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T 정보통신상식(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4-23)

DIAT 정보통신상식(구)
(2011-04-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컴퓨터의 5대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입력장치
  2. 출력장치
  3. 제거장치
  4. 기억장치
(정답률: 93%)
  • 제거장치는 컴퓨터의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로, 5대 장치 중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입력장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 출력장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 기억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1Byte를 기준으로 상위 4Bit 또는 하위 4Bit를 의미하는 것은?

  1. 워드(Word)
  2. 니블(Nibble)
  3. 필드(Field)
  4. 레코드(Record)
(정답률: 60%)
  • 1Byte는 8Bit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상위 4Bit와 하위 4Bit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중 하나를 의미하는 용어가 "니블(Nibble)"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니블(Nibbl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앙처리장치 중 연산장치의 구성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가산기
  2. 미분기
  3. 누산기
  4. 보수기
(정답률: 87%)
  • 미분기는 중앙처리장치의 연산장치로 구성되지 않습니다. 미분기는 미분 연산을 수행하는 회로로, 주로 아날로그 회로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구성은 "가산기", "누산기", "보수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주기억장치 중 읽고 쓰는 것이 자유롭고, 전원이 없으면 내용이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는?

  1. 롬(ROM)
  2. 램(RAM)
  3. 자기디스크
  4. 광디스크
(정답률: 85%)
  • 램(RAM)은 읽고 쓰기가 자유롭고 전원이 꺼지면 내용이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컴퓨터가 작업을 처리할 때 일시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반면에 롬(ROM)은 읽기 전용 메모리이며, 자기디스크와 광디스크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전원이 꺼져도 내용이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출력장치가 아닌 것은?

  1. 레이저 프린터
  2. X-Y 플로터
  3. LCD모니터
  4. 스캐너
(정답률: 92%)
  • 스캐너는 입력장치이기 때문에 출력장치가 아니다. 스캐너는 문서나 이미지를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에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그래픽 관련 소프트웨어가 아닌 것은?

  1. 리터칭
  2. 포토샵
  3. 워드프로세서
  4. 페인팅
(정답률: 79%)
  • 워드프로세서는 문서 작성을 위한 소프트웨어로, 그래픽 관련 기능은 제한적입니다. 반면에 리터칭, 포토샵, 페인팅은 이미지 편집 및 그래픽 디자인을 위한 소프트웨어입니다. 따라서 워드프로세서는 그래픽 관련 소프트웨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운영체제의 성능평가 요인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처리능력
  2. 응답시간
  3. 신뢰도
  4. 그래픽카드
(정답률: 84%)
  • 운영체제의 성능평가 요인으로 그래픽카드는 올바르지 않습니다. 그래픽카드는 주로 그래픽 처리와 관련된 하드웨어이며, 운영체제의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따라서, 운영체제의 성능평가 요인으로는 처리능력, 응답시간, 신뢰도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자료가 수신되는 즉시 처리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즉시 응답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좌석 예약, 은행 업무 등에 사용되는 시스템은?

  1. 일괄 처리 시스템
  2. 다중 처리 시스템
  3. 실시간 처리 시스템
  4. 분산 처리 시스템
(정답률: 93%)
  • 실시간 처리 시스템은 자료가 수신되는 즉시 처리하여 즉각적인 응답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좌석 예약, 은행 업무 등과 같이 실시간으로 처리해야 하는 작업에 적합하다. 일괄 처리 시스템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자료를 처리하는 시스템, 다중 처리 시스템은 여러 개의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자료를 처리하는 시스템, 분산 처리 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자료를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Windows XP의 특징 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2. 플러그 앤 플레이
  3. 개체 연결 및 삽입
  4. CUI 환경
(정답률: 82%)
  • 정답: CUI 환경

    설명: Windows XP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을 제공하며, CUI(Command Line User Interface) 환경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GUI 환경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을 통해 하드웨어를 쉽게 인식하고 연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체 연결 및 삽입 기능을 통해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한 객체를 쉽게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단편화된 디스크 조각들을 모아 디스크의 입출력 속도를 개선하는 시스템 최적화 방법은 무엇인가?

