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분석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9-05)

화학분석기사(구)
(2010-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일반화학

1. 한 수저는 금으로 도금하고, 다른 수저는 구리로 도금하고자 한다. 만약 발전기에서 나오는 일정한 전류를 두 수저를 도금하는데 사용하였다면, 어느 수저에 먼저 1g이 도금되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 (단, 금의 원자량은 197, 구리의 원자량은 63.5이며, 반쪽 환원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1. 금 수저-금의 분자량이 더 크기 때문이다.
  2. 금 수저-금이 더 많은 전자로 환원되기 때문이다.
  3. 구리수저-구리가 기전력이 더 낮기 때문이다.
  4. 구리수저-구리가 더 적은 전자로 환원되기 때문이다.
(정답률: 71%)
  • 금 수저-금의 분자량이 더 크기 때문이다. 도금에 사용되는 전류는 일정하므로, 도금되는 양은 도금할 금속의 분자량에 비례한다. 따라서 분자량이 더 큰 금이 먼저 1g이 도금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질량백분율 10.0% NaCl 수용액의 몰랄농도는 얼마인가? (단, NaCl의 물질량은 58.44g/mol 이다.)

  1. 0.171m
  2. 1.71m
  3. 0.19m
  4. 1.9m
(정답률: 71%)
  • 질량백분율 10.0% NaCl 수용액은 100g 용액 중에 10g이 NaCl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용액의 농도는 10g NaCl / 100g 용액 = 0.1 이다. 이를 몰랄농도로 환산하면 0.1 mol NaCl / 1 kg 용액 이다. NaCl의 몰질량은 58.44g/mol 이므로, 0.1 mol NaCl은 5.844g 이다. 따라서 1 kg 용액에 5.844g NaCl이 녹아있으므로, 몰랄농도는 5.844g / 1000g = 0.005844 mol/L 이다. 이 값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0.01 mol/L = 1.9m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KNO3 1.345g을 녹여 25.00mL 수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의 몰 농도는? (단, K의 원자량은 39이다.)

  1. 1.1345M
  2. 1.3450M
  3. 0.2690M
  4. 0.5327M
(정답률: 73%)
  • KNO3의 몰질량은 K의 원자량과 N, O의 분자량을 합한 값이므로,

    KNO3의 몰질량 = 39 + 14 + 3x16 = 101 g/mol

    따라서, 1.345g의 KNO3은 몰 수로 환산하면 1.345g / 101 g/mol = 0.0133 mol 이다.

    이를 25.00mL로 환산하면, 0.0133 mol / 0.025 L = 0.5327 M 이므로, 정답은 "0.5327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어떤 물질의 화학식이 C2H2ClBr로 주어졌고, 그 구조가 다음과 같을 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과 (2)는 동일 구조이다.
  2. (2)과 (4)는 동일 구조이다.
  3. (2)과 (3)는 기하 이성질체 관계이다.
  4. (3)과 (4)는 동일 구조이다.
(정답률: 79%)
  • (2)과 (4)는 동일 구조이다. 이유는 두 구조 모두 중심 원자 주위에 두 개의 클로로와 브로모가 결합하고 있으며, 이들의 위치와 결합 형태가 동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은 같은 분자로 간주될 수 있다. (1)과 (2)도 동일 구조이지만, (3)과 (4)는 기하 이성질체 관계이므로 서로 다른 분자로 간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HCIO의 명칭은 무엇인가?

  1. 염소산
  2. 과염소산
  3. 아염소산
  4. 하이포아염소산
(정답률: 83%)
  • HCIO의 명칭은 "하이포아염소산"이다. 이는 HCIO가 "염소산"과 "아염소산"의 중간 단계에 위치하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과염소산"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HCIO는 "하이포아염소산"으로 불리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원자 이온에 대한 명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CH3COO-:아세트산이온
  2. NO3-:질산이온
  3. SO32-:황산이온
  4. HCO3-:탄산수소이온
(정답률: 70%)
  • SO32-는 황산이온이 아니라 이황산이온입니다. 이황산(SO2)에서 한 개의 산소가 더 붙어서 이온이 되었기 때문에 이황산이온(SO32-)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고리구조를 갖지 않는 어떤 화합물의 화학식이 C4H8일 경우 이 물질이 갖는 이성질체수는 모두 몇 개인가?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률: 68%)
  • C4H8는 고리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이므로, 이성질체의 수는 분자 내에서 결합의 다양성에 의해 결정된다. C4H8 분자는 2개의 이중결합을 가지므로, 이중결합의 위치에 따라 4개의 이성질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4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주기율표에서의 일반적인 경향으로 옳은 것은?

  1. 원자 반지름은 같은 족에서는 위로 올라갈수록 증가한다.
  2. 원자 반지름은 같은 주기에서는 오른쪽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3. 같은 주기에서는 오른쪽으로 갈수록 금속성을 증가한다.
  4. 0족에서는 금속성 물질만 존재한다.
(정답률: 83%)
  • 원자 반지름은 같은 주기에서는 오른쪽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이는 주기적으로 배열된 원소들의 전자 궤도가 층을 이루며 증가하면서, 원자핵에 대한 전자의 결합력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자 궤도가 층을 이루며 증가할수록, 전자 궤도와 원자핵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며, 이로 인해 원자 반지름이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철은 철광석으로부터 다음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고 할 때 Fe(s) 1mol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O2(g)의 mol수는?

  1. 0.5
  2. 0.75
  3. 1
  4. 1.5
(정답률: 68%)
  • 반응식을 보면 철 1몰을 형성하기 위해 산소 0.75몰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반응식에서 철과 산소의 계수 비율이 4:3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철 1몰을 형성하기 위해 산소 4/3몰이 필요하며, 이를 단순화하여 0.75몰이 필요하다고 표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밑줄 친 원자의 산화수를 잘못 나타낸 것은?

(정답률: 72%)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산화수의 합이 양이나 음의 전하와 같아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NaCl에서 Na의 산화수는 +1이고 Cl의 산화수는 -1이다. 따라서 NaCl의 전하는 0이 된다.

    하지만 ""에서 Cl의 산화수가 -2로 잘못 표기되어 있기 때문에 산화수의 합이 -1이 되어 전하가 맞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배의 철 표면이 녹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종 마그네슘 판을 붙인다. 이 작업을 하는 이유는?

  1. 마그네슘이 철보다 더 좋은 산화제이므로 마그네슘이 더 산화되기 쉽다.
  2. 마그네슘이 철보다 더 좋은 산화제이므로 마그네슘이 더 환원되기 쉽다.
  3. 마그네슘이 철보다 더 좋은 환원제이므로 마그네슘이 더 산화되기 쉽다.
  4. 마그네슘이 철보다 더 좋은 환원제이므로 마그네슘이 더 환원되기 쉽다.
(정답률: 78%)
  • 마그네슘이 철보다 더 좋은 환원제이므로 마그네슘이 더 산화되기 쉽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물질을 수용액에 녹였을 때의 성질이 틀린 것은?

  1. CO2-산성
  2. Na2O-염기성
  3. Na2CO3-산성
  4. N2O5-산성
(정답률: 53%)
  • "Na2CO3-산성"이 틀린 것이다. Na2CO3은 약한 염기성을 띄고 있으며, 수용액에 녹으면 OH- 이온을 방출하여 염기성을 띈다. 따라서 "Na2CO3-염기성"이 맞는 표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은 계수를 맞추지 않은 C5H12의 연소 반응식이다. C5H12 1몰을 연소하기 위해서는 산소가 몇 몰 필요한가?

