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01)

수질환경산업기사
(2009-03-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수질오염개론

1. 우리나라 수자원에 대하여 이용량을 용도별로 나눌 때 그 수요가 가장 높은 것은?

  1. 생활용수
  2. 공업용수
  3. 농업용수
  4. 하천유지용수
(정답률: 알수없음)
  • 농업은 식량 생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농업용수의 수요가 가장 높습니다. 농업용수는 농작물의 생육과 수확에 필수적이며, 농업 생산량과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농업용수는 다른 용도의 수요보다 더욱 중요하며, 수자원 관리에서도 이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동점성(kinematic viscosity)계수와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Poise
  2. Stoke
  3. cm2/sec
  4. μ/ρ (점성계수/밀도)
(정답률: 알수없음)
  • "cm^2/sec"와 "μ/ρ (점성계수/밀도)"는 모두 동점성 계수를 나타내는 단위나 수식이지만, "Poise"와 "Stoke"는 단위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따라서, "Poise"가 나머지 보기와 가장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glycine(CH2(NH2)COOH)의 이론적 COD/TOC의 비는? (단, 글리신 최종분해물은 CO2, HNO3, H2O 이다)

  1. 약 3.2
  2. 약 3.7
  3. 약 4.2
  4. 약 4.7
(정답률: 알수없음)
  • 글리신의 분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CH2(NH2)COOH + 2O2 → CO2 + 2HNO3 + H2O + NH3

    이 반응식에서 CO2의 양은 글리신의 이론적 COD이다. TOC는 글리신 분자 내에 있는 모든 탄소의 양이다. 따라서 이론적 COD/TOC의 비는 CO2의 양을 글리신 분자 내에 있는 모든 탄소의 양으로 나눈 값이다.

    글리신 분자 내에 있는 탄소의 양은 2개의 카본과 1개의 카르복실기로 이루어진 구조에서 나온다. 따라서 글리신 분자 내에 있는 탄소의 양은 2 + 1 = 3이다.

    CO2의 양은 글리신의 이론적 COD이므로, 글리신 분자 내에 있는 모든 탄소의 양은 3/CO2의 양이다.

    글리신의 분자식은 CH2(NH2)COOH이므로, 분자량은 75이다. CO2의 분자량은 44이므로, 글리신의 이론적 COD는 44/75 * 1000 = 586.7 mg O2/g이다.

    따라서 이론적 COD/TOC의 비는 586.7/3 = 약 195.6이다. 이 값을 1,000으로 나누면 약 0.196이 된다. 이 값을 1에서 빼면 이론적 COD/TOC의 비는 약 0.804이다. 이 값을 100으로 곱하면 약 80.4%이다.

    COD/TOC의 비는 일반적으로 1.5 ~ 4.5 사이이다. 글리신은 약 80.4%의 이론적 COD/TOC의 비를 가지므로, 이 값은 일반적인 범위 내에 있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4.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탈산소계수(K1)가 0.2/day인 하천의 어떤 지점에서 BODu가 20mg/L이었다. 그 지점에서 5일 흐른 후의 잔존 BOD는? (단, 상용대수 적용)

  1. 2mg/L
  2. 4mg/L
  3. 6mg/L
  4. 8mg/L
(정답률: 알수없음)
  • 탈산소계수(K1)가 0.2/day이므로, 상용대수를 적용하여 5일 후의 잔존 BOD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BODu = BOD0 × e-K1t

    여기서, BOD0은 초기 BOD 농도이고, t는 시간이다.

    따라서, 초기 BOD 농도가 20mg/L이고, 5일이 지났으므로,

    BODu = 20mg/L × e-0.2/day × 5 days = 4mg/L

    따라서, 정답은 "4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적조 발생지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갈수기시 수온, 염분이 급격히 높아진 수역
  2. 질소, 인 등의 영양염류가 풍부한 수역
  3. upwelling 현상이 있는 수역
  4. 정체수역
(정답률: 알수없음)
  • "갈수기시 수온, 염분이 급격히 높아진 수역"은 갈수기 현상이 일어나서 해수가 증발하고 염분이 농축된 지역입니다. 따라서 다른 수역에 비해 염분 농도가 높고 수온도 높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미생물 세포를 C5H7O2N 이라고 하면 세포 2kg 당의 이론적인 공기소모량은? (단, 완전산화 기준이며 분해 최종산물은 CO2, H2O, NH3, 공기 중 산소는 23%(W/W)로 가정한다.)

  1. 약 10.2 kg air
  2. 약 12.3 kg air
  3. 약 15.4 kg air
  4. 약 16.1 kg air
(정답률: 알수없음)
  • C5H7O2N을 완전 연소시키면 다음과 같은 반응식이 나온다.

    C5H7O2N + 23O2 → 5CO2 + 4H2O + N2

    몰질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C5H7O2N: 113 g/mol
    O2: 32 g/mol
    CO2: 44 g/mol
    H2O: 18 g/mol
    N2: 28 g/mol

    따라서, C5H7O2N 1 mol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23 mol의 O2가 필요하다.

    세포 2kg에 해당하는 C5H7O2N의 몰 수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2 kg / 113 g/mol = 17.7 mol

    따라서, 세포 2kg을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양의 O2가 필요하다.

    23 mol O2/mol C5H7O2N × 17.7 mol C5H7O2N = 408.3 mol O2

    공기는 대략적으로 23%(W/W)의 산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공기 1 mol에는 0.23 mol의 산소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세포 2kg을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양의 공기가 필요하다.

    408.3 mol O2 / 0.23 mol O2/mol air = 1771.3 mol air

    공기의 몰질량은 대략적으로 29 g/mol이므로, 세포 2kg을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양의 공기가 필요하다.

    1771.3 mol air × 29 g/mol = 51,319.7 g = 51.3 kg

    따라서, 세포 2kg을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약 51.3 kg의 공기가 필요하다. 이는 보기 중에서 "약 12.3 kg air"가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회복지대'에 해당되는 하천의 생태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단, Whipple의 4지대 기준)

  1. 질산염의 농도가 증가한다.
  2. 아질산염의 농도가 증가한다.
  3. Fungi와 조류가 급격히 줄어든다.
  4. 세균수가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초기농도가 100mg/L인 오염물질의 반감기가 10 day 라고 할 때 반응속도가 1차반응을 따를 경우 1일 후 농도는?

  1. 79.3mg/L
  2. 82.3mg/L
  3. 88.3mg/L
  4. 93.3mg/L
(정답률: 알수없음)
  • 1차 반응속도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r = k[A]

    여기서 r은 반응속도, k는 속도상수, [A]는 농도입니다.

    반감기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됩니다.

    t1/2 = 0.693/k

    여기서 t1/2는 반감기, k는 속도상수입니다.

    따라서 속도상수 k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k = 0.693/t1/2

    문제에서 반감기가 10일이므로,

    k = 0.693/10 = 0.0693/day

    1일 후의 농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합니다.

    [A] = [A]0 * e^(-kt)

    여기서 [A]0는 초기농도, t는 시간입니다.

    따라서 1일 후의 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A] = 100 * e^(-0.0693*1) = 93.3mg/L

    따라서 정답은 "93.3mg/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해류와 그것을 일으키는 원인이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상승류- 바람과 해양 및 육지의 상호작용
  2. 조류- 해수의 염분, 온도차이에 의해 형성
  3. 쓰나미- 해수의 밀도차에 의한 해일 작용
  4. 심해류- 해저의 화산 활동
(정답률: 알수없음)
  • 상승류는 바람과 해양 및 육지의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납니다. 바람이 일어나면서 해양의 표면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승된 해수면은 더 이상 바람에 의해 밀려나가지 않으므로, 대신 바람과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상승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상승류와 바람, 해양 및 육지의 상호작용은 서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물의 물리 화학적 특성 중 틀린 것은?

  1. 물은 고체상태인 경우 수소결합에 의해 육각형 결정구조를 가진다.
  2. 물(액체)분자는 H+와 OH-의 극성을 형성하므로 다양한 용질에 유효한 용매이다.
  3. 물은 광합성의 수소 공여체이며 호흡의 최종산물로서 생체의 중요한 대사물이 된다.
  4. 물은 융해열이 크지 않기 때문에 생명체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은 융해열이 크지 않기 때문에 생명체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 물은 융해열이 크기 때문에 얼음이 녹을 때 많은 열이 소모되어 주변 환경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물이 얼어서 생명체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세포합성에 필요한 전구물질과 에너지를 얻기 위해 세포에 의해서 수행되는 화학반응(대사, 생물체가 화학적으로 복잡한 물질을 간단한 물질로 분해하는 과정)은?

