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8-17)

종자기사
(2014-08-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종자생산학

1. 보리종자의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환경의 영향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종자의 단백질함량은 종자발달의 초기에 주로 축적된다.
  2. 종자의 단백질함량은 종자발달의 후기에 주로 축적된다.
  3. 종실의 발달기간에 환경조건이 좋으면 단백질 농도가 증가한다.
  4. 종실의 발달기간에 환경조건이 나쁘면 단백질 농도가 증가한다.
(정답률: 44%)
  • 종실의 발달기간에 환경조건이 나쁘면 단백질 농도가 증가한다. 이는 환경조건이 나쁘면 보리 식물이 생존을 위해 단백질을 더 많이 축적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종자휴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배 휴면을 하는 종자의 휴면타파를 위하여 저온처리 할 때 0~6℃의 온도가 적당하다.
  2. gibberellin은 cytokinin과 ABA를 함께 사용했을 때 ABA의 억제작용을 상쇄하는 제3의 호르몬 역할을 한다.
  3. 수확전 종자의 발달과 성숙기간동안의 환경요인들은 배의 휴면기간에 영향을 끼친다.
  4. 경실종자는 자연조건과 유사한 휴면타파방법으로서 고온처리법과 변온처리법이 있다.
(정답률: 72%)
  • "gibberellin은 cytokinin과 ABA를 함께 사용했을 때 ABA의 억제작용을 상쇄하는 제3의 호르몬 역할을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gibberellin은 ABA의 억제작용을 상쇄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gibberellin은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발아검사 결과 재시험을 해야 할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4반복의 반복 간 차이가 최대 허용범위를 벗어났을 때
  2. 휴면종자가 많았을 때
  3. 발아세가 낮았을 때
  4. 발아상(床)에 1차감염이 심했을 때
(정답률: 80%)
  • 발아검사는 종자의 발아력을 측정하여 품질을 판단하는 검사이다. 따라서 발아세가 낮을 경우에는 해당 종자의 품질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재시험을 해야 할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종자의 발아력을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반복 간 차이, 휴면종자, 발아상 등이 있으며, 이들 요인들이 발아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재시험을 해야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종묘회사에서 해외채종을 하게 되는 가장 주된 이유는?

  1. 채종포 격리가 쉽다.
  2. 병충해 감염의 우려가 적다.
  3. 기후조건이 채종에 유리하다.
  4. 원산지에서의 모본선발이 유리하다.
(정답률: 71%)
  • 종묘회사에서 해외채종을 하게 되는 가장 주된 이유는 기후조건이 채종에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즉, 해당 식물이 원산지보다 더 좋은 기후조건에서 잘 자라고 번식할 수 있기 때문에 해외에서 채종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중복수정에서 배유가 형성되는 것은?

  1. 정핵과 극핵
  2. 정핵과 난핵
  3. 화분관핵과 정핵
  4. 극핵과 화분관핵
(정답률: 77%)
  • 중복수정에서 배유가 형성되는 것은 "정핵과 극핵"입니다. 이는 정핵과 극핵이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정핵은 DNA의 복제와 전사에 관여하고, 극핵은 세포분열과 관련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역할 분담으로 인해 중복수정에서 배유가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여름철 재배되는 시금치 품종의 채종적지로 알맞은 곳은?

  1. 해발이 높은 고냉지대
  2. 강우가 적은 건조지대
  3. 장일조건이 되는 고위도지대
  4. 고온조건인 적도에 가까운 지대
(정답률: 72%)
  • 시금치는 장일조건이 필요한 작물이기 때문에 여름철 재배되는 시금치 품종의 채종적지로는 "장일조건이 되는 고위도지대"가 알맞습니다. 이 지역은 일년 내내 일조량이 많고, 온도가 낮아 시금치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종자검사시료의 추출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균분기 이용
  2. 표본방법
  3. 무작위컵방법
  4. 균분격자방법
(정답률: 45%)
  • 종자검사시료의 추출방법으로는 균분기 이용, 무작위컵방법, 균분격자방법이 적합하지만, 표본방법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표본방법은 특정한 부분만을 대표적으로 추출하기 때문에, 종자의 전체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종자검사시료의 추출방법으로는 균분기 이용, 무작위컵방법, 균분격자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옥신 1M을 만들려면 물 1L에 얼마의 옥신이 필요한가? (단, 옥신의 분자량은 175.15로 한다.)

  1. 1.7518g
  2. 17.518g
  3. 175.18g
  4. 1751.8g
(정답률: 69%)
  • 옥신 1몰의 질량은 분자량인 175.15g이므로, 1L의 물에 필요한 옥신의 질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M = 1 mol/L
    1 mol 옥신의 질량 = 175.15g
    1 L의 물에 필요한 옥신의 질량 = 1 mol/L x 175.15g/mol = 175.15g/L

    따라서, 정답은 "175.18g"이 아니라 "175.15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배추나 양배추에서 뇌수분을 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1. 종자휴면을 타파할 때
  2. 자가불화합성 양친의 자식계통을 얻을 때
  3. F1교잡종자를 채종할 때
  4. 웅성불임계통을 유지할 때
(정답률: 73%)
  • 배추나 양배추에서 뇌수분을 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자가불화합성 양친의 자식계통을 얻을 때입니다. 이는 자가불화합성 양친의 유전자를 유지하기 위해 교잡을 피하고 순종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채소작물 채종에서 웅성불임 개체를 찾으려고 노력하는 이유는?

  1. 재배하기 쉽다.
  2. 병충해에 강하다.
  3. 과실당 채종량을 높일 수 있다.
  4. 인공교배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정답률: 68%)
  • 웅성불임 개체는 자가수분화가 가능하므로 인공교배작업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채소작물 채종에서 웅성불임 개체를 찾는 것은 인공교배작업을 간소화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오이의 암꽃착생비율을 증가시키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은?

  1. GA
  2. CPA
  3. ethylene
  4. cytokinin
(정답률: 61%)
  • 오이의 암꽃착생은 ethylene에 의해 조절되기 때문입니다. Ethylene은 식물에서 다양한 생리적 반응을 조절하는 가스 상태의 호르몬으로, 과일의 숙성, 꽃의 개화, 잎의 낙엽 등 다양한 생리적 현상을 조절합니다. 오이의 암꽃착생은 ethylen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촉진되기 때문에, ethylene을 이용하여 오이의 암꽃착생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종자 훈증제의 구비조건이 되지 못하는 것은?

  1. 공기보다 가벼워야한다.
  2. 불연성이고 비폭발성이어야 한다.
  3. 종자의 활력에 영향을 주지 말아야 한다.
  4. 가격이 싸고 사용할 때 증발이 쉬워야 한다.
(정답률: 73%)
  • 종자 훈증제는 작은 입자로 분사되어 식물의 잎이나 줄기에 부드럽게 분포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공기보다 가벼워야 한다는 것은 분사 후 공기 중에 떠다니지 않고 식물에 부드럽게 분포될 수 있도록 입자가 가벼워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작물이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 전환되는 시점은?

  1. 종자발아기
  2. 화아분화기
  3. 감수분열기
  4. 개화기
(정답률: 68%)
  • 화아분화기는 작물이 생식생장으로 전환되는 시기인 꽃봉오리가 형성되는 시기를 말합니다. 이 시기에는 꽃받침, 꽃잎, 꽃방울 등 꽃의 구성요소들이 형성되며, 이후에는 꽃이 개화하여 수술이나 수종 등의 생식행동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화아분화기가 작물의 생식생장으로 전환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주로 자가불화합성을 활용한 채종체계가 확립된 대표적 작물은?

