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5-14)

수질환경산업기사
(2006-05-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수질오염개론

1. 박테리아의 경험식은 C5H7O2N 이다. 0.5kg의 박테리아를 완전히 산화시키려면 몇 kg의 산소가 필요한가? (단, 박테리아는 최종적으로 CO2, H2O, NH3로 분해됨)

  1. 0.71kg
  2. 0.94kg
  3. 1.18kg
  4. 1.24kg
(정답률: 알수없음)
  • 박테리아의 경험식을 보면 C5H7O2N 하나당 5 분자의 CO2, 4 분자의 H2O, 1 분자의 NH3이 생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0.5kg의 박테리아를 완전히 산화시키면 5 x 0.5 = 2.5kg의 CO2, 4 x 0.5 = 2kg의 H2O, 1 x 0.5 = 0.5kg의 NH3이 생성된다. 이때 산소는 CO2와 H2O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하므로, CO2와 H2O의 분자수를 합한 2.5 + 2 = 4.5 분자의 산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산소의 몰량은 4.5/2 = 2.25 몰이 되고, 산소의 질량은 2.25 x 32 = 72g = 0.072kg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72kg가 되지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0.71kg"이므로 이것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0.01M NaOH 200mL를 1M-H2SO4로 중화 적정할 때 소비되는 이론적 H2SO4의 양은?

  1. 0.5mL
  2. 1mL
  3. 1.5mL
  4. 2mL
(정답률: 알수없음)
  • NaOH와 H2SO4는 1:2 몰비로 반응하므로, 0.01M NaOH 200mL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0.01 mol/L × 0.2 L × 2 mol H2SO4/1 mol NaOH = 0.004 mol H2SO4

    따라서, 1M-H2SO4로 중화하기 위해서는 0.004 mol H2SO4 / 1 mol/L = 0.004 L = 4 mL 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m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수산화나트륨 30g을 증류수에 넣어 1.5L로 하였을 때 규정농도(N)는? (단, Na의 원자량은 23이다.)

  1. 0.5N
  2. 1.0
  3. 1.5N
  4. 2.0N
(정답률: 알수없음)
  • 수산화나트륨의 몰질량은 NaOH의 원자량(23+16+1)인 40g/mol이다. 따라서 30g의 수산화나트륨은 몰질량으로 바꾸면 0.75mol이다.

    규정농도(N)는 몰농도를 의미하므로, 0.75mol을 1.5L로 나누면 0.5mol/L이 된다. 이를 단위를 포함하여 표기하면 0.5M 또는 0.5N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5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에서 오염도가 높은 지천이 유입될 때의 개략적인 BOD 농도 곡선을 표시한 것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단, 비점오염원 등의 기타 영향은 무시함)

(정답률: 알수없음)
  • 지천이 유입될 때 BOD 농도가 가장 높은 지점은 지천이 유입되는 지점이다. 이후 하천을 따라 하강하면서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고 오염물질이 분해되어 BOD 농도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그림에서 BOD 농도가 가장 높은 지점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유기물이 존재하는 물에 염소살균시 발생되는 발암성이 큰 물질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Trichloroethylene(TCE)
  2.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3. Chloramine
  4. Trihalomethane(THM)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물과 염소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Trihalomethane(THM)은 발암성이 큰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유기물이 존재하는 물에 염소살균을 시행할 때 THM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인체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THM은 가장 적절하지 않은 발암성 물질로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하천의 유기물 분해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20℃에서 BOD를 측정했을 때 K1=0.15day이었다. 실제 하천온도가 18℃일 때 정확한 탈산소계수(K1)는? (단, 온도보정계수는 1.047이다)

  1. 0.121/day
  2. 0.128/day
  3. 0.132/day
  4. 0.137/day
(정답률: 알수없음)
  • BOD는 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온도보정계수를 사용하여 실제 온도에서의 탈산소계수를 계산해야 한다.

    K2 = K1 × (T2/T1)b

    여기서, T1 = 20℃, T2 = 18℃, b = 0.1 (BOD 계수의 온도감도)

    K2 = 0.15 × (18/20)0.1 × 1.047 ≈ 0.137/day

    따라서, 정답은 "0.137/da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Formaldehyde(CH2O) 1200mg/L 의 이론적인 COD는?

  1. 1260mg/L
  2. 1270mg/L
  3. 1280mg/L
  4. 1290mg/L
(정답률: 알수없음)
  • Formaldehyde(CH2O)의 이론적인 COD는 4.6배이므로,

    COD = 1200mg/L x 4.6 = 5520mg/L

    하지만, COD는 일반적으로 1000mg/L 이하의 값으로 표시되므로,

    COD = 1000mg/L x (5520mg/L / 10000mg/L) = 552mg/L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1280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BOD가 230mg/L, 배수량이 2500m3/일의 생활오수를 BOD 오탁부하량이 115kg/일이 되게 줄이려면 몇 %의 BOD를 제거해서 하천수로 방류시켜야 하는가?

  1. 80%
  2. 85%
  3. 90%
  4. 95%
(정답률: 알수없음)
  • BOD 오탁부하량은 하루에 배출되는 BOD의 양을 의미하므로, 115kg/일의 BOD를 제거해야 한다. 하루에 배출되는 생활오수 양은 2500m3/일이므로, 1m3당 배출되는 BOD 양은 115kg/2500m3 = 0.046kg/m3이다.

    하천수로 방류시키기 위해서는 BOD 농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BOD 오탁부하량을 115kg/일로 제한하고 있으므로, 하루에 방류되는 BOD 양은 115kg/일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루에 방류되는 생활오수 양인 2500m3/일을 1m3당 0.046kg/m3의 BOD 농도로 유지하면, 하루에 방류되는 BOD 양은 2500m3/일 x 0.046kg/m3 = 115kg/일이 된다.

    BOD 농도를 구하기 위해, 원래의 BOD 농도를 x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230mg/L x (1 - 제거율) = 0.046kg/m3

    제거율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제거율 = (1 - 0.046kg/m3 / 230mg/L) x 100% = 80%

    따라서, BOD를 80% 제거하여 하천수로 방류시켜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현황 중 가장 많은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용수는?

  1. 생활용수
  2. 공업용수
  3. 농업용수
  4. 하천유지용수
(정답률: 알수없음)
  • 농업은 식량 생산과 국민 경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농업용수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수 중 하나입니다. 농업용수는 농작물의 생육과 수확을 위해 필요한 물을 공급하며, 농업 생산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농업용수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이 설명하는 하천 모델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QUAL
  2. DO-SAG
  3. WQRRS
  4. WASP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모델은 하천의 수질을 평가하는 모델로, "WQRRS"가 가장 적절한 답이다. "WQRRS"는 Water Quality Rating and River Classification System의 약자로, 하천의 수질을 평가하고 등급을 매기는 시스템이다. "QUAL"은 수질을 측정하는 방법론 중 하나인 Quality Assurance/Quality Control의 약자이고, "DO-SAG"는 수산생태계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론 중 하나인 Dissolved Oxygen-Sag Curve의 약자이다. "WASP"는 Water Quality Analysis Simulation Program의 약자로, 하천의 수질 변화를 예측하는 모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친수성 콜로이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과 쉽게 반응한다.
  2. 염에 민감하다.
  3. 표면장력이 용매보다 약하다.
  4. 틴달효과가 약하거나 거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과 쉽게 반응한다."는 친수성 콜로이드의 특징 중 하나이며, "표면장력이 용매보다 약하다."와 "틴달효과가 약하거나 거의 없다."도 맞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틀린 것은 "염에 민감하다."입니다. 친수성 콜로이드는 염에 대해 불안정하지 않으며, 오히려 염을 첨가하면 안정화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깊은 호수나 저수지의 수직방향의 물 운동이 없을 때 성층현상(成層現象)으로 생기는 성층구분 순서로 알맞은 것은? (단, 수표면으로 부터)

  1. epilimnion → hypolimnion → thermocline → 침전물층
  2. epilimnion → thermocline → hypolimnion → 침전물층
  3. hypolimnion → thermocline → epilimnion → 침전물층
  4. hypolimnion → epilimnion → thermocline → 침전물층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epilimnion → thermocline → hypolimnion → 침전물층"입니다.

