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T 정보통신상식(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12-22)

DIAT 정보통신상식(구)
(2012-12-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MPU를 사용하는 컴퓨터로 사용자 단말기나 클라이언트 역할에 가장 알맞은 컴퓨터는?

  1. 워크스테이션
  2. 하이브리드 컴퓨터
  3. 미니 컴퓨터
  4. 데스크탑 컴퓨터
(정답률: 53%)
  • MPU는 주로 일반적인 컴퓨팅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중앙 처리 장치이므로, 사용자 단말기나 클라이언트 역할에 가장 알맞은 컴퓨터는 데스크탑 컴퓨터입니다. 데스크탑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일반적인 컴퓨팅 작업을 수행하는 데 적합한 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데스크탑 컴퓨터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어, 필요에 따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자료 표현 단위에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니블 : 8개의 비트(Bit)로 구성되는 단위
  2. 워드 : 문자표현의 최소단위
  3. 필드 : 컴퓨터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단위
  4. 파일 : 프로그램 구성의 기본단위로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는 단위
(정답률: 69%)
  • 파일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는 단위입니다. 이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관하고 관리하기 위한 단위로 사용됩니다. 파일은 일반적으로 이름, 크기, 생성일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통해 파일을 식별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중앙처리장치(CPU)를 구성하는 것으로, CPU내부에서 처리할 명령이나 처리된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하는 장치는?

  1. 레지스터
  2. 캐시메모리
  3. 버퍼메모리
(정답률: 70%)
  •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서 처리할 명령이나 처리된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하는 장치입니다. 다른 메모리와는 달리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 위치하며, 매우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PU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사용자가 전기를 이용하여 여러 번 저장할 수 있는 ROM은?

  1. EEPROM
  2. PROM
  3. Mask ROM
  4. EPROM
(정답률: 79%)
  • EEPROM은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전기를 이용하여 여러 번 데이터를 저장하고 지울 수 있는 ROM입니다. PROM은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한 번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Mask ROM은 제조 과정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ROM으로, 사용자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습니다. EPROM은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자외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지우고 다시 저장할 수 있지만, EEPROM보다 지우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기를 이용하여 여러 번 저장할 수 있는 ROM은 EEPRO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해상도가 높고 표시속도가 빠르지만 소비전력이 높고 가격이 비싼 화면 출력장치는?

  1. LCD
  2. CRT
  3. PDP
  4. OLED
(정답률: 57%)
  • 해상도가 높고 표시속도가 빠른 화면 출력장치는 PDP(Plasma Display Panel)입니다. PDP는 각 픽셀이 자체적으로 빛을 내기 때문에 밝기와 명암비가 뛰어나며, 빠른 반응속도로 빠른 동영상 재생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소비전력이 높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는 LCD나 OLED가 더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컴퓨터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사용빈도 수가 높은 프로그램으로 라이브러리, 유틸리티 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1. 데이터관리 프로그램
  2. 작업제어 프로그램
  3. 서비스 프로그램
  4. 문제 프로그램
(정답률: 65%)
  • 서비스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라이브러리, 유틸리티 등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사용빈도가 높아서 매우 중요하며, 컴퓨터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서비스 프로그램은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매우 필수적인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요인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처리능력
  2. 호환성
  3. 신뢰도
  4. 사용가능도
(정답률: 59%)
  •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요인으로는 처리능력, 신뢰도, 사용가능도가 포함되지만 호환성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호환성은 시스템의 다른 부분들과의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운영체제의 성능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종류가 다른 운영체제는?

  1. 우분투
  2. 크롬
  3. 레드햇
  4. 솔라리스
(정답률: 39%)
  • 솔라리스는 다른 세 개의 운영체제가 모두 리눅스 계열이지만, 솔라리스는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종류가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선점형 스케줄링 방식이 아닌 것은?

  1. RR(Round Robin)
  2. SRT(Shortest Remaining Time)
  3. 다단계 큐(Multi-Level Queue)
  4. SJF(Shortest Job First)
(정답률: 50%)
  • 선점형 스케줄링 방식이 아닌 것은 "SJF(Shortest Job First)"이다. 이는 프로세스의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것부터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비선점형 스케줄링 방식으로, 한 번 CPU를 할당받으면 다른 프로세스가 CPU를 강제로 빼앗을 수 없다. 따라서 선점형 스케줄링 방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Windows XP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 목록을 보여주면서 각 프로그램으로 전환시 킬 수 있는 단축키는 무엇인가?

