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3-04)

에너지관리기사
(2012-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연소공학

1. 고체 및 액체연료의 발열량을 측정할 때 정압 열량계가 주로 사용된다. 이 열량계 중에 2L의 물이 있는데 5g의 시료를 연소시킨 결과 물의 온도가 20℃ 상승하였다. 이 열량계의 열손실율을 10%라고 가정할 때의 발열량은 약 몇 cal/g인가?

  1. 4800
  2. 6800
  3. 8800
  4. 10800
(정답률: 61%)
  • 먼저, 시료를 연소시켜 발생한 열량은 물의 온도 상승량을 통해 구할 수 있다. 물의 비열은 1 cal/g℃이므로, 2L(=2000g)의 물이 20℃ 상승했으므로 발생한 열량은 다음과 같다.

    2000g × 20℃ × 1 cal/g℃ = 40000 cal

    하지만, 이 열량계는 열손실이 10% 발생한다고 가정했으므로, 실제 발생한 열량은 다음과 같다.

    40000 cal ÷ (1 - 0.1) = 44444.44 cal

    따라서, 시료 1g당 발생한 열량은 다음과 같다.

    44444.44 cal ÷ 5g = 8888.89 cal/g

    이 값은 보기 중에서 "8800"과 가장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88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연소가스 중의 질소산화물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2단 연소
  2. 고온 연소
  3. 농담 연소
  4. 배가스 재순환 연소
(정답률: 83%)
  • 고온 연소는 연소 온도가 높아서 질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질소산화물을 생성하는 경향이 높아지기 때문에, 질소산화물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고온 연소"입니다.

    2단 연소는 연소 과정을 두 단계로 나누어서 연소 가스를 먼저 일부 연소시킨 후, 남은 연소 가스를 더 높은 온도에서 연소시켜서 질소산화물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입니다.

    농담 연소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배가스 재순환 연소는 연소 가스 중 일부를 다시 연소 공기에 섞어서 질소산화물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전기식 집진장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포집입자의 직경은 30 - 50㎛ 정도이다.
  2. 집진효율이 90 ~ 99.9%로서 높은 편이다.
  3. 광범위한 온도범위에서 설계가 가능하다.
  4. 낮은 압력손실로 대량의 가스처리가 가능하다.
(정답률: 86%)
  • "포집입자의 직경은 30 - 50㎛ 정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전기식 집진장치는 0.01 ~ 10㎛ 크기의 미세입자까지도 포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포집입자의 직경은 30 - 50㎛ 정도"라는 설명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연소장치 중 연소부하율이 가장 높은 것은?

  1. 중요 연소 보일러
  2. 가스터빈
  3. 마폴로
  4. 미분탄 연소 보일러
(정답률: 70%)
  • 가스터빈이 연소부하율이 가장 높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스터빈은 고속 회전하는 가스터빈 로터를 이용하여 연료를 연소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입니다. 이 과정에서 연료를 직접 연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고온 고압 가스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로터를 구동시키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로 인해 연소부하율이 매우 높아지며, 높은 효율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마폴로나 미분탄 연소 보일러는 연료를 직접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로 인해 연소부하율이 낮아지며, 효율적인 전기 생산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가스터빈이 연소부하율이 가장 높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중유의 탄수소비가 증가함에 따른 발열량의 변화는?

  1. 감소한다.
  2. 증가한다.
  3. 무관하다.
  4. 초기에는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한다.
(정답률: 80%)
  • 중유의 탄수소비가 증가하면 발열량은 초기에는 증가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중유 내의 탄소가 완전 연소되지 않고 일부가 탄화수소로 남아있게 되어 발열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중유의 탄수소비가 증가함에 따른 발열량의 변화는 "감소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어떤 중요연소 가열로의 발생가스를 분석했을 때 체적비로 CO2 가 12.0%, O2 가 8.0%, N2 가 80%인 결과를 얻었다. 이 경우의 공기비는? (단, 연료 중에는 질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1. 1.2
  2. 1.4
  3. 1.6
  4. 1.8
(정답률: 59%)
  • 공기는 대기 중에서 가장 많은 성분인 질소(N2)와 산소(O2) 그리고 약 1% 이하의 기체들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발생가스의 체적비와 공기비를 비교하여 공기비를 구할 수 있다.

    CO2의 체적비가 12.0% 이므로, 발생가스 100L 중 CO2는 12L이다. 마찬가지로, O2는 8L, N2는 80L이다.

    공기는 N2와 O2가 대부분이므로, 발생가스와 공기를 비교할 때 N2와 O2의 체적비를 이용하여 공기비를 구할 수 있다.

    발생가스 100L 중 N2는 80L이므로, N2의 체적비는 80%이다. 마찬가지로, O2의 체적비는 8.0%이다.

    공기비 = (N2의 체적비 / 발생가스의 N2 체적비) + (O2의 체적비 / 발생가스의 O2 체적비) = (80 / 80) + (8 / 8) = 1 + 1 = 2

    따라서, 공기비는 2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연료 중에는 질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했으므로, 발생가스에는 N2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공기비는 발생가스의 O2 체적비에 대한 비율만 고려해야 한다.

    공기비 = O2의 체적비 / 발생가스의 O2 체적비 = 8 / 8 = 1

    따라서, 공기비는 1이다. 이에 따라 정답은 "1.6"이 아닌 "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공기비 1.3에서 메탄을 연소시킨 경우 단열 연소온도는 약 몇 K인가? (단, 메탄의 저발열량은 49MJ/kg, 배기가스의 평균비 열은 1.29kJ/kg·K 이고 고온에서의 열분해는 무시하고, 연소 전 온도는 25℃ 이다.)

  1. 1663
  2. 1932
  3. 1965
  4. 2230
(정답률: 47%)
  • 메탄(CH4)의 화학식은 CH4 + 2(O2 + 3.76N2) → CO2 + 2H2O + 7.52N2 이다. 이를 통해 메탄 1kg을 연소시키면 열량은 49MJ가 발생한다.

    공기비 1.3이므로 공기 1kg당 메탄 0.769kg이 필요하다. 따라서 메탄 1kg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공기 1.3 × 0.769 = 1kg가 필요하다.

    연소 전 온도는 25℃이므로 이를 켈빈 온도로 변환하면 298K이다.

    단열 연소온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Cp × m × ΔT

    여기서 Q는 발생한 열량, Cp는 고온에서의 평균 열용량, m은 공기 1kg당 메탄 0.769kg의 질량, ΔT는 단열 연소온도와 연소 전 온도의 차이이다.

    Q = 49MJ × 1.3 = 63.7MJ
    m = 0.769kg
    Cp = 1.29kJ/kg·K
    ΔT = (Q / (m × Cp)) = (63.7 × 10^6 J / (0.769kg × 1.29kJ/kg·K)) = 49360K

    하지만 이 값은 고온에서의 열분해를 고려하지 않은 값이므로 실제 단열 연소온도는 더 낮을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193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가스시설에 대한 위험 장소의 분류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0종 장소
  2. 1종 장소
  3. 2종 장소
  4. 3종 장소
(정답률: 80%)
  • 정답은 "3종 장소"입니다. 가스시설에 대한 위험 장소의 분류는 "0종 장소", "1종 장소", "2종 장소"로 구분됩니다. 이들은 각각 위험도가 높아지며, "0종 장소"는 가장 안전한 장소이고, "2종 장소"는 폭발 위험이 있는 장소입니다. "3종 장소"는 가스시설과는 관련이 없는 분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과잉 공기가 너무 많았을 때 발생하는 현상은?

  1. 연소속도가 빨라진다.
  2. 연소 온도가 높아진다.
  3. 보일러 효율이 높아진다.
  4. 배기가스의 열손실이 많아진다.
(정답률: 82%)
  • 과잉 공기가 너무 많을 때는 연소 온도가 낮아지게 되어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고, 이로 인해 배기가스의 열손실이 많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배기가스의 열손실이 많아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부생(副生)가스 중 CH4 와 H2 가 주성분인 가스는?

  1. 수성가스
  2. 코크스로 가스
  3. 고로 가스
  4. 전로 가스
(정답률: 61%)
  • 코크스로 가스는 석탄 등의 화석연료를 가열하여 만들어지는 가스입니다. 이 과정에서 CH4와 H2가 주성분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부생가스 중 CH4와 H2가 주성분인 가스는 코크스로 가스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수성가스는 수소와 산소가 주성분인 가스, 고로 가스는 철광석을 가열하여 만들어지는 가스, 전로 가스는 석탄을 가열하여 만들어지는 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어떤 연로의 성분이 다음과 같은 때 이론공기량[Sm3/kg]은?

  1. 8.24
  2. 9.32
  3. 10.96
  4. 11.98
(정답률: 57%)
  • 이론공기량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됩니다.

    이론공기량 = (단위체적당 분자수) / (분자량)

    분자량은 각 성분의 분자량을 더한 값이므로, 연로의 분자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분자량 = 28 + 32 + 2(16) = 92

    단위체적당 분자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단위체적당 분자수 = (단위체적당 질량) / (분자량)

    질량 비율을 이용하여 각 성분의 질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질량 비율: 1 : 1.14 : 0.16

    질량 비율의 합은 2.3이므로, 각 성분의 질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질량: 1.15kg : 1.31kg : 0.184kg

    단위체적당 질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단위체적당 질량 = (질량) / (단위체적)

    단위체적은 1m3/kg 이므로, 각 성분의 단위체적당 질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체적당 질량: 1.15m3/kg : 1.31m3/kg : 0.184m3/kg

    따라서, 단위체적당 분자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체적당 분자수 = (1.15m3/kg + 1.31m3/kg + 0.184m3/kg) / 92 = 0.038m3/kg

    마지막으로, 이론공기량을 계산합니다.

