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가공조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7-20)

기계가공조립기능사
(2003-07-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공작기계로 절삭가공을 할 때, 생기는 칩의 형태가 아닌 것은?

  1. 탄성형 칩
  2. 유동형 칩
  3. 열단형 칩
  4. 균열형 칩
(정답률: 94%)
  • 탄성형 칩은 공작기계로 절삭가공을 할 때, 재료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생기는 칩으로, 다른 세 가지 칩과는 달리 재료가 균일하게 파괴되지 않고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생긴다. 따라서 다른 칩과는 형태와 특성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바이트 끝 반지름이 1.5mm의 바이트로, 0.08mm/rev의 이송에서 선반으로 깎았을 때, 다듬질 표면 거칠기의 이론 값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0.533μm
  2. 5.333μm
  3. 53.33μm
  4. 533.33μm
(정답률: 39%)
  • 다듬질 표면 거칠기의 이론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a = (0.8 × Rz) / (3.14 × N)

    여기서, Rz는 굴곡 깊이, N은 회전 속도를 나타냅니다.

    바이트 끝 반지름이 1.5mm이므로, 굴곡 깊이는 0.75mm입니다. 이송 거리는 0.08mm이므로, 회전 속도는 1250rpm입니다.

    따라서, Ra = (0.8 × 0.75mm) / (3.14 × 1250rpm) = 0.000533m = 0.533μm

    따라서, 정답은 "0.533μ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절삭공구중 경도가 가장 높고 내마멸성도 크며 절삭 속도가 가장 크고 능률적이나 비철금속의 정밀절삭에만 쓰이는 것은?

  1. 스텔라이트
  2. 다이아몬드
  3. 세라믹
  4. 초경합금
(정답률: 72%)
  • 다이아몬드는 경도가 매우 높고 내마멸성도가 크며, 절삭 속도가 빠르고 능률적입니다. 하지만 비철금속의 정밀절삭에만 쓰이는 이유는 다이아몬드의 가격이 매우 비싸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이아몬드는 고가의 소재로 취급되며, 비철금속의 정밀절삭에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밀링 머신 분할대로 원주를 50 등분하려 할때, 분할판의 구멍수15를 이용해서 몇 구멍 간격으로 돌리면 되겠는가?

  1. 8 구멍
  2. 12 구멍
  3. 16 구멍
  4. 18 구멍
(정답률: 47%)
  • 밀링 머신 분할대로 원주를 50 등분하려면, 분할판을 50등분할 수 있는 구멍 수가 필요하다. 따라서 15개의 구멍을 가진 분할판을 사용할 경우, 분할판을 한 바퀴 돌릴 때마다 15등분이 이루어진다. 이를 이용하여 50등분을 하기 위해서는 15등분을 3번 돌리면 된다. 즉, 분할판을 3번 돌리면 45등분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5등분을 위해 15개의 구멍을 12구멍 간격으로 돌리면 50등분이 완성된다. 따라서 정답은 "12 구멍"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밀링상향절삭(up cutting)의 설명 중 옳은 것은?

  1. 커터의 회전 방향과 공작물의 이송 방향이 반대이다.
  2. 커터의 회전 방향과 공작물의 이송 방향이 직각이다.
  3. 커터의 회전 방향과 공작물의 이송 방향이 같다.
  4. 커터의 회전 방향과 공작물의 이송 방향이 45° 이다.
(정답률: 76%)
  • 밀링상향절삭은 커터의 회전 방향과 공작물의 이송 방향이 반대로 움직이는 방식입니다. 이는 커터가 공작물을 끌어올리면서 절삭하는 방식으로, 공작물의 표면을 깨끗하게 다듬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카운터 싱킹 작업이란?

  1. 볼트머리 나사의 몸통부분을 묻히게 하기위한 작업
  2. 접시머리 나사의 몸통부분을 묻히게 하기위한 작업
  3. 볼트머리 나사의 머리부분을 묻히게 하기위한 작업
  4. 접시머리 나사의 머리부분을 묻히게 하기위한 작업
(정답률: 76%)
  • 카운터 싱킹 작업은 접시머리 나사의 머리부분을 묻히게 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이 작업을 통해 접시머리 나사가 부드럽게 표면과 맞닿아 완만한 외관을 갖게 되며, 또한 나사의 머리가 튀어나와서 부딪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진원도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

  1. 지름법
  2. 반지름법
  3. 삼점법
  4. 사점법
(정답률: 62%)
  • "사점법"은 진원을 찾기 위해 사용되는 측정 방법이 아니라, 네 개의 점을 이용하여 평면상의 도형을 그리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사점법"은 진원을 찾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피치원의 직경이 같은 기어에서 모듈 값이 커지면, 이빨수는 어떻게 되는가?

