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3-02)

실내건축기사(구)
(2014-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론

1. 다음 설명에 알맞은 블라인드의 종류는?

  1. 롤 블라인드
  2. 로만 블라인드
  3. 버티컬 블라인드
  4. 베니션 블라인드
(정답률: 89%)
  • 이 그림은 롤 블라인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롤 블라인드는 블라인드를 위아래로 올리고 내리는 것이 아니라, 블라인드를 위로 말아서 올리고 아래로 풀어내려서 내리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디자인 원리 중 점이(grad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서로 다른 요소들 사이에서 평형을 이루는 상태
  2. 공간, 형태, 색상 등의 점차적인 변화로 생기는 리듬
  3. 이질의 각 구성요소들이 전체로서 동일한 이미지를 갖게 하는 것
  4. 시각적 형식이나 한정된 공간 안에서 하나 이상의 형이나 형태 등이 단위로 계속 되풀이 되는 것
(정답률: 85%)
  • "점이(grad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공간, 형태, 색상 등의 점차적인 변화로 생기는 리듬입니다." 이것은 점이 점진적으로 변화함으로써 일정한 패턴이나 리듬을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디자인에서 시각적인 이해를 돕고, 관심을 끌어내며, 시각적인 흐름을 만들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실내디자인 과정을 기획, 구상, 설계, 구현, 완공의 다섯 단계로 구분할 경우, 문제에 대한 인식과 규명 및 정보의 조사, 분석, 종합을 하는 단계는?

  1. 기획
  2. 구상
  3. 설계
  4. 구현
(정답률: 86%)
  • 기획 단계에서는 프로젝트의 목적과 범위를 정하고, 문제를 인식하고 분석하여 해결책을 도출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문제에 대한 인식과 규명 및 정보의 조사, 분석, 종합을 하는 단계는 기획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개방식 배치의 일종으로 오피스 작업을 사람의 흐름과 정보의 흐름을 매체로 효율적인 네트워크가 되도록 배치하는 것은?

  1. 유니버설 플랜
  2. 세포형 오피스
  3. 복도형 오피스
  4. 오피스 랜드스케이프
(정답률: 88%)
  • 오피스 랜드스케이프는 사람과 정보의 흐름을 고려하여 오피스 작업을 배치하는 개방식 배치의 일종입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기본구성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구부는 벽체를 대신하여 건축 구조 요소로 사용된다.
  2. 벽은 공간을 에워싸는 수직적 요소로 수평방향을 차단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3. 천장은 시각적 흐름이 최종적으로 멈추는 곳으로 내부공간 요소 중 조형적으로 가장 자유롭다.
  4. 바닥은 천장과 함께 공간을 구성하는 수평적 요소이며 고저차로써 공간의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정답률: 76%)
  • "개구부는 벽체를 대신하여 건축 구조 요소로 사용된다."가 옳지 않은 것은, 개구부는 벽체와 함께 공간을 형성하는 요소이며, 벽체를 대신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개구부는 문, 창문, 문틀 등으로 구성되며, 벽체와 함께 공간의 통행이나 환기, 조명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상점의 동선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동선과 종업원동선은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한다.
  2. 고객동선을 가능한 짧게 하여 쇼핑으로 인한 피로도를 적게 한다.
  3. 고객동선과 종업원동선이 만나는 곳에 카운터나 쇼케이스를 배치하는 것이 좋다.
  4. 상품동선은 관리동선이라고도 하며 상품의 반입, 보관, 포장, 발송 등이 이루어지는 동선이다.
(정답률: 86%)
  • "고객동선을 가능한 짧게 하여 쇼핑으로 인한 피로도를 적게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고객들이 상점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면 더 많은 상품을 보고 구매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점은 고객들이 편안하게 머무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면서도 상품들을 잘 노출시키는 고객동선을 계획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상점의 디스플레이 기법으로서 VMD(Visual merchandising)의 구성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IP(Item Presentation)
  2. VP(Visual Presentation)
  3. SP(Special Presentation)
  4. PP(Point of sale Presentation)
(정답률: 80%)
  • SP(Special Presentation)은 VMD(Visual merchandising)의 구성요소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일시적이고 특별한 이벤트나 프로모션을 위해 만들어진 디스플레이 기법으로, 일반적인 상품 진열과는 구분된다. 따라서 VMD의 핵심 구성요소는 IP(Item Presentation), VP(Visual Presentation), PP(Point of sale Presenta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연속적인 주제를 시간적인 연속성을 가지고 선형(線形)으로 연출하는 특수전시기법은?

  1. 하모니카 전시
  2. 파노라마 전시
  3. 아일랜드 전시
  4. 디오라마 전시
(정답률: 84%)
  • 파노라마 전시는 연속적인 주제를 시간적인 연속성을 가지고 선형으로 연출하는 특수전시기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하나의 큰 벽면에 연속적인 이미지를 배치하여, 관람객이 그 벽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주제에 대한 이해와 감상을 깊이 있게 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현실적 형태 중 자연형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하학적으로 취급한 점, 선, 면, 입체 등이 속한다.
  2.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것으로부터 보이는 형태를 말한다.
  3. 조형의 원형으로서 작용하며 기능과 구조의 모델이 되기도 한다.
  4. 단순한 부정형의 형태를 취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체계적인 기하학적인 특징을 갖는다.
(정답률: 70%)
  • "기하학적으로 취급한 점, 선, 면, 입체 등이 속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자연형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것으로부터 보이는 형태를 말하며, 조형의 원형으로서 작용하며 기능과 구조의 모델이 되기도 하며, 단순한 부정형의 형태를 취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체계적인 기하학적인 특징을 갖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상품의 유효진열 범위 내에서 고객의 시선이 가장편하게 머물고 손으로 잡기에도 가장 편안한 높이인 골든 스페이스의 범위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450∼850mm
  2. 850∼1250mm
  3. 1300∼1500mm
  4. 1500∼1700mm
(정답률: 88%)
  • 고객이 상품을 쉽게 볼 수 있는 범위는 유효진열 범위 내에서이며, 손으로 잡기에 편안한 높이는 골든 스페이스 범위 내에서입니다. 따라서, 850∼1250mm 범위가 가장 적합합니다. 450∼850mm 범위는 너무 낮아서 고객이 상품을 보기 어렵고, 1300∼1500mm와 1500∼1700mm 범위는 너무 높아서 손으로 잡기에 불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포겐도르프 도형과 관련된 착시의 유형은?

  1. 방향의 착시
  2. 길이의 착시
  3. 다의도형 착시
  4. 역리도형 착시
(정답률: 40%)
  • 포겐도르프 도형은 일정한 크기와 각도를 가진 삼각형들이 반복되어 만들어진 도형입니다. 이 도형을 보면서 우리 뇌는 삼각형들의 방향을 잘못 인식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보이는 착시를 일으키게 됩니다. 따라서 이 착시는 "방향의 착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실내디자인의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내디자인은 실내공간의 사용효율을 증대시킨다.
  2. 실내디자인은 건축 및 환경과의 상호성을 고려하여 계획되는 것이 좋다.
  3. 실내디자인은 인간의 활동을 도와주며 동시에 미적인 만족을 주는 환경을 창조한다.
  4. 실내디자인은 일반 이용자의 영향을 벗어나 공간예술 창조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
(정답률: 88%)
  • "실내디자인은 일반 이용자의 영향을 벗어나 공간예술 창조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내디자인은 일반 이용자의 쾌적한 환경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계획되어야 하며, 디자이너의 창의성과 예술성도 중요하지만 이용자의 만족도와 편의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아파트의 2세대 이상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복도의 유효폭은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갓복도의 경우)

  1. 90cm
  2. 120cm
  3. 150cm
  4. 180cm
(정답률: 70%)
  • 아파트의 복도는 대표적으로 소방법령에서 규정하는 소방용도의 통로로서, 화재 발생 시 대피 및 소방활동에 이용됩니다. 따라서 복도의 유효폭은 소방법령에서 규정하는 기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갓복도의 경우, 소방법령에서는 최소 유효폭을 90cm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2세대 이상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복도의 경우, 인원이 많아져 대피 및 소방활동에 필요한 공간이 더 많이 필요하므로, 유효폭도 더 넓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2세대 이상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복도의 유효폭은 최소 120c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소방법령에서 규정하는 기준 중 하나이며, 인명안전을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디자인 요소로서 곡선의 조형효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평화
  2. 속도감
  3. 우아함
  4. 존엄성
(정답률: 88%)
  • 곡선은 부드러움과 유연함을 나타내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우아함을 나타내는 데 가장 적합합니다. 곡선은 또한 자연스러움과 조화로움을 나타내어 평화와 존엄성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이러한 요소들은 곡선보다는 직선이나 각진 형태로 더 잘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곡선의 조형효과로 가장 알맞은 것은 "우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스케일(scal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케일은 상대적인 크기 즉 척도를 의미한다.
  2. 공간에 있어 스케일의 유형은 다양한 공간지각을 가져온다.
  3. 휴먼 스케일이 잘 적용된 건축물은 안정되고 안락한 감을 주는 환경이 된다.
  4. 실내디자인에서 의도된 디자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휴먼 스케일만이 의미가 있다.
(정답률: 86%)
  • "실내디자인에서 의도된 디자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휴먼 스케일만이 의미가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휴먼 스케일은 인간의 체형과 움직임을 기준으로 한 스케일로, 인간의 체감과 감정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실내디자인에서는 휴먼 스케일을 고려하여 공간을 디자인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의자와 디자이너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파이미오 의자 - 알바 알토
  2. 레드 블루 의자 - 미하엘 토넷
  3. 체스카 의자 - 마르셀 브로이어
  4. 바실리 의자 - 마르셀 브로이어
(정답률: 72%)
  • 다른 세 의자는 모두 디자이너와 연결되어 있지만, "레드 블루 의자"는 디자이너 이름이 아닌 의자의 색상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옳지 않은 연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모듈을 인체 척도에 관련시킨 건축가는?

