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7-22)

실내건축기능사
(2012-07-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

1. 상점의 공간구성에 있어서 판매공간에 해당하는 것은?

  1. 파사드공간
  2. 상품관리공간
  3. 시설관리공간
  4. 상품전시공간
(정답률: 82%)
  • 상품전시공간은 상점에서 제품을 직접 고객에게 보여주는 공간으로, 제품의 디자인과 특징을 강조하고 고객의 관심을 끌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판매를 위한 가장 중요한 공간 중 하나이며, 상품의 진열과 배치, 조명 등을 통해 상품의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창의 종류는?

  1. 미닫이창
  2. 여닫이창
  3. 미서기창
  4. 오르내리창
(정답률: 80%)
  • 이 창은 좌우로 열리며, 각각의 문판이 서로 붙어있어서 열린 상태에서도 한쪽 문판이 다른 쪽으로 걸리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이 창은 여닫이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은 피보나치 수열의 일부분이다. “21” 바로 다음에 나오는 숫자는?

  1. 30
  2. 34
  3. 42
  4. 44
(정답률: 96%)
  • 피보나치 수열은 이전 두 수의 합으로 이루어진 수열이다. 따라서, 21 다음에 나오는 수는 21과 바로 이전 수인 13을 더한 34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설명에 알맞은 착시의 종류는?

  1. 운동의 착시
  2. 다의도형 착시
  3. 역리도형 착시
  4. 기하학적 착시
(정답률: 52%)
  • 이 그림은 기하학적 착시입니다. 이유는, 사다리꼴 모양의 그림이 중앙에서 뻗어나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림의 모서리들이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모양은 우리 뇌에서는 일직선이 아닌 곡선으로 인식되어 사다리꼴 모양으로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착시는 기하학적 착시라고도 불리며, 우리 뇌가 형태와 공간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에 기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주택에서 거실에 식사공간을 부속시키고, 부엌을 분리한 형식은?

  1. D형
  2. LD형
  3. DK형
  4. LDK형
(정답률: 80%)
  • LD형은 Living Room과 Dining Room이 합쳐진 형태로, 거실과 식사공간이 하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부엌은 분리되어 있어서 주방에서 요리를 할 때 거실에서 식사를 즐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 LD형이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광원을 넓은 면접의 벽면에 매입하여 비스타(vista)적인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시선에 안락한 배경으로 작용하는 건축화 조명방식은?

  1. 코브 조명
  2. 코퍼 조명
  3. 광창 조명
  4. 광천장 조명
(정답률: 84%)
  • 광창 조명은 건물 내부에 창문 대신 유리로 된 벽면을 만들어 자연광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넓은 면적의 벽면에 광원을 매입하여 비스타적인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시선에 안락한 배경으로 작용하는 건축화 조명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설명에 알맞은 가구는?

  1. 인체계 가구
  2. 수납용 가구
  3. 시스템 가구
  4. 빌트 인 가구
(정답률: 52%)
  • 위 그림은 시스템 가구입니다. 시스템 가구는 모듈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조합이 가능하며, 공간 활용이 용이하고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 인체계 가구는 인체에 맞게 디자인된 가구, 수납용 가구는 주로 수납 기능에 특화된 가구, 빌트 인 가구는 집에 내장된 가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설명과 가장 관계가 깊은 형태의 지각심리는?

  1. 유사성
  2. 폐쇄성
  3. 연속성
  4. 근접성
(정답률: 42%)
  • 이미지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한 두 개의 도형이 더 유사하게 느껴지고, 이는 근접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근접성은 물체들이 서로 가까이 위치할 때 더 유사하게 느껴지는 지각심리적 현상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가장 관련이 있는 지각심리 형태는 근접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설명에 알맞은 선의 종류는?

