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7-31)

실내건축기능사
(2011-07-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

1. 다음 중 공간이 지나치게 넓은 경우 공간을 아늑하고 안정감 있게 보이게 하는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창이나 문 등의 개구부를 크게 한다.
  2. 키가 큰 가구를 이용하여 공간을 분할한다.
  3.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된 가구를 이용하여 시선이 차단되지 않게 한다.
  4. 난색보다는 한색을 사용하고, 조명으로 천장이나 바닥 부분을 밝게 한다.
(정답률: 74%)
  • 키가 큰 가구를 이용하여 공간을 분할하면 공간이 좁아지고, 분할된 공간은 아늑하고 안정감 있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공간을 작게 보이게 하여 인테리어를 더욱 균형있게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설명에 알맞은 창의 종류는?

  1. 베이 윈도우
  2. 윈도우 휠
  3. 측창
  4. 고창
(정답률: 79%)
  • 이 창은 건물의 옆면에 위치하며, 고정된 형태로 열리지 않는 창으로서 통풍과 채광을 위해 설치됩니다. 이에 따라 "고창"이라는 창의 종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같은 특징을 갖는 의자의 유형은?

  1. 스툴
  2. 라운지 체어
  3. 이지 체어
  4. 풀업 체어
(정답률: 89%)
  • 이 의자는 등받이와 팔걸이가 없으며, 다리를 굽히지 않고 앉아 사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형태의 의자를 스툴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부엌에서 준비대, 개수대, 가열대를 연결하는 작업 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의 합계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1.5m
  2. 3m
  3. 5m
  4. 7m
(정답률: 63%)
  • 부엌에서 준비대, 개수대, 가열대를 연결하는 작업 삼각형은 직각삼각형입니다. 따라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각 변의 길이의 합계를 구할 수 있습니다.

    가장 긴 변은 가열대이므로, 가열대의 길이를 c라고 하면 나머지 두 변의 길이의 합계는 a+b가 됩니다. 이때,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a^2 + b^2 = c^2

    따라서, a+b = sqrt(c^2 - a^2) + sqrt(c^2 - b^2) 입니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c가 5m인 경우, a와 b의 길이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a = sqrt(c^2 - b^2) = sqrt(25 - 9) = sqrt(16) = 4m
    b = sqrt(c^2 - a^2) = sqrt(25 - 16) = sqrt(9) = 3m

    따라서, a+b = 4m + 3m = 7m가 됩니다. 하지만 이 값은 주어진 보기에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5m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긴 축을 가지고 있으며 강한 방향성을 갖는 평면 형태는?

  1. 원형
  2. 정육각형
  3. 직사각형
  4. 정삼각형
(정답률: 78%)
  • 직사각형은 긴 축과 짧은 축이 있어 강한 방향성을 가지며, 모든 면이 직각이므로 평면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인체지지용 가구(인체계가구)가 아닌 것은?

  1. 의자
  2. 쇼파
  3. 테이블
  4. 침대
(정답률: 96%)
  • 테이블은 인체지지용 가구가 아닙니다. 인체지지용 가구는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고려하여 디자인된 가구로, 사용자의 편안함과 건강을 고려합니다. 하지만 테이블은 인체지지용 가구가 아니며, 주로 식사나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가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실내 기본요소인 벽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공간과 공간을 구분한다.
  2. 공간의 형태와 크기를 결정한다.
  3. 실내 공간을 메워싸는 수평적 요소이다.
  4. 외부로부터의 방어와 프라이버시를 확보한다.
(정답률: 88%)
  • "실내 공간을 메워싸는 수평적 요소이다."가 옳지 않은 것은 벽이 수직적인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벽은 공간을 메워싸는 것은 맞지만, 수평적인 것이 아니라 수직적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설명에 알맞은 디자인 요소는?

  1. 입체
(정답률: 50%)
  • 이 디자인 요소는 3차원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평면적인 요소가 아닌 입체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면"이라는 답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수직선이 주는 조형 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상승감
  2. 약등감
  3. 존엄성
  4. 엄숙함
(정답률: 83%)
  • 정답은 "존엄성"입니다.