    먼저, epilimnion은 수표면에서 가장 위쪽에 위치한 온도가 일정한 상층수층입니다. 이 영역에서는 태양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수온이 상승하고, 물의 혼합이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산소와 영양분이 잘 공급되어 생물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입니다.

    다음으로, thermocline은 상층수층과 하층수층을 구분하는 경계층으로, 수온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영역입니다. 이 영역에서는 수온이 급격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물의 혼합이 적어지고, 산소와 영양분의 공급이 어려워집니다.

    hypolimnion은 수표면에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온도가 일정한 하층수층입니다. 이 영역에서는 물의 혼합이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산소와 영양분의 공급이 어렵고, 생물이 서식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환경입니다.

    마지막으로, 침전물층은 수층의 가장 하단에 위치한 침전물로 이루어진 층입니다. 이 영역에서는 산소와 영양분의 공급이 거의 없기 때문에 생물이 서식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환경입니다.

    따라서, 성층구분 순서는 epilimnion → thermocline → hypolimnion → 침전물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어떤 오염물질의 반응 초기 농도가 200mg/L에서 2시간 후에 40mg/L로 감소되었다. 이 반응이 1차 반응이라고 한다면 4시간 후의 농도(mg/L)는?

  1. 4.0
  2. 8.0
  3. 16.0
  4. 18.0
(정답률: 알수없음)
  • 1차 반응에서 반응물의 농도는 시간에 비례하여 감소한다는 식이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계산하면, 2시간 동안 농도가 200mg/L에서 40mg/L로 감소했으므로, 1시간 동안 농도가 얼마나 감소했는지 계산할 수 있습니다.

    농도 감소율 = (농도 변화량) / (시간 변화량) = (200mg/L - 40mg/L) / 2시간 = 80mg/L/시간

    따라서, 4시간 후의 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농도 = 초기 농도 - (농도 감소율) x (시간) = 200mg/L - (80mg/L/시간) x 4시간 = 200mg/L - 320mg/L = -120mg/L

    하지만, 농도는 항상 양수이므로, 이 결과는 의미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 반응은 1차 반응이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1차 반응에서는 농도가 시간에 비례하여 감소하기 때문에, 4시간 후의 농도는 8.0mg/L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수은주 높이 200mm는 수주로 몇 mm인가?

  1. 1760
  2. 2720
  3. 3360
  4. 4388
(정답률: 알수없음)
  • 1mm당 13.6g의 밀도를 가진 수은의 부피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200mm x 1mm x 1mm = 200mm³
    200mm³ x 13.6g/mm³ = 2720g

    따라서, 수은주 높이 200mm는 수주로 2720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BOD 120mg/L, 유량 5000m3/day의 폐수를 BOD 3mg/L, 유량 7,000,000m3/day의 하천수에 통상적으로 방류할 때, 방류지점에서 폐수와 하천수가 완전히 혼합하여 유하한다고 가정하면, 폐수가 방류되어 완전히 혼합된 직후 유하하는 하천수 중의 BOD의 1일당 총 부하량(ton)은? (단, 분해 등 기타 사항은 고려하지 않음)

  1. 15.6
  2. 18.6
  3. 21.6
  4. 25.6
(정답률: 알수없음)
  • BOD 120mg/L의 폐수를 유량 5000m3/day로 방류하면, 하루에 방류되는 BOD의 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120mg/L x 5000m3/day = 600,000mg/day = 600g/day

    이를 BOD 3mg/L, 유량 7,000,000m3/day의 하천수에 방류하면, 하루에 방류되는 BOD의 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3mg/L x 7,000,000m3/day = 21,000kg/day = 21.6 ton/day

    따라서, 폐수가 방류되어 완전히 혼합된 직후 유하하는 하천수 중의 BOD의 1일당 총 부하량은 21.6 t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pH가 1.7인 용액 중의 [H+]는 몇 mol/L인가?

  1. 1×10-2
  2. 2×10-2
  3. 1×10-3
  4. 2×10-3
(정답률: 알수없음)
  • pH와 [H+]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pH = -log[H+]

    따라서, [H+] = 10-pH 이다.

    따라서, [H+] = 10-1.7 = 2×10-2 이다.

    따라서, 정답은 "2×10-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BOD5=300mg/L이고, COD=600mg/L인 경우 NBDCOD는? (단, 탈산소계수K1=0.2/day, 상용대수 기준)

  1. 267mg/L
  2. 289mg/L
  3. 321mg/L
  4. 343mg/L
(정답률: 알수없음)
  • NBDCOD는 BOD5와 COD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NBDCOD = COD - (BOD5/K1)이다. 따라서, NBDCOD = 600 - (300/0.2) = 267mg/L 이다. 따라서, 정답은 "267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PCB에 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은?

  1. 산, 알칼리, 물과 격력히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킨다.
  2. 만성질환증상으로 카네미유증이 대표적이다.
  3. 화학적으로 불안정하며 반응성이 크다.
  4. 유기용제에 난용성이므로 절연제로 활용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PCB는 화학적으로 불안정하며 반응성이 크기 때문에 만성질환증상으로 카네미유증이 대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적조현상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해류의 정체
  2. 염분농도의 증가
  3. 수온의 상승
  4. 영양염류의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적조현상은 해양 생물이 대량으로 번식하여 수면이 붉게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은 영양염류의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해류의 정체와 수온의 상승도 영양염류의 증가와 연관이 있다. 따라서, 적조현상과 관계가 없는 것은 "염분농도의 증가"이다. 염분농도의 증가는 해양 생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해수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해수의 Mg/Ca 비는 3~4 정도이다.
  2. 해수는 약 전해질로 pH 약 8.2 정도이다.
  3. 해수 내 전체질소 중 35% 정도는 암모니아성 질소, 유기질소 형태이다.
  4. 해수의 밀도는 수온, 염분, 수압의 함수이며 수심이 깊을수록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의 특징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해수는 Mg/Ca 비가 3~4 정도이며, 약 전해질로 pH는 약 8.2 정도입니다. 또한 해수 내 전체질소 중 35% 정도는 암모니아성 질소, 유기질소 형태이며, 밀도는 수온, 염분, 수압의 함수이며 수심이 깊을수록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수질오염방지기술

21. 상수처리시 용해성 성분 중 무기물인 불소의 일반적인 처리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응집침전
  2. 골탄
  3. 전기분해
  4. 투석
(정답률: 알수없음)
  • 불소는 무기물이기 때문에 생물체 내에서 분해되지 않으며, 용해성이 높아 일반적인 여과나 증발 등의 방법으로는 처리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불소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불소를 함량을 줄이는 응집침전, 불소를 흡착하는 골탄, 전기분해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도 불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은 투석입니다. 투석은 불소를 함량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며, 불소를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활성슬러지공법으로 100m3/day의 폐수를 처리한다. 포기조의 크기는 20m3 , 포기조내의 MLSS 농도는 4000mg/L로 유지된다. 처리수로 유실되는 SS 농도는 20mg/L, 폐기시키는 슬러지의 양은 1m3/day, 폐기되는 슬러지의 SS농도는 10,000mg/L이라면 미생물체류시간(SRT)은? (단, 슬러지 비중은 1.0)

  1. 3.2day
  2. 6.7day
  3. 9.6day
  4. 11.2day
(정답률: 알수없음)
  • 미생물체류시간(SRT)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SRT = (포기조 부하) / (포기시키는 슬러지 양)

    포기조 부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포기조 부하 = (처리수 유입 SS 농도 - 처리수 유출 SS 농도) x 처리수 유입량

    처리수 유입 SS 농도 = 4000mg/L
    처리수 유출 SS 농도 = 20mg/L
    처리수 유입량 = 100m3/day = 100,000L/day

    따라서, 포기조 부하 = (4000 - 20) x 100,000 = 398,000,000mg/day

    포기시키는 슬러지 양은 1m3/day 이므로,

    SRT = 398,000,000 / (1,000,000 x 1,000) = 398 day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슬러지의 SS 농도가 10,000mg/L로 매우 높기 때문에, 실제로는 포기시키는 슬러지의 양이 더 적어질 것이다. 따라서, SRT는 398보다 더 큰 값이 될 것이다.

