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수질오염개론
1. 지하수가 오염되었을 때, 실시할 수 있는 대책 중 오염물질의 유발요인이 집중적이고 오염된 면적이 비교적 적을 경우 적용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방법은?
2. 일반적으로 담수의 DO가 해수의 DO보다 높은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3. 물의 밀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 석회를 투입하여 물의 경도를 제거하고자 한다. 반응식이 다음과 같을 때 Ca2+ 20mg/L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석회량(mg/L)은? (단, Ca의 원자량은 40 이다.)
5. 성층현상이 있는 호수에서 수온의 큰 도약을 가지는 층은?
6. 호기성 bacteria의 질소 함량은? (단, 경험적 호기성 박테리아를 나타내는 화학식 기준)
7. 혐기성 조건하에서 295g의 glucose(C6H12O6)로부터 발생 가능한 CH4가스의 용적은? (단, 완전분해, 표준상태 기준)
8. 유량이 10,000m3/day인 폐수를 BOD 4mg/L, 유량 4,000,000m3/day인 하천에 방류하였다. 방류한 폐수가 하천수와 완전 혼합되어졌을 때 하천의 BOD가 1mg/L 높아졌다면 하천에 가해진 폐수의 BOD 부하량은? (단,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9. 수중의 용존산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0. 폭이 60m, 수심이 1.5m로 거의 일정한 하천에서 유령을 측정하였더니 18m3/sec이었다. 하류의 어떤 지점에서 측정한 BOD 농도가 17mg/L이었다면, 이로부터 상류 40km지점의 BODU 농도는? (단, K1 = 0.1/day(자연대수인 경우), 중간에는 지천이 없으며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1. 우리나라 물의 이용 형태별로 볼 때 가장 수요가 많은 용수는?
12. 상수원에 대한 수질검사 결과 질산성질소만 다량 검출되었을 때 옳은 것은?
13. 1차 반응에서 반응개시의 물질 농도가 220mg/L이고, 반응 1시간 후의 농도는 94mg/L이었다면 반응 8시간 후의 물질의 농도는?
14. 해수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5. 미생물 중 Fungi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6. 화학반응에서 의미하는 산화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7. 분뇨처리과정에서 병원균과 기생충란을 사멸하기 위한 온도는?
18. 크기가 300m3인 반응조에 색소를 주입할 경우, 주입농도가 150mg/L이었다. 이 반응조에 연속적으로 물을 넣어 색소 농도를 2mg/L로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소요 시간(hr)은? (단, 유입유량은 5m3/hr이며, 반응조 내의 물은 완전혼합, 1차 반응이라 가정한다.)
19. 세균의 세포형성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20. 분뇨처리장에서 1차 처리 후 BOD농도가 2,000mg/L, Cl- 농도가 200mg/L로 너무 높아 2차 처리에 어려움이 있어 희석수로 희석하고자 한다. 희석수의 Cl- 농도는 10mg/L이고, 희석 후 2차 처리 유입수의 Cl- 농도가 20mg/L일 때 희석배율은?
2과목: 수질오염방지기술
21. 침전지의 수면적 부하와 관련이 없는 것은?
22. BOD 12,000ppm, 염소이온 농도 800ppm의 분뇨를 희석해서 활성오니법으로 처리하였다. 처리수가 BOD 60ppm, 염소이온 농도 50ppm으로 되었을 때 BOD제거율은? (단, 염소이온은 활성오니법으로 처리할 때 제거되지 않는다고 가정)
23. ( )에 알맞은 내용은?
24. 정수처리시설 중 완속여과지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5. 유기인 함유 폐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6. 하수관의 부식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27. 1차 침전지의 침전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28. 인구 15만명의 도시에서 유량이 400,000m3/day이고, BOD가 1.2mg/L인 하천에 50,000m3/day의 하수가 배출된다고 가정한다.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된 하수가 하천으로 유입되어 BOD가 2.0ppm으로 유지될 때, BOD 제거율은? (단, 1인당 1일 BOD 배출량 50g, 하수가 하천으로 유입될 때는 완전혼합으로 가정)
29. 활성탄 흡착의 정도와 평형관계를 나타내는 식과 관계가 가장 먼 것은?
30. 활성슬러지 폭기조의 F/M비를 0.4kg, BOD/kg, MLSS•day로 유지하고자 한다. 운전조건이 다음과 같을 때 MLSS의 농도(mg/L)는? (단, 운전조건 : 폭기조 용량 100m3, 유량 1,000m3/day, 유입 BOD 100mg/L)
31. 하수 소독 방법인 UV 살균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2. 물 5m3의 DO가 9.0mg/L이다. 이 산소를 제거하는 데 이론적으로 필요한 아황산나트륨(Na2SO3)의 양은? (단, 나트륨 원자량 : 23)
33. 20℃에서 탈산소 계수 k = 0.23-1일인 어떤 유기물 폐수의 BOD5가 200mg/L일때 2일 BOD는? (단, 상용대수를 적용한다.)
