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수처리공정
1. 플록형성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pH조정제 주입률 결정시 고려할 사항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3. 저수지의 물이나 지하수를 상수원으로 하여 보통침전지를 생략할 수 있는 완속여과지의 원수 탁도 조건은?
4. 침전지에서 플록 제거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인라인여과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 정수처리공정에서 탁질 등 미세입자를 제거시키는 최종 단계는?
7. 여과층 내의 탁질 억류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닌 것은?
8. 수도법령상 정수처리기준에서 정한 병원성미생물로 옳은 것은?
9. 생산량이 1,000m3/h인 정수장에서 액화염소 주입률이 1.5mg/L일 때, 액화염소의 주입량(kg/d)은?
10. 정수장의 소독공정에서 불활성화비가 낮아지는 조건으로 옳은 것은?
11. 전염소처리 염소제의 주입지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 상수도설계기준에서 염소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3. 차아염소산나트륨용액의 주입방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배출수 및 슬러지처리 시설의 주요 공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5. 탈수 슬러지의 재활용 방법이 아닌 것은?
16. 슬러지 발생량이 25,000kg D.S./d이고 가압탈수기의 여과속도가 100kg D.S./m2ㆍh일 때, 가압탈수기의 필요한 대수(대)는? (단, 가압탈수기의 가동시간은 5h/d, 여과면적은 10m2/대 이다.)
17. 가압형 탈수기에 해당하는 것은?
18. 염소보다 강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어 소독부산물의 전구물질을 저감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은?
19. 입상활성탄의 흡착 특성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는 물질이 아닌 것은?
20. 막여과설비의 막오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과목: 수질분석 및 관리
21. 먹는물수질공정시험기준상 총칙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22. 0.5 N 농도의 NaOH 용액 500mL에 녹아있는 용질의 양(g)과 같은 값은?
23. 먹는물수질공정시험기준상 시험결과 표시 자릿수가 0.0이 아닌 것은?
24.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상 화학적산소요구량 측정법 중 산성과망간산칼륨법에 사용되는 염소이온 제거 시약은?
25.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상 다음 분석과정에 해당하는 항목은?
26.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운영등에 관한 고시상 마이크로시스틴의 검출기로 옳지 않은 것은?
27. 불활성화비 계산방법 및 정수처리 인증 등에 관한 규정상 CT계산값을 계산할 때 소독제 접촉시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8. 랑게리아지수(LI) 분석을 위한 최소항목이 옳지 않은 것은?
29. 정수장에서 응집제 주입량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30. 정수공정의 혼화, 플록 형성에서 속도경사(G) 값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1. 수심 3.5 m, 길이 30m, 폭 4m인 침전지에 유입되는 유량이 3,600m3/d일 때, 표면부하율(m/d)은?
32. 먹는물관리법상에서 설명하는 용어의 정의로 옳은 것은?
33. 지하수법령상 지하수를 냉난방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지하수의 취수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34. 하천법령상 댐 등의 설치자 또는 관리자가 홍수에 대비하여 댐의 저수를 방류하려고 할 때 환경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35. 물환경보전법령상 공공수역에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수로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
36.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운영 등에 관한 고시상 먹는샘물의 감시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37. 수도법상 상수원보호구역에 거주하는 주민 또는 상수원보호구역에서 농림ㆍ수산업 등에 종사하는 자에 관한 지원사업이 아닌 것은?
38. 수도법령상 상수도관망 중점관리지역에서 수질측정항목이 아닌 것은?
39.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상 심미적 영향물질에 관한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항목은?
40.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상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과목: 설비운영(기계·장치 또는 계측기 등)
41. 여과지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42. 침전지의 침전슬러지와 배출수침전지 및 배출수지의 침강슬러지를 받아들이고 후속시설에 대한 유량과 부하량을 조정하는 시설은?
43. 침전지 슬러지의 배출설비 중 기계식 제거방식을 모두 고른 것은?
44. 막여과 시설 중 협잡물 제거 설비로 옳은 것은?
45. 정수용 약품 중 수산화나트륨 주입설비의 재질로 옳지 않은 것은?
46. 급속여과지의 배관과 밸브류의 설치 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47. 다음과 같은 단계로 슬러지를 처리하는 탈수기는?
48. 펌프의 전양정 산출방법으로 옳은 것은?
49. 펌프의 캐비테이션 방지 대책으로 옳은 것은?
50. 전력용 퓨즈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51. 보호계전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2. 고압 및 저압권선에 에폭시 수지를 고진공으로 침투시킨 고체절연방식의 변압기는?
53. 정수장 변압기 2차측 분전반 전압이 399V이고 원격감시제어설비용 분전반 전원이 380 V 일 때 이 배전선로의 전압강하율(%)은?
54. 제어설비 중 컴퓨터를 사용하는 집중제어방식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55. 수로의 도중 또는 끝을 막고 월류 수심을 측정하여 유량을 구하는 유량계는?
56. 고감도 탁도계 중 셀 창이 없어 셀의 오염에 의한 영향은 없고, 입자경의 영향이 큰 탁도계 방식은?
57. 배수지, 배수탑 및 고가탱크에 펌프나 조절밸브 등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하여야 하는 계측기는?
58. 정수장의 약품주입관리구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장의 상시근로자가 100명인 경우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선임하지 않아도 되는 사업은?
6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방진마스크 착용”에 해당하는 표지는?




4과목: 정수시설 수리학
61. 표면장력이 T이고 지름이 d인 비누풍선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가 p일 때, 비누풍선의 표면장력에 의한 힘 T π d와 평형을 이루는 힘은?




62. 관수로 흐름의 마찰손실수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3. 속도수두와 마찰손실수두가 같은 관수로 흐름에서 마찰손실계수는?
64. 직경이 100mm이고 길이는 200m인 관에 2m/s의 평균유속으로 물이 흐를 때, 마찰손실수두가 6m이었다. 마찰손실계수(f)는? (단, 중력가속도는 9.8m/s2이다.)
65. 압력과 압력수두의 MLT계 차원으로 옳게 나타낸 것은?
66. Manning 공식과 관련이 없는 것은?
67. 관수로 유량측정 장치가 아닌 것은?
68. 관수로에서 레이놀즈 수의 계산식과 관계 있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69. 입자의 제1형 독립침전과 관련된 스토크스(Stokes)의 법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0. 원형관로에서 수심이 0.5D로 물이 흐를 때 동수반경(hydraulic radius)은? (단, D는 원형관로의 직경이다.)
71. 여과지의 여과면적이 49m2이고, 여과속도가 1.0m/h일 때 여과수량(m3/d)은 얼마인가?
72. 혼화지의 속도경사(G)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3. 관수로의 층류 흐름에서 마찰손실계수(f)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4. 관로길이가 100m이고 관경이 200mm, 마찰손실계수가 0.012인 관수로에서 평균유속이 3.0m/s로 물이 흐르고 있을 때, 발생하는 마찰손실수두(m)는 약 얼마인가? (단, 중력가속도는 9.8m/s2 이다.)
75. 펌프 두 대의 병렬운전과 직렬운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6. 전양정이 10m, 회전속도가 1,000rpm, 최고 효율점의 양수량이 240m3/h 인 펌프의 비속도(Ns)는? (단,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구한다.)
77. 펌프의 축동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8. 운전중인 펌프의 토출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79. 펌프의 수격현상을 경감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80. 펌프의 비교회전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