  1. ALT + TAB
  2. Ctrl + A
  3. ALT + F4
  4. Ctrl + Z
(정답률: 79%)
  • 정답은 "ALT + TAB"이다. 이는 Windows XP에서 실행 중인 모든 프로그램을 보여주는 작업 스위처를 열어주는 단축키이다. 이 작업 스위처에서는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고 키보드로 프로그램 간 전환을 할 수 있다. ALT 키를 누른 상태에서 TAB 키를 반복해서 누르면 실행 중인 프로그램 목록이 순서대로 나타나며, 원하는 프로그램에 도달하면 ALT 키를 떼면 해당 프로그램으로 전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윈도우 운영체제에 대한 특징이 아닌 것은?

  1. GUI 인터페이스 환경
  2. OLE(객체 연결 및 삽입) 기능 지원
  3. 플러그 앤 플레이 지원
  4. 계층적 트리구조 파일시스템
(정답률: 76%)
  • 윈도우 운영체제의 특징 중에서 "계층적 트리구조 파일시스템"은 아닙니다. 이는 윈도우 운영체제의 파일 시스템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일과 폴더가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쉽게 파일을 찾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유닉스 운영체제의 특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대화식 운영체제
  2. 단일작업시스템
  3. 소스공개 오픈 시스템
  4. CUI 환경
(정답률: 67%)
  • 단일작업시스템은 올바르지 않은 특징입니다. 유닉스는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 시스템으로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중 작업 시스템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삭제된 파일을 휴지통에서 복원할 수있는 경우는?

  1. 휴지통의 크기를 0% 설정한 상태에서 휴지통으로 버렸을 경우
  2. USB등의 이동식 저장장치에서 삭제한 경우
  3. 탐색기에서 Del 키로 삭제한 경우
  4. 네트워크 드라이브에서 삭제한 경우
(정답률: 71%)
  • 탐색기에서 Del 키로 파일을 삭제하면 해당 파일은 휴지통으로 이동하지 않고 즉시 삭제됩니다. 따라서 휴지통에서 복원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운영체제 운영방식 중 여러 컴퓨터를 통신회선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작업을 공동으로 처리하는 방식은?

  1. 다중 처리 시스템
  2. 시분할 시스템
  3. 분산처리 시스템
  4. 다중프로그래밍 시스템
(정답률: 45%)
  • 여러 컴퓨터를 통신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작업을 공동으로 처리하는 방식은 분산처리 시스템이다. 이는 작업을 여러 대의 컴퓨터에 분산시켜 처리하므로 작업 처리 속도가 빠르고, 하나의 컴퓨터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컴퓨터에서 작업을 계속할 수 있어 시스템의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바이러스 예방기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백신 프로그램을 수시로 업데이트 한다.
  2. 공개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3. 출처가 불분명한 메일은 읽지 않고 삭제한다.
  4. 해킹을 막기 위해 PC 방화벽을 설치한다.
(정답률: 72%)
  • 공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은 바이러스 예방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바이러스 예방과 관련된 방법이지만, 공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은 보안 취약점을 빠르게 수정할 수 있고, 보안 전문가들이 코드를 검토할 수 있어 보안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보안에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파일 압축에 대한 설명 중 가장 맞지 않는 것은?

  1. 디스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파일 전송 시간을 줄일 수 있다.
  3. 중복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파일의 크기를 줄인다.
  4. 확장자로는 ZIP, RAR, XLS, PPT 등이 있다.
(정답률: 77%)
  • 확장자로는 ZIP, RAR, XLS, PPT 등이 있다는 것은 파일 압축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압축된 파일의 확장자에 대한 설명이므로 가장 맞지 않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정보 보안의 요건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무결성
  2. 인증
  3. 가용성
  4. 신속성
(정답률: 60%)
  • 정보 보안의 요건으로 볼 수 없는 것은 "신속성"입니다. 이는 정보 보안의 핵심 요건인 무결성, 인증, 가용성과는 다른 개념으로, 정보 보안의 목적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보안 위협의 유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

  1. 가로막기
  2. 위조
  3. 수정
  4. 공개키 암호화
(정답률: 76%)
  • 공개키 암호화는 보안 위협의 유형이 아니라 보안 기술 중 하나입니다. 공개키 암호화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암호화 기술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공개키와 복호화하는 개인키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공개키 암호화는 데이터 보호를 위한 보안 기술이지만, 가로막기, 위조, 수정과 같은 보안 위협의 유형은 공격자가 데이터를 해킹하거나 변조하는 것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외부의 불법적 네트워크 침입자가 임의로 웹사이트를 작성하여 일반 사용자들의 방문을 유도하여 사용자의 시스템 권한을 획득해 정보를 빼가는 보안 위협 행위는?

