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T 정보통신상식(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2-02)

DIAT 정보통신상식(구)
(2013-02-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컴퓨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속성 : 빠른 처리가 가능
  2. 범용성 : 컴퓨터를 여러 용도로 사용 가능
  3. 호환성 : 대용량 자료의 저장 가능
  4. 정확성 : 과정에 따라 정확한 처리 가능
(정답률: 73%)
  • "호환성 : 대용량 자료의 저장 가능"은 컴퓨터의 특징과는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호환성은 다른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의미하며, 대용량 자료의 저장 가능은 컴퓨터의 저장 용량과 관련된 특징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호환성 : 대용량 자료의 저장 가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컴퓨터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입력기능
  2. 제어기능
  3. 연산기능
  4. 조절기능
(정답률: 79%)
  • 컴퓨터의 기능 중에서 "조절기능"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입력기능은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 제어기능은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어하는 기능, 연산기능은 입력된 데이터를 계산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하지만 조절기능은 컴퓨터의 기능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조절기능"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컴퓨터의 처리 능력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초대형 컴퓨터
  2. 대형 컴퓨터
  3. 워크스테이션
  4. 범용 컴퓨터
(정답률: 55%)
  • 범용 컴퓨터는 처리 능력에 따라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 목적에 따라 분류되는 컴퓨터이다. 범용 컴퓨터는 일반적인 사용자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개인용 컴퓨터(PC)나 노트북, 태블릿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범용 컴퓨터"가 이 중에서 처리 능력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코드분할다중접속(CDMA)의 특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소비 전력이 적다.
  2. 보안에 약하여 잘 사용하지 않는다.
  3. 소프트 핸드오프가 가능하다.
  4.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동기화가 되어야 한다.
(정답률: 56%)
  • CDMA는 보안성이 높은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보안에 약하지 않다. 따라서 "보안에 약하여 잘 사용하지 않는다."는 올바르지 않은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오류 검출 및 교정까지 가능한 코드는?

  1. 패리티 비트
  2. 해밍 코드
  3. 그레이 코드
  4. 3초과 코드
(정답률: 70%)
  • 해밍 코드는 데이터 전송 시 오류 검출 및 교정이 가능한 코드이다. 이 코드는 데이터에 추가적인 비트를 추가하여 오류 검출 및 교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해밍 코드는 주어진 보기 중 유일하게 오류 검출 및 교정이 가능한 코드이다. 패리티 비트는 오류 검출만 가능하고, 그레이 코드와 3초과 코드는 오류 검출 및 교정이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기억용량의 단위로 가장 큰 것은?

  1. PB
  2. TB
  3. MB
  4. GB
(정답률: 64%)
  • 기억용량의 단위는 바이트(Byte) 단위로 표시되며, PB는 페타바이트(Petabyte)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PB는 TB, MB, GB보다 큰 단위입니다. 1PB는 1,000TB 또는 1,000,000GB와 같습니다. 이는 대규모 데이터 저장 및 처리에 필요한 용량입니다. 예를 들어, 대규모 기업이나 연구소에서 수집한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대용량 저장소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자료의 구성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필드는 연관성 있는 워드의 집합이다.
  2. 바이트는 8개의 비트가 모여 구성된다.
  3. 니블은 4비트로 구성된다.
  4. 비트는 10진수로 표현할 수 있다.
(정답률: 63%)
  • 비트는 2진수로 표현되며, 10진수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2의 거듭제곱을 이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1010은 2^3 + 2^1 = 8 + 2 = 10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비트는 10진수로 표현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개인용 컴퓨터(PC)의 크기 중 가장 큰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노트북(Notebook)→랩톱(Laptop)→데스크탑(Desktop)
  2. 데스크톱(Desktop)→노트북(Notebook)→팜톱(Palmtop)
  3. 팝톱(Palmtop)→랩톱(Laptop)→노트북(Notebook)
  4. 데스크톱(Desktop)→팜톱(Palmtop)→노트북(Notebook)
(정답률: 74%)
  • 데스크톱은 대형의 본체와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이 별도로 존재하므로 가장 크다. 노트북은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로, 데스크톱보다 작지만 랩톱보다는 크다. 팜톱은 손바닥에 들어갈 정도로 작은 휴대용 컴퓨터로, 노트북과 랩톱보다 훨씬 작다. 따라서, 데스크톱 → 노트북 → 팜톱 순으로 크기가 커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뜻하며,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기준이 되는 것은?

