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지질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10-01)

응용지질기사
(2016-10-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암석학 및 광물학

1. 스카른을 생성하는 변성작용으로 옳은 것은?

  1. 파쇄변성작용
  2. 광역변성작용
  3. 동력변성작용
  4. 접촉변성작용
(정답률: 77%)
  • 스카른을 생성하는 변성작용 중에서 접촉변성작용이 옳은 것은, 스카른이란 두 개의 물체가 서로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하면서 생성되는 작용을 말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 개의 물체가 서로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이 스카른을 생성하는 원인이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대량의 안산암 용암이 분출하는 곳은?

  1. 대륙의 열곡대
  2. 암판이 수렴하는 섭입대
  3. 암판이 분리되는 곳 (해령)
  4. 해양판 내부의 개별적인 화산
(정답률: 79%)
  • 암판이 수렴하는 섭입대는 대륙판과 해양판이 충돌하여 대량의 안산암 용암이 분출하는 지역입니다. 이는 대륙판과 해양판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지진과 함께 발생하며, 이러한 지역은 활동성이 높아 지진과 화산 폭발 등의 자연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지역은 지질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세립질 기질을 15% 이상 포함하며 장석, 석영, 암편이 거의 같은 비율로 구성된 퇴적암은?

  1. 석영사암
  2. 암편사암
  3. 잡사암 (그레이와케)
  4. 장석질사암 (아르코스)
(정답률: 82%)
  • 잡사암 (그레이와케)는 세립질 기질을 15% 이상 포함하며, 장석, 석영, 암편이 거의 같은 비율로 구성된 퇴적암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다른 보기인 "석영사암", "암편사암", "장석질사암 (아르코스)"와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수분을 4% 이하 포함한 유리질 화산암으로 성분은 유문암과 비슷한 것이 대부분이며 파면이 패각상인 것은?

  1. 분석
  2. 부석
  3. 진주암
  4. 송지암
(정답률: 67%)
  • 진주암은 수분 함량이 4% 이하인 유리질 화산암으로, 유문암과 비슷한 성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파면이 패각상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진주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주로 석영으로 구성된 변성암인 규암(quartzite)의 생성과정은?

  1. 파쇄작용 (cataclasis)
  2. 화강암화작용 (granitization)
  3. 재결정작용 (recrystalliztion)
  4. 변성분화작용 (metamorphic differentiation)
(정답률: 80%)
  • 규암은 주로 석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고온과 고압의 조건에서 기존의 사질구조를 재결정작용(recrystallization)을 통해 재배열하면서 형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재결정작용 (recrystallization)"입니다. 파쇄작용은 암석이 파괴되는 과정을 말하며, 화강암화작용은 화강암이 변성작용을 거쳐 변성암으로 바뀌는 과정을 말합니다. 변성분화작용은 변성암이 다양한 미세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화성암의 모드 분석(mode analysi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구성광물의 종류와 함량을 부피 백분율로 분석하는 것
  2. 화성암을 편광현미경으로 관찰, 분석하는 것
  3. 화성암을 화학성분으로 분석하는 것
  4. 화성암을 육안관찰로 분석하는 것
(정답률: 74%)
  • 화성암의 모드 분석은 구성광물의 종류와 함량을 부피 백분율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는 화성암의 형성 과정과 지질학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다른 선택지들은 화성암을 관찰하거나 분석하는 방법이지만, 모드 분석은 구성광물의 분포와 함량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화성쇄설암 중 주로 화산회(4mm 이하의 입자)로 되어 있는 암석은?

  1. 집괴암
  2. 응회암
  3. 각력응회암
  4. 화강섬록암
(정답률: 80%)
  • 화성쇄설암은 화성의 표면에 분포하는 암석으로, 대부분 화산활동으로 형성됩니다. 이 중에서도 입자 크기가 4mm 이하인 화산회로 이루어진 암석을 응회암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응회암"입니다. 집괴암은 화성의 지하에서 형성되는 암석이고, 각력응회암은 응회암에 각력이 작용하여 형성된 암석입니다. 화강섬록암은 화성의 지하에서 녹아나서 형성된 암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화성암의 IUGS 분류기준에 속하지 않는 성분은?

  1. 휘석
  2. 석영
  3. 사장석
  4. 알칼리장석
(정답률: 81%)
  • 화성암의 IUGS 분류기준에는 "휘석"이라는 성분이 없습니다. IUGS 분류기준에서는 화성암의 주요 성분으로 "석영", "사장석", "알칼리장석" 등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이질암이 광역변성작용을 받았을 때 가장 고변성도의 변성분대에서 나타나는 변성 광물은?

  1. 녹니석
  2. 십자석
  3. 남정석
  4. 규선석
(정답률: 62%)
  • 이질암이 광역변성작용을 받으면 고온과 고압에서 변성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 때 가장 고변성도의 변성분대에서는 규선석이 나타납니다. 규선석은 고온과 고압에서 형성되는 광물로, 이질암이 광역변성작용을 받을 때 가장 많이 생성되는 광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퇴적암에서 가장 풍부한 암석은?

  1. 탄산염암
  2. 이질암
  3. 사암
  4. 역암
(정답률: 62%)
  • 퇴적암은 퇴적물이 쌓여서 생긴 암석으로, 이질암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퇴적물이 혼합되어 있어 가장 풍부한 퇴적암 중 하나입니다. 탄산염암은 석회암과 같은 탄산염 미립자로 이루어져 있고, 사암은 모래와 같은 굵은 퇴적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역암은 화산재나 용암이 퇴적되어 생긴 암석으로, 이질암과는 구성이 다릅니다. 따라서 이질암이 퇴적물의 다양성으로 인해 가장 풍부한 퇴적암 중 하나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일축성 결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결정축이 하나이다.
  2. c결정축과 광축이 일치한다.
  3. 정방정계와 육방정계의 결정이다.
  4. 광축방향에서는 등방체와 같은 광학적 성질을 띤다.
(정답률: 56%)
  • "결정축이 하나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일축성 결정은 결정축이 하나가 아닌 무한히 많을 수 있습니다. 결정축은 결정의 대칭성과 관련이 있으며, 일축성 결정은 정방정계와 육방정계의 결정에서 나타납니다. 광축과 결정축이 일치하며, 광축 방향에서는 등방체와 같은 광학적 성질을 띠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역학적인 변형에 대한 저항의 정도가 낮은광물에서 높은 광물의 순서로 올바르게 표시된 것은?

  1. 인회석 –석영- 형석
  2. 석고- 형석-정장석
  3. 석영- 정장석- 석고
  4. 정장석 –황옥- 방해석
(정답률: 73%)
  • 석고는 역학적인 변형에 대한 저항이 가장 낮은 광물 중 하나이며, 형석은 석고보다는 저항이 높지만 여전히 낮은 편에 속합니다. 반면에 정장석은 역학적인 변형에 대한 저항이 가장 높은 광물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들 광물을 낮은 저항에서 높은 저항의 순서로 나열하면 "석고- 형석-정장석"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가역천이(Enantiotropy)의 관계인 것은?

  1. 황철석-백철석
  2. 아라고나이트-방해석
  3. 저온석영-고온석영
  4. 정장석-사장석
(정답률: 75%)
  • 가역천이란, 물질이 온도나 압력 등의 조건이 변화함에 따라 다른 상태로 변화할 수 있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중 "저온석영-고온석영"은 저온에서는 트리딕라이트라는 상태로 존재하다가, 고온에서는 베타-크리스탈라이트라는 상태로 변화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역시 가역적인 현상으로, 고온에서 베타-크리스탈라이트에서 다시 트리딕라이트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규산염 광물은 SiO4 사면체의 결합 형태에 따라 구분한다. 아래 그림은 각섬석의 구조로서 사면체가 한 방향으로 길게 연결된 사슬이 2가닥으로 이루어진 복쇄형 (double chain)규산염 구조를 보여준다. 이때 최소 단위의 사면체의 Si:O의 비는 얼마인가?

