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5-23)

종자기사
(2004-05-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종자생산학

1. 원종 채종시 뇌수분을 이용하는 작물은?

  1. 양배추
  2. 고구마
  3. 오이
(정답률: 알수없음)
  • 양배추는 뇌수분을 이용하여 뿌리를 키우는 작물이다. 뇌수분은 뿌리가 성장하는 데 필요한 수분과 영양소를 제공하는데, 양배추는 이러한 뇌수분을 흡수하여 뿌리를 성장시키기 때문에 뇌수분을 이용하는 작물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봉지씌우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는?

  1. 교배 육종
  2. 원원종 채종
  3. 과채류 F1채종
  4.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한 F1채종
(정답률: 알수없음)
  •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한 F1채종은 부모 개체들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어도 봉지씌우기 없이도 순수한 F1세대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봉지씌우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방법은 자가수분해나 자가수종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화본과 종자에서 볼 수 있는 초엽의 기능은?

  1. 양분의 저장
  2. 양분의 생산
  3. 배(胚)에 양분 전달
  4. 발아시 어린 잎의 보호
(정답률: 알수없음)
  • 화본과 종자에서 볼 수 있는 초엽은 발아시 어린 잎의 보호를 위한 역할을 합니다. 초엽은 미세한 구멍을 가지고 있어서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수분을 보존하고, 또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물리적 손상으로부터 발아시 어린 잎을 보호합니다. 따라서 초엽은 식물이 생존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종자에 발생하는 사물기생균(死物寄生菌)의 포자가 많이 발생하는 저장고의 조건은?

  1. 저장고 내의 상대습도가 50% 이하이고 온도가 5℃이하일 때
  2. 저장고 내의 상대습도가 50% 이하이고 온도가 15℃이상일 때
  3. 저장고 내의 상대습도가 75% 이상이고 온도가 5℃이하일 때
  4. 저장고 내의 상대습도가 75% 이상이고 온도가 15℃이상일 때
(정답률: 50%)
  • 종자에 발생하는 사물기생균의 포자는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발생이 용이하며, 온도가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면서 발생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저장고 내의 상대습도가 75% 이상이고 온도가 15℃이상일 때 종자에 발생하는 사물기생균의 포자가 많이 발생하는 조건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무 종자의 순도검사를 위한 검사시료(검사용 표본)의 최소 종자량은?

  1. 5g
  2. 8g
  3. 30g
  4. 50g
(정답률: 알수없음)
  • 순도검사를 위해서는 검사시료가 충분한 양이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30g 이상의 종자량이 필요하며, 이는 검사시료가 충분한 양이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소 종자량은 30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종자검사 시료채취시 100kg까지의 포장물에서의 채취해야 할 1차시료의 개수로 옳은 것은?

  1. 소집단의 크기가 1-4대인 경우에는 매포장에서 1개 이상의 1차시료를 추출한다.
  2. 소집단의 크기가 5-8대인 경우에는 매포장에서 3개 이상의 1차시료를 추출한다.
  3. 소집단의 크기가 9-15대인 경우에는 매포장에서 2개 이상의 1차시료를 추출한다.
  4. 소집단의 크기가 60대이상인 경우에는 총 30개이상의 1차시료를 추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집단의 크기가 커질수록 채취해야 할 1차시료의 개수가 증가하는 것은 통계적 신뢰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소집단의 크기가 60대 이상인 경우에는 총 30개 이상의 1차시료를 추출하여 통계적 신뢰도를 높이기 때문이다. 이는 적은 수의 시료로는 전체적인 특성을 충분히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종자 휴면의 주요 원인이 산소를 통과시키지 않는 종피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은?

  1. 사과
  2. 도꼬마리
  3. 인삼
(정답률: 알수없음)
  • 도꼬마리는 종자의 외피가 매우 단단하여 산소가 통과하지 못하게 막아서 종자 휴면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즉, 산소가 통과하지 못하면 종자 내부의 활동이 멈추고 휴면 상태가 유지됩니다. 따라서 도꼬마리가 종자 휴면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품종의 순도 검정을 위한 동위 효소 전기영동법의 장점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시기에 관계없이 할 수 있다.
  2. 시간이 짧게 걸린다.
  3. 숙련된 기술자가 수행한다.
  4. 신뢰성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숙련된 기술자가 수행한다."는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이는 해당 기술이 전문적이고 복잡하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자가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기술을 사용하려면 특정한 전문가가 필요하며, 이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어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농가에 보급할 1대잡종 종자를 경제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작물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잡종강세
  2. 자웅이주성
  3. 웅성불임성
  4. 자가불화합성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자가불화합성

    설명: 잡종강세는 다양한 유전자를 가진 잡종이 품종보다 우수한 성장력과 생산성을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자웅이주성은 자가수분이 충분한 환경에서 생장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특성을 말하며, 웅성불임성은 수경재배 등에서 이용되는 특성으로, 꽃이 열리지 않고 열리더라도 결실하지 않는 특성을 말합니다. 이와 달리 자가불화합성은 작물이 자신의 조직에서 유기화합물을 합성하는 능력을 말하며, 이는 경제적 생산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종자 프라이밍(priming) 처리의 주된 목적은?

  1. 병해충 방제
  2. 발아 균일성
  3. 저장력 향상
  4. 기계화 파종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 프라이밍 처리의 주된 목적은 발아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이는 종자 내부의 수분과 영양분을 균일하게 분포시켜 발아율을 높이고, 불균일한 발아로 인한 작물의 성장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발아 균일성"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종자생산에서 관수(灌水)시 유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스프링클러를 이용하는 것이 습도 조절로 수정을 촉진한다.
  2. 지면 관수(地面灌水)가 수로를 통하여 영양 공급이 되어 유리하다,
  3. 개화시기 이전 영양생장기에 충분한 물을 공급한다.
  4. 등숙기에 관수하여 수분 부족에 따른 등숙 억제를 방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생산에서 관수시 유의하여야 할 사항은 "개화시기 이전 영양생장기에 충분한 물을 공급한다." 이다. 이유는 개화시기 이전에 충분한 물을 공급하면 식물이 더욱 건강하게 자라고 꽃이 더욱 풍부하게 개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식물체의 저온 춘화처리의 감응 부위는 어디인가 ?

  1. 줄기
  2. 뿌리
  3. 생장점
(정답률: 알수없음)
  • 생장점은 식물체에서 새로운 세포가 생성되는 부위이며, 이 부위에서 저온 춘화 처리에 대한 감응이 일어납니다. 이는 생장점이 식물체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장점이 저온 춘화 처리에 감응함으로써 식물체는 겨울철에도 적절한 성장과 발달을 이룰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벼의 종자 전염에 의한 병해가 아닌 것은?

  1. 깨씨무늬병
  2. 모썩음병
  3. 키다리병
  4. 오갈병
(정답률: 알수없음)
  • 오갈병은 벼의 종자 전염에 의한 병해가 아니라, 토양에 존재하는 병원균에 의해 발생하는 병해입니다. 따라서 주로 벼의 재배 환경과 관련된 문제로 발생하며, 벼의 종자 전파로는 전염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종자의 휴면타파에 사용할 수 있는 생장조절제는?

  1. 지베렐린
  2. ABA
  3. 2,4-D
  4. CCC
(정답률: 91%)
  • 종자의 휴면 상태를 해제하고 생장을 촉진시키는 것은 지베렐린이다. ABA는 종자의 휴면을 유지시키는데 작용하고, 2,4-D는 초목의 성장을 촉진시키는데 사용된다. CCC는 작물의 생장을 억제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채종포에서 이형주(異型株)를 제거해야 하는 주된이유는?

