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리스트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7-25)

컬러리스트기사
(2010-07-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색채심리 마케팅

1. 매슬로우(Maslow)욕구단계(1단계~5단계의 순)가 옳은 것은?

  1. 안전의 욕구, 사회적 욕구, 존경욕구, 생리적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2.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존경욕구, 사회적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3.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사회적 욕구, 존경의 욕구
  4.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사회적 욕구, 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사회적 욕구, 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입니다. 이는 매슬로우가 제시한 욕구단계 중 가장 일반적으로 인정받는 순서입니다. 생리적 욕구는 인간의 기본적인 생존에 필요한 욕구이며, 안전의 욕구는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을 필요성을 나타냅니다. 사회적 욕구는 인간의 사회적 관계와 상호작용에 대한 욕구이며, 존경의 욕구는 자신의 능력과 업적을 인정받고 싶어하는 욕구입니다. 마지막으로 자아실현의 욕구는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싶어하는 욕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 변화되는 최근의 시장은 표적마케팅을 지향한다. 표적마케팅은 시장세분화, 시장표적화,위치선정의 3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는데,시장 표적화 단계를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1. 시장을 상이한 제품을 필요로 하는 구매 집단으로 나누는 것
  2. 지리적, 인구 통계적, 심리적 변수로 시장을 세분화 하는 것
  3. 여러 세분화된 시장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세부 선정하는 것
  4. 경쟁 제품과의 위치와 상세한 마케팅 믹스를 개발 하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여러 세분화된 시장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세부 선정하는 것은 표적마케팅의 시장 표적화 단계를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다. 이는 다양한 시장 세분화 기준을 활용하여 구매 집단을 더욱 세부적으로 분류하고, 그 중에서 가장 유망한 시장을 선택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의 특성과 고객 요구에 최적화된 마케팅 전략을 구체적으로 수립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색채 조사를 위한 표본 추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편차가 가능한 많이 나는 방식으로 한다.
  2. 무작위로 표본추출 한다.
  3. 대규모 집단에서 소규모 집단으로 한다.
  4. 모집단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편차가 가능한 많이 나는 방식으로 한다."는 옳지 않은 방법이다. 이유는 편차가 크다는 것은 색채 조사 결과의 신뢰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본 추출 방법은 편차가 작은 방식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고객으로 하여금 기업의 우수성이나 사회적인 신뢰도 등을 알리는 광고로서 이미지 구축을 위한 광고의 형태는?

  1. 상품광고
  2. 기업광고
  3. 홍보광고
  4. 대중광고
(정답률: 알수없음)
  • 기업광고는 기업의 우수성이나 사회적인 신뢰도 등을 알리는 광고로서 이미지 구축을 위한 광고 형태이다. 상품광고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는 광고, 홍보광고는 기업이나 단체의 홍보를 위한 광고, 대중광고는 대중에게 광고를 전달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색채조절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신체의 피로를 막는다.
  2. 안전이 유지되고 사고가 줄어든다.
  3. 개인적 취향이 잘 반영된다.
  4. 일의 능률이 오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개인적 취향이 잘 반영된다는 것은 색채조절의 효과가 아니라 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한 색상이 반영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개인적 취향이 잘 반영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제품의 위치(Positioning)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품마다 소비자들에게 인지되는 속성의 위치가 존재한다.
  2. 특정 제품의 확고한 위치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을 돕는다.
  3. 세분화된 시장 특성에 따른 제품의 위치 선정이 중요하다.
  4. 하나의 브랜드 내에서 차별적인 제품위치 설정은 효과적이지 않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하나의 브랜드 내에서 차별적인 제품위치 설정은 효과적이지 않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하나의 브랜드 내에서도 제품마다 고유한 특징과 속성이 있기 때문에 차별적인 제품위치 설정이 효과적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제품정보로서의 색과 관련된 색채연상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바나나 우유의 포장 용기를 노란색으로 채색하였다.
  2. 청량음료 용기에는 한색과 흰색의 조합에 의한 배색이 주로 사용된다.
  3. 가전제품의 경우 전원과 메뉴 선택 버튼을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되고 사용이 편리하게 색채를 적용한다.
  4. 전투복의 색상은 주위 환경에 위장이 용이한 색채로 디자인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전제품의 경우 전원과 메뉴 선택 버튼을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되고 사용이 편리하게 색채를 적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색채와 음악을 연결한 공감각의 특성을 잘 이용하여 브로드웨이 부기우기(Broadway Boogie Woogie)라는 작품을 제작한 작가는?

  1. 요하네스 이텐(JohanessItten)
  2. 몬드리안(Mondrian)
  3. 카스텔(Castel)
  4. 모리스 데리베레(MauriceDeribere)
(정답률: 알수없음)
  • 몬드리안은 색채와 음악을 연결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공감각적인 예술을 추구하였고, 브로드웨이 부기우기는 그의 공감각적인 예술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이 작품은 뉴욕의 거리와 건축물을 모티브로 하여, 직선과 색채를 이용하여 형성된 격자무늬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음악에서 리듬과 조화를 형성하는 것과 유사한 원리를 적용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소비자의 광고수요에 의한 구매의사 결정과정으로 옳은 것은?

  1. 주의 – 흥미 – 욕구 – 기억 - 행위
  2. 주의 – 욕구 – 기억 – 흥미 - 행위
  3. 기억 – 흥미 – 주의 – 욕구 - 행위
  4. 주의 – 기억 – 욕구 – 흥미 - 행위
(정답률: 알수없음)
  • 소비자는 먼저 광고를 보고 주의를 기울입니다. 그리고 광고가 흥미로워지면서 광고에 대한 욕구가 생기게 됩니다. 이후 광고 내용을 기억하게 되고, 마지막으로 구매 행위를 하게 됩니다. 따라서 "주의 – 흥미 – 욕구 – 기억 - 행위"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구매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아닌 것은?

  1. 구매의 중요성
  2. 대체 상품의 존재여부
  3. 지적 수준
  4. 개성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 수준은 구매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아닙니다. 구매의 중요성, 대체 상품의 존재여부, 개성은 소비자의 구매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지적 수준은 소비자의 구매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지적 수준은 소비자의 지식 수준이나 학력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매결정과정에서는 다른 요인들과 함께 고려되지만, 그 자체로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SD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복잡한 이미지를 비교적 단순한 설계에 의해 그 의미공간을 파악할 수 있다.
  2. 몇 개의 유사 형용사 쌍으로 척도를 만들어 평가하게 한다.
  3. 피험자에게 친숙한 개념의 이미지 측정일수록 정확한 결과를 얻는다.
  4. 요인분석을 통하여 그 대상의 의미공간을 분석하므로서 이미지의 구성 요인을 알아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몇 개의 유사 형용사 쌍으로 척도를 만들어 평가하게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SD법에서는 "유사한 의미를 가진 단어들을 쌍으로 묶어 척도를 만들어 평가하게 한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단어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하여 의미공간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큰-작은", "높은-낮은"과 같은 단어 쌍을 이용하여 크기나 높이와 같은 속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생동,열정,활력으로 상징되는 정력적인 배색은?

  1. 파랑과 남색
  2. 검정과 회색
  3. 빨강과 주황
  4. 다홍과 파랑
(정답률: 알수없음)
  • 빨강과 주황은 불꽃, 태양, 열정 등과 연관되어 생동감과 활력을 상징하는 색상이기 때문입니다. 빨강은 흥분과 열정을, 주황은 활력과 활기를 나타내며, 이 두 색상이 함께 사용되면 더욱 강한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소비자 시장을 파악하기 위한 인구 통계적인 요인 조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소비자의 연령·성별 차이
  2. 소비자의 감성별 차이
  3. 소비자의 거주 지역별 차이
  4.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차이
(정답률: 알수없음)
  • 인구 통계적인 요인은 소비자의 연령, 성별, 거주 지역, 라이프스타일 등과 같은 특성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소비자의 감성별 차이는 인구 통계적인 요인이 아닙니다. 감성은 개인의 성격, 경험, 가치관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인구 통계적인 요인으로 분류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소비자 시장을 파악하기 위한 인구 통계적인 요인 조사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빛의 분광을 통해 발견된 일곱가지 색을 칠음계에 연계시키면서 색채와 소리의 관련성을 설명한 사람은?