  1. 1:3
  2. 1:4
  3. 2:7
  4. 4:11
(정답률: 66%)
  • 규산염 광물의 구조는 SiO4 사면체의 결합 형태에 따라 구분된다. 이 그림에서는 사면체가 한 방향으로 길게 연결된 사슬이 2가닥으로 이루어진 복쇄형 (double chain)규산염 구조를 보여준다. 이 구조에서 Si:O의 비는 1:3이다. 왜냐하면 한 개의 Si 원자가 4개의 O 원자와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Si:O의 비는 1:4가 되어야 할 것 같지만, 사면체가 한 방향으로 길게 연결된 사슬이 2가닥으로 이루어진 구조에서는 Si 원자가 두 개의 사면체에 공유되기 때문에 Si:O의 비는 1: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3"이다. "4:11"은 다른 광물의 구조에서 나타나는 비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결정이 성장하면서 일정한 모습을 가지게 되는데 이를 정벽 (habit)이라 한다. 그림은 적철석에서 흔히 관찰되는 정벽인데 무엇이라 하는가?

  1. 신장상
  2. 방사상
  3. 어란상
  4. 수지상
(정답률: 66%)
  • 이 그림은 신장상이다. 신장상은 적철석에서 세포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모습을 말한다. 이는 세포들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생기는 현상으로, 세포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세포들이 이동하거나 분열할 때 일어나는 변화가 적다. 따라서 세포들이 일정한 모습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원소의 분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금속원소 – Al, Mg, Fe
  2. 비금속원소 – C, Ar, B
  3. 알칼리 금속원소 – K, Na, Li
  4. 희토류 원소 – La, Ce, Lu
(정답률: 67%)
  • 정답은 "비금속원소 – C, Ar, B" 이다. 이유는 C(carbon)와 B(boron)은 비금속원소이지만, Ar(argon)은 비활성 기체(gas)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준장석 (feldspathoid)그룹에 속하지 않는 광물은?

  1. 류사이트(leucite)
  2. 제올라이트(zeolite)
  3. 네펠린(nepheline)
  4. 소달라이트 (sodalite)
(정답률: 49%)
  • 준장석 그룹은 알칼리 금속과 규산기를 함유하는 광물로 이루어진 그룹입니다. 그러나 제올라이트는 규산기를 함유하지만 알칼리 금속을 함유하지 않는 광물입니다. 따라서 제올라이트는 중장석 그룹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알바이트 (albite) 쌍정의 쌍정면은 다음 어느 결정면에 해당하는가?

  1. (100)
  2. (010)
  3. (011)
  4. (111)
(정답률: 78%)
  • 알바이트 (albite)의 결정구조는 트리클린(triclinic)이며, 쌍정면은 (010) 결정면에 해당한다. 이는 쌍정의 두 축 중 하나가 (010) 방향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Gibbs의 상률(phase rule)을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단, P: 상(相)의 수, F: 자유도, C: 성분의수)

  1. P+C=F+2
  2. P=C+F-2
  3. P+F=C+2
  4. P=C+F+2
(정답률: 78%)
  • 정답: "P+F=C+2"

    이유: Gibbs의 상률은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F = C - P + 2

    여기서, F는 자유도, C는 성분의 수, P는 상의 수입니다. 이 식을 변형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P + F = C + 2

    따라서, 올바른 상률은 "P+F=C+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분자 내의 원자가 그 원자의 결합에 관여하고 있는 전자를 끌어당기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를 의미하는 것은?

  1. 이온반경
  2. 이온화포텐셜
  3. 이온화에너지
  4. 전기음성도
(정답률: 74%)
  • 전기음성도는 분자 내의 원자가 전자를 끌어당기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즉, 원자가 전자를 얼마나 강하게 끌어당기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에 비해 이온반경은 이온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고, 이온화포텐셜과 이온화에너지는 이온이 전자를 잃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분자 내의 원자가 전자를 끌어당기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은 전기음성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구조지질학

21. 압쇄암대 (mylonite zone)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세립질 (fine-grained)이다.
  2. 층상구조가 잘 발달(strongly layered appearance)된다.
  3. 큰 전단응력에 의해 생성된다.
  4. 퇴적구조가 잘 보존되어 있다.
(정답률: 73%)
  • 압쇄암대는 큰 전단응력에 의해 생성되는 암석으로, 세립질이며 층상구조가 잘 발달된다. 그러나 퇴적구조는 보존되지 않는다. 오히려 퇴적암층이 전단응력에 의해 변형되어 압쇄암대가 형성되기 때문에 퇴적구조는 파괴되거나 완전히 변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평행수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암석의 성분이 같고, 균일한 경사를 가진 곳에서 많이 발달한다.
  2. 주류는 일반적으로 단층이나 주요 단열구조를 나타낸다.
  3. 주류와 이루는 거의 같은 각을 이루면서 만난다.
  4. 주로 고립되어 있는 산 또는 돔 지형에서 나타난다
(정답률: 63%)
  • "주로 고립되어 있는 산 또는 돔 지형에서 나타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평행수계는 암석의 성분이 같고, 균일한 경사를 가진 곳에서 많이 발달하며, 주류는 일반적으로 단층이나 주요 단열구조를 나타내며, 주류와 이루는 거의 같은 각을 이루면서 만난다. 평행수계는 고립되어 있는 산 또는 돔 지형에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넓은 의미의 주향이동단층에 속하지 않는 단층은?

  1. Transform fault
  2. Transcurrent fault
  3. Wrench fault
  4. Thrust fault
(정답률: 83%)
  • Thrust fault는 수직으로 압축되는 지역에서 지반층이 위로 올라가면서 형성되는 단층으로, 다른 보기들은 수평적인 지진활동에 의해 형성되는 단층이다. 따라서 넓은 의미의 주향이동단층에 속하지 않는 단층은 "Thrust faul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지구의 내부 단면구조에서 지구표면 아래에 위치하는 암석권 (Lithosphere)의 평균 두께와 가장 가까운 것은?

  1. 약 10km
  2. 약 100km
  3. 약 2300km
  4. 약 2600km
(정답률: 78%)
  • 암석권은 지각의 상부부터 지하 약 100km 깊이까지 이어지는 지각의 겉보기 단단한 부분입니다. 이것은 지각의 상부부터 지하 약 100km 깊이까지 지각이 상대적으로 단단하고 불안정한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암석권의 평균 두께는 약 100k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A)부터 (F)까지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실제파 – 종파 - p파 – 횡파 - S파 - 탄성반응
  2. 실제파 - 밀도파 - p파 - 횡파 - S파 - 연성반응
  3. 실제파 – 횡파 - S파 – 밀도파 - P파 - 연성반응
  4. 실제파 – 밀도파 - S파 – 횡파 - P파 - 탄성반응
(정답률: 85%)
  • 정답은 (B) "실제파 - 밀도파 - p파 - 횡파 - S파 - 연성반응"이다.

    - 실제파: 지진 발생 시 가장 먼저 발생하는 파. 지면을 압축하고 이완시키는 파.
    - 밀도파: 지하에서 발생한 지진파가 지표면으로 전달될 때 발생하는 파. 지면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파.
    - p파: 지하에서 발생한 지진파가 지표면으로 전달될 때 가장 먼저 도착하는 파. 압축파로 지면을 압축하고 이완시키는 파.
    - 횡파: 지하에서 발생한 지진파가 지표면으로 전달될 때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파.
    - S파: 지하에서 발생한 지진파가 지표면으로 전달될 때 p파 다음으로 도착하는 파.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파.
    - 연성반응: 지진파가 지면과 상호작용하여 지면이 진동하는 현상. 지진파의 주파수와 지면의 고유진동수가 일치하면 큰 진폭의 지진파가 작은 진폭의 지진파로 변환되어 지면을 크게 진동시키는 현상.

