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지질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8-26)

응용지질기사
(2012-08-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암석학 및 광물학

1. 다음 중 그레이와케(graywack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석영과 흑운모를 다량 포함하며, 분급정도가 양호한 조립질 사암이다.
  2. 색깔은 보통 암회색을 띤다.
  3. 모래입자는 일반적으로 원마도가 낮다.
  4. 암편, 장석, 유색광물과 같은 불안정한 성분을 많이 포함한다.
(정답률: 83%)
  • 석영과 흑운모를 다량 포함하며, 분급정도가 양호한 조립질 사암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그레이와케는 일반적으로 암회색을 띠며, 모래입자는 일반적으로 원마도가 낮지만, 암편, 장석, 유색광물과 같은 불안정한 성분을 많이 포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저반으로 산출되는 화성암체에서 흔히 관찰되는 조직이 아닌 것은?

  1. 비정질조직
  2. 완정질조직
  3. 등립질조직
  4. 조립질조직
(정답률: 76%)
  • 화성암체에서는 등립질조직, 조립질조직, 완정질조직이 관찰됩니다. 비정질조직은 조직 내에 구조적으로 정렬된 형태가 없는 조직으로, 화성암체에서는 발견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편마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엽리가 잘 발달된 조립 입상 변성암이다.
  2. 원암은 주로 석회암이다.
  3. 주 구성광물은 감람석-휘석-사장석이다.
  4. 매몰변성작용과 동반되어 주로 생성된다.
(정답률: 82%)
  • 편마암은 엽리가 잘 발달된 조립 입상 변성암이다. 이는 입상암 중에서도 엽리가 잘 발달하여 입상암의 특징을 띄면서도 입상암보다 더욱 미세한 입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암은 주로 석회암이며, 주 구성광물은 감람석-휘석-사장석이다. 또한, 매몰변성작용과 동반되어 주로 생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현무암과 같은 고철질 광물이 풍부한 암석이 광역변성작용을 받았을 때 가장 고변성도의 변성분대에서 나타나는 변성광물은?

  1. 녹염석
  2. 녹니석
  3. 휘석
  4. 각섬석
(정답률: 49%)
  • 현무암과 같은 고철질 광물이 풍부한 암석이 광역변성작용을 받으면 철이 산화되어 휘석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가장 고변성도의 변성분대에서는 휘석이 가장 많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화성암에서 SiO2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는 성분은?

  1. Fe2O3
  2. MgO
  3. K2O
  4. CaO
(정답률: 77%)
  • 화성암에서 SiO2의 함량이 증가하면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함량도 증가합니다. 이는 SiO2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이 함께 존재하는 광물인 페로그라이트(FeO·MgO·SiO2)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알칼리 금속 산화물인 K2O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어떤 지역의 퇴적암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하였다. 이 암석의 퇴적장소는?

  1. 사막
  2. 하천
  3. 호수
  4. 조간대
(정답률: 79%)
  • 이 암석은 수평적으로 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위의 모양이 고르고 일정하다. 이러한 특징은 조간대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변성암의 종류가 다양한 원인과 관련이 가장 먼 것은?

  1. 원암의 종류
  2. 변성작용을 받은 시기
  3. 변성작용의 종류
  4. 변성작용의 정도
(정답률: 86%)
  • 변성암의 종류는 다양한 원인과 관련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변성작용을 받은 시기가 가장 먼 이유는 변성작용은 원암이 이미 존재하고 있는 조직이나 세포에서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원암의 종류와는 별개로 변성작용을 받은 시기에 따라 변성암의 종류가 결정되는 것입니다. 변성작용의 종류와 정도는 변성암의 종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이들은 변성작용을 받은 시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저반과 저반사이에 관입당한 오래된 암석이 뾰족한 쐐기모양으로 꽂혀 있는 부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암맥(Duke)
  2. 암경(Neck)
  3. 현수체(Roof pendant)
  4. 아스피테(Aspite)
(정답률: 79%)
  • 현수체는 저반과 저반사이에 관입된 오래된 암석이 뾰족한 쐐기모양으로 꽂혀 있는 부분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암맥, 암경, 아스피테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퇴적암의 특징인 층리의 성인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퇴적물 입자의 크기 변화
  2. 퇴적물의 색깔 변화
  3. 퇴적물의 종류 변화
  4. 퇴적물 운반 유체의 탄성도 변화
(정답률: 61%)
  • 정답은 "퇴적물의 색깔 변화"입니다.

    퇴적암은 퇴적물이 쌓여서 만들어진 암석으로, 퇴적물 운반 유체의 탄성도 변화는 퇴적물이 쌓이는 환경에 따라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강물은 빠르게 흐르면 퇴적물 입자를 더 많이 운반하고, 이 때 퇴적물 운반 유체의 탄성도는 낮아집니다. 반면, 느리게 흐르는 강물은 퇴적물 입자를 적게 운반하고, 이 때 퇴적물 운반 유체의 탄성도는 높아집니다. 따라서, 퇴적암의 특징인 층리의 성인은 퇴적물 운반 유체의 탄성도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제주도의 산굼부리는 매우 독특한 화산체의 형태를 보인다. 슈나이더(K. Schneider)의 화산분류에 따르면 무엇인가?

  1. 아스피테
  2. 톨로이데
  3. 코니데
  4. 마르
(정답률: 66%)
  • 제주도의 산굼부리는 마르(Maar)로 분류된다. 마르는 폭발구가 물로 가득 찬 형태로, 화산체의 형태가 매우 독특하다. 이러한 형태는 화산 분화가 물과 만나면서 발생하는 폭발적인 반응으로 형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농도가 높은 소다용액에 넣어 끓인 후 크롬산칼륨으로 처리하면 황색으로 착색되는 광물은?

  1. 형석
  2. 돌로마이트
  3. 중정석
  4. 방해석
(정답률: 56%)
  • 중정석은 황색으로 착색되는 광물이다. 이는 농도가 높은 소다용액에 넣어 끓인 후 크롬산칼륨으로 처리하면 나타나는 특징적인 반응이다. 따라서 중정석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광물의 색을 좌우하는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광물 구성원소의 종류
  2. 광물의 결정구조
  3. 광물 결정의 대칭도
  4. 광물 표면의 물리적 효과
(정답률: 58%)
  • 광물의 색을 좌우하는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광물 결정의 대칭도"입니다. 광물의 색은 광물 구성원소의 종류, 광물의 결정구조, 광물 표면의 물리적 효과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광물 결정의 대칭도는 광물의 내부 구조와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으로 광물의 색상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마그마가 냉각될 때 아래의 화학반응으로 생성되는 각각의 광물로 옳은 것은?

  1. ①=휘석, ②=알바이트(albite)
  2. ①=흑운모, ②=정장석
  3. ①=각섬석, ②=미사장석
  4. ①=감람석, ②=아노르다이트(anorthite)
(정답률: 50%)
  • 화학식에서 SiO2와 Al2O3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알칼리 금속의 비율이 낮아지므로, 마그마가 냉각될 때 광물의 종류가 변화한다. 이 화학식에서는 SiO2와 Al2O3의 비율이 높아지므로, ①은 휘석보다는 감람석이 생성되고, ②는 알바이트보다는 아노르다이트가 생성된다. 따라서 정답은 "①=감람석, ②=아노르다이트(anorthit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원자가 전자를 잃어버릴 경우 생성되는 것은?