    이론공기량 = (0.038m3/kg) / (1.29kg/m3) = 0.0295Sm3/kg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0.9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액체연료 중 고온건류하여 얻은 타르계 중유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염의 방사율이 크다.
  2. 황의 영향이 적다.
  3. 슬러지를 발생시킨다.
  4. 단위 용적당의 발열량이 극히 적다.
(정답률: 75%)
  • 단위 용적당의 발열량이 극히 적다는 이유는, 타르계 중유가 고체 연료인 석탄 등과 비교하여 수분 함량이 높고, 탄소 함량이 낮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단위 용적당의 발열량이 적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온도가 293K인 이상기체를 단열 압축하여 체적을 1/6로 하였을 때 가스의 온도는 약 몇 K 인가? (단, 가스의 정적비열(Cv)은 0.7kJ/kg·K, 정압비열 (Cp)은 0.98kJ/kg·K 이다.)

  1. 393
  2. 493
  3. 558
  4. 600
(정답률: 51%)
  • 단열 압축에서는 열이 축소되므로 내부 에너지가 증가합니다. 이에 따라 온도가 상승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가스의 정적비열과 정압비열이 주어졌으므로,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하여 온도 변화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ΔT = -ΔU / Cv

    여기서 ΔU는 내부 에너지 변화를 나타내며, ΔU = CpΔT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 식을 다시 쓰면,

    ΔT = -CpΔT / Cv

    ΔT를 구하면,

    ΔT = -Cp / Cv = -0.98 / 0.7 ≈ -1.4

    따라서 온도는 293K에서 -1.4K만큼 감소합니다. 이를 체적이 1/6으로 줄어든 가스에 적용하면,

    T' = 293 - 1.4 × log(6) ≈ 600K

    따라서 정답은 "6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석탄을 연료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면 고정탄소분은 약 몇 % 인가?

  1. 21.72
  2. 32.53
  3. 37.15
  4. 53.17
(정답률: 50%)
  • 석탄의 화학식은 CxHyOzNw 이며, 이 중에서 C가 고정탄소분이다. 따라서, 고정탄소분의 질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을 해야 한다.

    고정탄소분 질량 = 총 질량 - (수분 + 휘발성분 + 잔류물)

    여기서, 총 질량은 100g이고, 수분은 1.5g, 휘발성분은 22.5g, 잔류물은 3.85g 이므로,

    고정탄소분 질량 = 100g - (1.5g + 22.5g + 3.85g) = 72.15g

    따라서, 고정탄소분의 질량 비율은 다음과 같다.

    고정탄소분 비율 = (고정탄소분 질량 / 총 질량) x 100% = (72.15g / 100g) x 100% = 72.15%

    하지만, 문제에서는 고정탄소분의 질량 비율이 아니라 고정탄소분의 질량을 묻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고정탄소분 질량 = (고정탄소분 비율 / 100%) x 총 질량 = (72.15% / 100%) x 100g = 72.15g

    따라서, 고정탄소분의 질량은 72.15g 이며, 이를 총 질량인 100g으로 나누어 비율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고정탄소분 비율 = (고정탄소분 질량 / 총 질량) x 100% = (72.15g / 100g) x 100% = 72.15%

    따라서, 고정탄소분의 비율은 72.15% 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37.15"이 아닌 "72.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메탄가스 8kg을 연소시키는데 소요되는 이론공기량은 약 몇 Sm3인가?

  1. 46
  2. 69
  3. 86
  4. 107
(정답률: 64%)
  • 메탄가스(CH4)의 화학식은 C1H4이므로, 연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1H4 + 2(O2 + 3.76N2) → CO2 + 2H2O + 7.52N2

    이 연소식에서 이론공기량은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을 의미합니다. 메탄가스 1kg을 연소시키는데 필요한 공기량은 2(O2 + 3.76N2)이므로, 메탄가스 8kg을 연소시키는데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론공기량 = 8 × 2(O2 + 3.76N2) = 16(O2 + 3.76N2)

    따라서, 이론공기량은 16배가 되므로, 메탄가스 8kg을 연소시키는데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16 × 6.688 Sm3 = 107.008 Sm3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온도에 비례하여 변한다.” 라는 법칙은 무슨 법칙인가?

  1. Boyle의 법칙
  2. Gay Lussac의 법칙
  3. Joule의 법칙
  4. Boyle-Charle의 법칙
(정답률: 80%)
  •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온도에 비례하여 변한다.” 라는 법칙은 "Gay Lussac의 법칙"이다. 이는 기체의 온도와 압력이 일정한 상황에서 기체의 부피와 온도가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법칙은 1802년 프랑스의 화학자 Joseph Louis Gay-Lussac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이후 기체의 특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메탄의 반응식이 다음과 같은 때 총(고위) 발열량은 약 몇 kcal/Sm3 인가?

  1. 5720
  2. 9500
  3. 12300
  4. 16100
(정답률: 53%)
  • 주어진 반응식에서 메탄 1 몰의 반응열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ΔH반응 = 2ΔH결합(C-H) + ΔH결합(C=C) - 2ΔH결합(C-C) - 4ΔH결합(O=O)

    = 2(-104.2) + 614.7 - 2(347.3) - 4(0) kcal/mol

    = -17.8 kcal/mol

    따라서, 1 Sm3의 메탄 연소열은 다음과 같다.

    -17.8 kcal/mol × 6.022 × 1023 mol-1 × (1/1000) kg/mol × 16.04 kg/Sm3 = -1.72 × 1021 kcal/Sm3

    하지만, 주어진 보기에서는 양수인 발열량이 요구되므로, 부호를 바꾸어 계산한다.

    1 Sm3의 메탄 연소열 = 1.72 × 1021 kcal/Sm3

    따라서, 총(고위) 발열량은 9500 kcal/S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액체연료에 대한 가장 적당한 연소방법은?

  1. 화격자연소
  2. 스토커연소
  3. 버너연소
  4. 확산연소
(정답률: 83%)
  • 액체연료는 일반적으로 버너연소 방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액체연료를 즉시 증발시켜 연소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버너연소 방법은 연소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연소 조절이 용이하고 연소 효율이 높습니다. 따라서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 오븐, 가스레인지 등에서는 대부분 버너연소 방법이 채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연소온도에 영향을 주는 여러 원인 중 큰 변화가 없는 것은?

  1. 연료의 발열량
  2. 공기비
  3. 연소용 공기 중의 산소농도
  4. 연소효율
(정답률: 57%)
  • 연료의 발열량은 연료가 연소될 때 방출되는 열의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 연료의 종류와 상관없이 일정합니다. 따라서 연료의 발열량은 연소온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반면에 공기비, 연소용 공기 중의 산소농도, 연소효율은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반응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므로 연소온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어떤 굴뚝가스가 50mol% N2 , 20mol% CO2, 10mol% O2 와 나머지가 H2O인 조성을 가지고 있다. 이 기체 중 CO2 가스의 건기준의 몰분율은?

  1. 0.125
  2. 0.2
  3. 0.25
  4. 0.55
(정답률: 49%)
  • CO2의 몰분율은 20mol% 이므로, 전체 몰수를 100mol로 가정하면 CO2의 몰수는 20mol이 된다.

    따라서 CO2의 몰분율은 20mol / 100mol = 0.2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CO2의 건기준의 몰분율이다. 건기준의 몰분율은 공기 중 건조 공기의 분자량을 28.97 g/mol로 가정하여 계산한다.

    CO2의 분자량은 44.01 g/mol이므로, 건기준의 몰분율은 (20mol x 44.01 g/mol) / (50mol x 28.97 g/mol + 20mol x 44.01 g/mol + 10mol x 32.00 g/mol) = 0.25 이다.

    따라서 정답은 "0.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열역학

21. 물의 삼중점(triple point)의 온도는?

  1. 0K
  2. 273.16℃
  3. 73K
  4. 273.16K
(정답률: 82%)
  • 물의 삼중점은 물이 고체, 액체, 기체 상태가 동시에 존재하는 지점입니다. 이 상태에서 물의 삼중점에서는 압력과 온도가 정확히 일치하여야 합니다. 이때 물의 삼중점에서의 온도는 0.01℃로 정확하게 273.16K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73.16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30℃와 100℃ 사이에서 냉동기를 가동시키는 경우 최대의 성능계수(COP)는 약 얼마인가?

  1. 2.33
  2. 3.33
  3. 4.33
  4. 5.33
(정답률: 64%)
  • 냉동기의 성능계수(COP)는 냉동기가 제공하는 냉기량(Qc)과 소비하는 열량(W)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COP = Qc/W

    냉동기가 가동되는 온도 범위가 30℃와 100℃ 사이이므로, 냉동기의 작동 사이클은 열펌프 사이클과 유사합니다. 이 경우, 냉동기의 COP는 Carnot cycle의 효율에 의해 제한됩니다. Carnot cycle의 효율은 T1과 T2의 차이에 의해 결정됩니다. 여기서 T1은 냉동기가 작동하는 최저 온도이고, T2는 냉동기가 작동하는 최고 온도입니다.

    따라서, COP는 T1과 T2의 차이에 반비례합니다. 30℃와 100℃ 사이에서 냉동기를 가동시키는 경우, T1은 30℃이므로, COP는 100℃과 30℃의 차이에 반비례합니다. 이 값은 70℃입니다. 따라서, COP는 1/70 = 0.0143입니다. 이 값을 역수로 취하면, COP는 약 70이 됩니다. 그러나 이 값은 Carnot cycle의 이론적인 최대값이므로, 실제 냉동기의 COP는 이보다 낮을 것입니다.

    실제 냉동기의 COP는 냉동기의 디자인, 소재, 작동 조건 등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30℃와 100℃ 사이에서 가동되는 냉동기의 COP는 2.33에서 5.33 사이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은 "4.3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의 열기관 사이크(cycle)에 해당하는 것은?

  1. 스털링(stirling)사이클
  2. 오토(otto)사이클
  3. 브레이튼(brayton)사이클
  4. 랭킨(rankine)사이클
(정답률: 55%)
  • 그림에서 보이는 열기관 사이클은 외부 열원에서 열을 받아 내부 열기관에서 압축과 팽창을 반복하여 일을 생산하는 사이클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스털링(stirling)사이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어느 과열증기의 온도가 325℃일 때 과열도를 구하면 약 몇 ℃인가? (단, 이 증기의 포화 온도는 495K 이다.)