  1. 박과 작물
  2. 콩과 작물
  3. 가지과 작물
  4. 배추과 작물
(정답률: 75%)
  • 배추과 작물은 자가불화합성을 통해 탄수화물을 합성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채종체계가 확립되었습니다. 이러한 작물은 대부분 겨울철에 재배되며, 추위에도 잘 자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배추, 무, 브로콜리 등이 배추과 작물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작물병의 진단요소가 아닌 것은?

  1. 병원체
  2. 표징
  3. 병환
  4. 병징
(정답률: 58%)
  • "병환"은 작물병의 진단요소가 아닙니다. "병환"은 작물이나 식물이 질병에 걸렸을 때 나타나는 증상이나 변화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병환"은 작물병의 진단요소가 아닙니다. 반면에, "병원체"는 작물병의 원인이 되는 균 또는 바이러스를 의미하고, "표징"은 작물병의 특징적인 증상을 의미하며, "병징"은 작물병의 진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상추종자를 채종한 후 상온하에서 휴면타파를 위한 저장방법은?

  1. 건조 저장
  2. 다습 저장
  3. 고온 저장
  4. 저온 저장
(정답률: 40%)
  • 상추종자는 습기에 민감하므로 다습한 환경에서 저장하면 발아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고온이나 저온에서도 저장하면 종자의 생존력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추종자를 채종한 후 상온하에서 휴면타파를 위한 저장방법으로는 건조 저장이 적합합니다. 건조한 상태에서 저장하면 습기를 흡수하지 않으므로 발아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종자저장을 위해 사용되는 건조제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SO2
  2. H2SO4
  3. HNO3
  4. CaO
(정답률: 47%)
  • SO2는 황산화제로 작용하여 식물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종자저장을 위해 사용되는 건조제로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경실종자의 휴면타파 방법으로 효과가 가장 낮은 것은?

  1. 질산칼륨처리
  2. 끓는 물에 담금
  3. 산으로 상처내기
  4. 종피에 기계적 상처내기
(정답률: 41%)
  • 질산칼륨처리는 경실종자의 휴면을 깨우는 효과가 가장 낮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질산칼륨이 경실종자의 내부 구조를 파괴하지 않고 휴면을 깨우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에 비해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농약과 색소를 혼합하여 접착제(polymer)로 종자표면에 얇게 코팅처리를 하는 것은?

  1. 종자펠릿
  2. 필름코팅
  3. 장환종자
  4. 피막종자
(정답률: 70%)
  • 농약과 색소를 혼합하여 종자표면에 얇게 코팅하는 것을 필름코팅이라고 합니다. 이는 종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발아율을 높이며, 작물의 생육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즉, 필름코팅은 종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생식세포의 접합에 의하여 생성된 배유의 염색체 조성은?

  1. 1n
  2. 2n
  3. 3n
  4. 4n
(정답률: 74%)
  • 생식세포는 1n 즉, 단일 염색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접합이 일어나면 1n의 염색체를 가진 두 개체가 합쳐져 2n의 염색체를 가진 배유가 생성됩니다. 그러나 배유는 생식세포에서 한 번 더 분열을 하기 때문에 2n의 염색체를 가진 세포가 생성됩니다. 이 세포가 다시 접합을 하면 2n + 2n = 4n의 염색체를 가진 세포가 생성됩니다. 하지만 배유는 접합 후에도 분열을 하지 않고 발달을 진행하므로, 3n의 염색체 조성을 가진 배유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n이 아닌 2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식물육종학

21. 유전자 재조합과 관계없이 어떤 원인에 의하여 유전물질 자체에 변화가 일어나 발생되는 변이는?

  1. 양적변이
  2. 교배변이
  3. 방황변이
  4. 돌연변이
(정답률: 75%)
  • 유전자 재조합과는 관계없이, 유전물질 자체에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돌연변이라고 합니다. 이는 자연적인 원인으로 발생할 수도 있고,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유발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외선, 화학물질, 방사선 등이 유전물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돌연변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순계분리(純系分離) 육종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타식성 작물에 적용되는 육종법으로 내병성 작물 육종에 많이 적용되는 육종법이다.
  2. 자연 상태에서 잡박한 여러 순계가 혼합되어 있을 때에 효과가 있다.
  3. 동일한 순계 내에서 자연돌연변이가 일어나지 아니할 때는 효과가 없다.
  4. Johannsen의 순계설에 이론적 근거를 두었다.
(정답률: 66%)
  • "타식성 작물에 적용되는 육종법으로 내병성 작물 육종에 많이 적용되는 육종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순계분리는 내병성 작물 육종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내병성 작물은 내성을 가진 순계를 선택하여 육종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순계분리는 유전적으로 다양한 순계를 분리하여 순수한 유전자형을 얻는 것이 목적이며, 이는 타식성 작물에서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유전적 평형집단에서 A 유전자의 빈도를 0.7, a 유전자의 빈도를 0.3이라고 했을 때 집단 내에서 AA, Aa, aa의 유전자형의 빈도는?

  1. AA: 0.7, Aa: 0.21, aa: 0.3
  2. AA: 0.49, Aa: 0.42, aa: 0.09
  3. AA: 0.09, Aa: 0.42, aa: 0.49
  4. AA: 0.7, Aa: 0, aa: 0.3
(정답률: 72%)
  • 유전적 평형집단에서 하나의 유전자의 빈도는 p + q = 1이다. 여기서 p는 대립유전자 A의 빈도, q는 대립유전자 a의 빈도이다. 따라서 p = 0.7, q = 0.3이다.

    유전자형의 빈도는 각각의 유전자의 빈도를 곱해서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A 유전자형의 빈도는 p × p = 0.7 × 0.7 = 0.49이다. Aa 유전자형의 빈도는 2pq = 2 × 0.7 × 0.3 = 0.42이다. aa 유전자형의 빈도는 q × q = 0.3 × 0.3 = 0.09이다.

    따라서 정답은 "AA: 0.49, Aa: 0.42, aa: 0.0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내병성 육종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상되는 병이 많이 발생하는 계절에 선발한다.
  2. 튼튼하게 키우기 위하여 농약살포를 충분히 한다.
  3. 대상되는 병에 대해 제일 약한 품종을 일정한 간격으로 심는다.
  4. 병원균을 인위적으로 살포하여 준다.
(정답률: 77%)
  • 내병성 육종과정에서 틀린 것은 "튼튼하게 키우기 위하여 농약살포를 충분히 한다." 이다. 내병성 육종은 병에 강한 품종을 개발하기 위한 과정으로, 농약 사용을 최소화하고 자연적인 방법으로 병을 예방하고 대처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농약 사용은 가능한 한 줄이고, 대신 생물학적 방식으로 병을 예방하고 대처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식물조직배양 기술 중 배주(胚珠)배양이나 배(胚)배양은 주로 어떤 경우에 적용하는가?

  1. 품질이 우수한 품종을 육성코자 할 때
  2. 여교배에 의하여 동질 유전자계통을 육성코자 할 때
  3. 종속간 교배에 의한 유용한 유전자 도입을 목표로 할 때
  4. 수량이 많은 합성품종을 육성코자 할 때
(정답률: 57%)
  • 배주(胚珠)배양이나 배(胚)배양은 종속간 교배에 의한 유용한 유전자 도입을 목표로 할 때 적용한다. 이는 다양한 품종 간에 유용한 유전자를 도입하여 새로운 품종을 육성하는 데에 활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품질 개선, 동질 유전자계통 육성, 수량 생산 등 다른 목적에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종속간 교잡육종법의 장점은?

