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3-02)

종자기사
(2008-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종자생산학

1. 배(胚)의 발생법칙이 아닌 것은?

  1. 질량의 법칙
  2. 절약의 법칙
  3. 기원의 법칙
  4. 수의 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배(胚)의 발생과 관련된 법칙은 "절약의 법칙", "기원의 법칙", "수의 법칙"이 있습니다. 이들 법칙은 배의 발생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들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질량의 법칙"은 화학반응에서 물질의 질량 변화를 설명하는 법칙으로, 배의 발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질량의 법칙"은 배의 발생법칙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국제적으로 유통되는 종자의 검사규정 등을 입안하고. 국제 종자분석 증명서를 발급하는 기관은?

  1. FAO
  2. UPOV
  3. ISTA
  4. ISO
(정답률: 알수없음)
  • ISTA는 국제종자검사협회(International Seed Testing Association)의 약자로, 국제적으로 유통되는 종자의 검사규정을 입안하고 국제 종자분석 증명서를 발급하는 기관입니다. 따라서 ISTA가 정답입니다. FAO는 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의 약자로, UPOV는 국제식물보호협회(Union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s)의 약자로, ISO는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의 약자입니다. 이들은 각각 식량과 농업, 식물보호, 표준화 분야에서 활동하는 국제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상추에서 1대 잡종 채종이 실용화되고 있지 않는 이유는?

  1. 품질이 낮기 때문이다.
  2. 종자의 시장규모가 작다.
  3. 엽채류이므로 1대 잡종 이용의 필요성이 없다.
  4. 화기 구조상 자가수분이 잘 이루어지므로 교배가 어렵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추는 화기 구조상 자가수분이 잘 이루어지므로 교배가 어렵기 때문에 1대 잡종 채종이 실용화되고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F1 개체는 화분이 생기지 않고 불임의 F1 종자만이 생산되어 종실이 수확대상이 되는 작물에서는 이용할 수 없고 영양체를 이용하는 사료용 유채나 양파에서는 실용화 될 수 있는 웅성불임성은?

  1. 유전자적 웅성불임
  2. 세포질적 웅성불임
  3. 세포질적ㆍ유전자적 웅성불임
  4. 3가지 방법 모두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세포질적 웅성불임은 유전자적 웅성불임과 달리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아니라 세포질 내부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불임 현상이다. 따라서 이러한 웅성불임은 특정 작물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유전자적 웅성불임을 이용한 개량이 불가능하므로 세포질적 웅성불임을 이용하여 작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채종포에서 줄뿌림(條播)을 하는 주된 이유는?

  1. 파종작업이 쉬우므로
  2. 측지가 많이 생기므로
  3. 이형주 관찰이 용이하므로
  4. 수량이 많이 나므로
(정답률: 알수없음)
  • 채종포에서 줄뿌림을 하는 주된 이유는 이형주 관찰이 용이하므로입니다. 이는 줄뿌림으로 인해 씨앗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작물의 성장과 수확 시 이형주를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종자의 표준 발아검사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순도검사가 끝난 종자를 이용한다.
  2. 무작위로 400립을 추출한다.
  3. 100립씩 4반복으로 시험한다.
  4. 결과는 소수점 이하 한자리까지의 %로 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결과는 소수점 이하 한자리까지의 %로 표시하는 이유는 발아율이 일반적으로 매우 높은 수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수점 이하 한자리까지의 %로 표시하여 더욱 정확한 발아율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발아율이 98.5%일 경우, 소수점 이하 한자리까지 표시하면 98.5%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발아 촉진물질이 아닌 것은?

  1. 시토키닌
  2. 질산칼륨
  3. 티오요소
  4. ABA
(정답률: 알수없음)
  • ABA는 발아를 억제하는 물질로, 발아 촉진물질이 아닙니다. 시토키닌, 질산칼륨, 티오요소는 모두 발아를 촉진하는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종자전염을 하는 병균은 주로 종자의 어느 부분에 있는가?

  1. 배유
  2. 종피
  3. 극핵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전염을 하는 병균은 종자의 외부에 있는 배나 배유보다는 내부에 있는 종피에 주로 붙어서 전염을 일으킵니다. 이는 종자의 영양분을 제공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병균이 이곳에 붙어 번식하면 식물의 성장과 발아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종자처리 방법 중 바이러스 불활성화에 가장 효과가 큰 것은?

  1. 건열처리
  2. 낸수온탕처리
  3. 캡탄도말처리
  4. 벤레이트티침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건열처리는 종자를 고온과 건조한 환경에 노출시켜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높은 효과를 보이며, 바이러스 불활성화에 대한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습니다. 또한, 건열처리는 화학적 처리나 방사선 처리와 같은 방법에 비해 환경오염의 위험이 적고, 경제적인 이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채종재배는 정상적인 수분(pollination)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재배 상에 특별한 조치가 필요하다. 그 관계가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다른 화분이 수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격리가 필요하다.
  2. 수분 대상이 되는 화분친을 충분히 재식하게 한다.
  3. 충매화는 비산(飛散)방향에 따라 차폐물을 이용한다.
  4. 개화기를 조절하여 다른 화분의 혼입을 방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충매화는 비산(飛散)방향에 따라 차폐물을 이용한다."

    해설: 채종재배에서는 수분이 충분히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에 충매화가 필요하다. 충매화는 꽃가루를 수술에 옮기는 과정으로, 이때 비산 방향에 따라 꽃을 차폐하여 다른 화분으로부터의 혼입을 방지한다. 따라서 이 관계가 가장 부적합한 것은 "충매화는 비산(飛散)방향에 따라 차폐물을 이용한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종자퇴화가 진전되면서 일어나는 증상으로 틀린 것은?

  1. 효소의 활력저하
  2. 호흡량의 저하
  3. 침출액의 저하
  4. 유리지방산의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퇴화가 진전되면서 일어나는 증상 중 침출액의 저하는 틀린 것입니다. 종자퇴화가 진전되면 효소의 활력저하, 호흡량의 저하, 유리지방산의 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러나 침출액의 양은 오히려 증가합니다. 이는 종자가 물을 흡수하여 발아하기 위해 필요한 수분을 더 많이 축적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단일성 식물이 아닌 것은?

  1. 국화
  2. 담배
  3. 고구마
  4. 감자
(정답률: 알수없음)
  • 감자는 이중성 식물이기 때문에 단일성 식물이 아닙니다. 즉, 감자는 꽃이 따로 있고 열매가 따로 있는 이중성 식물입니다. 반면에 국화, 담배, 고구마는 꽃과 열매가 함께 있는 단일성 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종자의 발아검사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배지(발아상)로 짝지은 것은?

  1. 종이 인공토양
  2. 한천. 인공토양
  3. 한천 모래
  4. 종이. 모래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의 발아검사는 종자가 발아하기 위해 필요한 영양분과 수분 등이 충분한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종자를 인공토양이나 모래에 심고 발아를 촉진시키는데, 종이는 인공토양으로 사용될 수 있고 모래는 자연적으로 발아를 촉진시키는 물질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종이와 모래는 발아검사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배지(발아상)로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발아세의 정의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파종된 총 종자 개체수에 대한 발아종자개체수의 백분율
  2. 파종기부터 발아기까지의 일수
  3. 일정한 시일 내의 발아율
  4. 종자의 대부분이 발아한 날
(정답률: 알수없음)
  • 발아세는 일정한 시간 내에 발아한 종자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일정한 시일 내의 발아율"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발아세와 관련이 있지만, 정확한 정의를 나타내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국사에서 육성하여 보급하고 있는 국가품종 등재대상 작물의 경우 기본식물을 관리하고 있는 담당기관은?

