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29)

실내건축기능사
(2009-03-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

1. 창문 전체를 커튼으로 처리하지 않고 반 정도만 친 형태를 갖는 커튼의 종류는?

  1. 글라스 커튼
  2. 새시 커튼
  3. 드로우 커튼
  4. 크로스 커튼
(정답률: 78%)
  • 창문 전체를 커버하지 않고 반 정도만 커버하는 형태의 커튼을 새시 커튼이라고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창문 전체를 커버하는 형태의 커튼이거나 다른 종류의 커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냉·난방상 가장 유리한 천장의 형태는?

  1. 높이가 높은 아치형 천장
  2. 천장면이 경사진 경사 천장
  3. 천장면이 꺾인 꺾임형 천장
  4. 높이가 낮은 평평한 평형 천장
(정답률: 83%)
  • 높이가 낮은 평평한 평형 천장은 공기의 이동이 적어서 열이 잘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높이가 높은 아치형 천장이나 천장면이 경사진 경사 천장, 꺾임형 천장은 공기의 이동이 많아서 열이 쉽게 흐르기 때문에 냉·난방 효율이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실내디자인의 개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간 생활의 쾌적성을 추구한다.
  2. 실내공간을 기능적, 정서적 공간으로 완성한다.
  3. 실내공간을 쾌적한 환경으로 창조한다.
  4. 실내를 자연환경으로 바꾼다.
(정답률: 95%)
  • 실내디자인은 인간이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그러나 "실내를 자연환경으로 바꾼다"는 것은 인공적인 실내공간을 자연적인 환경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실내디자인의 목적과는 거리가 멀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주거공간의 동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선은 일상생활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선이다.
  2. 개인, 사회, 가사노동권의 3개 동선은 서로 분리되어 간섭이 없도록 한다.
  3. 동선은 길고, 가능한 직선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하중이 큰 가사노동의 동선은 되도록 남쪽에 오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93%)
  • "동선은 길고, 가능한 직선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옳은 설명이며, 이유는 직선적인 동선은 이동 거리와 시간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구부러진 동선은 시각적으로도 불편하며, 이동하는 데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거공간의 동선 계획 시에는 가능한 직선적인 동선을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상점계획에서 파사드 구성에 요구되는 소비자 구매 심리 5단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주의(Attention)
  2. 욕망(Desire)
  3. 기억(Memory)
  4. 유인(Attraction)
(정답률: 75%)
  • 유인(Attraction)은 소비자가 상점에 끌리는 요소를 의미합니다. 이는 소비자의 구매 심리 5단계 중에서도 가장 초기 단계에 해당하며, 상점의 외관, 진열된 제품의 디자인 등으로 소비자의 눈길을 끌어들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유인은 다른 단계들과는 구분되어 소비자 구매 심리 5단계 중에서는 독립적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의 내용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P.O.P(Point of purchase)
  2. 슈퍼그래픽(Super graphic)
  3.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
  4. 레터링(Lettering)
(정답률: 42%)
  • 위의 이미지는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매장 내부에 부착되는 큰 규모의 그래픽 디자인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그래픽 디자인을 슈퍼그래픽(Super graphic)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같은 층에서 바닥에 높이 차를 둘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칸막이 없이 공간 구분을 할 수 있다.
  2. 심리적인 구분감과 변화감을 준다.
  3. 안전에 유념해야 한다.
  4. 연속성을 주어 실내를 더 넓어 보이게 한다.
(정답률: 83%)
  • "안전에 유념해야 한다."는 바닥에 높이 차를 둘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바닥에 높이 차를 둘 경우, 연속성을 주어 실내를 더 넓어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높이 차가 있는 공간과 그렇지 않은 공간이 시각적으로 연결되어 보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심리적인 구분감과 변화감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을 할 때에는 안전에 유념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점의 조형효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 점이 공간의 중심에 위치하면 집중 효과가 생긴다.
  2. 두 점의 크기가 같을 때 주의력은 균등하게 작용한다.
  3. 근접되어 있는 많은 점은 면으로 지각된다.
  4. 크기가 다른 점들의 모임은 정적인 느낌을 준다
(정답률: 69%)
  • 크기가 다른 점들의 모임은 정적인 느낌을 준다는 것은, 크기가 다른 점들이 모여 있을 때 시선이 큰 점에 집중되어 작은 점들이 눈에 띄지 않아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동적인 느낌을 주는 점의 조형효과와는 반대되는 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건물과 일체화하여 만든 가구로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가구는?