  1. 잡초 방제
  2. 이병 종자 제거
  3. 단위면적당 종자량의 확보
  4. 품종의 유전적 순도 유지
(정답률: 알수없음)
  • 채종포에서 이형주(異型株)를 제거해야 하는 주된 이유는 "품종의 유전적 순도 유지"입니다. 이는 채소의 특성을 유지하고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이형주가 섞이면 품종의 특성이 변형되거나 약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일반 실내 저장의 경우 종자의 수명이 가장 짧은 것은?

  1. 고추
  2. 가지
  3. 쌀보리
(정답률: 알수없음)
  • 고추는 다른 작물에 비해 수명이 짧고, 보관 중에 쉽게 부패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 실내 저장에서는 가장 수명이 짧은 종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식물 종자의 구성 성분으로 보아 지방 종자에 해당하는 것으로 짝지은 것은?

  1. 땅콩, 수박, 유채
  2. 메밀, 해바라기, 완두
  3. 대두, 옥수수, 아주까리
  4. 현미, 목화, 보리쌀
(정답률: 알수없음)
  • 땅콩은 지방 함량이 높은 종자 중 하나이며, 수박과 유채는 당류와 물질 함량이 높은 종자이므로 지방 종자인 땅콩과 짝지어진다. 메밀, 해바라기, 완두는 지방 함량이 높은 종자이지만, 당류와 물질 함량이 낮아 땅콩과는 다른 종류의 종자이다. 대두, 옥수수, 아주까리는 당류와 물질 함량이 높은 종자이지만, 지방 함량이 낮아 땅콩과는 다른 종류의 종자이다. 현미, 목화, 보리쌀은 지방, 당류, 물질 함량이 모두 낮아 땅콩과는 전혀 다른 종류의 종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종자검사를 위한 시료는 어떤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가?

  1. 추출한 1차 시료 전체
  2. 검사용으로 제출한 시료 전체
  3. 혼합시료(합성시료)의 일부 또는 전체
  4. 포장에서 수집한 시료의 일부 또는 전체
(정답률: 알수없음)
  • 혼합시료(합성시료)의 일부 또는 전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이는 혼합시료가 다양한 종자의 비율을 조절하여 원하는 비율로 시료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혼합시료를 사용하면 일정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시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종자검사를 위한 시료는 혼합시료(합성시료)의 일부 또는 전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종자의 순도검사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1. 발아능력
  2. 수분함량
  3. 종자크기
  4. 정립(整粒)비율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의 순도검사를 통해 정립(整粒)비율을 알 수 있습니다. 정립(整粒)비율은 종자 내부에 있는 정상적인 종자만의 비율을 나타내며, 이는 종자의 품질과 발아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정립(整粒)비율이 높을수록 발아능력이 높은 우수한 종자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경실종자의 휴면타파에 주로 이용하는 방법은?

  1. 종피파상(種皮破傷)
  2. 건조처리(乾操處理)
  3. 암소저장(暗所貯藏)
  4. 침수처리(浸水處理)
(정답률: 알수없음)
  • 경실종자는 휴면 상태에서 발아가 어렵기 때문에 휴면타파가 필요하다. 이때 종자의 겉 껍질인 종피를 상처내어 휴면을 깨우는 방법을 종피파상(種皮破傷)이라고 한다. 따라서 "종피파상(種皮破傷)"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식물육종학

21. 생리생육성(生理生育性) 형질에 속하는 것은?

  1. 발아 및 휴면성
  2. 종피색
  3. 식미
  4. 함유성분
(정답률: 알수없음)
  • 생리생육성(生理生育性) 형질은 생물의 번식과 관련된 형질을 의미합니다. "발아 및 휴면성"은 이 형질에 속하는데, 이는 생물이 적절한 환경에서 발아하거나 휴면 상태로 살아남을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즉, 생식과 번식을 위해 중요한 형질 중 하나입니다. "종피색"은 생물의 외부적인 색깔을 나타내는 형질이며, "식미"는 생물이 먹이를 소화하고 영양분을 흡수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형질입니다. "함유성분"은 생물체 내부에 존재하는 화학물질의 종류와 양을 나타내는 형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톱교잡(Top cross)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A × B) × C 와 같이 3개의 최우수 품종을 교잡하는 경우
  2. 최고 수준(Top level)의 품종을 얻기 위해서 (A × B) × (C × D)와 같이 교잡하는 경우
  3. A × B × C × D × E ⋯ N와 같은 방법으로 교잡하는 경우
  4. 조합능력검정에서 검정계통 또는 품종들과 교배를 할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톱교잡(Top cross)은 최고 수준의 품종을 얻기 위해 검정계통 또는 품종들과 교배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합능력검정에서 검정계통 또는 품종들과 교배를 할 경우"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톱교잡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농작물의 이용부위 생산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생산력 검정을 수행한다. 다음 중 가장 합리적인 생산력 검정 방법은?

  1. 실험포장에서 정밀하게 조사한 수량구성요소를 이용하여 평가대상 품종의 생산력을 추정한다.
  2. 농가포장에 평가대상 품종만을 단반복으로 재배하여 그 품종의 생산력을 조사한다.
  3. 농가포장과 비슷한 조건 및 방법으로 평가대상 품종과 비교 품종을 반복 배치하여 생산력을 조사한다.
  4. 농가포장과 비슷한 조건에서 평가대상 품종과 비교 품종을 재배하고 생육이 가장 좋은 곳의 수량을 조사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농가에서 실제로 재배되는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평가대상 품종과 비교 품종을 반복 배치하여 생산력을 조사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다. 이는 농가에서의 실제 생산성을 가장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방법들은 실험실에서의 조건이나 단반복 재배 등으로 인해 실제 생산성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유전자 재조합과 관계없이 어떤 원인에 의하여 유전 물질 자체에 변화가 일어나 발생되는 변이는?

  1. 양적변이
  2. 교배변이
  3. 방황변이
  4. 돌연변이
(정답률: 84%)
  • 유전자 재조합과는 관계없이, 유전 물질 자체에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돌연변이라고 합니다. 이는 자연적인 원인으로 발생할 수도 있고,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유발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외선, 화학물질, 방사선 등이 유전 물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돌연변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세포질· 유전자웅성불임성인 개체〔유전자형 : (S)rfrf〕를 자방친으로 하고 임성회복유전자를 가진 개체〔유전자형 : (S)Rfrf〕를 화분친으로 하여 교배하였을 때 1대 잡종(F1)의 임성은?

  1. 모두 가임(可稔)
  2. 모두 불임(不稔)
  3. 가임(可稔) 1 : 불임(不稔) 1
  4. 가임(可稔) 3 : 불임(不稔) 1
(정답률: 39%)
  • 이 문제에서는 세포질 유전자와 임성회복유전자가 관련되어 있습니다. 세포질 유전자는 미토콘드리아 안에 존재하는 유전자이며, 임신과 관련된 역할을 합니다. 임성회복유전자는 불임 개체에서도 임신이 가능하게 만드는 유전자입니다.

    따라서, 자방친으로 세포질· 유전자웅성불임성인 개체를 선택하면 자손은 모두 세포질 유전자웅성불임성을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화분친으로 임성회복유전자를 가진 개체를 선택하면 자손은 모두 임성회복유전자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F1 자손은 (S)rfrf 세포질 유전자와 (S)Rfrf 임성회복유전자를 모두 가지게 됩니다. 이 경우, 세포질 유전자가 불임성을 나타내므로 F1 자손 중 50%는 세포질 유전자웅성불임성을 가지게 되고, 50%는 가임성을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임성회복유전자를 가진 개체와 교배했으므로, F1 자손 중 50%는 임성회복유전자를 가지게 되고, 50%는 가지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F1 자손의 임성 비율은 가임 1 : 불임 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타가 수분을 초래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영양계 수분
  2. 웅예선숙
  3. 장벽수정
  4. 이형예 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영양계 수분은 타가 수분을 초래하는 원인이 아닙니다. 영양계 수분은 식물이나 동물의 세포 내부에서 사용되는 수분으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웅예선숙, 장벽수정, 이형예 현상은 모두 다른 원인으로 인해 타가 수분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토마토 F1과 F2 집단에서 조사한 과일 무게의 분산값은 각각 18g 및 90g 이었다. 넓은 의미의 유전력은 얼마인가?

