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5-31)

실내건축기사(구)
(2015-05-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론

1. 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점을 연속해서 배열하면 선의 느낌을 받는다.
  2. 많은 점을 근접시켜 배열하면 면으로 느껴진다.
  3. 어떤 물체든지 확대하거나, 가까이서 보면 점으로 보인다.
  4. 나란히 있는 점의 간격에 따라 집합, 분리의 효과를 얻는다.
(정답률: 73%)
  • "많은 점을 근접시켜 배열하면 면으로 느껴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많은 점을 근접시켜 배열하면 선이나 면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이는 인식의 문제이며 실제로는 여전히 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어떤 물체든지 확대하거나, 가까이서 보면 점으로 보이는 이유는, 물체의 표면을 이루는 입자들이 너무 작아서 인간의 눈으로는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눈에 보이는 것은 그 입자들의 집합 중에서 가장 작은 단위인 점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천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채광량이 많다.
  2. 전망과 통풍에 유리하다.
  3. 벽면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4. 실내 조도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정답률: 82%)
  • 천창은 전망과 통풍에 유리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천창은 주로 채광량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벽면을 다양하게 이용하고 실내 조도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전망과 통풍은 천창이 아닌 창문이나 환기구 등으로 해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공간의 분할 중 심리∙도덕적 구획의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커튼
  2. 낮은 칸막이
  3. 바닥면의 변화
  4. 천장면의 변화
(정답률: 74%)
  • 커튼은 공간을 분할하는 것이지만, 심리∙도덕적 구획의 방법에 속하지 않습니다. 심리∙도덕적 구획의 방법은 인간의 심리적∙도덕적 요구에 따라 공간을 분할하는 것으로, 커튼은 단순히 시각적인 분할을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공간구성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선형 공간구성이란 일련의 공간의 반복으로 이루어진 선형적인 연속이다.
  2. 집합형 공간구성은 구심형 공간구성과 선형 공간구성의 두 가지 요소를 조합한 것이다.
  3. 구심형 공간구성은 중앙의 우세한 중심공간과 그 주위의 수많은 제2의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4. 격자형 공간구성은 공간 속에서의 위치와 공간 상호간의 관계가 3차원적 격자 패턴 속에서 질서정연하게 배열되는 형태 및 공간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59%)
  • 선형 공간구성이란 일련의 공간의 반복으로 이루어진 선형적인 연속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실내디자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내디자인은 디자인요소를 반영하여 인간환경을 구축하는 작업이다.
  2. 실내디자인은 예술에 속하므로 미적인 관점에서만 그 성공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3. 실내다지인은 목적을 위한 행위이나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고 특정한 효과를 얻기 위한 수단이다.
  4. 실내디자인은 실내공간을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환경으로 창조해 내는 문제해결의 과정과 그 결과이다.
(정답률: 86%)
  • "실내디자인은 예술에 속하므로 미적인 관점에서만 그 성공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내디자인은 미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기능성, 안전성, 편의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도 평가되어야 하며, 이러한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실내디자인은 예술뿐만 아니라 문제해결의 과정과 결과로서도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오피스 랜드스케이프(office landscap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음이 발생하기 쉽다.
  2. 공간의 독립성이 확보되고 형태가 명확하다.
  3. 고정된 칸막이를 사용하지 않고 이동식을 사용한다.
  4. 변화하는 업무의 흐름이나 작업 패턴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정답률: 87%)
  • 오피스 랜드스케이프는 공간의 독립성이 확보되지 않고, 열린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어 소음이 발생하기 쉽다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공간의 독립성이 확보되고 형태가 명확하다."는 오피스 랜드스케이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의 가구에 관한 설명 중 ( )안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1. ㉠ 고정가구, ㉡ 가동가구
  2. ㉠ 이동가구, ㉡ 가동가구
  3. ㉠ 이동가구, ㉡ 붙박이가구
  4. ㉠ 붙박이가구, ㉡ 이동가구
(정답률: 87%)
  • 이 그림에서는 옷장이 벽면에 붙어있지 않고 바닥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가구이며, 벽면에 붙어있는 책장은 붙박이가구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동가구, ㉡ 붙박이가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건축화조명 중 천장, 벽의 구조체에 의해 광원의 빛이 천장 또는 벽면으로 가려지게 하여 반사광으로 간접 조명하는 방식은?

  1. 코브 조명
  2. 밸런스 조명
  3. 코니스 조명
  4. 캐노피 조명
(정답률: 56%)
  • 코브 조명은 광원을 천장이나 벽면에 가려지게 하여 간접 조명하는 방식으로, 반사광을 이용하여 조명 효과를 내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천장이나 벽면에 빛이 고르게 분포되어 부드러운 조명 효과를 만들어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설명에 알맞은 주택 부엌가구의 배치 유형은?

  1. 일렬형
  2. ㄷ자형
  3. 병렬형
  4. ㄱ자형
(정답률: 85%)
  • 주택 부엌가구의 배치 유형은 "ㄷ자형"이다. 이유는 부엌의 작업 흐름을 고려하여 식기 세척, 조리, 보관 등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작은 공간에서도 부엌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배치 유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시스템 가구의 디자인 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가구는 비규격화된 디자인으로 한다.
  2. 인체공학에 의한 인체치수와 동작에 적합하도록 한다.
  3. 재배열과 교체가 용이하고,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4. 구성재와 결합시켜 통일과 조화를 꾀하며, 융통성을 크게 한다.
(정답률: 83%)
  • "가구는 비규격화된 디자인으로 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다른 조건들은 인체공학적인 측면이나 기능적인 측면에서 가구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지만, "비규격화된 디자인"은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자유롭게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조건들과는 목적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실내디자인의 구성원리 중 규칙적인 요소들의 반복으로 디자인에 시각적인 질서를 부여하는 통제된 운동감각은?

  1. 비례
  2. 리듬
  3. 균형
  4. 통일
(정답률: 72%)
  • 리듬은 규칙적인 요소들의 반복으로 디자인에 시각적인 질서를 부여하는 통제된 운동감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리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상품 진열계획에서 고객에게 가장 편한 진열 높이를 말하는 골든 스페이스(golden space)의 범위는?

  1. 400~850mm
  2. 850~1250mm
  3. 1250~1500mm
  4. 1500~1800mm
(정답률: 86%)
  • 고객이 가장 편하게 상품을 살펴볼 수 있는 높이는 눈의 높이와 비슷한 850mm에서 1250mm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이 범위 안에 진열된 상품은 고객이 쉽게 찾아볼 수 있고, 불편함 없이 쇼핑을 즐길 수 있습니다. 다른 범위는 고객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으므로 골든 스페이스로 선택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동선의 3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시간
  2. 하중
  3. 속도
  4. 빈도
(정답률: 59%)
  • 동선의 3요소는 "하중", "속도", "빈도" 이며, "시간"은 동선의 요소가 아닙니다. 동선의 3요소는 각각 물건이나 사람의 무게, 이동 속도, 이동 빈도를 나타내는데, 시간은 이동에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동선의 3요소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시공간의 특수전시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하모니카 전시는 통일된 전시내용이 규칙적으로나 반복적으로 나타날 때 적용이 용이하다.
  2. 파노라마 전시는 벽이나 천장을 직접 이용하지 않고 전시공간의 중앙에 전시물을 배치하는 전시 기법이다.
  3. 아일랜드 전시는 현장감을 가장 실감나게 표현하는 기법으로 한정된 공간 속에서 배경스크린과 실물의 종합 전시가 이루어진다.
  4. 디오라마 전시는 연속적인 주제를 연관성 깊게 표현하기 위해 선형으로 연출하는 전시기법으로 맥락이 중요하다고 생각될 때 사용된다.
(정답률: 67%)
  • 하모니카 전시는 통일된 전시내용이 규칙적으로나 반복적으로 나타날 때 적용이 용이하다. 이는 하모니카 전시가 여러 개의 패널을 접었다 폈다 하듯이 전시물을 전환하면서 보여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시물이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을 때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기하학적 형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기적 형태를 가진다.
  2. 인공적 형태의 특징을 느끼게 한다.
  3. 규칙적이며 단순 명쾌한 감각을 준다.
  4. 수학적인 법칙과 함께 생기며 뚜렷한 질서를 가진다.
(정답률: 60%)
  • "유기적 형태를 가진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기하학적 형태는 보통 규칙적이며 수학적인 법칙을 따르며 뚜렷한 질서를 가지지만, 유기적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나선형 구조를 가진 껍질을 가진 달팽이나 꽃의 형태 등이 유기적인 형태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디자인의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판단만이 중요하다.
  2. 다수의 사람들에 의한 보편적 객관성을 따른다.
  3. 점, 선, 척도, 비례, 조형, 조화, 통일 등을 포함한다.
  4. 조형요소를 결합하여 착시현상을 유도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정답률: 46%)
  • 디자인은 다수의 사람들이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보편적 객관성을 따라야 한다. 이는 디자인이 단순히 디자이너의 주관적인 취향이나 적절성만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들의 다양한 경험과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만들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디자인은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판단도 중요하지만, 다수의 사용자들이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보편적 객관성을 따라야 한다. 또한 디자인의 원리에는 점, 선, 척도, 비례, 조형, 조화, 통일 등이 포함되며, 이를 결합하여 착시현상을 유도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디자인 요소 중 패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위적인 패턴의 구성은 반복을 명확히 함으로써만 이루어진다.
  2. 패턴을 취급할 때 중요한 것은 그 공간속에 있는 모든 패턴성을 갖는 것과의 조화방법이다.
  3. 연속성 있는 패턴은 리듬감이 생기는데 그 리듬이 공간의 성격이나 스케일과 맞도록 해야 한다.
  4. 패턴은 인위적으로 구성되는 것도 있으나 어떤 잔위화된 재료가 조합될 때 저절로 생기는 것이다.
(정답률: 66%)
  • "인위적인 패턴의 구성은 반복을 명확히 함으로써만 이루어진다."는 옳은 설명이다. 패턴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반복되는 요소들의 집합으로 구성되며, 이를 인위적으로 구성할 때는 반복을 명확히 해야 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극장의 평면형은?