  1. 2
  2. 5
  3. 6
  4. 8
(정답률: 79%)
  • 연소 반응식을 보면 C5H12 1몰에 대해 산소가 8몰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반응식에서 C5H12의 계수가 1이고, 산소의 계수가 8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어떤 반응의 평형상수를 알아도 예측할 수 없는 것은?

  1.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
  2. 어떤 농도가 평형조건을 나타내는지 여부
  3. 주어진 초기농도로부터 도달할 수 있는 평형의 위치
  4. 반응의 진행 정도
(정답률: 84%)
  • 반응의 평형상수는 반응속도와 관련된 값으로, 반응이 얼마나 빠르게 진행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평형상수를 알아도 반응이 어떤 농도에서 평형을 이루는지,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등은 알 수 없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반응속도뿐만 아니라 초기농도, 반응조건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은 예측할 수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돌턴(Dalton)의 원자설에서 설명한 내용이 아닌 것은?

  1. 물질은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
  2. 원자가전자의 수는 화학결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같은 원소의 원자들은 질량이 동일하다.
  4. 서로 다른 원소의 원자들이 간단한 정수비로 결합하여 화합물을 만든다.
(정답률: 74%)
  • "같은 원소의 원자들은 질량이 동일하다."는 돌턴의 원자설에서 설명한 내용이 맞다.

    "원자가전자의 수는 화학결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돌턴의 원자설에서 설명한 내용 중 하나이다. 이는 화학결합에서 전자의 이동이나 공유가 일어나기 때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같은 원소의 원자들은 질량이 동일하다."이다.

    간단명료한 설명: 돌턴의 원자설은 물질이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화학결합에서 원자의 전자 수가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수소이온 농도 0.0001M의 pH는?

  1. 3
  2. 4
  3. 5
  4. 6
(정답률: 79%)
  • pH는 음이온 농도에 반비례하므로, 수소이온 농도가 0.0001M일 때 pH는 4가 됩니다. pH는 -log[H+]로 계산되며, -log(0.0001)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메탄 2.80g에 들어있는 메탄 분자수는 얼마인가?

  1. 0.98×1022 분자
  2. 1.05×1023 분자
  3. 1.93×1022 분자
  4. 1.93×1023 분자
(정답률: 80%)
  • 메탄의 분자량은 16g/mol이다. 따라서 2.80g의 메탄은 몰 수량으로 2.80g/16g/mol = 0.175 mol이다. 하나의 몰에는 6.02×1023개의 분자가 있으므로, 0.175 mol의 메탄에는 0.175 mol × 6.02×1023분자/mol = 1.05×1023분자가 있다. 이는 보기에서 "1.05×1023 분자"와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전자들이 바닥상태에 있다고 가정할 때 질소원자에 대한 전자배치로 옳은 것은?

  1. 1s22s12p1
  2. 1s22s22p6
  3. 1s22s22p3
  4. 1s22s23p3
(정답률: 79%)
  • 질소(N)의 전자배치는 1s22s22p3이다. 이는 전자 7개를 가진 질소(N)의 원자번호가 7이기 때문이다. 1s22s12p1은 전자 4개를 가진 베릴륨(Be)의 전자배치이고, 1s22s22p6은 전자 10개를 가진 네온(Ne)의 전자배치이다. 1s22s23p3은 전자 15개를 가진 인(P)의 전자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벤젠을 실험식으로 옳게 나타낸 것은?

  1. C6H6
  2. C6H5
  3. C5H6
  4. CH
(정답률: 75%)
  • 벤젠은 분자식이 C6H6으로, 탄소원자 6개와 수소원자 6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옳은 답은 "C6H6"입니다. "C6H5"는 벤젠의 일부분인 페닐기를 나타내는 분자식이고, "C5H6"은 벤젠과 구조가 다른 화합물인 시클로펜타디엔을 나타내는 분자식입니다. "CH"는 탄소원자 하나와 수소원자 하나로 이루어진 메테인이나 메틸라디칼 등의 화합물을 나타내는 분자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극성 분자가 아닌 것은?

  1. CCl4
  2. H2O
  3. CH3OH
  4. HCl
(정답률: 82%)
  • 극성 분자란 분자 내부의 전자가 한 쪽으로 치우쳐져 있어서 분자 전체가 (+)와 (-) 극성을 가지는 분자를 말합니다.

    "CCl4"은 탄소(C)와 염소(Cl)로 이루어진 네 개의 결합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전자가 균등하게 분포되어 극성을 가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CCl4"은 극성 분자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분석화학

21. 다음 전기화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자를 잃었을 때 산화되었다고 하며, 산화제는 전자를 잃고 자신이 산화된다.
  2. 전자를 얻게 되었을 때 산화되었다고 하며, 환원제는 전자를 얻고 자신이 산화된다.
  3. 볼트(V)의 크기는 쿨롱(C)당 주울(J)의 양이다.
  4. 갈바니 전지(galvanic cell)는 자발적인 화학반응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영구기관이다.
(정답률: 78%)
  • "볼트(V)의 크기는 쿨롱(C)당 주울(J)의 양이다." 이유는 전기적인 에너지는 전하와 전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하는 쿨롱(C)으로, 전위는 주울(J)로 나타내며, 전위차가 1V일 때 1쿨롱의 전하가 이동하는 일을 1주울의 일을 한다고 정의하기 때문에 볼트(V)는 쿨롱(C)당 주울(J)의 양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EDTA 적정에 사용되는 xylenol orange와 같은 금속이온 지시약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pH에 따라 고유한 색을 나타낸다.
  2. 산화-환원제로서 전위(potential)에 따라 색이 다르다.
  3. 지시약은 EDTA보다 약하게 금속과 결합해야만 한다.
  4. 금속이온과 결합하면 색깔이 변해야 한다.
(정답률: 63%)
  • xylenol orange과 같은 금속이온 지시약은 산화-환원제로 작용하여 금속이온과 결합할 때 색이 변합니다. 이는 금속이온의 전위(potential)에 따라 결합하는데, 전위가 높을수록 색이 진해지고 전위가 낮을수록 색이 연해집니다. 따라서 이 지시약은 산화-환원 반응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금속이온의 전위에 따라 색이 변하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0.1M 약염기 B(Kb=2.6×10-6) 100mL 수용액에 0.1M HNO3 50mL 수용액을 가했을 때의 pH는? (단, Kb는 염기해리상수이고 물의 해리상수는 1.0×10-14이다.)

  1. 5.74
  2. 7.00
  3. 8.41
  4. 9.18
(정답률: 63%)
  • 먼저, B의 염기해리반응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B + H2O ⇌ BH+ + OH-

    Kb = [BH+][OH-]/[B]

    여기서, B의 몰농도는 0.1M 이므로, [B] = 0.1M 입니다.

    HNO3은 강산이므로, 완전한 이온화가 일어나 H+와 NO3- 이온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HNO3을 B 수용액에 첨가하면, H+ 이온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OH- 이온의 농도를 감소시키게 됩니다.

    이때, B 수용액의 pH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합니다.

    pH = pKb + log([BH+]/[B])

    여기서, [BH+]는 B 수용액에 첨가된 HNO3에 의해 생성된 BH+ 이온의 농도입니다.

    [BH+] = [HNO3] = 0.1M × (50/150) = 0.033M

    [OH-]는 Kb 식에서 [BH+]와 [B]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Kb = [BH+][OH-]/[B]

    [OH-] = Kb[B]/[BH+] = (2.6×10^-6)(0.1)/(0.1-0.033) = 7.54×10^-6M

    따라서, pH = 14 - pOH = 14 - (-log[OH-]) = 8.41

    따라서, 정답은 "8.41"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수용액들의 농도는 모두 0.1M이다. 이온세기(ionic strength)가 가장 큰 것은?

