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안전관리 법령
1.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교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연구실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에 관한 지침」에서 규정하는 연구실 안전등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보기>는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교육·훈련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4.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제의 취소 사유가 아닌 것은?
6. <보기>는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용어 정의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7. 「연구실사고에 대한 보상기준」에서 규정하는 보험급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정밀안전진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다음은 「연구실 설치운영에 관한 기준」에서 규정하는 중위험연구실의 설치 준수사항 중 일부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0.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 규정하는 정밀안전진단의 실시 주기로 옳은 것은?
11.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연구주체의 장의 의무가 아닌 것은?
12.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연구실안전관리사의 자격 정지 및 취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3. <보기>는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의 지정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4.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 따라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5.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연구활동종사자 또는 공중의 안전을 위한 긴급한 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6.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연구실안전관리사의 결격사유가 아닌 것은?
17. 「연구실 사고조사반 구성 및 운영규정」에서 규정하는 사고조사반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8. 「연구실안전심의위원회 운영규정」에서 규정하는 연구실안전심의위원회의 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 <보기>는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중대연구실사고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20. <보기>는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용어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2과목: 안전관리이론 및 체계
21. <보기>의 사례에서 연구실사고의 기인물로 옳은 것은?
22. 실험 중 유기용제 톨루엔이 들어 있던 용기가 파열되면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연구실사고 대응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23. <그림>은 버드의 재해 발생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가 : 나 : 다 : 라'의 비율로 옳은 것은?
24. 버드의 사고연쇄반응 이론과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5. <그림>에 해당하는 사고요인의 관계에 따른 분류로 옳은 것은?
26. <보기>의 사례에 해당하는 안전교육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27. 파커(Parker) 등이 제안한 안전문화의 5단계 성숙모델 중 3단계(Claculative)에 해당하는 것은?
28. 연구실 안전교육의 일반적인 진행 단계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29.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30.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연구활동종사자에 관한 특별안전 교육·훈련의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31. <그림>은 연구실사고의 발생과정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32. 행동기반안전(BBS, Behavior-Based Safety)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3. <보기>의 예시에 해당하는 연구개발활동안전분석보고서의 항목으로 옳은 것은?
34. 연구실 안전관리시스템의 PDCA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5. <보기>의 연구실사고 조사 절차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36. 소속 집단에서 주변 구성원들의 인적 요인과 인간관계를 포함하는 상호작용 요소로 옳은 것은?
37. <보기>의 사례에 해당하는 불안전한 행동의 심리적 생리적 원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8.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39. <보기>의 사례에 해당하는 불안전한 행동의 원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40. <보기>의 사례에 해당하는 안전심리이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과목: 화학ㆍ가스 안전관리
41. 안전밸브 점검 및 검사 주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안전밸브 등의 전·후단에 자물쇠형 또는 이에 준하는 형식의 차단밸브를 설치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43.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하는 파열판 설치 기준이 아닌 것은?
44. 화염방지기(Flame Arrest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5. 가스누출감지경보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6. 연구실사고 상황별 대처요령으로 옳은 것은?
47. 연구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스 사고의 위험성 및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8. 연구실 화학물질 누출사고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49. 연구실에서 <보기>의 화학물질을 폐기할 때 필요한 폐액 용기의 최소 개수는?
50. 연구실 폐기물 배출 시 조치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1. <보기>에서 폐기물 처리 시 혼합하면 사고 위험이 있는 조합의 개수는?
52. 연구활동종사자들의 건강을 보호하고 직업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화학적 유해인자에 관한 노출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 중 1일 작업시간 동안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안 되는 기준은?
53. 지정폐기물 보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4. 연구실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5. <보기>에서 옳은 설명을 모두 고른 것은?
56. <보기>의 그림문자가 부착된 화학물질의 물리적 위험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7. 연구실에서 화학물질의 취급·보관·저장 시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58. 연구실 내 화학물질 취급 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59.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에서 규정하는 독성가스에 해당하는 것은?
60. 화학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과목: 가계ㆍ물리 안전관리
61. 방사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2. 고온장비 사용 중 화상 사고 발생 시 연구실책임자 및 연구활동종사자가 대응단계에 실시해야 할 행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63. 사고체인(Accident Chain)의 5요소 중 <그림>에 제시된 기계의 운동에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위험요소는?
64. 기계·기구 설비의 방호장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5. 연구실 내 물리적 위험 요인의 특성 및 위험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6. 개인보호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7.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68. 풀 프루프(Fool Proof)가 적용된 경우가 아닌 것은?
69.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주요 유해·위험 요인에 관한 안전대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70. 망치를 사용하는 안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71. 연구실 기계·기구·장비의 용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2. 기계·기구 설비의 안전화를 위하여 지켜야 할 기본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73. 고압증기멸균기의 점검항목이 아닌 것은?
74. 기계의 위험점 중 절단점(Cutting Point)이 발행하는 것은?
75. <보기>의 경고표지가 의미하는 것은?
