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업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4-06)

유기농업기능사
(2014-04-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작물재배

1. 대기 중의 약한 바람이 작물생육에 피해를 주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광합성을 억제한다.
  2. 잡초씨나 병균을 전파시킨다.
  3. 건조할 때 더욱 건조를 조장한다.
  4. 냉풍은 냉해를 유발할 수 있다.
(정답률: 81%)
  • 대기 중의 약한 바람이 작물생육에 피해를 주는 사항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잡초씨나 병균을 전파시킨다."입니다. 이유는 바람이 약하기 때문에 잡초씨나 병균을 전파시키는 데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광합성을 억제한다."는 바람이 작물의 잎사귀를 흔들어 광합성 작용을 방해하고, 물과 영양분의 증발을 촉진하여 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유효질소 10kg이 필요한 경우에 요소로 질소질 비료를 시용한다면 필요한 요소량은? (단, 요소비료의 흡수율은 83%, 요소의 질소함유량은 46%로 가정한다.)

  1. 약 13.1kg
  2. 약 26.2kg
  3. 약 34.2kg
  4. 약 48.5kg
(정답률: 66%)
  • 유효질소 10kg을 얻기 위해서는 요소질 비료에서 필요한 양의 질소를 계산해야 합니다. 요소질 비료의 흡수율이 83%이므로, 필요한 질소량은 10kg / 0.83 = 약 12.05kg 입니다.

    요소의 질소함유량이 46%이므로, 요소질 비료에서 필요한 양의 요소는 12.05kg / 0.46 = 약 26.2kg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26.2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잡초의 방제는 예방과 제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예방의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답전윤환 실시
  2. 제초제의 사용
  3. 방목 실시
  4. 플라스틱 필름으로 포장 피복
(정답률: 71%)
  • 제초제의 사용은 예방적인 방법으로, 잡초가 자라기 전에 뿌려서 잡초의 생장을 억제하거나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과 달리 잡초가 이미 자라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예방하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또한, 제초제는 대량으로 사용할 경우 환경오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적정량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녹식물체버널리제이션(green plant vernalization)처리효과가 가장 큰 식물은?

  1. 추파맥류
  2. 완두
  3. 양배추
  4. 봄올무
(정답률: 76%)
  • 녹식물체버널리제이션은 식물이 겨울철에 일정 기간 동안 추위에 노출되어야만 꽃이 피어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양배추는 녹식물체버널리제이션 처리효과가 가장 큰 식물 중 하나입니다. 이는 양배추가 겨울철에 자라는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겨울철에 일정 기간 동안 추위에 노출되어야만 꽃이 피어나는 녹식물체버널리제이션 처리효과가 큰 이유도 이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질소 비료의 흡수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식물이 주로 흡수하는 질소의 형태는 논토양에서는 NH4+, 밭토양에서는 NO3-이온의 형태이다.
  2. 식물이 흡수하는 인산의 형태는 PO4-와 PO3- 형태이다.
  3. 암모니아태질소는 양이온이기 때문에 토양에 흡착되지 않아 쉽게 용탈이 된다.
  4. 질산태질소는 음이온으로 토양에 잘 흡착이 되어 용탈이 되지 않는다.
(정답률: 60%)
  • 식물이 질소를 흡수하는 형태는 논토양에서는 양이온인 NH4+, 밭토양에서는 음이온인 NO3-이온의 형태이다. 이는 각각의 토양 환경에서 질소의 화학적 상태가 다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대체로 저온에 강한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1. 보리, 밀
  2. 고구마, 감자
  3. 배, 담배
  4. 고추, 포도
(정답률: 82%)
  • 보리와 밀은 겨울철에 재배되는 작물로, 저온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리와 밀은 추운 계절에도 잘 자라고 수확이 가능한 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수해(水害)의 요인과 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벼에 있어 수잉기-출수 개화기에 특히 피해가 크다.
  2. 수온이 높을수록 호흡기질의 소모가 많아 피해가 크다.
  3. 흙탕물과 고인물 흐르는 물보다 산소가 적고 온도가 높아 피해가 크다.
  4. 벼, 수수, 기장, 옥수수 등 화본과 작물이 침수에 가장 약하다.
(정답률: 75%)
  • "벼, 수수, 기장, 옥수수 등 화본과 작물이 침수에 가장 약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이러한 작물들은 물에 잠기면 생존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고 호흡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작물들은 침수에 가장 취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가장 집약적으로 곡류 이외에 채소, 과수 등의 재배에 이용되는 형식은?