  1. 가변형
  2. 애리나형
  3. 프로세니움형
  4. 오픈 스테이지형
(정답률: 83%)
  • 애리나형은 무대와 관객석이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무대 중앙에는 회전식 무대가 있다는 특징을 갖습니다. 따라서 무대에서의 공연이나 연극 등에서 배우들이 관객들을 모두 바라볼 수 있어서 연출의 자유도가 높고, 관객들도 무대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시야에 잡을 수 있어서 좋은 시야각을 갖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상점의 동선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판매원 동선은 가능한 한 짧게 만들어 일의 능률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2. 고객 동선은 접근하기 쉽고 고객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도록 계획한다.
  3. 고객 동선은 고객이 원하는 곳으로 바로 접근 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짧게 계획한다.
  4. 관리 동선은 사무실을 중심으로 종업원실, 창고, 매장등이 최단거리로 연결되도록 한다.
(정답률: 85%)
  • "고객 동선은 고객이 원하는 곳으로 바로 접근 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짧게 계획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없다. 이유는 고객 동선을 짧게 만들어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상점 운영에 있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상점 매장의 상품구성과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점상품은 주통로에 접하는 부분에 배치한다.
  2. 전략상품은 상점 내에서 가장 눈에 잘 띄는 곳에 배치한다.
  3. 고객을 위한 휴게시설은 충동구매상품과 격리하여 배치한다.
  4. 진열대가 굴절 또는 곡선으로 처리된 곳에는 소형 상품을 배치한다.
(정답률: 78%)
  • "고객을 위한 휴게시설은 충동구매상품과 격리하여 배치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고객이 휴게시설에서 쉬는 동안에도 상품을 보고 구매할 수 있도록 충동구매상품과 함께 배치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학

21. 대비현상과는 달리 인접된 색과 닮아 보이는 현상은?

  1. 잔상현상
  2. 퇴색현상
  3. 동화현상
  4. 연상감정
(정답률: 86%)
  • 동화현상은 인접한 색들이 서로 영향을 주어 닮아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대비현상과는 달리 색의 밝기나 채도가 아닌 색의 조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노란색이 인접해 있을 때, 빨간색이 노란색의 영향을 받아 주황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색채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디자인이나 미술 작품에서도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채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이 순수할수록 채도가 높고, 탁하거나 흐릴수록 채도가 낮다.
  2. 무채색이 포함되지 않은 색이 채도가 가장 높고 이를 순색이라 한다.
  3. 순색에 흰색을 섞는 양이 많아질수록 채도는 높아진다.
  4. 무채색은 채도가 없다.
(정답률: 77%)
  • "순색에 흰색을 섞는 양이 많아질수록 채도는 높아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순색에 흰색을 섞는 양이 많아질수록 채도는 낮아지고 밝아지게 됩니다. 이는 흰색이 색상의 강도를 약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에 흰색을 조금 섞으면 연한 분홍색이 되고, 많이 섞으면 연한 빨간색이 되어 채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채도를 높이고 싶다면 순색에 무채색을 섞거나, 순색끼리 섞어서 더 진한 색을 만들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감법혼색으로 틀린 것은?

  1. magenta + yellow = red
  2. cyan + magenta = blue
  3. yellow + cyan = green
  4. yellow + blue = white
(정답률: 81%)
  • 감법혼색에서는 빛의 삼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yellow + blue = white"는 틀린 것입니다. 올바른 것은 "yellow + blue = gree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JPG와 GIF의 장점만을 가진 포맷으로 트루컬러를 지원하고 비손실 압축을 사용하여 이미지 변형 없이 원래 이미지를 웹상에 그대로 표현할 수 있는 포맷 형식은?

  1. PCX
  2. BMP
  3. PNG
  4. PDF
(정답률: 82%)
  • PNG는 JPG와 GIF의 장점을 결합한 포맷으로, 트루컬러를 지원하면서도 비손실 압축을 사용하여 이미지 변형 없이 원래 이미지를 웹상에 그대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PNG"입니다. PCX와 BMP는 트루컬러를 지원하지만 압축 방식이 비효율적이며, PDF는 이미지 포맷이 아니라 문서 포맷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잔상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시신경이나 뇌의 이상으로 원래의 자극과 다른 감각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2. 어떤 자극에 의해 원자극과 동질 또는 이질의 감각경험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3. 망막의 흥분 상태의 지속성에 기인하는 현상이다.
  4. 충동이 시신경에 발한 그대로 계속되고 있는 결과이다.
(정답률: 58%)
  • 잔상은 "어떤 자극에 의해 원래의 자극과 동질 또는 이질의 감각경험을 일으키는 현상"이 아니라 "시신경이나 뇌의 이상으로 원래의 자극과 다른 감각을 일으키는 현상"입니다. 즉, 원래의 자극과는 다른 감각이 일어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색채조화의 공통 원리가 아닌 것은?

  1. 질서의 원리
  2. 유사성의 원리
  3. 친근성의 원리
  4. 혼합의 원리
(정답률: 74%)
  • 색채조화의 공통 원리는 색상들이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느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질서의 원리"는 색상들을 조직화하고 규칙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유사성의 원리"는 비슷한 색상들을 함께 사용하여 일관성 있는 조화를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친근성의 원리"는 색상들이 서로 조화롭게 보이도록 인접한 색상들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혼합의 원리"는 색상들을 혼합하여 새로운 색상을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혼합의 원리"는 색채조화의 공통 원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색편의 분광반사율을 측정했을 때 가장 정확하게 색좌표가 계산되는 색체계는?

  1. Munsell 색체계
  2. Hering 색체계
  3. CIE 색체계
  4. Ostwald 색체계
(정답률: 70%)
  • CIE 색체계는 광원의 스펙트럼과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하여 색을 정의하고 측정하는 국제적인 표준 색체계입니다. 따라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색편의 분광반사율을 CIE 색체계에 맞게 변환하여 색좌표를 계산하면 가장 정확한 색좌표를 얻을 수 있습니다. Munsell 색체계는 색의 밝기와 채도를 나타내는데 강점이 있지만, 색상을 정의하는 방법이 복잡하고 일관성이 부족합니다. Hering 색체계는 색의 인지적 특성을 고려하여 색을 정의하는데 강점이 있지만, 색좌표를 계산하는 방법이 복잡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Ostwald 색체계는 색의 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색을 정의하는데 강점이 있지만, 색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디지털 색채의 유형 중 RGB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쇄물이나 그림과 같이 컬러 재생 매체에 사용된다.
  2. 3가지 기본색인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을 모두 100%씩 혼합하면 검은색이 된다.
  3. 감법혼색으로 2차색은 원색보다 어두워진다.
  4. 컴퓨터 화면의 스크린은 24비트 색배열 조정장치를 사용할 경우 최대 약 1677만 가지의 색을 만들어낼 수있다.
(정답률: 64%)
  • 정답은 "컴퓨터 화면의 스크린은 24비트 색배열 조정장치를 사용할 경우 최대 약 1677만 가지의 색을 만들어낼 수있다." 이다. RGB 형식은 빨강, 초록, 파랑의 3가지 기본색을 조합하여 색을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각 색상은 0부터 255까지의 값을 가지며, 이를 조합하여 총 16,777,216가지의 색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는 컴퓨터 화면에서 사용되는 색상의 범위를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스피드감을 내는 자동차의 배색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저명도의 장파장색
  2. 중명도의 단파장색
  3. 고명도의 장파장색
  4. 고명도의 단파장색
(정답률: 75%)
  • 고명도의 장파장색은 빠른 속도와 스피드감을 나타내는 색상 중 하나이다. 이는 빛의 파장이 길어서 눈에 더욱 선명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동차의 배색으로 고명도의 장파장색을 선택하면 스피드감을 더욱 강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오스트발트 색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노랑을 기준으로 전체 24색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2. 톤은 무채색을 제외하고 각 색상 당 28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3. 원래 색채의 배색을 위한 조화를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4. 색체조화메뉴얼(CHM)에는 모두 40색상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44%)
  • "색체조화메뉴얼(CHM)에는 모두 40색상으로 구성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 색체조화메뉴얼(CHM)은 24개의 색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색상당 28개의 톤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색체계는 원래 색채의 배색을 위한 조화를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물체색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빛을 대부분 반사시키면 흰색이 된다.
  2. 빛을 완전히 흡수하면 이상적인 검정색이 된다.
  3. 빛의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흡수하면 회색이 된다.
  4. 빛의 반사율은 0%~100%가 현실적으로 존재한다.
(정답률: 69%)
  • "빛의 반사율은 0%~100%가 현실적으로 존재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모든 물체가 일부 빛을 반사하고 일부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반사율이 0%이거나 100%인 경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모든 물체는 어느 정도의 회색을 띠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먼셀 색체계에서 색상기호 앞에 붙는 숫자로 각 색상의 대표 색상을 의미하는 숫자는?