    따라서, (B) "실제파 - 밀도파 - p파 - 횡파 - S파 - 연성반응"이 올바른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리히터로 진도 7.3의 지진은 진도 5.3의 지진에 비해서 약 몇 배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방출하는가?

  1. 2배
  2. 10배
  3. 100배
  4. 1000배
(정답률: 66%)
  • 리히터 규모는 로그 스케일로 측정되기 때문에, 지진의 진도 차이가 1이면 에너지 차이는 10배가 된다. 따라서, 진도 7.3의 지진은 진도 5.3의 지진에 비해 10의 2승, 즉 100배의 에너지를 방출한다. 그러므로, "1000배"는 올바른 답이 아니며, "100배"가 올바른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주향 N30E, 경사 60NW의 절리면이 있다. 이 절리면의 극점의 방향을 방향각 (trend)/기운각(plunge)으로 바르게 표시한 것은?

  1. 120/60
  2. 120/30
  3. 300/60
  4. 300/30
(정답률: 48%)
  • 주향 N30E는 30도 동쪽을 가리키는 것이고, 경사 60NW는 60도 북서쪽을 가리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절리면의 극점의 방향은 주향과 수직이며, 주향의 반대쪽인 남쪽을 가리킨다. 이를 방향각으로 나타내면 180+30=210이 되고, 기운각으로 나타내면 90-60=3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0/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변성암에서 구성광물의 배열방향과 거의 관계없이 생성되는 벽개 (cleayage)는?

  1. 점판벽개 (slaty cleavage)
  2. 파랑쪼개짐 (crenulations cleavage)
  3. 단열벽개 (fracture ceavage)
  4. 편리 (schistosity)
(정답률: 53%)
  • 단열벽개는 구성광물의 배열 방향과 거의 상관없이 생성되는 벽개이기 때문에 변성암에서 생성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특정한 조건이나 방향에서 생성되는 벽개들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지구 내부의 구조 중 상부맨틀의 주 구성 암석은?

  1. 현무암
  2. 감람암
  3. 유문암
  4. 에클로자이트
(정답률: 75%)
  • 상부맨틀은 지하 400km~660km 지점에 위치하며, 그 구성 암석 중 가장 흔한 것이 감람암입니다. 감람암은 광물질로는 올리빈, 페로올리빈, 마그네시오올리빈 등이 주로 포함되어 있으며, 지각 변동이나 지진 등의 영향을 받아 변형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에서 A암층의 두께는?

  1. 1.2m
  2. 1.4m
  3. 1.6m
  4. 1.8m
(정답률: 74%)
  • 그림에서 A암층은 B암층 위에 있으며, B암층의 두께는 1.2m이다. 따라서 A암층의 두께는 B암층 위에 있는 부분의 높이에서 B암층 아래에 있는 부분의 높이를 빼면 된다. 그림에서 B암층 위에 있는 부분의 높이는 3.6m이고, B암층 아래에 있는 부분의 높이는 2.2m이다. 따라서 A암층의 두께는 3.6m - 2.2m = 1.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지구 내부의 맨틀 대류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 현상은?

  1. 지각의 밀도 변화
  2. 대륙의 물의 양 변화
  3. 판의 이동
  4. 지구 핵의 자기장
(정답률: 82%)
  • 판의 이동은 지구 내부의 맨틀 대류에 의해 설명될 수 있습니다. 맨틀 대류는 지구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여 맨틀이 움직이는 현상으로, 이 때 맨틀의 움직임이 판의 이동을 일으키게 됩니다. 따라서 지구 내부의 맨틸 대류는 판의 이동을 설명할 수 있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그림을 설명하는 용어로 맞는 것은? (단, Tr, J, K는 각각 지질시대를 나타내는 약자이며, 순서대로 Triassic, Jurassic, Cretaceous를 의미한다.)

  1. 배사 (anticline)
  2. 향사형 배사 (synformal anticline)
  3. 향사 (syncline)
  4. 배사형 향사 (antiformal syncline)
(정답률: 66%)
  • 이 그림은 지질층이 향사(syncline)와 배사(anticline)로 구성된 지형을 보여준다. 향사는 지질층이 아래로 볼록한 형태를 띄는 반면, 배사는 지질층이 위로 볼록한 형태를 띄는 지형을 말한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지질층이 아래로 볼록한 부분은 향사(synclin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과거에 호수였던 미고결 지층을 굴착하던 중에 식물 파편을 발견하였다. 이 식물파편의 매몰연대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사성동위원소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1. 우라늄-납
  2. 탄소
  3. 칼륨-알곤
  4. 루비듐-스트론튬
(정답률: 84%)
  • 식물 파편의 매몰연대를 측정하는 데 가장 적합한 방사성동위원소는 탄소입니다. 이는 탄소-14가 생물체가 살아있는 동안에만 존재하며, 죽은 후부터는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식물 파편의 매몰연대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탄소-14의 양을 측정하여 그 시점에서의 매몰연대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해저확장이 일어나는 판의 경계형태는?

  1. 발산경계
  2. 수렴경계
  3. 변환단층경계
  4. 충돌경계
(정답률: 85%)
  • 해저확장이 일어나는 판의 경계에서는 두 개의 플레이트가 멀어지면서 새로운 지각이 형성됩니다. 이때 발산경계는 두 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멀어지면서 새로운 지각이 형성되는 지점을 말합니다. 따라서 발산경계는 해저확장이 일어나는 지역에서 나타나는 경계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규암층(짙은 부분)의 지질도를 적성하여 다음 그림과 같은 지질분포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경사습곡 (Inclined fold)
  2. 북동-남서 선주향의 수평습곡축
  3. 배사습곡
  4. 부정합
(정답률: 70%)
  • 정답은 "북동-남서 선주향의 수평습곡축" 입니다. 이유는 지도상에서 북동-남서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지질층이 있고, 이 지질층이 수평축을 기준으로 습곡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지질층의 습곡은 경사습곡(Inclined fold)으로 분류됩니다. 배사습곡은 지질층이 뒤틀린 형태를 띄는 것을 말하며, 부정합은 지질층이 서로 맞물리지 않고 떨어져 있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배게용암이 형성되는 곳은?

  1. 물속
  2. 완만한 경사를 가진 화산체
  3. 급한 경사를 가진 화산체
  4. 화구
(정답률: 82%)
  • 배게용암은 물속에서 형성됩니다. 이는 물속에서는 압력이 높고 온도가 낮기 때문에 용암이 빠르게 식어서 둥근 모양으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물속에서는 용암이 물에 의해 냉각되면서 더욱 빠르게 고체화되어 배게 모양이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사행 하도에서 침식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곳은?

  1. 굽이의 바깥쪽
  2. 굽이의 안쪽
  3. 굽이의 중앙
  4. 우각호 지역
(정답률: 83%)
  • 사행 하도에서 물의 흐름이 굽이치는 지점에서는 유속이 빨라지고 압력이 갑자기 변화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바깥쪽의 토사와 암석이 침식되어 더 많은 침식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굽이의 바깥쪽이 침식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른 지층과 암상이 구별하기 쉬운 층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거의 동시에 퇴적된 지층을 통칭하는 용어는?

  1. 열쇠층
  2. 사단층
  3. 시사층
  4. 화산재층
(정답률: 79%)
  • 정답: 열쇠층

    열쇠층은 다른 지층과 암상과 구별하기 쉬운 층으로, 거의 동시에 퇴적된 지층을 통칭하는 용어입니다. 이는 지층의 구성과 특징이 비슷하기 때문에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질학적 조사에서는 열쇠층을 기준으로 다른 지층들을 분류하고 구분합니다. 사단층은 해저에서 쌓인 퇴적암층, 시사층은 해저에서 쌓인 화산재층, 화산재층은 화산작용으로 생성된 암석층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지질도 상에 부정합면을 표시한 그림에서 e-e'면이 부정합면일 때 다음 중 가장 오래된 지층은?