  1. 각 시군 농업기술센터
  2. 해당품목 육성기관 또는 육종가
  3. 각 도 농업기술원
  4. 농업단체 및 독농가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품목 육성기관 또는 육종가가 기본식물을 관리하는 담당기관인 이유는 해당 품목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해당 작물의 육성과 보급을 위해 연구와 실험을 수행하며, 적합한 품종을 개발하고 등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해당 품목의 육성과 보급을 위해서는 해당품목 육성기관 또는 육종가와의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종자검사를 위한 제출시료를 만드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

  1. 1차 시료 중 임의로 하나의 시료를 선택한다.
  2. 3반복으로 추출한 1차 시료 전체를 택한다.
  3. 1차 시료를 혼합한 시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용한다.
  4. 소집단(lot)별로 생산한 종자 중 한 집단을 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는 일정한 특성을 가진 집단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한 집단에서 추출한 일부분만으로는 해당 집단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차 시료를 혼합한 시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용하여 종자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감자 흑지병 소독약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1. 배노람수화제
  2. 지오람수화제
  3. 플루디옥소닐액상수화제
  4. 카보람분제
(정답률: 알수없음)
  • 플루디옥소닐액상수화제는 감자 흑지병의 원인균인 "감자 검은썩음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종자가 어미친식물(母植物)에서 떨어질 때 배(胚)가 형태적으로 미숙상태에 있어 배의 성숙에 필요한 기간만큼 휴면상태로 지내는 것은?

  1. 배휴면(胚休眠)
  2. 후숙(後熟)
  3. 제2차휴면
  4. 타발휴면(他發休眠)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가 어미친식물에서 떨어질 때 배가 미숙한 상태이기 때문에, 배의 성숙에 필요한 기간만큼 휴면상태로 지내게 됩니다. 이를 후숙이라고 합니다. 후숙은 종자가 발아하기 전에 배의 성장과 성숙을 완료할 수 있도록 시간을 주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과실이 영(穎)에 싸여 있는 것은?

  1. 옥수수
  2. 귀리
  3. 시금치
(정답률: 알수없음)
  • 귀리는 영양가가 높은 곡물 중 하나로, 단백질, 식이섬유, 비타민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과실이 영에 싸여 있는 것은 귀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옥수수 종자의 수분함량과 건조온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젖은 종자는 고온, 마른 종자는 저온에 건조 시킨다.
  2. 젖은 종자는 고온, 마른 종자도 고온에 건조 시킨다.
  3. 젖은 종자는 저온, 마른 종자도 저온에 건조 시킨다.
  4. 젖은 종자는 저온, 마른 종자도 고온에 건조 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젖은 종자는 저온, 마른 종자도 고온에 건조 시킨다."입니다.

    옥수수 종자는 수분함량이 높기 때문에 고온에서 건조하면 수분이 빠르게 증발하여 종자 내부에서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젖은 종자는 저온에서 건조하여 천천히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면에 마른 종자는 이미 수분이 적어 고온에서 건조해도 스트레스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고온에서 건조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식물육종학

21. 다음의 형질변이를 감별하는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1. 후대검정에 의한 유전변이와 환경병이 감별
  2. 후대검정에 의한 유전자형의 동형성 여부 감별
  3. 교잡검정에 의한 양적형질과 질적형질의 감별
  4. 특성검정에 의한 연속변이와 불연속변이 감별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것은 "교잡검정에 의한 양적형질과 질적형질의 감별"입니다. 교잡검정은 양적형질과 질적형질 모두를 감별할 수 있습니다.

    특성검정은 연속변이와 불연속변이를 감별하는 방법입니다. 연속변이는 양적형질로서 측정 가능한 양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키나 체중 등이 있습니다. 불연속변이는 질적형질로서 측정 가능한 양이 없으며, 대표적으로 혈액형이나 눈색깔 등이 있습니다.

    후대검정은 유전변이와 환경병이 감별되는 방법입니다. 유전변이는 유전자의 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형질의 변화를 의미하며, 환경병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형질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후대검정에서 유전자형의 동형성 여부를 감별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는 유전자의 형태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진 유전자를 동형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집단제정법(bulk emasculation method)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저온처리법
  2. 온탕제정법
  3. 황산침윤법
  4. 수세법
(정답률: 알수없음)
  • 황산침윤법은 집단제정법이 아닌 개별적인 수확물에 대해 적용되는 방법으로, 씨앗이나 열매 등을 황산 용액에 담그고 처리하여 씨앗의 발아를 억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집단제정법과는 다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선발에 의한 유전획득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선발강도가 높으면 유전획득량이 커진다.
  2. 분산이 크면 유전획득량이 작아진다.
  3. 유전력이 낮으면 유전획득량이 커진다.
  4. 유전획득량은 분산과 유전력과는 무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발강도가 높을수록, 즉 선택을 엄격하게 할수록 선택된 개체들은 더 높은 유전적 특성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유전획득량이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유전자 재조합과 관계없이 어떤 원인에 의하여 유전 물질 자체에 변화가 일어나 발생되는 변이는?

  1. 양적변이
  2. 교배변이
  3. 방황변이
  4. 돌연변이
(정답률: 알수없음)
  • 유전자 재조합과는 관계없이, 유전 물질 자체에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돌연변이라고 합니다. 이는 자연적인 원인으로 발생할 수도 있고,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유발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외선, 화학물질, 방사선 등이 유전 물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돌연변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돌연변이는 종종 유전적 다양성을 증가시키고 진화의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반수체를 얻기 위한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1. 약배양
  2. 소포자 배양
  3. 종속간 교잡
  4. 생장점 배양
(정답률: 알수없음)
  • 생장점 배양은 반수체를 얻기 위한 방법 중 옳은 방법입니다. 생장점 배양은 식물의 생장점을 배양하여 새로운 식물을 얻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유전적으로 동일한 식물을 얻을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짧은 시간 내에 반수체를 얻을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약배양은 약재를 이용한 배양 방법이며, 소포자 배양은 식물의 소포자를 이용한 배양 방법입니다. 종속간 교잡은 서로 다른 종의 식물을 교배하여 새로운 종을 얻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중복수정의 과정을 설명하는 것 중 틀린 것은?

  1. 웅핵과 난핵이 결합하여 2n의 배(胚)를 형성한다.
  2. 웅핵과 2개의 극핵이 결합하여 3n의 배유(胚乳)를 형성한다.
  3. 배낭 1개는 하나의 난핵과 2개의 극핵이 있으므로 배낭 1개 중복수정에는 최소 2개의 화분관이 필요하다.
  4. 배와 배유는 거의 동시에 그 형성이 시작되어 수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배낭 1개는 하나의 난핵과 2개의 극핵이 있으므로 배낭 1개 중복수정에는 최소 2개의 화분관이 필요하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배낭 1개 중복수정에는 최소 1개의 화분관이 필요하다. 이유는 배낭 1개는 하나의 난핵과 2개의 극핵이 있지만, 중복수정 과정에서는 하나의 극핵만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유전자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DNA 분자
  2. 질소를 가진 염기 3개로 구성된 DNA 절편
  3. 질소를 가진 염기 3개로 구성된 RNA 절편
  4. 단백질 합성을 위한 완전한 영기 코드를 가진 DNA절편
(정답률: 알수없음)
  • 유전자는 생물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DNA 분자의 일부분으로, 단백질 합성을 위한 완전한 영기 코드를 가진 DNA 절편입니다. 이 코드는 DNA 염기서열에 의해 결정되며, RNA를 거쳐 단백질로 번역됩니다. 따라서 유전자는 생물의 생존과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4쌍의 유전자가 결합하여 있는 식물체 중 가장 유전적인 순계는?