  1. 사선
  2. 수평선
  3. 수직선
  4. 기하곡선
(정답률: 84%)
  • 이 그림은 두 개의 선이 서로 교차하여 만들어진 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선을 사선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간접조명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명률이 높다.
  2. 실내반사율의 영향이 크다.
  3. 그림자가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4. 경제성보다 분위기를 목표로 하는 장소에 적합하다.
(정답률: 82%)
  • 조명률이 높다는 것은 간접조명방식이 직접조명방식보다 더 밝은 조명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간접조명방식이 조명기구에서 직접 빛을 발산하는 것이 아니라, 벽면이나 천장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조명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접조명방식은 경제성보다는 분위기를 목표로 하는 장소에 적합하며, 그림자가 거의 형성되지 않는 것과 실내반사율의 영향이 크다는 것도 간접조명방식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조명률이 높다."는 간접조명방식의 특징 중 하나이며,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생활에 적합한 건축을 위해 인체와 관련된 모듈의 사용에 있어 단순한 길이의 배수보다는 황금비례를 이용하여 타당하다고 주장한 사람은?

  1. 르 꼬르뷔지에
  2. 월터 그로피우스
  3. 미스 반 데어 로에
  4. 프래읔 로이드 라이트
(정답률: 86%)
  • 르 꼬르뷔지에는 황금비례를 이용하여 인체와 관련된 모듈의 사용이 건축에 적합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길이의 배수보다 더 타당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주택의 부엌가구 배치 유형 중 부엌 내의 벽면을 이용하여 작업대를 배치한 형식으로 작업면이 넓어 작업 효율이 가장 좋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ㅡ자형
  2. L자형
  3. ㄷ자형
  4. 아일랜드형
(정답률: 54%)
  • ㄷ자형은 작업대가 벽면에 붙어 있어 작업면이 넓어 작업 효율이 가장 좋은 형태입니다. 작업대와 싱크대가 서로 마주보고 있어서 요리를 할 때 편리하며, 작업대와 싱크대 사이에 공간이 있어서 요리를 할 때 움직임이 자유롭습니다. 따라서 ㄷ자형이 가장 효율적인 부엌 가구 배치 유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디자인 원리 중 유사조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통일보다 대비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
  2. 질적, 양적으로 전혀 상반된 두 개의 요소의 조합으로 성립된다.
  3. 개개의 요소 중에서 공통성이 존재하므로 뚜렷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준다.
  4. 각각의 요소가 하나의 객체로 존재하며 다양한 주제와 이미지들이 요구될 때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34%)
  • 디자인 원리 중 유사조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질적, 양적으로 전혀 상반된 두 개의 요소의 조합으로 성립된다."입니다. 유사조화는 개별적인 요소들이 서로 비슷한 형태, 색상, 패턴 등을 가지고 있어서 조화롭게 보이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개개의 요소 중에서 공통성이 존재하므로 뚜렷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준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등받이와 팔걸이가 없는 형태의 보조의자로 가벼운 작업이나 잠시 걸터앉아 휴식을 취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1. 스툴
  2. 카우치
  3. 이지 체어
  4. 라운지 체어
(정답률: 78%)
  • 스툴은 등받이와 팔걸이가 없는 형태의 보조의자로 가벼운 작업이나 잠시 걸터앉아 휴식을 취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스툴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카우치, 이지 체어, 라운지 체어는 모두 등받이와 팔걸이가 있는 형태의 의자로 스툴과는 용도와 형태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공간의 동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선의 유형 중 직선형은 최단거리의 연결로 통과시간이 가장 짧다.
  2. 실내에 2개 이상의 출입구는 그 갯수에 비례하여 동선이 원활해지므로 통로면적이 감소된다.
  3. 동선이 교차하는 지점은 잠시 멈추어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 충분한 공간을 마련해 준다.
  4. 동선은 짧으면 짧을수록 효율적이나 공간의 성격에 다라 길게 하여 더 많은 시간동안 머무르도록 유도되기도 한다.
(정답률: 66%)
  • "실내에 2개 이상의 출입구는 그 갯수에 비례하여 동선이 원활해지므로 통로면적이 감소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출입구가 많을수록 동선이 원활해지기 때문에 통로면적이 증가하게 됩니다. 출입구가 많을수록 사람들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더 많아지기 때문에 혼잡도가 줄어들고, 이동 시간도 단축됩니다. 따라서 출입구가 많을수록 통로면적을 더 넓게 마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일조의 확보와 관련하여 공동주택의 인동간격 결정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춘분
  2. 하지
  3. 추분
  4. 동지
(정답률: 63%)
  • 일조의 확보와 관련하여 공동주택의 인동간격 결정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동지"입니다. 동지는 해가 가장 낮게 떠오르는 날로, 이날을 기준으로 공동주택의 건축물과 주변 건물의 위치, 높이, 방향 등을 고려하여 인동간격을 결정합니다. 이를 통해 일조량을 최대한 확보하고, 건축물의 안전성과 건축물 간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벽과 같은 고체를 통하여 유체(공기)에서 유체(공기)로 열이 전해지는 현상은?

