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T 정보통신상식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12-14)

DIAT 정보통신상식
(2013-12-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이해

1. 다음 중 컴퓨터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어기능
  2. 입력기능
  3. 범용기능
  4. 연산기능
(정답률: 77%)
  • 정답은 "범용기능"입니다.

    컴퓨터의 기능은 크게 제어기능, 입력기능, 연산기능, 출력기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범용기능은 없는 것이 맞습니다.

    제어기능은 컴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으로, 프로그램의 실행 순서를 결정하고, 입출력 장치와의 연결을 제어합니다.

    입력기능은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입니다.

    연산기능은 컴퓨터가 수학적인 계산을 수행하는 기능으로,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의 연산을 수행합니다.

    출력기능은 컴퓨터가 처리한 결과를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범용기능은 컴퓨터의 기능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바이트(Byte)의 절반인 4Bit로 구성된 자료 표현의 단위는?

  1. 레코드(Record)
  2. 니블(Nibble)
  3. 바이트(Byte)
  4. 파일(File)
(정답률: 73%)
  • 바이트(Byte)는 8개의 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절반인 4개의 비트로 구성된 자료 표현의 단위는 당연히 "니블(Nibble)"이다. 따라서 정답은 "니블(Nibbl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중앙처리장치(CPU)에서 처리할 명령이나 처리된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하는 장치는?

  1. 레지스터
  2. 데이터버스
  3. 보조기억장치
  4. 특수기억장치
(정답률: 63%)
  •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 위치하며, CPU가 처리할 명령이나 처리된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하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CPU의 작업 속도를 높이기 위해 레지스터를 사용합니다. 데이터버스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로이며, 보조기억장치와 특수기억장치는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읽기와 쓰는 것이 자유롭지만 전원이 차단되면 내용이 소멸되는 기억장치는?

  1. RAM
  2. Mask ROM
  3. 플래시메모리
  4. PROM
(정답률: 79%)
  • RAM은 읽기와 쓰기가 자유롭고 전원이 차단되면 내용이 소멸되는 기억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Mask ROM은 내용이 고정되어 있어 쓰기가 불가능하며, PROM은 일회성으로만 쓰기가 가능하고 내용을 지우고 다시 쓰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플래시 메모리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내용이 유지되는 비휘발성 기억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미리 정해진 화면의 범위 내에서 좌표를 검출하여 도형정보를 입력하는 장치는?

  1. 스캐너
  2. MICR
  3. OMR
  4. 디지타이저
(정답률: 60%)
  • 디지타이저는 미리 정해진 화면의 범위 내에서 좌표를 검출하여 도형정보를 입력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스캐너는 이미지를 스캔하는 장치, MICR은 자기 인식 문자 판독기, OMR은 광학식 마크 판독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운영체제, 컴파일러, 어셈블러 등과 같이 컴퓨터 내의 하드웨어와 기본 시스템의 동작을 직접 제어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는?

  1. 서비스 프로그램
  2. 제어 프로그램
  3. 시스템 소프트웨어
  4. 자료 관리 프로그램
(정답률: 60%)
  •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와 기본 시스템의 동작을 직접 제어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이다. 따라서 운영체제, 컴파일러, 어셈블러 등과 같은 프로그램들이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해당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들은 컴퓨터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응용 소프트웨어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워포인트
  2. 엑셀
  3. 포토샵
  4. 리눅스
(정답률: 81%)
  • 리눅스는 운영 체제(OS)이며, 응용 소프트웨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프로그램 출시 전에 제작회사 내부에서 테스트를 목적으로 개발하는 소프트웨어는?

