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과목 구분 없음
1. 상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진로상담의 목표로 옳지 않은 것은?
3. 행동 치료에서 다음 설명에 공통으로 해당하는 것은?
4. 구성주의 진로이론의 진로양식면접(Career Style Interview)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크럼볼츠(Krumboltz)의 진로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 상담에서 비밀보장의 한계나 예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 렌트(Lent), 브라운(Brown), 해켓(Hacket) 등의 사회인지진로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 직업상담의 종결 시점에서 상담자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9. 직업상담에서 직업카드분류법을 활용하는 목적만을 모두 고르면?
10. 생애진로사정(Life Career Assessment : LCA)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 경력개발을 위한 상담에서 직업상담사가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역만을 모두 고르면?
12. 수퍼(Super)의 진로발달 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3. 직업상담의 초기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갓프레드슨(Gottfredson)의 직업발달 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5. 행동주의 상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16. 에릭슨(Eric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에서 (가)에 공통으로 들어갈 용어는?
17. 진로의사결정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8. 직업심리검사 개발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9. 집단상담과정 중 다음에 해당하는 단계는?
20. 해결중심치료(Solution Focused Therapy)에서 상담자의 질문기법과 효과를 옳게 설명한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