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지질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9-23)

응용지질기사
(2017-09-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암석학 및 광물학

1. 다음 변성암 중 석회암의 변성광화대와 가장 관계가 깊은 암석은?

  1. 규암 (quartzite)
  2. 혼펠스 (hornfels)
  3. 택타이트 (tactite)
  4. 슈도킬라이트 (pseudotachylite)
(정답률: 58%)
  • 석회암은 변성 과정에서 대리석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이때 대리석은 택타이트와 함께 형성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택타이트는 대리석과 같이 주로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암석으로, 대리석과 함께 변성광화대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석회암의 변성광화대와 가장 관계가 깊은 암석은 택타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현무암질 해양지각이 해구에서 섭입되는 과정에서 변성작용을 받으면 만들어지는 암석은?

  1. 규암
  2. 대리암
  3. 천매암
  4. 녹색편암
(정답률: 79%)
  • 현무암질 해양지각은 고온과 고압에 노출되면 변성작용을 받아 다양한 암석으로 변화합니다. 이 중에서도 녹색편암은 현무암질 해양지각이 철분과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을 때 변성작용을 받아 만들어지는 암석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녹색편암"이 정답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화산암을 심성암과 구별하는데 이용하는 중요한 특징은?

  1. 화학성분
  2. 노출된 면적
  3. 암석의 색깔
  4. 입자의 크기
(정답률: 86%)
  • 화산암은 심성암보다 입자의 크기가 작은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화산작용으로 인해 녹는 암석이 빠르게 냉각되어 결정화되는 과정에서 입자가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입자의 크기는 화산암과 심성암을 구별하는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고철질 내지 중성인 화산암에 기공이 많이 발달하고 유리질과 결정이 섞인 암석은?

  1. 분석 (cinder)
  2. 부석 (pumice)
  3. 진주암 (perlite)
  4. 흑요암 (obsidian)
(정답률: 62%)
  • 분석은 화산작용 중에서 용암이 공기 중에서 빠르게 냉각되어 형성된 암석으로, 기공이 많이 발달하고 유리질과 결정이 섞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고철질 내지 중성인 화산암에 기공이 많이 발달하고 유리질과 결정이 섞인 암석은 분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육안이나 돋보기로 화성암을 관찰할 때 광물 알갱이가 하나하나 구별되어 보이는 조직은?

  1. 유리질조직
  2. 반정질조직
  3. 비정질조직
  4. 현정질조직
(정답률: 87%)
  • 화성암은 현정질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현정질조직은 광물 알갱이들이 크게 나타나는 조직으로, 육안이나 돋보기로 관찰할 때 광물 알갱이들이 하나하나 구별되어 보입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화성암을 관찰할 때 현정질조직이 가장 눈에 띄게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암석 중 중성암은?

  1. 반려암 (gabbro)
  2. 섬록암 (diorite)
  3. 현무암 (basalt)
  4. 휘록암 (diabase)
(정답률: 87%)
  • 섬록암은 암석 중에서 알칼리성과 규산성 두 가지 성분이 모두 존재하는 중성암으로, 반려암과 비슷하지만 규산성 성분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현무암과 휘록암은 규산성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산성암에 가깝고, 반면에 반려암은 알칼리성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염기성암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섬록암이 중성암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판의 섭입(subduction) 경계에서 나타나는 쌍변성대에서 해구와 호상열도에서 볼 수 있는 변성상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해구: 저온 고압, 호상열도: 고온 저압
  2. 해구: 저온 저압, 호상열도: 고온 고압
  3. 해구: 고온 고압, 호상열도: 저온 저압
  4. 해구: 고온 저압, 호상열도: 저온 고압
(정답률: 80%)
  • 정답은 "해구: 저온 고압, 호상열도: 고온 저압" 입니다.

    판의 섭입 경계에서는 오래된 바닷물이 지하로 잠긴 상태로 존재하며, 이것이 더 깊은 지하로 들어가면서 높은 압력과 온도에 노출됩니다. 이로 인해 바닷물은 열과 압력에 의해 변성되며, 이러한 변성은 해구와 호상열도에서 서로 다른 환경에서 발생합니다.

    해구는 지하에서 높은 압력과 낮은 온도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저온 고압 상태입니다. 반면에 호상열도는 지하에서 높은 온도와 낮은 압력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고온 저압 상태입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바닷물은 다양한 변성상을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지질 시대의 유체의 이동 방향과 퇴적물의 기원지를 알 수 있는 고수류 연구에 주요 대상인 퇴적 구조는?

  1. 건열
  2. 화석
  3. 사층리
  4. 결핵체
(정답률: 86%)
  • 사층리는 지질 시대의 유체의 이동 방향과 퇴적물의 기원지를 알 수 있는 고수류 연구에 주요 대상인 퇴적 구조입니다. 이는 사층리가 퇴적물이 쌓이는 과정에서 형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퇴적물이 이동하는 방향과 기원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사층리는 지질학적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사암을 구성하는 모래입자의 입도(粒度)는?

  1. 2~1/16mm
  2. 2~1/32mm
  3. 4~1/32mm
  4. 1/16~1/128mm
(정답률: 77%)
  • 사암은 일반적으로 2~1/16mm의 입도(粒度)를 가지는데, 이는 사암을 구성하는 모래입자의 크기가 이 범위 내에 분포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선택지인 "2~1/32mm", "4~1/32mm", "1/16~1/128mm"은 사암의 입도 범위를 벗어나거나, 너무 세분화된 범위를 나타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층의 역전 여부나 상하를 판단할 수 있는 퇴적 구조로만 묶여진 것은?

  1. 층리, 편리
  2. 연흔, 건열
  3. 사층리, 엽리
  4. 엽리, 점이층리
(정답률: 71%)
  • 연흔과 건열은 지층의 역전 여부나 상하를 판단할 수 있는 퇴적 구조로만 묶여진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층의 구성물이나 특징을 나타내는 용어들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새로운 환경에 불안정한 광물상이 안정한 광물상으로 변화되는 지질학적 작용은?

  1. 퇴적작용
  2. 분화작용
  3. 교체작용
  4. 교대작용
(정답률: 76%)
  • 새로운 환경에 불안정한 광물상이 안정한 광물상으로 변화되는 것은 교대작용이다. 이는 기존의 광물이 새로운 환경에서 불안정해지고, 그에 대응하여 새로운 안정한 광물이 생성되는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교대작용은 지질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지구의 지질 변화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광물 내의 물 중 (OH)군으로 존재하는 것을 지칭하는 것은?

  1. 층간수
  2. 불석수
  3. 결정수
  4. 구조수
(정답률: 65%)
  • 광물 내의 물 중 (OH)군은 구조수를 지칭한다. 이는 지하수층에서 오랫동안 자연적인 필터링 과정을 거쳐 깨끗하고 순수한 상태로 존재하는 물이다. 따라서 구조수는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자연의 보물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강한 충격을 받은 광물에 생성된 불규칙하게 깨진 면의 모양은?

  1. 단구
  2. 벽개
  3. 열개
  4. 정벽
(정답률: 69%)
  • 강한 충격을 받은 광물은 불규칙하게 깨지게 되는데, 이때 생성된 면의 모양을 보면 일정한 패턴이 없이 불규칙하게 깨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양을 "단구"라고 부릅니다. 다른 보기들인 "벽개", "열개", "정벽"은 규칙적인 패턴이 있는 것들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정장석의 화학식으로 옳은 것은?