  1. 90%
  2. 80%
  3. 20%
  4. 18%
(정답률: 알수없음)
  • 유전력은 유전적 변이의 총량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각 집단의 분산값을 합한 값이 유전력이 된다. 따라서, 유전력은 18g + 90g = 108g 이다.

    그리고 F1과 F2는 각각 부모 세대에서 유전적인 자원을 받아왔으므로, 유전적인 변이 중 일부는 이미 부모 세대에서 발생한 것이다. 이러한 부모 세대에서 발생한 변이를 배제하기 위해, 유전력에서 F1과 F2의 평균값인 54g을 빼준 값을 넓은 의미의 유전력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넓은 의미의 유전력은 108g - 54g = 54g 이다.

    그리고 F1과 F2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부모 세대에서 유전적인 자원을 받아왔으므로, 유전적인 변이 중 일부는 부모 세대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F1과 F2에서 새롭게 발생한 것이다. 이러한 F1과 F2에서 발생한 변이를 고려하기 위해, 넓은 의미의 유전력을 F1과 F2의 평균값인 54g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해 백분율로 나타낸다. 따라서, 넓은 의미의 유전력은 (54g / 108g) x 100% = 50% 이다.

    하지만, F1과 F2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부모 세대에서 유전적인 자원을 받아왔으므로, F1과 F2에서 발생한 변이 중 일부는 서로 다른 부모 세대에서 발생한 것이다. 이러한 부모 세대에서 발생한 변이를 배제하지 않으면, 유전력이 과대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넓은 의미의 유전력을 50%에서 10% 정도 감소시켜 계산한다. 따라서, 정답은 "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자연일장이 13시간 이하로 되는 늦여름 부터 야간에 자정부터 1시까지 1시간동안 충분한 광선을 식물체에 일정 기간 동안 조명해 주었을 때 다음 중 어떠한 현상이 나타나겠는가?

  1. 코스모스같은 단일성 식물의 개화가 현저히 촉진 되었다.
  2. 가을 배추가 꽃이 피었다.
  3. 가을 국화의 꽃봉오리가 제대로 생기지 않았다.
  4. 조생종 벼가 늦게 여물었다.
(정답률: 92%)
  • 가을 국화의 꽃봉오리가 제대로 생기지 않았다. 이는 광주기가 꽃봉오리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광주기가 일정하지 않아 꽃봉오리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른 식물들은 광주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단일성 식물이나, 광주기가 필요하지 않은 조생종 벼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집단 육종법(bulk method)에서 개체 선발을 F5 - F6에서 하는 이유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개체의 동형접합도(homozygosity)가 충분히 높아진 후에 선발하려고
  2. 계통의 동질성(homogeneity)이 충분히 높아진 후에 선발하려고
  3. 잡종강세 현상이 강하게 나타난 후에 선발하려고
  4. 자식열세 현상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을 때 선발하려고
(정답률: 알수없음)
  • 집단 육종법에서 개체 선발을 F5 - F6에서 하는 이유는 "개체의 동형접합도(homozygosity)가 충분히 높아진 후에 선발하려고"입니다. 이는 유전자의 동질성을 높이기 위해 자식들끼리 교배하여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개체를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개체의 동형접합도가 높아질수록 원하는 특성을 더욱 확실히 유전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충분한 세대를 거쳐 개체의 동형접합도가 충분히 높아진 후에 선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원원종포에서 생산된 종자를 재식하여 채종포용 종자를 생산하기 위하여 원종포에서는 1주당 몇 본씩 심는가?

  1. 1본
  2. 2본
  3. 3본
  4. 4본
(정답률: 알수없음)
  • 원종포에서는 생산된 종자를 재식하여 채종포용 종자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한 본의 식물에서 많은 양의 종자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1주당 1본씩 심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정답은 "1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단백질 합성의 장소가 되는 곳은?

  1. 세포질
  2. 염색체
  3. DNA
(정답률: 알수없음)
  • 세포질은 세포 내에서 모든 생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는 곳으로, 단백질 합성도 세포질에서 일어납니다. 염색체와 핵은 DNA가 저장되어 있는 곳이지만, 단백질 합성 자체는 세포질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정답은 "세포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자연교잡에 의한 신품종의 퇴화를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으로 가장 실용적인 것은?

  1. 밀식재배법
  2. 주보존재배법
  3. 격리재배법
  4. 다비재배법
(정답률: 알수없음)
  • 격리재배법은 다른 종류의 작물과의 교잡을 방지하기 위해 작물을 격리된 환경에서 재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작물의 순종성을 유지하고,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는 데에도 유용합니다. 따라서 자연교잡에 의한 신품종의 퇴화를 방지하는 가장 실용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식물 조직배양 기술 중 배주(胚珠)배양이나 배(胚)배양은 주로 어떤 경우에 적용하는가?

  1. 품질이 우수한 품종을 육성코자 할 때
  2. 여교배에 의하여 동질 유전자계통을 육성코자 할 때
  3. 종속간 교배에 의한 유용 유전자 도입을 목표로 할때
  4. 수량이 많은 합성품종을 육성코자 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배주(胚珠)배양이나 배(胚)배양은 종속간 교배에 의한 유용 유전자 도입을 목표로 할 때 적용한다. 이는 특정 품종의 유전자를 다른 품종으로 도입하여 새로운 유전체를 만들기 위한 기술로, 이를 위해 배주나 배를 이용하여 새로운 개체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 기술은 특정 유전자를 선택적으로 도입할 수 있어 유전자 조작에 매우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영양계 분리법의 실용적인 장점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우량한 변이체를 발견하면 이를 곧 이용할 수 있다
  2. 유전적으로 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
  3. 유전분리 현상 구명에 효율적으로 이용된다
  4. 계통비교를 할 필요가 없다
(정답률: 59%)
  • 영양계 분리법은 각각의 미생물 군집을 분리하여 순수한 균주를 얻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우량한 변이체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해당 균주가 특정 환경에서 더 잘 적응하고 생존할 수 있는 유전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우량한 변이체를 발견하면 이를 곧바로 이용하여 해당 균주를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영양계 분리법은 유전적으로 쉽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유전분리 현상 구명에 효율적으로 이용됩니다. 또한, 계통비교를 할 필요가 없어서 더욱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양계 분리법은 우량한 변이체를 발견하고 이를 이용하는 등의 실용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농작물 육종 과정 중 세대 촉진 및 생육기간 단축을 위하여 쓰이는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접목, 일장처리
  2. 일장처리, 자연도태
  3. 자연도태, 검정교잡
  4. 검정교잡, 접목
(정답률: 46%)
  • 가장 알맞은 방법은 "접목, 일장처리"입니다.

    접목은 두 개 이상의 식물을 이어 붙여 하나의 식물로 만드는 기술로, 강한 생장력을 가진 뿌리나 줄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성질을 가진 농작물을 육종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일장처리는 농작물의 생육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씨앗을 일차적으로 처리하는 기술로, 씨앗의 발아를 촉진시켜 생육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접목과 일장처리를 함께 사용하면 농작물의 세대 촉진과 생육기간 단축을 동시에 이룰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반수체를 유기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종속간교잡
  2. 배배양
  3. 무핵란 생식
  4. 처녀 생식
(정답률: 알수없음)
  • 배배양은 반수체를 유기하는 방법이 아니라, 하나의 세포가 분열하여 두 개의 동일한 딸 세포를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배배양은 반수체를 유기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육종의 중요성과가 아닌 것은?

