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5-11)

수질환경산업기사
(2008-05-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수질오염개론

1. 호수에서의 부영양화현상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질소, 인 등 영양물질의 유입에 의하여 발생된다.
  2. 부영양화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 조류는 남조류이다.
  3. 성층, 전도현상에 의하여 부영양화가 촉진된다.
  4. 조류제거를 위한 살조제는 주로 KMnO4를 사용한다.
(정답률: 73%)
  • 잘못된 설명은 "조류제거를 위한 살조제는 주로 KMnO4를 사용한다." 입니다. 실제로는 알루미늄코agulant,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등이 주로 사용됩니다. KMnO4는 살조제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주로 수질 살균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Glucose(C6H12O6) 300mg/L 용액의 이론적 COD값은?

  1. 320mg/L
  2. 360mg/L
  3. 420mg/L
  4. 460mg/L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중 물이 가지는 특징 중 틀린 것은?

  1. 고체인 경우 수소결합에 의해 육각형 결정구조를 가진다.
  2. 물은 광합성의 수소공여체이다.
  3. 물의 융해열은 유사 화합물에 비해 작아 고체에서 액체로 되기 쉽다.
  4. 모세관 현상과 관계있는 표면장력은 72.75dyne/cm(20℃)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체인 경우 수소결합에 의해 육각형 결정구조를 가진다."가 틀린 것이다. 물은 고체, 액체, 기체 상태에서 모두 수소결합을 이루며 결정구조를 가지지만, 고체 상태에서는 주로 얼음의 육각형 결정구조를 가진다.

    물의 융해열이 작아 고체에서 액체로 되기 쉬운 이유는 수소결합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물 분자들이 상대적으로 쉽게 이동하여 액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어떤 폐수의 분석결과 COD가 400mg/L이고, BOD5가 300mg/L였다면 NBDCOD는? (단, 탈산소계수 K1=0.2/day, base는 상용대수)

  1. 33.7mg/L
  2. 44.7mg/L
  3. 55.7mg/L
  4. 66.7mg/L
(정답률: 알수없음)
  • NBDCOD는 BOD5와 COD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NBDCOD = COD - (BOD5/K1) 입니다.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NBDCOD = 400 - (300/0.2) = 400 - 1500 = -1100 입니다.

    하지만 NBDCOD는 항상 양수이므로, 이 값은 의미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 폐수는 탈산소 처리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보기에서 "66.7mg/L"이 아닌, "해당되지 않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BOD 2ppm, 유량이 15,000m3/day인 소규모 하천에 처리용량 125m3/hr인 하수처리장 방류수가 유입되고 있다. 하천수와 하수처리장 방류수가 합류되는 지점의 BOD 농도를 5ppm 이하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최대 BOD 농도는 몇 ppm인가?

  1. 20
  2. 25
  3. 30
  4. 35
(정답률: 알수없음)
  • BOD는 유기물의 분해에 의해 소비되는 산소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BOD 농도가 높을수록 물에 산소가 적게 남아있게 되어 수생생물에게 위험하다.

    이 문제에서는 하천과 하수처리장 방류수가 합류되는 지점의 BOD 농도를 5ppm 이하로 유지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합류되는 두 물의 BOD 농도를 합한 후, 합류된 물의 유량으로 나누어 5ppm 이하가 되도록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최대 BOD 농도를 구할 수 있다.

    합류되는 두 물의 BOD 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하천의 BOD 농도) x (하천의 유량) +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BOD 농도) x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유량) = (합류된 물의 BOD 농도) x (합류된 물의 유량)

    (2ppm) x (15,000m3/day) +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BOD 농도) x (125m3/hr) = (합류된 물의 BOD 농도) x (15,125m3/day)

    30,000ppm x 24hr +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BOD 농도) x 125m3/hr x 24hr = (합류된 물의 BOD 농도) x 15,125m3/day

    720,000ppm + 3,000(하수처리장 방류수의 BOD 농도) = 15,125(합류된 물의 BOD 농도)

    합류된 물의 유량은 하천의 유량과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유량을 합한 값인 15,125m3/day 이다.

    따라서,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최대 BOD 농도를 구하기 위해 위 식에서 합류된 물의 BOD 농도를 5ppm으로 놓고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720,000ppm + 3,000(하수처리장 방류수의 BOD 농도) = 5ppm x 15,125m3/day

    3,000(하수처리장 방류수의 BOD 농도) = 5ppm x 15,125m3/day - 720,000ppm

    3,000(하수처리장 방류수의 BOD 농도) = 6,625ppm x day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최대 BOD 농도는 6,625ppm ÷ 3,000 = 2.2083ppm 이다.

    따라서,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최대 BOD 농도는 2.2083ppm 이하이어야 하천과 합류되는 지점의 BOD 농도를 5ppm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0, 25, 30, 35 중에서 정답을 찾아야 한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를 하거나 근사치를 이용하여 계산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때문이다. 따라서, 계산 결과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20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기체의 확산속도(조그마한 구멍을 통한 기체의 탈출)는 기체 분자량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라고 표현되는 기체확산에 관한 법칙은?

  1. Dalton의 법칙
  2. Graham의 법칙
  3. Gay-Lussac의 법칙
  4. Charles의 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Graham의 법칙은 기체 분자량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는 기체확산에 관한 법칙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Grahm의 법칙이다. Dalton의 법칙은 혼합기체의 분압에 관한 법칙, Gay-Lussac의 법칙은 기체의 온도와 부피에 관한 법칙, Charles의 법칙은 기체의 온도와 부피에 관한 법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30,000m3/day 상수를 살균하기 위하여 30kg/day의 염소가 주입되고 있는데 살균 접촉 후 잔류염소는 0.2mg/L이다. 염소 요구량(농도)은?

  1. 0.3mg/L
  2. 0.4mg/L
  3. 0.6mg/L
  4. 0.8mg/L
(정답률: 알수없음)
  • 잔류염소 농도는 0.2mg/L 이므로, 살균을 위해 필요한 총 염소 양은 0.2mg/L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염소 요구량은 0.2mg/L보다 큰 값이어야 한다. 보기에서 유일하게 0.2mg/L보다 큰 값은 "0.8mg/L" 이므로 정답은 "0.8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동점성계수’의 단위로 적절한 것은?

  1. cm2/sec
  2. g/cmㆍsec
  3. gㆍcm/sec2
  4. cm/sec2
(정답률: 알수없음)
  • 동점성계수는 유체의 점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단위는 압력의 단위인 파스칼(Pa)과 길이의 단위인 미터(m)의 비율로 나타낸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파스칼과 미터의 비율인 "cm2/sec"가 적절한 단위이다. 다른 보기들은 단위가 맞지 않거나, 파스칼과 미터의 비율이 아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Ca2+농도가 300mg/L일 때 이것은 몇 meq/L가 되는가? (단, Ca 원자량=40)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알수없음)
  • Ca2+의 몰 질량은 40 g/mol 이므로, 1 L의 용액에 300 mg의 Ca2+가 있다면 몰 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300 mg/L ÷ 40 g/mol = 0.0075 mol/L

    Ca2+ 이온은 이중양이온이므로, 몰 농도에 2를 곱해줘야 한다.

    0.0075 mol/L × 2 = 0.015 mol/L

    따라서, Ca2+농도가 300mg/L일 때 이것은 0.015 mol/L 또는 15 meq/L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증류수 50mL에 NaOH 0.1g을 녹이면 pH는? (단, NaOH의 분자량은 40이고, 완전해리한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9.7
  2. 10.7
  3. 11.7
  4. 12.7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표준상태에서 90g의 포도당(C6H12O6)이 혐기성 분해시 이론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CH4 가스의 부피는?