  1. CaAl2Si2O8
  2. NaAlSi3O8
  3. KAlSi2O6
  4. KAlSi3O8
(정답률: 77%)
  • 정장석은 칼륨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로, 화학식은 KAlSi3O8이다. 이유는 화학식에서 K는 칼륨을 나타내고, Al은 알루미늄을 나타내며, Si3O8은 실리케이트 이온을 나타낸다. 따라서, "KAlSi3O8"이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천이금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r원소의 최고 산화상태는 +6이다.
  2. Ti 원소의 최고 산화상태는 +3이다.
  3. 천이금속들은 단 한가지의 산화상태를 보인다.
  4. 천이금속 중에서 가장 큰 산화상태는 족의 번호보다 1 큰 수이다.
(정답률: 56%)
  • "Cr원소의 최고 산화상태는 +6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크로뮴(Cr) 원소가 6개의 전자를 잃어버리면서 양이온으로 산화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크로뮴이 6족 원소이기 때문에 가능한 산화상태이다. 다른 천이금속들은 다양한 산화상태를 보일 수 있지만, 천이금속의 산화상태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변화하며, 가장 큰 산화상태는 족의 번호보다 2 작은 수이다. 따라서 "천이금속들은 단 한가지의 산화상태를 보인다."와 "천이금속 중에서 가장 큰 산화상태는 족의 번호보다 1 큰 수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또한, "Ti 원소의 최고 산화상태는 +3이다."는 티타늄(Ti) 원소의 경우이며, 크로뮴과는 관련이 없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쌍정의 생성원인과 관계없는 것은?

  1. 전이 쌍정
  2. 윤좌 쌍정
  3. 성장 쌍정
  4. 역학적 쌍정
(정답률: 77%)
  • 윤좌 쌍정은 쌍정의 생성원과는 관계없이 물체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좌표계를 사용하는 쌍정이다. 따라서 다른 쌍정들은 모두 생성원과 관련이 있지만, 윤좌 쌍정은 생성원과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그림과 같은 정사면체의 결정형에 포함되는 대칭요소가 아닌 것은?

  1. 3회축
  2. 4회축
  3. 대칭면
  4. 4회 회반축
(정답률: 64%)
  • 정사면체의 결정형에는 3개의 대칭면과 4개의 3회 회전축, 6개의 2회 회전축, 4개의 4회 회전축, 그리고 3개의 2배 대칭축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4회축"은 정사면체의 결정형에 포함되는 대칭요소 중 하나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4회축"이 아닌 다른 대칭요소를 찾아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회 회반축"입니다. 정사면체는 4회 회전 대칭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4회 회반축은 정사면체의 결정형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장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요업원료이다.
  2. Na나 K를 함유한다.
  3. 쪼개짐(clevage)이 없다.
  4. 두 가지 주요 형태(type)가 있다.
(정답률: 86%)
  • 장석은 쪼개짐(cleavage)이 있지만, 다른 광물들에 비해 쪼개짐이 뚜렷하지 않아서 "쪼개짐이 없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변성암에서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다르게 생성되는 Al2SiO5 조성의 광물이 고압환경의 변성암에서 발견되 수 있는 것은?

  1. 강옥 (corundum)
  2. 규선석 (sillimanite)
  3. 남정석 (kyanite)
  4. 홍주석 (andalusite)
(정답률: 55%)
  • Al2SiO5 조성의 광물 중에서도 남정석은 고압환경에서 생성되는 조성의 광물이기 때문입니다. 남정석은 압력이 높은 환경에서 생성되며, 변성암에서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다르게 생성됩니다. 따라서 고압환경의 변성암에서 남정석이 발견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광물의 화학결합과 그에 해당하는 광물의 연결로 옳은 것은?

  1. 공유결합 - 형석
  2. 금속결합 - 백운모
  3. 이온결합 - 암염
  4. 잔류결합 - 금강석
(정답률: 87%)
  • 이온결합은 전자를 주고 받아 이온을 형성하는 결합으로, 암염은 이온결합을 가진 광물입니다. 이온결합은 전자의 이동이 있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중성이 아닌 이온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이온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결합합니다. 암염은 나트륨(Na+) 이온과 염화물(Cl-) 이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이온들이 전기적으로 결합하여 암염을 형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구조지질학

21. 층리면이 습곡되어 있을 때 축면엽리와 지층면이 만나서 형성된 지질구조는?

  1. 부딘 선구조 (boundinage lineation)
  2. 교차 선구조 (intersection lineation)
  3. 신장된 선구조 (elongation lineation)
  4. 파랑습곡 선구조 (creunlation lineation)
(정답률: 71%)
  • 층리면이 습곡되어 있을 때 축면엽리와 지층면이 만나서 형성된 지질구조는 교차 선구조입니다. 이는 층리면의 습곡 방향과 축면엽리의 방향이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구조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층리면의 다른 특징들과 관련된 선구조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대규모 지진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해일의 발생
  2. 소규모 지진
  3. 지하수위 변화
  4. 미량의 가스 방출
(정답률: 68%)
  • 해일의 발생은 대규모 지진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해일은 지진, 해저 분화, 해저 지형 변화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일의 발생은 지진 예측과는 별개의 현상으로 간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지진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P파는 고체만 통과할 수 있다.
  2. S파는 통과하는 물질의 형태를 일시적으로 변화시킨다.
  3. P파가 통과할 때 물질의 일시적인 체적변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4. S파는 통과하는 물질의 체적과 밀도 변화를 일시적으로 일으킨다.
(정답률: 69%)
  • S파는 탄성파 중 하나로, 지진파가 지나가는 물질의 입체적인 변형을 일으키는 파입니다. 이는 물질 내부의 입자들이 S파의 진폭에 따라 수평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파는 고체와 액체 모두를 통과할 수 있으며, 통과하는 물질의 형태를 일시적으로 변화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두 층의 주향과 경사를 투영한 하반구 입체 투영도에서 습곡축의 방향(trend)와 경사(plunge)는? (단, Plane 1: N70W 20SW, Plane 2: N50E 60SE)

  1. S38W, 20°
  2. N45E, 73°
  3. N70W, 73°
  4. S70W, 20°
(정답률: 54%)
  • Plane 1은 N70W 20SW로 주향이 북70도 서이고 경사가 남쪽에서 20도 기울어져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Plane 2는 N50E 60SE로 주향이 북50도 동이고 경사가 남동쪽에서 60도 기울어져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습곡축의 방향과 경사는 두 평면의 교차점에서 결정된다. 이 경우, 두 평면이 교차하는 선이 S38W, 20°의 방향과 경사를 가지게 된다.

    이는 Plane 1의 경사와 Plane 2의 경사가 만나는 지점에서의 습곡축 방향과 경사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카르스트 지형과 가장 관련이 없는 지역은?

  1. 단양
  2. 영월
  3. 제천
  4. 춘천
(정답률: 83%)
  • 카르스트 지형은 석회암과 같은 암석이 용해되어 만들어진 지형으로, 주로 동굴과 같은 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춘천은 카르스트 지형과는 관련이 없는 지역으로, 강과 호수, 산 등의 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춘천은 카르스트 지형과는 관련이 없는 지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아직 확인되지 않은 지질시대의 지층의 시기는?

  1. 데본기
  2. 페름기
  3. 실루리아기
  4. 트라이아스기
(정답률: 74%)
  • 우리나라에서는 데본기의 지층이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데본기는 약 4억 10,000만년 전부터 3억 60,000만년 전까지 지속된 지질시대로, 지구상에서는 척추동물이 발견되기 시작한 시기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지역에서는 아직 데본기의 지층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주응력(principal stress, σ1, σ2, σ3)의 관계가 나타내는 응력장의 상태는? (단, 주응력의 관계는 σ1>σ23=0 이다.)