  1. 뉴턴
  2. 요하네스 이튼
  3. 먼셀
  4. 램버트
(정답률: 알수없음)
  • 뉴턴은 빛을 분광하여 일곱가지 색을 발견하고, 이를 칠음계에 연계시켜 색채와 소리의 관련성을 설명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제품의 색채 계획 중 기획단계에서 해야 할 것이 아닌 것은?

  1. 주조색,보조색 결정
  2. 시장과 소비자조사
  3. 색채 정보 분석
  4. 제품기획
(정답률: 알수없음)
  • "제품기획"은 제품의 색채 계획 중 기획단계에서 반드시 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주조색,보조색 결정"은 색채 계획의 디테일한 단계로, 이전에 시장과 소비자조사, 색채 정보 분석 등을 통해 적절한 색채를 선택한 후에 이루어지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주조색,보조색 결정"은 기획단계에서 해야 할 것이 아니라, 이전 단계에서 준비되어야 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기업이 원하는 표적시장을 통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사용하는 통제 가능한 마케팅변수의 총집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마케팅변수
  2. 마케팅믹스
  3. 마케팅구조
  4. 마케팅 전략
(정답률: 알수없음)
  • 마케팅믹스는 기업이 원하는 표적시장을 통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사용하는 통제 가능한 마케팅변수의 총집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마케팅믹스가 정답입니다. 마케팅변수는 마케팅믹스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의미하며, 마케팅구조는 기업 내부의 마케팅 조직 구조를 의미합니다. 마케팅 전략은 기업이 마케팅 활동을 수행할 때 채택하는 방식이나 방향성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조사를 위한 표본 크기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표본의 오차는 표본의 크기와 모집단 크기에 비하여 정비례하는 경향이 있다.
  2. 표본의 사례 수는 오차와 관련되어 있다.
  3. 적정 표본 크기는 허용오차 범위에 의해 달라진다.
  4. 전문석이 부족한 연구자들은 선행연구의 표본 크기를 고려하여 따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본의 오차는 표본의 크기와 모집단 크기에 비하여 정비례하는 경향이 있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표본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표본의 오차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모집단의 특성을 더욱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색채의 상징으로 틀린 것은?

  1. 운동복,경기장 배경 등 스포츠에서의 색채의 사용은 정보체계로서의 역할을 한다.
  2. 흰색은 서양에서는 순결을 상징하나,동양에서는 장례식을 상징한다.
  3. 고대건축에서 색채는 장식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중세에 이르러서는 상징적으로 사용되었다.
  4. 교통 및 공공시설물에 사용되는 안전을 위한 표준색은 국제 언어로서 활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대건축에서 색채는 장식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중세에 이르러서는 상징적으로 사용되었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고대건축에서는 색채가 건축물의 장식적인 요소로 사용되었지만, 중세에 이르러서는 색채가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청색은 성모 마리아를 상징하고, 빨간색은 예수의 피를 상징합니다. 이러한 색채의 상징적인 의미는 중세 시대의 기독교 예술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멀티미디어 디자인의 특징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one-waycommunication
  2. user-centereddesign
  3. informationarchitecture
  4. userinterface
(정답률: 알수없음)
  • "one-way communication"은 멀티미디어 디자인의 특징과 관련이 없는 것이다. 이는 단방향 통신을 의미하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없는 디자인을 의미한다. 멀티미디어 디자인은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정보 구조,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중요시하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디자인을 추구한다. 따라서 "one-way communication"은 멀티미디어 디자인의 특징과 관련이 없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컬러(색채)시장조사 방법으로 부적합한 것은?

  1. 목표가 되는 소비자의 행동을 면밀하게 직접 관찰한다.
  2. 목표 소비자집단의 색상 기호 또는 색상 선호도를 조사한다.
  3. 자사TV또는 신문광고의 만족도에 대해 사후설문조사를 한다.
  4. 시멘트 같은 간접 소비재의 경우 라디오 광고 청취율을 조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멘트 같은 간접 소비재의 경우 라디오 광고 청취율을 조사하는 것이 부적합한 방법이다. 이유는 시멘트와 같은 제품은 대부분 건축물의 구조물에 사용되는 제품으로, 일반 소비자가 직접 선택하는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라디오 광고 청취율을 조사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시장조사의 목적과 대상에 맞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디자인

21. 빅터 파파넥(VictorPapanek)이 말한 형태와 기능, 미적인것과 기능적인 것에 대한 복합기능의 구성요소로서 연결이 옳은 것은?

  1. 미학 – 보편적인 것이며, 인간의 욕망에 관계된 것
  2. 필요성 – 특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도적인 실용화
  3. 연상 – 경제적, 정신적, 지적 요구가 복합된 디자인
  4. 방법 – 재료, 도구, 공정과의 상호작용
(정답률: 알수없음)
  • 빅터 파파넥은 디자인에 있어서 형태와 기능, 미적인 것과 기능적인 것이 모두 중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복합기능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인 "방법"은 디자인을 구성하는 재료, 도구, 공정과의 상호작용을 의미합니다. 디자이너는 이러한 방법을 통해 디자인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미적인 가치와 기능적인 가치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법 – 재료, 도구, 공정과의 상호작용"이 옳은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단순한 공예운동이나 건축운동이 아니라 결집된 형태의 운동을 전개하고 디자인의 표준화 및 규격화를 추구한 것은?

  1. 미술공예운동
  2. 아르누보
  3. 독일공작연맹
  4. 다다이즘
(정답률: 알수없음)
  • 독일공작연맹은 공예와 디자인을 표준화하고 규격화하여 결집된 형태의 운동을 전개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공예운동이나 건축운동이 아니라, 디자인 분야에서의 혁신적인 움직임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게슈탈트의 원리 중 부분이 완전하게 연결되지 않아도 완전하게 보려는 시각법칙은?

  1. 폐쇄성
  2. 인접성
  3. 유사성
  4. 연속성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폐쇄성

    설명: 폐쇄성은 부분이 완전하게 연결되지 않아도 완전하게 보려는 시각법칙입니다. 이는 인접성, 유사성, 연속성과 같은 다른 시각법칙과는 달리, 부분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전체적으로 완성된 형태를 인식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원형으로 배치된 점들 중 일부가 빠져 있어도 우리는 그것이 원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인간의 인지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1960년대 후반부터 미국에서 현저하게 나타난 동향으로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를 사용하며 이미지와 조형요소를 최소화하여 기본적인 구조로 환원시키고 단순함을 강조한 것은?

  1. 팝아트
  2. 옵아트
  3. 미니멀리즘
  4. 포스트모더니즘
(정답률: 알수없음)
  • 미니멀리즘은 단순함과 최소화를 강조하는 예술적 동향으로, 이미지와 조형요소를 최소화하여 기본적인 구조로 환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는 1960년대 후반부터 미국에서 현저하게 나타난 동향으로, 팝아트나 옵아트와는 달리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1957년에 설립되었으며 한국디자인 교육의 새로운 시대를 열게 한 것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던 기관은?

  1. 한국디자인진흥원
  2. 한국공예시범소
  3. 한국색채디자인연구소
  4. 한국제품디자인협의회
(정답률: 알수없음)
  • 한국공예시범소는 1957년에 설립되어 한국의 공예 디자인 분야를 선도하며,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따라서 한국디자인 교육의 새로운 시대를 열게 된 기관으로 평가받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기업이나 기관, 행사 등 대상의 이미지를 일관성 있게 관리하기 위한 것은?

