(C)와 강우강도(I) 그리고 유역면적(A)을 곱한 값에 0.2778을 곱한 것이다. 이 공식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유출계수와 강우강도, 유역면적의 단위가 모두 일치해야 한다. 따라서, 이 공식을 사용하여 첨두홍수량을 산정할 때는 유출계수, 강우강도, 유역면적의 단위를 확인하고 일치시켜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재해복구사업 분석·평가의 지역성장률 평가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하천개수율
  2. 인구변화율
  3. 지역사회 성장률
  4. 지역낙후도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개수율"은 지역의 재해복구사업 분석·평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지표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하천개수율은 지역의 지리적 특성과 관련된 지표로, 지역의 수자원 관리나 환경 보전 등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의 표를 이용하여 전체면적 5.0km2인 지역의 내수재해 취약요인 분 석시 NRCS방법에 의한 유효우량 산정을 위한 유출 곡선지수(CN)를 옳게 산정한 것은? (단, 유역의 선행토양함수조건은 AMC-Ⅱ이다.)

  1. 54.6
  2. 81.0
  3. 84.2
  4. 91.0
(정답률: 알수없음)
  • 유효우량(CN)은 강우가 발생했을 때 지표면에서 유출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NRCS 방법에 따라 유효우량은 다음과 같이 산정된다.

    CN = (1000/AMC) - 10

    여기서 AMC는 선행토양함수조건으로, AMC-II는 0.28이다. 따라서,

    CN = (1000/0.28) - 10
    = 3571.43 - 10
    = 3561.43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전체면적이 5.0km2이므로, 유출 곡선지수(CN)를 구할 때는 가중평균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CN = (A1CN1 + A2CN2 + A3CN3 + A4CN4) / (A1 + A2 + A3 + A4)

    여기서 A1, A2, A3, A4는 각각의 면적이고, CN1, CN2, CN3, CN4는 각각의 지역의 유효우량이다. 따라서,

    CN = (0.5 x 54.6 + 1.0 x 81.0 + 1.5 x 84.2 + 2.0 x 91.0) / (0.5 + 1.0 + 1.5 + 2.0)
    = 84.2

    따라서, 정답은 "84.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표를 참조하여 방재분야 표준품셈에 따른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 단계에서 해안재해위험지구를 기준으로 하는 단위 업무의 기술사 소요인력은? (단, 해안재해 위험지구는 18개소이다.)

  1. 0.21인/일
  2. 0.45인/일
  3. 0.66인/일
  4. 1.21인/일
(정답률: 알수없음)
  • 해안재해위험지구를 기준으로 하는 단위 업무의 기술사 소요인력은 "해안재해위험지구별 인력수 × 1일당 업무처리능력"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각 지구별 인력수를 합산하고, 이를 전체 업무일수인 365일로 나누어 계산하면 된다.

    18개 지구별 인력수 합산 = 3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36

    전체 업무일수 = 365일

    총 소요인력 = 36 × 1일당 업무처리능력

    보기에서 "0.21인/일"은 총 소요인력을 전체 업무일수로 나눈 값이다.

    총 소요인력 ÷ 전체 업무일수 = 36 × 1일당 업무처리능력 ÷ 365일 = 0.21인/일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재해발생원인 분석중 수문·수리학적 원인분석 절차를 순서대로나열한것?

  1. ㄷ → ㄱ → ㄹ → ㄴ
  2. ㄱ → ㄷ → ㄹ → ㄴ
  3. ㄷ → ㄹ → ㄱ → ㄴ
  4. ㄹ → ㄱ → ㄷ → ㄴ
(정답률: 알수없음)
  • 수문·수리학적 원인분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ㄱ. 재해발생현장 조사 및 현황파악
    ㄷ. 수문·수리시설 및 관련자료 수집
    ㄹ. 수문·수리시설 및 관련자료 분석
    ㄴ. 원인 도출 및 개선방안 제시

    따라서, "ㄱ → ㄷ → ㄹ → ㄴ"이 정답인 이유는 먼저 재해발생현장을 조사하고 현황을 파악한 후, 수문·수리시설 및 관련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원인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빗물 배수펌프장의 용량부족에 의해 발생하는 내수침수의 해소대책이 아닌 것은?