  1. E
  2. G
  3. F
  4. A
(정답률: 81%)
  • 정답은 "A"입니다.

    이유는 부정합면이 생기는 과정을 생각해보면 됩니다. 부정합면은 지층이 굽어지거나 절단되는 등의 변동이 일어나면서 생기는 것입니다.

    그림에서 e-e'면이 부정합면이므로, 이전에는 e-e'면 아래쪽에 있는 지층들이 e-e'면 위쪽으로 올라와서 부정합면을 만들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가장 오래된 지층은 e-e'면 아래쪽에 있는 지층들 중에서 가장 아래에 있는 지층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대륙-대륙 충돌대 (continent-continent collisional belt)의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증거가 아닌 것은?

  1. 다이아몬드(diamond)
  2. 코에사이트 (coesitie)
  3. 연옥(nephrite)
  4. 에클로자이트 (eclogite)
(정답률: 62%)
  • 연옥은 대륙-대륙 충돌대의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증거가 아닙니다. 연옥은 천연석으로서, 주로 광물학적으로 변형된 진주석과 같은 광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대륙-대륙 충돌대의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증거는 지질학적인 증거들로서, 다이아몬드, 코에사이트, 에클로자이트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탐사공학

41. 다음 중 탄성파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p)파는 입자의 진동과 파동의 전파방향이 서로 평행하다.
  2. 레일리 (Rayleigh)파는 입자의 진동과 파동의 전파방향이 같은 방향으로 운동한다.
  3. 스톤리 (Stoneley)파는 고체와 액체의 경계면에서 발생한다.
  4. 황(S)파는 파동의 운동방향에 따라 SV파와 SH파가 있다.
(정답률: 77%)
  • 정답은 "레일리 (Rayleigh)파는 입자의 진동과 파동의 전파방향이 같은 방향으로 운동한다." 이다.

    레일리파는 입자의 진동과 파동의 전파방향이 같은 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운동은 지면파와 같이 지표면에서 발생하는 파동에서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은 지면파의 경우 지표면의 입체적인 변동을 유발하며, 레일리파의 경우에는 입체적인 변동과 함께 입자의 원형이나 타원형의 운동을 유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심부퇴적층 탐사에서 가장 정확한 자료를 얻을 수 있는 탐사방법은?

  1. 탄성파탐사
  2. 지화학탐사
  3. 방사능탐사
  4. 자력탐사
(정답률: 81%)
  • 심부퇴적층은 지하에 있는 바위층의 구조와 성질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가장 정확한 자료를 얻을 수 있는 탐사방법은 탄성파탐사이다. 탄성파는 지하에서 발생한 지진파와 비슷한 파동으로, 지하의 바위층 구조와 밀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파탐사는 지하 구조 파악에 가장 유용한 방법 중 하나이다. 지화학탐사는 지하의 화학성분을 파악하는 방법이고, 방사능탐사는 방사능을 측정하여 지하의 바위층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자력탐사는 지하의 자력을 측정하여 지하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들 방법은 탄성파탐사에 비해 정확도가 낮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48채널을 이용한 탄성과 반사빔 탐사에서 매 수진기 간격의 2배마다 발파하여 자료를 수집할 때 공심점 취합은 몇 %인가?

  1. 300%
  2. 600%
  3. 1200%
  4. 2400%
(정답률: 4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지하투과 레이더탐사범(GP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해상도의 물리탐사방법이다.
  2. 수십 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3. 일반적으로 반사법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4. 가탐심도가 작으므로 주로 천부조사에 적용된다.
(정답률: 78%)
  • "수십 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GPR은 고주파수를 사용하여 물체 내부의 세부 구조를 파악하는 고해상도의 물리탐사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반사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며, 가탐심도가 작으므로 지하 천부조사에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자력 측정치를 수치 미분하여 작성된 제 2차 미분도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심부 자성체의 영향이 돋보인다.
  2. 천부 자성체의 영향이 돋보인다.
  3. 지형의 영향이 없어진다.
  4. 저주파 잡음이 모두 없어진다.
(정답률: 63%)
  • 정답은 "천부 자성체의 영향이 돋보인다."입니다.

    자력 측정치를 수치 미분하여 작성된 제 2차 미분도는 자기장의 곡률을 나타내는 값으로, 자기장의 변화율을 나타냅니다. 이 값이 크면 자기장의 곡률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천부 자성체의 영향이 돋보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천부 자성체는 지구 자기장의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구 자기장의 곡률을 크게 만듭니다. 따라서 제 2차 미분도가 크면 천부 자성체의 영향이 더욱 돋보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전기비저항 감층을 통해서 알 수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지층의 공극률
  2. 지층의 물 포화율
  3. 지층의 변형률
  4. 지층의 탄화수소 포화율
(정답률: 68%)
  • 전기비저항 감층은 지하 구조물의 지층 내부를 탐사하는 기술로, 지층의 공극률, 물 포화율, 탄화수소 포화율 등 지층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지층의 변형률은 지층의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기비저항 감층으로는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지층의 변형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중력은 지구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작아지는데 지상에서 1m 상승함에 따라 감소되는 양은 약 얼마인가?

  1. 30.86mgal
  2. 3.086mgal
  3. 0.3086mgal
  4. 0.03086mgal
(정답률: 68%)
  • 중력은 지구의 질량과 반비례하므로 지구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중력이 작아진다. 이 때 중력의 감소율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지상에서 1m 상승함에 따라 중력이 감소하는 양은 지구의 반지름인 약 6,371km과 6,372km 사이의 거리에서의 중력과 지구의 반지름인 약 6,372km에서의 중력의 차이에 해당한다. 이를 계산하면 약 0.3086mgal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3086mga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통계학적인 관점에서 파형을 스파이크로 가장 잘 변환시키는 필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Decon 필터
  2. Wiener 필터
  3. Bandwidth 필터
  4. Notch 필터
(정답률: 73%)
  • Wiener 필터는 파형을 스파이크로 가장 잘 변환시키는 필터 중 하나이다. 이 필터는 입력 신호와 원하는 출력 신호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최적의 필터링을 수행한다. 즉,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간의 상관관계를 최대화하고, 입력 신호와 잡음 간의 상관관계를 최소화하여 최적의 필터링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유로 Wiener 필터는 파형을 스파이크로 가장 잘 변환시키는 필터로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광물 중 방사선 방출이 가장 약한 광물은?

  1. 우라늄
  2. 토륨
  3. 칼륨
(정답률: 74%)
  • 방사선 방출은 원자핵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원자핵이 불안정하여 방사선을 방출하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도 방출하는 에너지가 약한 광물은 안정한 원자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방사선 방출이 적은 것입니다. 철은 안정한 원자핵을 가지고 있어 방사선 방출이 가장 적은 광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GPR 탐사에서 주로 사용하는 전기쌍극자 안테나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안테나 길이가 길수록 중심주파수가 높다.
  2. 안테나 길이가 짧을수록 중심주파수가 높다.
  3. 안테나 길이가 길수록 출력이 높다.
  4. 안테나 길이와 중심주파수는 무관하다.
(정답률: 75%)
  • 정답은 "안테나 길이가 짧을수록 중심주파수가 높다."입니다.

    전기쌍극자 안테나는 안테나 길이에 따라 중심주파수가 결정됩니다. 안테나 길이가 짧을수록 전파의 주기가 짧아지기 때문에 중심주파수가 높아집니다. 반대로 안테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전파의 주기가 길어지기 때문에 중심주파수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GPR 탐사에서는 안테나 길이를 적절히 선택하여 원하는 주파수 범위를 탐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방사능 광물을 찾기 위한 gas탐사에서 가장 적합한 원소는?