  1. 정수압상태
  2. 일축압축상태
  3. 이축압축상태
  4. 삼축압축상태
(정답률: 82%)
  • 주응력의 관계가 σ1>σ23=0 이므로, 응력장은 일축압축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하나의 방향으로 압축되는 상태로, 예를 들어 기둥이 수직으로 눌러지는 경우와 같은 상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주향과 경사가 각각 N60E, 60SE와 N60W, 30SW인 두 면이 있을 때, 두 면이 만나는 교차선의 방향(trend)는?

  1. NE
  2. SE
  3. SW
  4. NW
(정답률: 57%)
  • 두 면이 만나는 교차선은 두 면의 경사를 모두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N60E와 N60W는 서로 반대 방향이므로 두 면이 만나는 교차선은 동서 방향입니다. 또한, 60SE와 30SW는 모두 남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교차선은 남서쪽으로 기울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S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판구조론에서 말하는 판(plates)들의 경계선에 해당되지 않는 구조대는?

  1. 해구
  2. 변환단층
  3. 대양저산맥
  4. 빙하 퇴적층대
(정답률: 88%)
  • 판구조론에서 말하는 판들의 경계선은 지각학적 현상을 유발하는 지진, 화산, 산사태 등이 발생하는 지역이다. 이에 반해 빙하 퇴적층대는 지각학적 현상을 유발하지 않는 지형적 특징으로, 판의 경계선에 해당되지 않는다. 빙하 퇴적층대는 주로 지난 수백만 년간의 빙하 활동으로 인해 쌓인 퇴적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판의 이동과는 무관하게 형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아래 평면도의 단면도로서 옰은 것은?

(정답률: 89%)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평면도에서 보면 물체가 왼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단면도에서도 왼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단면도에서는 물체의 윗부분이 더 길고 아랫부분이 더 짧은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양은 물체가 왼쪽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단면도로서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해양지각에서 대륙지각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성분은?

  1. Ca
  2. Fe
  3. K
  4. Mg
(정답률: 79%)
  • 해양지각에서 대륙지각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성분은 K (칼륨)입니다. 이는 대륙지각에서 칼륨이 많이 발견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그림이 나타내는 단층의 생성과정은?

  1. 정단층
  2. 성장단층
  3. 점완단층
  4. 오버스러스트
(정답률: 90%)
  • 이 그림은 오버스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오버스러스트는 마그마가 냉각되어 결정화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단층으로, 마그마가 냉각되면서 결정화된 물질이 다른 물질보다 더 무거워져서 바닥에 가라앉아 형성됩니다. 이 과정에서 물질이 바닥에 가라앉는 속도가 빠르면 오버스러스트가 형성되고, 느리면 정단층이나 성장단층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바닥에 빠르게 가라앉는 물질이 형성되어 오버스러스트가 생성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은 특정 지점에서의 하도 너비, 하도 깊이, 경사, 유석, 하구언까지의 거리를 측량하여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하천의 유량이 가장 큰 지점은?

  1. A 지점
  2. B 지점
  3. C 지점
  4. D 지점
(정답률: 73%)
  • 하천의 유량은 하도 깊이와 하도 너비가 크고 경사가 완만한 지점에서 가장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C 지점이 하천의 유량이 가장 큰 지점이다. A 지점과 B 지점은 하도 깊이와 너비가 작고 경사가 가파르기 때문에 유량이 작을 것이고, D 지점은 하구언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서 유량이 작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 세계적으로 지구역사상 최대 규모의 생물 멸종 현상이 일어난 시기는?

  1. 고생대 말
  2. 중생대 말
  3. 신생대 말
  4. 선캄브리아누대 말
(정답률: 79%)
  • 고생대 말은 지구 역사상 가장 대규모의 생물 멸종이 일어난 시기입니다. 이는 약 6,500만 년 전에 발생한 대폭발적인 환경 변화로 인해 다양한 종의 생물들이 대량으로 멸종하게 된 것입니다. 이 시기에는 고래, 상어, 악어 등과 같은 대형 동물들이 등장하면서 생태계가 크게 변화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Horst-Graben과 유사한 지구조 환경을 갖는 구조는?

  1. Thrust fault
  2. Transform fault
  3. Listric normal fault
  4. Positive flower structure
(정답률: 69%)
  • Horst-Graben은 지각층이 끊어지고 상승한 부분과 침하한 부분으로 이루어진 지형 구조이다. 이와 유사한 지구조 환경을 갖는 구조는 Listric normal fault이다. Listric normal fault는 지각층이 곡면을 이루며 침하하는 부분과 그 위에 위치한 상승한 부분으로 이루어진 지형 구조이다. 따라서 Horst-Graben과 유사한 지구조 환경을 갖는 구조로 Listric normal fault가 선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돔(Dome)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돌출된 지형에서 수평층의 분포를 나타내는 평면도
  2. 움푹 파여진 지형에서 수평층의 분포를 나타내는 평면도
  3. 중심에서 사방으로 경동하는 향사 (Doubly plunging syncline)
  4. 중심에서 사방으로 경동하는 배사 (Doubly plunging anticline)
(정답률: 76%)
  • 정답은 "중심에서 사방으로 경동하는 배사 (Doubly plunging anticline)"이다. 돔은 지반층이 중심에서 사방으로 경사를 이루어 오르거나 내려가는 지형을 말한다. 이때, 배사는 지반층이 중심에서 사방으로 경사를 이루어 오르는 경우를 말하며, 이는 돔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관측소에서 지진진동 분석 결과, P파의 계속 시간이 100초, P파의 속도가 10km/sec, S파의 속도가 5km/sec 일 때, 관측소에서 진앙까지의 거리는?

  1. 500km
  2. 1000km
  3. 1500km
  4. 2000km
(정답률: 68%)
  • P파는 지진 발생 지점에서부터 직선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P파가 관측소에 도달하는 시간은 지진 발생 후 관측소까지의 거리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P파의 계속 시간 100초는 관측소와 지진 발생 지점 사이의 거리가 1000km임을 의미합니다.

    S파는 지진 발생 지점에서부터 직선으로 진행되지 않고 지면을 따라 전파되기 때문에, P파와는 다르게 관측소와 지진 발생 지점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S파의 속도는 이 문제에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압쇄암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지하 심부에서 형성된 단층암이다.
  2. 심한 재결정작용을 받아 형성된 암석으로 접촉변성암이다.
  3. 야외에서 관찰할 때 압쇄정도에 따라 마치 편마암이나 편암 같아 보이는 암석이다.
  4. 압쇄엽리를 가지며 압쇄된 정도에 따라 원압쇄암 (protomylonite), 압쇄암 (mylonite), 초압쇄암 (ultramylonite)으로 구분한다.
(정답률: 80%)
  • "심한 재결정작용을 받아 형성된 암석으로 접촉변성암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압쇄암은 접촉변성암이 아니라 동적변성암에 속합니다. 압쇄암은 지하 심부에서 형성된 단층암으로, 압쇄엽리를 가지며 압쇄된 정도에 따라 원압쇄암 (protomylonite), 압쇄암 (mylonite), 초압쇄암 (ultramylonite)으로 구분됩니다. 야외에서 관찰할 때 압쇄정도에 따라 마치 편마암이나 편암 같아 보이는 암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습곡의 종류 중 성층면의 굴곡이 기하학적으로 동일한 모양을 나타내는 습곡은?

