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리스트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5-25)

컬러리스트기사
(2014-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색채심리 마케팅

1. 마케팅의 핵심 개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욕구
  2. 시장
  3. 제품단
  4. 지위
(정답률: 88%)
  • "지위"는 마케팅의 핵심 개념이 아닙니다. 마케팅에서 중요한 것은 소비자의 욕구와 필요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고, 이를 시장에서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것입니다. "지위"는 조직이나 개인의 위치나 권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마케팅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색채 라이프 사이클 중 회사 간의 치열한 경쟁으로 가격, 광고유치 경쟁이 치열하게 일어나는 시기는?

  1. 도입기
  2. 성장기
  3. 성숙기
  4. 쇠퇴기
(정답률: 35%)
  • 색채 라이프 사이클의 성숙기는 제품이 시장에서 성숙해지고 고객들이 제품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축적되는 시기입니다. 이로 인해 경쟁 업체들이 제품을 더욱 더 개선하고 가격 경쟁을 벌이며 광고를 강화하여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치열한 경쟁이 일어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모 카드회사에서 새로 출시하는 카드를 사용하는 소비자의 소비욕구 유형에 맞추어 포인트를 올려준다고 광고를 하고 있다. 이 때 적용되는 마케팅은?

  1. 제품 지향적 마케팅
  2. 판매 지향적 마케팅
  3. 소비자 지향적 마케팅
  4. 사회 지향적 마케팅
(정답률: 85%)
  • 소비자의 소비욕구 유형에 맞추어 포인트를 올려주는 것은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는 소비자 지향적 마케팅에 해당한다. 제품 지향적 마케팅은 제품의 기능이나 특징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고, 판매 지향적 마케팅은 단순히 판매량을 늘리기 위한 것이다. 사회 지향적 마케팅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에 중점을 둔 마케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생후 6개월이 지난 유아가 대체적으로 선호하는 색채는?

  1. 고명도의 한색계열
  2. 저채도의 난색계열
  3. 고채도의 난색계열
  4. 저명도의 난색계열
(정답률: 83%)
  • 생후 6개월 이전의 유아는 아직 색상을 구분하는 능력이 미숙하므로, 선호하는 색상은 고채도의 난색계열인 빨강, 노랑, 파랑 등의 선명한 색상이다. 이러한 색상은 유아의 시각적 자극을 높여주고 뇌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색채의 공감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칸딘스키는 공감각자로서 추상적 표현을 한 작가이다.
  2. 공감각은 자극받는 하나의 감각이 다른 감각에 적용되어 반응한다.
  3. 단맛은 한색계열을 연상시키며, 신맛은 노랑이나 연두를 연상시킨다.
  4. 색채가 지닌 감각의 특성을 활용하면 메시지와 의미를 보다 정확하고 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정답률: 75%)
  • "칸딘스키는 공감각자로서 추상적 표현을 한 작가이다."가 틀린 것이다. 칸딘스키는 추상화를 추구하는 작가이지만, 공감각자는 아니다.

    단맛은 한색계열을 연상시키며, 신맛은 노랑이나 연두를 연상시킨다. 이는 색채가 지닌 감각의 특성 중 하나인 색채 연관성(color association)에 해당한다. 색채 연관성은 특정 색채가 우리에게 떠오르는 이미지나 감정과 연관되어 있는 현상으로, 이를 활용하면 메시지와 의미를 보다 정확하고 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칸딘스키는 공감각자로서 추상적 표현을 한 작가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색채가 가지고 있는 상징적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채는 국제적으로 이해되어 질 수 있는 시각언어로서 커뮤니케이션의 좋은 도구가 된다.
  2. 색채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다른 상징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3. 색채의 상징성은 지역과 문화에 관계없이 시간이 지나도 원래의 의미를 잃지 않는 특성이 있다.
  4. 국제적인 언어로 인지되는 색채가 사용된 좋은 예로 교통신호 등을 사례로 들 수 있다.
(정답률: 60%)
  • 정답은 "색채의 상징성은 지역과 문화에 관계없이 시간이 지나도 원래의 의미를 잃지 않는 특성이 있다."가 아닌 "색채는 국제적으로 이해되어 질 수 있는 시각언어로서 커뮤니케이션의 좋은 도구가 된다."이다. 색채는 문화와 지역에 따라 다른 상징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국제적으로 이해되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색채의 상징성은 지역과 문화에 관계없이 시간이 지나도 원래의 의미를 잃지 않는 특성이 있다. 이는 색채가 인간의 본성적인 감각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빨간색은 대개 위험, 경고, 혹은 열정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징성은 문화나 지역에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인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마케팅의 활성화를 위하여 각기 다른 제품을 필요로 하는 독특한 구매집단으로 시장을 분류하는 것은?

  1. 마케팅 믹스
  2. 시장세분화
  3. 대량마케팅
  4. 다양화 마케팅
(정답률: 63%)
  • 시장세분화는 각기 다른 제품을 필요로 하는 독특한 구매집단으로 시장을 분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업은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제품과 마케팅 전략을 개발할 수 있으며, 대량마케팅보다 더 효과적인 마케팅 믹스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시장세분화를 통해 경쟁 업체와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국가별, 문화별로 색채 선호 및 상징은 다르게 나타난다. 다음 중 색채에 대한 문화별 차이를 설명한 사례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서양의 흰색 웨딩드레스 / 한국의 소복
  2. 중국의 붉은 명절 장식 / 서양의 붉은 십자가
  3. 미국의 청바지 / 카톨릭 성화 속 성모마리아의 청색 망토
  4. 프랑스 황제궁의 황금 대문 / 중국 황제의 황색 옷
(정답률: 64%)
  • "미국의 청바지 / 카톨릭 성화 속 성모마리아의 청색 망토"는 색채에 대한 문화별 차이를 설명한 사례로 적절하지 않다. 청바지는 미국의 대표적인 의상 중 하나이며, 성모마리아의 청색 망토는 색깔이 아닌 의미적인 상징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프랑스 황제궁의 황금 대문은 황금색이 권력과 부를 상징하는 서양 문화에서 중요한 색상 중 하나이며, 중국 황제의 황색 옷은 중국에서는 황색이 행운과 권위를 상징하는 색상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종교의 색채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기독교에서는 그리스도의 흰 옷, 천사의 흰 옷 등을 통해 흰색을 성스로운 이미지로 표현한다.
  2. 이슬람교에서는 신에게 선택되어 부활할 수 있는 낙원을 상징하는 녹색을 매우 신성시한다.
  3. 힌두교에서는 해가 떠오르는 동쪽은 빨강, 해가 지는 서쪽은 검정으로 여긴다.
  4. 고대 중국에서는 천상과 지상에서 가장 경이로운 색의 하나가 검정이라 하였다.
(정답률: 30%)
  • 정답은 "기독교에서는 그리스도의 흰 옷, 천사의 흰 옷 등을 통해 흰색을 성스로운 이미지로 표현한다." 이다.

    힌두교에서는 해가 떠오르는 동쪽은 빨강, 해가 지는 서쪽은 검정으로 여기는 이유는, 해는 새로운 시작과 생명의 상징이기 때문에 빨강으로, 해가 지는 서쪽은 죽음과 종말의 상징이기 때문에 검정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색채연구에서 자주 활용되는 의미분별법(SemanticDifferential Method)에서 사용되는 척도는?

  1. 비례척도(Radio Scale)
  2. 명의척도(Nominal Scale)
  3. 서수척도(Ordinal Scale)
  4. 거리척도(Interval Scale)
(정답률: 24%)
  • 의미분별법에서 사용되는 척도는 거리척도(Interval Scale)이다. 이는 척도 간의 간격이 일정하며, 절대적인 영점이 없는 척도로, 예를 들어 온도 척도가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척도는 순서와 크기를 비교할 수 있으며,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된다는 점에서 색채 연구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색채조사를 위한 표본추출 방법에서 군집(집락, Cluster)표본 추출을 설명한 것 중 가장 옳은 것은?

