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수질오염개론
1. 암모니아성 질소 42mg/L와 아질산성질소 14mg/L가 포함된 폐수를 완전 질산화시키기 위한 산소요구량은?
2. 어떤 폐수의 BOD5가 100mg/L이고, 10을 밑으로 한 탈산소계수(K1)가 0.1/day라면 BOD3 및 BODu는?
3. 어느 공장에서 BOD 200mg/L인 폐수 500m3/day를 BOD 4mg/L, 유량 200,000m3/day의 하천에 방류할 때 합류점의 BOD(mg/L)는?
4. Bacteria(C5H7O2N) 10g의 이론적인 COD값(g)은? (단, 반응생성물은 CO2, H2O, NH3이다.)
5. 물의 물리적 성질을 나타낸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6. CH3COOH 150mg/L를 함유하고 있는 용액의 pH는? (단, CH3COOH의 이온화상수 Ka=1.8 × 10-5)
7. 해수의 주요성분 중 Cl-, Na+ 다음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은?
8. [H+] = 5.0 × 10-6mol/L인 용액의 pH는?
9. 음용수를 염소 소독할 때 살균력이 강한 것부터 순서대로 옳게 배열된 것은? (단, 강함 > 약함)
10. 탈질미생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 호소의 성층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 Formaldehyde(CH2O)의 COD/TOC의 비는?
13.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기체법칙은?
14. 초기농도가 100mg/L인 오염물질의 반감기가 10day라고 할 때 반응속도가 1차 반응을 따를 경우 5일 후 오염물질의 농도(mg/L)는?
15. 마그네슘 경도 200mg/L as CaCO3를 Mg2+의 농도로 환산하면 얼마인가? (단, Mg 원자량:24)
16. 미생물 세포를 C5H7O2N이라고 하면 세포 5kg당의 이론적인 공기소모량은? (단, 완전산화 기준이며 분해 최종산물은 CO2, H2O, NH3, 공기 중 산소는 23%(W/W)로 가정한다.)
17. 하천수 수온은 10℃이다. 20℃ 탈산소계수 K(상용대수)가 0.1day-1이라면 최종 BOD와 BOD4의 비(BOD4/BODu)는? (단, KT = K20 × 1.047(T-20))
18. 0.01N NaOH 용액의 농도는 몇 %인가? (단, Na:23)
19. Glucose(C6H12O6) 360mg/L가 완전 산화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산소요구량(ThOD)은?
20. 농도가 A인 기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반응조를 설계하고자 한다. 요구되는 기질의 전환율이 90%일 경우 회분식 반응조의 체류시간(hr)은?(단, 기질의 반응은 1차 반응이며, 반응상수 K는 0.35/hr이다.)
2과목: 수질오염방지기술
21. 물리ㆍ화학적 질소제거공정인 파괴점 염소주입법의 장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22. 함수율 95%의 슬러지를 함수율 75%의 탈수케익으로 만들었을 때 탈수 후 체적은 탈수 전 체적에 비하여 얼마로 되겠는가? (단, 분리액으로 유출된 슬러지양은 무시하며 비중은 1.0 기준)
23. 유입하수량이 20,000m3/day, 유입 BOD가 200mg/L, 폭기조 용량이 1,000m3, 폭기조 내 MLSS가 1,750mg/L, BOD 제거율이 90%이고, BOD의 세포합성율이 0.55이며, 슬러지의 자기산화율이 0.08/day일 때, 잉여슬러지 발생량(kg/day)은?
24. BOD 1kg 제거에 필요한 산소량이 1kg이며 공기 1m3에 함유되어 있는 산소량이 0.277kg이고 활성슬러지에서 공기용해율이 4%(부피%)라 할 때 BOD 5kg을 제거하는 데 필요한 공기용량은? (단,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25. 유량이 15,000m3/day인 공장폐수를 활성슬러지공법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포기조 유입수의 BOD 및 SS 농도가 각각 250mg/L이며 BOD 및 SS의 처리효율은 각각 90%, F/M(kgBOD/kgMLSSday)비는 0.2, 포기시간은 8시간, 반송슬러지의 SS농도는 0.8%인 경우에 슬러지의 반송율(%)은?