  1. 많아진다.
  2. 적어진다.
  3. 같다.
  4. 대단히 많아진다.
(정답률: 67%)
  • 모듈 값이 커지면 기어의 직경은 커지게 되지만, 한 바퀴를 도는 데 필요한 이빨의 수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이빨수는 적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드릴 작업시 칩의 제거는 어떤 방법이 가장 안전한가?

  1. 회전을 중지시키고 솔로 제거한다.
  2. 회전을 시키면서 손으로 제거한다.
  3. 회전을 시키면서 솔로 제거한다.
  4. 회전을 중지시키고 손으로 제거한다.
(정답률: 91%)
  • 드릴 작업시 칩의 제거는 회전 중인 드릴에 손이나 솔로를 넣으면 위험하므로, 회전을 중지시키고 솔로를 제거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다. 회전 중인 드릴에 손이나 솔로를 넣으면 부상이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선반작업 중 틀린 것은?

  1. 칩을 제거할 때는 선반을 정지시킨다.
  2. 주유를 할 때는 선반을 멈춘다.
  3. 가능한 한 절삭방향을 심압대 쪽으로 한다.
  4. 치수 측정시엔 선반을 정지시킨다.
(정답률: 88%)
  • "가능한 한 절삭방향을 심압대 쪽으로 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심압대는 회전하는 작업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절삭방향을 심압대 쪽으로 하면 작업물이 더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안전하고 정확한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연삭숫돌(grinding wheel)의 3요소는?

  1. 연삭입자, 지름과 두께, 구멍지름
  2. 연삭입자, 결합제, 지름과 두께
  3. 결합제, 숫돌입자, 기공
  4. 기공, 조직, 결합도
(정답률: 81%)
  • 연삭숫돌은 결합제, 숫돌입자, 기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결합제는 숫돌입자를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숫돌입자는 연삭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입자입니다. 기공은 숫돌입자와 결합제 사이에 있는 공간으로, 연삭작업 중에 발생하는 열과 먼지를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세 가지 요소가 조합되어 연삭숫돌이 만들어지며, 이들의 종류와 비율에 따라 연삭숫돌의 특성이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절삭가공에 속하는 것은?

  1. 인발가공
  2. 압연가공
  3. 연삭가공
  4. 압출가공
(정답률: 86%)
  • 절삭가공은 회전하는 공구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가공 방법입니다. 이에 비해 연삭가공은 회전하는 연마석을 이용하여 부품의 표면을 깎아내는 방법으로, 절삭가공과는 다른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삭가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생산밀링 머신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대량 생산에 적합하도록 어느 정도 단순화 한 것이다.
  2. 플래노 밀러라고도 한다.
  3. 스핀들 헤드가 2개이상 있는 다두형도 있다.
  4. 스핀들 헤드가 1개있는 단두형도 있다.
(정답률: 59%)
  • "플래노 밀러"는 생산밀링 머신의 다른 이름이다. 따라서, "플래노 밀러라고도 한다."는 생산밀링 머신의 특징이나 기능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다른 이름을 언급한 것이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연삭 숫돌 표면에 칩과 숫돌가루가 메워져 연삭할 수 없게 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글레이징(glazing)
  2. 로우딩(loading)
  3. 드레싱(dressing)
  4. 트루잉(truing)
(정답률: 38%)
  • 연삭 숫돌 표면에 칩과 숫돌가루가 메워져 연삭할 수 없게 되는 현상을 로우딩(loading)이라고 합니다. 이는 연삭 작업 중에 발생하는데, 연삭 숫돌의 표면에 칩과 숫돌가루가 쌓이면서 연삭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연삭 숫돌을 교체하거나 드레싱(dressing) 작업을 통해 숫돌 표면을 정리해야 합니다. 다른 선택지인 글레이징(glazing)은 연삭 숫돌의 표면이 매끄러워져서 연삭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을 말하며, 드레싱(dressing)은 연삭 숫돌의 표면을 다듬어서 연삭 작업을 원활하게 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트루잉(truing)은 연삭 숫돌의 표면을 정확하게 다듬어서 연삭 작업의 정확도를 높이는 작업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바이트의 공구각 중 바이트 날 끝과 공작물과의 마찰을방지 하기 위한 것은?