  1. 복사
  2. 대류
  3. 열관류
  4. 열전도
(정답률: 56%)
  • 고체를 통해 열이 전달되는 현상은 열전도이지만, 유체(공기)에서 유체(공기)로 열이 전달되는 현상은 대류가 아닌 열관류입니다. 이는 유체(공기)가 열을 전달할 때, 유체의 이동이 발생하면서 열이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벽과 같은 고체를 통해 열이 전달되는 열전도와는 달리, 유체(공기)에서 유체(공기)로 열이 전달되는 현상은 열관류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결로 방지대책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환기
  2. 난방
  3. 단열
  4. 방수
(정답률: 74%)
  • 결로 방지대책은 습기가 축적되어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고, 습기가 벽면에 축적되지 않도록 방수 처리를 해야 합니다. 따라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환기"와 "난방"이며, "단열"은 습기가 벽면에 축적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지만, 결로 방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공동주택의 거실에서 환기를 위하여 설치하는 창문의 면적은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창문으로만 환기를 하는 경우)

  1. 거실 바닥 면적의 1/5 이상
  2. 거실 바닥 면적의 1/10 이상
  3. 거실 바닥 면적의 1/20 이상
  4. 거실 바닥 면적의 1/40 이상
(정답률: 54%)
  • 공동주택의 거실에서는 인원이 많이 모이는 공간이기 때문에 적절한 환기가 필요합니다. 창문을 통해 환기를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공기 교환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일정한 면적의 창문이 필요합니다. 거실 바닥 면적의 1/20 이상의 창문 면적을 확보하면 적절한 환기가 가능하며, 이는 인원 수와 공기의 흐름 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거실 바닥 면적의 1/20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의 설명에 알맞은 음의 성질은?

  1. 반사
  2. 회절
  3. 굴절
  4. 간섭
(정답률: 69%)
  • 이 그림은 두 개의 파동이 만나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현상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현상을 간섭이라고 합니다. 파동이 만나면 파동의 진폭이 합쳐지거나 서로 상쇄되어 소멸될 수 있습니다. 이 그림에서 파동이 만나서 서로 상쇄되어 소멸되는 부분이 보이므로 이 음의 성질은 "간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실내환경

21. 기본 점성이 크며 내수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성이 모두 우수한 만능형 접착제로 금속, 플라스틱, 도자기, 유리, 콘크리트 등의 접합에 사용되는 것은?

  1. 요소수지 접착제
  2. 비닐수지 접착제
  3. 멜라민수지 접착제
  4. 에폭시수지 접착제
(정답률: 80%)
  • 에폭시수지 접착제는 기본 점성이 크며 내수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성이 모두 우수하기 때문에 금속, 플라스틱, 도자기, 유리, 콘크리트 등의 다양한 재질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에폭시수지 접착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석회암이 변화되어 결정화한 것으로 주성분은 탄산석회이며, 갈면 광택이 나는 석재는?

