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6-02)

조경산업기사
(2013-06-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계획 및 설계

1. “7가지의 경관의 유형을 기초로 산림경관을 분석하는데 사용한 방법” 과 관련된 항목은?

  1. 시각회랑에 의한 방법
  2. 기호화 방법
  3. 계량화방법
  4. 메쉬 분석방법
(정답률: 71%)
  • "7가지의 경관의 유형을 기초로 산림경관을 분석하는데 사용한 방법"은 시각회랑에 의한 방법을 사용한다. 이는 산림경관을 시각적으로 관찰하고 평가하여 경관의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경관의 특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경관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다른 방법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및 관련 법규에서 도시공원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도시공원 중 소공원, 어린이공원, 근린공원은 주제공원으로 분류된다.
  2. 어린이공원의 규모는 1,500m2 이상의 면적을 기준으로 한다.
  3. 근린공원은 도시의 각종 문화적 특징을 활용하여 도시민의휴식ㆍ교육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공원을 말한다.
  4. 묘지공원안의 건축물 건폐율은 100분의 5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82%)
  • 어린이공원은 어린이들이 놀이와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를 위해 충분한 면적이 필요하다. 따라서 어린이공원의 규모는 1,500m2 이상의 면적을 기준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M. Laurie는 조경과 관련된 학문 영역을 6가지로 분류하였다. 다음 중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표현기법
  2. 설계 방법론
  3. 공학적 지식
  4. 컴퓨터 그래픽스
(정답률: 90%)
  • M. Laurie가 분류한 조경과 관련된 학문 영역은 "표현기법", "설계 방법론", "공학적 지식", "생태학", "사회학", "심리학" 이다. 컴퓨터 그래픽스는 조경과 관련된 기술적인 분야이지만, M. Laurie가 분류한 학문 영역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건축법에 의해 지역의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하기 위하여 건축물 조성시 일반이 사용할 수 있도록 대지 내에 일정기준에 따라 설치하는 소규모 휴식시설 등의 공간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대지내의 조경
  2. 공개 공지
  3. 오픈 스페이스
  4. 건축물 후퇴선
(정답률: 54%)
  • 이것은 "오픈 스페이스"가 아니라 "대지내의 조경"이다. "공개 공지"는 건축물을 건설할 때 주변 주민들에게 건축물의 계획과 설계를 공개적으로 공지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건축물이 지역의 환경을 존중하고 쾌적하게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의 외관, 크기, 색상 등을 주민들이 미리 확인하고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오픈 스페이스"는 대지 내에 건축물과는 별도로 마련된 공공공간으로, 주로 공원이나 광장 등이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인간척도(human scale)가 가장 잘 나타난 그림은?

(정답률: 75%)
  • 정답은 ""이다. 이 그림은 인간의 척도와 건물의 크기와 비율이 잘 맞아 떨어지기 때문이다. 인간의 척도를 기준으로 건물의 크기를 비교하면서도 인간의 크기와 비교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인문환경 분석대상과 관련없는 것은?

  1. 현존 토지이용
  2. 주변관의 관계
  3. 교통과 도로
  4. 자연적 특징
(정답률: 65%)
  • 자연적 특징은 인간의 활동과는 관련이 없는 지리적, 지질학적, 기상학적 특징을 의미하기 때문에 인문환경 분석 대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다른 세 가지 요소는 인간의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인문환경 분석 대상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세계 7대 불가사의(不可思議)의 하나로 손꼽히는 것은?

  1. 밀턴읜 실낙원(失樂園)
  2. 베르사이유의 궁원(宮苑)
  3. 중국의 만수산정원(萬壽山庭園)
  4. 바빌로니아의 공중정원(空中庭園)
(정답률: 93%)
  • 바빌로니아의 공중정원은 고대 바빌론 시대에 건축된 대규모 정원으로, 지상에서는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이 정원은 수많은 식물과 나무들이 심어져 있었고, 물이 흐르는 분수와 수영장 등이 있어서 아름다웠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바빌로니아의 공중정원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손꼽히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중국 역대의 조경가 중 명(明)나라 때의 사람은?

  1. 미만종, 계성
  2. 주면, 예운림
  3. 석도, 이어
  4. 염입덕, 백거이
(정답률: 68%)
  • "미만종, 계성"은 명나라 때 중국의 유명한 조경가로, 그의 작품은 현재까지도 중국의 전통 정원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주면, 예운림", "석도, 이어", "염입덕, 백거이"는 모두 중국의 역사적인 인물이지만, 조경가로는 유명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 바로크(Baroque) 양식에 특징적으로 나타난 조경 시설로 거리가 먼 것은?

  1. 정원동굴
  2. 토피아리의 난용(亂用)
  3. 물 오르간(Water organ)
  4. 파티오(patio)
(정답률: 79%)
  • 파티오는 건물 내부에 위치한 중앙 정원이나 안뜰로, 건물과 연결된 형태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 바로크 양식에서 건물과 조경을 하나의 통일된 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디자인 요소로 사용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고려시대와 관련된 원림(園林)의 건축물은?

  1. 임해천, 포석정
  2. 임류각, 망해정
  3. 주합루, 부용정
  4. 만월대, 태평정
(정답률: 68%)
  • 만월대와 태평정은 고려시대에 건축된 원림 건축물로, 만월대는 달을 바라보며 산책하기 좋은 곳으로, 태평정은 왕이 휴식하며 풍경을 감상하는 곳으로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작정기」에 “못도 없고 유수도 없는 곳에 돌을 세우는 것” 이라 칭한 정원 수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고산수식
  2. 회유임천식
  3. 다정
  4. 침전조
(정답률: 92%)
  • 고산수식은 산과 바다, 하늘과 구름 등 자연의 모습을 그대로 따라 만든 정원 수법으로,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는 돌을 사용하여 정원을 꾸미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못도 없고 유수도 없는 곳에 돌을 세우는 것"이라는 작정기에 가장 적합한 수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회유임천식은 물을 중심으로 한 정원, 다정은 꽃과 나무를 중심으로 한 정원, 침전조는 연못이나 호수를 중심으로 한 정원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통일신라시대의 정원인 임해전지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는 서적은?