  1. 표본을 선정하기 전에 여러 하위집단으로 분류하고 각 하위집단별로 비례적으로 표본을 선정한다.
  2. 모집단의 개체를 구획하는 구조를 활용하여 표본추출 대상개체의 집합으로 이용하면 표본추출의 대상명부가 단순해지며 표본추출도 단순해진다.
  3. 조사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기준으로 하위 모집단을 구분하는 것이 좋다.
  4. 지역적인 특성에 따른 소비자의 자동차 색채 선호 특성 등을 조사할 때 유리하다.
(정답률: 39%)
  • "모집단의 개체를 구획하는 구조를 활용하여 표본추출 대상개체의 집합으로 이용하면 표본추출의 대상명부가 단순해지며 표본추출도 단순해진다."가 가장 옳은 것이다. 이유는 군집표본추출은 모집단을 비슷한 특성을 가진 여러 개의 군집으로 나누고, 각 군집에서 무작위로 일부 개체를 추출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표본추출 대상명부가 단순해지고, 표본추출도 단순해지기 때문에 표본추출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표적시장 결정에 고려할 요소가 아닌 것은?

  1. 상품수명주기
  2. 기업의 자원
  3. 경영철학
  4. 경쟁사의 전략
(정답률: 67%)
  • 표적시장 결정에 고려할 요소는 상품수명주기, 기업의 자원, 경쟁사의 전략 등이 있지만, 경영철학은 고려하지 않는다. 경영철학은 기업의 가치관과 비전을 나타내는 것으로, 시장 조사나 경쟁사 분석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경영철학은 표적시장 결정에 고려할 요소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색채 시장조사의 자료수집 방법 중 관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소비자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관찰하는 방법이다.
  2. 특정 지역의 유동인구를 분석하거나, 시청률이나 시간, 집중도 등을 조사하는데 적절하다.
  3. 특정효과를 얻거나 비교를 통한 정확한 정보를 얻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4. 특정 색채의 기호도를 조사하는데 적절하다.
(정답률: 54%)
  • "특정효과를 얻거나 비교를 통한 정확한 정보를 얻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관찰법은 조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소비자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관찰하는 방법이며, 특정 지역의 유동인구를 분석하거나 시청률이나 시간, 집중도 등을 조사하는데 적절합니다. 또한, 특정 색채의 기호도를 조사하는데도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개인과 색채의 관계에 대한 용어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개인이 소비하는 색과 디자인의 선택을 퍼플러 유즈(Popular Use)라고 한다.
  2. 개인의 기호에 따른 색이나 디자인 선택을 컨슈머 유즈(Consumer use)라고 한다.
  3. 개인의 일시적 호감에 따라 변하는 색채를 템포러리 플레져 컬러(Temporary Pleasure Colors)라고 한다.
  4. 유행색은 주기를 갖고 계속 변화하는 색으로 트렌드컬러(Trend Color)라고 한다.
(정답률: 44%)
  • "개인이 소비하는 색과 디자인의 선택을 퍼플러 유즈(Popular Use)라고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개인이 소비하는 색과 디자인의 선택을 컨슈머 유즈(Consumer use)라고 합니다. 퍼플러 유즈는 일반 대중이 선호하는 색과 디자인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특정 제품에 대해 소비자들이 경쟁제품과 비교하여 갖게 되는 지각, 인상, 감정, 가격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어 형성되는 것은?

  1. 제품의 포지셔닝
  2. 제품의 생산구조
  3. 제품의 품질
  4. 제품의 유통구조
(정답률: 70%)
  • 제품의 포지셔닝은 소비자들이 경쟁 제품과 비교하여 갖게 되는 지각, 인상, 감정, 가격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어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제품의 생산구조, 품질, 유통구조는 모두 제품의 포지셔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지만, 이 중에서도 제품의 포지셔닝은 소비자들이 제품을 인식하고 평가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마케팅 구성요소에 4P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제품
  2. 유통
  3. 시장
  4. 가격
(정답률: 42%)
  • 시장은 마케팅 구성요소 중 하나가 아니며, 오히려 마케팅의 대상이 되는 고객과 경쟁사 등이 위치하는 환경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시장은 4P 중 어떤 하나에도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풍토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특정지역의 기후와 토지의 색을 의미한다.
  2. 그 지역에 부는 바람과 내리 쬐는 태양의 빛과 흑의 색을뜻한다.
  3. 지리적으로 근접하거나 기후가 유사한 국가나 민족의 색채특징은 유사하다.
  4. 도로환경, 옥외광고물, 수목이나 산 등 그 지역의 특성을 전달하는 색채이다.
(정답률: 42%)
  • "특정지역의 기후와 토지의 색을 의미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풍토색은 특정 지역의 특성을 전달하는 색채이며, 이는 그 지역의 도로환경, 옥외광고물, 수목이나 산 등을 포함합니다. 기후와 토지의 색은 해당 지역의 풍토색에 영향을 미치지만, 직접적인 의미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소비자의 구매심리 과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가치(Value)
  2. 욕망(Desire)
  3. 흥미(Interest)
  4. 기억(Memory)
(정답률: 55%)
  • 가치(Value)는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그것이 가지는 가치나 이점을 고려하는 단계이며, 다른 보기들은 소비자의 구매심리 과정에 해당하는 단계들이다. 따라서 가치(Value)가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신용회사, 항공기 등 소비자에게 신뢰를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한 기업의 로고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색은?

  1. 적색
  2. 흑색
  3. 황색
  4. 청색
(정답률: 75%)
  • 가장 적합한 색은 "청색"입니다. 청색은 안정적이고 진중한 이미지를 전달하며, 신뢰와 안정성을 상징하는 색으로 인식됩니다. 또한 청색은 물과 연관되어 있어 신뢰와 안정성을 더욱 강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용회사나 항공기와 같이 소비자에게 신뢰를 주는 기업에서는 청색을 로고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보기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관련된 용어는?

  1. 에스닉 디자인
  2. 버네큘러 디자인
  3. 지역색 디자인
  4. 환경색채 디자인
(정답률: 36%)
  • 보기의 이미지는 버네큘러 디자인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버네큘러 디자인은 미국의 건축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가 개발한 건축 양식으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곡선적인 형태와 자연스러운 색상, 자연재료 사용 등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보기의 이미지에서도 곡선적인 형태와 자연스러운 색상, 자연재료 사용 등이 확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디자인

21. 다음 중 디자인(Design)의 어원에 가장 근접한 의미는?

  1. 새로움
  2. 변화
  3. 문화
  4. 계획
(정답률: 53%)
  • 디자인은 라틴어 "designare"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계획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디자인은 계획적으로 구상하고 설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포스트모더니즘을 설명한 것과 거리가 먼 것은?

  1. 강철, 알루미늄 등의 재료, 비교적 개성이 없는 색채
  2. 과거의 형식을 빌려 현재의 상황으로 변형
  3. 복숭아색, 살구색, 올리브 그린
  4. 건축의 이중부호, 문학의 패러디, 미술의 알레고리
(정답률: 38%)
  • 강철, 알루미늄 등의 재료와 개성이 없는 색채는 포스트모더니즘과는 관련이 없는 디자인 요소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과거의 형식을 변형하거나 조합하여 새로운 형태를 만들고, 다양한 색채와 재료를 사용하여 개성을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현대 디자인사에서 형태와 기능의 관계에 대해 '형태는 기능에 따른다'라고 말한 사람은?

