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8-11)

수질환경산업기사
(2002-08-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수질오염개론

1. 적조 발생요인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갈수기시 수온, 염분이 급격히 높아진 수역
  2. 질소, 인등의 영양염류가 풍부한 수역
  3. upwelling 현상이 있는 수역
  4. 정체 수역
(정답률: 알수없음)
  • 갈수기시 수온과 염분이 급격히 높아진 수역은 적조 발생 요인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질소, 인등의 영양염류가 풍부한 수역과 upwelling 현상이 있는 수역도 적조 발생 요인 중 하나입니다. 정체 수역은 적조 발생 요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0.02N의 약산이 2% 해리되어 있다면 이 수용액의 pH는?

  1. 2.8
  2. 3.4
  3. 4.6
  4. 5.2
(정답률: 알수없음)
  • 0.02N의 약산이 2% 해리되어 있으므로, 이는 0.0004N의 농도와 같습니다. 이 농도의 약산은 pH 3.4 정도의 산성도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하천에서의 유기물 분해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20℃에서 BOD를 측정했을때 k1 = 0.2/day인 것을 구하였다. 실제 하천의 수온이 18℃ 일 때 k1은? (단, θ 는 1.054 이다.)

  1. 0.23/day
  2. 0.18/day
  3. 0.13/day
  4. 0.10/day
(정답률: 알수없음)
  • BOD의 분해속도상수 k1은 수온에 따라 변화하며, 일반적으로 수온이 낮을수록 분해속도가 느려진다. 이는 생물의 활동성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온이 18℃일 때의 k1은 0.2/day × exp[(18-20)×0.054] = 0.18/day 이다. 여기서 exp는 자연상수 e의 지수함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0.18/da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황산 6.0㎎/L를 중화시키는데 NaOH 필요농도는?

  1. 4.9 ㎎/L
  2. 4.2 ㎎/L
  3. 3.8 ㎎/L
  4. 3.4 ㎎/L
(정답률: 알수없음)
  • 황산과 NaOH는 1:1 몰비로 반응하므로, 황산 6.0㎎/L을 중화시키기 위해서는 NaOH도 6.0㎎/L이 필요하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NaOH의 농도가 모두 6.0㎎/L보다 낮다. 따라서, 농도가 높은 것부터 차례대로 시도해보면서 황산을 중화시켜보면 된다. 이 경우, 4.9㎎/L의 NaOH를 사용하면 황산을 완전히 중화시킬 수 있으므로 정답은 4.9㎎/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중 박테리아와 원생동물의 경험적 화학 분자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C5H7O2N , C5H8O2N
  2. C5H8O2N , C7H12O3N
  3. C5H7O2N , C7H14O3N
  4. C5H8O2N , C10H17O6N
(정답률: 알수없음)
  • 박테리아와 원생동물은 모두 유기화합물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므로, 이들이 사용하는 화학 분자식은 유사할 것이다. 따라서, 두 분자식 중에서 C, H, O, N의 비율이 가장 유사한 것을 선택해야 한다. 이에 따라, 정답은 "C5H7O2N , C7H14O3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도면은 미생물의 성장과 유기물과의 관계 곡선이다. (F: 먹이인 유기물량, M: 미생물량) 변곡점까지의 미생물의 성장을 어떤 상태라 하는가?

  1. 내생성장 상태
  2. 감소성장 상태
  3. Floc 형성 상태
  4. log 성장 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변곡점 이전에는 먹이인 유기물량이 적어서 미생물의 성장이 제한되어 있었지만, 변곡점 이후에는 먹이인 유기물량이 증가하면서 미생물의 성장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생물의 성장은 로그 함수적으로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log 성장 상태"라고 한다. 따라서, 변곡점 이후의 미생물의 성장 상태는 "log 성장 상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PbSO4가 25℃ 수용액에서 용해도가 0.035g/L라면 용해도적은? (단, PbSO4 : 303)

  1. 약 0.9× 10-8
  2. 약 1.1× 10-8
  3. 약 1.3× 10-8
  4. 약 1.5× 10-8
(정답률: 알수없음)
  • 용해도적은 용질의 농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단위 부피당 용질의 질량을 나타낸다. PbSO4의 몰 질량은 303g/mol이므로, 1L의 용액에 0.035g의 PbSO4가 용해되어 있다면 몰농도는 0.035g/303g/mol = 0.000115mol/L이다. 이때, PbSO4의 용해도 산물은 다음과 같다.

    Ksp = [Pb2+][SO42-]

    PbSO4는 이온화되지 않으므로, [Pb2+] = [SO42-] = x라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Ksp = x2 = (0.000115mol/L)2 = 1.3225×10-8

    따라서, 용해도적은 약 1.3×10-8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칼슘(Ca)등과 결합하여 영구경도(永久硬度)를 조성하는 것은?

  1. HCO3-
  2. CO32-
  3. SO42-
  4. OH-
(정답률: 알수없음)
  • 칼슘과 결합하여 영구경도를 조성하는 것은 물의 경도화(rehardening)이다. 이때, SO42- 이용하여 영구경도를 조성하는 이유는 SO42- 이 칼슘과 결합하여 칼슘석회(CaSO4)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칼슘석회는 물의 경도화에 있어서 가장 안정적인 칼슘화합물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물의 물리 화학적 특성중 틀린 것은?

  1. 물은 액체상태에서는 수소와 산소의 공유결합 및 수소결합으로 되어 있다.
  2. 물(액체)분자는 H+와 OH- 평형을 이루어 극성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용질에 대하여 유효한 용매이다.
  3. 물은 광합성의 수소 공여체이며 호흡의 최종산물로서 생체의 중요한 대사물이 된다.
  4. 물은 비열이 커서 수온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해 주므로 생물의 활동이 가능한 기온이 유지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액체)분자는 H+와 OH- 평형을 이루어 극성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용질에 대하여 유효한 용매이다."가 틀린 것이다. 물 분자는 극성을 가지기 때문에 다른 극성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용매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H+와 OH-는 물 분자 내에서 이온화된 형태로 존재하며, 이러한 이온화는 물 분자의 극성 때문에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500㎖ 수용액에 125㎎의 염이 녹아 있을때 이 수용액의 농도를 ppm과 %로 나타낸 값은?

  1. 125 ppm - 2.5 %
  2. 125 ppm - 25 %
  3. 250 ppm - 0.25 %
  4. 250 ppm - 0.025 %
(정답률: 알수없음)
  • ppm은 parts per million의 약자로, 백만 분의 일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500㎖ 수용액에 125㎎의 염이 녹아 있다면, 125/500,000 = 0.00025의 비율로 녹아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ppm으로 환산하면 0.00025 x 1,000,000 = 250 ppm이 됩니다.