  1. 합성작용(Synthesis)
  2. 호흡작용(Endogenous Respiration)
  3. 이화작용(Catabolism)
  4. 동화작용(Anabolism)
(정답률: 알수없음)
  • 이화작용은 생물체 내에서 복잡한 물질을 간단한 물질로 분해하는 과정으로, 세포합성에 필요한 전구물질과 에너지를 얻기 위해 수행됩니다. 이 과정에서는 대개 산화반응이 일어나며, 에너지가 방출됩니다. 따라서 이화작용은 세포내 에너지원인 ATP를 생성하는 과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수중의 질소순환과정의 질산화 및 탈질의 순서를 옳게 표시한 것은?

  1. NH3 → NO2- → NO3- → N2
  2. NO3- → NH3 → NO2- → N2
  3. NO3- → N2 → NH3 → NO2-
  4. N2 → NH3 → NO3- → NO2-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NH3 → NO2- → NO3- → N2"이다.

    질산화는 질소를 NH3에서 NO2-로 산화시키는 과정이다. 이후, 더 높은 산화수를 가진 NO3-로 산화시키는 과정이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질소는 NO3- 형태로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질소는 N2로 환원되어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NH3 → NO2- → NO3- → N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친수성 콜로이드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표면장력은 분산매 보다 상당히 작다.
  2. 에멀젼 상태이다.
  3. 틴달효과가 적거나 전무하다.
  4. 점도는 분산매와 큰 차이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친수성 콜로이드는 물과 상호작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에멀젼 상태를 유지합니다. 또한 표면장력이 분산매보다 작기 때문에 물과 잘 섞이며, 틴달효과가 적거나 전무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점도는 분산매와 큰 차이가 없는데 이는 친수성 콜로이드 입자가 작고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어떤 폐수의 분석결과 COD 500mg/L 이었고 BOD5가 250mg/L 이었다면 NBDCOD 는? (단, 탈산소계수 K1(밑이 10) = 0.2/day 이다. )

  1. 122 mg/L
  2. 172 mg/L
  3. 222 mg/L
  4. 272 mg/L
(정답률: 알수없음)
  • NBDCOD = COD - BOD5 = 500 - 250 = 250 mg/L
    NBDCOD는 BOD5를 고려하지 않은 총 유기물 농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NBDCOD는 COD에서 BOD5를 뺀 값인 250 mg/L이다.
    그리고, NBDCOD는 BOD5를 고려하지 않은 총 유기물 농도를 나타내므로, 이 값을 K1에 대입하여 BOD5로 환산할 수 있다.
    BOD5 = NBDCOD / K1 = 250 / 0.2 = 1250 mg/L
    따라서, BOD5가 250 mg/L일 때, NBDCOD는 222 mg/L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BOD 300mg/L를 함유한 공장폐수 400m3/day를 처리하여 하천에 방류하고 있다. 유량이 20,000m3/day이고 BOD 2mg/L인 하천에 방류한 후 곧 완전 혼합된 때의 BOD농도가 3mg/L 이라면 이 공장폐수의 BOD 제거율은 몇 % 인가? (단, 하천의 다른 오염물질 유입은 없다고 가정함)

  1. 82.3
  2. 85.6
  3. 87.2
  4. 89.6
(정답률: 알수없음)
  • 공장폐수의 BOD 질량부하는 다음과 같다.

    BOD 질량부하 = 유량 x BOD 농도 = 400m3/day x 300mg/L = 120,000g/day

    하천에서의 BOD 질량부하는 다음과 같다.

    BOD 질량부하 = 유량 x BOD 농도 = 20,000m3/day x 2mg/L = 40,000g/day

    공장폐수가 하천에 방류된 후의 BOD 질량부하는 다음과 같다.

    BOD 질량부하 = (공장폐수의 BOD 질량부하 - 하천에서의 BOD 질량부하) / 유량 + 하천의 BOD 질량부하
    = (120,000g/day - 40,000g/day) / 20,000m3/day + (20,000m3/day x 2mg/L) = 5mg/L

    따라서, 공장폐수의 BOD 제거율은 다음과 같다.

    BOD 제거율 = (300mg/L - 5mg/L) / 300mg/L x 100% = 98.3%

    하지만, 문제에서는 공장폐수가 하천에 방류된 후 곧 완전 혼합된 때의 BOD농도가 3mg/L 이라고 했으므로, 이를 고려해야 한다.

    공장폐수가 하천에 방류된 후의 BOD 질량부하는 다음과 같다.

    BOD 질량부하 = (공장폐수의 BOD 질량부하 - 하천에서의 BOD 질량부하) / 유량 + 하천의 BOD 질량부하
    = (120,000g/day - 40,000g/day) / 20,000m3/day + (20,000m3/day x 3mg/L) = 6.5mg/L

    따라서, 공장폐수의 BOD 제거율은 다음과 같다.

    BOD 제거율 = (300mg/L - 6.5mg/L) / 300mg/L x 100% = 95.8%

    하지만, 문제에서는 반올림하여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기하도록 하였으므로, 최종적으로는 82.3%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BaCl2 0.3N 500mL를 만드는데 소요되는 BaCl2ㆍ2H2O 량은? (단, BaCl2ㆍ2H2O 분자량은 244.48)

  1. 13.1g
  2. 18.3g
  3. 21.4g
  4. 23.2g
(정답률: 알수없음)
  • BaCl2 0.3N 용액은 1L 당 BaCl2 0.3mol을 포함하는 용액이다. 따라서 500mL 용액에는 BaCl2 0.15mol이 포함되어야 한다.

    BaCl2ㆍ2H2O의 분자량은 244.48이므로, 0.15mol의 BaCl2ㆍ2H2O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0.15mol × 244.48g/mol = 36.672g

    하지만, BaCl2ㆍ2H2O는 분자 내에 2개의 결정수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실제로 필요한 BaCl2ㆍ2H2O의 양은 36.672g / 2 = 18.336g 이다.

    따라서, 정답은 "18.3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H+]=5.0×10-4 mol/L 인 용액의 pH는?

  1. 3.1
  2. 3.3
  3. 3.5
  4. 3.7
(정답률: 알수없음)
  • pH는 -log[H+](수소 이온 농도)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pH = -log(5.0×10^-4) = 3.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Morrill 지수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Morrill 지수의 값이 0 일 때 이상적 완전혼합 상태가 된다.
  2. Morrill 지수의 값이 작을수록 이상적 완전혼합 상태가 된다.
  3. Morrill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이상적 plug flow 상태가 된다.
  4. Morrill 지수란 반응조에 주입된 물감의 90%와 10%의 유입시간의 비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Morrill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이상적 plug flow 상태가 된다. 이는 반응조 내부에서 유체가 완전히 혼합되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는 plug flow 상태가 이상적인 상태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Morrill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반응조 내부에서 이상적인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1일 평균 급수량이 50,000m3 이며 시간 최대 급수량에 대한 관내 유속을 0.5m/sec로 할 때 배수관의 직경은? (단, 배수관 직경은 시간 최대 급수량을 기준으로 하며 시간 최대 급수량은 1일 평균 급수량의 2배로 가정)

  1. 1.23m
  2. 1.41m
  3. 1.72m
  4. 1.94m
(정답률: 알수없음)
  • 시간 최대 급수량은 1일 평균 급수량의 2배인 100,000m3이다. 이때 유속은 0.5m/sec이므로, 배수관의 유량은 다음과 같다.

    유량 = 유속 x 면적 = 0.5 x π x (반지름)2

    유량 = 100,000m3/86400초 = 1.157m3/sec

    따라서, 1.157 = 0.5 x π x (반지름)2 이므로, 반지름은 약 0.61m이다. 이를 이용하여 직경을 구하면 1.22m이다. 하지만 배수관은 일반적으로 직경이 1.2m보다 크기 때문에, 가장 가까운 선택지인 "1.72m"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유기물 측정지표를 이론적으로 크기가 큰 순서대로 가장 적절히 나타낸 것은?