  1. 알바 알토
  2. 르 꼬르뷔지에
  3. 윌터 그로피우스
  4.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정답률: 89%)
  • 르 꼬르뷔지에는 모듈을 인체 척도에 관련시켜 건축물의 비례와 조화를 추구하는 모더니즘 건축가였습니다. 그는 인체의 크기와 비례를 기반으로 건축물의 구성과 디자인을 결정하는 것을 중요시했습니다. 따라서 그의 작품들은 인체와 자연의 조화로운 디자인과 기능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창(window)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정창은 크기와 형태에 제약없이 자유로이 디자인할수 있다.
  2. 미서기창은 경사지게 열리므로 비나 눈이 올 때도 창을 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여닫이창은 2짝 이상의 창문이 좌우로 개폐되며, 개폐에 있어 실내 공간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4. 윈도우 웰(window wall)은 밖으로 창과 함께 평연이 돌출된 형태로 아늑한 구석공간을 형성 할 수 있다.
(정답률: 71%)
  • 고정창은 크기와 형태에 제약이 없이 디자인할 수 있는 것은 창문의 열림과 달리 고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디자인적 자유도가 높아지며, 크기와 형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가구의 배치 결정시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1. 질감
  2. 색채
  3. 기능
  4. 스타일
(정답률: 87%)
  • 가구의 배치 결정시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기능"이다. 이는 가구가 사용되는 공간에서의 기능적인 역할을 고려하여 배치를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소파는 휴식과 대화를 위한 공간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므로, 이를 중심으로 다른 가구들을 배치해야 한다. 따라서 기능적인 측면을 우선 고려하여 가구의 배치를 결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건축화 조명 중 밸런스(balance) 조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창이나 벽의 커튼 상부에 부설된 조명이다.
  2. 천장고가 높지 않을 경우 상향조명만 사용하는 것이좋다.
  3. 소파가 위치한 벽면에 설치하면 소파에서의 독서에 도움을 준다.
  4. 상향조명의 경우 천장에 반사하는 간접조명으로 전체 조명 역할을 해준다.
(정답률: 64%)
  • "천장고가 높지 않을 경우 상향조명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천장고가 낮을수록 상향조명만 사용하면 공간이 어둡게 느껴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조명을 조합하여 밸런스를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학

21. 잔상이나 대비현상을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는 색각 이론을 만든 사람은?

  1. 영·헬름홀즈
  2. 헤링
  3. 오스트발트
  4. 먼셀
(정답률: 52%)
  • 헤링은 잔상이나 대비현상을 설명하는 색각 이론인 헤링의 법칙을 제안한 사람입니다. 이 이론은 인접한 색상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인식되는 색상의 밝기나 색상이 변화하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푸르킨예 현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눈의 추상체가 낮에만 반응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2. 파란 색의 공이 밤에는 밝은 회색처럼 보이는 현상이 이에 속한다.
  3.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갈수록 단파장의 감도가 높아진다.
  4. 점차 밝아질수록 장파장의 감도가 떨어진다.
(정답률: 54%)
  • "점차 밝아질수록 장파장의 감도가 떨어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푸르킨예 현상은 눈의 망막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빛의 강도와 파장에 따라 눈의 추상체가 다르게 반응하여 생기는 현상이다. 이에 따라 밝은 곳에서는 파장이 짧은 단파장의 빛이 우세하게 되어 눈의 추상체가 그에 반응하여 파란색으로 보이고, 어두운 곳에서는 파장이 긴 장파장의 빛이 우세하게 되어 눈의 추상체가 그에 반응하여 빨간색으로 보이게 된다. 따라서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갈수록 단파장의 감도가 높아진다."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어떤 색이 같은 색상의 선명한 색 위에 위치하면 원래의 색보다 훨씬 탁한 색으로 보이고 무채색 위에 위치하면 원래의 색보다 맑은 색으로 보이는 대비현상은?

  1. 명도대비
  2. 채도대비
  3. 색상대비
  4. 연변대비
(정답률: 75%)
  • 이것은 "채도대비"입니다. 채도는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며, 무채색은 채도가 0이므로 색상 위에 위치하면 채도 대비가 높아져 더욱 선명하게 보이고, 색상과 같은 채도의 색은 대비가 낮아져 탁한 색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채도 대비는 색의 인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색채조화의 공통되는 원리가 아닌 것은?

  1. 질서의 원리
  2. 유사의 원리
  3. 대비의 원리
  4. 모호성의 원리
(정답률: 79%)
  • 색채조화의 공통되는 원리는 "질서의 원리", "유사의 원리", "대비의 원리"이다. 이들은 색채를 조화롭게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모호성의 원리"는 색채조화와는 관련이 없는 원리이다. 모호성의 원리는 정보나 이미지가 모호하거나 불분명할수록 사람들은 그것을 해석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원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정육점에서 싱싱해 보이던 고기가 집에서는 그 색이 다르게 보이는 이유는?

  1. 색의 순응현상
  2. 색의 동화현상
  3. 색의 연색성
  4. 색의 항상성
(정답률: 81%)
  • 고기의 색은 주로 미오글로빈이라는 단백질에 의해 결정되는데, 정육점에서는 형광등 아래에서 보관되어 밝고 선명한 색으로 보이지만 집에서는 자연광이나 다른 조명 아래에서 보관되어 색이 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색의 연색성 때문인데, 색은 주변의 색과 상호작용하여 색이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기의 색도 주변의 색과 상호작용하여 집에서는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두 색이 부조화한 색일 경우, 공통의 양상과 성질을 가진 것으로 배색하면 조화한다는 져드의 색채 조화원리는?

  1. 질서의 원리
  2. 숙지의 원리
  3. 유사의 원리
  4. 비모호성의 원리
(정답률: 70%)
  • 유사의 원리는 비슷한 색상끼리 조화를 이루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두 색이 부조화한 경우에는 공통의 양상과 성질을 가진 색상을 추가하여 유사한 색상끼리 조화를 이루도록 배색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두 색이 부조화한 상황에서도 조화로운 색감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신인상파 화가들의 점묘화 기법과 관련이 있는 것은?

  1. 계시 혼합
  2. 감산 혼합
  3. 회전 혼합
  4. 병치 혼합
(정답률: 83%)
  • 신인상파 화가들은 전통적인 점묘화 기법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시도를 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이 "병치 혼합" 기법이다. 이 기법은 서로 다른 색상의 물감을 한 점에 함께 놓고 섞어가며 그림을 완성하는 방법으로, 색의 조화와 균형을 이루면서도 생동감과 화려함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신인상파 화가들은 이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미적 경험을 창출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감법혼색의 3원색이 아닌 것은?

  1. blue
  2. cyan
  3. yellow
  4. magenta
(정답률: 80%)
  • 감법혼색에서 사용되는 3원색은 "cyan", "magenta", "yellow" 입니다. "blue"는 감법혼색에서 사용되는 색상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이 설명하는 색채조화론은?

  1. 오스트발트
  2. 비렌
  3. 문·스펜서
  4. 먼셀
(정답률: 73%)
  • 이 그림은 문·스펜서 색채조화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론은 색상을 3가지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며, 이를 RGB 색공간으로 표현합니다. 이론에 따르면, 색상은 빨강(Red), 녹색(Green), 파랑(Blue)의 3가지 색상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을 적절히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1976년 CIE가 추천하여 지각적으로 거의 균등한 간격을 가진 색공간은?

  1. HSV형식
  2. RGB형식
  3. CMYK형식
  4. CIELAB형식
(정답률: 75%)
  • CIELAB형식은 1976년 CIE가 추천한 색공간으로,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하여 밝기(Lightness), 색도(Chroma), 색상(Hue)을 각각 독립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들 값은 거의 균등한 간격을 가지므로 색 차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색 차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색상을 일관되게 표현하기 위해 CIELAB형식이 많이 사용된다. HSV형식은 색상, 채도, 명도를 나타내는 색공간이며, RGB형식은 빛의 3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의 조합으로 색을 표현하는 색공간이다. CMYK형식은 인쇄에서 사용되는 4원색(시안, 마젠타, 노랑, 검정)을 조합하여 색을 표현하는 색공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밝은 곳에 있는 백지와 어두운 곳에 있는 백지를 비교해 볼 때 분명히 후자의 것이 어둡게 보이는데도 불구하고 우리는 둘 다 백지로 받아들인다. 이것은 어떠한 성질 때문인가?