  1. 프로세스
  2. 스케줄링
  3. 사용가능도
  4. 교착상태
(정답률: 76%)
  • 프로세스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뜻합니다. 이 프로세스는 스케줄링에 의해 CPU를 할당받아 실행되며, 사용가능도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됩니다. 때때로 여러 프로세스가 자원을 경쟁하면서 교착상태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중앙처리장치(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두장치 간의 속도차를 줄여 컴퓨터의 전체적인 성능을 증가시키는 것은?

  1. RAM 메모리
  2. 캐시 메모리
  3. 가상 메모리
  4. 플래시 메모리
(정답률: 72%)
  • 캐시 메모리는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CPU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제공함으로써 CPU와 주기억장치 간의 속도차를 줄여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캐시 메모리가 정답입니다. RAM 메모리는 주기억장치를 의미하며, 가상 메모리와 플래시 메모리는 다른 종류의 보조기억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중앙처리장치(CPU)의 연산장치(ALU)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누산기(Accumulator)
  2. 프로그램 카운터(PC)
  3. 보수기(Complementer)
  4. 가산기(Adder)
(정답률: 65%)
  • 프로그램 카운터(PC)는 CPU의 제어장치(Control Unit)에 속하는 구성요소로,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고 갱신하는 역할을 합니다. 연산장치(ALU)는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누산기(Accumulator), 보수기(Complementer), 가산기(Adder) 등이 속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로그램 카운터(P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RO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가 진단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2. 전원이 꺼져도 저장된 내용은 지워지지 않는다.
  3. 입출력 시스템이 저장된 장치이다.
  4. 입력 및 처리한 결과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45%)
  • 입력 및 처리한 결과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하는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보조기억장치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DVD
  2. RAM
  3. 플로피 디스크
  4. 하드디스크
(정답률: 57%)
  • RAM은 주기억장치의 일종으로, 보조기억장치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RA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입출력 장치 중 그 역할이 다른 하나는?

  1. 프린터
  2. 키보드
  3. 마우스
  4. 스캐너
(정답률: 60%)
  • 프린터는 출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른 장치들은 입력을 담당합니다. 즉, 프린터는 컴퓨터에서 생성된 정보를 종이나 기타 매체에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나머지 장치들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컴퓨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백화점이나 편의점 등에서 POS(Point Of Sales) 시스템의 입력장치로 사용되는 것은?

  1. OMR
  2. MICR
  3. 라이트펜
  4. 바코드 판독기
(정답률: 73%)
  • 바코드 판독기는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상품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백화점이나 편의점 등에서 POS 시스템의 입력장치로 많이 사용됩니다. OMR은 서류의 응답을 인식하는 입력장치, MICR은 은행 수표 등에서 사용되는 자동 인식장치, 라이트펜은 손글씨를 디지털화하는 입력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일반적으로 복합기에 포함되는 기능이 아닌 것은?

  1. 전화기
  2. 프린터
  3. 스캐너
  4. 모니터
(정답률: 45%)
  • 복합기는 여러 기능을 하나의 기계로 통합한 것이기 때문에 전화기, 프린터, 스캐너는 모두 일반적으로 복합기에 포함되는 기능입니다. 하지만 모니터는 출력물을 확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물을 생성하는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복합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운영체제의 평가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처리능력
  2. 응답시간
  3. 사용가능도
  4. 저장용량
(정답률: 52%)
  • 운영체제의 평가요인으로 저장용량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하드웨어의 성능에 따라 결정되는 요소이며, 운영체제의 역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다. 따라서 운영체제의 평가요인으로는 처리능력, 응답시간, 사용가능도 등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제어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1. 서비스 프로그램
  2. 데이터관리 프로그램
  3. 감시 프로그램
  4. 작업제어 프로그램
(정답률: 67%)
  • 서비스 프로그램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받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시스템의 안정성과 보안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제어 프로그램과는 다른 역할을 수행하므로 정답은 "서비스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비선점형 스케줄링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프로세스에 대한 공정한 처리가 가능 하다.
  2. 실시간 처리에 적합하다.
  3. 프로세스가 CPU를 독점하여 점유한다.
  4. FIFO, SJF, HRN 등이 해당한다.
(정답률: 40%)
  • "프로세스가 CPU를 독점하여 점유한다."는 비선점형 스케줄링의 특징이 아니라 선점형 스케줄링의 특징입니다.