  1. 2
  2. 5
  3. 8
  4. 3
(정답률: 82%)
  • 먼셀 색체계에서 색상기호 앞에 붙는 숫자는 색상의 색온도를 나타내며, 이 숫자가 높을수록 더 높은 온도의 색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5"는 다른 보기보다 높은 온도의 대표 색상을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맥스웰 디스크(Maxwell's Disk)와 관계가 있는 것은?

  1. 병치혼합
  2. 회전혼합
  3. 감산혼합
  4. 색료혼합
(정답률: 73%)
  • 맥스웰 디스크는 회전혼합의 예시 중 하나이다. 회전혼합은 물질을 회전시켜서 균일하게 혼합하는 방법으로, 맥스웰 디스크는 회전하는 원판 안에 액체를 넣고 회전시켜서 액체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정답은 "회전혼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먼셀 색체계의 색표기 방법 중 명도가 가장 높은 색은?

  1. 2.5R 2/8
  2. 10R 9/1
  3. 5R 4/14
  4. 7.5Y 7/12
(정답률: 68%)
  • 먼셀 색체계에서 명도는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0부터 10까지의 숫자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10R 9/1"은 먼셀 색체계에서 명도가 9인 가장 밝은 빨간색을 나타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명도가 더 낮기 때문에 "10R 9/1"이 가장 높은 명도를 가진 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우리 눈에서 무채색의 지각뿐 아니라 유채색의 지각도 함께 일으키는 능력은 어디서 이루어지는가?

  1. 추상체
  2. 간상체
  3. 수정체
  4. 홍채
(정답률: 67%)
  • 정답은 "추상체"입니다. 눈에서 유채색의 지각을 일으키는 능력은 망막 내에 있는 색감 세포들이 담당합니다. 이 색감 세포들은 세 가지 종류로 나뉘며, 각각 빨강, 초록, 파랑색을 감지합니다. 이러한 색감 세포들이 함께 작용하여 우리 눈에서 다양한 색상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일어나는 유채색의 지각은 뇌에서 추상적인 개념으로 처리되는데, 이를 "추상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색채계획의 과정에서 색채 심리 분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색채 이미지 측정
  2. 유행 이미지 측정
  3. 상품 이미지 측정
  4. 경영 이미지 측정
(정답률: 61%)
  • 색채 심리 분석은 색채가 인간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색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경영 이미지 측정은 회사나 브랜드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으로, 색채 선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경영 이미지 측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2개 이상의 색을 혼합할 때 혼합되는 색의 수가 많을수록 명도가 높아지는 경우의 혼합은?

  1. 감산혼합
  2. 중간혼합
  3. 병치혼합
  4. 가산혼합
(정답률: 75%)
  • 가산혼합은 빛의 삼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색의 명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어서, 혼합되는 색의 수가 많을수록 명도가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빨강과 초록을 혼합하면 노란색이 되고, 이에 파랑을 더해주면 밝은 흰색이 됩니다. 이처럼 색의 수가 많을수록 밝고 선명한 색을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가산혼합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배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려하고 강렬한 느낌을 위해서는 색상차를 크게 하여 배색한다.
  2. 채도차가 큰 배색은 면적을 조절하여 안정감을 주어야 한다.
  3. 유사색상 배색 시에는 명도차, 채도차를 비슷하게 하여 조화되게 한다.
  4. 명쾌한 배색이 되기 위해서는 명도차를 크게 하여 배색한다.
(정답률: 37%)
  • 정답은 "명쾌한 배색이 되기 위해서는 명도차를 크게 하여 배색한다." 이다.

    유사색상 배색 시에는 명도차, 채도차를 비슷하게 하여 조화되게 하는 것이 올바른 설명이다. 이는 비슷한 색상을 사용하여 조화를 이루는 것이기 때문에 명도와 채도를 비슷하게 맞추어야 한다.

    화려하고 강렬한 느낌을 위해서는 색상차를 크게 하여 배색하는 것이 올바른 설명이다. 이는 대비를 강조하여 눈에 띄는 색감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채도차가 큰 배색은 면적을 조절하여 안정감을 주어야 한다는 것은 채도가 강한 색상을 사용할 때, 너무 많은 면적에 사용하면 눈에 부담스러울 수 있기 때문에 면적을 조절하여 균형을 맞추는 것이 올바른 설명이다.

    따라서 유사색상 배색 시에는 명도차, 채도차를 비슷하게 하여 조화되게 하는 것이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헤링의 4원색이 아닌 것은?

  1. Blue
  2. Yellow
  3. Purple
  4. Green
(정답률: 79%)
  • 헤링의 4원색은 Cyan, Magenta, Yellow, Black 이다. 따라서 보기 중 "Purple"은 헤링의 4원색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오스트발트 색채조화에서 gc –lg - pl의 기호는 어떤 조화에 해당하는가?

  1. 등백계열조화
  2. 등흑계열조화
  3. 등순계열조화
  4. 무채색의 조화
(정답률: 65%)
  • gc-lg-pl은 등순계열조화에 해당한다. 이는 색상을 밝기에 따라 순서대로 배열하는 조화로, 가장 밝은 색상부터 가장 어두운 색상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조화는 균형감과 조화감을 주며, 일관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간공학

41. 다음 중 인간의 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망막을 구성하고 있는 감광요소 중 간상세포는 색의 구분을 담당한다.
  2. 황반 부위에는 간상세포가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3. 시각이란 보는 물체에 의한 눈에서의 대각이며, 일반적으로 분(′)단위로 나타낸다.
  4. 시력은 시각 1분의 역자승수를 표준단위로 사용한다.
(정답률: 65%)
  • 시각이란 보는 물체에 의한 눈에서의 대각이며, 일반적으로 분(′)단위로 나타낸다. 이는 눈에서 보이는 물체의 크기와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로, 시력은 시각 1분의 역자승수를 표준단위로 사용한다. 망막을 구성하고 있는 감광요소 중 간상세포는 색의 구분을 담당하고, 황반 부위에는 간상세포가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소리와 청각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기온이 오르면 소리의 전달속도가 감소한다.
  2. 2가지 음의 주파수 비율이 2 : 1일 때 이것을 1옥타브라 한다.
  3. 인간의 감각은 일반적으로 주파수가 낮은 음보다 높은 음이 감도가 좋다.
  4. 점음원으로부터의 단위면적당 출력은 반사나 굴절이 없는 한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작아진다.
(정답률: 60%)
  • "기온이 오르면 소리의 전달속도가 감소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기체의 분자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분자 간 충돌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소리의 전달속도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2가지 음의 주파수 비율이 2 : 1일 때 이것을 1옥타브라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옥타브는 주파수가 2배씩 증가하는 음계 간의 간격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파수 비율이 2 : 1인 음계 간의 간격은 1옥타브이다.

    "인간의 감각은 일반적으로 주파수가 낮은 음보다 높은 음이 감도가 좋다."는 옳은 설명이다. 인간의 청각은 주파수가 높은 음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점음원으로부터의 단위면적당 출력은 반사나 굴절이 없는 한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작아진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점음원에서 발생한 소리가 일정한 면적에 분산되면서 에너지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정보량의 계산에서 어떤 계기판에 램프가 4개가 있고 그 중 하나에만 불이 켜지는 경우와 같이 4개의 대안이 있을 경우의 정보량(bit)은 얼마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62%)
  • 4개의 대안이 있을 경우, 각 대안이 선택될 확률은 모두 동일하므로 각 대안의 정보량은 -log2(1/4) = 2 bit이다. 따라서, 4개의 대안이 있을 때 정보량은 2 bi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소음원에 대한 소음의 제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해당 설비의 진동량이나 진동 부분을 조정하여 감소 시킨다.
  2. 고주파 소음을 내는 장치를 사용한다.
  3. 저주파 소음은 고주파의 소음보다 방향성이 크므로 차폐물 또는 방해물을 설치한다.
  4. 대형 저속송풍기보다 소형고속 송풍기를 설치한다.
(정답률: 71%)
  • 해당 설비의 진동량이나 진동 부분을 조정하여 감소 시킨다. - 소음의 원인 중 하나인 진동을 줄이면 소음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신체 부위의 운동 형태와 그 예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조작동작 : 망치질하기
  2. 연속동작 : 부품이나 공구잡고 있기
  3. 반복동작 : 자동차 핸들의 조종하기
  4. 계열동작 : 피아노 연주나 타이핑하기
(정답률: 73%)
  • 정답은 "계열동작 : 피아노 연주나 타이핑하기"이다. 이유는 계열동작은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일정한 패턴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말하며, 피아노 연주나 타이핑하기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일정한 패턴으로 움직이는 동작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시(視)식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조도
  2. 대비
  3. 이동
  4. 반응시간5
(정답률: 59%)
  • 시식별은 시각적 자극을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뇌의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반응시간은 시각적 자극을 받아들이고 그에 대한 반응을 내리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시식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에서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반응시간입니다. 조도와 대비는 시각적 자극의 선명도와 명암을 결정하며, 이동은 시각적 자극의 위치와 방향을 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1촉광의 점광원으로부터 1m 떨어진 곡면에 비추는 광의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1. lux
  2. lambert
  3. lumen
  4. foot-candle
(정답률: 50%)
  • 정답: lux

    광의 밀도는 광원에서 발산되는 광량과 표면적에 비례합니다. lux는 광원에서 발산되는 1루멘의 광량이 1m²의 면적에 비춰지는 광의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1촉광의 점광원으로부터 1m 떨어진 곡면에 비추는 광의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로는 lux가 적합합니다. lambert는 단위 면적당 광원에서 발산되는 광량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lumen은 광원에서 발산되는 총 광량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foot-candle은 미국에서 사용되는 광의 밀도 단위로, 1평방피트에 비춰지는 광의 밀도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진동이 인간성능에 끼치는 일반적인 영향으로 틀린 것은?