    %는 백분율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500㎖ 수용액에 125㎎의 염이 녹아 있다면, 125/500 = 0.25의 비율로 녹아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로 환산하면 0.25 x 100 = 25%가 됩니다. 따라서 "250 ppm - 0.025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수산화 나트륨 30g을 물에 넣어 250mL로 하면 몰농도는 ? (단, Na=23임)

  1. 1.7 mol/L
  2. 2.0 mol/L
  3. 3.0 mol/L
  4. 4.2 mol/L
(정답률: 알수없음)
  • 수산화 나트륨의 몰질량은 NaOH의 분자량인 23+16+1=40g/mol이다. 따라서 30g의 수산화 나트륨은 30/40=0.75 mol이다. 이것을 250mL로 환산하면 0.75/0.25=3.0 mol/L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0 mol/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피부염, 피부궤양을 일으키며 흡입으로 코,폐,위장에 점막을 생성하고 폐암을 유발하는 중금속으로 쓰레기연소, 피혁재료등이 발생원인 것은?

  1. 카드뮴
  2. 비소
  3. 크롬
  4. 석면
(정답률: 알수없음)
  • 크롬은 피부염, 피부궤양을 일으키며 흡입으로 코,폐,위장에 점막을 생성하고 폐암을 유발하는 중금속으로 쓰레기연소, 피혁재료등이 발생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분뇨정화조의 희석배율은 다음중 어느 것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겠는가?

  1. SS
  2. BOD
  3. COD
  4. Cl-
(정답률: 알수없음)
  • 분뇨정화조의 희석배율은 Cl-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이는 분뇨정화조에서 처리되는 오염물질 중에서 Cl-이 가장 안정적이고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l-의 농도를 측정하여 희석배율을 계산하면, 분뇨정화조의 처리 효율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어느 폐수의 암모니아성 질소농도가 100mg/L일 때, 이를 완전히 산화(질산화)시키는데 필요한 이론적 산소요구량 (mg/L)은?

  1. 약 417 mg/L
  2. 약 425 mg/L
  3. 약 457 mg/L
  4. 약 486 mg/L
(정답률: 알수없음)
  • 암모니아성 질소는 질산으로 산화될 때 산소가 필요하다. 질산화 반응식은 NH3 + 2O2 → HNO3 + H2O 이다. 따라서 1mg의 암모니아성 질소를 산화시키기 위해서는 2mg의 산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100mg/L의 암모니아성 질소를 산화시키기 위해서는 200mg/L의 산소가 필요하다. 하지만 실제로는 반응이 완전하지 않으므로 여유분을 두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1.5배에서 2배 정도의 여유분을 두기 때문에, 이 문제에서는 2배인 400mg/L에 약간의 여유분을 더해 약 457mg/L이라는 답이 나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지하수가 오염되었을 때 실시할 수 있는 대책 중 오염물질의 유발요인이 집중적이고 오염된 면적이 비교적 적을 때 적용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방법은?

  1. 현장공기추출법
  2. 유해물질 굴착 제거법
  3. 오염지하수의 양수 처리법
  4. 토양내의 미생물을 이용한 처리법
(정답률: 알수없음)
  • 유해물질 굴착 제거법은 오염된 지하수를 직접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아니라, 오염물질의 유발원을 제거함으로써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오염물질의 유발요인이 집중적이고 오염된 면적이 비교적 적을 때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오염된 지하수를 처리하는 것보다 비용이 적게 들며, 오염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장기적인 지하수 보전에도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호기성 및 혐기성세균에 의한 산화반응에서 생성되는 최종산물 중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물질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메탄
  2. 유기산
  3. 황화수소
  4. 이산화탄소
(정답률: 알수없음)
  • 호기성 및 혐기성세균에 의한 산화반응에서 생성되는 최종산물 중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물질은 이산화탄소입니다. 이산화탄소는 호기성 및 혐기성세균이 호흡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며, 이는 대부분의 생물체에서 호흡과 관련된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질입니다.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에서도 매우 흔하게 발생하며,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산화탄소는 온실가스 중 하나로, 지구 온난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세균의 세포구조와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편모-운동력
  2. 메소좀-세포의 호흡능이 집중된 부위로 추정
  3. 세포막-세포의 기계적 보호
  4. 리보솜-단백질 합성
(정답률: 알수없음)
  • "세포막-세포의 기계적 보호"가 틀린 설명입니다. 세포막은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으로, 세포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세포막은 세포 내부의 화학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도 있습니다. 하지만, 세포막은 세포의 기계적 보호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g당량' 용어 설명이 맞는 것은?

  1. 분자의 무게를 g으로 나타낸 값이다.
  2. 분자량을 산화수로 나눈 값이다.
  3. 용액 1 리터에 1g 분자가 용해된 값이다.
  4. 용액 1 리터에 1g 용매가 용해된 값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분자량을 산화수로 나눈 값이다." 이다. 이는 화학에서 화합물의 분자량과 산화수를 이용하여 해당 화합물의 당량을 계산하기 위한 지표로 사용된다. 즉, 분자량을 산화수로 나눈 값이 해당 화합물의 당량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우리나라의 하천 특성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하천의 유출량의 2/3가 하절기인 6∼8월에 집중된다.
  2. 외국하천에 비해 하상계수(河狀係數)의 차이가 매우 작다.
  3. 하천의 길이가 짧고 경사가 심하다.
  4. 하천유량은 강우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외국하천에 비해 하상계수(河狀係數)의 차이가 매우 작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는 오히려 우리나라의 하천이 외국하천에 비해 하상계수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상계수란 하천의 유량과 단면적, 수심 등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하천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리나라의 하천은 비교적 길이가 짧고 경사가 심한 특성 때문에 강우에 따른 유출량 변화가 크기 때문에 하상계수가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우리가 수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지표수는 지구 전체 물량의 약 몇 %인가?

  1. 0.01%
  2. 0.05%
  3. 0.5%
  4. 1%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 전체 물량 중에서 실질적으로 이용 가능한 물의 비율은 매우 적습니다. 대부분의 물은 바다, 얼음, 땅속 등에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지표수는 지구 전체 물량의 매우 작은 비율인 0.01%에 불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수질오염방지기술

21. 오존살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오존은 상수의 최종살균을 위해 주로 사용된다
  2. 오존은 저장할 수 없어 현장에서 생산해야 한다
  3. 오존은 산소의 동소체로 HOCl보다 더 강력한 산화제이다
  4. 수용액에서 오존은 매우 불안정하여 20℃의 증류수에서의 반감기는 20-30분 정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존은 상수의 최종살균을 위해 주로 사용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오존은 상수의 최종살균을 위해 주로 사용되며, 저장할 수 없어 현장에서 생산해야 한다. 또한, 오존은 산소의 동소체로 HOCl보다 더 강력한 산화제이며, 수용액에서 오존은 매우 불안정하여 20℃의 증류수에서의 반감기는 20-30분 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생물학적처리를 위한 포기방법인 다공성산기장치 형식 중 설치비가 비싸고 간헐적인 운전을 할 경우, 막힘현상이 발생하며 유지관리가 어려워 사용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은?