  1.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2. 아이덴티티 디자인
  3. 에디토리얼 디자인
  4. 인터페이스 디자인
(정답률: 알수없음)
  •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로고, 컬러, 폰트 등을 통해 대상의 이미지를 일관성 있게 관리하는 디자인 분야입니다. 이를 통해 대상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인식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이나 기관, 행사 등에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활용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관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 )에 가장 적당한 것은?

  1. 기술
  2. 기획
  3. 제안
  4. 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그림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기획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적당한 정답은 "기획"입니다. "기술"은 기술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고, "제안"은 어떤 아이디어나 계획을 제안하는 것이며, "기능"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능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제품 디자인의 개발과정에서 친환경적인 디자인 또는 그린 디자인(GreenDesign)의 기본원리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재사용을 위한 디자인
  2. 분해를 위한 디자인
  3. 재활용을 위한 디자인
  4. 폐기를 위한 디자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폐기를 위한 디자인"

    설명: 친환경적인 디자인 또는 그린 디자인의 기본원리는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과 환경오염 최소화입니다. 따라서 폐기를 위한 디자인은 친환경적인 디자인의 원리와는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폐기를 위한 디자인은 제품이 사용되지 않을 때 쉽게 버려지고 분해되지 않아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폐기를 위한 디자인은 친환경적인 디자인의 원리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환경 디자인의 영역이 아닌 것은?

  1. 패브릭디자인
  2. 점포디자인
  3. 조경디자인
  4. 도시디자인
(정답률: 알수없음)
  • 패브릭디자인은 환경 디자인의 영역이 아닙니다. 패브릭디자인은 직물 디자인을 의미하며, 의류, 가구, 인테리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환경 디자인은 주로 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으로, 점포디자인, 조경디자인, 도시디자인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1919년에 월터 그로피우스를 중심으로 독일의 바이마르에 설립된 조형학교는?

  1. 독일공작연맹
  2. 데스틸
  3. 바우하우스
  4. 아르데코
(정답률: 알수없음)
  • 월터 그로피우스가 중심이 되어 1919년에 설립된 조형학교가 바로 바우하우스입니다. 바우하우스는 혁신적인 디자인과 예술 교육을 추구하며, 기존의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혁신적인 디자인을 만들어내는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도형과 바탕의 반전에 관한 내용 중 바탕이 되기 쉬운 영역의 예에 해당하는 것은?

  1. 기울어진 방향보다 수직, 수평으로 된 영역
  2. 비대칭 영역보다 대칭형을 가진 영역
  3. 위로부터 내려오는 형보다 아래로부터 올라가는 형의 영역
  4. 폭이 일정한 영역보다 폭이 불규칙한 영역
(정답률: 알수없음)
  • 바탕이 되기 쉬운 영역은 폭이 일정한 영역보다 폭이 불규칙한 영역입니다. 이유는 폭이 일정한 영역은 바탕으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규칙적이고 단조롭기 때문에 시선을 끌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폭이 불규칙한 영역은 불규칙한 모양과 크기 때문에 시선을 끌기 쉽고, 디자인적으로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좋은 디자인으로 평가받기 위한 조건들 가운데 들어가지 않는 성질은?

  1. 합목적성
  2. 다양성
  3. 독창성
  4. 경제성
(정답률: 알수없음)
  • 다양성은 좋은 디자인을 평가받기 위한 조건 중 하나이지만, 반드시 들어가지 않아도 되는 성질입니다. 다양성은 디자인의 특정한 측면에서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거나,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디자인의 목적이나 대상에 따라서는 다양성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다양성은 선택적인 성질이며, 디자인의 목적과 대상에 따라서 적절하게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의 배색중 배색원리가 다른 하나는 무엇인가?

  1. 밤색 – 노란색
  2. 분홍색 - 빨강
  3. 하늘색 – 노란색
  4. 하늘색 - 파란색
(정답률: 알수없음)
  • "하늘색 – 노란색"은 보색이 아니기 때문에 배색원리가 다릅니다. 보색은 색상환에서 서로 마주보는 색상을 말하며, 보색끼리 섞으면 더욱 선명한 색상이 나타납니다. 하늘색과 노란색은 색상환에서 서로 인접한 색상이기 때문에 보색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일반적으로 지적인 계획과 노력에 의해 목표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 자연과 사회의 변천작용을 계획적으로 실용화하는 것을 지칭하는 용어는?

  1. 효용성(utility)
  2. 텔레시스(telesis)
  3. 트랜드(trend)
  4. 필요성(need)
(정답률: 알수없음)
  • 텔레시스(telesis)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획적으로 자연과 사회의 변천작용을 이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유용성, 추세, 필요성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텔레시스와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현재의 예술의 경향보다 더 앞서 나아가는 전위적인 의미를 지닌 예술사조로 짝지어진 것은?

  1. 포스트모더니즘, 미래주의
  2. 플럭서스 키치
  3. 모더니즘, 아방가르드
  4. 플럭서스, 아방가르드
(정답률: 알수없음)
  • 플럭서스와 아방가르드는 모두 현재의 예술 경향을 넘어서서 새로운 예술적 경험을 추구하는 전위적인 예술사조로 분류됩니다. 플럭서스는 일상적인 소재와 재료를 이용하여 예술을 만들어내는 것을 중시하며, 아방가르드는 기존의 예술 형식을 탈피하고 새로운 형식과 기법을 시도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따라서 이 두 예술사조는 현재의 예술 경향을 넘어서서 미래적인 예술적 경험을 모색하는 전위적인 예술사조로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단시간 내에 급속도로 생겼다가 사라지는 유행을 의미하는 것은?

  1. 트랜드
  2. 포드
  3. 클래식
  4. 패드
(정답률: 알수없음)
  • "패드"는 단시간 내에 급속도로 생겼다가 사라지는 유행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는 패션 분야에서 특히 많이 사용되며, 예전에는 패드드레스, 패드숄더 등의 패션 아이템이 유행했었다. 이러한 패션 아이템들은 단기간 동안 인기를 끌었지만, 금방 사라지기도 했다. 따라서 "패드"는 단기간 동안 유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처음 점이 움직임을 시작한 위치에서 끝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가진 점의 궤적은?

  1. 입체
(정답률: 알수없음)
  • 점은 크기가 없기 때문에 궤적이 없다. 따라서 처음 점이 움직임을 시작한 위치에서 끝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가진 궤적은 점이 아니라 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1890경부터 약 20년간 벨기에와 프랑스 등을 중심으로 전개된 장식미술 운동은?

  1. 미술공예운동
  2. 아르누보
  3. 산업혁명
  4. 바우하우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아르누보"입니다. 이는 1890년대부터 1910년대까지 벨기에와 프랑스 등에서 전개된 장식미술 운동으로, 산업혁명으로 인해 대량생산된 제품들의 일관성과 반복성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었습니다. 이 운동은 공예와 디자인을 결합하여 기능성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추구하며, 대중적이고 저렴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 노동자들의 권리와 생활환경 개선을 주장했습니다. 이후 바우하우스 등 다른 운동들과 연결되어 현대 디자인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유행색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패션이나 미용디자인에 사용되는 색 영역은 비교적 느리게 변한다.
  2. 당시의 특정한 정치·경제적인 사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3. 국제 유행색 협회에서 매년 그 해의 색채방향을 분석하고 유행색을 예측한다.
  4. 어떤 계절이나 일정기간 동안 특별히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여 착용한 색을 일컫기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어떤 계절이나 일정기간 동안 특별히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여 착용한 색을 일컫기도 한다." 이유는 간단하게 말하면, 유행색은 사람들의 취향과 경향이 모여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특정한 사건이나 국제 유행색 협회의 분석도 영향을 미치지만, 결국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것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건물의 외벽, 건축 현장의 담,아파트 등의 대형벽면에 그린 그림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크래프트
  2. 슈퍼그래픽
  3. 퓨전디자인
  4. 옵티컬아트
(정답률: 알수없음)
  • 슈퍼그래픽은 건물의 외벽, 건축 현장의 담, 아파트 등의 대형벽면에 그린 그림을 말한다. 다른 보기들은 디자인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이지만, 슈퍼그래픽은 대형 벽면에 그림을 그리는 것에 특화된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색채관리

41. 필터의 센서가 일체가 되어 X, Y, Z자극치를 읽어내는 측색방법은?