  1. AAbbCcDd
  2. AAbbCCdd
  3. AaBbCcDd
  4. aabbccDd
(정답률: 50%)
  • 유전자 A와 a, B와 b, C와 c, D와 d는 각각 서로 다른 염색체에 위치해 있으므로 독립적으로 유전된다. 따라서 4쌍의 유전자가 결합하여 있는 식물체 중 가장 유전적인 순계는 각 유전자에서 가장 우세한(alllele) 유전자가 모두 결합한 "AAbbCCdd"이다. 이는 A와 B, C와 D가 우세한(alllele) 유전자이고, a와 b, c와 d가 약세한(recessive) 유전자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자식성 작물에서 유전자 조성의 변화 요인이 없을 때 2쌍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F3세대에서의 home 개체의 비율은? (단, 유전자가 독립적인 경우)

  1. 35.00%
  2. 47.50%
  3. 56.25%
  4. 66.56%
(정답률: 알수없음)
  • 유전자가 독립적인 경우, F3세대에서 home 개체의 비율은 각 유전자의 확률을 곱한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2쌍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경우, 각 유전자는 1:2:1 비율로 나타난다. 이를 이용하여 home 개체의 비율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첫 번째 유전자에서 home 개체가 나올 확률: 1/4
    - 두 번째 유전자에서 home 개체가 나올 확률: 1/4

    따라서, home 개체의 비율은 1/4 x 1/4 = 1/16 이다. 이를 백분율로 환산하면 6.25% 이므로, 정답은 "56.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약배양(約培養)의 이용은 육종상 어떤 이점이 있는가?

  1. 새로운 유전자의 창출(創出)
  2. 염색체 배가 용이
  3. 육종연한의 단축
  4. 육종규모 확대 용이
(정답률: 알수없음)
  • 약배양은 작은 공간에서 대량의 세포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육종규모를 확대하는 데 용이하며, 또한 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조절하여 육종연한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약배양을 이용하면 더 빠르고 효율적인 육종이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염색체 배가 용이하다는 것은 유전자 조작 등의 연구에 유용하다는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자식성 식물에서 우성에서 열성으로 돌연변이가 발생 할 경우 돌연변이의 선발은 언제 하는가?

  1. M1
  2. M2
  3. 아무 때나 한다.
  4. F1
(정답률: 알수없음)
  • 돌연변이의 선발은 M2에서 이루어진다. M1에서는 돌연변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는 아직 유전자 수준에서 확인되지 않은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M2에서는 돌연변이가 유전자 수준에서 확인되고, 이를 선발하여 다음 세대로 전파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감자 유전자원을 보존하는 방법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종자보존
  2. 영양체 보존
  3. 기내보존
  4. 동결보존
(정답률: 알수없음)
  • 감자는 종자가 아닌 뿌리를 이용하여 번식하기 때문에 종자보존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종자보존은 씨앗을 보존하는 방법으로, 감자는 씨앗이 아니기 때문에 종자보존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종자보존"이 적합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품종의 유전적인 퇴화에 해당되는 것은?

  1. 토양의 퇴화
  2. 자연교잡에 의한 퇴화
  3.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퇴화
  4. 기계적 흔입에 의환 퇴화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교잡에 의한 퇴화는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품종이 교잡되어 새로운 품종이 생기는 과정에서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품종의 퇴화가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인위적인 교잡보다는 자연적인 교잡이 더 많이 일어나는 작물에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배수성 육종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염색체수가 많은 식물일수록 효과적이다.
  2. 복 2배체는 동질배수체에 비해 임성이 높다.
  3. 주로 이용되는 동질배수체의 배수성은 3배체 또는 4배체이다.
  4. 동질배수체의 종실을 이용하는 식물보다 잎과 줄기 등 영양기관을 이용하는 식물에서 효과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염색체수가 많은 식물일수록 효과적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해줄 필요가 없다.

    다만, 이유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염색체는 유전자를 담고 있는 구조체이며, 염색체수가 많을수록 유전자의 다양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육종에 있어서 다양한 유전적 변이를 얻을 수 있어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생식격리가 확실한 종ㆍ속간 잡종식물체를 얻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짝지워진 것은?

  1. 화분배양, 미숙배배양
  2. 미숙배배양, 배주배양
  3. 배주배양, 생장점배양
  4. 생장점배양, 화분배양
(정답률: 알수없음)
  • 미숙배배양과 배주배양은 생식격리가 확실한 종ㆍ속간 잡종식물체를 얻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미숙배배양은 꽃이 아직 개지 않은 미숙한 상태에서 꽃가루를 수술로 옮겨 다른 꽃의 자루에 묻히게 하여 교배를 시키는 방법이고, 배주배양은 꽃이 개고 열매가 생긴 후 열매를 수확하여 그 안의 씨앗을 심어서 새로운 식물을 얻는 방법입니다. 이 두 방법은 생식격리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어서 잡종식물체를 얻는 데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내병성 육종과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대상되는 병이 많이 발생하는 계절에 선발한다.
  2. 튼튼하게 키우기 위하여 농약살포를 충분히 한다.
  3. 대상되는 병에 대해 제일 약한 품종을 일정한 간격으로 심는다.
  4. 병원균을 인위적으로 살포하여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튼튼하게 키우기 위하여 농약살포를 충분히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농약은 식물의 성장과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한한 농약 사용을 최소화하고, 대안적인 방법을 찾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식물의 수술 조직에서 화분 모세포 15개사 감수분열을 하여 만들 수 있는 화분립 최대 개수는?

  1. 15개
  2. 30개
  3. 60개
  4. 150개
(정답률: 알수없음)
  • 화분 모세포는 이분법적 분열을 하여 화분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분법적 분열은 한 번 분열할 때마다 세포의 수가 두 배가 되므로, 15개의 화분 모세포가 각각 이분법적 분열을 하면 2^15개의 화분립을 만들 수 있습니다. 계산해보면 2^15 = 32,768개가 나오지만, 이 중에서 중복되는 것들을 제외하면 최대 60개의 화분립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60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재배식물의 종류 수가 가장 많은 식물과는?

  1. 포도과
  2. 벼과
  3. 장미과
  4. 가지과
(정답률: 39%)
  • 벼과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종류의 재배식물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벼, 옥수수, 밀, 보리 등 다양한 곡물과 함께 쌀, 찹쌀 등의 주요 식량작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벼과는 가장 많은 종류의 재배식물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신품종의 3대 구비조건인 DUS는 각각 무엇을 나타내는가?

