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5-29)

조경산업기사
(2005-05-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계획 및 설계

1. 기본계획안에 포함되는 토지이용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토지가 지닌 본래의 잠재력이 기본적 고려사항이다.
  2. 토지이용의 종류는 항상 일정하다.
  3. 한 지역은 한 가지의 용도에만 적합하다.
  4. 이용행위의 기능적 특성은 토지이용과는 영향이 없다.
(정답률: 92%)
  • 토지가 지닌 본래의 잠재력이 기본적 고려사항이라는 것은, 토지의 특성과 잠재력을 고려하여 어떤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토지의 지형, 지질, 기후, 수자원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그에 맞는 적절한 이용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토지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지속 가능한 토지 이용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관광지, 유원지 등의 수용력을 산정할 때 활용하는 공식중의 하나인 계절형과 최대일율이 올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1. Ⅰ계절형=1/30
  2. Ⅱ계절형=1/40
  3. Ⅲ계절형=1/50
  4. Ⅳ계절형=1/100
(정답률: 63%)
  • 정답: Ⅲ계절형=1/50

    이유: 계절형은 일년 중 특정 계절에 대한 수용력을 나타내는데, 계절형이 작아질수록 해당 계절에 대한 수용력이 커진다. 따라서 Ⅰ계절형이 1/30이고 Ⅱ계절형이 1/40이면, Ⅲ계절형이 1/50이 되어야 한다. Ⅳ계절형은 일년 중 가장 수요가 적은 계절인 겨울에 대한 수용력을 나타내므로, 가장 작은 값인 1/1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레크레이션 계획의 접근방법 중에서 공간 혹은 시설들의 사회적·생태적인 최소·충분·적정 수준의 공간적 기준을 고려하는 방법은?

  1. 인구비례법
  2. 이용자-자원 계획방법
  3. 한계수용능력 방법
  4. 면적비율법
(정답률: 57%)
  • 한계수용능력 방법은 공간 혹은 시설들의 사회적·생태적인 최소·충분·적정 수준의 공간적 기준을 고려하는 방법으로, 해당 공간이나 시설이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이용자 수를 계산하여 그 이상의 이용자가 발생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려주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공간 혹은 시설의 한계를 고려하여 적정한 이용자 수를 제한하는 방법으로, 레크레이션 계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먼셀(Munsell)의 무채색 명도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1. 10(흑) ~ 20(백), 흑에서 백까지의 단계는 총 11단계
  2. 0(흑) ~ 10(백), 흑에서 백까지의 단계는 총 11단계
  3. 1(흑) ~ 14(백), 흑에서 백까지의 단계는 총 14단계
  4. a(백) cegilnp(흑), 회색 6단계
(정답률: 79%)
  • 먼셀의 무채색 명도단계는 0(흑)부터 10(백)까지의 총 11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데, 0은 가장 어두운 검은색을, 10은 가장 밝은 흰색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0(흑) ~ 10(백), 흑에서 백까지의 단계는 총 11단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주제형 놀이시설과 관련된 내용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모험놀이시설 - 새로운 유형의 시설은 안전성 보다는 대상자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시설을 우선적으로 설계에 반영한다.
  2. 전통놀이시설 - 우리나라 전래의 놀이를 수용할 수 있는 말차기, 고누 장대타기 등의 놀이시설을 예로 들 수 있다.
  3. 조형놀이시설 - 미끄럼타기·사다리오르기 등의 놀이기능을 가지되, 시설물의 조형성이 뛰어나 환경조형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4. 감성놀이시설 - 흙쌓기가 필요하거나 선큰(sunken)된 지형을 가진 일정 면적 이상의 놀이공간 부지가 필요하다.
(정답률: 77%)
  • 정답은 "감성놀이시설 - 흙쌓기가 필요하거나 선큰(sunken)된 지형을 가진 일정 면적 이상의 놀이공간 부지가 필요하다."입니다. 이유는 다른 세 가지 보기는 모두 놀이시설의 종류를 설명하고 있지만, "감성놀이시설"은 놀이시설의 설치 조건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모험놀이시설"은 안전성보다는 대상자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시설을 설계하는 것을 우선시한다는 내용입니다.

    "전통놀이시설"은 우리나라 전통 놀이를 수용할 수 있는 놀이시설을 예로 들었습니다.

    "조형놀이시설"은 미끄럼타기나 사다리오르기 등의 놀이기능을 가지면서도 시설물의 조형성이 뛰어나 환경조형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일반적으로 야외 수영장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태양광선을 충분히 받는 곳으로 수영장의 장축이 남북 방향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곳이 좋다.
  2. 1코스의 폭은 3.0m 이상으로 한다.
  3. 25m와 50m가 있는데, 25m 수영장은 7코스, 50m 수영장은 9코스제가 사용된다.
  4. 부대시설을 포함한 수영장의 면적은 수영객 1인당 2m2를 기준으로 한다.
(정답률: 50%)
  • "1코스의 폭은 3.0m 이상으로 한다."는 일반적으로 야외 수영장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수영 경기에서 1코스는 경기를 진행하는 선수들이 경쟁하는 공간으로, 충분한 폭이 확보되어야 안전하고 공정한 경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충분한 폭이 없으면 수영 경기를 관람하는 관중들도 불편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1코스의 폭은 규정에 따라 3.0m 이상으로 정해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조경계획의 사회행태적 분석에서 인간행태 관찰의 특성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행태가 일어나는 상황을 보다 절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2. 인터뷰를 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자료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나 직접 관찰시는 가능하다.
  3. 이 방법은 정적(靜的)인 행태를 관찰하는 것이다.
  4. 관찰자는 행위자들이 관찰자 자신을 어느 정도 인식하도록 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정답률: 100%)
  • 이 방법은 정적(靜的)인 행태를 관찰하는 것이다. - 이유: 인간행태 관찰은 동적인 행동을 관찰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므로, 정적인 행태를 관찰하는 것은 인간행태 관찰의 특성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옥외계단을 설계할 때 가장 좋은 계단의 축상과 답면의 크기는 얼마이며, 계단참은 몇 계단마다 설치해야 하는가?

  1. 10cm, 30cm, 9 ~ 10단
  2. 15cm, 30cm, 13 ~ 14단
  3. 25cm, 34cm, 16 ~ 17단
  4. 30cm, 36cm, 19 ~ 20단
(정답률: 41%)
  • 옥외계단을 설계할 때는 안전성과 편의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축상과 답면의 크기는 충분히 넓어야 하며, 계단참은 너무 길지도 짧지도 않아야 합니다.

