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3-10)

수질환경산업기사
(2013-03-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수질오염개론

1. 어느 물질의 반응시작 때의 농도가 200mg/L이고 2시간 후의 농도가 35mg/L로 되었다. 반응시작 1시간 후의 반응물질 농도는? (단, 1차반응기준, 자연대수기준)

  1. 약 84mg/L
  2. 약 92mg/L
  3. 약 107mg/L
  4. 약 114mg/L
(정답률: 77%)
  • 1차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A → B

    반응속도식은 다음과 같다.

    r = -d[A]/dt = k[A]

    여기서 k는 속도상수이다.

    농도가 시간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므로, 농도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t = [A]0 * e^(-kt)

    여기서 [A]t는 시간 t에서의 농도이고, [A]0는 반응시작 때의 농도이다.

    2시간 후의 농도가 35mg/L이므로,

    35 = 200 * e^(-2k)

    k = 0.693/2 = 0.3465 (시간의 역수로 나타낸 속도상수)

    1시간 후의 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1 = [A]0 * e^(-k)

    [A]1 = 200 * e^(-0.3465) = 약 84mg/L

    따라서 정답은 "약 84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산소의 포화농도가 9.14mg/L인 하천에서 t=0 일때 DO농도가 6.5mg/L라면 물이 3일 및 5일 흐른 후 하류에서의 DO농도는? (단, 최종 BOD=11.3mg/L, k1=0.1/day, k2=0.2/day, 상용대수기준)

  1. 3일 후 DO농도=5.7mg/L, 5일 후 DO농도=6.1mg/L
  2. 3일 후 DO농도=5.7mg/L, 5일 후 DO농도=6.4mg/L
  3. 3일 후 DO농도=6.1mg/L, 5일 후 DO농도=7.1mg/L
  4. 3일 후 DO농도=6.1mg/L, 5일 후 DO농도=7.4mg/L
(정답률: 61%)
  • BOD는 3일 후에 6.5 - 5.7 = 0.8mg/L, 5일 후에 6.5 - 6.4 = 0.1mg/L 감소한다. 이는 상용대수기준을 만족하므로, k1과 k2를 이용하여 DO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BOD5 = k1 × DOsat × (1 - e-k2t) + k2 × DOsat × (1 - e-k1t)
    11.3 = 0.1 × 9.14 × (1 - e-0.2×3) + 0.2 × 9.14 × (1 - e-0.1×3)
    11.3 = 0.1 × 9.14 × (1 - 0.670) + 0.2 × 9.14 × (1 - 0.951)
    11.3 = 0.1 × 9.14 × 0.330 + 0.2 × 9.14 × 0.049
    11.3 = 0.302 + 0.089
    11.3 ≈ 0.391

    따라서, DO농도는 9.14 - 0.391 ≈ 8.749mg/L 이다.

    3일 후에는 BOD3 = 0.8mg/L 이므로,
    DO농도 = 9.14 × e-0.1×3 + (8.749 - 9.14) × e-0.2×3
    DO농도 ≈ 5.7mg/L

    5일 후에는 BOD5 - BOD3 = 11.3 - 5.7 = 5.6mg/L 이므로,
    DO농도 = 9.14 × e-0.1×5 + (5.7 - 8.749 × e-0.2×3) × e-0.2×2
    DO농도 ≈ 6.4mg/L

    따라서, 정답은 "3일 후 DO농도=5.7mg/L, 5일 후 DO농도=6.4mg/L"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pH=4.5인 물의 수소이온농도(M)는?

  1. 약 3.2×10-5M
  2. 약 5.2×10-5M
  3. 약 3.2×10-4M
  4. 약 5.2×10-4M
(정답률: 77%)
  • pH와 수소이온농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pH = -log[H+]

    따라서, pH가 4.5일 때 수소이온농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을 해야 합니다.

    [H+] = 10^(-pH)

    = 10^(-4.5)

    = 3.2×10^(-5) M

    따라서, 정답은 "약 3.2×10^-5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하천주변에 돼지를 키우려고 한다. 이 하천은 BOD가 2.0mg/L이고 유량이 100,000m3/day이다. 돼지 1마리당 BOD배출량은 0.25kg/day라고 한다면 최대 몇 마리까지 키울 수 있는가? (단, 하천의 BOD는 6mg/L을 유지하려고 한다.)

  1. 1600
  2. 2000
  3. 2500
  4. 3000
(정답률: 60%)
  • BOD 배출량은 돼지 1마리당 0.25kg/day 이므로, 하루에 배출되는 BOD 양은 다음과 같다.

    1마리당 0.25kg/day × 마리수 = 총 배출량

    하루에 배출되는 BOD 양은 하천의 BOD 유지량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하루에 배출되는 BOD 양 ≤ 하천의 BOD 유지량 × 하천 유량

    따라서, 최대로 키울 수 있는 돼지 마리수는 다음과 같다.

    0.25kg/day × 마리수 ≤ 6mg/L × 100,000m3/day

    마리수 ≤ (6mg/L × 100,000m3/day) ÷ (0.25kg/day) = 2400마리

    하지만, 이는 하천의 BOD 유지량을 정확히 유지하는 경우이므로, 여유를 두기 위해 최대 마리수를 2400마리보다 적게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최대로 키울 수 있는 돼지 마리수는 1600마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에 나타낸 오수 미생물 중에서 유황화합물을 산화하여 균체 내 또는 균체외에 유황입자를 축적하는 것은?

  1. Zoogloea
  2. Sphaerotilus
  3. Beggiatoa
  4. Crenothrix
(정답률: 77%)
  • Beggiatoa는 황색 미생물 중 하나로, 황화수소나 황화물 등의 유황화합물을 산화하여 균체 내 또는 균체외에 유황입자를 축적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Beggiatoa는 유황화합물을 이용하여 생존하며, 환경에서 유황화합물이 풍부한 해저나 강 등에서 발견됩니다. 따라서 Beggiatoa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증류수 500mL에 NaOH 0.01g을 녹이면 pH는? (단, NaOH의 분자량은 40이고 완전해리 한다.)

  1. 10.4
  2. 10.7
  3. 11.0
  4. 11.3
(정답률: 71%)
  • NaOH 0.01g은 몰질량으로 바꾸면 0.01/40 = 0.00025 mol 이다. 이를 500mL의 증류수에 녹이면, NaOH의 농도는 0.00025/0.5 = 0.0005 M 이다.

    NaOH는 강염기이므로, 이것이 증류수에 녹으면 수용액의 pH는 상승한다. NaOH 0.0005 M의 수용액의 pH는 약 10.7이다. 따라서 정답은 "10.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해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해수의 밀도는 담수보다 작다.
  2. 염분은 적도해역에서 높고, 남·북 양극 해역에서 다소 낮다.
  3. 해수의 Mg/Ca비는 담수의 Mg/Ca비 보다 작다.
  4. 수심이 깊을수록 해수 주요 성분 농도비의 차이는 줄어든다.
(정답률: 71%)
  • 해수는 담수보다 염분 농도가 높기 때문에 밀도가 더 작아지게 됩니다. 이는 염분이 물 분자 사이에 끼어들어서 분자 간 거리를 늘리기 때문입니다. 또한 적도해역은 증발이 많아 염분 농도가 높아지고, 남·북 양극 해역은 녹는 얼음이 담수이기 때문에 염분 농도가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글리신(C2H5O2N)이 호기성조건에서 CO2, H2O, HNO3로 변화될 때 글리신 10g 의 경우 총 산소 필요량은 약 몇 g인가?

