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T 정보통신상식(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8-27)

DIAT 정보통신상식(구)
(2011-08-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손바닥 위에 놓고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로 크기를 줄이기 위해 액정표시장치(LCD)나 가스 플라즈마 등으로 화면을 구성하고, 키보드 대신 문자 인식 소프트웨어 또는 펜 모양의 입력장치를 사용하는 컴퓨터는?

  1. 노트북(Notebook)
  2. 팜톱 컴퓨터(Palmtop Computer)
  3. 초대형 컴퓨터(Super Computer)
  4. 개인용 컴퓨터(PC)
(정답률: 76%)
  • 팜톱 컴퓨터는 손바닥에 들어갈 정도로 작고 휴대성이 뛰어나며, 문자 인식 소프트웨어나 펜 모양의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키보드 없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노트북은 휴대성은 있지만 키보드와 트랙패드 등의 입력장치가 필수적으로 탑재되어 있습니다. 초대형 컴퓨터는 대규모 연산이 가능한 컴퓨터이며, 개인용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컴퓨터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정보의 최소 단위로서 0과 1의 두가지 상태를 표시하는 2진수 1자리를 의미하는 것은?

  1. 비트
  2. 니블
  3. 바이트
  4. 워드
(정답률: 100%)
  • 정보를 컴퓨터에서 처리하기 위해서는 0과 1의 두 가지 상태를 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정보의 최소 단위로서 0과 1의 두 가지 상태를 표시하는 2진수 1자리를 사용합니다. 이 2진수 1자리를 비트(bit)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중앙처리장치의 구성 중 CPU에서 처리할 명령이나 처리된 데이터 등을 임시로 기억하는 것은?

  1. 제어장치
  2. 연산장치
  3. 전달장치
  4. 레지스터
(정답률: 70%)
  •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 있는 기억장치로, 처리할 명령이나 처리된 데이터 등을 임시로 기억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CPU에서 처리할 명령이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레지스터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주기억장치가 아닌 것은?

  1. 램(RAM)
  2. 롬(ROM)
  3. 자기코어(Magnetic Core)
  4. 자기디스크(Magnetic Disk)
(정답률: 47%)
  • 자기디스크는 주기억장치가 아닌 보조기억장치이다. 주기억장치는 CPU가 직접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공간으로, 램과 롬, 자기코어 등이 해당된다. 반면에 자기디스크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불러와 사용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주로 객관식 시험용 답안지 채점 등에 사용되며 특수한 연필이나 사인펜으로 표시한 카드에 빛을 비추어 표시 여부를 판독하는 장치는?

  1. OMR
  2. OCR
  3. Bar Code Reader
  4. MICR
(정답률: 90%)
  • OMR은 Optical Mark Recognition의 약자로, 광학식 마크 인식 기술을 의미합니다. 객관식 시험용 답안지 등에 사용되며, 특수한 연필이나 사인펜으로 표시한 카드에 빛을 비추어 표시 여부를 판독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OMR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시스템 소프트웨어 분류 중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감시 프로그램
  2. 데이터관리 프로그램
  3. 서비스 프로그램
  4. 작업 제어 프로그램
(정답률: 75%)
  • 서비스 프로그램은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거나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제어 프로그램과는 다른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 프로그램은 시스템의 작업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하지만, 서비스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프린터 서비스나 인터넷 연결 등과 같은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서비스 프로그램은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두 개 이상의 CPU가 주기억장치를 공유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시스템을 말하는 것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다중처리시스템
  2. 일괄처리시스템
  3. 실시간처리시스템
  4. 분산처리시스템
(정답률: 79%)
  • 다중처리시스템은 두 개 이상의 CPU가 주기억장치를 공유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따라서, 다중처리시스템이 가장 알맞은 정답이다. 일괄처리시스템은 여러 개의 작업을 한 번에 처리하는 시스템, 실시간처리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 분산처리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하나의 시스템처럼 동작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요인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처리량
  2. 하드디스크 용량
  3. 신뢰도
  4. 응답 시간
(정답률: 79%)
  •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요인으로 하드디스크 용량은 올바르지 않은 것이다. 하드디스크 용량은 운영체제의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주로 저장 용량과 관련된 요소이다.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요인으로는 처리량, 신뢰도, 응답 시간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Windows XP에서 잘라내기 기능의 단축키는?