  1. 안정되고 정확한 근육 조절을 요하는 작업은 진동에 의해서 그 능력이 저하된다.
  2. 진동은 진폭에 비례하여 시력을 손상시킨다.
  3. 진동은 진폭에 비례하여 추적 능력을 손상하며 낮은 진동수에서 가장 심하다.
  4. 반응시간, 형태 식별 등 주로 중앙 신경처리에 달린임무는 진동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정답률: 58%)
  • "진동은 진폭에 비례하여 시력을 손상시킨다."가 틀린 것이다. 진동이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진동수에 따라 다르며, 낮은 진동수에서 가장 심하다는 것은 맞지만 진폭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부품의 일반적인 위치를 정할 때 적용하는 부품 배치의 원칙으로만 나열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중요성의 원칙, 사용빈도의 원칙
  2. 중요성의 원칙, 공정순서의 원칙
  3. 기능별 배치의 원칙, 부품크기의 원칙
  4. 기능별 배치의 원칙, 사용공정의 원칙
(정답률: 62%)
  • 부품 배치의 원칙 중 "중요성의 원칙"은 중요한 부품일수록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고, "사용빈도의 원칙"은 자주 사용되는 부품일수록 작업장 내에서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원칙입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원칙만으로 부품의 일반적인 위치를 정할 때 적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인체계측에 있어서 구조적 인체치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표준자세에서 움직이지 않는 피측정자를 대상으로 신체의 각 부위를 측정한다.
  2. 신체의 각 부위간에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여러 가지 변수가 내재해 있다.
  3. 손을 뻗어 잡을 수 있는 한계는 팔길이 만의 함수가 아니고 어깨 움직임, 몸통 회전, 등 구부림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4. 신체적 기능을 수행할 때 각 신체부위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서로 조화를 이루어 움직이기 때문에 이 치수가 사용된다.
(정답률: 53%)
  • 인체계측에서 구조적 인체치수는 "표준자세에서 움직이지 않는 피측정자를 대상으로 신체의 각 부위를 측정한다."는 설명이 가장 올바르다. 이는 인체치수 측정 시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측정 대상자가 일정한 자세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인체치수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나 신체 부위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시각 표시장치 설계에 따른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수치를 정확히 읽어야 할 경우는 계수형(計數型, digital) 표시장치가 적합하다.
  2. 계수형 표시장치의 판독오차는 원형 표시장치보다 많다.
  3. 동침형(動針型, moving pointer) 표시장치는 인식적인 암시 신호(cue)를 준다.
  4. 사각 개창형(開窓型)이나 수직, 수평형태 동목형(動目型, moving scale)이 동침형(動針型, moving pointer)에 비해 계기반의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
(정답률: 65%)
  • "계수형 표시장치의 판독오차는 원형 표시장치보다 많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계수형 표시장치는 디지털적인 형태로 수치를 표시하기 때문에 정확한 값을 표시할 수 있지만, 원형 표시장치는 눈금을 따라 값을 읽어야 하기 때문에 판독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계수형 표시장치의 판독 오차가 원형 표시장치보다 적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손의 기본 지각기능에서 정보수집의 종류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입체식별 기능
  2. 중량식별 기능
  3. 색 식별 기능
  4. 경도식별 기능
(정답률: 83%)
  • 손의 기본 지각기능에서 정보수집의 종류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색 식별 기능"입니다. 이는 손으로 색상을 구별하는 능력이 다른 정보수집 능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손의 입체식별 기능은 물체의 형태와 크기를 파악하고, 중량식별 기능은 물체의 무게를 파악하며, 경도식별 기능은 물체의 경도를 파악합니다. 이러한 정보수집 능력은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하며, 손의 지각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조명방법 중 간접조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작업상 필요한 장소만 조명하는 방법이다.
  2. 효율이 좋으나 음영이 생기기 쉽다.
  3. 광원을 천장에 매달기 때문에 파손의 위험이 적으나 전력소비량이 많다.
  4. 광이 천장면이나 벽면에 부딪친 다음 반사된 광선이 조명면에 비치는 방법이다.
(정답률: 71%)
  • 광이 천장면이나 벽면에 부딪친 다음 반사된 광선이 조명면에 비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조종-반응 비율(C/R 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시장치의 이동거리에 대한 조종장치를 이동한 거리의 비율이다.
  2. C/R 비가 클수록 조종장치는 민감하다.
  3. 최적 C/R 비는 조정시간과 이동시간의 합이 최소가 되는 점을 가리킨다.
  4. C/R 비가 낮을수록 조정시간은 오래 걸린다.
(정답률: 67%)
  • "표시장치의 이동거리에 대한 조종장치를 이동한 거리의 비율이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C/R 비는 조종장치의 이동거리와 표시장치의 이동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조종장치를 움직였을 때 표시장치가 얼마나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C/R 비가 클수록 조종장치와 표시장치의 반응이 민감해지기 때문에 작은 움직임에도 큰 변화가 일어납니다. 따라서 C/R 비가 클수록 조종장치는 민감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최적 C/R 비는 조정시간과 이동시간의 합이 최소가 되는 점을 가리키며, C/R 비가 낮을수록 조정시간은 오래 걸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자동차 제동페달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퇴부와 경부의 각도를 어느 정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가?

  1. 90도
  2. 180도
  3. 120도
  4. 150도
(정답률: 73%)
  • 자동차 제동페달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퇴부와 경부의 각도를 120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이는 제동페달을 밟을 때 발의 힘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90도로 유지하면 발의 힘이 약해지고, 180도로 유지하면 발목이 불편해지기 때문입니다. 150도로 유지하면 발목이 더욱 불편해지고, 힘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제품디자인에 있어 인간 공학적인 고려대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인간의 성능 향상
  2. 사용 편리성의 향상
  3. 하드웨어의 신뢰성 향상
  4. 개인차를 고려한 디자인
(정답률: 69%)
  • 하드웨어의 신뢰성 향상은 제품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중요하지만, 인간의 신체적인 특성이나 행동양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인간 공학적인 고려대상으로 볼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제품의 크기나 무게, 버튼의 위치 등은 인간의 신체적 특성과 행동양식을 고려하여 디자인되어야 하며, 이는 사용 편리성의 향상과 개인차를 고려한 디자인에 해당합니다. 인간의 성능 향상은 제품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중요하지만, 이 또한 인간의 신체적 특성과 행동양식을 고려하여 디자인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경계 및 경보 신호의 선택 또는 설계시 고려할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배경 소음과는 다른 주파수를 사용한다.
  2. 주위를 끌기 위하여 변조된 신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3. 높은 주파수의 신호는 멀리가지 못하므로 장거리용의 신호는 1000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4. 신호가 장애물을 돌아가거나 칸막이를 통과할 때는 500Hz 이하의 진동수를 사용한다.
(정답률: 57%)
  • "주위를 끌기 위하여 변조된 신호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경계 및 경보 신호의 선택 또는 설계시 고려할 사항으로 적절한 것입니다. 이유는 변조된 신호는 주변 잡음과 혼동될 가능성이 있으며, 경계 및 경보 신호는 명확하고 구분하기 쉬워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간판의 바탕색이 80%의 반사도를 가지며, 글씨가 10%의 반사도를 가질 때 대비(contrast)는 몇 % 인가?