  1. 신품종 육성
  2. 수량 증가
  3. 품질 개선
  4. 재배 한계의 축소
(정답률: 알수없음)
  • 육종은 작물이나 가축의 유전자를 개선하여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새로운 신품종을 육성하고 수량을 증가시키며,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재배 한계의 축소"는 육종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이다. 육종은 오히려 재배 한계를 극복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활용된다. 따라서 "재배 한계의 축소"는 육종의 중요성과는 관련이 없는 보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양적 형질은 작물의 수량에 관한 주요 형질이나 그 유전 현상은 매우 복잡하다.잡종 후기 세대의 분리 상태는?

  1. 정규곡선을 나타내는 연속변이를 나타낸다.
  2. 정규곡선을 나타내나 대립변이를 나타낸다.
  3. 대립변이를 나타내면서 간별하기 쉽다.
  4. 관여하는 유전자의 수도 적고 간별하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양적 형질은 다양한 유전자의 조합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잡종 후기 세대에서는 분리 상태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양적 형질을 분석할 때는 대부분 연속변이를 사용하게 된다. 연속변이는 정규분포를 따르는 형질로,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정규곡선이 그려진다. 이러한 연속변이는 대립변이를 나타내지만, 간별하기 쉽기 때문에 분석에 용이하다. 또한, 관여하는 유전자의 수도 적기 때문에 분석이 간단하다. 따라서 양적 형질을 분석할 때는 정규곡선을 나타내는 연속변이를 사용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순계분리 육종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타가수정 작물이나 자가수정작물이나 간에 3년 정도면 순도검정이 된다
  2. 타가수정 작물은 자식을 시켜 homo 개체군을 만든 후 성능비교를 할 수 있다
  3. 자가수정 작물도 대개는 hetero 상태이므로 몇 세대 자식이 필요하다
  4. 타식성 작물도 장기간 재배된 것은 homo 상태로 바뀐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순계분리 육종법은 한 개체 내에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형질을 가진 유전자가 존재할 때, 이를 분리시켜 순수한 개체군을 얻는 육종법이다. 이를 위해 자가수정 작물이나 타가수정 작물을 이용하며, 이 중 타가수정 작물은 자식을 시켜 homo 개체군을 만든 후 성능비교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이는 타가수정 작물이 순도검정을 거치기까지 시간이 적게 걸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재래종이 육종 재료로 활용될 수 있는 주요 이유는?

  1. 개량종에 비하여 품질이 우수하다
  2. 유전적 기원이 뚜렷하다
  3. 내비성이 높다.
  4. 다수의 유전자형이 혼입되어 있다
(정답률: 80%)
  • 재래종은 다수의 유전자형이 혼입되어 있기 때문에 유전적 다양성이 높아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 뛰어나고, 새로운 질병이나 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서 육종 재료로 활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재배원론

41. 작물의 재배에 가장 유용한 정보를 많이 제공하여 주는 분류법은?

  1. 일반적 분류
  2. 식물학적 분류
  3. 생태적 분류
  4. 경영적 분류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적 분류는 작물이 자라는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여 가장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분류법입니다. 이는 작물의 생육환경, 토양 조건, 기후 등을 고려하여 작물의 재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농업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분류법입니다. 일반적 분류는 일반적인 분류법이며, 식물학적 분류는 식물의 분류를 위한 분류법입니다. 경영적 분류는 경영적인 측면에서 작물을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풍해는 어떤 경우에 작물에 피해를 심하게 주는가?

  1. 풍속이 크고 공기습도가 낮을 때
  2. 풍속이 크고 공기습도가 높을 때
  3. 풍속이 크고 온도가 높을 때
  4. 풍속이 크고 온도, 습도는 무관함
(정답률: 알수없음)
  • 풍해는 작물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니라, 풍속이 크면서 공기습도가 낮을 때 작물의 수분이 증발하여 건조해지고, 뿌리가 흔들려서 뿌리가 흔들리는 부분이 많아져서 뿌리가 더 얕아지는 등의 영향을 받아 작물의 성장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벼를 재배할 때 심경(深耕)이 오히려 불리한 경우는?

  1. 조식재배
  2. 보통기재배
  3. 만식재배
  4. 다비재배
(정답률: 알수없음)
  • 만식재배는 벼를 심경하지 않고 얕게 경작하는 방법으로, 토양의 수분과 영양분을 보존할 수 있어 건조한 지역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벼를 재배할 때 심경이 오히려 불리한 경우는 건조한 지역에서이며, 이때는 만식재배가 유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녹체버어널리제이션을 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큰 작물은?

  1. 잠두
  2. 추파맥류
  3. 완두
  4. 양배추
(정답률: 40%)
  • 녹체버어널리제이션은 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수확량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중에서도 양배추는 녹체버어널리제이션에 가장 잘 반응하는 작물 중 하나입니다. 이는 양배추가 높은 영양성분을 가지고 있어서 뿌리에 미생물이 잘 붙어서 더욱 더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양배추는 빠른 성장속도와 높은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녹체버어널리제이션에 적합한 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파종 후 재배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노력이 많이 요구되는 파종 방법은?

  1. 산파
  2. 조파
  3. 점파
  4. 적파
(정답률: 알수없음)
  • 산파는 씨앗을 직접 땅에 뿌리는 방식으로, 씨앗이 땅에 밀착되어 물과 영양분을 잘 받을 수 있지만, 씨앗이 불규칙하게 흩어져 발아율이 낮을 수 있고, 잡초와 경쟁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노력이 많이 요구되는 파종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벼의 시비 체계에서 수비(이삭거름)의 시용시기는?

  1. 최고분얼기
  2. 유수형성기
  3. 수전기
  4. 등숙기
(정답률: 알수없음)
  • 벼의 시비 체계에서 수비(이삭거름)의 시용시기는 유수형성기입니다. 이는 벼가 생장하면서 수분과 영양분을 많이 필요로 하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유수형성기는 벼가 생장하면서 뿌리가 발달하고 줄기가 높아지는 시기로, 이때 수비를 시행하여 벼의 생육을 돕습니다. 또한, 유수형성기는 벼의 꽃이 핀 후 10~15일 이내에 이루어져야 하므로, 수비를 시행하는 시기도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화곡류의 잎을 일어서게하여 수광 태세를 가장 좋게 하는 성분은?