  1. Ctrl + Z
  2. Ctrl + X
  3. Alt + Z
  4. Alt + X
(정답률: 88%)
  • 정답은 "Ctrl + X"입니다. 이는 "잘라내기" 기능의 단축키로, 선택한 항목을 잘라내서 클립보드에 저장하고 해당 항목을 삭제합니다. 이후 "붙여넣기"를 하면 클립보드에 저장된 내용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유닉스(UNIX)의 파일 시스템 중 파일시스템을 관리하는 구역으로, I-Node 개수,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 블록의 개수 등을 저장하고 있는 것은?

  1. 부트 블록
  2. I-Node 블록
  3. 데이터 블록
  4. 슈퍼 블록
(정답률: 65%)
  • 슈퍼 블록은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는 구역으로, 파일 시스템의 메타데이터 정보를 저장하고 있습니다. 이 정보에는 파일 시스템의 크기, I-Node 개수, 사용 가능한 디스크 블록의 개수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파일 시스템의 구성과 관리에 필수적인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슈퍼 블록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유닉스(UNIX)의 기본구조 중 사용자의 컴퓨터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 해석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커널(Kernel)
  2. 유틸리티(Utility)
  3. 쉘(Shell)
  4. 부트(Boot)
(정답률: 50%)
  • 쉘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명령어 해석기이기 때문에, 사용자와 컴퓨터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쉘은 유닉스 시스템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자원을 공유한 상태에서, 서로 상대방의 작업이 끝나기 만을 무한정 기다리는 현상은?

  1. 교착상태
  2. 디스패치
  3. 프로세서
  4. 스케줄링
(정답률: 87%)
  • 교착상태는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서로 상대방의 자원을 기다리며 무한정 대기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는 자원을 공유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으며, 각 프로세스가 자원을 점유한 상태에서 다른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자원을 점유하고 있어 상호 대기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어떤 프로세스도 진행할 수 없기 때문에 시스템이 멈추게 되어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프로세스 스케줄링 방식 중 제한된 시간에 프로세스 작업을 완룐하는 기법으로, 제한된 시간에 프로세스 처리가 완료되지 않으면 폐기되거나 처음부터 다시 수행되는 것은?

  1. FIFO 방식
  2. 우선순위 방식
  3. 기한부 방식
  4. SRT 방식
(정답률: 76%)
  • 기한부 방식은 제한된 시간 안에 프로세스 작업을 완료하는 방식으로, 시간이 초과되면 프로세스가 폐기되거나 처음부터 다시 수행된다. 따라서 이 방식이 정답이다. FIFO 방식은 먼저 들어온 프로세스를 먼저 처리하는 방식, 우선순위 방식은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를 먼저 처리하는 방식, SRT 방식은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를 먼저 처리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일반적인 파일 확장자와 그에 대한 설명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압축파일 : ZIP, RAR, ARJ
  2. 시스템 파일 : JPG, GIF, BMP
  3. 동영상파일 : HTM, HTML
  4. 사운드파일 : SYS, INI
(정답률: 90%)
  • 압축파일은 파일 크기를 줄이기 위해 여러 파일을 하나로 묶어서 압축한 파일을 말합니다. ZIP, RAR, ARJ는 대표적인 압축파일 확장자입니다. ZIP은 무료로 사용 가능하고 대부분의 운영체제에서 지원되며, RAR은 압축률이 높아서 대용량 파일을 압축할 때 유용하며, ARJ는 보안성이 높아서 중요한 파일을 압축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유닉스(UNIX) 기본 명령어 중 디렉토리를 삭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top
  2. mkdir
  3. pwd
  4. rmdir
(정답률: 73%)
  • 정답: rmdir

    설명: rmdir은 remov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토리를 삭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디렉토리가 비어있을 때만 삭제할 수 있으며, 디렉토리 안에 파일이나 하위 디렉토리가 있으면 삭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디렉토리를 삭제하기 전에 해당 디렉토리 안에 있는 파일과 하위 디렉토리를 모두 삭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백신프로그램의 3대 기능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바이러스 검사
  2. 바이러스 치료
  3. 바이러스 예방
  4. 바이러스 제작
(정답률: 97%)
  • 바이러스 제작은 백신프로그램의 기능이 아닙니다. 백신프로그램은 바이러스 검사, 치료, 예방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이러스 제작은 악성코드를 만드는 과정으로, 보안 전문가나 해커 등이 수행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백신 프로그램의 종류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V3
  2. 알집
  3. 알약
  4. 바이로봇
(정답률: 83%)
  • 알집은 백신 프로그램이 아니라 파일 압축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압축 파일의 확장자가 아닌 것은?