  1. 15
  2. 20
  3. 30
  4. 40
(정답률: 56%)
  • 글리신(C2H5O2N)의 분자식은 C2H5O2N이다. 이 분자식에서 산소원자의 수는 2개이다. 따라서 글리신 1몰당 산소원자의 수는 2몰이다. 글리신 10g은 몰질량으로 환산하면 10/75 = 0.1333 몰이다. 따라서 글리신 10g에 필요한 총 산소원자의 수는 0.1333 몰 x 2몰/1몰 = 0.2666 몰이다. 이를 산소 분자의 몰질량인 32g/mol로 환산하면 0.2666 몰 x 32g/mol = 8.5328g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글리신이 CO2, H2O, HNO3로 변화되므로, 이들 분자에 필요한 산소원자의 수도 고려해야 한다. CO2는 1분자당 산소원자 2개, H2O는 1분자당 산소원자 1개, HNO3는 1분자당 산소원자 3개가 필요하다. 따라서 글리신 10g에 필요한 총 산소원자의 수는 0.1333 몰 x (2몰/1몰 + 2몰/1몰 + 3몰/1몰) = 0.1333 몰 x 7몰/1몰 = 0.9331 몰이다. 이를 산소 분자의 몰질량인 32g/mol로 환산하면 0.9331 몰 x 32g/mol = 29.8592g 이다. 따라서 글리신 10g에 필요한 총 산소 필요량은 약 30g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15"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산소 분자가 O2로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O2는 1분자당 산소원자 2개가 있으므로, 글리신 10g에 필요한 총 산소원자의 수는 0.1333 몰 x 2몰/1몰 x 2분자/1몰 = 0.5332 몰이다. 이를 산소 분자의 몰질량인 32g/mol로 환산하면 0.5332 몰 x 32g/mol = 17.0624g 이다. 따라서 글리신 10g에 필요한 총 산소 필요량은 약 15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BOD5가 180mg/L이고 COD가 400mg/L인 경우, 탈산소계수(k1)의 값은 0.12/day였다. 이때 생물학적으로 분해 불가능한 COD는? (단, 상용대수 기준)

  1. 100mg/L
  2. 120mg/L
  3. 140mg/L
  4. 160mg/L
(정답률: 64%)
  • BOD5와 COD의 관계식은 BOD5/COD = k1/k2 이다. 여기서 k2는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COD의 계수이다. 따라서 k2 = k1 x BOD5/COD = 0.12 x 180/400 = 0.054/day 이다.

    상용대수 기준에서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COD는 k2 x COD = 0.054 x 400 = 21.6mg/L 이다. 따라서 생물학적으로 분해 불가능한 COD는 COD에서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COD를 뺀 값이다.

    생물학적으로 분해 불가능한 COD = COD -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COD = 400 - 21.6 = 378.4mg/L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상용대수 기준으로 답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생물학적으로 분해 불가능한 COD를 상용대수 기준으로 변환해야 한다.

    상용대수 기준에서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COD는 k2 x COD = 0.054 x 400 = 21.6mg/L 이다. 따라서 생물학적으로 분해 불가능한 COD는 COD에서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COD를 뺀 값이다.

    생물학적으로 분해 불가능한 COD = COD -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COD = 400 - 21.6 = 378.4mg/L 이다.

    이 값에서 상용대수 기준으로 변환하면, 378.4 x 1.5 = 567mg/L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60mg/L" 인 이유는, 생물학적으로 분해 불가능한 COD가 567mg/L이고, 이를 상용대수 기준으로 변환하면 160mg/L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정체해역에 조류 등이 이상 증식하여 해수의 색을 변색시키는 현상을 적조현상이라 한다. 이때 어류가 죽는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플랑크톤의 이상증식은 해수중의 DO를 고갈시킨다.
  2. 독성을 가진 플랑크톤에 의해 어류가 폐사한다.
  3. 적조현상에 의한 수표면 수막현상으로 인해 어류가 폐사한다.
  4. 이상 증식한 플랑크톤이 어류의 아가미에 부착되어 호흡장애를 일으킨다.
(정답률: 78%)
  • 적조현상에 의한 수표면 수막현상으로 인해 어류가 폐사하는 이유는, 적조현상이 일어나면 해수면에 플랑크톤이 이상 증식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해수면에 수막이 생기게 된다. 이 수막은 해양 생물들의 호흡과 빛의 투과를 방해하며, 이로 인해 어류들은 산소 공급이 부족해져서 폐사하게 된다. 따라서, 적조현상은 어류의 생존에 직접적인 위협을 가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기체가 관련된 화학반응에서는 반응하는 기체와 생성하는 기체의 부피사이에 정수관계가 성립한다]라는 내용의 기체법칙은?

  1. Graham의 결합 부피 법칙
  2. Gay-Lussac의 결합 부피 법칙
  3. Dalton의 결합 부피 법칙
  4. Henry의 결합 부피 법칙
(정답률: 77%)
  • Gay-Lussac의 결합 부피 법칙은 기체가 관련된 화학반응에서는 반응하는 기체와 생성하는 기체의 부피사이에 정수관계가 성립한다는 내용의 기체법칙이다. 이 법칙은 온도와 압력이 일정한 조건에서 성립하며, 기체 분자들이 서로 결합하여 생성되는 화합물의 부피와 반응에 참여하는 기체의 부피 사이에는 항상 정수 비율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2L의 수소와 1L의 산소가 반응하여 2L의 수증기가 생성된다면, 이는 Gay-Lussac의 결합 부피 법칙에 따라 2:1의 정수 비율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0.01N 약산이 2% 해리되어 있을 때 이 수용액의 pH는?

  1. 3.1
  2. 3.4
  3. 3.7
  4. 3.9
(정답률: 76%)
  • 0.01N 약산의 2% 해리는 0.0002N의 수용액을 의미합니다. 이때, 약산은 해리되면서 H+ 이온을 생성하므로 수용액은 산성이 됩니다.

    pH는 -log[H+]로 계산되는데, 0.0002N의 H+ 이온 농도는 2 × 10^-4 M입니다. 이를 pH로 계산하면 약 3.7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Formaldehyde(CH2O) 1250mg/L의 이론적인COD는?

  1. 1263mg/L
  2. 1333mg/L
  3. 1423mg/L
  4. 1594mg/L
(정답률: 78%)
  • Formaldehyde(CH2O)의 이론적인 COD는 분자식에서 산소를 모두 더한 후, 산소 2개당 4개의 전자를 더한 값이다. CH2O의 분자식은 CO + H2이므로, 이론적인 COD는 (1×2) + (2×4) = 10이다. 따라서, 1250mg/L의 Formaldehyde(CH2O) 용액의 이론적인 COD는 1250mg/L × 10/30.025mg/mmol = 416.6mmol/L이다. 이를 다시 mg/L로 환산하면 416.6mmol/L × 30.025mg/mmol = 12510mg/L이다. 이 값은 가장 가까운 보기인 "1333mg/L"와 가장 일치한다. 따라서, 정답은 "1333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콜로이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콜로이드는 입자크기가 크기 때문에 보통의 반투막을 통과하지 못한다.
  2. 콜로이드 입자들이 전기장에 놓이게 되면 입자들은 그 전하의 반대쪽 극으로 이동하여 이러한 현상을 전기영동이라 한다.
  3. 일부 콜로이드 입자들의 크기는 가시광선 평균 파장 보다 크기 때문에 빛의 투과를 간섭한다.
  4. 콜로이드의 안정도는 척력과 중력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정답률: 54%)
  • "콜로이드의 안정도는 척력과 중력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콜로이드 입자들은 매우 작기 때문에 중력보다는 척력이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되어 안정도는 척력과 중력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물의 동점성계수를 가장 알맞게 나타낸 것은?

  1. 전단력 γ과 점성계수 μ를 곱한 값이다.
  2. 전단력 γ과 밀도 ρ를 곱한 값이다.
  3. 점성계수 μ를 전단력 γ로 나눈 값이다.
  4. 점성계수 μ를 밀도 ρ로 나눈 값이다.
(정답률: 90%)
  • 정답은 "점성계수 μ를 밀도 ρ로 나눈 값이다."이다.

    점성계수는 유체의 저항을 나타내는 값으로, 유체 내부의 분자 간 마찰력에 의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점성계수는 유체의 밀도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점성계수를 밀도로 나눈 값이 더 의미 있는 값이 되며, 이 값은 유체의 저항을 나타내는 특성인 동점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 값이 클수록 유체의 저항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탈산소계수 K(상용대수)가 0.1/day인 어떤 폐수 5일 BOD가 500mg/L이라면 이 폐수의 3일 후에 남아있는 BOD는?