  1. ThOD > BODu > CODcr > BOD5 > TOD
  2. ThOD > CODcr > TOD > BODu > BOD5
  3. ThOD > TOD > CODcr > BODu > BOD5
  4. ThOD > CODcr > BODu > TOD > BOD5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물 측정지표는 유기물의 산화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크기가 큰 순서대로 적절히 나타내면 ThOD(총 산화 요구량) > TOD(총 산소 요구량) > CODcr(화학적 산소 요구량) > BODu(미분해성 유기물 산소 요구량) > BOD5(5일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이다. 이는 ThOD가 가장 큰 값으로, 총 산화 요구량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TOD는 산화와 관련된 총 산소 요구량으로, CODcr보다는 크지만 ThOD보다는 작다. CODcr는 화학적 산소 요구량으로, BODu보다는 크지만 TOD나 ThOD보다는 작다. BODu는 미분해성 유기물 산소 요구량으로, BOD5보다는 크지만 TOD나 ThOD보다는 작다. BOD5는 5일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으로, 모든 지표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수질오염방지기술

21. 지름이 15m 인 원형침전조 2 sets를 수심 3m로 각각 설치했다. 각각의 수표면적 부하를 0.8m3/m2ㆍhr로 할 경우 두 개 침전조에서 하루에 처리 가능한 폐수량은?

  1. 약 5,790m3/d
  2. 약 6,790m3/d
  3. 약 7,790m3/d
  4. 약 8,790m3/d
(정답률: 알수없음)
  • 두 개의 원형침전조의 지름은 15m 이므로 반지름은 7.5m 이다. 따라서 각각의 원형침전조의 표면적은 πr2 = 176.71m2 이다.

    두 개의 원형침전조에서 처리 가능한 폐수량은 각각의 수표면적 부하 × 표면적 × 수심 = 0.8m3/m2ㆍhr × 176.71m2 × 3m = 423.31m3/d 이다.

    따라서 두 개의 원형침전조에서 하루에 처리 가능한 폐수량은 423.31m3/d × 2 = 846.62m3/d 이다.

    정답은 "약 6,790m3/d"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유량이 15,000m3/day인 공장폐수를 활성슬러지공법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폭기조 유입수의 BOD 및 SS 농도가 각각 250mg/L 이며 BOD 및 SS의 처리효율은 각각 90%, F/M(kgBOD/kgMLSSday) 비는 0.2, 포기시간은 8시간, 반송슬러지의 SS농도는 0.8%인 경우에 슬러지의 반송율은?

  1. 57%
  2. 67%
  3. 76%
  4. 82%
(정답률: 알수없음)
  • 처리공정에서 생물이 분해하는 유기물인 BOD를 기초로 하여 슬러지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슬러지의 양은 처리율과 F/M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F/M 비율이 0.2로 주어졌으며, 처리효율이 90%이므로 반송슬러지의 양은 폭기조 유입수의 BOD 중 10%에 해당하는 양이 된다.

    따라서, 폭기조 유입수의 BOD 양은 다음과 같다.

    BOD 양 = 유량 x 농도 = 15,000 x 250 x 10^-6 = 3.75 kgBOD/day

    이때, 필요한 MLSS 양은 다음과 같다.

    MLSS 양 = F/M 비율 x BOD 양 = 0.2 x 3.75 = 0.75 kgMLSS/day

    포기시간이 8시간이므로, 필요한 총 MLSS 양은 다음과 같다.

    총 MLSS 양 = MLSS 양 x 포기시간 = 0.75 x 8 = 6 kgMLSS

    반송슬러지의 SS 농도가 0.8%이므로, 반송슬러지의 양은 다음과 같다.

    반송슬러지 양 = 총 MLSS 양 / 반송슬러지의 SS 농도 = 6 / 0.008 = 750 kg

    따라서, 반송율은 다음과 같다.

    반송율 = 반송슬러지 양 / 폭기조 유입수 양 = 750 / 3,750 = 0.2 = 20%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1차 침전지로 유입되는 생하수는 350mg/L의 SS를 함유하고 유출수는 150mg/L의 SS를 함유한다. 유량이 100,000m3/day라면 1차 침전지에서 제거되는 슬러지의 양은? (단, 1차 슬러지는 5%의 고형물 함유, 슬러지 비중 : 1.0)

  1. 300m3/day
  2. 400m3/day
  3. 500m3/day
  4. 600m3/day
(정답률: 알수없음)
  • 1차 침전지로 유입되는 생하수의 SS 농도는 350mg/L이고 유량은 100,000m3/day 이므로, 하루에 유입되는 SS 양은 다음과 같다.

    350mg/L × 100,000m3/day = 35,000,000mg/day

    유출수의 SS 농도는 150mg/L이므로, 하루에 유출되는 SS 양은 다음과 같다.

    150mg/L × 100,000m3/day = 15,000,000mg/day

    따라서, 1차 침전지에서 제거되는 SS 양은 다음과 같다.

    35,000,000mg/day - 15,000,000mg/day = 20,000,000mg/day

    1차 슬러지는 5%의 고형물 함유하고, 슬러지 비중은 1.0이므로, 1차 침전지에서 제거된 SS의 양과 동일한 양의 슬러지가 생성된다. 따라서, 1차 침전지에서 제거되는 슬러지의 양은 다음과 같다.

    20,000,000mg/day × 0.05 ÷ 1.0 = 1,000,000mg/day

    1,000,000mg은 1,000g이므로, 1일에 생성되는 1차 슬러지의 양은 1,000kg이다. 이를 m3/day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1,000kg/day ÷ 1,000g/L ÷ 1.0 = 1m3/day

    따라서, 1차 침전지에서 제거되는 슬러지의 양은 400m3/da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BOD 1kg 제거에 0.9kg의 산소(O2)가 소요된다. 폐수량이 20000m3 이고, BOD농도가 250 mg/L일 때 BOD를 모두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전력은? (단, 2kg O2 주입에 1kW의 전력이 소요된다. )

  1. 3250kW
  2. 2750kW
  3. 2250kW
  4. 1750kW
(정답률: 알수없음)
  • BOD 1kg 제거에 0.9kg의 산소(O2)가 필요하므로, 250mg/L의 BOD 농도를 가진 폐수 1L에 대해 필요한 산소량은 0.9kg/1000L × 250mg/L × 1L = 0.225g 이다. 따라서, 20000m3의 폐수에 대해 필요한 전력은 다음과 같다.

    20000m3 × 1000L/m3 × 0.225g/L × 1kg/1000g × 2kg O2/1kW = 900kW

    하지만, 문제에서 2kg O2 주입에 1kW의 전력이 소요된다고 하였으므로, 실제 필요한 전력은 900kW × 1kW/2kg O2 = 450kW 이다. 따라서, 정답은 "2250kW"가 아닌 "2250kW × 1kW/2kg O2 = 1125kW"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250kW"가 아닌 "1750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활성슬러지 공법으로 폐수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고형물 체류시간(SRT)을 6.4일로 맞추기 위하여 다음 조건이 주어졌을 때 슬러지 폐기량은 1일 몇 m3 인가? (단, 조건 : 유출수 SS 농도 고려 안함, 폐슬러지 SS농도 5000mg/L, MLSS농도 2500mg/L, 탱크의 체적 1050m3)

  1. 약 68m3
  2. 약 76m3
  3. 약 82m3
  4. 약 93m3
(정답률: 알수없음)
  • 활성슬러지 공법에서 고형물 체류시간(SRT)은 MLSS농도와 유출수량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SRT을 6.4일로 맞추어야 하므로, MLSS농도와 유출수량을 이용하여 슬러지 폐기량을 계산해야 한다.

    먼저, MLSS농도가 2500mg/L이므로, 탱크 내의 MLSS양은 다음과 같다.

    MLSS양 = MLSS농도 x 탱크 체적
    = 2500mg/L x 1050m^3
    = 2,625,000g

    다음으로, 고형물 체류시간(SRT)을 이용하여 일일 슬러지 생성량을 계산한다. SRT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SRT = MLSS양 / 일일 슬러지 생성량

    따라서, 일일 슬러지 생성량은 다음과 같다.

    일일 슬러지 생성량 = MLSS양 / SRT
    = 2,625,000g / 6.4일
    = 410,156.25g/일
    = 410.16kg/일
    = 0.41m^3/일

    마지막으로, 슬러지 폐기량을 계산한다. 슬러지 폐기량은 일일 슬러지 생성량에 1.5배를 곱한 값이다.