    보기 중에서는 "30cm, 36cm, 19 ~ 20단"이 가장 적절한 선택입니다. 축상과 답면의 크기가 넓어서 안전하고 편리하며, 계단참의 길이도 적당합니다. 또한, 계단참을 19 ~ 20단마다 설치하면 계단을 오르내리기 쉽고 편리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축상과 답면의 크기가 너무 작거나 크며, 계단참의 길이도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안전성과 편의성을 고려한다면 선택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기호에서 석재의 표현이 옳은 것은?

(정답률: 82%)
  • 정답은 ""이다. 이 기호는 석재를 나타내는 표준 기호 중 하나인데, 이 기호는 석재의 모양과 크기를 나타내며, 석재의 표면이 평평하고 균일한 것을 나타낸다. 다른 기호들은 석재의 모양과 크기를 나타내지 않거나, 석재의 표면이 불규칙하거나 울퉁불퉁한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정형식 정원의 배치수법으로 틀린 것은?

  1. 자연미 보다는 인공미에 치중한다.
  2. 통경선(Vista)의 수법을 많이 활용한다.
  3. 대칭미를 살려서 배치한다.
  4. 수목은 낮은 것보다 높은 것을 많이 이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형식 정원의 배치수법에서 틀린 것은 "자연미 보다는 인공미에 치중한다." 이다. 이유는 정형식 정원은 인공적인 요소를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연미를 살려서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목은 낮은 것보다 높은 것을 많이 이용하는 이유는, 정형식 정원에서는 수목이 공간을 구분하고, 시선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높은 수목은 시선을 끌어올리고, 공간을 분리하여 조화롭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경관의 우세원칙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대조(Contrast)
  2. 연속(Sequence)
  3. 질감(Texture)
  4. 축(axis)
(정답률: 84%)
  • 경관의 우세원칙은 경관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질감(Texture)"입니다. 이는 경관을 구성하는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표면의 미세한 질감이나 조직적인 패턴 등과 같은 세부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경관의 조화를 깨뜨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관을 디자인할 때는 질감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청소년 수련시설의 시설별 면적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단위시설 : 1개소 당 100 ~ 200m2
  2. 야외집회장 : 150인까지 200m2 , 초과 1인당 0.7m2
  3. 강의실 : 1실당 50m2 이상
  4. 야영지 : 1인당 15m2 이상
(정답률: 32%)
  • 청소년 수련시설에서는 청소년들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시설별 면적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야영지 : 1인당 15m2 이상" 입니다. 이유는 청소년들이 야외에서 생활하게 되는 야영지에서는 각자의 개인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인당 15m2 이상의 면적을 제공하여 청소년들이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멀리 있는 물체를 숙시(熟視)할 때 사람의 눈은 어느 정도 각도를 갖는가?

  1. 10°
  2. 15°
  3. 30°
(정답률: 47%)
  • 사람의 시야각은 대략 120도 정도이지만, 중앙부분인 망막의 중심부에 위치한 망막 돌기세포들이 시야의 1% 정도를 차지하며, 이 부분이 시야의 해상도를 결정한다. 이 돌기세포들은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어서 멀리 있는 물체를 보기 위해서는 이 부분을 이용해야 한다. 따라서 멀리 있는 물체를 숙시할 때는 시야의 중앙부분을 이용하게 되며, 이때의 시야각은 대략 1도 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주택정원 계획에서 위생적으로 가장 주의를 필요로 하는 공간은?

  1. 공적공간(public area)
  2. 사적공간(private area)
  3. 가족생활공간(family living area)
  4. 서비스공간(service area)
(정답률: 43%)
  • 서비스공간은 주택 내에서 가장 위생적으로 주의를 필요로 하는 공간입니다. 이는 주로 주방, 욕실, 세탁실 등의 공간을 말하며, 음식물 조리, 세탁 등으로 인해 높은 위생 수준이 요구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공간에서 발생하는 쓰레기 처리와 같은 문제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서비스공간은 청결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주의가 필요한 공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적색은 전진하며 공세를 취하는 색이고, 청색은 후퇴하며 뒤로 물러서는 색이다. 이와 같은 주된 이유는?

  1. 색의 굴절현상
  2. 색의 착시현상
  3. 색의 성질
  4. 색상의 차이
(정답률: 67%)
  • 색의 굴절현상은 빛이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색상이 변하는 현상입니다. 적색은 파장이 길어서 빛이 매질을 통과할 때 적게 굴절되므로 전진하는 것처럼 보이고, 청색은 파장이 짧아서 많이 굴절되므로 후퇴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따라서 적색은 전진하며 공세를 취하고, 청색은 후퇴하며 뒤로 물러서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지형은 거시적(macro)인 것과 미시적(micro)인 면으로 파악되는데, 미시적인 지형조사가 필요한 계획은?

  1. 자연의 보전, 보호계획
  2. 토지이용계획
  3. 휴양지 개발계획
  4. 관광정비계획
(정답률: 50%)
  • 미시적인 지형조사는 지형의 세부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므로, 토지이용계획과 같이 구체적인 지형적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 계획에 필요하다. 토지이용계획은 지형의 특성을 고려하여 토지의 적정한 이용 방안을 제시하는 계획으로, 미시적인 지형조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정답은 "토지이용계획"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배식수법에서 교목으로부터 관목으로, 연초록색 잎으로 부터 짙은 초록색 잎으로 변해가는 방식으로 배식하는 수법은 어떤 효과를 표현하기 위한 것인가?

  1. 조화와 대비
  2. 대칭
  3. 균형
  4. 점층
(정답률: 75%)
  • 배식수법에서 교목으로부터 관목으로, 연초록색 잎으로 부터 짙은 초록색 잎으로 변해가는 방식으로 배식하는 수법은 "점층" 효과를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식물의 자연스러운 성장과정을 모방하여, 조화롭게 배치된 식물들이 서로 다른 높이와 색상으로 구성되어 보다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며, 공간을 균형있게 채우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점차 짙어지는 색상은 대비를 표현하여 더욱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계획설계 과정 중 측량, 자료수집, 면담, 관찰, 사진촬영 등을 수행하는 단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용역발주
  2. 조사
  3. 분석
  4. 종합
(정답률: 82%)
  • 조사는 계획설계 과정 중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해 측량, 자료수집, 면담, 관찰, 사진촬영 등을 수행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조사는 계획설계 과정에서 가장 적합한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강물이나 계곡 또는 길게 뻗은 도로와 같이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시선을 집중시키며,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집중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경관은?