  1. 가동 가구
  2. 붙박이 가구
  3. 모듈러 가구
  4. 작업용 가구
(정답률: 94%)
  • 붙박이 가구는 건물의 벽면이나 천장 등과 일체화하여 만들어지는 가구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가구와는 달리 이동이 불가능하며,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붙박이 가구는 공간 활용이 중요한 작은 집이나 스튜디오 아파트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대칭적 균형에 속하는 것은?

(정답률: 90%)
  • 정답은 "" 입니다. 이것은 대칭적 균형에 속합니다. 이유는 왼쪽과 오른쪽에 있는 물체들의 질량과 위치가 서로 대칭적이기 때문입니다. 즉, 왼쪽에 있는 물체의 질량과 위치가 오른쪽에 있는 물체의 질량과 위치와 같습니다. 이러한 대칭성은 물체들이 서로 상쇄되어 균형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주거공간의 영역 구분 중 개인적 영역에 속하는 것은?

  1. 거실
  2. 응접실
  3. 서재
  4. 식사실
(정답률: 97%)
  • 서재는 개인적인 공간으로서, 개인의 취향과 성향에 따라 책상, 책장, 의자 등을 배치하여 자신만의 공간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적 영역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선의 조형효과가 가장 동적(動的)인 것은?

  1. 사선
  2. 수평선
  3. 수직선
  4. 포물선
(정답률: 43%)
  • 사선은 기울어진 형태로 인해 동적인 느낌을 줍니다. 수평선과 수직선은 정적인 느낌을 주고, 포물선은 곡선으로 인해 부드러운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선의 조형효과가 가장 동적인 것은 사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이질의 각 구성요소들이 전체로서 동일한 이미지를 갖게 하는 것으로, 변화와 함께 모든 조형에 대한 미의 근원이 되는 디자인 원리는?

  1. 강조
  2. 통일
  3. 조화
  4. 균형
(정답률: 49%)
  • 디자인에서 통일은 이질적인 구성요소들을 하나로 묶어 전체적으로 일관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원리입니다. 이를 통해 변화와 함께 모든 조형에 대한 미의 근원이 되며, 강조, 조화, 균형 등의 다른 디자인 원리들과 함께 사용되어 더욱 완성도 높은 디자인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일반적으로 자연적 재료가 주는 질감의 느낌은?

  1. 차가움
  2. 친근함
  3. 세련됨
  4. 날카로움
(정답률: 92%)
  • 자연적 재료는 보통 따뜻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주며, 이는 우리가 자연과 가까운 친근한 느낌을 받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친근함"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욕실, 현관, 다용도실의 바닥재료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목재
  2. 타일
  3. 석고
  4. 벽돌
(정답률: 92%)
  • 타일은 물에 강하고 내구성이 높아서 욕실과 현관, 다용도실 등 습기가 많은 공간에서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또한 청소가 쉽고 디자인적으로도 다양한 선택지가 있어 인테리어에도 잘 어울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자연 환기 방법이 아닌 것은?

  1. 온도차에 의한 환기
  2. 바람에 의한 환기
  3. 환기통에 의한 환기
  4. 송풍기에 의한 환기
(정답률: 80%)
  • 송풍기에 의한 환기는 인공적인 기계를 사용하여 공기를 움직이는 방법으로, 자연 환기 방법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자연적인 방법으로 공기를 움직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벽과 같은 고체를 통하여 유체에서 유체로 열이 전해지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은?