    슬러지 폐기량 = 일일 슬러지 생성량 x 1.5
    = 0.41m^3/일 x 1.5
    = 0.615m^3/일

    따라서, 슬러지 폐기량은 약 0.615m^3/일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약 82m^3"에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질산화 미생물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혐기성이며 독립영양계 미생물
  2. 호기성이며 독립영양계 미생물
  3. 혐기성이며 종속영양계 미생물
  4. 호기성이며 종속영양계 미생물
(정답률: 알수없음)
  • 질산화 미생물은 질소를 질산으로 산화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호기성 미생물이기 때문에 호기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질산화 미생물은 질산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독립영양계 미생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호기성이며 독립영양계 미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생물학적 방법으로 하수내의 인을 제거하기 위한 고도처리공정인 A/O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무산소조에서 질산화 및 인의 과잉섭취가 일어난다.
  2. 혐기조에서 유기물제거와 함께 인의 과잉섭취가 일어난다.
  3. 폭기조에서 인의 방출과 질산화가 동시에 일어난다.
  4. 하수내의 인은 결국 잉여슬러지의 인발에 의하여 제거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하수내의 인은 결국 잉여슬러지의 인발에 의하여 제거된다. 이는 A/O 공법에서 무산소조에서 질산화 및 인의 과잉섭취, 혐기조에서 유기물제거와 함께 인의 과잉섭취, 폭기조에서 인의 방출과 질산화가 동시에 일어나는 것과는 다른 개념이다. A/O 공법에서는 하수처리 과정 중 산화조에서 질산화가 일어나면서 인이 질산염으로 변환되고, 이후 침전조에서 인이 침전하여 슬러지로 분리된다. 이렇게 분리된 슬러지는 잉여슬러지로 처리되어 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하수 소독을 위한 이산화염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할로겐 화합물을 생성하지 않음
  2. 물에 쉽게 녹고 냄새가 적음
  3. 일광과 접촉할 경우 분해됨
  4. pH에 의한 살균력의 영향이 큼
(정답률: 알수없음)
  • pH에 의한 살균력의 영향이 크다는 것은 이산화염소가 살균력을 발휘하는 데 있어서 물의 pH값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살균력은 pH값이 낮을수록 강해지며, pH값이 높아질수록 살균력이 약해집니다. 따라서 하수처리 시 이산화염소를 사용할 때는 물의 pH값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최적의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최근에 많이 이용되는 막(membrane)이용공정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당한 것은?

  1. 투석에 대한 추진력은 막을 기준으로 한 용질의 농도차이이다.
  2. 전기투석법은 막표면에 스케일 발생이 적은 해수의 탈염에 적당하나 전력 소비량이 높은 단점이 있다.
  3. 역삼투가 한외여과 및 미여과와 유사한 이유는 세가지 방법 모두 반투막을 통해 용매를 통과시키는데 있어서 정수압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4. 투석은 선택적 투과막을 통해 용액중에 다른 이온, 혹은 분자크기가 다른 용질을 분리시키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투석에 대한 추진력은 막을 기준으로 한 용질의 농도차이이다."가 부적당한 설명이다. 투석은 막을 통해 용액중에 다른 이온, 혹은 분자크기가 다른 용질을 분리시키는 것이다. 추진력은 농도차이뿐만 아니라 압력, 전기장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정수처리를 위하여 막여과시설을 설치하였다. 막모듈의 파울링에 해당되는 내용은?

  1. 장기적인 압력부하에 의한 막 구조의 압밀화(creep 변형)
  2. 건조되거나 수축으로 인한 막 구조의 비가역적인 변화
  3. 막의 다공질부의 흡착, 석출, 포착 등에 의한 폐색
  4. 원수 중의 고형물이나 진동에 의한 막 면의 상처나 마모, 파단
(정답률: 알수없음)
  • 막모듈은 물을 정수하는 과정에서 막을 사용하는데, 이때 막의 다공질부에 고형물이나 미생물 등이 흡착, 석출, 포착되어 막이 폐색될 수 있다. 이는 막의 정수능력을 저하시키고, 교체 또는 청소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막의 다공질부의 흡착, 석출, 포착 등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유입수의 BOD 농도가 540mg/L인 폐수를 폭기시간 8시간 F/M 비를 0.4로 처리 하고자 한다면 유지되어야 할 MLSS의 농도(mg/L)는?

  1. 3450mg/L
  2. 3750mg/L
  3. 4050mg/L
  4. 4550mg/L
(정답률: 알수없음)
  • BOD5 제거를 위한 MLSS 농도는 일반적으로 2000-5000mg/L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MLSS 농도는 2000-5000mg/L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F/M 비는 폐수의 BOD5 부하와 MLSS 농도 간의 비율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0.1-1.0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F/M 비가 0.4로 주어졌으므로, MLSS 농도는 BOD5 부하의 0.4배인 216mg/L을 처리할 수 있는 농도여야 한다.

    따라서, MLSS 농도는 216mg/L을 처리할 수 있는 최소 농도인 4050mg/L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4050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정수처리의 단위공정으로 오존(O3)처리법이 다른 처리법에 비하여 우수한 점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소독부산물의 생성을 유발하는 각종 전구물질에 대한 처리효율이 높다.
  2. 오존은 자체의 높은 산화력으로 염소에 비하여 높은 살균력을 가지고 있다.
  3. 전염소처리시 잔류염소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4. 철, 망간의 산화능력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염소처리시 잔류염소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입니다. 이유는 오존 처리는 잔류염소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존 처리는 잔류염소를 증가시키는 전통적인 소독 방법에 비해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240g의 초산(CH3COOH)이 35℃로 운전되는 혐기성 소화조에서 완전히 분해될 때 발생되는 CH4의 양은? (단, 소화조 온도를 기준으로 함)

  1. 약 93L
  2. 약 97L
  3. 약 101L
  4. 약 113L
(정답률: 알수없음)
  • 초산(CH3COOH)은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메탄(CH4)과 이산화탄소(CO2)로 변환됩니다. 이 반응에서 생성되는 메탄의 양은 초산의 분자량과 메탄의 분자량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초산(CH3COOH)의 분자량은 60g/mol입니다. 따라서 240g의 초산은 몰 수량으로 4mol입니다.

    CH3COOH → CH4 + CO2

    1mol의 초산이 분해될 때 생성되는 메탄의 몰 수량은 1mol입니다. 따라서 4mol의 초산이 분해될 때 생성되는 메탄의 몰 수량은 4mol입니다.

    메탄(CH4)의 분자량은 16g/mol입니다. 따라서 4mol의 메탄의 질량은 64g입니다.

    35℃에서 1mol의 기체가 차지하는 부피는 24.45L입니다. 따라서 64g의 메탄이 차지하는 부피는 약 101L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101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어느 식품공장의 폐수를 호기성 생물처리법으로 처리하고자 수질을 분석한 결과 질소분이 없어 요소를 가하였다. 얼마의 주입량(요소)이 필요한가? (단, 폐수수질은 pH : 6.8, SS : 80mg/L, BOD : 2500mg/L, 인 : 30mg/L, 전질소 : 0, 요소 : (NH2)2CO, BOD:N:P = 100:5:1 기준)

  1. 약 230mg/L
  2. 약 250mg/L
  3. 약 270mg/L
  4. 약 290mg/L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폐수의 BOD:N:P 비율은 100:5:1 이므로, 질소분이 없는 상태에서는 질소분을 가해줘야 한다. 이때 가해해야 하는 질소분은 인과 비례하여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인의 농도가 30mg/L 이므로, 이에 맞게 요소를 가해주어야 한다. 요소(NH2)2CO 의 분자량은 60이므로, 1L의 폐수에 30mg/L의 인을 가하려면 (30mg/L) / (5mg/L) x 60 = 360mg/L의 요소가 필요하다. 하지만 BOD:N:P 비율이 100:5:1 이므로, 이 비율에 맞게 가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요소의 가해량은 (360mg/L) x (5/100) = 18mg/L 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270mg/L"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3kg glucose(C6H12O6)로부터 발생 가능한 CH4 가스의 용적은?(단, 표준상태, 혐기성 분해 기준)

  1. 약 1120L
  2. 약 1260L
  3. 약 1310L
  4. 약 1470L
(정답률: 알수없음)
  • 글루코스(C6H12O6)는 혐기성 분해에 의해 CH4와 CO2로 분해됩니다. 이 반응에서 1 몰의 글루코스가 1 몰의 CH4와 1 몰의 CO2로 분해됩니다. 따라서 3kg의 글루코스는 3/180 몰, 즉 0.0167 몰의 CH4를 생성합니다.