  1. 피싱(Phishing)
  2. 스니핑(Sniffing)
  3. 파밍(Phaming)
  4. 스푸핑(Spoofing)
(정답률: 41%)
  • 스푸핑(Spoofing)은 외부의 불법적 네트워크 침입자가 임의로 웹사이트를 작성하여 일반 사용자들의 방문을 유도하여 사용자의 시스템 권한을 획득해 정보를 빼가는 보안 위협 행위입니다. 다른 선택지인 피싱(Phishing)은 이메일이나 메시지를 통해 개인정보를 빼내는 방법, 스니핑(Sniffing)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가로채는 방법, 파밍(Pharming)은 DNS 서버를 조작하여 사용자를 잘못된 사이트로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파일 압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확장자로 PPT, DOC 등이 있다.
  2. 파일의 용량을 줄여 디스크 용량을 절약 할 수 있다.
  3. 파일을 전송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4. 여러 파일을 하나로 묶을 수 있다.
(정답률: 79%)
  • "확장자로 PPT, DOC 등이 있다."는 파일 압축에 대한 설명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파일 압축은 파일의 용량을 줄여 디스크 용량을 절약하고 파일을 전송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여러 파일을 하나로 묶을 수 있다는 것이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SSD(Solid State Drive)에 대한 설명이 가장 잘못된 것은?

  1. 플래시기반 SSD에서 일반적으로 MLC형은 SLC형에 비해 신뢰성과 속도가 떨어진다.
  2. 반도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 반도체 드라이브라고도 한다.
  3. D램 기반 SSD는 외부전지를 사용하며 플래시기반 SSD는 전력이 필요없다.
  4. 하드디스크에 비해 기계적 신뢰성이 좋으나 정전 및 정전기에는 더 취약하다.
(정답률: 53%)
  • "D램 기반 SSD는 외부전지를 사용하며 플래시기반 SSD는 전력이 필요없다."가 가장 잘못된 설명이다. 실제로는 D램 기반 SSD와 플래시기반 SSD 모두 전력을 필요로 한다. D램 기반 SSD는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사라지기 때문에 외부전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유지한다. 플래시기반 SSD도 전력을 필요로 하며,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내장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IC 집적회로를 내장하여 무선으로 정보를 관리하거나 출입통제에 사용되는 인식기술로서, 유통분야에서 바코드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는 관리도구는 ?

  1. GPS
  2. GIS
  3. RFID
  4. VoIP
(정답률: 61%)
  • RFID는 무선으로 정보를 관리하거나 출입통제에 사용되는 인식기술로서, 유통분야에서 바코드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RFID는 바코드와 달리 직접 스캔하지 않아도 무선으로 정보를 읽어올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빠른 정보 관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소프트웨어를 일반적으로 읽기 전용 기억회로에 기억시켜 이용하는 프로그램은?

  1. 마인드웨어
  2. 펌웨어
  3. 셰어웨어
  4. 루트킷
(정답률: 52%)
  • 펌웨어는 일반적으로 읽기 전용 기억회로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펌웨어는 수정이 불가능하며, 주로 임베디드 시스템이나 기타 장치들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이 다른 것은?

  1. TIFF
  2. WMF
  3. PNG
  4. JPG
(정답률: 55%)
  • 정답은 "WMF"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TIFF: 비손실 압축 방식으로 이미지를 저장하는 파일 형식입니다. 대부분의 그래픽 소프트웨어에서 지원하며, 고해상도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 PNG: 비손실 압축 방식으로 이미지를 저장하는 파일 형식입니다. 투명도를 지원하며, 웹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 JPG: 손실 압축 방식으로 이미지를 저장하는 파일 형식입니다. 압축률이 높아 용량이 작지만, 이미지 품질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 WMF: Windows 메타파일로, 벡터 그래픽 이미지를 저장하는 파일 형식입니다. 확대/축소 시에도 이미지 품질이 유지되며, 편집 가능한 이미지로 저장됩니다.