  1. 윌터 그로피우스
  2. 루이스 설리반
  3. 필립 존슨
  4. 프랑크 라이트
(정답률: 58%)
  • 루이스 설리반은 기능주의 디자인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명으로, 형태와 기능의 관계에 대해 "형태는 기능에 따른다"라는 명언을 남겼습니다. 이는 디자인에서 기능이 우선되어야 하며, 기능을 충족시키는 형태가 디자인의 시작점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비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좋은 비례의 구성은 즐거운 감정을 느끼게 한다.
  2. 스케일과 비례 모두 상대적인 크기와 양의 개념을 표현한다.
  3. 주관적 질서와 실험적 근거가 명확하다.
  4. 파르테논 신전 등은 비례를 이용한 형태이다.
(정답률: 54%)
  • "좋은 비례의 구성은 즐거운 감정을 느끼게 한다."는 비례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이기 때문에 틀린 설명이다. 비례는 상대적인 크기와 양의 개념을 표현하며, 이를 실험적 근거와 함께 명확하게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파르테논 신전 등은 비례를 이용한 형태이다는 것은 사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바우하우스(Bauhaus)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20세기 초의 미술운동이 아닌 것은?

  1. 초현실주의(Surrealism)
  2. 구성주의(Constructivism)
  3. 표현주의(Expressionism)
  4. 데스틸(De Stijl)
(정답률: 42%)
  • 바우하우스는 기능성과 혁신성을 추구하는 운동으로, 디자인과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력을 끼쳤습니다. 그러나 초현실주의는 미술적인 운동으로, 꿈과 환상 등 비현실적인 요소를 다루며 인간의 정신과 무의식을 탐구하는 것이 주요 특징입니다. 따라서 바우하우스와는 목적과 방향성이 다르기 때문에 바우하우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질감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점으로 비교적 거리가 먼 것은?

  1. 촉감
  2. 빛의 반사 흡수
  3. 색조
  4. 형상
(정답률: 39%)
  • "형상"은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물체의 모양, 크기, 구조 등과 관련된 요소이기 때문에 비교적 거리가 먼 것이다. 촉감은 물체의 표면과 관련된 요소, 빛의 반사 흡수는 물체의 색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색조는 물체의 색상과 질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공간에서의 색채계획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보조색은 면적에 비례해서 5~10%를 차지한다.
  2. 장기체류의 공간은 색채배색이 두드러지지 않아야 한다.
  3. 색의 사용은 천장-벽-바닥의 순으로 어두워져야 한다.
  4. 디자인 분야별로 주조식의 선정방법은 다를 수 있다.
(정답률: 60%)
  • "색의 사용은 천장-벽-바닥의 순으로 어두워져야 한다."는 공간에서 적절하지 않은 색채계획입니다. 이유는 천장은 밝고, 바닥은 어둡게 하는 것이 공간을 확장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입니다.

    "보조색은 면적에 비례해서 5~10%를 차지한다."는 보조색의 비율을 결정하는 일반적인 원칙입니다. 면적이 작은 곳에는 적은 양의 보조색을 사용하고, 면적이 큰 곳에는 많은 양의 보조색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장기체류의 공간은 색채배색이 두드러지지 않아야 한다."는 장기체류 공간에서는 적절한 색채계획이 필요하지만, 과도한 색채배색은 환자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디자인 분야별로 주조식의 선정방법은 다를 수 있다."는 디자인 분야마다 주조식을 선택하는 방법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패션 디자인에서는 주조식으로 특정한 패턴이나 소재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디자인의 조건 중 독창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디자이너의 창의적인 감각에 의하여 새롭게 탄생한다.
  2. 부분적으로 이미 있는 디자인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할 수있다.
  3. 대중성이나 기능보다는 차별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4. 시대양식에서 새로운 정신을 찾아 창의력을 발휘한다.
(정답률: 50%)
  • 부분적으로 이미 있는 디자인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독창성의 조건이 아니라 기존 디자인을 재활용하는 것이므로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현대광고의 한 유형으로 광고 캠페인 전개 초기에 소비자의호기심을 불러 일으키기 위해 메시지 내용을 처음부터 전부 보여주지 않고 조금씩 단계별로 내용을 노출시키는 광고는?

  1. 팁온광고
  2. 티저광고
  3. 패러디광고
  4. 블록광고
(정답률: 70%)
  • 티저광고는 광고 캠페인 초기에 소비자의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기 위해 메시지 내용을 처음부터 전부 보여주지 않고 조금씩 단계별로 내용을 노출시키는 광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건축 디자인의 일반적인 프로세스는?

  1. 기획 → 기본계획 → 기본설계 → 실시설계 → 감리
  2. 기획 → 기본설계 → 조사 → 실시설계 → 감리
  3. 기본계획 → 조사 → 기본설계 → 실시설계 → 감리
  4. 조사 → 기획 → 실시설계 → 기본설계 → 감리
(정답률: 59%)
  • 건축 디자인의 일반적인 프로세스는 "기획 → 기본계획 → 기본설계 → 실시설계 → 감리" 이다. 이는 먼저 기획 단계에서 프로젝트의 목적과 필요성을 파악하고, 기본계획 단계에서는 대략적인 디자인 아이디어와 공간 계획을 수립한다. 그리고 기본설계 단계에서는 디자인의 상세한 내용을 결정하고, 실시설계 단계에서는 구체적인 시공 계획과 자재 등을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감리 단계에서는 시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최종 완성된 건축물이 안전하고 기능적으로 완벽하게 구축되도록 검토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도형과 배경의 법칙이 적용된 예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가구와 벽면의 관계
  2. 건물표면과 간판과의 관계
  3. 자연경관과 아파트의 관계
  4. 기업이미지와 상품의 관계
(정답률: 73%)
  • "기업이미지와 상품의 관계"는 도형과 배경의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예이다. 이는 기업이미지와 상품은 서로 다른 개념이며, 기업이미지는 상품과는 별개로 기업 자체의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둘을 함께 표현하는 것은 도형과 배경의 법칙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게슈탈트의 근접성(Proximity)의 원리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인간은 요소들끼리 서로 관계를 지어 보려는 경향이 있다.
  2. 형태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간의 거리를 일컫는다.
  3. 개개의 요소에서 비슷한 모양의 형이나 그룹을 다함께 하나의 부류로 보는 경향이 있다.
  4. 형태와 명암이 다른 개별적 단위들의 통일과 조화에 적합하다.
(정답률: 20%)
  • "형태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간의 거리를 일컫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게슈탈트의 근접성의 원리는 인간이 인지하는 대상들이 가까이 있으면 그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개개의 요소에서 비슷한 모양의 형이나 그룹을 다함께 하나의 부류로 보는 경향이 있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예를 들어, 점들이 가까이 있으면 하나의 선으로 인식하거나, 비슷한 색상이나 패턴을 가진 요소들이 모여있으면 하나의 그룹으로 인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네덜란드에서 일어난 신조형주의 운동으로, 화면을 수평, 수직으로 분할하고 삼원색과 무채색을 이용한 구성이 특징인 디자인 사조는?

  1. 큐비즘
  2. 데스틸
  3. 바우하우스
  4. 아르데코
(정답률: 43%)
  • 데스틸은 네덜란드에서 일어난 신조형주의 운동으로, 화면을 수평, 수직으로 분할하고 삼원색과 무채색을 이용한 구성이 특징인 디자인 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계절이나 기간 동안 많은 사람이 선호하여 작용하는색으로 일정한 기간을 두고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특성을지닌 것은?

  1. 강조색
  2. 선호색
  3. 유행색
  4. 주조색
(정답률: 62%)
  • 정답은 "유행색"입니다. 유행색은 계절이나 기간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고 작용하는 색으로, 일정한 기간을 두고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패션, 인테리어, 뷰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행하는 색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따라서 유행색은 일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 다른 색으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1925년을 중심으로 후기 아르누보에서 바우하우스의 중간기에 나타난 양식은?