  1. 교잡을 하기 쉽다.
  2. 종자의 임실율이 높아진다.
  3. 변이의 폭을 확대할 수 있다.
  4. 적은 수의 유전자를 집적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62%)
  • 종속간 교잡육종법은 서로 다른 두 종을 교잡하여 새로운 유전적 특성을 얻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두 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결합하여 변이의 폭을 확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유전적 특성을 발견하고 선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토마토 과실 하나 안에 종자가 500개 생겼을 때에 그 생성 과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한 개의 난세포와 한 개의 화분에 의해 생긴 한 개의 접합자가 분열하여 500개의 종자를 생산하였다.
  2. 한개의 난세포가 500개의 화분에 의해 수정되어 종자로 발육하였다.
  3. 500개의 난세포가 하나의 화분에 의해 수정되어 종자로 발육하였다.
  4. 500개의 난세포가 각각 다른 화분에 의해 수정되어 종자로 발육하였다.
(정답률: 62%)
  • 500개의 난세포가 각각 다른 화분에 의해 수정되어 종자로 발육하였다. 이는 토마토의 꽃에서 수술이 일어나면, 수술 부위에 있는 난자세포와 꽃받침 부위에 있는 화분이 접합하여 새로운 개체인 열매가 생기는데, 이 열매 안에 있는 종자들이 각각 다른 화분에서 발육하여 생긴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일대잡종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작물은?

  1. 옥수수
(정답률: 58%)
  • 옥수수는 일대잡종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작물 중 하나입니다. 이는 옥수수가 다른 작물과 함께 재배할 때 서로의 생장을 돕고, 토양의 영양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옥수수는 높은 생산성과 영양가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배우체형 자가불화합성과 포자체형 자가불화합성의 차이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불화합성이 배우체형은 화주 내에서, 그리고 포자체형은 주두의 표면에서 발현된다.
  2. 불화합성 관련 대립유전자 간에 배우체형은 우열관계, 포자체형은 공우성 관계가 성립된다.
  3. 주두 표면의 특성 비교 시 배우체형 식물의 주두는 건성이고, 포자체형 식물의 주두는 습성(점성)이다.
  4. 불화합성에 관련된 유전자가 배우체형은 한 쌍이고, 포자체형은 여러 쌍이다.
(정답률: 61%)
  • 배우체형과 포자체형은 불화합성이라는 생식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배우체형은 화주 내에서 불화합성이 일어나고, 포자체형은 주두의 표면에서 불화합성이 발현됩니다. 이는 배우체형이 자신과 다른 유전자를 가진 개체와 불화합성을 일으키는 반면, 포자체형은 자신과 같은 유전자를 가진 개체와 불화합성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불화합성 관련 대립유전자 간에는 배우체형은 우열관계가 있고, 포자체형은 공우성 관계가 성립됩니다. 주두 표면의 특성 비교 시 배우체형 식물의 주두는 건성이고, 포자체형 식물의 주두는 습성(점성)입니다. 불화합성에 관련된 유전자가 배우체형은 한 쌍이고, 포자체형은 여러 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육성계통의 생산력 검정을 위한 포장시험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양의 균일성 유지
  2. 품종 및 계통의 임의 배치
  3. 반복실험
  4. 일장처리
(정답률: 59%)
  • 일장처리는 다른 처리와 구분되어야 하며, 실험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일장처리란 실험에서 특별한 처리를 받는 것으로, 다른 처리와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일장처리는 실험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생산력 검정을 위한 포장시험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서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유전자(gene)를 가장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plasmagene
  2. 핵산과 단백질로 구성된 물질
  3. 질소를 가진 염기 3개로 구성된 RNA절편
  4. 단백질 합성을 위한 완전한 염기코드를 가진 DNA절편
(정답률: 65%)
  • 유전자는 생물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DNA 분자의 일부분으로, 단백질 합성을 위한 완전한 염기코드를 가진 DNA 절편을 말합니다. 이 염기코드는 RNA를 거쳐 단백질로 번역되어 생물의 생명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유전자는 생물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품종퇴화를 방지하고 품종의 특성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개체집단선발법
  2. 계통집단선발법
  3. 방임 수분
  4. 격리재배
(정답률: 78%)
  • 방임 수분은 품종의 특성을 유지하는 방법이 아니라, 오히려 품종퇴화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틀린 것은 "방임 수분"입니다. 개체집단선발법과 계통집단선발법은 품종의 특성을 유지하고 품종퇴화를 방지하는 방법으로, 격리재배은 품종의 특성을 유지하고 발현시키는 데에 도움을 주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주로 타가수정 작물에 적용하는 육종방법으로 개체 또는 계통의 집단을 대상으로 선발을 거듭하는 방법은?

  1. 계통분리법
  2. 인공교배법
  3. 도입육종법
  4. 단위생식 이용법
(정답률: 81%)
  • 계통분리법은 한 개체 또는 계통의 집단을 대상으로 유전적으로 다양한 특성을 가진 개체들을 선발하여 새로운 계통을 형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면서 원하는 특성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타가수정 작물에 적용하는 육종방법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원연종간의 유전질 조합방법으로 체세포를 이용하는 것은?

  1. 복교잡
  2. 원형질체 융합
  3. 3계교잡
  4. 배배양
(정답률: 60%)
  • 원형질체 융합은 두 개의 체세포에서 원형질체를 추출하여 합쳐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빠르고 간단하며, 다양한 종의 유전자를 조합할 수 있어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원형질체 융합이 정답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벼 농사의 녹색 혁명과 관련이 있는 기관은?

  1. USDA
  2. CIMMYT
  3. IRRI
  4. AVRDC
(정답률: 80%)
  • IRRI는 국제벼연구원(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의 약자로, 1960년대에 일어난 녹색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IRRI는 새로운 벼 품종을 개발하고, 벼 생산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하는 등의 연구를 통해 세계적인 식량위기를 해결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를 통해 벼 농사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고, 세계적인 식량위기를 막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육종을 위한 교배친 선정시 고려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교배친으로 사용한 실적을 참고, 우량품종을 육성한 실적이 많은 계통을 교배친으로 사용한다.
  2. 목표형질 이외에 자방친과 화분친의 유전적 조성이 다를수록 좋다.
  3. 대상지역의 주요품종과 주요품종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품종을 교배친으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여러 지역에서 수집한 자원은 같은 장소에서 특성을 조사해야하며, 양적형질은 여러 해 반복해서 조사해야한다.
(정답률: 75%)
  • "목표형질 이외에 자방친과 화분친의 유전적 조성이 다를수록 좋다."가 틀린 것이다. 육종을 위한 교배친 선정시에는 목표형질 이외에도 자방친과 화분친의 유전적 조성이 다를수록 좋다. 이는 유전적 다양성을 높여 육종의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장벽수정(hercogamy)의 대표적 식물은?

  1. 양파
  2. 복숭아
  3. 붓꽃
  4. 국화
(정답률: 64%)
  • 붓꽃은 장벽수정(hercogamy)이 발달한 대표적인 식물 중 하나입니다. 장벽수정은 꽃받침과 꽃차례가 서로 다른 위치에 있어 수컷과 암컷 생식기관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적인 변화를 말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꽃받침과 꽃차례의 위치가 서로 다른 붓꽃에서 특히 잘 발달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냉이의 삭과형에서 부채꼴 × 창꼴의 F1은 부채꼴이고, F2에서는 부채꼴과 창꼴이 15:1로 분리된다면, 이러한 유전인자는?