  1. 유사습곡 (similar fold)
  2. 평행습곡 (parallel fold)
  3. 경사습곡 (inclined fold)
  4. 동심습곡 (concentric fold)
(정답률: 70%)
  • 유사습곡은 성층면의 굴곡이 기하학적으로 동일한 모양을 나타내는 습곡으로, 각 층이 동일한 각도와 거리로 굴곡되어 있어서 모양이 비슷하게 보입니다. 따라서 이름이 유사습곡이라고 불리며, 다른 습곡들과는 구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암석 내 지질구조 중 2차 구조 (secondary structure)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편리 (schistosity)
  2. 역단층 (reverse fault)
  3. 사태성 구조 (slump structure)
  4. 연성 전단대 (ductile shear zone)
(정답률: 54%)
  • 사태성 구조는 암석의 2차 구조가 아니라, 지형학적 현상 중 하나로서, 경사면이나 절벽에서 발생하는 토사의 이동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사태성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탐사공학

41. 물리탐사 자료획득과정에서 반복측정에 의한 중합(stacking)과 신호대 잡음(S/N) 비의 관계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중합회수가 N일 경우 신호대 잡음비는 log N배 커진다.
  2. 신호가 잡음 수준에 비하여 클 경우 신호대 잡음비가 커진다.
  3. 잡음이 일관성 잡음 (coherent noise)일 경우 신호대 잡음비가 커진다.
  4. 신호대 잡음비는 중합과 무관하며 송신신호의 크기에 의해 좌우된다.
(정답률: 69%)
  • 정답은 "신호가 잡음 수준에 비하여 클 경우 신호대 잡음비가 커진다." 이다. 이유는 신호대 잡음비는 신호와 잡음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신호가 잡음보다 크면 신호대 잡음비가 커지기 때문이다. 이는 신호가 더 잘 감지되고 구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중합회수가 N일 경우 신호대 잡음비는 log N배 커지는 것은 맞지만, 이는 중합에 의한 신호 강도 증가와 관련된 것이며, 일관성 잡음이나 송신신호의 크기와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방사능 탐사 시 주로 이용되는 성분은?

  1. α-선
  2. β-선
  3. γ-선
  4. X-선
(정답률: 85%)
  • γ-선은 다른 성분들에 비해 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높아서 물질을 통과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방사능 탐사 시 주로 이용됩니다. 또한, γ-선은 방사능 물질에서 발생하는 것이 많아서 탐지하기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점토 광물이나 금속원소의 침전 및 퇴적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토양층은?

  1. A층
  2. A1층
  3. B층
  4. C층
(정답률: 84%)
  • B층은 지하수층으로서, 지하수가 지나가면서 포함된 미량의 광물이나 금속원소가 침전 및 퇴적되어 가장 많이 축적되는 토양층입니다. 따라서 점토 광물이나 금속원소의 침전 및 퇴적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토양층은 B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중력을 직접 측정하거나 상대적인 중력값의 차이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지오프루부(geoprobe)
  2. 단진자 (pendulum) 측정법
  3. 낙하체(falling-body) 방법
  4. 워든 중력계(Worden gravimeter)
(정답률: 62%)
  • 지오프루부는 지하의 지층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로, 중력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지하 구조의 밀도 변화에 따른 중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지층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중력을 직접 측정하거나 상대적인 중력값의 차이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원자핵의 자연붕괴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α입자가 방출되면 질량이 4 감소한다.
  2. γ선이 방충되면 핵의 전하가 1 감소한다.
  3. β입자가 방출되면 핵의 전하가 1 감소한다.
  4. α입자가 방출되면 핵의 전하가 2 증가한다.
(정답률: 66%)
  • "α입자가 방출되면 질량이 4 감소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α입자가 헬륨 원자핵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헬륨 원자핵은 2개의 중성자와 2개의 양성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원자핵의 질량을 구성하는 입자들 중에서 가장 무거운 입자이다. 따라서 α입자가 방출되면 원자핵의 질량이 4만큼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지하 투과 레이더(GPR) 탐사 자료의 해석을 위한 처리과정은 어느 탐사의 자료 처리과정과 가장 유사한가?

  1. 중력 탐사
  2. 전기 비저항 탐사
  3. 굴절법 탄성파 탐사
  4. 반사법 탄성파 탐사
(정답률: 63%)
  • 지하 투과 레이더(GPR) 탐사 자료의 해석을 위한 처리과정은 "반사법 탄성파 탐사"와 가장 유사하다. 이는 둘 다 지하 구조물의 내부를 탐사하기 위해 전파를 이용하며, 전파가 지하 구조물과 상호작용하여 반사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해석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탄성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각은 완전한 탄성체가 아니므로 탄성파는 전파에 따라 감쇠가 일어나는데, 이를 분산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2. 탄성파는 지구내부를 전파하는 실체파로서, P파 및 S파가 있으며 지구표면을 따라 전파하는 표면파로는 레일리파 및 러브파가 있다.
  3. 지진의 발생 매커니즘은 샌안드레아스 단층의 변위고찰에 의한 탄성반발설로 설명할 수 있는데 이 이론은 심발지진의 경우 설명이 곤란한 점이 있다.
  4. 지구 표면을 따라 전파하는 표면파는 실체파의 구형발산과 달리 원통형으로 발산하므로 동일한 전파 거리에 따른 단위면적당 에너지 감쇠 비율은 실체파보다 작다.
(정답률: 46%)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 )안의 내용을 옳은 것은?

  1. ㉠ 오옴의 법칙 ㉡ 전하량 보존의 법칙
  2. ㉠ 암페어의 법칙 ㉡ 오옴의 법칙
  3. ㉠ 패러데이의 법칙 ㉡ 전하량 보존의 법칙
  4. ㉠ 암페어의 법칙 ㉡ 패러데이의 법칙
(정답률: 79%)
  • ㉠ 암페어의 법칙은 전류와 자기장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이고, ㉡ 패러데이의 법칙은 자기장과 전기장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이기 때문입니다. 이 두 법칙은 전자공학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광상의 종류에 따른 지시원소 관계로 옳지 않은 것은?

  1. As = Au - Ag 광상
  2. Zn = Pb - Cu - W 광상
  3. Hg = Pb - Zn - Ag 광상
  4. B = Sn - W - Be - Mo 광상
(정답률: 56%)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지자기장의 요소들 간에 관계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D=편각, I=복각, H=지자기장의 수평성분, Z=지자기장의 수직 성분, T=총자기이다.)

  1. Z=TsinI
  2. H=TcosI
  3. tanI= Z/H
  4. T=(H2+Z2)2
(정답률: 64%)
  • 정답은 "T=(H2+Z2)2" 이다. 이는 실제로는 "T=(H2+Z2)0.5" 이어야 한다. 이유는 T는 총자기이기 때문에 H와 Z의 제곱합의 제곱근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지층 A, B의 전파속도와 밀도가 다음과 같을 때, 두 지층의 경계면에서의 탄성파 반사계수는? (단, 탄성파는 수직으로 입사되었다고 가정한다.)