  1. 서경잡기(西京雜記)
  2. 동사강목(東史綱目)
  3. 설문해자(說文解字)
  4. 해동잡록(海東雜錄)
(정답률: 76%)
  • 임해전지는 통일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정원으로, 이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는 서적은 "동사강목(東史綱目)"입니다. 이 책은 고려시대에 편찬된 역사서로, 통일신라부터 고려시대까지의 역사를 다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통일신라시대의 임해전지에 대한 기록이 이 책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의하면 무왕 35년에 궁 남쪽에 정원을 꾸몄다 하였는데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서안에 소나무를 무성하게 심었다.
  2. 솟는 물을 모아 연못을 만들었다.
  3. 못에 섬을 만들었다.
  4. 석가산을 쌓아 방장선산을 상징하였다.
(정답률: 74%)
  • 정답은 "못에 섬을 만들었다." 이다. 이유는 궁 남쪽에 정원을 꾸몄다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정원은 대부분 물을 활용하여 만들어졌다. 따라서 무왕이 정원을 꾸몄을 때, 물을 이용하여 섬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동양 정원론(Dissertation on Oriential Gardening)”을 간행한 조경가는?

  1. 브라운
  2. 햄프리 레프턴
  3. 윌리엄 챔버
  4. 애드슨과 포우
(정답률: 73%)
  • “동양 정원론(Dissertation on Oriential Gardening)”을 간행한 조경가는 윌리엄 챔버입니다. 이유는 그가 이 책을 저술하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바닥 포장이 가져야 할 기능적이고 구성적인 요소로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방향의 지시
  2. 통행속도와 리듬의 지시
  3. 지면의 용도지시
  4. 가로막기의 지시
(정답률: 72%)
  • 바닥 포장이 가져야 할 기능적인 요소로서 "가로막기의 지시"가 가장 관계가 먼 이유는 바닥 포장은 보통 통행이나 활동을 위해 설치되는데, 가로막기는 통행이나 활동을 방해하는 것이므로 바닥 포장의 기능과는 반대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닥 포장이 가져야 할 기능적인 요소로서는 "방향의 지시", "통행속도와 리듬의 지시", "지면의 용도지시"가 더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은 정면도와 평면도에 가장 적합한 우측면도는?

(정답률: 77%)
  • 정면도와 평면도에서 보이는 모습을 고려해보면, 우측면에서는 물체의 높이와 깊이가 모두 보이기 때문에 ""가 가장 적합하다. 다른 보기들은 높이나 깊이 중 하나가 부족하게 보이거나, 물체의 모양이 왜곡되게 보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도면에서 A가 가르키는 선의 종류로 옳은 것은?

  1. 중심선
  2. 해칭선
  3. 절단선
  4. 가상선
(정답률: 89%)
  • 정답은 "해칭선"입니다.

    해칭선은 도면상에서 부품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는 선으로, 부품의 단면을 표시합니다. 이 도면에서 A가 가리키는 선은 부품의 단면을 표시하기 위한 선으로, 따라서 해칭선이 맞습니다.

    중심선은 부품의 중심을 나타내는 선, 절단선은 부품을 자르는 위치를 나타내는 선, 가상선은 부품의 위치를 나타내는 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강물이나 계곡 또는 길게 뻗는 도로와 같이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그 스스로가 하나의 점으로 변하여 시선을 집중시키는 효과를 갖는 경관은?

  1. 초점 경관
  2. 천연 미적 경관
  3. 포위된 경관
  4. 세부적 경관
(정답률: 94%)
  • 초점 경관은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스스로가 하나의 점으로 변하여 시선을 집중시키는 효과를 갖는 경관이다. 따라서, 강물이나 계곡, 길게 뻗는 도로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관은 시선을 집중시켜 자연의 아름다움을 더욱 뚜렷하게 느낄 수 있게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조건 중 진출효과가 가장 큰 것은?

  1. 파랑바탕에 흰색
  2. 빨강바탕에 주황색
  3. 검정바탕에 노랑색
  4. 흰색바탕에 검정색
(정답률: 88%)
  • 검정바탕에 노랑색이 진출효과가 가장 큰 것은 눈에 띄기 때문입니다. 검정색은 주변 색상과 대비가 크기 때문에 노란색이 더욱 빛나게 보입니다. 또한 검정색은 고급스러움과 신뢰감을 불러일으키는 색상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노란색과 함께 사용하면 더욱 강력한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색상 중 가장 깨끗한 색가(色價)를 지닌 고채도의 색은?

  1. 한색
  2. 탁색
  3. 난색
  4. 순색
(정답률: 81%)
  • 순색은 다른 색상과 혼합되지 않은 가장 순수한 색상으로, 다른 색상의 영향을 받지 않아 깨끗한 색가를 지니게 됩니다. 따라서 가장 깨끗한 색가를 지닌 고채도의 색은 순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식재

21. 다음 중 이식을 하면 반드시 수간에 흙바르기 양생을 해야 할 수종은?

  1. 목련류
  2. 소나무류
  3. 은행나무
  4. 단풍나무
(정답률: 75%)
  • 소나무류는 흙바르기 양생을 해야 하는 수종 중 하나입니다. 이는 소나무류가 뿌리가 얕고 흙바닥에 밀착하여 자라기 때문에, 이식 후 흙바르기를 하지 않으면 뿌리가 노출되어 건조해지고 죽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나무류를 이식할 때는 반드시 수간에 흙바르기 양생을 해주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녹화식물의 종류에서 감기형 식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인동
  2. 으아리
  3. 줄사철나무
  4. 노박덩굴
(정답률: 68%)
  • 감기형 식물은 겨울철에 잎이 떨어지는 식물을 말하는데, "인동", "으아리", "노박덩굴"은 모두 감기형 식물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줄사철나무"는 겨울철에 잎이 떨어지지 않는 상록성 식물이므로 감기형 식물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수목들이 숲에서 경쟁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빛으로 양수는 높은 광도에서 광합성을 효율적으로 한다. 다음 중 가장 높은 광도에서 광합성을 하는 식물은?

  1. 개비자나무
  2. 방크스소나무
  3. 편백
  4. 칠엽수
(정답률: 53%)
  • 방크스소나무는 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종으로, 높은 광도에서 광합성을 효율적으로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열대 지방에서 매우 강한 햇볕을 받기 때문에 발전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높은 광도에서 광합성을 하는 식물은 방크스소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학명의 종명 중 잎의 모양(leaf form)을 표현한 것은?