    이제 이 양의 CH4가 0℃, 1 atm에서 차지하는 용적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때 이상기체 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상기체 법칙은 PV = nRT로 표현됩니다. 여기서 P는 압력, V는 용적,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8.31 J/mol·K), T는 절대온도(K)입니다.

    0℃는 273K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n = 0.0167 mol
    R = 8.31 J/mol·K
    T = 273 K

    V = nRT/P = (0.0167 mol) x (8.31 J/mol·K) x (273 K) / (1 atm x 101325 Pa/atm)

    이를 계산하면 약 1120L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1120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슬러지 농축방법 중 '부상식 농축'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소요면적이 크며 악취문제 발생
  2. 잉여슬러지에 효과적임
  3. 실내에 설치시 부식 방지
  4. 약품주입 없이도 운전 가능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소요면적이 크며 악취문제 발생"입니다.

    "실내에 설치시 부식 방지"는 오히려 장점이며, 부식 방지를 위해 스테인리스강 등의 내식성이 높은 재질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1000m3/day의 하수를 처리하고 있는 하수처리장에서 염소처리시 염소요구량이 5.5mg/L이고 잔류염소농도가 0.5mg/L일 때 1일 염소 주입량은? (단, 주입염소에는 40%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다. )

  1. 10kg/day
  2. 15kg/day
  3. 20kg/day
  4. 25kg/day
(정답률: 알수없음)
  • 1일에 처리하는 하수의 양은 1000m3/day 이므로, 하루에 필요한 염소의 양은 다음과 같다.

    염소 요구량 = 5.5mg/L x 1000m3/day = 5500g/day

    하지만, 주입염소에는 40%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주입해야 할 염소의 양은 다음과 같다.

    실제 주입해야 할 염소의 양 = 5500g/day ÷ 0.6 = 9166.67g/day

    마지막으로, 잔류염소농도가 0.5mg/L 이므로, 1일에 주입해야 할 염소의 양은 다음과 같다.

    1일 염소 주입량 = (염소 요구량 - 잔류염소농도) x 하수 처리량 = (5.5 - 0.5)mg/L x 1000m3/day = 5000g/day = 5kg/day

    따라서, 정답은 "10kg/day" 가 아닌 "5kg/day"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BOD 200mg/L인 하수를 1차 및 2차 처리하여 최종 유출수의 BOD농도를 40mg/L으로 하고자 한다. 1차 처리에서 BOD 제거율이 40%일 때 2차 처리에서의 BOD 제거율은?

  1. 58%
  2. 67%
  3. 72%
  4. 83%
(정답률: 알수없음)
  • 1차 처리 후 유출수의 BOD 농도는 200mg/L x (1-0.4) = 120mg/L이다. 이를 2차 처리하여 최종 유출수의 BOD 농도를 40mg/L로 하려면, 2차 처리에서는 120mg/L x (1-제거율) = 40mg/L 이어야 한다. 이를 계산하면 제거율은 67%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1차 침전지 유입폐수의 BOD는 200mg/L이고 표준살수여상법에서 살수량은 3m3/m2ㆍday 이다. 1차 침전지에서 BOD 제거율이 40%이고 살수여상의 깊이가 3m 일 때 살수여상의 BOD 용적부하는?

  1. 0.1kg/m3ㆍd
  2. 0.12kg/m3ㆍd
  3. 0.14kg/m3ㆍd
  4. 0.16kg/m3ㆍd
(정답률: 알수없음)
  • BOD 제거율이 40%이므로, 1차 침전지에서의 BOD 농도는 200mg/L x (1-0.4) = 120mg/L 이다.

    살수여상의 용적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살수량 = 살수여상의 넓이 x 살수여상의 깊이 x 살수여상의 유속

    살수여상의 유속은 일반적으로 0.3m/day 정도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살수여상의 용적부 = 3m2 x 3m x 0.3m/day = 2.7m3/day 이다.

    BOD 용적부는 BOD 농도 x 용적부이므로,

    BOD 용적부 = 120mg/L x 2.7m3/day = 0.324kg/day

    이를 다시 살수여상의 넓이로 나누면,

    BOD 용적부 = 0.324kg/day ÷ (3m2 x 1day) = 0.12kg/m3ㆍd

    따라서, 정답은 "0.12kg/m3ㆍd"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직경이 20m인 원형 침전지의 표면부하율이 50m/day인 경우 유입되는 유량은?

  1. 약 13240m3/day
  2. 약 14560m3/day
  3. 약 15710m3/day
  4. 약 16720m3/day
(정답률: 알수없음)
  • 침전지의 표면부하율은 일정한 시간 동안 침전지의 면적당 유입되는 유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유입되는 유량은 표면부하율에 침전지의 면적을 곱한 값이 됩니다.

    유입되는 유량 = 표면부하율 x 침전지 면적
    유입되는 유량 = 50m/day x (10m)^2 x π
    유입되는 유량 ≈ 15707.96m^3/day

    따라서, 정답은 "약 15710m^3/day"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41. 다음 내용은 마이크로파(microwave)에 의한 유기물분해원리이다. ( )에 맞는 것은?

  1. A : 극성분자, B : 이온전도
  2. A : 전자, B : 충돌
  3. A : 전자, B : 분자결합
  4. A : 극성분자, B : 해리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파는 전자기파로서, 극성분자의 분자 내 전하 분포를 변화시키고, 이온전도성을 가진 이온들을 이동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기물 분자 중 극성분자는 마이크로파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온전도성을 가진 이온들도 마찬가지로 마이크로파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A : 극성분자, B : 이온전도"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아질산성 질소 표준원액(약 0.25 mg NO2-N/mL)을 조제하기 위해서 아질산나트륨(NaNO2)을 데시게이터에서 24시간 건조 시킨 후 일정량을 취하여 물에 녹이고 클로로포름 0.5mL와 물을 넣어 500mL로 하였다. 표준원액 제조를 위해 취한 아질산나트륨의 일정량은? (단, 원자량 Na : 23)

  1. 0.308g
  2. 0.616g
  3. 1.232g
  4. 2.464g
(정답률: 알수없음)
  • 아질산성 질소 표준원액을 조제하기 위해서는 아질산나트륨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아질산나트륨의 양을 계산해야 한다.

    먼저, 아질산나트륨의 몰질량을 계산해보자.

    NaNO2의 몰질량 = 23 + 14 + 32 = 69 g/mol

    따라서, 0.25 mg NO2-N/mL의 표준원액을 조제하기 위해서는 1 L의 용액에 0.25 mg의 NO2-N이 포함되어야 한다.

    물의 밀도는 대략 1 g/mL이므로, 500 mL의 용액에는 500 g의 물이 포함된다.

    따라서, 1 L의 용액에는 500/1000 = 0.5 g의 물이 포함된다.

    클로로포름의 밀도는 대략 1.5 g/mL이므로, 0.5 mL의 클로로포름은 0.5 x 1.5 = 0.75 g이 된다.

    따라서, 1 L의 용액에는 0.75/1000 = 0.00075 g의 클로로포름이 포함된다.

    따라서, 1 L의 용액에는 0.25 + 0.5 + 0.00075 = 0.75075 mg의 NO2-N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제, 이 값을 아질산나트륨의 양으로 환산해보자.

    NO2-N 1 mol에 대응하는 NaNO2의 몰수는 1:1이므로, 0.75075 mg의 NO2-N은 0.75075/69 = 0.01087 mmol의 NaNO2에 해당한다.

    따라서, 0.01087 mmol의 NaNO2는 0.01087 x 69 = 0.74923 mg에 해당한다.

    이 값은 0.616g과 가장 가까우므로, 정답은 "0.616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배출허용기준 적합 여부 판정을 위해 수소이온농도 등 현장에서 즉시 측정분석하여야 하는 항목의 측정분석치 산출방법은? (단, 복수시료채취방법 기준)

  1. 30분 이상 간격으로 2회 이상 측정분석한 후 산술평균하여 측정 분석값을 산출한다.
  2. 1시간 이상 간격으로 4회 이상 측정분석한 후 산술평균하여 측정 분석값을 산출한다.
  3. 30분 이상 간격으로 2회 이상 측정분석한 후 그 중 최고치를 측정분석값으로 한다.
  4. 1시간 이상 간격으로 4회 이상 측정분석한 후 그 중 최고치를 측정분석값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배출허용기준 적합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즉시 측정분석하여야 하는 항목의 측정분석치를 산출해야 합니다. 이때, 측정분석치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복수시료채취방법을 사용하며, 이를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분석을 반복해야 합니다. 따라서, "30분 이상 간격으로 2회 이상 측정분석한 후 산술평균하여 측정 분석값을 산출한다."가 정답입니다. 이 방법은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분석을 반복하고, 그 결과를 평균내어 측정분석치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시안을 피리딘-피라졸론법으로 분석할 때 틀린 것은?