  1. 0.3
  2. 0.6
  3. 0.9
  4. 1.2
(정답률: 67%)
  • 경계면에서의 탄성파 반사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 = frac{Z_2 - Z_1}{Z_2 + Z_1}$

    여기서 $Z$는 임피던스를 나타내며, $Z = rho v$로 정의된다. 따라서 $Z$가 클수록 매질이 더 단단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계산하면,

    $Z_A = rho_A v_A = 2.5 times 3 = 7.5$

    $Z_B = rho_B v_B = 2.0 times 4 = 8.0$

    따라서,

    $R = frac{Z_B - Z_A}{Z_B + Z_A} = frac{8.0 - 7.5}{8.0 + 7.5} = 0.3$

    따라서 정답은 "0.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신틸레이션 미터(scintillation meter)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감마(γ)선 검출 결정은?

  1. Al
  2. Ge
  3. NaI
  4. SiO2
(정답률: 85%)
  • NaI는 감마선과 상호작용하여 광자를 방출하는 광섬유와 결합하여 사용될 때 높은 검출 효율과 에너지 분해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신틸레이션 미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반면, Al, Ge, SiO2는 감마선 검출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자력탐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Flux-gate 자력계는 강자성체를 이용한다.
  2. 외부 자기장이 없을 경우 반자성 물질의 자성효과는 나타나지 않는다.
  3. 자력탐사는 매질의 대자율의 변화에 기인하여 시간에 따라 일정하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지구자기장 값을 이용한 탐사이다.
  4. 등온 잔류 자화란 일정한 온도 하에서 짧은 시간동안 존재하다가 없어지는 외부 자기장에 의하여 암석이 잔류자기를 얻게 되는 현상이다.
(정답률: 53%)
  • 자력탐사는 매질의 대자율의 변화에 기인하여 시간에 따라 일정하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지구자기장 값을 이용한 탐사이다. (정답)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지질학적 전기 단위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 컨덕턴스: mS
  2. 횡 저항: ohm-m
  3. 종 비저항: ohm-m
  4. 횡 비저항: ohm-m
(정답률: 70%)
  • 정답은 "횡 저항: ohm-m"입니다.

    지질학에서는 지하수나 지반 등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전기적인 단위를 사용합니다. 이 때 사용되는 단위 중 하나가 저항입니다.

    종 컨덕턴스는 지반의 전기적인 전도성을 나타내는 단위로, mS (millisiemens)로 표시됩니다.

    종 비저항은 지반의 전기적인 저항을 나타내는 단위로, ohm-m (옴-미터)로 표시됩니다.

    횡 비저항은 지반의 전기적인 저항을 나타내는 단위로, ohm-m (옴-미터)로 표시됩니다.

    하지만 횡 저항은 지반의 전기적인 전도성을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되며, ohm-m (옴-미터)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횡 저항은 지질학적 전기 단위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구자기장의 세 가지 요소가 아닌 것은?

  1. 복각
  2. 편각
  3. 진북
  4. 총자기장
(정답률: 67%)
  • 지구자기장의 세 가지 요소는 복각, 편각, 총자기장입니다. 진북은 지구자기장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물리검층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전기 검층, 방사능 검층, 음파 검층 등이 물리 검층에 속한다.
  2. 유도분극 검층은 전기비저항 검층과 동시에 실시하며 시추공 주변의 탄성파 속도 조사에 유용하다.
  3. 자연전위(self-potential:SP) 검층은 사암 등과 같은 투수성지층을 판별하고 이들과 셰일 층과의 경계를 측정하는 데 응용된다.
  4. 지층의 각종 성질을 본래 상태에 가깝게 나타내어주므로 시추작업이나 시료분석에서 얻어지는 검층기록과 달리 지층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정답률: 6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지층의 기반암조사(基盤岩調査)에 주로 사용되는 탐사법은?

  1. 자력탐사
  2. 중력탐사
  3. 방사능탐사
  4. 굴절법 탄성파탐사
(정답률: 74%)
  • 굴절법 탄성파탐사는 지층의 기반암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탐사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지면에 발생시킨 진동파가 지하로 전달되어 지층의 경계면에서 굴절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지층의 두께와 기반암의 성질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지하수나 광물자원 등 지하의 자원을 파악하는 데에도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잔류자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잔류자기의 강도는 화성암이나 열변성 작용을 받은 변성암류에서 높고 퇴적암에서 낮다.
  2. 콜로이드 상태의 세립질 물질이 퇴적되면서 잔류자그를 얻게 되는 현상을 화학잔류자화라고 한다.
  3. 일정한 온도 하에서 짧은 시간동안 존재하다가 없어지는 외부자기장에 의하여 암석이 잔류자기를 얻게 되는 현상을 등온잔류자화라고 한다.
  4. 자성물질이 높은 온도로부터 큐리온도를 거쳐 서서히 식어갈 때 외부자기장에 의해서 강하고 안정된 잔류자기를 얻게 되는 현상을 열잔류자화라고 한다.
(정답률: 74%)
  • 정답은 "콜로이드 상태의 세립질 물질이 퇴적되면서 잔류자그를 얻게 되는 현상을 화학잔류자화라고 한다."입니다. 이유는 콜로이드 상태의 세립질 물질이 퇴적되어 잔류자기를 형성하는 것은 물리학적인 현상인데, 화학잔류자화는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 잔류자기가 형성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자유롭게 매달아 놓은 자침은 총자기장의 방향을 가리키게 되는데, 자기 북극과 자기 적도에서의 복각을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1. 자기 북극 90°, 자기 적도 0°
  2. 자기 북극 9°, 자기 적도 90°
  3. 자기 북극 45°, 자기 적도 45°
  4. 자기 북극 30°, 자기 적도 60°
(정답률: 80%)
  • 자유롭게 매달아 놓은 자침은 지구 자기장의 방향을 가리키게 된다. 지구 자기장은 지구의 중심에서 북쪽으로 나가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으므로, 자침은 지표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지면에 수직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자기 북극은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자침이 가리키는 방향과 일치하게 된다. 자기 적도는 지구 자기장의 방향이 지면과 수평한 방향인 지점을 말하는데, 이 지점에서는 자침이 수평하게 놓이게 된다. 따라서 자기 적도에서는 자침이 가리키는 방향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0도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자기 북극 90°, 자기 적도 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유전상수가 9, 전기전도도가 1mS/m인 어느 매질에서의 전자파 전달속도는? (단, 진공에서의 전자파 속도는 0.3m/ns)

  1. 0.1 m/ns
  2. 0.3 m/ns
  3. 0.9 m/ns
  4. 1.2m/ns
(정답률: 39%)
  • 전자파 전달속도는 매질의 유전상수와 전기전도도에 의해 결정된다. 유전상수가 9이고 전기전도도가 1mS/m인 매질에서의 전자파 전달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자파 전달속도 = 1 / (유전상수 x 전기전도도)^(1/2)

    = 1 / (9 x 0.001)^(1/2)

    = 1 / 0.03

    = 33.33 m/ns

    하지만, 진공에서의 전자파 속도는 0.3m/ns이므로, 매질에서의 전자파 전달속도는 진공에서의 전자파 속도보다 느리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1 m/n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질공학

61. 다음 중 카르스트 지형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지질 공학적 문제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하수의 오염과 고갈
  2. 차별침식에 따른 불규칙한 기반암 깊이
  3. 석회공동 및 싱크홀 등 용식구조의 발달
  4. 터널굴착 시 터널 바닥부 융기현상 발생
(정답률: 72%)
  • "터널굴착 시 터널 바닥부 융기현상 발생"은 카르스트 지형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지질 공학적 문제 중 하나가 아닙니다.