  1. 명시성
  2. 항상성
  3. 상징성
  4. 유목성
(정답률: 76%)
  • 정답은 "항상성"이다. 이는 백지라는 개념이 항상 같은 속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밝은 곳에 있는 백지와 어두운 곳에 있는 백지는 시각적으로는 다르게 보이지만, 그들이 나타내는 개념인 "백지"는 항상 같은 속성을 가지므로 우리는 둘 다 백지로 받아들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색채조화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의 3속성을 고려한다.
  2. 색채조화에서 명도는 중요하지 않다.
  3. 색상이 다르면 색조를 유사하게 한다.
  4. 면적비에 따라 조화의 느낌이 달라질 수 있다.
(정답률: 87%)
  • "색채조화에서 명도는 중요하지 않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명도는 색채조화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명도가 다른 색상들을 조화롭게 조합하면 시각적인 균형과 조화를 만들어내는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색채조화를 고려할 때는 색의 3속성(색상, 명도, 채도)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바나나의 색이 노랗게 보이는 이유는?

  1. 다른 색은 흡수하고, 노란 색광만 반사하기 때문
  2. 다른 색은 반사하고, 노란 색광만 흡수하기 때문
  3. 다른 색은 굴절하고, 노란 색광만 투과하기 때문
  4. 다른 색은 반사하고, 노란 색광만 투과하기 때문
(정답률: 82%)
  • "다른 색은 흡수하고, 노란 색광만 반사하기 때문"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용도별 실내색채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한색계의 색채 공간은 정신적 활동에 적합하다.
  2. 병원 수술실에 가장 많이 쓰이는 색은 청록색이다.
  3. 공장에서 안전이 요구되는 부위에는 안전색채를 배색하는 것이 좋다.
  4. 독서실 벽은 순백색으로 배색한 것이 눈의 피로를 줄여서 좋다.
(정답률: 71%)
  • "병원 수술실에 가장 많이 쓰이는 색은 청록색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수술실에서는 청록색보다는 노란색이나 연한 파란색 등의 색이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환자의 안정감을 높이고 직원들의 시력 피로를 줄이기 위함입니다.

    "독서실 벽은 순백색으로 배색한 것이 눈의 피로를 줄여서 좋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순백색은 빛을 잘 반사하여 밝고 깨끗한 느낌을 주며, 눈의 피로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독서실과 같이 오랫동안 시간을 보내는 공간에서는 순백색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시안이 되는 RGB 코드는?

  1. (0, 255, 255)
  2. (255, 255, 0)
  3. (255, 0, 255)
  4. (255, 0, 0)
(정답률: 76%)
  • 시안은 청록색으로, 빨간색과 파란색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빨간색 값이 0이고, 파란색 값이 255인 (0, 255, 255)이 시안이 되는 RGB 코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두 종류 이상의 색을 상호 비교하는데 사용되는 색공간의 상호 비교에서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유니폼 색공간(uniform color space)은?

  1. CIELAB 색공간과 CIELUV 색공간
  2. 디바이스 종속 RGB 색공간과 CIELAB 색공간
  3. CIE XYZ 색공간과 CIE Yxy 색공간
  4. 디바이스 종속 CMY 색공간과 CIELUV 색공간
(정답률: 52%)
  • CIELAB 색공간과 CIELUV 색공간은 유니폼 색공간으로, 색의 밝기, 색도, 색상을 독립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서 두 종류 이상의 색을 상호 비교하는데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디바이스 종속 RGB 색공간이나 CMY 색공간은 디바이스에 따라 색상이 달라지기 때문에 상호 비교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CIE XYZ 색공간과 CIE Yxy 색공간은 유니폼 색공간이지만, CIELAB 색공간과 CIELUV 색공간보다 계산이 복잡하고 사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혼색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리적인 변색이 일어나지 않는다.
  2. 색표계로 변환이 가능하며 오차를 적용할 수 있다.
  3. 광원의 영향에 따라 다르게 지각될 수 있다.
  4. 측색기로 측색하여 출력된 데이터의 수치나 좌표로 표현한다.
(정답률: 51%)
  • "광원의 영향에 따라 다르게 지각될 수 있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혼색계는 색을 측정하는 기기로, 측정된 색은 광원의 영향을 받아 다르게 지각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혼색계로 측정한 색이 실제로 보이는 색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혼색계로 측정한 색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광원의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색채의 공감각 중에서 쓴맛이 나는 배색은?

  1. red, pink
  2. brown-maroon, olive green
  3. green, grey
  4. yellow, yellow green
(정답률: 74%)
  • 쓴맛은 대개 불쾌한 맛으로 여겨지며, 이는 대개 녹색과 연관이 있습니다. 따라서, "green, grey"와 "yellow, yellow green"은 배색에서 쓴맛을 떠올리기 어렵습니다. "red, pink"는 달콤한 맛을 연상시키므로 배제됩니다. 그러므로, "brown-maroon, olive green"이 쓴맛을 연상시키는 배색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보색잔상의 영향으로 먼저 본 색의 보색이 나중에 보는 색에 혼합되어 보이는 것과 관련된 대비는?

  1. 동시대비
  2. 채도대비
  3. 명도대비
  4. 계시대비
(정답률: 72%)
  • 보색잔상은 눈에 남아서 나중에 본 색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 때, 먼저 본 색의 보색이 나중에 보는 색에 혼합되어 보이는 것을 계시대비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계시대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먼셀의 색체계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중심축은 무채색으로 명도를 나타낸다.
  2. 중심부로 갈수록 채도가 높아진다.
  3. 색상마다 최고 채도의 위치는 다르다.
  4. 중심부에서 하단으로 내려가면 명도는 낮아진다.
(정답률: 72%)
  • "중심부로 갈수록 채도가 높아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중심축에서 멀어질수록 채도가 높아지고, 중심축에 가까워질수록 채도가 낮아집니다. 이는 먼셀의 색체계에서 채도는 중심축에서 멀어질수록 색상의 순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간공학

41. 다음 중 암순응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암조응을 위하여 원추세포가 왕성하게 작용한다.
  2. 들어오는 빛의 양을 늘리기 위해 동공이 확대된다.
  3. 명순응보다 오래 걸리며, 완전 암순응에는 30∼40분 정도가 소요된다.
  4. 암조응이 되어 있는 눈은 적색이나 보라색에 둔감해진다.
(정답률: 63%)
  • 정답은 "암조응을 위하여 원추세포가 왕성하게 작용한다." 이다.

    암순응 현상은 빛의 양과 강도에 따라 동공의 크기가 조절되는 현상으로, 빛이 강해지면 동공이 작아지고, 빛이 약해지면 동공이 커지는 것을 말한다. 이는 망막에 있는 원추세포와 막대세포가 협력하여 일어나는 현상이다. 원추세포는 밝은 빛에서 민감하게 작용하며, 막대세포는 어두운 곳에서 민감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밝은 곳에서는 원추세포가 막대세포보다 우세하게 작용하여 동공이 작아지고, 어두운 곳에서는 막대세포가 원추세포보다 우세하게 작용하여 동공이 커지게 된다.

    암순응은 이와 달리 빛의 강도와 상관없이 일어나는 현상으로, 동공이 작아지는 것을 말한다. 이는 원추세포가 막대세포보다 더욱 우세하게 작용하여 일어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암조응을 위하여 원추세포가 왕성하게 작용한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또한, 들어오는 빛의 양을 늘리기 위해 동공이 확대되는 것은 명순응 현상이다. 암순응은 동공이 작아지는 것을 말한다. 암순응은 명순응보다 오래 걸리며, 완전 암순응에는 30~40분 정도가 소요된다. 암조응이 되어 있는 눈은 적색이나 보라색에 둔감해진다는 설명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조도(illumination)의 단위에 해당하는 것은?

  1. 칸델라(cd)
  2. 푸트캔들(fc)
  3. 램버트(L)
  4. 루멘(lumen)
(정답률: 57%)
  • 조도(illumination)의 단위는 빛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인 루멘(lumen)과 면적을 고려한 빛의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인 푸트캔들(fc)이 있다. 하지만 조도는 일반적으로 푸트캔들(fc)을 사용하여 측정하며, 이는 1평방피트(1ft²)의 면적에 1루멘의 광도가 비추어질 때의 조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조도의 단위는 "푸트캔들(f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계기판(計器板)의 눈금 숫자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0 - 1 - 2 - 3 - 4 - 5
  2. 0 - 3 - 6 - 9 - 12 - 15
  3. 0 - 5 - 10 - 15 - 20 - 25
  4. 0 - 100 - 200 - 300 - 400 - 500
(정답률: 71%)
  • "0 - 5 - 10 - 15 - 20 - 25"는 일반적인 눈금 간격이 아니며, 5의 배수로만 표시되어 있어서 숫자를 읽는 데 혼란이 올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적절하지 않은 방법이다.

    "0 - 3 - 6 - 9 - 12 - 15"는 3의 배수로 일정한 간격으로 표시되어 있어서 숫자를 읽는 데 편리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눈금 간격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적절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자극의 지각에 있어 JND(Just Notic eable - Difference)가 의미하는 것은?

  1. 자극포화치
  2. 최소절대식별치
  3. 자극둔화치
  4. 자극변화감지역치
(정답률: 67%)
  • JND(Just Noticeable Difference)는 자극의 변화가 인지될 수 있는 최소한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즉, 자극이 변화했을 때 그 변화가 인지될 수 있는 최소한의 크기를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극변화감지역치"입니다. 이는 자극의 강도나 크기 등이 변화했을 때 그 변화가 인지될 수 있는 최소한의 크기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컴퓨터 단말기(VDT)의 화면반사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좋지 않은 것은?