  1. 삼자극치 수광방식
  2. 분광 수광방식
  3. 육안검색
  4. 인터폴레이션 색채식
(정답률: 알수없음)
  • 삼자극치 수광방식은 필터의 센서가 X, Y, Z 자극치를 읽어내는 방식으로, 색상을 측정하는 데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방식은 빛의 파장을 세 가지로 분리하여 각각의 파장에 대한 광도를 측정하여 색상을 판단합니다. 이 방법은 정확하고 안정적인 결과를 제공하며, 색상 측정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색채측정장치에서 측색신호를 처리하여 색채값을 산출하는 장치는?

  1. 전산장치
  2. 시료대
  3. 광검출기
  4. 분광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색채측정장치에서 측색신호를 처리하여 색채값을 산출하는 과정은 매우 복잡하며,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계산과 분석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가 전산장치입니다. 따라서 전산장치가 색채값을 산출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조명용 광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방전등은 전극 간의 방전에 의해 전자와 기체 분자의 충돌로 빛이 방출된다. 예로는 고압 수은등이 있다.
  2. 백열등은 전류가 전력이 대부분 빛으로 전환되므로 조명용 광원 가운데 효율이 가장 높다.
  3. 방전등과 원리는 비슷하나 방전에 의해 발생된 자외선이 유리관 내면에 도포된 형광물질을 자극하여 빛을 방출하는 것이 형광등의 원리이다.
  4. 일반 형광등은 빛에 푸른 기가 돌아 차가운 느낌을 줄 뿐 아니라, 연색성이 낮은 단점을 갖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백열등은 전류가 전력이 대부분 빛으로 전환되므로 조명용 광원 가운데 효율이 가장 높다. (정답)

    백열등은 전기가 흐르면 전구 안의 금속 선이 단열체로 가열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전력의 대부분이 빛으로 전환되므로 효율이 높다. 하지만 열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있기 때문에 전력 효율은 높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적절한 크기의 안료입자를 합성하는데 필요한 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반응 조건
  2. 건조 조건
  3. 희석제의 종류
  4. 염료의 종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염료의 종류"입니다. 안료입자의 크기는 반응 조건, 건조 조건, 희석제의 종류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염료의 종류는 안료입자의 크기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안료입자의 크기를 합성하는데 필요한 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염료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안료를 이용하여 채색하기에 가장 적당하지 않은 경우는?

  1. 자동차의 내장 및 외장의 표면코팅
  2. 직물의 염색
  3. 유성 및 수성페인트
  4. 금속판에 사용하는 인쇄용 잉크
(정답률: 알수없음)
  • 직물의 염색은 안료를 이용하여 채색하기에 가장 적당하지 않은 경우입니다. 이유는 직물의 염색은 안료가 오랫동안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안료의 내구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직물의 특성에 따라 안료의 선택과 염색 방법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안료 선택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안료의 내구성과 직물의 특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가장 적당하지 않은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디바이스 종속적 색체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디지털 색채를 다루는 전자장비들 간에 호환성이 없기 때문에 입출력 전자장비 간의 색채가 일치하지 않는다.
  2. CIE가 1931년에 발표한 CIEXYZ색채공간이 대표적인 디바이스 종속적 색체계이다.
  3. 동일한 제조업체의 저품이라도 모델에 따라 색체계가 다르다.
  4. 제조업체와 모델에 따라서 입출력되는 색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색영역 맵핑을 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CIE가 1931년에 발표한 CIEXYZ색채공간이 대표적인 디바이스 종속적 색체계이다." 이다. 이유는 CIEXYZ색채공간은 디바이스 종속적이지 않은 색체계이기 때문이다. CIEXYZ색채공간은 인간의 시각적 지각을 모델링한 것으로, 모든 색을 수학적으로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색을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CIEXYZ색채공간을 기반으로 색영역 맵핑을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육안 조색을 통하여 색채 조절시 주의할 점이 아닌 것은?

  1. 색차의 내용을 주의하여 관측할 필요가 있다.
  2. 색채계를 이용하여 측정된 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3. 색채관측에 있어서 조명환경과 빛의 방향,조며으이 세기는 검토 대상이 되지 않는다.
  4. 분광반사율의 차이가 색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색채 조절시 주의할 점은 "색차의 내용을 주의하여 관측할 필요가 있다.", "색채계를 이용하여 측정된 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분광반사율의 차이가 색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이지만, "색채관측에 있어서 조명환경과 빛의 방향,조며으이 세기는 검토 대상이 되지 않는다." 이유는 이러한 요소들은 색채 조절 이전에 이미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 이후에는 검토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색료가 선택되면 그 색료를 배합하여 조색할 수 있는 색채의 범위가 정해진다. 색영역은 이론적인 것으로부터 현실적인 단계로 내려올수록 점점 축소되는데, 다음 중 색영역을 축소시키는 것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주어진 명도에서 가능한 색영역
  2. 표면반사에 의한 어두운 색의 한계
  3. 경제성에 의한 한계
  4. 시간경과에 따른 탈색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시간경과에 따른 탈색현상"이다.

    색영역은 선택된 색료를 배합하여 만들어지는 색상의 범위를 말한다. 이 색영역은 이론적으로는 무한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축소된다.

    그 중에서도 시간경과에 따른 탈색현상은 색료가 노출되는 환경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거나 사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색료의 안정성과 관련이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거나 사라지는 경우 해당 색료를 사용하여 만든 제품의 수명이 짧아지거나 원하는 색상을 유지하기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시간경과에 따른 탈색현상은 색영역을 축소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광원의 분광복사강도분포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백열전구는 단파장보다 장파장의 복사분포가 매우 적다.
  2. 백열전구 아래에서의 난색계열은 보다 생생히 보인다.
  3. 형광등 아래에서는 단파장보다 장파장의 반사율이 높다.
  4. 형광등 아래에서의 한색계열을 색채가 죽어 보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백열전구 아래에서의 난색계열은 보다 생생히 보인다. 이유는 백열전구는 단파장보다 장파장의 복사분포가 매우 적기 때문에, 모든 색상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보다 자연스러운 색상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KSA0011에 나타난 표준은?

  1. 색의 3속성
  2. 물체색의 이름
  3. 색차
  4. 색 밝기
(정답률: 알수없음)
  • KSA0011은 "물체색의 이름"을 나타내는 표준이다. 이는 색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로, 색의 3속성(색상, 채도, 명도)을 이용하여 색을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색의 이름을 직접 부여하여 색을 구분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 등과 같이 색의 이름을 직접 부여하여 색을 구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천연염료의 색상이 서로 틀린 것은?

  1. 쪽 – 청색
  2. 오배자 - 적색
  3. 자초 – 자색
  4. 소목 – 청색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소목 – 청색"입니다. 소목은 주로 노란색에서 주황색을 띄는 염료이며, 청색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해상도(resolution)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색채 영상의 선명도는 해상도 및 모니터 크기와는 관계없다.
  2. ppi는 1인치 내에 들어갈 수 있는 픽셀의 수를 말한다.
  3. 픽셀의 색상은 빨강,시안,노랑의 3가지 색상의 스펙트럼 요소들로 만들어진다.
  4. 최고 해상도(1280X1024)를 가지고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그보다 낮은 해상도를 지원하지 못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ppi는 1인치 내에 들어갈 수 있는 픽셀의 수를 말한다." 이다. 이유는 ppi는 "Pixels Per Inch"의 약자로, 1인치 내에 들어갈 수 있는 픽셀의 수를 말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해상도와 관련이 있지만, 선명도와 색상 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CIEDE2000색차식은 CIELAB색차 △E*ab로 일정한 차이이하의 정밀한 색차에 대하여 적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 적용한계는 얼마인가?