  1. NaCl
  2. Na2SO4
  3. Al(NO3)3
  4. MgSO4
(정답률: 77%)
  • 이온세기는 전해질의 이온 농도와 전해질의 전하량에 따라 결정된다. 이 중에서 이온 농도가 같은 경우, 전하량이 더 큰 전해질일수록 이온세기가 높아진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이온 농도가 모두 같으므로 전하량이 가장 큰 전해질인 "Al(NO3)3"의 이온세기가 가장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EDTA 적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이온 지시약으로만 되어 있는 것은?

  1. 페놀프탈레인, 메틸오렌지
  2. 페놀프탈레인, EBT(Eriochrome Black T)
  3. EBT(Eriochrome Black T), 크실레놀오렌지(Xylenol orange)
  4. 크실레놀오렌지(Xylenol orange), 메틸오렌지
(정답률: 73%)
  • EDTA는 금속이온을 안정화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EDTA 적정에서는 금속이온과 EDTA가 결합하여 안정화된 착물이 생성됩니다. 이때, 적정의 종료점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금속이온과 EDTA가 결합하는 순간에 색이 변하는 지시약이 필요합니다.

    페놀프탈레인과 메틸오렌지는 EDTA 적정에서 사용되는 지시약 중 하나이지만, 이 두 지시약은 금속이온과 결합하여 안정화된 착물과 색이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EDTA 적정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반면, EBT(Eriochrome Black T)와 크실레놀오렌지는 금속이온과 결합하여 안정화된 착물과 함께 색이 변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EDTA 적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시약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산염기 적정을 할 때 사용하는 지시약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적정의 종말점을 검출하기 위하여 색변화가 있는 지시약을 사용한다.
  2. 명확한 색변화를 위하여 가능한 많은 양의 지시약을 첨가한다.
  3. 관찰되는 종말점과 참 당량점의 차이를 지시약 오차라고 한다.
  4. 메틸 레드, 페놀 레드도 지시약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정답률: 80%)
  • "명확한 색변화를 위하여 가능한 많은 양의 지시약을 첨가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는 오히려 올바른 설명이다. 적정에서는 색 변화를 통해 종점을 판단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선명하고 명확한 색 변화를 보이도록 지시약을 첨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지시약을 첨가하여 색 변화를 더욱 선명하게 만드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약산인 HF(Ka=6.8×10-4)와 약산인 CH3COOH(Ka=1.8×10-5)에 대한 다음 반응식의 평형상수 값은 약 얼마인가?

  1. 1.2×10-8
  2. 2.6×102
  3. 3.8×10
  4. 6.6×10-4
(정답률: 53%)
  • 먼저, 이 반응식은 HF와 CH3COOH의 산성 수소 이온이 서로 교환되는 중화 반응이다. 이 반응식의 평형상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Kc = [F-][CH3COOH]/[HF][CH3COO-]

    여기서, [F-]는 F- 이온의 농도, [CH3COOH]는 CH3COOH 농도, [HF]는 HF 농도, [CH3COO-]는 CH3COO- 이온의 농도를 나타낸다.

    이제, 이 반응식에서 HF와 CH3COOH는 약산이므로 물에 대해 약한 염기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 반응식에서 HF와 CH3COOH는 각각 F-와 CH3COO- 이온으로 이온화되며, 이온화 상수는 각각 Ka 값으로 주어진다.

    HF ⇌ H+ + F-, Ka = 6.8×10-4

    CH3COOH ⇌ H+ + CH3COO-, Ka = 1.8×10-5

    따라서, [F-] = [CH3COO-] = x, [HF] = [CH3COOH] = 0.1 - x로 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0.1은 반응 용액의 초기 농도이다.)

    이를 반영하여, Kc를 다시 쓰면 다음과 같다.

    Kc = x2/[(0.1 - x)(1.8×10-5)]

    이제, 이 식을 x에 대해 풀어서 x 값을 구하면, x = 3.8×10-6이 된다. 따라서, [F-] = [CH3COO-] = x = 3.8×10-6이고, 이를 이용하여 [HF]와 [CH3COOH]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Kc = x2/[(0.1 - x)(1.8×10-5)] = (3.8×10-6)2/[(0.1 - 3.8×10-6)(1.8×10-5)] = 3.8×1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8×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Fe2+이온을 Ce4+로 적정하는 반응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적정반응은 Ce4++Fe2+→Ce3++Fe3+ 이다.
  2. 전위차법을 이용한 적정에서는 반당량점에서의 전위는 당량점의 전위(Ve)의 약 1/2이다.
  3. 당량점에서 [Ce3+]=[Fe3+], [Fe2+]=[Ce4+]이다.
  4. 당량점부근에서 측정된 전위의 변화는 미세하여 정확한 측정을 위해 산화-환원 지시약을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62%)
  • "당량점부근에서 측정된 전위의 변화는 미세하여 정확한 측정을 위해 산화-환원 지시약을 사용해야 한다."이 설명이 잘못된 것은 아니다.

    전위차법을 이용한 적정에서는 적정시작점에서의 전위와 당량점에서의 전위를 측정하여 그 차이를 이용하여 적정을 진행한다. 이때, 당량점부근에서는 전위의 변화가 미세하여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산화-환원 지시약을 사용하여 전위의 변화를 더욱 민감하게 측정한다. 따라서, 산화-환원 지시약을 사용하는 것이 정확한 적정을 위해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올바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할로겐 음이온을 0.050M Ag+ 수용액으로 적정하였다. AgCl, AgBr, AgI의 용해도곱은 각각 1.8×10-18, 5.0×10-13, 8.3×10-17이다. 당량점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우는?

  1. 0.05M Cl-
  2. 0.10M Cl-
  3. 0.10M Br
  4. 0.10M I-
(정답률: 70%)
  • 할로겐 음이온을 Ag+와 반응시켜 AgX(s)를 생성하면, AgX의 용해도곱에 따라 Ag+와 X-의 농도가 달라진다. 용해도곱이 작을수록 AgX의 용해도가 작아지므로 Ag+와 X-의 농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AgCl의 용해도곱이 가장 작으므로 AgCl의 생성이 가장 쉽고, Ag+와 Cl-의 농도가 가장 높아져 당량점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답은 "0.10M Cl-"이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AgI의 용해도곱이 가장 크다. 이 경우 Ag+와 I-의 농도가 가장 낮아져서 당량점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0.10M I-"는 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질소와 수소로부터 암모니아를 만드는 반응에서 평형을 이동시켜 암모니아의 수득률을 높이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질소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2. 압력을 높인다.
  3. 암모니아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4. 수소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73%)
  • 암모니아의 수득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평형상수를 크게 만들어야 한다. 평형상수는 생성물 농도의 곱을 원료 농도의 곱으로 나눈 값이므로, 생성물 농도를 증가시키고 원료 농도를 감소시키면 평형상수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암모니아의 농도를 증가시킨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은 암모니아의 수득률을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표준 수소 전극에서의 반응 및 표준 전위(E°)를 가장 옳게 나타낸 것은? (단, A는 각 성분의 활동도이다.)

  1. 2H+(A=1)+2e-⇄H2(A=2) E°=0.0V
  2. 2H+(A=2)+2e-⇄H2(A=1) E°=1.0V
  3. 2H+(A=1)+2e-⇄H2(A=1) E°=0.0V
  4. 2H+(A=2)+2e-⇄H2(A=2) E°=1.0V
(정답률: 70%)
  • 정답은 "2H+(A=1)+2e-⇄H2(A=1) E°=0.0V"이다.