  1. 77.8
  2. 85.7
  3. 87.5
  4. 88.9
(정답률: 53%)
  • 대비는 (바탕색의 반사도 - 글씨의 반사도) / 바탕색의 반사도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80 - 10) / 80 = 0.75 이며,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75%가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속한 답안들이 모두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표기되어 있으므로, 75%를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77.8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77.8"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후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후각의 민감도는 특정 물질과 그 냄새를 맡는 사람들에게 일정한 경향을 나타낸다.
  2. 후각은 많은 자극 중 하나를 식별하는데 보다 냄새의 존재를 탐지하는데 효과적이다.
  3. 강도차만 있는 냄새의 경우 15~20 수준 정도를 식별할 수 있다.
  4. 특정한 냄새를 절대적으로 식별하는 데에는 뛰어나다.
(정답률: 72%)
  • 정답은 "후각은 많은 자극 중 하나를 식별하는데 보다 냄새의 존재를 탐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이다. 후각은 냄새를 감지하는 감각으로, 다른 자극들과 함께 냄새를 식별하는 역할을 한다. 후각은 냄새의 존재를 탐지하는데 매우 민감하며, 특정한 냄새를 식별하는 데에도 뛰어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인체 골격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조혈 작용
  2. 체내의 장기보호
  3. 신체의 지지 및 형상 유지
  4. 수축과 이완을 통한 관절의 움직임
(정답률: 66%)
  • 인체 골격의 주요 기능은 "신체의 지지 및 형상 유지"입니다. 이는 인체의 구조적인 지지체계를 제공하고, 내부 장기를 보호하며, 운동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지력을 제공합니다. "수축과 이완을 통한 관절의 움직임"은 인체 골격의 부수적인 기능 중 하나입니다. 이는 근육과 관절의 협력을 통해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인체의 활동성과 기능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재료

61. 목재의 수축팽창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변재는 심재보다 수축률 및 팽창률이 일반적으로 크다.
  2. 섬유포화점 이상의 함수상태에서는 함수율이 클수록 수축률 및 팽창률이 커진다.
  3. 수종에 따라 수축률 및 팽창률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4. 수축이 과도하거나 고르지 못하면 할열, 비틀림 등이 생긴다.
(정답률: 75%)
  • 섬유포화점 이상의 함수상태에서는 함수율이 클수록 수축률 및 팽창률이 커진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목재의 수축팽창은 주로 상대습도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며, 함수율은 상대습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함수율이 클수록 상대습도가 높아지는 것이며, 이는 오히려 수축률 및 팽창률이 작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즉, 함수율이 커질수록 수축팽창이 작아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섬유포화점 이상의 함수상태에서는 함수율이 클수록 수축률 및 팽창률이 커진다"입니다.

    간단한 이유는 함수율이 클수록 상대습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상대습도가 높아지면 목재 내부의 수분이 증가하게 되어 수축팽창이 작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미장재료 중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경화하는 것은?

  1.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2. 시멘트 모르타르
  3. 석고 플라스터
  4. 킨스 시멘트
(정답률: 70%)
  • 정답은 "돌로마이트 플라스터"입니다. 이는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카르본화되어 경화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미장재료들은 이와 같은 반응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에 가장 적합한 시멘트는?

  1.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2. 조강포틀랜드 시멘트
  3. 고로 시멘트
  4. 중용열포틀랜드 시멘트
(정답률: 54%)
  •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은 수분과 염분에 노출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중요합니다. 고로 시멘트는 높은 내구성과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에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고로 시멘트가 높은 알루미나 함량을 가지고 있어 염분과 화학물질에 대한 저항력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목재용 방화제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방화페인트
  2. 규산나트륨
  3. 불화소다 2% 용액
  4. 제2 인산암모늄
(정답률: 50%)
  • 불화소다 2% 용액은 목재용 방화제가 아닌, 화학 실험 등에서 사용되는 화학 물질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아스팔트 방수 재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아스팔트 루핑은 펠트의 양면에 블로운 아스팔트를 피복하고, 그 표면에 가는 모래나 광물질 미분말을 부착한 시트상의 제품이다.
  2. 개량아스팔트 방수시트는 주로 토치버너의 가열에 의해 공사가 이루어진다.
  3. 아스팔트 프라이머는 콘크리트 바탕과 방수시트의 접착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한 바탕조정용 접착제이다.
  4. 망상 아스팔트 루핑은 아스팔트의 절연 공법에 사용된다.
(정답률: 48%)
  • 망상 아스팔트 루핑은 아스팔트의 절연 공법에 사용되지 않는다. 망상 아스팔트 루핑은 지붕재료로 사용되며, 아스팔트 방수재료와는 다른 용도와 특성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점토소성제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통 토기, 도기, 자기 및 석기 등으로 나뉘는데, 이들은 원료 및 소성온도에 따라 분류된다.
  2. 토기는 주로 마루타일 또는 클링커 타일로 활용된다.
  3. 도기의 흡수성은 자기에 비하여 크다.
  4. 자기는 조직이 치밀하고 견고하여 주로 타일 및 위생 도기로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76%)
  • "토기는 주로 마루타일 또는 클링커 타일로 활용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토기는 주로 식기나 용기 등으로 사용되며, 마루타일이나 클링커 타일로 사용되는 것은 도자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합성수지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성, 연성이 크고 피막이 강하다.
  2. 접착성이 크고 기밀성, 안정성이 큰 것이 많다.
  3. 마모가 적고 탄력성이 작다.
  4. 착색이 자유롭고 투수성이 없다.
(정답률: 63%)
  • "마모가 적고 탄력성이 작다"는 합성수지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합성수지는 일반적으로 마모가 많이 일어나고 탄력성이 작은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합성수지가 자연수지와는 다른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화강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요구성 광물은 석영, 장석, 운모이다.
  2. 고온의 화재에도 강도저하가 적은 내화재료이다.
  3. 결정체의 크고 작음에 따라 외관과 강도가 다르다.
  4. 국내 매장량이 풍부하여 바닥재, 내∙외장재 등에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61%)
  • 화강암은 고온의 화재에도 강도저하가 적은 내화재료이다. 이는 화강암이 고온에도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강암은 화재 발생 시 건물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재료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멘트의 강도
  2. 단위수량
  3. 골재의 입도 및 입형
  4. 혼화재료
(정답률: 54%)
  •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는 혼화재료와 골재의 입도 및 입형, 그리고 단위수량에 영향을 받습니다. 하지만 시멘트의 강도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는 거리가 먼데, 이는 시멘트의 강도가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흐름성과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즉, 시멘트의 강도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관련이 있지만, 워커빌리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건축용 단열재와 거리가 먼 것은?

  1. 유리면(glass wool)
  2. 암면(rock wool)
  3. 펄라이트판
  4. 테라코타
(정답률: 74%)
  • 테라코타는 건축용 단열재가 아니라 벽돌이나 타일 등의 건축재료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건축용 단열재와 거리가 먼 것입니다. 유리면, 암면, 펄라이트판은 모두 건축용 단열재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고도로 정쇄된 원료에 의한 것으로 밀도가 균일하기 때문에 측면의 가공성이 매우 좋고, 표면에 무늬인쇄가 가능한 것은?

  1. 중밀도 섬유판
  2. 파티클 보드
  3. 침엽수 제재목
  4. 합판
(정답률: 59%)
  • 중밀도 섬유판은 고도로 정쇄된 섬유 원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밀도가 균일하고 측면의 가공성이 매우 좋습니다. 또한 표면에 무늬인쇄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와 달리 파티클 보드나 합판은 작은 조각들을 접착제로 붙여 만들기 때문에 밀도가 불균일하고 가공성이 좋지 않습니다. 침엽수 제재목은 자연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형태나 밀도가 불규칙하며, 표면에 무늬인쇄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중밀도 섬유판이 표면에 무늬인쇄가 가능하고 가공성이 좋은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중 굵은 골재의 분리에 영향을 주는 인자와 거리가 먼 것은?

  1. 골재의 강도
  2. 골재의 종류
  3. 단위수량
  4. 골재의 입형
(정답률: 49%)
  •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굵은 골재의 분리는 골재의 강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골재의 강도가 낮으면 콘크리트가 굳어감에 따라 골재가 분리되기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골재의 강도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중에서 굵은 골재의 분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거리와 단위수량과 같이 굵은 골재의 분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은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합성수지 중 내열성이 가장 우수한 것은?

  1. 염화비닐수지
  2. 폴리에틸렌 수지
  3. 실리콘 수지
  4. 아크릴 수지
(정답률: 62%)
  • 실리콘 수지는 내열성이 가장 우수한 합성수이다. 이는 실리콘-산소 결합이 강하고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실리콘 수지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다. 따라서, 실리콘 수지는 고온, 고압, 화학물질 등의 극한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전기 절연체, 실리콘 패드, 실리콘 튜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내화벽돌의 주원료 광물에 해당되는 것은?

  1. 형석
  2. 방해석
  3. 활석
  4. 납석
(정답률: 50%)
  • 내화벽돌의 주원료 광물은 내화물질로서 고온에도 안정적인 물질이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납석은 고온에도 안정적이며 내화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내화벽돌의 주원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유리가 불화수소에 부식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5mm이상 판유리면에 그림, 문자 등을 새긴 유리는?

  1. 스테인드유리
  2. 망입유리
  3. 에칭유리
  4. 내열유리
(정답률: 76%)
  • 에칭유리는 불화수소에 부식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유리 표면에 그림, 문자 등을 새길 수 있는 유리입니다. 따라서 5mm 이상 판유리면에 그림, 문자 등을 새긴 유리는 에칭유리입니다. 스테인드유리는 색깔이 입혀진 유리, 망입유리는 안전유리, 내열유리는 고온에 강한 유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스프레이 건(spray gun)을 사용해서 표면마감을 할 때 가장 유리한 도료는?