  1. 양이온
  2. 음이온
  3. 중성자
  4. 양성자
(정답률: 82%)
  • 원자가 전자를 잃어버리면 양전하를 가진 이온이 생성됩니다. 이는 전자의 음전하가 없어지면서 양전하가 남아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양이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규산염 광물은 SiO4 사면체를 기본 구조로 하여 이 사면체들의 산소공유 정도에 따라 구조가 결정된다. 규산염 광물의 구조와 대표적인 광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독립사면체 구조는 SIO4 사면체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Si:0=1:4이다. 대표적인 광물로는 저어콘과 감람석이 있다.
  2. 복사면체 구조는 2개의 SIO4 사면체가 하나의 산소를 공유한 것으로 Si:0=2:7이다. 대표적인 광물은 메릴라이트이다.
  3. 환상 구조는 SIO4 사면체가 2개의 산소를 공유하면서 하나의 고리를 형성한 것으로 Si:0=1:3이다. 대표적인 광물은 녹니석이다.
  4. 복쇄상 구조는 2개의 단쇄상 구조가 연결된 것으로 Si:0=4:11이다. 대표적인 광물로는 투각섬석이 있다.
(정답률: 73%)
  • 환상 구조는 SiO4 사면체가 2개의 산소를 공유하면서 하나의 고리를 형성한 것으로 Si:O=1:3이다. 대표적인 광물은 녹주석이다. 따라서 "환상 구조는 SIO4 사면체가 2개의 산소를 공유하면서 하나의 고리를 형성한 것으로 Si:0=1:3이다. 대표적인 광물은 녹니석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이온결합성 광물에 대해 설명하는 법칙은?

  1. 폴링의 법칙
  2. 오일러의 법칙
  3. 보웬의 법칙
  4. 골드슈미트의 광물학적 상률
(정답률: 62%)
  • 폴링의 법칙은 이온결합성 광물에서 이온의 크기와 전하가 같은 경우, 결합력은 이온의 전하밀도에 비례하고 이온의 크기에 반비례한다는 법칙이다. 즉, 이온의 전하밀도가 높을수록 결합력이 강하고 이온의 크기가 작을수록 결합력이 강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그림은 아라고나이트의 결정형에서 흔히 관찰되는 쌍정이다. 이러한 쌍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접촉쌍정
  2. 투입쌍정
  3. 취편쌍정
  4. 윤좌쌍정
(정답률: 69%)
  • 이러한 쌍점은 윤좌쌍정이라고 한다. 이는 결정 내부에서 발생하는 액체의 표면장력에 의해 결정이 형성될 때 생기는 현상으로, 결정 내부에서 액체가 모여들어 둥근 모양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다른 선택지들은 각각 다른 종류의 쌍정을 나타내는데, 접촉쌍정은 두 결정이 서로 접촉하여 생기는 쌍정, 투입쌍정은 결정 내부에 다른 물질이 투입되어 생기는 쌍정, 취편쌍정은 결정의 모양이 취나 편의 형태를 띄는 쌍정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압전기(piezoeletricity) 현상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광물은?

  1. 방해석
  2. 섬아연석
  3. 감람석
  4. 자철석
(정답률: 56%)
  • 섬아연석은 압전 효과와 관련된 광물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전하가 발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섬아연석은 압전 센서, 초음파 발생기, 피에조 전자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브라바이스(Bravais)의 공간격자의 종류 중에서 등축정계의 격자가 아닌 것은?

  1. 저심격자
  2. 체심격자
  3. 면심격자
  4. 단일격자
(정답률: 47%)
  • 저심격자는 등축정계의 격자가 아닌 것입니다. 이는 격자의 축이 모두 같은 방향이 아니라 다른 방향으로 놓여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격자인 체심격자, 면심격자, 단일격자는 모두 등축정계의 격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섬유상으로 산출되는 광물로 옳은 것은?

  1. 운모
  2. 투각섬석
  3. 전기석
  4. 남정석
(정답률: 49%)
  • 투각섬석은 섬유상으로 산출되는 광물 중 하나입니다. 이는 섬유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섬유로 가공이 가능하며, 주로 섬유제조에 사용됩니다. 반면, 운모, 전기석, 남정석은 섬유상으로 산출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구조지질학

21. 다음 중 화산 호상열도(volcanic island arc)가 아닌 것은?

  1. 필리핀
  2. 일본
  3. 하와이
  4. 인도네시아
(정답률: 71%)
  • 하와이는 화산 호상열도가 아닌 이유는, 화산 활동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대륙 이외의 지역에서 형성된 섬으로, 화산 호상열도는 대륙 표면에서 푸른색 대륙판이 태평양 대륙판 아래로 침입하여 화산 활동이 일어나는 지역에서 형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대륙지각의 강도(strength)는 다음 중 어느 부분에서 가장 높은가?

  1. 취성영역의 최상부
  2. 연성영역의 최하부
  3. 취성-연성 전이대
  4. 취성영역의 중간부
(정답률: 73%)
  • 대륙지각의 강도는 취성과 연성의 경계인 취성-연성 전이대에서 가장 높습니다. 이는 취성과 연성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취성은 압축에 강하고 굳건한 반면, 연성은 인장에 강하고 끌어당김에 잘 견디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취성과 연성이 만나는 취성-연성 전이대에서는 두 특성이 결합되어 대륙지각의 강도가 가장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판경계부는?

  1. 방산현 경계(divergent margins)
  2. 수렴형 경계(convergent margins)
  3. 변환단층 경계(transform fault margins)
  4. 대륙 경계(continental margins)
(정답률: 89%)
  • 해당 판경계부는 "수렴형 경계(convergent margins)"이다. 이는 두 개의 지각판이 충돌하여 한쪽 지각판이 다른 지각판 아래로 침입하는 지역으로, 지각판이 충돌하면서 산맥이 생성되고 지진, 화산 폭발 등 지질적 활동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어떤 학생이 야외조사를 하다가 습곡구조를 발견하였다. 이 습곡구조의 정확한 습곡축을 알기 위하여 평사투영법(stereographic projection)을 이용하여 양날개(wing)의 주향과 경사를 표시하였더니 아래의 그림과 같았다. 아래에서 이 습곡의 습곡축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69%)
  • 보기에서 C는 양날개(wing)의 주향과 경사가 모두 수직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습곡축은 양날개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이 된다. 따라서, 이 습곡의 습곡축은 양날개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해당되는 지질 시대의 지층이 아직 확인되지 않는 시기는 무엇인가?

  1. 트라이아스기
  2. 페름기
  3. 데본기
  4. 실루리아기
(정답률: 75%)
  • 데본기는 지질 시대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오래된 시기에 해당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데본기의 지층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대부분의 지층이 지각 변동으로 인해 파괴되거나 지하 수렴으로 인해 깊은 지하로 사라졌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은 특정 지점에서의 하도 너비(m), 하도 깊이(m), 구배(°), 유속(m/s), 하구언까지의 거리(m)를 측량하여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하천의 유량이 가장 큰 지점은?

  1. A 지점
  2. B 지점
  3. C 지점
  4. D 지점
(정답률: 79%)
  • 하천의 유량은 유속과 단면적의 곱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유속이 가장 큰 지점이 유량이 가장 큰 지점이다. 그리고 유속은 하도 깊이와 구배에 영향을 받는다. 하도 깊이가 깊을수록 유속은 감소하고, 구배가 크면 유속은 증가한다. 따라서 C 지점이 유속이 가장 크고, 따라서 유량이 가장 큰 지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하와이 열도에 있는 화산들의 절대연령을 측정한 결과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갈수록 연령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다. 남동쪽의 하와이(Hawaii)섬은 0.1Ma이고 북서쪽으로 300km 떨어진 니하우(Niihau)섬은 4.9Ma일 때 태평양판이 이동하는 속도는? (단, 화산활동은 현재의 하와이섬의 위치에서만 고정되어 발생된다고 가정함. Ma:백만년)

  1. 1.6cm/year
  2. 6.25cm/year
  3. 16cm/year
  4. 62.5cm/year
(정답률: 69%)
  • 화산활동이 현재의 하와이섬 위치에서만 발생한다는 가정하에, 남동쪽의 하와이섬과 북서쪽의 니하우섬 사이의 거리는 300km이다. 이 거리를 이동한데 걸린 시간은 (4.9Ma - 0.1Ma) = 4.8Ma 이다. 따라서, 이동한 거리를 이동한 시간으로 나누면 태평양판이 이동하는 속도를 구할 수 있다.