  1. ALZ
  2. ZIP
  3. HWP
  4. RAR
(정답률: 88%)
  • 압축 파일의 확장자 중 "HWP"는 압축 파일이 아니라 한글 문서 파일의 확장자이기 때문에 정답은 "HWP"입니다. 압축 파일의 확장자로는 "ALZ", "ZIP", "RAR"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보안의 4대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밀성
  2. 무결성
  3. 가용성
  4. 위조
(정답률: 84%)
  • 위조는 보안의 4대 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기밀성은 정보가 누설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 무결성은 정보가 변조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 가용성은 정보에 대한 접근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가능하도록 보호하는 것입니다. 위조는 정보의 진위성을 보장하기 위한 요소로서, 무결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위조가 발생하면 정보의 무결성이 깨지게 되므로 보안에 위협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보안에 위협을 주는 것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백도어
  2. 방화벽
  3. 멜리사
  4. DDos
(정답률: 92%)
  • 방화벽은 보안에 도움을 주는 시스템으로, 외부에서 내부로의 불법적인 접근을 차단하고 내부에서 외부로의 민감한 정보 유출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방화벽 자체가 보안에 위협을 주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보안을 강화하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화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지도정보시스템이라고도 하며, 지도의 속성 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해 해석하는 시스템은?

  1. RFID
  2. VoIP
  3. WAN
  4. GIS
(정답률: 83%)
  • 지도의 속성 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해 해석하는 시스템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이다. 다른 보기인 RFID는 물건을 식별하는 기술, VoIP는 음성통화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기술, WAN은 광역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데이터 전송 방식 중, 전송의 방향은 양방향 가능 하지만 전송이 이루어지는 순간에는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이 가능한 방식을 뜻하는 것은?

  1. 반이중 통신
  2. 단방향 통신
  3. 전이중 통신
  4. 무선 통신
(정답률: 87%)
  • 반이중 통신은 양쪽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지만, 전송이 이루어지는 순간에는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이 가능한 방식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에는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양방향으로 전송이 가능하지만, 전송이 완료되면 송신과 수신이 분리되어 각각의 방향으로만 전송이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컴퓨터 작업의 후유증의 하나로 모니터에서 방사되는 해로운 전자파에 의해 유발하는 신체의 이상 징후 현상으로 올바른 것은?

  1. 피터팬 증후군
  2. 리마 증후군
  3. VDT 증후군
  4. 램프 증후군
(정답률: 97%)
  • VDT 증후군은 모니터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로 인해 발생하는 신체 이상 징후 현상을 말합니다. 이 증후군의 증상으로는 눈의 피로, 두통, 어지러움, 근육통 등이 있습니다. 이는 모니터를 오랫동안 사용하면서 눈과 뇌가 지속적으로 전자파에 노출되어 생기는 것으로, 적극적인 안전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 배경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
  2. 데이터 압축 기술의 발전
  3. 인터넷 기술의 발전
  4. 아날로그 무선 주파수 기술의 발전
(정답률: 100%)
  • 아날로그 무선 주파수 기술의 발전은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 배경으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이유는 아날로그 무선 주파수 기술은 주로 라디오와 텔레비전 등의 통신 기술에 사용되었으며,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 배경으로는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 데이터 압축 기술의 발전, 인터넷 기술의 발전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인터넷에서 음성이나, 영상, 애니메이션 등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법은?

  1. 스트리밍
  2. 하이퍼미디어
  3. 블루투스
  4. 스마트카드
(정답률: 90%)
  • 스트리밍은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음성, 영상, 애니메이션 등을 재생하는 기법으로, 파일을 다운로드하지 않고 바로 재생할 수 있어서 빠르고 편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그래픽 기법 중 기존의 이미지를 변형 및 수정하여 다른 형태로 만드는 기법은?