76. 기계·기구 설비의 안전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7. 기계·기구 설비의 구조상 안전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8. 방호장치의 선정 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79. 위험기계·기구별 방호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0. 접근거부형 방호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과목: 생물 안전관리
81. 생물안전 연구시설 내 획득감염에 관한 예방조치로 옳지 않은 것은?
82.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83. 고위험병원체 취급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4. 생물안전 연구시설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5.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통합고시」에서 규정하는 생물안전 2등급 연구시설의 폐기물 처리에 관한 설치·운영 기준 중 필수사항이 아닌 것은?
86. 생물안전 3, 4등급 고위험병원체 취급시설 설치·운영 시 변경허가 신청을 반드시 해야 하는 사유로 옳은 것은?
87.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의 구조·규격·품질·표시 및 검사방법에 관한 고시」에 따라 연구시설에서 사용하는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의 필수적인 외부 표시사항이 아닌 것은?
88. 연구시설의 생물안전관리등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9.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통합고시」에 따라 생물안전 1, 2등급 연구시설운영 시 변경신고를 해야 하는 사항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90. 생물안전 2등급 고위험병원체 취급시설을 설치·운영하고자 할 때 취해야 하는 조치로 옳은 것은?
91.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시행령」에서 규정하는 연구시설의 분류가 아닌 것은?
92. <보기>는 유전자변형생물체 연구시설의 설치·운영기준에 관한 사항이다. ( ) 안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것은?
93. 제2위험군에 속하는 유전자변형생물체를 이용한 기관승인실험을 수행하고자 할 때 연구책임자가 기관생물안전위원회의 심의를 위해 제출해야 하는 서류가 아닌 것은?
94. 생물안전 2등급 유전자변형생물체 연구시설을 폐쇄하고자 할 경우, 폐기물처리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폐쇄계획서 및 결과서 등을 심의하는 곳은?
95. <보기>는 「고위험병원체 취급시설 및 안전관리에 관한 고시」의 일부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96.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위험군 분류를 위한 위해성 평가 시 고려해야 할 요소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97.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98. Class Ⅰ 생물안전작업대 사용 시 보호할 수 있는 대상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99. 기관생물안전위원회를 필수적으로 운영해야 하는 대상 기관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00.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6과목: 전기ㆍ소방 안전관리
101. 방촉구조 선정 시 0종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폭구조로 옳은 것은?
102. ( ) 안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103. 특정소화대상물인 A 연구소의 4층에 적응성이 있는 피난기구가 아닌 것은?
104. 가연성가스 및 분진 취급 시 필요한 최소점화에너지(MI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5. <보기>는 방폭전기기계기구 표시의 예시이다. 'Ex d'와 'T5'의 의미로 옳은 것은?
106.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07. <보기>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하는 감전 위험 방지를 위한 접지사항이다. ( ) 안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108. 정전기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09. 건물 내 화재 발생 시 재실자의 피난 안전성 확보 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0.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에서 규정하는 위험물의 품명과 지정수량의 연결이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11. <보기>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하는 충전전로에 대한 접근 한계거리의 내용이다. ( ) 안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112. 화재 시 발생하는 연소가스의 종류별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13. 인체저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4. 소화약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5.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에서 규정하는 위험물의 유별, 성질, 품명의 연결이 옳은 것은?
116.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17. 액체의 연소 형태가 아닌 것은?
118. 연소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19. 연구실에서 칼륨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적응성 있는 소화약제는?
120.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에서는 위험물 및 지정수량을 규정하고 있다. <보기>의 물질이 해당하는 분류로 옳은 것은?
7과목: 보건ㆍ위생 및 인간공학적 안전관리
121. 환기장치 관련 용어에 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22. 유해물질의 발생원을 포위하지 않고 발생원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는 후드의 종류는?
123. 국소배기장치의 덕트 설치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4. 전체환기의 종류별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25.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하는 안전·보건표지의 색채와 사용사례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26. 「연구실 설치운영에 관한 기준」에서 규정하는 연구실 위험도에 따른 안전설비 설치·운영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7. 호흡용 보호구의 밀착도 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8. 연구활동종사자가 화학물질을 취급할 때 사용하는 개인보호구의 착용 순서로 옳은 것은?
129. 석면 취급장소에서 착용하여야 하는 호흡용 보호구의 등급으로 옳은 것은?
130. 방독마스크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31. <보기>에서 설명하는 개념으로 옳은 것은?
132. <그림 1>과 같이 수행해야 할 작업을 <그림 2>와 같이 부정확하게 수행하는 휴먼에러의 유형은?
133. 연구호라동종사자 중 유소견자가 발생한 경우에 연구주체의 장이 실시해야 하는 건강검진으로 옳은 것은?
134. 연구활동종사자에게 노출되는 중금속에 관한 노출평가를 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시료채취 여과지로 옳은 것은?
135. 특수건강검진 대상 유해인자와 해당 유해인자를 다루는 연구활동종사자의 배치 후 첫 번째 특수건강검진의 실시 시기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36.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37. 인체측정치의 설계 응용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38.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하는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의 시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39. 작업환경측정 대상 연구실 중, 작업환경측정 전 실시하는 예비조사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0. <보기>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에서 규정하는 작업환경측정의 주기에 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