  1. 질소
  2. 규소
  3. 망간
  4. 칼슘
(정답률: 알수없음)
  • 규소는 화곡류의 잎을 일어서게 하여 광합성에 필요한 수광 태세를 가장 좋게 만들어주는 성분입니다. 이는 규소가 잎의 세포벽을 강화시켜서 잎이 더 진행적으로 성장하고, 더 많은 태양광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곡류의 생장과 광합성에 필수적인 성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작물이 생육 최적 온도 이상에서 오래 유지될 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체내에 암모니아의 축적이 많아진다
  2. 원형질막이 점괴화 되어 기능이 상실된다
  3. 엽록체의 전분이 점괴화 되어 기능이 상실된다
  4. 호흡량이 증대하여 당의 함량이 줄어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형질막은 작물의 세포막 내부에 있는 중요한 구조물 중 하나로, 세포의 형태를 유지하고 세포 내부의 물질교환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원형질막이 점괴화되면 세포의 기능이 상실되어 작물이 죽게 됩니다. 이는 작물이 생육 최적 온도 이상에서 오래 유지될 때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봄철 늦 추위가 올 때 동상해의 방지책으로 가장 균일하고 큰 보온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1. 발연법
  2. 송풍법
  3. 연소법
  4. 살수빙결법
(정답률: 70%)
  • 봄철 늦 추위가 올 때 동상해의 방지책으로 가장 균일하고 큰 보온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살수빙결법"입니다. 이는 물에 발을 담그고 얼음을 넣어 냉수로 발을 식힌 후, 발을 담그는 물에 소금을 섞어 얼음을 녹이는 방법으로, 냉수와 열기가 교차하면서 발에 열을 빼앗아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수해에 관한 다음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벼에서 수잉기-출수개화기에는 수해에 매우 약하다.
  2. 벼에서 7일 이상이 관수 될 때에는 다른 작물 파종의 필요성이 있다.
  3. 벼의 청고현상은 수온이 낮은 유동 청수(淸水)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이다.
  4. 질소질비료를 많이 주면 탄수화물의 함량이 적어지고 호흡작용이 왕성하여 관수해가 더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벼에서 수잉기-출수개화기에는 수해에 매우 약하다."가 맞지 않는 설명이다. 벼는 수해에 매우 민감한 작물로, 수해가 발생하면 생육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수해 예방을 위해 적정한 관수와 배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벼의 청고현상은 수온이 낮은 유동 청수(淸水)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이다."는 맞는 설명이다. 벼의 청고현상은 수온이 낮은 청수에서 벼가 자라면서 뿌리가 물을 흡수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뿌리가 물을 흡수할 때 뿌리 주변의 미세한 공기 포화도 차이로 인해 뿌리 주변에 생기는 기포가 물방울 모양으로 떠오르는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작물의 분화 및 발달 과정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유전적 변이 발생 - 적응 - 순화 - 격리
  2. 도태 - 유전적 변이 발생 - 적응 - 순화
  3. 적응- 유전적 변이 발생 - 순화 - 격리
  4. 유전적 변이 발생 - 순화 - 격리 - 적응
(정답률: 알수없음)
  • 유전적 변이 발생은 생물의 유전자에 변이가 발생하여 새로운 특성이 나타나는 과정입니다. 이후에는 이러한 새로운 특성이 적응에 도움을 주어 살아남을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순화가 일어납니다. 그리고 이러한 순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집단 간에 격리가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유전적 변이 발생 - 적응 - 순화 - 격리"가 올바른 작물의 분화 및 발달 과정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감자의 2기작 방식으로 추계 재배시 휴면 타파에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화학약제는?

  1. B-995
  2. Gebberellin
  3. Phosfon-D
  4. CCC
(정답률: 알수없음)
  • 감자의 2기작 방식은 추계 재배시 뿌리가 발달하여 휴면 상태에서 벗어나는 것을 도와주는 방식입니다. 이를 위해 가장 효과적인 화학약제는 식물 성장 호르몬인 Gebberellin입니다. 이 호르몬은 뿌리와 줄기의 세포분열을 촉진시켜 뿌리의 발달을 촉진시키고,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추계 재배시 휴면 타파에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화학약제는 Gebberelli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파이토크롬(Phytochrome)의 설명 중에서 잘못된 것은?

  1. 광흡수색소로서 일장효과에 관여한다.
  2. Pr은 호광성종자의 발아를 억제한다.
  3. 파이토크롬(Phytochrome)은 적색광과 근적외광을 가역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4. 굴광현상을 나타내는 호르몬의 일종으로 식물 생육에 필수적인 물질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굴광현상을 나타내는 호르몬의 일종으로 식물 생육에 필수적인 물질이다." 이다. 파이토크롬은 광수용색소로서 적색광과 근적외광을 가역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Pr 형태는 호광성종자의 발아를 억제한다. 광주기와 어두운 주기의 변화에 따라 파이토크롬의 형태가 변화하면서 광합성, 광어제, 광감응 등의 생리작용을 조절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식물 세포의 크기를 증대시키는데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은?

  1. 팽압
  2. 막압
  3. 벽압
  4. 수분포텐셜
(정답률: 알수없음)
  • 식물 세포의 크기를 증대시키는데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은 "팽압"입니다. 이는 식물 세포 내부에 있는 액체인 세포액이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압력으로, 이 압력이 셀벽을 늘리고 신경세포와 같은 다른 세포와 연결되어 셀의 크기를 증가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인위적 돌연변이를 유발하기 위하여 방사선 육종에 이용하는 방사선이 아닌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자외선
  2. 적외선
  3. 중성자
  4. X - 선
(정답률: 알수없음)
  • 적외선은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방사선이 아니기 때문에 인위적 돌연변이를 유발하기 위한 방사선 육종에 이용할 수 없습니다. 자외선, 중성자, X-선은 방사선의 일종으로, 이들은 원자의 구조를 변화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인위적 돌연변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작물을 생육형에 따라 분류할 때 옳지 않은 것은?

  1. 벼 - 주형(株型)
  2. 고구마 - 포복형(匍匐型)
  3. 오쳐드그래스 - 주형(株型)
  4. 수단그래스 - 하번초(下繁草)
(정답률: 알수없음)
  • 수단그래스는 생육형이 하번초가 아니라 수직성 생육형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버어널리제이션의 농업 이용은 괄목할만 하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억제 재배
  2. 수량 증대
  3. 육종에 이용
  4. 대파(代播)
(정답률: 알수없음)
  • 버어널리제이션은 작물을 수직으로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농작물의 생산성을 높이는 기술이다. 이에 따라 수량 증대와 육종에 이용, 대파(代播) 등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억제 재배는 작물의 성장을 억제하여 생산성을 낮추는 방식으로, 버어널리제이션의 목적과는 반대되는 방식이므로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식물의 영양생리의 연구에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는?

  1. 32P
  2. 24Na
  3. 60Co
  4. 137Cs
(정답률: 알수없음)
  • 식물의 영양생리 연구에서는 식물 내에서 이동하는 물질의 경로와 속도를 추적하기 위해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도 32P는 인산염의 일종으로서, 식물 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영양소인 인의 이동을 추적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32P가 식물의 영양생리 연구에 많이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전분 합성과 관련되는 효소는?

  1. 아밀라제
  2. 포스포릴라아제
  3. 프로테아제
  4. 리파아제
(정답률: 알수없음)
  • 전분 합성은 포스포릴라아제에 의해 촉진됩니다. 포스포릴라아제는 전분 분자 내의 인산기를 분해하여 전분 분자를 더 작은 단위로 분해하고, 이를 통해 전분 합성을 촉진합니다. 따라서 포스포릴라아제는 전분 합성과 관련된 효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벼 종자의 온탕 처리로서 방제할 수 있는 병은?

  1. 선충심고병
  2. 오갈병
  3. 줄무늬잎마름병
  4. 잎집무늬마름병
(정답률: 알수없음)
  • 선충심고병은 벼 종자의 온탕 처리로 방제할 수 있는 병 중 하나입니다. 이는 벼 종자에 붙어있는 선충이 원인으로, 온탕 처리를 통해 선충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갈병, 줄무늬잎마름병, 잎집무늬마름병은 온탕 처리로 방제할 수 없는 병입니다. 이들 병은 다른 방법으로 방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물보호학

61. 비선택성 제초제는?

  1. 헥사지논 입제(솔솔)
  2. 글라신 액제(근사미)
  3. 푸로닐 유제(스탬에프-34)
  4. 파미드 수화제(데브리놀)
(정답률: 40%)
  • 비선택성 제초제는 대상 식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식물을 제거하는 제초제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글라신 액제(근사미)"는 비선택성 제초제 중 하나로, 모든 식물에 대해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며, 대상 식물 외에도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액체 시용 형태의 제제 형태가 아닌 것은?

  1. 유제
  2. 수화제
  3. 수용제
  4. 미립제
(정답률: 50%)
  • 미립제는 고체 형태로 존재하는 제제이기 때문에 액체 시용 형태의 제제 형태가 아닙니다. 유제는 유체 형태의 제제, 수화제는 고체를 액체로 변환시키는 제제, 수용제는 액체를 분산시키는 제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에서 주로 논에 나는 잡초는?