  1. 래커
  2. 바니쉬
  3. 유성페인트
  4. 에나멜
(정답률: 75%)
  • 래커는 스프레이 건으로 표면에 균일하게 분사되어 매우 부드러운 마감을 제공합니다. 또한 빠르게 건조되어 높은 광택과 내구성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스프레이 건으로 표면마감을 할 때 가장 유리한 도료는 "래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각종 접착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동물질 아교는 비교적 접착력이 크고 취급하기 용이 하나 내수성이 부족하다.
  2. 페놀수지 접착제는 목재, 금속, 플라스틱 및 이들 이종재(異種材)간의 접착에 사용된다.
  3. 에폭시수지 접착제는 목재, 석재의 접합에는 적당하나금속 접합에는 사용할 수 없다.
  4. 비닐수비 접착제는 내열성, 내수성이 떨어져 옥외 사용에는 적당하지 않다.
(정답률: 73%)
  • 에폭시수지 접착제는 금속 접합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에폭시수지 접착제는 금속 접합에 매우 강한 접착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골재로서 사암이나 점판암을 이용한 콘크리트는 수축량이 크고, 석영 ㆍ 석회암 ㆍ 화강암을 이용한 것은 적다.
  2. 콘크리트 습윤양생기간의 장단은 건조수축에 그다지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3. 골재 중에 포함된 미립분이나 점토, 실트는 일반적으로 건조수축을 증대시킨다.
  4. 단위수량이 증가되면 수축량은 감소한다.
(정답률: 42%)
  • 단위수량이 증가되면 수축량은 감소하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단위수량이 증가하면 콘크리트 내부의 공간이 더 많아지므로 수축량이 더 많아집니다. 따라서, 단위수량이 증가하면 수축량도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특수유리와 사용 장소의 조합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병원의 일광욕실 - 자외선투과유리
  2. 진열용 창 - 무늬유리
  3. 채광용 지붕 - 프리즘 유리
  4. 형틀 없는 문 - 강화유리
(정답률: 65%)
  • 진열용 창은 투명한 유리가 적합하며, 무늬유리는 시야를 가리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조합이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조이너(join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벽, 기둥 등의 모서리에 미장 바름의 보호 목적으로 사용
  2. 인조석깔기에서 신축균열방지나 의장효과의 목적으로 사용
  3. 천장에 보드를 붙인 후 그 이음새를 감추는 목적으로 사용
  4. 환기구멍이나 라디에이터 덮개의 목적으로 사용
(정답률: 80%)
  • 조이너는 천장에 보드를 붙인 후 그 이음새를 감추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일반

81. 조적조의 줄눈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보강블록조에서는 통줄눈은 사용하지 않는다.
  2. 벽면이 고르지 않을 때는 오목줄눈으로 한다.
  3. 벽돌의 형태가 고르지 않을 때는 민줄눈으로 한다.
  4. 막힌줄눈은 상부의 하중을 전벽면에 골고루 균등하게 분포시킨다.
(정답률: 50%)
  • 조적조에서 줄눈은 벽돌을 수직 및 수평으로 정렬하기 위해 사용된다. 막힌줄눈은 상부의 하중을 전벽면에 골고루 균등하게 분포시키기 때문에 벽돌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막힌줄눈은 조적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통줄눈은 보강블록조에서 사용되지 않는 이유는 보강블록조에서는 보강블록의 형태와 크기가 일정하기 때문에 줄눈 없이도 정확한 조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오목줄눈은 벽면이 고르지 않을 때 사용되며, 민줄눈은 벽돌의 형태가 고르지 않을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의 각층별 바닥면적이 1,500m2이고 각층별 거실면적이 1,000mm2일 때, 이 공연장에 설치하여야 하는 승용승강기의 최소 대수는? (단, 공연장의 층수는 10층이며, 8인승 승강기 적용)

  1. 3대
  2. 4대
  3. 5대
  4. 6대
(정답률: 43%)
  • 각 층마다 승강기를 설치하면 최소 10대의 승강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한 대의 승강기가 한 층에서만 운행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 2대 이상의 승강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3대의 승강기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국민안전처장관,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소방특별조사를 하려면 얼마 전에 관계인에게 조사대상, 조사기간 및 조사사유 등을 서면으로 알려야 하는가?

  1. 1일 전
  2. 3일 전
  3. 5일 전
  4. 7일 전
(정답률: 76%)
  • 소방특별조사는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제한할 수 있는 조치이기 때문에, 이를 하기 전에는 관계인에게 충분한 시간을 주어서 이에 대한 이의제기나 반발 등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7일 전에 서면으로 알려주어야 합니다. 이는 관계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조사과정에서의 불이익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물분무등소화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차고 ㆍ 주차장에 어떤 소방시설을 화재안전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면 물분무등소화설비를 면제받을 수 있는가?

  1. 옥내소화전설비
  2. 연결송수관설비
  3. 자동화재탐지설비
  4. 스프링클러설비
(정답률: 75%)
  • 물분무등소화설비를 면제받기 위해서는 대체적으로 스프링클러설비가 필요합니다. 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물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장치로,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응이 가능하며 물분무등소화설비와 함께 설치되면 더욱 효과적인 소방시설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분무등소화설비를 면제받기 위해서는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건축물의 3층 이상의 층에 직통계단 외에 그 층으로부터 지상으로 통하는 옥외피난계단을 따로 설치하여야 하는 용도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해당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m2 이상인 경우)의 용도에 쓰이는 층으로서 그 층 거실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m2 이상인 것
  2. 위락시설 중 주점영업의 용도에 쓰이는 층으로서 그층 거실 바닥면적의 합계가 400m2 이상인 것
  3.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의 용도로 쓰이는 층으로서 그 층의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m2 이상인 것
  4.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집회장의 용도에 쓰이는 층으로서 그 층의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이상인것
(정답률: 37%)
  • 위락시설 중 주점영업의 용도에 쓰이는 층으로서 그층 거실 바닥면적의 합계가 400m2 이상인 것이 옳지 않은 기준이다. 이유는 주점영업은 제2종 근린생활시설에 속하며,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공연장의 용도에 쓰이는 층으로서 그 층 거실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m2 이상인 것이 기준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서 휨 주철근의 간격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콘크리트 장선구조가 아닌 경우)

  1. 슬래브 두께의 4배 이하, 또한 450mm 이하
  2. 슬래브 두께의 4배 이하, 또한 600mm 이하
  3.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 또한 450mm 이하
  4.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 또한 600mm 이하
(정답률: 47%)
  •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서 휨 주철근의 간격은 슬래브 두께와 슬래브의 지지간격에 따라 결정된다. 휨 주철근 간격이 너무 멀어지면 슬래브의 굴곡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하고, 간격이 너무 가까워지면 철근의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로 휨 주철근 간격을 유지하면 슬래브의 굴곡에 대한 저항력을 유지하면서도 경제적인 철근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간격이 450mm 이하인 경우에도 휨 주철근 간격을 3배 이하로 유지하면 슬래브의 굴곡에 대한 저항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 또한 450mm 이하"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의 거실에 환기를 위하여 설치하는 창문 등의 면적은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기계환기장치 및 중앙관리방식의 공기조화 설비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1. 거실 바닥면적의 5분 1
  2. 거실 바닥면적의 10분 1
  3. 거실 바닥면적의 15분의 1
  4. 거실 바닥면적의 20분의 1
(정답률: 67%)
  • 거실은 주거공간 중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 중 하나이며, 인체의 대사작용으로 인해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와 수증기가 발생한다. 이러한 공기오염물질이 축적되면 건강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생활의 질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거실에는 충분한 환기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거실의 면적에 따라 적정한 창문 면적이 규정되었는데, 이는 거실 바닥면적의 20분의 1이다. 이는 거실 면적에 비례하여 적정한 환기량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준수하면 거실 내 공기오염물질 농도를 낮출 수 있어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소화활동설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연결송수관 설비
  2. 스프링클러 설비
  3. 연결살수 설비
  4. 비상콘센트 설비
(정답률: 49%)
  • 스프링클러 설비는 화재 발생 시 물을 분사하여 화재 진압을 돕는 소화시설로 분류되지만, 소화활동설비는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설비를 의미하므로 소화활동설비에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프링클러 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전통가옥의 명칭에 따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굴피집 : 소나무를 켜서 나무토막을 지붕에 덮은 집
  2. 초가집 : 짚으로 엮은 이엉을 지붕에 덮은 집
  3. 샛집 : 들이나 산에서 나는 야생풀을 지붕에 덮은 집
  4. 기와집 : 제작된 기와를 지붕에 덮은 집
(정답률: 62%)
  • "굴피집 : 소나무를 켜서 나무토막을 지붕에 덮은 집"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굴피집은 소나무를 켜서 나무토막을 지붕에 덮은 집으로, 주로 경상도 지방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지붕 방식은 비가 내리면 나무토막이 서로 밀착하여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며, 겨울에는 따뜻한 공기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초가집은 짚으로 엮은 이엉을 지붕에 덮은 집으로, 주로 전라도 지방에서 발견된다.

    샛집은 들이나 산에서 나는 야생풀을 지붕에 덮은 집으로, 주로 강원도 지방에서 발견된다.