  1. stellata
  2. parviflora
  3. glabra
  4. umbellata
(정답률: 69%)
  • "glabra"는 라틴어로 "매끄러운"을 의미하며, 이는 해당 종의 잎이 매끄럽고 털이 없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차폐용 수목의 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상록으로 지엽이 치밀해야 한다.
  2. 맹아력, 전정력이 강한 수목이라야 한다.
  3. 수관이 크고 일정한 지하고가 유지되어야 한다.
  4. 아랫가지가 잘 마르지 않는 수목이라 한다.
(정답률: 68%)
  • 수목의 수관이 크고 일정한 지하고가 유지되어야 하는 이유는 뿌리가 깊게 자라서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고, 충분한 수분과 영양분을 공급받아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수관이 작거나 지하고가 불안정한 수목은 차폐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실내 식물의 형태와 이에 해당하는 식물의 예로 연결이 틀린 것은?

  1. 줄기강조형 - Phoenix robelini, Bamboo Palm
  2. 덩굴형 - Philodendron류, Ficus pumila
  3. 분수형 - Dieffenbachia, Scindapsus류
  4. 부채형 - Aglaonema류, Spathiphyllum류
(정답률: 60%)
  • 정답은 "분수형 - Dieffenbachia, Scindapsus류"이다.

    분수형은 하나의 줄기에서 여러 가지 가지를 뻗치며 위로 자라는 형태를 말한다. Dieffenbachia와 Scindapsus류는 모두 분수형으로 자라는 식물이지만, 다른 보기들과 달리 줄기가 직선적이지 않고 여러 가지 가지를 뻗치며 자라는 특징이 있다.

    줄기강조형은 하나의 직선적인 줄기를 강조하는 형태로, Phoenix robelini와 Bamboo Palm이 해당된다.

    덩굴형은 줄기가 길게 뻗치며 다른 물체에 매달려 자라는 형태로, Philodendron류와 Ficus pumila가 해당된다.

    부채형은 잎이 부채 모양으로 자라는 형태로, Aglaonema류와 Spathiphyllum류가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공장을 중심으로 한 주변의 녹지대 조송에 대한 설명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녹지대의 조성 목적은 매연, 유독가스, 분진 등이 인근 주거 지역에 파급, 낙하하는 것을 막고, 여과효과를 기대하는데 있다.
  2. 배식계획에 있어서는 공장 측으로부터 키가 큰 나무, 중간나무, 키가 작은 나무 순으로 배식한다.
  3. 배식수종은 상록 활엽수를 양 측에, 침엽수를 중앙부에 배식하고 나뭇잎이 서로 접촉할 정도로 심는다.
  4. 공장 주변의 주거지역에는 광역적인 녹지대를 조성하고, 교목성 상록수를 심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67%)
  • 배식계획에 있어서는 공장 측으로부터 키가 큰 나무, 중간나무, 키가 작은 나무 순으로 배식한다. - 이유에 대한 설명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수생식물이 아닌 것은?

  1. 색비름
  2. 검정말
  3. 수련
  4. 마름
(정답률: 68%)
  • 색비름은 식물이 아니라 미생물 중 하나인 균류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수생식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식수(植樹)에 의한 소음감쇠치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식재수종과 수고
  2. 수목의 질감과 광주기성
  3. 수목의 지하고와 지엽밀도
  4. 단위 면적당의 임목밀도와 수목 배열방법
(정답률: 76%)
  • 정답은 "단위 면적당의 임목밀도와 수목 배열방법"입니다.

    식수(植樹)에 의한 소음감쇠치는 수목의 잎과 가지, 줄기 등이 소리를 흡수하고 반사하여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 때, 수목의 질감과 광주기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목의 질감은 수목의 표면이나 내부 구조의 불규칙성 정도를 나타내며, 이는 소리를 흡수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광주기성은 수목의 잎이나 가지 등이 얼마나 빠르게 움직이는지를 나타내며, 이는 소리를 반사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단위 면적당의 임목밀도와 수목 배열방법은 소음감쇠치에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임목밀도가 높을수록 수목이 소리를 흡수하는 면적이 많아지므로 소음감쇠치가 높아집니다. 또한, 수목 배열방법도 중요한데, 수목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을 때는 소음감쇠치가 높아지지만, 너무 가깝게 심거나 너무 멀리 심으면 소음감쇠치가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원추형의 아름다운 수형을 갖고, 차폐식재나 생울타리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수종으로 Thuja occidentalis와 같은 과(科)의 식물은?

  1. 메타세쿼이아
  2. 주목
  3. 노간주나무
  4. 독일가문비
(정답률: 44%)
  • Thuja occidentalis는 샴페인색의 깔끔한 원추형 수형을 갖고, 차폐식재나 생울타리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수종입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수종으로는 노간주나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난지형(暖地型)의 잔디는?

  1. kentucky bluegrass
  2. bermudagrass
  3. bentgrass
  4. red fescue
(정답률: 73%)
  • 난지형(暖地型)은 따뜻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잔디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bermudagrass"는 따뜻한 기후에서 가장 잘 자라는 잔디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난지형(暖地型)의 잔디로 "bermudagrass"가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뿌리혹박테리아의 도움을 얻어 공중질소(空中窒素)를 이용하는 비료목(肥料木)인 것은?

  1. Fatsia japonica Decne. & Planch
  2. Pinus thumbergii Parl.
  3. Elaeagnus umbellata Thunb.
  4.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정답률: 43%)
  • Elaeagnus umbellata Thunb.는 뿌리혹박테리아의 도움을 받아 공중질소를 이용하는 비료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학명이 이명법(binomials)이라고 불리우는 이유는?

  1. 속명+명명자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2. 보통명+종명으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3. 속명+종명으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4. 종명+명명자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정답률: 87%)
  • 학명은 생물의 이름을 나타내는데, 이는 보통 "속명+종명"으로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인간의 학명은 Homo sapiens로, 여기서 "Homo"는 속명이고 "sapiens"는 종명입니다. 따라서 학명이 이명법(binomials)이라고 불리우는 이유는 "속명+종명으로 구성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내조성(耐潮性)이 가장 강한 수종은?