  1. 보족유전자
  2. 억제유전자
  3. 중복유전자
  4. 변경유전자
(정답률: 72%)
  • 이러한 형질은 중복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 중복유전자는 하나의 형질을 결정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유전자가 필요하며, 각각의 유전자가 독립적으로 작용하여 형질을 결정한다. 따라서 F1에서는 부채꼴이 우세한 형질이 나타나고, F2에서는 부채꼴과 창꼴이 15:1로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결과는 냉이의 삭과형에서 중복유전자가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자식성 작물의 변이집단에서 개체선발 효과를 알기 위한 척도가 되는 것은?

  1. 유전력
  2. 표현형 지배가
  3. 잡종강세 현상
  4. 자식약세 현상
(정답률: 61%)
  • 유전력은 개체의 유전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자식성 작물의 변이집단에서 개체선발 효과를 알기 위한 가장 중요한 지표입니다. 유전력이 높을수록 개체의 유전적인 특성이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개체선발에 따른 효과도 더욱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유전력이 높은 개체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특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전시킬 수 있습니다. 표현형 지배가, 잡종강세 현상, 자식약세 현상은 모두 유전적인 현상이지만, 개체선발 효과를 나타내는 척도로는 유전력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자식열세 현상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가수정 작물이나 타가수정 작물 모두에서 나타난다.
  2. 열성유전자의 동형화에 의하여 불량형질이 나타난다.
  3. 자식열세 현상은 세대를 거듭하여도 거의 일정한 비율로 나타난다.
  4. 자식열세 현상은 자식 초기에는 적지만 자식 후기에는 크다.
(정답률: 42%)
  • 자식열세 현상은 열성유전자의 동형화에 의하여 불량형질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이는 자가수정 작물이나 타가수정 작물 모두에서 나타납니다. 자식열세 현상은 세대를 거듭하여도 거의 일정한 비율로 나타나며, 자식 초기에는 적지만 자식 후기에는 크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재배원론

41. 감자나 고구마의 파종기나 이식기가 늦어졌을 때 T/R율이 커지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탄수화물의 축적이 지하부에서 더 빨리 진행되기 때문이다.
  2. 지하부의 중량감소가 지상부의 중량감소보다 커지기 때문이다.
  3. 지하부의 생장보다 지상부의 생장이 더 크게 저해되기 때문이다.
  4. 지하부에 질소집적이 많아지고 단백질 합성이 왕성해지기 때문이다.
(정답률: 64%)
  • 감자나 고구마는 뿌리 부분이 지하에 있기 때문에, 지하부의 생장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파종이나 이식이 늦어지면 지하부의 생장이 더 늦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지하부의 중량감소가 지상부의 중량감소보다 더 커지게 된다. 이는 탄수화물의 축적과 직결되는데, 지하부에서는 탄수화물의 축적이 더 빨리 진행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지하부의 중량감소가 지상부의 중량감소보다 커지기 때문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작물의 냉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병해형 쟁해는 단백질의 합성이 증가되어 체내에 암모니아 축적이 적어지는 형의 냉해이다.
  2. 혼합형 냉해는 지연형 냉해, 장해형 냉해, 병해형 냉해가 복합적으로 발생하여 수량이 급감하는 형의 냉해이다.
  3. 장해형 냉해는 유수형성기부터 개화기까지, 특히 생식세포의 감수분열기에 냉온으로 불임현상이 나타나는 형의 냉해이다.
  4. 지연형 냉해는 생육초기부터 출수기에 걸쳐서 여러시기에 냉온을 만나서 출수가 지연되고, 이에 따라 등숙이 지연되어 후기의 저온으로 인하여 등숙 불량을 초래하는 냉해이다.
(정답률: 61%)
  • "병해형 쟁해는 단백질의 합성이 증가되어 체내에 암모니아 축적이 적어지는 형의 냉해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병해형 쟁해는 오히려 암모니아 축적이 증가하여 독성이 발생하는 형태의 냉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우량종자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발아력이 좋아야 한다.
  2. 초기신장성이 좋아야 한다.
  3. 유전적으로 다양해야 한다.
  4. 병, 해충에 감염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60%)
  • "유전적으로 다양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우량종자는 유전적으로 일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유전적으로 다양하지 않아도 된다. 오히려 유전적으로 일정한 특성을 가진 것이 일관된 품질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목초의 하고현상(夏枯現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년생 남방형 목초가 여름철에 많이 발생한다.
  2. 다년생 북방형 목초가 여름철에 많이 발생한다.
  3. 여름철의 고온, 다습한 조건에서 많이 발생한다.
  4. 월동목초가 단일(短日) 조건에서 많이 발생한다.
(정답률: 57%)
  • 목초의 하고현상은 여름철의 고온, 다습한 조건에서 다년생 북방형 목초가 많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다년생 북방형 목초가 여름철에 많이 발생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나팔꽃 대목에 고구마 순을 접목하여 개화를 유도하는 이론적 근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C/N율
  2. G-D균형
  3. L/W율
  4. T/R율
(정답률: 47%)
  • 정답: C/N율

    C/N율은 탄소와 질소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 비율이 적절하게 조절되면 식물의 생장과 꽃의 개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가 있다. 고구마 순은 질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나팔꽃 대목에 접목하면 C/N율이 적절하게 유지되면서도 질소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어 개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C/N율이 가장 적합한 이론적 근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1년생 가지에서 결실하는 과수로만 나열된 것은?

  1. 복숭아-감
  2. 사과-밤
  3. 감-밤
  4. 복숭아-사과
(정답률: 59%)
  • 보기에서는 1년생 가지에서 결실하는 과수로만 나열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감"과 "밤"은 둘 다 나열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감-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작물의 내열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어린 잎이 늙은 잎보다 내열성이 크다.
  2. 세포내의 점성이 높으면 내열성이 증대한다.
  3. 세포내의 유리수가 많으면 내열성이 증대된다.
  4. 세포내의 단백질 함량이 많으면 내열성이 감소한다.
(정답률: 46%)
  • 세포내의 점성이 높으면 내열성이 증대하는 이유는, 점성이 높을수록 분자 간의 충돌이 더 어려워져 열전달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포내의 점성이 높을수록 열에 대한 내성이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비선택성의 파종 전 처리 제초제로서 제초효과가 높고 값이 싸 널리 이용되었으나, 음독 농약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등 문제됨에 따라 최근 사용금지된 것은?

  1. simazine
  2. paraquat
  3. alachlor
  4. bentazon
(정답률: 63%)
  • Paraquat은 비선택성 파종 전 처리 제초제로서 제초효과가 높고 값이 싸서 널리 사용되었지만, 인체에 치명적인 중독 증상을 일으키는 등 음독성이 높아 사회적 문제를 일으켰기 때문에 최근 사용이 금지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기지의 원인이 되는 토양전염병이 아닌 것은?

