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노동법1
1. 근로기준법령상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근로기준법령상 구제명령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 근로기준법령상 근로계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근로기준법령상 취직인허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근로기준법령상 임산부의 보호에 관한 다음 규정 중 ( )에 들어갈 내용을 옳게 나열한 것은?
6. 근로기준법령상 여성과 소년의 보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 근로기준법령상 기숙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 근로기준법령상 벌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근로기준법령상 해고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10. 근로기준법상 근로감독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 근로기준법상 직장 내 괴롭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2. 근로기준법령상 통상임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13. 근로기준법령상 휴업수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14. 근로기준법령상 연차 유급휴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5. 근로기준법상 휴일근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야간근로는 제외함)
16. 근로기준법령상 사용자가 임금대장에 적어야 할 사항으로 명시된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7. 근로기준법상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8.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상 파견사업주가 마련하여야 할 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상 조정ㆍ중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1.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령상 2년을 초과하여 기간제근로자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
22.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2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보건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2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위험성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5.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주가 보건조치를 하여야 하는 건강장해에 해당하는 경우는 모두 몇 개인가?
26. 직업안정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7.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8.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령상 육아휴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9.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상 분쟁의 예방과 해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0. 최저임금법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1. 최저임금법령상 최저임금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2.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령상 퇴직연금제도의 수급권을 담보로 제공할 수 있는 사유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33.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상 확정급여형퇴직연금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4. 임금채권보장법상 퇴직한 근로자가 청구하면 고용노동부장관이 대지급금을 지급해야 하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
35. 임금채권보장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6. 근로복지기본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7.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령상 외국인근로자의 보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8.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상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의 취소나 고용의 제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9. 헌법상 근로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40. 노동법의 법원(法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