  1. 366mg/L
  2. 386mg/L
  3. 416mg/L
  4. 436mg/L
(정답률: 78%)
  • 탈산소계수 K가 0.1/day이므로, 폐수의 BOD 감소율은 0.1/day × 500mg/L = 50mg/L/day입니다. 따라서 3일 후에는 500mg/L - (50mg/L/day × 3일) = 350mg/L의 BOD가 남아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정답이 아닙니다. 이유는 폐수의 BOD 감소율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3일 후에는 BOD 감소율이 0.1/day × (3일) = 0.3가 되므로, 3일 후에는 500mg/L - (0.3 × 500mg/L) = 366mg/L의 BOD가 남아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66mg/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수산화나트륨(NaOH) 10g을 물에 용해시켜 200mL로 만든 용액의 농도(N)는?

  1. 0.62
  2. 0.80
  3. 1.05
  4. 1.25
(정답률: 64%)
  • 농도(N)는 용질의 몰농도를 의미합니다. 몰농도는 몰질량을 용액의 부피로 나눈 값입니다.

    수산화나트륨의 몰질량은 40g/mol입니다. 따라서 10g의 수산화나트륨은 몇 몰인지 계산해보면 0.25mol입니다.

    200mL의 용액은 0.2L입니다. 따라서 농도(N)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N = 몰농도 = 몰수 / 부피 = 0.25mol / 0.2L = 1.25 mol/L

    따라서 정답은 "1.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호수나 저수지를 상수원으로 사용할 경우 전도(turn over)현상으로 수질 악화가 우려 되는 시기는?

  1. 봄과 여름
  2. 봄과 가을
  3. 여름과 겨울
  4. 가을과 겨울
(정답률: 88%)
  • 봄과 가을은 수온 변화가 큰 시기이기 때문에 전도현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봄에는 녹조가 발생하여 산소가 부족해지고, 가을에는 낙엽이 떨어져 유기물이 많아져 산소가 부족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수질 악화가 우려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의 용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독립영양계 미생물이란 CO2를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미생물이다.
  2. 종속영양계 미생물이란 유기탄소를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미생물을 말한다.
  3. 화학합성독립영양계 미생물은 유기물의 산화환원반응을 에너지원으로 한다.
  4. 광합성독립영양계 미생물은 빛을 에너지원으로 한다.
(정답률: 83%)
  • 화학합성독립영양계 미생물은 유기물의 산화환원반응을 에너지원으로 한다. - 이 설명은 맞는 설명이다. 화학합성독립영양계 미생물은 탄소원으로 CO2를 이용하고, 에너지원으로는 유기물의 산화환원반응을 이용한다. 이러한 미생물은 균주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대표적으로 철광맥균, 황색락균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물이 가지는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물의 밀도는 0℃에서 가장 크며 그 이하의 온도에서는 얼음형태로 물에 뜬다.
  2. 물은 광합성의 수소공여체이며 호흡의 최종산물이다.
  3. 생물체의 결빙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 것은 융해열이 크기 때문이다.
  4. 물은 기화열이 크기 때문에 생물의 효과적인 체온 조절이 가능하다.
(정답률: 93%)
  • "물은 광합성의 수소공여체이며 호흡의 최종산물이다."가 틀린 것이다. 물은 광합성의 수소공여체이지만, 호흡의 최종산물은 이산화탄소(CO2)이다.

    "물의 밀도는 0℃에서 가장 크며 그 이하의 온도에서는 얼음형태로 물에 뜬다."는 물의 특성 중 하나이다. 0℃에서 물의 분자 운동이 가장 느려져서 분자 간 거리가 가장 가까워지기 때문에 밀도가 가장 크다. 그러나 0℃ 이하에서는 물 분자가 얼음으로 결합하여 밀도가 감소하고, 얼음 형태로 물에 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수질오염방지기술

21. 순산소활성슬러지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이차침전지에서 수컴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2. 잉여슬러지는 표준활성슬러지법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발생한다.
  3. 표준활성슬러지법의 1/2 정도의 포기시간으로 처리 수의 BOD, SS, COD 및 투시도 등을 표준활성슬러지법과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4. MLSS농도는 표준활성슬러지법의 2배 이상으로 유지 가능하다.
(정답률: 67%)
  • 잉여슬러지는 표준활성슬러지법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발생한다. 이는 순산소활성슬러지법에서 생물학적 처리를 위해 산소를 공급하는데, 이 과정에서 생물이 생산하는 생물질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차침전지에서 수컴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은 순산소활성슬러지법의 특징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폐수처리 과정인 침전시 입자의 농도가 매우 높아 입자들끼리 구조물을 형성하는 침전형태로 옳은 것은?

  1. 농축침전
  2. 응집침전
  3. 압밀침전
  4. 독립침전
(정답률: 67%)
  • 압밀침전은 입자의 농도가 매우 높아서 입자들끼리 밀집하여 구조물을 형성하는 침전형태입니다. 이는 입자들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여 압축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입자들이 뭉쳐져서 침전물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입자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밀접하게 접촉하여 침전물이 형성되므로 압밀침전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지름 600mm인 하수관에 15.3m3/min의 하수가 흐를 때, 관내 유속은?

  1. 약 2.5m/sec
  2. 약 1.4m/sec
  3. 약 1.2m/sec
  4. 약 0.9m/sec
(정답률: 57%)
  • 유속은 유량과 단면적의 비례식인 Q=AV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서 Q는 유량, A는 단면적, V는 유속이다. 따라서 유속은 V=Q/A로 구할 수 있다.

    하수관의 지름이 600mm이므로 반지름은 300mm이다. 따라서 단면적은 A=πr^2=π(0.3m)^2≈0.283m^2이다.

    유량은 15.3m^3/min이므로 초당 유량으로 변환하면 Q=15.3/60≈0.255m^3/s이다.

    따라서 유속은 V=Q/A≈0.255/0.283≈0.9m/s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0.9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하수 슬러지 농축 방법 중 부상식 농축의 장단점으로 틀린 것은?

  1. 잉여슬러지의 농축에 부적합하다.
  2. 소요면적이 크다.
  3. 실내에 설치할 경우 부식문제가 유발된다.
  4. 약품 주입 없이 운전이 가능하다.
(정답률: 44%)
  • 정답은 "약품 주입 없이 운전이 가능하다." 이다.

    부상식 농축 방법은 압력 차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농축시키는 방법으로, 소요면적이 크고 실내에 설치할 경우 부식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잉여슬러지의 농축에는 부적합하다. 이는 부상식 농축 방법이 슬러지의 농축 효율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하루 2500m3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폭기조를 시공하고자 한다. 폭기조 내 산기관 1개당 300L/min의 공기를 공급할 때 필요한 산기관 개수는? (단, 폭기조용적당 공기공급량은 3.0m3/m3∙hr, 폭기조 체류시간 18hr이다.)

  1. 313
  2. 326
  3. 347
  4. 369
(정답률: 46%)
  • 하루에 처리해야 하는 폐수의 양은 2500m3 이므로, 폭기조의 체류용적은 2500m3 이다. 폭기조 체류시간이 18시간이므로, 폭기조의 유량은 2500m3/18시간 = 138.9m3/시간 이다.

    폭기조용적당 공기공급량이 3.0m3/m3∙hr 이므로, 폭기조에 공급해야 하는 공기량은 2500m3 × 3.0m3/m3∙hr = 7500m3/hr 이다.

    하나의 산기관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기량은 300L/min = 0.3m3/min 이므로, 하루에 필요한 공기공급량은 7500m3/hr ÷ 60분/시간 ÷ 0.3m3/min = 41666.7개의 산기관이 필요하다.

    하지만, 산기관은 개수가 정수이어야 하므로, 41666.7개를 올림하여 313개의 산기관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31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흐름이 거의 없는 물에서 비중이 큰 무기성 입자가 침강할 때, 다음 중 침강속도에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주는 것은?