    비선점형 스케줄링은 모든 프로세스에 대한 공정한 처리가 가능하고, 실시간 처리에 적합하며, FIFO, SJF, HRN 등이 해당합니다.

    실시간 처리에 적합한 이유는 비선점형 스케줄링에서는 프로세스가 CPU를 점유하고 있는 동안 다른 프로세스가 CPU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실시간 처리를 위해 중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세스가 빠르게 처리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을 지원하는 운영체제가 아닌 것은?

  1. MS-DOS
  2. Windows 7
  3. UNIX
  4. LINUX
(정답률: 64%)
  • MS-DOS는 싱글태스킹(Single-tasking)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멀티태스킹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모바일 장치에 사용되는 운영체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iOS
  2. 크롬(Chrome)
  3. 바다(Bada)
  4. 안드로이드(Android)
(정답률: 51%)
  • 크롬(Chrome)은 웹 브라우저이며, 모바일 장치에 사용되는 운영체제가 아닙니다. iOS, 바다(Bada), 안드로이드(Android)는 모바일 장치에 사용되는 운영체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두 개 이상의 CPU가 동시에 업무를 처리하여 하나가 고장이 나더라도 남은 하나가 계속해서 처리할 수 있는 운영 방식은?

  1. 듀플렉스 시스템
  2. 페블릭 처리 시스템
  3. 듀얼 시스템
  4. 발열 처리 시스템
(정답률: 64%)
  • 듀얼 시스템은 두 개 이상의 CPU가 동시에 업무를 처리하여 하나가 고장이 나더라도 남은 하나가 계속해서 처리할 수 있는 운영 방식입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안정성과 가용성이 높아지며, 중요한 업무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디지털 저작물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은?

  1. DMB
  2. Digerati
  3. DRM
  4. EDI
(정답률: 46%)
  • 정답: DRM

    설명: DRM은 Digital Rights Management의 약자로, 디지털 저작물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DRM은 저작권자가 디지털 저작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고,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해 암호화 기술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저작물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고, 저작권자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Windows 운영체제에서 지원되는 기능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GUI
  2. Plug & Play
  3. OLE
  4. Iris scan
(정답률: 57%)
  • 정답은 "Iris scan"입니다. Windows 운영체제는 G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Plug & Play (자동 하드웨어 인식 및 설치), OLE (객체 링크 및 임베드)과 같은 기능을 지원하지만, Iris scan은 바이오메트릭 인증 기술로서 Windows 운영체제에서 직접적으로 지원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Windows의 바로 가기 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TRL + C : 복사하기
  2. CTRL + A : 프로그램 종료
  3. CTRL + V : 붙여넣기
  4. CTRL + Z : 실행취소
(정답률: 77%)
  • 정답은 "CTRL + A : 프로그램 종료"입니다. CTRL + A는 모든 선택 영역을 선택하는 단축키입니다. 프로그램 종료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휴지통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복원하지 못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이동식 저장장치에서 삭제한 경우
  2. 네트워크 드라이브에서 삭제한 경우
  3. 휴지통 크기가 5% 이하인 경우
  4. Shift + Delete키를 눌러 삭제한 경우
(정답률: 66%)
  • 휴지통 크기가 5% 이하인 경우는 복원 가능한 경우이다. 이는 휴지통이 충분히 크기 때문에 삭제된 파일이나 폴더를 복원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동식 저장장치에서 삭제한 경우, 네트워크 드라이브에서 삭제한 경우, Shift + Delete키를 눌러 삭제한 경우 모두 복원이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유닉스 시스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언어로 작성되어 이식성이 뛰어나다.
  2. 다중작업과 다중사용자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3. 대화식 시분할 시스템 방식이다.
  4. 개인용 시스템에는 적합하지 않다.
(정답률: 53%)
  • 유닉스 시스템은 개인용 시스템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설명이 옳다. 이는 유닉스 시스템이 대규모 서버나 고성능 컴퓨터 등의 대형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며, 개인용 컴퓨터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고 복잡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OA 활용