  1. 디스크 검사
  2. 디스크 조각 모음
  3. 디스크 정리
  4. 디스크 포맷
(정답률: 85%)
  • 디스크 조각 모음은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들이 조각나서 분산되어 저장되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 조각들을 모아서 하나의 큰 파일로 만드는 작업이다. 이를 통해 디스크의 입출력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디스크 검사는 디스크의 오류를 찾는 작업, 디스크 정리는 사용하지 않는 파일들을 삭제하고 공간을 확보하는 작업, 디스크 포맷은 디스크를 초기화하는 작업으로, 이들은 디스크의 입출력 속도를 개선하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리눅스(Linux)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1. 단일 사용자, 단일 처리 시스템
  2. 유닉스와 호환 기능
  3. 다양한 사용자 지원
  4. 다양한 응용프로그램
(정답률: 82%)
  • 리눅스는 다양한 사용자를 지원하고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운영체제이지만, 단일 사용자와 단일 처리 시스템에 대한 지원은 제한적입니다. 이는 리눅스가 주로 서버 운영체제로 사용되기 때문에 다중 사용자와 다중 처리 시스템에 대한 지원이 강조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단일 사용자, 단일 처리 시스템"이 리눅스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Windows XP에서 컴퓨터 운영체제를 진단하기 위한 모드로 전자 장비에 이상이 생겼을 때 주로 실행되며, 진단 모드 또는 복구 모드로 불리는 부팅 메뉴는?

  1. 표준 모드
  2. 안전 모드
  3. 디버그 모드
  4. 대기 모드
(정답률: 94%)
  • 안전 모드는 Windows XP에서 컴퓨터 운영체제를 진단하기 위한 모드로, 전자 장비에 이상이 생겼을 때 주로 실행됩니다. 이 모드에서는 기본 드라이버만 로드되고, 시작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습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복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모드는 진단 모드 또는 복구 모드로 불리며, Windows XP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팅 메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Windows XP에서 복사기능의 단축키는?

  1. CTRL + C
  2. CTRL + Z
  3. ALT + A
  4. ALT + B
(정답률: 77%)
  • 정답은 "CTRL + C"입니다. 이는 "복사" 기능의 단축키로, 선택한 텍스트나 파일 등을 복사하여 다른 곳에 붙여넣기 할 수 있습니다. "CTRL + Z"는 "실행 취소" 기능의 단축키이며, "ALT + A"와 "ALT + B"는 Windows XP에서는 특별한 기능이 없는 단축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Windows XP에서 시스템 등록 정보 창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없는 탭의 이름은?

  1. 하드웨어 탭
  2. 컴퓨터 이름 탭
  3. 소프트웨어 탭
  4. 고급 탭
(정답률: 46%)
  • "소프트웨어 탭"은 Windows XP에서 시스템 등록 정보 창에서 확인할 수 있는 탭 중 하나이며, 설치된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 탭에서는 설치된 프로그램의 이름, 버전, 발행자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하드웨어 탭"은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 정보를 제공하며, "컴퓨터 이름 탭"은 컴퓨터의 이름과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제공합니다. "고급 탭"은 시스템의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운영체제 중 제어 프로그램의 종류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서비스 프로그램
  2.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3. 작업 관리 프로그램
  4. 감독(감시) 프로그램
(정답률: 70%)
  • 올바르지 않은 것은 "서비스 프로그램"입니다. 서비스 프로그램은 제어 프로그램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요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제어 프로그램의 종류로 올바르게는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작업 관리 프로그램", "감독(감시) 프로그램"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바이러스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나타스
  2. V3
  3. 미켈란젤로
  4. 멜리사
(정답률: 94%)
  • "나타스", "미켈란젤로", "멜리사"는 모두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바이러스 이름이지만, "V3"는 실제로 존재하는 바이러스가 아니라, 가상의 이름이기 때문에 바이러스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바이러스 예방 기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출처가 불분명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는다?
  2. 중요한 자료는 반드시 백업해 둔다.
  3. 인터넷을 통해서 다운받을 경우 항상 바이러스 감염 검사 후 사용한다.
  4. 백신 프로그램을 복사만 하면 별도의 관리는 필요 없다.
(정답률: 90%)
  • "백신 프로그램을 복사만 하면 별도의 관리는 필요 없다."는 올바르지 않은 예방 기법이다. 백신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어야 하며, 최신 바이러스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따라서 복사만 하고 관리하지 않으면 최신 바이러스에 대한 대응이 불가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압축프로그램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알집
  2. 윈집
  3. 밤톨이
  4. 알씨
(정답률: 79%)
  • 알씨는 압축프로그램이 아니라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파일 압축 및 해제 도구인 tar와 gzip을 사용하는 명령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보안에 대한 안전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접근 제어
  2. 인증
  3. 위조
  4. 부인봉쇄
(정답률: 92%)
  • 위조는 보안에 대한 안전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니라 보안 위협으로 간주됩니다. 위조란, 인증된 정보나 문서를 변조하여 불법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위조는 보안에 대한 안전을 확인하는 방법이 아니라 보안 위협으로 인식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보안이 필요한 네트워크의 통로로 단일화시켜 관리하며 외부의 불법침입을 막아주는 것은?