  1. 원경(圓耕)
  2. 포경(圃耕)
  3. 곡경(穀耕)
  4. 소경(疎耕)
(정답률: 77%)
  • 정답은 "원경(圓耕)"입니다. 원경은 작물을 재배할 때 일정한 주기로 땅을 교체하여 작물이 자라기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작물의 생육을 촉진시키고 토양의 영양분을 보존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채소, 과수 등의 재배에 이용되는 형식으로 가장 집약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계란 노른자와 식용유를 섞어 병충해를 방제하였다. 계란노른자의 역할로 옳은 것은?

  1. 살충제
  2. 살균제
  3. 유화제
  4. pH조절제
(정답률: 78%)
  • 계란 노른자는 유화제로 작용하여 식용유와 잘 섞이게 만들어줍니다. 이는 병충해 방제에 있어서 유용한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작물의 분류방법 중 식용작물, 공예작물, 약용작물, 기호작물, 사료작물 등으로 분류하는 것은?

  1. 식물학적 분류
  2. 생태적 분류
  3. 용도에 따른 분류
  4. 작부방식에 따른 분류
(정답률: 91%)
  • 이유는 각 작물의 용도에 따라서 그 특성과 사용 방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식용작물은 인간이 먹을 수 있는 작물로서 영양가가 높아야 하고, 공예작물은 예술적 가치나 장식적 가치가 높아야 합니다. 약용작물은 질병 치료나 예방에 사용되며, 기호작물은 식물 자체가 가지는 특별한 의미나 상징성 때문에 사용됩니다. 사료작물은 가축이나 동물에게 먹이로 사용되며, 각각의 용도에 따라서 작물의 특성과 사용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러한 분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광합성 작용에 가장 효과적인 광은?

  1. 백색광
  2. 황색광
  3. 적색광
  4. 녹색광
(정답률: 92%)
  • 광합성 작용에서 가장 효과적인 광은 적색광입니다. 이는 광합성 작용에서 사용되는 엽록소의 흡수 스펙트럼이 적색광에 가장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색광이 광합성 작용에 가장 효과적인 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10a의 밭에 종자를 파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파종량(L)이 가장 많은 작물은?

  1. 오이
  2. 맥류
  3. 당근
(정답률: 81%)
  • 맥류는 파종량이 많은 작물 중 하나입니다. 이는 맥류가 작은 종자를 사용하고, 밭에 넓게 파종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맥류는 발아력이 강하고, 생육이 빠르기 때문에 파종량이 많아집니다. 따라서 10a의 밭에 종자를 파종하고자 한다면 맥류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벼 등 화곡류가 등숙기에 비, 바람에 의해서 쓰러지는 것을 도복이라고 한다. 도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키가 작은 품종일수록 도복이 심하다.
  2. 밀식, 질소다용, 규산부족 등은 도복을 유발한다.
  3. 벼 재배시 벼멸구, 문고벼이 많이 발생되면 도복이 심하다.
  4. 벼는 마지막 논김을 맬 때 배토를 하면 도복이 경감된다.
(정답률: 86%)
  • "키가 작은 품종일수록 도복이 심하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오히려 큰 품종일수록 더 많은 무게를 지탱할 수 있기 때문에 도복이 적게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농경의 발상지와 거리가 먼 것은?

  1. 큰 강의 유역
  2. 산간부
  3. 내륙지대
  4. 해안지대
(정답률: 73%)
  • 농경은 농업과 경작을 통해 식량을 생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내륙지대는 해안과 멀리 떨어져 있어 해양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대신 대륙적 기후의 영향을 받습니다. 이러한 대륙적 기후는 일군 기온차가 크고 강수량이 적은 특징을 가지고 있어 농경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내륙지대는 농경의 발상지와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작물의 파종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선종이란 파종 전 우량한 종자를 가려내는 것을 말한다.
  2. 추파맥류의 경우 추파성정도가 낮은 품종은 조파(일찍파종)를 한다.
  3. 감온성이 높고 감광성이 둔한 하두형 콩은 늦은 봄에 파종을 한다.
  4. 파종량이 많을 경우 잡초발생이 많아지고, 토양수분과 비료 이용도가 낮아져 성숙이 늦어진다.
(정답률: 71%)
  • 선종이란 파종 전 우량한 종자를 가려내는 것을 말하는 이유는, 우량한 종자를 사용하면 작물의 생육력과 수확량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종은 작물의 품질과 수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작물이 주로 이용하는 토양수분의 형태는?