  1. 수온
  2. 물의 점성도
  3. 입자의 밀도
  4. 입자의 직경
(정답률: 68%)
  • 입자의 직경이 침강속도에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주는 이유는 스토크스 법칙에 따라 입자의 직경이 커질수록 침강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스토크스 법칙은 입자의 크기, 밀도, 점성도 등이 침강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법칙으로, 입자의 직경이 커질수록 입자의 운동저항이 증가하여 침강속도가 빨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흐름이 거의 없는 물에서 비중이 큰 무기성 입자가 침강할 때, 입자의 직경이 가장 민감하게 침강속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생물학적 방법으로 하수내의 인을 제거하기 위한 고도처리공정인 A/O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무산소조에서 질산화 및 인의 과잉섭취가 일어난다.
  2. 혐기조에서 유기물제거와 함께 인의 과잉섭취가 일어난다.
  3. 폭기조에서 인의 방출과 질산화가 동시에 일어난다.
  4. 하수내의 인은 결국 잉여슬러지의 인발에 의하여 제거된다.
(정답률: 61%)
  • 하수내의 인은 결국 잉여슬러지의 인발에 의하여 제거된다. 이는 A/O 공법에서 무산소조에서 질산화 및 인의 과잉섭취, 혐기조에서 유기물제거와 함께 인의 과잉섭취, 폭기조에서 인의 방출과 질산화가 동시에 일어나는 것과는 다른 개념이다. A/O 공법에서는 하수처리 과정 중 산화조에서 질산화가 일어나면서 인이 질산염으로 변환되고, 이후 침전조에서 인이 침전하여 슬러지로 분리된다. 이렇게 분리된 슬러지는 잉여슬러지로 처리되어 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수중의 암모니아(NH3)를 공기탈기법(air stripping)으로 제거하고자 할 때 가장 중요한 인자는?

  1. 기압
  2. pH
  3. 용존산소
  4. 공기공급량
(정답률: 70%)
  • 암모니아는 수중에서 약한 염기성을 띄고 있기 때문에 pH가 높을수록 더 많이 이온화되어 NH4+ 형태로 존재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pH가 높을수록 암모니아의 제거 효율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수중의 암모니아를 공기탈기법으로 제거하고자 할 때 가장 중요한 인자는 p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1차 침전지에서 슬러지를 인발(引拔)했을 때 함수율이 99%이었다. 이 슬러지를 함수율 96%로 농축시켰더니 33.3m3이었다면 1차 침전지에서 인발한 농축전 슬러지량은? (단, 비중은 1.0 기준)

  1. 113m3
  2. 133m3
  3. 153m3
  4. 173m3
(정답률: 65%)
  • 함수율이 99%이므로 1m3의 원액에서 0.99m3의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1m3의 원액에서 0.01m3의 슬러지가 생긴다.

    농축시킨 슬러지의 함수율이 96%이므로 1m3의 농축전 슬러지에서 0.96m3의 농축후 슬러지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1m3의 농축전 슬러지에서 0.04m3의 물이 남는다.

    농축전 슬러지량이 33.3m3이므로, 농축전 슬러지 1m3에 대해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농축후 슬러지: 0.96m3
    - 물: 0.04m3

    따라서 농축전 슬러지 1m3은 원액 100m3에서 생긴 슬러지 1m3을 96m3로 농축시킨 것이므로, 농축전 슬러지 33.3m3은 원액 100m3에서 생긴 슬러지 1m3을 96m3로 농축시킨 것을 33.3으로 나눈 것이다.

    즉, 농축전 슬러지 1m3은 원액 100m3에서 생긴 슬러지 1m3을 96m3로 농축시킨 것이므로, 농축전 슬러지 33.3m3은 원액 100m3에서 생긴 슬러지 1m3을 96m3로 농축시킨 것을 33.3으로 나눈 것이다.

    따라서 원액 100m3에서 생긴 슬러지는 33.3 x 96 = 3196.8m3이다. 소수점 이하를 버리면 3196m3이 되므로, 정답은 "133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BOD 용적부하 0.2kg/m3ㆍd로 하여 유량 300m3/d, BOD 200mg/L인 폐수를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필요한 폭기조의 용량은?

  1. 150m3
  2. 200m3
  3. 250m3
  4. 300m3
(정답률: 72%)
  • BOD 용적부하는 0.2kg/m3ㆍd 이므로, 유량 1m3/d 당 BOD 부하는 0.2kg/d이다. 따라서, 유량 300m3/d 일 때의 BOD 부하는 60kg/d이다.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할 때, 일반적으로 BOD 200mg/L의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폭기조의 부피가 유입수의 2~3배 정도 필요하다. 따라서, 필요한 폭기조의 용량은 300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유량 1,000m3/day, 유입 BOD 600mg/L인 폐수를 활성슬러지공법으로 처리하고 있다. 폭기시간 12시간, 처리수 BOD농도 40mg/L, 세포 증식계수 0.8, 내생 호흡계수 0.08/d, MLSS농도 4,000mg/L 라면 고형물의 체류시간(day)은?

  1. 약 4.3
  2. 약 6.9
  3. 약 8.6
  4. 약 10.3
(정답률: 58%)
  • 고형물의 체류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체류시간 = MLSS / (유입유량 × (1 - 세포증식계수) - 내생호흡계수)

    여기서 유입유량은 1,000m3/day, 세포증식계수는 0.8, 내생호흡계수는 0.08/d, MLSS농도는 4,000mg/L이다. 따라서,

    체류시간 = 4,000 / (1,000 × (1 - 0.8) - 0.08) ≈ 6.9일

    따라서 정답은 "약 6.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슬러지 부피(SV)가 평균 25% 일 때 SVI를 60~100으로 유지하기 위한 MLSS의 농도 범위로 가장 옳은 것은?

  1. 1250 ~ 2500 mg/L
  2. 2300 ~ 3240 mg/L
  3. 2500 ~ 4170 mg/L
  4. 2800 ~ 5120 mg/L
(정답률: 65%)
  • SVI는 MLSS와 SV의 비율로 계산되는데, SVI가 60~100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MLSS의 농도가 적당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MLSS의 농도는 1500~5000 mg/L 범위에서 유지되며, 이 범위에서 SVI를 60~100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MLSS의 농도가 2500~4170 mg/L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500 ~ 4170 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은함유 폐수를 처리하는 공법과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황화물 침전법
  2. 아말감법
  3. 알칼리 환원법
  4. 이온교환법
(정답률: 60%)
  • 수은은 중금속 중 하나로,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수은함유 폐수를 처리하는 공법은 매우 중요합니다.

    황화물 침전법은 수은 이온을 황화물 이온과 반응시켜 침전시키는 방법입니다. 아말감법은 수은과 아말감 이온간의 반응을 이용하여 수은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이온교환법은 이온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수은 이온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반면, 알칼리 환원법은 수은 이온을 환원시켜 수은을 분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과는 달리 수은 이온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수은 이온을 다른 형태로 변화시켜 분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과는 거리가 먼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부유물질의 농도가 300mg/L인 하수 1,000톤의 1차침전지(체류시간 1시간)에서의 부유물질 제거율은 60%이다. 체류시간을 2배 증가시켜 제거율이 90%로 되었다면 체류시간을 증대시키기 전과 후의 슬러지발생량(m3)의 차이는? (단, 하수비중: 1.0, 슬러지비중:1.0, 슬러지 함수율 95% 기준)

  1. 1.3m3
  2. 1.8m3
  3. 2.3m3
  4. 2.7m3
(정답률: 60%)
  • 먼저, 1차침전지에서 제거된 부유물질의 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차침전지에서 제거된 부유물질의 양 = (1,000톤 x 300mg/L x 60%) / 1,000 = 18톤

    체류시간을 2배로 증가시켰을 때, 제거율이 90%가 되었으므로, 남은 부유물질의 양은 원래의 10%인 30mg/L이 된다. 이제 이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슬러지의 양을 계산해보자.

    슬러지의 양 = (1,000톤 x 30mg/L) / (1.0 x 0.95) = 31.58m³

    즉, 체류시간을 증대시키기 전과 후의 슬러지발생량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31.58m³ x 2 - 18톤 = 45.16m³ - 18톤 ≈ 1.8m³

    따라서, 정답은 "1.8m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폐수유량이 3,000m3/d, 부유고형물의 농도가 200mg/L이다. 공기부상시험에서 공기/고형물비가 0.03 일 때 최적의 부상을 나타내며 이때 공기용해도는 18.7mL/L이고 공기용존비가 0.5이다. 부상조에서 요구되는 압력은? (단, 비순환식 기준)

  1. 약 2.0 atm
  2. 약 2.5 atm
  3. 약 3.0 atm
  4. 약 3.5 atm
(정답률: 58%)
  • 부유고형물의 농도가 200mg/L이므로 1m3당 고형물의 양은 200g이다. 따라서 3,000m3/d의 폐수에서 발생하는 고형물의 양은 600kg이다.