  1. 방화벽
  2. 암호화
  3. 백도어
  4. 비밀키
(정답률: 90%)
  • 방화벽은 네트워크의 통로를 단일화시켜 관리하며, 외부의 불법침입을 막아주는 보안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의 침입을 차단하고, 내부에서 외부로의 불필요한 정보 유출을 막아줍니다. 따라서 보안이 필요한 네트워크에서는 방화벽이 필수적인 보안장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인터넷 전화에 사용되는 기술로 올바른 것은?

  1. GPS
  2. RFID
  3. VoIP
  4. Bluetooth
(정답률: 79%)
  • 정답: VoIP

    설명: VoIP는 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을 통해 음성 통화를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인터넷 전화에 사용되는 기술로 올바른 것은 VoIP입니다. GPS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 RFID는 무선 인식 기술, Bluetooth는 무선 통신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사용자가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손이나 특수장치를 갖다 대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명령이 실행되는 입출력 겸용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터치 스크린
  2. 와이파이
  3. 바코드
  4. 마우스
(정답률: 87%)
  •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화면을 터치하면, 그 위치를 감지하여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명령이 실행되는 입출력 장치가 바로 터치 스크린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이동전화 회사가 자체 시설이 없는 해외에서 다른 회사 시설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통화 할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핸드오프
  2. 로밍
  3. Wibro
  4. PDA
(정답률: 90%)
  • 로밍은 이동전화 회사가 자체 시설이 없는 해외에서 다른 회사 시설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통화 할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즉, 해외에서 이동전화를 사용할 때 다른 이동통신사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화, 문자, 데이터 통신 등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 배경과 거리가 먼 것은?

  1. 데이터 압축 기술의 발전
  2. 아날로그 데이터 기술의 발전
  3. 인터넷 기술의 발전
  4.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
(정답률: 92%)
  • 아날로그 데이터 기술은 디지털 기술과는 전혀 다른 분야이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멀티미디어 기술은 주로 디지털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이며, 디지털 데이터의 처리와 전송을 위한 기술들이 발전하면서 멀티미디어 기술도 발전해왔습니다. 반면에 아날로그 데이터 기술은 주로 아날로그 신호를 다루는 기술로, 멀티미디어 기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멀티미디어의 특징 중 텍스트, 그래픽, 오디오, 동영상 등 여러가지 매체를 통하여 처리하는 특징은?

  1. 쌍방향성
  2. 통합성
  3. 비선형성
  4. 디지털화
(정답률: 40%)
  • 멀티미디어는 텍스트, 그래픽, 오디오, 동영상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므로, 이러한 매체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작품으로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통합성은 멀티미디어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이며, 다양한 매체들을 조합하여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일반적인 TV 수신카드로 TV 전파의 수신이나 출력 기능에 중첩 기능이 추가된 것으로, 영상의 저장이나 편집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 것은?