28. 다음 중 유닉스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kill : 프로세스 강제 종료
  2. pwd : 파일 내용 표시
  3. cp : 파일 복사
  4. ps : 프로세스 상태 표시
(정답률: 53%)
  • "pwd : 파일 내용 표시"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wd"는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cat"은 파일 내용을 표시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다운로드한 데이터는 바이러스 검사를 반드시 수행한다.
  2. 백신 프로그램은 여러 개 설치하는 것이 좋다.
  3.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에는 한 번만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한다.
  4. 네트워크 공유는 바이러스가 전염되지 않는다.
(정답률: 61%)
  • 다운로드한 데이터는 바이러스 검사를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이유는,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한 파일들은 그 내용이 불분명하고, 그 중에는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운로드한 파일을 실행하기 전에 반드시 바이러스 검사를 수행하여 안전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정보 보안의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부인방지
  2. 인증
  3. 가용성
  4. 신뢰성
(정답률: 34%)
  • 정보 보안의 요건 중에서 "가용성"은 정보 시스템이 필요한 시간에 항상 사용 가능하도록 유지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신뢰성"은 정보 시스템이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신뢰성"은 정보 보안의 요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자동차에 IT 기술을 접목시켜 차량 충돌을 예방하는 등 안전 운행을 위한 기술은?

  1. VMC
  2. Rootkit
  3. T-Ray
  4. RFID
(정답률: 43%)
  • 정답은 "VMC"입니다. VMC는 Vehicle Motion Control의 약자로, 차량의 운행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해 브레이크, 가속, 핸들 등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차량 충돌을 예방하는 등 안전 운행을 위한 기술로 VMC가 선택됩니다. Rootkit은 컴퓨터 보안 기술, T-Ray는 촬영 기술, RFID는 무선 인식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에서 하나의 단어가 두줄에 걸치는 경우 해당 단어를 자르지 않고 다음 줄로 이동시키는 기능은?

  1. 다단
  2. 워드랩
  3. 래그드
  4. 색인
(정답률: 51%)
  • 워드랩은 단어나 문장이 한 줄에 꽉 차지 않고 다음 줄로 넘어갈 때, 해당 단어나 문장을 자르지 않고 다음 줄로 이동시키는 기능이다. 따라서, 하나의 단어가 두 줄에 걸치는 경우에도 자르지 않고 다음 줄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워드랩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에서 PC의 오류 등으로 프로그램이 종료될 경우 복구를 위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파일의 확장자는?

  1. ASV
  2. TMP
  3. BAK
  4. XLS
(정답률: 41%)
  • 정답은 "TMP"이어야 합니다.

    "ASV"는 잘못된 보기입니다.

    "TMP"는 Temporary file의 약자로, 임시 파일을 의미합니다. 워드프로세서에서 작업 중인 파일을 자동으로 저장하거나,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될 경우 자동으로 생성되어 작업 중인 파일의 복구를 도와줍니다.

    "BAK"는 백업 파일을 의미하며, 파일을 수정하기 전의 원본 파일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XLS"는 엑셀 파일의 확장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터넷 활용

34. 다음 중 MS 엑셀의 날짜/시간 함수로 옳지 않은 것은?