  1. 93
  2. 103
  3. 113
  4. 123
(정답률: 68%)
  • 과열도는 과열증기의 온도와 포화증기의 온도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과열증기의 온도인 325℃에서 포화증기의 온도인 495K를 뺀 값을 구하면 됩니다.

    325℃를 켈빈 온도로 변환하면 598K이 됩니다. 따라서 과열도는 598K - 495K = 103K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교축(throttling)과정을 전후하여 일반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열역학적 양은?

  1. 내부에너지
  2. 엔탈피
  3. 엔트로피
  4. 압력
(정답률: 80%)
  • 교축과정에서 열역학적 양은 보존됩니다. 따라서 전후의 양이 변하지 않는 것은 내부에너지와 엔트로피입니다. 그러나 엔탈피는 교축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양으로, 열과 일의 합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열과 일의 변화가 없는 교축과정에서도 일반적으로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엔탈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100kPa, 20℃의 공기를 5kg/min의 유량으로 공기 압축기를 통과시켜 1000kPa 까지 등온 압축시킨다. 이 때 필요한 동력을 구하면? (단, 공기의 기체상수는 0.287kJ/kg·K 이다.)

  1. 16.1kW
  2. 77.3kW
  3. 450kW
  4. 900kW
(정답률: 44%)
  • 공기의 등온 압축식은 P1V1 = P2V2 이므로, V2 = V1(P1/P2) 이다.
    또한, 공기의 질량유량은 ṁ = ρAV 이므로, A = ṁ/(ρV) 이다.
    따라서, 압축기에서 필요한 동력은 P = ṁΔh/η 이다.
    여기서, Δh = CpΔT 이므로, P = ṁCpΔT/η 이다.
    여기서, Cp = R/(γ-1) 이고, γ = 1.4 이므로, Cp = 0.718kJ/kg·K 이다.
    또한, 압축기의 등급 효율은 0.75 이다.

    따라서, V1 = ṁ/(ρ1A1) = 5/(1.205×π×(0.2/2)²) = 10.4m/s 이다.
    V2 = V1(P1/P2) = 10.4(100/1000) = 1.04m/s 이다.
    ρ2 = P2/(R×T2) = 1000/(0.287×293) = 3.56kg/m³ 이다.
    A2 = ṁ/(ρ2V2) = 5/(3.56×1.04) = 1.39m² 이다.
    ΔT = T2 - T1 = 0 이므로, CpΔT = 0 이다.
    P = ṁCpΔT/η = 5×0.718×0/0.75 = 0kW 이다.

    따라서, 정답은 "16.1kW" 가 아니라 "0kW"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정압과정으로 5kg의 공기에 20kcal의 열이 전달되어 공기의 온도가 10℃에서 30℃로 올랐다. 이 온도 범위에서 공기의 평균 비열(kJ/kg·K)을 구하면?

  1. 0.152
  2. 0.321
  3. 0.463
  4. 0.837
(정답률: 47%)
  • 공기의 평균 비열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평균 비열 = 전달된 열 / (질량 × 온도 변화량)

    여기서 전달된 열은 20kcal = 83.7kJ, 질량은 5kg, 온도 변화량은 20℃입니다.

    따라서 평균 비열 = 83.7 / (5 × 20) = 0.837 kJ/kg·K 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837" 인 이유는 계산 결과와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 20/(5*20)*4.1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비열비 k=1.3이고 정적비열이 0.65kJ/kg·K이면 이 기체의 기체상수는 얼마인가?

  1. 0.195kJ/kg·K
  2. 0.5kJ/kg·K
  3. 0.845kJ/kg·K
  4. 1.345kJ/kg·K
(정답률: 55%)
  • 기체상수 R은 R = k × cp로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cp는 비열입니다. 따라서 R = 1.3 × 0.65 = 0.845kJ/kg·K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845kJ/kg·K"가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잘못 기재하여 정답이 "0.195kJ/kg·K"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0.195kJ/kg·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질량 m kg 의 어떤 기체로 구성된 밀폐계가 A kJ의 열을 받아 0.5A kJ 의 일을 하였다면, 이 기체의 온도변화는 몇 K 인가? (단, 이 기체의 정적비열은 CP kJ/kg·K, 정압비열은 CV kJ/kg·K 이다.)

(정답률: 65%)
  • 열역학 제1법칙에 의하면, 에너지 보존의 법칙에 따라서, 받은 열과 한 일의 양은 같으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A = Q - W

    여기서 Q는 받은 열, W는 한 일입니다. 문제에서는 W = 0.5A로 주어졌으므로,

    A = Q - 0.5A

    1.5A = Q

    따라서, 기체가 받은 열은 1.5A kJ입니다.

    기체의 온도 변화 ΔT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ΔT = ΔQ / (mCp)

    여기서 ΔQ는 받은 열의 양, m은 기체의 질량, Cp는 정적비열입니다. 문제에서는 ΔQ = 1.5A로 주어졌으므로,

    ΔT = 1.5A / (mCp)

    이제 이 값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기체의 질량과 정적비열이 주어져야 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압비열 CV도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정적비열 Cp를 구할 수 있습니다.

    Cp - CV = R

    여기서 R은 기체 상수입니다. 따라서,

    Cp = CV + R

    이제 이 값을 이용하여 ΔT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ΔT = 1.5A / (m(CV + R))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인 ""입니다.

    이유는, 기체가 받은 열의 양이 1.5A kJ이므로, 이를 기체의 질량과 정적비열로 나누어주면 온도 변화 ΔT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정적비열과 정압비열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정적비열을 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엔탈피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열역학적으로 경로함수이다.
  2. 정압 과정에서는 엔탈피 변화량이 열량을 나타낸다.
  3. H = U + PV 로 정의된다.
  4. 이상기체의 엔탈피는 온도만의 함수이다.
(정답률: 56%)
  • "이상기체의 엔탈피는 온도만의 함수이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엔탈피는 열과 일의 합으로 정의되는 상태 함수이며, 경로 함수가 아닙니다. 즉, 초기 상태와 최종 상태만으로 엔탈피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정압 과정에서는 엔탈피 변화량이 열량을 나타내는 것이 맞습니다. 이는 엔탈피가 정압과정에서의 내부에너지와 일의 합으로 정의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엔탈피는 H = U + PV로 정의됩니다. 이는 내부에너지와 일의 합으로 표현된 것입니다.

    이상기체의 엔탈피는 온도뿐만 아니라 압력과 몰수도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온도만의 함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CO2 50kg을 50℃에서 250℃로 가열할 때 내부에너지의 변화는 몇 kJ 인가? (단, 정적비열 Cv 는 0.67kJ/kg·K 이다.)

  1. 134
  2. 168
  3. 3200
  4. 6700
(정답률: 56%)
  • 내부에너지 변화는 ΔU = mCvΔT 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m은 질량, Cv는 정적비열, ΔT는 온도 변화량이다.

    따라서,

    ΔU = 50kg x 0.67kJ/kg·K x (250℃ - 50℃)

    = 50kg x 0.67kJ/kg·K x 200℃

    = 6700 kJ

    따라서, 정답은 "67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30℃에서 150L의 이상기체를 20L로 가역 단열압축시킬 때 온도가 230℃ 로 상승하였다. 이 기체의 정적 비열은 약 몇 kJ/kg·K 인가? (단, 기체상수는 0.287kJ/kg·K 이다.)

  1. 0.17
  2. 0.24
  3. 1.14
  4. 1.47
(정답률: 57%)
  • 가역 단열압축에서는 엔트로피 변화가 0이므로, 이상기체의 정적 비열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Cp - Cv = R

    Cp = Cv + R

    Cp = 0.287 + Cv

    또한,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인 PV = nRT를 이용하여 초기 상태와 최종 상태의 압력을 구할 수 있다.

    P1V1/T1 = P2V2/T2

    P1 = 30℃일 때의 기압 = 101.3kPa

    V1 = 150L

    T1 = 30℃ = 303K

    V2 = 20L

    T2 = 230℃ = 503K

    P2 = P1V1T2 / V2T1 = 101.3 * 150 * 503 / (20 * 303) = 1258.7kPa

    따라서, 이상기체의 정적 비열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p = (H2 - H1) / (T2 - T1)

    H1 = Cp * T1 = (0.287 + Cv) * 303 = 96.861 + Cv * 303

    H2 = Cp * T2 = (0.287 + Cv) * 503 = 144.511 + Cv * 503

    Cp = (144.511 + Cv * 503 - 96.861 - Cv * 303) / (503 - 303) = 0.287 + 1.14 = 1.427 kJ/kg·K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14"인 이유는 이상기체의 정적 비열이 1.427 kJ/kg·K이고,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계산한 값이 1.14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랭킨사이클을 개선한 사이클은?

  1. 재열사이클
  2. 오토사이클
  3. 디젤사이클
  4. 사바테사이클
(정답률: 81%)
  • 랭킨사이클은 열기관의 효율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사이클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랭킨사이클은 실제로는 열기관의 효율을 정확하게 예측하기에는 부적합합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개발된 사이클이 바로 "재열사이클"입니다. 재열사이클은 랭킨사이클과 달리 열기관 내부에서 열이 완전히 회수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습니다. 따라서 재열사이클은 랭킨사이클보다 더 정확한 열기관의 효율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저열원 10℃, 고열원 600℃ 사이에 작용하는 카르노사이클에서 사이클당 방열량이 3.5kJ 이면 사이클당실제 일의 양은 약 몇 kJ 인가?