  1. MPEG 보드
  2. 비디오 캡쳐 보드
  3. 프레임 그레버 보드
  4. 비디오 오버레이 보드
(정답률: 39%)
  • 비디오 오버레이 보드는 TV 전파의 수신이나 출력 기능에 중첩 기능이 추가된 것으로, 영상의 저장이나 편집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 일반적인 TV 수신카드와는 달리, 이미지나 텍스트 등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중첩하여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영상의 저장이나 편집 기능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MPEG 보드는 MPEG 압축/해제 기능을 제공하며, 비디오 캡쳐 보드는 TV 신호를 컴퓨터에 캡쳐하여 저장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프레임 그레버 보드는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멀티미디어 그래픽 기법 중 한 장의 그림을 한 프레임씩 촬영하여 연속적으로 보여 주어 그림이 마치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도록 표현하는 기법은?

  1. 랜더링
  2. 모핑
  3. 애니메이션
  4. 와핑
(정답률: 80%)
  • 애니메이션은 한 장의 그림을 연속적으로 보여주어 움직이는 것처럼 만드는 기법이다. 따라서 이 기법은 그림을 프레임 단위로 촬영하여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OA 활용

28. 한글 2005에서 일정한 작업 순서를 특정키에 기억시켜 두었다가 필요할 때 빠르게 작업해 주는 기능은?

  1. 매크로
  2. 블록 계산
  3. 스타일
  4. 주석
(정답률: 81%)
  • 매크로는 사용자가 일련의 작업을 미리 녹음해두고, 필요할 때마다 특정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기능이다. 따라서 일정한 작업 순서를 자주 반복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매크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한글 2005에서 문서 내의 단어나 문장을 보충설명하기 위해 문서의 끝이나 해당 페이지 아래쪽에 설명을 해 놓는 기능은?

  1. 스타일
  2. 상용구
  3. 각주/미주
  4. 다단
(정답률: 80%)
  • 각주/미주는 문서 내에서 특정 단어나 문장에 대한 보충설명을 문서의 끝이나 해당 페이지 아래쪽에 작은 문자나 숫자로 표기하고, 해당 표기와 함께 보충설명을 작성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문서의 내용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스프레드시트의 수식 오류값과 그에 대한 발생 원인으로 알맞은 것은?

  1. #REF! : 수식에 값을 0으로 나누려고 할때
  2. #NUM! : 셀 참조가 유효하지 않을 때
  3. #NAME? : 잘못된 인수나 피 연산자를 사용 했을 때
  4. #N/A : 함수나 수식에 사용할 수 없는 값을 지정했을 때
(정답률: 34%)
  • #N/A : 함수나 수식에 사용할 수 없는 값을 지정했을 때 - 이 오류는 함수나 수식에서 사용할 수 없는 값이 입력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함수에 필요한 인수가 누락되었거나, 잘못된 데이터 유형이 입력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오류는 데이터를 다시 확인하고 올바른 형식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엑셀의 기능 중 많은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새로운 표 형식으로 요약하여 표현할 때 사용하는 기능은?

  1. 매크로
  2. 피벗 테이블
  3. 시나리오
  4. 필터
(정답률: 71%)
  • 피벗 테이블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새로운 표 형식으로 요약하여 표현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빠르게 분석하고, 필요한 정보를 쉽게 추출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필터링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를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할 수 있으며, 집계, 합계, 평균 등의 계산도 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벗 테이블은 대량의 데이터를 다루는 업무에서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MS 파워포인트 2003에서 프리젠테이션을 구성하는 하나의 화면 단위는?

  1. 슬라이드
  2. 개요
  3. 시나리오
  4. 마스터
(정답률: 80%)
  • MS 파워포인트 2003에서 프리젠테이션을 구성하는 하나의 화면 단위는 "슬라이드"입니다. 이는 프리젠테이션의 각 페이지를 의미하며, 각 슬라이드는 텍스트, 이미지, 도형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슬라이드는 프리젠테이션의 구성과 전달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각 슬라이드는 다음 슬라이드와의 연결고리를 이루어 전체 프리젠테이션의 흐름을 구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MS 파워포인트 2003의 마스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유인물 마스터
  2. 슬라이드 마스터
  3. 슬리이드 쇼 마스터
  4. 슬라이드 노트 마스터
(정답률: 90%)
  • 슬리이드 쇼 마스터는 MS 파워포인트 2003에는 존재하지 않는 마스터 종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MS 파워포인트 2003의 마스터 종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터넷 활용

34. 다음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중앙에 컴퓨터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각각의 터미널이 1:1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는 무엇인가?