  1. YEAR
  2. HOUR
  3. DATE
  4. MAX
(정답률: 65%)
  • MAX 함수는 숫자나 날짜/시간 값 중 가장 큰 값을 반환하는 함수이지만, 날짜/시간 값에 대해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MAX 함수가 옳지 않은 함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MS 엑셀에서 사용되는 오류메시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 : 너비보다 큰 데이터가 있을 때
  2. #NAME? : 함수명을 잘못 입력했을 때
  3. #DIV/0 : 함수 또는 수식에서 사용할 수 없는 값을 지정했을 때
  4. #NULL!: 교차하지 않는 두 영역의 교점을 지정했을 때
(정답률: 57%)
  • "#DIV/0 : 함수 또는 수식에서 사용할 수 없는 값을 지정했을 때"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 오류는 0으로 나누기를 시도했을 때 발생하는 오류로, 함수나 수식에서 사용할 수 없는 값을 지정한 것이 아니라 0으로 나누기를 시도했기 때문에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MS 파워포인트에서 다음 슬라이드로 이동할 때 시각적 효과를 설정하는 기능은?

  1. 쇼 설정
  2. 쇼 보기
  3. 화면전환
  4. 개체 삽입
(정답률: 58%)
  • 화면전환은 MS 파워포인트에서 다음 슬라이드로 이동할 때 시각적인 전환 효과를 설정하는 기능이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슬라이드 전환 시 부드러운 애니메이션 효과를 추가하여 프레젠테이션을 더욱 생동감 있게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파워포인트의 슬라이드 보기 형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 보기
  2. 여러 슬라이드 보기
  3. 슬라이드 쇼 보기
  4. 애니메이션 보기
(정답률: 46%)
  • 애니메이션 보기는 파워포인트의 슬라이드 보기 형식이 아닙니다. 애니메이션 보기는 슬라이드 내부의 객체들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미리 확인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따라서 슬라이드 전체를 보는 슬라이드 쇼 보기, 여러 슬라이드를 한 번에 보는 여러 슬라이드 보기, 기본적인 슬라이드 보기는 모두 파워포인트의 슬라이드 보기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데이터를 양쪽 방향으로 모두 전송할 수 있으나 동시 전송은 불가능한 전송 방식은?

  1. 반이중 통신
  2. 전이중 통신
  3. 단방향 통신
  4. 비동기 통신
(정답률: 68%)
  • 반이중 통신은 데이터를 양쪽 방향으로 모두 전송할 수 있지만, 동시에 전송할 수 없는 방식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보내는 쪽과 받는 쪽이 번갈아가며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내는 쪽과 받는 쪽이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전이중 통신 방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 간을 연결하는 통신망 장비는?

  1. Bridge
  2. Gateway
  3. Router
  4. Hub
(정답률: 52%)
  • Gateway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을 연결하는 장비이다. 다른 장비들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인터넷과 이더넷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경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이더넷은 Ethernet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이 경우, Gateway는 두 프로토콜 간의 변환을 수행하여 두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버스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노드들이 하나의 통신회선에 연결된다.
  2. 통신회선이 고장나면 전체 네트워크가 마비 된다.
  3. 단말기가 고장나도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4. 각 노드의 변경 및 추가가 어렵다.
(정답률: 47%)
  • 버스형 토폴로지에서는 모든 노드가 하나의 통신회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통신회선이 고장나면 전체 네트워크가 마비됩니다. 또한, 각 노드의 변경 및 추가가 어렵다는 것은 새로운 노드를 추가하거나 기존 노드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전체 네트워크를 중단시켜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옳지 않은 설명은 "단말기가 고장나도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PC 운영체제인 윈도우처럼 스마트폰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하는 구글이 만든 모바일 전용 운영체제는?

  1. Windows CE
  2. 클라우드 컴퓨팅
  3. 안드로이드
  4. 리눅스
(정답률: 71%)
  • 안드로이드는 구글이 만든 모바일 전용 운영체제로, PC 운영체제인 윈도우처럼 스마트폰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IP 주소와 도메인 네임간의 변환을 제공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뜻하는 것은?

  1. DNS
  2. URL
  3. TCP
  4. UDP
(정답률: 55%)
  •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IP 주소와 도메인 네임간의 변환을 제공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뜻합니다. DNS는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서비스 중 하나로, 사용자가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면 해당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IP 주소를 찾아서 반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IP 주소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도메인 네임을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네트워크간 통신을 원활히 수행하도록하는 통신규약을 뜻하는 것은?