  1. 반사원의 위치를 바꾼다.
  2. 화면에 직접조명을 사용한다.
  3. 근원의 강도나 광도를 줄인다.
  4. 빛의 근원과 화면 사이에 차폐물이나 칸막이를 세운다.
(정답률: 82%)
  • 화면에 직접조명을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반사를 더욱 심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좋지 않은 방법이다. 직접조명을 사용하면 빛이 화면에 직접 반사되어 눈에 더욱 심한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사원의 위치를 바꾸거나 근원의 강도나 광도를 줄이는 것, 또는 빛의 근원과 화면 사이에 차폐물이나 칸막이를 세우는 것이 더 효과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인체와 환경 사이에 일어나는 열교환 과정에 있어 열교환 경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전도
  2. 증발
  3. 복사
  4. 대사
(정답률: 42%)
  • 대사는 인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으로 열이 생성되거나 소비되는 과정이므로, 인체와 환경 사이의 열교환 경로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전도는 물질 내부에서 열이 전달되는 경로, 증발은 수증기가 환경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물이 증발하는 경로, 복사는 전자기파를 통해 열이 전달되는 경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그림]과 같이 직선이 굽어보이는 착시(optical illusion)현상은?

  1. 방향의 착시
  2. 분할의 착시
  3. 동화의 착시
  4. 윤곽의 착시
(정답률: 74%)
  • 이 착시는 방향의 착시입니다. 직선이 굽어보이는 것은 실제로는 둥글지 않은 직선이 눈에 보이기 때문입니다. 뇌는 직선이 둥글게 보이는 것을 보정하려고 하지만, 이 과정에서 생기는 착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외부의 자극과 인간의 기대가 서로 모순되지 않아야 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중복성(redundancy)
  2. 일관성(consistency)
  3. 양립성(compatibility)
  4. 표준화(standardization)
(정답률: 74%)
  • 양립성은 외부의 자극과 인간의 기대가 서로 모순되지 않아야 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인간이 받는 자극과 그에 대한 기대가 일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인간의 경험과 학습에 기반하여 형성된 기대와 외부 자극이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양립성은 중복성과 일관성, 표준화와 함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짐을 나르는 방법 중 산소소비량이 가장 크게 소요되는 것은?

  1. 머리에 이고 옮기는 경우
  2. 양 손으로 들고 옮기는 경우
  3. 목도를 이용하여 어깨로 옮기는 경우
  4. 배낭을 이용하여 어깨로 옮기는 경우
(정답률: 82%)
  • 양 손으로 들고 옮기는 경우는 다른 방법들에 비해 물건의 무게를 직접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더 많은 근육을 사용하고, 이에 따라 더 많은 산소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목도나 배낭을 이용하여 옮기는 경우는 무게를 분산시켜서 근육의 부담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산소소비량이 적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문자와 도형의 디자인에서 고려되어야 할 시각 특성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가시성
  2. 명시성
  3. 감각성
  4. 가독성
(정답률: 72%)
  • 문자와 도형의 디자인에서 고려되어야 할 시각 특성은 "가시성", "명시성", "가독성"이다. 이들은 디자인 요소들이 시각적으로 더욱 뚜렷하고 명확하게 보이도록 하는 것을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특성이다. 반면에 "감각성"은 디자인 요소들이 느껴지는 감각적인 특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문자와 도형의 디자인에서는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특성이다. 따라서 정답은 "감각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그림]과 같이 엄지손가락을 구부리는 신체부위의 동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굴곡(flexion)
  2. 신전(extension)
  3. 외전(abduction)
  4. 회선(circumduction)
(정답률: 73%)
  • 이 동작은 손가락을 구부리는 동작으로, 이때 엄지손가락의 끝부분이 손바닥 쪽으로 움직이므로 "굴곡(flexion)"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전신진동이 성능(performance)에 끼치는 영향으로 가장 작은 것은?

  1. 청력의 손상
  2. 시력의 손상
  3. 추적능력의 저하
  4. 정확한 근육조절 능력의 저하
(정답률: 62%)
  • 전신진동은 청각기관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청력의 손상이 가장 작은 영향을 끼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인간공학의 연구분석방법 중 직접적 관찰법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Layout에 의한 방법
  2. 반응조사에 의한 방법
  3. Time Motion Study에 의한 방법
  4. 조사자의 의견, 면접 또는 제안에 의한 방법
(정답률: 41%)
  • 인간공학의 연구분석방법 중 직접적 관찰법, Layout에 의한 방법, Time Motion Study에 의한 방법, 조사자의 의견, 면접 또는 제안에 의한 방법은 모두 인간의 행동, 환경, 인터페이스 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직접적 관찰법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반응조사에 의한 방법은 인간의 주관적인 반응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직접적 관찰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응조사에 의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공기 중에 흡수되는 음에너지를 무시할 수 있는 거리에서 점음원으로부터 받는 음의 강도(단위면적당 출력)는 어떻게 되는가?

  1. 거리에 비례하여 감소한다.
  2. 거리의 평방근에 비례하여 감소한다.
  3. 거리의 역자승(逆自乘)에 비례하여 감소한다.
  4. 음에너지가 흡수되지 않을 때에는 감소하지 않는다.
(정답률: 56%)
  • 음파는 공기 중에서 진동을 일으키며, 이 진동은 공기 분자들을 압축하고 희소시키면서 전파된다. 이때, 음파의 진폭은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하게 된다. 이는 공기 분자들이 진폭이 큰 음파를 전달할 때 일어나는 마찰과 공기 분자들 사이의 충돌로 인해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은 거리의 역자승(逆자승)에 비례하여 감소하게 된다. 즉, 거리가 두 배가 되면 음파의 진폭은 1/4이 되고, 거리가 세 배가 되면 음파의 진폭은 1/9이 된다. 따라서, 공기 중에 흡수되는 음에너지를 무시할 수 있는 거리에서 점음원으로부터 받는 음의 강도는 거리의 역자승(逆자승)에 비례하여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의자의 일반적인 설계에 있어 체중의 분포는 인체의 어느 부분에 집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

  1. 대퇴골(femur)
  2. 척추골(vertebra)
  3. 경추골(neck vertebrea)
  4. 좌골결절(ischial tuberosity)
(정답률: 60%)
  • 의자에 앉을 때 체중은 대부분 엉덩이에 집중되기 때문에, 좌골결절(ischial tuberosity)에 집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좌골결절은 엉덩이의 뼈 중 가장 두꺼운 부분으로, 이 부분에 체중이 집중되면 더욱 안정적이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정신적 작업부하의 측정 척도의 내용으로 올바른 것은?

  1. 다른 부하의 영향을 받는 척도이어야 한다.
  2. 시간 경과에 관계가 있는 척도이어야 한다.
  3. 피측정자가 수용할 수 없는 측정척도도 가능하다.
  4. 다른 과업의 상황을 직관적으로도 구별할 수 있는 척도이어야 한다.
(정답률: 66%)
  • 정신적 작업부하의 측정 척도는 다른 과업의 상황을 직관적으로도 구별할 수 있는 척도이어야 한다. 이는 작업 부하가 어떤 상황에서 발생하는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부하의 영향을 받는 척도이어야 한다는 것은 작업 부하가 다른 요인들과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간 경과에 관계가 있는 척도이어야 한다는 것은 작업 부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피측정자가 수용할 수 없는 측정척도는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넓은 의미에서 인간-기계 시스템을 특징짓는 방법 중 인간에 의한 제어 역할의 정도에 따라 분류했을 때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제어 시스템
  2. 자동화 시스템
  3. 수동 시스템
  4. 기계화 시스템
(정답률: 38%)
  • "제어 시스템"은 인간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작동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므로, 인간에 의한 제어 역할의 정도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에서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촉각을 이용한 손잡이 설계시 필요한 조건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미끄러움이 적어야 한다.
  2. 방향성은 한정시키지 않아야 한다.
  3. 촉각에 의해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4. 작업에 필요한 힘에 대하여 적당한 크기가 되어야 한다.
(정답률: 78%)
  • 방향성을 한정시키면, 손잡이를 잡는 방향이 제한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촉각을 이용한 손잡이 설계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해야 하므로 방향성을 한정시키지 않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인체 골격이 하는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몸을 지탱하여 그 외형을 지지한다.
  2. 골격 내부에 골수를 넣어 조혈작용을 한다.
  3. 체강(體腔)을 형성하며 체강내의 장기를 보호한다.
  4. 대뇌의 지시에 따라 이완, 수축을 해 골격운동에 기여한다.
(정답률: 72%)
  • "대뇌의 지시에 따라 이완, 수축을 해 골격운동에 기여한다."는 인체 골격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몸을 지탱하고 외형을 지지하며, 골격 내부에 골수를 넣어 조혈작용을 하며, 체강을 형성하고 체강 내의 장기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실내조명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1. 빛의 방향성과 확산성이 적절해야 한다.
  2. 작업내용에 따라 조도가 적절히 선정되어야 한다.
  3. 가능한 한 광원으로부터의 직접광(直接光)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4. 특정한 장소의 조도나 휘도가 극단적으로 높거나 낮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86%)
  • "빛의 방향성과 확산성이 적절해야 한다."는 실내조명 설명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입니다.