    따라서, WMF는 벡터 그래픽 이미지를 저장하는 파일 형식으로, 다른 파일 형식들과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전체적인 이미지를 모자이크 형태를 시작으로 점점 선명하게 보여주는 방식은?

  1. 렌더링
  2. 안티엘리어싱
  3. 디더링
  4. 인터레이싱
(정답률: 43%)
  • 인터레이싱은 이미지를 모자이크 형태로 먼저 보여주고, 점차적으로 선명하게 만들어가는 방식이다. 이는 이미지를 빠르게 로딩하면서도 선명한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웹사이트나 게임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인터레이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종류가 다른 하나는?

  1. WinAMP
  2. 알송
  3. 곰 플레이어
  4. Real Audio
(정답률: 47%)
  • 정답은 "곰 플레이어"입니다.

    이유는 나머지 세 가지는 모두 음악 및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플레이어이지만, "곰 플레이어"는 비디오 파일도 재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비트맵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여 실제 사진과 같은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2. 처리속도가 빠르다.
  3. 점으로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4. 파일 형식에는 AI, WMF등이 있다.
(정답률: 61%)
  • 비트맵은 이미지를 점으로 표현하는 방식이며,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여 실제 사진과 같은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처리속도가 빠르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파일 형식에는 AI, WMF 등이 아닌 BMP, JPEG, PNG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OA 활용

28. 한글2005에서 문서 내의 단어나 보충설명을 위해 문서 하단 또는 마지막에 설정하여 표기하는 기능은?

  1. 여백
  2. 상용구
  3. 매크로
  4. 미주/각주
(정답률: 88%)
  • 미주/각주는 문서 내에서 특정 단어나 문장에 대한 보충설명이나 출처를 하단에 작성하는 기능이다. 이를 통해 문서의 내용을 보충하거나 출처를 확인할 수 있으며, 문서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미주/각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한글프로그램에서 특정한 단어나 문자열을 찾아 바꿀 때 사용하는 단축키는 ?

  1. CTRL + F2
  2. CTRL + F
  3. ALT + F
  4. ALT + L
(정답률: 62%)
  • "CTRL + F" 단축키는 한글프로그램에서 특정한 단어나 문자열을 찾아 바꿀 때 사용하는 단축키입니다. "CTRL" 키와 "F" 키를 동시에 누르면 검색 창이 나타나고, 여기에 찾고자 하는 단어나 문자열을 입력하면 해당 문서에서 해당 단어나 문자열을 찾아 바꿀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MS Excel에서 데이터 편집에 대하여 잘못된 설명은?

  1. 데이터가 입력된 셀을 더블클릭하면 셀이 있는 위치에서 내용의 일부분을 수정할 수 있다.
  2. 여러 셀을 선택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하고 ctrl+enter를 누르면 동시 수정할 수 있다.
  3. 셀의 외곽선을 ctrl을 누른채 드래그하면 셀의 내용이 이동된다.
  4. 채우기 핸들을 이용하여 문자데이터를 드래그하면 동일한 데이터가 복사된다.
(정답률: 54%)
  • "셀의 외곽선을 ctrl을 누른채 드래그하면 셀의 내용이 이동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실제로는 셀의 외곽선을 ctrl을 누른채 드래그하면 셀의 복사가 이루어진다. 이동하려면 복사 후에 원래 위치에서 삭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MS EXCEL에서 참조가 제대로 된 것은?

  1. $$A1 : 절대참조
  2. $A1 : 상대참조
  3. $A$1 : 워크시트참조
  4. A$1 : 혼합참조
(정답률: 52%)
  • A$1은 열은 상대참조이고 행은 절대참조이므로 혼합참조이다. 따라서 행은 항상 1로 고정되고 열은 다른 셀로 복사될 때 상대적으로 변경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파워포인트에서 삽입할 수 없는 개체는?