  1. 응회암
  2. 화강암
  3. 대리석
  4. 점판암
(정답률: 85%)
  • 석회암이 결정화되어 대리석이 되면 광택이 나는 석재가 됩니다. 대리석은 석회암이 지하수나 바다에서 오랜 시간 동안 압력과 열에 노출되어 결정화된 것으로, 석회암보다 더욱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석재입니다. 따라서 갈면 광택이 나는 석재는 대리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건조실에 목재를 쌓고 온도, 습도, 풍속 등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면서 건조하는 목재의 인공건조 방법은?

  1. 대기건조
  2. 침수건조
  3. 진공건조
  4. 열기건조
(정답률: 53%)
  • 목재를 건조할 때, 열기건조는 목재 내부의 수분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열기건조는 건조실 내부에 열기원을 두어 온도를 높이고, 습도와 풍속을 조절하여 목재의 건조 속도와 품질을 조절합니다. 이 방법은 대량의 목재를 빠르게 건조할 수 있어 생산성이 높고, 목재의 변형과 변색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시멘트가 습기를 흡수하여 경미한 수화반응을 일으켜 생성된 수산화칼슘과 공기중의 탄산가스가 반응하여 탄산칼슘을 생성하는 작용을 의미하는 것은?

  1. 풍화
  2. 응결
  3. 크리프
  4. 중성화
(정답률: 39%)
  • 시멘트가 습기를 흡수하여 생성된 수산화칼슘과 공기중의 탄산가스가 반응하여 탄산칼슘을 생성하는 작용은 풍화 작용입니다. 이는 시멘트가 노출된 환경에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칼슘카보네이트가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시멘트의 구조가 파괴되어 표면이 부서지고 깨어지는 것을 풍화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기경성 미장재료에 해당되는 것은?

  1. 시멘트 모르타르
  2. 경석고 플라스터
  3. 혼합석고 플라스터
  4.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정답률: 58%)
  • 기경성 미장재료는 석고, 혼합석고, 시멘트 등이 있지만, 이 중에서 돌로마이트 플라스터는 돌과 석회를 혼합하여 만든 미장재료로, 높은 내구성과 방수성을 가지고 있어 건축물의 내외부 벽면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의 설명에 알맞은 재료의 역학적 성질은?

  1. 소성
  2. 점성
  3. 탄성
  4. 인성
(정답률: 94%)
  • 탄성은 재료가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되었을 때, 힘이 사라지면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는 성질을 말합니다. 이 그래프에서는 변형이 일어난 후에도 변형된 상태에서 힘이 사라지면 처음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재료는 탄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화강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화성이 크다.
  2. 내구성이 우수하다.
  3. 구조재 및 내ㆍ외장재로 사용이 가능하다.
  4. 절리의 거리가 비교적 커서 대재(大材)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65%)
  • "내화성이 크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화강암은 내화성이 낮아서 고온에 노출되면 용융되거나 붕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강암은 내화성이 큰 물질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콘크리트의 신축이음(Expansion Joint) 재료에 요구되는 성능조건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콘크리트에 잘 밀착하는 밀착성
  2. 콘크리트 이음사이의 충분한 수밀성
  3. 콘크리트의 수축에 순응할 수 있는 탄성
  4. 콘크리트의 팽창에 저항할 수 있는 압축강도
(정답률: 48%)
  • 콘크리트의 신축이음은 온도변화나 수축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변형을 흡수하고, 이음부분에서의 응력을 완화시켜 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콘크리트의 팽창에 저항할 수 있는 압축강도가 가장 관련이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콘크리트의 팽창은 이음부분에서의 압축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신축이음 재료는 이러한 압축력을 견딜 수 있는 강도가 요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건축재료의 요구성능 중 감각정 성능이 특히 요구되는 건축재료는?

  1. 구조재료
  2. 마감재료
  3. 차단재료
  4. 내화재료
(정답률: 76%)
  • 마감재료는 건물의 외관과 내부 인테리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재료로, 시각적인 감각뿐만 아니라 촉각적인 감각도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바닥재로 사용되는 마감재료는 보행감이 좋아야 하며, 벽면재로 사용되는 마감재료는 촉각적으로 부드러움이나 거침이 있음에 따라 인테리어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감재료는 감각적인 성능이 특히 요구되는 건축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아스팔트의 연성을 타나내는 수치로서 온도의 변화와 함께 변화하는 것은?