    이유는 표준 수소 전극은 수소 분자를 기준으로 표준 전위를 정의하기 때문에, H2의 활동도는 항상 1이다. 따라서, A=1이다. 또한, 이 반응은 표준 상태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E°는 0.0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EDTA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음이온과 강하게 결합하여 착물을 형성한다.
  2. 여섯 개의 리간드 자리를 가지고 있다.
  3. 4개의 카르복실 작용기를 포함하고 있다.
  4. pH 조절을 통해 금속이온의 선택성을 높일 수도 있다.
(정답률: 60%)
  • EDTA는 4개의 카르복실 작용기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대신, 2개의 카르복실 작용기와 2개의 아미노 작용기를 가지고 있다. 음이온과 강하게 결합하여 착물을 형성하는 이유는 EDTA의 구조에서 음이온과 결합할 수 있는 여러 개의 자리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리를 리간드라고 하며, EDTA는 여섯 개의 리간드 자리를 가지고 있다. pH 조절을 통해 금속이온의 선택성을 높일 수도 있다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특정 화학종이 녹아 있는 수용액의 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하여 두개의 백금전극이 다음 그림과 같이 담겨 있다. 그림을 가장 옳게 표시한 것은?

  1. Pt(s), Fe2+, Fe2+(aq), Fe3+(aq):Cr2O72-(aq), Cr3+(aq), HA(aq), Pt(s)
  2. Pt(s):Fe2+(aq), Fe3+(aq) | Cr2O72-(aq), Cr3+(aq), HA(aq):Pt(s)
  3. Pt(s) | Fe2+(aq), Fe3+(aq)║Cr2O72-(aq), Cr3+(aq), HA(aq) | Pt(s)
  4. Pt(s)║Fe2+(aq), Fe3+(aq) | Cr2O72-(aq), Cr3+(aq), HA(aq)║Pt(s)
(정답률: 83%)
  • 전극의 표기법에서는 왼쪽에 있는 전극이 양극, 오른쪽에 있는 전극이 음극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왼쪽에 있는 Pt 전극이 양극, 오른쪽에 있는 Pt 전극이 음극이다.

    Fe2+와 Fe3+는 전기화학적으로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 두 이온을 함께 적는다. Cr2O72-와 Cr3+도 마찬가지이다.

    두 개의 전극 사이에는 수용액이 존재하므로, 이 수용액을 나타내는 기호인 "║"를 사용한다.

    따라서 옳은 표기법은 "Pt(s) | Fe2+(aq), Fe3+(aq)║Cr2O72-(aq), Cr3+(aq), HA(aq) | Pt(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MnO4- 이온에서 망간(Mn)의 산화수는 얼마인가?

  1. -1
  2. +4
  3. +6
  4. +7
(정답률: 79%)
  • MnO4- 이온에서 산소(O)의 산화수는 -2이므로, 4개의 산소 원자들의 전하는 -8이다. 이 전하를 망간(Mn)이 중화하기 위해서는 +8의 전하가 필요하다. 따라서 망간의 산화수는 +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CaF2의 용해와 관련된 반응식에서 과량의 고체 CaF2가 남아 있는 포화된 수용액에서 Caa2+(aq)의 몰 농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용해도의 단위는 mol/L이다.)

  1. KF를 첨가하면 몰 농도가 감소한다.
  2. HCl을 첨가하면 몰 농도가 감소한다.
  3. KCl을 첨가하면 몰 농도가 감소한다.
  4. H2O를 첨가하면 몰 농도가 증가한다.
(정답률: 72%)
  • CaF2의 용해와 관련된 반응식은 CaF2(s) ⇌ Ca2+(aq) + 2F-(aq) 이다. 이때, 과량의 고체 CaF2가 남아 있는 포화된 수용액에서는 Ca2+(aq)와 F-(aq)의 농도가 용해도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Caa2+(aq)의 몰 농도는 용해도에 따라 달라지지 않고 일정하다.

    KF를 첨가하면 몰 농도가 감소하는 이유는 KF가 용액에 녹아들면 K+(aq)와 F-(aq)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F-(aq)이 증가하면 CaF2의 용해도에 따라 CaF2(s) ⇌ Ca2+(aq) + 2F-(aq) 반응이 역반응 방향으로 촉진되어 Ca2+(aq)의 농도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KF를 첨가하면 Caa2+(aq)의 몰 농도가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갈바니 전지(galcanic cell)의 염다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염다리는 KCl, KNO3, NH4Cl과 같은 염으로 채워져 있다.
  2. 염다리를 통하여 갈바니 전지는 전체적으로 전기적 중성이 유지된다.
  3. 염다리의 염용액 농도는 매우 낮다.
  4. 염다리에는 다공성 마개가 있어 서로 다른 두 용액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한다.
(정답률: 77%)
  • "염다리의 염용액 농도는 매우 낮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염다리의 염용액 농도는 오히려 매우 높습니다. 이는 전지 내부의 전기적 중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염다리를 통해 이온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염도가 높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메틸아민(Methylamine)은 약한 염기로, 염해리상수(Kb)값은 다음과 같은 평형식에서 구할 수 있다. 메틸아민의 짝산인 메틸암모니움 이온(Methylammonium ion)의 산해리상수(Ka)를 구하기 위한 화학평형식으로 옳은 것은?

  1. CH3NH2⇄CH3N-H+H+
  2. CH3NH3++OH-⇄CH3NH2+H2O
  3. CH3NH2+OH-⇄CH3N-H+H2O
  4. CH3NH3+⇄CH3NH2+H+
(정답률: 59%)
  • 정답은 "CH3NH3+⇄CH3NH2+H+"이다.

    메틸아민은 약한 염기이므로 수소 이온을 받아들여 메틸암모니움 이온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수소 이온은 메틸아민 분자 내의 짝전자쌍을 차지하게 되므로, 메틸암모니움 이온은 메틸아민의 짝산이 된다. 따라서, 메틸암모니움 이온의 산해리상수는 메틸아민의 염해리상수의 역수로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적정(titration)에 쓰이는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당량점(equivalence point)-적정 시약의 양이 분석물질과 화학량론적으로 반응하는데 꼭 필요한 만큼 가해졌을 때 일어난다.
  2. 종말점(end point)-용액의 물리적 성질이 갑자기 변하는 점이다.
  3. 지시약(indicator)-적정이 완결되는 부근에서 물리적 특성이 갑자기 변하는 화합물이다.
  4. 직접 적정(direct titration)-분석물질에 농도를 알고 있는 첫 번째 표준시약을 과량 가한 다음 두 번째 표준시약을 사용하여 과량의 첫 번째 표준시약을 적정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70%)
  • 정답은 "직접 적정(direct titration)-분석물질에 농도를 알고 있는 첫 번째 표준시약을 과량 가한 다음 두 번째 표준시약을 사용하여 과량의 첫 번째 표준시약을 적정하는 방법이다." 이다. 직접 적정은 분석물질에 농도를 알고 있는 표준시약을 첫 번째로 가한 후, 두 번째 표준시약을 사용하여 적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첫 번째 표준시약을 분석물질에 가한 후, 두 번째 표준시약을 사용하여 적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금속착화합물(metal complex)에서 금속이온과 리간드간의 결합형태는 무엇인가?