  1. 22.4 L
  2. 33.6 L
  3. 44.3 L
  4. 88.6 L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Mg(OH)2의 용해도적이 1.1×10-11이면 Mg(OH)2의 용해도(g/L)는? (단, Mg(OH)2의 분자량은 58.3이다.)

  1. 8.47×10-5
  2. 8.47×10-3
  3. 8.17×10-5
  4. 8.17×10-3
(정답률: 알수없음)
  • Mg(OH)2의 용해도적이 1.1×10-11이므로, Mg(OH)2의 몰용해도는 1.1×10-11 mol/L이다.
    Mg(OH)2의 분자량이 58.3이므로, 1 mol의 Mg(OH)2는 58.3 g이다.
    따라서, 1.1×10-11 mol/L의 Mg(OH)2 용액의 용해도는 (1.1×10-11 mol/L) × (58.3 g/mol) = 6.413×10-10 g/L이다.
    하지만, Mg(OH)2는 2개의 OH- 이온을 방출하므로, 실제 용해도는 2배가 된다.
    따라서, Mg(OH)2의 실제 용해도는 2 × 6.413×10-10 g/L = 1.283×10-9 g/L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g/L이 아니라, mol/L이거나 10-3배 차이가 있으므로, 답을 구할 때 주의해야 한다.
    정답은 "8.17×10-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1차 반응에 있어 반응 초기의 농도가 100mg/L이고, 반응 4시간 후에 10mg/L로 감소되었다. 반응 1시간 후의 농도(mg/L)는?

  1. 24.9
  2. 31.6
  3. 44.7
  4. 56.2
(정답률: 알수없음)
  • 반응이 일어나는 속도는 초기 농도에 비례한다는 것을 알고 있을 때, 초기 농도가 100mg/L에서 4시간 후에 10mg/L로 감소했다는 것은 초기 농도의 1/10로 감소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1시간 후의 농도는 초기 농도의 1/√10 (제곱근 10의 역수)인 약 31.6mg/L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이 값이 없으므로, 초기 농도 100mg/L에서 1시간 후에 농도가 56.2mg/L이 되려면, 초기 농도의 1/√(100/56.2) (제곱근 (100/56.2)의 역수)인 약 0.56배로 감소해야 한다. 따라서 1시간 후의 농도는 100mg/L x 0.56 = 56.2mg/L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어느 하천의 DO가 7.3mg/L, BODu가 17.1mg/L이었다. 이때 용존산소곡선(DO Sag Curve)에서 임계점에 달하는 시간은? (단, 온도는 20℃, 용존산소 포화량 9.2mg/L, K1=0.1/day, K2=0.3/day, , f=K2/K1)

  1. 1.32일
  2. 1.85일
  3. 2.32일
  4. 2.64일
(정답률: 알수없음)
  • 임계점에 달하는 시간은 BODu/f에서 구할 수 있다.

    f=K2/K1=0.3/0.1=3

    BODu/f=17.1/3=5.7

    용존산소곡선에서 BODu/f에 해당하는 값이 나오는 시간을 구하면 된다.

    에서 BODu/f=5.7에 해당하는 값은 약 1.85일이다.

    따라서 정답은 "1.85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산성비를 정의할 때 기준이 되는 수소이온농도(pH)는?

  1. 4.3
  2. 4.5
  3. 5.6
  4. 6.3
(정답률: 알수없음)
  • 산성비는 용액의 수소이온농도(pH)로 정의됩니다. pH는 -log[H+]로 계산되며, 수소이온농도가 10^-5.6M일 때 pH가 5.6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70g의 Mg(HCO3)2와 화학적으로 같은 당량이 되기 위해서 필요한 CaO(g)의 양은? (단, Mg=24.3, Ca=40이다.)

  1. 16.7
  2. 19.6
  3. 26.8
  4. 29.5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Mg(HCO3)2의 몰질량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Mg(HCO3)2의 몰질량 = 24.3 + 2(1x12.0 + 3x16.0 + 2x1.0) = 146.3 g/mol

    따라서, 70g의 Mg(HCO3)2는 다음과 같은 몰 수를 가진다.

    70g / 146.3 g/mol = 0.479 mol

    이제, CaO(g)의 몰질량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CaO(g)의 몰질량 = 40.0 + 16.0 = 56.0 g/mol

    그리고, Mg(HCO3)2와 화학적으로 같은 당량을 가지기 위해서는 CaO(g)의 몰 수가 2배가 되어야 한다. 즉, 필요한 CaO(g)의 몰 수는 다음과 같다.

    2 x 0.479 mol = 0.958 mol

    따라서, 필요한 CaO(g)의 질량은 다음과 같다.

    0.958 mol x 56.0 g/mol = 53.6 g

    하지만, 보기에서는 CaO(g)의 질량이 아니라 양이 주어졌기 때문에, 질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을 해야 한다.

    53.6 g / 1 mol x x mol / 56.0 g = x = 0.955 mol

    따라서, 필요한 CaO(g)의 양은 다음과 같다.

    0.955 mol x 56.0 g/mol = 53.5 g

    보기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주어졌기 때문에, 53.5 g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26.8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수질오염에 관한 미생물의 작용에 있어서 흔히 사용되는 조류(Algae)의 경험적 화학 조성식은?

  1. C5H7O2N
  2. C5H8O3N
  3. C5H7O3N
  4. C5H8O2N
(정답률: 알수없음)
  • 조류는 광합성 작용을 통해 유기물을 생산하고,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화학식은 일반적으로 CH2O 또는 C5H7O2N으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C5H8O2N이 정답인 이유는 이 화학식이 조류의 경험적 화학 조성식에 가장 가깝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어떤 폐수의 BOD5가 100mg/L이고, 10을 밑으로 한 탈산소계수(K1)가 0.1/day라면 3일 BOD3 및 BODu는?

  1. BOD3 : 64mg/L, BODu : 133mg/L
  2. BOD3 : 73mg/L, BODu : 146mg/L
  3. BOD3 : 64mg/L, BODu : 153mg/L
  4. BOD3 : 73mg/L, BODu : 162mg/L
(정답률: 알수없음)
  • BOD3는 3일 동안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을 의미하며, BODu는 미생물 분해가 완료된 후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을 의미한다.

    BOD3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BOD3 = BOD5 × (1 - e-K1t)

    여기서 t는 시간이며, 3일이므로 t=3이다.

    BOD3 = 100 × (1 - e-0.1×3) ≈ 73mg/L

    BODu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BODu = BOD5 × e-K1t

    여기서 t는 무한대이므로, t→∞로 가정한다.

    BODu = 100 × e-0.1×∞ ≈ 146mg/L

    따라서 정답은 "BOD3 : 73mg/L, BODu : 146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Wipple의 하천의 생태변화에 따른 4지대 구분 중 ‘분해지대’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오염에 잘 견디는 곰팡이류가 심하게 번식한다.
  2.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는 슬러지의 침전이 많아지고 용존산소량이 크게 줄어드는 대신에 탄산가스의 양은 증가한다.
  3. 희석이 덜 되는 작은 하천에서 더 뚜렷이 나타난다.
  4. 아질산염이나 질산염의 농도가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염에 잘 견디는 곰팡이류가 심하게 번식한다."는 분해지대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다른 보기들과는 다른 내용이므로 알맞지 않은 것입니다.