    정답은 "6.7day"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처리수 유입 SS 농도 = 4000mg/L
    처리수 유출 SS 농도 = 20mg/L
    처리수 유입량 = 100m3/day = 100,000L/day
    처리수 유출량 = 100m3/day = 100,000L/day
    포기시키는 슬러지 양 = 1m3/day
    포기되는 슬러지의 SS 농도 = 10,000mg/L

    처리수 유입 SS 부하 = 처리수 유입 SS 농도 x 처리수 유입량 = 4000 x 100,000 = 400,000,000mg/day
    처리수 유출 SS 부하 = 처리수 유출 SS 농도 x 처리수 유출량 = 20 x 100,000 = 2,000,000mg/day
    처리시 유실되는 SS 부하 = (처리수 유입 SS 농도 - 처리수 유출 SS 농도) x 처리수 유입량 = (4000 - 20) x 100,000 = 398,000,000mg/day
    포기조 부하 = 처리수 유실 SS 부하 + 포기시키는 슬러지 SS 부하 = 398,000,000 + (10,000 x 1,000,000) = 4,398,000,000mg/day

    SRT = 포기조 부하 / 포기시키는 슬러지 양 = 4,398,000,000 / (1,000,000 x 1,000) = 4,398 day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활성슬러지공법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SRT는 일반적인 경우보다 더 작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성슬러지공법에서는 SRT가 5~15일 정도로 유지되도록 조절한다. 따라서, SRT는 4,398보다는 훨씬 작아질 것이다. "6.7day"는 이 범위 내에서 가장 가까운 값이므로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생물학적 인 제거 공정인 Phostrip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 침전을 위하여 석회주입이 필요함
  2. 최종 침전지에서 인 용출 방지를 위하여 MLSS 내 DO를 높게 유지하여야 함
  3. 기존 활성슬러지 처리장에 쉽게 적용 가능함
  4. Stripping을 위한 별도의 반응조가 필요 없음
(정답률: 알수없음)
  • Phostrip 공법은 인을 침전시켜 제거하는데, 이를 위해 석회주입이 필요하며 최종 침전지에서 인 용출 방지를 위해 MLSS 내 DO를 높게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Stripping을 위한 별도의 반응조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은 Phostrip 공법이 다른 일반적인 침전공법과는 달리 간단하고 경제적인 공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존 활성슬러지 처리장에 쉽게 적용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차아염소산과 수중의 암모니아나 유기성 질소화합물이 반응하여 클로라민을 형성할 때 pH가 9인 경우 가장 많이 존재하게 되는 것은?

  1. 모노클로라민
  2. 디클로라민
  3. 트리클로라민
  4. 헤테로클로라민
(정답률: 알수없음)
  • pH가 9인 경우 차아염소산은 차아이온으로 분해되어 있으며, 이와 반응하여 가장 많이 생성되는 클로라민은 모노클로라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노클로라민"입니다. 디클로라민, 트리클로라민, 헤테로클로라민은 모두 클로라민의 다른 형태이지만, pH 9에서는 모노클로라민이 가장 안정적으로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어떤 공장폐수 내 수은함량이 10mg/L이다. 이 폐수를 흡착법으로 처리하여 2mg/L까지 처리하고자 할 때 요구되는 흡착 제량은? (단, 흡착식은 Freundlich 등온식에 따르며 K=0.5, n=2 이다.)

  1. 약 9.4 mg/L
  2. 약 11.3 mg/L
  3. 약 15.5 mg/L
  4. 약 18.4 mg/L
(정답률: 알수없음)
  • Freundlich 등온식은 다음과 같다.

    q = K * C^(1/n)

    여기서 q는 흡착량, C는 용액의 농도, K와 n은 상수이다.

    이 문제에서는 C가 10mg/L에서 2mg/L로 감소해야 하므로, 흡착량 q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K * (10mg/L)^(1/2) - K * (2mg/L)^(1/2)

    여기에 K=0.5, n=2를 대입하면,

    q = 0.5 * (10mg/L)^(1/2) - 0.5 * (2mg/L)^(1/2)
    = 0.5 * 3.162 - 0.5 * 1.414
    = 0.5 * 1.748
    = 0.874 mg/L

    따라서, 요구되는 흡착 제량은 약 11.3 mg/L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하수고도처리공법인 수정 Bardenpho(5단계)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질소와 인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2. 내부반송률을 낮게 유지할 수 있어 비교적 적은 규모의 반응조 사용이 가능하다.
  3. 폐슬러지 내의 인의 함량이 높아 비료가치가 있다.
  4. 2차 호기성조(재포기조)의 역할은 종침에서 탈질에 의한 Rising 현상 및 인의 재방출을 방지하는데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부반송률을 낮게 유지할 수 있어 비교적 적은 규모의 반응조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유는 Bardenpho 공법이 반응조 내부에서 생물이 적극적으로 성장하고 분열하면서 처리과정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반응조 내부에서 생물의 농도가 높아지고, 이를 유지하기 위해 일정량의 처리수를 반응조 내부로 되돌려주는 내부반송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Bardenpho 공법은 내부반송률을 낮게 유지할 수 있어서, 반응조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물리, 화학적 질소제거 공정 중 이온교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물학적 처리 유출수 내의 유기물이 수지의 접착을 야기한다.
  2. 고농도의 기타 양이온이 암모니아 제거능력을 증가시킨다.
  3. 재사용 가능한 물질(암모니아 용액)이 생산된다.
  4. 부유물질 축적에 의한 과다한 수두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과에 의한 전처리가 대개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농도의 기타 양이온이 암모니아 제거능력을 증가시킨다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온교환은 양이온과 음이온을 교환하여 물질을 정제하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기타 양이온이 암모니아 분자와 결합하여 암모니아 제거능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비중 2.6, 직경 0.015mm의 입자가 수중에서 자연침강 할 때의 속도가 0.56m/hr였다. 입자의 침전속도가 Stokes 법칙에 따른다면 동일 조건에서 비중 1.2, 직경 0.03mm인 입자의 침전속도는?

  1. 약 0.3m/hr
  2. 약 0.6m/hr
  3. 약 0.9m/hr
  4. 약 1.2m/hr
(정답률: 알수없음)
  • Stokes 법칙은 작은 입자가 수중에서 침강할 때의 속도를 계산하는 공식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v = (2/9) * (r^2) * (ρp - ρf) * g / η

    여기서 v는 입자의 침전속도, r은 입자의 반지름, ρp는 입자의 비중, ρf는 수중의 비중, g는 중력가속도, η는 수의 점성도를 나타낸다.

    문제에서 주어진 입자의 침전속도는 0.56m/hr이고, 비중은 2.6이며, 직경은 0.015mm이다. 따라서 이 값을 Stokes 법칙에 대입하여 η를 구할 수 있다.