  1. D : 신규성, U : 균일성, S : 광지역성
  2. D : 신규성, U : 안정성, S : 광지역성
  3. D : 구별성, U : 균일성, S : 경제성
  4. D : 구별성, U : 균일성, S : 안정성
(정답률: 알수없음)
  • DUS는 각각 "구별성(Distinctness)", "균일성(Uniformity)", "안정성(Stability)"을 나타낸다. 이는 새로운 품종이 다른 품종들과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같은 품종 내에서도 일관된 특성을 보여야 하며, 시간이 지나도 일관된 특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D : 구별성, U : 균일성, S : 안정성"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딸기의 바이러스프리묘를 얻기 위한 방법은?

  1. 경정조직배양
  2. 배유배양
  3. 기내수정
  4. 세포융합
(정답률: 73%)
  • 딸기의 바이러스프리묘를 얻기 위해서는 딸기의 경정조직을 배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경정조직은 딸기의 생장점에서 취득할 수 있는 조직으로, 바이러스가 존재하지 않는 깨끗한 조직입니다. 이 조직을 배양하여 바이러스가 없는 딸기묘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정조직배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재배원론

41. 작물에 질소가 과잉상태로 되는 경우 작물체 내에서 일어나는 변화로 옳은 것은?

  1. C/N율이 올라가게 된다.
  2. 개화가 촉진된다.
  3. 세포벽이 두꺼워 진다.
  4. 아미드태 질소가 많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질소가 과잉상태로 되면 작물체 내에서 질소가 많아지게 되어 C/N율이 올라가게 됩니다. 이는 작물체 내에서 단백질 합성이 촉진되어 아미노산이 많아지고, 이 아미노산이 아미드태 질소로 변화하게 되어 아미드태 질소가 많아지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은 작물체의 생장을 촉진시키지만, 과잉질소는 작물체의 세포벽을 두껍게 만들어 취약해지게 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ph 4.5~5.0 인 토양에서 가장 생육이 불량한 작물?

  1. 호밀
  2. 땅콩
  3. 토란
  4. 시금치
(정답률: 알수없음)
  • 시금치는 pH 6.0~7.5 정도의 약산성 토양에서 가장 잘 자라는 작물이지만, pH 4.5~5.0 정도의 산성 토양에서는 생육이 불량해집니다. 따라서 시금치가 가장 생육이 불량한 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침수에 극히 약한 벼 품종은?

  1. 낙동벼, 동진벼, 추청벼
  2. 낙동벼, 동진벼, 삼강벼
  3. 삼강벼, 태백벼, 가야벼
  4. 태백벼, 가야벼, 추청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낙동벼, 동진벼, 추청벼"입니다. 이들은 모두 물에 잠기는 것을 싫어하며, 특히 추청벼는 물에 잠기면 쉽게 썩어버리기 때문에 침수에 극히 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발아를 촉진하고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수단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알카리성 용액 처리법
  2. 최아(催芽)
  3. 침종(浸種)
  4. 춘화처리(春畵處理)
(정답률: 알수없음)
  • 춘화처리는 발아를 촉진하고 균일하게 하기 위해 씨앗을 특정한 온도와 습도로 유지하면서 적절한 기간 동안 보관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씨앗의 내부 환경을 안정화시켜 발아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알카리성 용액 처리법은 씨앗 표면의 미생물 제거를 위한 방법이고, 최아와 침종은 씨앗을 물에 담가서 발아를 촉진시키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토양반응에 따른 몇 가지 요인들 중 올바르게 표현된 것은?

  1. 강알카리성이 되면 토양을 입단(粒團)으로 만든다.
  2. 대부분의 토양미생물은 알카리 토양을 좋아한다.
  3. 강산성 토양에서는 수소이온이 작물의 양분흡수를 저해한다.
  4. 강산성 토양세서는 P. Ca. Mg. B 등의 가급도가 증가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강산성 토양에서는 수소이온이 작물의 양분흡수를 저해한다. 이는 pH가 낮아질수록 수소이온의 농도가 증가하며, 이는 작물의 뿌리가 토양으로부터 양분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방해가 된다. 따라서 강산성 토양에서는 작물의 성장이 저하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토양 용액이 pH4 와 pH6 의 [H+]의 농도 차이는?

  1. Ph4가 10배 높다.
  2. pH4가 100배 높다.
  3. pH6이 10배 높다.
  4. pH6이 100배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pH는 음이온 농도를 나타내는 지수함수이므로 pH4와 pH6의 농도 차이는 10의 -4승과 10의 -6승의 차이입니다. 이는 10의 -2승, 즉 0.01배의 차이입니다. 따라서 pH4가 pH6보다 100배 높다는 말은 틀린 말이며, 올바른 답은 "pH4가 10배 높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작물의 생육습성이나 재배형편에 따라 이식을 하는데 이식의 방식이 아닌 것은?

  1. 조식
  2. 가식
  3. 난식
  4. 정식
(정답률: 알수없음)
  • 이식은 작물의 생육습성이나 재배형편에 따라 적절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조식, 난식, 정식은 이식의 방식이지만, 가식은 이식이 아닙니다. 가식은 식물의 가지를 자르거나 꺾어서 생육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이식과는 다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감자의 위축병을 매개하는 해충은?

  1. 선충
  2. 진딧물
  3. 명나방
  4. 응애류
(정답률: 알수없음)
  • 감자의 위축병을 매개하는 해충은 진딧물입니다. 진딧물은 감자 잎의 세포액을 빨아먹어서 감자의 성장을 방해하고, 감자의 잎이 위축되고 노랗게 변하는 증상을 유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작물의 생태적인 특성에 의하여 분류한 것은?

  1. 녹비작물
  2. 중경작물
  3. 피복작물
  4. 일년생작물
(정답률: 알수없음)
  • 일년생작물은 한 해 동안 씨앗에서 발아하여 성장하고, 꽃과 열매를 맺은 후 죽는 작물을 말한다. 따라서 생애주기가 1년인 작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작물의 원형식물에 대한 설명 중 부적합한 것은?

  1. 조, 콩이 야생종은 단순하고 잘 알려져 있다.
  2. 감자나 고구마의 재배종은 야생종보다 덩이줄기나 덩이뿌리가 더 잘 발달하였다.
  3. 야생종 중 이용가치가 높은 것이 재배종으로 발달 하였으나 형태적ㆍ생태적 변이가 존재 하였다.
  4. 목초로 사용되는 수단그라스의 청산함량은 재배종이 야생종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목초로 사용되는 수단그라스의 청산함량은 재배종이 야생종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는 부적합한 설명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이 없다.

    그러나 이유를 설명하자면, 재배종은 인간의 선택에 의해 특정한 성질이 강화되어 발달된 것이기 때문에, 야생종보다 더 많은 양의 청산을 함유하도록 개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추락답에서 황화수소의 발생으로 인하여 생기는 벼의 근부 현상을 막기 위하여 토양에 필요한 성분은?

  1. 규소
  2. 칼리
(정답률: 알수없음)
  • 황화수소는 벼의 근부를 산성화시켜서 뿌리가 손상되는 현상을 일으킵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토양의 pH를 중성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철은 중성화에 효과적인 성분 중 하나이기 때문에 토양에 철을 추가함으로써 벼의 근부 현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벼의 키다리병에서 유래한 생장 조절제는?

  1. 지베렐린
  2. 옥신
  3. 사이토카도닌
  4. 에틸렌
(정답률: 알수없음)
  • 벼의 키다리병은 벼가 지나치게 길어지는 질병으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 생장 조절제가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이 지베렐린입니다. 지베렐린은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으로, 벼의 생장을 조절하여 키다리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벼의 생장을 조절하는데 매우 유용한 생장 조절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저온 버널라이제이션(0~10℃)으로 개화된 작물로만 구성된 것은 ?