  1. 흡습수
  2. 모관수
  3. 중력수
  4. 결합수
(정답률: 91%)
  • 작물이 이용하는 토양수분의 형태는 모관수입니다. 모관수는 토양 속 작은 구멍으로, 작물의 뿌리가 이곳을 통해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모관수는 작은 구멍이기 때문에 뿌리가 더 많은 토양을 접촉할 수 있어서, 작물의 성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수광태새가 가장 불량한 벼의 초형은?

  1. 키가 너무 크거나 작지 않다.
  2. 상위엽이 늘어져 있다.
  3. 분얼이 조금 개산형이다.
  4. 각 잎이 공간적으로 되도록 균일하게 분포한다.
(정답률: 87%)
  • 수광태새는 벼의 초형을 판별하는데 사용되는데, 이 중 가장 불량한 초형은 상위엽이 늘어져 있는 초형입니다. 이는 상위엽이 늘어져 있으면 광합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생육이 저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광태새는 이러한 불량 초형을 식별하여 농작물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작물의 건물 1g을 생산하는 데 소비된 수분량은?

  1. 요수량
  2. 증산능률
  3. 수분소비량
  4. 건물축적량
(정답률: 90%)
  • 작물이 생장하면서 필요한 수분은 뿌리를 통해 흡수되어 요수로 전달됩니다. 따라서 작물이 건물 1g을 생산하는 데 소비된 수분량을 나타내는 것은 바로 "요수량"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작물의 생산과는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으로 수분 소비량을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저장 중 종자의 발아력이 감소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종자소독
  2. 효소의 활력 저하
  3. 저장양분 감소
  4. 원형질 단백질 응고
(정답률: 81%)
  • 종자소독은 종자에 있는 유해균, 곰팡이 등을 제거하여 발아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종자소독은 종자의 발아력 감소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공기가 과습한 상태일 때 작물에 나타나는 증상이 아닌 것은?

  1. 증산이 적어진다.
  2. 병균의 발생빈도가 낮아진다.
  3. 식물체의 조직이 약해진다.
  4. 도복이 많아진다.
(정답률: 81%)
  • 정답: 병균의 발생빈도가 낮아진다.

    해설: 공기가 과습한 상태에서는 작물의 잎이 젖어서 병균이 번식하기 쉬워지므로, 증산이 적어지고 식물체의 조직이 약해지며 도복이 많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병균은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번식하기 때문에, 공기가 과습한 상태에서는 오히려 병균의 발생빈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토양관리

21. 논 토양과 밭 토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밭 토양은 불포화 수분상태로 논에 비해 공기가 잘 소통된다.
  2. 특이산성 논 토양은 물에 잠긴 기간이 길수록 토양 pH가 올라간다.
  3. 물에 잠긴 논 토양은 산화층과 환원층으로 토층이 분화한다.
  4. 밭 토양에서 철은 환원되기 쉬우므로 토양은 회색을 띤다.
(정답률: 66%)
  • "밭 토양은 불포화 수분상태로 논에 비해 공기가 잘 소통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밭 토양에서 철이 환원되기 쉬운 이유는 공기가 잘 소통되기 때문입니다. 공기가 잘 들어오면서 토양 내부의 산소가 많아지면 철이 산화되어 붉은색을 띄게 됩니다. 따라서 밭 토양은 논에 비해 공기가 잘 소통되어 철이 환원되기 쉬우므로 회색을 띠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유기물이 다음 중 가장 많이 퇴적되어 생성된 토양은?