  1. Potassium
  2. Uranium
  3. Thorium
  4. Radon
(정답률: 70%)
  • Radon은 방사능 광물에서 가장 많이 방출되는 기체 원소이기 때문에 방사능 광물을 찾기 위한 gas 탐사에서 가장 적합한 원소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고체나 액체 상태이기 때문에 gas 탐사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원소 중 지표 부근의 환경조건에 따른 상대적 이동도가 가장 큰 것은?

  1. Cl
  2. Si
  3. Al
  4. Fe
(정답률: 73%)
  • "Cl"이 가장 상대적 이동도가 큰 이유는 전자 구성과 전하 밀도 때문입니다. "Cl"은 전자 구성이 2,8,7로 외곽 전자껍질에 7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전하 밀도가 크기 때문에 다른 원소와 비교했을 때 더 높은 상대적 이동도를 가집니다. 또한, "Cl"은 음이온으로서 다른 원소와 결합할 때 전하를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어서 더 높은 상대적 이동도를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우리나라 인근 해상에서 탐사선이 동쪽 방향으로 이동해가면서 해상 중력 탐사를 실시한 후, 해수면을 기준으로 하여 중력보정을 행하였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부게 보정값은 빼주어야 한다.
  2. 지형 보정값은 빼주어야 한다.
  3. 프리에어 보정값은 빼주어야 한다.
  4. 예트뵈스 보정값은 빼주어야 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프리에어 보정값은 빼주어야 한다."이다. 이유는 탐사선이 이동하면서 주변 대기의 중력 영향을 받아 중력 측정값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보정하기 위해 프리에어 보정을 실시하고, 이 보정값을 중력 측정값에서 빼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정확한 해상 중력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탄성파탐사는 크게 굴절법탐사와 반사법탐사로 나누어진다. 굴절법탐사에서 주로 사용하는 파는?

  1. 선두파 (head wave)
  2. 러브파 (Love wave)
  3. 레일리파 (Rayleigh wave)
  4. 다중반사파(Multiple reflections)
(정답률: 73%)
  • 선두파는 지하 구조물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파동으로, 지하 구조물의 속도와 지반의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선두파는 지하 구조물의 위치와 깊이를 파악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굴절법탐사에서는 선두파를 주로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시추공 내의 대략적인 지하수위 깊이를 짐작하는 데 적합하지 않은 지구물리 검층은?

  1. 전기전도도검층
  2. 전기비저항 검층
  3. 온도검층
  4. 공경 검층
(정답률: 57%)
  • 공경 검층은 지하수위와는 관련이 없는 지구물리 검층으로, 지하에서 발생하는 공극이나 동굴 등을 탐지하기 위한 검층입니다. 따라서 지하수위 깊이를 짐작하는 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전기전도도검층, 전기비저항 검층, 온도검층은 지하수의 존재와 깊이를 파악하는 데 유용한 검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자연전위 탐사에서 기준이 되는 기점전극을 설치하기에 가장 적합한 곳은?

  1. 광체노두 상부
  2. 광체노두 부근 가까운 곳
  3. 광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
  4. 광체 위치와 관련 없이 설치가 쉬운 곳
(정답률: 60%)
  • 자연전위 탐사에서 기점전극은 지하수나 지반의 전기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때 기점전극은 광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유는 광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하면 광체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광체와 가까운 곳에 기점전극을 설치하면 광체의 전기적 특성이 기점전극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광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기점전극을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직류 또는 저주파 교류를 시추공 내에 위치하는 이동전극 C1과 지표 상에 고정되어 있는 전극 C2 사이에 흘려보내고 두 전극 사이에 있는 지층의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검층법은?

  1. 단극 전기저항 검층
  2. 노말 전기비저항 검층
  3. 래터렐 전기비저항 검층
  4. 전자유도 검층
(정답률: 62%)
  • 이 검층법은 이동전극과 고정전극 사이에 전류를 인가하여 지층의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동전극은 시추공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동전극과 고정전극 사이에는 지층이 존재합니다. 이 지층의 전기저항을 측정하여 지하 구조물의 위치와 성질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에서 이동전극은 단극으로 사용되며, 따라서 이 검층법은 "단극 전기저항 검층"이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석유탐사 검층 중 감마선 물리검층을 하는 주목적은?

  1. 유문암층을 판별하기 위함이다.
  2. 셰일층을 판별하기 위함이다.
  3. 화강암을 판별하기 위함이다.
  4. 대수층을 판별하기 위함이다.
(정답률: 83%)
  • 감마선은 셰일층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셰일층을 판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광역 지화학 탐사에 적합하지 않은 대상 시료는?

  1. 자연수
  2. 표사
  3. 충사
  4. 암석
(정답률: 60%)
  • 광역 지화학 탐사는 지하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을 분석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하에 존재하는 시료들이 대상이 됩니다. 하지만 충사는 지하에 존재하지 않고 지표면에서 발견되는 것이기 때문에 광역 지화학 탐사에 적합하지 않은 대상 시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석회암, 산성 화성암, 염기성 화성암 중에서 대자율 값이 가장 작은 것은?

  1. 석회암
  2. 산성 화성암
  3. 염기성 화성암
  4. 모두 동일한 값을 갖고 있음.
(정답률: 63%)
  • 석회암은 대부분 칼슘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져 있어서 중성이거나 약간의 염기성을 띠고 있습니다. 반면에 산성 화성암과 염기성 화성암은 각각 산성과 염기성을 띠고 있어서 대자율 값이 더 큽니다. 따라서 석회암이 대자율 값이 가장 작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질공학

61. 수리전도도가 100m/day, 수리경사가 5/1000이고, 계곡 폭이 150m이며 충적층의 두께가 50m일 때 충적층의 전 두께를 통해 유역 밖으로 1일 동안 유출되는 지하수량은?

  1. 3750 m3/day
  2. 5000 m3/day
  3. 15250 m3/day
  4. 60000 m3/day
(정답률: 59%)
  • 유출되는 지하수량은 수리전도도, 수리경사, 계곡폭, 충적층 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수리전도도가 100m/day이므로, 1일 동안 지하수가 100m 이동할 수 있다는 뜻이다.

    수리경사가 5/1000이므로, 1m의 수직 강도에 대해 5m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계곡폭이 150m이므로, 지하수가 유출되는 면적은 150m x 충적층 두께이다.

    따라서, 유출되는 지하수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출되는 면적 = 150m x 50m = 7500m2

    유출되는 지하수량 = 유출되는 면적 x 수리전도도 x 수리경사 = 7500m2 x 100m/day x 5/1000 = 3750m3/day

    따라서, 정답은 "3750 m3/da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암석의 물리적 풍화작용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물의 동결융해작용
  2. 온도변화
  3. 염의 결정화
  4. 산성비의 작용
(정답률: 71%)
  • 산성비의 작용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물이 반응하여 탄산이 생성되어 지표면에 내리게 되는 비를 말합니다. 이러한 비는 산성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암석의 표면을 부식시키고 분해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암석의 물리적 풍화작용을 일으키는 요인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으로 꼽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피압대수층에 해당하는 것은?

  1. 점토층 하부에 사력층이 있는 경우
  2. 사력층 하부에 점토층이 있는 경우
  3. 점토층 상하부에 사력층이 있는 경우
  4. 사력층 상하부에 점토층이 있는 경우
(정답률: 62%)
  • 정답은 "사력층 상하부에 점토층이 있는 경우"입니다. 이는 피압대수층이란 지층이 상부와 하부 모두 사력층으로 둘러싸여 있고, 그 사이에 점토층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부 사력층의 압력이 하부 사력층으로 전달되어 점토층이 압축되고 밀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지반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통일분류법에 의한 흙의 공학적 분류기호 중 GW의 대표명으로 옳은 것은?