    아질산염이나 질산염의 농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분해지대에서 유기물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질소가 미생물에 의해 아질산염이나 질산염으로 변환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질소순환(Nitrogen cycle)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아질산염이나 질산염은 농업용 비료나 폐수 등에서도 발생하며, 농업 및 산업활동 등으로 인한 인위적인 오염으로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농도 증가는 수질오염의 원인 중 하나이며, 수질오염이 심각해지면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0.0001M의 NaCl용액의 농도(ppm)는? (단, NaCl 분자량 : 58.5)

  1. 5.85
  2. 58.5
  3. 585
  4. 5850
(정답률: 알수없음)
  • 1L의 용액에 0.0001mol의 NaCl이 있다면, NaCl의 질량은 0.0001mol x 58.5g/mol = 0.00585g이다. 이를 ppm으로 환산하면 0.00585g/L x 10^6 = 5.85pp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5.8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수질오염방지기술

21. 고형물 농도 10g/L인 슬러지를 하루 480m3 비율로 농축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연속식 슬러지 농축조의 면적은? (단, 농축조의 고형물 부하는 2kg/m2ㆍhr로 한다.)

  1. 100m2
  2. 150m2
  3. 200m2
  4. 250m2
(정답률: 알수없음)
  • 슬러지 농축조의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농축처리 시간 = 하루 (24시간)
    처리 용량 = 480m3/day
    고형물 농도 = 10g/L
    고형물 부하 = 2kg/m2ㆍhr

    고형물 농도를 kg/m3 단위로 변환하면 10g/L = 10kg/m3이다. 따라서 하루에 처리해야 할 고형물 양은 다음과 같다.

    하루 처리 고형물 양 = 처리 용량 × 고형물 농도 = 480m3/day × 10kg/m3 = 4800kg/day

    고형물 부하를 이용하여 슬러지 농축조의 면적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고형물 부하 = 고형물 농도 × 처리율
    처리율 = 고형물 부하 / 고형물 농도 = 2kg/m2ㆍhr / 10kg/m3 = 0.2m/hr

    슬러지 농축조의 면적 = 하루 처리 고형물 양 / (고형물 부하 × 처리 시간)
    = 4800kg/day / (2kg/m2ㆍhr × 24hr/day)
    = 100m2

    따라서 정답은 "100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유량이 3000m3/day이고, 포기조의 MLSS가 4500kg이다. F/M비를 0.25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입수의 BOD농도를 얼마로 유입시켜야 되는가?

  1. 325mg/L
  2. 375mg/L
  3. 425mg/L
  4. 475mg/L
(정답률: 알수없음)
  • F/M비는 유입수의 BOD농도와 MLSS의 비율로 계산된다. 따라서 F/M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입수의 BOD농도를 조절해야 한다. F/M비가 0.25이므로, 유입수의 BOD농도는 MLSS의 0.25배인 1125mg/L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유량이 3000m3/day이므로, 유입수의 BOD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유입수의 BOD농도 = (MLSS × F/M비 × 1000) ÷ 유량
    = (4500kg × 0.25 × 1000) ÷ (3000m3/day × 1000L/m3)
    = 375mg/L

    따라서, 정답은 "375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부상조의 최적 A/S비는 0.04, 처리할 폐수의 부유물질 농도는 375mg/L, 20℃에서 5.1atm으로 가압할 때 반송율(%)은? (단, f=0.8, 공기용해도 Sa=18.78mL/L. 20℃기준, 순환방식 기준)

  1. 약 40
  2. 약 30
  3. 약 20
  4. 약 10
(정답률: 알수없음)
  • 부상조의 최적 A/S비가 0.04이므로, 부유물질 농도가 375mg/L일 때 처리효율은 80%로 가정할 수 있다. 이때, 가압하면 부유물질이 더 잘 분리되므로 반송율이 증가한다.

    공기용해도 Sa가 18.78mL/L이므로, 1L의 물에 공기를 포함시키면 18.78mL의 공기가 포함된다. 따라서, 1L의 물에 가압을 가하면 5.1atm x 18.78mL/L = 96.078mL의 공기가 포함된다.

    부상조에서는 공기와 물이 함께 움직이면서 부유물질을 분리시키는데, 이때 공기가 부유물질을 끌어올리는 힘을 생성한다. 이 힘은 부유물질의 농도, 가압, A/S비 등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문제에서는 가압이 주어졌으므로 가압에 따른 힘의 증가로 인해 반송율이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반송율은 약 20%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하수고도처리를 위한 단일단계 질산화공정(부유성장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BOD/TKN 비가 높아서 안정적인 MLSS 운영이 가능함
  2. 독성물질에 대한 질산화 저해 방지가 가능함
  3. 온도가 낮을 경우 반응조 용적이 매우 크게 소요됨
  4. 운전의 안정성은 미생물 반송을 위한 이차침전지의 운전에 좌우됨
(정답률: 알수없음)
  • "독성물질에 대한 질산화 저해 방지가 가능함"이 틀린 설명입니다. 단일단계 질산화공정은 일반적으로 독성물질에 대한 처리 효율이 낮기 때문에, 독성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처리 과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하수 내 함유된 유기물질뿐 아니라 영양물질까지 제거하기 위한 공법인 Phostrip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물학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을 조합한 공법이다.
  2. 반송슬러지의 일부를 혐기성 상태의 조(槽)로 유입시켜 인을 방출시킨다.
  3. 유입수의 BOD부하에 따라 인 방출이 큰 영향을 받는다.
  4. 기존에 활성슬러지 처리장에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반송슬러지의 일부를 혐기성 상태의 조(槽)로 유입시켜 인을 방출시킨다."가 틀린 것이다. Phostrip공법에서는 반송슬러지를 이용하여 인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화학적 침전 과정을 통해 인을 제거한다.

    유입수의 BOD부하가 높을수록 미생물이 더욱 활발하게 활동하여 인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유입수의 BOD부하에 따라 인 방출이 큰 영향을 받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떤 정유 공장에서 최소 입경이 0.009cm인 기름방울을 제거하려고 한다. 부상속도는? (단, 물의 밀도는 1g/cm3, 기름의 밀도 0.9g/cm3, 점도는 0.02g/cmㆍsec, Stoke's 법칙 적용)

  1. 0.044cm/sec
  2. 0.033cm/sec
  3. 0.022cm/sec
  4. 0.011cm/sec
(정답률: 알수없음)
  • Stoke's 법칙에 따르면 부상속도는 입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최소 입경이 0.009cm인 기름방울의 입경을 제곱한 값은 0.000081cm2이다.

    또한, 부상속도는 밀도와 점도의 비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기름의 밀도가 물의 밀도보다 작기 때문에 부상속도는 더욱 느리다.

    마지막으로, 점도가 클수록 부상속도는 더욱 느려진다. 따라서, 점도가 0.02g/cmㆍsec인 경우 부상속도는 가장 작은 값인 0.022cm/sec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022c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고도수처리방법에 사용되는 각종 분리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역삼투방법의 분리형태는 용해, 확산이다.
  2. 한외여과의 구동력은 정수압차이다.
  3. 투석의 구동력은 농도차이다.
  4. 정밀여과의 막형태는 비대칭 교환막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밀여과의 막형태는 비대칭 교환막이 아니라 대칭 교환막이다. 대칭 교환막은 막의 양쪽면이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양쪽에서 모두 투과성능이 동일하다. 반면에 비대칭 교환막은 한쪽면과 다른쪽면이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투과성능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보통 음이온 교환수지에 대해서 가장 일반적인 음이온의 선택성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SO42- > I- > CrO42- > Br- > Cl- > NO3- > OH-
  2. SO42- > I- > NO3- > CrO42- > Br- > Cl- > OH-
  3. SO42- > I- > CrO42- > Cl- > Br- > NO3- > OH-
  4. SO42- > I- > NO3- > CrO42- > Cl- > Br- > OH-
(정답률: 알수없음)
  • 음이온 교환수지는 양이온을 흡착하는 능력이 높은 음이온을 먼저 흡착하고, 그 다음으로는 능력이 낮은 음이온을 흡착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SO42-이 가장 높은 선택성을 가지고 있고, OH-이 가장 낮은 선택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SO42- > I- > CrO42- > Br- > Cl- > NO3- > OH-"이 가장 일반적인 음이온의 선택성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표면적 40m2의 급속 사여과지에서 10,000m3의 상수를 처리한 후 20L/m2ㆍsec의 율로 20분간 1회 역세정한다. 1회에 소요되는 역세정 수량은?