  1. 이탄토
  2. 붕적토
  3. 선상퇴토
  4. 하성충적토
(정답률: 66%)
  • 이탄토는 식물의 잔해와 유기물이 많이 퇴적되어 생성된 토양으로, 다른 보기들보다 유기물 함량이 높아서 가장 많이 퇴적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토양의 포장용수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모관수만이 남아 있을 때의 수분함량을 말하며 수분장력은 대략 15기압으로서 밭작물이 자리기에 적합한 상태를 말한다.
  2. 모관수만이 남아 있을 때의 수분함량을 말하며 수분장력은 대략 31기압으로서 밭작물이 자라기에 적합한 상태를 말한다.
  3. 토양이 물로 포화되었을 때의 수분 함량이며 수분장력은 대략 1/3기압으로서 벼가 자라기에 적합한 수분 상태를 말한다.
  4. 물로 포화된 토양에서 중력수가 제거되었을 때의 수분함량을 말하며, 이때의 수분장력은 대략 1/3기압으로서 밭작물이 자라기에 적합한 상태를 말한다.
(정답률: 65%)
  • 토양의 포장용수량은 물로 포화된 상태에서 중력수를 제거한 후의 수분함량을 말하며, 이때의 수분장력은 대략 1/3기압으로서 밭작물이 자라기에 적합한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물이 토양 내부에 충분히 보관되어 있어 식물이 필요한 양의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토생미생물인 사상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균사로 번식하며 유기물 분해로 양분을 획득한다.
  2. 호기성이며 통기가 잘되지 않으면 번식이 억제된다.
  3. 다른 미생물에 비해 산성토양에서 잘 적응하지 못한다.
  4. 토양 입단 발달에 기여한다.
(정답률: 74%)
  • 사상균은 산성환경에서는 적응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미생물에 비해 산성토양에서 잘 적응하지 못한다. 이는 사상균이 산성환경에서는 생존하기 어렵기 때문이며, 따라서 적절한 pH 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규산의 함량에 따른 산성암이 아닌 것은?

  1. 현무암
  2. 화강암
  3. 유문암
  4. 석영반암
(정답률: 64%)
  • 현무암은 규산 함량이 낮아서 산성성분이 부족한 암석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산성암이 아닌 것입니다. 반면에 화강암, 유문암, 석영반암은 규산 함량이 높아서 산성성분이 많은 암석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일시적 전하(잠시적 전하)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형치환으로 생긴 전하
  2. 광물결정 변두리에 존재하는 전하
  3. 부식의 전하
  4. 수산기(OH-)증가로 생긴 전하
(정답률: 56%)
  • 수산기(OH-)는 염기성이므로, 물 분자에서 수산기(OH-)가 증가하면 pH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수산기(OH-)는 수소 이온(H+)과 결합하여 물 분자를 생성하고, 이 과정에서 일시적 전하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수산기(OH-)증가로 생긴 전하"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부식의 음전하 생성 원인이 되는 주요한 작용기는?

  1. R-COOH
  2. Si-(OH)4
  3. Al(OH)3
  4. Fe(OH)2
(정답률: 62%)
  • 부식은 금속 표면과 환경 간의 전기화학적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상호작용은 금속 표면에 존재하는 양이온들이 환경에서 존재하는 음이온들과 상호작용하여 발생합니다. 따라서 부식의 음전하 생성 원인이 되는 주요한 작용기는 환경에서 존재하는 음이온들입니다.

    R-COOH는 카복실기(-COOH)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환경에서 존재하는 음이온들과 상호작용하여 음전하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COOH는 부식의 음전하 생성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Si-(OH)4, Al(OH)3, Fe(OH)2는 모두 금속 표면과 상호작용하여 부식을 유발할 수 있지만, 음전하 생성 원인이 되는 작용기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질소와 인산에 의한 토양의 오염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광산폐수
  2. 공장폐수
  3. 축산폐수
  4. 가정하수
(정답률: 77%)
  • 광산폐수는 일반적으로 지하수와 연결되어 있어서 지하수 오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세 가지 폐수에 비해 더 멀리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밭의 CEC(양이온교환용량)를 높이려고 한다. 다음 중 CEC를 가장 크게 증가시키는 물질은?

  1. 부식(토양유기물)의 시용
  2. 카올리나이트(Kaolinite)의 시용
  3. 몬모리오나이트(Montmorillonite)의 시용
  4. 식양토의 객토
(정답률: 79%)
  • 부식(토양유기물)의 시용이 CEC를 가장 크게 증가시키는 이유는 부식이 양이온교환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양이온교환체는 양이온을 흡착하여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토양의 양이온교환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식의 시용은 토양의 비옥도를 높이는 데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토양에 집적되어 solonetz화 토양의 염류 집적을 나타내는 것은?