  1. 열관류
  2. 열전도
  3. 복사
  4. 대류
(정답률: 61%)
  • 고체를 통해 열이 전달되는 현상을 열전도라고 하지만, 유체에서 유체로 열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열전도 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대신, 유체 내부에서 분자들이 서로 충돌하면서 열이 전달되는데, 이를 열관류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관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주광률(Daylight factor)을 나타내는 식은?

  1. 주광률=(실내조도/전천공조도) × 100(%)
  2. 주광률=(입사광속/발산광속)
  3. 주광률=(발산광속/단위투영광속) × 100(%)
  4. 주광률=(휘도/광도)
(정답률: 39%)
  • 주광률은 실내에 들어오는 자연광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실내에서 측정한 조도값과 전천공에서 측정한 조도값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주광률은 "주광률=(실내조도/전천공조도) × 100(%)"로 계산됩니다. 이 식에서 실내조도는 실내에서 측정한 조도값을, 전천공조도는 전천공에서 측정한 조도값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계산된 주광률은 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값이 높을수록 자연광이 잘 들어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물리적 온열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기온
  2. 습도
  3. 복사열
  4. 인체의 활동상태
(정답률: 78%)
  • 인체의 활동상태는 물리적인 온열요소가 아니라 인간의 활동 수준에 따라 발생하는 열의 양이 달라지는 인자입니다. 따라서 인체의 활동상태는 물리적인 온열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음의 감각적인 크기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1. lm
  2. lux
  3. phon
  4. %
(정답률: 69%)
  • 음의 감각적인 크기를 표현하는 단위는 phon입니다. 이는 소리의 강도를 인간의 청각 감각에 따라 측정하는 것으로, 소리의 높낮이나 주파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lm(밝기), lux(조도), %(백분율)은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위가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실내환경

21. 다음 중 목재의 건조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충해 방지
  2. 목재강도의 증가
  3. 목재수축에 의한 손상방지
  4. 가공성의 증가
(정답률: 42%)
  • 목재의 건조 목적은 주로 충해 방지, 목재강도의 증가, 목재수축에 의한 손상방지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가공성의 증가는 목재를 가공할 때 필요한 성질로, 건조가 되면 목재 내부의 수분이 감소하여 가공성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가공성의 증가는 목재의 건조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의 각 석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화강암-내구성 및 강도가 크고 외관이 수려하며 절리의 거리가 비교적 커서 대재(大材)를 얻을 수 있다.
  2. 점판암-대기 중에서 변색, 변질하지 않으며 석질이 치밀하고 박판으로 채취가 가능하다.
  3. 트레버틴-수성암의 일종으로 다공질이며 실내 장식에 사용된다.
  4. 사암-단단한 것은 구조용재에 적합하나 대체로 외관이 좋지 못하며, 연약한 것은 실내장식재로 사용된다.
(정답률: 38%)
  • 정답은 "트레버틴-수성암의 일종으로 다공질이며 실내 장식에 사용된다." 이다. 이유는 트레버틴은 수성암의 일종이지만 다공질이 아니며, 대신에 밀도가 높고 단단하며 실내 장식에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의 건축용 점토제품에 요구되는 성질에 관한 설명 중 ( )안에 공통으로 알맞은 용어는?

  1. 물리적 강도
  2. 화학적 안정성
  3. 수화팽창
  4. 내동결성
(정답률: 59%)
  • 이 건축용 점토제품은 추운 겨울철에도 얼지 않고 내동결성이 뛰어난 성질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내동결성"이라는 용어가 공통적으로 알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단열유리라고도 하고 철, N,Cr 등이 들어있는 유리로서 담청색을 띠고 있으며 서향일공을 받는 창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열선흡수유리
  2. 강화유리
  3. 열선반사유리
  4. 자외선투과유리
(정답률: 60%)
  • 열선흡수유리는 철, N, Cr 등의 금속 산화물을 유리에 첨가하여 열선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열선흡수유리를 사용한 창문은 열선을 흡수하여 내부 공간을 보호하고, 외부 열선을 차단하여 에어컨 등의 냉방기기의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일반적으로 500℃에서 건축구조용으로 쓰이는 강재의 인장 강도는 0℃일 때 인장강도의 어느 정도인가?