  1. ppt 파일
  2. 차트
  3. 다이어그램
  4. bmp 파일
(정답률: 49%)
  • 정답은 "ppt 파일"입니다. 파워포인트는 이미 ppt 파일 형식으로 저장된 파일을 열 수 있으므로 삽입할 필요가 없습니다. 차트, 다이어그램 및 bmp 파일은 모두 파워포인트에서 삽입할 수 있는 일반적인 개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파워포인트에서 슬라이드 쇼 보기를 실행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메뉴에서 [슬라이드쇼]-[쇼 보기] 선택
  2. F5 키 누르기
  3. 마우스 우측버튼메뉴에서 슬라이드쇼
  4. 창 왼쪽 아래의 슬라이드 쇼 아이콘 클릭
(정답률: 75%)
  • 마우스 우측버튼메뉴에서 슬라이드쇼는 파워포인트에서 슬라이드 쇼 보기를 실행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마우스 우측버튼메뉴에서 슬라이드쇼 설정을 변경하는 기능입니다. 슬라이드 쇼 보기를 실행하려면 메뉴에서 [슬라이드쇼]-[쇼 보기] 선택, F5 키 누르기, 창 왼쪽 아래의 슬라이드 쇼 아이콘 클릭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터넷 활용

34. 다음 중 1초동안 변조되는 횟수를 나타내는 단위는?

  1. BPS
  2. Baud
  3. Hz
  4. clock
(정답률: 44%)
  • 정답: Baud

    Baud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중 하나이며, 1초 동안 변조되는 횟수를 나타냅니다. BPS는 초당 비트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Hz는 주파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Clock은 시스템의 클럭 주파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1초 동안 변조되는 횟수를 나타내는 단위는 Bau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통신시스템 중 데이터 전송계를 구성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데이터처리장치
  2. 신호변환장치
  3. 통신제어장치
  4. 통신회선
(정답률: 53%)
  • 데이터처리장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계를 구성하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다항식을 이용하여 여러 비트의 오류를 검사하는 오류제어 방식은?

  1. CRC
  2. ARQ
  3. 해밍코드
  4. 패리티체크코드
(정답률: 40%)
  • 다항식을 이용하여 여러 비트의 오류를 검사하는 오류제어 방식은 CRC이다. CRC는 주어진 데이터에 대해 다항식을 이용하여 나머지 연산을 수행하고, 이 나머지 값을 검사코드로 사용하여 오류를 검출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패리티체크코드와 해밍코드보다 더 강력한 오류 검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ARQ와는 달리 데이터를 재전송하지 않고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통신설비의 공간적 구성을 의미하는 용어는?

  1. 메시
  2. 네트워크
  3. 브리지
  4. 토폴로지
(정답률: 47%)
  • 토폴로지는 통신설비의 공간적 구성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네트워크와 관련된 용어이지만, 토폴로지는 네트워크의 구성 방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어떤 형태로 통신설비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스타형, 버스형, 링형 등의 토폴로지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도시 내에 구성된 통신망을 상호연결한 도시권 통신망을 뜻하는 것은 ?

  1. WAN
  2. MAN
  3. VAN
  4. LAN
(정답률: 50%)
  • 도시 내에 구성된 통신망이므로 지리적으로 제한된 범위 내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며, LAN보다는 넓은 범위를 다루지만 WAN보다는 좁은 범위를 다루기 때문에 MAN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LAN의 구현형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MUX
  2. Token Ring
  3. CSMA
  4. FDDI
(정답률: 34%)
  • LAN의 구현형태 중에서 MUX는 LAN이 아닌 WAN에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MUX는 다수의 신호를 하나의 회선으로 집약하는 기술로, LAN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주로 멀리 떨어진 지점을 연결하는데 사용됩니다. 반면, Token Ring, CSMA, FDDI는 모두 LAN에서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IP주소 등급에 대한 설명이 맞는 것은?

  1. B class : 중대형 통신망용
  2. C class : 실험용
  3. D class : 소규모 통신망용
  4. E class : 화상회의용
(정답률: 52%)
  • B class IP 주소는 128.0.0.0 ~ 191.255.255.255 범위에 속하며, 중대형 통신망에 사용됩니다. 이는 A class보다는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사용되며, 대규모 기업이나 대학 등에서 사용됩니다. B class IP 주소는 16비트를 네트워크 ID로 사용하고, 16비트를 호스트 ID로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잘못된 URL 표기는?

  1. mailto://webmaster@diat.or.kr
  2. news:han.diat.test
  3. ftp://ftp.diat.or.kr
  4. http://www.diat.or.kr
(정답률: 43%)
  • 잘못된 URL 표기는 없습니다.

    하지만 "mailto://webmaster@diat.or.kr"은 이메일 주소를 나타내는 URL이므로, 웹 페이지나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대신 이 URL은 이메일 클라이언트를 열어 해당 이메일 주소로 새 이메일을 작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컴퓨터가 인터넷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는 서비스는?