    300km / 4.8Ma = 0.0625cm/year = 6.25cm/year

    따라서, 정답은 "6.25cm/year"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지표 근처에서는 단층면의 경사가 급하나 지하로 내려갈수록 단층면의 경사가 작아지는 단층은?

  1. 곡면단층(listric fault)
  2. 분리단층(detachment fault)
  3. 정향단층(stnthetic fault)
  4. 반향단층(antithetic fault)
(정답률: 63%)
  • 정답은 "곡면단층(listric fault)"입니다. 이는 지표 근처에서는 단층면의 경사가 급하나 지하로 내려갈수록 단층면의 경사가 작아지는 단층으로, 이러한 형태는 지하에서의 압력과 온도 변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단층은 지하수나 석유 등의 자원이 축적될 수 있는 중요한 지형학적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고생대 지층은 N50E/60SE의 주향/경사를 가지고 그 위에 신생대 지층은 N40E/20NW의 주향/경사를 가질 때 이 두 지층의 관계는?

  1. 난정합
  2. 비정합
  3. 사교부정합
  4. 준정합
(정답률: 58%)
  • 고생대 지층과 신생대 지층의 주향/경사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 두 지층은 사교부정합 관계에 있다. 즉,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충돌하거나 분리되어 형성된 지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멜란지(melange)의 형성 지역으로 알맞은 것은?

  1. 해구
  2. 해령
  3. 변환단층
  4. 화산
(정답률: 74%)
  • 멜란지는 해구에서 형성됩니다. 해구는 해양에서 물이 증발하면서 염분이 농축되어 결정화되는 지역으로, 멜란지는 이러한 염분 결정체들이 섞여서 형성됩니다. 해령은 해안에서 바람이나 파도 등에 의해 모래가 축적되어 형성된 지형이며, 변환단층은 지하에서 암석이 변화하는 지점을 말하며, 화산은 용암과 화산재 등이 분출되어 형성된 지형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우리나라에서 지진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크다고 알려진 지체구조구는 어디인가?

  1. 경상분지
  2. 평남분지
  3. 소백산육괴
  4. 함북습곡대
(정답률: 78%)
  • 경상분지는 한반도 동쪽에 위치하며, 북동해와 동해가 만나는 지역으로 지진 활동이 많은 지역입니다. 또한, 경상북도와 경상남도 지역에서는 대지진이 발생한 적이 있어서 지진 위험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판상 절리(sheeting joint)가 가장 잘 나타나는 암석은?

  1. 사암
  2. 화강암
  3. 석회암
  4. 안산암
(정답률: 69%)
  • 판상 절리는 화강암에서 가장 잘 나타납니다. 이는 화강암이 깊은 지하에서 냉각되면서 결정화되는 과정에서 결정들이 서로 정렬되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정렬된 결정들은 판상 모양으로 나타나며, 이를 판상 절리라고 합니다. 사암, 석회암, 안산암은 이러한 판상 절리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정단층에 의해 주로 형성되는 지질 구조는?

  1. 돔과 분지(dome and basin)
  2. 용식요지(swallow hole)
  3. 지구-지루-(graben-horst)
  4. 클리페(klippe)
(정답률: 83%)
  • 정답은 "지구-지루-(graben-horst)"입니다.

    지구-지루(graben-horst)는 지각층이 끊어져 내리거나 올라가면서 형성되는 지질 구조입니다. 지구-지루는 지각층이 끊어져 내려간 부분을 말하며, 호르스트(horst)는 지각층이 올라간 부분을 말합니다. 이러한 지질 구조는 지각층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며, 대지진이나 화산활동 등 지질적인 활동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에서 설명하는 지질구조는 무엇인가?

  1. 멀리언 구조
  2. 파랑 선구조
  3. 교차 선구조
  4. 부딘 구조
(정답률: 82%)
  • 이 지질구조는 부딘 구조이다. 이는 두 개 이상의 지층이 각기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구조로, 지층이 교차하거나 접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떨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림에서 보면 두 개의 지층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지층 사이에는 경사면이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지진 발생의 사전 조짐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미진(tiny earthquakes)의 빈번한 발생
  2. 동물들의 기이한 행동
  3. 지구 자기(magnetism)의 불안정
  4. 급격한 기상변화
(정답률: 85%)
  • 지진 발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은 "급격한 기상변화"입니다. 지진 발생의 사전 조짐으로는 미진의 빈번한 발생, 동물들의 기이한 행동, 지구 자기의 불안정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기상변화는 지진 발생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지진 발생과는 다른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익간각(inter-limb angle)이 0°인 습곡의 명칭은?

  1. 등사 습곡(isoclinal fold)
  2. 완만 습곡(gentle fold)
  3. 완사 습곡(open fold)
  4. 급사 습곡(close fold)
(정답률: 68%)
  • 익간각이 0°인 습곡은 각도가 없는 평평한 습곡으로, 습곡의 두 면이 서로 평행하게 된다. 이러한 습곡을 등사 습곡(isoclinal fold)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판 경계의 운동특성이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무엇인가?

  1. 아라비아판-유라시아판
  2. 태평양판-남극판
  3. 태평양판-나스카판
  4. 오스트레일리아/인도판-남극판
(정답률: 63%)
  • "아라비아판-유라시아판"은 두 판이 서로 충돌하면서 산성암이 생성되는 점에서 다른 판과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산성암은 화산활동과 지진을 유발하며, 이 지역은 중동 지진대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미국 서부의 'Basin and Range'를 형성시킨 가장 직접적인 메커니즘은?

  1. 배사습곡작용
  2. 정단층운동
  3. 스러스트단층운동
  4. 좌수향 주향이동성 단층운동
(정답률: 60%)
  • 미국 서부의 'Basin and Range' 지형을 형성시킨 가장 직접적인 메커니즘은 정단층운동입니다. 이는 지각층이 수직으로 움직여 지표면을 끌어올리거나 내리면서 지형이 형성되는 현상으로, 미국 서부 지역에서는 지각층이 끌어올려지면서 산맥이 형성되고, 지각층이 내려가면서 분지가 형성되는 것으로 관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지구내부의 구조 중 상부맨틀의 주 구성 암석은?

  1. 현무암
  2. 감람암
  3. 유문암
  4. 에클로자이트
(정답률: 75%)
  • 상부맨틀은 지하 400~650km 지점에 위치하며, 그 중 주 구성 암석은 감람암입니다. 이는 지구 내부에서 가장 흔한 암석으로, 마그마가 식어서 만들어진 질량적으로 안정적인 암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암석이 연성(ductile)보다 취성(brittle)변형되기 가장 적절한 조건은?

  1. 주변 암반의 온도가 높을 때
  2. 변형이 천천히 일어날 때
  3. 지표면 가까운 위치에 암석이 있을 때
  4. 암석의 구성 성분이 석회암에 가까울 때
(정답률: 71%)
  • 지표면 가까운 위치에 암석이 있을 때가 가장 적절한 조건이다. 이는 지표면 근처에서는 지하 압력이 낮아져 암석이 더 취성 변형되기 때문이다. 또한, 지표면 근처에서는 지하 온도가 높아져 암석이 더 연성 변형될 수 있지만, 이는 보기에서 제시된 조건 중에서는 가장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탐사공학

41. 주파수영역 IP 탐사에서 전류 200mA를 흘릴 때 주파수 0.1Hz 및 2.5Hz에서 측정한 전위값은 각각 550mV및 550mV이었다. 주파수 효과는?