  1. 1/2
  2. 1/5
  3. 1/10
  4. 1/20
(정답률: 20%)
  • 일반적으로 강재의 인장강도는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감소합니다. 따라서 500℃에서의 인장강도는 0℃일 때의 인장강도보다 낮을 것입니다. 이 때, 강재의 인장강도는 온도가 100℃ 상승할 때마다 약 1/2씩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건축재료를 화학조성에 의해 분류할 경우, 다음 중무기재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석재
  2. 콘크리트
  3. 알루미늄
  4. 목재
(정답률: 60%)
  • 목재는 유기재료에 속하며, 화학조성에 의해 분류할 경우 무기재료에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목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기경성 미장재료는?

  1. 시멘트 모르타르
  2. 인조석 바름
  3. 혼합석고 플라스터
  4. 회반죽
(정답률: 56%)
  • 기경성 미장재료는 건축물 내부나 외부의 벽면을 마감하는 재료를 말합니다. 이 중 회반죽은 석회와 모래, 물을 혼합하여 만든 미장재료입니다. 회반죽은 환경 친화적이며, 건축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마감할 수 있습니다. 또한, 회반죽은 건축물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고, 방음 효과도 있어서 건축물 내부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반죽은 기경성 미장재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아스팔트의 경도를 표시하는 것으로 규정된 조건에서 규정된 침이 시료 중에 진입된 길이를 환산하여 나타낸 것은?

  1. 신율
  2. 침입도
  3. 연화점
  4. 인화점
(정답률: 86%)
  • 침입도는 아스팔트의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규정된 조건에서 규정된 침을 시료에 눌러 넣고 그 침이 시료 내부로 얼마나 침입하는지를 측정하여 경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침입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구조재료의 요구 성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재질이 균일하고 강도가 큰 것이어야 한다.
  2. 내화, 내구성이 작은 것이어야 한다.
  3. 가볍고 큰 재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4. 가공이 용이한 것이어야 한다.
(정답률: 71%)
  • 가볍고 큰 재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은 구조재료의 요구성질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구조재료는 건축물, 다리, 차량 등의 구조물을 지탱하고 보호하기 위한 재료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구조재료는 내화성과 내구성이 뛰어나야 하며, 재료의 강도와 가공이 용이한 것이 중요합니다. 가볍고 큰 재료를 얻는 것은 구조재료의 요구성질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점토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양질의 점토는 습윤 상태에서 현저한 가소성을 나타낸다.
  2. 점토 제품의 색상은 철 산화물 또는 석회 물질에 의해 나타난다.
  3. 점토의 비중은 불순 점토일수록 크고, 알루미 나분이 많을수록 작다.
  4. 일반적으로 점토의 압축강도는 인장강도의 약 5배 정도이다.
(정답률: 55%)
  • "점토의 비중은 불순 점토일수록 크고, 알루미나 분이 많을수록 작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점토의 비중은 불순물의 함량과는 관계없이 거의 일정합니다. 알루미나 분이 많을수록 점토의 비중은 오히려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실내건축재료

31.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목재 방부재는?

  1. 크레오소트유
  2. 콜타르
  3. 염화아연용액
  4. 펜타클로르 페놀
(정답률: 40%)
  • 이 방부재는 목재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펜타클로르 페놀은 강력한 항균 작용을 가지고 있어서 목재 내부의 세균, 곰팡이 등을 제거하여 부패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목재 방부재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펜타클로르 페놀만큼 강력한 항균 작용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목재 및 기타 식물의 섬유질소편에 합성수지 접착제를 도포하여 가열압착성형한 판상제품은?