  1. 무, 양배추, 맥류
  2. 무, 맥류, 글라디올러스
  3. 맥류, 배추, 글라디올러스
  4. 맥류, 아이리스, 양배추
(정답률: 알수없음)
  • 저온 버널라이제이션은 일반적으로 겨울철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작물의 개화를 유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0~10℃에서 개화하는 작물들은 겨울철에 자라는 작물들이 대부분입니다. 이 중에서 무, 양배추, 맥류는 겨울철에 자라는 대표적인 작물들이며, 따라서 이들로만 구성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엽록소 단백질의 분해를 지연시켜 잎의 노화를 방지하는 것은?

  1. Auxin
  2. Gibberellin
  3. Cytokinin
  4. Ethylene
(정답률: 알수없음)
  • Cytokinin은 잎의 노화를 방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엽록소 단백질의 분해를 지연시켜서 가능합니다. 따라서, Cytokinin이 이 문제의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베렐린을 이용한 감자 발아촉진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절단 후 250~500ppm 지베렐린 수용액에 24시간 침지
  2. 절단 후 250~500ppm 지베렐린 수용액에 30~60분 침지
  3. 절단 후 2~5ppm 지베렐린 수용액에 24시간 침지
  4. 절단 후 2~5ppm 지베렐린 수용액에 30~60분 침지
(정답률: 알수없음)
  • 감자는 지하에서 생장하는 뿌리채소로서, 발아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뿌리가 잘 발달할 수 있도록 뿌리부분이 발달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감자를 발아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뿌리부분이 잘 발달할 수 있도록 지베렐린을 이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감자는 뿌리가 발달하기 전에 줄기가 발달하기 때문에, 절단 후 2~5ppm 지베렐린 수용액에 30~60분 침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정지(整地)작업에 관한 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복토
  2. 작휴
  3. 쇄토
  4. 진압
(정답률: 알수없음)
  • 정지 작업은 토지를 깨끗하게 만들어 건축물이나 도로 등을 건설하기 위한 작업이다. "복토"는 정지 작업 중에 토양을 교체하거나 평탄화할 때 사용하는 토양으로, 다른 보기들과 달리 정지 작업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용어이다. "작휴"는 토양의 수분을 조절하기 위한 작업, "쇄토"는 토양을 부수거나 분쇄하는 작업, "진압"은 건축물이나 도로 등을 건설하기 전에 지하수나 지하시설물을 조사하고 처리하는 작업으로, 모두 정지 작업과 관련이 있지만 "복토"와는 직접적인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수중에서 발아를 하지 못하는 것은?

  1. 당근
  2. 담배
  3. 상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무"입니다. 무는 씨앗이 지상으로 향하는 성장 방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중에서는 발아를 하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C/N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편적으로 C/N율이 높을 때 개화결실이 양호하다.
  2. 개화 결실에 C/N율 보다 더욱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많다.
  3. 질소가 풍부하면 생육도 왕성해지고 개화 결실도 좋아 진다.
  4. 환상박피 한 윗부분은 유관속이 절단되어 C/N울이 높아져 개화ㆍ결실이 조장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편적으로 C/N율이 높을 때 개화결실이 양호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오히려 C/N율이 낮을 때 개화결실이 양호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입니다.

    질소가 풍부하면 생육도 왕성해지고 개화 결실도 좋아진다는 이유는 질소가 식물의 생장에 중요한 영양소이기 때문입니다. 질소가 부족하면 식물의 성장이 둔화되고, 개화 결실도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환상박피 한 윗부분은 유관속이 절단되어 C/N울이 높아져 개화ㆍ결실이 조장된다는 것은 일부 식물에서 관찰되는 현상으로, 일반적인 경향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종자 파종에서 일반적인 복토 깊이를 가장 깊게 하는 것은?

  1. 상치
  2. 감자
  3. 튤립
(정답률: 알수없음)
  • 튤립은 일반적으로 복토 깊이가 20~30cm 정도로 깊게 파종하는데, 이는 튤립이 깊은 토양 속에서 뿌리를 더욱 깊게 박아서 안정적인 성장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튤립은 겨울철에도 지상부가 죽지 않고 지하에서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서 깊은 복토에서도 잘 자라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벼의 장해형 냉해에 해당외는 것은?

  1. 양분흡수 저해
  2. 광합성 저해
  3. 화분의 방출ㆍ수정 장해
  4. 암모니아의 축
(정답률: 알수없음)
  • 화분의 방출ㆍ수정 장해는 벼의 장해형 냉해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화분에서 방출되는 가스나 화분 내부의 수분 결정 등이 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양분흡수 저해는 벼가 필요한 양분을 흡수하지 못해 성장이 저해되는 것을 말하며, 광합성 저해는 벼가 태양광을 흡수하여 광합성을 하지 못해 성장이 저해되는 것을 말한다. 암모니아의 축은 벼가 암모니아를 흡수하여 성장이 저해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물보호학

61. 다음 식물체가 가진 저항성의 용어 중 수직 저항성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용어는?

  1. 부분 저항성
  2. 레이스(face) 특이적 저항성
  3. 지속 저항성
  4. 포장 저항성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이스(face) 특이적 저항성은 특정한 종류의 병원체나 해충에 대한 저항성을 의미합니다. 이는 해당 식물체가 그 종류의 병원체나 해충에 대해 특별히 저항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수직 저항성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종자소독제ㆍ베노밀ㆍ티람수화제(벤레이트티) 혹은 티오파네이트메틸ㆍ티람수화제(호마이)에 의하여 종자소독이 가능한 병해는?

  1. 진균병
  2. 세균병
  3. 바이러스병
  4. 마이코플라스병
(정답률: 알수없음)
  • 진균병은 종자 내부에 있는 진균균사에 의해 발생하는 병해입니다. 따라서 종자 소독제를 사용하여 종자 내부의 진균균사를 제거하면 진균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세균병, 바이러스병, 마이코플라스병은 종자 내부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종자 소독제로 예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용어와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액제란 주제가 수용성이고, 가수분해의 우려가 없는 경우에 주제를 물에 녹여 만든 것을 말한다.
  2. 수용제란 수용성의 유효성분을 증량제로 희석하고 분상 또는 입상의 고체로 만든 것을 말한다.
  3. 수화제란 물에 녹지 않는 주제를 카올린, 벤토나이트 등의 점토광물과 계면활성제, 분산제를 배합하여 만든 것이다.
  4. 액상수화제란 주제의 성질이 지용성인 것은 유기용매에 녹여 유화제를 첨가한 용액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액제란 주제가 수용성이고, 가수분해의 우려가 없는 경우에 주제를 물에 녹여 만든 것을 말한다. (틀린 설명)

    액상수화제란 주제의 성질이 지용성인 것은 유기용매에 녹여 유화제를 첨가한 용액을 말한다. 이는 주로 화장품, 의약품 등에서 사용되며, 지용성 성분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분제에 있어서 주성분의 농도를 낮추기 위하여 쓰이는 보조제는?