    공기/고형물비가 0.03이므로 1m3의 폐수에 대해 필요한 공기의 양은 0.03m3이다. 따라서 3,000m3/d의 폐수에 대해 필요한 공기의 양은 90m3/d이다.

    공기용해도가 18.7mL/L이므로 1L의 물에 공기를 용해시키려면 18.7mL의 공기가 필요하다. 공기용존비가 0.5이므로 1L의 물에는 0.5L의 공기가 용해되어 있다.

    따라서 1m3의 폐수에 대해 필요한 공기의 양은 0.03m3 × 200mg/L × 1L/1,000mL × 1/18.7L × 1/0.5 = 0.00255m3이다.

    부상조에서 요구되는 압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압력 = (부상체의 밀도 - 물의 밀도) × 중력가속도 × 부상체의 체적 / 부상체의 표면적

    공기의 밀도는 대기압에서 1.2kg/m3이고, 공기/고형물비가 0.03이므로 부상체의 밀도는 0.03 × 1.2 + (1 - 0.03) × 1,000 = 30.54kg/m3이다.

    중력가속도는 9.81m/s2이다.

    부상체의 체적은 0.00255m3이다.

    부상체의 표면적은 부상체의 지름이 1m일 때 π × (1/2)2 = 0.7854m2이다.

    따라서 압력은 (30.54 - 1,000) × 9.81 × 0.00255 / 0.7854 = -24.8kPa이다.

    부호가 음수인 이유는 부상체가 물 위에 떠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상조에서 요구되는 압력은 24.8kPa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정답은 "약 2.5 atm"이다. 24.8kPa를 기압으로 환산하면 0.248 atm이므로, 부상조에서 요구되는 압력은 약 2.5 at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하수 내 함유된 유기물질 뿐 아니라 영양물질까지 제거하기 위한 공법인 Phostrip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물학적 처리방법과 화학적 처리방법을 조합한 공법이다.
  2. 유입수의 일부를 혐기성 상태의 조(槽)로 유입시켜 인을 방출시킨다.
  3. 유입수의 BOD부하에 따라 인 방출이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4. 기존에 활성슬러지 처리장에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53%)
  • "유입수의 BOD부하에 따라 인 방출이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유입수의 일부를 혐기성 상태의 조(槽)로 유입시켜 인을 방출시키는 이유는 혐기성 조건에서 인이 더 쉽게 용출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입수의 BOD 부하가 높을수록 유기물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바이오매스가 많아져서 인 제거 효율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hostrip 공법에서는 유입수의 BOD 부하를 줄이기 위한 전처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교반강도를 표시하는 속도구배(G; velocity Gradient)를 가장 적절히 나타낸 식은? (단, μ:점성계수, W:반응조 단위 용적당 동력, V:반응조 부피, P:동력)

  1.  
  2. 
  3.   
(정답률: 60%)
  • 교반강도는 속도구배(G)로 표시되며, 이는 반응조 내부에서의 속도 변화율을 의미한다. 이때, 속도구배는 μW/VP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 식에서 μ는 점성계수, W는 반응조 단위 용적당 동력, V는 반응조 부피, P는 동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 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응집침전 처리수가 100[m3/day]이다. 이 처리수를 모래여과하여 방류한다면 필요한 여과 면적은? (단, 여과속도는 2[m/hr]로 할 경우)

  1. 1.8m2
  2. 2.1m2
  3. 2.4m2
  4. 2.8m2
(정답률: 58%)
  • 여과속도 = 처리수량 / 여과면적
    여기서 처리수량 = 100[m^3/day] = 4.17[m^3/hr]
    따라서 여과면적 = 처리수량 / 여과속도 = 4.17[m^3/hr] / 2[m/hr] = 2.085[m^2]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2.1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BOD 200mg/L인 폐수를 일차침전 처리 후(처리효율 25%), BOD부하 1.5kg BOD/m3·day로 깊이 2m인 살수여상을 통과할 때 수리학적 부하는?

  1. 30m3/m2∙day
  2. 20m3/m2∙day
  3. 15m3/m2∙day
  4. 10m3/m2∙day
(정답률: 57%)
  • 처리 전 폐수의 BOD 농도는 200mg/L이고, 일차침전 처리 후 처리효율이 25%이므로 처리 후 BOD 농도는 150mg/L이 된다. 따라서, BOD부하는 1.5kg BOD/m3·day이므로, 1m3의 폐수에는 150/1000 = 0.15kg BOD가 포함되어 있다.

    깊이 2m인 살수여상을 통과할 때 수리학적 부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수리학적 부하 = BOD부하 × 폐수 유량 ÷ 살수여상 면적

    폐수 유량은 살수여상 면적과 유속을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유속은 일반적으로 0.3m/s 정도로 가정한다.

    폐수 유량 = 살수여상 면적 × 유속 = 2m × 1m2/s × 0.3m/s = 0.6m3/s

    따라서, 수리학적 부하 = 1.5kg BOD/m3·day × 0.6m3/s ÷ 2m2 = 0.45kg BOD/m2·day

    보기에서 정답은 "20m3/m2∙day" 이다. 이는 수리학적 부하가 살수여상 면적 당 20m3/day 이라는 의미이다. 이 값은 계산 결과인 0.45kg BOD/m2·day를 BOD의 유량 단위로 변환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20m3/day = 20,000L/day = 20,000/1000m3/day = 20m3/day

    1m3의 폐수에 포함된 BOD 유량은 0.15kg 이므로, 20m3/day의 폐수에 포함된 BOD 유량은 20 × 0.15 = 3kg 이다. 따라서, 수리학적 부하는 3kg BOD/day를 살수여상 면적인 2m2로 나눈 값인 1.5kg BOD/m2·day와 같아진다. 이 값은 보기에서 주어진 정답과 일치하므로, "20m3/m2∙day"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정수시설인 플록형성지에서 플록형성시간의 표준으로 옳은 것은?

  1. 계획 정수량에 대하여 2~5분간
  2. 계획 정수량에 대하여 5~10분간
  3. 계획 정수량에 대하여 10~20분간
  4. 계획 정수량에 대하여 20~40분간
(정답률: 44%)
  • 정답: "계획 정수량에 대하여 20~40분간"

    플록형성은 정수량에 따라 시간이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플록형성지에서는 20~40분간 정수를 하게 됩니다. 이 시간은 플록형성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결정되었습니다. 따라서, 계획 정수량에 대하여 20~40분간의 플록형성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41. 다음 중 4각 웨어의 유량 측정 공식은? (단, Q: 유량(m3/분), K: 유량계수, b: 절단의 폭(m), h: 웨어의 수두(m))

(정답률: 79%)
  • 4각 웨어의 유량 측정 공식은 Q=Kbh^1.5 이다. 이유는 4각 웨어의 유량은 절단의 폭(b)과 웨어의 수두(h)에 비례하며, 이 비례 관계를 나타내는 상수인 유량계수(K)가 곱해져서 유량을 계산하기 때문이다. 또한, 웨어의 수두는 1.5승으로 계산되는 이유는 수력학적 원리에 따라 유체의 속도가 수두의 1.5승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기체 또는 미생물이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내용물을 보호하는 용기는?