    "가능한 한 광원으로부터의 직접광(直接光)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는 광원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비추어지는 빛이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조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바람직합니다. 이는 작업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재료

61. MDF의 특성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한번 고정철물을 사용한 곳에는 재시공이 어렵다.
  2. 천연목재보다 강도가 크고 변형이 적다.
  3. 재질이 천연목재보다 균일하다.
  4. 무게가 가볍고 습기에 강하다.
(정답률: 77%)
  • MDF는 높은 밀도를 가진 인조판으로, 무게가 가볍고 습기에 강한 것은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MDF는 밀도가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우며, 습기에 노출되면 팽창하거나 변형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기성 철물제품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코너비드는 기둥, 벽 등의 모서리에 대어 미장바름을 보호하는 철물이다.
  2. 미끄럼막이(non-slip)는 계단의 디딤판 끝에 대어 오르내릴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철물이다.
  3. 와이어라스는 탄강소 박판에 일정한 방향으로 등간격의 절단면을 내고 옆으로 길게 늘여서 그물코 모양으로 한것으로 익스팬디드멜탈(Expanded matal)이라고도 한다.
  4. 인서트(lnsert)는 콘크리트 슬래브 밑에 반자를 기타 구조물을 달아매고자 할 때 사용된다.
(정답률: 72%)
  • 와이어라스는 탄강소 박판에 일정한 방향으로 등간격의 절단면을 내고 옆으로 길게 늘여서 그물코 모양으로 한 것으로 익스팬디드멜탈(Expanded metal)이라고도 한다. (정답: 없음)

    설명: 모든 보기가 기성 철물제품에 대한 설명이며, 모두 옳은 내용이지만, 문제에서는 "옳지 않은 것"을 찾으라고 하였기 때문에,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콘크리트 배합설계 시 물의 양은 150ℓ/m3, 시멘트 양은 100ℓ/m3로 하였을 경우 물 - 시멘트비는? (단, 시멘트의 밀도는 3.14g/cm3임)

  1. 34%
  2. 48%
  3. 67%
  4. 85%
(정답률: 56%)
  • 물 - 시멘트비는 물의 양을 시멘트 양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물 - 시멘트비 = (물의 양 / 시멘트 양) x 100

    물의 양은 150ℓ/m3이고, 시멘트 양은 100ℓ/m3이므로,

    물 - 시멘트비 = (150/100) x 100 = 150%

    하지만, 시멘트의 밀도가 3.14g/cm3이므로, 1ℓ의 시멘트는 3.14kg이다. 따라서, 100ℓ의 시멘트는 314kg이다.

    따라서, 실제 물 - 시멘트비는

    물 - 시멘트비 = (물의 양 / 시멘트 양) x (1/3.14) x 100

    = (150/100) x (1/3.14) x 100

    = 47.78 ≈ 48%

    따라서, 정답은 "4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목재의 방부제 처리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자비법
  2. 침지법
  3. 주입법
  4. 도포법
(정답률: 74%)
  • 목재의 방부제 처리법 중에서 "자비법"은 적용되지 않는다. 이유는 자비법은 동물의 시체나 부산물을 묻어두는 방법으로, 목재의 방부제 처리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반면에 "침지법", "주입법", "도포법"은 목재의 내부에 방부제를 침지, 주입, 도포하여 방부처리하는 방법으로, 목재의 방부제 처리와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크리프는 크다.
  2. 재하재령이 짧을수록 크리프는 크다.
  3. 단위수량이 작을수록 크리프는 크다.
  4. 하중이 클수록 크리프는 크다.
(정답률: 63%)
  • 단위수량이 작을수록 크리프는 크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크리프는 시간에 따라 변형이 일어나는 콘크리트의 특성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이 계속 일어납니다. 따라서 단위수량이 작을수록 크리프는 작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1년 동안 1%의 크리프가 발생하는 콘크리트와 10년 동안 1%의 크리프가 발생하는 콘크리트를 비교하면, 10년 동안 크리프가 발생한 콘크리트가 더 큰 변형을 겪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석재의 성인분류에서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1. 화강암
  2. 안산암
  3. 응회암
  4. 현무암
(정답률: 72%)
  • 응회암은 화강암, 안산암, 현무암과는 달리 성분 중 하나로 석회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매스콘크리트의 균열방지대책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저발열성시멘트를 사용한다.
  2. 파이프쿨링을 한다.
  3. 골재치수를 작게 한다.
  4. 물시멘트비를 낮춘다.
(정답률: 54%)
  • 골재치수를 작게 하는 것은 균열방지대책이 아니라 구조적인 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다. 골재치수를 작게 하면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을 줄이고,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골재치수를 작게 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금속재료의 녹막이를 위하여 사용하는 바탕칠 도료는?

  1. 알루미늄페인트
  2. 광명단
  3. 에나멜페인트
  4. 실리콘페인트
(정답률: 73%)
  • 바탕칠 도료는 금속재료의 표면을 보호하고 녹막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 광명단은 녹막이 방지 효과가 뛰어나며, 높은 내구성과 내화성을 가지고 있어 금속재료의 보호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광명단이 바탕칠 도료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점토제품 중 소성온도가 가장 고온이고 흡수성이 매우 작으며 모자이크 타일, 위생도기 등에 주로 쓰이는 것은?

  1. 토기
  2. 도기
  3. 석기
  4. 자기
(정답률: 83%)
  • 정답은 "자기"입니다. 자기는 점토와 철분을 혼합하여 만든 제품으로, 소성온도가 가장 높아서 내구성이 뛰어나며, 흡수성이 매우 작아서 물이나 오염물질이 흡수되지 않습니다. 또한 모자이크 타일, 위생도기 등에 주로 사용되는 이유는 표면이 매끄러워서 청결하고 위생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콘크리트의 배합에 사용되는 AE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의 작업성 및 동결융해 저항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2. 동결융해저항성의 향상을 위한 AE콘크리트의 최적 공기량은 3~5% 정도이다.
  3. AE제를 사용하지 않는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부정형한 기포를 연행된 공기(entrained air)라고 한다.
  4. 플레인콘크리트와 동일 물-시멘트비의 경우 공기량 1%의 증가에 대해 약 4~6%의 압축강도가 저하된다.
(정답률: 68%)
  • "AE제를 사용하지 않는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부정형한 기포를 연행된 공기(entrained air)라고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부정형한 기포는 콘크리트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AE제를 사용하여 정형화된 공기를 혼합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AE제를 사용하지 않는 콘크리트에는 부정형한 기포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를 연행된 공기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목재의 화재 시 온도별 대략적인 상태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00℃ 이상 : 분자 수준에서 분해
  2. 100~150℃ : 열 발생률이 커지고 불이 잘 꺼지지 않게 됨
  3. 200℃ 이상 : 빠른 열분해
  4. 260~350℃ : 열분해 가속화
(정답률: 60%)
  • 100~150℃에서는 오히려 불이 꺼지기 쉬워지는 상태가 아니라, 열 발생률이 커져서 불이 잘 꺼지지 않게 되는 상태가 됩니다. 따라서 "100~150℃ : 열 발생률이 커지고 불이 잘 꺼지지 않게 됨"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주철(cast ir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철은 압연, 단조 등의 가공이 용이하다.
  2. 주조성이 아주 양호하고 복잡한 형상도 쉽게 성형할수 있다.
  3. 비중은 7.0~7.1 정도이다.
  4. 파이프, 라디에이터 등에 사용된다.
(정답률: 39%)
  • 주철은 압연, 단조 등의 가공이 용이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주철은 높은 탄소 함량으로 인해 브리틀하고 부서지기 쉬우며, 가공 시에도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주철은 주로 주조 공정에서 사용되며, 가공이 필요한 경우에는 후가공 과정을 거쳐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목재의 방화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목재 표면에 방화페인트 등을 도포하여 화염의 접근을 방지한다.
  2. 암모니아염류의 약제를 도포 또는 주입하여 가연성가스의 발생을 적게 하거나 인화를 곤란하게 한다.
  3. 크레오소트 오일을 사용하여 가연성 분해가스의 발산을 방지한다.
  4. 목재표면에 플라스터바름을 하여 위험온도에 달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54%)
  • 크레오소트 오일은 목재의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지만, 가연성 분해가스의 발산을 방지하는 역할은 하지 않는다. 따라서 "크레오소트 오일을 사용하여 가연성 분해가스의 발산을 방지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시멘트의 분말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분말이 미세할수록 비표면적값은 적다.
  2. 분말이 미세할수록 수화속도가 빠르다.
  3. 분말이 과도하게 미세한 것은 풍화되기 쉽다.
  4. 분말이 미세할수록 강도의 발현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54%)
  • "분말이 미세할수록 비표면적값은 적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분말의 표면적은 입체적으로 증가하므로, 분말의 입체적 크기가 작아질수록 비표면적은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세한 분말일수록 비표면적이 적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파티클 보드의 성질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고습도의 조건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방습 및 방수처리가 필요하다.
  2. 상판, 칸막이벽, 가구 등에 이용된다.
  3. 음 및 열의 차단성이 우수하다.
  4. 합판에 비해 면내 강성은 떨어지나 휨강도는 우수하다.
(정답률: 76%)
  • "합판에 비해 면내 강성은 떨어지나 휨강도는 우수하다."는 옳은 성질이 아닙니다. 파티클 보드는 합판과 마찬가지로 면내 강성과 휨강도가 모두 우수합니다. 이는 파티클 보드가 작은 파티클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합성수지 중에서 파이프, 튜브, 물받이통 등의 제품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열가소성수지는?