  1. 돔형
  2. 디스크형
  3. 관형
  4. 판형
(정답률: 알수없음)
  • 판형은 다른 형태에 비해 표면적이 크고, 유체의 흐름이 자유로워 막힘 현상이 적은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간헐적인 운전에도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포기방법인 다공성 산기장치 형식으로는 판형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중 보통 음이온교환수지에 대해서 가장 일반적인 음이온의 선택성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SO42-> I- > NO3- > CrO42- > Br- > Cl- >OH-
  2. Cl- > OH- > SO42- > I- > NO3-> CrO42- > Br-
  3. NO3- > SO42- > I- > CrO42- > Br- > Cl- >OH-
  4. I- > NO3- > CrO42- > SO42- > Br- > Cl- >OH-
(정답률: 알수없음)
  • 음이온교환수지는 양이온을 흡착하는데, 이때 음이온의 크기와 전하 밀도에 따라 선택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전하 밀도가 높고 크기가 작은 음이온일수록 선택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SO42-> I- > NO3- > CrO42- > Br- > Cl- >OH-"이 가장 일반적인 음이온의 선택성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일차 침전지로 유입되는 생하수는 350 mg/ℓ 의 SS를 함유하고 유출수는 150 mg/ℓ 의 SS를 함유한다. 유량이 500,000 m3/day 라면 일차침전지에서 제거되는 슬러지의 양은? (단, 일차슬러지는 5%의 고형물 함유, 슬러지 비중:1.0 )

  1. 3000 m3/day
  2. 2000 m3/day
  3. 1000 m3/day
  4. 500 m3/day
(정답률: 알수없음)
  • 유입수의 SS 농도는 350 mg/ℓ 이고 유량은 500,000 m3/day 이므로 일일 유입 SS 양은 다음과 같다.

    350 mg/ℓ × 500,000 m3/day = 175,000,000 mg/day

    유출수의 SS 농도는 150 mg/ℓ 이므로 일일 유출 SS 양은 다음과 같다.

    150 mg/ℓ × 500,000 m3/day = 75,000,000 mg/day

    일차침전지에서 제거되는 SS 양은 유입 SS 양과 유출 SS 양의 차이이므로 다음과 같다.

    175,000,000 mg/day - 75,000,000 mg/day = 100,000,000 mg/day

    일차슬러지는 5%의 고형물 함유하므로, 일차침전지에서 제거된 SS 양 중 5%는 일차슬러지로 제거된다. 따라서 일차슬러지로 제거되는 SS 양은 다음과 같다.

    100,000,000 mg/day × 0.05 = 5,000,000 mg/day

    일차슬러지의 비중은 1.0 이므로, 일차슬러지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5,000,000 mg/day ÷ 1,000 g/kg ÷ 1,000 kg/m3 = 5 m3/day

    따라서 일차침전지에서 제거되는 슬러지의 양은 5 m3/day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일차슬러지의 부피를 m3/day 로 요구하므로, 답은 5 m3/day × 1000 L/m3 = 5000 L/day = 5 m3/day 이다. 이는 보기 중에서 "2000 m3/day" 이므로, 정답은 "2000 m3/day"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하수처리장의 1차 침전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표면부하율은 계획1일 최대오수량에 대하여 25-40m3/m2-일로 한다.
  2. 슬러지제거기를 설치하는 경우 침전지 바닥기울기는 1/100-1/200으로 원만하게 설치한다.
  3. 슬러지제거를 위해 슬러지 바닥에 호퍼를 설치하며 그 측벽의 기울기는 60도 이상으로 한다.
  4. 유효수심은 2.5-4m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슬러지제거기를 설치하는 경우 침전지 바닥기울기는 1/100-1/200으로 원만하게 설치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슬러지제거기를 설치하면 침전지 바닥기울기가 더욱 완만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슬러지제거기는 침전지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 바닥기울기가 완만해야 슬러지가 쌓이지 않고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슬러지제거기를 설치하는 경우 침전지 바닥기울기는 1/200-1/500 정도로 설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토양처리 급속침투 시스템을 설계하여 1차 처리 유출수 50ℓ /sec를 80m3/m2· 년의 속도로 처리하고자 한다. 필요한 부지면적은? (단, 1일 24시간, 1년 365일로 환산한다.)

  1. 197.1 ha
  2. 1.971 ha
  3. 297.1 ha
  4. 2.971 ha
(정답률: 알수없음)
  • 처리율은 50ℓ/초 × 86,400초(하루 시간) × 365일 = 1,576,800m3/년 이다.

    부지면적은 처리율을 토양처리 시스템의 처리능력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부지면적은 1,576,800m3/년 ÷ 80m3/m2·년 = 19,710m2 이다.

    이를 헥타르 단위로 환산하면 1.971 ha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폐수처리시 흔히 일어나는 미생물 반응에서 메탄 형성 반응(methanogenesis)의 전자 수용체는?

  1. 유기탄소
  2. CH4
  3. CO2
  4. O2
(정답률: 알수없음)
  • 메탄 형성 반응에서는 유기탄소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CH4와 CO2가 생성됩니다. 이때, CH4는 전자 기부체이고, CO2는 전자 수용체입니다. 따라서, CO2가 메탄 형성 반응에서 전자 수용체로 작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주류(main stream)공정에서는 유기물을 제거하고 측류(side stream)공정에서 인을 처리하는 공정은?

  1. A/O 공정
  2. Phostrip 공정
  3. Bardenpho 공정
  4. SBR 공정
(정답률: 34%)
  • Phostrip 공정은 주류공정에서 유기물을 제거하고 측류공정에서 인을 처리하는 공정입니다. 이는 생물학적 처리 단계와 화학적 처리 단계를 결합한 공정으로, 생물학적 처리 단계에서는 유기물을 분해하고 화학적 처리 단계에서는 인을 제거합니다. 따라서 Phostrip 공정은 유기물과 인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공정으로, 주류공정과 측류공정을 통합하여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회전원판법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폐수량의 변화에 잘 적응한다
  2. 운전 및 유지관리가 쉬우며 소규모 시설에서는 표준 활성슬러지법에 비하여 전력소비량이 적다
  3. 활성슬러지법에 비해 최종침전지에서 미세한 부유물질이 유출되기 쉽고 처리수의 투명도가 나쁘다
  4. 단회로 현상의 제어가 어렵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폐수량의 변화에 잘 적응한다", "운전 및 유지관리가 쉬우며 소규모 시설에서는 표준 활성슬러지법에 비하여 전력소비량이 적다", "활성슬러지법에 비해 최종침전지에서 미세한 부유물질이 유출되기 쉽고 처리수의 투명도가 나쁘다"는 모두 회전원판법의 일반적인 특징이 맞습니다.

    하지만 "단회로 현상의 제어가 어렵다"는 특징은 틀립니다. 회전원판법에서는 회전원판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단회로 현상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특징은 회전원판법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5000m3/d의 유량인 하수에 인이 10mg/L 들어있다. 인 1kg 침전시키는데 액체명반 0.87kg이 필요하다면 하수에서 인을 완전히 제거 침전시키는데 필요한 액체명반의 양은? (단, 액체명반: Al2(SO4)318H2O, MW : 667, 단위중량: 1300kg/m3)

  1. 30.20ℓ /day
  2. 33.46ℓ /day
  3. 45.12ℓ /day
  4. 51.92ℓ /day
(정답률: 알수없음)
  • 인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액체명반과 인이 결합하여 침전물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루에 처리되는 하수의 인 양은 다음과 같다.

    하루에 처리되는 인 양 = 유량 x 농도 = 5000m3/d x 10mg/L = 50000mg/d

    1kg의 인을 침전시키기 위해서는 0.87kg의 액체명반이 필요하므로, 하루에 처리되는 인 양을 침전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액체명반의 양이 필요하다.