  1. 파노라믹한 경관(panoramic landscape)
  2. 세부적 경관(detail landscape)
  3. 초점적 경관(focal landscape)
  4. 위요된 경관(enclosed landscape)
(정답률: 93%)
  • 초점적 경관은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시선을 집중시키며,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집중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경관입니다.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특정한 지점에 초점을 맞추어 관찰자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조경계획의 사회·행태적 분석과정에서 미시적인 분석과정의 문헌조사(archives)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통계자료를 이용할 경우에는 원래의 분류 그대로 인용하여 사용한다.
  2. 과거의 자료를 검토할 경우에 단순한 분석이 아닌 자료에 대한 적절한 해석이 필요하다.
  3. 자료의 접근성에 차이가 있다.
  4. 자료를 해석함에 있어서는 자료가 쓰여진 배경 혹은 상황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정답률: 72%)
  • "통계자료를 이용할 경우에는 원래의 분류 그대로 인용하여 사용한다."의 이유는 통계자료는 정확한 분류와 기록이 중요하기 때문에, 분류를 변경하거나 수정하면 데이터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식재

21. 식생(vegetation)를 분류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1. 군집
  2. 우점도
  3. 천이
(정답률: 74%)
  • 식생을 분류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군집"이다. 이는 비슷한 생태학적 특성을 가진 여러 종들이 함께 자라는 단위로, 서로 다른 종들이 함께 자라면서 생태계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군집은 생태계의 기본 단위이며,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야생원(wild garden)이나 록가든(rock garden)은 어떠한 식재수법에 속하는가?

  1. 사실적(寫實的)식재
  2. 자유(自由)식재
  3. 랜덤(random)식재
  4. 군식(群植)
(정답률: 79%)
  • 야생원이나 록가든은 사실적(寫實的)식재에 속합니다. 이는 실제 자연에서 발견되는 식물들을 모방하여 조합하고 배치하는 식재 방법으로,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자유식재나 랜덤식재는 보다 자유로운 배치 방식을 취하며, 군식은 같은 종류의 식물을 집단으로 배치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도로변, 광장의 가로수 등 포장지역에 식재하는 수고 1.2 ~ 4.5의 수목에 적용하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지주목 설치방법은?

  1. 삼발이 지주목
  2. 삼각지주
  3. 사각지주
  4. 연계형지주
(정답률: 74%)
  • 삼각지주는 포장지역에 식재하는 수목 중 크기가 1.2 ~ 4.5m인 수목에 적용되는 지주목 설치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지주목을 삼각형 모양으로 배치하여 수목의 안정성을 높이고, 지주목 간의 간격을 넓혀 수목의 생장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삼각지주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생태적 천이(ecological succession)가 진행되어 마무리되는 단계로 성숙하고 안정된 균형잡힌 천이계열 군집을 가리키는 용어는?

  1. 산림천이(forest succession)
  2. 산림쇠퇴
  3. 극성상(climax)
  4. 퇴행천이(retrogressive succession)
(정답률: 78%)
  • 극성상은 생태적 천이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도달하는 안정된 상태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생태계의 구성원들이 서로 균형을 이루며 살아가며, 새로운 종들이 들어오거나 사라지는 것이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생태계의 구성원들이 최적의 생활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생태계의 안정성이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옹벽 상부에 심어 아래로 늘어뜨려 벽면을 녹화하는 수종 중 꽃의 관상가치가 높고, 잎보다 먼저 개화하는 식물은?

  1. 등나무
  2. 개나리
  3. 으름덩굴
  4. 담쟁이덩굴
(정답률: 63%)
  • 개나리는 옹벽 상부에 심어 아래로 늘어뜨려 벽면을 녹화하는 수종 중 하나입니다. 이 식물은 꽃의 관상가치가 높고, 잎보다 먼저 개화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개나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4월에 잎이 피기 전에 붉은색의 꽃을 피워 화색배합에 중요한 수종은?

  1. Amorpha fruticosa L.
  2. Robinia pseudo-acacia L.
  3. Cercis chinensis BUNGE
  4. Ilex cornuta LINDLEY et PAX.
(정답률: 42%)
  • 4월에 잎이 피기 전에 붉은색 꽃을 피우는 수종은 Cercis chinensis BUNGE입니다. 이는 붉은색 꽃이 화색배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Amorpha fruticosa L.와 Robinia pseudo-acacia L.는 보라색과 흰색 꽃을 피우기 때문에 화색배합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Ilex cornuta LINDLEY et PAX.는 꽃이 아닌 열매가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화색배합에서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경관내의 식생이 갖는 기능을 열거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지표수 유거의 조정(run off control)
  2. 토양침식(soil erosion)
  3. 사면안정(slope stability)
  4. 미기후 조절(microclimate control)
(정답률: 70%)
  • 정답은 "토양침식(soil erosion)"이다. 식생은 지표수 유거의 조정, 사면안정, 미기후 조절 등의 기능을 갖지만, 토양침식을 막는 것은 주로 지표재배, 지표보호 등의 기술적인 대책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토양침식은 식생의 기능 중 하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가로화단에서 가로등 바로 밑에 코스모스를 식재한 경우가장 옳은 것은?

  1. 토양만 적합하면 관계없다.
  2. 비료만 잘 주면 잘 자란다.
  3. 건조에 강하므로 잘 자란다.
  4. 꽃이 피지 않는다.
(정답률: 57%)
  • 가로등 바로 밑은 그늘지고 통풍이 잘 안 되는 곳이므로 코스모스와 같은 해맞이 꽃은 햇빛을 많이 받지 못해 꽃이 피지 않는다. 따라서 "꽃이 피지 않는다."가 가장 옳은 답이다. 토양이나 비료, 건조에 대한 설명은 꽃이 피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평면식재에서 사람들에게 무의식중에 들어오는 시계(視界) 각도의 범위는?

  1. 10° ~ 30°
  2. 30° ~ 60°
  3. 60° ~ 90°
  4. 120° ~ 160°
(정답률: 69%)
  • 평면식재에서 사람들이 보는 시계는 일반적으로 벽면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이 때, 시계를 보는 사람의 시선은 시계의 중심을 향하게 됩니다. 이때 시계를 보는 사람의 시선이 시계의 중심에서 벗어나면 시계의 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시계를 보는 사람의 시선이 시계의 중심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시계를 부착하는 각도는 일반적으로 30° ~ 60°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됩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시계를 보는 사람의 시선이 시계의 중심에서 벗어나게 되어 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30° ~ 60°"가 정답입니다. "10° ~ 30°"은 시계를 보는 사람의 시선이 너무 낮아 시계의 시간을 파악하기 어렵고, "60° ~ 90°"과 "120° ~ 160°"은 시계를 보는 사람의 시선이 너무 높아 시계의 시간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수목 잎의 거치(톱니)가 예리한 나무는?