  1. 성형
  2. 버스형
  3. 링형
  4. 분산형
(정답률: 60%)
  • 정답은 "성형"이다. 성형은 중앙에 있는 컴퓨터를 중심으로 각각의 터미널이 1:1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구조는 중앙 컴퓨터가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므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리고, 중앙 컴퓨터에 장애가 발생하면 전체 시스템이 마비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정보 통신 방식 중 시간적 간격 없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전송 방식은?

  1. 단방향 통신
  2. 반이중 통신
  3. 전이중 통신
  4. 비동기 코드
(정답률: 79%)
  • 전이중 통신은 동시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방식으로,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일어나며 시간적 간격 없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단방향 통신, 반이중 통신, 비동기 코드와는 달리 실시간 대화나 파일 전송 등에 적합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기존의 통신망에 특정한 부가가기츨 첨가하여 고도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LAN
  2. WAN
  3. ATM
  4. VAN
(정답률: 64%)
  • 정답: VAN

    설명: VAN은 Value-added Network의 약자로, 기존의 통신망에 추가적인 부가가치를 더하여 고도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이나 기관 등에서 안전하고 신속한 데이터 전송, 전자상거래, 전자금융 등을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은 VAN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LAN의 특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하드웨어 및 주변장치를 공유할 수 있다.
  2. 프로그램 및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3. 조직 구성원간의 원활한 의사 교환이 가능하다.
  4. 정보의 신속한 공유와 전달은 불가능하다.
(정답률: 84%)
  •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지리적으로 가까운 지역 내에서 컴퓨터들을 연결하여 구성하는 네트워크이다. 따라서 조직 구성원들 간의 원활한 의사 교환이 가능하며, 하드웨어 및 주변장치, 프로그램 및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하지만 정보의 신속한 공유와 전달은 불가능하다는 것은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LAN은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하기 때문에 정보의 신속한 공유와 전달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무선전송설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가공 나선
  2. 위성 통신
  3. 기계 교환
  4. 패킷 교환
(정답률: 40%)
  • 정답은 "가공 나선"입니다.

    "가공 나선"은 무선전송설과는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위성 통신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하는 방식이며, 기계 교환은 전화망에서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로, 전화기와 전화국 사이에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패킷 교환은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중 하나로, 데이터를 작은 단위인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전송되며, 도착한 순서대로 재조립되어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데이터 교환 방식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메시지 교환
  2. 회선 교환
  3. 기계 교환
  4. 패킷 교환
(정답률: 79%)
  • 기계 교환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전용 회선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량이 적고 전송 시간이 길어도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회선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다른 통신 요청을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지고 비용이 많이 듭니다. 따라서 기계 교환은 다른 방식에 비해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인터넷 익스플로러 7.0에서 인터넷 옵션에 표시되는 탭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수정
  2. 연결
  3. 프로그램
  4. 보안
(정답률: 77%)
  • 정답은 "연결"입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7.0에서는 "연결" 탭이 아닌 "네트워크 및 인터넷" 탭이 표시됩니다. 따라서 "연결" 탭은 올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원격지의 컴퓨터로부터 파일으 주고 받을 수 있는 원격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올바른 것은?

  1. Gopher
  2. IRC
  3. Usenet
  4. FTP
(정답률: 75%)
  • 정답은 "FTP"입니다.

    FTP는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입니다. FTP를 사용하면 원격지의 컴퓨터와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으며,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반면, Gopher는 인터넷에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IRC는 인터넷 상에서 대화를 나누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Usenet은 인터넷 상에서 뉴스 그룹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들은 파일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OSI 7 계층 중 에러 제어, 통신량 제어, 데이터 분할 등을 수행하는 계층은 무엇인가?