  1. 0.05
  2. 0.1
  3. 0.2
  4. 0.25
(정답률: 44%)
  • 주파수 효과는 전류가 일정할 때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위값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문제에서는 주파수가 0.1Hz에서 2.5Hz로 증가하였으므로, 주파수 효과는 0.1이다. 이는 주파수가 2.5배 증가하였으므로, 전위값은 2.5배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지구화학적 원소분류 중 친동원소(Chalcophile elements)에 해당하는 것은? (단, Goldschmidt의 분류에 의함)

  1. Ni, Pt
  2. As, Zn
  3. Li, V
  4. He, Rn
(정답률: 82%)
  • 친동원소는 황과 결합하기 쉬운 원소로, 지각에서 발견되는 황과 함께 존재하는 경향이 있다. As(비금속)는 황과 결합하기 쉽고, Zn(금속)은 황과 결합하여 황동광이라는 광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친동원소에 해당한다. Ni와 Pt는 친철원소(Chalcophile elements)에 해당하며, Li와 V는 알칼리원소(Alkali metals)와 전이금속(Transition metals)에 해당한다. He와 Rn은 비활성기체(Noble gases)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기준점보다 100m 낮은 지점에서 측정된 중력값이 1000mgal일 경우 기준점으로 프리에어 보정을 한 후 중력값은?

  1. 930.86mgal
  2. 969.14mgal
  3. 1030.86mgal
  4. 1069.14mgal
(정답률: 59%)
  • 기준점보다 100m 낮은 지점에서 측정된 중력값은 1000mgal이므로, 이 지점에서의 중력값은 실제 중력값보다 1000mgal만큼 작은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값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100m 높이에 있는 기준점에서의 중력값을 알아야 합니다.

    프리에어 보정은 기준점에서 측정된 중력값을 기준으로 다른 지점에서 측정된 중력값을 보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 기준점에서의 중력값은 실제 중력값과 같으므로 1000mgal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기준점에서의 중력값에서 1000mgal을 빼주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준점에서의 중력값이 1000mgal일 때, 보정된 중력값은 969.14mgal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암석의 방사능 측정과 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사능 측정단위는 큐리(curie)가 사용된다.
  2. 일반적으로 화성암이 퇴적암이나 변성암보다 더 강한 방사능을 나타낸다.
  3. 셰일과 사암의 지층 경계면을 방사능 탐사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4.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사능 측정기기는 가이거계수기(Geiger counter)와 신틸레이션 미터(Scintillation meter)이다.
(정답률: 46%)
  • "일반적으로 화성암이 퇴적암이나 변성암보다 더 강한 방사능을 나타낸다." 설명이 옳지 않다. 실제로 암석의 방사능은 그 종류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화성암이 항상 강한 방사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중력탐사 시 적용되는 보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도보정 : 위도가 높아짐에 따라 중력치가 감소하므로 극지방의 측점에서는 중력 측정치에 위도 보정치를 더해준다.
  2. 에트뵈스 보정 : 배나 항공기를 이용한 중력탐사에서 필요한 보정이다.
  3. 고도 보정 : 고도차가 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여 주는 보정으로, 프리에어 보정과 부게 보정이 있다.
  4. 지형 보정 : 측점 주위에 있는 불규칙한 지형의 영향을 보정하는 것으로, 지형이 산이나 계곡에 관계없이 항상 보정치를 측정치에 더해 주어야 한다.
(정답률: 62%)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방사능 탐사에서 주된 대상체가 아닌 것은?

  1. 우라늄(U)
  2. 토륨(Th)
  3. 칼륨(K)
  4. 칼슘(Ca)
(정답률: 74%)
  • 칼슘은 방사능을 방출하지 않는 안정핵종으로, 방사능 탐사에서 주된 대상체가 아닙니다. 반면, 우라늄, 토륨, 칼륨은 방사능을 방출하는 핵종으로, 방사능 탐사에서 주요 대상체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지열광상의 부존을 확인할 수 있는 물리탐사법이 아닌 것은?

  1. MT법
  2. Curie 정법
  3. P-파 지연법
  4. 렌트겐 법
(정답률: 59%)
  • 렌트겐 법은 지열광상의 부존을 확인할 수 있는 물리탐사법이 아닙니다. 렌트겐 법은 X선을 이용하여 물질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의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탄성파 탐사를 2층 수평구조 상에서 수행할 때 수진기에 가장 늦게 도달하는 파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단, 발파점과 수진점은 1층 표면에 위치시키고, 1층의 탄성파 속도가 2층의 탄성파 속도보다 작다.)

  1. 직접파
  2. 굴절파
  3. 반사파
  4. 수진점 위치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52%)
  • 정답은 "반사파"이다.

    탄성파는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속도와 진폭이 변화하게 된다. 이 때, 탄성파가 매질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파를 반사파라고 한다.

    따라서, 2층 수평구조 상에서 수진기에 가장 늦게 도달하는 파는 반사파이다. 이는 1층과 2층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기 때문이다. 직접파와 굴절파는 수진기에 더 빨리 도달하게 되며, 수진점 위치에 따라 다른 파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지하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전위 중 전기역학적 전위(electrokinetic potential)로 자연전위 검층시 시추이수가 공극성 지층 안으로 침투할 때 관측되는 전위는?

  1. 광화 전위
  2. 네르스트 전위
  3. 유동 전위
  4. 확산 전위
(정답률: 60%)
  • 지하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전위는 전기역학적인 힘에 의해 이온들이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위는 유동 전위로서 시추이수가 공극성 지층 안으로 침투할 때 관측된다. 이는 이온들이 지하수와 함께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전위이며, 유동 전위라고 부른다. 따라서 정답은 "유동 전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주시고선으로부터 시간절편을 이용하여 상부지층의 두께를 구했을 때 가장 근사한 값은 어느 것인가? (단, 수평 지층경계면 구조의 탐사기록이다.)

  1. 1m
  2. 3m
  3. 5m
  4. 7m
(정답률: 54%)
  • 시간절편은 지층의 두께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므로, 시간절편을 이용하여 상부지층의 두께를 구할 수 있다. 그림에서 시간절편은 약 0.8초이다. 이는 상부지층과 하부지층의 속도차이로 인해 발생한 것이다. 상부지층의 속도는 하부지층보다 작으므로, 시간절편이 발생한다.

    시간절편을 이용하여 상부지층의 두께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상부지층 두께 = 시간절편 × 상부지층 속도

    상부지층 속도는 약 1500m/s 정도이다. 따라서, 상부지층 두께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상부지층 두께 = 0.8초 × 1500m/s = 1200m

    하지만, 그림에서 보듯이 상부지층의 최대 두께는 약 3m 정도이다. 따라서, 시간절편을 이용하여 구한 값인 1200m은 현실적으로 맞지 않다. 따라서, 가장 근사한 값은 "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탄성파 탐사를 수행할 때 지오폰 배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지오폰이 탐사 측선을 따라 놓인 방식을 동일측선배열이라 한다.
  2. 모든 지오폰이 탐사 측선에 직각으로 배열된 것을 수직배열이라 한다.
  3. 사각형 안에 수백 개의 지오폰을 그룹으로 설치한 것을 교차배열이라 한다.
  4. 여러 세트의 지오폰 배열은 일반적으로 거의 수직으로 상향 주행하는 반사파를 강화시킨다.
(정답률: 47%)
  • "사각형 안에 수백 개의 지오폰을 그룹으로 설치한 것을 교차배열이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교차배열은 지오폰을 서로 교차시켜 배열한 것을 말하며, 사각형 안에 그룹으로 설치한 것은 격자배열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전기비저항탐사 시 사용되는 전극배열 방법 중 단극-쌍극자배열에 의한 겉보기비저항(ρa) 계산식은? (단, V는 측정된 전위, I는 측정된 전류, n은 전극전개수, a는 측점간의 간격이다.)