  1. 완두 모잘록병
  2. 인삼 뿌리썩음병
  3. 사과적진병
  4. 토마토 풋마름병
(정답률: 56%)
  • 사과적진병은 기지의 원인이 되는 토양전염병이 아닙니다. 사과적진병은 사과나 배 등 과일의 열매에 나타나는 질병으로, 과일의 품질을 저하시키지만 토양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B-nine(B-9)
  2. CCC(Cycocel)
  3. MH(maleic hydrazide)
  4. NAA(1-naphthaleneacetic acid)
(정답률: 58%)
  • NAA(1-naphthaleneacetic acid)은 식물 성장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으로, 생장을 억제하는 물질이 아닙니다. 반면에 B-nine, CCC(Cycocel), MH(maleic hydrazide)는 모두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토양수분과 작물 생육과의 관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포장용수량의 pF는 2.5~2.7 정도이다.
  2. 작물생육에 적합한 수분함량은 pF 3.0~4.7 종도이다.
  3. 작물이 주로 이용하는 수분은 중력수와 토양입자 흡습수이다.
  4. 초기위조점에 달한 식물은 수분을 공급해도 살아나기 어렵다.
(정답률: 48%)
  • 작물 생육에 적합한 수분함량은 pF 3.0~4.7 종도이며, 포장용수량의 pF는 2.5~2.7 정도이다. 따라서, 작물 생육에 적합한 수분함량보다 포장용수량의 pF가 낮기 때문에 작물 생육에 적합하지 않다. 작물이 주로 이용하는 수분은 중력수와 토양입자 흡습수이며, 초기위조점에 달한 식물은 수분을 공급해도 살아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바람이 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냉풍은 작물체온을 저하시키나 냉해를 유발시키지 않는다.
  2. 강한바람으로 기공이 열려 이산화탄소의 흡수가 증가되므로 광합성을 조장한다.
  3. 강한 바람에 의해서 상처가 나면 호흡이 증대하여 체내양분의 소모가 증대한다.
  4. 일반적으로 벼의 백수현상은 습도 60%에서는 풍속 10m/s에서도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률: 66%)
  • 강한 바람에 의해서 상처가 나면 호흡이 증대하여 체내양분의 소모가 증대한다. - 강한 바람으로 인해 작물의 표면이 상처를 입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호흡이 증대되어 체내 양분의 소모가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미숙한 상태의 종자에 이 처리를 하게 되면 배가 더 성숙하여 실제 파종 시 발아율이 향상된다. 즉, 저장중의 종자를 일시적으로 약간의 수분을 흡수하게 했다가 다시 건조하여 종자를 보관하는 종자처리 방법은?

  1. 침종(seed soaking)
  2. 펠렛팅(pelleting)
  3. 프라이밍(priming)
  4. 지베렐린(gibberellin) 처리
(정답률: 63%)
  • 프라이밍은 저장중인 종자에 일시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 배를 성숙시키고 발아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처리를 하게 되면 저장중인 종자가 더 빠르게 발아하고 더 많은 식물이 성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프라이밍(primin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접목 육묘 시 활착률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검토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접목시 가능한 상처 면적을 줄이기 위해 절단면을 작게한다.
  2. 대목과 접수의 접목친화성이 낮으면 대승현상이나 대부현상 등이 발생하여 생육이 왕성한 시기에 접목부위를 통한 양수분의 이동이 적어져 말라죽는다.
  3. 접목시기는 대부분 겨울철로 저온과 낮은 상대습도로 인해 활착이 늦어지고 활착률이 떨어지므로 접목상 내는 저온이 되지 않도록 하고 가습장치를 이용하여 상대습도가 지나치게 낮지 않도록 해야한다.
  4. 이병주 접목에 따른 연쇄적인 병 발생 방지를 위해 접목도구의 소독문제를 고려해야한다.
(정답률: 61%)
  • 정답: "접목시 가능한 상처 면적을 줄이기 위해 절단면을 작게한다."

    설명: 상처 면적이 작을수록 식물의 회복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절단면을 작게 하는 것은 접목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접목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검토사항으로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습해의 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배수시설을 설치한다.
  2. 밭에서는 휴립휴파 재배를 한다.
  3. 과산화석회(CaO2)를 종자에 분의하여 파종한다.
  4. 미숙 유기물과 황산근 비료를 사용하여 입단형성을 촉진시킨다.
(정답률: 60%)
  • 미숙 유기물과 황산근 비료는 습해 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습해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습해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습해 대책으로는 배수시설을 설치하거나, 휴립휴파 재배를 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과산화석회를 사용하는 것은 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므로, 습해 대책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Oryza sativa L 은 어떤 작물의 학명인가?

  1. 토마토
  2. 담배
(정답률: 7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요수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건물생산의 속도가 낮은 생육초기의 요수량이 크다.
  2. 토양수분의 과다 및 과소, 척박한 토양 등의 환경 조건은 요수량을 크게 한다.
  3. 수수·기장·옥수수 등이 크고, 알팔파·클로버 등이 적다.
  4. 광 부족, 많은 바람, 공기습도의 저하, 저온과 고온은 요수량을 크게한다.
(정답률: 66%)
  • "수수·기장·옥수수 등이 크고, 알팔파·클로버 등이 적다."는 요수량과는 관련이 없는 작물의 종류를 나열한 것이므로 틀린 설명이다. 요수량은 작물이 필요로 하는 물과 영양소의 양을 말하며, 생육초기에는 요수량이 많이 필요하다. 따라서 "건물생산의 속도가 낮은 생육초기의 요수량이 크다."와 "토양수분의 과다 및 과소, 척박한 토양 등의 환경 조건은 요수량을 크게 한다."는 맞는 설명이다. "광 부족, 많은 바람, 공기습도의 저하, 저온과 고온은 요수량을 크게한다."는 환경 조건에 따라 요수량이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엽록소 형성에 가장 효과적인 광파장은?

  1. 황색광 영역
  2. 자외선과 자색광 영역
  3. 녹색광 영역
  4. 청색광과 적색광 영역
(정답률: 70%)
  • 엽록소는 청색광과 적색광 영역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흡수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엽록소 분자의 구조와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광파장에서 흡수된 에너지가 광합성 과정을 진행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로 활용됩니다. 따라서, 청색광과 적색광 영역에서 높은 광량을 받는 식물은 더욱 효율적인 광합성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스위스의 식물학자로 산야에서 채취한 과실을 먹고 던져둔 종자에서 똑같은 식물이 자라는 것을 보고 파종이라는 관념을 배웠을 것으로 추정한 사람은?

  1. A.P. De Candolle
  2. G. Allen
  3. H.J.E. Peake
  4. P. Dettweiler
(정답률: 49%)
  • A.P. De Candolle은 산야에서 채취한 과실을 먹고 던져둔 종자에서 똑같은 식물이 자라는 것을 보고 파종이라는 관념을 배웠을 것으로 추정되는 식물학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작물과 온도와의 관계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고등식물의 열사 온도는 대략 80~90℃ 이다.
  2. 밤이나 그늘의 작물체온은 기온보다 높아지기 쉽다.
  3. 고구마는 변온보다 항온조건에서 덩이뿌리의 발달이 촉진된다.
  4. 혹서기에 토양온도는 기온보다 10℃ 이상 높아질 수 있다.
(정답률: 48%)
  • 작물은 온도에 따라 성장과 생존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온도 조절은 작물 재배에서 매우 중요하다. 고등식물의 열사 온도는 대략 80~90℃ 이므로,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작물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밤이나 그늘의 작물체온은 기온보다 높아지기 쉽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에서는 작물이 더 잘 자라기도 한다. 고구마는 변온보다 항온조건에서 덩이뿌리의 발달이 촉진된다는 것은, 고구마가 일정한 온도에서 재배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혹서기에 토양온도는 기온보다 10℃ 이상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은, 지표면 아래의 토양이 기온보다 더 따뜻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온도 조절을 통해 작물의 성장과 생존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물보호학

61. 보호살균제에 해당하는 것은?

  1. 석회보르도액
  2. 페나리몰 유제
  3.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4. 가스가마이신 액제
(정답률: 75%)
  • 석회보르도액은 식물병 원인균을 제거하고 예방하는 보호살균제입니다. 석회와 구리설페이트를 혼합하여 만들어진 액으로, 식물의 잎과 줄기에 분무하여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우리나라 맥류포장의 동계 1년생에 해당되는 잡초는?