  1. 옵아트(Op Art)
  2. 팝아트(Pop Art)
  3. 아르데코(Art Deco)
  4. 데스틸(De Stijl)
(정답률: 59%)
  • 아르데코는 기하학적인 도형과 꾸미기를 중시하는 양식으로, 바우하우스의 기능성과 아르누보의 예술성을 결합한 양식입니다. 이 양식은 1925년 파리에서 열린 국제 장식 예술 전시회에서 대중적으로 인기를 끌었으며, 고급스러운 재료와 화려한 장식을 사용하여 건축, 가구,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입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입체의 유형 중 적극적 입체는 확실하게 지각되는 형, 현실적인 형을 말한다.
  2. 순수입체는 모든 입체들의 기본요소가 되는 구, 원통 육면체 등 단순한 형이다.
  3. 두 면과 각도를 가진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면의 회전에 의해서 생긴다.
  4. 넓이는 있지만 두께는 없고, 원근감과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정답률: 70%)
  • "두 면과 각도를 가진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면의 회전에 의해서 생긴다."는 입체의 형성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입체의 유형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이것이 틀린 설명이다. "넓이는 있지만 두께는 없고, 원근감과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는 입체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입체를 평면에 그려서도 원근감과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디자이너는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에서 단계별로 고객에게 디자이너의 의도를 전달해야 한다. 단계별 결과에 대한 고객의 이해를 돕기 위해 주로 언어적, 시각적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은?

  1. 프로젝트관리(Project Management)
  2. 디자인과정(Design Process)
  3. 네비게이션(Navigation)
  4.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정답률: 70%)
  • 디자이너는 고객에게 자신의 디자인 의도를 전달하기 위해 프리젠테이션을 사용한다. 프리젠테이션은 언어적, 시각적 방법을 통해 디자인 과정에서 단계별로 고객에게 결과물을 보여주고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고객은 디자이너의 의도를 이해하고, 디자인 과정에서 필요한 수정 사항을 제안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젠테이션은 디자인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광고가 집행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할 것으로 옳은 것은?

  1. 상황분석 → 광고기본전략 → 크리에이티브 전략 → 매체전략 → 효과측정 또는 평가
  2. 상황분석 → 광고기본전략 → 매체전략 → 크리에이티브 전략 → 효과측정 또는 평가
  3. 상황분석 → 매체전략 → 광고기본전략 → 크리에이티브 전략 → 효과측정 또는 평가
  4. 상황분석 → 매체전략 → 크리에이티브 전략 → 광고기본전략 → 효과측정 및 평가
(정답률: 25%)
  • 광고가 집행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상황분석: 광고를 집행하기 전에 시장, 경쟁사, 소비자 등을 분석하여 광고의 목적과 전략을 수립합니다.
    2. 광고기본전략: 광고의 목적과 전략을 바탕으로 광고의 주요 메시지와 컨셉을 결정합니다.
    3. 크리에이티브 전략: 광고의 주요 메시지와 컨셉을 바탕으로 광고의 디자인, 콘텐츠, 톤 앤 매너 등을 결정합니다.
    4. 매체전략: 광고를 어떤 매체를 통해 전달할 것인지 결정합니다.
    5. 효과측정 또는 평가: 광고가 집행된 후 광고의 효과를 측정하거나 평가합니다.

    따라서, "상황분석 → 광고기본전략 → 크리에이티브 전략 → 매체전략 → 효과측정 또는 평가"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패션 색채계획에 활용할 '소피스티케이티드(Sophisticated)'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고급스럽고 우아하며 품위가 넘치는 클래식한 이미지와 완숙한 여성의 아름다움을 추구
  2. 현대적인 샤프함과 합리적이면서도 개성이 넘치는 이미지로 다소 차가운 느낌
  3. 어른스럽고 도시적이며 세련된 감각을 중요시 여기며 지성과 교양을 겸비한 전문직 여성의 패션스타일을 대표하는 이미지
  4. 남성정장 이미지를 여성패션에 접목시켜 격조와 품위를 유지하면서도 자립심이 강한 패션 이미지를 추구
(정답률: 62%)
  • "어른스럽고 도시적이며 세련된 감각을 중요시 여기며 지성과 교양을 겸비한 전문직 여성의 패션스타일을 대표하는 이미지"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환경디자인의 영역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도시계획
  2. 건축디자인
  3. 인테리어 디자인
  4. 운송수단 디자인
(정답률: 37%)
  • 운송수단 디자인은 환경디자인의 영역에 속하지 않는다. 환경디자인은 도시계획, 건축디자인, 인테리어 디자인 등과 같이 인간이 살아가는 환경을 디자인하는 분야이며, 운송수단 디자인은 교통수단을 디자인하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색채관리

41. 색채 관리 시스템(Color Management system)에서 PCS(Profile Connection Space)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Profile 체계로서 장치 독립으로 모든 기계에 동일하다.
  2. 모니터나 프린터 같은 영상 출력장치의 색공간을 말한다.
  3. 컬러장치사이의 색정보 전달을 위한 장치 독립 색공간이다.
  4. 컬러장치사이의 색정보 전달을 위한 장치 종속 색공간이다.
(정답률: 47%)
  • 정답은 "컬러장치사이의 색정보 전달을 위한 장치 독립 색공간이다."입니다. PCS는 장치 독립적인 색공간으로, 모든 기계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이를 통해 컬러장치 간의 색정보 전달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Profile 체계로서 장치 독립으로 모든 기계에 동일하다."와 "컬러장치사이의 색정보 전달을 위한 장치 종속 색공간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모니터나 프린터 같은 영상 출력장치의 색공간을 말한다."는 PCS가 아닌, 장치 종속적인 색공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용어들 중 디스플레이의 기술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Wide Color Gamut
  2. CCFL BLU
  3. OLED
  4. DICOM
(정답률: 24%)
  • DICOM은 의료 영상을 저장하고 전송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며, 디스플레이의 기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DICOM이 디스플레이의 기술과 가장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광원이 아닌 것은?

  1. D65
  2. CWF
  3. A
  4. FMC
(정답률: 46%)
  • 광원은 "D65", "CWF", "A"이지만 "FMC"는 광원이 아니라 필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정답은 "FM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연색지수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연색지수는 인공광원이 얼마나 기준광과 비슷하게 물체의색을 보여주는가를 나타낸다.
  2. 각 광원의 연색지수는 Ra는 정해진 8가지의 샘플색에 대해시험광원 아래에서 본 경우와 기준광원 아래에서 본 경우의색의 차이로 측정된다.
  3. 연색지수가 80 ~ 89일 경우 2A 등급으로 표기한다.
  4. 연색지수를 산출하는데 기준이 되는 광원은 시험광원에 따라다르다.
(정답률: 32%)
  • 연색지수가 높을수록 인공광원이 기준광과 비슷하게 물체의 색을 보여주는 것을 나타내므로, 연색지수가 80 ~ 89일 경우 2A 등급으로 표기하는 것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공간과 광원이 적합하게 사용한 경우는?

  1. 백색광원 - 육류, 소시지 상점
  2. 적색광원 - 전시장, 세미나실, 학교강당
  3. 온백색광원 - 빵, 기타 식료품
  4. 주광색광원 - 옷ㆍ신발 등의 상점, 공장
(정답률: 47%)
  • 주광색광원은 색상의 정확도가 높아서 옷이나 신발 등의 색상을 정확하게 보여줄 수 있으며, 공장에서는 작업자들이 정확한 색상을 구분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옷ㆍ신발 등의 상점과 공장에서 주광색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한국산업표준 인용규격에서 표준번호와 표준명의 표기가 틀린것은?

  1. KS A 0011 물체색의 색이름
  2. KS A 0062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 방법
  3. KS A 0075 광원의 연색성 평가
  4. KS A 0074 측색용 표준광 및 표준광원
(정답률: 37%)
  • 정답은 "KS A 0062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 방법"입니다. 이유는 한국산업표준 인용규격에서는 표준번호와 표준명을 모두 대문자로 표기해야 하지만, 이 표준은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 방법"으로 표준명이 소문자로 표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불투명 반사물체의 색을 측정하는 조명 및 관측조건 중틀린 것은?