(정답률: 50%)
  • 전극배열 방법 중 단극-쌍극자배열은 측정 전극과 기준전극을 번갈아가며 사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때 측정 전극과 기준전극 사이의 거리가 a이고, 전극 개수가 n개일 때, 겉보기비저항(ρa)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ρa = (πan2)/2VΣI

    이 식에서 ΣI는 모든 전극 쌍에 대한 전류의 합을 의미한다. 따라서 측정 전극과 기준전극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고, 전극 개수가 많을수록 ΣI 값은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극 개수가 많을수록 겉보기비저항(ρa) 값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탄성파참사의 에너지원 중 임펄스 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에어건
  2. 바이브로사이소
  3. 시추공 스파커
  4. 다이나마이트
(정답률: 71%)
  • 탄성파참사에서 임펄스 형 에너지원은 폭발이나 충격파와 같이 갑작스러운 에너지 방출로 인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에어건", "시추공 스파커", "다이나마이트"는 모두 임펄스 형 에너지원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바이브로사이소"는 진동 형태의 에너지를 방출하는데, 이는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므로 임펄스 형 에너지원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지하투과 레이다 탐사(GPR)에서 사용되는 전자기 펄스의 일반적인 주파수 대역은?

  1. 1Hz~100Hz
  2. 100Hz~1kHz
  3. 10kHz~1MHz
  4. 10MHz~1GHz
(정답률: 69%)
  • 지하투과 레이다 탐사(GPR)에서 사용되는 전자기 펄스는 지하 구조물을 탐지하기 위해 지하로 전송되어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측정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높은 주파수 대역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10MHz~1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지하 구조물을 탐지합니다. 이는 높은 주파수 대역일수록 더 짧은 파장을 가지기 때문에 더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높은 주파수 대역일수록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지며, 지하 구조물의 작은 변화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0MHz~1GHz의 주파수 대역이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전류가 암석을 통과하는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전해 전도
  2. 밀도 전도
  3. 진자 전도
  4. 유전 전도
(정답률: 50%)
  • 전류가 암석을 통과하는 방식은 전해 전도, 진자 전도, 유전 전도이다. 이 중에서 밀도 전도는 암석을 통과하는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다. 밀도 전도는 액체나 기체에서 입자들이 서로 밀집해 있어서 전류가 흐르는 것이다. 따라서 암석은 고체이므로 밀도 전도는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퇴적층에서 셰일의 함량을 추정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물리검층법은?

  1. 자연감마선 검층
  2. 전자유도 검층
  3. 공경 검층
  4. 대자율 검층
(정답률: 76%)
  • 자연감마선 검층은 셰일의 함량을 추정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물리검층법입니다. 이는 셰일이 방사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자연감마선을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연감마선 검층을 통해 측정된 감마선 수치를 분석하여 셰일의 함량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산화조건(pH 5~8)의 지표환경에서 상대적 이동도가 가장 큰 원소는?

  1. K
  2. Fe
  3. Cl
  4. Al
(정답률: 67%)
  • 산화조건(pH 5~8)에서는 Cl이 가장 안정한 이온 형태인 Cl-로 존재하기 때문에 상대적 이동도가 가장 큽니다. K는 이온화되어 K+로 존재하지만, pH 5~8에서는 K+가 수용액에서 쉽게 결합하여 침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Fe는 pH 5~8에서 Fe3+로 존재하지만, Fe3+는 수용액에서 쉽게 침전하여 이동도가 낮아집니다. Al은 pH 5~8에서 Al3+로 존재하지만, Al3+는 수용액에서 쉽게 결합하여 침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Cl이 가장 이동도가 높은 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지하투과 레이다 탐사(GPR)에서 토양의 함수비가 증가할 경우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헤이다파의 속도가 증가한다.
  2. 레이다파의 감쇠 정도가 감소한다.
  3. 가탐심도가 증가한다.
  4. 수직분해능이 향상된다.
(정답률: 52%)
  • 토양의 함수비가 증가하면 레이다파의 속도가 증가하고 감쇠 정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레이다파가 지하에서 더 멀리까지 전파될 수 있게 되므로 가탐심도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수직분해능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양성자의 세차 운동을 이용하여 총자기를 측정하는 자력계는?

  1. 핵 자력계
  2. 저울형 자력계
  3. Schmidt형 자력계
  4. Flux gate 자력계
(정답률: 63%)
  • 양성자의 세차 운동을 이용하여 총자기를 측정하는 자력계는 핵 자력계입니다. 이는 핵 자성 모멘트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측정하는데, 양성자의 세차 운동은 핵 자성 모멘트를 생성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자력계들은 다른 원리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그라운드롤(ground roll)과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1. 표면파
  2. 직접파
  3. 다중반사파
  4. 실제파
(정답률: 65%)
  • 그라운드롤은 비행기가 이륙할 때 바퀴가 지면과 마찰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이다. 이 진동은 비행기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강해지는데, 이때 발생하는 소리를 그라운드롤 소리라고 한다. 이 소리는 비행기가 지면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이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표면파에 의해 전달된다. 따라서 그라운드롤과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표면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질공학

61. 정수두 투수시험을 통한 수리전도도의 계산시 필요한 입력 자료가 아닌 것은?

  1. 물의 동점성 계수
  2. 시료의 단면적
  3. 시료의 길이
  4. 측정시간
(정답률: 68%)
  • 물의 동점성 계수는 투과한 시료의 전도도를 계산하는 데 필요한 값이 아니기 때문에 입력 자료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정수두 투수시험에서는 시료의 단면적, 시료의 길이, 측정시간 등이 필요한데, 이는 시료의 전도도를 계산하기 위한 기본적인 값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현지 암반의 초기응력 측정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압력터널시험법
  2. 플랫 잭 법
  3. 수압파쇄시험법
  4. 오버코어링법
(정답률: 62%)
  • 압력터널시험법은 현지 암반의 초기응력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암반 내부의 응력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시험법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것은 "압력터널시험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사면보강공법 중 록앵커(rock anchor)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앵커의 인장력으로 암반블록의 전단저항력을 증가시켜 암반을 안정화시키는 공법이다.
  2. 대단위 사면붕괴에 대한 보강대책으로 유리하다.
  3. 시간경과에 따른 긴장재의 이완으로 인장력이 증가하는 효과를 이용한다.
  4. 파쇄가 심하고 절리가 발달된 지반에서는 적용성이 떨어진다.
(정답률: 79%)
  • "시간경과에 따른 긴장재의 이완으로 인장력이 증가하는 효과를 이용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록앵커 공법은 암반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앵커를 암반 내부에 설치하고, 앵커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암반 블록의 전단저항력을 증가시키는 공법이다. 이 때, 앵커의 인장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완되면서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암반을 더욱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그림은 평판에 작용하는 응력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최대, 최소주응력은? (단, 인장방향 : +, 압축방향 : -, 최대주응력, 최소주응력 순서임)

  1. 500kg/cm2, -200kg/cm2
  2. 200kg/cm2, -500kg/cm2
  3. 400kg/cm2, -100kg/cm2
  4. 100kg/cm2, -400kg/cm2
(정답률: 44%)
  • 최대주응력은 응력원의 중심에서 발생하며, 이 응력원은 원형이므로 최대주응력은 원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그림에서는 좌측 상단부분과 우측 하단부분에서 최대주응력이 발생한다. 이 때, 최대주응력은 500kg/cm2과 200kg/cm2 중 더 큰 값인 500kg/cm2이다.

    최소주응력은 응력원의 중심에서 발생하며, 이 응력원은 원형이므로 최소주응력은 원주면에 수평인 방향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그림에서는 좌측 하단부분과 우측 상단부분에서 최소주응력이 발생한다. 이 때, 최소주응력은 -200kg/cm2과 -100kg/cm2 중 더 큰 값인 -100kg/cm2이다.