  1. 애기수영
  2. 왕바랭이
  3. 광대나물
  4. 민들레
(정답률: 46%)
  • 우리나라 맥류포장은 일년생 식물이므로, 동계에는 씨앗을 뿌리고 자라는 잡초들이 많이 생긴다. 이 중에서 광대나물은 겨울철에도 잘 자라는 강한 생명력을 가진 잡초로, 맥류포장에서도 자주 발견된다. 따라서 광대나물이 이 문제의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약제가 해충의 먹이와 함께 소화관으로 들어가서 해충을 죽일 수 있는 것은?

  1. 독제
  2. 접촉제
  3. 훈증제
  4. 기피제
(정답률: 65%)
  • 독제는 해충이 먹이와 함께 섭취되어 소화관으로 들어가면 해충의 내부에서 독성작용을 하여 해충을 죽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사과나무 부란병의 증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주교대를 보이는 병이다.
  2. 균사형태로 전염되는 병이다.
  3. 잡초에 병원체가 월동하며, 토양으로 전염되는 병이다.
  4. 주로 빗물에 의해 전파되며, 발병부위에 알콜냄새가 난다.
(정답률: 71%)
  • 사과나무 부란병은 주로 빗물에 의해 전파되며, 발병부위에 알콜냄새가 난다. 이 병은 기주교대를 보이는 병이며, 균사형태로 전염되는 것이 아니라 잡초에 병원체가 월동하며, 토양으로 전염된다는 것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농약제조용 증량제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증량제 입자의 크기는 분제의 분산성, 비산성, 부착성에 영향을 미친다.
  2. 증량제의 강도가 너무 강하면 농약 살포 때 살분기의 마모가 심하다.
  3. 증량제의 수분함량 및 흡습성이 높으면 살포된 농약의 응집력이 증대되어 분산성이 향상된다.
  4. 농약의 저장중 증량제에 의해 유효성분이 분해되지 않고 안정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정답률: 69%)
  • 정답은 "증량제의 강도가 너무 강하면 농약 살포 때 살분기의 마모가 심하다."이다.

    증량제의 수분함량 및 흡습성이 높으면 살포된 농약의 응집력이 증대되어 분산성이 향상된다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이는 증량제 입자가 농약 입자와 결합하여 더 큰 입자로 형성되어 분산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증량제 입자의 크기가 분제의 분산성, 비산성, 부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도 맞는 설명이다. 증량제 입자가 작을수록 분산성이 향상되고, 농약 입자에 부착되는 비율이 높아져 효율적인 살포가 가능해진다.

    농약의 저장중 증량제에 의해 유효성분이 분해되지 않고 안정성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도 맞는 설명이다.

    따라서, 틀린 설명은 "증량제의 강도가 너무 강하면 농약 살포 때 살분기의 마모가 심하다."이다. 증량제의 강도가 강할수록 농약 입자와의 마찰이 심해져 살분기가 마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해충의 종합적방제를 위한 방안으로 해충의 발생밀도조사 방법 중 주광성을 이용한 해충의 발생시기, 발생량, 발생장소 등을 조사하기 위한 방법은?

  1. 페로몬 조사법
  2. 수반조사법
  3. 예찰등 조사법
  4. 포충망 조사법
(정답률: 74%)
  • 주광성을 이용한 해충의 발생시기, 발생량, 발생장소 등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밤에 활동하는 해충을 조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예찰등 조사법이 사용됩니다. 예찰등은 밤에 빛을 내는 등으로 해충을 유인하여 발생량을 조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찰등 조사법은 해충의 종합적 방제를 위한 방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잡초의 생태적 방제법 중 작물의 경합력 증진을 위한 재배조치로 경합특성 이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윤작, 재식밀도
  2. 피복, 예취
  3. 시비, 열처리
  4. 경운, 침수처리
(정답률: 72%)
  • 윤작은 작물 간 거리를 좁게하여 작물들이 서로 경쟁하도록 유도하는 재배조치이며, 재식밀도는 단위면적당 작물을 심는 개수를 높이는 것으로 작물 간 경쟁을 증가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방법은 작물의 경합력을 증진시키는 경합특성 이용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알리아, 튤립, 글라디올러스 등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병의 가장 중요한 1차 전염원은?

  1. 상토
  2. 곤충
  3. 양액
  4. 구근
(정답률: 73%)
  • 구근은 다알리아, 튤립, 글라디올러스 등의 식물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병의 가장 중요한 1차 전염원입니다. 이는 구근이 식물의 뿌리에 감염되어 바이러스를 전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근이 있는 토양이나 구근으로 오염된 물 등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가장 바람직한 작물병의 방제방법은?

  1. 화학약제의 충분한 사용
  2. 저항성 품종의 재배
  3. 질소질 비료의 충분한 시비
  4. 포장 청결
(정답률: 73%)
  • 저항성 품종의 재배는 작물이 질병에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화학약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병해충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화학약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농작물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저항성 품종의 재배가 가장 바람직한 작물병의 방제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완전변태 곤충의 유리한 점은?

  1. 유충과 성충의 형태가 거의 같아서 분류에 용이하다.
  2. 유충과 성충의 먹이와 서식처의 경합이 생기지 않는다.
  3. 유충과 성충이 먹이가 같으므로 먹이 찾는데 유리하다.
  4. 유충과 성충이 같은 곳에 살 수 있어서 서식 공간 확보에 유리하다.
(정답률: 76%)
  • 완전변태 곤충의 유리한 점 중 하나는 유충과 성충의 먹이와 서식처의 경합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는 유충과 성충이 서로 다른 먹이를 먹거나 다른 서식처를 선호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서로 경쟁하지 않고 같은 공간에서 살 수 있어서 서식 공간 확보에 유리하며, 분류에도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특정 품종의 기주식물을 침해할 뿐, 다른 품종은 침해하지 못하는 집단은?

  1. 클론
  2. 품종
  3. 레이스
  4. 스트레인
(정답률: 78%)
  • 레이스는 특정 품종의 기주식물을 침해할 뿐, 다른 품종은 침해하지 못하는 집단입니다. 다른 보기인 클론, 품종, 스트레인은 모두 특정 품종을 나타내는 용어이기 때문에, 다른 품종도 침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노균병, 역병을 일으키는 난균류(Oomycetes)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격벽이 있는 긴 균사체이다.
  2. 일반적으로 분생포자와 후막포자를 형성한다.
  3. 장정기와 장란기의 결합으로 유주포자를 생성한다.
  4. 균사체는 주로 글루칸과 셀룰로스로 이루어져 있다.
(정답률: 47%)
  • 정답은 "일반적으로 분생포자와 후막포자를 형성한다."이다.

    노균병, 역병을 일으키는 난균류(Oomycetes)는 진균류(Fungi)와는 다른 진화적 경로를 따라 발생한 진균류 비슷한 생물군집으로, 분생포자와 후막포자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균사체는 주로 글루칸과 셀룰로스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은 진균류(Fungi)의 특징이며, 난균류(Oomycetes)는 글루칸과 셀룰로스 외에도 알긴산과 마놀리신 등의 다양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난균류(Oomycetes)의 특징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적절한 해충방제방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예찰을 통해 적기에 방제한다.
  2. 해충밀도가 zero상태가 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농약을 살포함으로써 해충 발생을 사전에 예방한다.
  3. 동일한 작용기작의 농약은 연속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4. 내충성 품종이나 작물을 재배한다.
(정답률: 82%)
  • 해충밀도가 zero상태가 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농약을 살포함으로써 해충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은 적절한 해충방제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지속적인 농약 사용으로 인해 해충이 저항성을 발달시키고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에, 예찰을 통해 적기에 방제하거나 내충성 품종이나 작물을 재배하는 등의 생태적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설명하는 해충은?