  1. 바랭이
  2. 여뀌바늘
  3. 황새냉이
  4. 개망초
(정답률: 알수없음)
  • 여뀌바늘은 논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잡초 중 하나입니다. 이는 논에서 자라는 다른 잡초들보다 더욱 빠르게 자라며, 높이가 1m 이상까지 커질 수 있습니다. 또한 여뀌바늘은 물에 잠기는 것을 싫어하므로, 논에서 물이 많이 차 있을 때에도 자라기 쉽습니다. 따라서 논에서 여뀌바늘이 가장 많이 발견되는 이유는 이러한 특성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여름밭 작물 포장의 주요 우점 잡초는?

  1. 냉이
  2. 바랭이
  3. 둑새풀
  4. 쇠뜨기
(정답률: 알수없음)
  • 여름밭 작물 포장 시기에는 높은 온도와 습도로 인해 잡초가 많이 자라게 됩니다. 이 중에서도 바랭이는 높은 생육력과 번식력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잡초들보다 더욱 빠르게 번식하고 번식력이 강해 여름밭 작물 포장에서 가장 주요한 우점 잡초로 여겨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해충 방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1. 화학적 방제
  2. 해충 종합관리 방제
  3. 생물적 방제
  4. 재배적 방제
(정답률: 알수없음)
  • 해충 종합관리 방제가 가장 바람직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화학적 방제는 해충을 즉시 제거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해충 저항성을 유발하고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다.

    생물적 방제는 화학적 방제보다는 환경 친화적이지만, 특정한 해충에만 효과가 있고 적용이 제한적이다.

    재배적 방제는 작물 자체를 강화하여 해충의 침입을 예방하는 방법이지만, 모든 작물에 적용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반면에 해충 종합관리 방제는 다양한 방법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해충을 통제하는 방법이다. 화학적 방제, 생물적 방제, 재배적 방제 등 다양한 방법을 조합하여 해충을 통제하므로, 해충 저항성을 예방하면서도 효과적인 방제가 가능하다. 또한, 환경 친화적인 방법을 우선적으로 적용하여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해충 종합관리 방제가 가장 바람직한 해충 방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해충 중에서 불완전변태하는 것은?

  1. 이화명나방
  2. 콩가루벌레
  3. 갓노랑비단벌레
  4. 완두굴파리
(정답률: 알수없음)
  • 콩가루벌레는 유충기와 성충기로 나뉘는 불완전변태를 겪는 해충입니다. 유충기에서는 애벌레가 되어 먹이를 먹으며 자라고, 성충기에서는 날개가 있고 번식을 합니다. 이와 달리 이화명나방, 갓노랑비단벌레, 완두굴파리는 모두 완전변태를 겪습니다. 애벌레, 유충, 번데기, 성충으로 나뉘며, 각 단계마다 외형과 특성이 크게 달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농약 사용시 주의하여야 할 점이 아닌 것은?

  1. 농약 살포시의 기상
  2. 다른 약제와의 혼용 가능 여부
  3. 주변농장의 병해충 발생 상황
  4. 천적이나 방화 곤충에 대한 영향
(정답률: 알수없음)
  • 주변농장의 병해충 발생 상황은 농약 사용시 주의해야 할 점이 아닙니다. 이유는 농약 사용시 주변농장의 병해충 발생 상황은 해당 농장의 상황과 관련이 있으며, 농약 사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농약 사용시 주의해야 할 점은 기상, 다른 약제와의 혼용 가능 여부, 천적이나 방화 곤충에 대한 영향 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현재까지 기록된 곤충 중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종을 포함하고 있는 분류군은?

  1. 벌목
  2. 나비목
  3. 딱정벌레목
  4. 파리목
(정답률: 알수없음)
  • 딱정벌레목은 현재까지 약 35만 종 이상의 곤충 종을 포함하고 있어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종을 포함하고 있는 분류군입니다. 이는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곤충들이 매우 다양한 생태적 역할을 하며, 거의 모든 지역에서 발견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다른 보기인 벌목, 나비목, 파리목은 딱정벌레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수도 도열병의 판별기주의 4개 레이스군(group)은?

  1. T, C, N, O
  2. T, C, N, L
  3. T, N, A, U
  4. T, A, C, U
(정답률: 알수없음)
  • 수도 도열병의 판별기주의 4개 레이스군은 T, C, N, O이다. 이는 각각 Threonine, Cysteine, Asparagine, Ornithine의 약자이며, 이 네 가지 아미노산이 수도 도열병의 판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T, C, N은 인간의 유전자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아미노산이며, O는 수도 도열병 환자의 요소 중 하나인 ornithine의 약자이다. 따라서 이 네 가지 아미노산을 사용하여 수도 도열병을 판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벼에 발생하는 병 중에서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고 통기가 불량할 때 많이 발생하는 병은 어느 것인가?

  1. 벼 도열병
  2. 벼 잎집얼룩병
  3. 벼 오갈병
  4. 벼 줄무늬잎마름병
(정답률: 17%)
  •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고 통기가 불량할 때 많이 발생하는 벼의 병은 "벼 잎집얼룩병"입니다. 이는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발생하며, 벼 잎에 작은 갈색 반점이 생기고 이후에는 큰 갈색 반점으로 발전하여 잎이 말라 죽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약제 저항성이 발달된 병해충의 가장 효율적인 방제법은?

  1. 약제를 추천농도 보다 진하게 타서 뿌린다.
  2. 저항성이 생긴 약제에는 전착제를 섞어 뿌린다.
  3. 사용해오던 약제를 바꾸어 계통이 다른 약제를 번갈아 가며 살포한다.
  4. 약제의 뿌리는 양을 평소보다 늘려서 뿌린다.
(정답률: 82%)
  • 약제 저항성이 발달된 병해충은 특정 계통의 약제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당 계통의 약제만 사용하면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해오던 약제를 바꾸어 계통이 다른 약제를 번갈아 가며 살포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병해충이 특정 계통의 약제에 대해 저항성을 발달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양한 계통의 약제를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인 방제를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나비목 해충이 알에서 부화(깨어난)후 3번 탈피하였을 때 유충의 영기는?

  1. 2령충
  2. 3령충
  3. 4령충
  4. 5령충
(정답률: 알수없음)
  • 나비목 해충은 알에서 부화한 후 1령충, 2령충, 3령충으로 성장하며 각각 탈피를 합니다. 3번째 탈피를 한 후에는 유충이 4령충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령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병원균이 주로 종자에 의해 전반되는 병은?

  1. 보리 속깜부기병
  2. 토마토 시들음병
  3. 사과 탄저병
  4. 밀 줄기녹병
(정답률: 알수없음)
  • 보리 속깜부기병은 주로 종자에 의해 전파되는 병입니다. 이는 병원균이 보리 종자에 감염되어 그 종자를 심으면 싹이 나서 생기는 병입니다. 따라서 보리 속깜부기병은 종자 감염에 의해 전파되는 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잡초의 유용성에 해당하는 것은?

  1. 주요 유전자원
  2. 병해충 매개
  3. 작업환경의 악화
  4. 작물과의 경쟁
(정답률: 알수없음)
  • "주요 유전자원"은 잡초가 가지고 있는 유전자 정보를 의미합니다. 이는 작물 육종 및 유전자 개량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잡초는 자연적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다양한 유전자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분석하여 작물의 생산성, 내성 등을 개선하는 데 활용됩니다. 따라서 "주요 유전자원"은 작물 육종 및 유전자 개량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수출입 농산물의 검역과정에서 발견된 병해충의 박멸을 위해 가장 적합한 약제의 종류는?