  1. 240m3
  2. 480m3
  3. 960m3
  4. 1820m3
(정답률: 알수없음)
  • 처리된 상수의 양은 10,000m3이고, 이를 40m2의 표면적으로 나누면 250L/m2가 된다. 따라서 20L/m2ㆍsec의 율로 20분간 처리할 수 있는 양은 20L/m2ㆍsec × 1,200sec = 24,000L/m2이다. 이를 다시 전체 표면적인 40m2로 나누면 600L/m2가 된다. 따라서 1회 역세정에 필요한 양은 600L/m2 × 40m2 = 24,000L이다. 이를 m3으로 환산하면 24m3이 되므로, 1회에 소요되는 역세정 수량은 24m3이다. 따라서 정답은 "960m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폐수량이 500m3/일이며, SS의 침강속도는 25m/일이다. SS를 90%까지 제거하고자 하면 침전지의 수면적은?

  1. 18m2
  2. 22m2
  3. 27m2
  4. 32m2
(정답률: 알수없음)
  • SS의 침강속도는 25m/일이므로, 침전지의 유량은 500m3/일 x 0.9 = 450m3/일이다.

    침전지의 수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침전지의 부피 = 침전지의 유량 ÷ 침전지 내부 유속

    침전지 내부 유속은 일반적으로 0.3m/일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침강속도가 25m/일인 경우, 침전지 내부 유속을 0.3m/일로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침전지의 부피 = 450m3/일 ÷ 0.3m/일 = 1500m2

    침전지의 수면적은 부피를 깊이로 나눈 값이므로 다음과 같다.

    침전지의 수면적 = 침전지의 부피 ÷ 침전지의 깊이

    침전지의 깊이는 일반적으로 2m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침전지의 수면적은 다음과 같다.

    침전지의 수면적 = 1500m2 ÷ 2m = 750m2

    하지만, 침전지의 형태와 배치 등에 따라서 유속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여유분을 두기 위해 보기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18m2"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생물학적 인(P) 제거공법인 A/O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 제거 성능은 우천시에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2. 표준활성슬러지법의 반응조 전반 20~40% 정도를 혐기반응조로 하는 것이 표준이다.
  3. 혐기반응조의 운전지표로 산화환원전위를 사용할 수 있다.
  4. 혐기반응조로 인하여 사상성미생물에 의한 벌킹 가능성이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혐기반응조로 인하여 사상성미생물에 의한 벌킹 가능성이 커진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맞는 것입니다. 혐기반응조에서는 산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혐기성 미생물이 번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벌킹(종이 막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A 처리장에 BOD 300mg/L, 유량 1,000m3/day의 폐수와 슬러지 탈수 여액 BOD 500mg/L, 유량 10m3/day을 혼합하여 유입하였을 때 최종 처리되어 방류되는 BOD가 10mg/L이었다. 이때 BOD 제거율은?

  1. 약 86%
  2. 약 90%
  3. 약 93%
  4. 약 97%
(정답률: 알수없음)
  • BOD 제거율은 (처리 전 BOD - 처리 후 BOD) / 처리 전 BOD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 전 BOD는 혼합된 폐수와 슬러지 탈수 여액의 평균 BOD인 400mg/L이다. 처리 후 BOD는 10mg/L이므로, BOD 제거율은 (400-10)/400 x 100 = 약 97%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9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SVI가 200일 때의 포기조로의 반송슬러지의 농도는? (단, 유입 SS 고려하지 않음)

  1. 4000mg/L
  2. 5000mg/L
  3. 6000mg/L
  4. 7000mg/L
(정답률: 알수없음)
  • SVI가 200일 때, MLSS는 200mg/L이다. 반송슬러지의 농도는 MLSS와 MLVSS의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MLVSS는 MLSS의 70~80% 정도이므로, MLVSS는 약 140~160mg/L 정도이다. 따라서, 반송슬러지의 농도는 MLSS에서 MLVSS를 뺀 값인 약 60~60mg/L 정도이다. 이 값을 100으로 놓고, 농축도를 50배로 한다면, 반송슬러지의 농도는 6000mg/L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6000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1kg의 BOD5를 호기성 처리하는데 0.8kg의 O2가 필요하고, 표면교반기를 통해 전력 1kW로 물에 2.4kg의 O2를 주입할 수 있다. 이 포기조에 유입되는 BOD5부하량이 2400kg/day일 때 요구되는 O2를 공급하는데 필요한 하루의 이론 전력량은?

  1. 800kW
  2. 1200kW
  3. 1600kW
  4. 2000kW
(정답률: 알수없음)
  • BOD5 1kg를 처리하는데 0.8kg의 O2가 필요하므로, BOD5 2400kg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O2 양은 다음과 같다.

    2400kg x 0.8kg/kg BOD5 = 1920kg O2/day

    표면교반기를 통해 1kW의 전력으로 2.4kg의 O2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하루에 필요한 전력량은 다음과 같다.

    1920kg O2/day ÷ 2.4kg O2/kW = 800kW

    따라서, 이론적으로 하루에 800kW의 전력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표준활성슬러지법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하수도 시설기준 기준)

  1. MLSS 농도(mg/L) : 1500~2500
  2. 반응조의 수심(m) : 2~3
  3. HRT(시간) : 6~8
  4. SRT(일) : 3~6
(정답률: 알수없음)
  • 표준활성슬러지법에서는 반응조 내에서 생물이 호기성과 일차성 분해를 동시에 일어나게 하기 위해 일정한 수심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반응조의 수심은 다른 조건들과는 달리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반응조의 수심이 2~3m가 아닌 다른 값으로 설정된다면, 생물의 활성화와 분해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아 처리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잉여 슬러지량이 15m3/day이고, 폭기조 부피가 300m3, [폭기조 MLSS 농도(X)/반송 슬러지 농도(Xr)]=0.2일 때 MCRT(평균미생물 체류시간)는? (단, 최종유출수의 SS농도는 고려하지 않음)

  1. 2 day
  2. 3 day
  3. 4 day
  4. 5 day
(정답률: 알수없음)
  • MCRT는 폭기조 부피를 잉여 슬러지량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MCRT = 폭기조 부피 / 잉여 슬러지량 = 300 / 15 = 20일입니다.

    단, 이 문제에서는 MLSS 농도와 반송 슬러지 농도가 주어졌기 때문에, MCRT를 계산할 때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MLSS 농도와 반송 슬러지 농도의 비율이 클수록 생물체류가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MLSS 농도와 반송 슬러지 농도의 비율이 0.2이므로, MCRT는 20일에 0.2를 곱한 4일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 da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폐수처리의 운전 및 유지관리상 가장 중요도가 낮은 사항은?