  1. Pinus thunbergii Parl.
  2. Picea abies(L.) H.Karst.
  3.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4. Acer buergerianum Miq.
(정답률: 45%)
  • "Pinus thunbergii Parl."은 해안 지역에서 자라는 소나무로, 내조성이 매우 강합니다. 이는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과 염분, 습기 등에도 잘 적응하며,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물을 잘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안 지역에서의 바람과 염분에 강한 내조성을 가진 수종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식물과 온도와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식물종에 따라 생육가능한 최저, 최고온도의 한계범위를 임계온도라 한다.
  2. 식물의 생존에 가장 적합한 온도를 최적온도라 한다.
  3. 온대지역의 목본식물들은 가을 온도저하에 따라 생장이 정지되는데 이러한 저온 적응양상을 항상성이라 한다.
  4. 고위도지역에서 수목 분포를 제한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겨울과 여름철의 온도이다.
(정답률: 66%)
  • 온대지역의 목본식물들은 가을 온도저하에 따라 생장이 정지되는데 이러한 저온 적응양상을 항상성이라 한다. (틀림) -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주행 중 운전자가 도로 선형의 변화를 미리 알도록 하는 식재는?

  1. 시선유도 식재
  2. 진입방지 식재
  3. 명암순응 식재
  4. 지표 식재
(정답률: 86%)
  • 시선유도 식재는 운전자의 시선을 도로의 방향으로 유도하여 도로 선형의 변화를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 식재이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도로의 곡률, 기울기 등을 예측하여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 "시선유도 식재"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조경공사의 식재시방서로 작성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목의 운반은 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당일 식재를 원칙으로 한다.
  2. 식재지의 토질은 단립(團粒)구조로 조정토촉 하며, 토양입자 50%, 수분 25%, 공기 25%의 구성비를 원칙으로 한다.
  3. 물받이는 수관폭의 1/3 또는 뿌리분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하여, 높이 10㎝ 정도 흙으로 만든다.
  4. 관수는 일출, 일몰시보다는 햇빛이 많이 쪼이는 10~15시 정도에 주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80%)
  • 옳지 않은 것은 없다.

    "관수는 일출, 일몰시보다는 햇빛이 많이 쪼이는 10~15시 정도에 주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식재시방서에서 광합성이 활발히 일어나는 시간대에 물을 주는 것이 식물의 성장에 유리하다는 원칙을 따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층층나무과(科)의 수종으로만 구성된 것은?

  1. 산딸나무, 산사나무
  2. 산수류, 흰말채나무
  3. 노각나무, 곰의말채
  4. 식나무, 쪽동백나무
(정답률: 70%)
  • 층층나무과(科)는 산수류와 흰말채나무 두 종류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른 보기에 있는 나무들은 층층나무과(科)에 속하지 않는 다른 과(科)에 속하는 나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실내조경 식물의 양분요소와 작용기능이 옳게 연결된 것은?

  1. 질소(N) : 수분흡수와 당의 이동에 관여
  2. 칼륨(K) : 단백질, 효소, 핵산의 구성
  3. 유황(S) : 효소의 구성성분이며, 호르몬(IAA)을 합성
  4. 마그네슘(Mg) : 엽록소의 구성성분이며, 각종 효소의 활성화
(정답률: 70%)
  • 마그네슘은 엽록소의 구성성분이기 때문에 광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각종 효소의 활성화에도 관여하여 식물의 대사활동을 원활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우리나라 남부의 해안지역에 많이 분포하는 상록활엽교목 수종으로 내염성이 강하고, 방풍림과 경관수로 사용되는 나무는?

  1. Nandina domestica Thunb
  2.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3.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4. Corylus heterophylla Fisch. ex Trautv. var. heterophylla
(정답률: 52%)
  • 해안지역에 분포하며 내염성이 강하고, 방풍림과 경관수로 사용되는 나무는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시공

4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되는 단위수량이 많을수록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는 커진다.
  2. 비빔시간이 너무 길면 수화작용을 촉진시켜 워커빌리티가 나빠진다.
  3. 시멘트는 분말도가 높아질수록 점성이 낮아지므로 컨시스턴시도 커진다.
  4. 입형이 둥글둥글한 강모래를 사용하는 것이 모가 진부순모래의 경우보다 워커빌리티가 좋다.
(정답률: 60%)
  • "시멘트는 분말도가 높아질수록 점성이 낮아지므로 컨시스턴시도 커진다."는 옳은 설명이다.

    시멘트는 분말도가 높아질수록 입자 간 거리가 가까워지고, 이에 따라 입자 간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점성이 낮아진다. 이로 인해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가 커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부지의 조성작업순서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굴삭, 운반 → 벌개, 제근 → 성토, 고르기 → 다지기
  2. 성토, 고르기 → 벌개, 제근 → 굴삭, 운반 → 다지기
  3. 벌개, 제근 → 성토, 고르기 → 굴삭, 운반 → 다지기
  4. 벌개, 제근 → 굴삭, 운반 → 성토, 고르기 → 다지기
(정답률: 72%)
  • 부지의 조성작업순서는 벌개와 제근으로 시작하여 불필요한 나무와 잡초 등을 제거한 후 굴삭과 운반으로 토양을 제거하고 이동시켜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성토와 고르기로 지면을 평탄하게 만들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다지기로 토양을 밀착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벌개, 제근 → 굴삭, 운반 → 성토, 고르기 → 다지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건축 부분의 재료 중 일반적인 추정 단위중량이 옳지 못한 것은? (단, 건설공사 표준품셈상의 자연상태이다.)