    수직선은 세로 방향으로 직선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높이를 강조하고 수직적인 느낌을 주는 조형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상승감이나 약등감, 엄숙함과 같은 높이와 직결된 느낌을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존엄성은 수직선과는 조금 다른 개념입니다. 존엄성은 위엄과 위대함을 느끼게 해주는 효과로, 수직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수직선이 주는 조형 효과와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의 디자인 원리 중 인가의 주의력에 의해 감지되는 시각적 무게의 평형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1. 균형
  2. 대비
  3. 동일
  4. 리듬
(정답률: 81%)
  • 인가의 주의력에 의해 감지되는 시각적 무게의 평형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균형"입니다. 이는 디자인 요소들이 서로 균형있게 배치되어 있어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디자인에서 균형은 중요한 원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건축 구조체의 일부분이나 구조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조명하는 방식으로 건축물의 기본 요소 중 전체 혹은 부분을 광원화하는 조명 방식은?

  1. 직접 조명
  2. 벽부형 조명
  3. 건축화 조명
  4. 펜던츠형 조명
(정답률: 70%)
  • 건축화 조명은 건축 구조체의 일부분이나 구조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조명하는 방식으로, 건축물의 기본 요소 중 전체 혹은 부분을 광원화하는 조명 방식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조명의 형태나 위치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지만, 건축화 조명은 건축물 자체를 조명하는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주거공간을 주행동에 의해 구분할 경우, 다음 중 사회적 공간에 속하는 것은?

  1. 거실
  2. 침실
  3. 욕실
  4. 서재
(정답률: 91%)
  • 주거공간을 주행동에 의해 구분할 경우, "거실"은 사회적 공간에 속합니다. 이는 주로 가족이 모여서 대화하거나 시간을 보내는 공간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공간입니다. 반면 "침실"은 개인적인 공간으로, 개인의 휴식과 수면을 위한 공간입니다. "욕실"은 개인적인 위생을 위한 공간이며, "서재"는 독서나 공부를 위한 개인적인 공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인간이 생활하는 공간에서 개인이나 집단이 타인과의 상호 작용을 선택적으로 통제하거나 조절하고 자신의 정보를 어느 정도 전달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권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독창성
  2. 합옥적성
  3. 클라이언트
  4. 프라이버시
(정답률: 88%)
  • 프라이버시는 개인이나 집단이 타인과의 상호 작용을 선택적으로 통제하거나 조절하고 자신의 정보를 어느 정도 전달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권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프라이버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실내디자인을 평가하는 기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능성
  2. 경제성
  3. 주관성
  4. 심미성
(정답률: 78%)
  • 주관성은 개인의 취향과 감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다른 세 가지 기준인 기능성, 경제성, 심미성과는 달리 평가가 상대적으로 주관적이며, 일관성이 없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실내디자인의 영역을 수익 유무에 따라 분류할 경우, 다음 중 일반적으로 영리공간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상점
  2. 호텔
  3. 박물관
  4. 백화점
(정답률: 89%)
  • 박물관은 주로 문화유산 보존과 교육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비영리공간으로, 수익을 추구하는 영리공간으로 분류하기 어렵습니다. 상점, 호텔, 백화점은 상업적인 목적으로 운영되는 영리공간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열조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차양
  2. 발코니
  3. 루버
  4. 열펌프
(정답률: 56%)
  • 열펌프는 열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펌프"입니다. 차양, 발코니, 루버는 모두 열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것들입니다. 차양은 창문이나 문에 부착되어 태양광을 차단하여 실내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고, 발코니는 실외 공간과 실내 공간을 연결하여 환기를 유지하고, 루버는 통풍과 일조량을 조절하여 실내 환경을 개선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실내에 사용되는 간접조명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강한 음영이 없다.
  2. 균일한 조도를 얻을 수 있다.
  3. 직접조명보다 입체효과가 적다.
  4. 조명의 효율이 높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정답률: 70%)
  • 조명의 효율이 높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간접조명은 일반적으로 직접조명보다 전력 소비가 높고 유지보수가 어렵습니다. 이는 간접조명이 조명구조가 복잡하고 조명장치가 많아서 유지보수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표면결로의 발생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공불량
  2. 실내외 온도차
  3. 실내습기의 과다발생
  4. 환기에 의한 실내 절대습도 저하
(정답률: 77%)
  • 환기에 의한 실내 절대습도 저하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환기는 실내 공기를 바깥 공기와 교환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때, 바깥 공기와 실내 공기의 온도와 습도 차이가 크면 바깥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때 냉각되어 상대습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표면결로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환기를 통해 실내 습도를 낮추는 것이 표면결로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환기량이 50m3/h, 실용적이 25m3인 거실의 1시간당 환기 횟수는?