    따라서 정답은 "400kg/cm2, -100kg/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암반 불연속면의 특징을 표현하기 위한 기재사항이 아닌 것은?

  1. 초기응력
  2. 방향
  3. 간극
  4. 연속성
(정답률: 50%)
  • 암반 불연속면의 특징을 표현하기 위한 기재사항 중에서 "초기응력"은 제외되어야 합니다. 초기응력은 암반의 내부응력 중 하나로, 암반 형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입니다. 따라서 암반 불연속면의 특징을 표현하기 위한 기재사항으로는 방향, 간극, 연속성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수리상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투수량계수는 수리경사가 큰 불포화 대수층을 수직 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물의 양을 의미한다.
  2. 저류계수는 단위 수두변화에 따라 단위 표면적당 투수성 층이 흡수하거나 배출하는 물의 체적을 의미한다.
  3. 비저류계수는 단위 수두변화에 대해 광물입자와 공극수의 압축 또는 팽창으로 인해 저장되거나 배출되는 포화층의 단위체적당 물의 양을 의미한다.
  4. 피압대수층의 저류계수는 비저류계수와 대수층 두께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정답률: 49%)
  • "투수량계수는 수리경사가 큰 불포화 대수층을 수직 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물의 양을 의미한다."이 옳은 설명이다. 투수량계수는 일정한 시간 동안 일정한 면적에 대해 수직으로 흐를 수 있는 물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는 수리경사가 큰 불포화 대수층에서 물이 얼마나 흡수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암반 불연속면의 전단강도 예측과 관련하여 Barton 등이 제시한 비선형 전당강도식에 포함되지 않는 변수는?

  1. 절리면의 압축강도
  2. 절리면의 간격
  3. 절리면의 거칠기 계수
  4. 절리면에 작용하는 수직응력
(정답률: 26%)
  • Barton 등이 제시한 비선형 전당강도식은 절리면의 거칠기 계수, 절리면의 압축강도, 절리면에 작용하는 수직응력 등을 고려하여 전단강도를 예측하는 모델이다. 그러나 이 모델에는 절리면의 간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는 절리면의 간격이 전단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절리면의 간격은 절리면의 위치와 관련된 변수로, 전단강도 예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절리면의 간격은 이 문제에서 제시된 변수 중에서 비선형 전당강도식에 포함되지 않는 변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주상절리가 발달된 암반사면에서 발생되기 쉬운 파괴형태는?

  1. 평면파괴
  2. 원호파괴
  3. 전도파괴
  4. 쐐기파괴
(정답률: 63%)
  • 주상절리가 발달된 암반사면에서는 암반 내부의 응력이 불균형하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파괴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이 중에서 전도파괴는 암반 내부의 결함이나 균열을 따라 파괴가 전파되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주상절리가 발달된 암반사면에서는 결함이나 균열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도파괴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점착력이 없는 토양(cohesionless soil)에 대한 전단시험결과, 수직응력과 전단응력이 항상 같았다면 이 토양의 내부마찰각은?

  1. 15°
  2. 30°
  3. 45°
  4. 60°
(정답률: 66%)
  • 점착력이 없는 토양은 입자간에 마찰력이 없기 때문에 내부마찰각과 각도가 같다. 따라서 수직응력과 전단응력이 같다는 것은 내부마찰각과 전단각이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단각은 45도이므로 내부마찰각도 45도이다. 따라서 정답은 "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통일분류법에 의해 표기된 다음 기호 중 점성토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은?

  1. GQ
  2. SP
  3. SW
  4. CH
(정답률: 70%)
  • "CH"는 통일분류법에서 "점성토"로 분류된 기호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기호들은 "금속", "비금속", "준금속"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현장암반의 공내재하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추공 내에서 암반 변형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으로 공내팽창계시험이라고도 한다.
  2. 팽창성 팩커를 사용하여 시추공벽에 하중을 가함으로써 압력에 따른 암반 변형을 측정한다.
  3. 시추공벽 암반의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압력을 가하여 평균적인 암반 변형을 측정할 수 있다.
  4. 이방성이 심한 암반에서는 방향에 따른 변형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정답률: 60%)
  • "시추공벽 암반의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압력을 가하여 평균적인 암반 변형을 측정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방성이 심한 암반에서는 방향에 따른 변형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압력을 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시추공벽에 가해지는 압력의 방향을 조절하여 측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모래로 채워진 튜브를 이용할 유체통과 실험을 통하여 Darcy의 법칙을 설명할 때,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1. 튜브를 통과한 물의 양은 튜브의 단면적에 비례한다.
  2. 튜브를 통과한 물의 양은 튜브 양끝의 수두차에 반비례한다.
  3. 튜브를 통과한 물의 양은 튜브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4. 튜브에 모래대신 투수성이 매우 낮은 점성토로 채워졌다면 Darcy의 법칙을 적용할 수 없다.
(정답률: 71%)
  • "튜브를 통과한 물의 양은 튜브의 단면적에 비례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하지만 "튜브를 통과한 물의 양은 튜브 양끝의 수두차에 반비례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올바른 설명은 "튜브를 통과한 물의 양은 튜브 양끝의 수두차에 비례한다."이다. 이는 Darcy의 법칙에서 유체의 흐름량이 수두차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즉, 수두차가 높을수록 유체의 흐름량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암석의 인장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실시하는 압열인장시험(Brazilian test)에서 인장강도(σt)를 구하는 식은? (단, P : 시편에 작용시킨 하중, D : 시편의 직경, r : 시편의 반경, l : 시편의 두께)

(정답률: 55%)
  • 압열인장시험에서 시편은 중심에서 하중을 받아 두 개의 반원으로 쪼개지게 된다. 이때 시편의 반경 r에서의 인장응력은 P/2rl이 된다. 이 인장응력이 최대값을 가지는 지점이 시편의 중심이므로, 이 지점에서의 인장강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σt = 2P/πDl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암반분류법 중 RMR 분류법의 변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절리군의 숫자
  2. 지하수의 상태
  3. 암질지수(RQD)
  4. 무결암의 강도
(정답률: 44%)
  • RMR 분류법의 변수는 지하수의 상태, 암질지수(RQD), 무결암의 강도입니다. 절리군의 숫자는 다른 암반분류법인 Q-system에서 사용되는 변수입니다. RMR 분류법에서는 암반의 강도, 균열, 지하수의 상태, RQD 등을 고려하여 암반의 안정성을 평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시추조사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거 시추(auger boring)는 공내에 송수하지 않고 굴진하여 연속적으로 흙의 교란시료를 얻을 수 있다.
  2. 충격식 시추(percussion boring)는 연약한 점토 및 느슨한 사질토에 적당하고 시추공 바닥면 아래의 흙이 교란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3. 수세식 시추(wash boring)는 장치가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매우 연약한 점토 및 세립의 사질토에 적당하다.
  4. 회전식 시추(rotary boring)는 토사에서 암반까지 적용범위가 넓고 암석시료를 채취할 수 있어 지반조사에 가장 널리 사용된다.
(정답률: 80%)
  • "충격식 시추(percussion boring)는 연약한 점토 및 느슨한 사질토에 적당하고 시추공 바닥면 아래의 흙이 교란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없다.

    - 오거 시추(auger boring)는 공내에 송수하지 않고 굴진하여 연속적으로 흙의 교란시료를 얻을 수 있다.
    - 충격식 시추(percussion boring)는 연약한 점토 및 느슨한 사질토에 적당하고 시추공 바닥면 아래의 흙이 교란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 수세식 시추(wash boring)는 장치가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매우 연약한 점토 및 세립의 사질토에 적당하다.
    - 회전식 시추(rotary boring)는 토사에서 암반까지 적용범위가 넓고 암석시료를 채취할 수 있어 지반조사에 가장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공극률(poeosity, n)과 공극비(void ratio. e)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0%)
  • 정답은 ""이다.