    기와집은 제작된 기와를 지붕에 덮은 집으로, 전국적으로 발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목조건축물의 내진(耐震)설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1. 기초의 구조형태
  2. 마감재의 형태와 치수
  3. 가새의 배치법과 치수
  4. 지붕의 구조와 형태
(정답률: 65%)
  • 목조건축물의 내진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가새의 배치법과 치수이다. 이는 건물의 전체 구조를 결정하며, 가새의 간격과 크기가 적절하지 않으면 지진 등의 자연재해에 대한 내구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가새의 배치법과 치수는 건물의 안전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공동주택과 오피스텔의 난방설비를 개별난방방식으로 하는 경우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일러실의 윗부분에는 그 면적이 0.2m2 이상인 환기창을 설치한다.
  2. 보일러실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에는 각각 지름 10cm이상의 공기흡입구 및 배기구를 항상 열려 있는 상태로 바깥공기에 접하도록 설치한다. (단, 전기보일러의 경우는 제외)
  3. 기름보일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기름저장소를 보일러실 외의 다른 곳에 설치한다.
  4. 보일러의 연도는 내화구조로서 공동연도로 설치한다.
(정답률: 48%)
  • 기름보일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기름저장소를 보일러실 외의 다른 곳에 설치한다는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기름보일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보일러실 내에 기름저장소를 함께 설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보일러실의 윗부분에는 그 면적이 0.2m2 이상인 환기창을 설치하는 이유는 보일러실 내부에서 연소가 일어날 때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 산소를 공급하여 연소를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목구조에 사용하는 이음과 맞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이음과 맞춤은 공작이 복잡한 것을 쓰고 모양에 치중한다.
  2. 이음과 맞춤의 단면은 응력의 방향에 수평으로 한다.
  3. 이음과 맞춤은 응력이 많이 작용하는 곳에서 만든다.
  4. 이음과 맞춤 부재는 가급적 적게 깍아내어 약하게 되지 않게 한다.
(정답률: 72%)
  • 목구조에서 이음과 맞춤은 응력이 많이 작용하는 곳에서 만들어지며, 이음과 맞춤 부재는 가급적 적게 깍아내어 약하게 되지 않게 한다. 이는 부재의 강도와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음과 맞춤 부재는 가급적 적게 깍아내어 약하게 되지 않게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건축법상 승용승강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건축물의 선정 기준은?

  1. 건축물의 용도와 거실바닥면적
  2. 층수와 연면적
  3. 층수와 거실바닥면적의 합계
  4. 건축물의 용도와 연면적
(정답률: 45%)
  • 승용승강기 설치 대상건축물의 선정 기준은 주로 건축물의 높이와 규모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층수와 연면적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즉, 일정한 층수 이상이거나 연면적이 일정 수준 이상인 건축물에는 승용승강기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건축물의 용도와 거실바닥면적, 건축물의 용도와 연면적 등은 승용승강기 설치 여부에 영향을 미치지만, 주요 기준은 층수와 연면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철근콘크리트 압축부재에서 띠철근의 수직간격을 결정하는데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는 것은?

  1. 주근의 지름
  2. 띠철근의 지름
  3. 골재의 지름
  4. 기둥단면의 최소폭
(정답률: 55%)
  • 철근콘크리트 압축부재에서 띠철근의 수직간격은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골재의 지름은 직접적으로 띠철근의 수직간격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골재의 지름은 단지 콘크리트의 강도와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요소이며, 띠철근의 수직간격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골재의 지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르네상스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이탈리아에서 발생하여 각지에 전파되었다.
  2. 양식의 특징은 포인티드 아치, 프라잉 버트레스, 리브볼트로 압축될 수 있다.
  3. 인본주의에서 출발하였다.
  4. 중세 때보다 훨씬 광범위하게 가구가 사용되었다.
(정답률: 62%)
  • "양식의 특징은 포인티드 아치, 프라잉 버트레스, 리브볼트로 압축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탈리아에서 발생하여 각지에 전파되었고, 인본주의에서 출발하였으며, 중세 때보다 훨씬 광범위하게 가구가 사용되었다는 설명은 모두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건축허가 등을 할 때 미리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에 해당되는 것은?

  1. 연면적이 300m2인 업무시설
  2. 승강기 등 기계장치에 의해 자동차 15대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시설
  3. 항공관제탑
  4. 지하층이 있는 건축물로 바닥면적 80m2 인 층이 있는 것
(정답률: 69%)
  • 항공관제탑은 비상시 대처를 위해 미리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에 해당됩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특정소방대상물에 피난기구를 반드시 설치하여야 하는 층은?

  1. 지상 1층
  2. 지상 2층
  3. 지상 6층
  4. 지상 11층
(정답률: 53%)
  • 특정소방대상물의 경우, 지상 6층 이상의 층에서는 화재 발생 시 대피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피난기구를 반드시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지상 6층"이 정답입니다. 지상 1층과 2층은 대개 출입구가 있어 대피가 용이하며, 지상 11층은 높은 층수이지만, 특정소방대상물의 경우 6층 이상에서부터 피난기구 설치가 의무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건축물의 피난층 외의 층에서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은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계단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최대 얼마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가? (단,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건축물)

  1. 30m
  2. 40m
  3. 50m
  4. 60m
(정답률: 33%)
  • 건축법 시행규칙 제 63조에 따르면, 건축물의 피난층 외의 층에서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은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계단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50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합니다. 이는 비상상황에서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목구조에서 서까래, 장선 등에 사용하는 이음은?

  1. 빗이음
  2. 겹친이음
  3. 엇빗이음
  4. 턱걸이 주먹장이음
(정답률: 44%)
  • 목구조에서 서까래, 장선 등에 사용하는 이음은 "빗이음"이다. 이는 두 개 이상의 나사 모양의 부품을 서로 교차시켜 이음을 만드는 방식으로, 강한 접합력과 튼튼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피뢰설비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뢰설비의 재료는 최소 단면적이 피복이 없는 동선을 기준으로 수뢰부, 인하도선 및 접지극은 30mm2 이상이거나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출 것
  2. 돌침은 건축물의 맨 윗부분으로부터 25cm 이상 돌출시켜 설치하되,「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제9조에 따른 설계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일 것
  3. 피뢰설비는 한국산업표준이 정하는 피뢰레벨 등급에 적합한 피뢰설비일 것
  4. 피뢰설비의 인하도선을 대신하여 철골조의 철골구조물과 철근콘크리트조의 철근구조체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기적 연속성이 보장될 것
(정답률: 38%)
  • 옳지 않은 기준은 "피뢰설비는 한국산업표준이 정하는 피뢰레벨 등급에 적합한 피뢰설비일 것"이다. 이는 옳은 기준이 아니며, 한국산업표준은 피뢰설비의 설치와 관련된 기준을 제공하지만, 피뢰레벨 등급은 해당 기준에서 언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뢰설비의 설치에 있어서는 다른 기준들을 따라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건축환경

101. 공기조화방식 중 이중덕트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공기방식의 특성이 있다.
  2. 혼합상자에서 소음과 진동이 생긴다.
  3. 부하특성이 다른 다수의 실이나 존에는 적용 할 수 없다.
  4. 냉ㆍ온풍의 혼합으로 인한 혼합손실이 있어서 에너지 소비량이 많다.
(정답률: 57%)
  • "부하특성이 다른 다수의 실이나 존에는 적용 할 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중덕트방식은 각 실마다 부하특성이 다른 경우에도 각각의 덕트를 통해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수의 실이나 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어느 실내에서 수평면 조도를 측정하여 다음 값을 얻었다. 이 실의 균제도는?

  1. 0.1
  2. 2
  3. 4
  4. 10
(정답률: 41%)
  • 조도계로 측정한 값이 모든 지점에서 거의 일정하므로, 이 실내는 균일한 조명이 설치되어 있어 균일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수평면 조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비율이 10:1 이므로 균제도는 0.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을 위한 계획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동주택은 인동간격을 넓게 하여 저층부의 일사 수열량을 증대시킨다.
  2. 건축물은 대지의 향, 일조 및 주풍향 등을 고려하여 배치하며, 남향 또는 남동향 배치를 한다.
  3. 건축물의 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 또는 연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는 가능한 크게 한다.
  4. 거실의 층고 및 반자 높이는 실의 용도와 기능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낮게 한다.
(정답률: 72%)
  • "거실의 층고 및 반자 높이는 실의 용도와 기능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낮게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건축물의 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 또는 연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를 가능한 크게 하는 것은 외피면적 대비 열손실을 줄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방법이다. 이는 건축물의 단열성능을 높이는 것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온수난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한랭지에서 동결의 우려가 없다.
  2. 예열부하가 없어 간헐운전에 적합하다.
  3. 증기난방에 비해 예열시간이 길게 소요된다.
  4. 증기난방에 비해 부하변동에 따른 실내 방열량 제어가 곤란하다.
(정답률: 69%)
  • 온수난방은 증기난방과 달리 물을 이용하여 방을 난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물을 먼저 예열해야 하기 때문에 예열시간이 길게 소요된다. 이에 따라 증기난방에 비해 예열시간이 길다는 설명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다음 중 옥내조명의 설계에서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작업은?

  1. 광원의 선정
  2. 소요조도의 결정
  3. 조명방식의 결정
  4. 조명기구 배치의 결정
(정답률: 78%)
  • 옥내조명의 설계에서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작업은 소요조도의 결정입니다. 이는 조명이 필요한 공간에서 필요한 조도량을 결정하는 것으로, 광원의 선정, 조명방식의 결정, 조명기구 배치의 결정 등 다른 작업들은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소요조도를 결정하는 것은 조명 설계의 기본이며, 이를 기반으로 나머지 작업들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용적 3,000m3, 잔향시간 1.6초인 실이 있다. 잔향시간을 0.6초로 조정하려고 할 때, 이 실에 추가로 필요한 흡음력은? (단, sabine의 식을 이용)

  1. 약 500m2
  2. 약 600m2
  3. 약 700m2
  4. 약 800m2
(정답률: 39%)
  • Sabine의 식은 다음과 같다.