  1. 신도
  2. 인화점
  3. 침입도
  4. 연화점
(정답률: 33%)
  • 아스팔트의 연성은 온도의 변화와 함께 변화하는데, 이는 아스팔트의 신도 값으로 나타납니다. 신도는 아스팔트가 얼마나 부드러운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높은 신도 값은 높은 연성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아스팔트의 신도 값이 높을수록 낮은 온도에서도 유동성이 유지되어 도로의 내구성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실내건축재료

31. 경화 콘크리트의 역학적 기능을 대표하는 것으로, 경화 콘크리트의 강도 중 일반적으로 가장 큰 것은?

  1. 휨강도
  2. 압축강도
  3. 인장강도
  4. 전단강도
(정답률: 82%)
  • 압축강도는 경화 콘크리트가 견디는 압력에 대한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경화 콘크리트는 대부분 압축력에 더 잘 견디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압축강도가 가장 큽니다. 따라서 경화 콘크리트의 역학적 기능을 대표하는 것으로 압축강도가 가장 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콘크리트 내부에 미세한 독립된 기포를 발생시켜 콘크리트의 작업성 및 동결융해 저항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혼화제는?

  1. AE제
  2. 기포제
  3. 유동화제
  4. 플라이애쉬
(정답률: 82%)
  • AE제는 콘크리트 내부에 미세한 독립된 기포를 발생시켜 콘크리트의 작업성 및 동결융해 저항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혼화제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AE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단열유리라고도 하며 철, Ni, Cr 등이 들어 있는 유리로서, 서향일광을 받는 창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내열유리
  2. 열선흡수유리
  3. 열선반사유리
  4. 자외선차단유리
(정답률: 57%)
  • 열선흡수유리는 철, Ni, Cr 등의 금속 산화물을 유리에 첨가하여 제작된 유리로, 서향일광을 받는 창 등에 사용됩니다. 이 유리는 열선을 흡수하여 내부로 전달하므로, 외부에서 내부로 열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열선차단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열선흡수유리는 단열유리로서 사용되며, 내열성이나 자외선 차단 효과는 다른 유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도료의 구성요소 중 도막 주요소를 용해시키고 적당한 점도로 조절 또는 도장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1. 안료
  2. 용제
  3. 수지
  4. 전색제
(정답률: 39%)
  • 도료의 구성요소 중에서 도막 주요소를 용해시키고 적절한 점도로 조절하거나 도장하기 쉽게 만들기 위해서는 용제가 사용됩니다. 용제는 도료의 특성에 따라 선택되며, 도료의 용해도, 분산성, 안정성 등을 개선하여 도료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용제는 도료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도장 시에 균일한 코팅을 가능하게 하며, 도료의 건조속도를 조절하여 도장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강의 열처리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불림
  2. 인발
  3. 풀림
  4. 뜨임질
(정답률: 74%)
  • 인발은 강의 열처리 방법 중 하나가 아닙니다. 불림은 강의를 물에 담가 부드럽게 만드는 방법, 풀림은 강의를 물에 담가 염분을 제거하는 방법, 뜨임질은 강의를 뜨거운 물에 담가 표면의 기생충이나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자기질 타일의 흡수율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3.0% 이하
  2. 5.0% 이하
  3. 8.0% 이하
  4. 18.0% 이하
(정답률: 65%)
  • 자기질 타일의 흡수율이 낮을수록 물을 흡수하는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아지고 변형이 적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흡수율이 3.0% 이하인 자기질 타일은 내구성이 높아지고 변형이 적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한국산업표준에 따른 점토 벽돌 중 미장 벽돌에 관한 용어의 정의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30%
  2. 40%
  3. 50%
  4. 60%
(정답률: 70%)
  • 정답인 "50%"는 미장 벽돌의 흡수율을 나타내는 용어인 "흡수율 50% 이하"를 의미합니다. 즉, 미장 벽돌은 물을 흡수하는 양이 적어야 하며, 흡수율이 50% 이하인 벽돌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열경화성 수지에 해당되는 것은?