  1. 리터칭
  2. 모핑
  3. 랜더링
  4. 디더링
(정답률: 40%)
  • 리터칭은 이미지를 수정하거나 보완하는 기술로, 이미지의 색상, 밝기, 명암 등을 조정하거나 특정 부분을 삭제, 추가, 수정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기존의 이미지를 변형 및 수정하여 다른 형태로 만드는 기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컴퓨터에서 들어오는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 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는?

  1. 사운드카드
  2. 랜카드
  3. 그래픽카드
  4. TV수신카드
(정답률: 92%)
  • 컴퓨터에서 들어오는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그래픽카드가 필요합니다. 그래픽카드는 컴퓨터에서 생성된 그래픽 이미지를 모니터에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그래픽 처리를 위한 전용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가지고 있어 높은 해상도와 고화질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래픽카드는 영상 편집, 게임 등 그래픽 처리가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때 필수적인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OA 활용

28. 한글 2005의 편집 기능중 일련의 작업 순서를 특정키에 기억시켜 두었다가 필요할 때 빠르게 작업해 주는 기능은?

  1. 매크로
  2. 사용구
  3. 스타일
  4. 메일 머지
(정답률: 67%)
  • 매크로는 일련의 작업 순서를 미리 기억시켜 두고 필요할 때 빠르게 작업해 주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이 기능은 다른 보기인 "사용구", "스타일", "메일 머지"와는 다르게 작업의 자동화와 효율성을 높여주는 기능으로서, 특정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한글 2005에서 제공하는 기능이 아닌 것은?

  1. 각주/미주
  2. 글맵시
  3. 동영상 편집
  4. 다단
(정답률: 96%)
  • 한글 2005는 문서 작성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동영상 편집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한글 2005는 주로 문서 작성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데, 동영상 편집은 다른 전문적인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동영상 편집"은 한글 2005에서 제공하는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MS 엑셀 2003에서 텍스트 함수가 아닌 것은?

  1. LEFT
  2. HOUR
  3. RIGHT
  4. MID
(정답률: 88%)
  • "HOUR" 함수는 시간 값을 추출하는 함수로, 텍스트 함수가 아닌 숫자 함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LEFT", "RIGHT", "MID" 함수는 모두 문자열에서 일부분을 추출하는 텍스트 함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MS 엑셀 2003의 기능 중 많은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새로운 표 형식으로 요약하여 표현할 때 사용하는 기능은?

  1. 시나리오
  2. 피벗 테이블
  3. 필터
  4. 부분합
(정답률: 60%)
  • 피벗 테이블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새로운 표 형식으로 요약하여 표현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고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추출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시나리오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예측하는 기능, 필터는 데이터를 원하는 조건에 따라 추출하는 기능, 부분합은 데이터의 일부분을 합산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MS 파워포인트 2003에서 열기 기능의 단축키로 올바른 것은?

  1. Ctrl + O
  2. Ctrl + A
  3. Alt + O
  4. Alt + A
(정답률: 80%)
  • 정답: "Ctrl + O"

    설명: "Ctrl + O"는 MS 파워포인트 2003에서 "열기" 기능을 실행하는 단축키입니다. "Ctrl"은 "Control"의 줄임말로, 키보드 왼쪽 하단에 위치한 키입니다. "O"는 "Open"의 첫 글자로, 파일을 열기 위한 기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Ctrl + O"는 파일을 열기 위한 단축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MS 파워포인트 2003에서 선 또는 화살표 삽입시 15도씩 일정한 간격으로 삽일할 때 사용하는 키는?

  1. Tab
  2. Ctrl
  3. Shift
  4. Del
(정답률: 75%)
  • 정답은 "Shift"입니다. Shift 키를 누른 채로 선 또는 화살표를 그리면 15도씩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선이나 화살표를 정확하게 배치하고 균형있게 만들어주는데 도움이 됩니다. 다른 키들은 이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터넷 활용

34. 다음 중 무선 전송매체가 아닌 것은?