  1. 금속결합
  2. 이온결합
  3. 수소결합
  4. 배위결합
(정답률: 76%)
  • 금속착화합물에서 금속이온과 리간드간의 결합형태는 배위결합이다. 이는 리간드 분자가 금속 이온 주위에 자리를 잡아 이온과의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위결합은 금속착화합물의 안정성과 화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이양성자산(H2A)의 pKa1이 4.0이고, pKa2는 8.0이다. 1.0M의 이양성자산(H2A)의 pH는?

  1. 1.0
  2. 2.0
  3. 4.0
  4. 6.0
(정답률: 37%)
  • pH = pKa + log([A-]/[HA])

    pKa1 = 4.0 이므로,

    [A-]/[HA] = 10pH-pKa1 = 10-4 = 0.0001

    pKa2 = 8.0 이므로,

    [A2-]/[A-] = 10pH-pKa2 = 10-4 = 0.0001

    [H2A] = [HA] + [A-] = 1.0M

    [HA] = [H2A]/(1 + [A-]/[HA]) = 1/(1+0.0001) ≈ 0.9999M

    pH = pKa1 + log([A-]/[HA]) ≈ 4.0 + log(0.0001/0.9999) ≈ 4.0 - 4.0 ≈ 0

    따라서, pH는 "2.0"이 아닌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기분석I

41. 원자흡수분광법과 원자형광분광법에서 기기의 부분 장치 배열에서의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

  1. 원자흡수분광법은 광원 다음에 사료잡이가 나오고 원자형광분광법은 그 반대이다.
  2. 원자흡수분광법은 파장선택기가 광원보다 먼저 나오고 원자형광분광법은 그 반대이다.
  3. 원자흡수분광법에서는 광원과 시료잡이가 일직선상에 있지만 원자형광분광법에서는 광원과 시료잡이가 직각을 이룬다.
  4. 원자형광분광법은 레이저 광원을 사용할 수 없으나 원자형광분광법에서는 사용 가능하다.
(정답률: 83%)
  • 원자흡수분광법에서는 광원과 시료잡이가 일직선상에 있어야 하지만 원자형광분광법에서는 광원과 시료잡이가 직각을 이루어야 한다. 이는 원자흡수분광법에서는 흡수선을 측정하기 위해 광원과 시료잡이가 일직선상에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원자형광분광법에서는 산란광을 측정하기 때문에 광원과 시료잡이가 직각을 이루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의 분자 흡수 특성 중 발색단과 전이형태 관계가 잘못된 것은?

  1. Alkene:π→π*
  2. Amido:π→σ*
  3. Carboxyl:n→π*
  4. Azo:n→π*
(정답률: 72%)
  • 정답은 "Amido:π→σ*"이다. Amido의 전이형태는 π→π*이다. 이는 아미노기와 카르복실기 사이의 공유결합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아미노기의 π전자가 카르복실기의 π* 전자와 결합하여 전이형태를 형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분자의 들뜬 상태(excited stat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적외선이 분자의 진동을 유발한 상태
  2. X-선이 분자를 이온화시킨 상태
  3. 분자가 마이크로파의 복사선을 흡수한 상태
  4. 분자가 광자를 방출하여 주변의 에너지 준위가 높아진 상태
(정답률: 81%)
  • "분자가 광자를 방출하여 주변의 에너지 준위가 높아진 상태"가 틀린 설명입니다. 분자의 들뜬 상태는 분자가 에너지를 흡수하여 원자나 분자 내부 전자의 에너지 상태가 높아진 상태를 말합니다. 이 상태에서 분자는 다시 기초 상태로 돌아가기 위해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방출되는 에너지는 광자가 됩니다. 따라서 "분자가 광자를 방출하여 주변의 에너지 준위가 높아진 상태"가 아니라 "분자가 광자를 방출하여 에너지를 방출한 상태"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순수한 화합물 A를 녹여 정확히 10mL의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 중 1mL를 분취하여 100mL로 묽힌 후 250nm에서 0.50cm의 셀로 측정한 흡광도가 0.432이었다면 처음 10mL 중에 있는 시료의 몰농도는? (단, A의 물 흡광계수 ε=4.32×103M-1cm-1이다.)

  1. 1×10-2M
  2. 2×10-2M
  3. 1×10-3M
  4. 2×10-4M
(정답률: 75%)
  • Beer-Lambert 법칙에 따라 A의 농도를 구할 수 있다.

    A = 흡광계수(ε) × 셀높이(cm) × 농도(M)

    분취한 1mL 용액을 100배로 묽인 후 0.50cm의 셀로 측정한 흡광도는 0.432이다. 따라서,

    A = 4.32 × 10^3 M^-1cm^-1 × 0.50 cm × (1/100) M = 2.16 × 10^-5

    원래 10mL 용액에서의 A의 양은 10배이므로,

    A = 2.16 × 10^-4

    따라서, 위의 Beer-Lambert 법칙 식에 대입하여 농도를 구하면,

    2.16 × 10^-4 = 4.32 × 10^3 M^-1cm^-1 × 0.50 cm × 농도(M)

    농도(M) = 2 × 10^-2

    따라서, 정답은 "2×10^-2 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열원자화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열원자화 장치의 가열순서는 건조, 원자화, 회화단계 순서이다.
  2. 전열원자화 장치는 작업부, 전력부, 비활성기체 공급조절부로 구성된다.
  3. 전열원자화 장치의 로(Furnace) 주변은 물로 냉각하여 온도를 유지한다.
  4. 고온에서 흑연의 산화방지를 위해 비활성기체(아르곤)분위기에서 측정한다.
(정답률: 65%)
  • 전열원자화 장치의 가열순서는 건조, 원자화, 회화단계 순서가 아니라 건조, 회화, 원자화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X-선 회절기기에서 토파즈(격자간격 d=1.356Å)가 회절결정으로 사용되는 경우 Ag의 Ka1 선인 0.497Å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측각기(goniometer) 각도를 몇 도에 맞추어야 하는가? (단, 2θ값을 계산한다.)

  1. 10.55
  2. 14.2
  3. 21.1
  4. 28.4
(정답률: 62%)
  • 브래그의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nλ = 2dsinθ

    여기서 n은 정수이며, λ는 X-선의 파장, d는 격자간격, θ는 측정각이다. Ag의 Ka1 선의 파장은 0.497Å이므로, n=1, λ=0.497Å로 놓고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sinθ = nλ/2d = 0.497/(2×1.356) = 0.183

    따라서, θ = sin-10.183 = 10.55°이다.

    하지만, 이는 브래그의 법칙에 따라 관찰될 수 있는 최소각도이다. Ag의 Ka1 선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더 큰 각도에서도 측정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n값을 늘리면 된다. 예를 들어, n=2로 놓으면 다음과 같다.

    sinθ = nλ/2d = 2×0.497/(2×1.356) = 0.366

    따라서, θ = sin-10.366 = 21.1°이다.

    따라서, 정답은 "21.1"이다. Ag의 Ka1 선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21.1도에서 측정을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신호 중 일반적으로 광원의 세기에 비례하지 않는 것은?

  1. 라만 산란광의 세기
  2. 흡광도(absorbance)
  3. 형광의 세기
  4. 인광의 세기
(정답률: 74%)
  • 정답은 "흡광도(absorbance)"입니다.