  1. 6회
  2. 4회
  3. 2회
  4. 1회
(정답률: 75%)
  • 환기량이 50m3/h 이므로, 1시간에 거실의 공기가 완전히 교체되는 횟수는 50m3/h ÷ 25m3 = 2회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회"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잔향시간이 일반적으로 가장 짧아야 할 장소는?

  1. 콘서트 홀
  2. 카톨릭 성당
  3. 오페라 하우스
  4. TV 스튜디오
(정답률: 86%)
  • TV 스튜디오는 실시간 방송이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잔향시간이 짧아야 합니다. 즉, 소리가 나면 바로 사라져야 하기 때문에 잔향시간이 짧아야 합니다. 따라서 TV 스튜디오가 일반적으로 가장 짧아야 할 장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실내환경

21. 목재의 건조방법 중 천연건조법에 해당하는 것은?

  1. 수칭법
  2. 열기법
  3. 훈연법
  4. 진공법
(정답률: 53%)
  • 수칭법은 목재를 바람과 태양에 노출시켜 천연적으로 건조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전통적이며 비용이 적게 들어가기 때문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목재를 수직으로 쌓아놓고 바람과 태양에 노출시켜 수분이 증발하도록 합니다. 이 방법은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목재의 내구성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설명에 알맞은 미장 재료는?

  1. 회반죽
  2. 킨즈 시멘트
  3. 석고 플라스터
  4.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정답률: 76%)
  • 해당 이미지는 세방울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아, 물에 잠긴 상태에서도 단단하게 유지되는 미장재가 필요합니다. 이에 회반죽이 적합한 미장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점토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주성분은 실리카와 알루미나이다.
  2.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의 약 5배이다.
  3. 비중은 일반적으로 2.5~2.6 정도이다.
  4. 양질의 점토는 습윤 상태에서 현저한 가소성을 나타낸다.
(정답률: 66%)
  •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의 약 5배이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점토 입자가 서로 끌어당기는 인력이 강하기 때문에 압축에는 강하게 저항하지만 인장에는 상대적으로 약하게 저항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장강도는 압축강도보다 약하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consistency)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슬러프 시험
  2. 물래인 시험
  3. 체가등 시험
  4. 오토클레이브 평창도 시험
(정답률: 78%)
  • 슬러프 시험은 콘크리트의 플라스틱 상태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콘크리트를 원통형 모양의 틀에 담고 위에서 압력을 가해 틀을 제거했을 때 콘크리트가 얼마나 무너지는지를 측정하여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를 측정하는 가장 알맞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유성페인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건조시간이 길다.
  2. 내후성이 우수하다.
  3. 내알칼리성이 우수하다.
  4. 붓바름 작업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64%)
  • 내알칼리성이 우수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유성페인트는 내산성이 강하고 내알칼리성이 약한 편입니다. 이는 유성페인트가 대부분의 금속과 잘 반응하며, 산성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창호 철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경첩
  2. 펀칭 메탈
  3. 도어 클로저
  4. 나이트 래치
(정답률: 34%)
  • 펀칭 메탈은 창호 철물 중 하나가 아닙니다. 펀칭 메탈은 금속 시트를 펀칭기로 구멍을 뚫어 디자인을 만든 후, 이를 가공하여 다양한 제품을 만드는 공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창호 철물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콘크리트의 강도 중 일반적으로 가장 큰 것은?

  1. 휨강도
  2. 인장강도
  3. 압축강도
  4. 전단강도
(정답률: 78%)
  • 콘크리트는 압축하면 강하고, 인장하면 약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강도 중에서 가장 큰 것은 압축강도입니다. 따라서 건축물 등을 지을 때 콘크리트를 사용할 때는 압축강도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석질이 치밀하고 박판으로 채취할 수 있어 슬레이트로서 지붕, 외벽, 마루 등에 사용되는 석재는?