  1. 페놀수지
  2. 멜라민수지
  3. 폴리에스테르수지
  4. 염화비닐수지
(정답률: 63%)
  • 열가소성수지는 고온에서도 변형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파이프, 튜브, 물받이통 등과 같은 제품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 염화비닐수지는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염화비닐수지가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염화비닐수지는 가열에도 변형되지 않는 열가소성을 가지고 있어,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합성수지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소성, 가공성이 크다.
  2. 전성, 연성이 작다.
  3. 탄성계수가 강재보다 작다.
  4. 내열성, 내화성이 작다.
(정답률: 49%)
  • "전성, 연성이 작다."는 합성수지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합성수지가 금속과는 달리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성과 연성이 작다는 것은 합성수지의 물리적 성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내산·내알칼리성이 특히 우수하고 내마모성이 좋아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바탕면 등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도료는?

  1. 요소수지 도료
  2. 에폭시수지 도료
  3. 알키드수지 도료
  4. 멜라민수지 도료
(정답률: 75%)
  • 에폭시수지 도료는 내산·내알칼리성이 특히 우수하고 내마모성이 좋아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바탕면 등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도료입니다. 이는 에폭시수지의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용접성을 개선하여 용접성이 매우 우수하며, 강재의 두께가 증가하더라도 항복강도의 저하가 없도록 강재의 특성을 향상시킨 강재는?

  1. TMCP강
  2. 내후성강
  3. 스테인레스강
  4. 무도장 내후성강
(정답률: 69%)
  • TMCP강은 Thermo-Mechanical Control Process 강의 약자로, 열기계 및 기계적 가공을 통해 강재의 미세조직을 조절하여 용접성을 개선하고 항복강도의 저하를 최소화하는 고강도 강재입니다. 따라서, 강재의 두께가 증가하더라도 용접성과 항복강도가 유지되며, 구조물 제작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지붕 및 일반바닥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주제와 경화제를 일정 비율 혼합하여 사용하는 2성분형과 주제와 경화제가 이미 혼합된 1성분형으로 나뉘어지는 도막방수재는?

  1. 우레탄고무계 도막재
  2. FRP 도막재
  3. 고무아스팔트계 도막재
  4. 클로로프렌고무계 도막재
(정답률: 57%)
  • 주제와 경화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2성분형과 주제와 경화제가 이미 혼합된 1성분형으로 나뉘어지는 도막방수재 중에서, "우레탄고무계 도막재"는 우레탄과 고무를 혼합하여 만든 도막재로, 내구성과 방수성이 뛰어나며, 탄성이 좋아 변형에 강합니다. 또한, 내화성과 내화학성이 높아 화학물질에 강합니다. 따라서, 지붕 및 일반바닥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막방수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일반

81. 다음은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건축물에 대한 조항이다.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100cm2
  2. 150cm2
  3. 200cm2
  4. 300cm2
(정답률: 61%)
  • 주요구조부는 내화구조로 되어야 하므로, 내화설계기준에 따라 면적이 정해져 있다. 그리고 그림에서 보이는 주요구조부의 면적을 계산하면, 가로 20cm, 세로 10cm인 직사각형의 면적인 200cm2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0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건축구조 중 재해방지 성능상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 는 것은?

  1. 내진구조
  2. 조립구조
  3. 내화구조
  4. 방화구조
(정답률: 79%)
  • 조립구조는 건축물의 구성요소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건축구조 중 재해방지 성능상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지진, 화재, 내열에 대한 구조적 대비를 강화한 것이기 때문에 해당 분류에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건축물을 건축하거나 대수선하는 경우 해당 건축물의 설계자는 국토교통부령을 정하는 구조기준 등에 따라 그 구조의 안전을 확인하여야 하는데 그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건축물은?

  1. 층수가 2층 이상인 건축물
  2. 창고, 축사, 작물재배사 및 표준설계도서에 의하여 건축하는 건축물로 연면적 400m2 이상인 건축물
  3.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지진구역의 건축물
  4. 국가적 문화유산으로 보존할 가지가 있는 건축물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것
(정답률: 67%)
  • 창고, 축사, 작물재배사 및 표준설계도서에 의하여 건축하는 건축물로 연면적 400m2 이상인 건축물은 구조기준 등에 따라 안전을 확인할 필요가 없는 건축물이다. 이는 해당 건축물들이 일반적으로 인명이나 재산에 대한 위험이 적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특별피난계단의 구조에 관한 기준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실 및 부속실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은 불연재료로 할 것
  2. 계단실에는 노대 또는 부속실에 접하는 부분 외에는 건축물의 내부와 접하는 창문 등을 설치하지 아니할 것
  3. 건축물의 내부에서 부속실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을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4.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9m 이상으로 할 것
(정답률: 76%)
  • "건축물의 내부에서 부속실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을종방화문을 설치할 것"이 옳지 않은 기준이다. 이유는 을종방화문은 외부와 내부를 분리하는 출입구에 설치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기 때문이다. 내부에서 내부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을종방화문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철골의 고력볼트 접합의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응력의 전달이 확실하다.
  2. 품질 검사가 용이하다.
  3. 시공이 간편하다.
  4. 강재의 양을 절약한다.
(정답률: 42%)
  • 철골의 고력볼트 접합은 강재를 절단하거나 가공하지 않고도 강력한 접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강재의 양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구조물을 구성하는 강재의 양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건물의 외부 보를 제외하고는 내부에는 보 없이 바닥판만으로 구성하고 그 하중은 직접 기둥에 전달하는 구조는?

  1. 플랫 슬래브
  2. 장선 슬래브
  3. 격자 슬래브
  4. 1방향 슬래브
(정답률: 77%)
  • 플랫 슬래브는 바닥판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보가 없는 구조이며, 하중을 직접 기둥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건물 내부에서 보가 필요 없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장선 슬래브"은 보가 있는 구조이며, "격자 슬래브"은 보와 함께 격자 형태로 구성된 구조입니다. "1방향 슬래브"는 보가 한 방향으로만 놓여져 있는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소방방재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소방시설을 설치하는 경우에 고려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소방대상물의 규모
  2. 소방대상물의 용도
  3. 소방대상물의 수용인원
  4. 소방대상물의 위치
(정답률: 71%)
  • 소방시설 설치는 화재안전을 위해 필요한 것이므로, 소방대상물의 위치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소방시설의 위치는 화재 발생 시 대처하기 쉽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소방대상물과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소방대상물의 위치는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한국 전통건축에서 수장(修粧)공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보아지 꽂기
  2. 인방, 중방, 하방 드리기
  3. 마루 깔기
  4. 구들 드리기
(정답률: 55%)
  • 보아지 꽂기는 한국 전통건축에서 수장공사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보아지가 건축물의 외관을 꾸미는 장식 요소이기 때문이다. 수장공사는 건축물의 구조나 기능을 강화하거나 보완하는 공사를 의미하는데, 인방, 중방, 하방 드리기, 마루 깔기, 구들 드리기 등이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건축관계법규에 따라 계산의 벽에 손잡이를 설치하여야 할 경우 벽으로부터 최소 얼마 이상 떨어져 설치해야 하는가?

  1. 3cm
  2. 5cm
  3. 8cm
  4. 10cm
(정답률: 71%)
  • 건축관계법규에서는 계산의 벽에 손잡이를 설치할 때, 손잡이의 중심부가 벽면으로부터 최소 5c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손잡이를 잡았을 때 손가락이 벽면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c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특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에 두어야 할 소방안전관리자의 선임대상자가 되기 위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방기술사
  2. 5년 이상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로 근무한 실무경력이 있고, 국민안전처장관이 정하여 실시하는 특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에 관한시험에 합격한 사람
  3. 소방공무원으로 15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
  4. 소방설비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5년 이상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로 근무한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정답률: 81%)
  • "소방공무원으로 15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소방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더라도, 특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을 보유하고 있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당 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를 담당할 수 있는 충분한 역량을 갖춘 사람들만이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콘크리트 공사에서의 최소피복두께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피복의 목적은 내구, 내화, 부착력 확보가 목적이다.
  2. 피복두께란 콘크리트 표면에서 주근 중심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3.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기둥의 최소피복두께는 40mm이다.
  4.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의 최소피복두께는 80mm이다.
(정답률: 65%)
  •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기둥의 최소피복두께는 40mm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기둥의 최소피복두께는 25mm입니다.

    피복두께란 콘크리트 표면에서 주근 중심까지의 거리를 말합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내화성을 확보하고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두께입니다. 콘크리트 기둥의 경우,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경우 최소 25mm, 흙에 묻혀 있는 경우 최소 50mm의 피복두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아르누보 디자인의 근원이 아닌 것은?