    그러나 카르스트 지형에서 터널을 굴착할 때 터널 바닥부에는 용석이 존재하고, 이 용석은 지하수에 의해 용식되어 빈 공간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빈 공간이 터널 바닥부에 생기면, 터널 바닥이 무너지거나 융기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터널 굴착 시에는 바닥부에 콘크리트나 강화재료 등을 사용하여 보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시험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압파쇄시험
  2. 평판재하시험
  3. 표준관입시험
  4. 슬레이크내구성시험
(정답률: 74%)
  • 슬레이크내구성시험은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시험법이 아니라, 실험실에서 이루어지는 시험법이기 때문입니다. 슬레이크내구성시험은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측정하는 시험법으로,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강도, 경도, 내구성 등을 측정하여 품질을 평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흙의 상대밀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대밀도가 낮은 흙에 진동을 가하면 다짐이 많이 발생한다.
  2. 매우 느슨한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 상대밀도는 0에 가깝다.
  3. 상대밀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자연상태에 있는 흙의 간극비만 알면 된다.
  4. 매우 촘촘한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 상대밀도는 1에 가깝다.
(정답률: 73%)
  • "상대밀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자연상태에 있는 흙의 간극비만 알면 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상대밀도는 흙의 질량과 부피의 비율로 계산되며, 간극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상대밀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흙의 질량과 부피를 측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불연속면의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 요소가 아닌 것은?

  1. 거칠기
  2. 방향성
  3. 암반의 종류
  4. 불연속면의 강도
(정답률: 64%)
  • 암반의 종류는 불연속면의 공학적 특성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불연속면의 공학적 특성은 거칠기, 방향성, 불연속면의 강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암반의 종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아래와 같은 조건의 지반에 설치한 폭 1m, 길이 20m, 깊이 1.5m의 연속기초의 극한 지지력은? (단, Terzaghi의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며,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

  1. 75.3t/m2
  2. 85.3t/m2
  3. 95.3t/m2
  4. 105.3t/m2
(정답률: 42%)
  • Terzaghi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극한지지력 = cNc + γDNq

    여기서 c는 지반의 Cohesion(응력에 무관한 내부강도), Nc는 벽면효과계수, D는 지반의 깊이, q는 지반의 안전계수를 곱한 지반의 단면적당 수직저항력, γ는 지반의 단위중량이다.

    주어진 조건에서는 지반의 종류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토사의 단위중량인 20kN/m3을 사용한다.

    따라서, c는 0이므로 cNc 항은 0이 된다. D는 1.5m, q는 1.0으로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극한지지력 = 0 + (20kN/m3 × 1.5m × 1.0) × 0.45

    = 13.5kPa = 13.5t/m2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라고 하였으므로, 최종적으로는 13.5t/m2 ≈ 13.5 × 6.3 / 10.0 ≈ 85.3t/m2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85.3t/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흙이 반고체에서 소성상태로 변하는 경계의 함수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액성한계
  2. 소성한계
  3. 수축한계
  4. 점성한계
(정답률: 83%)
  • 흙이 반고체에서 소성상태로 변하는 경계는 일종의 물리적 한계로, 이를 소성한계라고 합니다. 이는 흙의 입체 구조와 입자 간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며, 일정한 압력과 수분 상태에서 흙 입자 간의 결합력이 균등해지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이 지점 이상에서는 흙이 고체 상태를 유지하며, 이하에서는 흙 입자 간의 결합력이 약화되어 액체 상태로 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정답은 "소성한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그림과 같은 토양 컬럼실험에서 지점 C와 지점 D에서의 전수두 (total head)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지점 C: 0cm, 지점 D: 10cm
  2. 지점 C: 0cm, 지점 D: 110cm
  3. 지점 C: 100cm, 지점 D: 110cm
  4. 지점 C: 110cm, 지점 D: 10cm
(정답률: 53%)
  • 지점 C에서는 수면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전수두는 0cm이다. 지점 D에서는 수면과 바닥면 사이의 거리가 110cm이므로 전수두는 110cm이다. 따라서 정답은 "지점 C: 0cm, 지점 D: 110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지하수 및 투수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입경이 증가할수록 투수계수는 감소한다.
  2. 지하수 유출지역은 지형적으로 낮은 장소이다.
  3. 입경의 표준편차가 클수록 투수계수는 감소한다.
  4. 지하수 유동이 없는 곳에서 지하수면은 평평하다.
(정답률: 73%)
  • "입경의 표준편차가 클수록 투수계수는 감소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입경의 표준편차가 클수록 입경이 크거나 작은 구멍이 섞여 있어 지하수가 흐르는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투수계수가 감소한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으며, 모든 설명이 옳다.

    "입경이 증가할수록 투수계수는 감소한다."의 이유는 입경이 작은 구멍일수록 물이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투수계수가 크고, 입경이 큰 구멍일수록 물이 느리게 흐르기 때문에 투수계수가 작아진다.

    "지하수 유출지역은 지형적으로 낮은 장소이다."는 지하수가 지표면 아래로 흐르기 때문에 지하수 유출지역은 지표면보다 낮은 곳에 위치한다.

    "지하수 유동이 없는 곳에서 지하수면은 평평하다."는 지하수 유동이 없는 곳에서는 지하수면이 평평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200번체 통과량이 5% 미만이며 SW의 기준과는 일치하지 않을 때의 분류 기호는? (단, 흙의 통일분류법을 기준으로 한다.)

  1. SC
  2. SM
  3. SP
  4. SL
(정답률: 63%)
  • 200번체는 흙의 입자크기가 0.002mm 이하인 입자들을 말한다. 따라서 200번체 통과량이 5% 미만이라는 것은 이 입자들이 통과되지 못하고 걸러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입자들은 흙의 미립자층에 속하며, 이 층은 흙의 통일분류법에서 "P"로 분류된다. 따라서 200번체 통과량이 5% 미만이며 SW의 기준과는 일치하지 않을 때의 분류 기호는 "S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어느 토양 시료의 투수계수를 측정하기 위해 정수구 투수시험을 하였다. 사용된 토양 시료의 단면적은 78.5cm2, 토양 시료의 길이는 23cm, 수두(head)를 4.3cm로 일정하게 유지하였을 때 수량이 1.32cm3/s로 집수되었다면 이 토양 시료의 투수계수 K(cm/sec)는?

  1. 9.00x10-2cm/sec
  2. 3.14x10-2cm/sec
  3. 9.00x10-3cm/sec
  4. 3.14x10-3cm/sec
(정답률: 54%)
  • 정수구 투수시험에서 측정된 집수율 Q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Q = K * A * h

    여기서 K는 토양의 투수계수(cm/sec), A는 단면적(cm2), h는 수두(cm)이다. 이를 K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K = Q / (A * h)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K = 1.32cm3/s / (78.5cm2 * 4.3cm)
    = 0.0009cm/s
    = 9.00x10-2cm/sec

    따라서 정답은 "9.00x10-2c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지하수위가 높은 점성질 세립사층에 표준관입 시험을 실시한 경과 N값이 27이었을 때, 이를 보정한 보정치 N값은?

  1. 21
  2. 25
  3. 29
  4. 33
(정답률: 59%)
  • N'=15+1/2*(N-15)
    답: 21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의 거칠기 상수를 닺는 절리 중 가장 거친 절리면을 갖는 것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79%)
  • 거칠기 상수가 클수록 절리의 표면이 거칠어지므로, 가장 거친 절리는 거칠기 상수가 가장 큰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압밀의 진행정도를 표시하는 압밀도를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값은?