  1. 응회암
  2. 대리석
  3. 점판암
  4. 트래버틴
(정답률: 61%)
  • 점판암은 석질이 치밀하고 박판으로 채취할 수 있어 슬레이트로서 지붕, 외벽, 마루 등에 사용되는 석재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석질이나 채취 방법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의 금속제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와이어 라스는 금속제 거푸집의 일종이다.
  2. 논슬립은 계단에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3. 조이너는 천장·벽 등에 보드류를 붙이고, 그 이음새를 감추고 누르는데 사용된다.
  4. 코너 비드는 기둥 모서리 및 벽 모서리 안에 이장을 쉽게 하고, 모서리를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한다.
(정답률: 69%)
  • "와이어 라스는 금속제 거푸집의 일종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와이어 라스는 금속선을 꼬아서 만든 제품으로, 거푸집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타일의 호칭명에 의한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내장 타일
  2. 바닥 타일
  3. 시유 타일
  4. 모자이크 타일
(정답률: 65%)
  • "시유 타일"은 호칭명이 아닌 일반적인 용어이기 때문에 분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른 세 개의 타일은 각각 내장, 바닥, 모자이크 타일로 호칭명에 따라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실내건축재료

31. 다음 중 금속, 석재, 도자기, 글라스, 콘크리트, 플라스틱재 등의 접합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접착제는?

  1. 요소수지 접착제
  2. 페놀수지 접착제
  3. 멜라민수지 접착제
  4. 에폭시수지 접착제
(정답률: 83%)
  • 에폭시수지 접착제는 다양한 재질에 대해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고 있으며,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금속, 석재, 도자기, 글라스, 콘크리트, 플라스틱재 등 다양한 재질에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접착 후 경화되면 내열성과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물과 기름 등에 대한 저항성도 높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용도에 적합한 접착제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구조재료로서 요구되는 재료의 성질과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내구성이 작아야 한다.
  2. 가공이 용이한 것이어야 한다.
  3. 재질이 균일하고 강도가 큰 것이어야 한다.
  4. 가볍고 큰 재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정답률: 84%)
  • 구조재료로서 요구되는 재료의 성질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내구성이 작아야 한다." 입니다. 이는 구조재료가 외부적인 충격이나 부하에도 오랜 시간 동안 변형 없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구성이 작은 재료는 구조재료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대리석의 쇄석을 종석으로 하여 시멘트를 사용, 콘크리트판의 한쪽면에 부어 넣은 후 가공, 연마하여 대리석과 같이 미려한 광택을 갖도록 마감한 것은?

  1. 의석
  2. 테라조
  3. 사문암
  4. 테라코다
(정답률: 38%)
  • 테라조는 대리석의 쇄석을 종석으로 하여 시멘트를 사용하여 만든 인조석으로, 콘크리트판의 한쪽면에 부어 넣은 후 가공, 연마하여 대리석과 같이 미려한 광택을 갖도록 마감한 것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테라조"가 정답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성분에 따른 유리의 종류 중 건축일반용 창호유리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고규산유리
  2. 칼륨석회유리
  3. 소다석회유리
  4. 규산소다유리
(정답률: 73%)
  • 건축일반용 창호유리는 내구성과 안전성이 중요한데, 소다석회유리는 다른 성분에 비해 내구성과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주로 사용됩니다. 또한, 소다석회유리는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원료가 저렴하고 가용성이 높아 경제적인 장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시멘트가 습기를 흡수하여 경미한 수화반응을 일으켜 생성된 수산화칼슘과 공기 중의 탄산가스가 작용하여 탄산칼슘을 생성하는 작용은?

  1. 응결
  2. 경화
  3. 풍화
  4. 크리프
(정답률: 48%)
  • 시멘트가 습기를 흡수하여 생성된 수산화칼슘과 공기 중의 탄산가스가 작용하여 탄산칼슘을 생성하는 작용은 시멘트의 노출과 관련하여 발생합니다. 시멘트가 노출되면서 자연적인 환경 요인들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멘트의 표면이 부서지고 깨어지면서 풍화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풍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열가소성 수지가 아닌 것은?

  1. 요소 수지
  2. 아크릴 수지
  3. 염화비닐 수지
  4. 폴리에틸렌 수지
(정답률: 47%)
  • 정답은 "요소 수지"입니다.