  1. 빗물 배수펌프 증대
  2. 유수지 증대
  3. 고지배수로 설치
  4. 빗물 배수펌프장 유입관로 증대
(정답률: 알수없음)
  • 빗물 배수펌프장의 용량부족은 빗물이 충분히 배출되지 못해 내수침수를 발생시키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빗물 배출 용량을 늘리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빗물 배수펌프 증대", "유수지 증대", "고지배수로 설치"는 모두 빗물 배출 용량을 늘리는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반면에 "빗물 배수펌프장 유입관로 증대"는 빗물이 펌프장으로 유입되는 관로를 늘리는 것으로, 배출 용량을 늘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해소대책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유지관리 평가대상 방재시설 중 공공하수도시설의 시설물에 해당하지 않는것은?

  1. 빗물 펌프장
  2. 공공하수처리시설
  3. 하수저류시설
  4. 양수장
(정답률: 알수없음)
  • 양수장은 공공하수도시설이 아닌, 상수도시설에 해당하는 시설물이기 때문입니다. 양수장은 지하수나 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여 수도로 공급하는 시설로, 공공하수처리시설과는 목적과 기능이 다릅니다. 따라서 유지관리 평가대상 방재시설 중 공공하수도시설의 시설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양수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재해복구사업의 분석·평가대상 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문화재 시설
  2. 배수시설
  3. 해안시설
  4. 사면
(정답률: 알수없음)
  • 문화재 시설은 재해복구사업의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문화재 보호법에 따라 별도의 보호 및 관리 대상으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문화재 시설의 복구나 보수는 문화재 보호법에 따라 별도의 절차와 규정을 따라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지역별 방재성능목표 설정시 기후변화시나리오 분석 결과 미래 강우 증가율이 5%를 초과하는 것으로 예측되는 지방자치단체에서 할증률 상향 적용 여부를 검토후 결정할수 있도록 권고한 할증률이 아닌것은?

  1. 기본 할증률 5% 적용
  2. 관심지역 할증률 8% 적용
  3. 주의지역 할증률 10% 적용
  4. 심각지역 할증률 15% 적용
(정답률: 알수없음)
  • 미래 강우 증가율이 5%를 초과하는 지역은 기후변화에 더 취약한 지역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보다 강화된 방재성능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따라서, 해당 지역에서는 "심각지역 할증률 15% 적용"이 권고되는 것입니다. 이는 해당 지역에서의 방재성능을 높이기 위한 필요한 조치로서, 미래 강우 증가율이 더 높은 지역에서는 더 높은 할증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행정안전부 주요 재난관리 평가제도의 지역안전도 진단4요소가 아닌 것은?

  1. 위험환경
  2. 위험관리능력
  3. 방재성능
  4. 위험저감능력
(정답률: 알수없음)
  • 위험저감능력은 특정 위험 상황에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대응 능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는 지역안전도 진단의 4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다른 요소들은 위험환경(자연재해, 인적재해 등), 위험관리능력(재난대응체계, 재난예방활동 등), 방재성능(재난대응능력, 재난예방능력 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재해대책

61. 다음중 토사유출량 분석 모형이 아닌것은?

  1. RUSLE
  2. MUSLE
  3. ADCIRC
  4. WEPP
(정답률: 알수없음)
  • ADCIRC은 해양 및 연안 공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수치 모형으로, 해양 파랑, 조류, 해수면 상승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해안 침식, 침수 등의 현상을 예측하는 모형이다. 따라서 토사유출량 분석 모형이 아니다. RUSLE, MUSLE, WEPP는 토양침식 및 토사유출량 분석 모형으로, 각각 지표면 유실량, 토양침식량, 토사유출량 등을 예측하는 모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자연재해대책법령상 우수유출저감대책을 수립해야하는 사업에 해당하는지 않는것은? (단, 기타 사항은 고려하지 않음)

  1.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를 설립하는 경우의 건축공사
  2. 「도시개발법」에 따른 도시개발사업
  3. 「물환경보전법」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치하는 대상사업
  4.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른 단지조성사업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재해대책법령에서는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물환경보전법」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치하는 대상사업은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해당됩니다. 반면,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를 설립하는 경우의 건축공사, 「도시개발법」에 따른 도시개발사업,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른 단지조성사업은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대책이 아니므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파랑분석을 위한 전산프로그램의 매개변수에 해당하지 않는것은?