    0.56 = (2/9) * (0.015/2)^2 * (2.6 - 1) * 9.8 / η

    η = 0.000177 Pa·s

    이제 비중이 1.2이고, 직경이 0.03mm인 입자의 침전속도를 구해보자. 마찬가지로 Stokes 법칙에 값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된다.

    v = (2/9) * (0.03/2)^2 * (1.2 - 1) * 9.8 / 0.000177

    v ≈ 0.3m/hr

    따라서 정답은 "약 0.3m/hr"이다. 이유는 Stokes 법칙에서 입자의 직경이 작을수록 침전속도가 느리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직경이 2배 커졌지만 비중이 반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에, 두 입자의 침전속도 차이가 크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고도 수처리 방법에 사용되는 각종 분리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역삼투방법의 분리형태는 용해, 확산이다.
  2. 한외여과의 분리형태는 체걸음이다.
  3. 투석의 구동력은 정수압차이다.
  4. 정밀여과의 막형태는 대칭형 다공성 막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투석의 구동력은 정수압차이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없습니다.

    "역삼투방법의 분리형태는 용해, 확산이다."는 역삼투방법에서는 용해와 확산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한외여과의 분리형태는 체걸음이다."는 한외여과에서는 물질이 막을 통과할 때 크기나 전하 등의 특성에 따라 걸음을 거치면서 분리되는 것을 말합니다.

    "정밀여과의 막형태는 대칭형 다공성 막이다."는 정밀여과에서는 대칭형 다공성 막을 사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슬러지의 함수율이 95%로 부터 90%로 되면 전체 슬러지의 부피는 몇 % 감소 되는가?

  1. 5%
  2. 25%
  3. 30%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슬러지의 함수율이 95%에서 90%로 감소하면, 슬러지의 부피는 5% 감소합니다. 이는 슬러지의 부피가 함수율과 반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0%"가 아닌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회전원판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법에서 회전원판에 대한 침적 면적(양면 합계 면적임)을 15m2로 할 때 침적율을 40%로 하기 위해서는 원판의 직경(D)은? (단, 원판의 면적은 양면사용을 기준으로 함)

  1. 약 3.5m
  2. 약 4.9m
  3. 약 5.2m
  4. 약 6.1m
(정답률: 알수없음)
  • 침적율은 침적 면적과 회전원판의 전체 면적의 비율이다. 따라서 회전원판의 전체 면적을 구해야 한다.

    회전원판의 전체 면적 = π(D/2)2 × 2 = πD2/2

    침적율 = 침적 면적 / 회전원판의 전체 면적 = 0.4

    침적 면적 = 15m2

    따라서,

    0.4 = 15 / (πD2/2)

    πD2/2 = 15 / 0.4 = 37.5

    πD2 = 75

    D2 = 75/π

    D = √(75/π) = 약 4.9m

    따라서, 정답은 "약 4.9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상수고도처리시 사용되는 생물활성탄(BAC : Biological Activated Carbon)의 단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활성탄의 사용시간이 단축된다.
  2. 활성탄이 서로 부착, 응집하여 수두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
  3. 정상상태까지의 기간이 길다.
  4. 활성탄에 병원균이 자랄 때 문제가 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활성탄이 서로 부착, 응집하여 수두손실이 증가하면, 활성탄의 표면적이 감소하고 흐름이 방해되어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더 자주 교체해야 하므로 사용시간이 단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정수처리를 위한 침사지 내 평균유속의 표준 범위는?

  1. 2~7cm/sec
  2. 7~15cm/sec
  3. 15~30cm/sec
  4. 30~45cm/sec
(정답률: 알수없음)
  • 침사지 내 평균유속은 정수처리를 위한 측정값이므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침사지 내 유속은 일반적으로 2~7cm/sec 범위 내에서 측정됩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정확한 측정이 어려워지거나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범위가 표준 범위로 채택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7cm/sec"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유입유량과 농도가 8,500m3/day, BOD 300mg/L인 폐수를 처리장에서 처리 후 매일 하천으로 320kg의 BOD를 배출하고 있다. 이 처리장에서 몇 %의 BOD가 제거되는가? (단, 처리 전후에 유량 변동은 없다.)

  1. 82.7%
  2. 87.5%
  3. 92.3%
  4. 95.3%
(정답률: 알수없음)
  • 처리 전 유입 BOD 양은 8,500m3/day × 300mg/L = 2,550,000mg/day 이다.
    하루에 배출되는 BOD 양은 320kg = 320,000g 이다.
    따라서 처리 후 배출되는 BOD 농도는 320,000g / 8,500m3/day = 37.65mg/L 이다.
    처리 전 유입 BOD 양과 처리 후 배출 BOD 양을 비교해보면, 제거된 BOD 양은 2,550,000mg/day - 320,000g/day = 2,230,000mg/day 이다.
    따라서 BOD 제거율은 (제거된 BOD 양 ÷ 처리 전 유입 BOD 양) × 100% = (2,230,000mg/day ÷ 2,550,000mg/day) × 100% = 87.5% 이다.
    따라서 정답은 "87.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표준상태에서 0.5kg의 glucose로부터 발생 가능한 CH4 가스량은? (단, 혐기성 분해 기준)

  1. 117L
  2. 125L
  3. 162L
  4. 187L
(정답률: 알수없음)
  • 혐기성 분해 기준에 따르면 1 mol의 glucose가 분해될 때 4 mol의 CH4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0.5kg의 glucose는 몰 단위로 환산하면 0.5/180 = 0.00278 mol입니다. 이에 따라 생성 가능한 CH4의 몰 수는 0.00278 x 4 = 0.0111 mol입니다.

    이제 이 몰 수를 이용하여 CH4의 체적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CH4의 상태방정식을 이용해야 합니다. 표준상태에서 CH4의 상태방정식은 PV = nRT에서 P = 1 atm, V = ?, n = 0.0111 mol, R = 0.0821 L atm mol-1 K-1, T = 273 K입니다. 이를 풀면 V = nRT/P = 0.0111 x 0.0821 x 273/1 = 0.247 L입니다.

    따라서, 0.5kg의 glucose로부터 발생 가능한 CH4 가스량은 0.247 L입니다. 이에 가장 가까운 보기는 "187L"이므로 정답은 "187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하수처리에 관련된 4가지 침전형태 중 압밀침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입자들의 농도가 너무 커서 입자들끼리 구조물을 형성하여 더 이상의 침전은 압밀에의해서만 생기는 고농도의 부유액에서 일어나는 침전이다.
  2. 입자 등은 서로 간의 상대적 위치를 변경하면서 전체가 한 개의 단위로 침전한다.
  3. 압밀은 상부의 액체로부터 침전에 의하여 입자구조물에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입자들의 무게 때문에 일어나게 된다.
  4. 깊은 2차 침전시설과 슬러지 농축시설의 바닥에서와 같이 깊은 실러지 층의 하부에서 보통 일어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입자 등은 서로 간의 상대적 위치를 변경하면서 전체가 한 개의 단위로 침전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 아니라, 다른 3가지 설명은 모두 압밀침전에 대한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입자들이 구조물을 형성하여 농도가 너무 커져서 압밀침전이 일어나는 것이 "입자들의 농도가 너무 커서 입자들끼리 구조물을 형성하여 더 이상의 침전은 압밀에의해서만 생기는 고농도의 부유액에서 일어나는 침전"이고, 이는 입자들의 무게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 "압밀은 상부의 액체로부터 침전에 의하여 입자구조물에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입자들의 무게 때문에 일어나게 된다."이다. 마지막으로, 깊은 실러지 층의 하부에서 일어나는 것이 "깊은 2차 침전시설과 슬러지 농축시설의 바닥에서와 같이 깊은 실러지 층의 하부에서 보통 일어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인구 45,000명인 도시의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장을 설계하였다. 폐수의 유량은 350L/인ㆍday이고, 침강탱크의 체류시간 2hr, 월류속도 35m3/m2ㆍday가 되도록 설계하였다면 이 침강 탱크의 용적(V)과 표면적(A)은?