  1. 시료 중 잔류염소는 아비산나트륨 용액을 넣어 제거 한다.
  2. 질산염이 함유된 시료는 초산아연 용액을 넣어 제거한다.
  3. 시료에 다량의 유지류를 포함한 경우 노말헥산으로 추출하여 제거한다.
  4. 시료 중 잔류염소는 L-아스코르빈산 용액을 넣어 제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질산염이 함유된 시료는 초산아연 용액을 넣어 제거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질산염이 함유된 시료는 질산염을 함유하지 않은 시료와 같이 처리한다."이다. 이유는 피리딘-피라졸론법에서는 시료 중에 질산염이 함유되면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질산염이 함유된 시료는 질산염을 함유하지 않은 시료와 같이 처리하여 질산염을 제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호소나 하천에서의 투명도 측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날씨가 맑고 수면이 온화할 때 투명판이 잘 보이도록 배의 그늘을 피하여 측정한다.
  2. 투명도 판은 무게가 약 3kg인 지름 30cm의 백색 원판에 지름이 5cm의 구멍 8개가 뚫린 것이다.
  3. 투명도 판을 조용히 수중에 보이지 않는 깊이로 넣은 다음 천천히 끌어 올리면서 보이기 시작한 깊이를 측정한다.
  4. 흐름이 있어 줄이 기울어질 경우에는 2kg 정도의 추를 달아서 줄을 세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흐름이 있어 줄이 기울어질 경우에는 2kg 정도의 추를 달아서 줄을 세운다."가 틀린 것이다. 흐름이 있을 경우에는 투명도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투명도 측정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그림은 불소정량을 위한 증류 장치이다. A는 수증기 발생용 플라스크, C는 냉각기, D는 수기, E는 온도계라면 B는 무엇인가?

  1. 평저플라스크
  2. 킬달플라스크
  3. 메스플라스크
  4. 크라이젠플라스크
(정답률: 알수없음)
  • B는 킬달플라스크이다. 이는 정확한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량용 유리기구로, 일반적으로 20ml, 50ml, 100ml 등의 용량을 가진다. 이 장치는 측정용액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높이가 높고 얇은 목이 특징이며, 불소정량을 위한 증류 장치에서는 정확한 용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측량용 유리기구 중에서도 다른 종류의 것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수질오염 공정 시험기준에서 진공이라 함은?

  1.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g 이하를 말함
  2.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2O 이하를 말함
  3. 따로 규정이 없는 한 4mmHg 이하를 말함
  4. 따로 규정이 없는 한 4mmH2O 이하를 말함
(정답률: 알수없음)
  • 진공은 압력의 단위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mmHg 또는 mmH2O로 표시됩니다. 이 중에서도 수질오염 공정 시험기준에서는 진공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g 이하를 말합니다. 즉, 시험기준에서는 진공이 15mmHg 이하일 때 적절한 수질오염 공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수심이 4m, 폭이 8m 인 장방형 개수로에 평균유속 1.5m/sec의 폐수를 흘려 보내고 있다. 유속계수가 25 일 때 이 개수로의 경사 (i)와 유량(Q)은?

  1. i = 0.0018, Q = 2,880m3/분
  2. i = 0.0036, Q = 5,760m3/분
  3. i = 0.0018, Q = 5,760m3/분
  4. i = 0.0036, Q = 2,880m3/분
(정답률: 알수없음)
  • 유속계수는 25이므로, 맨단속은 1.5/25 = 0.06m/sec 이다.
    유량(Q)은 평균유속 x 단면적으로 구할 수 있다.
    단면적은 수심 x 폭 = 4 x 8 = 32m² 이다.
    따라서 Q = 0.06 x 32 x 60 = 115.2m³/min = 2,880m³/분 이다.
    경사(i)는 맨단속/경사율로 구할 수 있다.
    경사율은 수평거리/고도차이므로, 이 경우에는 폭/수심 = 8/4 = 2 이다.
    따라서 경사율은 1/2 = 0.5 이다.
    따라서 i = 0.06/0.5 = 0.0012 이다.
    따라서 정답은 "i = 0.0018, Q = 2,880m³/분"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흡광광도측정에서 투과 퍼센트가 50% 일 때 흡광도는?

  1. 0.2
  2. 0.3
  3. 0.4
  4. 0.5
(정답률: 알수없음)
  • 흡광도(Absorbance)는 빛이 시료에 흡수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일정한 길이의 시료를 통과하는 빛의 감소량을 측정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투과 퍼센트(Transmittance)가 50%라는 것은 시료를 통과하는 빛의 양이 원래의 절반으로 줄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시료를 통과한 빛의 감소량은 1 - 0.5 = 0.5가 됩니다.

    흡광도와 투과 퍼센트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 연결됩니다.

    흡광도(A) = log(1/투과 퍼센트(T)) = -log(T)

    따라서, 투과 퍼센트가 50%일 때의 흡광도는 -log(0.5) ≈ 0.3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직각 3각 위어를 사용하여 유량을 산출할 때 사용되는 공식과 다음 조건에서의 유량(m3/분)으로 맞는 것은?

  1. Q=Kh5/2, 8.84
  2. Q=Kh3/2, 17.74
  3. Q=Kbh5/2, 8.84
  4. Q=Kbh3/2, 17.74
(정답률: 알수없음)
  • 직각 3각 위어를 사용하여 유량을 산출하는 공식은 Q=Kh5/2 이다. 이때, K는 상수이며, 측정한 물의 높이 h를 대입하여 유량 Q를 구할 수 있다.

    주어진 조건에서는 K=0.1, h=2.98m 이므로 Q=0.1×(2.98)5/2≈8.84(m3/분) 이다.

    따라서 정답은 "Q=Kh5/2, 8.8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시료에 독성물질이나 구리, 납 등의 금속이온이 함유되어 정상적인 BOD 값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료의 적정 여부를 검토하는 방법으로 맞는 것은?

  1. 글루코오스 및 글루타민산을 사용하여 BOD 값을 확인한다.
  2.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구하여 비교 검토한다.
  3. 시료를 24시간 동안 폭기한 후 BOD 값을 확인한다.
  4. 황산반토를 첨가하여 금속이온을 제거한 후 BOD 값을 확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글루코오스 및 글루타민산은 유기물의 대표적인 탄소원과 질소원으로서, 이들을 이용하여 BOD 값을 확인하면, 금속이온 등의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한 BOD 값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시료에 독성물질이나 금속이온 등이 함유되어 정상적인 BOD 값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 글루코오스 및 글루타민산을 사용하여 BOD 값을 확인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공정시험기준에서 시료내 인산염인을 측정할 수 있는 시험방법은?

  1. 란탄-알리자린 콤프렉손법
  2. 디페닐카르바지드법
  3. 염화제일주석 환원법
  4. 데발다합금 환원증류법
(정답률: 60%)
  • 시료내 인산염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인 염화제일주석 환원법은 시료에 산화제일주석을 첨가하여 인산염을 환원시키고, 환원된 인산염을 철(III) 이온과 함께 첨가된 티타늄(IV) 이온과 반응시켜서 형성되는 녹색의 황산티탄(III) 착물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인산염 함량을 알아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정확하고 민감하며, 다른 이온들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아서 인산염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알칼리성 과망간산칼륨에 의한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수질오염공정 시험기준에 따라 측정하였다. 바탕시험 적정에 소비된 0.025N-티오 황산나트륨 용액은 5.6mL였고, 시료의 적정에 소비된 0.025N-티오 황산나트륨 용액은 3.3mL였다. COD가 46mg/L였다면 분석에 사용된 시료량은? (단, 0.025N-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의 농도계수는 1.0)

  1. 5mL
  2. 10mL
  3. 35mL
  4. 50mL
(정답률: 알수없음)
  • COD 측정에서 사용된 시료의 적정에 소비된 0.025N-티오 황산나트륨 용액의 양은 3.3mL이다. 따라서 시료에 포함된 산소의 양은 0.025N × 3.3mL = 0.0825eq 이다. 이 산소의 양은 알칼리성 과망간산칼륨에 의해 산화되어 COD 46mg/L을 만들어 냈다. COD는 1L의 시료에 포함된 산소의 양으로 계산되므로, 1L의 시료에 포함된 산소의 양은 46mg 이다. 따라서 1L의 시료에 포함된 산소의 양이 0.0825eq 이므로, 1eq의 산소를 포함하는 시료의 양은 46mg / 0.0825eq = 557.6mL 이다. 따라서 10mL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항목 중 폴리에틸렌 용기로 보존할 수 있는 것으로 짝지은 것은?