  1. IRC
  2. PING
  3. HTTP
  4. Gopher
(정답률: 77%)
  • PING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나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서비스입니다. PING은 해당 컴퓨터나 장치로 작은 패킷을 보내고, 그에 대한 응답을 받아서 연결 상태를 확인합니다. 따라서, PING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OSI-7계층 기능 중 데이터를 통신에 적당한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은?

  1. 응용 계층
  2. 세션 계층
  3. 표현 계층
  4. 데이터링크 계층
(정답률: 40%)
  • 표현 계층은 데이터를 통신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고, 데이터의 인코딩, 디코딩, 암호화, 복호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형식 변환과 보안 기능을 담당하는 표현 계층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프로토콜의 기본요소가 아닌 것은?

  1. 제어
  2. 시간
  3. 의미
  4. 구문
(정답률: 37%)
  • 프로토콜의 기본요소는 시간, 의미, 구문이며, 제어는 이러한 요소들을 조절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기본요소가 아닙니다. 즉, 제어는 프로토콜의 구성요소 중 하나이지만, 기본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웹브라우저에 대한 설명이 가장 잘못된 것은?

  1. 웹페이지를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다.
  2. 사용자가 이전에 방문했던 웹사이트를 보관하여 다시 방문하도록 검색할 수 있다.
  3. 동영상등의 파일은 주로 Active-X를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4. 웹페이지를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인쇄할 수 있다.
(정답률: 49%)
  • "동영상등의 파일은 주로 Active-X를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가 가장 잘못된 설명이다. 이는 오래된 웹 기술로, 현재는 보안 문제로 인해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에서 Active-X를 지원하지 않는다. 대신 HTML5와 같은 새로운 웹 기술을 사용하여 동영상 등의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다수의 사람에게 전자우편을 보낼 때 누구에게 보냈는지 수신자의 주소를 숨기고 보내는 기능은?

  1. Bcc
  2. Subject
  3. From
  4. Cc
(정답률: 85%)
  • Bcc는 Blind Carbon Copy의 약자로, 수신자의 주소를 숨기고 전자우편을 보낼 때 사용하는 기능이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수신자들은 서로의 이메일 주소를 볼 수 없으며, 보내는 사람만이 모든 수신자들의 이메일 주소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대량의 이메일을 보낼 때 개인정보 보호와 같은 목적으로 Bcc 기능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현재 표시된 웹 페이지의 HTML코드를 볼 수 있는 기능은?

  1. 편집
  2. 소스 보기
  3. 상태표시줄
  4. 인코딩
(정답률: 67%)
  • "소스 보기"는 현재 표시된 웹 페이지의 HTML 코드를 볼 수 있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개인이나 회사에 인터넷 접속 서비스나 파일 저장 공간 등을 제공해주는 사업은?

  1. 블로깅
  2. 푸시
  3. 팟캐스팅
  4. 웹호스팅
(정답률: 48%)
  • 웹호스팅은 개인이나 회사에 인터넷 접속 서비스나 파일 저장 공간 등을 제공해주는 사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블로그 작성, 메시지 전송, 오디오 파일 공유 등과 관련된 용어이지만, 웹호스팅은 웹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웹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하면 개인이나 기업은 자신의 웹사이트를 인터넷에 공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온라인 비즈니스나 정보 제공 등 다양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같은 내용의 전자우편을 여러 사람에게 보내는 것은?

  1. 동보메일
  2. 옵트인메일
  3. 스팸메일
  4. 발신메일
(정답률: 57%)
  • 같은 내용의 전자우편을 여러 사람에게 보내는 것은 "동보메일"이다. 이는 한 번에 여러 수신자에게 보내는 메일로, 일반적으로 광고나 마케팅 목적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자우편 프로토콜 중 제목만 전송 후 제목 클릭시 본문의 내용을 전송되는 방식은?

  1. SMTP
  2. POP3
  3. MIME
  4. IMAP
(정답률: 48%)
  • 이 방식은 IMAP 프로토콜에서 지원하는 기능인 "헤더 다운로드" 기능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이 기능은 전체 이메일 본문을 다운로드하지 않고, 제목과 보낸 사람 등의 헤더 정보만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필요한 이메일만 선택적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대용량의 이메일을 다운로드하지 않아도 되므로 효율적인 이메일 관리가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