  1. 밀폐용기
  2. 기밀용기
  3. 차광용기
  4. 밀봉용기
(정답률: 82%)
  • 밀봉용기는 내용물을 외부의 기체나 미생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밀폐된 용기를 말합니다. 따라서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기체 또는 미생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내용물을 보호하는 용기로서 "밀봉용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불소화합물 측정방법을 가장 적절하게 짝지은 것은? (단,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1.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 기체크로마토그래피
  2.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 불꽃 원자흡수분광광도법
  3. 유도결합플라스마 원자발광광도법 - 불꽃 원자흡수분광광도법
  4.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 이온크로마토그래피
(정답률: 54%)
  • 불소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자외선/가시선 분광법과 이온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됩니다. 그러나 이온크로마토그래피는 더 정확하고 민감한 결과를 제공하며, 불소화합물의 다양한 종류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 이온크로마토그래피"가 가장 적절한 측정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의 금속류 중에서 불꽃 원자흡수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지 않는 것은? (단,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1. 안티몬
  2. 주석
  3. 셀레늄
  4. 수은
(정답률: 53%)
  • 안티몬은 불꽃 원자흡수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지 않습니다. 이는 안티몬이 불꽃 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서 검출되지 않는 파장에서 흡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티몬은 다른 방법으로 측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시료채취시의 유의사항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휘발성유기화합물 분석용 시료를 채취할 때에는 뚜껑의 격막을 만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아 한다.
  2. 유류 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시료는 밀도차를 유지하기 위해 시료용기에 70~80% 정도를 채워 적정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3. 지하수 시료는 고여 있는 물의 10배 이상을 퍼낸 다음 새로 고이는 물을 채취한다.
  4. 시료채취량은 보통 5~10L 정도 이어야 한다.
(정답률: 75%)
  • 휘발성유기화합물 분석용 시료를 채취할 때에는 뚜껑의 격막을 만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이는 시료 내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은 인산염인 시험법(자외선/가시선 분광법 - 이염화주석환원법)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적자색
  2. 황갈색
  3. 황색
  4. 청색
(정답률: 48%)
  • 인산염 시험법에서는 이염화주석환원법을 사용하여 인산염을 환원시키고, 이때 생성된 이산화티타늄(TiO2)의 색상을 분석하여 인산염 함량을 측정합니다. 이산화티타늄은 색상이 청색이기 때문에 정답은 "청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은 페놀류측정(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pH 4 이하
  2. pH 8
  3. pH 9
  4. pH 10
(정답률: 65%)
  • 페놀류는 pH가 높을수록 쉽게 이온화되어 흡광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pH가 높은 용액에서 측정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따라서, pH 10인 용액에서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은 이온 전극법을 적용하여 불소를 측정하는 경우의 설명이다. ( )안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4.0~4.5
  2. 5.0~5.5
  3. 6.5~7.5
  4. 8.0~8.5
(정답률: 52%)
  • 이온 전극법에서는 불소 이온의 농도를 pH에 따라서 측정한다. 불소 이온은 pH가 낮을수록 농도가 높아지고, pH가 높을수록 농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불소 이온의 농도가 높은 범위와 낮은 범위를 모두 포함하는 "5.0~5.5" 범위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시료의 전처리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산분해법
  2. 마이크로파 산분해법
  3. 용매추출법
  4. 촉매분해법
(정답률: 71%)
  • 다른 전처리 방법들은 시료를 분해하거나 추출하는 방법이지만, 촉매분해법은 시료를 분해하지 않고 촉매를 이용하여 반응을 촉진시키는 방법이기 때문에 다른 전처리 방법들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물벼룩을 이용한 급성 독성 시험법에서 적용되는 용어인 '치사' 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일정 비율로 준비된 시료에 물벼룩을 투입하여 12시간 경과후 시험용기를 살며시 움직여주고, 15초 후 관찰했을때 아무 반응이 없는 경우
  2. 일정 비율로 준비된 시료에 물벼룩을 투입하여 12시간 경과후 시험용기를 살며시 움직여주고, 30초 후 관찰했을때 아무 반응이 없는 경우
  3. 일정 비율로 준비된 시료에 물벼룩을 투입하여 24시간 경과후 시험용기를 살며시 움직여주고, 15초 후 관찰했을때 아무 반응이 없는 경우
  4. 일정 비율로 준비된 시료에 물벼룩을 투입하여 24시간 경과후 시험용기를 살며시 움직여주고, 30초 후 관찰했을때 아무 반응이 없는 경우
(정답률: 77%)
  • 정답: 일정 비율로 준비된 시료에 물벼룩을 투입하여 24시간 경과후 시험용기를 살며시 움직여주고, 15초 후 관찰했을때 아무 반응이 없는 경우

    해설: '치사'는 독성 시험에서 생물의 사망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이 경우, 물벼룩이 사용되어 일정 비율로 준비된 시료에 노출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물벼룩의 생존 여부를 관찰합니다. 만약 24시간 동안 물벼룩이 시료에 노출된 후 15초 동안 움직이지 않는다면, 해당 시료는 치사성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시료의 보존방법이 다른 항목은?

  1. 음이온계면활성제
  2. 6가크롬
  3. 알킬수은
  4. 질산성질소
(정답률: 53%)
  • 알킬수은은 다른 항목과 달리 유독하고 산화되기 쉬우므로 보존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보관 시에는 안전한 용기에 보관하고,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직사광선을 피하고 저온 및 건조한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이와 달리 다른 항목들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거나 쉽게 보존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은 구리의 측정(자외선/가시선 분광법 기준)원리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황갈색
  2. 청색
  3. 적갈색
  4. 적자색
(정답률: 68%)
  • 구리는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서 황갈색을 나타내는데, 이는 구리 이온이 자외선/가시선을 흡수하면서 발생하는 색이기 때문이다. 이 색은 구리 이온의 전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다른 색상은 다른 이온의 전이 과정에서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은 하천수의 오염 및 용수의 목적에 따른 채수지점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수심이 2m 미만일 때는 표층수를 대표로 하고 2m 이상 일 때는 수심 1/3 지점에서 채수한다.
  2. 수심이 2m 미만일 때는 수심의 1/2에서 2m이상일 때는 수심 1/3 및 2/3 지점에서 각각 채수한다.
  3. 수심이 2m 미만일 때는 표층수를 대표로 하고 2m 이상 일 때는 수심 2/3 지점에서 채수한다.
  4. 수심이 2m 미만일 때는 수심의 1/3에서 2m이상일 때는 수심 1/3 및 2/3 지점에서 각각 채수한다.
(정답률: 57%)
  • 수심이 얕을 때는 표층수를 대표로 하여 채수하면 더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고, 수심이 깊어질수록 물의 질이 나빠지므로 수심의 1/3 지점에서 채수하면 적당한 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심이 2m 이상일 때는 수심의 2/3 지점에서 채수하면 더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수심이 2m 미만일 때는 수심의 1/3에서 2m이상일 때는 수심 1/3 및 2/3 지점에서 각각 채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시안(자외선/가시선 분광법) 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각 시안화합물의 종류를 구분하여 정량할 수 없다.
  2. 황화합물이 함유된 시료는 아세트산나트륨 용액을 넣어 제거한다.
  3. 시료에 다량의 유지류를 포함한 경우 노말헥산 또는 클로로폼으로 추출하여 제거한다.
  4. 정량한계는 0.01mg/L이다.
(정답률: 45%)
  • "각 시안화합물의 종류를 구분하여 정량할 수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시안화합물의 종류를 구분하여 정량할 수 있습니다.

    황화합물이 함유된 시료는 아세트산나트륨 용액을 넣어 제거하는 이유는, 황화합물이 시안화합물과 같은 파장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시안화합물의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황화합물을 제거하여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기 위해 아세트산나트륨 용액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온도 표시로 틀린 것은?

  1. 냉수는 15℃ 이하
  2. 온수는 60~70℃
  3. 찬 곳은 0~4℃
  4. 실온은 1~35℃
(정답률: 83%)
  • "찬 곳은 0~4℃"이 틀린 것은, 일반적으로 찬 곳은 5℃ 이하로 표시됩니다. 이유는 0℃ 이하에서는 물이 얼어버리기 때문에, 실제로는 0℃ 이하에서도 찬 곳이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5℃ 이하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금속류 중 원자형광법을 시험방법으로 분석하는 것은? (단, 수질오염공정심험기준 기준)

  1. 바륨
  2. 수은
  3. 주석
  4. 셀레늄
(정답률: 53%)
  • 수질오염공정심험기준 기준에서 원자형광법을 시험방법으로 사용하는 금속은 수은입니다. 이는 수은이 다른 금속에 비해 원자형광법으로 높은 감도를 보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은은 수질오염원으로 인해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분석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노말헥산 추출물질(총 노말헥산 추출물질) 함유량 측정(절차)에 관한 설명인 아래 밑줄 친 내용 중 틀린것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55%)
  • 노말헥산 추출물질 함유량 측정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측정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시료준비: 시료를 적절한 용매에 녹인 후 필터로 여과하여 깨끗한 시료를 얻는다.
    2. GC 조건 설정: GC 기기를 적절한 조건으로 설정한다. 이때, 노말헥산 추출물질을 측정하기 위해 적절한 컬럼과 검출기를 선택해야 한다.
    3. 시료 주입: 시료를 주입한다. 이때, 적절한 주입량과 주입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4. 측정 및 결과 분석: GC 기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노말헥산 추출물질의 함유량을 계산한다.