  1. 밤나무순혹벌
  2. 복숭아명나방
  3. 거위벌레
  4. 밤바구미
(정답률: 52%)
  • 해당 이미지는 밤바구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밤바구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작물 피해의 주요 원인 중 생물요소인 것은?

  1. 진균
  2. 풍해
  3. 오염된 물
  4. 영양장애
(정답률: 78%)
  • 진균은 작물을 감염시켜 병원성을 일으키는 균류로, 작물의 생장을 방해하고 열매나 잎사귀 등을 부패시키는 등의 피해를 줍니다. 따라서 작물 피해의 주요 원인 중 생물요소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잡초방제를 위한 제초제의 살포에 있어 살포액의 부착성이 뛰어나고 중복살포나 살포되지 않는 부분이 없도록 살포하기에 가장 접합한 살포방법은?

  1. 스프링클러(sprinkler)법
  2. 미스트(mist spray)법
  3. 폼스프레이(form spray)법
  4. 분무(spray)법
(정답률: 56%)
  • 폼스프레이(form spray)법은 살포액을 폼 형태로 분사하여 잡초 위에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살포액이 잡초에 더 잘 부착되고 중복살포나 살포되지 않는 부분이 없어 효과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식물병 삼각형의 요인이 아닌 것은?

  1. 병원체
  2. 저항성
  3. 감수체
  4. 환경
(정답률: 64%)
  • 식물병 삼각형의 요인은 병원체, 감수체, 환경으로 구성됩니다. 이 중 저항성은 요인이 아닙니다. 저항성은 일반적으로 항생제 등의 약물에 대한 내성을 의미하며, 식물병 삼각형에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복숭아심식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연 2회 발생한다.
  2. 부화유충은 과실내부에 침입하여 식해한다.
  3. 방제를 위해 봉지씌우기를 하면 효과적이다.
  4. 월동태는 유충태로 나무껍질 속에서 겨울을 보낸다.
(정답률: 57%)
  • "월동태는 유충태로 나무껍질 속에서 겨울을 보낸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복숭아심식나방은 일반적으로 연 2회 발생하며, 부화유충은 과실내부에 침입하여 식해한다. 방제를 위해 봉지씌우기를 하면 효과적이다. 그리고 겨울에는 나무껍질 속에서 유충태로 월동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제초제의 선택성 중 작물과 잡초 간의 연령 차이와 공간적 차이에 의해 잡초만을 방제하는 유형은?

  1. 생리적 선택성
  2. 생화학적 선택성
  3. 형태적 선택성
  4. 생태적 선택성
(정답률: 60%)
  • 생태적 선택성은 작물과 잡초의 연령 차이나 공간적 차이에 따라 잡초만을 방제하는 유형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생태적 선택성입니다. 다른 선택성들은 생리적, 생화학적, 형태적으로 작물과 잡초를 구분하여 방제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유기인계 농약에 대한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많은 주요 살충제가 유기인 화합물에서 개발되어 왔다.
  2. 인(P)을 중심으로 각종 원자나 원자단이 결합되어 있다.
  3. Streptomycin, polyoxin이 속한다.
  4. 식물체내에서는 분해가 빠르며 축적작용이 없다.
(정답률: 65%)
  • "Streptomycin, polyoxin이 속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Streptomycin과 polyoxin은 농약이 아닌 항생제입니다. 유기인계 농약은 인을 중심으로 각종 원자나 원자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식물체내에서는 분해가 빠르며 축적작용이 없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종자관련법규

81. 식물신품종보호법상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품종보호권 및 전용실시권을 침해한 자
  2. 품종보호권 및 전용실시권의 상속을 신고하지 않은 자
  3. 당해품종보호권의 설정등록이 되어 있는 임시보호권을 침해한 자
  4. 거짓이나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품종보호결정 또는 심결을 받은 자
(정답률: 33%)
  • 품종보호권 및 전용실시권의 상속을 신고하지 않은 자는 법적으로 처벌받지 않는다. 이는 상속 신고가 필수적인 절차이지만, 법적으로 처벌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른 선택지들은 모두 품종보호법을 위반한 경우로, 이에 따라 징역이나 벌금 등의 처벌을 받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종자산업법에서 정의된 '종자'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배용 볍씨
  2. 약제용 당귀 뿌리
  3. 양식용 버섯의 종균
  4. 증식용 튤립의 구근
(정답률: 65%)
  • 약제용 당귀 뿌리는 종자가 아니라 뿌리이기 때문에 종자산업법에서 정의된 '종자'로 옳지 않은 것이다. 종자는 씨앗이나 열매 등을 통해 새로운 식물을 번식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수입적응성 시험의 대상작물이 아닌 것은?

  1. 호박
  2. 국화
  3. 수수
  4. 버들송이
(정답률: 59%)
  • 국화는 수입적응성이 높은 작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종자산업법규상 종자보증과 관련하여 형의 선고를 받은 종자관리사에 대한 행정처분의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등록취소
  2. 업무정지 1년
  3. 업무정지 6월
  4. 업무정지 3월
(정답률: 69%)
  • 종자산업법상 종자관리사는 종자의 품질을 보증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이를 위반하여 형의 선고를 받은 경우에는 종자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등록취소가 적절한 행정처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국유품종보호권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국가가 구입한 품종 보호권
  2. 국가 간에 거래되는 품종보호권
  3. 국가 명의로 등록된 품종보호권
  4. 국가가 생산ㆍ공급하는 종자의 품종보호권
(정답률: 49%)
  • 국유품종보호권은 국가 명의로 등록된 품종보호권이다. 이는 해당 품종을 개발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일정 기간 동안 독점적인 이용권을 부여하여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고, 동시에 품종의 개량과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식물신품종보호법상 품종보호권의 효력이 미치는 것은?

  1. 자가소비를 하기위한 보호품종 실시
  2. 다른 품종을 육성하기 위한 보호품종 실시
  3. 실험 또는 연구를 하기 위한 보호품종 실시
  4. 농업인 대상으로 판매를 하기 위한 보호품종 실시
(정답률: 51%)
  • 식물신품종보호법상 품종보호권의 효력은 농업인 대상으로 판매를 하기 위한 보호품종 실시에 미치는 것이다. 이는 품종보호권을 가진 사람이 해당 품종을 농업인 대상으로 판매할 때, 다른 사람이 이를 불법적으로 복제하거나 판매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농업인들은 보호받는 품종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수확과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품종목록 등재의 유효기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품종목록 등재한 날부터 10년
  2. 품종목록 등재한 날부터 15년
  3. 품종목록 등재한 날이 속한 해의 다음 해부터 10년
  4. 품종목록 등재한 날이 속한 해의 다음 해부터 15년
(정답률: 67%)
  • 품종목록 등재는 해당 품종의 유효성을 인정하는 것이므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해당 품종이 여전히 우수한 성질을 유지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따라서 품종목록 등재의 유효기간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갱신되어야 합니다. 이때, 품종목록 등재한 날이 속한 해의 다음 해부터 10년이 유효기간입니다. 즉, 등재한 날짜가 2021년 5월 1일이라면, 유효기간은 2022년부터 2031년까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종자산업법상 종자의 보증 효력을 잃은 경우는?