  1. 백목련, 유카
  2. 노간주나무, 자목련
  3. 전나무, 종비나무
  4. 호랑가시나무, 은목서
(정답률: 64%)
  • 호랑가시나무와 은목서는 모두 수목 잎의 거치(톱니)가 매우 예리하고 날카로워서 예리한 나무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이 두 나무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수목 잎의 거치가 예리하지 않거나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일반적인 식재의 기능 중 경관조절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표식재
  2. 경계식재
  3. 경관식재
  4. 차폐식재
(정답률: 27%)
  • 일반적인 식재의 기능 중 경관조절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경계식재"입니다. 경계식재는 경계를 나타내거나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재로, 경관을 조절하는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지표식재는 지형을 안정시키고 토양유실을 방지하는 기능, 경관식재는 경관을 조절하고 환경을 개선하는 기능, 차폐식재는 바람이나 눈 등의 자연적인 영향을 막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주목의 학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Ligustrum obtusifolium SIEB.et ZUCC.
  2. Taxus cuspidata SIEB.et ZUCC.
  3. Tamarix juniperina BUNGE
  4. Juniperus chinensis LINN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Taxus cuspidata SIEB.et ZUCC."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Ligustrum obtusifolium SIEB.et ZUCC."는 Ligustrum 속의 한 종으로, 주목의 학명으로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 "Tamarix juniperina BUNGE"는 Tamarix 속의 한 종으로, 주목의 학명으로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 "Juniperus chinensis LINNE"는 Juniperus 속의 한 종으로, 주목의 학명으로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Taxus cuspidata SIEB.et ZUCC."가 주목의 학명으로 가장 적당합니다. 이는 Taxus 속의 한 종으로, Siebold와 Zuccarini에 의해 기재되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오픈 스페이스의 환경 조절기능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재해의 방지 또는 완화
  2. 공해의 방지 또는 완화
  3. 도시개발의 조절
  4. 미기후 조절
(정답률: 알수없음)
  • 오픈 스페이스의 환경 조절기능은 주로 공기, 물, 온도 등의 환경을 조절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도시개발의 조절은 도시 내 인프라 구축, 건축물의 설계 등을 통해 도시의 발전과 환경 보호를 동시에 고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오픈 스페이스의 환경 조절기능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도시개발의 조절"이 아닌 다른 보기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산딸나무와 층층나무를 구별하는 근거가 될 수 있는 것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측맥의 수
  2. 잎의 마주나기와 어긋나기
  3. 나무의 높이
  4. 잎의 색깔과 열매의 모양
(정답률: 70%)
  • 산딸나무와 층층나무는 잎의 마주나기와 어긋나기가 다릅니다. 산딸나무는 잎이 서로 마주나지만 층층나무는 잎이 서로 어긋납니다. 따라서 이것이 두 나무를 구별하는 가장 적당한 근거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대상물을 눈에 띄지 않도록 하는 방법인 카무플라즈는 의 장수법 또는 미채수법이라고도 하는데, 이 방법을 이용하는 수법 중 가급적 피해야 하는 것은?

  1. 인공조성지에 식재하는 수법
  2. 경사의 법면에 잔디를 입혀 녹화하는 수법
  3. 노출암석이나 몰탈공법으로 처리된 면을 녹색으로 도색 처리하는 수법
  4. 담쟁이 등의 벽면녹화수법
(정답률: 50%)
  • 카무플라즈는 대상물을 눈에 띄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 중에서도 노출암석이나 몰탈공법으로 처리된 면을 녹색으로 도색 처리하는 수법은 오히려 대상물을 더 눈에 띄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피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가로수가 갖추어야 할 조건에 대한 것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온대지방에서는 낙엽활엽수가 좋다.
  2. 공해 및 병충해에 강한 수종이 좋다.
  3. 후기 생장이 왕성할수록 좋다.
  4. 건조에 강하고, 수명이 긴 나무가 좋다.
(정답률: 65%)
  • "후기 생장이 왕성할수록 좋다."는 적당하지 않은 조건이다. 이유는 가로수가 너무 빠르게 성장하면 가지치기 등의 관리가 어려워지고, 가로수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온대지방에서는 낙엽활엽수가 좋다."는 온대지방의 기후와 토양에 적합한 나무를 선택하는 것이므로 적절한 조건이다.

    "공해 및 병충해에 강한 수종이 좋다."는 가로수가 환경오염과 질병에 강한 나무를 선택하는 것이므로 적절한 조건이다.

    "건조에 강하고, 수명이 긴 나무가 좋다."는 가로수가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고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는 나무를 선택하는 것이므로 적절한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소나무의 규격 표시방법으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

  1. 수고 × 수관폭
  2. 수관폭 × 근원직경
  3. 수고 × 흉고직경
  4. 수고 × 근원직경
(정답률: 70%)
  • 가장 적당한 것은 "수고 × 근원직경"이다. 이는 소나무의 성장에 따라 변화하는 수고와 근원직경을 함께 표시하여 나무의 크기와 나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관폭은 나무의 크기와는 관계가 적고, 흉고직경은 나무의 성장에 따라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비탈면의 종자뿜어붙이기용 잔디 종자로 적합치 않은 것은?

  1. 켄터키블루그래스(kentucky blue grass)
  2. 벤트그래스(bent grass)
  3. 훼스큐그래스(fescue grass)
  4. 위핑러브그래스(weeping love grass)
(정답률: 60%)
  • 벤트그래스는 비탈면에서는 너무 빠르게 성장하여 덮개를 형성하지 못하고, 뿌리가 얕아 건조에 취약하기 때문에 비탈면의 종자뿜어붙이기용 잔디 종자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열매가 검은색인 나무 수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모과나무
  2. 좀작살나무
  3. 쥐똥나무
  4. 산수유
(정답률: 73%)
  • 쥐똥나무는 열매가 검은색이며, 다른 보기들은 열매가 다른 색상을 띠고 있습니다. 따라서, 열매가 검은색인 나무 수종으로는 쥐똥나무가 가장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경사 30°의 지형에 잔디를 식재하고자 한다. 도면상에서는 100m2의 면적이 나왔을 때 실제로 심어야 할 면적은 얼마인가?(단, cos 30°= 0.85로 할 것)

  1. 약 75 m2
  2. 약 85 m2
  3. 약 118 m2
  4. 약 170 m2
(정답률: 36%)
  • 지형의 경사각이 30°이므로 지면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는 60°이다. 이때, 도면상에서 100m2의 면적이 나왔다는 것은 지면과 수평선 사이의 면적이 100m2라는 뜻이다. 따라서, 이 면적을 실제 면적으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지면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에 따라 보정해주어야 한다.

    cos 60° = 0.5 이므로, 지면과 수평선 사이의 면적은 도면상에서 보이는 면적의 0.5배가 된다. 따라서, 실제로 심어야 할 면적은 100m2 x 0.5 x 0.85 = 42.5m2이 된다.