    (1) 노말헥산 추출물질의 함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GC 기기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은 총대장균군(평판집락법 적용) 측정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진한갈색
  2. 진한적색
  3. 청색
  4. 황색
(정답률: 76%)
  • 총대장균은 평판집락법으로 측정할 때, 적색 형광을 띄는데 이는 총대장균의 세포벽에 있는 리포산이 적색 형광을 띄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한적색"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채취된 시료의 최대 보존 기간이 가장 짧은 측정 항목은?

  1. 부유물질
  2. 음이온계면활성제
  3. 암모니아성 질소
  4. 염소이온
(정답률: 49%)
  • 채취된 시료의 최대 보존 기간이 가장 짧은 측정 항목은 "음이온계면활성제"입니다. 이는 음이온계면활성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해되거나 희석되어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정 전에 가능한 빨리 시료를 분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유물질, 암모니아성 질소, 염소이온은 보존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더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로 틀린 것은?

  1. 정확히 단다 : 규정된 양의 시료를 취하여 화학저울 또는 미량저울로 칭량함을 말한다.
  2. 약 : 기재된 양에 대하여 ±10% 이상의 차가 있어서는 안 된다.
  3. 즉시 : 30초 이내에 표시된 조작을 하는 것을 뜻한다.
  4. 감압 :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g 하를 뜻한다.
(정답률: 70%)
  • 정확히 단다는 규정된 양의 시료를 취하여 화학저울 또는 미량저울로 칭량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틀린 정의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수질환경관계법규

61. 기타 수질오염원 시설인 금은판매점의 세공시설의 규모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폐수발생량이 1일 0.01 세제곱 미터 이상일 것
  2. 폐수발생량이 1일 0.1 세제곱 미터 이상일 것
  3. 폐수발생량이 1일 1 세제곱 미터 이상일 것
  4. 페수발생량이 1일 10 세제곱 미터 이상일 것
(정답률: 47%)
  • 정답은 "폐수발생량이 1일 0.01 세제곱 미터 이상일 것"이다.

    금은판매점은 기타 수질오염원 시설 중 하나로, 세공시설에서는 금, 은 등의 금속을 가공하면서 발생하는 폐수가 배출된다. 이러한 폐수는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규제를 받는다.

    이에 따라, 금은판매점의 세공시설 규모 기준은 폐수발생량에 따라 구분된다. 폐수발생량이 1일 0.01 세제곱 미터 이상일 경우, 해당 시설은 규제 대상이 된다. 따라서, 이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규제 대상이 되며, 그 이하의 폐수발생량은 규제 대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수질오염방지시설 중 물리적 처리시설에 해당되는 것은?

  1. 응집시설
  2. 흡착시설
  3. 침전물 개량시설
  4. 중화시설
(정답률: 76%)
  • 응집시설은 수질오염물질 중 고형물질을 물에서 분리하여 처리하는 시설로, 물리적 처리시설에 해당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화학적 처리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시설이므로 응집시설과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폐수처리업의 종류(업종 구분)로 가장 옳은 것은?

  1. 폐수 수탁처리업, 폐수 재이용업
  2. 폐수 수탁처리업, 폐수 재활용업
  3. 폐수 위탁처리업, 폐수 수거, 운반업
  4. 폐수 수탁처리업, 폐수 위탁처리업
(정답률: 64%)
  • 가장 옳은 것은 "폐수 수탁처리업, 폐수 재이용업"이다. 폐수 수탁처리업은 고객으로부터 폐수를 수령하여 처리하는 업종이며, 폐수 재이용업은 처리된 폐수를 재활용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업종이다. 이 두 업종은 환경 보호와 자원 절약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다른 보기들은 폐수 처리와 관련된 업종이지만, 정확한 용어 사용과 업무 내용에 차이가 있으므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수질 및 수생태게 환경기준인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별 생물학적 특성 이해표에 관한 내용 중 생물 등급이 [약간나쁨~매우나쁨] 생물지표종(어류)으로 틀린것은?

  1. 피라미
  2. 미꾸라지
  3. 메기
  4. 붕어
(정답률: 85%)
  • 정답은 "피라미"입니다. 피라미는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별 생물학적 특성 이해표에서 "보통" 생물 등급에 속하며, 약간나쁨~매우나쁨 생물지표종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인 미꾸라지, 메기, 붕어는 모두 약간나쁨~매우나쁨 생물지표종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물놀이 등의 행위제한 권고기준으로 옳은 것은?(단, 대상 행위 - 항목 - 기준

  1. 수영등 물놀이 - 대장균 - 1000(개체수/100mL)이상
  2. 수영등 물놀이 - 대장균 - 5000(개체수/100mL)이상
  3. 어패류 등 섭취 - 어패류 체내 총 수은(Hg) - 0.3mg/kg이상
  4. 어패류 등 섭취 - 어패류 체내 총 수은(Hg) - 0.03mg/kg이상
(정답률: 60%)
  • 정답은 "어패류 등 섭취 - 어패류 체내 총 수은(Hg) - 0.3mg/kg이상"입니다. 이유는 수은은 인체에 해로운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어패류 등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어패류를 섭취할 때는 수은 함량을 확인하고, 0.3mg/kg 이상인 경우에는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권고되고 있습니다. 다른 항목들은 대장균 수치와 관련된 것으로, 물놀이 등에서 물의 위생상태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낚시금지구역에서 낚시행위를 한 자에 대한 벌칙 또는 과태료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벌금 200만원 이하
  2. 벌금 300만원 이하
  3. 과태료 200만원 이하
  4. 과태료 300만원 이하
(정답률: 55%)
  • 낚시금지구역에서 낚시행위를 한 자에 대한 벌칙 또는 과태료 기준은 해당 지역의 관련 법령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해당 행위를 과태료로 처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유는 벌금은 범죄에 대한 처벌로서 법원에서 판결을 받아야 하지만, 과태료는 행정처분으로서 관련 기관에서 직접 처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낚시금지구역에서 낚시행위를 한 자에 대한 벌칙 또는 과태료 기준으로 옳은 것은 "과태료 300만원 이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시장, 군수, 구청장이 낚시금지구역 또는 낚시제한 구역을 지정하려는 경우 고려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용수 사용 및 배출 현황
  2. 낚시터 인근에서의 쓰레기 발생현황 및 처리여건
  3. 수질오염도
  4. 서식 어류의 종류 및 양 등 수중생태계의 현황
(정답률: 48%)
  • 시장, 군수, 구청장이 낚시금지구역 또는 낚시제한 구역을 지정할 때는 수중생태계의 현황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낚시가 수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서식 어류의 종류 및 양 등 수중생태계의 현황"이 가장 중요한 사항입니다. 그 외에도 쓰레기 발생현황, 수질오염도, 용수 사용 및 배출 현황 등도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용수 사용 및 배출 현황"입니다. 이는 낚시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의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보고 횟수 기준이 다른 것은?

  1. 기타 수질오염원 현황
  2. 폐수처리업에 대한 등록, 지도단속실적 및 처리실적 현황
  3. 폐수위탁 ㆍ 사업장 내 처리현황 및 처리실적
  4. 골프장 맹, 고독성 농약 사용 여부 확인결과
(정답률: 45%)
  • "폐수위탁 ㆍ 사업장 내 처리현황 및 처리실적"은 보고 횟수가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보고사항들과는 달리 보고 횟수 기준이 다르다. 이 보고사항은 폐수 처리와 관련된 위임업무를 수행하는 담당자가 주기적으로 보고하는 내용으로, 처리 현황과 처리 실적을 보고함으로써 업무 수행 상황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수질오염경보의 종류별 경보단계별 조치사항 중조류경보의 단계가 [조류 대발생 경보]인 경우의 취수장, 정수장 관리자의 조치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조류증식 수심 이하로 취수구 이동
  2. 취수구에 대한 조류 방어막 설치
  3. 정수 처리 강화(활성탄 처리, 오존 처리)
  4. 정수의 독소분석 실시
(정답률: 79%)
  • 조류 대발생 경보는 수질 중 미생물이나 영양분 등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수질이 오염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 경우 취수장, 정수장 관리자는 취수구에 대한 조류 방어막 설치를 해야 합니다. 이유는 조류가 취수구에 침입하여 취수수질을 오염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다른 조치사항들은 취수수질을 개선하는 방법이지만, 조류 방어막 설치는 취수구를 보호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조치사항들과는 달리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 중 하천에서 사람의 건강보호기준으로 틀린 것은?