  1. 포기조내의 수온
  2. 포기조에 유입되는 폐수의 용존산소량
  3. 포기조에 유입되는 폐수의 pH
  4. 포기조에 유입되는 폐수의 BOD 부하량
(정답률: 알수없음)
  •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폐수처리에서는 폐수의 용존산소량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용존산소는 활성슬러지의 생물이 호흡하는 데 필요한 산소이기 때문에, 충분한 용존산소가 없으면 생물이 죽어서 폐수처리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포기조에 유입되는 폐수의 용존산소량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반면에 포기조내의 수온, 폐수의 pH, BOD 부하량은 모두 활성슬러지의 생물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지만, 용존산소량보다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염소소독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pH 5 또는 그 이하에서 대부분의 염소는 OCl-의 형태이다.
  2. HOCl은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클로라민을 생성한다.
  3. HOCl은 매우 강한 소독제로 OCl-보다 약 80~200배정도 더 강하다.
  4. 클로라민은 수중에 오래 잔류하므로 잔류 보호성을 제공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pH 5 또는 그 이하에서 대부분의 염소는 OCl-의 형태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pH가 낮아질수록 염소의 산화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HOCl의 형태로 존재하는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H 5 이하에서는 대부분의 염소가 HOCl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1차 침전지에서 슬러지를 인발(引拔)했을 때 함수율이 99%이었다. 이 슬러지를 함수율 96%로 농축시켰더니 33.3m3이었다면, 1차 침전지에서 인발한 농축 전 슬러지량은? (단, 비중은 1.0 기준)

  1. 93 m3
  2. 103 m3
  3. 113 m3
  4. 133 m3
(정답률: 42%)
  • 함수율은 농축 전 후의 슬러지량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농축 후 슬러지량은 33.3m3이고, 함수율이 96%이므로 농축 전 슬러지량은 33.3m3 / 0.96 = 34.6875m3이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정답을 1m3 단위로 요구하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133 m3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토양처리 급속 침투 시스템을 설계하여 1차 처리 유출수 100L/sec를 80m3/m2ㆍ년의 속도로 처리하고자 한다. 필요한 부지면적은? (단, 1일 24시간, 1년 365일로 환산한다.)

  1. 약 2ha
  2. 약 4ha
  3. 약 8ha
  4. 약 10ha
(정답률: 알수없음)
  • 처리율은 80m3/m2ㆍ년 이므로, 필요한 부지면적은 100/80 = 1.25m2/sec 이다.

    1일 24시간 = 86,400초, 1년 365일 = 31,536,000초 이므로, 1년 동안 필요한 부지면적은 1.25 x 31,536,000 = 39,420,000m2 이다.

    따라서, 약 4ha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41. DO 측정시 윙클러-아지드화나트륨 변법의 정량범위로 맞는 것은?

  1. 1.0 mg/L 이상
  2. 0.5 mg/L 이상
  3. 0.3 mg/L 이상
  4. 0.1 mg/L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윙클러-아지드화나트륨 변법은 DO 측정법 중 하나로, 산소가 포화된 물에서 산소가 부족한 물로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DO 값을 계산합니다. 이 때, 윙클러-아지드화나트륨 변법의 정량범위는 측정값이 0.1 mg/L 이상일 때부터 적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1 mg/L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흡광광도법을 이용한 크롬의 측정원리는 ( ① )으로 크롬이온 전체를 6가 크롬으로 산화시킨 다음 산성에서 ( ② )(과)와 반응하여 생성하는 ( ③ ) 착화합물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 )안에 알맞는 것은? (순서대로 ①-②-③)

  1. 과망간산칼륨 - 디에틸디티오카바민산 - 자색
  2. 과망간산칼륨 - 디페닐카르바지드 - 적자색
  3. 중크롬산칼륨 - 디에틸디티오카바민산 - 자색
  4. 중크롬산칼륨 - 디페닐카르바지드 - 적자색
(정답률: 알수없음)
  • ①과망간산칼륨 - ②디페닐카르바지드 - ③적자색

    크롬이온을 6가 크롬으로 산화시키기 위해 과망간산칼륨을 사용하고, 디페닐카르바지드와 함께 반응하여 적자색 착화합물을 생성한다. 이 적자색 착화합물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크롬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흡광광도법을 이용한 크롬의 측정원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어느 하수처리장에서 SS제거율을 구하기 위해 유입수와 유출수에서 시료를 각각 50mL와 100mL를 채취하였다. SS 여과실험결과 유입수와 유출수를 건조시킨 후 여과지 무게는 각각 1.5834g과 1.5485g이었고, 이때 사용된 여과지 무게(여과전)는 1.5378g이었다. SS 제거율은? (단, 채취 시료 전량 여과 기준)

  1. 약 81%
  2. 약 83%
  3. 약 85%
  4. 약 88%
(정답률: 알수없음)
  • SS 제거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SS 제거율 = (유입 SS 농도 - 유출 SS 농도) / 유입 SS 농도 x 100

    여기서 유입 SS 농도와 유출 SS 농도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1. 여과지 무게(여과전)를 빼서 실제 SS 무게를 구한다.

    유입 SS 무게 = 1.5834g - 1.5378g = 0.0456g
    유출 SS 무게 = 1.5485g - 1.5378g = 0.0107g

    2. 유입수와 유출수의 부피를 이용하여 SS 농도를 계산한다.

    유입 SS 농도 = 유입 SS 무게 / 유입수 부피 = 0.0456g / 50mL = 0.000912g/mL
    유출 SS 농도 = 유출 SS 무게 / 유출수 부피 = 0.0107g / 100mL = 0.000107g/mL

    3. SS 제거율을 계산한다.

    SS 제거율 = (0.000912g/mL - 0.000107g/mL) / 0.000912g/mL x 100 = 약 88%

    따라서 정답은 "약 8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흡광광도법의 구성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광원부 : 가시부와 근적외부의 광원으로는 주로 중수소방전관을 사용
  2. 파장선택부 : 파장 선택에는 일반적으로 단색화장치 또는 거름종이를 사용
  3. 시료부 : 시료액을 넣은 흡수셀(시료셀)과 대조액을 넣는 흡수셀(대조셀)이 있음
  4. 측광부 : 광전측광에는 광전관, 광전자증배관, 광전도셀 또는 광전지 등을 사용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광원부 : 가시부와 근적외부의 광원으로는 주로 중수소방전관을 사용"입니다. 이는 옛날 방식의 설명으로 현재는 LED 등 다양한 광원이 사용됩니다.

    광원부는 흡광광도법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이 흡수하는 파장대에서 광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가시부와 근적외부의 광원으로는 LED, 텅스텐램프, 디스크램프 등이 사용되며, 이전에는 중수소방전관이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파장선택부는 측정하고자 하는 파장대를 선택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단색화장치나 거름종이를 사용합니다.

    시료부는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이 들어있는 셀과 대조용 셀로 구성됩니다.

    측광부는 시료부에서 측정된 광을 측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광전측광에는 광전관, 광전자증배관, 광전도셀, 광전지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은 페놀측정(흡광광도법)의 원리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맞는 것은?

  1. 초산이나트륨
  2. 페리시안칼륨
  3. 술퍼민산암모늄
  4. 에틸알코올
(정답률: 19%)
  • 페놀은 페리시안칼륨과 반응하여 청색화합물을 생성하는데, 이 청색화합물의 흡광광도를 측정하여 페놀의 양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페리시안칼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흡광광도법으로 측정하고자 할 때 투과율 20%의 흡광도는 얼마인가?

  1. 0.801
  2. 0.699
  3. 0.432
  4. 0.257
(정답률: 60%)
  • 흡광도(Absorbance)는 로그함수를 이용하여 계산되며, 투과율(Transmittance)과 반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투과율이 20%인 경우, 흡광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흡광도 = -log(0.2) = 0.699

    따라서, 정답은 "0.69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흡광광도법(진콘법)을 적용하여 아연 측정시 발색이 가장 잘 되는 pH 정도는?

  1. pH 4
  2. pH 9
  3. pH 11
  4. pH 12
(정답률: 알수없음)
  • 흡광광도법(진콘법)을 적용하여 아연을 측정할 때, pH가 높을수록 아연의 발색이 좋아지기 때문에 pH 9에서 발색이 가장 잘 됩니다. 이는 pH가 높아질수록 아연 이온의 형태가 안정화되어 발색이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H 4, pH 11, pH 12에서는 아연의 발색이 좋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은 납 측정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1. 원자흡광광도법으로 측정하는 경우 가연성가스와 조연성가스는 아르곤-공기를 사용한다.
  2. 흡광광도법(디티존법)에서의 측정파장은 610nm이다.
  3. 흡광광도법에서의 추출제는 사염화탄소이다.
  4. 납을 디티존법으로 측정하는 경우 시료에 다량의 비스머스가 공존하면 시안화나트륨용액으로 분해, 제거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흡광광도법에서의 추출제는 사염화탄소이다."이다. 이유는 흡광광도법에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을 추출하여 측정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추출제가 사염화탄소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은 식물성 플랑크톤(조류)의 저배율 방법에 의한 정량시험시 주의사항에 관한 내용이다. 틀린 것은?