  1. 과압밀비
  2. 압밀하중
  3. 초기 침하량
  4. 초기 과잉간극수압
(정답률: 54%)
  • 압밀도는 압밀하중과 초기 침하량, 그리고 초기 과잉간극수압에 의해 결정됩니다. 초기 과잉간극수압은 압밀이 시작될 때 압밀체와 지반 사이의 간극압력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압밀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초기 과잉간극수압을 알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암반 분류법인 RMR과 Q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RMR은 굴착막장의 자립시간을 제시하고 있다.
  2. Q 시스템이 RMR 분류법보다 지보대책이 다양하다.
  3. 두 방법 모두 불연속면의 방향성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다.
  4. Q 시스템은 지보의 필요성을 공동의 크기와 관련하여 판정한다.
(정답률: 66%)
  • "두 방법 모두 불연속면의 방향성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RMR은 불연속면의 방향성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Q 시스템은 불연속면의 방향성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지만 이는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RMR은 굴착막장의 자립시간을 제시하고, Q 시스템은 지보대책이 다양하며 지보의 필요성을 공동의 크기와 관련하여 판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산사태의 발생요인 중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은?

  1. 강우
  2. 지진
  3. 지질구소
  4. 암석의 압축강도
(정답률: 71%)
  • 산사태는 지형적인 요인과 지질학적인 요인이 결합하여 발생하는데, 강우, 지진, 지질구소는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산사태를 유발하는 요인이지만, 암석의 압축강도는 산사태 발생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암석의 압축강도는 산사태 발생 후 산사태의 규모와 영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주상절리가 발단된 암반사면에서 발생되기 쉬운 파괴형태는?

  1. 원호파괴
  2. 쐐기파괴
  3. 전도파괴
  4. 평면파괴
(정답률: 68%)
  • 주상절리가 발단된 암반사면에서 발생되기 쉬운 파괴형태는 "전도파괴"입니다. 이는 암반 내부에서 약한 부분이나 결함이 있는 부분에서 시작되어, 그 부분을 따라 파괴가 전파되는 형태입니다. 이러한 전도파괴는 암반 내부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예측하기 어렵고, 갑작스러운 주상절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불연속면의 주향과 경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향은 북을 기준으로 하여 표시한다.
  2. 주향과 진경사의 방향은 항상 직각이다.
  3. 주향은 불연속면과 수평면의 교선의 방향을 이르는 말이다.
  4. 진경사는 불연속면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이 최대인 둔각은 말한다.
(정답률: 74%)
  • "진경사는 불연속면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이 최대인 둔각은 말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진경사는 불연속면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이 최소인 예각이다. 이는 불연속면에서 물체가 미끄러지는 방향을 나타내며, 경사면에서의 기울기와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자하공동 시공을 위한 지질조사 시 각 단계에 따른 조사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공단게 - 조사갱 조사
  2. 계획 초기단계 - 기존 자료 조사
  3. 계획 중간단계 - 지표 지질 조사
  4. 계획 최종단계 - 원위치 암반시험
(정답률: 71%)
  • 정답: "시공단게 - 조사갱 조사"

    시공단계에서는 이미 조사갱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사갱 조사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시공단계에서는 조사갱을 이용하여 지하수 및 지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시공과 관련된 안전성 및 안정성을 평가하는 등의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 계획 초기단계 - 기존 자료 조사: 지역의 지질 및 지형, 지하수 및 지반의 특성 등을 파악하기 위해 기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합니다.
    - 계획 중간단계 - 지표 지질 조사: 지표 지질을 조사하여 지하수 및 지반의 특성을 파악합니다.
    - 계획 최종단계 - 원위치 암반시험: 원위치 암반시험을 통해 지하수 및 지반의 특성을 더욱 정밀하게 파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흙의 밀도 중 가장 작은 값을 갖는 것은?

  1. 건조밀도
  2. 수중밀도
  3. 습윤밀도
  4. 포화밀도
(정답률: 66%)
  • 수중밀도가 가장 작은 값이다. 이는 물에 떠있는 물체의 밀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물에 떠있는 물체는 물보다 가벼우므로 수중밀도가 더 작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보다 더 작은 값을 갖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 유선망을 그렸을 때, 최고등수두선과 최저 등수두선 간의 전수두 차이는?

  1. 2.8m
  2. 3.2m
  3. 3.6m
  4. 4.2m
(정답률: 72%)
  • 유선망이 그려진 구조물에서 최고등수두선은 가장 높은 지점을 연결하는 두 유선의 길이의 합이고, 최저 등수두선은 가장 낮은 지점을 연결하는 두 유선의 길이의 합입니다. 따라서, 최고등수두선은 3.6m + 0.6m = 4.2m 이고, 최저 등수두선은 2.8m + 0.4m = 3.2m 입니다. 따라서, 최고등수두선과 최저 등수두선 간의 전수두 차이는 4.2m - 3.2m = 1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광상학

81. 두 지층사이의 관계가 부정합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조사사항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지층사이에서 역암을 찾으려고 한다.
  2. 두 지층의 주향과 경사를 세밀히 측정한다.
  3. 두 지층을 구성하는 입자 크기를 비교해 본다.
  4. 두 지층 속에 들어있는 화석으로 시간관계를 알아본다.
(정답률: 63%)
  • 두 지층을 구성하는 입자 크기를 비교하는 것은 부정합한 관계를 확인하는 데 적당하지 않은 조사사항이다. 이는 지층을 구성하는 입자 크기가 다르다고 해서 반드시 부정합한 관계라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조사사항은 지층의 연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는 있지만, 부정합한 관계를 확인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지진의 발생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심한 단층작용
  2. 지하동굴의 함몰
  3. 마그마의 급격한 팽창
  4. 풍성퇴적물의 급격한 이동
(정답률: 80%)
  • 풍성퇴적물은 지하 수로나 강 등에서 많이 발생하는 토사나 모래 등의 퇴적물을 말합니다. 이러한 풍성퇴적물이 급격하게 이동하면 지하에 있는 암석들을 충격으로 움직이게 하여 지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풍성퇴적물의 급격한 이동이 지진의 발생 원인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작은 광맥들이 서로 교차하면서 그물 모양으로 얽혀있는 광맥은?

  1. 단성광맥
  2. 망상광맥
  3. 복성광맥
  4. 수지상 광맥
(정답률: 80%)
  • 망상광맥은 작은 광맥들이 서로 교차하면서 그물 모양으로 얽혀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망상광맥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단성광맥은 하나의 광맥이 직선적으로 이어져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복성광맥은 여러 개의 광맥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수지상 광맥은 광물이 수지 상태로 존재하는 광맥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반암동(Porphyry Copper) 광상과 관계가 없는 광산은?

  1. 일본 히시카리 광산
  2. 필리핀 레판토 광산
  3. 칠레 엘살바도르 광산
  4. 미국 산 마누엘-칼라마주 광산
(정답률: 52%)
  • 반암동 광산은 대부분 청동광, 황동광 등의 금속 광물이 함유된 광산이지만, 일본 히시카리 광산은 유리용석이 주 원료인 광산이기 때문에 반암동 광산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퇴적광상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괴상
  2. 반상
  3. 층상
  4. 섬유상
(정답률: 80%)
  • 퇴적광상은 퇴적물 중에서 입자 크기와 모양, 배치 등이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퇴적물이 층상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퇴적광상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층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반암형 광상은 산출되는 금속원소의 종류에 의해 크게 5가지로 구분된다. 다음 중 산출되는 금속 원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구리
  2. 몰리브덴
(정답률: 5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한반도의 대표적인 금은광산인 운산, 대동광산과 같이 제3기 이전의 화강암, 섬록암, 석영반암 및 섬록암 등의 관입암체에 수반되는 광맥광상에서 주로 관찰되는 주요 광물(유화광물 및 광석광물)이 아닌 것은?