    하지만, 이는 지면이 완전히 평평한 경우의 면적이므로, 실제 지형의 경사를 고려하여 더 많은 면적을 심어주어야 한다. 경사각이 30°이므로, 지면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는 60°이다. 이때, cos 30° = 0.85 이므로, 지면과 수평선 사이의 면적은 도면상에서 보이는 면적의 0.5배 x 0.85 = 0.425배가 된다. 따라서, 실제로 심어야 할 면적은 100m2 x 0.5 x 0.85 x 2 = 약 118m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시공

41. 모멘트(moment)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한 지점에 대한 힘의 회전능률을 말한다.
  2. 힘의 크기와 작용선까지의 거리를 곱한 값이다.
  3. 시계방향으로 작용하면 (+), 반시계방향이면 (-)로 표시한다.
  4. 단위는 kg/m2 또는 g/㎝2와 같이 나타낸다.
(정답률: 60%)
  • "단위는 kg/m2 또는 g/㎝2와 같이 나타낸다."는 옳은 설명이다. 모멘트는 힘의 회전능률을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힘의 크기와 작용선까지의 거리를 곱한 값이며, 시계방향으로 작용하면 (+), 반시계방향이면 (-)로 표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도로의 포장면이 파괴되는 원인에 대한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기층이 진흙으로 된 경우
  2.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
  3. 겨울의 동상(frost heaving)현상이 있는 경우
  4. 포장면에 유연성이 없는 경우
(정답률: 55%)
  • 포장면에 유연성이 없는 경우는 적합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포장면은 차량의 무게와 운행에 따른 충격을 견디기 위해 유연성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포장면에 유연성이 없으면 도로 표면이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토공에서 절취와 터파기의 기준이 되는 깊이는?

  1. 10㎝
  2. 15㎝
  3. 20㎝
  4. 30㎝
(정답률: 67%)
  • 토공에서 절취와 터파기의 기준이 되는 깊이는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토공기의 크기와 깊이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20cm 정도로 설정됩니다. 이는 건설 현장에서 안전하게 공사를 진행하기 위한 기준으로, 이보다 얕은 깊이에서는 지하 파이프나 전기선 등이 노출될 가능성이 있고, 깊이가 깊어질수록 공사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축척 1/1,200 지도상의 면적을 잘못하여 축척을 1/1,000로 보고 10,000m2를 구하였다면 실제 면적은?

  1. 6,333m2
  2. 12,500m2
  3. 13,666m2
  4. 14,400m2
(정답률: 44%)
  • 축척이 1/1,200에서 1/1,000로 잘못 보았으므로 실제 면적은 1/1,200 ÷ 1/1,000 = 5/6배가 된다. 따라서 10,000m2 × 5/6 = 8,333.33m2 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8,666m2"을 선택할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더 큰 값이다. 정답은 "14,400m2"이다. 이유는 1/1,200 지도상에서 1cm2에 해당하는 면적은 1,200cm2이고, 이를 1/1,000 지도상으로 환산하면 1cm2에 해당하는 면적은 1,000cm2이 된다. 따라서 1cm×1cm의 면적은 1,200cm2에서 1,000cm2로 줄어들게 되므로, 실제 면적은 10,000m2 × 1,200/1,000 × 1,200/1,000 = 14,400m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재료비 25,000,000원, 노무비 12,000,000원, 산재보험료 4% 일 때 기타 경비(5%)는 얼마인가?

  1. 600,000원
  2. 1,000,000원
  3. 1,480,000원
  4. 1,850,000원
(정답률: 40%)
  • 기타 경비는 총 비용에서 재료비, 노무비, 산재보험료를 제외한 나머지 비용입니다. 따라서 기타 경비는 (25,000,000원 + 12,000,000원) x 5% = 1,850,000원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사고석 담장의 줄눈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1. 내민줄눈
  2. 평줄눈
  3. 오목줄눈
  4. 민줄눈
(정답률: 50%)
  • 사고석 담장의 줄눈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내민줄눈"입니다. 이는 담장의 내측으로 향하며, 담장의 높이와 수평선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내민줄눈은 담장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자연상태에서 화강암의 정원석 1m3 의 단위중량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약 2,7000kg
  2. 약 3,7000kg
  3. 약 4,000kg
  4. 약 2,000kg
(정답률: 62%)
  • 화강암은 약 2.7 ~ 2.8g/cm3의 밀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1m3의 단위중량은 약 2,7000kg이 가장 적당하다. 다른 보기들은 화강암의 밀도와 맞지 않는 값이므로 선택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수량 산출시 수목 할증율은 얼마까지 줄 수 있는가?

  1. 약 5%
  2. 약 7%
  3. 약 10%
  4. 약 15%
(정답률: 32%)
  • 수목 할증율은 해당 지역의 자연환경, 수목 종류, 수목 크기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약 10%까지 줄 수 있습니다. 이유는 수목 할증율은 수목의 생육 상태와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즉, 생육이 원활하고 건강한 수목일수록 할증율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할증율이 너무 높으면 수목의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으므로 적절한 할증율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조경공사에서 각종 시설의 경사기준(권장범위)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공도로 : 1 ~ 8%
  2. 주차장 : 1 ~ 5%
  3. 잔디배수로 : 8 ~ 15%
  4. 놀이터 : 2 ~ 10%
(정답률: 36%)
  • 잔디배수로의 경사기준 범위가 가장 넓기 때문에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이는 잔디배수로의 토양이 물을 잘 흡수하고 배출하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경사도를 감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공공도로나 주차장은 물이 흐르지 않고 미끄러움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기준 범위가 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콘크리트 워커빌리티(Workability)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콘크리트의 강도
  2. 골재입도와 잔골재율
  3. 시멘트 양
  4. 반죽질기(consistency)
(정답률: 60%)
  • 콘크리트의 강도는 콘크리트의 경도와 내구성을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콘크리트 워커빌리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콘크리트 워커빌리티는 골재입도와 잔골재율, 시멘트 양, 반죽질기(consistency) 등의 요소에 영향을 받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용적배합비 1:3:6 콘크리트 1m3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모래가 0.47m3 소요 된다. 이 콘크리트 20m3가 필요할 경우 자갈은 몇 m3가 필요한가?

  1. 0.94m3
  2. 1.88m3
  3. 9.4m3
  4. 18.8m3
(정답률: 43%)
  • 용적배합비 1:3:6에서 모래의 비율은 1/(1+3+6) = 0.1 이다. 따라서 1m3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모래의 양은 0.1m3 이다. 이를 이용하여 20m3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모래의 양은 0.1 x 20 = 2m3 이다.