  1. 여유각
  2. 경사각
  3. 절삭각
  4. 날끝각
(정답률: 71%)
  • 바이트의 공구각 중에서 바이트 날 끝과 공작물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것은 여유각입니다. 여유각은 바이트의 날 끝과 공작물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어 마찰을 줄이고, 자재를 깨끗하게 절삭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입니다. 따라서 여유각은 바이트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M25 × 2.0의 내경나사 작업을 가공하려 할 때, 내경은 몇 mm로 가공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

  1. ø 22.0
  2. ø 23.0
  3. ø 25.0
  4. ø 27.0
(정답률: 57%)
  • M25 × 2.0 내경나사는 외경이 25mm이고 나사 간격이 2.0mm인 나사이므로, 내경은 외경에서 나사 간격의 두 배를 뺀 값이 됩니다. 따라서 내경은 25mm - (2.0mm × 2) = 21mm이 됩니다. 그러나 가공 시에는 일정한 여유를 두어야 하므로, 보기 중에서 내경이 21mm보다 큰 값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ø 23.0"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칩의 생성모양중 열단형 칩에 속하는 것은?

(정답률: 59%)
  • 열단형 칩은 칩의 전선이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열마다 여러 개의 전선이 있는 형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 ""이 열단형 칩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드릴로 가공한 구멍을 매끄럽고 정밀도가 높은 구멍으로 다듬는 작업은?

  1. 스크레이퍼 작업
  2. 줄 작업
  3. 리머 작업
  4. 보링 작업
(정답률: 64%)
  • 드릴로 가공한 구멍은 표면이 거칠고 정확한 크기와 형태를 갖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를 매끄럽고 정밀한 구멍으로 다듬는 작업을 리머 작업이라고 합니다. 리머는 구멍의 내부를 깎아내는 작업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구멍의 정확한 크기와 형태를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리머 작업은 가공된 구멍의 정밀도를 높이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쇼트 피닝 효과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부적당한 쇼트 피닝은 연성을 감소시키므로 균열의 원인이 된다.
  2. 두께가 크고 취성 재료에도 효과가 있다.
  3. 반복 하중에 대한 피로강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 기어등 부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4. 가공물 표면에 잔류 압축 응력이 생기게 되어 표면경도가 커진다.
(정답률: 48%)
  • "두께가 크고 취성 재료에도 효과가 있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쇼트 피닝은 가공물 표면에 잔류 압축 응력을 생성하므로 표면경도가 증가하고, 이는 두께가 크고 취성 재료에서도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옳은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수평식 보통형 세이퍼(shaper)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테이블(table)
  2. 램(ram)
  3. 크로스 레일(cross rail)
  4. 공구대
(정답률: 41%)
  • 크로스 레일은 수평식 보통형 세이퍼의 구성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수평식 보통형 세이퍼에서 작업물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테이블과 램, 그리고 작업물을 가공하는 공구대와는 달리, 크로스 레일은 수직식 세이퍼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입니다. 크로스 레일은 수직식 세이퍼에서 램과 함께 작업물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수평식 보통형 세이퍼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재료 및 요소

21. 주철이나 강으로 제작하며 원통형 공작물을 올려놓고 중심을 구하거나 원통형 외면에 구멍을 뚫을 때 사용하는 공구는?

  1. V블록
  2. 수준기
  3. 평행대
  4. 앵글 플레이트
(정답률: 40%)
  • V블록은 원통형 공작물을 올려놓고 중심을 구하거나 원통형 외면에 구멍을 뚫을 때 사용하는 공구이기 때문입니다. V블록은 두 개의 V자 모양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통형 공작물을 올려놓을 때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줍니다. 또한, V블록을 이용하여 원통형 공작물의 중심을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래핑작업에서 일감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둥근막대 가공법
  2. 둥근구멍 가공법
  3. 나사 가공법
  4. 스플라인 홈 가공법
(정답률: 40%)
  • 스플라인 홈 가공법은 래핑작업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가공법입니다. 스플라인 홈 가공법은 주로 기계부품 제작 등에서 사용되는 가공법으로, 원하는 형태의 홈을 만들어 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래핑작업에서 일감의 종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선반에서 고속도강 바이트로 연강ø 38㎜를 ø 30㎜로 가공 하였다. 이때 절삭깊이는 몇 ㎜인가?