  1. 정직한 디자인과 장인정신 강조
  2. 색감이 풍부한 일본 예술의 영향
  3. 바로크의 조형적 형태와 로코코의 비대칭원리
  4. 지역의 문화적 전통을 디자인에서 배제
(정답률: 55%)
  • 아르누보 디자인은 지역의 문화적 전통을 디자인에서 배제하지 않고, 지역의 문화와 전통을 존중하며 디자인하는 것이 중요한 가치 중 하나이다. 따라서 "지역의 문화적 전통을 디자인에서 배제"는 아르누보 디자인의 근원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건축법에서 정의하는 다음에 해당하는 용어는?

  1. 신축
  2. 증축
  3. 개축
  4. 재축
(정답률: 65%)
  • 이미 건축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그 건축물을 철거하고 새로운 건축물을 건설하는 것을 개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미 존재하는 건물을 철거하고 새로운 건물을 건설하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정답은 "개축"입니다. "신축"은 처음부터 새로운 건물을 건설하는 것을 의미하며, "증축"은 이미 존재하는 건물에 추가적인 부분을 건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재축"은 건축물을 철거하지 않고 기존 건축물을 보수 또는 개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이 아닌 것은?

  1. 종합병원
  2. 숙박시설
  3. 옥내수영장
  4. 방송국
(정답률: 82%)
  • 옥내수영장은 특정소방대상물이 아니기 때문에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특정소방대상물에 해당하므로 방염성능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비상용승강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건축물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높이 31m를 넘는 각층을 거실외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2. 높이 31m를 넘는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800m2이하인 건축물
  3. 높이 31m를 넘는 층수가 6개층 이상인 건축물
  4. 높이 31m를 넘는 층수가 4개층 이하로서 당해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 600m2 이내마다 방화구획으로 구획한 건축물
(정답률: 53%)
  • 비상용승강기는 건물의 높이와 층수, 바닥면적 등에 따라 설치 의무가 있거나 없을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비상상황에서 인명구조에 필요한 경우에는 반드시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비상용승강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건축물 기준은 "높이 31m를 넘는 각층을 거실외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입니다. 이유는 높이가 31m를 넘는 건축물은 인명구조에 필요한 비상용승강기를 설치해야 하지만, 거실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각층은 인원이 적어 비상상황에서 인명구조가 필요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조건으로 해당 층에 대한 무창층 여부를 판단하고자 한다. 판단결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조건의 창과 문은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2조 1항의 개구부 조건을 모두 만족한다.)

  1. 설치된 창의 개수가 기준을 초과하여 무창층이 아니다.
  2. 개구부의 면적의 합계가 커서 무창층이 아니다.
  3. 설치된 문의 개수가 기준을 초과하여 무창층이 아니다.
  4. 개구부의 면적의 합계가 작아 무창층에 해당된다.
(정답률: 70%)
  • 무창층이란 창이나 문이 없는 층을 말한다. 따라서, 설치된 창이나 문의 개수가 기준을 초과하면 무창층이 아니게 된다. 반면에, 개구부의 면적의 합계가 작으면 창이나 문의 개수가 적어져 무창층에 해당된다. 따라서, 정답은 "개구부의 면적의 합계가 작아 무창층에 해당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건축허가 등을 할 때 미리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의 최소 연면적 기준은?

  1. 200m2 이상
  2. 400m2 이상
  3. 600m2 이상
  4. 1000m2 이상
(정답률: 63%)
  • 소방법 제20조에 따르면, 건축물의 최소 연면적 기준은 400m2 이상이며, 이는 대부분의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에 대한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기준 이상의 건축물은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화재가 발생할 경우 사용하는 피난설비(피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구 또는 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동화재속보설비
  2. 인공소생기
  3. 비상조명등
  4. 완강기
(정답률: 63%)
  • 자동화재속보설비는 화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화재를 감지하고 경보를 발생시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사용하는 피난설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목구조에서 가새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가새의 경사는 45°에 가까울수록 유리하다.
  2. 가새는 수평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따라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받는다.
  3. 목조에서 가새는 철재의 사용을 금한다.
  4. 가새는 대칭으로 배치하는 것이 구조내력상 유리하다.
(정답률: 61%)
  • 정답은 "목조에서 가새는 철재의 사용을 금한다." 이다. 이유는 목조 구조물에서는 철재를 사용하지 않고 목재만으로 구성하기 때문이다. 목조 구조물에서는 가새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이때 가새는 목재로 만들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건축물에 설치하는 급수 ㆍ 배수의 용도로 쓰이는 배관설비의 설치 및 구조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톱앵글(top angle)
  2. 윙플레이트(wing plate)
  3. 사이드앵글(side angle)
  4. 클립앵글(clip angle)
(정답률: 44%)
  • 톱앵글은 배관을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각형재로, 건축물에 설치하는 급수ㆍ배수의 용도로 쓰이는 배관설비의 설치 및 구조기준에서도 사용된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건축환경

101. 벽체의 단열 성능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사형 단열재는 중공벽 중간에 설치한다.
  2. 단열재는 되도록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3. 저항형 단열재는 재료내 기포가 많이 포함된 것을 사용한다.
  4. 벽체의 재료와 재료 사이에는 공기층이 생기지 않도록 밀착시켜 부착한다.
(정답률: 60%)
  • "벽체의 재료와 재료 사이에는 공기층이 생기지 않도록 밀착시켜 부착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공기층이 생기지 않도록 밀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공기층이 생기면 열전달이 증가하기 때문에 단열성능이 떨어진다. 따라서 벽체의 재료와 재료 사이에는 공기층이 생기지 않도록 밀착시켜 부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실내외의 공기유출의 방지 효과와 아울러 출입 인원을 조절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문은?

  1. 미서기문
  2. 미닫이문
  3. 회전문
  4. 여닫이문
(정답률: 81%)
  • 회전문은 실내와 실외의 공기유출을 방지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출입 인원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목적으로 설치하는 문입니다. 회전문은 여러 개의 패널이 회전하면서 출입을 허용하고, 패널이 회전하면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또한, 회전문은 여러 명이 동시에 출입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의 인원이 출입하는 곳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투과손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간벽의 차음성능을 나타낸다.
  2. 공진이 발생되면 투과손실이 저하된다.
  3. 일치효과가 발생할수록 투과손실은 증가한다.
  4. 단일벽체의 질량이 클수록 투과손실은 증가한다.
(정답률: 38%)
  • 단일벽체의 질량이 클수록 투과손실은 증가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일치효과가 발생할수록 투과손실은 증가하는 이유는, 일치효과가 발생하면 파동이 반사되어 다시 파동이 만나는 지점에서 강한 진폭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파동의 에너지가 더 많이 소모되어 투과손실이 증가합니다.

    공진이 발생하면 투과손실이 저하되는 이유는, 공진이 발생하면 파동이 벽체 내부에서 반사되어 파동의 진폭이 증폭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파동의 에너지가 덜 소모되어 투과손실이 감소합니다.

    간벽의 차음성능을 나타내는 것은, 벽체가 소리를 얼마나 막아내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투과손실과는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으로는 투과손실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조명시설에서 보수율의 정의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점광원에서의 조도율
  2. 광속 총량에 대한 작업면의 빛의 양의 비율
  3. 실의 가로, 세로, 광원의 높이의 관계를 나타낸 지수
  4. 조명시설을 어느 기간 사용한 후의 작업면상의 평균 조도와 초기조도와의 비
(정답률: 60%)
  • 보수율은 조명시설을 일정 기간 사용한 후의 작업면상의 평균 조도와 초기조도와의 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조명시설의 성능 변화를 측정하고 유지보수의 필요성을 파악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조명시설을 어느 기간 사용한 후의 작업면상의 평균 조도와 초기조도와의 비"가 보수율의 정의로 가장 알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물리적 온열 4요소를 옳게 나열한 것은?

  1. 기온, 습도, 공기의 청정도, 복사열
  2. 기온, 습도, 기류속도, 복사열
  3. 기온, CO2농도, 복사열, 대류열
  4. 기온, 습도, 기류속도, 공기의 청정도
(정답률: 74%)
  • 물리적 온열 4요소는 기온, 습도, 기류속도, 복사열입니다. 기온은 공기의 열에 대한 양을 나타내며, 습도는 공기 중의 수증기 함량을 나타냅니다. 기류속도는 공기의 이동 속도를 나타내며, 복사열은 태양 복사와 지구 복사에 의한 열을 나타냅니다. 이 중에서도 기온과 습도는 가장 기본적인 온열 요소이며, 기류속도와 복사열은 추가적인 온열 요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다음의 조명에 관한 설명 중 ( ) 안에 들어갈 용어가 옳게 연결된 것은?

  1. ① 직접조명, ② 간접조명
  2. ① 직접조명, ② 국부조명
  3. ① 전반조명, ② 직접조명
  4. ① 전반조명, ② 국부조명
(정답률: 72%)
  • 전반조명은 전체적인 공간을 밝히는 조명이고, 국부조명은 특정한 부분을 강조하는 조명입니다. 그림에서는 전체적으로 밝은 조명이 주어져 있으므로 전반조명이고, 특정한 부분을 강조하는 것은 없으므로 국부조명이 아닌 직접조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전반조명, ② 직접조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가로 9[m], 세로 9[m], 높이가 3.3[m]인 교실이 있다. 여기에 광속이 3200[lm]인 형광등을 설치하여 평균조도 500[lx]를 얻고자 할 때 필요한 램프의 개수는? (단, 보수율은 0.8, 조명률은 0.6이다.)