  1. Ca
  2. Mg
  3. K
  4. Na
(정답률: 72%)
  • solonetz화 토양은 염류가 과도하게 집적된 토양으로, 이 염류 중에서도 Na (나트륨)이 가장 많이 집적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N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토양의 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색을 보면 토양의 풍화과정이나 성질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2. 착색재료로는 주로 산화철은 적색, 부식은 흑색/갈색을 나타낸다.
  3. 신선한 유기물은 녹색, 적철과은 적색, 황철광은 황색을 나타낸다.
  4. 토색 표시법은 Munsell의 토색첩을 기준으로 하며, 3속성을 나타내고 있다.
(정답률: 73%)
  • "신선한 유기물은 녹색, 적철과은 적색, 황철광은 황색을 나타낸다."가 틀린 것입니다. 유기물은 보통 갈색이며, 적철과와 황철광은 각각 빨강과 노랑색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습답(고논)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배수시설이 필요하다.
  2. 양분부족으로 추락현상이 발생되기 쉽다.
  3. 물이 많아 벼 재배에 유리하다.
  4. 환원성 유해물질이 생성되기 쉽다.
(정답률: 66%)
  • 정답은 "환원성 유해물질이 생성되기 쉽다."입니다.

    습답(고논)은 물이 많은 지역에서 벼를 재배하는 농업 방식으로, 물이 많아야 벼가 잘 자라기 때문에 배수시설이 필요하며, 양분 부족으로 추락현상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이 많아 벼 재배에 유리하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물에 의한 토양침식의 방지책으로 가장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초생대 대상재배법
  2. 토양개량제 사용
  3. 지표면의 피복
  4. 상하경재배
(정답률: 63%)
  • 상하경재배는 토양침식을 방지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상하경재배는 토양의 깊이를 얕게 유지하면서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으로, 이는 토양침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하경재배는 오히려 토양침식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토양침식 방지책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토양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양온도는 토양생성작용, 토양미생물의 활동, 식물생육에 중요한 요소이다.
  2. 토양온도는 토양유기물의 분해속도와 양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커서 열대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높은 이유가 된다.
  3. 토양비열은 토양 1g을 1℃ 올리는데 소요되는 열량으로, 물이 1이고 무기성분은 더 낮다.
  4. 토양의 열원은 주로 태양광선이며 습윤열, 유기물 분해열 등이다.
(정답률: 51%)
  • 정답은 "토양비열은 토양 1g을 1℃ 올리는데 소요되는 열량으로, 물이 1이고 무기성분은 더 낮다."입니다.

    토양온도는 토양생성작용, 토양미생물의 활동, 식물생육에 중요한 요소이며, 토양유기물의 분해속도와 양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열대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높은 것입니다. 토양비열은 토양의 열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토양의 열량을 나타내는 것이며, 물이 1이고 무기성분은 더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토양 유기물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양유기물은 미생물의 작용을 통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토양입단 형성에 기여한다.
  2. 토양유기물은 포장 용수량 수분 함량이 낮아, 사질토에서 유효수분의 공급력을 적게한다.
  3. 토양유기물은 질소 고정과 질소 순환에 기여하는 미생물의 활동을 위한 탄소원이다.
  4. 토양유기물은 완충능력이 크고, 전체 양이온 교환용량의 30~70%를 기여한다.
(정답률: 70%)
  • "토양유기물은 포장 용수량 수분 함량이 낮아, 사질토에서 유효수분의 공급력을 적게한다."이 부분이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토양유기물은 오히려 수분 보유능력이 높아서 사질토에서 유효수분의 공급력을 높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용적밀도가 다음 중 가장 큰 토성은?

  1. 사양토
  2. 양토
  3. 식양토
  4. 식토
(정답률: 34%)
  • 용적밀도란 단위 부피당 질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같은 부피 내에서 더 많은 질량을 가진 물체일수록 용적밀도가 높습니다.