  1. 암석(화강암) : 2600~2700 kg/m3
  2. 자갈(건조) :1600~1800 kg/m3
  3. 모래(습기) :1700~1800 kg/m3
  4. 미송 : 1800~2400 kg/m3
(정답률: 72%)
  • 미송은 부피 대비 무게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추정 단위중량이 옳지 못하다. 따라서 미송의 밀도는 1800~2400 kg/m3로 표기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지점과 번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구조물의 반력은 수평반력ㆍ수직반력ㆍ모멘트 반력의 3가지가 있다.
  2. 지점은 부재의 운동상태에 따른 반력의 생성상태에 따라 이동지점, 회전지점, 고정지점으로 나뉜다.
  3. 회전지점에 발생되는 반력은 수평반력과 수직반력이다.
  4. 이동지점에는 수직반력과 모멘트 반력이 발생한다.
(정답률: 41%)
  • "이동지점에는 수직반력과 모멘트 반력이 발생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동지점은 부재가 이동할 때 발생하는 반력의 위치를 말합니다. 이동지점에서는 수평반력과 모멘트 반력이 발생합니다. 수직반력은 고정지점에서 발생하며, 회전지점에서는 수평반력과 수직반력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어느 흙의 자연함수비가 그 흙의 액성한계보다 높다면 그 흙은 어떤 상태인가?

  1. 고체상태에 있다.
  2. 소성상태에 있다.
  3. 액체상태에 있다.
  4. 반고체상태에 있다.
(정답률: 62%)
  • 자연함수비가 액성한계보다 높다는 것은 그 흙이 물을 잘 흡수하고 보유할 수 있는 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흙은 물이 쉽게 흐르고 흡수되어 액체상태에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보기]는 어느 종류의 램프를 설명하고 있는가?

  1. 메탈할라이드램프
  2. 할로겐램프
  3. 나트륨램프
  4. 크세논램프
(정답률: 46%)
  • 이 램프는 눈부심을 줄이기 위해 블루 필터가 적용된 것으로, 높은 색온도와 밝은 빛을 내는 크세논램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그림과 같은 돌쌓기 방식은?

  1. 다듬돌바른층쌓기
  2. 막돌층지어쌓기
  3. 마름돌바른층쌓기
  4. 허튼층쌓기
(정답률: 61%)
  • 이 그림은 마름돌바른층쌓기 방식입니다. 이유는 돌의 모양이 마름돌이며, 돌을 바른 층으로 쌓았기 때문입니다. 다듬돌바른층쌓기는 돌을 다듬어서 바른 층으로 쌓는 방식이고, 막돌층지어쌓기는 막돌을 층층이 쌓는 방식입니다. 허튼층쌓기는 돌을 무작정 쌓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은 교차하거나 합쳐지지 않는다.
  2. 등고선과 최대 경사선은 수직을 이룬다.
  3. 경사가 같은 곳에서는 등고선 간의 간격도 같다.
  4. 등고선은 도면의 안 또는 밖에서 반드시 폐합한다.
(정답률: 73%)
  • "등고선은 교차하거나 합쳐지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등고선은 서로 교차하거나 합쳐질 수 있다. 이는 같은 고도를 나타내는 등고선이 서로 만나거나 교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산의 정상 부근에서는 등고선이 서로 교차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어느 골재의 실적률이 60% 일 때 이 골재의 공극률은 몇 %인가?

  1. 12.5%
  2. 20%
  3. 25%
  4. 40%
(정답률: 84%)
  • 실적률은 골재의 실제 부피 대비 실제 부피에서 차지하는 부피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실적률이 60%라면 이 골재는 실제 부피에서 60%의 부피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실적률 = (실제 부피에서 차지하는 부피) / (실제 부피) * 100%

    60% = (실제 부피에서 차지하는 부피) / (실제 부피) * 100%

    이를 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실제 부피에서 차지하는 부피 = 0.6 * 실제 부피

    공극률은 골재의 전체 부피에서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공극률을 구하기 위해서는 골재의 전체 부피와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를 알아야 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공극률 =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 / (전체 부피) * 100%

    전체 부피 = 실제 부피 +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

    따라서 전체 부피를 구하기 위해서는 실제 부피에서 차지하는 부피와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를 더해주면 됩니다.

    전체 부피 = 실제 부피 + (실제 부피에서 차지하는 부피의 반대편 부피)

    전체 부피 = 실제 부피 + (0.4 * 실제 부피)

    전체 부피 = 1.4 * 실제 부피

    따라서 공극률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수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극률 = (0.4 * 실제 부피) / (1.4 * 실제 부피) * 100%

    공극률 = 0.4 / 1.4 * 100%

    공극률 = 28.57%

    하지만 보기에서는 공극률이 "40%"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실제 공극률과 차이가 있습니다. 이는 문제에서 사용한 단순화된 가정 때문입니다. 문제에서는 골재의 실제 부피와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의 크기와 위치 등을 명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가정하여 계산한 결과와 실제 공극률이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근접한 답인 "40%"를 선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편경사(can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편경사는 완화곡선 설치에 사용된다.
  2. 편경사는 도로 및 철도의 선형설계에 적용된다.
  3. 편경사는 차량 속도는 제곱에 비례하고 곡선반지름에 반비례한다.
  4. 차량의 곡선부 주행시 뒷바퀴가 앞바퀴보다 항상 안쪽으로 지나는 현상을 고려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47%)
  • "편경사는 차량 속도는 제곱에 비례하고 곡선반지름에 반비례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편경사는 차량의 곡선 주행시 뒷바퀴가 앞바퀴보다 항상 안쪽으로 지나는 현상을 고려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는 차량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편경사는 도로나 철도의 곡선 설계에 적용되며, 곡선의 반지름이 작을수록 편경사의 각도가 커집니다. 따라서 고속도로와 같이 곡선의 반지름이 큰 경우에는 편경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콘크리트 타설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유낙하높이를 가능한 작게 한다.
  2. 타설시 콘크리트가 매입철근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3. 운반거리가 가까운 곳에서부터 타설을 시작하여 먼 곳으로 진행해 나간다.
  4. 콘크리트의 재료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횡류(橫流), 즉 옆에서 흘려 넣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88%)
  • "운반거리가 가까운 곳에서부터 타설을 시작하여 먼 곳으로 진행해 나간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콘크리트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잘못된 방법이다. 콘크리트는 운반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세척되어 분리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운반거리가 먼 곳에서부터 타설을 시작하면 콘크리트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운반거리가 가까운 곳에서부터 타설을 시작하여 먼 곳으로 진행해 나가는 것이 옳은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양질 도토 또는 장석분을 원료로 하여 흡수율이 1% 이하로 거의 없으며, 소성온도가 약 1230~1460℃인 점토 제품은?