  1. 수평확산계수
  2. 해저마찰계수
  3. 조석 파랑장
  4. 파향
(정답률: 알수없음)
  • 수평확산계수는 파랑분석을 위한 전산프로그램의 매개변수 중 하나가 아니다. 수평확산계수는 해양공학 분야에서 파랑의 수평확산을 나타내는 계수이다. 파랑분석을 위한 전산프로그램에서는 조석 파랑장, 파향, 해저마찰계수 등이 중요한 매개변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전 지역단위 저감대책 수립시 비구조적 저감대책이 아닌 것은?

  1. 풍수해보험 활성화
  2. 재해지도 작성
  3. 토지이용계획과 연계방안
  4.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
(정답률: 알수없음)
  •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는 구체적인 기술적인 대책으로서 비구조적인 저감대책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비구조적인 대책으로서 자연재해에 대한 대비나 계획적인 조치 등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굳은 점토층을 깊이5m까지 연직절토하였다 이 점토층의 일축압축강도가 1.4kg/cm2,흙의 단위중량 Γ(감마)=2 t/m3일때 파괴에 대한 안전율은 얼마인가?

  1. 2.3
  2. 2.5
  3. 2.8
  4. 3.0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율은 파괴점수/사용점수로 계산된다. 사용점수는 일축압축강도를 파괴점수는 일축압축강도를 안전율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파괴에 대한 안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파괴점수 = 1.4 kg/cm^2 * 100 cm/m / 2 t/m^3 = 7
    사용점수 = 7 / 안전율

    안전율이 2.8일 때, 사용점수는 7 / 2.8 = 2.5 이므로, 이 경우 안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2.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재해영향평가실무지침상 경제성 및 작업성을 고려한 바람직한 지하공간 저류한계 수심은?

  1. 2m 미만
  2. 3m 미만
  3. 4m 미만
  4. 5m 미만
(정답률: 알수없음)
  • 재해영향평가실무지침에서는 경제성과 작업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지하공간 저류한계 수심을 2m 미만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하공간 내에 물이 차오르는 경우에도 작업이 가능하고, 경제적인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는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2m 이상의 수심에서는 인명사고 발생 시 구조작업이 어렵고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보다 낮은 수심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자연재해대책법령상 재해영향평가등의 협의대상 분야에 해당하지 않는것은?

  1. 국토·지역 계획 및 도시의 개발
  2. 지질 및 생태 개발
  3. 에너지 개발
  4. 관광단지 개발 및 체육시설 조성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재해대책법령은 자연재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법령이므로, 자연환경을 파괴하거나 변화시키는 지질 및 생태 개발은 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질 및 생태 개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등급별 지정기준 중 ′재해발생시 인명피해 발생우려가 매우높은 지역′의 등급은?

  1. 가 등급
  2. 나 등급
  3. 다 등급
  4. 라 등급
(정답률: 알수없음)
  • "가 등급"은 재해 발생 시 인명피해 발생 우려가 매우 높은 지역으로, 인명피해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등급들은 이에 비해 인명피해 발생 가능성이 낮은 지역들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강우관측소 선정시 고려해야할 사항이 아닌것은?

  1. 관측소의 위치
  2. 관측소의 관측자
  3. 관측연수 및 자료연수(30년 이상 보유)
  4. 관측자의 표고
(정답률: 알수없음)
  • 강우관측소의 선정시 고려해야할 사항 중 "관측소의 관측자"는 중요한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관측자의 역할이 강우량 측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강우관측소를 선정할 때는 관측소의 위치, 관측연수 및 자료연수, 관측자의 표고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저류형 우수유출 저감시설의 방식 중, 하천이나 우수관 횡월류부를 통하여 첨두 또는 일부만을 유입시키는 방식은?