    자갈의 비율은 3/(1+3+6) = 0.3 이다. 따라서 1m3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자갈의 양은 0.3m3 이다. 이를 이용하여 20m3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자갈의 양은 0.3 x 20 = 6m3 이다.

    따라서 정답은 6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림은 힘에 관한 표시이다. 그림에 대한 설명 중 틀린것은?

  1. A 는 힘의 작용점이다.
  2. OA 는 힘의 방향이다.
  3. OA 의 길이는 축척에 의해 힘의 크기를 나타낸다.
  4. 작용점, 방위와 방향, 크기를 힘의 3요소라 한다.
(정답률: 67%)
  • 정답은 "A 는 힘의 작용점이다." 이다. 그림에서 A는 힘을 받는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힘의 작용점은 힘이 가해지는 위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A는 힘의 작용점이 아니라 힘을 받는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계단시공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의 구배는 30 ~ 35°가 가장 적당하다.
  2. 높이 2m를 넘는 계단에는 2m이내마다 당해 계단의 유효폭 이상의 폭으로 너비 120cm이상의 참을 둔다.
  3. 옥외에 설치하는 계단의 단수는 최소 2단 이상으로 하며 계단바닥은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한다.
  4. 높이 2m를 초과하는 계단으로서 계단 양측에 벽, 기타 이와 유사한 것이 없는 경우에는 난간을 두고, 계단의 폭이 1.5m를 초과하면 3m이내에 난간을 설치한다.
(정답률: 43%)
  • 옳지 않은 설명은 없습니다. 모든 설명이 옳습니다.

    높이 2m를 초과하는 계단에는 난간을 두는 이유는 안전을 위해서입니다. 높이가 높아질수록 낙상 사고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난간을 설치하여 안전성을 높입니다. 또한, 계단의 폭이 넓어질수록 난간을 설치하는 거리도 넓어져야 합니다. 이는 계단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난간을 잡을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평떼 1매당 떼꽂이 2개씩 사용할 때 평떼 1m2당 필요로하는 떼꽂이 수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1본
  2. 13본
  3. 15본
  4. 22본
(정답률: 62%)
  • 1m²당 필요한 떼꽂이 수는 평떼 1매당 떼꽂이 2개씩 사용하므로 2개이다. 따라서 가장 적당한 것은 22본이다.

    11본, 13본, 15본은 모두 1m²당 필요한 떼꽂이 수가 1.1개, 1.3개, 1.5개로 소수점이 나오므로 적당하지 않다.

    반면에 22본은 1본당 10개의 떼꽂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1m²당 필요한 떼꽂이 수는 2개가 된다. 따라서 가장 적당한 것은 22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흙의 안식각이란 무엇을 나타내는가?

  1. 흙의 마찰각
  2. 자연 비탈각
  3. 흙깎기 경사각
  4. 흙쌓기 경사각
(정답률: 55%)
  • 흙의 안식각은 흙이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 경사면의 각도를 의미합니다. 이 때, 자연 비탈각은 흙이 자연적으로 안식각을 형성하는 경사면의 각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자연 비탈각은 흙의 안식각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흙의 마찰각"은 흙과 다른 물체 간의 마찰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흙깎기 경사각"과 "흙쌓기 경사각"은 각각 흙을 깎거나 쌓을 때 필요한 최적의 경사각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우수 유출량(Q)은 로 보통 구하게 되는데 이중 강우강도를 나타내는 I는 배수를 시켜야 하는 지역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산정해야 한다. 그러므로 로 구하게 되는데 이중 t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유달시간(流達時間)
  2. 거리(距離)
  3. 지면경사(地面傾斜)
  4. 기후특성(氣候特性)
(정답률: 77%)
  • t는 유체가 지면을 따라 흐르는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낸다. 이는 지면 경사, 지형, 지하수 흐름 등에 따라 다르게 산정되며, 이를 고려하여 우수 유출량을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유달시간(流達時間)"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원가관리의 내용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실행예산과 실가격을 대조한다.
  2. 원가의 발생을 통제한다.
  3. 시공관리의 3대 목표 중 하나이다.
  4. 기성고를 높이기 위한 수단이다.
(정답률: 59%)
  • "기성고를 높이기 위한 수단이다."는 원가관리의 내용으로 맞지 않는다. 원가관리는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기성고를 높이는 것은 이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주차방식 중 동일한 주차 면적에서 가장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주차방식은?

  1. 45도 주차배치
  2. 60도 주차배치
  3. 90도 주차배치(수직배치)
  4. 평행주차 배치(도로의 연석과 나란히 배치)
(정답률: 59%)
  • 90도 주차배치(수직배치)가 동일한 주차 면적에서 가장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주차방식이다. 이는 주차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90도 주차배치는 차량이 수직으로 주차되기 때문에, 차량 간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주차면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반면, 45도 주차배치나 60도 주차배치는 차량이 대각선으로 주차되기 때문에, 주차면적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고, 주차공간이 낭비될 수 있다. 또한, 평행주차 배치는 도로의 연석과 나란히 배치되기 때문에, 주차면적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고, 도로의 통행이나 주차 중에 다른 차량의 출입이 어려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공정표에서 크리티칼 패스(critical path)에 해당되는 과정은?

  1. ⓞ-①-④-⑤
  2. ⓞ-②-③-⑤
  3. ⓞ-①-②-③-⑤
  4. ⓞ-①-②-④-⑤
(정답률: 50%)
  • 크리티컬 패스는 전체 공정 중 가장 긴 시간이 소요되는 경로를 의미합니다. 이 공정표에서는 "ⓞ-①-②-④-⑤"가 가장 긴 시간이 소요되는 경로이므로 크리티컬 패스에 해당됩니다. ③은 ④와 ⑤가 끝나야 시작될 수 있으므로, ④와 ⑤가 끝나는 시간에 따라 소요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③은 크리티컬 패스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일반적인 옹벽의 설계과정에서 고려해야 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뒷채움 흙의 경우 배수시설은 고려하지 않고 구조물에서 결정한다.
  2. 지형의 조사, 지반의 토질조사 및 시험을 한다.
  3. 옹벽 각 부재의 구조체를 설계한다.
  4. 옹벽의 자중,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 및 뒷채움 흙의 재하중을 계산한다.
(정답률: 75%)
  • "뒷채움 흙의 경우 배수시설은 고려하지 않고 구조물에서 결정한다."는 일반적인 옹벽 설계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옹벽 설계 시 배수시설 설계와는 별개로 고려되는 사항으로, 옹벽의 안정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입니다.