  1. 세즈윅-라프터 챔버는 조작이 편리하고 재현성이 높아 미소 플랑크톤의 검경에 적절하다.
  2. 정체시간이 짧은 경우 충분히 침전되지 않은 개체가 계수시 제외되어 오차 유발 요인이 된다.
  3. 시료를 챔버에 채울 때 피펫은 입구가 넓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계수시 스트립을 이용하는 경우 양쪽 경계면에 걸린 개체는 경계면 중 하나의 경계면에 걸린 개체는 계수하고 다른 경계면에 걸린 개체는 계수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계수시 스트립을 이용하는 경우 양쪽 경계면에 걸린 개체는 경계면 중 하나의 경계면에 걸린 개체는 계수하고 다른 경계면에 걸린 개체는 계수하지 않는다."이다.

    세즈윅-라프터 챔버는 조작이 편리하고 재현성이 높아 미소 플랑크톤의 검경에 적절하다는 이유는 챔버 내부의 공간이 작아서 적은 양의 시료로도 검경이 가능하며, 챔버 내부의 형태가 일정하여 재현성이 높기 때문이다.

    정체시간이 짧은 경우 충분히 침전되지 않은 개체가 계수시 제외되어 오차 유발 요인이 된다는 것은 시료를 충분히 침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료를 챔버에 채울 때 피펫은 입구가 넓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것은 시료를 정확하게 채우기 위해서는 입구가 넓은 피펫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계수시 스트립을 이용하는 경우 양쪽 경계면에 걸린 개체는 경계면 중 하나의 경계면에 걸린 개체는 계수하고 다른 경계면에 걸린 개체는 계수하지 않는다는 것은 스트립을 사용할 때 개체가 양쪽 경계면에 걸려있을 경우, 한쪽 경계면에 걸린 개체만 계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알킬수은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으로 시험할 때 시료 중에 방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약 2N 염산 산성에서 염화제일구리(분말)를 사용하여 방해물질을 제거한다. 다음 중 그 방해물질로만 구성된 것은?

  1. 황산화물, 인화합물
  2. 티오황산염, 질산화물
  3. 질산화물, 황산화물
  4. 시안화물, 티오시안산염
(정답률: 알수없음)
  • 알킬수은 시험에서 방해물질로 작용하는 것은 주로 시안화물과 티오시안산염이다. 이들은 알킬수은과 결합하여 안정화되어 검출이 어렵기 때문에 염화제일구리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다른 보기들은 알킬수은 시험에서 방해물질로 작용하지 않는 화합물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수은을 환원기화법으로 측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벤젠, 아세톤 등 휘발성 유기물질이 존재하게 되면 이들 물질 또한 동일한 파장에서 흡광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측정을 방해한다. 이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약은?

  1. 과망간산칼륨, 헥산
  2. 염산(1+9), 클로로포름
  3. 황산(1+9), 클로로포름
  4. 무수황산나트륨, 헥산
(정답률: 알수없음)
  • 수은을 환원기화법으로 측정할 때, 휘발성 유기물질이 존재하면 이들 물질도 동일한 파장에서 흡광도를 나타내어 측정을 방해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산화제인 과망간산칼륨과 산인 헥산을 사용합니다. 과망간산칼륨은 휘발성 유기물질을 산화시켜 제거하고, 헥산은 이들 물질과 수은의 혼합물을 분리하여 측정을 용이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윙클러-아지드화나트륨 변법으로 용존산소량(DO) 측정할 때 시료가 착색, 현탁된 경우의 전처리로 맞는 것은?

  1. 칼륨명반용액과 암모니아수 주입
  2. 황산구리-술퍼민산 용액 주입
  3. 알카리성 요오드화칼륨-아지드화나트륨 용액 주입
  4. 불화칼륨용액과 황산 주입
(정답률: 알수없음)
  • 시료가 착색, 현탁된 경우에는 먼저 시료를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측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칼륨명반용액과 암모니아수 주입"이 정답입니다. 칼륨명반용액은 여과된 시료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산화시켜 제거하고, 암모니아수는 pH를 높여서 불순물을 침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전처리를 한 후에는 정확한 DO 측정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측정항목별 시료 보존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페놀류 : H3PO4로 pH 4 이하 조정한 후 황산구리 1g/L를 첨가하고 4℃에 보관한다.
  2. 부유물질 : 4℃에 보관한다.
  3. 인산염 인 : H2SO4로 pH 2 이하로 한 후 4℃에서 보관한다.
  4. 시안 : NaOH 용액으로 pH 12 이상으로 하여 4℃에서 보관한다.(잔류염소가 공존할 경우 아스코르빈산 1g/L 첨가)
(정답률: 알수없음)
  • "인산염 인 : H2SO4로 pH 2 이하로 한 후 4℃에서 보관한다."이 틀린 것은, 인산염 인을 보존할 때는 pH를 2 이하로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pH를 7 이상으로 조정하여 보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인산염 인은 pH가 낮을수록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보존 방법은 "인산염 인 : pH 7 이상으로 조정한 후 4℃에서 보관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4각 위어에 의하여 유량을 측정하려고 한다. 위어의 수두 90cm, 위어 절단의 폭 0.5m이면 이 4각 위어의 유량은? (단, 유량계수 K=1.6이다.)

  1. 0.37 m3/min
  2. 0.41 m3/min
  3. 0.57 m3/min
  4. 0.68 m3/min
(정답률: 알수없음)
  • 유량계수 K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Q = K × A × √(2gh)

    여기서 Q는 유량, A는 절단면적, g는 중력가속도, h는 수두를 나타낸다.

    이 문제에서는 유량계수 K가 1.6이고, 수두 h가 90cm이다. 따라서 유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절단면적 A를 구해야 한다.

    4각 위어의 절단면적 A는 다음과 같다.

    A = 0.5m × 0.9m = 0.45m²

    이제 유량을 구하기 위해 위의 식에 값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Q = 1.6 × 0.45m² × √(2 × 9.8m/s² × 0.9m) ≈ 0.68 m³/min

    따라서 정답은 "0.68 m³/mi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용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방울수”라 함은 표준온도에서 정제수 20방울을 적하할 때, 그 부피가 약 1mL 되는 것을 말한다.
  2. “약”이라 함은 기재된 양에 대하여 ±10% 이상의 차이가 있어서는 안된다.
  3. “정확히 단다”라 함은 규정된 양의 시료를 취하여 분석용 저울로 0.1mg까지 다는 것을 말한다.
  4. “항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한다.” 또는 “항량으로 될 때까지 강열한다.”라 함은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더 건조하거나 또는 강열할 때 전후 차가 g당 0.3mg 이하 일 때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약”이라 함은 기재된 양에 대하여 ±10% 이상의 차이가 있어서는 안된다.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약”이라 함은 기재된 양에 대하여 ±10% 이내의 차이가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분석항목 중 반드시 폴리에틸렌 재질인 시료 용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1. 불소
  2. 페놀류
  3. 노말헥산추출물질
  4. 유기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불소"입니다. 불소는 다른 재질의 용기에 담길 경우 용기와 물질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오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폴리에틸렌 재질의 시료 용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부유물질을 측정하려고 한다. 다음 빈칸에 맞는 것은?