  1. 응용 계층
  2. 세션 계층
  3. 전송 계층
  4. 물리 계층
(정답률: 45%)
  • 전송 계층은 데이터의 전송을 관리하며, 에러 제어, 통신량 제어, 데이터 분할 등을 수행합니다. 이 계층은 송신 측과 수신 측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며, TCP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재조립합니다. 따라서, 전송 계층이 에러 제어, 통신량 제어, 데이터 분할 등을 수행하는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TCP/IP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포트 번호와 프로토콜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FTP : 31
  2. DNS : 63
  3. NNTP : 129
  4. POP3 : 110
(정답률: 68%)
  • POP3는 이메일을 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이메일 클라이언트가 이를 사용하여 이메일 서버로부터 이메일을 가져옵니다. 이때 POP3 프로토콜은 110번 포트를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따라서 "POP3 : 110"이 올바른 연결입니다. FTP는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로 21번 포트를 사용하며, DNS는 도메인 이름을 해석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53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NNTP는 네트워크 뉴스 전송 프로토콜로 119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인터넷 상에서 음성이나 동영상 등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캡쳐
  2. 인코딩
  3. 즐겨찾기
  4. 스트리밍
(정답률: 84%)
  • 스트리밍은 인터넷 상에서 실시간으로 음성이나 동영상 등을 재생하는 기술을 말한다. 즉, 파일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도 바로 재생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는 파일을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동시에 재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필요 없이 실시간으로 콘텐츠를 즉시 재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인터넷 순기능으로 올바르지 않는 것은?

  1. 정보 검색
  2. 도박 사이트
  3. 온라인 교육
  4. 사이버 상담
(정답률: 94%)
  • 도박 사이트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며, 건전한 인터넷 문화와는 맞지 않기 때문에 인터넷 순기능으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웹에서 3차원 가상공간을 표현하고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웹 프로그래밍 언어는?

  1. VRML
  2. HTML
  3. SGML
  4. XML
(정답률: 70%)
  • VRML은 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의 약자로, 3차원 가상공간을 표현하고 조작할 수 있는 웹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HTML, SGML, XML은 모두 마크업 언어이지만, 3차원 가상공간을 표현하고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VRM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온라인 인맥 구축을 목적으로 개설된 커뮤니티형 웹사이트로서 트위터, 페이스북, 싸이월드 같은 1인 미디어와 정보공유 등을 포괄하는 개념의 서비스는?

  1. IPTV
  2. SNS
  3. VoIP
  4. HTTP
(정답률: 93%)
  • SNS는 Social Networking Service의 약자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이는 온라인 인맥 구축을 목적으로 개설된 커뮤니티형 웹사이트로서, 트위터, 페이스북, 싸이월드 등 1인 미디어와 정보공유 등을 포괄하는 개념의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SNS가 올바른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전자메일 프로토콜 중 메일을 송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은?

  1. POP3
  2. STMP
  3. NNTP
  4. IMAP
(정답률: 74%)
  • SMTP는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이메일을 송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POP3, NNTP, IMAP는 모두 이메일을 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이메일을 보내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SMT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자 우편의 헤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o : 받는 사람 주소
  2. Bcc : 숨은 참조자 주소
  3. Date : 전송 일자 및 시간
  4. Cc : 보내는 사람 주소
(정답률: 55%)
  • 정답: "Cc : 보내는 사람 주소"

    해설: Cc는 "참조"를 의미하며, 이메일을 받는 사람 외에도 다른 사람에게도 이메일을 보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Cc에는 보내는 사람의 주소가 아닌, 참조할 사람의 주소가 들어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각종 PC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수신자가 받고 싶지 않은 내용의 각종 홍보 또는 광고성 전자메일을 말하며 정크메일 또는 광고메일로 불리는 이메일의 종류는 무엇인가?

  1. 동보 메일
  2. 스팸 메일
  3. 옵트인 메일
  4. 수신 메일
(정답률: 91%)
  • 스팸 메일은 불특정 다수에게 수신자가 받고 싶지 않은 내용의 각종 홍보 또는 광고성 전자메일을 말합니다. 이는 PC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해 대량으로 발송되며, 수신자의 동의 없이 발송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스팸 메일은 불법적인 메일로 간주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