  1. △E*ab ≤ 10.0 .
  2. △E*ab ≤ 5.0
  3. △E*ab ≤ 2.5
  4. △E*ab ≤ 2.0
(정답률: 알수없음)
  • CIEDE2000색차식은 인간의 시각적 감지 한계를 고려하여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E*ab 값이 5.0 이하인 색차를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CIEDE2000색차식은 이 한계를 적용하고, △E*ab 값이 5.0 이하인 색차에 대해서만 정확한 색차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E*ab ≤ 5.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컴퓨터 자동배색(CCM)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광원이 바뀌어도 색채가 일치함
  2. 사용되는 색료량을 정확하게 지정할 수 있음
  3. 발색에 소요되는 비용을 정확히 산출할 수 있음
  4. 자동배색 과정 중에 혼입되는 각종 요인에서도 색채가 변하지 않음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배색 과정 중에 혼입되는 각종 요인에서도 색채가 변하지 않음"은 CCM의 특징이 아닙니다. CCM은 광원이 바뀌어도 색채가 일치하고, 사용되는 색료량을 정확하게 지정할 수 있으며, 발색에 소요되는 비용을 정확히 산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CCM은 자동배색 과정 중에 혼입되는 각종 요인에서도 색채가 변할 수 있습니다. 이는 CCM이 완벽한 자동화 시스템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광원에 대한 현상 중 틀린 것은?

  1. 광원에 따리 색이 달라지는 효과를 메타메리즘이라고 한다.
  2. 광원의 연색성을 이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색채연출이 가능하다.
  3. 어떤 색채가 매체,주변 색,광원,조도 등이 다른 환경에서 관찰될 때 다르게 보이는 현상을 컬러어피어런스라고 한다.
  4. 온도가 비교적 낮은 차가운 물체에서 가시광선 영역의 빛이 나오는 것을 루미네선스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광원에 따라 색이 달라지는 효과를 메타메리즘이라고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메타메리즘은 광원에 따라 색이 달라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경면 광택도는 측정대상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한다.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85도 경면 광택도 Gs(85) : 종이, 성뮤 등 광택이 없는 대상
  2. 60도 경면 광택도 Gs(60) : 도장면, 타일, 법랑 등 광택범위가 넓은 범위의 대상
  3. 45도 경면 광택도 Gs(45) : 피부, 가죽 등 광택이 비교적 낮은 대상
  4. 20도 경면 광택도 Gs(20) : 도장면, 금속면 등 비교적 광택도가 높은 것끼리의 비교
(정답률: 알수없음)
  • "85도 경면 광택도 Gs(85) : 종이, 성뮤 등 광택이 없는 대상"이 잘못 짝지어졌습니다. 85도 경면 광택도는 광택이 거의 없는 대상을 측정하는 것이 맞지만, 종이는 광택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종이도 일정한 광택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85도 경면 광택도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색채측정 결과에 반드시 첨부해야 될 사항으로만 나열된 것은?

  1. 표준광의 종류, 표준관측자, 색채측정방식
  2. 표준광의 종류, 표준회색도, 시료의 크기
  3. 표준관측자, 시료의 두께, 색상명(HV/C로 표시)
  4. 조명과 관측조건, 표준 회색도, 측정실 온도
(정답률: 알수없음)
  • 색채측정 결과는 일정한 조건에서 측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표준화된 광원과 관측자, 그리고 측정 방식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표준광의 종류, 표준관측자, 색채측정방식이 반드시 첨부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컴퓨터에서∙작은 그림을 크게 확대하면 나타나는 방식은?

  1. 보간법
  2. 점증법
  3. 외삽법
  4. 대입법
(정답률: 알수없음)
  • 보간법은 이미지나 그래프 등에서 작은 크기의 데이터를 크게 확대할 때, 주변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새로운 픽셀 값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이미지나 그래프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디지털 색체계에서 컬러세팅(colorsett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감마(gamma)는 컴퓨터 모니터 또는 이미지의 각 부분에 해당 하는 어둡기와 색상,채도를 말한다.
  2. UCR은 UnderColorRemoval로서 주로 흑백톤의 조절에 사용된다.
  3. GCR은 GrayComponentRemoval로서 원색잉크의 농도에 따라 흑색 잉크의 농도가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4. WhitePoint는 모니터나 소프트웨어를 보면 흰색을 제외한 컬러를 기준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UCR은 CMYK 색체계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원색잉크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색상 중 일부를 흑색잉크로 대체하여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인쇄물의 흑백톤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UCR은 UnderColorRemoval로서 주로 흑백톤의 조절에 사용된다."는 설명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표와 같이 목표 값과 시편 값이 나왔을 경우 시편 값의 보정방법은?

  1. 빨간색 도료를 이용하여 색상을 보정하고 흰색을 이용하여 밝기를 조정한다.
  2. 노란색 도료를 이용하여 색상을 보정하고 검은색을 이용하여 밝기를 조정한다.
  3. 녹색 도료를 이용하여 색상을 보정하고 검은색을 이용하여 밝기를 조정한다.
  4. 파란색 도료를 이용하여 색상을 보정하고 흰색을 이용하여 밝기를 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목표 값과 시편 값의 차이는 색상과 밝기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빨간색 도료를 이용하여 색상을 보정하고 흰색을 이용하여 밝기를 조정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빨간색은 시편 값의 색상을 더 빨간색으로 만들어주며, 흰색은 시편 값의 밝기를 높여주기 때문이다. 노란색, 녹색, 파란색 도료는 각각 시편 값의 색상을 노란색, 녹색, 파란색으로 만들어주지만, 밝기를 조정하는 데는 효과적이지 않다. 검은색은 밝기를 낮추는 효과가 있지만, 색상을 보정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빨간색 도료와 흰색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보정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색채지각론

61. 컬러 인쇄의 3색 분해를 할 때,컬러필름의 색들을 3색필터를 이용하여 색 분해하는 것은 어떤 원리를 이용한 것인가?

  1. 가법혼색
  2. 감법혼색
  3. 보색
  4. 병치혼색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보색"입니다. 컬러 인쇄의 3색 분해는 가법혼색 원리를 이용합니다. 이는 빨강, 초록, 파랑(RGB)의 색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을 만들어내는 원리입니다. 이때, 컬러필름의 색들을 3색필터를 이용하여 색 분해하는 것은 각 색상의 보색을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빨강색 필터를 이용하여 빛을 통과시키면, 빨강색을 제외한 초록과 파랑색은 차단되어 보색인 청록색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색상의 보색을 이용하여 3색 분해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인간 눈의 구조에서 시신경 섬유가 나가는 부분으로 광수용기가 없어 대상을 볼 수 없는 곳은?

  1. 맹점
  2. 중심와
  3. 공막
  4. 맥락막
(정답률: 알수없음)
  • 맹점은 시신경 섬유가 눈의 망막에 나가는 부분인데, 이 부분에는 광수용기가 없기 때문에 대상을 볼 수 없는 곳입니다. 따라서 맹점은 시야에서 빈 공간으로 남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색채의 온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색채의 온도감은 실제의 경험과 관련되어 있으나 실제의 색과 온도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2. 색채의 온감은 색상에서만 느껴지며,명도,채도에 의해서는 느껴지지 않는다.
  3. 연두, 녹색, 보라, 자주 등은 때에 따라 차갑게도 따뜻하게 도 느껴지는 중성색들이다.
  4. 색채의 온도감은 빨강, 주황, 노랑, 연두, 녹색, 파랑, 하양 의 순서로 따뜻하게 느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색채의 온감은 색상에서만 느껴지며, 명도, 채도에 의해서는 느껴지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색채의 온감은 색상의 특성으로, 명도나 채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색상이 같더라도 명도나 채도가 다르면 온감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줄눈 색에 따라서 동일한 벽돌이 밝은 주황에서 검붉은 장미색까지 다양하게 변화하는 효과를 보여 주었을 때, 이와 같은 효과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동화효과
  2. 베졸드 효과
  3. 전파효과
  4. 혼합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파효과"입니다. 전파효과는 빛이나 색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예를 들어 빨간색 물체가 주변에 있는 물체에 빛을 반사하여 주변 물체가 빨간색으로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반면에, 줄눈 색에 따라 변화하는 효과는 혼합효과라고 합니다. 이는 빛의 삼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이 섞여서 다양한 색상이 만들어지는 현상으로, 줄눈 색이 변할 때 빛의 삼원색이 섞여서 색상이 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채도가 높은 노란색이 또렷이 보이게 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주변의 색은?