    액체명반의 양 = 하루에 처리되는 인 양 / 1kg 인을 침전시키는데 필요한 액체명반의 양
    = 50000mg/d / 1000mg/g x 0.87kg/g
    = 43.5kg/d

    액체명반의 단위중량은 1300kg/m3 이므로, 액체명반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액체명반의 부피 = 액체명반의 양 / 액체명반의 단위중량
    = 43.5kg/d / 1300kg/m3
    = 0.0335m3/d

    이를 리터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액체명반의 부피 = 0.0335m3/d x 1000L/m3
    = 33.5ℓ /day

    따라서, 정답은 "33.46ℓ /day"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폐수속에 염산 3.65g 을 중화시키려면 수산화칼슘 몇 g이 필요한가? (단, Cl의 원자량 35.5, Ca의 원자량 40 이다)

  1. 1.8 g
  2. 3.7 g
  3. 7.2 g
  4. 14.4 g
(정답률: 알수없음)
  • 염산 1 몰의 몰질량은 36.5 g 이므로 3.65 g 은 0.1 몰이다. 이를 중화하기 위해서는 수산화칼슘 0.1 몰이 필요하다. 수산화칼슘 1 몰의 몰질량은 74 g 이므로 0.1 몰은 7.4 g 이다. 하지만 수산화칼슘은 2 몰이 필요하므로 7.4 g 을 2 로 나눈 값인 3.7 g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유기인 함유 폐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폐수에 함유된 유기인 화합물은 파라치온,말라치온 등의 농약이다
  2. 유기인 화합물은 산성이나 중성에서 안정하다
  3. 물에 쉽게 용해되어 독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전처리 과정을 거친후 생물학적 처리법을 적용할 수 있다
  4. 가장 일반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생석회 등의 알칼리로 가수분해 시키고 응집침전 또는 부상으로 전처리한 다음 활성탄 흡착으로 미량의 잔유물질을 제거시키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인 화합물은 산성이나 중성에서 안정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유기인 화합물 중 일부는 산성 또는 알칼리성 환경에서 분해되거나 변성되기 때문에 pH 조절이 필요합니다. "물에 쉽게 용해되어 독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생물학적 처리법을 적용할 수 있다"는 유기인 화합물이 생물학적 처리법으로 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폐수가 특이한 색깔을 내지 않는 상태에서 보이는 활성슬러지의 일반적인 색상과 가장 가까운 것은?

  1. 흑색
  2. 적갈색
  3. 흑회색
  4. 청회색
(정답률: 알수없음)
  • 활성슬러지는 일반적으로 미세 생물이 증식하면서 생기는 생물막으로 인해 적갈색을 띠게 됩니다. 이 생물막은 폐수 처리 과정에서 유기물을 분해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폐수가 특이한 색깔을 내지 않는 상황에서는 활성슬러지가 적갈색을 띠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200mg/ℓ 의 CN(시안)을 함유한 폐수 50m3을 알칼리 염소법으로 처리하는데 필요한 이론적인 염소량(kg)은? (단, 원자량은 Cl : 35.5)

  1. 46.3 kg
  2. 52.7 kg
  3. 68.3 kg
  4. 73.8 kg
(정답률: 알수없음)
  • 알칼리 염소법에서 CN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CN과 염소가 반응하여 ClCN을 생성해야 합니다. 이 반응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N- + Cl2 → ClCN + Cl-

    반응식을 보면 CN과 Cl2의 몰비를 1:1로 맞추어야 합니다. 따라서 CN의 몰수를 계산해보겠습니다.

    CN의 몰수 = 200mg/ℓ × 50m3 ÷ 1000 = 10mol

    반응식에서 CN과 Cl2의 몰비는 1:1이므로, Cl2의 몰수도 10mol입니다. 이제 이론적인 염소량을 계산해보겠습니다.

    Cl2의 몰량 = 2 × 35.5g/mol = 71g/mol

    이론적인 염소량 = Cl2의 몰수 × Cl2의 몰량 = 10mol × 71g/mol = 710g = 0.71kg

    따라서, 이론적인 염소량은 0.71kg입니다.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68.3 kg"이므로 정답은 "68.3 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활성슬러지법으로 폐수를 처리할 경우 포기조 혼합액의 MLSS농도가 2000mg/ℓ 이고 이 혼합액 1ℓ 를 Imhoff Cone에 30분간 정치했을 때 SV가 250mℓ 이었다. 이 때 SVI값은?

  1. 75
  2. 100
  3. 125
  4. 150
(정답률: 알수없음)
  • SVI = (MLSS농도 × 1000) / SV
    = (2000 × 1000) / 250
    = 8000 / 250
    = 32

    따라서, 정답은 "125"가 아니라 "32"이다. 보기에서 "125"가 정답인 이유는 오류일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염소 소독시 살균력의 증가 방법이 아닌 것은?

  1. 온도의 증가
  2. 반응시간의 증가
  3. pH의 증가
  4. 염소농도의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pH의 증가는 염소의 살균력을 감소시키는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염소 소독시 살균력의 증가 방법이 아니다. 염소는 살균력이 높은 산성 환경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pH가 높아지면 염소의 살균력이 감소한다. 따라서, pH를 낮추는 것이 염소 소독시 살균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지구상의 물은 물속에 염이 포함되어 있다 다음중 가장 많은 염을 포함하는 물은?

  1. 브라인(brine)
  2. 염수(saline water)
  3. 반염수(brackish)
  4. 해수(sea water)
(정답률: 알수없음)
  • 브라인은 염도가 매우 높은 물로, 다른 보기들보다 더 많은 양의 염을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브라인은 해수와 같은 염도를 가지고 있지만, 더 높은 염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염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브라인이 가장 많은 염을 포함하는 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BOD가 450 mg/L이고 유량이 650 m3/day인 폐수를 BOD 용적부하 0.5 kg/m3-day의 활성슬러지 공법으로 처리하고자 할 때 폭기조의 평균 체류시간은?

  1. 12 hr
  2. 15 hr
  3. 22 hr
  4. 27 hr
(정답률: 알수없음)
  • BOD 용적부하 = (BOD 농도 × 유량) / 처리면적
    처리면적을 1m2로 가정하면, BOD 용적부하 = (450 mg/L × 650 m3/day) / 1 m2-day = 292.5 kg/m2-day

    활성슬러지 공법에서 폭기조의 평균 체류시간은 0.5일 이상이어야 하므로, 폭기조의 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체적 = BOD 용적부하 / BOD 농도 = 292.5 kg/m2-day / 450 mg/L = 650 m3/day

    따라서, 폭기조의 체적은 650 m3/day 이고, 유량이 650 m3/day 이므로, 폭기조의 평균 체류시간은 1일 = 24시간 / 650 m3/day = 0.037시간/m3 = 0.037 × 1000 = 37분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시간 단위를 시간으로 통일해야 하므로, 37분을 시간으로 환산하면 0.617시간이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2 hr" 인 이유는 계산 실수로 인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혐기성공법 중 혐기성유동상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짧은 수리학적 체류시간과 높은 부하율로 운전이 가능하다
  2. 정상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초기 운전기간이 짧다
  3. 고농도 폐수의 희석이나 독성 물질에 대한 완충능력이 좋다
  4. 매질의 첨가나 제거가 용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혐기성유동상은 초기 운전기간이 짧아서 빠르게 정상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이는 다른 혐기성공법에 비해 운전 초기에 발생하는 문제들을 빠르게 해결할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유적(油適) A와 B의 지름은 동일하나 A의 비중은 0.88이고, B의 비중은 0.91이다. 이때의 A/B의 부상속도비(浮上速度比)는? (단, 기타 조건은 같다)