    V = (S × T × 0.161) / A

    여기서 V는 실의 용적, S는 실의 표면적, T는 잔향시간, A는 흡음력을 나타낸다.

    원래 실의 경우,

    3000 = (S × 1.6 × 0.161) / A

    이므로,

    S × A = 3000 × 1.6 / 0.161 = 29842.24

    새로운 잔향시간이 0.6초가 되도록 하려면,

    3000 = (S × 0.6 × 0.161) / A

    이므로,

    S × A = 3000 × 0.6 / 0.161 = 11185.09

    따라서 추가로 필요한 흡음력은,

    29842.24 - 11185.09 = 18657.15

    즉, 약 18657.15 m2의 흡음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약 500m2"이다. 이는 계산 결과와 크게 차이가 나는데, 이는 Sabine의 식이 이상적인 상황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실 내부의 모든 면이 완전히 흡음력이 높은 재질로 덮여있고, 실 내부에 물체가 없는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이러한 상황이 만들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Sabine의 식을 적용할 때는 보정 계수를 곱해주는 등의 보정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Sabine의 식을 그대로 적용했을 때의 결과와 실제 필요한 흡음력이 차이가 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다공질재 흡음재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파수가 낮을수록 흡음률이 높아진다.
  2. 표면마감처리방법에 의해 흡음 특성이 변한다.
  3. 두께를 늘리면 저주파수의 흡음률이 높아진다.
  4. 강성벽 앞면의 공기층 두께를 증가시키면 저주파수의 흡음률이 높아진다.
(정답률: 50%)
  • "주파수가 낮을수록 흡음률이 높아진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저주파수의 소리는 공기 분자의 운동이 크기 때문에 다공질재 흡음재료의 구멍과 섬유 등을 통해 흡수되기 쉽기 때문이다. 고주파수의 소리는 공기 분자의 운동이 작기 때문에 흡음재료를 통과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주파수가 낮을수록 흡음률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0.5L의 물을 5℃에서 60℃로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은? (단, 물의 비열은 4.2kJ/kg ㆍ K, 물의 밀도는 1kg/L이다.)

  1. 63.0kJ
  2. 115.5kJ
  3. 127.5kJ
  4. 180.0kJ
(정답률: 46%)
  • 먼저, 물의 질량은 부피와 밀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0.5L의 물은 0.5kg입니다.

    그리고 물을 가열하는 데 필요한 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열량 = 질량 x 비열 x 온도 변화량

    여기서 질량은 0.5kg, 비열은 4.2kJ/kg ㆍ K이고, 온도 변화량은 60℃ - 5℃ = 55℃입니다.

    따라서,

    열량 = 0.5kg x 4.2kJ/kg ㆍ K x 55℃ = 115.5kJ

    따라서, 정답은 "115.5kJ"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열전도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체는 고체보다 열전도율이 작다.
  2. 액체는 고체보다 열전도율이 작다.
  3. 철근콘크리트의 열전도율은 강재보다 작다.
  4. 열전도율이 크면 클수록 열전도저항도 커진다.
(정답률: 62%)
  • "열전도율이 크면 클수록 열전도저항도 커진다."는 옳은 설명이다. 열전도율은 물질이 열을 전달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열전도저항은 열이 통과하는 물질의 저항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열전도율이 크면 열전도저항이 작아지고, 열전도율이 작으면 열전도저항이 커진다. 이는 전기의 전도율과 전기저항과 유사한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다음 중 건물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1. VOCs
  2. 기온
  3. 습도
  4. 일사량
(정답률: 70%)
  • 건물증후군은 건물 내부의 공기질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을 말한다. VOCs는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유기화합물로, 건축자재, 가구, 화장품 등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VOCs가 공기 중에 농도가 높아지면 건물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건물 내부의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VOCs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기온, 습도, 일사량도 건물 내부의 환경을 좌우하는 요인이지만, 건물증후군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실내에 있어서 인체 표면과 벽∙천장∙바닥면 등 주벽면과의 열복사가 재실자의 쾌적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Vernon에 의해 고안된 온도계는?

  1. 자기 온도계
  2. 카타 온도계
  3. 글로브 온도계
  4. 아스만 온도계
(정답률: 56%)
  • 글로브 온도계는 실내의 열복사를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 온도계는 인체가 느끼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작은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 구조는 인체의 손가락과 비슷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손가락이나 손목 등의 부위에 쉽게 대고 온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내의 열복사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다음의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중 연기 감지기에 속하는 것은?

  1. 광전식
  2. 보상식
  3. 차동식
  4. 정온식
(정답률: 48%)
  • 연기 감지기는 광전식 감지기입니다. 광전식 감지기는 빛을 이용하여 연기를 감지하는데, 연기가 광을 가로막으면 감지기가 작동하여 화재를 감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마스킹(masking)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초기 반사음보다 늦게 도래하는 반사음의 효과
  2. 입사음의 진동수가 벽의 진동수와 일치되어 같은 소리를 내는 현상
  3. 어떤 음의 방해로 인하여 다른 음에 대한 가청 임계값이 증가하는 현상
  4. 음파가 어떤 매질을 진행할 때 다른 매질의 경계면에 도달하여 진행방향이 변하는 현상
(정답률: 62%)
  • "어떤 음의 방해로 인하여 다른 음에 대한 가청 임계값이 증가하는 현상"은 마스킹 효과에 대한 설명이다. 이는 높은 주파수의 소리가 낮은 주파수의 소리를 가리는 현상으로, 더 큰 소리가 작은 소리를 가리는 것과 같다. 이로 인해 작은 소리는 들리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다음의 급수방식 중 일반적으로 하향급수 배관 방식을 사용하는 것은?

  1. 수도직결방식
  2. 고가수조방식
  3. 압력수조방식
  4. 펌프직송방식
(정답률: 72%)
  • 고가수조방식은 수원지에서 고지대에 있는 수조에 물을 저장한 후, 중력을 이용하여 하천이나 도시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하향급수 배관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여름철 일사를 받는 대공간인 아트리움에서 주로 발생하는 자연환기의 종류는?

  1. 풍속차에 의한 환기
  2. 개구부 틈새에 의한 환기
  3. 사람의 호흡에 의한 환기
  4. 공기의 밀도차에 의한 환기
(정답률: 67%)
  • 아트리움은 일사를 받는 대공간이기 때문에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이가 크게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내부 공기는 더욱 가열되어 상승하게 되고, 외부 공기는 냉각되어 하강하게 됩니다. 이러한 공기의 밀도차이에 의해 자연환기가 발생하게 됩니다. 상승한 공기는 상단의 창문이나 환기구를 통해 배출되고, 하강한 공기는 바닥부의 개구부나 문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됩니다. 이러한 공기의 밀도차이에 의한 환기는 자연적이며, 에어컨 등의 인공적인 환기보다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다음 설명에 알맞은 조명기법은?

  1. 실루엣 기법
  2. 음영연출기법
  3. 광선연출기법
  4. 월 워싱 기법
(정답률: 79%)
  • 이 그림은 인물의 윤곽을 검은색으로만 표현하여 인물의 실루엣만을 강조한 것으로, 이는 "실루엣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다음과 같은 재료로 구성된 벽체의 열관류율은? (단, 벽체의 내표면 열전달률은 8.3W/m2∙K, 외표면 열전달률은 16.6W/m2∙K 이다.)

  1. 0.02W/m2∙K
  2. 0.04W/m2∙K
  3. 0.52W/m2∙K
  4. 0.71W/m2∙K
(정답률: 2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음의 대소를 나타내는 감각량을 음의 크기라고 한다. 음의 크기의 단위는?

  1. dB
  2. lm
  3. sone
  4. phon
(정답률: 58%)
  • 음의 크기는 소리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소리의 청각적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인 sone이 적합하다. dB는 소리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이고, lm은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phon은 소리의 청각적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이지만 sone보다는 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굴뚝효과(stack effect)의 가장 주된 발생원은?

  1. 온도차
  2. 유속차
  3. 습도차
  4. 풍향차
(정답률: 76%)
  • 굴뚝효과는 온도차에 의해 발생합니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온도를 가진 공기는 상승하고, 상대적으로 더 낮은 온도를 가진 공기는 하강하기 때문에, 온도차가 발생하면 상승하는 공기와 하강하는 공기의 유속차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유속차가 굴뚝효과를 유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채광방식 중 측창채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천창채광에 비해 비막이에 유리하다.
  2. 근린의 상황에 의한 채광 방해의 우려가 있다.
  3. 편측채광의 경우 실내 조도분포가 불균일하다.
  4. 동일 면적의 천창채광에 비해 채광량이 3배 정도 많다.
(정답률: 78%)
  • "동일 면적의 천창채광에 비해 채광량이 3배 정도 많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측창채광이 천창채광보다 채광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유는 측창채광이 천창채광보다 면적이 작기 때문에 채광량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측창채광은 직사광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천창채광보다 채광량이 많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