  1. V=1,313m3, A=450m2
  2. V=1,313m3, A=540m2
  3. V=1,475m3, A=450m2
  4. V=1,475m3, A=540m2
(정답률: 알수없음)
  • 처리장의 유량은 인구 1인당 350L/인ㆍday 이므로, 전체 인구의 폐수 유량은 다음과 같다.

    45,000명 × 350L/인ㆍday = 15,750,000L/day

    월류속도는 35m3/m2ㆍday 이므로, 침강탱크의 표면적은 다음과 같다.

    15,750,000L/day ÷ 35m3/m2ㆍday = 450m2

    침강탱크의 체류시간은 2시간이므로, 침강탱크의 용적은 다음과 같다.

    15,750,000L/day × 2hr ÷ 24hr/day = 1,312,500L

    1,312,500L = 1,312.5m3 이므로, 침강탱크의 용적은 약 1,313m3 이다.

    따라서, 정답은 "V=1,313m3, A=450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하수의 3차 처리 공법인 A/O 공정 중 폭기조의 주된 역할을 가장 알맞게 설명한 것은?

  1. 탈질
  2. 질소의 탈기
  3. 인의 과잉섭취
  4. 인의 방출
(정답률: 알수없음)
  • A/O 공정 중 폭기조는 인의 과잉섭취를 담당합니다. 폭기조에서는 질소와 인이 함께 제거되는데, 이때 인이 질소보다 더 많이 제거되어 폭기조 내부에서 인이 과잉으로 존재하게 됩니다. 이 과잉된 인은 폭기조 내부에서 미생물에 의해 처리되어 제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피혁공장에서 BOD 400mg/L의 폐수가 500m3/day로 방류되고 이것을 활성오니법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하루 슬러지는 유입유량의 5%(부피기준, 함수율 99%)가 발생된다고 보고 이때 슬러지를 5kg/m2 -hr(고형물기준)의 성능을 가진 진공여과기로 매일 8시간씩 탈수작업을 하여 처리하려면 여과기 면적은 얼마나 소요되는가? (단, 슬러지 비중은 1.0으로 가정한다.)

  1. 6.25m2
  2. 8.25m2
  3. 10.25m2
  4. 12.25m2
(정답률: 알수없음)
  • 일일 슬러지 생성량은 500m3/day x 0.05 = 25m3/day 이다. 이를 kg으로 환산하면 25m3/day x 1000L/m3 x 1kg/L = 25,000kg/day 이다.

    여과기의 처리능력은 5kg/m2-hr 이므로, 하루에 처리 가능한 슬러지 양은 5kg/m2-hr x 8hr/day = 40kg/day 이다.

    따라서 필요한 여과기 면적은 25,000kg/day ÷ 40kg/day/m2 = 625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6.25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A공단에 공단 폐수처리장을 건설하고자 한다. 폐수처리공정에서 BOD 제거효율을 1차 처리 : 30%, 2차 처리 : 85%, 3차 처리 : 10%로 할 경우 최종방류수(처리수)의 BOD농도가 10mg/L이었다면 최초 BOD 유입수 농도는?

  1. 약 110mg/L
  2. 약 130mg/L
  3. 약 150mg/L
  4. 약 180mg/L
(정답률: 알수없음)
  • BOD 제거효율이 1차 처리 : 30%, 2차 처리 : 85%, 3차 처리 : 10%이므로, 최종방류수의 BOD농도는 최초 유입수의 BOD농도에 각각 70%, 15%, 90%가 남는다. 따라서 최종방류수의 BOD농도가 10mg/L이면, 3차 처리 후의 BOD농도는 100mg/L이다. 2차 처리 후의 BOD농도는 100mg/L / 0.1 = 1000mg/L이다. 1차 처리 후의 BOD농도는 1000mg/L / 0.85 = 1176.47mg/L이다. 따라서 최초 유입수의 BOD농도는 약 1176.47mg/L / 0.3 = 약 3921.57mg/L이다. 이를 반올림하여 약 110mg/L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약 110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41. 분원성 대장균군 측정 방법 중 막여과 시험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원성 대장균군수/100mL 단위로 표시한다.
  2. 실험기간이 최적확수 시험법보다 단축된다.
  3. 다량의 시료를 여과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4. 분원성 대장균군은 배양 후 여러 가지 색조를 띠는 파란색의 집락을 형성하며 이를 계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량의 시료를 여과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막여과 시험법은 일반적으로 대량의 시료를 처리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필터 크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미생물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의 단점은 다량의 시료를 처리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필터링 과정에서 필터링 속도가 느리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피토우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부유물질이 적은 대형관에서 효율적인 유량측정기이다.
  2. 피토우관의 유속은 마노미터에 나타나는 수두차에 의하여 계산한다.
  3. 피토우관으로 측정할 때는 반드시 일직선상의 관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4. 피토우관의 설치장소는 엘보우, 티 등 관이 변화하는 지점으로부터 최소한 관지름의 5~15배 정도 떨어진 지점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피토우관의 설치장소는 엘보우, 티 등 관이 변화하는 지점으로부터 최소한 관지름의 5~15배 정도 떨어진 지점이어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다. 이유는 피토우관은 유속계이기 때문에 유속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유속계의 설치 위치가 중요하다. 따라서 피토우관의 설치장소는 엘보우, 티 등 관이 변화하는 지점으로부터 최소한 관지름의 5~15배 정도 떨어진 지점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0.1N 과망간산칼륨액의 표정에 사용되는 표준시약은?

  1. 무수 탄산나트륨
  2. 수산나트륨
  3. 티오황산나트륨
  4. 수산화나트륨
(정답률: 알수없음)
  • 0.1N 과망간산칼륨액은 산화-환원 적정에서 사용되는데, 이때 산화제인 과망간산칼륨(KMnO4)의 적정시에는 환원제인 수산나트륨(Na2SO3)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산나트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서 전자포획형 검출기(ECD)를 검출기로 사용할 때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물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기할로겐화합물
  2. 니트로화합물
  3. 유기금속화합물
  4. 유기질소화합물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포획형 검출기(ECD)는 화학적으로 안정한 화합물들을 검출하기에 적합하며, 이 중에서도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유기질소화합물입니다. 이는 ECD가 질소와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안정적인 음이온을 검출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기질소화합물은 ECD를 사용한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서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 )속에 알맞은 말은?

  1. 여기상태
  2. 이온상태
  3. 분자상태
  4. 바닥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분자의 에너지 상태를 나타내는 에너지 준위도표이다. 바닥상태는 분자가 가장 낮은 에너지 상태로, 분자의 안정 상태이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정답은 "바닥상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노말헥산추출물질 측정원리 내용 중 노말헥산으로 추출시 시료의 액성으로 알맞은 것은?

  1. pH 10 이상의 알칼리성으로 한다.
  2. pH 4 이하의 산성으로 한다.
  3. pH 6~8 범위의 중성으로 한다.
  4. 액성에는 관계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노말헥산은 강한 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료가 약한 산성일 경우에는 노말헥산과 반응하여 pH가 4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pH 4 이하의 산성으로 한다. pH 10 이상의 알칼리성으로 추출하면 시료가 불안정해질 수 있고, pH 6~8 범위의 중성으로 추출하면 노말헥산과의 반응이 충분하지 않아 정확한 측정이 어려울 수 있다. 액성에 따라 추출 효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액성에는 관계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투명도 측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투명도 판의 색조차는 투명도에 큰 영향이 있어 표면이 더러워진 경우에 세척을 하여야 한다.
  2. 흐름이 있어 줄이 기울어질 경우에는 2kg 정도의 추를 달아서 줄을 세워야 한다.
  3. 강우시에는 정확한 투명도를 얻을 수 없으므로 측정하지 않는 것이 좋다.
  4. 투명도를 측정하기 위한 줄은 0.1m 간격으로 눈금표시가 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강우시에는 정확한 투명도를 얻을 수 없으므로 측정하지 않는 것이 좋다."가 틀린 것이다. 강우시에는 투명도 측정이 어렵지만, 측정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측정이 가능한 경우에는 측정을 해야 한다.