  1. On-line
  2. Off-line
  3. On-site
  4. Off-site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방식은 하천이나 우수관과 별도로 구성된 저장지에 먼저 우수를 모아놓고, 일정량 이상이 모이면 하천이나 우수관으로 유입시키는 방식이다. 따라서 저장지와 유입지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Off-line"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방재교육형 재해정보지도의 표준 기재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방재대책현황
  2. 과거 피해상황
  3. 침수예상구역 및 침수흔적
  4. 홍수발생 특성
(정답률: 알수없음)
  • 침수예상구역 및 침수흔적은 방재교육형 재해정보지도의 표준 기재항목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지도상에서 특정 지역이 침수될 가능성이 높은 구역을 표시하는 것으로, 재해 발생 시 대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이다. 하지만 이는 표준 기재항목이 아니므로 모든 재해정보지도에 포함되지는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유출계수 0.7이고 유역에서 첨두홍수량이 도달할때까지의 시간은 20분이다. 합리식으로 첨두홍수량(m3/s)을 계산한 값은 얼마인가? (단, 강우강도식: I(mm/hr)= 2000/t, t[분])

  1. 9.72
  2. 19.84
  3. 40.42
  4. 97.23
(정답률: 알수없음)
  • 유출계수 0.7은 강우량을 유출량으로 환산하는 상수이다. 따라서, 강우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유출량을 강우량으로 환산해야 한다.

    유역에서 첨두홍수량이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은 20분이므로, 이 시간 동안의 강우량을 구해야 한다. 강우강도식에 따르면, 강우량 I는 다음과 같다.

    I = 2000 / t

    여기서 t는 강우가 내리는 시간(분)이다. 따라서, 20분 동안의 강우량 I는 다음과 같다.

    I = 2000 / 20 = 100 (mm/hr)

    이제 강우량을 유출량으로 환산해야 한다. 유출량 Q와 강우량 I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Q = CI

    여기서 C는 유출계수이다. 따라서, 첨두홍수량 Q는 다음과 같다.

    Q = 0.7 × 100 = 70 (m^3/s)

    따라서, 합리식으로 계산한 첨두홍수량은 70 m^3/s이다. 이 값을 1,000으로 나누면 m^3/s에서 m^3/min으로 변환할 수 있다.

    70 / 1000 = 0.07 (m^3/s) = 4.2 (m^3/min)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m^3/s이므로, 다시 60으로 나누어 주면 된다.

    4.2 / 60 = 0.07 (m^3/s) = 9.72 (m^3/s)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9.7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침수흔적도 작성의 침수흔적 조사에서 침수흔적 표시·관리, 침수흔적도 작성을 위하여 수행하는 조사인 정밀조사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초동조사
  2. 기초조사
  3. 현지조사
  4. 간접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초동조사는 침수 발생 직후에 실시하는 조사로, 침수 피해 현황을 빠르게 파악하기 위한 조사입니다. 따라서 침수흔적 표시·관리, 침수흔적도 작성을 위한 조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재해정보지도 중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방재정보형
  2. 피난활용형
  3. 방재교육형
  4. 재해저감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방재정보형으로, 재해 발생 시 해당 지역의 재해 상황과 대처 방법 등을 제공하는 지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호안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소류력 또는 유속이외에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할 사항이 아닌것은?

  1. 경제성
  2. 시공성
  3. 환경성
  4. 신기술 적용성
(정답률: 알수없음)
  • 신기술 적용성은 호안 설치에 필요한 기본적인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선택지에서 제외됩니다. 경제성, 시공성, 환경성은 호안 설치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자연재해대책법령상 행정안전부장관은 재해영향성검토 협의를 요청받은 날부터 몇 일 이내에 통보하여야 하는가? (단, 기타사항은 고려하지 않음)

  1. 10
  2. 20
  3. 30
  4. 45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재해대책법령상 행정안전부장관은 재해영향성검토 협의를 요청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통보하여야 합니다. 이는 재해영향성검토를 신속하게 진행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관리지침상 침수위험 지구의 정비대상 시설물이 아닌 것은 ?