  1. 알파버전(Alpha Version)
  2. 베타버전(Beta Version)
  3. 셰어웨어(Shareware)
  4. 오메가버전(Omega Version)
(정답률: 70%)
  • 알파버전은 제작회사 내부에서 테스트를 목적으로 개발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이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초기 버전으로, 버그가 많이 존재하고 기능이 미완성인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에게 출시되기 전에 내부에서만 사용되며, 버그를 수정하고 기능을 추가하는 등의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알고리즘의 표현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의사코드 :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과 무관하지만 프로그래밍 언어로 변환이 쉽도록 알고리즘을 표현한다.
  2. 자연어 : C 언어, Java 등의 언어로 알고리즘을 표현한다.
  3. 순서도 : 국제수학협회에서 정한 표준기호만을 사용하여 알고리즘을 표현한다.
  4. 프로그래밍 언어 : 한글이나 영어와 같은 언어를 사용하여 알고리즘을 표현한다.
(정답률: 51%)
  • 의사코드는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과 무관하지만 프로그래밍 언어로 변환이 쉽도록 알고리즘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즉, 일반적인 언어로 알고리즘을 표현하되, 프로그래밍 언어로 쉽게 변환할 수 있도록 작성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운영체제의 주요 기능으로 볼 수 있는 것은?

  1. 홈페이지 제작
  2. 파일 압축 및 해제
  3. 사용자와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 제공
  4. 바이러스 치료
(정답률: 71%)
  • 운영체제는 사용자와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컴퓨터를 쉽게 제어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사용자와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 제공"이 운영체제의 주요 기능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운영체제의 부가적인 기능이나 다른 소프트웨어가 수행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운영체제 운영 방식 중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컴퓨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시간할당량만큼 사용자의 요구를 번갈아 가면서 처리하는 것은?

  1. 시분할 시스템
  2. 다중 처리 시스템
  3. 분산 처리 시스템
  4. 실시간 처리 시스템
(정답률: 59%)
  • 시분할 시스템은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컴퓨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시간할당량만큼 사용자의 요구를 번갈아 가면서 처리하는 운영체제 운영 방식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는 다른 운영체제 운영 방식을 나타내므로 정답은 "시분할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유닉스(UNIX)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OS-X를 기반으로 한다.
  2. MicroSoft사에서 제작하였다.
  3. 전자출판, 디자인, 멀티미디어 부문에서 주로 사용된다.
  4.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을 지원하는 운영체제 이다.
(정답률: 51%)
  • 유닉스는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을 지원하는 운영체제입니다. 이는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에 접속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각각의 작업이 병렬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OS-X는 유닉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유닉스 자체는 Apple이나 Microsoft와는 무관한 개발사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유닉스는 전자출판, 디자인, 멀티미디어 부문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다른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한글 Windows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플러그 앤 플레이
  2. CUI 환경
  3. 다양한 파일 시스템 지원
  4. 멀티태스킹
(정답률: 64%)
  • 정답은 "CUI 환경"입니다.

    CUI 환경은 Command Line Interface의 약자로, 텍스트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합니다. 이는 한글 Windows 운영체제에서도 제공되지만,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이 기본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CUI 환경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따라서, 한글 Windows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UI 환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한글 Windows 운영체제의 휴지통에서 파일을 복원하지 못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Delete 키를 사용해 파일을 삭제한 경우
  2. 휴지통 비우기를 실행한 경우
  3. 네트워크 드라이브에서 파일을 삭제한 경우
  4. Shift + Delete 키를 이용해 파일을 삭제한 경우
(정답률: 61%)
  • Delete 키를 사용해 파일을 삭제한 경우는 휴지통으로 이동하지 않고 바로 삭제되기 때문에 복원할 수 없다. 다른 경우는 휴지통에 들어가기 때문에 복원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구글(Google)사에서 제작한 모바일 운영체제로, 오픈 소스이며 Windows나 다른 운영체제와의 연동이 자유로운 것은?

  1. Windows CE
  2. 클라우드 컴퓨팅
  3. 리눅스
  4. 안드로이드
(정답률: 77%)
  • 안드로이드는 구글에서 제작한 모바일 운영체제로, 오픈 소스이며 Windows나 다른 운영체제와의 연동이 자유로운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여러 미디어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멀티미디어의 특징을 나타내는 용어는?