  1. 훈증제
  2. 접촉제
  3. 유인제
  4. 소화중독제
(정답률: 82%)
  • 훈증제는 병해충을 살균하는 효과가 있으며, 검역과정에서 발견된 병해충을 박멸하는 데 가장 적합한 약제입니다. 접촉제는 병해충에 직접 접촉하여 살균하는 효과가 있지만, 검역과정에서 발견된 병해충을 박멸하는 데는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유인제는 병해충을 유인하여 살균하는 효과가 있지만, 검역과정에서 발견된 병해충을 박멸하는 데는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소화중독제는 병해충이 먹이를 먹은 후 소화기관에서 살균하는 효과가 있지만, 검역과정에서 발견된 병해충을 박멸하는 데는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살충제 중 미생물 농약에 속하는 것은?

  1. 비티 수화제(슈리사이드)
  2. 메타 유제(메타시스톡스)
  3. 아바메틴 유제(올스타)
  4. 비펜드린 수화제(타스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비티 수화제(슈리사이드)"입니다. 이는 미생물 농약 중 하나로, 식물의 잎이나 줄기에 분무하여 해충을 퇴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농약은 주로 채소, 과일 등의 작물에서 사용되며, 해충에 대한 효과가 높은 동시에 인체나 환경에 대한 영향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25% 농도의 A 유제를 1000배로 희석해서 10a당 200 L를 살포하여 해충을 방제하려고 할 때의 유제의 소요량은?

  1. 100mL
  2. 200mL
  3. 300mL
  4. 400mL
(정답률: 알수없음)
  • 25% 농도의 A 유제를 1000배로 희석하면 0.025% 농도가 된다. 따라서 10a당 필요한 유제의 양은 10a x 200 L x 0.025% = 50 mL 이다. 하지만 이것은 1000배로 희석한 후의 양이므로, 다시 1000으로 나누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50 mL ÷ 1000 = 0.05 mL 이다. 이것을 10a당 필요한 양으로 다시 곱해주면, 0.05 mL x 10a = 0.5 mL/a 이다. 따라서 10a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0.5 mL x 10a = 5 mL의 유제가 필요하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10a당 200 L를 살포하라고 했으므로, 5 mL의 유제를 200 L로 환산해주면, 5 mL ÷ 200 L = 0.0025 mL/L 이다. 이것을 다시 1000으로 곱해주면, 0.0025 mL/L x 1000 = 2.5 mL/1000 L 이다. 따라서 200 L를 살포하기 위해서는 2.5 mL/1000 L x 200 L = 0.5 mL의 유제가 필요하다. 이것을 mL 단위로 바꾸면, 0.5 mL = 500 mL 이므로, 정답은 "200mL"이 아니라 "500mL"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00mL"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뿌리 및 줄기의 땅갓부분의 물관부가 침해되어 물이 올라가지 못하므로 잎이나 줄기가 마르는 병은?

  1. 오갈병
  2. 모잘록병
  3. 시들음병
  4. 빗자루병
(정답률: 70%)
  • 시들음병은 뿌리나 줄기의 땅갓부분의 물관부가 침해되어 물이 올라가지 못하므로 잎이나 줄기가 마르는 병입니다. 따라서 물이 부족한 상황에서 발생하며, 다른 보기들은 다른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각종 경제작물의 주산지를 가보면 고추 역병, 감자 더뎅이병, 토마토풋마름병, 사과 역병 등 여러 가지 병해가 최근 들어 심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들 병의 다발생 원인으로 맞지 않은 것은?

  1. 동일 작물의 연작
  2. 병원성 변화
  3. 이병성 품종의 재식
  4. 토양환경의 악화
(정답률: 50%)
  • 병원성 변화는 병원체가 변이를 일으켜 새로운 형태로 나타나거나, 새로운 종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작물에 대한 저항성을 감소시키고, 병해 발생을 촉진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각종 경제작물의 주산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병해는 이러한 병원성 변화가 원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곤충의 표피는 죽어있는 층이 아니고 살아있는 층이다. 제일 바깥 층은?

  1. 시멘트층
  2. 외각피
  3. 외원표피
  4. 진피세포층
(정답률: 64%)
  • 곤충의 표피는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보호와 수분 조절 등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제일 바깥쪽에 위치한 층은 가장 단단하고 견고한 구조를 가진 시멘트층이다. 이 층은 외부 충격이나 기계적인 손상으로부터 곤충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종자관련법규

81. 다음의 종자 중 국가품종목록에 반드시 등재하고 보증을 받아야 하는 경우는?

  1. 옥수수 자식계통으로서 품종의 양친으로 이용하는 계통
  2. 보리의 품종간 성분비교를 위해 시험용으로 이용하는 품종
  3. 감자 품종의 보급을 위해 종자를 증식하는 경우
  4. 벼의 종자를 생산하여 전량 외국으로 수출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감자 품종의 보급을 위해 종자를 증식하는 경우는 국가품종목록에 반드시 등재하고 보증을 받아야 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감자 품종의 보급을 위해 일정한 품질과 생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이며, 국가품종목록에 등재된 품종만이 보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갑(甲)은 자신이 개발한 복숭아 품종에 대한 품종보호권을 부여받았다. 종자산업법상 갑이 부여받은 품종보호권의 존속기간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품종보호권의 설정 등록이 있는 날부터 20년
  2. 품종보호권의 설정 등록이 있는 다음날부터 20년
  3. 품종보호권의 설정 등록이 있는 날부터 25년
  4. 품종보호권의 설정 등록이 있는 다음날부터 25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품종보호권의 설정 등록이 있는 날부터 25년"이다. 이는 종자산업법 제29조에 규정된 내용으로, 품종보호권의 설정 등록일로부터 25년간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기간이 지나면 품종보호권은 소멸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유채에서의 특정해초는 무엇인가?

  1. 새삼
  2. 강아지풀
  3. 십자화과 잡초
(정답률: 알수없음)
  • 유채에서 십자화과 잡초는 특정해초로 분류됩니다. 이는 유채의 생장을 방해하고,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해초로서, 농작물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이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품종보호권을 취소시켜야 하는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는?

  1. 보호된 품종의 특성이 연차적으로 변이가 적다.
  2. 통상실시권이 재정된 이후 계속해서 3년동안 실시를 하지 않았다.
  3. 품종의 특성이 원래 등록했을 때의 특성과 차이가 없다.
  4. 동일한 품종의 명칭이 새로이 등록을 위해 출원되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품종보호권을 취소시켜야 하는 사유는 "통상실시권이 재정된 이후 계속해서 3년동안 실시를 하지 않았다." 이다. 이는 품종보호권을 받은 후에도 일정 기간 동안 해당 품종을 실제로 생산, 판매하지 않으면 보호권이 취소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유통종자의 품질표시 사항이 아닌 것은?

  1. 종자의 수량
  2. 종자의 발아율
  3. 육성자명
  4. 묘목의 경우 규격묘 표시
(정답률: 46%)
  • 육성자명은 유통종자의 품질표시 사항이 아닙니다. 육성자명은 해당 작물의 육성자(부모)의 이름을 나타내는 것으로, 작물의 품종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입니다. 유통종자의 품질표시 사항으로는 종자의 수량, 발아율, 묘목의 경우 규격묘 표시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수입적응성 시험을 실시하는 농림수산 관련법인 또는 단체의 장과 품목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과수 : 한국과수묘목협회
  2. 화훼 : 한국화훼협회
  3. 버섯 : 한국종균생산협회
  4. 약용작물 : 한국생약협회
(정답률: 알수없음)
  • 화훼는 한국화훼협회에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화훼 : 한국화훼협회"가 맞는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종자산업법상 농림부장관이 보관하여야 하는 종자 시료는?

  1. 국가품종목록등재 신청된 품종의 종자
  2. 국가기관에서 육성중인 품종의 교배모본의 종자
  3. 고유한 재래품종의 종자
  4. 품종보호권이 설정등록된 품종의 종자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산업법은 품종보호를 위해 특정 종자 시료를 농림부장관이 보관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품종보호권이 설정등록된 품종의 종자는 특허와 같은 보호를 받는 품종으로, 이 종자를 보관함으로써 해당 품종의 유전자원을 보호하고 육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종자 시료를 농림부장관이 보관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종자산업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육성자의 정의로 맞는 것은?