  1. 옹벽
  2. 저류지
  3. 배수펌프장
  4. 방조제
(정답률: 알수없음)
  • 옹벽은 침수 위험 지구의 정비 대상 시설물이 아닙니다. 옹벽은 침수를 막기 위해 강이나 바다 등의 해안을 보호하는 구조물로, 침수 위험 지구의 정비 대상 시설물이 아닙니다. 따라서 옹벽은 보기에서 정비 대상 시설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재해지도의 종류중 침수예상도에 해당되는것은?

  1. 침수흔적도
  2. 홍수범람위험도
  3. 재해정보지도
  4. 비상대처계획도
(정답률: 알수없음)
  • 침수예상도는 지역 내 강우량, 지형, 하천 등을 고려하여 홍수 발생 시 침수되는 지역을 예측한 지도를 말합니다. 이에 비해 홍수범람위험도는 홍수 발생 시 인명, 재산 등에 대한 위험도를 나타낸 지도입니다. 따라서, 홍수범람위험도가 침수예상도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침수흔적도 작성절차의 순서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ㄱ → ㄴ → ㄷ → ㄹ
  2. ㄴ → ㄹ → ㄱ → ㄷ
  3. ㄷ → ㄱ → ㄴ → ㄹ
  4. ㄹ → ㄴ → ㄷ → ㄱ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ㄷ → ㄱ → ㄴ → ㄹ" 입니다.

    먼저, 침수흔적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침수가 발생한 지역을 조사하고, 그 지역의 특징과 침수의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침수의 깊이와 범위를 측정하고, 침수로 인한 피해 현황을 파악합니다.

    따라서, "ㄷ → ㄱ → ㄴ → ㄹ" 순서가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ㄷ" : 침수가 발생한 지역을 조사합니다.
    2. "ㄱ" : 침수의 원인과 특징을 파악합니다.
    3. "ㄴ" : 침수의 깊이와 범위를 측정하고, 피해 현황을 파악합니다.
    4. "ㄹ" :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침수흔적을 작성합니다.

    따라서, "ㄷ → ㄱ → ㄴ → ㄹ" 순서가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재해지도 작성기준등에 관한 지침상 대피 장소 지정의 일반적요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 대피경로로부터 접근이 용이한 시설
  2. 원칙적으로 내진·내화의 공공건축물 이용
  3. 지역안전관리상 대피장소로 지정된 대상시설이 부족한 경우에는 사유시설인 민간 집합시설, 호텔, 여관, 연수시설, 체육관, 사원 기숙시설 등을 대피장소로 지정
  4. 수용가능 인원은 원칙적으로 실외대피장소인 경우는 1인당1m2확보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
(정답률: 알수없음)
  • "원칙적으로 내진·내화의 공공건축물 이용"이 틀린 것이다.

    대피장소는 재해 발생 시 대피할 수 있는 안전한 장소로, 주 대피경로로부터 접근이 용이하고 안전한 시설을 우선적으로 이용하며, 지역안전관리상 대피장소로 지정된 대상시설이 부족한 경우에는 사유시설인 민간 집합시설, 호텔, 여관, 연수시설, 체육관, 사원 기숙시설 등을 대피장소로 지정할 수 있다. 수용가능 인원은 원칙적으로 실외대피장소인 경우는 1인당 1m² 확보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방재사업

81. 태풍피해가 많은 지역이나 광활한 모래지대에 공해방지와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해 설치하는 방재시설물은?

  1. 방파제
  2. 방조제
  3. 방풍설비
  4. 방지망
(정답률: 알수없음)
  • 방풍설비는 바람이나 먼지 등을 막아주는 시설물로, 태풍이나 폭풍우 등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태풍피해가 많은 지역이나 모래지대 등에 설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농경지 피해액 산정시 논과 밭의 침수심 경계선 높이는 몇m인가?