  1. Syntax
  2. Semantics
  3. Timing
  4. Protocol
(정답률: 63%)
  • "Protocol"은 네트워크간 통신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하는 규약을 뜻합니다. 다른 보기인 "Syntax"는 문법, "Semantics"는 의미론, "Timing"은 시간적인 측면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간 통신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기들이 이해할 수 있는 규약인 "Protocol"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IP 주소 중 219.120.33.7이 속하는 클래스는?

  1. A 클래스
  2. B 클래스
  3. C 클래스
  4. D 클래스
(정답률: 55%)
  • IP 주소 219.120.33.7은 첫 번째 숫자가 192 이상 223 이하인 범위에 속하므로 C 클래스에 속합니다. C 클래스는 첫 번째 숫자가 192 이상 223 이하인 범위에 속하는 IP 주소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URL을 구성하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포트 번호
  2. 사용자 이름
  3. 파일 경로
  4. 프로토콜
(정답률: 57%)
  • URL은 프로토콜://사용자이름:비밀번호@호스트:포트번호/파일경로 형식으로 구성됩니다. 그 중에서도 사용자 이름은 선택적인 요소이며, 대부분의 웹사이트에서는 사용자 이름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요소들과 비교했을 때, 사용자 이름이 가장 거리가 먼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웹에서 3차원 가상공간을 표현하고 조작할 수 있게 해주는 웹 프로그래밍 언어는?

  1. XML
  2. HTML
  3. VRML
  4. SGML
(정답률: 48%)
  • VRML은 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의 약자로, 3차원 가상공간을 표현하고 조작할 수 있는 웹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XML, HTML, SGML은 모두 마크업 언어이지만, 3차원 가상공간을 표현하고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VRML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기업 내부에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여 조직내부 업무 및 정보 공유를 위해 사용하는 네트워크로 옳은 것은?

  1. 인트라넷
  2. 유즈넷
  3. 텔넷
  4. 엑스트라넷
(정답률: 64%)
  • 인트라넷은 기업 내부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로, 조직 내부 업무 및 정보 공유를 위해 구축된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인트라넷이 정답입니다. 유즈넷은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이며, 텔넷은 원격 접속 프로토콜입니다. 엑스트라넷은 기업과 외부 파트너나 고객 등이 안전하게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네트워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데이터 소유자 없이 누구나 쉽게 데이터를 생산,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참여 중심의 인터넷 환경을 뜻하는 것은?

  1. Web2.0
  2. UCC
  3. Cloud 컴퓨팅
  4. 유비쿼터스
(정답률: 41%)
  • Web2.0은 사용자 참여 중심의 인터넷 환경을 뜻합니다. 이는 데이터 소유자 없이 누구나 쉽게 데이터를 생산,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인 UCC, Cloud 컴퓨팅, 유비쿼터스는 Web2.0과는 다른 개념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인터넷을 통해 전자우편을 보낼 때 사용하는 통신규약은?

  1. MIME
  2. SMTP
  3. POP3
  4. IMAP
(정답률: 50%)
  • SMTP는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을 통해 전자우편을 보내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해 전자우편을 보낼 때 사용하는 통신규약은 SMTP입니다. MIME은 전자우편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을 처리하기 위한 규약이고, POP3와 IMAP은 전자우편을 받아오기 위한 규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다수의 사람에게 전자우편을 보낼 때 누구에게 보냈는지 수신자의 주소를 숨기고 보내는 기능은?

  1. Bcc
  2. Subject
  3. From
  4. Cc
(정답률: 53%)
  • Bcc는 Blind Carbon Copy의 약자로, 수신자의 주소를 숨기고 전자우편을 보낼 때 사용하는 기능이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수신자들은 서로의 이메일 주소를 볼 수 없으며, 보내는 사람만이 모든 수신자들의 이메일 주소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대량의 이메일을 보낼 때 개인정보 보호와 같은 목적으로 Bcc 기능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