  1. 라디오파
  2. 가공 나선
  3. 위성 통신
  4. 마이크로파
(정답률: 80%)
  • 가공 나선은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으로, 무선 전송매체가 아닙니다. 라디오파, 위성 통신, 마이크로파는 모두 무선 전송매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 운영되는 네트워크에서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네트워크 장비는 무엇인가?

  1. 스위치
  2. 라우터
  3. 브리지
  4. 허브
(정답률: 78%)
  • 라우터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 운영되는 네트워크에서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장비이다. 라우터는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며,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준다. 스위치, 브리지, 허브는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패킷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지만,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결정하는 기능은 없다. 따라서 정답은 라우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데이터 통신용 교환 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메시지 교환
  2. 패킷 교환
  3. 회선 교환
  4. 기계 교환
(정답률: 97%)
  • 기계 교환은 데이터 통신용 교환 방식이 아닙니다. 기계 교환은 전화 통신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통화 중에는 전용 회선을 점유하고 있으며, 통화 종료 후에는 회선을 해제하는 방식입니다. 데이터 통신에서는 메시지 교환, 패킷 교환, 회선 교환 등의 방식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LAN의 구현 형태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FD야
  2. 이더넷
  3. 토큰링
  4. WCDMA
(정답률: 70%)
  • WCDMA는 LAN의 구현 형태가 아니라 3G 이동통신 기술 중 하나이다. LAN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이며, 이더넷, 토큰링, FD(Full Duplex) 등은 LAN의 구현 형태 중 일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텍스트, 음성,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 종합 통신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ISDN
  2. PS수
  3. MAN
  4. WAN
(정답률: 57%)
  • ISDN은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의 약자로, 다양한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 종합 통신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ISDN이 정답입니다. PS수는 패킷 스위칭 서비스, MAN은 메트로폴리탄 에어리어 네트워크, WAN은 광대역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하나의 회선에 여러 대의 단말기가 계층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되어 있고 그 중 어느 한 부분이 마비되어도 전체 시스템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네트워크 토폴리지는?

  1. 망(Mash)형
  2. 버스(Bus)형
  3. 링(Ring)형
  4. 트리(Tree)형
(정답률: 44%)
  • 트리 형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하나의 중심 노드에서 여러 개의 하위 노드가 분기되어 연결되는 구조입니다. 이 구조에서는 각 하위 노드가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어느 한 부분이 마비되어도 전체 시스템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또한, 트리 형태는 확장성이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쉬우며, 데이터 전송 속도도 빠릅니다. 따라서, 트리 형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하나의 회선에 여러 대의 단말기가 계층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되어 있고 그 중 어느 한 부분이 마비되어도 전체 시스템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토폴로지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기관별 도메인 중 정부기관을 나타내는 것은?

  1. com
  2. co
  3. gov
  4. ac
(정답률: 64%)
  • 정부기관은 정부에서 운영하는 공공기관이므로, 이를 나타내는 도메인으로 "gov"가 사용된다. "com"은 상업적인 목적을 가진 기업이나 조직을 나타내는 도메인이고, "co"는 회사를 나타내는 도메인이다. "ac"는 학술기관을 나타내는 도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TCP/IP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포트번호와 프로토콜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23 : FTP
  2. 57 : DNS
  3. 70 : Gopher
  4. 120 : POP3
(정답률: 60%)
  • 정답은 "70 : Gopher"입니다.

    TCP/IP 프로토콜에서 포트번호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번호입니다. 각 포트번호는 특정한 프로토콜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23번 포트는 FTP(File Transfer Protocol)에 사용되며,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57번 포트는 DNS(Domain Name System)에 사용되며,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120번 포트는 POP3(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에 사용되며, 이메일 수신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그러나 70번 포트는 Gopher에 사용됩니다. Gopher는 인터넷에서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입니다. Gopher는 현재 사용되지 않지만, 인터넷 초기에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70번 포트는 Gopher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두 컴퓨터 간의 파일 전송을 위한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은?