    공극률은 특정 공간에서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고, 공극비는 그 공간에서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와 전체 부피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공극률과 공극비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 연결된다.

    n = e / (1 - e)

    여기서 e는 공극비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 식을 변형하면

    e = n / (1 + n)

    와 같이 공극비를 공극률로 나타낼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터널 내측에서 지반을 구속하여 지반 자체가 갖고 있는 지보능력을 이용하는 방법이 록볼트 공법이다. 다음 중 록볼의 지보효과로 옳자 않은 것은?

  1. 매달림(봉합)효과
  2. 원지반 아치 형성 효과
  3. 내압효과
  4. 차수효과
(정답률: 60%)
  • 정답: 차수효과

    설명: 록볼트는 지반 내부에 설치되어 지반을 구속하고, 이로 인해 지반의 내압효과가 증가하여 지반의 지보능력을 향상시키는 "내압효과"와, 록볼트가 설치된 지점에서 지반을 매달아서(봉합) 지반의 지보능력을 향상시키는 "매달림(봉합)효과", 그리고 록볼트가 설치된 지점에서 원지반 아치 형태를 형성하여 지반의 지보능력을 향상시키는 "원지반 아치 형성 효과"가 있다. 하지만 "차수효과"는 록볼트의 지보효과와는 관련이 없는 개념이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현장 원위치 시험법 중 사질토를 대상으로 해머를 자유낙하시켜 30m 관입하는데 필요한 타격횟수를 측정하는 것은?

  1. 베인전단시험
  2. 콘관입시험
  3. 표준관입시험
  4. 편찬재하시험
(정답률: 65%)
  • 사질토를 대상으로 해머를 자유낙하시켜 30m 관입하는데 필요한 타격횟수를 측정하는 것은 "표준관입시험"이다. 이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법 중 하나로,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캐스팅한 후 일정 기간 동안 유지한 후에 측정하는 시험법이다. 이 시험법은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콘크리트의 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현장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두께가 4m점토층의 초기 공극률 30%였다. 침하가 발생한 후 측정한 공극률이 20%라면 침하량은 얼마인가?

  1. 0.3m
  2. 0.5m
  3. 0.7m
  4. 0.9m
(정답률: 53%)
  • 두께가 4m인 점토층에서 초기 공극률이 30%이므로, 초기 부피에서 30%가 공극으로 채워져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초기 부피에서 공극이 차지하는 부피는 0.3 × 4 = 1.2m입니다.

    침하가 발생하여 공극률이 20%가 되었으므로, 현재 부피에서 공극이 차지하는 부피는 0.2 × 4 = 0.8m입니다.

    따라서 침하로 인해 점토층이 압축된 부피는 초기 부피에서 현재 부피를 뺀 값이며, 이는 4 - 0.8 = 3.2m입니다.

    압축된 부피는 초기 부피에서 공극이 차지하는 부피를 뺀 값과 같으므로, 압축된 부피는 4 - 1.2 = 2.8m입니다.

    따라서 침하량은 초기 두께에서 압축된 두께를 뺀 값이며, 이는 4 - 2.8 = 1.2m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것은 침하량이 아니라 압축된 두께이므로, 침하량을 2로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 ÷ 2 = 0.6m이며, 가장 가까운 보기는 "0.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연약지반 개량공법 중 공사기간에 충분한 여유가 있을 때 적용하는 공법으로 연약 점토, 압축성이 큰 실트, 유기질 점토의 지반에 상재하중을 가하는 공법은?

  1. 샌드 드레인 공법
  2. 프리로딩 걱법
  3. 전면굴착지환공법
  4. 페이퍼 드레인 공법
(정답률: 72%)
  • 프리로딩 걱법은 지반에 미리 일정한 압력을 가해주어 지반의 압축성을 줄이고, 이후에 실제 상재하중을 가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지반의 압축을 미리 일어나게 하여 공사 후에 지반 침하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사기간에 충분한 여유가 있을 때 적용하는 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광상학

81. 우리나라의62 -아연 광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아연 광상은 연화광상을 중심으로 한 태백산광화대에 밀집 분포한다.
  2. 연-아연 광상을 성인에 따라 분류하면 접촉교대광상, 열수교댁솽상, 열극총진맥상광상으로 구분된다.
  3. 연-아연 광상은 주로 석회암을 모암으로 괴상, 렌즈상 또는 파이프상으로 산출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4. 열수교대광상으로 가장 대표적인 연-아연 광상은 신예미광상이다.
(정답률: 73%)
  • "열수교대광상으로 가장 대표적인 연-아연 광상은 신예미광상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신예미광상은 열극총진맥상광상에 속하는 광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한국의 지층 중 캠브리아기 최하부 지층으로 옳은 것은?

  1. 장산규암층
  2. 장선층
  3. 회동리층
  4. 동고층
(정답률: 42%)
  • 캠브리아기 최하부 지층은 "장산규암층"입니다. 이는 캠브리아기 초기에 형성된 지층으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지층 중 하나입니다. 이 지층은 화강암과 사직암 등의 화산암과 광택암, 혼합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접촉교대광상에서 산출되는 주요 성분 원소별 광물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Fe-자철석
  2. Cu-방연석
  3. Zn-섬아연석
  4. W-회중석
(정답률: 64%)
  • 접촉교대광상에서 산출되는 주요 성분 원소별 광물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Cu-방연석"입니다. 이는 옳지 않은 이유는 접촉교대광상에서 구성되는 광물 중에는 방연석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기상우세 유체포유물과 액상우세 유체포유물의 공존이 지시하는 것은?

  1. 혼합(mixing)
  2. 비등(boiling)
  3. 분리(immiscibility)
  4. 냉각(cooling)
(정답률: 64%)
  • 기상우세 유체포유물과 액상우세 유체포유물의 공존은 비등점 상승을 의미한다. 이는 두 개의 용액이 섞이면서 새로운 용액의 총 증기압이 증가하게 되어, 더 높은 온도에서 비등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비등(boilin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석탄의 탄화정도에 의한 분류 순서로 올바른 것은?

  1. 토탄→갈탄→역청탄→무연탄
  2. 갈탄→토탄→역청탄→무연탄
  3. 갈탄→토탄→무연탄→역청탄
  4. 역청탄→갈탄→토탄→무연탄
(정답률: 66%)
  • 석탄의 탄화정도는 탄소 함량과 밀도 등의 특성에 따라 분류됩니다. 탄화정도가 높을수록 탄소 함량이 높고 밀도가 높아지며, 이에 따라 석탄의 종류가 달라집니다. 따라서 탄화정도에 따른 분류 순서는 "토탄→갈탄→역청탄→무연탄" 입니다. 이는 탄화정도가 낮은 순서부터 높은 순서로 나열한 것입니다. 즉, 무연탄은 탄화정도가 가장 높고, 토탄은 탄화정도가 가장 낮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지금까지 확인되어 휴, 폐광 및 개발 중인 국내 금-은 광상의 가장 일반적인 광상 유형은?

  1. 스카른광상
  2. 열수맥상광상
  3. 열수교대광상
  4. 정마그마광상
(정답률: 43%)
  • 열수맥상광상은 금-은 광물이 열수맥(지하수가 흐르는 돌기)에 함유되어 있는 광상 유형입니다. 이는 지하수가 지하에서 흐르면서 금-은 광물을 운반하고, 이를 퇴적시켜 형성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광상은 국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발견되며, 대부분의 광산에서 채굴되는 광물의 유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납석광상은 대표적인 열수변질점토광상에 속하는데 이러한 광상에서 흔히 수반되는 광물이 아닌 것은?