  1. 토기
  2. 자기
  3. 석기
  4. 도기
(정답률: 65%)
  • 자기는 소성온도가 높아서 높은 결합력을 가지고 있으며, 흡수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양질의 도토나 장석분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제품으로 추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견치석을 이용하여 찰쌓기로 옹벽을 만들 때 뒤채움 잡석을 배수공으로 위치에 넣는 이유로 가장 적합은 것은?

  1. 토입에 견딜 수 있도록 완충역할을 한다.
  2. 옹벽 뒤쪽에 토양내에 있는 자유수를 배수시켜 토압을 감소시킨다.
  3. 중력식 옹벽에서 옹벽에서 무게를 증대시켜 지지력을 높게 해준다.
  4. 옹벽 뒤쪽의 흙이 얼어서 옹벽을 미는 힘을 완화시킨다.
(정답률: 63%)
  • 옹벽 뒤쪽에 토양내에 있는 자유수를 배수시켜 토압을 감소시킨다. 이는 뒤채움 잡석이 배수공으로 위치에 넣어지는 이유이다. 옹벽을 만들 때 토양의 압력이 옹벽을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는데, 이를 완화하기 위해 뒤쪽에 있는 자유수를 배수하여 토압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옹벽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배수관거의 시공성을 고려하여 선정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리학상 유리할 것
  2. 하중에 대하여 경제적일 것
  3. 축조가 용이한 것
  4. 미관이 좋은 것
(정답률: 84%)
  • 정답은 "미관이 좋은 것"입니다.

    배수관거는 지하에 설치되는 파이프로, 물을 효율적으로 배수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배수관거가 시공되는 과정에서는 미관적인 측면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특히 도시 내에서는 건물과 도로 등 다양한 시설물이 밀집해 있기 때문에, 배수관거가 미관적으로 부적절하다면 시민들의 불편과 불만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수관거를 설치할 때는 물론 수리학적인 측면과 경제성 등의 요소도 고려해야 하지만, 미관적인 측면도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저급점토, 목탄가루, 톱밥 등을 혼합하여 성형 후 소성한 것으로 단열과 방음성이 우수한 벽돌은?

  1. 중량벽돌
  2. 경량벽돌
  3. 내화벽돌
  4. 보통벽돌
(정답률: 66%)
  • 저급점토, 목탄가루, 톱밥 등을 혼합하여 성형 후 소성한 것으로 만들어진 벽돌은 경량벽돌이다. 이는 경량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중량벽돌보다 더 가벼우며, 단열과 방음성이 우수하다. 또한 내화성능도 높아서 화재에 강하다. 따라서 건축물의 외벽, 내부구조 등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그림이 나타내는 벽돌쌓기 방법은?

  1. 영식쌓기
  2. 불식쌓기
  3. 미식쌓기
  4. 화란식쌓기
(정답률: 58%)
  • 이 그림은 불식쌓기 방법을 보여줍니다. 불식쌓기는 벽돌을 겹치지 않고 쌓는 방법으로, 벽돌을 한 줄 씩 번갈아가며 쌓아 올립니다. 이 방법은 벽돌을 더욱 안정적으로 쌓을 수 있어서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평판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단위 지역의 지형도 측량에 많이 사용한다.
  2. 현장에서 측량이 잘못된 곳을 발견하기 쉽다.
  3. 복잡한 지형이나 시가지, 농지 등의 세부 측량에 이용 할 수 있다.
  4. 현장에서 직접 대상물의 위치를 관측하여 축척에 맞게 평면도를 그리는 측량이다.
(정답률: 45%)
  • 정답: "대단위 지역의 지형도 측량에 많이 사용한다."

    설명: 대단위 지역의 지형도 측량은 보통 위성이나 항공기를 이용하여 측량하며, 이는 지형의 전반적인 모습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므로 평판측량과는 다른 방법이다. 따라서 "대단위 지역의 지형도 측량에 많이 사용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추가 설명: 평판측량은 현장에서 직접 대상물의 위치를 관측하여 축척에 맞게 평면도를 그리는 측량 방법이다. 이는 복잡한 지형이나 시가지, 농지 등의 세부 측량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 측량이 잘못된 곳을 발견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목재의 탄성계수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강도에 반비례한다.
  2. 함수율에 비례한다.
  3. 모든 목재가 동일하다.
  4. 비중이 증가할수록 탄성계수도 증가한다.
(정답률: 62%)
  • 정답: "비중이 증가할수록 탄성계수도 증가한다."

    설명: 탄성계수는 재료의 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재료가 얼마나 변형에 저항하는지를 나타낸다. 목재의 경우, 비중이 증가할수록 분자 간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분자 간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탄성계수도 증가한다. 따라서, 비중이 높은 목재일수록 탄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설명 중 ( )안에 들어갈 용어 또는 기호는?

  1. 등경사
  2. 안부
(정답률: 70%)
  • 이 그림은 "凹" 모양이다. "등경사"는 그림의 모양과는 관련이 없다. "凸"는 모양이 볼록한 것을 의미하고, "안부"는 그림과는 관련이 없는 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축척 1/1000의 지형도를 이용하여 축척 1/5000 지형도를 제작하려고 한다. 1/5000 지형도 1장의 제작을 위해서는 1/1000 지형도가 몇 장이 필요한가?

  1. 5매
  2. 15매
  3. 25매
  4. 30매
(정답률: 72%)
  • 1/5000 지형도는 1/1000 지형도의 축척을 5배로 줄인 것이므로, 1/1000 지형도 1장에서 5장의 1/5000 지형도를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1/5000 지형도 1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5장의 1/1000 지형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조경관리

61. 아스파트 포장의 파손 중 기초노체의 시공불량(성토다짐부족, 혼합물, 전압부족 등), 노상의 지지력 부족 및 불균일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현상은?

  1. 균열
  2. 국부적 침하
  3. 표면연화
  4. 박리
(정답률: 60%)
  • 아스파트 포장의 파손 중 기초노체의 시공불량, 노상의 지지력 부족 및 불균일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현상은 국부적 침하입니다. 이는 지반의 일부분이 침하하여 포장면이 불균일하게 침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포장면이 굴곡을 이루고 균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열처리나 침수처리 등의 잡초방제방법을 무슨 방제법이라고 하는가?