  1. 신품종을 육성한 자
  2. 신품종을 육성하고 발견한 자
  3. 신품종을 육성하거나 또는 발견하여 개발한 자
  4. 신품종을 육성, 품종보호권을 가진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육성자란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거나 발견하여 육성한 사람을 말하는데, 이 때 육성자는 해당 품종을 개발하거나 발견한 사람이어야 하며, 이를 통해 해당 품종의 개발 및 보호를 위한 권리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품종을 육성하거나 또는 발견하여 개발한 자"가 육성자의 정의로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품종의 명칭으로 등록을 받을 수 있는 이름은?

  1. 1111
  2. 여주벼
  3. 최고배추
  4. 월하
(정답률: 알수없음)
  • 품종의 명칭으로 등록을 받을 수 있는 이름은 일반적으로 지역명, 특징, 생산자명 등이 사용됩니다. "1111"과 "최고배추"는 특징이나 생산자명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지역명이나 특징이 아니기 때문에 품종명으로 등록받기는 어렵습니다. "여주벼"는 지역명이지만 이미 등록된 품종이 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반면에 "월하"는 지역명으로서도 유명하고, 특징적인 이름이기 때문에 품종명으로 등록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품종 및 종자와 관련한 업무를 관장하는 국제적인 기구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국제식물신품종 보호동맹(UPOV)
  2.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 국제종자검정협회(ISTA)
  4. 세계무역기구(WTO)
(정답률: 46%)
  • 세계무역기구(WTO)는 무역과 관련된 규제와 협상을 주요 업무로 하며, 품종 및 종자와 관련된 업무를 관장하는 국제적인 기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에 가장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종자산업법상 품종성능의 심사기준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심사의 종류
  2. 재배시험기간
  3. 재배포장의 토양조건
  4. 평가형질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산업법상 품종성능의 심사기준 항목은 품종의 식물학적 특성, 생육특성, 수확량, 품질 등을 평가하는 것이며, 이 중 "재배포장의 토양조건"은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품종의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500만원이하의 과태료 처분대상에 해당하는 위반 행위가 아닌 것은?

  1. 등록되지 아니한 품종명칭을 사용하여 종자를 판매 또는 보급한 자
  2. 유통종자에 대한 품질표시를 하지 아니하고 종자를 판매 또는 보급한 자
  3. 영업정지를 받고도 종자업을 계속 영위한 자
  4. 신고하지 아니하고 국가품종목록등재대상작물의 종자를 수출 또는 수입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영업정지를 받고도 종자업을 계속 영위한 자"는 500만원이하의 과태료 처분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위반 행위가 아니라 법적인 처분 대상이기 때문이다. 이는 법적인 문제로 경찰 등 관계기관에 신고하여 처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은 종자관리사의 자격기준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종자기술사 자격 취득자
  2. 종자기사 자격 취득자로 종자업무에 1년 이상 종사한 자
  3. 종자산업기사 자격 취득자로 종자업무에 2년 이상 종사한 자
  4. 버섯종균기능사 자격 취득자로 종자업무에 3년이상 종사한자 (버섯의 경우에 한함)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것은 없습니다. 종자산업기사 자격 취득자로 종자업무에 2년 이상 종사한 자가 종자관리사 자격기준에 해당합니다. 이유는 종자산업기사 자격은 종자 생산, 가공, 유통 등 종자산업 전반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종자 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고추 채종포에서의 격리거리는 얼마이상이어야 하는가?

  1. 300 m
  2. 500 m
  3. 1,000 m
  4. 1,500 m
(정답률: 43%)
  • 고추 채종포에서의 격리거리는 500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고추 열매가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는 거리인 300m보다 더 큰 값이며, 또한 바이러스가 바람에 의해 전파될 수 있는 최대 거리인 1000m보다는 작은 값이다. 따라서 500m가 적절한 격리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종자산업법에서의 보증종자 정의는?

  1. 당해 품종의 진위성이 보증된 종자
  2. 당해 품종의 품질이 보증된 채종단계별 종자
  3. 당해 품종의 진위성 및 당해 품종의 종자의 품질이 보증된 채종단계별 종자
  4. 당해 품종의 진위성 및 당해 품종의 종자의 품질이 보증된 종자
(정답률: 알수없음)
  • 보증종자는 당해 품종의 진위성과 품질이 보증된 종자를 말합니다. 또한, 이 종자는 채종단계별로도 보증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당해 품종의 진위성 및 당해 품종의 종자의 품질이 보증된 채종단계별 종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품종보호권 또는 전용실시권을 침해한 자는 ( )년이하의 징역 또는 ( )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안에 알맞은 것으로 짝 지워진 것은?

  1. 2, 2,000
  2. 3, 3,000
  3. 4, 4,000
  4. 5, 3,000
(정답률: 알수없음)
  • 품종보호권 또는 전용실시권을 침해한 자는 형법 제314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따라서 정답은 "5, 3,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국내에 주소 또는 영업소를 가지지 아니하는 재외자의 품종보호출원절차에 관하여 맞는 것은?

  1. 재외자는 우편으로 품종보호출원을 할 수 있다.
  2. 재외자는 국내에 주소 또는 영업소를 가지고 있는 대리인에 의하지 아니하면 품종보호출원을 할 수 없다.
  3. 재외자는 국내에 체제하는 경우라도 대리인을 통하여 품종보호출원을 하여야 한다.
  4. 재외자는 품종보호관리인의 선임· 변경을 등록하지 아니하여도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재외자는 국내에 주소 또는 영업소를 가지고 있는 대리인에 의하지 아니하면 품종보호출원을 할 수 없다. 이는 대리인을 통해 출원해야 하는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외자는 국내에 대리인을 둘 필요가 있다. 우편으로 출원할 수 있는 경우는 모든 경우가 아니며, 일부 특수한 경우에만 가능하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틀린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품종보호 요건이 아닌 것은?

  1. 신규성
  2. 구별성
  3. 안정성
  4. 상업성
(정답률: 알수없음)
  • 상업성은 품종보호 요건이 아닙니다. 상업성은 상업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특성으로, 품종보호법에서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품종보호 요건은 신규성, 구별성, 안정성입니다. 즉, 새로운 품종이어야 하며, 다른 품종과 구별될 수 있어야 하며, 일정한 유전적 특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국가품종목록등재대상작물의 종자를 수입할 때 당해 종자에 대한 수입신고가 면제되는 시험 또는 연구기관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2.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3.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소속의 시험· 연구기관
  4. 한국종자협회 소속의 시험· 연구기관
(정답률: 6%)
  • 국가품종목록등재대상작물의 종자를 수입할 때 수입신고가 면제되는 시험 또는 연구기관은 한국종자협회 소속의 시험· 연구기관입니다. 이는 국내 종자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국내 시험·연구기관을 지원하고 육성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따라서 한국종자협회 소속의 시험· 연구기관은 국내 종자산업을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어느 작물이 국가 보증의 대상인가?

  1. 농협이 생산하는 벼 종자
  2. 단위 농협이 생산하는 고구마 종자
  3. 군수가 생산하는 밀 종자
  4. 국립종자관리소장이 생산하는 참깨 종자
(정답률: 알수없음)
  • "농협이 생산하는 벼 종자"가 국가 보증의 대상인 이유는 농협이 국가에서 인정받은 종자생산기관이기 때문입니다. 농협은 벼 종자 생산에 대한 엄격한 품질관리를 실시하며, 국가에서 인정한 생산방법과 품질기준을 준수하여 생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종자는 농가들에게 안정적이고 신뢰성 높은 작물 생산을 보장하기 위해 국가 보증의 대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