  1. 쌍방향성
  2. 디지털화
  3. 통합성
  4. 비선형성
(정답률: 75%)
  • 정답: 통합성

    멀티미디어는 여러 가지 형태의 미디어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통합하여 처리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멀티미디어의 특징 중 하나인 "통합성"은 다양한 미디어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통합하여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는 사용자가 다양한 미디어를 쉽게 접근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며, 미디어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통합성은 다양한 미디어를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동영상 파일이 아닌 것은?

  1. MOV
  2. MPEG
  3. MP3
  4. AVI
(정답률: 77%)
  • MP3은 오디오 파일 형식이며, 동영상 파일이 아닙니다. MOV, MPEG, AVI은 모두 동영상 파일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각종 오디오 파일의 음을 재생하고 소리의 녹음, 편집 등을 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주변기기는?

  1. 사운드 카드
  2. 비디오 카드
  3. CD-ROM
  4. DVD
(정답률: 73%)
  • 사운드 카드는 컴퓨터에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주변기기로, 스피커나 헤드폰 등을 연결하여 음악이나 영상의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또한 마이크나 기타 음향기기를 연결하여 녹음하거나, 음향 편집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소리를 편집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각종 오디오 파일의 재생과 녹음, 편집 등을 위해서는 사운드 카드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멀티미디어 관련 소프트웨어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Photoshop
  2. Director
  3. MAYA
  4. Word Processor
(정답률: 53%)
  • 정답은 "Word Processor"입니다. 이유는 워드 프로세서는 주로 문서 작성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이며, 멀티미디어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포토샵, 디렉터, 마야는 각각 이미지 편집, 인터랙티브 미디어 제작, 3D 애니메이션 제작 등 멀티미디어 작업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거리에 있는 사람들과 비디오와 오디오를 통해 회의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의 영문 약자는?

  1. VCS
  2. VOD
  3. Kiosk
  4. MMS
(정답률: 59%)
  • 정답: VCS

    설명: VCS는 Video Conferencing System의 약자로,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사람들과 비디오와 오디오를 통해 실시간으로 회의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VOD는 Video On Demand의 약자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Kiosk는 자동화된 판매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을 말하며, MMS는 Multimedia Messaging Service의 약자로, 휴대폰을 통해 사진, 음성, 동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 이해

21. 다음 중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단말기
  2. 전송 신호
  3. 전송 매체
  4. 송수신기
(정답률: 51%)
  • 전송 신호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생성되는 신호이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가 아니다.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는 단말기, 전송 매체, 송수신기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동종의 LAN과 LAN을 상호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비는?

  1. 리피터(Repeater)
  2. 크롬(Chrome)
  3. 브리지(Bridge)
  4. 게이트웨이(Gateway)
(정답률: 60%)
  • 브리지는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두 개의 LAN을 연결하는 장비입니다. 브리지는 물리적인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므로, 두 개의 LAN이 서로 다른 물리적인 네트워크에 있어도 연결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동종의 LAN과 LAN을 상호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비는 브리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국가, 대륙 또는 전 세계를 포괄하는 광대역 통신망은?

  1. WAN
  2. MAN
  3. LAN
  4. VAN
(정답률: 69%)
  • 정답은 "WAN"입니다. WAN은 Wide Area Network의 약자로, 국가, 대륙 또는 전 세계를 포괄하는 광대역 통신망을 의미합니다. 이는 지리적으로 넓은 범위를 커버하기 때문에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MAN은 Metropolitan Area Network로 도시나 지역 내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LAN은 Local Area Network로 한정된 지역 내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VAN은 Virtual Area Network로 가상의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인터넷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다.
  2. 상업적인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3. 개방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4. ARPANET에서 기원하였다.
(정답률: 64%)
  • "상업적인 목적으로 시작되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인터넷은 ARPANET이라는 군사적인 목적을 가진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학술 연구와 정보 공유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상업적인 목적은 이후에 발전하면서 생겨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IPv4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32비트로 구성된다.
  2. 4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3. 각 필드는 점(.)으로 구분한다.
  4. 16비트씩 8개의 필드로 구성된다.
(정답률: 58%)
  • IPv4는 32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4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필드는 점(.)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16비트씩 8개의 필드로 구성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인터넷상에서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1. FTP
  2. IP
  3. TCP
  4. HTTP
(정답률: 62%)
  • FTP는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인터넷상에서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FTP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전자 메일 주소 형식으로 옳은 것은?