  1. 밝은 노란색
  2. 저채도의 파란색
  3. 연한 빨간색
  4. 선명한 초록색
(정답률: 알수없음)
  • 채도가 높은 노란색은 주변의 색에 따라 더욱 눈에 띄게 보일 수 있습니다. 이때, 저채도의 파란색은 노란색과 대비가 크기 때문에 노란색을 더욱 또렷하게 보이게 해줍니다. 또한, 파란색은 노란색과 색상적으로 상반되는 색상이기 때문에 노란색을 더욱 강조해줍니다. 따라서, 저채도의 파란색이 채도가 높은 노란색을 더욱 또렷하게 보이게 해주는 가장 적절한 주변의 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보색대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상대비 중에서 서로 보색이 되는 색들끼리 나타는 대비효과를 보색대비라고 한다.
  2. 두 색은 서로 영향을 받아 본래의 색보다 채도가 높아지고 선명해진다.
  3. 유채색과 무채색이 인접될 때 무채색은 유채색의 보색기미가 있는 듯이 보인다.
  4. 서로 보색대비가 되는 색끼리 어울리면 채도가 낮아져 탁하게 보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서로 보색대비가 되는 색끼리 어울리면 채도가 낮아져 탁하게 보인다."가 아닙니다. 오히려 서로 보색대비가 되는 색끼리 어울리면 대비가 강해져 더욱 눈에 띄게 보이며, 채도도 높아집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보색대비는 색상 대비 중 하나로, 서로 보색인 두 색을 함께 사용하여 대비를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빨강과 초록, 파랑과 주황 등이 서로 보색입니다. 이러한 보색끼리 함께 사용하면 대비가 강해지며, 색상이 더욱 선명해 보입니다. 유채색과 무채색이 인접될 때는 무채색이 유채색의 보색기미가 있는 듯이 보이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지하 계단을 내려갈 때 지하 비상계단의 발 닿는 부분에는 어떤 색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가?

  1. 검정색
  2. 빨간색
  3. 주황색
  4. 녹색
(정답률: 알수없음)
  • 녹색은 안전과 관련된 색상으로, 비상 상황에서도 안전을 보장하는 색상으로 인식됩니다. 따라서 지하 비상계단의 발 닿는 부분에 녹색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연변대비를 감쇄시키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가장 좋은 것은?

  1. 색상대비를 더 크게 한다.
  2. 두 색 사이에 각각 보색의 테두리를 두른다.
  3. 두 색 사이에 채도가 높은 색의 테두리를 두른다.
  4. 두 색 사이에 무채색의 테두리를 두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색 사이에 무채색의 테두리를 두르면 두 색의 경계가 뚜렷해지고, 이로 인해 연변대비가 감쇄됩니다. 무채색은 색상 대비를 줄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방법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사람이 구별할 수 있는 색의 총수는 대략 몇 가지인가?

  1. 2000가지
  2. 20000가지
  3. 200000가지
  4. 2000000가지
(정답률: 알수없음)
  • 사람이 구별할 수 있는 색의 총수는 대략 200만 가지이다. 이는 인간의 눈이 세 가지 색상 감지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세 가지 감지체는 다양한 조합으로 작용하여 우리가 볼 수 있는 모든 색상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다양한 색상의 조합은 대략 200만 가지에 이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혼색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빛의 혼합은 가법혼색이다.
  2. 컬러인쇄에서는 병치혼색을 사용한다.
  3. 회전혼색은 중간혼색의 일종이다.
  4. 점묘화는 감법혼색의 응용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점묘화는 감법혼색의 응용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점묘화는 감각적인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 색을 점으로 찍어 나가는 기법으로, 감각적인 효과를 내기 위한 기법이지만 감법혼색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 가법혼색: 빛의 삼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을 만드는 방법
    - 병치혼색: 인쇄에서 사용되는 혼색 기법으로, 색을 겹쳐서 다양한 색상을 만드는 방법
    - 중간혼색: 두 개의 색을 혼합하여 중간 색상을 만드는 방법
    - 감법혼색: 색을 혼합하는 것이 아니라, 색을 빼서 원하는 색상을 만드는 방법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작은 색채 샘플을 보고 색을 선택한 후 벽면 전체에 페인트 칠 한 결과 원래의 색채 샘플 색과 다르게 보였다. 이러한 현상과 관계없는 것은?

  1. 이러한 현상을 면적대비 또는 면적효과라 한다.
  2. 동일한 색이라도 면적이 넓어지면 명도가 높아지고 채도는 낮아진다.
  3. 넓은 벽면에 어떤 색을 칠하고자 할 때 원하는 색보다 명도와 채도가 낮은 색채 샘플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4. 아파트 외벽과 같은 면적이 넓은 곳에 고채도,고명도의 색을 사용하면 이러한 색의 현상으로 시각을 지나치게 자극할 위험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러한 현상과 관계없는 것은 없다. 면적이 넓어질수록 색의 명도는 높아지고 채도는 낮아지기 때문에, 넓은 벽면에 원하는 색을 칠하고자 할 때는 원하는 색보다 명도와 채도가 낮은 색채 샘플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현상을 면적대비 또는 면적효과라 하며, 아파트 외벽과 같은 면적이 넓은 곳에 고채도, 고명도의 색을 사용하면 이러한 색의 현상으로 시각을 지나치게 자극할 위험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먼저 본 색의 영향으로 나중에 보는 색이 다르게 보이는 대비는?

  1. 동시대비
  2. 계시대비
  3. 한난대비
  4. 연변대비
(정답률: 알수없음)
  • 계시대비는 먼저 본 색이 다음에 본 색의 밝기나 채도를 강조하여 다르게 보이게 만드는 대비입니다. 이는 인간의 시각 체계에서 색상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에 기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공간색이란?

  1. 맑고 푸른 하늘과 같이 끝없이 들어갈 수 있게 보이는 색
  2. 유리나 물의 색 등 일정한 부피가 쌓였을 때 보이는 색
  3. 전구나 불꽃처럼 발광을 통해 보이는 색
  4. 반사물체의 표면에 보이는 색
(정답률: 알수없음)
  • 공간색은 일정한 부피가 쌓였을 때 보이는 색을 말합니다. 이는 유리나 물의 색과 같이 끝없이 들어갈 수 있게 보이는 색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그림처럼 교차하는 검정 사각형 사이로 회색 잔상이 보이는 대비효과는?

  1. 베졸드 효과
  2. 하만그리드 효과
  3. 면적대비 효과
  4. 착시 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이것은 하만그리드 효과입니다. 이 효과는 교차하는 검정색 선들이 인접한 밝은 영역과 상호작용하여 회색 잔상이 생기는 것입니다. 이것은 인간의 시각 체계에서 인지되는 착시 현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물체색의 반사율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파장에 걸쳐 고른 반사율을 가질 때 흰색으로 보여진다.
  2. 450nm에서 높은 반사율을 가질 때 파란색으로 보여진다.
  3. 700nm에서 높은 반사율을 가질 때 붉은 색으로 보여진다.
  4. 600nm에서 높으 반사율을 가질 때 녹색으로 보여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600nm에서 높은 반사율을 가질 때 녹색으로 보여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이유는 빛의 색은 빛의 파장에 따라 결정되며, 녹색은 파장이 약 500-570nm인 빛입니다. 따라서 600nm에서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물체는 녹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두 개 이상의 색을 볼 때 색들끼리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아서 인접색에 가까운 것으로 느껴지게 하는 현상은?