    토성 중에서 가장 용적밀도가 높은 것은 "사양토"입니다. 이는 토성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암석과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사양토는 다른 토성의 지각층보다 더욱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양토와 식양토는 토성의 지각층에 해당하며, 식토는 얼음과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 중에서는 사양토가 가장 용적밀도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밭 토양에 비하여 논 토양의 철(Fe)과 망간(Mn) 성분이 유실되어 부족하기 쉬운데 그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철(Fe)과 망간(Mn) 성분이 논 토양에 더 적게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2. 논 토양은 벼 재배기간 중 담수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3. 철(Fe)과 망간(Mn) 성분은 벼에 의해 흡수 이용되기 때문이다.
  4. 철(Fe)과 망간(Mn) 성분은 미량요소이기 때문이다.
(정답률: 75%)
  • 논 토양은 벼 재배기간 중 담수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논은 물이 차 있어야 벼가 잘 자라기 때문에 벼 재배기간 동안 논 토양은 항상 물에 잠겨 있습니다. 이로 인해 논 토양은 산소가 부족하고 물이 많아서 철과 망간 성분이 산화되어 유실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논 토양은 철과 망간 성분이 부족하기 쉬운 토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개간지토양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pH가 높아서 미량원소가 결핍될 수도 있다.
  2. 유효인산의 농도가 낮은 척박한 토양이다.
  3. 작토는 환원상태이지만 심토가 산화상태이다.
  4. 황산염이 집적되어 pH가 매우 낮은 토양이다.
(정답률: 49%)
  • 개간지토양은 대개 척박하고 건조한 토양으로, 유효인산의 농도가 낮은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토양 내 유효인산이 부족하기 때문에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인이 부족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개간지토양에서는 인을 보충하기 위해 비료를 추가로 공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토양의 질소 순환작용에 작용과 반대작용으로 바르게 짝지어져 있는 것은?

  1. 질산환원작용 - 질소고정작용
  2. 질산화작용 - 질산환원작용
  3. 암모늄화작용 - 질산환원작용
  4. 질소고정작용 – 유기화작용
(정답률: 72%)
  • 질산화작용은 질소를 질산으로 변환시키는 작용이며, 질산환원작용은 질산을 질소로 변환시키는 작용입니다. 이 두 작용은 서로 반대되는 작용으로, 토양에서 질소의 순환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질산화작용은 질소를 식물이 흡수할 수 있는 질소 형태인 질산으로 변환시키는데 반해, 질산환원작용은 질산을 대기 중의 질소로 반환하여 토양에서 질소의 순환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이 두 작용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토양에서 질소의 순환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모래, 미사, 점토의 상대적 함량비로 분류하며, 흙의 촉감을 나타내는 용어는?

  1. 토색
  2. 토양 온도
  3. 토성
  4. 토양 공기
(정답률: 88%)
  • 토성은 흙의 상대적 함량비로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흙의 촉감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구분됩니다. 토색은 흙의 색깔을 나타내는 용어이고, 토양 온도는 흙의 온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토양 공기는 흙 내부의 공기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유기농업일반

41. 벼에 규소(Si)가 부족했을 때 나타나는 주요 현상은?

  1. 황백화, 괴사, 조기낙엽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2. 줄기, 잎이 연약하여 병원균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한다.
  3. 수정과 결실이 나빠진다.
  4. 뿌리나 분얼의 생장점이 붉게 변하여 죽게 된다.
(정답률: 61%)
  • 규소는 식물의 조직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벼에 규소가 부족하면 줄기와 잎이 연약해지고, 이로 인해 병원균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황백화, 괴사, 조기낙엽 등의 증세를 유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기농후사료 중심의 유기축산의 문제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국내에서 생산이 어려워 대부분 수입에 의존
  2. 고비용 유기농후사료 구입에 의한 생산비용 증대
  3. 열등한 축산물 품질 초래
  4. 물질순환의 문제 야기
(정답률: 69%)
  • 유기농후사료 중심의 유기축산은 고비용의 유기농후사료를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증대되고, 이로 인해 축산물의 품질이 저하되어 열등한 축산물 품질을 초래하게 됩니다. 이는 국내에서 생산이 어려워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문제와 물질순환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과수의 심경시기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휴면기
  2. 개화기
  3. 결실기
  4. 생육절정기
(정답률: 72%)
  • 과수의 심경시기 중 가장 알맞은 것은 "휴면기"입니다. 이는 겨울철로, 나무가 생장을 멈추고 수분과 영양분을 저장하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나무가 휴면기에 들어가면, 생장이 멈추고 잎이 떨어지며, 나무의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를 절약합니다. 따라서, 과수농가에서는 휴면기에는 나무의 관리와 가지치기 등을 수행하여, 나무가 다음해에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종자갱신을 하여야 할 이유로 부적당한 것은?