  1. 명반석
  2. 고령토
  3. 불석
  4. 다이아스포아
(정답률: 30%)
  • 납석광상은 열수변질점토광상으로서 대부분의 광물이 수반되지만, 불석은 이 광상에서 흔히 발견되지 않는 광물이다. 이는 불석이 열수변질과는 관련이 없는 화성암에서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납석광상에서는 불석을 찾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우리나라의 지하자원 중 신생대 암석 내에서 주로 산출되는 것은?

  1. 납석
  2. 무연탄
  3. 석회석
  4. 벤토나이트
(정답률: 66%)
  • 신생대 암석은 대부분 화산암과 사질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암석들은 벤토나이트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지하자원 중 신생대 암석 내에서 주로 산출되는 것은 벤토나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국내 대표적인 함티탄 자철석 광상이 위치하는 곳은?

  1. 가평
  2. 음성
  3. 블음도
  4. 안면도
(정답률: 48%)
  • 블음도는 경상북도 울릉군에 위치한 섬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함티탄 자철석 광상인 "블음도 광산"이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우리나라의 중석광상을 성인적으로 크게 분류할 때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풍화잔류광상
  2. 페그마타이트광상
  3. 접촉교대광상
  4. 열수광상
(정답률: 49%)
  • "풍화잔류광상"은 중석광상이 아니라 암석의 분해작용으로 생긴 현상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중석광상은 암석 내부에서 생긴 광물의 결정 구조나 모양 등이 특이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기성광상에서의 모암의 변질작용에 해당하는 것은?

  1. 황옥화작용
  2. 고령토화작용
  3. 녹니석화작용
  4. 변질 안산암화작용
(정답률: 66%)
  • 기성광상에서의 모암은 황산화작용에 의해 변질되며, 이 과정에서 황산이 모암 내부에 침투하여 황옥화작용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황옥화작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현미경 사진의 광석 조직에서 관찰되는 현상은?

  1. 변질작용
  2. 용해작용
  3. 교대작용
  4. 분화작용
(정답률: 66%)
  • 이 사진에서 보이는 현상은 교대작용입니다. 교대작용은 두 종류의 광물이 번갈아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 사진에서는 어두운 색의 광물과 밝은 색의 광물이 번갈아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교대작용은 화산암이나 침전암 등에서 자주 관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일반적으로 금속광상 탐사를 위한 초기탐사 단계에서 조사지역 내 금속광상의 부존 가능성 파악에 유용한 조사대상인 모암변질작용(변질대)의 형성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모암과의 반응이 일어나는 온도와 압력
  2. 산화-환원 전위(EH-pH)
  3. 지하수위의 변동(상승 및 하강)
  4. 마그마내 휘발성분의 증기압
(정답률: 49%)
  • 지하수위의 변동은 모암변질작용의 형성 원인과 관련이 없기 때문에 금속광상 탐사를 위한 초기탐사 단계에서 조사대상이 아닙니다. 모암과의 반응이 일어나는 온도와 압력, 산화-환원 전위(EH-pH), 마그마내 휘발성분의 증기압은 모암변질작용의 형성 원인으로서 금속광상 탐사에 유용한 조사대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고령토 산출상을 보이는 경상남도 하동 및 산청 지역의 고령토의 주 구성광물은?

  1. 카올리나이트
  2. 할로이사이트
  3. 딕카이트
  4. 나크라이트
(정답률: 69%)
  • 경상남도 하동 및 산청 지역의 고령토의 주 구성광물은 할로이사이트입니다. 이는 이 지역의 지질학적 특성과 지하수의 영향으로 인해 형성된 것으로, 할로이사이트는 알루미늄과 규산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령토의 안정성과 토양의 비료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반암동 광상(Porphyry copper deposit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상조직을 갖는 암석에 동(copper)을 포함한 광상이다.
  2. 일반적으로 품위가 낮고 규모가 큰 분산형 광상의 형태이다.
  3. 섭입대(Subduction zone) 부근에 주로 분포한다.
  4. 화성광상의 생성단계로는 페그마타이트 광상에 해당한다.
(정답률: 65%)
  • 화성광상의 생성단계로는 페그마타이트 광상에 해당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반암동 광상은 일반적으로 섭입대 부근에 분포하며, 반상조직을 갖는 암석에 동을 포함한 광물이 축적된 것입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품위가 낮고 규모가 큰 분산형 광상의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호상철광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출상태에 따라 알로마형과 슈페리오형으로 대분된다.
  2. 알고마형은 슈페리오형보다 규모가 작다.
  3. 슈페리오형은 알고마형에 비해 일반적으로 산화물상이 우세하다.
  4. 알고마형은 화학적 퇴적암류에서 산출된다.
(정답률: 60%)
  • 알고마형은 화학적 퇴적암류에서 산출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알고마형은 바다 바닥에서 생긴 화산재나 퇴적물이 적층되어 생긴 광물층으로, 화학적 퇴적암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은 가상(pseudomorph)에서 각 광물의 변질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서로 맞지 않는 것은?

  1. 황철석→침철석
  2. 이극석→방연석
  3. 적동석→공작석
  4. 형석→방해석
(정답률: 39%)
  • 정답은 "형석→방해석"이다.

    형석은 암석의 일종으로, 원래 다른 광물이었지만 변질 과정에서 형태가 변하여 새로운 광물로 변화한 것을 말한다. 반면에 방해석은 침전석이나 암석 내에서 다른 광물이 침전하여 생긴 것을 말한다.

    따라서 형석은 다른 광물에서 변질하여 생긴 것이지만, 방해석은 침전석이나 암석 내에서 다른 광물이 침전하여 생긴 것이므로 서로 맞지 않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우리나라 광상 성인의 유형으로 볼 때 각력 파이프(breccia pipe)형의 광상으로 알려진 것은?

  1. 달성광상
  2. 포천광상
  3. 신예미광상
  4. 물산광상
(정답률: 77%)
  • 각력 파이프(breccia pipe)형의 광상은 지하에서 폭발적인 활동으로 인해 큰 구멍이 생긴 후 그 구멍 안에 광물이 축적된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달성광상"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유명한 각력 파이프 광산으로, 경상북도 달성군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광산은 지하 500m 이상에 위치하며, 다양한 광물이 축적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성층암 누층이 습곡되었을 때 생기는 배사부의 공극을 채운 광맥은?

  1. 사다리형 광맥
  2. 안상 광맥
  3. 각력파이프 광맥
  4. 단층 광맥
(정답률: 70%)
  • 성층암 누층이 습곡되면서 생긴 공극을 채운 광맥을 안상 광맥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성층암의 구조와 위치에 따라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깊이가 깊어질수록 안상 광맥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성층암 누층이 습곡되었을 때 생긴 공극을 채운 광맥을 묻는 것이므로, 정답은 안상 광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화강암질 마그마의 분별작용 결과 배반원소(incompatible elements) 들이 농집되어 생성시키는 일반적인 광상의 형태는?

  1. 호상 철광상
  2. 페그미타이트 광상
  3. 마그마 분화 광상
  4. 스카른 광상
(정답률: 62%)
  • 화강암질 마그마는 배반원소들이 농집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하면서 결정화될 때 이들 원소들이 함께 결정화되지 못하고 용융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원소들은 보통 광물 내에서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용융 상태로 남아있을 때는 광물 내부로 침투하지 않고 농축되어 특정한 광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배반원소의 분별작용이라고 한다. 이 중에서 페그미타이트 광상은 배반원소들이 농집되어 생성되는 일반적인 광상 중 하나이다. 이 광상은 페그마타이트라는 광물이 농축되어 형성되는데, 이 광물은 대부분의 배반원소들과 함께 결정화되지 못하고 용융 상태로 남아있기 때문에 페그마타이트 광상이 형성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