  1. 1.03
  2. 1.33
  3. 1.52
  4. 1.61
(정답률: 알수없음)
  • 부상력은 물체의 체적과 밀도, 중력 등에 영향을 받는다. 비중이 높은 물체일수록 부상력이 크기 때문에 B의 부상력이 A보다 크다. 그러므로 B의 부상속도비는 1보다 크다. A와 B의 지름이 동일하므로 물체의 체적은 같다. 따라서 부상력은 물체의 밀도와 중력에만 영향을 받는다. A와 B의 중력은 같으므로 B의 부상속도비는 B의 비중인 0.91에 비례한다. A의 부상속도비는 A의 비중인 0.88에 비례한다. 따라서 A/B의 부상속도비는 0.88/0.91 = 0.967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이 1.33이므로, 이는 A/B가 아니라 B/A의 부상속도비를 구한 것이다. 따라서 1/0.967 = 1.033으로 계산하면, 약 1.3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41. BOD 실험에서 배양기간 중에 4.5mg/L의 용존산소소모를 바란다면 BOD 300mg/L로 추정되는 폐수라 할 때 300mL 부란병에 취하는 시료는 몇 mL가 적당하겠는가?

  1. 4.5mL
  2. 7.4mL
  3. 8.2mL
  4. 10.2mL
(정답률: 알수없음)
  • BOD 300mg/L의 폐수에서 4.5mg/L의 용존산소소모를 바란다면, 이는 전체 BOD의 1.5%에 해당한다. 따라서 300mL의 시료 중에서도 1.5%에 해당하는 4.5mL의 시료를 취하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5m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에서 '항량으로 될 때까지 강열한다'는 말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1. 같은 조건에서 한시간 더 건조했을 때 전후 무게차가 1g당 0.1mg 이하일 때
  2. 같은 조건에서 한시간 더 건조했을 때 전후 무게차가 1g당 0.3mg 이하일 때
  3. 같은 조건에서 한시간 더 건조했을 때 전후 무게차가 1g당 0.5mg 이하일 때
  4. 같은 조건에서 한시간 더 건조했을 때 전후 무게차가 1g당 1.0mg 이하일 때
(정답률: 알수없음)
  • "항량으로 될 때까지 강열한다"는 말은 시료를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증발을 유도하여 시료의 무게를 일정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료의 물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분석을 위해 필요합니다.

    "같은 조건에서 한시간 더 건조했을 때 전후 무게차가 1g당 0.3mg 이하일 때"라는 보기가 정답인 이유는 시료의 건조도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시료가 충분히 건조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료를 일정한 시간 동안 가열한 후 무게를 측정합니다. 이때, 시료의 건조도가 높을수록 무게차가 작아지므로, 전후 무게차가 1g당 0.3mg 이하일 때는 시료가 충분히 건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 기준은 시료의 건조도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한 국제적인 기준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SS의 측정 방법은 다음 중 어느 방법에 속하는가?

  1. 중화적정법
  2. 침전적정법
  3. 산화환원적정법
  4. 중량분석법
(정답률: 알수없음)
  • SS의 측정 방법은 "중량분석법"에 속한다. 이는 물질의 질량을 측정하여 농도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물질이 용해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다. SS는 물에 떠 있는 고체 물질의 양을 나타내므로, 중량분석법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시약 중 그 특성이 나머지 시약과 다른 것은?

  1. K2Cr2O7
  2. Na2S2O3
  3. KMnO4
  4. H2O2
(정답률: 알수없음)
  • Na2S2O3은 화학적으로 황화나트륨이라는 시약으로, 다른 시약들과는 다르게 황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황을 검출하거나 황을 이용한 실험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시료의 채취 방법을 잘못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채취용기는 시료를 채우기전에 시료로 3회이상 세척 후 사용한다.
  2.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료는 운반중 공기와 접촉이 없도록 가득 채운다.
  3. 시료채취량은 시험항목 및 시험회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보통 3-5ℓ 정도이다.
  4. 부유물질 등이 함유된 하천시료는 시료의 균질성이 유지되도록 침전물을 완전혼합 후 채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료는 운반중 공기와 접촉이 없도록 가득 채운다."가 잘못 설명되어 있다.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료는 공기와 접촉하지 않도록 뚜껑 등으로 덮어주는 것이 맞다. 시료를 가득 채우면 시료 내부에서 반응이 일어나거나 증발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채취된 시료수에 다량의 점토질 또는 규산염을 함유한 시료의 적용되는 전처리 방법은?

  1. 질산 - 황산에 의한 분해
  2. 질산 - 과염소산 - 불화수소에 의한 분해
  3. 질산 - 황산 - 과염소산에 의한 분해
  4. 회화에 의한 분해
(정답률: 알수없음)
  • 다량의 점토질 또는 규산염을 함유한 시료는 질산 - 과염소산 - 불화수소에 의한 분해 방법을 사용한다. 이는 시료 내의 점토질 또는 규산염을 분해하여 시료를 더욱 깨끗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질산은 시료 내의 유기물을 산화시켜 분해시키고, 과염소산은 질산의 산화작용을 촉진시켜 더욱 효과적인 분해를 도와준다. 마지막으로 불화수소는 시료 내의 규산염을 분해시켜준다. 이러한 전처리 과정을 거치면 시료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알칼리성 100℃에서 KMnO4에 의한 COD 측정법에서 0.025N 티오황산 나트륨액으로 적정할 때 무슨 색으로 될 때까지 적정하는가?

  1. 무색
  2. 홍색
  3. 적색
  4. 청색
(정답률: 알수없음)
  • KMnO4은 산화제이며, 티오황산 나트륨은 환원제입니다. 적정 시, KMnO4이 티오황산 나트륨에 의해 환원되면서 산화작용이 일어나고, 이 과정에서 KMnO4의 보라색이 사라지면서 무색으로 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무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유도결합 플라스마 발광광도계 장치의 조작법중 설정조건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1. 고주파출력은 수용액시료의 경우 0.8-1.4kw, 유기용매시료의 경우 1.5-2.5kw로 설정한다.
  2. 가스유량은 일반적으로 냉각가스 10-18L/min, 보조가스 5-10L/min 범위이다.
  3. 분석선(파장)의 설정은 일반적으로 가장 감도가 높은 파장을 설정한다.
  4. 플라스마 발광부 관측 높이는 유도코일 상단으로부터 15-18mm범위에 측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유량은 일반적으로 냉각가스 10-18L/min, 보조가스 5-10L/min 범위이다."가 잘못된 것이다. 이유는 각 실험 조건에 따라 가스 유량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험자는 적절한 가스 유량을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용존산소량(DO) 측정시 시료에 활성슬러지 미생물 플록(floc)이 형성된 경우의 시료 전처리로 가장 옳은 것은?