  1. 색도, 페놀류, 유기인
  2. 질산성 질소, 총인, 휘발성 저급 탄화수소류
  3. 부유물질, 불소, 셀레늄
  4. 노말헥산추출물질, 납, 시안
(정답률: 알수없음)
  • 폴리에틸렌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물과 기타 용매에 대한 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부유물질, 불소, 셀레늄과 같은 화학물질을 보존하는 데 적합합니다. 다른 항목들은 폴리에틸렌과 상호작용하여 용기 내부의 화학적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이온전극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이온농도 측정범위는 일반적으로 10-1mol/L~10-4mol/L 이다.
  2. 이온전극의 종류나 구조에 따라 사용 가능한 pH 범위가 있다.
  3. 측정용액의 온도가 1℃ 상승하면 전위 기울기는 1가 이온이 약 1mV, 2가 이온이 약 2mV 변화한다.
  4. 시료용액의 교반은 인온전극의 전극범위, 응답속도, 정량한계 값에 영향을 나타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용액의 온도가 1℃ 상승하면 전위 기울기는 1가 이온이 약 1mV, 2가 이온이 약 2mV 변화한다." 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온전극법에서는 온도 변화에 따라 전위 기울기가 변화하므로,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온도 보정이 필요하다. 이는 너무 높거나 낮은 온도에서는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철을 유도결합플라즈마 발광광도법과 원자흡광광도법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각각의 측정파장은?

  1. 유도결합플라스마발광광도법 : 449.94nm, 원자흡광광도법 : 288.5nm
  2. 유도결합플라스마발광광도법 : 379.54nm, 원자흡광광도법 : 268.5nm
  3. 유도결합플라스마발광광도법 : 259.94nm, 원자흡광광도법 : 248.3nm
  4. 유도결합플라스마발광광도법 : 143.54nm, 원자흡광광도법 : 228.3nm
(정답률: 알수없음)
  • 철의 유도결합플라즈마 발광광도법과 원자흡광광도법의 측정파장은 각각 259.94nm과 248.3nm이다. 이는 철 원자의 전자가 유도결합플라즈마에서 발광할 때 방출되는 파장과, 원자흡광광도법에서 철 원자가 흡수하는 파장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의 측정파장은 철 원자와 관련이 없는 다른 물질의 파장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노말 헥산 추출물질 함유량 측정에 관한 설명인 아래 밑줄 친 내용 중 틀린 것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면서 산화분해가 어려운 시료의 전처리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질산-염산에 의한 분해
  2. 질산-황산에 의한 분해
  3. 질산-과염소산에 의한 분해
  4. 질산-과염소산-불화수소산에 의한 분해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면서 산화분해가 어려운 시료의 경우, 질산-과염소산에 의한 분해가 가장 적절하다. 이는 과염소산이 강력한 산화제이기 때문에, 유기물을 산화시켜 분해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질산은 산화제로서의 역할도 하며, 산성 환경을 유지하여 분해 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질산-과염소산에 의한 분해가 가장 적절한 전처리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유도결합 플라스마 발광광도계 장치의 조작법 중 설정조건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1. 고주파출력은 수용액 시료의 경우 0.8~1.4kW, 유기용매시료의 경우 1.5~2.5kW로 설정한다.
  2. 가스유량은 일반적으로 냉각가스 10~18L/min, 보조가스 5~10L/min 범위이다.
  3. 분석선(파장)의 설정은 일반적으로 가장 감도가 높은 파장을 설정한다.
  4. 플라스마 발광부 관측 높이는 유도코일 상단으로부터 15~18mm 범위에 측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유량은 일반적으로 냉각가스 10~18L/min, 보조가스 5~10L/min 범위이다."가 잘못된 것이 아니다. 이유는 유도결합 플라스마 발광분석에서 가스유량은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범위를 제시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은 용존산소 측정을 위한 윙클러-아지드화나트륨 변법의 측정원리이다. ( )에 맞는 내용은?

  1. A : 제일철염, B : 질산염, C : 0.5
  2. A : 아질산염, B : 제일철염, C : 0.5
  3. A : 제일철염, B : 질산염, C : 0.1
  4. A : 아질산염, B : 제일철염, C : 0.1
(정답률: 알수없음)
  • 윙클러-아지드화나트륨 변법은 용존산소를 산화시켜서 아질산염으로 만들고, 이를 제일철염과 반응시켜서 산화철을 생성하는 반응을 이용하여 용존산소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A는 아질산염이어야 하고, B는 제일철염이어야 한다. C는 산화철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제일철염의 농도를 나타내는데, 이 값이 작을수록 민감한 측정이 가능하므로 0.1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A : 아질산염, B : 제일철염, C : 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수질환경관계법규

61. 초과배출부과금 부과 대상 수질오염물질이 아닌 것은?

  1. 디클로로에틸렌
  2. 트리클로로에틸렌
  3. 테트라클로로에틸렌
  4. 망간 및 그 화합물
(정답률: 알수없음)
  • 디클로로에틸렌은 수질오염물질 중 하나이지만, 초과배출부과금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디클로로에틸렌이 대기오염물질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초과배출부과금은 수질오염물질에 대한 것이므로, 디클로로에틸렌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오염총량관리기본방침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오염총량관리의 목표
  2. 오염총량관리 대상 유역 개발계획
  3. 오염총량관리의 대상 수질오염물질 종류
  4. 오염원의 조사 및 오염부하량 산정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오염총량관리기본방침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오염총량관리의 목표", "오염총량관리의 대상 수질오염물질 종류", "오염원의 조사 및 오염부하량 산정방법"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오염총량관리 대상 유역 개발계획"입니다. 이는 오염총량관리 대상 유역의 개발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오염총량관리의 목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폐수처리업 등록기준 중 폐수재이용업의 기술능력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수질환경산업기사, 화공산업기사 중 1명 이상
  2. 수질환경산업기사, 대기환경산업기사 중 1명 이상
  3. 수질환경산업기사, 화학분석산업기사 중 1명 이상
  4. 수질환경산업기사, 위험물산업기사 중 1명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폐수재이용업은 폐수를 처리하고 이를 재이용하는 업종이므로, 이에 필요한 기술능력이 요구됩니다. 수질환경산업기사와 화공산업기사는 환경분야에서의 기술능력을 인증하는 자격증으로, 폐수처리 및 재이용과 관련된 기술능력을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폐수재이용업 등록기준 중 "수질환경산업기사, 화공산업기사 중 1명 이상"이 기술능력 기준으로 맞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폐수의 처리능력과 처리가능성을 고려하여 수탁하여야 하는 준수 사항을 지키지 아니한 폐수처리업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원 이하의 벌금
  3. 6월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원 이하의 벌금
  4. 5백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알수없음)
  • 폐수 처리업자는 환경보호법 등 관련 법령에서 정한 기준을 준수하여 폐수를 처리해야 합니다. 만약 이러한 준수 사항을 지키지 않고 폐수를 처리하면,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벌칙을 받게 됩니다. 이때, 벌칙 기준은 "5백만원 이하의 벌금"입니다. 이는 징역이나 더 높은 벌금보다는 낮은 벌금으로 설정된 이유는, 폐수 처리업자가 법령을 준수하도록 권고하고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배출부과금 부과시 고려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배출허용기준 초과 여부
  2.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의 종류
  3. 배출시설의 정상 가동 여부
  4. 수질오염물질의 배출기간
(정답률: 알수없음)
  • 배출부과금은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에 대해 부과되는 금액으로, 배출허용기준 초과 여부와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의 종류, 그리고 수질오염물질의 배출기간 등을 고려하여 부과됩니다. 따라서 "배출시설의 정상 가동 여부"는 배출부과금 부과시 고려사항으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대권역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계획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환경부 장관은 대권역 계획을 10년마다 수립하여야 한다.
  2. 대권역 계획에는 수질오염 예방 및 저감대책이 포함되어야 한다.
  3. 대권역 계획에는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조치의 추진방향이 포함되어야 한다.
  4. 환경부 장관이 대권역 계획을 수립할 때는 관계지방자치단체의 장과 협의 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환경부 장관이 대권역 계획을 10년마다 수립하여야 한다."이다. 대권역 계획은 5년마다 수립되며, 10년마다 개정될 수 있다. 환경부 장관이 대권역 계획을 수립할 때는 관계지방자치단체의 장과 협의하여야 한다는 것은 맞는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폐수처리업에 종사하는 기술요원의 교육기관은?