  1. 아크릴수지
  2. 염화비닐수지
  3. 폴리우레탄수지
  4. 폴리에틸렌수지
(정답률: 39%)
  • 열경화성 수지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로, 폴리우레탄수지는 이 중에서 열경화성 수지에 해당됩니다. 폴리우레탄수지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만들어지며, 열에 의해 발생하는 화학 반응으로 경화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폴리우레탄수지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내열성이 높으며, 접착성이 우수합니다. 따라서 건축, 자동차, 가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보통 합판의 제조 방법에 따른 구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일반
  2. 내수
  3. 난연
  4. 무취
(정답률: 34%)
  • "내수"는 합판의 제조 방법에 따른 구분이 아니라, 합판의 사용 용도에 따른 구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수"는 보통 합판의 제조 방법에 따른 구분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창호철물과 사용되는 창호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레일 - 미닫이문
  2. 크레센트 - 오르내리창
  3. 플로어 힌지 - 여닫이문
  4. 레버토리 힌지 - 쌍여닫이창
(정답률: 53%)
  • 레버토리 힌지는 쌍여닫이창에 사용되는 힌지이지만, 다른 창호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레버토리 힌지 - 쌍여닫이창"이 옳지 않은 연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건축제도의 치수 기입 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협소한 간격이 연속될 때에는 치수 간격을 줄여 치수를 쓴다.
  2.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한다.
  3. 치수 기입은 치수선에 평행하게 도면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로부터 위로 읽을 수 있도록 기입한다.
  4. 치수 기입은 항상 치수선 중앙 아래 부분에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정답률: 70%)
  • 정답은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한다."입니다. 이유는 건축제도에서는 치수를 가능한 한 간단하게 표시하고자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특별한 명시가 없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하여 간단하게 표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철골구조의 접합 방법 중 접합된 판 사이에 강한 압력이 작용하여 이에 의한 접합재간의 마찰저항에 의하여 힘을 전달하는 접합 방식은?

  1. 강접합
  2. 핀접합
  3. 용접접합
  4. 고력볼트접합
(정답률: 74%)
  • 고력볼트접합은 접합된 판 사이에 고력볼트를 사용하여 강한 압력을 가하고, 이에 의한 마찰저항에 의해 힘이 전달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강한 접합력을 필요로 하는 구조물에 적합하며, 강한 접합력을 유지하기 위해 볼트를 주기적으로 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철근콘크리트구조의 1방양 슬래브의 최소두께는 얼마 이상인가?

  1. 80mm
  2. 100mm
  3. 150mm
  4. 200mm
(정답률: 63%)
  •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1방양 슬래브의 최소두께는 구조적 안전성을 고려하여 100m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유는 슬래브가 받는 하중과 슬래브의 두께는 비례 관계에 있기 때문입니다. 슬래브의 두께가 얇을 경우 하중에 대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없어 구조적 안전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100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슬래브를 사용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창문틀의 좌우에 수직으로 세워댄 틀은?

  1. 밑틀
  2. 웃틀
  3. 선틀
  4. 중간틀
(정답률: 62%)
  • 창문틀의 좌우에 수직으로 세워댄 것을 표현하는 말은 "선틀"입니다. "밑틀"은 창문 아래에 위치한 틀을 의미하며, "웃틀"은 창문 위에 위치한 틀을 의미합니다. "중간틀"은 창문 중간에 위치한 틀을 의미하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창문틀의 좌우에 수직으로 세워댄 것을 가장 명확하게 표현하는 용어는 "선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주로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은?

  1. 고정하중
  2. 활하중
  3. 풍하중
  4. 적설하중
(정답률: 43%)
  • 풍하중은 바람이 건물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주로 수평방향으로 작용합니다. 바람이 건물에 부딪히면서 생기는 압력차로 인해 발생하며, 건물의 형태와 위치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건물의 안정성을 고려할 때 풍하중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도명 표시 기호 중 동일한 간격으로 철근을 배치할 때 사용하는 기호는?