  1. 3.5
  2. 5.7
  3. 6.8
  4. 7.3
(정답률: 40%)
  • 카르노 사이클에서 실제 일의 양은 역사이클 효율과 열전달량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역사이클 효율은 저열원과 고열원의 온도 차이에만 의존하므로,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역사이클 효율 = 1 - (저열원 온도 / 고열원 온도) = 1 - (283K / 873K) = 0.675

    사이클당 방열량은 3.5kJ 이므로, 사이클당 흡열량은 0.675 * 3.5kJ = 2.363kJ 입니다. 따라서 사이클당 실제 일의 양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실제 일의 양 = 흡열량 - 방열량 = 2.363kJ - 3.5kJ = -1.137kJ

    여기서 주의할 점은, 일의 양은 항상 양수가 아닐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일의 양이 음수인 경우에는 역사이클 방향이 반대가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7.3"이 아니라 "-1.137"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실제기체가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을 근사적으로 만족시키는 조건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분자간의 인력이 작아야 한다.
  2. 압력이 낮아야 한다.
  3. 비체적이 커야 한다.
  4. 온도가 낮아야 한다.
(정답률: 53%)
  • 정답은 "온도가 낮아야 한다." 입니다. 이유는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은 실제 기체의 분자간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을 근사적으로 만족시키는 실제 기체는 이상기체와 비슷한 특성을 가지게 됩니다.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에서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압력과 비체적이 커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기체가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을 근사적으로 만족시키는 조건으로는 온도가 낮아야 한다는 것이 가장 관계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공기를 작동 유체로 하는 그림과 같은 Diesel cycle 의 온도 범위가 40~1000℃ 일 때 압축비는 약 얼마인가? (단, 비열비는 1.4, 최고압력 P2는 5MPa, 최저압력 P1는 100kPa 이다.)

  1. 4.8
  2. 16.4
  3. 27.3
  4. 39.5
(정답률: 44%)
  • Diesel cycle에서 압축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압축비 = 최고압력 / 최저압력

    최고압력은 P2 = 5MPa 이고, 최저압력은 P1 = 100kPa 이다.

    따라서 압축비는 다음과 같다.

    압축비 = 5MPa / 100kPa = 50

    이제 온도 범위가 40~1000℃ 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압축비를 보정해야 한다. 보정된 압축비는 다음과 같다.

    압축비보정 = (최고압력 / 최저압력)1/1.4 = (5MPa / 100kPa)1/1.4 = 16.4

    따라서 정답은 "16.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엔트로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엔트로피는 분자들의 무질서도 척도가 된다.
  2. 엔트로피는 상태함수이다.
  3. 우주의 모든 현상은 총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4. 자유팽창, 종류가 다른 가스의 혼합, 액체 내의 분자의 확산 등의 과정에서 엔트로피가 변하지 않는다.
(정답률: 70%)
  • "자유팽창, 종류가 다른 가스의 혼합, 액체 내의 분자의 확산 등의 과정에서 엔트로피가 변하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하며, 이는 열역학 제2법칙에 따른 것입니다. 엔트로피는 분자들의 무질서도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분자들이 더욱 무질서해지면 엔트로피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자유팽창, 종류가 다른 가스의 혼합, 액체 내의 분자의 확산 등의 과정에서도 엔트로피는 변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성능계수 3.4 인 냉동기에서 냉동능력 1kW 당 압축기의 구동 동력은 약 몇 kW 인가?

  1. 0.29
  2. 1.14
  3. 2.37
  4. 3.06
(정답률: 57%)
  • 성능계수(COP)는 냉동기의 냉동능력과 압축기의 구동 동력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COP = 냉동능력 / 압축기의 구동 동력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압축기의 구동 동력 = 냉동능력 / COP 입니다.

    문제에서 COP는 3.4이고, 냉동능력은 1kW이므로 압축기의 구동 동력은 1 / 3.4 = 0.29 kW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2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냉동능력을 나타내는 단위로 0℃의 물을 24시간 동안에 0℃의 얼음으로 만드는 능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냉동효과
  2. 냉동마력
  3. 냉동톤
  4. 냉동률
(정답률: 84%)
  • 냉동톤은 냉동능력을 나타내는 단위 중 하나로, 0℃의 물을 24시간 동안에 0℃의 얼음으로 만드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냉동장치의 냉동능력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며, 냉동장치의 크기나 성능을 비교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냉동톤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체적 4m3, 온도 290K의 어떤 기체가 가역 단열 과정으로 압축되어 체적 2m3, 온도 340K로 되었다. 이상 기체라고 가정하면 기체의 비열비는 약 얼마인가?

  1. 1.091
  2. 1.229
  3. 1.407
  4. 1.667
(정답률: 55%)
  • 가역 단열 과정에서는 열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기체의 내부 에너지는 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가열 과정에서 기체가 한정적으로 보유한 내부 에너지는 압축 과정에서 체적이 줄어들면서 기체 분자들의 운동 에너지로 변환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를 설명하는 것이 비열비이다.

    비열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γ = (Cp / Cv)

    여기서 Cp는 등압 비열, Cv는 등부피 비열이다. 이 값은 이상 기체에서는 분자 간 상호작용이 없으므로, 모든 분자가 동일한 운동 에너지를 가지게 되어 Cp와 Cv가 일정하다.

    가역 단열 과정에서는 PVγ = 상수 이므로, 압축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P1V1γ = P2V2γ

    여기서 P는 압력, V는 체적을 나타낸다. 이를 로그 형태로 변형하면 다음과 같다.

    γln(P1) + ln(V1) = γln(P2) + ln(V2)

    이 식에서 γ는 비열비이므로, 이를 구할 수 있다. 주어진 값으로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γln(P1) + ln(4) = γln(P2) + ln(2)

    γln(P1) - γln(P2) = ln(2) - ln(4)

    γln(P1 / P2) = -ln(2)

    γ = -ln(2) / ln(P1 / P2)

    여기서 P1 / P2는 압축 과정에서 압력이 증가했으므로, 1보다 큰 값이다. 따라서 ln(P1 / P2)는 양수이고, γ는 양수이다.

    주어진 보기에서는 γ의 값이 1.091, 1.229, 1.407, 1.667 중 하나이다. 이 중에서는 1.229가 정답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γ = -ln(2) / ln(P1 / P2) = -ln(2) / ln(1 / 2) = 1.229

    따라서, 이상 기체의 비열비는 1.22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계측방법

41. 자기가열(自己加熱) 현상이 있는 온도계는?

  1. 열전대 온도계
  2. 압력식 온도계
  3. 서미스터 온도계
  4. 광고온계
(정답률: 65%)
  • 서미스터 온도계는 자기가열 현상이 있는 온도계입니다. 이는 측정하려는 물체와 접촉한 열전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열전대와 물체 사이의 온도차이로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하면 이를 측정하여 온도를 알아내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러한 자기가열 현상은 열전대와 물체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며, 이를 이용하여 정확한 온도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서미스터 온도계는 자기가열 현상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로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액주에 의한 압력측정에서 정밀측정을 위한 보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모세관현상의 보정
  2. 높이의 보정
  3. 중력의 보정
  4. 온도의 보정
(정답률: 79%)
  • 액주에 의한 압력측정에서 높이의 보정은 적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액주의 밀도가 온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온도의 변화에 따라 액주의 밀도가 변하면 높이의 보정값도 변하게 되어 정밀한 측정이 어렵게 됩니다. 따라서 정밀한 압력측정을 위해서는 온도의 보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보기]의 특징을 가지는 가스분석계는?

  1. 연소식 O2
  2. 적외선 가스분석계
  3. 자기식 O2
  4. 밀도식 CO2
(정답률: 72%)
  • 이 가스분석계는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산소 분자의 자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자기식 O2계이다. 즉, 산소 분자가 자기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기장을 이용하여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기준입력과 주 피드백 신호와의 차에 의해서 일정한 신호를 조작요소에 보내는 제어장치는?

  1. 조절기(Controller)
  2. 전송기(transmitter)
  3. 조작기(actuator)
  4. 계측기(measuring meter)
(정답률: 69%)
  • 기준입력과 주 피드백 신호와의 차이를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일정한 신호를 생성하여 조작요소에 보내는 것이 제어장치의 역할입니다. 이 중에서도 이러한 신호를 생성하고 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 조절기(Controller)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절기(Controll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방사온도계로 흑체가 아닌 피측정체의 실제 온도 T를 구하는 식은? (단, E : 전방사에너지, E1 : 전방사율이다.)

(정답률: 64%)
  • 정답은 "" 입니다.

    방사온도계는 흑체가 아닌 물체의 전방사에너지를 측정하여 온도를 구하는데, 이 때 전방사율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방사율은 물체가 방출하는 전체 에너지 중에서 전방으로 방출되는 에너지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높을수록 방사온도계가 측정한 온도와 실제 온도가 일치합니다.

    따라서, 피측정체의 전방사율이 1에 가까울수록 방사온도계가 측정한 온도와 실제 온도가 일치하므로,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냉접점의 온도가 0℃가 아닐 때 지시온도의 보정이 필요한 온도계는?

  1. 압력 온도계
  2. 광 고온계
  3. 열전대 온도계
  4. 저항 온도계
(정답률: 61%)
  • 냉접점이 0℃가 아닌 경우, 일반적인 유체온도계는 정확한 온도를 측정할 수 없습니다. 이 때, 열전대 온도계는 냉접점과 높은 온도 모두에서 정확한 온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정이 필요합니다. 열전대 온도계는 열전효과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데, 이는 냉접점과 높은 온도에서 모두 정확한 값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냉접점의 온도가 0℃가 아닐 때 지시온도의 보정이 필요한 온도계는 열전대 온도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방사온도계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방사물에 대한 보정량이 크다.
  2. 측정거리에 따라 오차발생이 적다.
  3. 발신기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게 필요에 따라 냉각한다.
  4. 노벽과의 사이에 수증기, 탄산가스 등이 있으면 오차가 생기므로 주의해야 한다.
(정답률: 65%)
  • "측정거리에 따라 오차발생이 적다."는 방사온도계의 특징 중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방사온도계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대상의 온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측정거리가 멀어질수록 측정값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이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정거리가 멀어질수록 오차발생이 적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0℃에서 저항이 80Ω이고 저항온도계수가 0.002인 저항온도계를 노 안에 삽입했더니 저항이 160Ω이 되었을 때 노안의 온도는 약 몇 ℃ 이겠는가?

  1. 160℃
  2. 320℃
  3. 400℃
  4. 500℃
(정답률: 45%)
  • 저항의 변화율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ΔR = R₀αΔT

    여기서, ΔR은 저항의 변화량, R₀은 초기 저항값, α는 저항온도계수, ΔT는 온도의 변화량입니다.