  1. 16
  2. 8
  3. 4
  4. 2
(정답률: 46%)
  • 고속도강 바이트로 연강을 가공할 때, 절삭깊이는 바이트의 지름 차이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ø 38㎜에서 ø 30㎜로 가공할 때, 지름 차이는 8㎜이다. 이에 따라 절삭깊이는 지름 차이의 절반인 4㎜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절삭 공구재료의 구비조건 중 틀린 것은?

  1. 내마멸성이 좋을 것
  2. 성형성이 좋을 것
  3. 고온에서 경도가 높고 취성이 클 것
  4. 피삭재보다 단단하고 인성이 있을 것
(정답률: 77%)
  • "내마멸성이 좋을 것"이 틀린 것입니다. 절삭 공구재료는 고온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내마멸성이 좋을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고온에서 경도가 높고 취성이 클수록 내마모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주로 수직 밀링 머신에서 가공하는 작업은?

  1. 널링
  2. 비틀림 홈
  3. 축의 키이 홈
  4. 총형 홈
(정답률: 51%)
  • 주로 수직 밀링 머신에서 가공하는 작업은 축의 키이 홈입니다. 이는 수직 밀링 머신이 회전하는 축을 가공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으로, 축의 키이 홈을 만들어 축과 회전하는 부품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널링은 구멍을 만드는 작업, 비틀림 홈은 회전하는 부품이 들어갈 공간을 만드는 작업, 총형 홈은 부품을 고정시키는 작업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드릴링 머신에 의하여, 주조된 구멍이나 이미 뚫은 구멍을 필요한 크기나 정밀한 치수로 넓히는 작업은?

  1. 드릴링(Drilling)
  2. 보링(Boring)
  3. 태핑(Tapping)
  4. 엔드밀(End milling)
(정답률: 89%)
  • 보링은 드릴링으로 이미 뚫어진 구멍을 정밀하게 확장하거나, 주조된 구멍을 필요한 크기나 정밀한 치수로 만드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드릴링과는 달리 이미 구멍이 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며, 정밀한 치수를 요구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선반작업에서 조오가 단독으로 움직여서, 불규칙한 모양의 봉재(棒材)를 고정할 때 정확히 센터를 낼 수 있는 척은?

  1. 연동척(universal chuck)
  2. 단동척(independent chuck)
  3. 공기척(air chuck)
  4. 콜릿척(collet chuck)
(정답률: 78%)
  • 단동척은 각각의 죠(조)를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척으로, 불규칙한 모양의 봉재를 고정할 때 각 죠를 조절하여 정확히 센터를 맞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반작업에서 불규칙한 모양의 봉재를 고정할 때에는 단동척이 가장 적합한 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큰 일감을 고정시키고 주축의 드릴부분을 움직여서 드릴링의 위치를 결정하고 구멍을 뚫는 드릴머신의 종류는?

  1. 직접드릴머신
  2. 탁상드릴머신
  3. 다축드릴머신
  4. 레디얼드릴머신
(정답률: 56%)
  • 레디얼드릴머신은 큰 일감을 고정시키고 주축의 드릴부분을 움직여서 드릴링의 위치를 결정하고 구멍을 뚫는 드릴머신입니다. 다른 드릴머신들은 일감을 고정시키는 방법이 다르거나 드릴링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옆에 있는 작업자가 감전이 되었을 때 가장 적당한 응급처치는?

  1. 병원에 연락한다.
  2. 물을 부어 몸을 차게 한다.
  3. 빨리 감전자를 떼어 놓는다.
  4. 전원을 끊고 응급치료후 병원에 연락한다.
(정답률: 79%)
  • 감전자가 전기에 노출되어 있을 때, 전원을 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 후 응급처치를 해야 합니다. 응급처치 후에는 병원에 연락하여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물을 부어 몸을 차게 하는 것은 오히려 감전자의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하면 안 됩니다. 빨리 감전자를 떼어 놓는 것도 위험하며, 전기가 끊어지기 전에는 절대로 감전자에게 접근해서는 안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래크를 절삭공구로 하고 피니언을 기어 소재로 하여 래크 공구에 이상적으로 물리는 인벌류트 치형이 형성되는 운동은?