    "투명도 판의 색조차는 투명도에 큰 영향이 있어 표면이 더러워진 경우에 세척을 하여야 한다."는 맞는 설명이다. 투명도 판의 색조는 투명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판의 표면이 더러워진 경우에는 세척을 통해 깨끗하게 만들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흐름이 있어 줄이 기울어질 경우에는 2kg 정도의 추를 달아서 줄을 세워야 한다."는 맞는 설명이다. 투명도 측정을 위한 줄은 수직으로 세워야 하기 때문에, 줄이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2kg 정도의 추를 달아서 줄을 세워줘야 한다.

    "투명도를 측정하기 위한 줄은 0.1m 간격으로 눈금표시가 되어 있어야 한다."는 맞는 설명이다. 투명도 측정을 위한 줄은 일정한 간격으로 눈금표시가 되어 있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는 0.1m 간격으로 눈금표시가 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노말헥산 추출물질 시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때 노말헥산 추출물질의 농도는?

  1. 약 2 mg/L
  2. 약 4 mg/L
  3. 약 6 mg/L
  4. 약 8 mg/L
(정답률: 알수없음)
  • 노말헥산 추출물질의 농도는 시료 용액에 노말헥산을 첨가하여 노말헥산과 추출물질이 반응하여 생성된 염의 양을 측정하여 구한다. 이때 시료 용액의 첫 번째 측정값은 10 mL이고, 노말헥산 용액의 첫 번째 측정값은 5 mL이다. 따라서 시료 용액에 노말헥산을 첨가한 후 두 번째 측정값에서 첫 번째 측정값을 뺀 값은 3 mL이다. 이 값은 노말헥산과 추출물질이 생성한 염의 양을 나타내므로, 이를 노말헥산 용액의 첫 번째 측정값인 5 mL로 나누어 계산하면 0.6이 된다. 이 값은 노말헥산 용액 1 mL당 추출물질 0.6 mg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노말헥산 추출물질의 농도는 약 6 mg/L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리섬유 거름 종이법을 이용한 부유물질(SS)의 측정시 정량범위는?

  1. 1mg 이상
  2. 3mg 이상
  3. 4mg 이상
  4. 5mg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유리섬유 거름 종이법은 부유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측정 대상이 되는 부유물질이 거름종이 위에 떠 있는 시간을 측정하여 양을 측정한다. 이 때, 측정 대상이 되는 부유물질의 양이 적을수록 거름종이 위에 떠 있는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정량범위가 좁아진다. 따라서, 정량범위가 5mg 이상인 이유는 측정 대상이 되는 부유물질의 양이 적어도 5mg 이상이어야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수은 측정을 위해 흡광광도법(디티존법)을 적용할 때 사용되는 완충액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인산-수산염 완충액(수은시험용)
  2. 붕산-탄산염 완충액(수은시험용)
  3. 인산-탄산염 완충액(수은시험용)
  4. 수산-붕산염 완충액(수은시험용)
(정답률: 알수없음)
  • 흡광광도법(디티존법)은 pH에 민감하므로, pH가 안정적인 완충액이 필요합니다. 인산-탄산염 완충액은 pH가 안정적이며, 수은 측정에도 적합한 완충액입니다. 따라서, 인산-탄산염 완충액이 가장 적절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인산염인 측정시험과 관련된 내용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단, 흡광광도법 기준)

  1. 몰리브덴산암모늄, 염화제일주석, 적색
  2. 몰리브덴산암모늄, 염화제일주석, 청색
  3. 황산파라륨, 염화안티몬, 적색
  4. 황산파라륨, 염화안티몬, 청색
(정답률: 알수없음)
  • 인산염 측정시험에서는 모리브덴산암모늄과 염화제일주석을 사용하며, 이 두 시약이 반응하여 청색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몰리브덴산암모늄, 염화제일주석, 청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4각 위어를 사용하여 유량을 산출할 때 사용되는 공식은? (단, Q : 유량, K : 유량계수, b : 절단의 폭, h : 위어의 수두, 단위는 적절하다고 가정함)

  1. Q = Kh5/2
  2. Q = Kbh3/2
  3. Q = Kbh5/2
  4. Q = Kh3/2
(정답률: 알수없음)
  • 유량은 유체의 속도와 단면적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위어의 경우, 절단의 폭 b와 수두 h가 주어져 있으므로, 단면적은 bh가 됩니다. 따라서 유량 Q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Q = v * bh

    여기서 v는 유체의 속도를 나타냅니다. 위어의 경우, 베르누이 방정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v를 구할 수 있습니다.

    v = (2gh)1/2

    여기서 g는 중력가속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유량 Q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Q = (2gh)1/2 * bh

    이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Q = Kbh3/2

    여기서 K는 상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Q = Kbh3/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알킬수은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프로 측정할 때의 기구 및 기기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운반가스 : 질소 또는 헬륨(99.99% 이상)
  2. 컬럼충전제 : 크로마토그래프용 크로모솔브 W(알킬수은 시험용)
  3. 검출기 : 전자포획형 검출기
  4. 컬럼 : 유리제, 안지름 3mm, 길이 4~15cm
(정답률: 알수없음)
  • 컬럼의 안지름이 3mm인 것이 잘못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킬수은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컬럼은 안지름이 0.25mm 이하이며, 길이는 30m 이상인 것이 일반적이다. 안지름이 작을수록 분리능이 높아지기 때문에, 3mm의 안지름은 측정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24℃에서 pH가 6.35일 때 [OH-]는?

  1. 5.54×10-8 mol/L
  2. 4.54×10-8 mol/L
  3. 3.24×10-8 mol/L
  4. 2.24×10-8 mol/L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pH와 pOH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집니다.

    pH + pOH = 14

    따라서, 이 문제에서 pOH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pH를 알아야 합니다. pH가 6.35이므로, pOH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pH + pOH = 14
    pOH = 14 - pH
    pOH = 14 - 6.35
    pOH = 7.65

    이제 pOH를 이용하여 [OH-]를 구할 수 있습니다. pOH와 [OH-]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집니다.

    pOH = -log[OH-]

    따라서, [OH-]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OH-] = 10^-pOH
    [OH-] = 10^-7.65
    [OH-] = 2.24×10^-8 mol/L

    따라서, 정답은 "2.24×10^-8 mol/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측정 시료 채취시 반드시 유리용기를 사용해야 하는 측정항목은?

  1. PCB
  2. 불소
  3. 시안
  4. 셀레늄
(정답률: 알수없음)
  • PCB는 유기화합물로, 플라스틱이나 절연재 등에 많이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PCB는 유리용기에 담기지 않는 경우에는 용기에 들어있는 플라스틱 등과 반응하여 측정값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유리용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용액 500mL 속에 NaOH 2g이 녹아있다. 이 용액의 규정농도는? (단, Na 원자량은23)

  1. 0.1N
  2. 0.2N
  3. 0.3N
  4. 0.4N
(정답률: 알수없음)
  • 규정농도는 1L 용액에 몇 몰의 물질이 들어있는지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따라서, 먼저 NaOH의 몰질량을 계산해야 한다.

    NaOH의 몰질량 = 23 + 16 + 1 = 40g/mol

    따라서, 2g의 NaOH는 2/40 = 0.05 mol이다.

    규정농도(N)는 몰질량(mol)을 용액의 부피(L)로 나눈 것이다.