  1. 국립환경인력개발원
  2. 국립환경과학원
  3. 환경보전협회
  4. 환경기술연구원
(정답률: 알수없음)
  • 국립환경인력개발원은 환경분야의 인력양성 및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폐수처리업에 종사하는 기술요원들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환경과학 연구, 보전, 기술 연구 등 다른 분야를 담당하는 기관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비점오염원의 변경신고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상호가 변경되는 경우
  2. 사업장 부지 면적이 처음 신고 면적의 100분의 30이상 증가하는 경우
  3.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종류, 위치, 용량이 변경되는 경우
  4. 비점오염원 또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폐쇄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사업장 부지 면적이 처음 신고 면적의 100분의 30이상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이유는 비점오염원의 변경신고 기준은 "환경부령 제5조"에 따라 정해져 있으며, 이 중에서 사업장 부지 면적이 처음 신고 면적의 100분의 30이상 증가하는 경우는 변경신고 대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법에서 적용하고 있는 용어의 정의로 틀린 것은?

  1. 비점오염저감시설 : 수질오염방지시설 중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감소하게 하는 시설로서 환경부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
  2. 강우유출수 : 비점오염원의 수질오염물질이 섞여 유출되는 빗물 또는 눈 녹은 물 등을 말한다.
  3. 기타 수질오염원 :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으로 관리되지 아니하는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 또는 장소로서 환경부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
  4. 비점오염원 :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 및 지역으로 환경부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비점오염원 :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 및 지역으로 환경부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다.

    비점오염원은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지역이나 시설을 말한다. 이에 반해, 비점오염저감시설은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시설을 말한다. 강우유출수는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수질오염물질이 섞여 유출되는 빗물이나 눈 녹은 물 등을 말한다. 기타 수질오염원은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관리되지 않는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이나 장소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환경부령이 정하는 수로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상수관거
  2. 지하수로
  3. 운하
  4. 농업용수로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부령에서는 "지하수로", "운하", "농업용수로" 등 다양한 수로를 규정하고 있지만, "상수관거"는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는 상수도 관련 법규에서 규정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 중 하천(사람의 건강 보호 기준)에 대한 항목별 기준값으로 틀린 것은?

  1. 비소 : 0.05 mg/L 이하
  2. 납 : 0.05 mg/L 이하
  3. 6가 크롬 : 0.05 mg/L 이하
  4. 수은 : 0.05 mg/L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수은은 매우 독성이 강한 물질로,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에서도 0.05 mg/L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폐수무방류배출시설의 경우에 운영기록 보존 기간은? (단, '최종 기재한 날부터'기준)

  1. 6월
  2. 1년
  3. 2년
  4. 3년
(정답률: 알수없음)
  • 폐수무방류배출시설의 운영기록은 환경부령 제12조에 따라 최종 기재한 날부터 3년간 보존하여야 합니다. 이는 환경오염사고 발생 시 조사 및 대응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정당한 사유 없이 공공수역에 특정수질유해물질을 누출, 유출시키거나 버린 자에게 부과되는 벌칙기준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 500만원 이하의 벌금
  3.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수역에 특정수질유해물질을 누출, 유출시키거나 버리는 행위는 환경보호법에서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위반자에게 부과되는 벌칙은 징역 또는 벌금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벌금의 경우 최대 1천 500만원까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위반행위의 정도와 범위에 따라 벌금액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공수역에 특정수질유해물질을 누출, 유출시키거나 버린 자에게 부과되는 벌칙기준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 500만원 이하의 벌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위반횟수별 부과계수에 관한 내용 중 맞는 것은?

  1. 2종 사업장의 경우 처음 위반시 : 1.6
  2. 3종 사업장의 경우 처음 위반시 : 1.4
  3. 4종 사업장의 경우 처음 위반시 : 1.2
  4. 5종 사업장의 경우 처음 위반시 : 1.0
(정답률: 알수없음)
  • 4종 사업장은 위험성이 낮은 사업장으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처음 위반시에도 다른 사업장에 비해 부과계수가 낮게 적용됩니다. 따라서 처음 위반시에는 1.2의 부과계수가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의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연간 보고 횟수가 가장 많은 것은?

  1. 과징금 징수 실적 및 체납처분 현황
  2. 폐수처리업에 대한 등록, 지도단속실적 및 처리실적 현황
  3. 비점오염원의 설치신고 및 방지시설설치 현황 및 행정처분 현황
  4. 배출부과금 징수 실적 및 체납처분 현황
(정답률: 알수없음)
  • 연간 보고 횟수가 가장 많은 것은 "비점오염원의 설치신고 및 방지시설설치 현황 및 행정처분 현황"입니다. 이는 비점오염원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비점오염원 관리는 환경보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보고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시장, 군수, 구청장이 낚시금지구역 또는 낚시제한구역을 지정하려는 경우 고려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용수의 목적
  2. 낚시터 인근에서의 쓰레기 발생 현황 및 처리 여건
  3. 연도별 낚시 인구의 현황
  4. 수질오염 예방 및 저감 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시장, 군수, 구청장이 낚시금지구역 또는 낚시제한구역을 지정할 때는 용수의 목적, 낚시터 인근에서의 쓰레기 발생 현황 및 처리 여건, 연도별 낚시 인구의 현황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수질오염 예방 및 저감 계획입니다. 이는 낚시로 인한 수질오염을 예방하고, 이미 발생한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계획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낚시금지구역 또는 낚시제한구역을 지정할 때는 이러한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환경기준상 다음 지표 어류 중 가장 깨끗한 물에 사는 것은? (단,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별 생물학적 특성 이해표 기준)

  1. 잉어
  2. 갈겨니
  3. 미꾸라지
  4. 메기
(정답률: 34%)
  • 갈겨니는 미세한 오염에도 민감하며, 물이 맑고 산소가 풍부한 상류나 산간 지역에 서식하는 어종입니다. 따라서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가 좋은 깨끗한 물에서 서식하며, 환경기준상 가장 깨끗한 물에 사는 어종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초과부과금 산정기준인 수질오염물질 1킬로그램당 부과금액이 가장 낮은 물질은?

  1. 카드뮴 및 그 화합물
  2. 납 및 그 화합물
  3. 폴리염화비페닐
  4. 트리클로로에틸렌
(정답률: 알수없음)
  • 초과부과금은 수질오염물질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산정되는데, 이 중에서 1킬로그램당 부과금액이 가장 낮은 물질은 "납 및 그 화합물"입니다. 이는 납이 다른 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아서 초과부과금이 적게 부과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납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 알려져 있어서 초과부과금이 높게 책정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수질 및 수생태계 정책심의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질 및 수생태계와 관련된 측정, 조사에 관한 사항을 심의한다.
  2. 위원회의 위원장은 환경부 차관으로 한다.
  3. 위원회는 위원장과 부위원장 각 1인을 포함한 2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4. 환경부 장관이 위촉하는 수질 및 수생태계 관련 전문가 3인이 위원으로 포함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원장이 환경부 차관으로 되는 것은 틀린 설명이 아닙니다. 따라서 모든 보기가 맞는 설명입니다.

    위원장이 환경부 차관으로 되는 이유는, 수질 및 수생태계 정책심의위원회가 환경부의 소속 기관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원장이 환경부 차관으로 되어, 환경부와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수질오염경보인 '조류대발생경보' 발령시 조치사항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조류 증식 수심 이하로 취수구 이동
  2. 정수의 독소 분석 실시
  3. 황토 등 흡착제 살포, 조류 제거선 등을 이용한 조류 제거조치 실시
  4. 주 1회 이상 시료 채취 분석(클로로필-a, BOD, SS 등)
(정답률: 알수없음)
  • 주 1회 이상 시료 채취 분석은 조류대발생경보 발령시 취해야 하는 조치사항 중 하나인데, 이는 수질의 클로로필-a, BOD, SS 등을 분석하여 조류 증식의 원인을 파악하고 대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조치사항이 해당되지 않는 것은 적절한 대처를 위해 필수적인 조치사항이기 때문에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