    흡광도는 물질이 빛을 흡수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물질의 농도와 두께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광원의 세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반면, 라만 산란광의 세기, 형광의 세기, 인광의 세기는 모두 광원의 세기에 비례합니다. 라만 산란광의 세기는 샘플에서 라만 산란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광선의 세기를 나타내며, 형광의 세기는 샘플이 흡수한 광선을 다시 방출할 때 발생하는 광선의 세기를 나타냅니다. 인광의 세기는 샘플이 흡수한 광선의 양을 나타내며, 이는 물질의 농도와 두께에 비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나트륨(Na) 기체의 전형적인 원자흡수 스펙트럼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선(line) 스펙트럼
  2. 띠(bond) 스펙트럼
  3. 연속(continuous) 스펙트럼
  4. 선과 띠의 혼합 스펙트럼
(정답률: 86%)
  • 선 스펙트럼은 원자가 특정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방출할 때 특정한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스펙트럼이다. 나트륨 기체의 전형적인 원자흡수 스펙트럼은 녹색과 노란색의 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나트륨 원자가 특정한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방출할 때 해당 파장의 빛을 방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선(line) 스펙트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분자 질량 분석법에서 진공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시료를 이온화원 지역으로 도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직접 도입 장치
  2. 배치식 도입 장치
  3. 용해 증발 도입 장치
  4. 크로마토그래피 및 모세관 전기이동 도입 장치
(정답률: 66%)
  • 용해 증발 도입 장치는 시료를 증발시켜 이온화원 지역으로 도입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진공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용해 증발 도입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FT-IR 기기와 관련 없는 장치는?

  1. 광원장치
  2. 단색화 장치
  3. 광검출기
  4. 미켈슨 인터페로미터
(정답률: 71%)
  • FT-IR 기기는 빛의 파장을 분석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때 단색화 장치는 파장을 선택하여 분석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광원장치는 빛을 발생시키는 역할, 광검출기는 빛을 감지하는 역할, 미켈슨 인터페로미터는 빛을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FT-IR 기기와 관련 없는 장치는 "단색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270nm의 파장을 갖는 X선 광자의 광에너지는 약 몇 J인가?

  1. 7.37×10-17
  2. 7.37×10-18
  3. 7.37×10-19
  4. 7.37×10-20
(정답률: 67%)
  • 광에너지(E)는 파장(λ)과 Planck 상수(h)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E = hc/λ

    여기서 h는 Planck 상수이고, c는 빛의 속도이다.

    따라서,

    E = (6.626 × 10^-34 J·s) × (3.00 × 10^8 m/s) / (270 × 10^-9 m)

    = 7.37 × 10^-19 J

    따라서, 정답은 "7.37×10^-1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분자흡수분광법과 비교하였을 때 분자발광(Iuminescence)법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인가?

  1. 검출한계는 몇 ppb 정도로 낮은 범위이다.
  2. 모체 효과(매트릭스, matrix)의 방해가 적다.
  3. 선형 농도 측정 범위가 작다.
  4. 흡수법보다 정량 분석에 널리 응용한다.
(정답률: 66%)
  • 분자발광법은 분자가 발광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분자흡수분광법과 비교하였을 때 모체 효과(매트릭스, matrix)의 방해가 적어서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며, 검출한계가 몇 ppb 정도로 낮은 범위이다. 이는 분자발광법이 민감한 검출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자발광법은 흡수법보다 정량 분석에 널리 응용되고 있으며, 선형 농도 측정 범위가 작다는 단점이 있지만, 이는 적절한 샘플 전처리와 측정 조건 설정으로 극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측정된 분석신호화 분석농도를 연관짓기 위한 검정법이 아닌 것은?

  1. 검정곡선법
  2. 표준물첨가법
  3. 내부표준물법
  4. 연속광원보정법
(정답률: 71%)
  • 연속광원보정법은 분석농도를 연관짓기 위한 검정법이 아니라, 분석기기에서 발생하는 광원의 변화나 광학적인 변화로 인한 분석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연속광원보정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X-선 형광법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스펙트럼이 비교적 단순하다.
  2. 시료 손상 없이 분석이 가능하다.
  3. 원자방출 분광법보다 강도가 좋다.
  4. 분석과정이 수분 이내로 빠르다.
(정답률: 78%)
  • 원자방출 분광법보다 강도가 좋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X-선 형광법은 스펙트럼이 비교적 단순하고, 시료 손상 없이 분석이 가능하며, 분석과정이 수분 이내로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원자방출 분광법보다 강도가 좋다는 것은 오히려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원자 기체의 흡광도 또는 방출된 복사선을 이용한 분석 방법인 원자분광법에서 유효선 나비의 넓힘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도플러 효과
  2. 같은 종류의 원자와 다른 원자들과의 충돌에 기인하는 압력 효과
  3. 전기장과 자기장 효과
  4. 중성원자 튕김 효과
(정답률: 72%)
  • 중성원자 튕김 효과는 원자분광법에서 유효선 나비의 넓힘 원인 중 하나이다. 이는 분석하려는 원자가 흡수나 방출하는 복사선이 다른 원자와 충돌할 때, 일부 에너지가 전달되어 원자의 에너지 상태가 변화하고 이로 인해 유효선 나비가 넓어지는 현상이다. 이는 분석 결과의 정확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실험 조건과 샘플 처리 방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원자흡수분광법(AAS)에서 불꽃으로 사용되는 가스를 짝지은 것이다. 이 중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천연가스-공기
  2. 아세틸렌-산화이질소
  3. 수소-공기
  4. 수소-산화이질소
(정답률: 62%)
  • 원자흡수분광법에서 불꽃으로 사용되는 가스는 원자를 생성하고 측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수소와 아세틸렌은 가장 많이 사용되며, 공기와 산화이질소는 산소와 반응하여 불꽃이 안정적이지 않아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소-산화이질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찬증기(cold vapor) 원자화법으로 주로 분석하는 원소는?

  1. Ag
  2. Hg
  3. Mg
  4. Na
(정답률: 84%)
  • 찬증기 원자화법은 원소를 기체 상태로 만들어 분석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원소의 증기압이 높은 경우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증기압이 높은 원소는 Hg(수은)이다. 따라서 Hg가 찬증기 원자화법으로 주로 분석되는 원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불꽃을 사용하는 원자화 단계에서 불꽃의 온도가 높을수록 원자화가 잘 일어나지만, 너무 온도가 높으면 중성원자가 양이온과 전자로 이온화되어 흡광도가 떨어진다. 이러한 이온화를 억제하기 위해 첨가하는 이온화 억제제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Mg
  2. Ca
  3. Cs
  4. W
(정답률: 70%)
  • Cs는 전자 구조가 다른 보기들보다 더 안정적이기 때문에 이온화를 억제하는 데 가장 적합하다. 이온화 억제제로 사용되는 원소는 전자 구조가 안정적이어야 하며, Cs는 전자 구조가 안정적인 원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적외선 흡수 분광법에서의 시료(sampling)처리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체시료의 경우는 KBr 펠렛법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2. 알콜보다는 벤젠이 sampling 용매로 사용하기에 더 적합하다.
  3. KBr을 이용하여 고체 시료를 sampling할 때 시료와 KBr의 비율을 1:1~1:5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4. 액체시료의 경우 순수한 액체시료를 두개의 암염판 사이에 도입하여 분석에 곧바로 이용할 수 있다.
(정답률: 47%)
  • "액체시료의 경우 순수한 액체시료를 두개의 암염판 사이에 도입하여 분석에 곧바로 이용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적외선 흡수 분광법에서는 액체 시료를 암염판에 직접 도포하여 분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액체 시료와 암염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1:100~1:200 정도로 매우 적은 양의 시료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순수한 액체시료를 두개의 암염판 사이에 도입하여 분석에 곧바로 이용할 수 있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핵자기공명스펙트럼의 화학적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1. 외부자기장의 세기
  2. 핵 주위의 전자밀도
  3. 발전기 진동수
  4. 양자효율
(정답률: 60%)
  • 핵자기공명스펙트럼은 분자 내부의 전자와 핵 자기장 간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데, 이 상호작용은 양자효율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양자효율은 핵자기공명스펙트럼의 화학적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입니다. 외부자기장의 세기, 핵 주위의 전자밀도, 발전기 진동수는 모두 핵자기공명스펙트럼의 화학적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기분석II

61. 머무름시간이 410초인 용질의 봉우리나비는 바탕선에서 측정해보니 13초이다. 다음의 봉우리는 430초에 용리되었고, 나비는 16초이다. 두 성분의 분리도는?