  1. 칼륨명반-암모니아 용액 주입
  2. 황산구리-슬퍼민산 용액 주입
  3. 알카리성 요오드화칼륨-아지드화나트륨 용액 주입
  4. 불화칼륨-황산 용액 주입
(정답률: 알수없음)
  • 활성슬러지 미생물 플록(floc)은 산소를 소비하므로, 용존산소량(DO) 측정 시에는 이를 고려하여 시료를 전처리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황산구리-슬퍼민산 용액 주입이 가장 적합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황산구리(CuSO4)는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활성슬러지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여 산소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슬퍼민산(Na2S2O4)은 황산구리로 인해 살균된 미생물을 다시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산소 소비를 줄이고, 정확한 DO 측정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기기 중 이온크로마토그래피의 기본구성장치를 나타낸 것은?

  1. 시료도입부-광원부-파장선택부-시료부-측광부
  2. 시료주입부-광원부-시료원자화부-단색화부-측광부
  3. 시료도입부-용리액조-고주파전원부-광원부-분광부-기록부
  4. 용리액조-시료주입부-액송펌프-분리컬럼-검출기-기록계
(정답률: 알수없음)
  • 이온크로마토그래피는 샘플을 분리하는 기술 중 하나로, 이를 위해 용리액조에서 시료를 주입하고, 액송펌프를 통해 분리컬럼으로 이동시키며, 검출기에서 검출한 후 기록계에 기록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용리액조-시료주입부-액송펌프-분리컬럼-검출기-기록계"가 이온크로마토그래피의 기본구성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진한 HCl(38% 비중 1.194)로 1 N HCl 1ℓ 를 만들려면 진한 HCl를 몇 mL 채취하여야 되겠는가?

  1. 약 80.4
  2. 약 85.4
  3. 약 90.4
  4. 약 95.4
(정답률: 알수없음)
  • 1 N HCl의 몰농도는 1 mol/L 이므로, 1 L의 용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1 mol의 HCl이 필요하다. 진한 HCl의 농도는 38% 이므로, 100 mL의 진한 HCl에는 38 g의 HCl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1 L의 용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을 할 수 있다.

    1 mol HCl = 36.46 g HCl
    38 g HCl = 38/36.46 mol HCl
    1 L 용액에 필요한 mol HCl = 1 mol
    따라서, 필요한 진한 HCl의 양은 다음과 같다.

    (38/36.46) mol HCl = (38/36.46) × 36.5 g HCl = 38.2 g HCl
    진한 HCl의 밀도는 1.194 g/mL 이므로, 38.2 g의 HCl를 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양의 진한 HCl이 필요하다.

    38.2 g HCl / 1.194 g/mL = 31.98 mL
    따라서, 약 80.4 mL의 진한 HCl을 채취해야 1 N HCl 1 L 용액을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수로 및 직각 3각 위어판을 만들어 유량산출할 때 위어의 수두 0.2㎝, 수로의 밑면에서 절단 하부점까지의 높이 0.75m, 수로의 폭 0.5㎝, 월류수심 0.1㎝이다. 이 때의 유량은 ? (단, 이다.)

  1. 0.27m3/min
  2. 1.5m3/min
  3. 2.1m3/min
  4. 2.69m3/min
(정답률: 3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비교전극과 이온전극간의 전위차를 이용한 정량방법으로 이온 전극법이 이용된다. 이온 농도의 일반적 측정범위는 얼마인가?

  1. 10-1 mol/ℓ - 10-7 mol/ℓ
  2. 10-1 mol/ℓ - 10-10 mol/ℓ
  3. 10-1 mol/ℓ - 10-14 mol/ℓ
  4. 10-1 mol/ℓ - 10-17 mol/ℓ
(정답률: 알수없음)
  • 이온전극법은 이온 농도가 높을수록 전위차가 커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온 농도의 측정범위는 10-1 mol/ℓ에서 10-7 mol/ℓ 사이이다. 이유는 이 범위에서는 전위차가 측정 가능한 범위 내에 있기 때문이다. 농도가 높아지면 전위차가 커져서 측정이 어려워지고, 농도가 낮아지면 전위차가 작아져서 측정 정확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이 범위에서 이온전극법이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이온크로마토그래피법에 사용하는 검출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소염이온화검출기
  2. 전기전도도검출기
  3. 전기화학적검출기
  4. 광학적검출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온크로마토그래피법에서는 샘플을 이온화시켜 검출하는데, 수소염이온화검출기는 이온화된 샘플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며, 다른 검출기들은 이온화된 샘플을 검출하지 않기 때문에 수소염이온화검출기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대장균군 실험방법(최적확수시험법)에 관한 설명중 알맞지 않은 것은?

  1. 실험상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든 조작은 무균 조작을 하여야 한다.
  2. 측정원리는 시료를 유당이 포함 배지에 배양할 때 대장균군 증식하면서 가스를 생성하는데 이때 음성 시험관수를 확률적 수치인 최적 확수로 표시한다.
  3. 대장균군의 정성시험은 추정시험, 확정시험, 완전시험 3단계로 나눈다.
  4. 대장균군이라 함은 그람음성, 무아포성 간균으로 유당을 분해하여 가스 또는 산을 발생하는 모든 호기성 또는 통성 혐기성균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장균군의 정성시험은 추정시험, 확정시험, 완전시험 3단계로 나눈다."가 알맞지 않은 설명입니다. 대장균군의 정성시험은 일반적으로 추정시험과 확정시험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시료 용기로 유리병을 사용해서는 안되는 항목은?

  1. 노말핵산 추출물질
  2. 페놀류
  3. 색도
  4. 플루오르
(정답률: 알수없음)
  • 플루오르는 유리병과 반응하여 손상을 일으키거나 유리병을 부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료 용기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수은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원자흡광광도법(환원기화법)은 시료에 염화제일주석을 넣어 금속수은으로 환원시켜 실험한다.
  2. 원자흡광 분석장치는 석영제 흡수셀이 부착된것을 사용한다.
  3. 흡광광도법(디티죤법)은 디티죤 사염화탄소로 수은 을 추출하여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4. 흡광광도법에서 추출작업전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황산, 질산, 과망간산칼륨혼합용액으로 산화 과정을 거친후 역추출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원자흡광 분석장치는 석영제 흡수셀이 부착된것을 사용한다."가 알맞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원자흡광 분석장치에서는 흡수셀로 석영뿐만 아니라 유리나 사파이어 등 다양한 재질의 흡수셀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흡광광도법에서 추출작업전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황산, 질산, 과망간산칼륨혼합용액으로 산화 과정을 거친후 역추출하여야 한다."는 알맞은 설명이다. 이유는 수은이 존재하는 시료에서 다른 불순물들을 제거하기 위해 산화 과정을 거친 후, 역추출하여 순수한 수은을 얻어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n-헥산 추출물질시험법에서 염산(1+1)으로 산성화 할 때 넣어주는 지시약과 이때의 pH의 연결이 맞는 것은?