  1. 전착제
  2. 증량제
  3. 유화제
  4. 협력제
(정답률: 알수없음)
  • 주성분의 농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다른 성분들의 농도를 높여야 합니다. 이때 증량제가 사용됩니다. 증량제는 용액의 부피를 늘려서 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성분의 농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증량제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곤충 중 다배생식(多倍生殖) 하는 것은?

  1. 체체파리
  2. 민다듬이벌레
  3. 송충알좀벌
  4. 배추흰나비
(정답률: 알수없음)
  • 송충알좀벌은 다배생식을 하는 곤충으로, 하나의 암컷이 여러 번 번식하여 자손을 낳을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보기인 체체파리, 민다듬이벌레, 배추흰나비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식물 병원체가 될 수 없는 것은?

  1. 곰팡이
  2. 이끼
  3. 세균
  4. 바이러스
(정답률: 알수없음)
  • 이끼는 식물의 일종으로 병원체가 될 수 없습니다. 병원체는 독립적인 생명체로서 다른 생물체에 감염하여 질병을 일으키는데, 이끼는 이미 식물 자체이기 때문에 병원체가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끼는 식물 병원체가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곤충의 탈피에 관여하는 내분비 호르몬은?

  1. 유약호르몬
  2. 뇌호르몬
  3. 이뇨호르몬
  4. 페로몬
(정답률: 알수없음)
  • 유약호르몬은 곤충의 성숙과 탈피에 관여하는 호르몬으로, 유약선에서 분비됩니다. 이 호르몬은 곤충의 성장과 발육을 조절하며, 탈피 주기에서는 탈피를 유도합니다. 따라서, 곤충의 생애주기에서 유약호르몬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자낭균류나 담자균류처럼 유성세대를 가진 식물 병원균의 집단 중에서 같은 종이지만 개체별로 병원력에 차이를 보이는 가장 큰 원인이 되는 현상은?

  1. 교잡
  2. 돌연변이
  3. 균사융합
  4. 이질다상핵 형성
(정답률: 알수없음)
  • 교잡은 서로 다른 유전자를 가진 부모 개체들이 교배하여 새로운 조합의 유전자를 갖는 자손을 낳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같은 종의 식물 병원균이라 하더라도 부모 개체들이 가진 유전자의 조합이 다르기 때문에 자손 개체들의 병원력에 차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는 교잡이 병원균의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돌연변이나 균사융합, 이질다상핵 형성도 병원균의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지만, 교잡이 가장 큰 원인이 되는 이유는 부모 개체들이 가진 유전자의 조합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순수 보호 살균제는?

  1. 훼나리수화제
  2. 석회보르도액
  3. 카복신(cardoxin)제
  4. 베노밀제
(정답률: 알수없음)
  • 석회보르도액은 순수 보호 살균제입니다. 이는 석회와 구리 설페이트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식물병 원인균을 살균하고 식물의 잎과 줄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식물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전신적 병징에 속하는 것은?

  1. 오갈병
  2. 가지마름병
  3. 더뎅이병
  4. 모자이크병
(정답률: 알수없음)
  • 오갈병은 신경계, 근육, 관절 등 전신적인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다른 보기들은 특정 부위에 한정된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들이기 때문에 전신적 병징에 속하는 것은 오갈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여름밭 작물 포장의 주요 우점 1년생 잡초는?

  1. 냉이
  2. 바랭이
  3. 둑새풀
  4. 쇠뜨기
(정답률: 알수없음)
  • 여름밭 작물 포장에서 바랭이가 주요 우점인 이유는 바랭이가 빠르게 번식하며 다른 작물들을 침범하여 성장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바랭이는 뿌리가 얕아서 제거하기 쉽지 않아서 문제가 됩니다. 따라서 여름밭 작물 포장에서 바랭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작물의 피해 원인이 아닌 것은?

  1. 파이토플라스마
  2. 응애
  3. 잡초
  4. 뿌리혹박테리아
(정답률: 알수없음)
  • "응애"는 작물의 피해 원인이 아니며, "잡초"는 작물을 침범하여 생장을 방해하지만 직접적인 피해 원인은 아닙니다. "파이토플라스마"는 작물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뿌리혹박테리아"는 식물의 뿌리를 감염시켜 작물의 생장을 방해하고 죽음으로 이어지는 직접적인 피해 원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뿌리혹박테리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각 작물에 있어서 수확량에 관계없는 잡초의 존재와 양을 가리키는 용어는?

  1. 잡초의 허용한계
  2. 잡초의 군락집단
  3. 잡초의 진단기준
  4. 잡초의 방제제계
(정답률: 알수없음)
  • 작물의 수확량과는 관계없이 잡초가 일정 수준 이상 존재하면 작물의 성장과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 때, 그 잡초의 양이 허용되는 한계를 "잡초의 허용한계"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용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혹을 만드는 해충은?

  1. 솔잎혹파리
  2. 벼줄기굴파리
  3. 뽕나무하늘소
  4. 목화진딧물
(정답률: 알수없음)
  • 솔잎혹파리는 솔나무의 잎에 알을 낳고 유충이 발달하여 잎을 먹으면서 혹을 만드는 해충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나무나 작물의 잎에 알을 낳고 유충이 발달하여 해충으로 작용하지만, 혹을 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1년에 2회 발생하여 볏짚이나 볏 그루 속에서 유충태로 월동한다. 4월경부터 용화하기 시작하여 벼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1회 발생 최성기는 6월상순, 2회 발생 최성기는 8월 중순경이며 난기(卵期)가 5~7일 소요되는 해충은?

  1. 두줄꼬마밤나방
  2. 애멸구
  3. 이화명나방
  4. 끝동매미충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해충은 벼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1년에 2회 발생하며 볏짚이나 볏 그루 속에서 유충태로 월동합니다. 최성기는 1회 발생이 6월상순, 2회 발생이 8월 중순경이며, 난기(卵期)가 5~7일 소요됩니다. 이러한 특징들을 고려해보면, 이화명나방이 해당 문제의 정답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균류 중 무격벽 균사를 가지며 다핵(多核)인 것은?

  1. 자낭균문
  2. 담자균문
  3. 난균문
  4. 불완전균문
(정답률: 알수없음)
  • 난균문은 무격벽 균사를 가지며 다핵(多核)인 균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단핵(單核)균으로, 난균문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아연(zn) 결핍으로 생기는 병이 아닌 것은?

  1. 감귤류 로젯트병
  2. 핵과류 소형잎형
  3. 무 검은무늬병
  4. 감귤류 얼룩잎병
(정답률: 알수없음)
  • 아연 결핍은 감귤류 로젯트병, 핵과류 소형잎형, 감귤류 얼룩잎병과 같은 병을 유발할 수 있지만, 무 검은무늬병은 아연 결핍과는 무관한 병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과수원, 나지상태 포장에 피복작물(cover crops)재배로 잡초발생, 병해충 서식을 억제하고 토양 비옥도를 높이는 잡초 발생법은?