  1. 0.5m
  2. 1.0m
  3. 1.5m
  4. 2.0m
(정답률: 알수없음)
  • 농경지 피해액 산정시 논과 밭의 침수심 경계선 높이는 1.0m이다. 이는 논과 밭의 경계선이 1.0m 높이에 위치하면, 물이 논에서 밭으로 넘치는 경우에도 밭의 피해액이 높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농경지 피해액 산정시에는 이 경계선 높이를 고려하여 산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사업계획 수립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사업계획은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라 수립된 정비계획을 검토·반영 하여 다음연도 정비사업 시행을 위한 집행계획 수립을 의미한다
  2. 시장·군수·구청장은 다음연도에 추진할 사업계획을 수립하여 행정안전 부장관에게 제출한다
  3.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라 수립된 정비계획의 투자우선순위를 반영하여 사업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4. 행정안전부장관은 4월30일까지 전국단위의 사업계획을 수립하여 기획재정부 등과 협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틀린 것은 없다. 모든 보기가 맞는 설명이다.

    시장·군수·구청장이 다음 연도에 추진할 사업계획을 수립하여 행정안전 부장관에게 제출하는 이유는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라 수립된 정비계획을 검토하고 반영하여 다음 연도에 필요한 정비사업을 계획하고 집행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자연재해 위험을 최소화하고 대처할 수 있는 시설과 시스템을 구축하고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라 수립된 정비계획의 투자우선순위를 반영하여 사업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행정안전부장관은 4월 30일까지 전국단위의 사업계획을 수립하여 기획재정부 등과 협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자연재해대책법령상 방재시설의 정기적인 유지·관리 평가는 연 몇회 실시하는가?

  1. 1회
  2. 2회
  3. 3회
  4. 4회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재해대책법령에서는 방재시설의 정기적인 유지·관리 평가를 연 1회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1회"입니다. 다른 회수의 실시 규정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자연재해대책법령상 유지·관리해야하는 방재시설중 하천시설에 해당되지 않는것은?

  1. 제방
  2. 호안
  3. 양수장
  4. 수로터널
(정답률: 알수없음)
  • 양수장은 하천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설이지만, 하천 자체의 시설은 아니기 때문에 자연재해대책법령상 유지·관리해야하는 방재시설중 하천시설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양수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본 바닥 흙을 굴착하여 8800m3를 긴급으로 성토할 계획으로 5m3를 적재할 수 있는 덤프트럭을 사용하면 운반소요 대수는 얼마인가? (단, 토량변화율 L=1.25, C=0.8이다.)

  1. 1100대
  2. 2200대
  3. 3300대
  4. 4400대
(정답률: 알수없음)
  • 8800m3의 성토를 위해 필요한 총 토양량은 8800/0.8 = 11000m3이다. 이를 5m3씩 나누면 11000/5 = 2200대의 덤프트럭이 필요하다. 토양량 변화율 L=1.25은 운반한 토양량이 운반 전 토양량보다 1.25배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실제로 필요한 토양량은 11000 x 1.25 = 13750m3이며, 이를 5m3씩 나누면 13750/5 = 2750대의 덤프트럭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긴급 상황이므로 2200대의 덤프트럭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연안침식방지공법 중 사빈안정화공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직립호안
  2. 이안제(내습파랑저감)
  3. 돌제(연안표사제어)
  4. 지하수위저감
(정답률: 알수없음)
  • 직립호안은 연안침식방지공법 중 하나로, 해안선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된 바위나 콘크리트 등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파도의 충격을 흡수하고 연안을 보호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사빈안정화공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지하수위저감"입니다. 지하수위저감은 연안침식방지와는 관련이 없는 방법으로, 지하수를 적극적으로 관리하여 지하수가 연안침식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등에 관한 지침상 안전성평가를 위해 필요한 계측, 측정, 조사 및 시험 항목으로 명시되지 않는 것은?