  1. 형판에 의한 절삭운동
  2. 창성에 의한 절삭운동
  3. 총형 커터에 의한 절삭운동
  4. 밀링 커터에 의한 절삭운동
(정답률: 60%)
  • 창성에 의한 절삭운동은 래크를 절삭공구로 하고 피니언을 기어 소재로 하여 래크 공구에 이상적으로 물리는 인벌류트 치형이 형성되는 운동입니다. 이는 래크와 피니언의 형상이 서로 맞물려서 절삭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다른 보기에서 제시된 형판, 총형 커터, 밀링 커터에 의한 절삭운동과는 다른 원리로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3차원 측정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복잡한 형상의 기계부품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2. 여러가지 측정 항목을 동시에 측정 가능하도록 통합된 측정기이다.
  3. CNC 3차원 측정기는 검사공정의 자동화를 이루었다.
  4. 3차원 측정기는 설치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75%)
  • "3차원 측정기는 설치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3차원 측정기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안정적인 환경이 필요하며, 진동, 온도, 습도 등의 환경 변화에 따라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측정기 설치 환경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지름이 0.05 ∼ 0.25mm의 가는황동선등을 전극으로 사용하고 장력을 주어 감으면서 요구하는 윤곽을 따라 가공하는 것은?

  1. 초음파가공
  2. 와이어컷 방전가공
  3. 전해연마
  4. 플라즈마가공
(정답률: 65%)
  • 가는 황동선은 매우 얇고 부드러운 소재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가공 방법으로는 처리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지름이 매우 작은 와이어를 전극으로 사용하여 전기적 방식으로 가공하는 와이어컷 방전가공이 적합합니다. 이 방법은 전극과 작업물 사이에 전기적 방전을 일으켜 작업물을 절단하는 방식으로, 정밀하고 복잡한 윤곽을 따라 가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에서 D=50mm, d=30mm, ℓ=200mm, L=400mm일 때 심압대의 편위량은 얼마인가?

  1. 10mm
  2. 20mm
  3. 30mm
  4. 40mm
(정답률: 60%)
  • 심압대의 편위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Δ = (F × ℓ) / (A × E)

    여기서 F는 하중, A는 단면적, E는 탄성계수, ℓ은 길이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하중 F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F를 구해야 합니다. F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F = (π/4) × (D² - d²) × L × ρ × g

    여기서 ρ는 밀도, g는 중력가속도입니다.

    이 값을 대입하면,

    F = (π/4) × (50² - 30²) × 400 × 7800 × 9.81 ≈ 1.44 × 10⁸ N

    다음으로, 단면적 A를 구해야 합니다. 단면적 A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A = (π/4) × D²

    이 값을 대입하면,

    A = (π/4) × 50² ≈ 1.96 × 10³ mm²

    마지막으로, 탄성계수 E는 주어졌습니다. E = 200 GPa = 200 × 10⁹ N/mm² 입니다.

    이 값을 모두 대입하여 편위량 Δ를 계산하면,

    Δ = (1.44 × 10⁸ × 200) / (1.96 × 10³ × 200 × 10⁹) = 0.000367 ≈ 0.37 μm

    따라서, 정답은 0.37 mm가 됩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10mm, 20mm, 30mm, 40mm 중에서 선택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20mm입니다. 이유는 보기에서 제시된 값들이 모두 mm 단위이기 때문에, 단위 변환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한 결과인 0.37mm를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하여 선택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보통 선반의 주요 부분에서 일감의 길이에 따라 임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며 센터 작업을 할 때 센터를 끼워 일감을 지지하거나 드릴을 끼워 가공할 수 있는 부분은?

  1. 베드
  2. 바이스
  3. 왕복대
  4. 심압대
(정답률: 68%)
  • 심압대는 일감을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센터 작업 시 일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드릴을 끼워 가공할 수 있는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센터 작업 및 드릴 가공에 필수적인 부품이기 때문에 정답이 "심압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기어 시험기에서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피치
  2. 모듈
  3. 압력각
  4. 치형의 정확도
(정답률: 33%)
  • 기어 시험기에서 측정할 수 있는 것은 피치, 압력각, 치형의 정확도 등이 있지만, 모듈은 기어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기어 시험기에서 직접 측정할 수 없는 값이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탄소강의 기계적 성질 중 옳지 않은 것은?