  1. 파티클보드
  2. 목재집성재
  3. 합판
  4. 시멘트목질판
(정답률: 49%)
  • 파티클보드는 목재 및 기타 식물의 섬유질소편에 합성수지 접착제를 도포하여 가열압착성형한 판상제품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파티클보드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목재집성재는 목재를 붙여서 만든 제품이며, 합판은 목재를 적층하여 만든 제품입니다. 시멘트목질판은 시멘트와 목재를 혼합하여 만든 제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콘크리트 작업 중 재료분리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잔골재율을 크게 한다.
  2. 물시멘트비를 크게 한다.
  3. AE제를 사용한다.
  4. 플라스티시티(plasticity)
(정답률: 47%)
  • 물시멘트비를 크게 한다는 것은 시멘트와 물의 비율을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지만, 재료분리를 줄이는 방법은 아닙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인공골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팽창혈암
  2. 강자갈
  3. 펄라이트
  4. 암석을 부수어 만든 모래
(정답률: 60%)
  • 강자갈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자연적으로 생성된 것이기 때문에 인공골재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대리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석회석이 변화되어 결정화한 것으로 탄산 석회가 주성분이다.
  2. 석질이 치밀, 견고하고 색채, 무늬가 다양하다
  3. 산과 알칼리에 강하다.
  4. 강도는 매우 높지만 풍화되기 싶기 때문에 실외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정답률: 73%)
  • "산과 알칼리에 강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대리석은 탄산 석회로 이루어져 있어서 산성 물질에는 용이하게 부식되고, 알칼리성 물질에는 부식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대리석은 산과 알칼리에 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기계적 강도, 전기적 성질이 우수하여 카운터나 조리대 등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는?

  1. 염화비닐
  2. 아크릴수지
  3. 멜라민수지
  4. 폴리스티렌수지
(정답률: 43%)
  • 멜라민수지는 기계적 강도와 전기적 성질이 우수하며, 내열성과 내화학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카운터나 조리대 등 열에 강한 제품을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시멘트의 분산효과를 향상시켜 콘크리트의 시공성을 높이는 혼화제는?

  1. 기포제
  2. 방청제
  3. 경화촉진제
  4. 유동화제
(정답률: 36%)
  • 유동화제는 시멘트 입자들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 시멘트 입자들이 서로 분산되어 콘크리트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돕는 혼화제입니다. 이로 인해 콘크리트의 시공성이 향상되며, 강도와 내구성도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비교적 굵은 철선을 격자형으로 용접한 것으로 콘크리트 보강용으로 사용되는 금속 제품은?

  1. 펀칭 메탈(punching metal)
  2. 와이어 로프(wire rope)
  3. 와이어 메시(wire mesh)
  4. 메탈 폼(metal form)
(정답률: 48%)
  • 비교적 굵은 철선을 격자형으로 용접한 것이기 때문에 콘크리트 보강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이러한 제품을 일반적으로 "와이어 메시(wire mesh)"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분말도가 큰 시멘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나치게 크면 풍화되기 쉽다.
  2. 건조수축이 커져서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3. 강도의 발현속도가 빠르다.
  4. 수화작용이 느리므로 매스콘크리트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41%)
  • 강도의 발현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분말도가 큰 시멘트가 빠르게 경화되어 강도가 빨리 발현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강도의 발현속도가 빠르다"는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수화작용이 느리므로 매스콘크리트에 주로 사용된다는 것은 분말도가 큰 시멘트가 수화작용이 느리기 때문에 매스콘크리트와 같이 장기간 경화가 필요한 구조물에 주로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단열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단열재는 열전도율이 작은 재료를 사용한다.
  2.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흡음성능이 우수하다.
  3. 단열재는 보통 다공질 재료가 많다.
  4.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역학적인 강도가 크다.
(정답률: 33%)
  •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역학적인 강도가 크지 않다. 이유는 단열재는 열을 차단하기 위해 공기나 다른 가스를 포함한 다공질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강도가 높을수록 열전도율이 높아져 열 차단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열재는 열전도율이 작은 재료를 사용하고, 흡음성능이 우수하며, 보통 다공질 재료가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목재의 접합에서 이음과 맞춤에서의 주의할 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접합은 응력이 작은 곳에서 할 것
  2. 이음, 맞춤의 단면은 응력의 방향에 직각되게 할 것
  3. 이음, 맞춤의 끝부분은 작용하는 응력이 균등히 전달되도록 할 것
  4. 재는 최대한 많이 깎아내어 맞춤면에 여유를 둘 것
(정답률: 66%)
  • "재는 최대한 많이 깎아내어 맞춤면에 여유를 둘 것"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재질의 손실을 초래하며, 오히려 강도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맞춤면에 꼭 맞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석재 표면의 마무리 순서로 옳은 것은?