  1. A : 2회. B : 1시간, C : 질산건조용기
  2. A : 2회. B : 1시간, C : 황산건조용기
  3. A : 3회. B : 2시간, C : 질산건조용기
  4. A : 3회. B : 2시간, C : 황산건조용기
(정답률: 알수없음)
  • 부유물질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샘플을 건조시켜야 한다. 이때, 황산건조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샘플을 건조하는 시간은 2시간이 적당하며, 이를 3회 반복하여 측정하는 것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A : 3회. B : 2시간, C : 황산건조용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최대 유량이 1m3/분 미만인 경우 용기에 의한 유량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기는 용량 50L~100L인 것을 사용한다.
  2. 용기에 물을 받아 넣는 시간을 20초 이상이 되도록 용량을 결정한다.
  3. 을 유량(m3/분)으로 한다.
  4. 유수를 채우는 데에 요하는 시간은 스톱워치로 잰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용기는 용량 50L~100L인 것을 사용하는 이유는, 용기의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유량 측정의 오차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정한 크기의 용기를 사용하여 정확한 유량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총대장균군 시험 방법인 평판 집락시험방법에서 사용되는 지시약은?

  1. 메틸 오렌지
  2. 브루신 블루
  3. 뉴트랄 레드
  4. 클로라민 옐로
(정답률: 알수없음)
  • 총대장균군 시험에서는 평판 집락시험방법을 사용하여 세균의 발생을 확인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지시약은 뉴트랄 레드입니다. 이는 pH 지시약으로서, 총대장균군이 발생하면 대장 내의 알칼리성 물질이 생성되어 pH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때 뉴트랄 레드는 빨간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게 되어 총대장균군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의 시료채취방법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하천의 수심이 1m일 때 수심의 1/3 및 2/3에서 각각 채수한다.
  2. 시료채취용기는 시료를 채우기 전에 맑은 물로 3회 이상 깨끗하게 씻은 다음 사용한다.
  3. 시료채취용기에 시료를 채울 때 충분히 교란시키면서 채수한다.
  4. 하천 수질 및 유량의 변화가 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시료의 채취횟수를 늘리고, 채취시의 유량에 비례하여 시료를 서로 섞어 단일 시료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 수질 및 유량의 변화가 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시료의 채취횟수를 늘리고, 채취시의 유량에 비례하여 시료를 서로 섞어 단일 시료로 한다. 이는 하천의 수질과 유량이 계속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단일 시료로 채취한 경우에는 해당 시점의 수질과 유량만을 반영하게 되어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채취횟수를 늘리고 시료를 섞어 단일 시료로 만들어 분석하는 것이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수질환경관계법규

61. 비점오염원의 변경신고를 하여야 하는 경우로 틀린 것은?

  1. 사업명의 변경
  2. 총 사업면적, 개발면적이 처음 신고면적의 100분의 15이상 증가하는 경우
  3. 사업장 부지면적이 처음 신고면적의 100분의 15이상 증가하는 경우
  4. 비점오염원 처리방법이 변경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비점오염원 처리방법이 변경되는 경우"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비점오염원 처리방법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변경신고를 해야 합니다.

    "사업명의 변경", "총 사업면적, 개발면적이 처음 신고면적의 100분의 15이상 증가하는 경우", "사업장 부지면적이 처음 신고면적의 100분의 15이상 증가하는 경우"는 모두 변경신고를 해야 하는 경우입니다.

    하지만 "비점오염원 처리방법이 변경되는 경우"는 특히 중요한 경우입니다. 비점오염원 처리방법이 변경되면 그에 따라 오염물질 배출량이나 배출농도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새로운 처리방법에 맞게 변경신고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로 틀린 것은?

  1. 점오염원 : 폐수배출시설, 하수발생시설, 축사 등으로서 관거, 수로 등을 통하여 발생한 지점으로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말한다.
  2. 기타수질오염원 :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관리되지 아니하는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 또는 장소로서 환경부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
  3. 폐수무방류배출시설 : 폐수배출시설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당해 사업장에서 재사용하여 방류수역으로 배출하지 아니하는 배출시설을 말한다.
  4. 수질오염물질 : 수질오염의 요인이 되는 물질로서 환경부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폐수무방류배출시설"이다. 폐수무방류배출시설은 폐수를 재사용하여 방류하지 않는 배출시설을 말하는데, 이는 폐수를 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재사용하는 것이므로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의가 잘못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해역 환경기준 중 생활환경기준의 항목으로 틀린 것은?

  1. 용매추출 유분
  2. 총대장균군
  3. 부유물질
  4. 수소이온농도(pH)
(정답률: 알수없음)
  • 해역 환경기준 중 생활환경기준의 항목으로 틀린 것은 "부유물질"이 아니라 "용매추출 유분"입니다.

    부유물질은 해양에서 떠다니는 미세한 입자나 떠밀려 오는 쓰레기 등으로 인해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말합니다.

    반면에 용매추출 유분은 해양에서 발생하는 유기화합물 중 일부로, 해양생물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것도 생활환경기준의 항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종말처리시설에 유입할 때 필요한 배수설비의 설치방법 및 구조기준 중 틀린 것은?

  1. 배수관의 관경은 내경 150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배수관은 우수관과 분리하여 빗물이 혼합되지 아니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 사업장에서 폐수종말처리시설까지로 폐수를 유입시키는 배수관에는 유량계 등 계량기를 부착하여야 한다.
  4. 맨홀설치시 직선인 부분은 내경의 150배 이하의 간격으로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맨홀설치시 직선인 부분은 내경의 150배 이하의 간격으로 설치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맨홀은 배수관의 점검, 청소, 수리 등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직선인 부분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맨홀설치시 내경의 150배 이하의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환경부장관이 측정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전산망 운영을 위해 수질원격감시체계 관제센타를 설치, 운영하는 곳은?

  1. 국립환경과학원
  2. 유역환경청
  3. 환경관리공단
  4. 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부장관이 측정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전산망 운영을 위해 수질원격감시체계 관제센타를 설치, 운영하는 곳은 환경관리공단입니다. 이는 환경관리공단이 국내 환경보전 및 관리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환경관리공단은 대기, 수질, 폐기물 등 다양한 환경분야에서 측정 및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책 수립 및 환경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질원격감시체계 관제센타를 운영하는 것은 환경관리공단의 역할 중 하나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수질오염경보인 조류 경보 단계 중 조류 주의보 발령 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1. 2회 연속 채취 시 클로로필-a 농도 10mg/m3 이상이고 남조류의 세포 수가 250 세포/mL 이상인 경우
  2. 2회 연속 채취 시 클로로필-a 농도 10mg/m3 이상이고 남조류의 세포 수가 500 세포/mL 이상인 경우
  3. 2회 연속 채취 시 클로로필-a 농도 15mg/m3 이상이고 남조류의 세포 수가 250 세포/mL 이상인 경우
  4. 2회 연속 채취 시 클로로필-a 농도 15mg/m3 이상이고 남조류의 세포 수가 500 세포/mL 이상인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조류 주의보 발령 기준은 수질 중 클로로필-a 농도와 남조류의 세포 수가 모두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입니다. 따라서, "2회 연속 채취 시 클로로필-a 농도 15mg/m3 이상이고 남조류의 세포 수가 500 세포/mL 이상인 경우"가 적절한 기준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한 가지 기준만 충족하거나, 농도나 세포 수가 낮은 수준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시장, 군수, 구청장이 낚시금지구역 또는 낚시 제한구역을 지정하려 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지정의 목적
  2. 오염원 현황
  3. 수질오염도
  4. 연도별 낚시 인구의 현황
(정답률: 알수없음)
  • 고려해야 할 사항은 "오염원 현황"과 "수질오염도", 그리고 "연도별 낚시 인구의 현황"입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수질 상태와 낚시 인구의 활동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제한구역을 지정하기 위함입니다.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연도별 낚시 인구의 현황"입니다. 이는 제한구역을 지정하는 데 있어서는 중요하지 않은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지정의 목적"은 이러한 제한구역을 지정하는 목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대권역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계획 수립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상수원 및 물 이용현황
  2. 수질오염 예방 및 저감대책
  3. 수질 및 수생태계 변화 추이 및 목표기준
  4.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 및 관리체계
(정답률: 알수없음)
  • 대권역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계획을 수립할 때는 상수원 및 물 이용현황, 수질오염 예방 및 저감대책, 수질 및 수생태계 변화 추이 및 목표기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 및 관리체계입니다. 이는 대권역 내에서 발생하는 수질오염원을 식별하고, 이를 예방하고 저감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하며, 수생태계를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체계가 없다면 다른 요소들도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오염총량관리대상 오염물질 및 수계 구간별 오염총량목표 수질의 조정, 오염총량관리의 시행 등에 관한 검토, 조사 및 연구를 위하여 환경부령에 따라 구성, 운영되는 오염총량관리 조사, 연구반이 있는 기관은?