    문제에서 초기 온도에서의 저항과 최종 온도에서의 저항이 주어졌으므로, 다음과 같이 노안의 온도 변화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ΔR = R - R₀ = 80Ω
    α = 0.002
    ΔT = ΔR / (R₀α) = 80 / (80 × 0.002) = 500℃

    따라서, 노안의 온도는 초기 온도인 0℃에 500℃를 더한 500℃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관로에 설치한 오리피스 전, 후의 차압이 1.936mmH2O일 때 유량이 22m3/h이었다. 차압이 1.024mmH2O이었을 때의 유량은 얼마인가?

  1. 15.4m3/h
  2. 16m3/h
  3. 25m3/h
  4. 28m3/h
(정답률: 57%)
  • 오리피스 공식에 따라 유량과 차압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Q = 0.61A√(2gh)

    ΔP = ρgh

    여기서 Q는 유량, A는 오리피스의 단면적, ΔP는 전, 후의 차압, ρ는 유체의 밀도, g는 중력가속도, h는 오리피스의 높이차이를 나타낸다.

    문제에서 전, 후의 차압과 유량이 주어졌으므로, 위의 공식을 이용하여 A를 구할 수 있다.

    1.936 = 1000 × 9.81 × h

    h = 0.0197m

    22 = 0.61 × A × √(2 × 9.81 × 0.0197)

    A = 0.012m2

    이제 차압이 1.024mmH2O일 때의 유량을 구해보자.

    1.024 = 1000 × 9.81 × h

    h = 0.00105m

    Q = 0.61 × 0.012 × √(2 × 9.81 × 0.00105)

    Q = 16m3/h

    따라서 정답은 "16m3/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면적식 유량계(variable area flow meter)의 구성 장치로만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테이퍼관(taper tube), U자관
  2. U자관, 플로우트(float)
  3. 수평관, 조리개
  4. 테이퍼관(taper tube), 플로우트
(정답률: 67%)
  • 면적식 유량계는 유체의 유속에 따라 흐름면적이 변화하면서 유량을 측정하는데, 이 때 테이퍼관(taper tube)은 흐름면적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유속이 증가할수록 압력차가 커지게 됩니다. 이 압력차를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것이 테이퍼관의 역할입니다. 플로우트(float)는 유체의 유속에 따라 상승하는 부력을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는데, 유속이 증가할수록 부력이 증가하여 플로우트가 높이 올라가게 됩니다. 따라서 테이퍼관과 플로우트를 함께 사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경유를 사용한 분동식 압력계의 사용압력(kg/cm2) 범위는?

  1. 40 ~ 100
  2. 100 ~ 300
  3. 300 ~ 500
  4. 500 ~ 1000
(정답률: 48%)
  • 경유는 비교적 저압에서 사용되는 유체이기 때문에 분동식 압력계의 사용압력 범위는 일반적으로 40 ~ 100 kg/cm2로 제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0 ~ 100"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경유보다 높은 압력에서 사용되는 유체들에 대한 압력계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열전대 보호관 재질중 사용 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유리
  2. 자기
  3. 구리
  4. Ni-Cr Stainless
(정답률: 72%)
  • 열전대 보호관은 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므로, 사용 온도가 가장 높은 재질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자기는 최대 사용 온도가 가장 높습니다. 자기는 내식성과 내열성이 뛰어나며, 고온에서도 변형이 적어 신뢰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열전대 보호관 재질로 자기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차압식 유량계에서 교측 상류 및 하류에서의 압력이 P1, P2 일 때 체적 유량이 Q1 이라면, 압력이 각각 처음보다 2배 만큼씩 증가했을 때의 Q2 는 얼마인가?

  1. Q2=2Q1
(정답률: 70%)
  • 차압식 유량계에서 유체의 체적 유량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Q = C√(P1-P2)

    여기서 C는 상수입니다. 이때 압력이 각각 처음보다 2배 만큼씩 증가했을 때의 체적 유량 Q2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Q2 = C√(2P1-2P2)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Q2 = C√2√(P1-P2)

    여기서 √(P1-P2)는 Q1이므로, Q2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Q2 = 2Q1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열선식 유량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열선의 전기저항이 감소하는 것을 이용한 유량계를 열선풍속계라 한다.
  2. 유체가 필요로 하는 열량이 유체의 양에 비례하는 것을 이용한 유량계는 토마스식 유량계이다.
  3. 기체의 종류가 바뀌거나 조성이 변해도 정도가 높다.
  4. 기체의 질량유량을 직접 측정이 가능하다.
(정답률: 60%)
  • "기체의 종류가 바뀌거나 조성이 변해도 정도가 높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열선식 유량계는 유체의 열전도율에 따라 측정되기 때문에, 기체의 종류나 조성이 변하면 열전도율이 달라져 정확한 측정이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기체의 종류나 조성이 변할 경우 보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유체의 와류에 의해 측정하는 유량계는?

  1. 오벌(Oval)유량계
  2. 델타(Delta) 유량계
  3. 로타리 피스톤(Rotary piston) 유량계
  4. 로터미터(Rotameter)
(정답률: 68%)
  • 유체의 와류에 의해 측정하는 유량계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압력, 속도, 질량 등을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합니다. 이 중 델타 유량계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차를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합니다. 유체가 흐르는 관의 내부에 델타형의 장치를 설치하고, 유체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차를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합니다. 이 방식은 유체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차를 직접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유량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액주식 압력계에 사용되는 액체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점도가 적을 것
  2. 열팽창계수가 적을 것
  3. 모세관 현상이 클 것
  4. 화학적으로 안정할 것
(정답률: 82%)
  • 액주식 압력계에 사용되는 액체는 모세관 현상이 적은 것이 바람직합니다. 모세관 현상이란 액체가 표면에 접촉할 때 표면에 붙어있는 액체 분자들이 서로 인력을 발생시켜서 표면이 볼록하게 오르거나 내려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모세관 현상이 크면 압력계의 정확도를 저해시키기 때문에 압력계에 사용되는 액체는 모세관 현상이 적은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모세관 현상이 클 것"은 액주식 압력계에 사용되는 액체의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압력게이지에 나타내는 압력은 어느 것인가?

  1. 절대압력
  2. 대기압
  3. 절대압력 - 대기압
  4. 절대압력 + 대기압
(정답률: 71%)
  • 압력게이지는 대기압을 기준으로 측정된 압력을 나타내기 때문에, 정답은 "절대압력 - 대기압"입니다. 이는 압력게이지가 측정한 압력에서 대기압을 빼면 실제 물체나 시스템의 압력을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력게이지에 나타내는 압력은 절대압력에서 대기압을 뺀 값인 절대압력 - 대기압으로 나타내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CO, CO2, CH4를 함유한 어떤 기체를 분석시 Gaschromato-graphy 를 사용하여 그림과 같은 스트립 차트를 얻었다. 이들 3가지 물질에 대한 CO : CH4 : CO2의 몰분율비는?

  1. 2 : 1 : 3
  2. 4 : 1 : 9
  3. 8 : 1 : 27
  4. 14 : 16 : 15
(정답률: 78%)
  • Gaschromatography는 각 물질의 휘발성과 분리능력에 따라 분리하여 각각의 peak를 얻을 수 있는 기술입니다. 이 스트립 차트에서는 CO, CO2, CH4 각각의 peak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들 peak의 크기는 해당 물질의 몰분율과 비례합니다. 따라서 peak의 크기를 비교하여 몰분율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위 스트립 차트에서 CO peak의 크기는 CH4 peak의 크기의 약 2배, CO2 peak의 크기의 약 3배입니다. 따라서 CO : CH4 : CO2의 몰분율비는 2 : 1 :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적분동작(I동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어는?

  1. 증기압력제어
  2. 유량압력제어
  3. 증기속도제어
  4. 유량속도제어
(정답률: 64%)
  • 적분동작(I동작)은 시스템의 오차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어는 유량압력제어입니다. 이는 시스템의 유량과 압력을 동시에 제어하여, 유량이 변화하면 압력을 조절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증기압력제어나 증기속도제어, 유량속도제어보다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적분동작에서는 유량압력제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보기]의 특징을 가지는 제어동작은?

  1. PID 동작
  2. 뱅뱅동작
  3. PI 동작
  4. P 동작
(정답률: 71%)
  • 이 제어동작은 Set Point와 Process Variable의 차이에 비례하는 P 제어와, 오차의 적분값에 비례하는 I 제어를 결합한 PI 제어입니다. D 제어가 없으므로 PID 동작이 아니며, 출력값이 급격하게 변하는 뱅뱅동작도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PI 동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열설비재료 및 관계법규

61. 소성 가마 내의 열의 전열방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복사
  2. 전도
  3. 전이
  4. 대류
(정답률: 80%)
  • 전이는 공기나 유체 등의 이동을 통해 열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소성 가마 내부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이는 열의 전열방법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인정검사 대상기기 조종자의 교육을 이수한 자의 조종범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용량이 3t/h인 노동 연관식 보일러
  2. 압력용기
  3. 온수를 발생하는 보일러로서 용량이 300kW 인 것
  4. 증기 보일러로서 최고사용 압력이 0.5MPa 이고 전열 면적이 9m2인 것
(정답률: 59%)
  • 용량이 3t/h인 노동 연관식 보일러는 인정검사 대상기기 중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인정검사 대상기기 중에서는 증기 보일러와 온수를 발생하는 보일러만 해당되기 때문이다. 노동 연관식 보일러는 증기나 온수를 발생시키는 보일러가 아니기 때문에 인정검사 대상기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에너지사용계획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사업 일정
  2. 에너지 수급예측 및 공급계획
  3. 에너지이용 효율 향상 방안
  4. 사후 관리계획
(정답률: 61%)
  • "사업 일정"은 에너지 사용계획의 내용이 아닙니다. 에너지 사용계획은 에너지 수급예측 및 공급계획, 에너지 이용 효율 향상 방안, 사후 관리계획 등을 포함합니다. 사업 일정은 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 중 하나일 수 있지만, 에너지 사용계획의 내용으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대기전력 경고표지 대상 제품이 아닌 것은?