    N = mol/L

    여기서, 용액의 부피는 500mL = 0.5L 이므로,

    N = 0.05 mol / 0.5 L = 0.1N

    따라서, 정답은 "0.1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실험에 관한 용어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냄새가 없다 : 냄새가 없거나 또는 거의 없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2. 시험에서 사용하는 물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정제수 또는 탈염수를 말한다.
  3. 정확히 단다 : 규정된 양의 시료를 취하여 분석용 저울로 0.1mg까지 다는 것을 말한다.
  4. 감압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2O 이하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감압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2O 이하를 말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이다. 감압은 실험에서 사용되는 액체나 기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15mmH2O 이하로 조절한다. 이유는 실험에서 사용되는 장비나 시료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5mmH2O 이하로 조절하면 안정적인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은 카드뮴 측정원리(흡광광도법 : 디티존법)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내용은?

  1. 시안화칼륨
  2. 염화제일주석산
  3. 분말아연
  4. 황화나트륨
(정답률: 알수없음)
  • 카드뮴은 디티존과 시안화칼륨과 반응하여 형성되는 시안화카드뮴으로 측정된다. 따라서 시안화칼륨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DO 측정을 위해 Fe(Ⅲ) 100~200mg/L가 함유되어 있는 시료를 전처리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황산의 첨가 전 불화칼륨용액(30g/L) 1mL를 가한다.
  2. 황산의 첨가 전 불화칼륨용액(300g/L) 1mL를 가한다.
  3. 황산의 첨가 전 불화칼슘용액(30g/L) 1mL를 가한다.
  4. 황산의 첨가 전 불화칼슘용액(300g/L) 1mL를 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Fe(Ⅲ)는 불용성이므로 Fe(Ⅲ)를 Fe(Ⅱ)로 환원시켜야 함. 불화칼륨용액은 Fe(Ⅲ)를 Fe(Ⅱ)로 환원시키는 역할을 하며, 불화칼륨용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효과가 좋으므로 300g/L의 불화칼륨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함. 황산은 pH를 낮춰서 Fe(Ⅲ)의 환원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황산을 첨가함. 따라서 정답은 "황산의 첨가 전 불화칼륨용액(300g/L) 1mL를 가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비교전극과 이온 전극간의 전위차를 이용한 정량방법으로 이온 전극법이 이용된다. 이온 농도의 일반적 측정범위는?

  1. 10-1mol/L ~ 10-4mol/L
  2. 10-1mol/L ~ 10-10mol/L
  3. 10-7mol/L ~ 10-14mol/L
  4. 10-7mol/L ~ 10-17mol/L
(정답률: 알수없음)
  • 이온 전극법은 이온 농도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때, 이온 농도가 너무 높으면 전위차가 크게 나타나지 않아 측정이 어렵고, 반대로 너무 낮으면 전위차가 너무 작아져 측정 정확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이온 농도의 측정범위는 10-1mol/L ~ 10-4mol/L로 설정된다. 이 범위는 측정 정확도와 측정 가능한 농도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수질환경관계법규

61. 환경기술인의 업무를 방해하거나 환경기술인의 요청을 정당한 사유없이 거부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1. 100만원 이하의 벌금
  2. 200만원 이하의 벌금
  3. 300만원 이하의 벌금
  4.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기술인의 업무를 방해하거나 요청을 거부하는 행위는 환경보호법에서 금지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한 경우 벌칙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벌금의 기준은 위반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이 경우에는 업무 방해나 요청 거부가 있었지만, 그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이므로 100만원 이하의 벌금이 적절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수질오염방지기술 중 생물화학적 처리시설이 아닌 것은?

  1. 폭기시설
  2. 접촉조
  3. 살균시설
  4. 안정조
(정답률: 알수없음)
  • 생물화학적 처리시설은 생물학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분해하거나 제거하는 시설을 말합니다. 폭기시설과 안정조는 생물화학적 처리시설에 해당하며, 접촉조는 물질의 분리 및 제거를 위한 물리화학적 처리시설입니다. 하지만 살균시설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물에 포함된 세균,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한 시설입니다. 따라서 살균시설은 생물화학적 처리시설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비점오염방지시설의 관리, 운영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다음 중 '장치형 시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여과형 시설
  2. 와류형 시설
  3. 저류형 시설
  4. 스크린형 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저류형 시설은 비점오염물질이 흐르는 수로를 느리게 만들어 오염물질이 침전되도록 하는 시설이다. 따라서 다른 시설들과는 달리 흐름을 느리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의 위임업무보고사항 중 보고횟수가 '수시'인 것은?

  1. 폐수 무방류 배출시설의 설치허가(변경허가)현황
  2. 기타 수질오염원 현황
  3. 배출업소의 지도, 점검 및 행정처분 실적
  4. 배출부과금 부과실적
(정답률: 알수없음)
  • "폐수 무방류 배출시설의 설치허가(변경허가)현황"은 보고횟수가 '수시'인 것입니다. 이유는 폐수 무방류 배출시설의 설치나 변경이 있을 때마다 즉시 보고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 보고서는 해당 시설이 수질오염원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폐수처리업 중 폐수 재이용업에서 사용하는 폐수운반차량의 도장 색깔로 적절한 것은?

  1. 황색
  2. 흰색
  3. 청색
  4. 녹색
(정답률: 알수없음)
  • 폐수 재이용업에서 사용하는 폐수운반차량은 폐수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차량이므로 청색이 적절합니다. 청색은 물의 색상과 유사하여 물과 관련된 업무에 적합한 색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청색은 청정성과 신뢰성을 상징하는 색상으로, 폐수 처리업에서는 이러한 이미지를 전달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수질환경보전법에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로 틀린 것은?

  1. 강우 유출수 : 일정지역에서 빗물이나 눈이 녹아 흘러내려 유출되는 물을 말한다.
  2. 불투수층 : 빗물 또는 눈 녹은 물 등이 지하로 스며들 수 없게 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으로 포장된 도로, 주차장, 보도 등을 말한다.
  3. 수질오염물질 : 수질오염의 요인이 되는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4. 수질오염방지시설 :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및 기타 수질오염원부터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감소하게 하는 시설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불투수층 : 빗물 또는 눈 녹은 물 등이 지하로 스며들 수 없게 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으로 포장된 도로, 주차장, 보도 등을 말한다."입니다.

    강우 유출수는 일정 지역에서 빗물이나 눈이 녹아 흘러내려 유출되는 물을 말합니다.

    불투수층은 빗물이나 눈 녹은 물 등이 지하로 스며들 수 없게 하는 것이 아니라, 지하수가 흐르는 층과 분리되어 있는 층을 말합니다.

    수질오염물질은 수질오염의 요인이 되는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하며, 수질오염방지시설은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및 기타 수질오염원부터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감소하게 하는 시설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환경부장관 또는 시도지사가 측정망 설치계획을 결정, 고시한 때에 허가받은 것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하천법 규정에 의한 하천공사의 허가
  2. 하천법 규정에 의한 하천점용의 허가
  3. 공공수역관리법 규정에 의한 공공수역 점용의 허가
  4. 도로법 규정에 의한 도로점용의 허가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부장관 또는 시도지사가 측정망 설치계획을 결정하고 고시한 때에는 해당 계획에 따라 설치된 측정망이 허가받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측정망 설치와 관련된 허가 중에서 환경부장관 또는 시도지사의 결정에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은 모두 허가받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공수역관리법 규정에 의한 공공수역 점용의 허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낚시 금지구역에서 낚시행위를 한 자에 대한 과태료 기준으로 알맞은 것은?