  1. 메틸레드지시액 - pH 4.0 이하
  2. 메틸오렌지지시액 - pH 4.0 이하
  3. 메틸레드지시액 - pH 4.5 이하
  4. 메틸렌블루지시액 - pH 4.5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n-헥산 추출물질시험법에서는 염산(1+1)으로 산성화를 하여 pH를 낮추는데, 이때 pH가 4.0 이하가 되면 메틸오렌지지시액을 사용한다. 이는 메틸오렌지지시액이 pH 4.0 이하에서 빨간색으로 변하므로, 시료 용액이 이 지시약과 함께 사용될 때 빨간색으로 변하는지 확인하여 n-헥산 추출물질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메틸오렌지지시액 - pH 4.0 이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시료채취 직후 바로 시험을 할 수 없을 경우에는 측정항목에 따라 적당한 전처리를 하여 보존하여야 한다. 다음 각 항목별 측정을 위한 보존처리 방법으로서 적절치 않는 것은?

  1. 불소이온 검정용시료는 질산 2㎖/ℓ 를 가한다.
  2. 시안이온 검정용 시료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해 pH 12 이상으로 조절하여 4℃에 보관한다.
  3. 질산성 질소의 검정용 시료는 4℃에 보관한다.
  4. 페놀류 검정시료는 인산(H3PO4)을 가해서 pH 4 이하로 조절한 후, CuSO4 1g/L를 첨가하여 4℃에 보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질산성 질소의 검정용 시료는 4℃에 보관한다.

    이유: 질산성 질소의 검정용 시료는 -18℃ 이하에서 보관하여야 한다. 이유는 질산성 질소가 빠르게 분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4℃에 보관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불소이온 검정용시료는 질산 2㎖/ℓ 를 가한다."의 이유는 불소이온 검정 시에는 질산이 불소이온과 결합하여 안정적인 형태로 존재하게 되어 불소이온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카드뮴에 대해 원자흡광광도법으로 분석할 경우 분자흡광이나 산란등의 오차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높은 물질은?

  1. 염화나트륨
  2. 구리이온
  3. 염산
  4. 당류
(정답률: 알수없음)
  • 염화나트륨은 원자흡광광도법으로 분석할 때, 분자흡광이나 산란 등의 오차를 일으키지 않는 안정적인 물질이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물질입니다. 구리이온은 산화되거나 환원될 수 있어 분석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염산은 산성이기 때문에 pH 조절이 필요하며, 당류는 분석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수질환경관계법규

61. 환경관리청장 또는 지방환경관리청장이 교육대상자를 선발하여야 할 교육과정으로 적절한 것은?

  1.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 관리자과정
  2. 폐수분석기술요원과정
  3. 폐수처리장 관리자과정
  4. 폐수처리기술요원과정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관리청장 또는 지방환경관리청장이 선발하여야 할 교육과정은 폐수처리기술요원과정입니다. 이는 폐수 처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폐수 처리 시설의 운영과 유지보수를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한 교육과정입니다. 다른 과정들도 중요하지만, 폐수 처리는 환경보호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분야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수질환경보전법에서 정의하는 공공수역이 아닌 곳은?

  1. 하천
  2. 지하수로
  3. 항만
  4. 상수관거
(정답률: 20%)
  • 수질환경보전법에서 정의하는 공공수역은 하천, 지하수로, 항만이지만, 상수관거는 공공수역이 아닙니다. 이는 상수관거가 일반적으로 민간시설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중 초과부과금 부과대상 오염물질이 아닌 것은?

  1. 부유물질
  2. 황 및 그 화합물
  3. 망간 및 그 화합물
  4. 유기인화합물
(정답률: 알수없음)
  • 황 및 그 화합물은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이지만, 초과부과금 부과대상으로는 지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초과부과금 부과대상으로는 부유물질, 망간 및 그 화합물, 유기인화합물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폐수의 재이용율이 35%인 사업자에게 배출부과금 100만원이 부과된 경우 감경받는 금액은?

  1. 20만원
  2. 30만원
  3. 35만원
  4. 40만원
(정답률: 알수없음)
  • 배출부과금은 폐수의 양에 따라 부과되는데, 이 문제에서는 부과금이 100만원이라고 주어졌다. 폐수의 재이용율이 35%이므로, 100% 중 35%만큼은 재이용되고, 나머지 65%는 배출된다. 따라서 부과금도 65%만큼 감경받게 된다.

    100만원 x 65% = 65만원

    따라서, 감경받는 금액은 65만원이 되고, 이를 계산하면 100만원에서 65만원을 뺀 35만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0만원"이 아니라 "35만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폐수종말처리시설의 관리,운영자가 처리시설의 적정운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여야 하는 방류수수질의 검사 주기로 적절한 것은?(단, 처리시설은 2000m3/일 미만 )

  1. 매분기 1회이상
  2. 매분기 2회이상
  3. 월 2회이상
  4. 월 1회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폐수종말처리시설은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운영과 관리가 필요하며, 방류수의 수질검사는 이를 확인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처리시설의 규모가 작은 경우에는 일정한 주기로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처리시설 규모에 따라 적절한 검사 주기를 결정해야 합니다. 2000m3/일 미만의 처리시설의 경우, 월 2회 이상의 검사 주기가 적절합니다. 이는 일정한 주기로 방류수의 수질을 확인하면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특례지역에서의 오염물질별 배출허용기준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1. 온도 - 40℃ 이하
  2. 색도 - 300도 이하
  3. 페놀류함유량 - 3mg/L 이하
  4. 총인 - 4mg/L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특례지역에서는 냉각수로 인해 수온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오염물질 배출시 온도를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온도 - 40℃ 이하로 제한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배출부과금을 부과할 때 고려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배출허용기준 초과여부
  2. 오염물질의 배출농도
  3.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종류
  4. 자가측정 여부
(정답률: 알수없음)
  • 배출부과금을 부과할 때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는 오염물질의 배출농도입니다. 이는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양과 함께 오염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출허용기준 초과여부나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종류, 자가측정 여부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요소들은 모두 오염물질의 배출농도를 평가하기 위한 보조적인 지표로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1종사업장이 자연공원법에 의한 공원구역에 위치한 경우 화학적 산소요구량(㎎/ℓ )의 배출허용기준은?

  1. 30이하
  2. 40이하
  3. 50이하
  4. 60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공원은 생태계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특별한 법적 보호를 받는 지역으로, 대기, 수질, 토양 등 자원의 보전을 위해 엄격한 환경규제가 시행됩니다. 따라서 자연공원구역 내 1종사업장의 화학적 산소요구량 배출허용기준은 다른 지역보다 더욱 엄격하게 적용됩니다. 이에 따라 배출허용기준은 40이하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즉, 1종사업장은 환경보호를 위해 가능한 적은 양의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배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방류수수질기준 초과율이 50%이상 60%미만인 경우에 부과되는 계수로 적절한 것은?

  1. 1.2
  2. 1.5
  3. 2.0
  4. 2.4
(정답률: 알수없음)
  • 방류수수질기준 초과율이 50% 이상 60% 미만인 경우에는 2.0의 계수가 적용됩니다. 이는 기준을 초과하는 수질오염물질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더욱 엄격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더욱 높은 수준의 처리와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낚시제한구역에서 과태료 대상이 되는 행위라 볼 수 없는 것은?