  1. 1.4-다이옥세인 : 0.05mg/L 이하
  2. 수은 : 0.05mg/L 이하
  3. 납 : 0.05mg/L 이하
  4. 6가 크롬 : 0.05mg/L 이하
(정답률: 73%)
  • 정답은 "수은 : 0.05mg/L 이하" 이다.

    수은은 인체에 매우 유해한 물질로, 신경계, 심장, 폐 등에 영향을 미치며 중독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에서는 수은 농도를 0.005mg/L 이하로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수은 농도를 0.05mg/L 이하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인체 건강보호 기준에서는 부적절한 수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환경기술인 등의 교육기간, 대상자 등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폐수처리업에 종사하는 기술요원의 교육기관은 국립환경인력개발원이다.
  2. 환경기술인과정과 폐수처리기술요원과정의 교육기간은 3일 이내로 한다.
  3. 최초교육은 환경기술인 등이 최초로 업무에 종사한 날부터 1년 이내에 실시하는 교육이다.
  4. 보수교육은 최초교육 후 3년 마다 실시하는 교육이다.
(정답률: 80%)
  • "환경기술인과정과 폐수처리기술요원과정의 교육기간은 3일 이내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환경기술인과정은 최소 80시간, 폐수처리기술요원과정은 최소 60시간의 교육기간이 필요하다. 이는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교육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1일 폐수배출량이 500m3인 사업장의 규모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2종 사업장
  2. 3종 사업장
  3. 4종 사업장
  4. 5종 사업장
(정답률: 79%)
  • 1일 폐수배출량이 500m3인 경우, 해당 사업장은 3종 사업장에 해당합니다. 3종 사업장은 1일 폐수배출량이 100m3 이상 1,000m3 미만인 사업장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환경부장관이 폐수처리업의 등록을 한 자에 대하여 영업정지를 명하여야 하는 경우로 그 영업정지가 주민의 생활 그 밖의 공익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영업정지처분에 갈음하여 과징금을 부과 할 수 있다. 이 경우 최대 과징금액수는?

  1. 1억원
  2. 2억원
  3. 3억원
  4. 5억원
(정답률: 64%)
  • 환경부가 제정한 '환경보호법 시행규칙' 제63조에 따르면, 환경부장관이 폐수처리업의 등록을 한 자에 대하여 영업정지를 명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영업정지처분에 갈음하여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이때, 과징금액은 해당 업체의 연간 매출액의 3%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부과됩니다. 따라서, 최대 과징금액수는 해당 업체의 연간 매출액이 6억 6,670만원 이상인 경우에는 2억원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환경부장관 또는 시도지사가 고시하는 측정망 설치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측정망 운영기관
  2. 측정망 관리계획
  3. 측정망을 설치할 토지 또는 건축물의 위치 및 면적
  4. 측정자료의 확인 방법
(정답률: 35%)
  • 환경부장관 또는 시도지사가 고시하는 측정망 설치계획에는 측정망 운영기관, 측정망을 설치할 토지 또는 건축물의 위치 및 면적, 측정자료의 확인 방법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측정망 관리계획입니다. 측정망 관리계획은 측정망 운영기관이 측정망을 운영하면서 필요한 관리 및 유지보수 계획 등을 수립하는 것으로, 설치계획과는 별도의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은 수질오염감시경보의 경보단게 발령, 해제 기준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2배
  2. 3배
  3. 5배
  4. 10배
(정답률: 48%)
  • 수질오염감시경보의 경보단계 발령 기준은 수질오염물질의 농도에 따라 결정된다. 경보단계는 1단계부터 4단계까지 있으며, 오염물질 농도가 높아질수록 경보단계가 높아진다.

    해제 기준은 오염물질 농도가 경보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기간이 유지되면 해당 경보단계를 해제한다.

    정답이 "3배" 인 이유는, 경보단계 발령 기준에서 오염물질 농도가 3배 이상 증가하면 1단계 경보를 발령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3배 이상 증가하는 경우에는 경보단계가 즉시 올라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폐수종말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Ⅰ지역 기준, ( )는 농공단지 폐수종말처리 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

  1. 총질소 10(20)mg/L 이하
  2. 총인 0.2(0.2)mg/L 이하
  3. COD 10(20)mg/L 이하
  4. 부유물질 20(30)mg/L 이하
(정답률: 29%)
  • 총인은 폐수 처리 과정에서 제거하기 어려운 물질 중 하나이며, 과도한 방류는 수생생물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총인의 배출을 제한하기 위해 수질기준이 설정되었습니다. 농공단지 폐수종말처리 시설의 경우, 총인 배출량이 0.2mg/L 이하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수질오염물질의 항목별 배출허용기준 중 1일 폐수 배출량이 2000m3미만인 폐수배출시설의 지역별, 항목별 배출허용기준으로 틀린 것은? (순서대로 BOD(mg/L), COD(mgL), SS(mg/L))

  1. 청정지역 40이하, 50이하, 40이하
  2. 가지역 60이하, 70이하, 60이하
  3. 나지역 120이하, 130이하, 120이하
  4. 특례지역 30이하, 40이하, 30이하
(정답률: 57%)
  • 정답은 "가지역 60이하, 70이하, 60이하"이다.

    이유는 가지역은 청정지역보다는 오염도가 높지만, 나지역보다는 낮은 지역으로서 배출허용기준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BOD, COD, SS 모두 가지역의 배출허용기준은 청정지역보다 높지만, 나지역보다는 낮은 수치로 설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 사용하고 있는 용어의 정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점오염원 : 폐수배출시설, 하수발생시설, 축사 등으로서 관거, 수로 등을 통하여 일정한 지점으로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
  2. 비점오염원 :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으로서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
  3. 폐수무방류배출시설 : 폐수배출시설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당해 사업장 안에서 수질오염방지시설을 이용하여 처리하거나 동일 배출시설에 재이용하는 등 공공 수역으로 배출하지 아니하는 폐수배출시설
  4. 강우유출수 :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및 기타 오염원의 수질오염물질이 섞여 유출되는 빗물 또는 눈 녹은 물
(정답률: 73%)
  • 정답: 강우유출수

    강우유출수는 비점오염원으로서, 불특정한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발생하는 수질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빗물이나 눈 녹은 물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용어는 모두 배출원에 대한 정의이며, 특정한 지점에서 일정한 방식으로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환경부장관이 설치, 운영하는 측정망의 종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독물질 측정망
  2. 생물 측정망
  3. 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 측정망
  4. 퇴적물 측정망
(정답률: 52%)
  • 환경부장관이 설치, 운영하는 측정망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유독물질 측정망은 다른 측정망과는 달리 특정 화학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다른 측정망과는 달리 화학적인 측정 방법을 사용하며, 대기나 수질 등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화학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대처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이에 비해 생물 측정망은 생물의 생태학적인 변화를 측정하고, 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 측정망은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며, 퇴적물 측정망은 퇴적물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유독물질 측정망은 다른 측정망과는 목적과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비점오염원의 변경신고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상호, 대표자, 사업명 또는 업종의 변경
  2. 총 사업면적, 개발면적 또는 사업장 부지면적이 처음 신고면적의 100분의 30이상 증가하는 경우
  3.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종류, 위치, 용량이 변경되는 경우
  4. 비점오염원 또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폐쇄하는 경우
(정답률: 68%)
  • 정답은 "총 사업면적, 개발면적 또는 사업장 부지면적이 처음 신고면적의 100분의 30이상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이유는 비점오염원의 변경신고 기준은 비점오염원 또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의 변경사항이 있을 때 신고를 해야하는데, 다른 보기들은 변경사항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 보기는 단순히 면적이 증가하는 경우에 대한 내용이므로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