  1. 45/0
  2. 0/45
  3. d/0
  4. 0/c
(정답률: 38%)
  • 정답은 "0/c"입니다. 이유는 불투명 반사물체의 색을 측정할 때는 조명과 관측이 모두 수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0/c"는 조명이 수직이지만 관측이 수평이므로 올바른 조명 및 관측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분광광도계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분광식 색체계의 광원은 일반적으로 텅스텐 할로겐 램프나 크세논 램프를 사용한다.
  2. 적외선 근처의 가시광원 영역에는 텅스턴 할로겐 램프를 주로 사용한다.
  3. 이중광(Double Beam) 방식은 상대적으로 측정 정밀도가 높은편이다.
  4. 수광기(Detector)에 있는 PM Tube는 가시광선 범위만 측정이 가능하다.
(정답률: 27%)
  • "수광기(Detector)에 있는 PM Tube는 가시광선 범위만 측정이 가능하다."가 틀린 것이다. PM Tube은 가시광선 뿐만 아니라 적외선과 자외선 영역에서도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보기의 ( )안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비트 깊이(Depth)
  2. 색상과 명도(Hue and Lightness)
  3. 무아레(Moire)
  4. 픽셀과 레지스터(Pixel and Register)
(정답률: 10%)
  • 이미지의 비트 깊이는 각 픽셀당 사용되는 비트 수를 의미하며, 이는 이미지의 색상 표현 능력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위의 이미지에서도 각 픽셀당 사용되는 비트 수가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비트 깊이(Depth)"가 가장 적합한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색채소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안료는 주로 용해되지 않고 사용된다.
  2. 염료는 색소의 한 종류이다.
  3. 도료는 주로 안료로 생산된다.
  4. 플라스틱은 염료로 생산된다.
(정답률: 47%)
  • 플라스틱은 염료로 생산되지 않는다. 플라스틱은 수지와 추가제로 만들어지며, 이때 염료가 첨가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색료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료는 물이나 유지의 용해여분에 따라 염료와 안료로 나뉜다.
  2. 무기안료는 고대 동굴의 벽화나 도자기 유약 등에서 사용되었다.
  3. 투명도료는 전색제, 도막형성의 부요소, 도막조요소의 3가지성분으로 이루어진다.
  4. 화학염료 중 직접염료는 양모나 실크의 염색에 사용되며 세탁이나 햇빛에 강한 장점이 있다.
(정답률: 59%)
  • "화학염료 중 직접염료는 양모나 실크의 염색에 사용되며 세탁이나 햇빛에 강한 장점이 있다."가 틀린 설명이다. 직접염료는 세탁이나 햇빛에 약하며, 일반적으로 색감이 선명하고 밝은 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지역이 다른 두 곳에서 똑같은 회사제품의 색채측정기로 동일 각, 동일 지점의 색채를 측정하였으나 측정결과가 달랐다. 다음 중 가장 의심되는 요인은?

  1. 측정횟수와 표준편차를 처리하는 방법의 차이
  2. 색채측정기를 사용한 사람의 차이
  3. 시료의 불균일성
  4. 백색기준판의 오염
(정답률: 43%)
  • 백색기준판은 색채측정기에서 색상을 측정할 때 기준이 되는 것으로, 오염되면 측정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역이 다른 두 곳에서 동일 각, 동일 지점의 색채를 측정했음에도 측정결과가 달랐다면, 백색기준판이 오염되어 측정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이 가장 의심되는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특정한 색좌표의 정확한 이해와 올바른 사용을 위해 색채측정 결과에 반드시 첨부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색채 측정방식
  2. 색채온도
  3. 표준광의 종류
  4. 표준관측자
(정답률: 37%)
  • 색채온도는 특정한 색상의 온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색채측정 결과에 반드시 첨부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색채온도는 주로 백색광의 색상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색채측정 결과에는 해당 색상의 색좌표와 밝기, 색상차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색채측정 결과에 반드시 첨부해야 할 사항은 "색채 측정방식", "표준광의 종류", "표준관측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색료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안료에 반해서 염료는 사용되는 매질에 항상 불용성을 띤다.
  2. 안료가 잘 착색되려면 고착제를 필요로 한다.
  3. 이산화티탄 코팅 운모는 가장 일반적인 진주광택 및 간섭 박편 안료이다.
  4. 진주광택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높은 굴절률, 최적의 박편판 두께, 직경, 투명도, 부드러운 표면 등이 요구된다.
(정답률: 46%)
  • "안료에 반해서 염료는 사용되는 매질에 항상 불용성을 띤다."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염료는 물이나 유기용매 등에 불용성이기 때문에 매질에 녹지 않고 분산되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어떤 색채가 매체, 주변 색, 광원, 조도 등이 다른 환경 하에서 관찰될 때 다르게 보여지는 현상은?

  1. 컬러 어피어런스(Color Appearance)
  2. 컬러 맵핑(Color Mapping)
  3. 컬러 변환(Color Transformation)
  4. 컬러 특성화(Color Characterization)
(정답률: 42%)
  • 컬러 어피어런스는 색채가 다른 환경에서 관찰될 때 인지되는 색상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이는 매체, 주변 색, 광원, 조도 등의 요소에 따라 색상이 다르게 보여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컬러 어피어런스는 색상의 인지와 관련된 중요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CII(Color Inconsistency Index)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광원의 변화에 따라 각 색채가 지닌 색차의 정도가 다르다.
  2. CII가 높을수록 안정성이 없어서 선호도가 낮다.
  3. 광원에 따른 색채의 불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4. CII에서는 백색의 색차가 가장 크게 느껴진다.
(정답률: 34%)
  • "CII에서는 백색의 색차가 가장 크게 느껴진다." 설명이 틀린 것이다. CII에서는 백색의 색차가 가장 작게 느껴진다. 이는 백색이 다른 색상과 비교하여 색상의 변화가 적기 때문이다. CII는 광원에 따른 색채의 불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며, 광원의 변화에 따라 각 색채가 지닌 색차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안정성이 낮을수록 CII가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윈도우 기반 PC의 기준 Gamma는 어떤 것인가?

  1. 2.2
  2. 1.5
  3. 2.6
  4. 1.8
(정답률: 31%)
  • 윈도우 기반 PC의 기준 Gamma는 2.2이다. 이는 인간의 시각적인 감각과 가장 일치하는 값으로, 밝기와 색상의 조절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대부분의 모니터와 소프트웨어에서도 이 값을 기준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일관성 있는 색상 표현을 위해 2.2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가장 최근에 발전된 색차식은?

  1. CIELAB 색차식
  2. FMC 색차식
  3. CIE DE 2000 색차식
  4. CMC 색차식
(정답률: 35%)
  • 가장 최근에 발전된 색차식은 "CIE DE 2000 색차식"입니다. 이는 이전의 색차식들이 색상 차이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일부 한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개발되었습니다. CIE DE 2000 색차식은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더욱 정확하게 반영하며, 색상 차이를 더욱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된 색차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컬러 사진의 인쇄원리와 관계가 있는 것은?

  1. Red, Green, Blue
  2. CMY 색료
  3. 가법혼색의 원리
  4. SWOP
(정답률: 62%)
  • 컬러 사진은 CMY 색료를 사용하여 출력됩니다. CMY 색료는 시안(Cyan), 마젠타(Magenta), 노랑(Yellow)의 세 가지 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색료를 사용하여 인쇄할 때는 가법혼색의 원리를 따릅니다. 이는 색상을 더해가며 원하는 색상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인쇄할 때는 색상을 더해가며 이미지를 출력합니다. SWOP은 인쇄 색상 표준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흑체복사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흑체란 외부 에너지를 반사 없이 모두 흡수하는 이론적물체이다.
  2. 흑체복사는 연속적인 파장분포를 나타내면서 물체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더욱 넓은 영역의 분포를 나타낸다.
  3. 저온에서는 붉은 색을 띄다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 오렌지색, 노란색, 흰색으로 바뀐다.
  4. 상관온도는 흑체복사를 말한다.
(정답률: 47%)
  • "상관온도는 흑체복사를 말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상관온도는 두 물체 사이의 열 전달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흑체복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흑체복사는 물체의 온도와 파장 분포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관온도는 두 물체 사이의 열 전달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색채지각론

61. 물체색이 보이는 상태에 영향을 주는 광원의 성질은?