26. 유량이 20,000m3/day, 체류시간 3시간인 침전지의 수면적 부하율(m3/m2·day)은? (단, 침전지 수심은 3m이다.)
27. 침사지에서 직경이 10-2mm이고 비중이 2.65인 모래 입자의 20℃인 물속에서의 침강속도(cm/sec)는? (단, 물의 밀도:1g/cm3, 점성계수:0.01g/sec-cm)
28. 연속회분식 활성슬러지법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29. 평균유속이 0.5m/sec, 유효수심이 2.0m, 수면적부하가 2,000m3/m2⋅day인 조건에 적합한 침사지의 체류시간(sec)은?
30. 표준상태에서 1.5kg의 Glucose(C6H12O6)로부터 발생 가능한 CH4 가스량(L)은? (단, 혐기성 분해 기준)
31. 여과면적 18m2의 진공여과기로 고형물 농도 100g/L의 슬러지를 10m3/day 탈수 처리하고자 한다. 여과 전에 고형물 농도의 30%를 응집제로 첨가했다면 여과기 산출량(kg/hr·m2)은? (단, 고형물 기준, 연속가동 기준, 탈수 여액의 농도는 고려하지 않음)
32. 하수 유입수의 BOD5가 180mg/L, 유출수의 BOD5가 10mg/L인 활성슬러지 공정이 폭기조 용적 2,000m3, MLSS 2,000mg/L, 반송슬러지 SS농도 8,000mg/L, 고형물 체류시간은 5일로 운전되고 있다. 방류수의 SS농도는 무시하고 고형물 체류시간을 5일로 유지하기 위해 폐기하는 슬러지량(m3/day)은?
33. 폭 2m, 길이 15m인 침사지에 100cm의 수심으로 폐수가 유입할 때 체류시간이 50초라면 유량(m3/hr)은?
34. 생물학적 인 제거를 위한 A/O 공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35. 활성슬러지 변법 중 Step aeration법의 반응조 후단에 MLSS 농도(mg/L) 범위로 가장 옳은 것은? (단, F/M비, 반응조 수심, 반응조 형상은 표준활성 슬러지법과 같고 HRT 4~6시간, 체류시간은 3~6일이다.)
36. 1일 2,270m3을 처리하는 1차 처리시설에서 생슬러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자료를 얻었다. 이 슬러지의 비중은?
37. UV를 이용한 하수 소독방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38. 길이 23m, 폭 8m, 깊이 2.3m인 직사각형 침전지가 3,000m3/day의 하수를 처리한다면 표면부하율(m/day)은?
39. BOD 150mg/L, 폐수량 1,000m3/day 인 폐수를 250m3의 유효용량을 가진 포기조로 처리할 경우의 BOD 용적부하(kg/m3·day)는?
40. 어떤 폐수를 응집처리하기 위해 시료 200mL를 취하여 Jar-test한 결과 Alum:300mg/L에서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폐수량 2,000m3/day를 처리하는 데 하루에 필요한 Alum의 양(kg/day)은?
3과목: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41.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의 총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2. 퇴적물채취에 사용되는 에크만그랩(ekman grab)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3. 측정항목별 시료보존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4. 적정법을 이용한 염소이온의 측정시 적정의 종말점으로 옳은 것은?
45. 분원성 대장균군의 정의이다. (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46. 6가크롬의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시험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7. 납(Pb)의 정량방법 중 자외선/가시선분광법에 사용되는 시약이 아닌 것은?