  1. 입도 분포가 양호한 자갈 또는 자갈-모래 혼합도
  2. 입도 분포가 불량한 자갈 또는 자갈 모래 혼합도
  3. 실트질 자갈 또는 자갈-모래-실트 혼합토
  4. 점토질 자갈 또는 자갈-모래-점토혼합토
(정답률: 77%)
  • GW의 대표명은 "입도 분포가 양호한 자갈 또는 자갈-모래 혼합도"이다. 이는 입자 크기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분포되어 있어 공간 안정성이 높고, 지반의 배수성과 침투성이 우수하며, 건설 작업성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일축압축시헙 시 암석 시험편 양끝단과 가압판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효과(end effec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험편 내 마찰효과가 작용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클수록 강도는 증가한다.
  2. 마찰효과로 인해 시험편 양끝단에 전단응력이 발생한다.
  3. 마찰효과로 인해 시험편 양끝단에 가해지는 압축응력은 주 응력이 아니다.
  4. 마찰효과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시험편의 길이/직경의 비를 1이 되게 하여야한다.
(정답률: 48%)
  • "마찰효과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시험편의 길이/직경의 비를 1이 되게 하여야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시험편 내 마찰효과가 작용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클수록 강도는 증가하며, 마찰효과로 인해 시험편 양끝단에 전단응력이 발생하고, 가해지는 압축응력은 주 응력이 아니다. 따라서 마찰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시험편의 길이/직경의 비를 1이 되게 하여 마찰효과가 작용하는 부분을 최소화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Q-system 의 평가요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Q값을 이용하여 RMR값을 추정하면 얼마인가? (단, RMR과 Q의 관계식은 Bieniawski(1976)의 제안식을 이용한다.)

  1. 43.5
  2. 53.5
  3. 63.5
  4. 73.5
(정답률: 38%)
  • Q-system의 평가요소 중 RQD, Jn, Ja, Jr, Jw 값이 주어졌다. 이를 이용하여 RMR 값을 추정해야 한다.

    RMR = 6.32 + 0.5RQD + 1.5Jn - 1.5Ja + 0.5Jr + 0.5Jw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RMR = 6.32 + 0.5(75) + 1.5(10) - 1.5(5) + 0.5(10) + 0.5(5) = 63.5

    따라서, Q값을 이용하여 추정한 RMR 값은 63.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연약지반 개량공법 중 점성토 지반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통압밀 공법
  2. 샌드 드레인 공법
  3. 전기 침투 공법
  4. 프리 로딩 공법
(정답률: 44%)
  • 점성토 지반은 토양 입자 간의 접착력이 강하고, 물이 흐르기 어려워서 지반 안정성이 낮은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연약지반 개량공법 중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공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통압밀 공법"은 지반에 통압을 가해 밀착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점성토 지반은 이미 입자 간의 접착력이 강하고 밀착성이 높기 때문에, 통압밀 공법을 적용하면 오히려 지반 안정성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점성토 지반에는 샌드 드레인 공법, 전기 침투 공법, 프리 로딩 공법 등 다른 공법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터널의 굴착에 있어서 불연속면의 방향성과 관련하여 가장 유리한 조건은?

  1. 불연속면의 주향이 터널 축방향과 평행하고 불연속면의 경사가 작은(20~45) 경우
  2. 불연속면의 주향이 터널 축방향과 평행하고 불연속면의 경사가 큰(45~90) 경우
  3. 불연속면의 주향이 터널의 축방향에 수직하고 불연속면의 경사가 크며 (45~90) 경사방향으로 굴착하는 경우
  4. 불연속면의 주향이 터널의 축방향에 수직하고 불연속면의 경사가 작으며 (20~45) 경사가 반대방향으로 굴착하는 경우
(정답률: 56%)
  • 터널 굴착 시 불연속면의 방향성과 관련하여 가장 유리한 조건은 "불연속면의 주향이 터널의 축방향에 수직하고 불연속면의 경사가 크며 (45~90) 경사방향으로 굴착하는 경우"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불연속면의 주향이 터널 축방향과 평행하고 불연속면의 경사가 작은(20~45) 경우
    이 경우에는 불연속면이 터널의 축방향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굴착이 용이하지만, 경사가 작기 때문에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2. 불연속면의 주향이 터널 축방향과 평행하고 불연속면의 경사가 큰(45~90) 경우
    이 경우에는 불연속면의 경사가 크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지만, 불연속면이 터널의 축방향으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굴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3. 불연속면의 주향이 터널의 축방향에 수직하고 불연속면의 경사가 크며 (45~90) 경사방향으로 굴착하는 경우
    이 경우에는 불연속면의 경사가 크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아지면서, 불연속면이 터널의 축방향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굴착이 용이해집니다.

    4. 불연속면의 주향이 터널의 축방향에 수직하고 불연속면의 경사가 작으며 (20~45) 경사가 반대방향으로 굴착하는 경우
    이 경우에는 불연속면의 경사가 작기 때문에 굴착이 용이하지만, 불연속면이 터널의 축방향으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포화된 암석으로부터 중력으로 인해 배수되는 물 체적의 비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비보유율
  2. 비산출률
  3. 비저류율
  4. 투수율
(정답률: 76%)
  • 비산출률은 포화된 암석으로부터 중력으로 인해 배수되는 물 체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즉, 암석 내부에 있는 물 중 일부가 중력에 의해 배출되는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산출률"이 정답이다. "비보유율"은 암석 내부에 보유되어 있는 물의 비율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비저류율"은 지하수가 지하로 흐르는 속도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투수율"은 토양이나 암석 등의 표면에 물이 스며들어가는 비율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터널의 일상적인 시공관리상 반드시 실시해야하는 일상계측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터널 내 관찰조사
  2. 록볼트 축력측정
  3. 전담침하측정
  4. 내공변위측정
(정답률: 65%)
  • 록볼트 축력측정은 일상적인 시공관리상 반드시 실시해야하는 일상계측항목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로크볼트가 설치된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축력이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크볼트 축력측정은 필요에 따라 수시로 실시되는 추가적인 계측항목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암반 불연속면의 과학적 기재와 관련하여 국제암반역학회(ISRM)에서 제사하는 10가지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불연속면의 벽면강도 (wall strength)
  2. 불연속면의 충전물질 (infilling)
  3. 불연속면의 표면 거칠기 (surface roughness)
  4. 불연속면의 종류 (sort)
(정답률: 52%)
  • 불연속면의 종류는 ISRM에서 제시하는 10가지 요소 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불연속면의 종류가 암반의 물리적 특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불연속면의 종류는 단순히 불연속면이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벽면강도, 충전물질, 표면 거칠기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과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따라서 불연속면의 종류는 암반 불연속면의 과학적 기재와 관련하여 ISRM에서 제시하는 10가지 요소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입자간격이 느슨한 고결물질들은 지진동에 의해서 다짐작용을 받게 되면 과포화 상태에 도달하게 되어 액체와 같은 상태로 변화가 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분사현상
  2. 히빙현상
  3. 액상화현상
  4. 압밀현상
(정답률: 87%)
  • 고결물질들은 입자 간격이 느슨하고 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지진동에 의해 다짐작용을 받으면 입자들이 떨어져서 물 분자들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생기게 됩니다. 이렇게 물 분자들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를 액체 상태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액상화현상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지하수위가 지표면과 동일한 지면에서 지하 100m 지점의 공극수압의 크기는 얼마인가? (단, 중력가속도는 10m/sec2으로 한다.)

  1. 0.1MPa
  2. 1MPa
  3. 10MPa
  4. 100 MPa
(정답률: 60%)
  • 지하 100m 지점에서의 압력은 수직 방향으로 중력의 영향을 받으므로, 압력은 깊이에 비례한다. 따라서, 지하 100m 지점에서의 공극수압은 지표면에서의 공극수압과 같다. 일반적으로 지표면에서의 공극수압은 1MPa 정도이므로, 지하 100m 지점에서의 공극수압도 1MPa이다. 따라서 정답은 "1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직경이 500mm인 코아시료에 직경방향으로 점하중시험을 실시한 결과 점하중갇오가 10 MPa일 때 추정 일축압충강도는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60 MPa
  2. 120 MPa
  3. 240 MPa
  4. 360 MPa
(정답률: 2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흙의 한점에 작용하는 최대 주응력과 최소 주응력이 각각 4kg/ cm2, 2kg/ cm2 일 때 최소 주응력의 방향과 60도를 이루는 면 상의 전단 응력은 얼마인가?