  1. 탄소강의 기계적 성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원소는 탄소이다.
  2. 탄소량이 많을 수록 인성과 충격값은 증가한다.
  3. 표준상태에서는 탄소가 많을 수록 강도, 경도가 증가한다.
  4. 탄소가 많을 수록 가공변형은 어렵게 된다.
(정답률: 56%)
  • "탄소량이 많을 수록 인성과 충격값은 증가한다."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탄소량이 증가하면 강도와 경도는 증가하지만, 인성과 충격값은 감소합니다. 이는 탄소량이 증가하면 강도와 경도가 증가하면서도 임팩트에 대한 탄성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금속 중 용융점이 가장 높은 것은?

  1. 백금
  2. 텅스텐
  3. 수은
(정답률: 68%)
  • 텅스텐은 전자 구조상 안정한 5d 전자껍질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금속보다 높은 용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텅스텐은 고온에서도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고온에서 사용되는 소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주철에서 마그네슘, 세륨, 칼슘실리사이드 등을 첨가시켜 만든 것은?

  1. 합금주철
  2. 구상흑연주철
  3. 칠드주철
  4. 가단주철
(정답률: 43%)
  • 다음 주철에서 첨가된 마그네슘, 세륨, 칼슘실리사이드는 주철의 물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합금 원소들입니다. 이 중에서 구상흑연주철은 주철에 구상흑연을 첨가하여 내열성과 내부 마찰 저항성을 높인 주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구상흑연주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경금속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알루미늄
  2. 마그네슘
  3. 베릴륨
  4. 주석
(정답률: 51%)
  • 주석은 경금속이 아닌, 전이금속에 속하는 원소입니다. 경금속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베릴륨과 같은 원소들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순간적으로 짧은 시간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보통하중의 2배가 되는 것은?

  1. 정하중
  2. 교번하중
  3. 충격하중
  4. 분포하중
(정답률: 75%)
  • 충격하중은 순간적으로 매우 큰 하중이 작용하여 보통하중의 2배 이상이 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예를 들어 물건을 떨어뜨릴 때, 차량이 충돌할 때, 기계가 갑자기 멈출 때 등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하중은 구조물이나 기계 등에 큰 영향을 미치며, 충격하중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제도(절삭부분)

41. 무거운 기계와 전동기 등을 달아 올릴 때 로프, 체인 또는 훅 등을 거는데 적합한 볼트는?

  1. 스테이 볼트
  2. 전단 볼트
  3. 아이 볼트
  4. T 볼트
(정답률: 56%)
  • 아이 볼트는 중량물체를 들어올리는 데 적합한 볼트로, 로프, 체인, 훅 등을 걸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거운 기계와 전동기 등을 달아 올릴 때 아이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스테이 볼트는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며, 전단 볼트는 재료를 자르거나 분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T 볼트는 두 개의 부품을 연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벨트전동 장치에서 풀리의 회전력이 되는 것은?

  1. 초기장력
  2. 인장쪽 장력
  3. 이완쪽 장력
  4. 유효장력
(정답률: 46%)
  • 벨트전동 장치에서 풀리의 회전력은 유효장력이 됩니다. 이는 벨트가 풀리에 묶여있을 때, 벨트의 인장쪽과 이완쪽에 작용하는 장력 중 실제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벨트의 미끄러짐과 같은 손실을 고려한 유효한 장력입니다. 따라서 벨트전동 장치에서는 유효장력을 기준으로 설계 및 운전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분할 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핀 전체가 두 갈래로 되어 있다.
  2. 너트의 풀림 방지에 사용된다.
  3. 핀이 빠져 나오지 않게 하는데 사용된다.
  4. 테이퍼 핀의 일종이다.
(정답률: 65%)
  • 분할 핀은 테이퍼 핀의 일종이 아니라, 별도의 종류의 핀입니다. 분할 핀은 핀 전체가 두 갈래로 되어 있고, 너트의 풀림 방지나 핀이 빠져 나오지 않게 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강을 열처리하지 않고 강의 표면을 다른 금속으로 피복함으로써 표면의 강도를 높이고 표면의 광택을 증가시키며, 내식성을 부여하는 표면처리법은?

  1. 전해연마
  2. 화학연마
  3. 도금
  4. 질화
(정답률: 58%)
  • 강의 표면을 다른 금속으로 피복하는 것이 도금이며, 이는 강의 강도를 높이고 광택을 증가시키며 내식성을 부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도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단면적이 20mm2인 어떤 봉에 100kgf의 인장하중이 작용할때 발생하는 응력은?