  1. @
  2. THK
  3. R
(정답률: 68%)
  • 정답은 "@"입니다. "@" 기호는 철근을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할 때 사용하는 기호 중 하나입니다. 이 기호는 철근의 중심선을 나타내며, 철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구조물의 강도와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철근 배치 시 "@" 기호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도로 포장용 벽돌로서 주로 인도에 많이 쓰이는 것은?

  1. 이형벽돌
  2. 포도용 벽돌
  3. 오지벽돌
  4. 내화벽돌
(정답률: 80%)
  • 주로 인도에서는 포도용 벽돌이 도로 포장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포도용 벽돌이 내구성이 높고,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포도용 벽돌은 물에 잘 강하지 않아 비가 많은 인도의 기후에 적합하며, 도로 위에서 발생하는 진동에도 강하게 버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의 재료표시기호에서 목재의 구조재 효시 기호는?

(정답률: 58%)
  • 정답은 "" 입니다. 이 기호는 목재의 구조재 효시 기호로, 목재가 구조재로 사용될 수 있는 최대 허용하중을 나타냅니다. 이 기호에서는 "F"라는 문자와 숫자 "30"이 함께 사용되었는데, 이는 해당 목재가 "F"급이며, 최대 허용하중이 30kgf/㎠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철근콘크리트구조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각 구조부를 일체로 구성한 구조이다.
  2. 자중이 무겁고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3. 내구ㆍ내화성이 뛰어나다.
  4. 철근과 콘크리트 간 선팽창계수가 크게 다른 점을 이용한 구조이다.
(정답률: 41%)
  •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철근과 콘크리트를 함께 사용하여 내구성과 내화성이 뛰어난 구조물을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옳지 않은 설명은 "철근과 콘크리트 간 선팽창계수가 크게 다른 점을 이용한 구조이다." 이다. 실제로 철근과 콘크리트의 선팽창계수는 비슷하며, 철근의 팽창률이 콘크리트보다 높은 경우에는 철근이 콘크리트를 파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목구조에서 2층 이상의 기둥 전체를 하나의 단일재로 사용하는 기둥은?

  1. 통재기둥
  2. 평기둥
  3. 샛기둥
  4. 동자기둥
(정답률: 83%)
  • 통재기둥은 2층 이상의 기둥 전체를 하나의 나무 통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기둥입니다. 이는 기둥의 안정성을 높이고, 건축물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또한, 통재기둥은 기둥의 미적인 면에서도 우수한 평가를 받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일반

51. 다음 중 목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물의 무게가 가볍고, 가공이 비굑적 용이하다.
  2. 내화성이 좋다.
  3. 함수율에 따른 변형이 크다.
  4. 나무 고유의 색깔과 무늬가 있어 아름답다.
(정답률: 80%)
  • 함수율에 따른 변형이 크다는 것은 목재가 습기나 온도 등의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변형이 크게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목구조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내화성이 좋은 이유는 목재가 불에 대한 내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즉, 불이 붙어도 빠르게 타지 않고 오래 타야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건축물의 안전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목재접합 중 2개 이상의 목재를 길이 방향으로 붙여 1개의 부재로 만드는 것은?