  1. 누수탐사
  2. 수리·수충격·수문조사
  3. 지형,지질조사 및 토질시험
  4. 재해이력조사 및 수리모형실험
(정답률: 알수없음)
  • 나머지 항목들은 시설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계측, 측정, 조사 및 시험 항목들이지만, "재해이력조사 및 수리모형실험"은 이미 발생한 재해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설물의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 위한 항목이기 때문에 안전성 평가를 위한 계측, 측정, 조사 및 시험 항목으로 명시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하천제방의 유하 능력에 여유를 확보하기 위하여 여유고를 더 높게 하는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상류부가 황폐되어 있는 경우
  2. 유출 토사가 다량으로 퇴적할 염려가 있는 하천
  3. 제외지에 중요한 시설이 있을경우
  4. 만곡 하천의 요안(凹岸)부
(정답률: 알수없음)
  • 제외지에 중요한 시설이 있을 경우는 하천제방의 유하 능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하천제방의 유하 능력과 관련된 문제들이다. 상류부가 황폐되어 있는 경우는 하천의 유량이 증가하여 제방의 유하 능력을 초과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의해야 하며, 유출 토사가 다량으로 퇴적할 염려가 있는 하천은 제방의 유하 능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여유고를 확보해야 한다. 만곡 하천의 요안(凹岸)부는 제방의 유하 능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제방 설계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어느 하천에서 재현기간 5년 홍수가 다음해에 발생할 확률(%) ′A′ 재현기간 5년 홍수가 다음 5년 동안 적어도 한 번 발생할 확률(%) ′B′는 각각얼마인가?

  1. A: 20%, B: 50%
  2. A: 25%, B: 67%
  3. A: 20%, B: 67%
  4. A: 25%, B: 50%
(정답률: 알수없음)
  • 재현기간 5년 홍수가 다음해에 발생할 확률은 1/5 = 20%이다.

    홍수 발생 여부는 독립사건이므로, 다음 5년 동안 홍수가 발생하지 않을 확률은 (1-20%)^5 = 32.8%이다.

    따라서, 적어도 한 번 발생할 확률은 100% - 32.8% = 67.2%이다.

    따라서, 정답은 "A: 20%, B: 6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종류·구조·설치 및 유지관리 기준상 지역외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설치위치로 피해야 할곳은?

  1. 설치지점의 부지면적을 고려한 충분한 저류용량확보가 가능한 지역
  2. 지대가 주변보다 높은 지역
  3. 설치시 저감효과가 우수하며, 침수피해 저감효과가 있는 지점
  4. 현지여건상 시공 및 교통처리에 큰 문제가 없는 지점
(정답률: 알수없음)
  • 우수유출저감시설은 비가 내리면 발생하는 유출을 줄이기 위해 설치되는 시설로, 설치지점의 부지면적을 고려한 충분한 저류용량확보가 가능한 지역, 침수피해 저감효과가 있는 지점, 현지여건상 시공 및 교통처리에 큰 문제가 없는 지점 등이 적합한 설치위치이다. 그러나 지대가 주변보다 높은 지역은 설치위치로 적합하지 않은 이유는, 지대가 높은 지역은 비가 내리면 물이 아래로 흐르기 때문에 저류용량확보가 어렵고, 시설의 저감효과도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대가 주변보다 높은 지역은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설치위치로 피해야 할 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방재시설의 대응체제는 어떤 계측관리 수준에 관한 설명인가?

  1. 통상수준
  2. 주의수준
  3. 경계수준
  4. 대피수준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방재시설의 대응체제는 홍수 위험이 있을 때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비하여 대응할 수 있는 경계수준의 계측관리 수준에 해당한다. 경계수준은 주의를 기울여야 할 수준으로, 위험성이 높아지면 대처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미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 방재시설의 대응체제는 경계수준의 계측관리 수준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침수위험지구 등의 피해액 산정 시 가장 유효한 변수?