  1. 5㎏f/mm2
  2. 20㎏f/mm2
  3. 50㎏f/mm2
  4. 2㎏f/mm2
(정답률: 71%)
  • 응력 = 인장하중 / 단면적

    단면적이 20mm2이므로,

    응력 = 100kgf / 20mm2 = 5kgf/mm2 = 5㎏f/mm2

    따라서 정답은 "5㎏f/m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나사의 끝을 이용하여 축에 바퀴를 고정시키거나 위치를 조정할 때 쓰이는 세트 스크루우(set screw)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일자홈 정지나사
  2. 사각 정지나사
  3. 나비형 정지나사
  4. 6각구멍 달림 정지나사
(정답률: 45%)
  • 나비형 정지나사는 나사의 끝이 나비 모양으로 디자인되어 있어 손으로 쉽게 조이거나 풀 수 있으며,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세트 스크루우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 보기에서는 나사의 끝을 이용하여 축에 바퀴를 고정시키거나 위치를 조정할 때 쓰이는 다른 종류의 세트 스크루우들만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캠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판 캠
  2. 직동 캠
  3. 원통 캠
  4. 구름 캠
(정답률: 66%)
  • "구름 캠"은 존재하지 않는 캠의 종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황동은 어떤 원소의 2원 합금인가?

  1. 구리와 주석
  2. 구리와 망간
  3. 구리와 납
  4. 구리와 아연
(정답률: 70%)
  • 황동은 구리와 아연의 2원 합금입니다. 이는 구리의 높은 전도성과 아연의 내식성을 결합하여, 내식성이 뛰어나면서도 전기 전도성이 높은 합금을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황동은 구리와 아연의 비율에 따라 다양한 물성을 가지며, 고대부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인벌류트기어의 언더컷(undercut)발생 원인이 아닌 것은?

  1. 잇수가 적을때
  2. 압력각이 클 경우
  3. 유효 이 높이가 클 경우
  4. 잇수비가 클 경우
(정답률: 29%)
  • 인벌류트기어의 언더컷(undercut)은 기어의 톱니 끝부분이나 뿔 모양 부분이 너무 깊게 절삭되어 생기는 문제입니다. 이러한 문제는 주로 기어의 잇수나 압력각, 유효 이 높이, 잇수비 등의 요소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나 압력각이 클 경우에는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압력각이 클 경우에는 오히려 톱니가 더 강력하게 맞물리기 때문에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압력각이 클 경우는 언더컷 발생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잘못된 것은?

  1. 인장 · 압축 선형스프링에서 탄성한도 내에서는 스프링의 변형은 하중에 비례한다.
  2. 스프링지수는 코일의 평균 반지름(R)과 재료의 지름(d)의 비이다.
  3. 스프링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고 있을 때의 높이를 자유 높이라고 한다.
  4. 코일 스프링에서 유효 감김 수란 스프링의 기능을 가진 부분의 감김 수를 말한다.
(정답률: 39%)
  • 정답은 "스프링지수는 코일의 평균 반지름(R)과 재료의 지름(d)의 비이다." 이다. 스프링지수는 코일 스프링의 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외경과 내경의 차이와 재료의 탄성 모듈러스 등 여러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스프링지수는 평균 반지름과 재료의 지름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물체의 일부분의 생략 또는 단면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으로 자를 쓰지 않고 자유로이 긋는 선의 명칭은?

  1. 파단선
  2. 지시선
  3. 가상선
  4. 절단선
(정답률: 62%)
  • 정답은 "파단선"입니다. 파단선은 물체의 일부분을 생략하거나 단면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으로, 자르지 않고 자유롭게 그릴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절단선은 물체를 자르는 선, 지시선은 치수나 위치를 나타내는 선, 가상선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그림에서 필요한 선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현의 길이를 표시하는 치수선은?

(정답률: 60%)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이 치수선이 현의 길이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현과 관련된 다른 치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끼워맞춤 치수공차 기호 중 헐거운 끼워맞춤은?

  1. φ50 H7 / k6
  2. φ50 H7 / e7
  3. φ50 H7 / t6
  4. φ50 H8 / p7
(정답률: 48%)
  • 정답은 "φ50 H8 / p7" 입니다.