    "지형의 조사, 지반의 토질조사 및 시험을 한다.", "옹벽 각 부재의 구조체를 설계한다.", "옹벽의 자중,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 및 뒷채움 흙의 재하중을 계산한다."는 모두 일반적인 옹벽 설계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지형과 지반의 특성을 파악하고, 각 부재의 구조체를 설계하며, 옹벽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산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옹벽 설계의 기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관리

61. 수목당 3개의 당김줄이 설치될 경우 당김줄로 통행이 제한되는 원형공간의 면적을 산정하려고 한다. 수목근원부에서 당김줄 고정부위까지의 길이가 2m, 당김줄의 길이가 2.8m, 당김줄과 수간이 이루는 각도가 45°라면 당김줄에 의해 점유되는 원형면적은?

  1. 약 4m2
  2. 약 8m2
  3. 약 13m2
  4. 약 24m2
(정답률: 39%)
  • 당김줄과 수간이 이루는 각도가 45°이므로, 당김줄이 이루는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는 모두 2.8m/√2 ≈ 1.98m 이다. 따라서 이 삼각형의 넓이는 (1.98m)²/2 ≈ 1.96m² 이다. 이 삼각형이 원의 중심에 위치하므로, 이 삼각형의 넓이를 3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당김줄이 차지하는 부분의 면적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당김줄이 차지하는 면적은 약 1.96m²/3 ≈ 0.65m² 이다. 이렇게 구한 각 당김줄이 차지하는 면적을 3으로 곱해주면, 당김줄로 통행이 제한되는 원형공간의 면적은 약 1.96m² 이다. 하지만 이 공간은 원형이므로, 반지름을 구해서 원의 면적을 계산해야 한다. 반지름은 당김줄의 길이인 2.8m/2 = 1.4m 이다. 따라서 원의 면적은 πr² ≈ 6.16m² 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13m²"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소나무류의 순따기가 가장 적당한 시기는?

  1. 3월
  2. 5월
  3. 8월
  4. 11월
(정답률: 50%)
  • 소나무류는 5월에 새싹이 돋아나기 때문에 순따기가 가장 적당한 시기입니다. 3월은 아직 춥고 봄이 시작되기 전이며, 8월과 11월은 이미 열매가 다 익어버려 순따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공원녹지 내에서의 행사(event)개최를 통하여 얻고자 하는 주요한 효과가 아닌 것은?

  1. 행정홍보의 수단으로 행사를 개최함으로써 주민의 공감을 얻을 수 있다.
  2. 커뮤니티활동의 일환으로 공원 등에서 행사를 통하여 지역주민의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을 도모할 수 있다.
  3. 재정확보 차원에서 행사개최를 통해 공원유지관리를 위한 재정을 확충할 수 있다.
  4. 공원녹지이용의 다양화를 도모하는 수단으로서 시민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공원녹지이용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정답률: 73%)
  • 재정확보 차원에서 행사개최를 통해 공원유지관리를 위한 재정을 확충할 수 있다는 것은 공원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모으기 위한 목적으로 행사를 개최하는 것이므로, 공원 이용자들에게 직접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주요한 효과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시설물 관리는 정기적인 것과 비정기적인 것으로 구분되며 다음 중 비정기적 관리내용에 해당되는 것은?

  1. 고사목 제거
  2. 철재울타리 도장
  3. 놀이시설 순회점검
  4. 조합놀이대 안전점검
(정답률: 67%)
  • 고사목 제거는 정기적으로 할 필요가 없으며, 나무가 썩거나 부러져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때에만 비정기적으로 처리해야 한다. 따라서 "고사목 제거"는 비정기적 관리내용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습지에서도 잘 자라는 수종은?

  1. 은행나무, 수양버들
  2. 가이즈까향나무, 벚나무
  3. 동백나무, 쪽동백나무
  4. 낙우송, 메타세콰이아
(정답률: 39%)
  • 습지는 물이 많은 환경이므로 뿌리가 물을 잘 흡수하고 수분을 잘 보존할 수 있는 나무가 적합합니다. 이에 따라 낙우송과 메타세콰이아는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물을 잘 흡수하고 수분을 보존할 수 있어 습지에서도 잘 자라는 수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정원수 전정작업을 설명한 것 중 미관상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1. 생육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한다.
  2. 불균형 및 불필요한 가지를 제거한다.
  3. 생장을 억제시켜 개화결실을 촉진한다.
  4. 태풍에 의한 도복의 피해를 방지한다.
(정답률: 74%)
  • 정원수 전정작업에서 미관상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불균형 및 불필요한 가지를 제거한다." 이다. 이는 식물의 모양을 균형있게 유지하고, 불필요한 가지를 제거하여 깔끔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만들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옥외광고 간판에서의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환경 쾌적성을 저해하는 것은 설치 금지
  2. 상업 광고물의 가로 부착 금지
  3. 공중 취미를 저해하는 것 금지
  4. 이용자의 주의력을 산만하게 하는 것을 부착 금지
(정답률: 69%)
  • "상업 광고물의 가로 부착 금지"는 옥외광고 간판에서의 고려사항이 아닌 것이다. 이는 설치 위치와 관련된 것이 아니라, 광고물의 형태와 부착 방식과 관련된 것이다. 따라서 이유는 설치 위치와 관련이 없으며, 광고물의 안전성과 환경 쾌적성을 고려한 것이 아니라, 광고물의 시각적 효과와 관련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수목의 시비방법으로 시비용 구덩이 깊이를 가장 바르게 표시한 것은?

  1. 지표면 가까이 10 ~ 20cm 정도
  2. 지표에서 25 ~ 30cm 깊이
  3. 지표에서 35 ~ 45cm 깊이
  4. 지표에서 50cm 이상 깊이
(정답률: 58%)
  • 수목의 뿌리는 대부분 지표면 아래 30cm 이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시비용 구덩이를 지표에서 25 ~ 30cm 깊이로 파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이렇게 파면 뿌리가 잘 닿아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고, 물도 잘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표면 가까이 파면 뿌리가 노출되어 건조해지고, 깊이가 너무 깊으면 뿌리가 닿지 않아 영양분과 물을 흡수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조경관리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수립 조건이 아닌 것은?

  1. 환경조건
  2. 시설조건
  3. 재원 및 제도조건
  4. 시각 위치조건
(정답률: 30%)
  • 조경관리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환경조건, 시설조건, 재원 및 제도조건은 모두 수립 조건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각 위치조건은 수립 조건이 아닙니다. 시각 위치조건은 단지 조경디자인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일 뿐, 조경관리계획 수립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비탈면 보호공의 유지관리 항목 중 연결내용이 잘못된 것은?