  1. 20개
  2. 27개
  3. 35개
  4. 42개
(정답률: 62%)
  • 먼저, 교실의 면적은 가로 9[m] × 세로 9[m] = 81[m²]이다.
    그리고, 광속 3200[lm]의 형광등 1개의 조명효율은 3200[lm] × 0.6 = 1920[lm]이다.
    따라서, 교실 전체를 밝히기 위해 필요한 조명량은 81[m²] × 500[lx] = 40500[lm]이다.
    하지만, 보수율 0.8을 고려해야 하므로, 실제 필요한 조명량은 40500[lm] ÷ 0.8 = 50625[lm]이다.
    따라서, 필요한 램프의 개수는 50625[lm] ÷ 1920[lm] ≈ 26.3개인데,
    램프는 개수가 떨어지지 않도록 반올림하여 27개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27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간접배수를 하여야 하는 기기 및 장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제빙기
  2. 세탁기
  3. 세면기
  4. 식기세정기
(정답률: 71%)
  • 세면기는 물을 직접 사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이나 손 등을 씻거나 세정하는 기기이므로, 간접배수를 하지 않아도 된다. 반면, 제빙기, 세탁기, 식기세정기는 물을 직접 사용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간접배수를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기계식 환기방식 중 실내의 압력이 외부보다 낮아지고 실내 공기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경우가 적어 화장실이나 부엌 등에 적합한 환기방식은?

  1. 흡출식 환기방식
  2. 압입식 환기방식
  3. 병용식 환기방식
  4. 중력식 환기방식
(정답률: 69%)
  • 흡출식 환기방식은 실내의 공기를 직접 밖으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끌어들이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실내의 압력이 외부보다 낮아지는 경우가 적습니다. 따라서 화장실이나 부엌 등에서 발생하는 냄새나 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적합한 환기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다음의 음향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음이 실내에 고루 분산되도록 한다.
  2. 반사음이 한 곳으로 집중되지 않도록 한다.
  3. 실내에서 음이 명료하게 들리기 위해서는 충분한 반사음이 필요하다.
  4. 실의 사용목적에 적합한 음의 울림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실용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정답률: 70%)
  • "실내에서 음이 명료하게 들리기 위해서는 충분한 반사음이 필요하다."라는 설명은 옳은 것이다. 이는 실내에서 소리가 잘 울리고 퍼지기 위해서는 벽면, 천정면, 바닥면 등에서 충분한 반사음이 일어나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반사음이 부족하면 소리가 흡수되어 음이 흐려지거나 소리가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다음 중 각종 유류 등의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은?

  1. PM-10
  2. CO
  3. CO2
  4. 포름알데히드
(정답률: 43%)
  • 각종 유류 등의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은 CO입니다. 이는 연소 과정에서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탄소가 완전히 연소되지 못하고 일부가 CO로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PM-10은 미세먼지, CO2는 인체에 해로운 영향은 없지만 온실가스로서 문제가 되는 가스이며, 포름알데히드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화학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전기샤프트(E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층마다 같은 위치에 설치한다.
  2. 전기샤프트의 점검구 문의 폭은 90cm 이상으로 한다.
  3. 전력용과 정보통신용과 같이 용도별로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다.
  4. 전기샤프트의 면적은 보, 기둥을 포함하여 산정하고, 건축적인 마감은 하지 않는다.
(정답률: 68%)
  • 전기샤프트의 면적은 보, 기둥을 포함하여 산정하고, 건축적인 마감은 하지 않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전기샤프트는 건물 내부에서 전기선, 통신선 등을 설치하고 유지보수하기 위한 공간으로, 건축적인 마감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기샤프트 내부에는 벽, 천장, 바닥 등이 마감되어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열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전흑체의 복사율은 1이다.
  2. Stefan-Boltzmann 법칙과 관계있다.
  3. 복사에너지는 표면 절대온도의 4승에 비례한다.
  4. 같은 재료이면 표면마감정도가 달라도 복사율은 동일하다.
(정답률: 70%)
  • 같은 재료이면 표면마감정도가 달라도 복사율은 동일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표면마감정도가 다르면 표면이 빛을 반사하거나 흡수하는 정도가 달라져서 복사율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복사에너지는 표면 절대온도의 4승에 비례한다는 것은 슈테판-볼츠만 법칙에서 나오는 내용입니다. 이 법칙은 물체가 방출하는 복사에너지의 양이 물체의 온도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물체의 온도가 높을수록 방출하는 복사에너지의 양도 많아지게 됩니다.

    완전흑체의 복사율이 1이라는 것은 완전흑체가 모든 파장에서 모든 복사를 흡수하고 방출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완전흑체는 최대한 많은 복사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옳지 않은 설명은 "같은 재료이면 표면마감정도가 달라도 복사율은 동일하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잔향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Eyring식은 흡음력이 클 때 사용된다.
  2. 흡음력이 매우 적은 실에는 Sabine식이 적용된다.
  3. Knudsen식은 공기의 점성저항에 의한 음의 감쇠를 무시한다.
  4. 잔향시간이 짧은 실에는 Eyring 또는 Knudsen식이 사용된다.
(정답률: 39%)
  • 잔향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잔향시간이 짧은 실에는 Eyring 또는 Knudsen식이 사용된다."입니다. 잔향시간이 짧은 실에는 Sabine식이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기조화방식 중 단일덕트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수방식의 특성이 있다.
  2. 혼합상자에서 소음과 진동이 생긴다.
  3. 각 실이나 존의 부하변동에 즉시 대응할 수 있다.
  4. 냉·온풍의 혼합손실이 없으므로 이중덕트방식에 비해 에너지 절약적이다.
(정답률: 45%)
  • 단일덕트방식은 냉·온풍의 혼합손실이 없기 때문에 이중덕트방식에 비해 에너지 절약적입니다. 이는 냉·온풍이 각각 별도의 덕트를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혼합손실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음의 세기레벨이 30dB인 음의 세기는? (단, 기준음의 세기는 10-12W/m2이다.)

  1. 10-12 W/m2
  2. 10-9 W/m2
  3. 10-6 W/m2
  4. 10-3 W/m2
(정답률: 52%)
  • 음의 세기레벨은 10log10(음의 세기/기준음의 세기)로 계산된다. 따라서, 음의 세기레벨이 30dB이면 30 = 10log10(음의 세기/10-12)이다. 이를 변형하면 음의 세기는 10-9 W/m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조명에서 눈부심(glar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휘도가 낮을수록 눈부시다.
  2. 빛남이 시선에 가까울수록 눈부시다.
  3. 빛나는 면의 크기가 클수록 눈부시다.
  4. 보이는 물체의 주위가 어둡고 시력이 낮아질수록 눈부시다.
(정답률: 68%)
  • "휘도가 낮을수록 눈부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휘도는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휘도가 높을수록 더 밝은 빛을 발산합니다. 따라서 휘도가 낮을수록 눈이 덜 부시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환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치환환기는 공기의 온도차에 따른 환기력을 이용한 자연환기와 함께 기계환기를 조합한 환기방식이다.
  2. 건물의 상부와 하부에 개구부가 있을 경우, 실내외 온도차에 의한 환기량은 두 개구부 수직거리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3. 전반환기는 실 전체의 기류분포를 고려하면서, 실내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의 희석, 확산,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기방식이다.
  4. 건물의 실내온도가 외기온도보다 높고, 실외에 바람이 없을 경우, 외기는 건물 상부의 개구부로 들어오고, 건물하부의 개구부로 나가면서 환기가 이루어진다.
(정답률: 63%)
  • 정답은 "건물의 상부와 하부에 개구부가 있을 경우, 실내외 온도차에 의한 환기량은 두 개구부 수직거리의 제곱근에 비례한다."이다. 이는 옳은 설명이다.

    건물의 실내온도가 외기온도보다 높고, 실외에 바람이 없을 경우, 외기는 건물 상부의 개구부로 들어오고, 건물하부의 개구부로 나가면서 환기가 이루어진다는 것은 자연환기의 원리이다.

    치환환기는 공기의 온도차에 따른 환기력을 이용한 자연환기와 함께 기계환기를 조합한 환기방식이고, 전반환기는 실 전체의 기류분포를 고려하면서, 실내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의 희석, 확산,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기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건축물 외벽의 결로 방지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냉교현상을 없앤다.
  2. 실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억제한다.
  3. 벽의 방습층은 가능한 실내측에 가깝게 설치한다.
  4. 실내벽 표면온도는 실내공기의 노점온도보다 낮게 한다.
(정답률: 61%)
  • "실내벽 표면온도는 실내공기의 노점온도보다 낮게 한다."는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는 결로 발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내벽 표면온도는 실내공기의 노점온도보다 높게 유지해야 결로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같은 주파수 음의 간섭에 의해서 입사음파가 반사 음파와 중첩되어서 음압의 변동이 고정되는 현상은?

  1. 마스킹 현상
  2. 정재파 현상
  3. 피드백 현상
  4. 플러터 에코 현상
(정답률: 52%)
  • 정재파 현상은 같은 주파수의 음파가 반사되어 입사음파와 중첩되어 음압의 변동이 고정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주로 방 안에서 발생하며, 음향 장비나 마이크 등을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음향 장비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듣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