  1. 0.87 kg/ cm2
  2. 1.5 kg/ cm2
  3. 1.87 kg/ cm2
  4. 2.5 kg/ cm2
(정답률: 40%)
  • 최대 주응력과 최소 주응력이 각각 4kg/ cm2, 2kg/ cm2 이므로, 주어진 흙의 상태는 단축하중이 작용하는 경우로 해석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소 주응력의 방향은 수직 방향이며, 최대 주응력의 방향은 수평 방향이다.

    따라서, 최소 주응력의 방향과 60도를 이루는 면 상의 전단 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cos 60 = 0.5

    전단 응력 = (최대 주응력 - 최소 주응력) / 2 * cos 60
    = (4 - 2) / 2 * 0.5
    = 0.87 kg/ cm2

    따라서, 정답은 "0.87 kg/ 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Barton의 불연속면 전단강도 비선형모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수직응력(σn)
  2. 불연속면의 압축강도(JCS)
  3. 불연속면의 거칠기계수 (JRC)
  4. 지질강도지수(GSI)
(정답률: 72%)
  • 지질강도지수(GSI)는 Barton의 불연속면 전단강도 비선형모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GSI가 불연속면의 기하학적 특성이나 압축강도와는 관련이 없는 지질학적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GSI는 지질층의 물성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 지질층의 경도, 압축성, 불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산출됩니다. 따라서 Barton의 불연속면 전단강도 비선형모델에서는 GSI가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시추조사 시 암석의 시추추상도에 기대되는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풍화 정도
  2. 일축압축강도
  3. 시추코어 회수율
  4. 암석의 중류
(정답률: 54%)
  • 일축압축강도는 시추조사 시 암석의 시추추상도에 기대되는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시추조사 시에는 암석의 일축압축강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시추조사 시에는 암석의 풍화 정도, 시추코어 회수율, 암석의 중류 등을 파악하여 지하 구조물 설계나 지질 조사 등에 활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미끄러짐에 의해 발생하는 산사태의 종류 중 일반적으로 점성이 있고 균질한 토층에서 발생하는 산사태로 오목한 형태의 굽은 표면을 따라 발생하는 것은?

  1. 토석류
  2. 이류
  3. 회전형 산사태
  4. 전이형 산사태
(정답률: 59%)
  • 회전형 산사태는 점성이 있고 균질한 토층에서 발생하는 산사태 중에서, 오목한 형태의 굽은 표면을 따라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는 토양의 내부에서 회전운동이 발생하여 토양이 굽어지고 미끄러져서 발생하는 것으로, 회전운동이 발생하는 지점에서는 토양이 굴러내려가면서 오목한 형태의 굽은 표면이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사면안정방법을 안전율을 유지하는 공법과 안전율을 증가시키는 공법으로 구분할 때 안전율을 유지시키는 공법에 해당되는 것은?

  1. 앵커(Anchor)공법
  2. 록볼트(Rock bolt)공법
  3. 다웰 바(Dowel bar) 공법
  4. 숏크리트(Shotcrete)공법
(정답률: 58%)
  • 안전율을 유지시키는 공법은 이미 존재하는 구조물이나 지반을 보강하는 방법으로, 구조물이나 지반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에 비해 안전율을 증가시키는 공법은 구조물이나 지반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숏크리트(Shotcrete)공법은 이미 존재하는 구조물이나 지반을 보강하는 방법으로, 안전율을 유지시키는 공법에 해당됩니다. 숏크리트는 콘크리트를 높은 압력으로 분사하여 구조물이나 지반을 보강하는 방법으로, 이미 존재하는 구조물이나 지반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지하 암반의 초기 응력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수압파쇄시험법 (Hydraulic fracturing test)
  2. 오버코어링법 (Overcoring method)
  3. 평판재하시험법(Plate loading test)
  4. 플랫 잭법(Flat jack method)
(정답률: 59%)
  • 평판재하시험법은 지하 암반의 초기 응력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 방법은 지반의 지지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광상학

81. 열수광상에서 모암의 변질작용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견운모화작용
  2. 황옥화작용
  3. 녹니석화작용
  4. 명반석화작용
(정답률: 52%)
  • 열수광상에서 모암의 변질작용과 관련이 없는 것은 "황옥화작용"입니다. 이는 황화물이나 옥화물이 모암 내부에서 화학적으로 변화하는 작용으로, 모암의 변질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암 내부에서 일어나는 변질작용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광물 중 천열수광상에서 생성될 수 없는 광물은?

  1. 크롬철석
  2. 황철석
  3. 진사
  4. 스티브나이트
(정답률: 40%)
  • 천열수광상에서 생성될 수 있는 광물은 주로 황철석, 진사, 스티브나이트 등이다. 그러나 크롬철석은 천열수광상에서 생성되지 않는다. 이는 크롬철석이 천열수광상에서 생성될 때 필요한 환경 조건이 충족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은 우리나라 석탄층 분포와 관련이 있는 평안계 지층들이다. 이 중 가장 하부에 존재하는 지층은?

  1. 홍점통
  2. 사동통
  3. 고방산통
  4. 녹암통
(정답률: 61%)
  • 정답은 "홍점통"입니다.

    홍점통은 우리나라 석탄층 분포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지층으로, 지질학적으로는 신생대의 침전암층으로 분류됩니다. 이 지층은 대부분이 홍성지구와 천안지구에 걸쳐 있으며, 석탄층의 최하층으로서 가장 오래된 지층 중 하나입니다. 홍점통은 석탄층의 기원과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우리나라에서 마그네사이트(magnesite)의 큰 광상이 들어있는 지층은?

  1. 마천령계
  2. 연천계
  3. 옥천계
  4. 상원계
(정답률: 59%)
  • 마그네사이트는 마그네슘과 칼슘을 함유한 광물로, 대부분의 마그네사이트는 마천령계에 위치해 있습니다. 마천령계는 경북 경주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걸쳐 있는 지층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마그네사이트 광산이 위치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천령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양질의 석탄을 많이 포함한 지층은?

  1. 풍촌층
  2. 묘봉층
  3. 장성층
  4. 동점층
(정답률: 67%)
  • 장성층은 석탄의 종류 중에서도 흑연 석탄으로 이루어져 있어 양질의 석탄을 많이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양질의 석탄을 찾기 위해서는 장성층을 탐사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전기절연제, 내화재, 화장품, 종이, 비누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광물은?

  1. 알루미늄
  2. 장석
  3. 활석
(정답률: 73%)
  • 활석은 전기절연성이 뛰어나고 내화성이 있어 전기절연제나 내화재로 사용됩니다. 또한 화장품, 종이, 비누 등의 제조에도 사용됩니다. 알루미늄과 철은 금속으로서 이러한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장석은 활석과 비슷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지만, 활석보다는 덜 흔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반암동광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요한 광상 생성 시기는 중생대 및 신생대이다.
  2. 광물조합은 Cu-Mo-Au로 특징된다.
  3. 성인적으로 중성-산성 관입암체와 밀접히 관련된다.
  4. 반암동광상의 변질대 중심부는 점토화변질대 (이질변질대)가 특징적이다.
(정답률: 54%)
  • "반암동광상의 변질대 중심부는 점토화변질대 (이질변질대)가 특징적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 아닌 이유는, 반암동광상은 점토화변질대가 특징적인 변질대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질변질대는 반암동광상에서 발견되는 다른 변질대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대표적인 지열수계에 해당하는 Salton Sea Geothermal Brine, Cheleken Geothermal Brine에 포함되는 염소, 나트륨, 칼슘, 칼륨의 풍부도를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염소> 나트륨> 칼슘> 칼륨
  2. 나트륨> 염소>칼슘> 칼륨
  3. 염소>칼슘> 나트륨> 칼륨
  4. 나트륨>염소>칼륨> 칼슘
(정답률: 58%)
  • 정답은 "염소> 나트륨> 칼슘> 칼륨"입니다.