  1. 유역환경청 또는 지방환경청
  2. 국립환경과학원
  3.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4. 환경관리공단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부령에 따라 구성, 운영되는 오염총량관리 조사, 연구반이 있는 기관은 국립환경과학원입니다. 이 조사, 연구반은 오염물질 및 수계 구간별 오염총량목표 수질의 조정, 오염총량관리의 시행 등에 관한 검토, 조사 및 연구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폐수의 처리능력과 처리가능성을 고려하여 수탁하여야 하는 준수사항을 지키지 아니한 폐수처리업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2. 1000만원 이하의 벌금
  3. 500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알수없음)
  • 폐수 처리업자는 환경보호법 등 관련 법령에서 정한 기준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만약 이러한 준수사항을 지키지 않고 폐수를 처리하면,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벌칙을 받게 됩니다. 이때, 벌칙 기준은 폐수 처리능력과 처리가능성을 고려하여 5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경고금과 같은 경미한 벌칙보다는 더욱 엄격한 벌칙이지만, 폐수 처리업자가 환경보호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면서도 벌칙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오염총량관리시행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수질예측 산정자료 및 이행 모니터링 계획
  2. 연차별 오염부하량 삭감 목표 및 구체적 삭감 방안
  3. 대상 유역 구간별 오염총량목표 수질 예측
  4. 오염총량관리시행계획 대상 유역의 현황
(정답률: 60%)
  • 오염총량관리시행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수질예측 산정자료 및 이행 모니터링 계획", "연차별 오염부하량 삭감 목표 및 구체적 삭감 방안", "대상 유역 구간별 오염총량목표 수질 예측", "오염총량관리시행계획 대상 유역의 현황"입니다.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대상 유역 구간별 오염총량목표 수질 예측"입니다. 이유는 이 내용은 오염총량관리시행계획의 핵심적인 내용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대상 유역 구간별 오염총량목표 수질 예측은 해당 유역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양과 질을 파악하고, 이를 줄이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오염총량관리시행계획의 성과를 평가하고, 보다 효과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내용은 오염총량관리시행계획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오염총량관리지역을 관할하는 시ㆍ도지사는 오염총량관리기본계획을 수립, 승인을 얻어야 한다. 다음 중 오염총량관리기본계획에 포함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당해 지역의 오염원 및 처리시설 현황
  2. 관할 지역에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의 총량 및 저감계획
  3. 지방자치단체별, 수계구간별 오염부하량의 할당
  4. 당해 지역 개발계획으로 인하여 추가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 및 그 저감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당해 지역의 오염원 및 처리시설 현황"은 오염총량관리지역에서 발생하는 오염원과 그에 대한 처리시설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으로, 오염원의 종류와 양, 처리시설의 용량 등을 파악하여 적절한 오염부하량 저감 대책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오염원과 처리시설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환경부장관은 수질 및 수생태계를 보전할 필요가 있는 호소를 지정, 고시하고 그 호소의 수질 및 수생태계를 정기적으로 조사, 측정하여야 한다. 이에 해당되는 호소기준으로 맞는 것은?

  1. 1일 10만 톤 이상의 원수를 취수하는 호소
  2. 1일 30만 톤 이상의 원수를 취수하는 호소
  3. 1일 10만 톤 이상의 원수를 저수하는 호소
  4. 1일 30만 톤 이상의 원수를 저수하는 호소
(정답률: 70%)
  • 환경부장관이 수질 및 수생태계를 보전할 필요가 있는 호소를 지정하고 고시하는 기준은 하루에 취수하는 원수의 양이다. 따라서 1일 30만 톤 이상의 원수를 취수하는 호소가 해당된다. 이는 매우 많은 양의 원수를 취수하기 때문에 수질 및 수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의 수질오염방지시설 중 화학적 처리시설에 해당되는 것은?

  1. 접촉조
  2. 살균시설
  3. 안정조
  4. 폭기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화학적 처리시설은 물에 포함된 유해한 화학물질을 제거하는 시설을 말합니다. 접촉조와 안정조는 생물학적 처리시설로서 미생물을 이용하여 물을 정화하는 시설입니다. 폭기시설은 물에 포함된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물리적 처리시설입니다. 따라서 화학적 처리시설에 해당하는 것은 살균시설입니다. 살균시설은 물에 포함된 세균,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해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산정된 오염총량초과부과금의 납부통지는 부과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몇 일 이내에 하여야 하는가?

  1. 10일
  2. 30일
  3. 50일
  4. 6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산정된 오염총량초과부과금의 납부통지는 환경부가 정한 '환경부 고시 제2016-214호'에 따르면, 부과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하여야 합니다. 이는 부과금을 빠르게 납부하도록 유도하고, 부과금 청구와 관련된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인 하천의 항목별 사람의 건강보호 기준 값으로 틀린 것은? (단, 기준 값 단위 : mg/L)

  1. 유기인 - 검출되어서는 안됨
  2. 사염화탄소 - 0.004이하
  3. 벤젠 - 0.01이하
  4. 안티몬 - 0.008이하
(정답률: 10%)
  • 안티몬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 장기간 노출 시 암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에서는 안티몬 농도를 가능한 낮게 유지하기 위해 0.008mg/L 이하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초과배출부과금 부과대상이 아닌 것은?

  1. 구리 및 그 화합물
  2. 망간 및 그 화합물
  3. 트리클로로에틸렌
  4. 디클로로메탄
(정답률: 알수없음)
  • 디클로로메탄은 초과배출부과금 부과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환경부 고시 제2019-50호에 따라 대상 물질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환경부장관이 폐수처리업의 등록을 한 자에 대하여 영업정지처분에 갈음하여 부과할 수 있는 과징금의 최대 액수는?

  1. 1억원
  2. 2억원
  3. 3억원
  4. 5억원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부가 제정한 '환경보호법 시행규칙' 제63조에 따르면, 폐수처리업의 등록을 받지 않고 영업을 하는 경우, 환경부장관은 영업정지처분에 갈음하여 2억원 이하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억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개선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하여 조업정지 명령을 받은 자가 이를 위반하였을 경우에 벌칙기준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알수없음)
  • 개선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하여 조업정지 명령을 받은 자가 이를 위반하면, 「수산업법 시행령」 제84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이는 해당 법령에서 정한 벌칙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특정수질유해물질인 것은?

  1. 셀레늄과 그 화합물
  2. 바륨화합물
  3. 니켈과 그 화합물
  4. 브롬화합물
(정답률: 알수없음)
  • 셀레늄과 그 화합물은 특정 수질 유해물질로 분류됩니다. 이는 셀레늄이 과다하게 존재할 경우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또한 셀레늄 화합물은 화학적으로 안정하지 않아서 환경오염물질로도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