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사회보험법
1. 사회보장기본법령상 사회보장에 관한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이라 한다)의 수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사회보장기본법령상 사회보장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 사회보장기본법령상 사회보장제도의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고용보험법상 고용보험기금의 용도로 옳은 것은 모두 몇 개인가?
5. 고용보험법상 연장급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 고용보험법령상 구직급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 고용보험법령상 우선지원 대상기업의 상시 사용하는 근로자 기준에서 산업분류와 상시 사용하는 근로자 수가 옳게 연결된 것은?
8. 고용보험법령상 피보험자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고용보험법상 실업급여의 종류가 아닌 것은?
10. 고용보험법상「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따른 장애인 A(35세)는 B회사를 퇴사한 후 직업안정기관으로부터 구직급여 수급자격을 인정받았다. 피보험기간이 4년인 A가 받을 수 있는 구직급여의 소정급여일수는?
11. 고용보험법령상 '근로자의 수급자격이 제한되지 아니하는 정당한 이직 사유'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2. 고용보험법령상 육아휴직 급여 신청기간의 연장 사유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3. 고용보험법령상 이주비의 지급요건을 모두 고른 것은?
14. 산업재해보상보험법령상 근로복지공단(이하 '공단'이라 한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5. 산업재해보상보험법령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6.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보험급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7.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직업재활급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8.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되는 자는 모두 몇 명인가?
19.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유족보상일시금에 대해 근로자가 유언으로 보험급여를 받을 유족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다음 중 유족 간의 수급권 순위가 가장 높은 사람은?
20.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보험급여의 지급 및 부당이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1. 산업재해보상보험법령상 노무제공자가 아닌 자는?
22. 산업재해보상보험법령상 심사청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3. 국민연금법령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4. 국민연금법상 유족연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5. 국민연금법상 급여의 제한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6. 국민연금법령상 심사청구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7. 국민연금법상 국민연금공단(이하 '공단'이라 한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8. 국민건강보험법령상 다음 ( )에 들어가지 않는 숫자는?
29. 국민건강보험법령상 직장가입자에 해당하는 자는?
30. 국민건강보험법령상 지역가입자의 재산보험료부과점수당 금액은?
31. 국민건강보험법상 일반건강검진의 대상이 아닌 자는?
32. 국민건강보험법상 가입자의 자격변동 시기로 옳지 않은 것은?
33. 국민건강보험법상 요양급여가 아닌 것은?
34. 국민건강보험법상 보험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5.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령상 고용안정ㆍ직업능력개발사업의 보험료율이다. ( )에 들어갈 알맞은 내용은?
36.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상 보험관계의 성립일 또는 소멸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7.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령상 보험가입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8.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상 소멸시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9.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상 보험료율의 결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0.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