  1. TCP
  2. FTP
  3. ICMP
  4. RARP
(정답률: 79%)
  •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두 컴퓨터 간에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FTP는 TCP/IP 프로토콜 스택 위에서 동작하며, 파일 전송을 위한 명령어와 데이터 전송을 위한 포트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FTP는 두 컴퓨터 간의 파일 전송을 위한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OSI 7 계층 기능 중 네트워크 관리, 정보교환, 중계기능을 정의하고 패킷전송, 경로선택, 트래픽제어 등을 수행하는 것은?

  1. 세션 계층
  2. 표현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4. 데이터링크 계층
(정답률: 61%)
  • 네트워크 관리, 정보교환, 중계기능은 모두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이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네트워크 계층입니다. 네트워크 계층은 패킷전송, 경로선택, 트래픽제어 등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네트워크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이동하면서도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휴대인터넷으로서 무선광대역인터넷, 무선 초고속인터넷 등으로 풀이되는 것은?

  1. 와이브로
  2. 스트리밍
  3. .인코딩
  4. 모뎀
(정답률: 74%)
  • 와이브로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제공하는 기술로,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동하면서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이나 인코딩 등의 고성능 작업도 가능합니다. 모뎀은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 와이브로와는 관련이 있지만 정답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국제연합(UN)의 전문기관으로, 전기통신의 개선과 합리적 사용을 위한 국제협력을 유지, 증진하는 국제기구는?

  1. ITU
  2. ANSI
  3. EIA
  4. IEC
(정답률: 46%)
  •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는 전기통신의 개선과 합리적 사용을 위한 국제협력을 유지, 증진하는 국제기구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ITU와는 다른 분야의 국제기구들입니다.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는 미국의 국가표준기구이며, EIA(Electronic Industries Alliance)는 미국의 전자산업 협회입니다.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는 전기, 전자, 정보기술 분야의 국제표준화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자주 가는 사이트를 저장해 놓는 기능은?

  1. 즐겨찾기
  2. 보안
  3. 쿠키
  4. 검색
(정답률: 92%)
  • 즐겨찾기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자주 가는 사이트를 저장해 놓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저장된 사이트를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정보통신망이 제공하는 새로운 공간에서 활동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합성어로서 누리꾼이라고도 하는 것은?

  1. 네티즌
  2. 즐티즌
  3. 에디즌
  4. 모티즌
(정답률: 90%)
  • 정보통신망에서 활동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합성어로서, "네티즌"은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즐티즌"은 인터넷을 즐기는 사람, "에디즌"은 인터넷에서 편집 작업을 하는 사람, "모티즌"은 인터넷에서 모임을 구성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보통신망에서 활동하는 사람을 가장 정확하게 지칭하는 합성어는 "네티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인터넷 익스플로러 7.0에서 인쇄 기능의 단축키의 연결이 올바른 것은?

  1. CTRL + B
  2. ALT + U
  3. CTRL + P
  4. ALT + S
(정답률: 78%)
  • 인터넷 익스플로러 7.0에서 "CTRL + P"는 인쇄 기능의 단축키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CTRL"은 컴퓨터 키보드의 왼쪽 아래에 위치한 "Control" 키를 의미하며, "P"는 인쇄(Print)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CTRL + P"를 누르면 현재 보고 있는 웹 페이지를 인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전자메일 주소 형식으로 올바른 것은?

  1. Domain@ID
  2. Password@ID
  3. Domain@Password
  4. ID@Domain
(정답률: 90%)
  • 정답은 "ID@Domain" 입니다.

    이유는 전자메일 주소는 사용자의 ID와 도메인 주소로 구성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example@gmail.com"에서 "example"는 사용자의 ID이고, "gmail.com"은 도메인 주소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전자메일 주소 형식은 "ID@Domai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자우편 프로토콜 중 메일 서버에 도착한 전자우편을 사용자 컴퓨터로 가져오는 프로토콜은?

  1. SMTP
  2. MINE
  3. IMAP
  4. POP3
(정답률: 45%)
  • POP3는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의 약자로, 메일 서버에 도착한 전자우편을 사용자 컴퓨터로 가져오는 프로토콜입니다. 다른 프로토콜과는 달리, POP3는 서버에서 메일을 가져와 로컬 컴퓨터에 저장하므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이전에 받은 메일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POP3가 메일 서버에 도착한 전자우편을 사용자 컴퓨터로 가져오는 프로토콜인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