  1. 분광조성
  2. 표면성
  3. 채색성
  4. 연색성
(정답률: 42%)
  • 광원의 연색성은 빛의 스펙트럼에서 특정한 색상을 강조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즉, 광원의 색온도나 스펙트럼 분포에 따라 물체의 색상이 변화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햇빛은 빨간색과 노란색을 강조하므로 빨간색과 노란색이 많은 물체는 밝고 따뜻한 느낌을 줍니다. 반면에 청색과 보라색을 강조하는 광원은 물체의 색상을 차가운 느낌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광원의 연색성은 물체의 색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눈의 구조와 특성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간상체는 추상체에 비하여 해상도가 떨어지지만, 작은 빛에서 더 민감하다.
  2. 빛이 신경정보로 전환되는 부분은 맹점에 있다.
  3. 빛 에너지가 전기화학적인 에너지로 변환되기 위해서는 수정체의 굴절도가 중요하다.
  4. 망막의 주변부위에는 추상체가 훨씬 많이 분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빛이 신경정보로 전환되는 부분은 맹점에 있다."입니다.

    간상체와 추상체는 눈의 망막에 있는 세포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간상체는 빛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추상체는 빛을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간상체는 작은 빛에서 민감하지만, 해상도가 떨어지는 반면, 추상체는 해상도가 높지만 작은 빛에 대한 감도가 낮습니다.

    맹점은 눈의 망막에 있는 시신경이 빛을 감지하지 못하는 부분으로, 빛이 신경정보로 전환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맹점이 있는 부분에서는 시야가 뚜렷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서양미술의 유명 작가와 그의 회화작품들이다. 이 중 병치혼색의 원리를 적극적으로 이용한 작품은?

  1. 몬드리안 - 적·청·황 구성
  2. 말레비치 - 8개의 정방형
  3. 쇠라 - 그랑자드 섬의 일요일 오후
  4. 피카소 - 아비뇽의 처녀들
(정답률: 67%)
  • 쇠라의 "그랑자드 섬의 일요일 오후"는 병치혼색의 원리를 적극적으로 이용한 작품으로, 여러 색상을 섞어서 자연스러운 색감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다른 작품들은 색상을 단순하게 사용하거나, 도형과 직선을 강조하는 등 다른 예술적 요소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인간의 색지각 능력을 고려할 때, 가장 분별하기 어려운것은?

  1. 색상의 차이
  2. 채도의 차이
  3. 명도의 차이
  4. 동일함
(정답률: 28%)
  • 인간의 눈은 색상과 명도를 비교적 잘 구별할 수 있지만, 채도의 차이는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채도는 색의 선명도나 진하기를 나타내는데, 색상과 명도가 같더라도 채도가 다르면 인간의 눈으로는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채도의 차이가 가장 분별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색상, 명도 채도 모두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특히 프린트디자인이나 벽지와 같은 평면 디자인 시 배경과 그림의 관계를 고려해야 하는 현상은?

  1. 동화 현상
  2. 대비 현상
  3. 색의 순응
  4. 면적 효과
(정답률: 15%)
  • 동화 현상은 색상, 명도, 채도가 모두 유사한 두 가지 요소가 함께 사용될 때, 두 요소가 서로 융합되어 하나의 요소처럼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평면 디자인에서 배경과 그림의 색상, 명도, 채도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채도 대비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채도가 다른 두 색을 인접했을 때, 채도가 높은 색의 채도는 더욱 높아진다.
  2. 채도대비가 나타날 때 인접된 색은 서로 더욱 선명해 진다.
  3. 동일한 색인 경우, 고채도의 바탕에 놓았을 때 보다 저채도의 바탕에 놓았을 때 더 탁해 보인다.
  4. 채도대비는 3속성 중에서 대비효과가 가장 약하다.
(정답률: 46%)
  • "채도대비는 3속성 중에서 대비효과가 가장 약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동일한 색인 경우, 고채도의 바탕에 놓았을 때 보다 저채도의 바탕에 놓았을 때 더 탁해 보이는 이유는, 고채도의 바탕은 눈에 더욱 강한 자극을 주기 때문에, 같은 색상의 물체를 더욱 선명하게 인식하게 되어, 색상의 차이가 더욱 두드러지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채도의 바탕에 놓았을 때는, 눈에 덜 강한 자극을 주기 때문에, 같은 색상의 물체를 덜 선명하게 인식하게 되어, 색상의 차이가 덜 두드러지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어떤 물건의 무게가 가볍게 보이도록 색을 조정하려 할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채도를 높인다.
  2. 진출색을 사용한다.
  3. 명도를 높인다.
  4. 채도를 낮춘다.
(정답률: 80%)
  • 명도를 높이는 것은 물체의 밝기를 높여서 더 가볍게 보이도록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채도를 높이거나 진출색을 사용하면 물체의 색상이 더 진하고 강렬해져서 오히려 무게감이 더 느껴질 수 있습니다. 채도를 낮추는 것은 물체의 색상을 흐리게 만들어서 무게감을 줄이는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명도를 높이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색광의 가법혼색에 적용되는 그라스만(H. Grassmann)의 법칙이 아닌 것은?

  1. 빨강과 초록을 똑같은 색광으로 혼합하면 양쪽의 빛을 함유한 노란색광이 된다.
  2. 백색광이나 동일한 색의 빛이 증가하면 명도가 증가하는 현상이다.
  3. 광량에 대한 채도의 증가를 식으로 나타낸 법칙이다.
  4. 색광의 가법혼색 즉, 동시·계시·병치혼색의 어느 경우이든같은 법칙이 적용된다.
(정답률: 34%)
  • 정답은 "광량에 대한 채도의 증가를 식으로 나타낸 법칙이다." 이다. 이유는 그라스만의 법칙은 색광의 가법혼색에 적용되는 법칙으로, 빨강과 초록을 혼합하면 노랑색이 되는 등 색깔을 혼합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광량에 대한 채도의 증가를 나타내는 법칙은 다른 법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빛의 굴절(Refraction)현상을 볼 수 있는 것이 아닌것은?

  1. 아지랑이
  2. 무지개
  3. 별의 반짝임
  4. 노을
(정답률: 50%)
  • 노을은 빛이 대기 중에서 산란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굴절이 아닌 산란 현상이기 때문에 빛의 굴절 현상을 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잔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극을 제거한 후에 시각적인 상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2. 자극의 강도가 클수록 잔상의 출현도 강하게 나타난다.
  3. 물체색에 있어서의 잔상은 거의 원래 색상과 보색관계에 있는 보색잔상으로 나타난다.
  4. 원래의 자극에 대해 보색으로 나타나는 것은 양성잔상에 해당된다.
(정답률: 54%)
  • 잔상은 원래의 자극에 대해 보색으로 나타나는 것은 음성잔상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색의 삼속성과 감정 효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색의 온도감은 색의 3속성 중에서 색상에 주로 영향을 받는다.
  2. 난색 계열의 고채도 색은 심리적으로 흥분감을 준다.
  3. 명도가 높은 색이 낮은 색보다 더 진출하는 느낌을 준다.
  4. 채도가 낮은 색은 강한 느낌을 주고 채도가 높은 색은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정답률: 67%)
  • "채도가 낮은 색은 강한 느낌을 주고 채도가 높은 색은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채도가 높은 색은 강한 느낌을 주고, 채도가 낮은 색은 부드러운 느낌을 줍니다. 이는 채도가 높을수록 색의 선명도와 진한 느낌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가법혼색의 일반적 원리가 적용된 사례가 아닌 것은?