  1. 경합 특성 이용법
  2. 물리적 방제법
  3. 예방적 방제법
  4. 감귤류 얼룩잎병
(정답률: 알수없음)
  • 경합 특성 이용법은 작물과 잡초가 경쟁하면서 작물이 더 강하게 자라도록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 작물과 경쟁하는 잡초를 피복작물로 재배하여 작물과 잡초가 함께 자라도록 합니다. 이렇게 하면 잡초가 작물보다 먼저 자라서 작물이 더 강하게 자라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피복작물은 토양을 보호하고 비옥도를 높여주기 때문에 작물의 생육을 돕는 효과도 있습니다. 이 방법은 물리적 방제법이나 예방적 방제법과 달리 환경친화적이며, 감귤류 얼룩잎병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복숭아진딧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무시충과 유시충이 있다.
  2. 식물 바이러스 병을 매개한다.
  3. 유충으로 월동한다.
  4. 꽃등에류, 풀잠자리류, 기생벌 등이 천적이다.
(정답률: 55%)
  • "유충으로 월동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복숭아진딧물은 성충으로 겨울을 넘기며, 유충은 여름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유충으로는 월동하지 않습니다.

    유충으로 월동하지 않는 이유는 복숭아진딧물이 따뜻한 기후를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겨울철에는 성충이 지하나 나무 등 따뜻한 곳에서 겨울잠을 자며, 봄이 되면 다시 활동을 시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우리나라 논의 대표적인 광엽잡초로서 종자로 번식하는 수생 1년생 잡초는?

  1. 여뀌
  2. 물달개비
  3. 쇠털골
(정답률: 알수없음)
  • 물달개비는 수생 1년생 잡초 중에서도 대표적인 광엽잡초이며, 종자로 번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종자관련법규

81. 종자산업법상 일반인이 품종보호 이의신청을 할 수 있는 기간은 출원공고일로부터 며칠 이내에 할 수 있는가?

  1. 30일
  2. 60일
  3. 90일
  4. 12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산업법 제30조에 따르면, 일반인이 품종보호 이의신청을 할 수 있는 기간은 출원공고일로부터 60일 이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종자산업법상 수출입 종자의 국내유통을 제한할 수 있는 경우는 ?

  1. 재래종 종자의 무분별한 수출 등으로 국내유전자원보존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경우
  2. 생명공학적 기법을 이용한 종자
  3. 발아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종자
  4. 특허 출원 중인 기술이 포함되어 있는 종자
(정답률: 알수없음)
  • 재래종 종자는 국내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유전자원으로, 이 종자들이 무분별하게 수출되면 국내에서 이 종자들을 사용하는 농업인들이나 연구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유전자원이 줄어들게 되어 국내유전자원보존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수출입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종자산업법상 품종명칭의 등록시 품종명칭으로서 적합한 것은 ?

  1. 숫자로만 표시한 품종명칭
  2. 당해 품종의 육성자 이름을 표기한 품종명칭
  3. 당해 품종의 가격만을 표시한 품종명칭
  4. 기호로만 표시한 품종명칭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산업법에서는 품종명칭을 등록할 때, 해당 품종의 육성자 이름을 표기한 품종명칭을 적합한 것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해당 품종의 육성자가 누구인지를 알 수 있기 때문에, 품종의 출처와 특징을 파악할 수 있어 농업 생산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숫자, 가격, 기호 등으로만 표시한 품종명칭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보증종자에 대한 사후관리시험 대상작물로 맞는 것은?

  1. 배추
  2. 장미
(정답률: 알수없음)
  • 보증종자는 품종개량 등의 과정을 거쳐 특정한 특성을 가진 우수한 품종으로 선발된 종자를 말합니다. 이러한 보증종자는 작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사후관리시험 대상작물은 보증종자로부터 생산된 씨앗을 이용하여 실제 생산을 진행하는 작물로, 벼는 대표적인 사후관리시험 대상작물입니다. 이는 벼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작물 중 하나이며, 생산량과 소비량이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벼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증종자의 사후관리시험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종자관리사에 대한 행정처분의 세부기준이 가장 미약한 것은?

  1. 종자보증과 관련하여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2. 종자관리사자격과 관련하여 1회 이중취업을 한 경우
  3. 종자보증과 관련하여 형의 선고를 받은 경우
  4. 자격정지처분을 받은 후 자격정지처분기간내에, 자격증을 사용한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보증과 관련하여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가 가장 미약한 기준인 이유는, 다른 항목들은 모두 종자관리사의 직무 수행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항들이지만, 이 항목은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에만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종자관리사의 직무 수행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어, 행정처분의 세부기준이 더 미약하게 설정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종자의 수출, 수입 또는 수입된 종자의 국내유통을 제한 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유해한 잡초종자가 환경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이상으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
  2. 기존의 국내생태계를 심각하게 파괴 시킬 우려가 있는 경우
  3. 특정 병해충이 확산 될 우려가 있는 경우
  4. 수입된 종자로부터 생산된 농산물의 특수성분으로 인하여 국민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유해한 잡초종자가 환경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이상으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종자의 수출, 수입 또는 국내유통을 제한할 수 없는 경우입니다. 이유는 환경부장관이 정한 기준 이상으로 유해한 잡초종자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만 제한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종자가 국내생태계를 파괴하거나 병해충을 확산시키는 등 국내에 해를 끼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제한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종자산업법의 육성과 품종보호권의 보호 및 품종목록제도에 관련된 종자위원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위원수는 8인 이내로 하고 분야별 전문가와 법률전문가 1인으로 구성한다.
  2.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고, 2회에 한하여 연임할 수 있다.
  3. 위원회에서 의결된 사항에 대해서는 농림부장관은 반드시 이행한다.
  4. 위원회의 위원장은 위원회의 위원 중에서 농림부장관이 임명 또는 위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원수는 8인 이내로 하고 분야별 전문가와 법률전문가 1인으로 구성한다."가 틀린 것이다. 종자산업법에서는 위원수를 9인 이내로 하고, 분야별 전문가와 법률전문가는 각각 2인씩 구성한다.

    위원회에서 의결된 사항에 대해서는 농림부장관은 반드시 이행하는 이유는, 종자산업법에서 위원회는 농림부장관의 자문기구로서, 농림부장관이 종자산업법에 따라 종자산업을 육성하고 품종보호권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위원회에 상의하고 의결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원회에서 의결된 사항은 농림부장관이 종자산업법에 따라 이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국가품종목록 등재품종의 공고를 할 때 다음의 공고 예시 중 맞지 않는 것은?

  1. 품종의 학명 : Oiyza sativa L.
  2. 품종의 일반명 : 벼(Rice)
  3. 품종의 육성과정 : 본 품종은 일대잡종품종으로 육성된 모본 A와 부본 B를 1994년에 교배하여 조함능력을 검정 하고....
  4. 품종목록등재 공고번호 : 2007-0023
(정답률: 알수없음)
  • "품종의 일반명 : 벼(Rice)"은 맞는 공고 예시입니다.

    "품종목록등재 공고번호 : 2007-0023"은 해당 품종이 국가품종목록에 등재되었음을 나타내는 공고 번호입니다. 이 공고는 해당 품종이 국내에서 사용 및 육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것이며, 등재된 품종의 정보와 함께 공고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종자의 사후관리시험의 기준 밎 방법 중 검사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품종의 순도
  2. 품종의 영속성
  3. 품종의 진위
  4. 종자 전염벙
(정답률: 알수없음)
  • 품종의 영속성은 검사항목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품종이 시간이 지나도 일정한 특성을 유지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다른 검사항목들은 종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는 것에 비해 더 오랜 시간적인 관점에서 검사를 진행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품종의 순도는 현재 시점에서 종자 내에 다른 종자의 유전자가 섞여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고, 품종의 진위는 해당 종자가 명시된 품종인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종자 전염병은 현재 시점에서 해당 종자가 감염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국내에 주소 또는 영업소를 가진 자로부터 품종보호에 관한 절차를 밟을 것을 위임받은 대리인이 특별한 수권을 얻지 않았을 경우에도 할 수 있는 행위는 ?