  1. 이음
  2. 쪽매
  3. 맞춤
  4. 장부
(정답률: 53%)
  • 이음은 "접합"의 다른 말로, 2개 이상의 목재를 길이 방향으로 붙여 1개의 부재로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음이 정답입니다. 쪽매는 목재의 끝을 다듬어 맞추는 것을 의미하며, 맞춤은 목재를 정확히 맞춰서 붙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장부는 목재를 길게 연결하여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목구조의 구조부위와 이음방식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서까래 이음 - 빗이음
  2. 걸레받이 - 턱솔이음
  3. 난간두겁대 - 은장이음
  4. 기둥의 이음 - 엇걸이 산지이음
(정답률: 39%)
  • 기둥의 이음 - 엇걸이 산지이음이 잘못 짝지어졌습니다. 기둥의 이음은 기둥과 기둥을 이어주는 방식으로, 엇걸이 산지이음은 기둥과 지붕을 이어주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기둥의 이음과 엇걸이 산지이음은 서로 다른 구조부위와 이음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한변이 300mm 정도인 네모뿔형의 돌로써 석축에 사용되는 돌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호박돌
  2. 잡석
  3. 견치돌
  4. 장대석
(정답률: 67%)
  • 견치돌은 석축에 사용되는 돌 중 한변이 300mm 정도인 네모뿔형의 돌로, 다른 돌과 견고하게 맞물려 건축물을 지탱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비해 호박돌은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재질로, 장식용으로 사용되며, 잡석은 건축물 내부나 외부를 꾸미는 데 사용되는 돌이며, 장대석은 대형 건축물의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네모뿔형이면서 석축에 사용되는 돌을 가리키는 단어는 견치돌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지붕 평면을 구성하는 지붕의 명칭은?

  1. 합각지붕
  2. 모임지붕
  3. 박공지붕
  4. 꺾인지붕
(정답률: 46%)
  • 이 지붕은 네 귀퉁이가 모여서 만나는 지점에서 모여지는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모임지붕"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철골구조의 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플레이트보에서 웨브의 국부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거셋 플레이트를 사용한다.
  2. 휨강도를 높이기 위해 커버플레이트를 사용한다.
  3. 하이브리드거더는 다른 성질의 재즐을 혼성하여 만든 일종의 조립보이다.
  4. 플랜지는 H형강, 플레이트보 또는 래티스보 등에서 보의 단면의 상하에 날개처럼 내민 부분을 말한다.
(정답률: 46%)
  • "휨강도를 높이기 위해 커버플레이트를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플레이트보에서 웨브의 국부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거셋 플레이트를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플레이트보에서 웨브의 국부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거셋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이유는, 플레이트보는 웨브와 달리 좌우로 휘어질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거셋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웨브와 연결함으로써 웨브의 좌굴을 방지하고 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목구조의 2층 마루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홑마루
  2. 보마루
  3. 동바리마루
  4. 짠마루
(정답률: 55%)
  • 동바리마루는 1층과 2층이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목구조의 2층 마루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고층건물의 구조 형식에서 층고를 최소로 할 수 있고 외부보를 제외하고 내부에는 보 없이 바닥판만으로 구성되는 구조는?

  1. 내력벽 구조
  2. 전단 코어 구조
  3. 강성 골조 구조
  4. 무량판 구조
(정답률: 64%)
  • 무량판 구조는 바닥판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내부에 보가 필요하지 않으며, 층고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고층건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 "무량판 구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슬래브 배근에서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철근은?

  1. 장변 단부 하부 배력근
  2. 단변 하부 주근
  3. 장변 중앙 하부 배력근
  4. 장변 중앙 굽힘철근
(정답률: 44%)
  • 슬래브 배근에서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철근은 단변 하부 주근입니다. 이는 슬래브의 단면이 직사각형이기 때문에, 슬래브의 긴 변을 지지하는 장변 단부 하부 배력근보다는 짧은 변을 지지하는 단변 하부 주근이 더 하단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슬래브의 중앙에 위치하는 장변 중앙 하부 배력근과 굽힘철근은 슬래브의 중앙에 위치하기 때문에 하단에 위치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설계도면의 종류 중 실시설계도에 해당되는 것은?

  1. 구상도
  2. 조직도
  3. 전개도
  4. 동선도
(정답률: 68%)
  • 실시설계도는 실제로 건축물을 건설할 때 필요한 상세한 도면으로, 건축물의 구조와 설치 위치 등을 정확하게 나타내야 합니다. 이에 비해 구상도는 건축물의 대략적인 모습만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조직도는 조직의 구성원과 업무 등을 나타내는 도면입니다. 동선도는 건축물 내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입니다. 따라서 실시설계도에 해당하는 것은 건축물의 구조와 설치 위치 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전개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