  1. 동화현상
  2. 푸르킨예 현상
  3. 색음현상
  4. 색순응
(정답률: 알수없음)
  • 동화현상은 두 개 이상의 색이 인접해 있을 때, 색들끼리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아서 인접색에 가까운 것으로 느껴지게 되는 현상입니다. 이는 색의 조화와 관련이 있으며, 색의 밝기, 채도, 명도 등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아서 색의 인식이 변화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동화현상"이 정답입니다. "푸르킨예 현상"은 색의 대비가 강해지면 색이 더 선명하게 보이는 현상, "색음현상"은 색의 조화가 맞지 않아 불쾌한 느낌을 주는 현상, "색순응"은 색의 대비가 강해지면 눈이 피로해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대낮에 극장과 같이 어두운 곳에 들어가면 처음에는 전혀 안보이다가 서서히 보이기 시작한다. 이때 활발하게 반응하기 시작하는 광수용기는?

  1. 홍채
  2. 추상체
  3. 간상체
  4. 초자체
(정답률: 알수없음)
  • 대낮에 극장과 같이 어두운 곳에 들어가면 처음에는 전혀 안보이다가 서서히 보이기 시작하는 것은 어둡고 적은 양의 빛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망막의 막대세포와 원추세포들이 빛을 감지하여 시각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이다. 이때 활발하게 반응하기 시작하는 광수용기는 간상체이다. 간상체는 망막의 원추세포에 위치하며, 밝은 빛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여 색상을 인식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볼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대낮에는 간상체가 활발하게 작동하여 선명한 이미지를 볼 수 있지만, 어두운 곳에 들어가면 막대세포가 활발하게 작동하여 저조한 빛을 감지하고 시각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색의 무게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속성은?

  1. 명도
  2. 채도
  3. 색상
  4. 질감
(정답률: 알수없음)
  • 명도는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속성으로, 색의 무게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속성입니다. 어두운 색과 밝은 색은 서로 다른 무게감을 가지며, 명도가 높은 색은 가벼운 느낌을 주고 명도가 낮은 색은 무거운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명도는 색의 무게감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색의 수축과 팽창에 대한 설명 중 틀리 것은?

  1. 따뜻한 색은 팽창색이 된다.
  2. 명도가 높은 색은 팽창색이 된다.
  3. 진출색은 수축색이 된다.
  4. 차가운 색은 수축색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출색은 수축색이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진출색은 색상이 더 어두워지고 무게감이 느껴지는 것으로, 수축색과는 반대 개념입니다.

    따뜻한 색은 팽창색이 되는 이유는, 따뜻한 색은 더 밝고 활기차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명도가 높은 색도 마찬가지로 밝고 활기차게 느껴지기 때문에 팽창색이 됩니다.

    반면 차가운 색은 더 어두워지고 무게감이 느껴지기 때문에 수축색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우리 눈은 주위 조명에 따라 색이 바뀌어도 본래의 색으로 보려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순응성
  2. 항상성
  3. 동화성
  4. 균색성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항상성"이다. 우리 눈은 주변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물체의 본래 색상을 유지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성질은 물체의 색상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구별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색채체계론

81. “5Y9/4”의 관용색명은? <KS표준 기준>

  1. 낙타색
  2. 솔잎색
  3. 크림색
  4. 카키색
(정답률: 알수없음)
  • "5Y9/4"는 색상을 표현하는 코드 중 하나인데, 여기서 "5Y"는 색상의 색조(hue)를 나타내고, "9/4"는 색상의 밝기(value)와 채도(chroma)를 나타냅니다. 이 중에서 "5Y"는 노란색과 갈색 사이의 색조를 의미하며, "9/4"는 밝기가 상대적으로 높고 채도가 중간 정도인 색상을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 "크림색"이라는 관용색명이 부여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자연에서 볼 수 있는 일출이나 일몰과 같이 여러 가지 색들 가운데 한 가지의 색이 중심을 이룰 때 얻어지는 조화는?

  1. 색상에 따른 조화
  2. 명도에 따른 조화
  3. 주조색에 따른 조화
  4. 보색대비에 따른 조화
(정답률: 알수없음)
  • 일출이나 일몰과 같은 자연에서 볼 수 있는 조화는 주조색에 따른 조화입니다. 이는 한 가지 색이 중심이 되어 그 주변에 다른 색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일출에서는 노란색이 주조색이 되어 주변에는 분홍색, 주황색, 빨간색 등이 어우러져 조화로운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KS표준에 있는 색이름 수식형이 아닌 것은?

  1. 노란, 파란
  2. 갈, 보랏빛
  3. 자줏빛, 분홍빛
  4. 초록, 검은
(정답률: 알수없음)
  • KS표준에 있는 색이름 중 "초록"과 "검은"은 수식형이 아니라 구체적인 색상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명칭이기 때문에 수식형이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색상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수식형을 사용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배색된 색을 면적비에 따라서 회전 원판위에 놓고 회전혼색할 때 나타나는 색을 밸런스 포인트라고 하고 이 색에 의하여 배색의 심리적 효과가 결정된다고 한 사람은?

  1. 슈브릴
  2. 문·스펜서
  3. 오스트발트
  4. 파버비렌
(정답률: 알수없음)
  • 문·스펜서는 색채학자로서, 색의 조합이 인간의 심리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주장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심리적인 영향은 색의 밸런스 포인트에 따라 결정된다고 생각했습니다. 따라서, 배색된 색을 면적비에 따라 회전 원판위에 놓고 회전혼색할 때 나타나는 색의 밸런스 포인트를 고려하여 색을 조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태극기의 색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건 ,곤 감, 리의 감은 서쪽의 흰색을 나타낸다.
  2. 국가에서 제정한 표준색도가 고시되어 있다.
  3. 춘하추동, 동서남북이 포함되어 있다.
  4. 태극기의 빨강은 6R4.5/14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 곤, 감, 리의 감은 서쪽의 흰색을 나타낸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건, 곤, 감, 리의 감은 동쪽의 흰색을 나타낸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태극기의 중심에 위치한 태극문양에서 나오는 것으로, 동쪽은 양력상으로 태양이 뜨는 방향이며, 태극기의 철학적인 의미와도 일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NCS체계의 뉘앙스 중 중앙에 위치한 것으로 명도,채도의 개념으로 볼 때 중명도와 중채도를 갖는 영역은?

  1. deepstrong
  2. clearbright
  3. gray
  4. uncharacterisitic
(정답률: 알수없음)
  • 중명도와 중채도를 갖는 영역은 "gray"이다. "uncharacteristic"은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특징이 없는, 일반적이지 않은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비렌의 색채조화론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색삼각형의 연속된 선상에 위치한 색들을 조합하면 조화된다.
  2. color, white, black, gray, tint, shade, tone7개 범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3. 좋은 배색을 위해서는 오메가 공간에 나타낸 점이 간단한 기하학적 관계에 있어야 한다.
  4. 색채는 3개의 기본구조는 순색,흰색,검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색채는 3개의 기본구조는 순색,흰색,검정이다."가 틀린 내용입니다. 비렌의 색채조화론에서는 색을 7개 범주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좋은 배색을 위해서는 오메가 공간에 나타낸 점이 간단한 기하학적 관계에 있어야 한다."는 색채조화론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이는 색상들이 서로 조화롭게 보이기 위해서는 색상들이 오메가 공간에서 간단한 기하학적 관계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삼각형의 세 꼭지점에 위치한 색상들은 서로 조화롭게 보이며, 이 삼각형 내부의 색상들도 이 삼각형의 세 꼭지점에 위치한 색상들과 조화롭게 보입니다. 이러한 기하학적 관계를 가진 색상들을 선택하여 배색을 구성하면 조화로운 색상 조합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P, C, C, S, 표색계의 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톤은 명도와 채도의 복합개념을 말한다.
  2. 연한 녹색은 lt12로 표기한다.
  3. 무채색은 모두 7톤으로 분류한다.
  4. Gt-6.5는 6.5명도의 무채색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무채색은 모두 7톤으로 분류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무채색은 톤이 없기 때문에 톤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톤은 색상의 명도와 채도를 나타내는 개념이므로, 무채색은 명도와 채도가 모두 0이기 때문에 어떤 톤에도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색쵸와 같은 특정의 착색물체를 정하고,적당한 번호나 기호를 붙여 물체의 색채를 표시하는 표색계는?