  1. 자연교잡
  2. 돌연변이
  3. 재배 중 다른 계통의 혼입
  4. 토양의 산성화
(정답률: 75%)
  • 토양의 산성화는 종자갱신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인입니다. 종자갱신은 새로운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과정인데, 이를 방해하는 것은 자연교잡, 돌연변이, 재배 중 다른 계통의 혼입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토양의 산성화는 종자갱신을 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로 부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자식성 작물의 육종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순계선발
  2. 교잡육종
  3. 여교잡육종
  4. 집단합성
(정답률: 70%)
  • 집단합성은 여러 개체를 모아서 교배시켜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만들어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성격의 개체들을 섞어서 새로운 특성을 가진 개체를 만들어내는 교잡육종과는 달리, 같은 성격을 가진 개체들을 모아서 유전적 다양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자식성 작물의 육종에서는 다양한 유전자를 가진 개체들을 모아서 집단합성을 통해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과실에 봉지씌우기를 하는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당도 증가
  2. 과실의 외관 보호
  3. 농약오염 방지
  4. 병해충으로 과실보호
(정답률: 81%)
  • 과일에 봉지를 씌우는 목적은 과일의 외관을 보호하고, 농약 오염을 방지하며, 병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그러나 "당도 증가"는 봉지씌우기의 목적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봉지를 씌우면 과일이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아서 과일 내부의 설탕이 더 많이 생성되어 당도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복숭아의 줄기와 가지를 주로 가해하는 해충은?

  1. 유리나방
  2. 굴나방
  3. 명나방
  4. 심식나방
(정답률: 53%)
  • 유리나방은 복숭아의 줄기와 가지를 주로 가해하는 해충입니다. 이는 유리나방이 복숭아나 다른 과실류 작물의 줄기와 가지를 먹이로 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복숭아의 생육과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TDN은 무엇을 기준으로 한 영양소 표시법인가?

  1. 영양소 관리
  2. 영양소 소화율
  3. 영양소 희귀성
  4. 영양소 독성물질
(정답률: 64%)
  • TDN은 Total Digestible Nutrients의 약자로, 총 소화 가능 영양소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TDN은 영양소 소화율을 기준으로 합니다. 영양소 소화율은 식물성 원료에서 소화 가능한 영양소의 비율을 나타내며, 이는 축산물의 생산성과 직결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TDN은 축산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영양소 표시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기복합비료의 중량이 25kg이고, 성분함량이 N-P-K(22-22-11)일 때, 비료의 질소 함양은?

  1. 3.5kg
  2. 5.5kg
  3. 8.5kg
  4. 11.5kg
(정답률: 60%)
  • N-P-K(22-22-11)은 질소(N), 인(P), 칼륨(K)의 함량을 나타내는데, 이 중 질소의 함량이 22%이므로 25kg의 비료 중에서 질소의 양은 25kg x 22% = 5.5kg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5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친환경농업이 출현하게 된 배경으로 틀린 것은?

  1. 세계의 농업정책이 증산위주에서 소비자와 교역중심으로 전환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2. 국제적으로 공업부분은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반면 농업부분은 규제를 다소 완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3. 대부분의 국가가 친환경농법의 정착을 유도하고 있는 추세이다.
  4. 농약을 과다하게 사용함에 따라 천적이 감소되어가는 추세이다.
(정답률: 74%)
  • "농업부분은 규제를 다소 완화하고 있는 추세"라는 이유는, 농업이 식량 생산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규제를 너무 강화하면 농업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국제적으로는 농업 부분에서는 규제를 다소 완화하고, 친환경농법의 정착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반면 공업 부분에서는 환경오염 등의 문제로 인해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벼의 유묘로부터 생장단계의 진행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유묘기→활착기→이앙기→유효분얼기
  2. 유묘기→이앙기→활착기→유효분얼기
  3. 유묘기→활착기→유효분얼기→이앙기
  4. 유묘기→유효분얼기→이앙기→활착기
(정답률: 74%)
  • 정답은 "유묘기→이앙기→활착기→유효분얼기" 입니다.

    유묘기는 쌀알이 뿌리를 내리고 줄기를 세우는 단계이며, 이앙기는 잎이 나오고 줄기가 자라는 단계입니다. 활착기는 꽃이 핀 후 열매가 생기는 단계이며, 유효분얼기는 열매가 익어 수확할 준비가 된 단계입니다. 따라서, 생장단계의 진행순서는 유묘기 → 이앙기 → 활착기 → 유효분얼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친환경농산물에 해다되지 않는 것은?