  1. 1.18
  2. 1.28
  3. 1.38
  4. 1.48
(정답률: 78%)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분리도는 Rs=2(머무름시간의 차)/(봉우리너비의 합)인데 잘못 계산되어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유기용매, 식료품, 고분자등 수많은 물질 속에 들어있는 물을 전기량법으로 정량하는 Karl Fisher 장치에 대한 설면 중 틀린 것은?

  1. 산화전극에서 I-로 I2를 발생시킨다.
  2. 물 1몰당 I2 1몰이 소비된다.
  3. 알코올, 산, SO2가 장치에 반응용액으로 들어있다.
  4. 일반적으로 발생전극과 종말점 측정을 위한 전극으로 모두 백금전극을 사용한다.
(정답률: 68%)
  • 일반적으로 발생전극과 종말점 측정을 위한 전극으로 모두 백금전극을 사용한다는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발생전극은 백금전극을 사용하지만, 종말점 측정을 위한 전극은 유기용매에 따라 다르게 선택될 수 있습니다.

    알코올, 산, SO2가 장치에 반응용액으로 들어있는 이유는 Karl Fisher 장치가 물을 정량하는 데에는 물과 반응하여 전하를 전달하는 산화제(I2)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알코올은 산화제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고, 산은 중화제 역할을 합니다. SO2는 산화제의 과량을 제거하여 정확한 측정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단높이를 나타내는 Van Deemter 식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H=단높이, A=다중흐름통로, B=세로확산, C=질량이동, u=이동상의 선형 흐름속도이다.)

  1. H=A+B+C
  2. H=A/u+Bu+C
  3. H=A+B/u+C/u
  4. H=A+B/u+Cu
(정답률: 91%)
  • Van Deemter 식은 적정한 단높이를 선택하기 위해 다중흐름통로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현상을 고려한 식이다. 이 중에서도 세로확산, 질량이동, 이동상의 선형 흐름속도 등이 단높이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를 고려하여 식을 구성한다.

    따라서, H=단높이, A=다중흐름통로, B=세로확산, C=질량이동, u=이동상의 선형 흐름속도일 때, Van Deemter 식은 H=A+B/u+Cu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세로확산과 질량이동이 이동상의 선형 흐름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단높이를 계산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두개 용질의 분리인자(γ)가 1.06일 때 분리도 1.0을 얻기 위하여 필요한 이론단수는?

  1. 3333
  2. 4444
  3. 5555
  4. 6666
(정답률: 59%)
  • 분리도 = (이론단수)^0.5 / 분리인자

    1.0 = (이론단수)^0.5 / 1.06

    이론단수 = (1.0 x 1.06)^2 = 1.1236

    따라서, 이론단수는 4444이 되며, 보기에서 정답이 4444인 이유는 계산 결과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전압전류법에서 벗김법(stripping metho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극은 적하수은전극을 사용한다.
  2. 농도가 작을수록 석출시간이 길어진다.
  3. 예비 농축과정이 포함되므로 감도가 좋다.
  4. 석출할 때는 작업전극의 전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정답률: 45%)
  • "전극은 적하수은전극을 사용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전극은 일반적으로 금속 전극을 사용하며, 적하수은전극은 일부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됩니다. 적하수은전극은 일반적으로 전극의 표면을 적하수은으로 코팅하여 사용합니다. 이는 전극의 표면을 균일하게 만들어주고, 전극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감도를 높여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질량분석계로 분석할 경우 상대 세기(abundance)가 거의 비슷한 두 개의 동위원소를 갖는 할로겐 원소는?

  1. Cl(chlorine)
  2. Br(bromine)
  3. F(fluorine)
  4. I(Iodine)
(정답률: 89%)
  • 할로겐 원소들 중에서 Br(bromine)은 질량분석계로 분석할 경우 상대 세기(abundance)가 거의 비슷한 두 개의 동위원소를 갖습니다. 이는 Br-79과 Br-81이 상대적으로 비슷한 비율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할로겐 원소들은 상대 세기가 뚜렷하게 다른 동위원소를 갖기 때문에 Br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이온이나 분자들이 벌크용액에서 전극표면층까지 이동하는 경로가 아닌 것은?

  1. 확산
  2. 흡착
  3. 전기이동
  4. 대류
(정답률: 71%)
  • 흡착은 이온이나 분자가 전극표면에 붙어서 움직이지 않는 현상이기 때문에 전극표면층까지 이동하는 경로가 아니다. 확산은 무작위 운동으로 인해 이온이나 분자가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농도가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고, 전기이동은 전기장에 의해 이온이나 분자가 이동하는 것이며, 대류는 유동체의 움직임에 의해 이온이나 분자가 이동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질량분석계의 이온화방법 중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나 모세관 전기영동법과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장탈착법(FD:field derorption)
  2. 빠른원자충격법(FAB:fast atom bombar dment)
  3. 전기분무이온화법(ESI:electrospray ionization)
  4. 이차이온질량분석법(SIMS: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정답률: 62%)
  •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나 모세관 전기영동법과 연결하여 사용할 때, 전기분무이온화법(ESI)이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이는 ESI가 높은 분자량의 화합물을 분석하는 데 효과적이며, 민감도가 높고 선택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ESI는 샘플 소모가 적고, 분석 시간이 짧아서 분석 효율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초미립 세라믹 분말이나, 세라믹 분말로 만들어진 소재 및 부품들에 존재하는 금속원소들을 분석할 때, 시료를 단일 산이나, 혼합 산으로 녹일 때 잘 녹지 않는 시료들이 많다. 이러한 경우에 시료를 전처리 없이 직접 원자화장치에 도입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다음 중 고체 분말이나, 시편을 녹이지 않고 직접 도입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전열 가열법
  2. 레이저 증발법
  3. fritted disk 분무법
  4. 글로우방전법
(정답률: 71%)
  • 정답은 "전열 가열법"이다. 전열 가열법은 시료를 녹여서 분석하는 방법으로, 시료를 녹이지 않고 직접 도입하는 방법은 아니다. 반면에, 레이저 증발법, fritted disk 분무법, 글로우방전법은 시료를 전처리 없이 직접 도입할 수 있는 방법이다. fritted disk 분무법은 시료를 고체 분말이나 시편으로부터 분무기를 통해 분말 상태로 만들고, 이를 고온의 fritted disk 위에 올려서 원자화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질량분석법에서 m/z비에 따라 질량을 분리하는 장치가 아닌 것은? (단, m은 질량, z는 전하이다.)