  1. 경종적 방제법
  2. 물리적 방제법
  3. 생태적 방제법
  4. 예방적 방제법
(정답률: 73%)
  • 물리적 방제법은 식물의 생장을 방해하거나 파괴하는 방법으로, 열처리나 침수처리 등으로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는 화학적인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물리적인 방법으로 해충이나 병원균을 제거하는 것이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인 방법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소나무에서 아랫잎 따기 작업을 실시하는 시기는?

  1. 이른봄
  2. 늦봄
  3. 여름
  4. 가을부터 초겨울
(정답률: 39%)
  • 소나무의 아랫잎은 생장기에 따라 다르게 생기기 때문에, 따기 작업을 실시하는 시기도 다릅니다. 그러나 대체로 소나무의 아랫잎 따기 작업은 가을부터 초겨울에 실시합니다. 이유는 이 시기에 소나무의 아랫잎이 가장 많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시기에 따면 다음해 봄에 새로운 잎이 잘 자라기 때문에 가장 적절한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표지판의 유지관리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강판이나 강관의 청소는 강한 크리너를 사용한다.
  2. 도장이 퇴색된 곳은 재도장을 하되 도장은 2~3년에 1회씩 칠한다.
  3. 표지판의 방향이 뒤틀어지거나 지주가 구부러진 것등은 정기보수시 보수한다.
  4. 철판에 법랑 입힘을 한 경우 법랑이 깨어졌을 때는 수시로 현장에서 보수한다.
(정답률: 52%)
  • 도장이 퇴색된 곳은 재도장을 하되 도장은 2~3년에 1회씩 칠한다. - 표지판의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정기적인 유지보수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레크레이션 관리의 기본전략 중 “폐쇄 후 육성관리”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짧은 폐쇄, 회복기에도 최대한의 회복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가장 원시적이고, 재래적인 방법이다.
  3. 회복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4. 충분한 시간과 공간이 있는 경우 적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53%)
  • "폐쇄 후 육성관리" 전략은 일정 기간 동안 시설을 폐쇄하고, 그 기간 동안 유지보수 및 개선 작업을 실시하여 시설을 개선하고, 재개 영업 시 새로운 고객을 유치하는 전략입니다. 이 중 "짧은 폐쇄, 회복기에도 최대한의 회복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이유는, 폐쇄 기간이 짧을수록 고객들이 시설을 그리워하고, 재개 영업 시 새로운 고객을 유치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또한, 회복기에도 최대한의 회복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폐쇄 기간 동안 유지보수 및 개선 작업을 실시하여 시설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양이온 치환용량이 11.0cmolc/kg 인 토양의 치환성 Ca2+, Mg2+, K+, Na+ 이 각각 5.2, 2.4, 0.4, 0.3cmol0/kg이 존재하고 나머지 치환성 양이온이 H 로 채워져 있다. 이 토양의 염기포화도는?

  1. 12.3%
  2. 24.5%
  3. 49.0%
  4. 75.5%
(정답률: 41%)
  • 치환성 양이온의 합은 5.2 + 2.4 + 0.4 + 0.3 = 8.3cmol0/kg 이다. 따라서 나머지 치환성 양이온인 H의 양은 11.0 - 8.3 = 2.7cmol0/kg 이다.

    염기포화도는 (치환성 양이온의 합 / 양이온 치환용량)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염기포화도는 (8.3 / 11.0) x 100 = 75.5% 이다.

    정답은 "75.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잔디의 녹병(rust) 발생원인과 거리가 먼 것은?

  1. 고온다습과 질소과다
  2. 질소결핍, 영양결핍, 시비불균형
  3. 지나친 답압, 배수불량
  4. 심한 풀 깎기와 객토과다
(정답률: 60%)
  • 잔디의 녹병 발생원인은 "심한 풀 깎기와 객토과다"입니다. 녹병은 잔디가 너무 짧게 깎이거나 객토가 너무 많아서 공기가 움직이지 않아 습기가 쌓이고, 그로 인해 곰팡이가 번식하여 발생합니다. 따라서 잔디를 깎을 때는 적당한 높이로 깎고, 객토가 많은 경우에는 배수를 개선하여 공기가 잘 순환하도록 해야 합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모두 영양 공급과 배수와 관련된 문제로 녹병 발생과 연관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관수방법 중 물의 효용도가 가장 높은 관수 방법은?

  1. 점적관수식
  2. 분무관수식
  3. 스프링클러식
  4. 전면관수식
(정답률: 66%)
  • 점적관수식은 물을 작은 구멍으로 뿌려주는 방식으로, 물의 사용량이 적고 뿌린 물이 흙에 잘 스며들어 작물의 뿌리에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어 효용도가 가장 높습니다. 분무관수식은 물을 미세한 분무로 뿌려주는 방식으로, 습도 조절이나 병해충 방제에 효과적이지만 물의 사용량이 많아 효용도가 낮습니다. 스프링클러식은 물을 높은 압력으로 뿌려주는 방식으로, 대규모 농경지에서 사용되며 물의 사용량이 많아 효용도가 낮습니다. 전면관수식은 물을 넓은 면적으로 뿌려주는 방식으로, 대규모 농경지에서 사용되며 물의 사용량이 많아 효용도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사고나 뽕나무의 잎말이나방의 방제에 주로 사용되는 유기인계약제는?

  1. 베노밀(benomyla) 수화제
  2. 다조멧(dazomet) 입제
  3. 디클로르보스(dichlorvos) 유제
  4. 피라졸레이트(pyrazolate) 액상수화제
(정답률: 56%)
  • 디클로르보스는 신경독성 작용을 가지고 있어, 해충의 신경계를 마비시켜 죽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사고나 뽕나무의 잎말이나방과 같은 해충을 방제하는 데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해충의 생물적 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당벌레는 유충과 성충 모두 진딧물류를 즐겨 먹는다.
  2. 맵시벌류는 산란관을 이용해 기주의 체내에 알을 낳는다.
  3. 바이러스에 감염된 유충은 행동이 둔하고, 몸이 경직되어 죽는다.
  4. Bacillus thuringiensis 는 나방류의 유충방제에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60%)
  • "바이러스에 감염된 유충은 행동이 둔하고, 몸이 경직되어 죽는다."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바이러스가 유충의 신경계를 감염시켜 움직임을 제어하고, 근육을 경직시켜 죽음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큰 수목의 공동(空洞, cavity)을 외과 수술할 때 충전제로서 적당하지 못한 것은?