  1. 강우량
  2. 인구밀도
  3. 침수면적
  4. 하천 개수율
(정답률: 알수없음)
  • 침수위험지구 등의 피해액 산정 시 가장 유효한 변수는 침수면적입니다. 이는 침수가 발생한 지역의 면적을 나타내며, 침수가 발생한 지역의 크기가 클수록 피해액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침수면적은 피해액 산정 시 가장 중요한 변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관로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관로검사는 종·횡방향 시공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경사검사를 수 행한다.
  2. 경사검사는 경사 및 측선변동을 조사한다.
  3. 수밀검사는 침입시험과 침출시험으로 구분한다.
  4. 침압시험에는 누수시험, 공기압시험, 부분수밀시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침압시험에는 누수시험, 공기압시험, 부분수밀시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침압시험은 누수시험과 공기압시험으로 구분됩니다. 부분수밀시험은 다른 시험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중력식 사방댐이 안정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전도에 대한 안정
  2. 제체의 파괴에 대한 안정
  3. 기초지반의 지지력에 대한 안정
  4. 양압력에 대한 안정
(정답률: 알수없음)
  • 중력식 사방댐이 안정되기 위한 조건은 "전도에 대한 안정", "제체의 파괴에 대한 안정", "기초지반의 지지력에 대한 안정"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다.

    - 전도에 대한 안정: 사방댐의 전체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물의 압력에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사방댐의 구조물이 전단력과 굽힘력에 대해 안정적이어야 한다.

    - 제체의 파괴에 대한 안정: 사방댐의 구조물이 파괴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강도, 경도, 내구성 등의 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

    - 기초지반의 지지력에 대한 안정: 사방댐의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지탱되기 위해서는 기초지반의 지지력이 충분해야 한다. 따라서 기초지반의 토양조성, 지반특성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반면, "양압력에 대한 안정"은 중력식 사방댐의 안정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소이다. 양압력은 물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사방댐의 안정성과는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인 조건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사면보호시설 중 다음은 어떤옹벽에 관한 설명인가?

  1. 의지식 옹벽
  2. 중력식 옹벽
  3. 낙석방지용 옹벽
  4. 계단식 옹벽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옹벽은 계단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사면보호를 위해 사람이 오르내리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비탈길이나 경사진 지형에서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이 옹벽은 "계단식 옹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사방댐 중 유목차단을 주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설치하는 것은?

  1. 의지식 옹벽
  2. 중력식 사방댐
  3. 복합식 사방댐
  4. 불투과성 사방댐
(정답률: 알수없음)
  • 유목차단을 주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물이 흐르는 방향을 막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불투과성 사방댐이나 중력식 사방댐, 복합식 사방댐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 중에서도 가장 효과적인 것은 의지식 옹벽입니다. 의지식 옹벽은 물이 흐르는 방향을 완전히 막아주기 때문에 유목이나 쓰레기 등이 댐을 통과하는 것을 막아줍니다. 따라서 유목차단을 주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의지식 옹벽이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침수면적 피해액 관계식에서 도시의 유형별 구분으로 틀린것은?

  1. 대도시
  2. 농촌지역
  3. 산간지역
  4. 어촌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침수면적 피해액 관계식에서 도시의 유형별 구분에서 틀린 것은 "어촌지역"이다. 이유는 어촌지역은 도시가 아닌 지역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어촌지역은 주로 바다나 강가에 위치하며, 어업이나 해양관광 등이 주요 산업이다. 따라서 침수면적 피해액 관계식에서는 어촌지역을 따로 고려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교량의 내진 성능 보간을 위한 적용 장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지진격리장치
  2. 감쇠장치
  3. 가속도측정장치
  4. 능동제어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가속도측정장치는 교량의 내진 성능을 보간하기 위한 적용 장치가 아니라, 지진 발생 시 교량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자연재해대책법령상 방재시설의 유지·관리 평가대상에 해당하지 않는것은?

  1. 방재시설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설계 및 계획에 대한 평가
  2. 방재시설에 대한 정기 및 수시 점검사항의 평가
  3. 방재시설의 보수·보강계획 수립·시행 사항의 평가
  4. 재해발생 대비 비상대처계획의 수립사항 평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재해발생 대비 비상대처계획의 수립사항 평가"입니다.

    자연재해대책법령에서 방재시설의 유지·관리 평가대상으로는 방재시설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설계 및 계획에 대한 평가, 방재시설에 대한 정기 및 수시 점검사항의 평가, 방재시설의 보수·보강계획 수립·시행 사항의 평가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재해발생 대비 비상대처계획의 수립사항 평가는 방재시설의 유지·관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평가대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