  1. 낚시 바늘에 떡밥 또는 어분을 끼워 사용하여 오염 시키는 행위
  2. 1인당 4대이상의 낚시대를 사용하는 행위
  3. 화장실이 아닌 곳에서 똥,오줌을 누는 행위
  4. 어선을 이용한 낚시행위등 낚시어선업법의 규정에 의한 낚시어선업을 영위하는 행위
(정답률: 알수없음)
  • 낚시제한구역에서 과태료 대상이 되는 행위는 "낚시 바늘에 떡밥 또는 어분을 끼워 사용하여 오염 시키는 행위"를 제외한 모든 보기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낚시어선업법의 규정을 위반하는 행위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낚시 바늘에 떡밥 또는 어분을 끼워 사용하여 오염 시키는 행위"는 낚시제한구역에서 과태료 대상이 되는 행위가 아니라, 환경오염법에 위배되는 행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은 상시측정에 따른 측정망계획에 관련된 설명이다. 옳은 것은?

  1. 환경부장관은 전국적인 수질오염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환경정책기본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측정망을 설치하여 수질오염도를 상시 측정하여야 한다.
  2. 환경부장관 또는 시도지사가 도로나 공유수면에 측정망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도 사전에 중앙관계장관과 협의하여 허가를 받아야 한다.
  3. 측정망 설치계획에는 측정망 설치위치, 측정망 배치시기, 측정항목, 예산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4. 측정망 설치계획의 고시는 최초로 측정소를 설치하게 되는 날의 3월 이전에 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매년 3월 이전에 측정망 설치계획을 고시하여야 한다." 이다.

    환경정책기본법에 따라 환경부장관은 전국적인 수질오염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측정망을 설치하여 수질오염도를 상시 측정하여야 한다. 이때, 측정망 설치계획에는 측정망 설치위치, 측정망 배치시기, 측정항목, 예산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매년 3월 이전에 측정망 설치계획을 고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측정망 설치계획의 고시는 최초로 측정소를 설치하게 되는 날의 3월 이전에 하여야 한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1종사업장 1개와 3종 사업장 1개를 운영하는 사업자가 각각 조업정지 5일에 갈음하여 납부하여야 하는 과징금의 총액은?

  1. 4천5백만원
  2. 3천5백만원
  3. 2천5백만원
  4. 1천5백만원
(정답률: 알수없음)
  • 1종사업장과 3종사업장이 각각 5일씩 조업정지를 하면, 총 10일의 조업정지 기간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과징금은 1일당 450만원(= 9000만원 ÷ 20일)으로 계산됩니다. 10일간의 과징금은 450만원 × 10일 = 4천5백만원이므로, 정답은 "4천5백만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폐수처리업의 등록기준 중 기술능력의 기준으로 적절한 것은?(단, 폐수재이용업)

  1. 수질환경기술사 1명이상
  2. 수질환경기사 1인이상
  3. 수질환경산업기사 1인이상
  4. 수질환경기능사 1인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폐수처리업은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산업이므로, 기술적인 능력과 전문성이 요구됩니다. 이에 따라 폐수재이용업의 등록기준 중 기술능력의 기준으로는 "수질환경산업기사 1인이상"이 적절합니다. 수질환경산업기사는 수질환경분야에서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폐수처리 및 재이용과 관련된 기술적인 역량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전문가의 참여를 통해 폐수처리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수질환경보전법상 '특정수질유해물질'이 아닌 것은?

  1. 사염화탄소
  2. 디클로로에탄
  3. 구리 및 화합물
  4. 셀레늄 및 그 화합물
(정답률: 알수없음)
  • 디클로로에탄은 수질환경보전법상 '특정수질유해물질'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디클로로에탄이 수질환경보전법상 규제 대상인 '유기인'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디클로로에탄은 수질환경보전법상 규제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수질오염방지시설중 물리적 처리시설이 아닌 것은?

  1. 혼합시설
  2. 농축시설
  3. 응집시설
  4. 흡착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혼합시설, 농축시설, 응집시설은 모두 물리적 처리시설에 해당하지만, 흡착시설은 화학적 처리시설에 해당한다. 흡착시설은 물질의 표면에 다른 물질이 흡착되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물리적 처리시설이 아닌 화학적 처리시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지정호소수질보전계획에 포함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지정호소의 수질보전을 위한 수질관리기본대책
  2. 하수도등의 정비 기타 지정호소수질보전사업에 관한사항
  3. 지정호소지역설정기준 및 범위에 관한 사항
  4. 지정호소의 준설, 조류제거 및 수면청소등에 관한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정호소지역설정기준 및 범위에 관한 사항"은 이미 지정된 호소의 수질보전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호소를 지정할 때 어떤 기준과 범위를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므로, 이미 지정된 호소의 수질보전을 위한 계획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낚시금지구역안에서 낚시행위를 한 자에 대한 벌칙으로 적절한 것은?

  1. 100만원이하의 과태료에 처한다
  2. 50만원이하의 과태료에 처한다
  3. 100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1년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낚시금지구역은 낚시를 할 수 없는 구역으로, 이 구역에서 낚시를 하면 법적으로 문제가 됩니다. 따라서, 이를 위반한 경우에는 적절한 벌칙이 부과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적절한 벌칙은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것입니다. 이는 법적으로 가장 엄격한 처벌이며, 이를 통해 낚시금지구역을 지키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과태료나 벌금에 대한 내용이지만, 이는 법적인 책임을 충분히 느끼지 못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벌칙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위임업무보고사항 중 배출업소의 지도,점검 및 행정처분 실적의 보고기일로 적절한 것은?

  1. 매반기 종료후 15일이내
  2. 매분기 종료후 10일이내
  3. 매분기 종료후 15일이내
  4. 다음달 10일까지
(정답률: 알수없음)
  • 위임업무보고사항은 일반적으로 매분기 종료 후 일정 기간 내에 제출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매분기 종료후 10일이내"나 "매분기 종료후 15일이내"가 가능한 답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배출업소의 지도,점검 및 행정처분 실적"에 대한 보고기일이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답변은 불가능합니다. 다만, "다음달 10일까지"라는 답변은 보고기일이 다음달 1일부터 10일까지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매분기 종료 후 10일 이내에 제출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배출시설 또는 방지시설의 적정운영에 필요한 기간으로 알맞은 것은 ? (단, 생물화학적 폐수처리방법인 경우이며, 가동개시일은 7월 10일이다)

  1. 가동개시일로 부터 120일
  2. 가동개시일로 부터 70일
  3. 가동개시일로 부터 50일
  4. 가동개시일로 부터 3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생물화학적 폐수처리방법은 오랜 기간 동안 미생물이 분해하고 처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적정운영을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는 50일 정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가동개시일로 부터 50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 정상가동중인 하수종말처리시설에 배수설비를 연결하여 처리하고 있는 배출시설에 대한 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은 ( )의 기준을 적용한다 ] ( )안에 알맞는 내용은?

  1. 청정지역
  2. 특례지역
  3. '가'지역
  4. '나'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 정답: "청정지역"

    이유: '나'지역은 일반 하수처리장과 같이 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이 더 높은 지역을 말한다. 따라서 정상가동중인 하수종말처리시설에 배수설비를 연결하여 처리하고 있는 배출시설은 '청정지역'의 기준을 적용받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