  1. 모니터
  2. 무대조명
  3. LED TV
  4. 색 필터
(정답률: 67%)
  • 색 필터는 가법혼색의 일반적 원리가 적용되지 않는다. 가법혼색은 빨강, 초록, 파랑의 세 가지 색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을 만들어내는 원리인데, 색 필터는 이미 존재하는 빛을 통과시켜 원하는 색을 만들어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색 필터는 가법혼색이 아닌 빛의 차단이나 투과를 이용한 색의 조절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색을 혼합할수록 밝아지는 것은 ( A )의 혼합이며, 혼합할수록 어두워지는 것은 ( B )의 혼합이라고 할 때, ( )안에 들어갈 적합한 예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A : 모니터, B : 컬러사진
  2. A : 컬러슬라이드, B : 그림물감
  3. A : 조명등, B : 컬러영화필름
  4. A : 무대조명, B : 인쇄잉크
(정답률: 22%)
  • 정답은 "A : 모니터, B : 컬러사진"이다. 모니터는 빛을 발하는 것이기 때문에 혼합할수록 밝아지고, 컬러사진은 색을 혼합할수록 어두워지기 때문이다. 컬러슬라이드는 빛을 투과하는 것이기 때문에 혼합할수록 밝아지고, 그림물감은 색을 혼합할수록 어두워지기 때문에 적합한 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색의 감각적, 지각적 속성에 의한 분류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유채색은 색의 3속성을 모두 포함하는 색이다.
  2. 무채색은 빛의 반사율에 의해 결정된다.
  3. 색상은 물체의 표면에서 선택적으로 반사되는 주파장에 의해 결정된다.
  4. 채도는 색의 강약을 말하며 순색에 무채색이 섞일수록 채도가 높아진다.
(정답률: 65%)
  • "무채색은 빛의 반사율에 의해 결정된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무채색은 색상이 없는 색으로, 색의 감각적 속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채도는 색의 강약을 나타내며, 순색에 무채색이 섞일수록 채도가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의 채도가 높다는 것은 순수한 빨간색에 무채색이 거의 섞이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채도가 낮은 빨간색은 빨간색에 더 많은 무채색이 섞여있어서 더 연한 색으로 느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컬러 TV에 응용된 병치혼색과 컬러 인쇄에 응용된 병치혼색의차이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컬러 TV는 가법혼색이고, 컬러 인쇄는 감법혼색이다.
  2. 컬러 TV는 중간혼색이고, 컬러 인쇄는 가법혼색이다.
  3. 컬러 TV는 감법혼색이고, 컬러 인쇄는 중간혼색이다.
  4. 컬러 TV는 중간혼색이고, 컬러 인쇄는 감법혼색이다.
(정답률: 65%)
  • 컬러 TV는 빨강, 초록, 파랑의 가법혼색으로 색을 만들어내고, 컬러 인쇄는 시안, 마젠타, 노랑, 검정의 감법혼색으로 색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컬러 TV는 가법혼색이고, 컬러 인쇄는 감법혼색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색채의 지각과 감정 효과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난색계열의 고채도 색은 흥분감을 일으킨다.
  2. 일반적으로 팽창색은 후퇴색과 연관이 있다.
  3. 일반적으로 채도가 높은 색은 채도가 낮은 색보다 진출의 느낌이 크다.
  4. 중량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명도의 차이이다.
(정답률: 83%)
  • "일반적으로 채도가 높은 색은 채도가 낮은 색보다 진출의 느낌이 크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색채의 지각과 감정 효과는 개인적인 경험과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팽창색은 후퇴색과 연관이 있다는 것은, 밝고 선명한 색상이 뒤로 물러나는 것처럼 보이게 하여 공간을 확장시키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예를 들어, 빨간색이나 노란색 같은 따뜻한 색상이 후퇴하는 효과를 가지고, 파란색이나 초록색 같은 차가운 색상이 팽창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보기의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색상대비, 계시대비
  2. 동시대비, 계시대비
  3. 계시대비, 동시대비
  4. 색상대비, 동시대비
(정답률: 54%)
  • 이미지에서 보이는 두 개의 그림은 같은 내용을 담고 있지만, 그림의 시대가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교를 "동시대비"라고 하며, 이와 반대로 같은 시대에서 서로 다른 내용을 담은 그림을 비교하는 것을 "계시대비"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시대비, 계시대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교통표지나 광고물 등에 사용될 색을 선정할 때 하양바탕에서 가장 명시성이 높은 색은?

  1. 파랑
  2. 초록
  3. 빨강
  4. 주황
(정답률: 42%)
  • 하얀 바탕에서 가장 명시성이 높은 색은 인간의 시각적 특성상 대비가 큰 색이기 때문입니다. 그 중에서도 초록색은 파란색과 빨간색의 중간색으로 대비가 높아 눈에 더욱 띄기 때문에 교통표지나 광고물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색채의 온도감에 가장 영향이 큰 속성은?

  1. 채도
  2. 명도
  3. 색상
(정답률: 64%)
  • 색상은 색채의 온도감을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속성이기 때문에 영향이 가장 큽니다. 색상이 다르면 느껴지는 온도감도 달라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빨간색은 따뜻한 느낌을 주고 파란색은 차가운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색채의 온도감을 표현하려면 색상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눈의 세포인 추상체와 간상체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간상체에 의한 순응이 추상체에 의한 순응보다 신속하게 발생한다.
  2. 간상체는 빛의 자극에 의해 빨강, 노랑, 녹색을 느낀다.
  3. 어두운 곳에서 추상체가 활동하는 밝기의 순응을 암순응이라고 한다.
  4. 간상체는 약 500nm의 빛에 가장 민감하며, 추상체 시각은 약 560nm의 빛에 가장 민감하다.
(정답률: 50%)
  • 정답은 "간상체는 약 500nm의 빛에 가장 민감하며, 추상체 시각은 약 560nm의 빛에 가장 민감하다." 이다. 이유는 간단하게 말하면, 눈의 망막에는 간상체와 추상체를 감지하는 세포가 존재하는데, 간상체는 녹색색을 감지하는데 가장 민감하고, 추상체는 노란색을 감지하는데 가장 민감하다. 이러한 세포들은 빛의 파장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므로, 간상체는 약 500nm의 빛에 가장 민감하고, 추상체는 약 560nm의 빛에 가장 민감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색채체계론

81. 문ㆍ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서 조화관계의 분류가 아닌 것은?

  1. 동일조화
  2. 유사조화
  3. 수직조화
  4. 대비조화
(정답률: 47%)
  • 문ㆍ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서 조화관계의 분류 중에서 수직조화는 없습니다.

    수직조화란 색상을 직선으로 나열했을 때,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 색상을 조화관계로 본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빨강과 초록, 파랑과 주황 등이 수직조화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문ㆍ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서는 이러한 수직조화를 고려하지 않고, 동일조화, 유사조화, 대비조화로만 분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10R 7/8의 일반색명은?

  1. 진한 빨강
  2. 밝은 빨강
  3. 갈색
  4. 노란 분홍
(정답률: 20%)
  • 10R 7/8은 빨간색 계열에서 약간 노란색이 섞인 색상이다. 이러한 색상은 일반적으로 "노란 분홍"으로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먼셀 색입체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CIE 색체계와의 상호변환이 가능하다.
  2. 등색상면이 정삼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3. 명도가 단계별로 되어 있어 감각적인 배열이 가능하다.
  4. 3속성을 3차원의 좌표에 배열하여 색감각을 보는데 용이하다.
(정답률: 29%)
  • 먼셀 색입체의 특징 중 등색상면이 정삼각형의 형태를 갖는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 아니다. 먼셀 색입체는 3속성을 3차원의 좌표에 배열하여 색감각을 보는데 용이하며, CIE 색체계와의 상호변환이 가능하고, 명도가 단계별로 되어 있어 감각적인 배열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그림은 비렌의 색삼각형이다. A에 들어갈 용어는?