  1. Domain@ID
  2. ID@Domain
  3. ID@Password
  4. Password@ID
(정답률: 85%)
  • 정답은 "ID@Domain"입니다.

    이유는 전자 메일 주소는 "ID@Domain" 형식으로 구성되며, 이는 사용자의 ID와 이메일을 호스팅하는 도메인 이름으로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example@gmail.com"에서 "example"는 사용자의 ID이고 "gmail.com"은 이메일을 호스팅하는 도메인 이름입니다. 따라서 "Domain@ID", "ID@Password", "Password@ID"는 올바른 전자 메일 주소 형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데이터 소유자 없이 누구나 쉽게 데이터를 생산,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참여 중심의 인터넷 환경을 뜻하는 것은?

  1. Web2.0
  2. UCC
  3. Cloud 컴퓨팅
  4. 유비쿼터스
(정답률: 48%)
  • Web2.0은 사용자 참여 중심의 인터넷 환경을 뜻합니다. 이는 데이터 소유자 없이 누구나 쉽게 데이터를 생산,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인 UCC, Cloud 컴퓨팅, 유비쿼터스는 Web2.0과는 다른 개념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다수의 이종 단말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PC, TV, 휴대폰 등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끊김 없이 이용하는 서비스는?

  1. 스마트TV
  2. 구글플레이
  3. N스크린
  4. 아이튠즈
(정답률: 64%)
  • N스크린은 PC, TV, 휴대폰 등 다양한 이종 단말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스마트TV나 아이튠즈는 특정한 단말기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고, 구글플레이은 앱과 게임 등을 다운로드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N스크린과는 조금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하는 용어는?

  1. Meta Mall
  2. 유비쿼터스
  3. 그리드 컴퓨팅
  4. DMB
(정답률: 75%)
  • 정답: 유비쿼터스

    설명: 유비쿼터스는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Meta Mall은 쇼핑몰 플랫폼, 그리드 컴퓨팅은 분산 컴퓨팅 기술, DMB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사회 이해