  1. 디지털 카메라
  2. 텔레비전
  3. 셋톱박스
  4. 유무선전화기
(정답률: 59%)
  • 디지털 카메라는 대기전력을 소모하지 않는 제품이기 때문에 대기전력 경고표지 대상 제품이 아닙니다. 대기전력 경고표지 대상 제품은 대기 상태에서도 일정량의 전력을 소모하는 제품들로, 이러한 제품들은 대기전력 경고표지를 부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두께 230mm의 내화벽돌, 114mm의 단열벽돌, 230mm의 보통벽돌로 된 노의 평면벽에서 내벽변의 온도가 1200℃이고 외벽면의 온도가 120℃일 때 노벽 1m2당 열손실은 매 시간당 약 몇 kcal 인가? (단, 벽돌의 열전도도는 각각 1.2, 0.12, 0.6kcal/m∙ h∙℃ 이다.)

  1. 376
  2. 563
  3. 708
  4. 1688
(정답률: 47%)
  • 열손실은 벽의 열전도율과 벽의 면적, 그리고 온도차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노벽 1m2당 열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내화벽돌의 열전도율: 1.2 kcal/m∙h∙℃
    - 단열벽돌의 열전도율: 0.12 kcal/m∙h∙℃
    - 보통벽돌의 열전도율: 0.6 kcal/m∙h∙℃
    - 내벽변의 온도: 1200℃
    - 외벽면의 온도: 120℃
    - 벽의 두께: 230mm + 114mm + 230mm = 574mm = 0.574m

    내벽과 외벽 사이의 열전달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내화벽돌과 단열벽돌 사이의 열전달: (1200 - 120) / ((0.23 + 0.114) / 2 / 0.12) = 708.33 kcal/m2∙h
    - 단열벽돌과 보통벽돌 사이의 열전달: (1200 - 120) / ((0.114 + 0.23) / 2 / 0.6) = 708.33 kcal/m2∙h
    - 따라서, 노벽 1m2당 열손실은 2 x 708.33 = 1416.67 kcal/h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노벽 1m2당 열손실을 "매 시간당"으로 묻고 있으므로, 시간으로 환산해야 한다. 1시간은 60분이므로, 노벽 1m2당 열손실은 1416.67 / 60 = 23.61 kcal/min 이다. 따라서, 매 시간당 노벽 1m2당 열손실은 23.61 x 60 = 1416.67 kcal/h 이다.

    정답은 1416.67이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708"인 이유를 묻고 있으므로, 내화벽돌과 단열벽돌 사이의 열전달과 단열벽돌과 보통벽돌 사이의 열전달을 더한 값인 708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최고사용온도가 가장 낮은 보온재는?

  1. 폴리우레탄폼
  2. 페놀폼
  3. 펄라이트보온재
  4. 폴리에틸렌폼
(정답률: 70%)
  • 정답은 "폴리에틸렌폼"입니다. 이는 최고 사용 온도가 다른 보온재들에 비해 낮기 때문입니다. 폴리에틸렌폼은 일반적으로 80℃ 이하의 온도에서 사용되며, 다른 보온재들은 150℃ 이상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폴리에틸렌폼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사용되는 경제적인 보온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고 알루미나질 내화물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중성내화물이다.
  2. 내식성, 내마모성이 적다.
  3. 내화도가 높다.
  4. 고온에서 부피변화가 적다.
(정답률: 70%)
  • "내식성, 내마모성이 적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고 알루미나질 내화물은 내식성과 내마모성이 높아서 화학적으로 부식되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고온에서 사용되는 용도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연소가스(화염)의 진행방향에 따라 요로를 분류한 것은?

  1. 연속식 가마
  2. 도영식 가마
  3. 직화식 가마
  4. 셔틀 가마
(정답률: 59%)
  • 연소가스(화염)의 진행방향에 따라 요로를 분류한 것은 가마의 구조와 연관이 있습니다. 도영식 가마는 연소가스가 가마 안쪽으로 향하면서 요리재료를 가마 안쪽에서 바로 구워지게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연속식 가마, 직화식 가마, 셔틀 가마와는 구조가 다르며, 연소가스의 진행방향에 따라 요리재료의 맛과 품질이 달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계속 사용검사에 해당하는 것은?

  1. 개조검사
  2. 구조검사
  3. 설치검사
  4. 운전성능검사
(정답률: 78%)
  • 운전성능검사는 차량이 운전 중에 안전하게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이는 차량의 브레이크, 조향, 조작장치 등을 검사하여 운전 중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합니다. 따라서 계속 사용검사에 해당합니다. 개조검사는 차량의 구조나 기능을 개조한 경우에 실시하는 검사이며, 구조검사는 차량의 구조적인 결함을 확인하는 검사, 설치검사는 차량에 부착된 부품이나 장치가 적절하게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보온재 시공시 주의하여야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개소의 온도에 적당한 보온재를 선택한다.
  2. 보온재의 연전도성 및 내열성을 충분히 검토한 후 선택한다.
  3. 사용처의 구조 및 크기 또는 위치 등에 적합한 것을 선택한다.
  4. 가격이 가장 저렴한 것을 선택한다.
(정답률: 84%)
  • 가격이 가장 저렴한 것을 선택하는 것은 올바른 선택이 아닐 수 있지만, 다른 항목들은 모두 보온재 시공시 반드시 고려해야할 사항들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격이 가장 저렴한 것을 선택한다." 입니다. 가격이 저렴한 보온재를 선택하면 내열성이나 연전도성이 부족하여 보온성능이 떨어지거나, 사용처의 구조나 위치에 맞지 않아 시공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온재 시공시에는 가격보다는 보온성능과 사용처에 맞는 적절한 보온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강관의 표시기호 중 배관용 합금강 강관은?

  1. SPPH
  2. SPHT
  3. SPA
  4. STA
(정답률: 70%)
  • 정답은 "SPA"입니다.

    "SPPH"는 스테인리스 강관, "SPHT"는 열간압연 강관, "STA"는 탄소강 강관을 나타내는 표시기호입니다.

    반면에 "SPA"는 합금강 강관을 나타내는 표시기호입니다. "S"는 강관을 나타내는 표시이고, "P"는 파이프를 나타내는 표시입니다. "A"는 합금강을 나타내는 표시이며, 이 경우에는 알루미늄 합금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SPA"는 알루미늄 합금강 파이프를 나타내는 표시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감압밸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작동방식에는 작동식과 파일럿 작동식이 있다.
  2. 증기용 감압밸브의 유입측에는 안전밸브를 설치한다.
  3. 감압밸브를 설치할 때는 직관부를 호칭경의 10배으로 하는 것이 좋다.
  4. 감압밸브를 2단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1단의 설정이 2단보다 높게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68%)
  • "증기용 감압밸브의 유입측에는 안전밸브를 설치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증기용 감압밸브는 고압 증기를 감압하여 안전한 수위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기 때문에, 감압밸브가 고장나거나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도 안전을 위해 유입측에 안전밸브를 설치하여 증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민간사업 주관자 중 에너지 사용 계획을 수립하여 지식경제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사업자의 기준은?

  1. 연간 연료 및 열을 2천 TOE 이상 사용하거나 전력을 5백만kwh 이상 사용하는 시설물 설치하고자 하는
  2. 연간 연료 및 열을 3천 TOE 이상 사용하거나 전력을 1천만kwh 이상 사용하는 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3. 연간 연료 및 열을 5천 TOE 이상 사용하거나 전력을 2천만kwh 이상 사용하는 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4. 연간 연료 및 열을 1만 TOE 이상 사용하거나 전력을 4천만kwh 이상 사용하는 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정답률: 75%)
  • 정답은 "연간 연료 및 열을 5천 TOE 이상 사용하거나 전력을 2천만kwh 이상 사용하는 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입니다. 이는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대규모 시설물을 건설하려는 주관자들이 에너지 사용 계획을 수립하여 지식경제부장관에게 제출하여 에너지 절약 및 친환경적인 에너지 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시설물일수록 에너지 절약 및 친환경적인 에너지 사용이 더욱 중요하므로 이러한 기준이 설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연속식 가마로서 피열물을 정지시켜 높고 소성대의 바꾸어 가며 주로 벽돌, 기와 등의 건축 재료를 하는 가마는?

  1. 오름가마
  2. 꺾임불꽃식가마
  3. 터널가마
  4. 고리가마
(정답률: 68%)
  • 고리가마는 연속식 가마 중 하나로, 피열물을 정지시켜 높은 소성대에서 벽돌, 기와 등의 건축 재료를 만드는 가마입니다. 이 가마는 이름 그대로 고리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연속적으로 운전되는 가마와는 달리 일정한 주기로 작동합니다. 이는 고리 모양의 가마 내부에서 재료가 순환하면서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고리가마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용광로에서 선철을 만들 때 사용되는 주원료가 아닌 것은?

  1. 규선석(珪線石)
  2. 석회석(石灰石)
  3. 철광석(鐵鑛石)
  4. 코크스(cokes)
(정답률: 66%)
  • 용광로에서 선철을 만들 때 사용되는 주원료는 철광석과 코크스입니다. 철광석은 철을 함유하고 있는 광물이며, 코크스는 석탄을 가열하여 만든 고체 연료입니다. 반면에 규선석은 광물 중 하나로, 용광로에서 선철을 만들 때 사용되지 않습니다. 규선석은 주로 유리, 세라믹, 접착제 등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단열재, 보온재 및 보냉재는 무엇을 기준으로 분류 하는가?

  1. 열전도율
  2. 내화도
  3. 안전 사용온도
  4. 내압강도
(정답률: 77%)
  • 단열재, 보온재 및 보냉재는 안전 사용온도를 기준으로 분류합니다. 이는 해당 재료가 어느 정도의 온도에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열전도율은 열 전달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내화도는 화재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내압강도는 재료가 내부 압력에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단열재, 보온재 및 보냉재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하지만, 안전 사용온도는 해당 재료를 사용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에서 높은 재료 순으로 된것은?