48. 질산성 질소 분석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9. 수로의 폭이 0.5m인 직각 3각위어의 수두가 0.25m일 때 유량(m3/min)은? (단, 유량계수는 80)
50. 개수로에 의한 유량 측정시 평균유속은 Chezy의 유속공식을 적용한다. 여기서 경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1. 실험에 관련된 용어의 정의로 틀린 것은?
52. 다음은 수질 측정항목과 최대보존기간을 짝지은 것이다. 잘못 연결된 것은? (단, 항목 - 최대보존기간)
53. 다음은 페놀류를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을 적용하여 분석할 때에 관한 내용이다. ( ) 안에 옳은 것은?
54.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측정하지 않는 항목은?
55.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 의한 시안 정량 분석시, 간섭물질로 작용하는 시료 중 황화합물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시약은?
56. 유량 측정시 사용되는 위어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7. 시료의 전처리방법(산분해법) 중 유기물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시료에 적용하는 것은?
58. 폐수 중의 부유물질을 측정하고자 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폐수 중 부유물질의 양(mg/L)은?
59. 금속류인 망간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 (단,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기준)
60. 다음 분석방법 중 아연을 분석할 수 없는 분석방법은? (단,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기준)
4과목: 수질환경관계법규
61. 폐수처리업의 등록기준 중 폐수재이용업의 기술능력기준으로 옳은 것은?
62. 다음 용어의 뜻으로 틀린 것은?
63.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64. 수질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 중 틀린 것은?
65. 대권역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6. 시ㆍ도지사 등이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할 사항(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보고횟수가 연 4회에 해당되는 것은?
67. 다음의 수질오염방지시설 중 화학적 처리시설에 해당되는 것은?
68.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종류가 아닌 것은?
69. 2회 연속채취시 클로로필-a 농도 15mg/m3 이상이고, 남조류 세포 수 500세포/mL 이상인 경우의 수질오염 경보단계는? (단, 조류경보 기준)
70. 오염할당사업자 등에 대한 과징금 부과기준에서 사업장 규모별 부과계수로 옳은 것은?
71. 환경부장관이 설치ㆍ운영하는 측정망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72. 오염총량관리기본방침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3. 환경기술인을 교육하는 기관으로 옳은 곳은?
74. 환경부장관은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을 지정ㆍ고시한 때에는 비점오염원 관리대책을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ㆍ도지사와 협의하여 수립하여야 한다. 다음 중 비점오염원 관리대책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5. 환경기준 중 수질 및 수생태계(하천)의 생활환경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등급은 매우 나쁨(Ⅵ) 있다.)
76. 환경부장관이 공공수역을 관리하는 자에게 수질 및 수생태계의 보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권고하려는 경우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7. 사업자 및 배출시설과 방지시설에 종사하는 사람은 배출시설과 방지시설의 운영ㆍ관리를 위한 환경기술인의 업무를 방해하여서는 아니 되며 그로부터 업무 수행에 필요한 요청을 받았을 때에는 정당한 사유가 없으면 이에 따라야 한다. 이를 위반하여 환경기술인의 업무를 방해하거나 환경기술인의 요청을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78. 비점오염원의 변경신고를 하여야 하는 경우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79. 수질오염경보 중 조류경보에서 '조류경보' 단계 발령시 조치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단, 취수장, 정수장 관리자 기준)
80. 공동처리구역에서 배출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자 및 폐수를 배출하고자 하는 자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는 해당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폐수 종말처리시설에 유입하여야 하며, 이에 필요한 배수관거 등 배수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배수설비의 설치방법, 구조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TCOD = BOD + COD
따라서, TCOD = 42mg/L + 14mg/L = 56mg/L 이다.
완전 질산화시키기 위해서는 모든 질소가 질산으로 변환되어야 하므로, 산소가 질산화 반응에 참여하는데 필요한 양보다 더 많은 산소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TCOD의 4~5배 정도의 산소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산소요구량은 56mg/L x 4 = 224mgO2/L 이다.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208mgO2/L" 이므로 정답은 "208mgO2/L"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