31. 다음 중 인터넷의 역기능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프라이버시 침해
  2. 컴퓨터를 이용한 범죄
  3. 가정과 사무실의 자동화
  4. 인간 소외 현상
(정답률: 83%)
  • 가정과 사무실의 자동화는 인터넷의 역기능이 아닙니다. 인터넷은 가정과 사무실의 자동화를 촉진하고 편의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올바르지 않은 것은 "인간 소외 현상"입니다. 인터넷은 가끔씩 사람들을 소외시키기도 하지만, 그것이 인터넷의 주요 역기능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사이버 공간의 특징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2. 파급 효과가 크다.
  3.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4.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정답률: 74%)
  • 정답: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설명: 사이버 공간에서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익명성이 보장될 수 있지만, 이는 항상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실명제를 시행하는 커뮤니티나 SNS에서는 사용자의 신원이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것은 사이버 공간의 특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네티켓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네티켓은 인터넷상에서 자신의 기분에 따라 행동하는 규칙을 말한다.
  2. 네티켓은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있어 우리가 지켜야 할 예절을 의미한다.
  3. 네티켓은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스스로 만들어 공유하고 지켜야 할 약속이다.
  4. 네티켓은 통신망을 뜻하는 네트워크와 예의 범절을 뜻하는 에티켓의 합성어이다.
(정답률: 83%)
  • "네티켓은 인터넷상에서 자신의 기분에 따라 행동하는 규칙을 말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네티켓은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있어 우리가 지켜야 할 예절을 의미하며, 자신의 기분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감정을 고려하고 예의를 지켜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인터넷 중독 예방 센터에서 제시하는 인터넷 중독 예방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중독 징후를 발견하면 스스로 해결한다.
  2. 온라인 접속시간을 파악한다.
  3. 인터넷 사용을 촉발하는 기분과 행동을 파악한다.
  4. 자신이 잃어가는 것들을 파악한다.
(정답률: 74%)
  • "중독 징후를 발견하면 스스로 해결한다."가 올바르지 않은 것은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중독 징후를 발견하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중독 징후를 발견하면 스스로 해결한다는 것은 오히려 중독을 더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독 징후를 발견하면 가족, 친구, 전문가 등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온라인 접속시간을 파악하고, 인터넷 사용을 촉발하는 기분과 행동을 파악하며, 자신이 잃어가는 것들을 파악하는 것은 중독 예방에 도움이 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중독 징후를 발견하면 스스로 해결한다는 것은 잘못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사이버 범죄 유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인터넷 사기
  2. 인터넷 쇼핑
  3. 사이버 도박
  4. 사이버 테러
(정답률: 86%)
  • 인터넷 쇼핑은 사이버 범죄 유형으로 보기 어려운 것입니다. 인터넷 쇼핑은 법적으로 허용되는 온라인 상거래이며, 사기나 해킹 등의 범죄 행위가 아닙니다. 다만, 인터넷 쇼핑에서 개인정보 유출이나 결제 시스템 해킹 등의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사이버폭력 피해자가 되지 않기 위해 주의할 점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개인정보를 철저히 관리한다.
  2. 의심스러운 전자 우편은 함부로 열어보지 않는다.
  3. 방화벽과 같은 해킹방지시스템을 설치한다.
  4. 실수로 음란한 대화방에 들어가면 가만히 보고만 있도록 한다.
(정답률: 85%)
  • "실수로 음란한 대화방에 들어가면 가만히 보고만 있도록 한다."는 옳지 않은 점이다. 이는 다른 사람들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행동이며, 사이버폭력의 일종인 성희롱 등의 범죄 행위에 가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즉시 대화방을 나가거나, 해당 사이트나 앱을 이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개인정보 침해 예방과 대응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출처가 불명확한 자료는 내려 받지 않는다.
  2. 명의도용확인 서비스를 이용한다.
  3. P2P 공유폴더에 개인정보를 저장한다.
  4. 개인정보는 친한 친구에게도 가급적 알려 주지 않는다.
(정답률: 82%)
  • 정답: P2P 공유폴더에 개인정보를 저장한다.

    이유: P2P 공유폴더는 다른 사용자들과 파일을 공유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전자서명의 활용 분야가 다른 것은?

  1. 전자화폐
  2. 전자민원서비스
  3. 인터넷 뱅킹
  4. 사이버 증권
(정답률: 52%)
  • 정답: 전자민원서비스

    설명: 전자화폐는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며, 인터넷 뱅킹과 사이버 증권은 금융 거래에 활용됩니다. 반면에 전자민원서비스는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행정 업무 처리를 위한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전자서명의 활용 분야가 다른 것은 전자민원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지식재산권의 분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작권
  2. 산업재산권
  3. 공업재산권
  4. 신지식재산권
(정답률: 64%)
  • "공업재산권"은 지식재산권의 분류로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공업재산권"이라는 용어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신 "산업재산권"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며, 이는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 등을 포함하는 범주입니다. "신지식재산권"은 최근에 등장한 개념으로,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의 기술적인 지식재산권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지식재산권 침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국내에서 저작권 침해가 될 물건을 해외에서 제작하여 국내에 배포할 목적으로 수입하는 행위
  2. 자신의 자작곡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 올리는 행위
  3. 전자적 형태의 권리관리정보를 고의로 변경, 제거하는 행위
  4. 특정 연예인의 사진 등을 편집해 출처를 밝히지 않고 인터넷에 올리는 행위
(정답률: 72%)
  • 자신의 자작곡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 올리는 행위는 지식재산권 침해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와 같은 방법으로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것으로, 저작권자의 의사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