    치수공차 기호 중에서 헐거운 끼워맞춤은, 기본치와 상한치, 하한치가 모두 같은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φ50 H7 / k7"와 같이 상한치와 하한치가 모두 7인 경우는 헐거운 끼워맞춤이 아닙니다.

    하지만 "φ50 H8 / p7"와 같이 상한치와 하한치가 모두 다른 경우는 헐거운 끼워맞춤입니다. 이 경우에는 상한치가 8이고 하한치가 7인데, 이 둘을 모두 만족하는 값은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치수공차 기호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인 "φ50 H8 / p7"은 헐거운 끼워맞춤이며, 다른 보기들은 모두 유효한 치수공차 기호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헐거운 끼워맞춤은 상한치와 하한치가 같은 경우가 아니라, 상한치와 하한치가 모두 다른데 그 사이에 적합한 값이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보기의 평면도 공차의 두께 해석으로 올바른 것은?

  1. 10.1 일 때 0.1 까지 허용
  2. 10.1 일 때 0.2 까지 허용
  3. 두께 불문하고 0.2 까지 허용
  4. 두께 10.1 일때는 공차치수를 허용하지 않음
(정답률: 59%)
  • 정답이 "10.1 일 때 0.1 까지 허용" 인 이유는, 해당 평면도에서 가장 큰 값과 작은 값의 차이가 0.1 이하일 때 허용되기 때문입니다. 즉, 10.1에서 가장 큰 값과 작은 값의 차이가 0.1 이하일 경우에는 해당 평면도가 허용 범위 내에 있으므로 정답이 됩니다. 0.2까지 허용하는 경우나 두께 불문하고 0.2까지 허용하는 경우는 더 큰 허용 범위를 가지기 때문에, 해당 평면도가 더 큰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또한, 두께가 10.1일 때는 공차치수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해당 평면도가 정확히 10.1일 때만 허용되고, 그 이상이나 이하일 경우에는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도면에서 구멍 가공방법을 "B"로 지정한 KS 약호기호는?

  1. 보링머신 가공
  2. 부로우칭 가공
  3. 리머 가공
  4. 블라스트 가공
(정답률: 86%)
  • KS 약호기호 "B"는 보링머신 가공을 나타냅니다. 보링머신은 회전하는 공구를 이용하여 원형 구멍을 가공하는 기계로, 이에 적합한 약호기호입니다. 부로우칭은 평면상에서 깊이를 가공하는 방법이며, 리머 가공은 내부면을 깎아내는 방법입니다. 블라스트 가공은 고압 공기나 물을 이용하여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구멍 가공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단식 드러스트 보울 베어링의 약도는?

(정답률: 47%)
  • 정답은 "" 입니다.

    드러스트 보울 베어링은 내부와 외부에 각각 한 개의 경로가 있는 베어링입니다. 이 약도에서는 내부와 외부의 경로가 각각 나타나 있으며, 두 경로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서 구슬이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합니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드러스트 보울 베어링은 높은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보기와 같은 부품란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실린더의 재질은 회주철이다.
  2. 육각 너트는 기계구조용 탄소강이며 최대 인장강도가30 kgf/cm2 이다.
  3. 커넥팅로드는 단조품이며 최저 인장강도가 40kgf/mm2이다.
  4. 세트 스큐류는 호칭지름이 4mm 이고, 피치 0.7mm 인미터 나사이다.
(정답률: 42%)
  • 육각 너트의 최대 인장강도는 단위가 kgf/cm2가 아니라 kgf/mm2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육각 너트는 기계구조용 탄소강이며 최대 인장강도가 30 kgf/cm2 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상하 대칭인 보기 입체도를 화살표 방향이 정면일 때, 좌측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39%)
  • 정답인 ""는 좌측면이 상하 대칭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좌측면이 대칭이 아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보기 입체도의 정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77%)
  • 정면도는 입체도의 한 면을 정면에서 바라본 것으로, 그림의 경우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는 입체도이므로, 정면도는 그림의 아래쪽 부분을 선택해야 합니다. 따라서, ""가 가장 적합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단면도의 표시방법에서 그림과 같은 단면도의 명칭은?

  1. 전단면도
  2. 한쪽 단면도
  3. 부분 단면도
  4. 회전 도시 단면도
(정답률: 51%)
  • 이 그림은 물체를 가로질러 한쪽에서만 자른 단면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한쪽 단면도"라고 부릅니다. 다른 명칭들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