    요소 수지는 열가소성이 아닌데, 이유는 요소 수지는 유기화합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요소 수지는 금속, 세라믹, 유리 등의 무기물로 이루어져 있어서 열에 대한 안정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요소 수지는 열에 대한 변형이나 손상이 적고,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강의 열처리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단조
  2. 풀림
  3. 불림
  4. 담금질
(정답률: 78%)
  • 단조는 강의 열처리 방법 중 하나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모두 강의 열처리 방법이 아닙니다. 풀림, 불림, 담금질은 모두 강의 열처리 방법이 아니라 강의 형태를 바꾸는 공정이나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콘크리트용 골재에 요구되는 성질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해량의 먼지, 흙, 유기불순물 등을 포함하지 않을 것.
  2. 골재의 입형은 편평, 세장하고, 표면은 거칠지 않을 것.
  3. 입도는 조립에서 세립까지 연속적으로 균등히 혼합되어 있을 것.
  4. 골재의 강도는 콘크리트 중의 경화시멘트 페이스트의 강도 이상일 것
(정답률: 47%)
  • "골재의 입형은 편평, 세장하고, 표면은 거칠지 않을 것."이 옳지 않은 것은 콘크리트의 강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골재의 입형과 표면은 콘크리트의 강도와는 간접적으로 연관되지만, 주된 역할은 콘크리트의 밀도와 내구성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골재의 입형과 표면은 콘크리트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구사항 중 하나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설명에 알맞은 재료의 역학적 성질은?

  1. 탄성
  2. 소성
  3. 점성
  4. 연성
(정답률: 93%)
  • 탄성은 재료가 힘을 받아 변형되었다가 힘이 사라지면 원래 모양으로 돌아오는 성질을 말합니다. 이 그래프에서는 힘이 가해졌을 때 변형이 일어나지만, 힘이 사라지면 원래 길이로 돌아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재료는 탄성이 있는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천연아스팔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아스팔타이트
  2. 록 아스팔트
  3. 블론 아스팔트
  4. 레이크 아스팔트
(정답률: 70%)
  • 천연아스팔트는 지하에서 형성되는 유기물이 미네랄 오일과 결합하여 생성되는데, 이 중 블론 아스팔트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아스팔트로서 천연아스팔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두 방을 한 방으로 크게 할 때나 칸막이 겸용으로 사용하는 문은?

  1. 접이문
  2. 널문
  3. 양판문
  4. 자재문
(정답률: 68%)
  • 접이문은 여러 개의 판을 접어서 사용하는 문으로, 큰 공간을 분할하거나 작은 공간을 합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두 방을 한 방으로 크게 할 때나 칸막이 겸용으로 사용하는 문으로 적합합니다. 반면 널문은 문틀과 문판이 분리되어 있어서 공간을 분할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양판문은 문판이 두 개로 되어 있어서 열고 닫는 방식이 다르며, 자재문은 주로 창고나 차고 등에서 사용되는 문으로, 공간을 분할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접이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그림은 무엇을 표시하는 평면표시 기호인가?

  1. 쌍여닫이문
  2. 쌍미닫이문
  3. 회전문
  4. 접이문
(정답률: 94%)
  • 이 평면표시 기호는 회전문을 나타냅니다. 이는 문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리는 형태의 문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인 쌍여닫이문과 쌍미닫이문은 문이 좌우로 열리는 형태이며, 접이문은 여러 개의 패널이 접혀서 열리는 형태의 문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연약지반에서 부동침하를 방지하는 대책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건물 상부 구조를 경량화한다.
  2. 상부 구조의 길이를 길게 한다.
  3. 이웃 건물과의 거리를 멀게 한다.
  4. 지하실을 강성체로 설치한다.
(정답률: 61%)
  • 연약지반에서 부동침하를 방지하는 대책은 건물의 무게를 분산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상부 구조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더 많은 지점에서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건물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상부 구조를 경량화하거나 이웃 건물과의 거리를 멀게 하는 것도 부동침하 방지에 도움이 되지만, 상부 구조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가장 관련성이 높습니다. 지하실을 강성체로 설치하는 것은 지반의 강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지만, 부동침하 방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용접 금속이 모재에 완전히 붙지 않고 겹쳐 있는 불완전한 용접은?