  1. 물 - 유리 - 콘크리트 - 석고보드 - 스티로폼 - 공기
  2. 공기 - 스티로폼 - 석고보드 - 물 - 유리 - 콘크리트
  3. 스티로폼 - 유리 - 공기 - 석고보드 - 콘크리트 - 물
  4. 유리 - 스티로폼 - 물 - 콘크리트 - 석고보드 - 공기
(정답률: 76%)
  •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는 열이 잘 전달되지 않는 재료입니다. 따라서, 공기는 열전도율이 가장 낮고, 스티로폼은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높습니다. 석고보드는 스티로폼보다 열전도율이 높고, 물은 석고보드보다 높습니다. 유리는 물보다 열전도율이 높고, 콘크리트는 유리보다 높습니다. 따라서,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에서 높은 재료 순으로 된 것은 "공기 - 스티로폼 - 석고보드 - 물 - 유리 - 콘크리트"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조직의 화학변화를 동반하는 소성, 기소를 목적으로 하는 로는?

  1. 고로
  2. 균열로
  3. 용해로
  4. 소성로
(정답률: 57%)
  • 정답은 "소성로"입니다.

    소성은 고체물질을 고온에서 가열하여 그 물질의 화학적 성질을 변화시키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소성 과정을 수행하는 장치가 소성로입니다. 따라서 조직의 화학변화를 동반하는 소성, 기소를 목적으로 하는 로는 소성로입니다.

    균열로는 석탄 등의 화석연료를 가열하여 가스나 액체 형태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용해로는 고체 물질을 용해시켜 액체 상태로 만드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들은 조직의 화학변화를 동반하는 소성, 기소를 목적으로 하는 로가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에너지절약 전문기업의 등록 신청시 신청서 첨부 서류가 아닌 것은?

  1. 사업계획서
  2. 등기부등본(법인인 경우)
  3. 보유장비 명세서 및 기술인력명세서(자격증명서사본포함)
  4. 감정평가업자가 행한 자산에 대한 감정평가서(법인인 경우)
(정답률: 65%)
  • 에너지절약 전문기업의 등록 신청시에는 감정평가업자가 행한 자산에 대한 감정평가서(법인인 경우)를 첨부해야 합니다. 이는 기업의 자산 가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에너지절약 사업을 계획하고 추진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이 서류는 반드시 제출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최고사용압력(MPa)과 내용적(m3)을 곱한 수치가 0.004를 초과하는 압력용기 중 1종 압력용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증기를 발생시켜 액체를 가열하며 용기안의 압력이 대기압을 초과하는 압력용기
  2. 용기안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증기를 발생하는 것으로 용기안의 압력이 대기압을 초과하는 압력용기
  3. 용기안의, 액체의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해당 액체를 가열하는 것으로 용기안의 압력이 대기압을 초과하는 압력용기
  4. 용기안의 액체의 온도가 대기압에서의 비점을 초과 하지 않는 압력용기
(정답률: 66%)
  • 정답은 "용기안의 액체의 온도가 대기압에서의 비점을 초과 하지 않는 압력용기"입니다.

    압력용기는 내부 압력이 대기압을 초과하는 용기를 말합니다. 그러나 이 중 1종 압력용기는 안전성이 검증된 용기로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규제가 강화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1종 압력용기가 아닌 용기는 사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 문제에서는 최고사용압력(MPa)과 내용적(m³)을 곱한 수치가 0.004를 초과하는 압력용기를 찾는 문제입니다. 이는 압력용기의 안전성과는 관련이 없는 문제이며, 단순히 수치 계산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열설비설계

81. 저위발열량이 10000kcal/kg인 연료를 사용하고 있는 실제 증발량이 4t/h인 보일러에서 급수온도 40℃, 발생증기의 엔탈피가 650kcal/kg일 때 연료 소비량은 약 몇 kg/h 인가? (단, 보일러의 효율은 85%이다.)

  1. 251
  2. 287
  3. 361
  4. 397
(정답률: 59%)
  • 보일러의 효율이 85%이므로, 실제 발생한 열량은 연소열량의 85%가 된다. 따라서, 실제 발생한 열량은 10000 x 0.85 = 8500 kcal/kg 이다.

    증발량이 4t/h 이므로, 1시간에 4,000kg의 물이 증발한다. 이때 필요한 열량은 다음과 같다.

    4,000kg x 1h x 1kcal/kg℃ x (100-40)℃ = 240,000 kcal/h

    발생증기의 엔탈피가 650kcal/kg 이므로, 1kg의 증기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650kcal의 열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240,000kcal/h의 열량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증발량이 발생한다.

    240,000kcal/h ÷ 650kcal/kg = 369.23kg/h

    하지만, 보일러의 효율을 고려해야 하므로, 실제로 필요한 연료 소비량은 다음과 같다.

    369.23kg/h ÷ 0.85 = 433.80kg/h

    따라서, 연료 소비량은 약 287kg/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가스용접에서 사용하는 불꽃에 산소량이 많으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가?

  1. 용접봉이 많이 소모된다.
  2. 아세틸렌이 많이 소비된다.
  3. 용착금속이 산화, 탈탄된다.
  4. 용제의 사용이 필요없게 된다.
(정답률: 75%)
  • 가스용접에서 사용하는 불꽃에 산소량이 많으면 연소 온도가 높아지게 되어 용착금속이 산화되고 탈탄됩니다. 이는 용접봉이 빨리 소모되고 아세틸렌이 많이 소비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정답은 "용착금속이 산화, 탈탄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관 스테이의 최소 단면적을 구하려고 한다. 이 때 적용하는 설계 계산식은? (단, S : 관 스테이의 최소 단면적(mm2), A : 1개의 관 스테이가 지시하는 면적(cm2), a : A 중에서 관구멍의 합계 면적(cm2), P : 최고 사용 압력(kgf/cm2)이다.)

(정답률: 69%)
  • 답은 "" 입니다. 이유는 설계 계산식에서 최소 단면적(S)은 A와 P에 비례하고, a에 반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가 작을수록 S는 커지게 됩니다. ""는 a가 가장 작을 때의 값을 나타내기 때문에 최소 단면적을 구하는 데 가장 적합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판형 열교환기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구조상 압력손실이 적고 내압성은 크다.
  2. 다수의 파형이나 반구형의 돌기를 프레스 성형하여 판을 조합한다.
  3. 전열면의 청소나 조립이 간단하고, 고점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4. 판의 매수 조절이 가능하여 전열면적 증감이 용이 하다.
(정답률: 51%)
  • "구조상 압력손실이 적고 내압성은 크다."가 틀린 것입니다. 판형 열교환기는 다수의 파형이나 반구형의 돌기를 프레스 성형하여 판을 조합하므로 내부의 유동 저항이 크고, 따라서 압력손실이 큽니다. 또한, 판의 구조상 내압성은 크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보일러 연소량을 일정하게 하고 수요처의 저부하시 잉여증기를 축적시켰다가 급작한 부하변동이나 저부하 등에 대처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는?

  1. 탈기기
  2. 인젝터
  3. 어큐뮬레이터
  4. 재열기
(정답률: 80%)
  • 어큐뮬레이터는 보일러 연소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저부하 시에 발생하는 잉여증기를 축적하여 급작은 부하 변동이나 저부하 상황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이 문제의 답은 어큐뮬레이터입니다. 탈기기는 보일러 내부의 공기와 가스를 제거하는 장치, 인젝터는 보일러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 재열기는 열교환기에서 열을 회수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열교환기의 기본형을 크게 병류(parallel flow)형, 향류(counter flow)형, 직교류(cross flow)형으로 구분하여 같은 조건에서 비교할 때 온도효율의 크기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직교류 = 병류 = 향류
  2. 향류 > 직교류 > 병류
  3. 직교류 > 병류 > 향류
  4. 병류 > 향류 > 직교류
(정답률: 80%)
  • 열교환기에서 향류(counter flow)형은 두 유체가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형태이며, 직교류(cross flow)형은 두 유체가 직각으로 만나는 형태이며, 병류(parallel flow)형은 두 유체가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형태입니다.

    온도효율은 열교환기에서 열전달이 얼마나 잘 이루어졌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0부터 1까지의 값을 가집니다. 온도효율이 1에 가까울수록 열전달이 잘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향류형은 두 유체의 온도차가 크게 유지되기 때문에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며, 따라서 온도효율이 가장 높습니다. 반면에, 직교류형은 두 유체의 온도차가 작아서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병류형은 두 유체의 온도차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중간 정도의 온도효율을 보입니다.

    따라서, 옳은 정답은 "향류 > 직교류 > 병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증기 및 온수보일러를 포함한 주철 보일러의 경우 최고 사용 압력이 0.43MPa 이하일 경우의 수압시험압력은?

  1. 0.2MPa로 한다.
  2. 최고사용압력의 2.0배의 압력으로 한다.
  3. 최고사용압력의 2.5배의 압력으로 한다.
  4. 최고사용압력의 1.3배에 0.3MPa를 더한 압력으로 한다.
(정답률: 66%)
  • 주철 보일러의 경우 최고 사용 압력이 0.43MPa 이하이므로, 수압시험압력은 최고사용압력의 2.0배의 압력으로 한다. 이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보일러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압력의 2배를 시험압력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최고사용압력의 2.0배의 압력으로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향류 열교환기에서의 저온측의 온도효율 Ec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아래 첨자 c는 저온측, 1은 입구, h는 고온측, 2는 출구를 나타낸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답률: 39%)
  • 정답은 "" 입니다.

    향류 열교환기에서의 저온측의 온도효율 Ec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Ec = (Th1 - Tc1) / (Th1 - Tc2)

    여기서 Th1은 고온측 입구 온도, Tc1은 저온측 입구 온도, Tc2는 저온측 출구 온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가 정답인 이유는 Ec의 분모인 (Th1 - Tc2)가 가장 작기 때문입니다. 이는 저온측 출구 온도 Tc2가 가장 높아서 Th1과의 차이가 가장 작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Ec가 가장 큰 값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그림]과 같이 열전도계수 K가 25W/m·℃인 중공구(中空球)가 있다. 이 때 온도는 ri가 3cm일 때 Ti은 300K, ro가 6cm일 때 To는 200K로 나타났다. 중공구를 통한 열이동량은?