  1. 정다듬-메다듬-잔다듬-도드락 다듬-물갈기
  2. 메다듬-정다듬-도드락 다듬-잔다듬-물갈기
  3. 잔다듬-메다듬-도드락 다듬-물갈기-정갈기
  4. 정다듬-잔다듬-메다듬-도드락 다듬-물갈기
(정답률: 64%)
  • 정답은 "메다듬-정다듬-도드락 다듬-잔다듬-물갈기" 입니다.

    석재 표면의 마무리 순서는 크게 메다듬, 정다듬, 잔다듬, 도드락 다듬, 물갈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메다듬은 석재 표면의 거친 부분을 제거하고 평평하게 다듬는 과정입니다. 그 다음으로 정다듬은 메다듬으로 다듬어진 표면을 더욱 부드럽게 다듬는 과정입니다.

    잔다듬은 석재 표면에 작은 돌기를 만들어 내는 과정으로, 석재의 질감을 더욱 부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도드락 다듬은 석재 표면에 돌기를 만들어내는 과정으로, 잔다듬과 비슷하지만 더욱 큰 돌기를 만들어냅니다.

    마지막으로 물갈기는 석재 표면을 물로 갈아내는 과정으로, 석재 표면을 더욱 부드럽게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메다듬-정다듬-도드락 다듬-잔다듬-물갈기 순서로 마무리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철근콘크리트보에서 전단력을 보강하기 위해 보의 주근 주위에 둘러 배치한 철근은?

  1. 나선철근
  2. 띠철근
  3. 배력근
  4. 늑근
(정답률: 50%)
  • 늑근은 주변에 감겨진 철근으로, 보의 전단력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늑근은 나선철근과 달리 굵기가 일정하며, 띠철근과 달리 표면에 띠가 없습니다. 또한 배력근과 달리 주변에 감겨져 있어 보의 전단력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보에서 전단력을 보강하기 위해 보의 주근 주위에 둘러 배치한 철근은 늑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구조 재료에 의한 건축구조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목구조
  2. 벽돌구조
  3. 강구조
  4. 가구식구조
(정답률: 54%)
  • 가구식구조는 건축구조의 분류가 아니라 가구나 가전제품 등의 제작에 사용되는 구조물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목구조, 벽돌구조, 강구조는 건축구조의 분류에 속하지만 가구식구조는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철골 용접시 발생하는 용접 결함 중 언더 컷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용접 부분안에 생기는 기포
  2. 용착금속이 모재에 완전히 붙지 않고 겹쳐 있는 것
  3. 용착금속이 홈에 차지 않고 홈 가장자리가 남아 있는 것
  4. 용접부분표면에 생기는 작은 구멍
(정답률: 60%)
  • 언더 컷은 용접 부위에서 용착금속이 홈에 차지 않고 홈 가장자리가 남아 있는 결함입니다. 이는 용접 부위에서 충분한 용착금속이 충전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로, 용접 전에 충분한 용접 전처리와 용접 조건 설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곡면판이 지니는 역학적 특성을 응용한 구조로서 외력은 주로 판의 면내력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경량이고 내력이 큰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는 구조는?