  1. 천연우수농산물
  2. 무농약농산물
  3. 무항생제축산물
  4. 유기농산물
(정답률: 83%)
  • "천연우수농산물"은 친환경농산물이 아닌 용어입니다. 따라서 "해당되지 않는 것"이라는 문제의 조건에 부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유기축산물의 경우 사료 중 NPN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NPN은 무엇을 말하는가?

  1. 에너지 사료
  2. 비단백태질소화합물
  3. 골분
  4. 탈지분유
(정답률: 77%)
  • NPN은 비단백태질소화합물을 말합니다. 이는 단백질이 아닌 질소화합물로, 사료의 단백질 대체원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유기축산물에서는 이러한 비단백태질소화합물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벼 재배 시 도복현상이 발생 했는데 다음 중에서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은?

  1. 벼가 튼튼하게 자란다.
  2. 병해충 발생이 없어진다.
  3. 병해충이 발생하며, 쓰러질 염려가 있다.
  4. 품질이 우수해 진다.
(정답률: 89%)
  • 도복현상은 벼의 생장이 지나치게 빨라져서 벼의 뿌리가 충분히 발달하지 못하고 쓰러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벼의 저수분이 부족해져서 병해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벼가 쓰러질 염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병해충이 발생하며, 쓰러질 염려가 있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토양의 지력을 증진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초생재배법로 지력을 증진시킨다.
  2. 완숙퇴비를 사용한다.
  3. 토양 미생물을 증진시킨다.
  4. 생 톱밥을 넣어 지력을 증진시킨다.
(정답률: 83%)
  • 생 톱밥은 토양의 지력을 증진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유는 생 톱밥은 토양에 유기물을 제공하여 미생물 활동을 촉진시키지만, 이는 일시적인 효과일 뿐 토양의 영양분을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토양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다른 방법들을 활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하나 또는 몇 개의 병원균과 해충에 대하여 대항할 수 있는 기주의 능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민감성
  2. 저항성
  3. 병회피
  4. 감수성
(정답률: 88%)
  • 기주의 저항성은 하나 또는 몇 개의 병원균과 해충에 대하여 대항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는 기주가 해당 병원균이나 해충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공격을 막을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저항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자연생태계와 비교했을 때 농업생태계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종의 다양성이 낮다.
  2. 안정성이 높다.
  3. 지속기간이 짧다.
  4. 인간 의존적이다.
(정답률: 64%)
  • 정답: 지속기간이 짧다.

    설명: 농업생태계는 인간의 조작과 개입이 많기 때문에 자연생태계보다는 인간 의존적이지만, 안정성이 높은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농업생태계에서는 인간이 작물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생태계의 균형이 유지되기 쉽기 때문입니다. 반면, 지속기간이 짧은 것은 농작물의 수확 주기가 짧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포식성 천적에 해당하는 것은?

  1. 기생벌
  2. 세균
  3. 무당벌레
  4. 선충
(정답률: 85%)
  • 무당벌레는 식물의 줄기나 잎을 먹는 식물성의 포식성 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시설 내의 약광 조건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재식 간격을 좁히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2. 엽채류를 재배하는 것이 아주 불리하다.
  3. 덩굴성 작물은 직립재배보다는 포복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4. 온도를 높게 관리하고 내음성 작물보다는 내양성 작물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정답률: 69%)
  • 덩굴성 작물은 포복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유는 덩굴성 작물은 자라는 동안 지지대가 필요하고, 포복재배를 하면 작물이 지지대를 활용하여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포복재배를 하면 작물의 잎이 더 많이 노출되어 약광을 더 잘 받을 수 있어 생육이 좋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유기농업의 목표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환경보전과 생태계 보호
  2. 농업생태계의 건강 증진
  3. 화학비료·농약의 최소사용
  4. 생물학적 순환의 원활화
(정답률: 80%)
  • 화학비료와 농약은 농작물 생산에 있어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동시에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기농업은 환경보전과 생태계 보호, 농업생태계의 건강 증진, 생물학적 순환의 원활화를 목표로 하지만, 화학비료와 농약의 최소사용을 목표로 하는 것은 유기농업의 핵심 가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