  1. 슬래그 섞임(slag inclusion)
  2. 언더컷(undercut)
  3. 블로홀(blowhole)
  4. 오버랩(overlap)
(정답률: 57%)
  • 오버랩(overlap)은 용접 금속이 모재에 완전히 붙지 않고 겹쳐져 있는 불완전한 용접을 의미합니다. 이는 용접 시 용접봉과 모재 사이의 간격이 너무 크거나 용접봉의 속도가 너무 빠를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용접 금속이 모재와 충분히 결합하지 못하고 겹쳐져 있기 때문에 강도가 낮아지고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2방향 슬래브는 장변과 단변의 길이의 비가 2 이하인 슬래브이다.
  2. 1방향 슬래브는 장변방향으로만 하중이 전달되는 것으로 본다.
  3.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서 단변방향의 인장철근을 주근이라 한다.
  4.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서 장변방향의 인장철근을 배력근이라 한다.
(정답률: 42%)
  • 1방향 슬래브는 장변방향으로만 하중이 전달되는 것으로 본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서는 하중이 장변방향과 단변방향 모두에 걸쳐 전달됩니다. 따라서 1방향 슬래브와 2방향 슬래브는 단지 하중이 전달되는 방향에 따라 구분된 것입니다. 1방향 슬래브는 장변방향으로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가 많아, 이를 고려하여 설계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철근콘크리트 압축부재의 축방향 주철근의 개수는 최소 몇 개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사각형이나 원형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1. 3개
  2. 4개
  3. 6개
  4. 8개
(정답률: 66%)
  • 철근콘크리트 압축부재에서 축방향 주철근은 부재의 축방향으로 인한 압축력을 견딜 수 있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축방향 주철근의 개수는 축방향 압축력에 비례하게 결정됩니다.

    사각형이나 원형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축방향 압축력은 부재의 중심부에서 가장 크게 작용합니다. 이 때 축방향 주철근은 부재의 중심부에서 축방향 압축력을 견딜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해야 합니다.

    사각형이나 원형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축방향 주철근을 4개 배치하면 부재의 중심부에서 축방향 압축력을 견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4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견치돌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지름 200mm 정도로 쩌어 낸 막생긴 돌로써 지정, 장석, 다짐 등에 사용된다.
  2. 구들장으로 사용되며, 구들 아랫목에 놓는 것을 함실장이라 한다.
  3. 한변이 300mm 정도인 네모뿔형의 돌로써 석축에 사용된다.
  4. 두께에 비하여 넓이가 큰 돌을 말하며 길이 1000mm 정도가 주로 쓰인다.
(정답률: 62%)
  • 한변이 300mm 정도인 네모뿔형의 돌로써 석축에 사용된다.

    견치돌은 석축에 사용되는 돌로, 한 변이 300mm 정도인 네모뿔형의 돌이다. 다른 보기에서는 지정, 장석, 다짐 등에 사용된다는 설명이 있지만, 이는 다른 돌종류를 가리키는 것이다. 견치돌은 석축에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면의 표제란에 기입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관 정보
  2. 프로젝트 정보
  3. 도면 번호
  4. 도면 크기
(정답률: 55%)
  • 도면의 표제란에는 기관 정보, 프로젝트 정보, 도면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도면 크기"입니다. 도면 크기는 도면의 크기와 비례하여 인쇄나 복사를 할 때 필요한 정보이지만, 도면의 내용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면의 표제란에는 도면의 내용과 관련된 정보들이 주로 포함되며, 도면 크기는 부가적인 정보로서 기재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제도용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T자는 사선을 그을 때만 사용한다.
  2. 축척자는 실제의 모양을 도면으로 작성할 때 크기를 줄이거나 늘이기 위해 사용한다.
  3. 제도판은 경사 없이 지면에 평행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4. 운형자를 이용하면 각종 기호를 쉽게 그릴 수 있다.
(정답률: 63%)
  • 축척자는 도면에서 실제 크기가 너무 크거나 작을 때, 적절한 크기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즉, 도면의 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도면 작도 시 선의 종류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1. 절단선
  2. 경계선
  3. 기준선
  4. 상상선
(정답률: 79%)
  • 상상선은 실제로 그려지지 않고, 머리 속에서만 상상하여 그린 선으로, 실제 제품에 적용되지 않는 가상의 선입니다. 따라서 다른 선들과는 달리 제품의 형태나 크기를 정하는 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일반

51. 도면을 작도할 때 유의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선의 굵기가 구별되는지 확인한다.
  2. 선의 용도를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작도한다.
  3. 문자의 크기를 명확하게 한다.
  4. 보조선을 진하게 긋고 글씨를 쓴다.
(정답률: 89%)
  • 보조선은 실선과 구별하기 위해 얇게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며, 글씨도 보조선보다 진하기보다는 얇게 쓰는 것이 보통입니다. 따라서 "보조선을 진하게 긋고 글씨를 쓴다."는 옳지 않은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작은 단면으로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
  2. 철골구조에 비해 내화성이 부족하다.
  3. 내진성이 우수한 구조이다.
  4. 대규모 고층 건물 하층부를 짓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정답률: 78%)
  •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철골구조와 달리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내구성과 내진성을 높인 구조이다. 따라서 "철골구조에 비해 내화성이 부족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지붕공사에서 금속판을 잇는 방법이 아닌것은?