    지열수계에서 염소는 다른 이온에 비해 가장 풍부하게 존재합니다. 이는 지열수가 지하에서 지나가는 동안 지방층과 상호작용하면서 염소가 농축되기 때문입니다. 나트륨은 염소 다음으로 풍부하며, 이는 지열수가 지하에서 흐르면서 암석과 상호작용하면서 나트륨이 농축되기 때문입니다. 칼슘과 칼륨은 염소와 나트륨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존재합니다. 이는 지열수가 지하에서 흐르면서 암석과 상호작용하면서 칼슘과 칼륨이 농축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성층암 누층이 습곡되었을 때 생기는 배사부의 공극을 채운 광맥은?

  1. 단층 광맥
  2. 안상 광맥
  3. 사다리형 광맥
  4. 각력파이프 광맥
(정답률: 56%)
  • 성층암 누층이 습곡되어 생긴 배사부의 공극을 채운 광맥은 안상 광맥입니다. 안상 광맥은 석탄층에서 발생하는 광맥으로, 석탄층 내부에서 생긴 공극을 채우는 형태로 형성됩니다. 이러한 공극은 석탄층 내부에서의 지열 활동이나 지하수의 영향으로 생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반려암, 섬록암, 화강암에 함유된 회유원소 중 가장 풍부한 원소는?

  1. niobium
  2. platinum
  3. chromium
  4. titanium
(정답률: 54%)
  • 반려암, 섬록암, 화강암은 모두 광맥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광맥석들은 회유원소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풍부한 회유원소는 티타늄입니다. 이는 반려암, 섬록암, 화강암의 형성 과정에서 티타늄이 다른 원소들보다 더 많이 존재하고, 이로 인해 광맥석에 함유되는 양이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우리나라의 금, 은 광상의 주 광화 시기는?

  1. 신생대
  2. 중생대
  3. 고생대
  4. 선캠브리아기
(정답률: 72%)
  • 우리나라의 금, 은 광상의 주 광화 시기는 중생대이다. 이는 중생대에 우리나라 지역이 대륙 이동으로 인해 북반구에서 남반구로 이동하면서 산성암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금, 은 등의 광물이 함유된 광맥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열수광상의 광물들로부터 관찰되는 유체포유물이 제공해주는 광상에 대한 정보가 아닌 것은?

  1. 열수유체의 화학성
  2. 온도조건
  3. 압력조건
  4. 생성광물
(정답률: 56%)
  • 생성광물은 유체포유물과는 관련이 없는 광물로, 열수광상에서 발견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유체포유물이 제공하는 광상에 대한 정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우리나라 동광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광상의 대부분은 열극충진 맥상광상에 해당한다.
  2. 주요 동광상의 분포는 경상분지에 위치한다.
  3. 경남 함안-군북 지역의 동광상은 반암동광상에 해당한다.
  4. 우리나라의 동광상을 성인별로 크게 나누면 열극충진 맥상광상, 접촉교대광상, 화산각리파이프광상, 반압동광상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정답률: 50%)
  • "경남 함안-군북 지역의 동광상은 반암동광상에 해당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반암동광상은 경상북도 구미시 반야월동 지역에 위치하며, 함안-군북 지역의 동광상은 다른 종류의 광상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비료용 광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arnallite는 황산질 비료의 원료이다.
  2. 질소비료의 원료인 KNO3는 풍화광상에서 산출된다.
  3. 인산질 비료의 원료인 인회석은 물에 잘 녹지 않는다.
  4. 인회석은 사방정계 광물이다.
(정답률: 67%)
  • 인회석은 물에 잘 녹지 않는 이유는 분자 구조상 결합이 강하고, 이온화 에너지가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회석은 인산질 비료의 원료로 사용될 때 물에 녹이기 위해 처리과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열수광상의 모암변질작용 중 모암이 백운모 계열의 미립광물집합체로 치환되는 변질작용은?

  1. 변질안삼암화작용(Propylitization)
  2. 규화작용(Sillicification)
  3. 녹니석화작용( Chloritization)
  4. 견운모화작용 (Sericitization)
(정답률: 65%)
  • 견운모화작용은 모암이 백운모 계열의 미립광물집합체인 견운모로 치환되는 변질작용입니다. 이는 주로 저온하에서 일어나며, 암석의 색깔이 밝아지고 부드러워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암석을 포함한 암석이 풍화되어 유수 등에 의해 운반, 퇴적된 광상으로 충적평원, 하안단구 기타 하천의 유로 인근에 형성된 광상인 표사광상에서 관찰되는 유용광물이 아닌 것은?

  1. 백금
  2. 이리도스민 (Iridosmine)
  3. 다이아몬드
  4. 황동석
(정답률: 51%)
  • 표사광상은 암석이 풍화되어 운반, 퇴적된 광상으로서 유용광물이 많이 발견됩니다. 하지만 황동석은 유용광물이 아닙니다. 황동석은 구리와 황으로 이루어진 광물로서, 주로 광산에서 구리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표사광상에서는 발견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일반적으로 잠두광체의 탐사 시 광체의 인지를 위해 1차적으로 활용되는 것은?

  1. 층서
  2. 풍화대
  3. 변질대
  4. 화성암체의 진화특성
(정답률: 65%)
  • 잠두광체의 탐사 시에는 광체의 구성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변질대가 1차적으로 활용됩니다. 이는 변질 과정에서 광물의 구조와 성질이 변화하기 때문에, 변질된 광물들의 특징을 통해 광체의 역사와 환경을 추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변질대는 잠두광체 탐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제철, 합금, 화학용(건전지, 착색제 등), 사진용 원료로 주로 사용되는 망간광의 주요 성인에 해당되니 않는 것은?

  1. 열수맥상광상
  2. 마그마 분화에 의한 정마그마형 광상
  3. 호저, 해저의 Mn의 화학적 침전
  4. 석회암, 백운암 및 응회암 등을 교대한 열수교대광상
(정답률: 59%)
  • 마그마 분화에 의한 정마그마형 광상은 망간광이 마그마 분화로 인해 생성된 것으로, 망간광이 생성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망간광이 생성되는 다른 원인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VMS(volcanic massive sulfide) 광상을 산출하는 금속에 따라 구리-아연 그룹과 아연-납-구리 그룹으로 구분할 때, 그룹이 다른 것은?

  1. 노란다형(Noranda-type)
  2. 구로코형(Kuroko-type)
  3. 사이프러스형( Cyprus-type)
  4. 베시형(Besshi-type)
(정답률: 52%)
  • 구리-아연 그룹은 노란다형(VMS)이며, 아연-납-구리 그룹은 구로코형(Kuroko-type)입니다. 구로코형은 일본의 구로코 광산에서 발견되어 이름이 붙여졌으며, 대부분의 광물이 황화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구로코형은 다른 그룹에 비해 높은 금, 은, 비소, 비티타늄 함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에 알맞은 지질 시대를 순서대로 옭게 연결한 것은?

  1. 선캠브리아기-석탄기
  2. 석탄기-트라이아스기
  3. 쥐라기-백악기
  4. 백악기-제3기
(정답률: 64%)
  • 선캠브리아기는 지구 역사상 가장 오래된 시대로, 생물의 발견이 적고 대부분이 단순한 생물이었습니다. 이후에는 해양에서 식물이 발달하고, 이 식물들이 죽어서 쌓인 것이 석탄층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선캠브리아기 이후에는 석탄기가 오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