  1. 혼색계
  2. 현색계
  3. 감각계
  4. 지각계
(정답률: 알수없음)
  • 현색계는 색채를 표시할 때, 빨강, 초록, 파랑 세 가지 색의 강도를 조절하여 표현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인간의 시각 체계에서 색을 인식하는 방식과 유사하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색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CIELAB표색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와 b*값은 중앙에서 바깥으로 갈수록 채도가 감소한다.
  2. a*는 red–dgreen, b*는 yellow–lblue축에 관계된다.
  3. a*b*의 수치는 색도 좌표를 나타낸다.
  4. L*=50은 gray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와 b*값은 중앙에서 바깥으로 갈수록 채도가 감소한다."이다.

    이유는 CIELAB표색계에서 L*는 밝기를 나타내고, a*와 b*는 색상을 나타내며 중앙에서 바깥으로 갈수록 색상의 채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감소한다"라는 부분이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먼셀의 색채조화의 원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중심점으로 N5에 근거한 조화이다.
  2. 동일색상 조화는 명도와 채도에 대해 정연하다.
  3. 색채의 연속이 있는 곳은 증가하는 연속만 있다.
  4. 채도가 같고 명도가 다른 반대색끼리는 회색척도에 관하여 정연한 간격으로 조화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색채의 연속이 있는 곳은 증가하는 연속만 있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색채의 연속이 감소하는 연속도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빨강에서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보라로 이어지는 색채의 연속은 증가하는 연속이지만, 초록에서 노랑, 주황, 빨강으로 이어지는 색채의 연속은 감소하는 연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먼셀 표색계의 설명 중 틀리 것은?

  1. 색입체를 명도 5에서 수평으로 절단하면 등면도의 배열된다.
  2. 먼셀 표색계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혼색계 체계이다.
  3. 먼셀 색입체의 특징은 색상,명도,채도를 시각적으로 고른 단계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4. 채도가 높은 안료가 개발될 때마나 나뭇가지처럼 채도의 축을 늘여가면 좋다고 하여 먼셀의 색입체를 컬러트리(Color tree)라고 불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먼셀 표색계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혼색계 체계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먼셀 표색계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다른 혼색계 체계도 존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오스트발트의 등색상 삼각형에서“gc-lc-pc”조화는?

  1. 등백계열의 조화
  2. 라. 등흑계열의 조화
  3. 유채색과 무채색의 조화
  4. 등백계열과 등흑계열의 조화
(정답률: 알수없음)
  • 오스트발트의 등색상 삼각형에서 "gc-lc-pc"는 각각 녹색, 연두색, 자주색을 의미합니다. 이 세 가지 색은 모두 등흑계열에 속하며, 서로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라. 등흑계열의 조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관용 색명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습관성으로 사용하는 색명이다.
  2. 동·식물, 광물, 자연현상, 지명 등의 이름에서 유래 한 색명이다.
  3. 흑, 백, 적, 황, 녹은 관용색명이다.
  4. 어두운 회색, 연한 남색은 관용색명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어두운 회색, 연한 남색은 관용색명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관용색명의 특징을 올바르게 설명하고 있지만, "어두운 회색, 연한 남색"은 실제로는 구체적인 색상을 나타내는 구체적인 색명이기 때문에 관용색명이 아닙니다. 관용색명은 일반적으로 추상적인 색상을 나타내며,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습관성으로 사용하는 색명이며, 동·식물, 광물, 자연현상, 지명 등의 이름에서 유래한 색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CIE 표색계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표준광원이 매우 중요한 비중을 가진다.
  2. 3자극치를 투사하는 것이다.
  3. RGB를 기본으로 출발하였다.
  4. XYZ와 반대의 개념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XYZ와 반대의 개념이다."

    설명: CIE 표색계는 XYZ 색공간을 기반으로 하며, 색을 표현하기 위해 3개의 기본 색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XYZ와 반대의 개념"이라는 특성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CIE 표색계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오스트발트 색체계와 관련 깊은 이론은?

  1. 문-스펜서 조화론
  2. 뉴턴의 광학
  3. 헤링의 반대색설
  4. 영·헬름홀츠 이론
(정답률: 알수없음)
  • 오스트발트 색체계는 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색의 밝기와 색상을 독립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론적으로는 헤링의 반대색설에 근거하여 설명됩니다. 헤링의 반대색설은 색상 대비가 높은 색들이 서로 상반되는 색상으로 인식된다는 이론입니다. 예를 들어, 빨강과 초록은 서로 반대색상으로 인식되며, 파랑과 노랑은 반대색상으로 인식됩니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오스트발트 색체계는 색상을 측정하고 분류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먼셀기호 “10YR8/12”인 색에 대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명도가 12를 나타낸다.
  2. 명도가 10보다 어두운 색이다.
  3. 채도가 10인 색보다 색의 순도가 높은 색이다.
  4. 채도는 10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채도가 10인 색보다 색의 순도가 높은 색이다." 이다.

    먼셀기호는 색의 특성을 나타내는데, "10YR8/12"는 색상, 채도, 명도를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10YR"은 색상을 나타내며, 이는 빨강과 노랑의 중간색이다. "8"은 채도를 나타내며, 이는 색의 선명도를 의미한다. "12"는 명도를 나타내며, 이는 색의 밝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채도가 10인 색보다 색의 순도가 높은 색이다."라는 설명은, 채도가 낮은 색일수록 색의 순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순도란 색상의 순수도를 나타내며, 채도가 높을수록 혼합된 색상이므로 순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채도가 10인 색보다 색의 순도가 높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오스트발트의 색채조화에서 등색상 3각형의 BLACK을 잇는 평행선상에 있는 색은?

  1. 등흑계열의조화
  2. 등백계열조화
  3. 등순계열조화
  4. 유채색의 조화
(정답률: 알수없음)
  • 오스트발트의 색채조화에서 등색상 3각형의 BLACK을 잇는 평행선상에 있는 색은 GRAY이다. 이는 등백계열조화에 해당한다. 등백계열조화는 검은색과 흰색을 포함한 회색 계열의 색들을 이용하여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색의 밝기를 조절하여 조화를 이룬다. 따라서 BLACK과 WHITE 사이의 GRAY가 등백계열조화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음양오행에 의한 색과 방위의 관계 중 틀린 것은?

  1. 백 - 서방
  2. 적 - 북방
  3. 황 – 중앙
  4. 청 - 동방
(정답률: 알수없음)
  • 음양오행에 의한 색과 방위의 관계에서 틀린 것은 "적 - 북방"입니다. 적은 남쪽과 연관되어 있으며, 북쪽은 흰색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적 - 북방은 올바르지 않은 관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DIN색체계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색상(T),포 화도(S) ,암도(D)로 표현한다.
  2. 1930~40년대 덴마크 표준화 협회가 제안한 색체계이다.
  3. 어두움의 정도(D)는 0부터 14까지 숫자들로 주어진다.
  4. 등색상면은 흑색점을 정점으로 하는 정삼각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DIN색체계는 1930~40년대 덴마크 표준화 협회가 제안한 색체계로, 색상(T), 포화도(S), 암도(D)로 표현한다. 암도는 어두움의 정도를 0부터 14까지 숫자들로 주어지며, 등색상면은 흑색점을 정점으로 하는 정삼각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