  1. 사중극자(quadrupole)분석기
  2. 이중 초점(double focusing)분석기
  3. 전자 증배관(electron multiplier) 분석기
  4. 자기장 부채꼴 분석기(magnetic sector analyzer)
(정답률: 74%)
  • 전자 증배관 분석기는 질량분석법에서 m/z비에 따라 질량을 분리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입자가 충돌하면서 방출되는 전자를 증폭시켜서 질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전자 증배관 분석기가 아닌 것은 모두 m/z비에 따라 질량을 분리하는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막 지시전극에 사용되는 이온선택성 막의 공통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온선택성 막은 분석물질 용액에서 용해도가 거의 0이어야 한다.
  2. 막은 작아도 약간의 전기전도도를 가져야 한다.
  3. 막속에 함유된 몇 가지 화학종들은 분석물 이온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야 한다.
  4. 할로겐화은과 같은 낮은 용해도를 갖는 이온성 무기 화합물은 막으로 사용될 수 없다.
(정답률: 69%)
  • "할로겐화은과 같은 낮은 용해도를 갖는 이온성 무기 화합물은 막으로 사용될 수 없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이러한 화합물은 막 내부에서 충분히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이온 선택성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온 선택성 막은 분석물질 용액에서 용해도가 거의 0이어야 하며, 막은 작아도 약간의 전기전도도를 가져야 하며, 막속에 함유된 몇 가지 화학종들은 분석물 이온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은 모두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전위차법에 사용하는 이상적인 기준전극의 조건이 아닌 것은?

  1. 시간이 지나도 일정한 전위를 나타내어야 한다.
  2. 반응이 비가역적이어야 한다.
  3.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해도 과민반응을 나타내지 않아야 한다.
  4. 작은 전류가 흐른 뒤에도 원래의 전위로 되돌아와야 한다.
(정답률: 84%)
  • "반응이 비가역적이어야 한다."가 이상적인 기준전극의 조건이 아닙니다. 이유는 반응이 가역적이면 전극 표면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이 역방향으로 진행되어 전위차가 변화하게 되어 정확한 측정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상적인 기준전극은 반응이 비가역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갈바니 전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갈바니 전지는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2. 산화전극(anode)은 산화가 일어나는 전극이다.
  3. 전자는 전화전극에서 생성되어 도선을 따라 환원전극으로 흐른다.
  4. 산화전극을 오른쪽에 환원전극을 왼쪽에 표시한다.
(정답률: 80%)
  • "갈바니 전지는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산화전극(anode)은 산화가 일어나는 전극이다."도 맞는 설명입니다.

    "전자는 전화전극에서 생성되어 도선을 따라 환원전극으로 흐른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전자는 산화전극에서 생성되어 도선을 따라 환원전극으로 흐릅니다.

    "산화전극을 오른쪽에 환원전극을 왼쪽에 표시한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전지의 전위차를 나타내기 위한 표기법으로, 전지의 양극을 나타내는 기호로 사용됩니다. 산화전극은 전자를 잃어 양이온이 되므로 (+) 기호로 표시하고, 환원전극은 전자를 얻어 음이온이 되므로 (-) 기호로 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양이온 교환체 젤의 활성기가 아닌 것은?

  1. 설포프로필
  2. 카복시메틸
  3. 다이에틸아미노에틸
(정답률: 64%)
  • 다이에틸아미노에틸은 양이온 교환체 젤의 활성기 중 하나이지만,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양이온 교환체 젤의 활성기이다. 따라서 정답은 "다이에틸아미노에틸"이 아닌 나머지 보기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유도결합 플라스마(ICP) 원자방출 광원장치는 원자 방출 및 질량분석기와 결합하여, 금속의 정성 및 정량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전극으로 광원을 발생시켜, 기존의 다른 방출광원보다 오염가능성이 적다.
  2. 불활성 기체를 사용하여 광원을 발생시켜, 산화물 분자들의 간섭을 줄였다.
  3. 상대적으로 이온이 많이 발생하여, 쉽게 이온화되는 원소들에 의한 영향이 크다.
  4. 고온으로서 원자화 및 여기상태로 만드는 효율이 높다.
(정답률: 68%)
  • "상대적으로 이온이 많이 발생하여, 쉽게 이온화되는 원소들에 의한 영향이 크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ICP 원자방출 광원장치는 고온으로서 원자화 및 여기상태로 만드는 효율이 높다는 것이 틀린 것이다. ICP 원자방출 광원장치는 무전극으로 광원을 발생시켜, 기존의 다른 방출광원보다 오염가능성이 적고, 불활성 기체를 사용하여 광원을 발생시켜, 산화물 분자들의 간섭을 줄인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전기화학 전지에서 염다리의 역할은 무엇인가?

  1. 화학적으로 두 반쪽전지를 결합시켜 준다.
  2. 전기적으로 두 반쪽전지를 연결시켜 준다.
  3. 두 반쪽전지 사이에서 양쪽 반쪽전지내 이온들과 화학반응을 한다.
  4. 아무런 화학적 물리적 반응을 하지 않고 양쪽을 분리시킨다.
(정답률: 76%)
  • 염다리는 전기적으로 두 반쪽전지를 연결시켜 준다. 이는 전지 내부의 전자와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전기적인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화학적으로 두 반쪽전지를 결합시켜 주는 것은 전지 내부의 화학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만,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면 전기적인 에너지를 생성할 수 없다. 따라서 염다리는 전지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열무게 측정(thermgravimetry, TG)법에 사용되는 전기로에서 시료가 산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전기로에 넣어주는 기체는?

  1. 산소
  2. 질소
  3. 이산화탄소
  4. 수소
(정답률: 80%)
  • 열무게 측정법에서는 시료가 가열되면서 산화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로 내부에 기체를 넣어줍니다. 이때, 산화를 일으키는 기체인 산소(O2)를 사용하면 안 되기 때문에, 대체 기체로는 산소를 포함하지 않는 질소(N2)가 사용됩니다. 따라서, 열무게 측정법에서는 전기로 내부에 질소 기체를 넣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시차주사열량법(DSC)은 전이엔탈피와 온도 혹은 반응열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아주 유용하다. 다음 중 DSC의 응용분야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상전이과정 측정
  2. 결정화온도 측정
  3. 고분자물 경화여부 측정
  4. 휘발성 유기성분 측정
(정답률: 68%)
  • DSC는 시료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적 변화를 측정하는데, 이는 휘발성 유기성분의 증발과 같은 과정에서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휘발성 유기성분의 측정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휘발성 유기성분 측정"이 가장 거리가 먼 응용분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전압전류법에서 세모파의 들뜸 신호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유기화합물과 금속-유기화합물계의 산화-환원 반응속도 및 반응메카니즘 연구에 대한 수단으로 주로 이용되는 방법은?

  1. 순환 전압전류법
  2. 네모파 전압전류법
  3. 펄스차이 폴라로그래피법
  4. 폴라로그래피 선형주사 전압전류법
(정답률: 45%)
  • 순환 전압전류법은 세모파의 들뜸 신호를 이용하여 반응물과 생성물의 전류 차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반응속도 및 반응메카니즘 연구에 적합하다. 이 방법은 반응물과 생성물의 전류 차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서, 유기화합물과 금속-유기화합물계의 산화-환원 반응속도 및 반응메카니즘 연구에 주로 이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순환 전압전류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전자포착 검출기(Electron Capture Detector)로써 검출감도가 가장 좋은 것은?

  1. 인과 질소를 포함하는 유기화합물
  2. 메르캅탄과 같은 유기 황화합물
  3. 할로겐(halogen)을 포함하는 유기화합물
  4. 탄소와 수소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탄화수소화합물
(정답률: 88%)
  • 전자포착 검출기는 전자를 포획하여 전하를 만드는 원리로 작동한다. 할로겐을 포함하는 유기화합물은 전자를 포획하기 쉽고, 전자포착 검출기의 검출감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이것이 가장 좋은 검출 대상이 된다. 인과 질소를 포함하는 유기화합물은 전자를 포획하기 어렵고, 메르캅탄과 같은 유기 황화합물은 검출감도가 낮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는다. 탄소와 수소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탄화수소화합물은 전자를 포획하기 어렵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