34. 산화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5. 최근 활성 슬러지법으로 2차 폐수처리장을 건설할 때 1차 침전지(primary settling tank)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1차 침전지가 없으므로 갖는 장점이 아닌 것은?
36. 하‧폐수 처리의 근본적인 목적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37. 하수고도 처리공법인 A/O공법의 공정 중 혐기조의 역할을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38. 오존살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9. 3,200m3/day의 하수를 폭 4m, 깊이 3.2m, 길이 20m인 직사각형 침전지로 처리한다면 이 침전지의 표면부하율은?
40. 분뇨처리에 있어서 SVI를 측정한 결과 120이었고 SV는 30%이었다. 포기조의 MLSS 농도는?
3과목: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41. 용액 중 CN- 농도를 2.6mg/L로 만들려고 하면 물 1,000L에 용해될 NaCN의 양(g)은? (단, Na 원자량 : 23)
42. 이온크로마토그래피의 일반적인 시료주입량과 주입방식은?
43. 용존산소-적정법으로 DO를 측정할 때 지시약 투입 후 적정 종말점 색은?
44. 투명도 측정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 )안에 알맞은 것은?
45. 폐수처리 공정 중 관내의 압력이 필요하지 않은 측정용 수로의 유량 측정 장치인 웨어가 적용되지 않는 것은?
46. 원자흡수분광광도계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불꽃 조성 가스는?
47. 자외선/가시선 분광법(다이에틸다이티오 카르바민산법)을 사용하여 구리(Cu)를 정량할 때 생성되는 킬레이트 화합물의 색깔은?
48. 물벼룩을 이용한 급성 독성 시험법(시험생물)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49. 시험에 적용되는 용어의 정의로 틀린 것은?
50. 처리하여 방류된 공장폐수의 BOD값을 전혀 모르고 BOD 측정을 하려할 때 희석수에 함유되는 공장폐수시료의 비율은?
51. 폐수 중의 부유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거름종이와 여과물질(건조상태)의 무게는? (단, 거름종이 무게 : 1.991g, 시료의 SS : 120mg/L, 시료량 : 200mL)
52.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정량하는 물질이 아닌 것은?
53. 총대장균군의 분석법이 아닌 것은?
54. 수은 측정을 위해 자외선/가시선 분광법(디티존법)을 적용할 때 사용되는 완충액은?
55. 배출허용기준 적합여부 판정을 위한 복수시료 채취방법에 대한 기준으로 ( )에 알맞은 것은?
56. 시료의 보존방법 및 최대보존기간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57. 다음 ( )에 알맞은 것은? (단,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기준)
58.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비소를 측정할 때의 방법이다. ( )에 옳은 내용은?
59. 다음 이온 중 이온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 시 정량한계 값이 다른 하나는?
60. pH 측정에 사용되는 전극이 오염되었을 때 전극의 세척에 사용하는 용액은?
4과목: 수질환경관계법규
61. 기타수질오염원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62. 조업정지처분에 갈음한 과징금 처분대상 배출시설이 아닌 것은?
63. 배출부과금을 부과할 때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64. 수질오염감시경보에 관한 내용으로 측정항목별 측정값이 관심단계 이하로 낮아진 경우의 수질오염감시경보단계는?
65. 정당한 사유없이 하천•호소에서 자동차를 세차한 자에 대한 과태료 처분기준으로 옳은 것은?
66.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에서 명시된 환경기준 중 수질 및 수생태계(해역)의 생활 환경기준 항목이 아닌 것은?
67. 수질 및 수생태계 정책심의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8. 사업장 규모에 따른 종별 구분이 잘못된 것은?
69. 환경부장관이 폐수처리업자의 등록을 취소할 수 있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0.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상 호소에서 수거된 쓰레기의 운반•처리 의무자는?
71.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골프장 맹•고독성 농약 사용 여부 확인 결과에 대한 보고 횟수 기준으로 옳은 것은?
72. 수질오염방지시설 중 생물화학적 처리시설이 아닌 것은?
73. 환경기술인을 임명하지 아니하거나 임명(바꾸어 임명한 것을 포함한다)에 대한 신고를 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과태료 처분기준은?
74. 오염총량관리기본계획 수립 시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75. 환경부장관은 대권역별로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본계획을 몇 년마다 수립하여야 하는가?
76. 환경부령이 정하는 수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77. 다음 중 특정수질유해물질인 것은?
78. 환경부장관이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을 지정, 고시한 때에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도지사와 협의하여 수립하여야 하는 비점오염원관리대책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79. 해당 부과기간의 시작일 전 1년 6개월 동안 방류수 수질기준을 초과하지 아니한 사업자의 기본배출부과금 감면율로 옳은 것은?
80. 오염총량초과부과금의 납부통지는 부과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몇일 이내에 하여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