  1. 에폭시수지
  2. 밭흙
  3. 실리콘
  4. 우레탄 고무
(정답률: 71%)
  • 밭흙은 충전제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불안정하고 변형이 쉬워서 수술 후에도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밭흙은 미생물이 번식하기 쉬우며 감염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사용이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조경 시설물 유지관리의 일반적인 목표를 볼 수 없는 것은?

  1. 조경 공간의 청결 유지
  2. 건강하고 안전한 공간 조성
  3. 관리주체와 이용자간의 유대감 강화
  4. 유지관리비의 절감 및 조기집행
(정답률: 68%)
  • 유지관리비의 절감 및 조기집행은 목표가 아니라 방법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목표로 볼 수 없습니다. 이는 다른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유지관리비를 절감하면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조기집행을 하면 시설물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들은 다른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살충제의 해충에 대한 복합 저항성(multiple resistance)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살충작용이 다른 2종 이상에 대하여 동시에 해충이 저항성을 나타내는 현상
  2. 동일 살충제를 해충개체군 방제에 계속 사용하면 저항력이 강한 개체만 만들어지는 현상
  3. 어떤 해충개체군 내에 대다수의 개체가 해당 살충제에 대하여 저항력을 가지는 해충계통이 출현되는 현상
  4. 어떤 살충제에 대하여 저항성이 발달한 해충이 한번도 사용한 적이 없지만 작용기구가 같은 살충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현상
(정답률: 61%)
  • 정답은 "살충작용이 다른 2종 이상에 대하여 동시에 해충이 저항성을 나타내는 현상"입니다. 이는 해충이 여러 종류의 살충제에 대해 저항성을 발달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경우에는 여러 종류의 살충제를 함께 사용하거나, 다른 방제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단일 저항성", "군체 저항성", "교차 저항성"을 설명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주로 상처가나지 않도록 주의함으로써 병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은?

  1. 근두암종병
  2. 녹병
  3. 흰가루병
  4. 털녹병
(정답률: 81%)
  • 근두암종병은 나무의 근육부에 생기는 질병으로, 주로 상처나 부상으로 인해 감염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함으로써 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다른 세 가지 병은 각각 녹색 균류, 백색 균류, 그리고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는 병으로, 상처와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레크레이션 관리체계의 기본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이용자
  2. 만족도
  3. 자원
  4. 관리
(정답률: 62%)
  • 만족도는 레크레이션 관리체계의 기본요소가 아니라 평가 요소이다. 레크레이션 관리체계의 기본요소는 이용자, 자원, 관리이다. 이용자는 레크레이션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며, 자원은 레크레이션 시설을 구성하는 자연환경, 인프라, 인력 등을 의미한다. 관리는 레크레이션 시설을 운영하고 유지보수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만족도는 이용자들이 레크레이션 시설을 이용한 후에 평가하는 요소로, 레크레이션 시설의 질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평가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콘크리트의 균열을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옳은 것은?

  1. 재료를 사용하기 전에 미리 온도를 높인다.
  2. 단위 시멘트량을 많게 한다.
  3. 1회의 타설 높이를 높인다.
  4. 수화열이 낮은 시멘트를 선택한다.
(정답률: 56%)
  • 수화열이 낮은 시멘트를 선택하는 것은 콘크리트가 형성될 때 발생하는 열의 양을 줄여 균열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수화열이 높은 시멘트를 사용하면 콘크리트가 형성될 때 발생하는 열이 많아져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수화열이 낮은 시멘트를 선택하여 균열을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토양에 처음부터 존재하던 양분이나 비료로 준 성분이 아래층으로 이동하는 현상(용탈)을 시험하는 방법은?

  1. 수경법
  2. 동위원소 이용법
  3. 라이시미터(lysimeter) 시험
  4. 자동라디오그래피(autoradiography)법
(정답률: 69%)
  • 라이시미터 시험은 작은 용기 안에 토양을 담고, 그 위에 작은 식물을 심어 놓은 후, 일정 기간 동안 물을 주면서 토양에서 양분이나 비료로 준 성분이 어떻게 이동하는지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토양 내부의 수분과 양분 이동을 모사할 수 있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실제 농경지에서의 토양 내부 환경을 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비료는?

  1. 용성인비
  2. 질산칼슘
  3. 토머스인비
  4. 과린산석회
(정답률: 79%)
  • 보기에서 제시된 비료 중에서, 식물에게 과린산과 석회를 함께 공급할 수 있는 비료는 "과린산석회"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수목 지상부 외과수술의 순서가 맞는 것은?

  1. 고사지 절단 - 부패부 제거 - 살균처리 - 살충처리 - 방부처리 - 방수처리
  2. 살균처리 - 살충처리 - 방부처리 - 방수처리 - 고사지 절단 - 부패부 제거
  3. 부패부 제거 - 살균처리 - 살충처리 - 고사지 절단 - 방부처리 - 방수처리
  4. 살균처리 - 살충처리 - 고사지 절단 - 부패부 제거 - 방부처리 - 방수처리
(정답률: 66%)
  • 고사지 절단은 나무를 적절한 길이로 자르는 것이므로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부패된 부분을 제거하여 건강한 부분만 남겨야 합니다. 이후에는 살균처리와 살충처리를 통해 나무를 보호하고, 방부처리와 방수처리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막아야 합니다. 따라서 "고사지 절단 - 부패부 제거 - 살균처리 - 살충처리 - 방부처리 - 방수처리"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발병초기에 주로 외과적인 처치에 의해 병환부를 도려내고 약제 처리를 통해 방제할 수 있는 병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부란병
  2. 탄저병
  3. 흰가루병
  4. 갈색무늬병
(정답률: 54%)
  • 부란병은 발병초기에 병환부를 외과적인 처치로 제거하고, 항생제나 항진균제 등의 약제를 투여하여 방제할 수 있는 병입니다. 이는 병원균이 국소적으로 생장하며, 병원균이 생장한 부위를 제거하고 약제를 투여하여 전체적인 병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