  1. 패널구조
  2. 커튼월구조
  3. 쉘구조
  4. 블록구조
(정답률: 71%)
  • 곡면판이 지니는 역학적 특성을 응용한 구조로서 외력은 주로 판의 면내력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경량이고 내력이 큰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는 구조는 쉘구조입니다. 쉘구조는 곡면판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판의 곡률을 이용하여 내력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내력이 큰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경량화가 가능하며, 곡면판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콘크리트충전 강관구조(CF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둥 시공시 별도의 특수 거푸집이 필요하다.
  2. 원형 또는 각형강관이 주로 사용된다.
  3. 일종의 합성구조이다.
  4. 에너지 흡수 능력이 뛰어나 초고층 구조물에 적용 가능하다.
(정답률: 25%)
  • "기둥 시공시 별도의 특수 거푸집이 필요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CFT는 콘크리트로 강관을 충전한 합성구조로, 기둥 시공시에도 일반 콘크리트 기둥과 마찬가지로 현장에서 바로 시공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별도의 특수 거푸집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스팬이 긴 경우에 보의 단부에 발생하는 휨모멘트와 전단력에 대한 보강으로 보 단부의 춤을 크게 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드롭패널
  2. 플랫 슬래브
  3. 헌치
  4. 주두
(정답률: 34%)
  •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스팬이 긴 경우에는 보의 단부에 발생하는 휨모멘트와 전단력이 크게 작용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보의 단부는 춤을 크게 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의 단부에 추가적인 보강재를 부착하는 것을 헌치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헌치"입니다.

    - 드롭패널: 건축물의 천장에 내려진 일부분을 의미합니다.
    - 플랫 슬래브: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바닥을 이루는 판입니다.
    - 주두: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부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건축제도통칙(KS F 1501)에서 규정하고 있는 척도가 아닌 것은?

  1. 1/5
  2. 1/100
  3. 1/150
  4. 1/300
(정답률: 60%)
  • 정답: 1/5

    건축제도통칙(KS F 1501)에서 규정하고 있는 척도는 1/100, 1/150, 1/200, 1/250, 1/300, 1/400, 1/500, 1/600, 1/700, 1/800, 1/1000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1/150은 건축물의 크기와 비율을 적절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척도 중 하나입니다. 1/150 척도는 1cm를 1.5m로 환산하여 그림을 그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5는 건축제도통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척도가 아니며, 건축물의 크기와 비율을 적절하게 표현하기에는 너무 작은 척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실내부의 벽하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높이 1~1.5m 정도로 널을 댄 벽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코펜하겔 리브
  2. 걸레받이
  3. 커튼월
  4. 징두리 판벽
(정답률: 41%)
  • 실내부의 벽하부를 보호하기 위해 높이 1~1.5m 정도로 널을 댄 벽을 "징두리 판벽"이라고 합니다. 이는 집안의 바닥과 벽면 사이에 위치하여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벽을 덮는 판자로, 집안의 먼지나 수분 등이 벽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집안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일반

51. 다음 중 제도 글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원칙으로 한다.
  2. 문장은 가로쓰기가 곤란할 때에는 세로쓰기도 할 수 있다.
  3. 글자체는 수직 또는 45˚경사의 고딕체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글자의 크기는 각 도면의 상황에 맞추어 알아보기 쉬운 크기로 한다.
(정답률: 45%)
  • 글자체는 수직 또는 45˚경사의 고딕체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제도 글자는 대부분 기계로 작성되기 때문에, 수직 또는 45˚ 경사의 고딕체를 사용하면 인식률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일관된 글자체를 사용하면 도면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투시도법의 종류 중 평행 투시도법이라고도 불리우며 일반적으로 실내 투시도 작성시 사용되는 것은?

  1. 1소점 투시도법
  2. 2소점 투시도법
  3. 3소점 투시도법
  4. 유각 투시도법
(정답률: 64%)
  • 1소점 투시도법은 하나의 시점에서 바라본 시야를 그리는 투시도법으로, 실내 공간을 그릴 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다른 투시도법들은 여러 시점에서 바라본 시야를 그리는 것이나, 1소점 투시도법은 하나의 시점에서 바라본 시야만을 그리기 때문에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원로 이외의 곡선을 그을 때 사용하는 제도 용구는?