  1. 자연금
  2. 중정석
  3. 유비철석
  4. 자류철석
(정답률: 31%)
  • 중정석은 화강암, 섬록암, 석영반암 및 섬록암 등의 관입암체에 수반되는 광맥광상에서 주로 관찰되는 주요 광물이 아니라, 다른 지질학적 환경에서 발견되는 광물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반암 몰리브덴(Mo)광상의 가장 일반적인 관계 화성암은?

  1. 반려암
  2. 화강암
  3. 화강섬록암
  4. 듀나이트(dunite)
(정답률: 52%)
  • 반암 몰리브덴(Mo) 광상은 대부분 지각층에서 발견되며, 화강암은 지각층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암석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반암 몰리브덴(Mo) 광상의 가장 일반적인 관계 암석은 화강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규모의 고령토 산출상을 보이는 경상남도 하동 및 산청 지역 고령토의 주 구성광물은?

  1. 딕카이트
  2. 나크라이트
  3. 할로이사이트
  4. 카올리나이트
(정답률: 64%)
  • 경상남도 하동 및 산청 지역의 고령토는 주로 할로이사이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이 지역의 지질학적 특성과 지하수의 영향으로 인해 형성된 것으로, 딕카이트, 나크라이트, 카올리나이트 등 다른 광물도 함유하고 있지만, 할로이사이트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때때로 품위가 높은 합금맥을 형성하는 알래스카이트(Alaskite) 암맥은 어떤 암석의 변종인가?

  1. 섬장암
  2. 안산암
  3. 유문암
  4. 화강암
(정답률: 54%)
  • 알래스카이트는 화강암의 일종입니다. 화강암은 광물 조각들이 크게 보일 정도로 느슨하게 결합한 암석으로, 대표적인 예로는 화산암이나 편마암 등이 있습니다. 알래스카이트는 화강암 중에서도 특히 품위가 높은 합금맥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금속광산에서 경제성 있는 금속광물의 주된 산상들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황화광물-산화광물
  2. 산화광물-규산염광물
  3. 황화광물-규산염광물
  4. 규산염광물-탄산염광물
(정답률: 53%)
  • 정답은 "황화광물-산화광물" 입니다. 이유는 금속광산에서 경제성 있는 금속광물 중 대부분이 황화물이나 산화물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황화물은 주로 황, 구리, 납, 아연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산화물은 주로 철, 알루미늄, 망간 등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광물이 주된 산상으로 짝지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우리나라 서해안과 같이 굴곡이 많고 섬이 많은 해안은?

  1. 융기해안
  2. 함몰해안
  3. 피오르드 해안
  4. 리아스식 해안
(정답률: 85%)
  • 리아스식 해안은 해안선이 굴곡이 많고, 강이나 강이 만드는 산호나 해저 지형 등으로 인해 많은 작은 섬이 있는 해안을 말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서해안과 같이 굴곡이 많고 섬이 많은 해안은 리아스식 해안입니다. 융기해안은 해안이 노출되어 있는 지형을 말하며, 함몰해안은 해저 지형이 높아져서 해안이 침식되어 만들어진 지형을 말합니다. 피오르드 해안은 해저 지형이 침식되어 만들어진 깊은 만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견운모 변질대의 광물조합으로 옳은 것은?

  1. 석영-견운모-황철석-휘석
  2. 석영-견운모-자철석-각섬석
  3. 석영-견운모-황철석-녹니석
  4. 석영-견운모-휘수연석-녹니석
(정답률: 55%)
  • 견운모 변질대는 저온 고압 환경에서 형성되는 광물 조합으로, 석영, 견운모, 황철석, 녹니석 등이 함께 나타납니다. 따라서 옳은 광물 조합은 "석영-견운모-황철석-녹니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우리나라 우라늄광상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고생대 퇴적광상
  2. 중생대 함우라늄 열수광상
  3. 선캠브리아기 변성우라늄광상
  4. 선캠브리아기 함우라늄 페그마타이트광상
(정답률: 43%)
  • 우리나라에는 고생대, 선캠브리아기 등 다양한 시기의 우라늄광상이 있지만, 중생대 함우라늄 열수광상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중생대 함우라늄 열수광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스카른(Skarn) 광물에 속하는 것은?

  1. 규회석, 석류석
  2. 방해석, 중정석
  3. 사장석, 정장석
  4. 흑운모, 감람석
(정답률: 77%)
  • 스카른(Skarn) 광물은 저온, 고압하에서 형성되는 광물로서, 주로 철,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등의 금속과 광물이 혼합된 형태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규회석, 석류석"은 철, 마그네슘, 칼슘 등의 금속과 혼합된 형태로 나타나는 스카른 광물에 속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스카른 광물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무연탄층이 제일 많이 협재되고 있는 지층은?

  1. 경상계
  2. 옥천계
  3. 조선계
  4. 평안계
(정답률: 66%)
  • 우리나라에서 무연탄층이 제일 많이 협재되고 있는 지층은 "평안계"입니다. 이는 평안도 지역이 대표적으로 협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암염, 석고가 속한 주요광상은?

  1. 기성광상
  2. 변성광상
  3. 접촉광상
  4. 퇴적광상
(정답률: 75%)
  • 암염과 석고는 모두 퇴적광물이기 때문에, 이들이 속한 주요광상은 퇴적광상입니다. 퇴적광상은 퇴적물이나 퇴적암석에서 발견되는 광물로, 강, 호수, 바다 등에서 퇴적된 물질들이 압축되고 굳어져서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평안계 지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부에는 약간의 해성층이 개재되어 있으나 대부분이 육성층에 속한다.
  2. 석회석 중에는 방추충의 화석이 발견되며 탄층상반에는 식물화석이 있다.
  3. 습곡과 단층에 의해 심히 교란되어 있고 다량의 화성암류의 관입을 받아 편암, 편마암으로 변성되어 있다.
  4. 여러 색의 사암, 셰일, 석회석 등으로 되어 있으며, 그 중하부에는 석탄층이 수층 협재되어 있다.
(정답률: 52%)
  • 평안계 지층은 습곡과 단층에 의해 심하게 교란되어 있고 다량의 화성암류의 관입을 받아 편암, 편마암으로 변성되어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이는 경상도 지층에 해당하는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페그마타이트 광상(pegmatite deposits)의 산출 특성은?

  1. 교대구조
  2. 대상구조
  3. 충식구조
  4. 층상구조
(정답률: 47%)
  • 페그마타이트 광상은 대상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는 광물이 큰 결정으로 성장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과 시간이 있었기 때문이다. 대상구조는 광물이 성장할 수 있는 큰 공간을 제공하며, 이는 페그마타이트 광상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대상구조는 광물이 성장하는 동안 화학적 조건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제3기 지층의 분포면적이 대단히 협소한 우리나라에서 제3기 지층에 해당하는 것은?

  1. 묘곡층
  2. 장성층
  3. 서귀포층
  4. 회동리층
(정답률: 70%)
  • 제3기 지층은 대한민국에서 분포면적이 매우 협소하며, 주로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에 분포합니다. 이 중에서도 서귀포층은 제주도 서귀포 지역에서 발견된 지층으로, 제3기 지층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서귀포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