  1. 평판잇기
  2. 기와가락잇기
  3. 마름모잇기
  4. 쪽매잇기
(정답률: 52%)
  • 쪽매잇기는 지붕판의 가장자리를 절단하여 두 판을 서로 맞물리게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붕판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물이 스며들기 쉬운 취약한 부분을 만들어내므로 지붕공사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쪽매잇기는 지붕판을 잇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절충식 지붕틀에서 처마도리, 중도리, 마룻대 위에 지붕물매의 방향으로 걸쳐 대는 부재의 명칭은?

  1. 베개보
  2. 서까래
  3. 추녀
  4. 우미량
(정답률: 66%)
  • 절충식 지붕틀에서 처마도리, 중도리, 마룻대 위에 지붕물매의 방향으로 걸쳐 대는 부재를 서까래라고 합니다. 이는 서까래가 지붕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서까래는 지붕의 무게를 분산시켜 지붕을 더욱 튼튼하게 만들어줍니다. 또한, 서까래는 지붕의 안정성을 높여 바람이나 비 등 자연재해로부터 지붕을 보호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도면 표시 기호 중 면적과 나비의 표시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A-W
  2. V-H
  3. A-L
  4. THK-W
(정답률: 60%)
  • 정답은 "A-W"입니다.

    면적은 사각형으로 표시하고, 나비는 원으로 표시합니다. "A-W"는 면적을 사각형으로 표시하고, 나비를 원으로 표시하므로 옳은 짝이 됩니다.

    "V-H"는 면적을 원으로 표시하고, 나비를 선으로 표시하므로 옳지 않습니다.

    "A-L"은 면적을 사각형으로 표시하고, 나비를 선으로 표시하므로 옳지 않습니다.

    "THK-W"는 면적을 선으로 표시하고, 나비를 원으로 표시하므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철골구조에서 플레이트 보에 사용하는 부재가 아닌 것은?

  1. 커버 플레이트
  2. 웨브 플레이트
  3. 스티프너
  4. 베이스 플레이트
(정답률: 38%)
  • 철골구조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기둥의 밑면에 부착되는 부재로, 기둥을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하지만 철골구조에서는 기둥을 바닥에 고정시키는 대신, 기둥과 바닥 사이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철골구조에서 사용되지 않는 부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재료의 강도가 크고 연성이 좋아 고층이나 스팬이 큰 대규모 건축물에 적합한 건축구조는?

  1. 철골구조
  2. 목구조
  3. 돌구조
  4. 조적식구조
(정답률: 79%)
  • 철골구조는 철재의 강도가 크고 연성이 좋아 대규모 건축물에 적합합니다. 또한 철골구조는 강철의 가공성이 높아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고층이나 스팬이 큰 건축물에 적합한 건축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쪽매의 종류에서 딴혀쪽매의 그림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62%)
  • 정답은 "" 입니다.

    딴혀쪽매는 쪽매의 종류 중 하나로, 쪽매의 가지가 뻗어나가는 방향이 다른 쪽매와는 달리 수직으로 뻗어나갑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딴혀쪽매의 그림은 수직으로 뻗어나가는 모습을 나타내는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건축물의 설계도면 중 사람이나 차·물건 등이 움직이는 흐름을 도식화한 도면은?

  1. 구상도
  2. 조직도
  3. 평면도
  4. 동선도
(정답률: 85%)
  • 건축물 내에서 사람이나 차, 물건 등이 이동하는 경로를 도식화한 도면을 동선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동선"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동선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벽돌벽체의 내쌓기 목적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지붕의 돌출된 처마 부분을 가리기 위해
  2. 벽체에 마루를 설치하기 위해
  3. 장선받이·보받이를 만들기 위해
  4. 내력벽으로서 집중하중을 받기 위해
(정답률: 52%)
  • 벽돌벽체의 내쌓기 목적 중 옳지 않은 것은 "내력벽으로서 집중하중을 받기 위해"입니다. 벽돌벽체는 주로 외력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내쌓기를 하며, 내력벽으로서 집중하중을 받는 것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나 철근 등으로 구성된 구조물에서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