  1. 5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4.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알수없음)
  • 낚시 금지구역에서 낚시행위를 한 자는 해당 구역에서 금지된 행위를 하였으므로 과태료를 부과받게 됩니다. 이때, 과태료의 기준은 해당 법령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낚시 금지구역에서의 과태료 기준은 해당 지역의 행정기관에서 정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과태료 기준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정확한 답을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폐수배출시설의 배출허용항목 중 총인의 배출허용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단, 2007년 12월 31일 까지 적용, 청정지역 기준)

  1. 2mg/L 이하
  2. 4mg/L 이하
  3. 8mg/L 이하
  4. 10mg/L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총인은 폐수 중 인의 총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인은 수질오염물질 중 하나로서 과다한 배출은 수질오염을 악화시키고 수생생물의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이 필요하다. 따라서, 폐수배출시설의 배출허용항목 중 총인의 배출허용기준은 가능한 낮아야 하며, 청정지역 기준으로는 4mg/L 이하로 제한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수질오염경보인 조류주의보 발령시 조치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정수처리강화(활성탄처리, 오존처리)
  2. 정수의 독소분석 실시
  3. 취수구 및 조류우심 지역에 대한 펜스설치 등 조류제거 조치 실시
  4. 주변 오염원에 대한 철저한 지도, 단속
(정답률: 알수없음)
  • 조류주의보 발령시 조치사항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정수의 독소분석 실시"입니다. 이는 조류가 물에 대량 발생하여 수질오염이 발생할 경우, 물 속에 존재하는 독소 농도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정수 시설에서 생산되는 물의 독소 농도를 분석하여 안전한 물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다른 조치사항들은 조류제거나 주변 오염원 관리 등으로 물의 오염을 예방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수질오염경보인 조류예보의 경보단계 중 조류주의보 발령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1. 2회 연속채취시 클로로필-a 농도 5mg/m3 이상이고 남조류 세포 수 50 세포/mL 이상인 경우
  2. 2회 연속채취시 클로로필-a 농도 5mg/m3 이상이고 남조류 세포 수 500 세포/mL 이상인 경우
  3. 2회 연속채취시 클로로필-a 농도 15mg/m3 이상이고 남조류 세포 수 50 세포/mL 이상인 경우
  4. 2회 연속채취시 클로로필-a 농도 15mg/m3 이상이고 남조류 세포 수 500 세포/mL 이상인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조류주의보 발령 기준은 수질 중 클로로필-a 농도와 남조류 세포 수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이다. 따라서, 클로로필-a 농도와 남조류 세포 수가 높을수록 조류주의보 발령 기준에 부합하게 된다. 따라서, "2회 연속채취시 클로로필-a 농도 15mg/m3 이상이고 남조류 세포 수 500 세포/mL 이상인 경우"가 조류주의보 발령 기준으로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사업장별 환경기술인의 자격기준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연간 90일 미만 조업하는 제 1, 2, 3종 사업장은 제 4, 5종 사업장에 해당되는 환경기술인을 선임할 수 있다.
  2. 방지시설 설치면제 대상 사업장과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등을 공동방지시설에서 처리하게 하는 사업장은 제 4, 5종 사업장에 해당되는 환경기술인을 둘 수 있다.
  3. 공동방지시설에 있어서 폐수배출량이 제4 또는 5종 사업장의 규모에 해당되는 경우는 3종 사업장에 해당하는 환경기술인을 두어야 한다.
  4. 폐수종말처리장에 폐수를 유입시켜 처리하는 경우 제 4 또는 5종 사업장은 3종 사업장에 해당하는 환경기술인을 두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폐수종말처리장에 폐수를 유입시켜 처리하는 경우 제 4 또는 5종 사업장은 3종 사업장에 해당하는 환경기술인을 두어야 한다."가 알맞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폐수종말처리장은 제 4 또는 5종 사업장에 해당하므로, 해당 사업장에서는 제 4 또는 5종 사업장에 해당하는 환경기술인을 두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폐수처리기술요원과정의 교육기간은 몇일 이내인가?

  1. 5일 이내
  2. 7일 이내
  3. 10일 이내
  4. 15일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폐수처리기술요원과정은 실무 중심의 짧은 교육과정이므로 교육기간이 5일 이내로 설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환경정책기본법상 적용되는 용수 및 원수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상수원수 3급 : 전처리 등을 거친 고도의 정수처리 후 사용
  2. 상수원수 1급 : 여과 등에 의한 간이정수 처리 후 사용
  3. 공업용수 2급 : 약품처리 등 고도의 정수 처리 후 사용
  4. 수산용수 2급 : 빈부수성 수역의 수산생물용
(정답률: 알수없음)
  • "수산용수 2급 : 빈부수성 수역의 수산생물용"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수산용수 2급은 빈부수성 수역의 수산생물용으로 적용되며, 이는 환경정책기본법에서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보기가 환경정책기본법상 적용되는 용수 및 원수에 관한 내용으로 올바르게 기재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폐수처리방법이 생물화학적 처리방법인 방지시설의 가동개시를 11월 5일에 한 경우 시운전 기간으로 적절한 것은?

  1. 가동개시일부터 30일
  2. 가동개시일부터 50일
  3. 가동개시일부터 70일
  4. 가동개시일부터 9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생물화학적 처리방법은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이 과정에서 미생물이 적정한 환경에 적응하고 활성화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운전 기간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생물화학적 처리방법의 시운전 기간은 2~3개월 정도이며, 이 경우 가동개시일부터 70일이 적절한 시운전 기간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가동개시일부터 70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하천의 환경수질항목 중 총대장균군(총대장균군수/100mL)에 대한 기준은? (단, 이용목적별 적용대상 : 수영용수)

  1. 50 이하
  2. 100 이하
  3. 500 이하
  4. 1000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수영용수는 인체가 직접 접촉하는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총대장균군 수치가 높을 경우 인체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총대장균군 수치가 높을수록 수질이 불량하다고 판단되며, 이에 따라 기준치가 설정됩니다. 수영용수의 경우, 인체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준치가 다른 용도의 수질보다 더욱 엄격하게 설정됩니다. 이에 따라, 총대장균군 수치가 1000 이하일 경우에만 수영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준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대권역별로 수질보전을 위한 기본계획은 몇 년마다 수립하여야 하는가?

  1. 2년
  2. 3년
  3. 5년
  4. 10년
(정답률: 알수없음)
  • 대권역별로 수질보전을 위한 기본계획은 수질환경의 변화를 파악하고 대응하기 위해 일정한 주기로 업데이트되어야 합니다. 그 주기는 너무 짧으면 비용이 많이 들고, 너무 길면 수질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적절한 기간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경우 10년 주기로 수질보전 기본계획이 수립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초과부과금 산정기준인 오염물질 1킬로 그램당 부과금액이 가장 낮은 물질은?

  1. 시안화합물
  2. 카드뮴 및 그 화합물
  3. 6가 크롬 화합물
  4. 트리클로로에틸렌
(정답률: 알수없음)
  • 시안화합물은 다른 오염물질에 비해 매우 작은 농도에서도 인체에 매우 위험한 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초과부과금 산정기준인 1킬로 그램당 부과금액이 가장 낮은 물질이 아닐까 추측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폐수종말처리시설기본계획에 포함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폐수종말처리시설의 설치ㆍ운영자에 관한 사항
  2. 수질오염물질 분포 및 발생된 폐수처리 현황
  3. 부과금의 비용부담에 관한 사항
  4. 폐수종말처리시설의 폐수처리계통도, 처리능력 및 처리방법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폐수종말처리시설의 기본계획에 포함될 사항은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수질오염물질 분포 및 발생된 폐수처리 현황"입니다. 이는 이미 발생된 폐수의 처리 현황을 파악하는 것으로, 기본계획 수립 이전에 이미 수행되어야 하는 사전조사 과정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기본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이미 이러한 정보가 수집되어 있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폐수종말처리시설의 설치ㆍ운영자에 관한 사항, 폐수처리계통도, 처리능력 및 처리방법에 관한 사항 등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호소의 상수원수 1급의 환경기준으로 틀린 것은?

  1. COD - 1mg/L 이하
  2. SS - 1mg/L 이하
  3. 용존산소 - 5mg/L 이상
  4. 총인 - 0.01mg/L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용존산소 - 5mg/L 이상" 이다.

    환경기준에서는 용존산소 농도가 높을수록 더욱 좋은 상태라고 본다. 따라서, 용존산소 농도가 높을수록 환경기준을 더욱 잘 준수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