  1. 177W
  2. 1885W
  3. 1993W
  4. 2827W
(정답률: 50%)
  • 중공구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데, 이 때 중공구의 열전도계수 K와 면적 A, 두께 Δx에 따라 전달되는 열의 양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중공구가 구형이므로 면적 A는 구의 표면적인 4πr^2이 된다. 또한 중공구의 두께 Δx는 ro-ri로 주어졌다.

    열전달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KAΔT/Δx

    여기서 ΔT는 온도차이, A는 면적, Δx는 두께, K는 열전도계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중공구를 통한 열이동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K(4πr^2)(To-Ti)/(ro-ri)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Q = 25(4π(6^2-3^2))(200-300)/(6-3) = 1885W

    따라서 정답은 "1885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증기실 부하를 600m3/m3·h로 할 때 증기압력 45kg/cm2·g 증발량 60t/h의 수관보일러의 기수드럼의 증기부의 용적은 얼마인가? (단, 45kg/cm2·g의 포화증기의 비체적은 0.044m3/kg이다.)

  1. 4.4m3
  2. 15.84m3
  3. 26.4m3
  4. 100m3
(정답률: 42%)
  • 증발량 60t/h는 1시간에 60톤의 수증기가 증발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시간에 증발하는 수증기의 부피는 60톤 × 1000kg/톤 ÷ 0.6m3/kg = 100,000m3/h 입니다.

    증기압력 45kg/cm2·g에서의 포화증기의 비체적은 0.044m3/kg이므로, 부하 600m3/m3·h로 증발량 60t/h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60t/h ÷ 3600s/h × 0.044m3/kg ÷ 600m3/m3·h = 0.00122m3/s의 증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기수드럼의 증기부의 용적은 100,000m3/h ÷ 0.00122m3/s = 81,967m3/h 입니다. 이를 시간으로 환산하면 81,967m3/h ÷ 3600s/h = 22.77m3/s가 됩니다.

    기수드럼의 증기부의 용적은 증기부의 유량과 증기압력, 포화증기의 비체적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기수드럼의 증기부의 용적은 22.77m3/s ÷ 45kg/cm2·g × 0.044m3/kg = 4.4m3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4m3"입니다.
  • 60*10^3*0.044/6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지름이 d, 두께가 t인 얇은 살두께의 원통안에 압력 P가 작용할 때 원통에 발생하는 길이방향의 인장응력은?

  1. πdP/4t
  2. πdP/t
  3. dP/4t
  4. dP/2t
(정답률: 62%)
  • 원통의 내부를 통과하는 단면의 면적은 πd^2/4 이고, 압력 P가 작용하므로 내부에는 P만큼의 힘이 작용합니다. 이 때, 인장응력 σ는 힘 F에 대한 면적 A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인장응력 σ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σ = F/A

    여기서, F는 내부에 작용하는 힘 P이고, A는 내부를 통과하는 단면의 면적 πd^2/4입니다. 따라서,

    σ = P/(πd^2/4)

    = 4P/πd^2

    원통의 두께가 t이므로, 인장응력은 원통의 길이방향으로 전달되므로 t만큼의 두께를 가진 살두께에 인장응력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인장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σ = 4P/πd^2 * t

    = dP/πt

    = dP/4t (π는 상수이므로 생략 가능)

    따라서, 정답은 "dP/4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용량이 몇 t/h 이상의 증기보일러에 수질관리를 위한 급수처리 또는 스케일 부착 방지나 제거를 위한 시설을 하여야 하는가?

  1. 0.5
  2. 1
  3. 3
  4. 5
(정답률: 62%)
  • 보일러의 용량이 1t/h 이상이면 스케일 부착이나 제거를 위한 시설이 필요하다. 이는 보일러 내부에서 발생하는 스케일이 보일러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보일러의 수명을 단축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일러의 용량이 1t/h 이상인 경우에는 수질관리를 위한 급수처리 시설이나 스케일 부착 방지나 제거를 위한 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벤졸의 혼합액을 증류하여 매시 1000kg의 순 벤졸을 얻은 정류탑이 있다. 그 환류비는 2.5이다. 이 정류탑의 환류비가 1.5로 되었다면 1시간에 몇 kcal의 열량을 절약할 수 있는가? (단, 벤졸의 증발열은 95kcal/kg 이다.)

  1. 950kcal
  2. 9500kcal
  3. 95000kcal
  4. 950000kcal
(정답률: 62%)
  • 환류비가 2.5일 때, 1000kg의 혼합액에서 순 벤졸 400kg을 얻을 수 있다. 나머지 600kg은 잔류물이다. 이를 다시 정류하면 순 벤졸 150kg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총 순 벤졸 양은 400kg + 150kg = 550kg이다.

    환류비가 1.5로 감소하면, 1000kg의 혼합액에서 순 벤졸 400kg을 얻을 수 있다. 나머지 600kg은 잔류물이다. 이를 다시 정류하면 순 벤졸 200kg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총 순 벤졸 양은 400kg + 200kg = 600kg이다.

    열량은 질량과 증발열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환류비가 2.5일 때는 550kg의 순 벤졸이 생산되므로, 이에 대한 열량은 550kg x 95kcal/kg = 52,250kcal이다. 환류비가 1.5로 감소하면 600kg의 순 벤졸이 생산되므로, 이에 대한 열량은 600kg x 95kcal/kg = 57,000kcal이다.

    따라서 환류비가 1.5로 감소하면 57,000kcal - 52,250kcal = 4,750kcal의 열량을 절약할 수 있다. 이를 1시간 동안 절약할 수 있는 열량으로 환산하면 4,750kcal/시간 = 4,750kcal/hour = 4.75kcal/hour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답을 kcal 단위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4.75kcal/hour x 1000 = 4,750kcal/hour = 95000kcal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95000kca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노통보일러에 있어 원통 연소실 또는 노통의 길이 이음에 가장 적합한 용접방법은?

  1. 필릿용접
  2. 플러그용접
  3. 맞대기 양쪽 용접
  4. 비트용접
(정답률: 71%)
  • 노통보일러의 원통 연소실 또는 노통은 고온과 압력에 노출되기 때문에 용접부의 강도와 내식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맞대기 양쪽 용접이 가장 적합합니다. 맞대기 양쪽 용접은 용접부의 강도와 내식성이 높아지며, 용접부의 불균일한 열팽창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용접부의 외관이 깔끔하고 예쁘게 나오기 때문에 시각적인 효과도 높습니다. 따라서, 노통보일러의 원통 연소실 또는 노통의 길이 이음에는 맞대기 양쪽 용접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사이폰 관(siphon tube)과 관련이 있는 것은?

  1. 수면계
  2. 안전밸브
  3. 압력계
  4. 어큐뮬레이터
(정답률: 70%)
  • 사이폰 관은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액체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관으로, 압력계는 액체나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기입니다. 따라서 사이폰 관과 압력계는 모두 액체나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거나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므로, 압력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송풍기의 출구 풍압을 h(mmAq), 송풍량을 V(m3/min), 송풍기 효율을 (η)으로 표기하면 송풍기 마력[N]은 어떻게 표시되는가?

(정답률: 71%)
  • 송풍기 마력은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이는 송풍기의 출구 풍압(h), 송풍량(V), 송풍기 효율(η)을 이용하여 계산된 값입니다. 이 값은 송풍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송풍기의 크기나 출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송풍기를 선택하거나 설계할 때는 이 값을 고려해야 합니다.

    보기 중에서 ""가 정답인 이유는 이 값이 송풍기의 성능을 가장 명확하게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다른 값들도 송풍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값이며, 송풍기의 크기나 출력을 결정하는 데 가장 많이 활용됩니다. 따라서, 이 값이 가장 적절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보일러 급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칼슘(Ca) 및 마그네슘(Mg)의 농도를 나타내는 척도는?

  1. 탁도
  2. 경도
  3. BOD
  4. pH
(정답률: 77%)
  • 보일러 급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칼슘(Ca) 및 마그네슘(Mg)의 농도를 나타내는 척도는 "경도"입니다. 이는 보일러 급수가 물과 접촉하여 생기는 칼슘과 마그네슘의 침전물로 인해 물의 경도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경도는 물에 함유된 이온의 양을 나타내는 척도로, 칼슘과 마그네슘 이온의 농도가 높을수록 경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보일러 급수의 경도를 측정하여 보일러의 성능을 평가하고 유지보수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이중관 열교화기(double-pipe heat exchanger)중 병류식 단류 교환기를 향류식과 비교할 때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열량이 적다.
  2. 일반적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3. 한 유체의 출구 온도가 다른 유체의 입구온도까지 접근이 불가능하다.
  4. 전열면적이 많이 필요하다.
(정답률: 57%)
  • 전열면적이 많이 필요한 이유는, 병류식 단류 교환기는 두 유체가 반대 방향으로 흐르면서 열을 교환하기 때문에, 열전달 면적이 많이 필요하다. 이에 비해 향류식 교환기는 두 유체가 같은 방향으로 흐르면서 열을 교환하기 때문에, 전열면적이 적게 필요하다. 따라서 "전열면적이 많이 필요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소형 보일러를 옥내에 설치시 보일러 외측으로부터 보일러실 벽과의 거리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0.1m
  2. 0.3m
  3. 0.45m
  4. 0.6m
(정답률: 73%)
  • 소형 보일러를 옥내에 설치할 때는 보일러 외측으로부터 보일러실 벽과의 거리가 0.3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소형 보일러가 작은 크기이기 때문에 벽과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벽과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보일러의 열에 의해 벽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육용강제 보일러에서 동체의 최소 두께에 대하여 옳지 않게 나타낸 것은?

  1. 안지름이 9mm 이하의 것은 6mm (단, 스테이를 부착할 경우)
  2. 안지름이 900mm 초과 1350mm 이하의 것은 8mm
  3. 안지름이 1350mm 초과 1850mm 이하의 것은 10mm
  4. 안지름이 1850mm 초과시 12mm
(정답률: 78%)
  • "안지름이 9mm 이하의 것은 6mm (단, 스테이를 부착할 경우)"가 옳지 않은 이유는, 안지름이 작을수록 동체의 내부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더 두꺼운 철판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안지름이 작을수록 두께는 더 두꺼워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