  1. 보증한 종자를 판매한 경우
  2. 보증한 종자를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
  3. 보증의 유효기간이 하루 지난 종자의 경우
  4. 당해 종자를 보증한 종자관리사의 감독하에 분포장하는 경우
(정답률: 74%)
  • 종자산업법에서는 보증한 종자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보증의 유효기간을 정하고 있습니다. 이 기간을 넘어가면 보증 효력을 잃게 되는데, 이는 보증한 종자의 품질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증의 유효기간이 하루 지난 종자는 보증 효력을 잃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국가품종목록의 등재 대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료용 옥수수는 국가 품종목록 등재 대상에서 제외한다.
  2. 대통령령으로 국가품종목록 등재 대상작물을 추가하여 정할 수 있다.
  3. 국가품종목록에 등재할 대상작물은 벼ㆍ보리ㆍ콩ㆍ옥수수ㆍ감자이다.
  4. 국가품종목록 등재는 작물의 품종성능관리를 위하여 모든 작물에 실시한다.
(정답률: 65%)
  • "사료용 옥수수는 국가 품종목록 등재 대상에서 제외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국가품종목록 등재 대상은 모든 작물에 대해 실시되며, 사료용 옥수수도 등재 대상이 된다. 국가품종목록 등재는 작물의 품종성능관리를 위해 실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품종보호 출원 중인 품종에 대하여 관련 농림축산식품부 직원이 그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누설하였을 경우 처벌규정으로 옳은 것은?

  1.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64%)
  • 품종보호 출원 중인 품종은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기 때문에, 그 비밀이 누설될 경우 업계 내부에서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관련 직원이 비밀을 누설할 경우, 농림축산식품부는 엄격한 처벌을 적용합니다. 이에 따라, 품종보호 출원 중인 품종에 대한 비밀을 누설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품종보호출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품종보호를 받을 수 있는 자는 육성자 또는 그 승계인이다.
  2. 국내에 주소를 두지 않은 외국인이 국내에 출원할 때는 품종보호관리인을 두어야 한다.
  3. 국제식물신품종보호동맹(UPOV)에 가입하지 않은 국가의 국민은 우리나라에 출원할 수 없다.
  4. 같은 품종에 대하여 다른 날에 둘 이상의 품종보호 출원이 있을 때에는 먼저 품종보호를 출원한 자만이 그 품종에 대하여 품종보호를 받을 수 있다.
(정답률: 48%)
  • "국제식물신품종보호동맹(UPOV)에 가입하지 않은 국가의 국민은 우리나라에 출원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국제식물신품종보호동맹(UPOV)에 가입하지 않은 국가의 국민도 출원이 가능하다. 다만, 해당 국가에서는 보호를 받을 수 없을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종자산업법에서 “작물”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농산물 또는 수산물의 생산을 위하여 재배되는 일부 특정 식물
  2. 농산물 또는 수산물의 생산을 위하여 재배되는 모든 식물과 동물
  3. 농산물ㆍ임산물 또는 수산물의 생산을 위하여 재배되는 모든 식물과 동물
  4. 농산물, 임산물 또는 수산물의 생산을 위하여 재배되거나 양식되는 모든 식물
(정답률: 72%)
  • 종자산업법에서 "작물"의 정의는 "농산물, 임산물 또는 수산물의 생산을 위하여 재배되거나 양식되는 모든 식물"입니다. 이는 농업, 임업, 어업 등에서 생산되는 모든 작물을 포함하며, 작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식물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품종보호 출원시 심판청구수수료로 옳은 것은?

  1. 품종당 5만원
  2. 품종당 7만원
  3. 품종당 10만원
  4. 품종당 15만원
(정답률: 50%)
  • 품종보호 출원시 심판청구수수료는 품종당 10만원입니다. 이는 품종보호법 시행규칙 제25조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품종보호 출원시 심사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책정된 것입니다. 따라서, 품종보호 출원시 심판청구수수료는 품종당 10만원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식물신품종보호법상 품종의 보호요건으로만 묶인 것은?

  1. 구별성, 균일성, 안전성
  2. 상업성, 구별성, 안정성
  3. 신규성, 상업성, 안전성
  4. 안정성, 균일성, 신규성
(정답률: 35%)
  • 식물신품종보호법에서는 품종을 보호하기 위해 구별성, 균일성, 안정성을 요건으로 묶어서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안정성, 균일성, 신규성"이 정답인 이유는, 품종이 보호받기 위해서는 먼저 안정성과 균일성이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즉, 같은 품종이라면 모든 개체가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그 특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또한, 품종이 보호받으려면 신규성도 요건으로 제시됩니다. 즉, 이전에 등록된 품종과 구별되는 새로운 특징이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유통종자의 품질표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품종의 명칭
  2. 종자의 생산지
  3. 재배시 특히 주의할 사항
  4. 종자의 포장당 무게 또는 낱알 개수
(정답률: 63%)
  • "종자의 생산지"는 유통종자의 품질표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유통종자의 품질과는 관련이 없으며, 소비자가 알아야 할 정보가 아니다. 유통종자의 품질표시 내용은 품종의 명칭, 재배시 특히 주의할 사항, 종자의 포장당 무게 또는 낱알 개수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국가목록등재 품종의 종자를 생산하고자 할 때 그 생산을 대행하게 할 수 없는 자는?

  1. 산림청장
  2. 마포구청장
  3. 서울특별시장
  4. 해양항만청장
(정답률: 65%)
  •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국가목록등재 품종의 종자를 생산하고자 할 때, 그 생산을 대행할 수 있는 자는 농업회사법인, 농업생산조합법인, 농업기술센터, 농업기술회사, 농업기술센터법인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해양항만청장"은 농업과 관련이 없는 분야인 해양항만에 속하는 직책이므로 생산을 대행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식물신품종보호법상 죄를 범한 자가 자수를 한 때에 그 형을 경감 또는 면제받을 수 있는 죄로 맞는 것은?

  1. 위증죄
  2. 침해죄
  3. 비밀 누설죄
  4. 허위 표시의 죄
(정답률: 71%)
  • 위증죄는 거짓으로 증거를 조작하거나 변조하여 다른 사람을 속이는 행위를 말합니다. 따라서 식물신품종보호법상 죄를 범한 자가 자수를 한 경우, 그 형을 경감 또는 면제받을 수 있는 죄로 위증죄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포장검사 또는 종자검사를 받으려는 자는 별지 서식의 검사신청서를 누구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

  1. 국립종자원장
  2. 농촌진흥청장
  3. 산림과학원장
  4.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답률: 53%)
  • 포장검사 또는 종자검사를 받으려는 자는 검사신청서를 국립종자원장에게 제출하여야 합니다. 이는 국립종자원장이 종자의 품질관리와 관련하여 국가적인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종자의 수출ㆍ수입을 제한하거나 수입된 종자의 국내유통을 제한할 수 있는 경우로 옳은 것은?

  1. 국내유전자원 보존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경우
  2. 국내에서 육성된 품종의 종자가 수출되어 복제될 우려가 크다고 판단될 경우
  3. 지나친 수입으로 국내종자 산업발전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경우
  4. 지나친 수출로 해당 작물의 생산이 크게 부족하여 해당 농산물의 자급률이 크게 악화 될 우려가 있는 경우
(정답률: 66%)
  • "국내유전자원 보존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경우"는 종자의 수출ㆍ수입을 제한하거나 수입된 종자의 국내유통을 제한할 수 있는 경우이다. 이는 국내에 존재하는 특정 작물의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해당 작물의 종자를 보존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만약 해당 작물의 종자가 수출되거나 수입되어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하게 된다면, 이는 국내유전자원 보존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종자의 수출ㆍ수입을 제한하거나 국내유통을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종자검사 항목 중에서 정립에 속하는 것은?

  1. 이물
  2. 주름진립
  3. 잡초종자
  4. 이종종자
(정답률: 70%)
  • 정립은 종자 내부의 유전자 정보를 확인하는 검사로, 주름진립은 이를 확인하는 항목 중 하나입니다. 주름진립은 종자 내부의 유전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아 생기는 주름 모양의 표면 구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정립 검사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