  1. 우선권의 주장 또는 그 취하
  2. 청구 또는 신청의 취하
  3. 복대리인의 선임
  4. 품종보호출원
(정답률: 알수없음)
  • 주소나 영업소를 가진 자로부터 품종보호에 관한 절차를 위임받은 대리인이 특별한 수권을 얻지 않았을 경우에도 할 수 있는 행위는 "품종보호출원"입니다. 이는 대리인이 품종보호 출원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하고, 출원서를 작성하여 출원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리인이 특별한 수권을 얻지 않았을 경우에는 할 수 없는 행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종자산업법상 품종보호권의 효력이 미치는 경우는?

  1.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보호품종의 실시
  2. 실험 또는 연구를 위한 보호품종의 실시
  3. 다른 품종의 육성하기 위한 보호품종의 실시
  4. 자가소비를 하기 위한 보호품종의 실시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산업법상 품종보호권은 해당 품종을 영리적인 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만 효력을 발생합니다. 따라서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보호품종의 실시"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영리적인 목적이 아닌 경우에도 품종보호권이 효력을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국가품종목록에 등재되지 아니한 벼 종자를 판매한 자에게 해당되는 벌칙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4. 4년 이하의 징역 또는 4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알수없음)
  • 국가품종목록에 등재되지 아니한 벼 종자를 판매한 자는 법에 의해 인정되지 않은 벼 종자를 유통시키는 것이므로, 이는 법적으로 문제가 된다. 이에 따라 해당 법을 위반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받게 된다. 이는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은 벼 종자를 유통시키는 것이 경제적인 이익을 얻는 것보다는 법적인 위반으로 인한 벌금이 더 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종자산업법상 종자업 등록의 취소나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영업의 정지를 명할 수 없는 것은?

  1. 등록일로부터 1년 이내에 사업을 착수하지 아니한 때
  2. 등록 후 규정에 의한 시설 기중에 미달한 때
  3. 종자산업법에 의한 명령에 위반한 때
  4. 종자업을 등록한 후 정당한 사유 없이 6개월 이상 휴업 한때.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산업법은 종자업체의 안전한 운영과 소비자 보호를 위해 등록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등록제도에서는 종자업체가 등록 후에도 일정한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그 중 하나가 영업의 지속입니다. 종자업체가 등록 후 정당한 이유 없이 6개월 이상 영업을 중단하면, 이는 소비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종자산업법에서는 이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종자업 등록의 취소나 영업 정지 명령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종자산업법상의 벌칙규정 중 5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품종보호권 및 전용실시권의 상속 기타 일반승계의 취지를 신고하지 않은 자.
  2. 품종보호권 실시보고의 명령에 응하지 아니한 자.
  3. 임시보호권을 침해한 자.
  4. 민사소송법에 의하여 선서한 당사자 또는 법정대리인이 농림부에 대하여 허위로 진술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5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임시보호권을 침해한 자"입니다. 이는 종자산업법에서 매우 중요한 벌칙규정 중 하나로, 임시보호권은 품종보호권 등록 전에 농작물의 품종을 보호하기 위해 부여되는 권리입니다. 따라서 이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는 매우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어, 5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으로는 충분히 대응할 수 없다고 판단되어 해당 벌칙규정에서 제외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종자산업법상 보증된 감자 증서를 보급하고자 할 때 보증이후의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증종자에 대한 사후 관리시험을 실시하였다.
  2. 보증표시를 하지 않아 보증의 효력이 발생하기 않았다.
  3. 종자관리사의 감독하에 분포장하여 표시내용도 달리하여 보증표시를 하였다.
  4. 보증의 유효기간이 경과하여 유통된 증서를 다시 회수 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증표시를 하지 않아 보증의 효력이 발생하기 않았다."가 틀린 것입니다.

    종자산업법상 보증된 감자 증서를 보급하고자 할 때, 보증이후의 관리에는 보증종자에 대한 사후 관리시험을 실시하고, 종자관리사의 감독하에 분포장하여 표시내용도 달리하여 보증표시를 해야 합니다. 보증의 유효기간이 경과하여 유통된 증서는 다시 회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유전자변형종자의 경우에는 포장일자란 아래에 「유전자변형 종자임」 이라고 표시하고, 바탕색은 적색으로, 글씨는 검정색으로 표시하는 채종 단계의 보증종자는?

  1. 원원종
  2. 원종
  3. 보증종( I )
  4. 보증종( II )
(정답률: 28%)
  • 유전자변형종자는 일반적인 채소나 과일과는 달리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만들어진 종자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이에 대한 정보를 알아야 합니다. 따라서 포장일자 아래에 "유전자변형 종자임"이라는 표시를 해야 합니다. 이때 바탕색은 적색으로, 글씨는 검정색으로 표시합니다. 이와 달리 보증종(II)는 일반적인 채소나 과일과 같이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조작하지 않은 종자입니다. 따라서 유전자변형종자와 구분하기 위해 포장에 표시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종자업을 영위하고자 하는 자는 종자관리사 1인 이상을 두어야 한다. 그러나 종자관리사를 두지 않고 종자를 생산ㆍ판매할 수 있는 대상 작물은?

  1. 고구마
  2. 양송이
(정답률: 37%)
  • 고구마는 종자 대신 뿌리를 이용하여 번식하기 때문에 종자를 생산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종자관리사를 두지 않고도 종자 생산 및 판매가 가능하다. 하지만 벼, 콩, 양송이는 종자를 이용하여 번식하기 때문에 종자관리사를 두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종자업을 영위하고자 하는 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을 갖추어 종자업 등록을 하여야 한다. 다만 종자업등록을 하지 않고 국가품종목록에 등재된 품종의 종자를 대행하여 생산할 수 없는 자는 ?

  1. 시ㆍ도지사
  2. 산림조합법에 따른 산림조합중앙회
  3. 50인 이상 종업원을 고용한 종자업체
  4. 농촌진흥청장
(정답률: 알수없음)
  • 50인 이상 종업원을 고용한 종자업체는 규모가 큰 종자업체로서, 대량 생산과 유통을 담당하며, 종자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인력과 시설 등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국가품종목록에 등재된 품종의 종자를 대행하여 생산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되어 해당 기준에서 제외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종자산업법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신품종에 대한 육성자의 권리보호
  2. 주요 작물의 품종성능의 관리
  3. 국내 생산 종자의 수출 촉진
  4. 종자산업의 발전 도모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산업법의 목적은 국내 생산 종자의 수출 촉진이 아니다. 이는 종자산업의 발전과 관련된 목적이 아니며, 종자산업법에서는 국내 생산 종자의 품질 및 성능 관리, 육성자의 권리보호, 종자산업의 발전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시장ㆍ군수가 벼 종자를 생산하는 경우 어떤 보증을 받아야 하는가?

  1. 국가보증
  2. 정부보증
  3. 자체보증
  4. 무보증
(정답률: 알수없음)
  • 시장이나 군수가 벼 종자를 생산하는 경우, 그 벼 종자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국가보증을 받아야 합니다. 이는 국가가 법적으로 보증하는 것으로,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경우 국가가 책임을 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시장이나 군수는 국가보증을 받아야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벼 종자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