  1. 돌붙임공, 블록붙임공 : 앵커(anchor)일부의 헐거움
  2. 콘크리트 붙임공 : 균열
  3. 편책공 : 퇴적토사의 중량에 의한 손상
  4. 낙석방지망공 : 망이나 로프(rope)의 절단
(정답률: 65%)
  • 정답은 "낙석방지망공 : 망이나 로프(rope)의 절단" 입니다.

    돌붙임공과 블록붙임공은 앵커의 일부가 헐거워져서 보강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콘크리트 붙임공은 균열이 발생하여 보강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편책공은 퇴적토사의 중량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낙석방지망공은 망이나 로프의 절단으로 인해 유지관리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망이나 로프가 손상되어 낙석방지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소나무좀에 관한 설명 중 관계가 먼 것은?

  1. 유충가해기(5월경)에 구제하거나 개미붙이 등의 천적을 이용한다.
  2. 치명적 피해는 주지 않고 부분적으로 가해한다.
  3. 이식한 소나무(적송)에 많은 피해를 준다.
  4. 천공성 해충으로 분류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식한 소나무(적송)에 많은 피해를 준다."는 다른 설명들과 관계가 먼 것이다. 소나무좀은 치명적 피해는 주지 않고 부분적으로 가해하는 이유는 그들이 유충기에 구제하거나 천적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이식한 소나무(적송)에 많은 피해를 준다는 것은 소나무좀의 특성과는 관계가 없는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음수대의 보수방법 중에 인조석바르기의 마무리 작업 내용 중에 맞지 않는 것은?

  1. 한번 바를 때의 두께는 6㎜이하로 한다.
  2. 양질의 재료를 사용하고 준공도와 같은 배합비로 혼합하여 타설한다.
  3. 인조석이 잘 부착되도록 본체의 바탕면을 거칠게 한 후 물축임을 한다.
  4. 초벌 바름후 바름이 마르기 전에 바로 재벌 및 정벌 바름을 한다.
(정답률: 70%)
  • "초벌 바름후 바름이 마르기 전에 바로 재벌 및 정벌 바름을 한다."가 맞지 않는다. 이유는 초벌 바름 후에는 바름이 마르기 전에는 재벌 및 정벌 바름을 하면 안 된다. 초벌 바름은 인조석을 부착하기 전에 본체의 바탕면을 거칠게 하고 물축임을 하는 작업이다. 이후에는 바름이 완전히 마르기를 기다려야 한다. 그리고 재벌 및 정벌 바름은 인조석을 부착한 후에 하는 작업이다. 이 작업은 인조석과 본체를 더욱 견고하게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진달래, 철쭉류의 가장 알맞는 전정 시기는?

  1. 봄의 새싹이 나오기 직전
  2. 낙화 직후
  3. 10 ~ 11월 가을철
  4. 12 ~ 1월 겨울철
(정답률: 72%)
  • 진달래와 철쭉류는 봄에 개화하는 식물로, 가장 알맞는 전정 시기는 봄입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적절한 시기는 낙화 직후입니다. 이유는 낙화 직후에는 식물이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기 위해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게 되어, 이후에는 잎이 자라고 새싹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낙화 직후에는 식물의 전정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 등의 환경 조건이 갖추어져 있어, 가장 알맞은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수심이 깊은 연못 등의 위험한 장소에 접근 방지용 펜스 (fence)를 설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사고의 경우 원인은?

  1. 설치하자
  2. 관리하자
  3. 이용자 부주의
  4. 주최자 부주의
(정답률: 42%)
  • 수심이 깊은 연못 등의 위험한 장소에는 펜스를 설치하여 접근을 제한해야 하지만, 설치 후에도 펜스의 상태를 관리하지 않으면 펜스가 파손되거나 노후화되어 효과가 떨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이용자들이 위험한 장소에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사고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펜스를 설치한 후에도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소홀히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포장의 결함에 의해 발생되는 파손 형태 모식도이다. 박리(剝離)현상의 모식도를 표현한 것은?

(정답률: 58%)
  • 박리(剝離)현상은 포장재와 제품 사이에 공간이 생겨서 제품이 포장재에서 벗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이 정답이다. 이 모식도는 포장재와 제품 사이에 공간이 생겨서 제품이 포장재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결함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독립수로 지정된 천연기념물을 보호하는데 가장 적당한 것은?

  1. 사람의 접근을 막을 때는 철책을 나무가지보다 좁게 설치한다.
  2. 경고판, 안내판을 사람 키보다 높게 한다.
  3. 자연석을 놓아 울타리 같은 기분을 형성하여 사람의 접근을 막아야 한다.
  4. 자연석이나 시멘트로 원돌림을 해서는 안된다.
(정답률: 38%)
  • 자연석이나 시멘트로 원돌림을 하면 천연기념물의 원래 모습을 훼손시키고,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보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아스팔트포장에서 표면연화에 의한 보수방법으로 적당한 것은?

  1. 패칭(patching)
  2. 표면처리
  3. 덧씌우기
  4. 석분 또는 모래를 살포하여 전압
(정답률: 38%)
  • 아스팔트포장에서 표면연화는 포장면의 경도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석분 또는 모래를 살포하여 전압하는 방법이 적당합니다. 이는 석분 또는 모래가 포장면의 경도를 높여주고, 전압작용으로 인해 포장재가 밀착되어 더욱 견고한 포장면을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표면연화를 해결하면서도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인 보수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조경수 병징(symptom)에 해당하는 것은?

  1. 로제팅
  2. 균사체
  3. 포자
  4. 버섯
(정답률: 64%)
  • 로제팅은 식물의 잎이나 줄기에 생기는 작은 붉은색 혹이나 검은색 혹으로, 조경수 병징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로제팅은 조경수 병징에 해당합니다. 균사체, 포자, 버섯은 모두 로제팅과는 다른 종류의 생물체이므로 조경수 병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가장 바람직한 토양개량제의 구비조건으로 적당치 않는 것은?

  1. 토양 공극량이 큼
  2. 답압에 대한 높은 저항성
  3. 높은 수용성 염기함량
  4. 병균이나 해충이 없는 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높은 수용성 염기함량은 토양의 pH를 높여서 적정한 작물 생육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토양개량제의 구비조건으로 적당치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점토를 이용한 제품이 아닌 것은?

  1. 타일
  2. 테라코타(Terra cotta)
  3. 내화벽돌
  4. 케스트 스톤(Cast stone)
(정답률: 69%)
  • 케스트 스톤은 점토를 사용하지 않고 시멘트, 석재 가루, 모래 등을 혼합하여 만든 인조석이기 때문에 점토를 이용한 제품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