  1. 운형자
  2. 템플릿
  3. 컴퍼스
  4. 디바이더
(정답률: 80%)
  • 운형자는 곡선을 그리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 원로 이외의 곡선을 그릴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인 템플릿은 주로 도형을 그릴 때 사용되며, 컴퍼스는 원을 그리거나 길이를 재는 데 사용되며, 디바이더는 각도를 재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원로 이외의 곡선을 그리기 위해서는 운형자가 가장 적합한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각 건축구조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벽돌구조는 횡력 및 지진에 강하다.
  2.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철골구조에 비해 내화성이 우수하다.
  3. 철골구조의 공사는 철근콘크리트구조 공사에 비해 동절기 기후에 영향을 덜 받는다.
  4. 목구조는 소규모 건축에 많이 쓰이며 화재에 약하다.
(정답률: 64%)
  • 정답: "목구조는 소규모 건축에 많이 쓰이며 화재에 약하다."

    벽돌구조는 횡력 및 지진에 강한 이유는 벽돌이나 돌로 이루어져 있어서 구조적인 안정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벽돌은 압축에 강하고, 벽돌로 이루어진 벽은 횡력에도 강합니다. 또한 벽돌은 불에도 잘 타지 않아 화재에도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평균기온이 10℃이상, 20℃미만일 때 기둥 및 벽에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를 타설시 거푸집 최소 존치기간은?

  1. 2일
  2. 4일
  3. 6일
  4. 8일
(정답률: 35%)
  •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최소 경화기간은 28일이지만, 평균기온이 10℃이상, 20℃미만일 때는 경화가 더디게 일어나므로 거푸집 최소 존치기간이 더 길어집니다. 이 경우에는 최소 6일 이상 거푸집에 두어야 안정적인 경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답은 "6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선의 종류 중 인출선, 치수 보조선 등으로 사용되는 것은?

  1. 실선
  2. 파선
  3. 1점 쇄선
  4. 2점 쇄선
(정답률: 54%)
  • 인출선과 치수 보조선은 그림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거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러한 목적으로는 실선이 가장 적합하며, 파선, 1점 쇄선, 2점 쇄선은 주로 구분선이나 경계선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건축물의 입면도를 작도할 때 표시하지 않는 것은?

  1. 방위표시
  2. 건물의 전체높이
  3. 벽 및 기타 마감재료
  4. 처마높이
(정답률: 47%)
  • 건물의 전체높이, 벽 및 기타 마감재료, 처마높이는 건축물의 입면도를 작도할 때 표시해야 하는 중요한 정보이지만, 방위표시는 건축물의 입면도에서 표시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건축물의 입면도에서는 건물의 형태와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 주요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위표시는 건축물의 입면도에서는 필요하지 않은 정보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목재 기둥의 종류 중 2층 이상의 높이를 하나의 단일재로 사용하는 것은?

  1. 평기둥
  2. 통재기둥
  3. 샛기둥
  4. 가새
(정답률: 73%)
  • 통재기둥은 2층 이상의 높이를 하나의 단일재로 사용하는 목재 기둥으로, 여러 개의 나무를 합쳐서 만든 통나무를 사용하여 구성됩니다. 따라서 통재기둥은 강도와 안정성이 뛰어나며, 건축물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지붕공사에서 금속판을 잇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평판잇기
  2. 기와가락잇기
  3. 마름모잇기
  4. 쪽매잇기
(정답률: 46%)
  • 쪽매잇기는 지붕판의 가장자리를 절단하여 두 판을 서로 맞물리게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붕판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물이 스며들기 쉬운 취약한 부분을 만들어내므로 지붕공사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쪽매잇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표준형 벽돌에서 칠오토막의 크기로 옳은 것은?

  1. 벽돌 한 장 길이의 1/4 토막
  2. 벽돌 한 장 길이의 1/3 토막
  3. 벽돌 한 장 길이의 1/2 토막
  4. 벽돌 한 장 길이의 3/4 토막
(정답률: 65%)
  • 표준형 벽돌의 길이는 보통 19cm이며, 1/4 토막은 4.75cm, 1/3 토막은 6.33cm, 1/2 토막은 9.5cm이고, 3/4 토막은 14.25cm이다. 따라서 벽돌 한 장 길이의 3/4 토막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