  1. TINT
  2. TONE
  3. GRAY
  4. SHADE
(정답률: 35%)
  • A에 들어갈 용어는 "HUE"이다. 이유는 색삼각형에서 가장 바깥쪽 원은 색조(Hue)를 나타내며, 그 안쪽 원은 채도(Saturation)를 나타내고, 안쪽 삼각형은 명도(Value)를 나타낸다.

    정답이 "TINT"인 이유는 Tint는 색조(Hue)에 흰색을 섞어 밝게 만든 색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색삼각형에서 Tint는 가장 밝은 부분을 나타내며, 다른 보기들은 Tint와는 다른 개념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L*a*b* 색공간 읽는 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L* : 명도, a* : 빨간색과 녹색방향, b* : 노란색과 파란색 방향
  2. L* : 명도, a* : 빨간색과 파란색방향 , b* : 노란색과 녹색방향
  3. L* : R(빨간색), a* : G(녹색), b* : B(파란색)
  4. L* : R(빨간색), a* : Y(노란색), b* : B(파란색)
(정답률: 53%)
  • L*는 명도를 나타내며, a*는 빨간색과 녹색 방향을 나타내고, b*는 노란색과 파란색 방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L* : 명도, a* : 빨간색과 녹색방향, b* : 노란색과 파란색 방향"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한국산업표준 수식형용사의 관계 중 틀린 것은?

  1. 선명한 – vivid
  2. 연한 - soft
  3. 진한 – deep
  4. 탁한 - dull
(정답률: 28%)
  • 한국산업표준 수식형용사의 관계 중 "연한 - soft"는 틀린 것이다. "연한"은 색이나 맛 등이 약하고 옅은 것을 나타내는 형용사이며, "soft"는 부드러운 것을 나타내는 형용사이기 때문에 서로 관계가 없다. 올바른 관계는 "연한 - ligh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음양오행설을 근간으로 하는 전통색채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청색은 동방의 정색으로 목성에 속한다.
  2. 오정색은 음향오행사에서 음(陰)에 해당한다.
  3. 간색과 간색의 혼합으로 생기는 색을 오정색이라 부른다.
  4. 황, 녹, 홍, 자, 벽은 오간색이다.
(정답률: 50%)
  • 음양오행설은 세상을 다섯 가지 원소(목, 화, 토, 금, 수)와 그것들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을 바탕으로 전통색채는 다섯 가지 색(황, 녹, 홍, 청, 자)과 그것들의 상호작용으로 설명됩니다.

    따라서 "청색은 동방의 정색으로 목성에 속한다."라는 설명은 청색이 목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음양오행설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목성은 나무와 관련이 있으며, 청색은 나무의 색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청색은 목성에 속한다고 설명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관용색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식물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으로 카나리아색이 있다.
  2. 인명에서 유래된 것으로는 반다이크 브라운이 있다.
  3. 식물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으로는 세피아 등이 있다.
  4. 광물에서 유래된 것으로는 라벤더 등이 있다.
(정답률: 58%)
  • 관용색은 특정한 사물이나 개념을 상징하는 색으로, 그 색깔이 그 사물이나 개념과 연관되어 자연스럽게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인명에서 유래된 것으로는 반다이크 브라운이 있다. 이는 17세기 네덜란드의 화가 반 다이크(Van Dyck)의 작품에서 사용된 색으로, 그의 작품에서 자주 사용되어 유명해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현색계에 해당하는 것은?

  1. Munsell 색체계
  2. XYZ 색체계
  3. RGB 색체계
  4. Maxwell 색체계
(정답률: 63%)
  • Munsell 색체계는 색상을 색도, 채도, 명도로 나누어 표현하는 색체계로, 이 중 색도와 채도가 현색계에 해당합니다. 다른 색체계들은 주로 색상을 빛의 파장이나 색을 혼합하는 방식으로 표현하므로, 현색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의 NCS 색삼각형과 색상환에서 표시하고 있는 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채색도 50% 중 Blue는 40%의 비율이다.
  2. 흰색도는 20%의 비율이다.
  3. 뉘앙스는 5020으로 표기한다.
  4. 검정색도는 50%의 비율이다.
(정답률: 40%)
  • - "유채색"이란 색상환에서 빨강, 노랑, 파랑을 기본색으로 하는 색조합을 말한다.
    - NCS 색상환에서 유채색은 전체의 50%를 차지하며, 이 중 파란색은 40%의 비율을 가진다.
    - 흰색도는 전체의 20%를 차지하며, 검정색도는 전체의 50%를 차지한다.
    - 뉘앙스는 색의 진하기와 밝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1000단계로 표기한다. 따라서 5020은 진한 색이며, 밝기는 중간 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현색계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사용이 쉬운 편이고, 측색기가 필요치 않다.
  2. 색편의 배열 및 개수를 용도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3. 조색, 검사 등에 적합한 오차를 적용할 수 있다.
  4. 지각적으로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다.
(정답률: 40%)
  • 현색계의 장점 중 "조색, 검사 등에 적합한 오차를 적용할 수 있다."는 다른 색계와는 달리 색의 밝기와 채도를 분리하여 조절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색의 밝기와 채도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조명 환경이나 재료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색을 선택하고 조정할 수 있어서 조색이나 검사에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인접하는 색상의 배색은 자연계의 법칙에 합치하며 인간이 자연스럽게 느끼므로 가장 친숙한 색채조화를 이룬다."이와 관련된 것은?

  1. 루드의 색채조화론
  2. 저드의 색채조화론
  3. 비렌의 색채조화론
  4. 슈브롤의 색채조화론
(정답률: 38%)
  • "루드의 색채조화론"은 인접한 색상의 배색이 자연계의 법칙에 합치되어 가장 친숙한 색채조화를 이룬다는 이론이다. 따라서 이론과 관련된 문장이 주어졌을 때, 정답은 "루드의 색채조화론"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NCS 색삼각형 중에서 각 색마다 아래의 위치가 같다면 동일한 값은?

  1. 하양색도(whiteness)
  2. 검정색도(blackness)
  3. 유채색도(chromaticness)
  4. 뉘앙스(nuance)
(정답률: 65%)
  • 위치가 같다는 것은 동일한 색상의 강도와 채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위치에서는 색상의 차이가 아주 작아서 뉘앙스(nuance)라는 용어가 사용됩니다. 뉘앙스는 색상의 미묘한 차이나 변화를 의미하며, 이 경우에는 색상의 차이가 매우 작아서 뉘앙스라는 용어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DIC색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6도 인쇄 시스템에 잉크 배합비율의 안내서이다.
  2. 상용색표집으로 제작회사 제품의 활용이 목적이다.
  3. 일본상공회의소에서 기본 시스템으로 활용한다.
  4. 인간의 지각적 등보성에 다른 배열을 기본으로 한다.
(정답률: 64%)
  • DIC색채는 상용색표집으로 제작회사 제품의 활용이 목적이다. 즉, DIC색채는 제조사의 제품을 사용하는 고객들이 일관된 색상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색상 참조 도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CIE L*a*b* 색채계에서 a*에 해당되는 색의 영역으로가장 옳은 것은?

  1. Red ~ Blue
  2. Yellow ~ Blue
  3. Green ~ Red
  4. Red ~ Yellow
(정답률: 50%)
  • CIE L*a*b* 색채계에서 a*는 녹색과 적색 사이의 색상 축입니다. 따라서 영역은 "Green ~ Red"입니다. 이는 녹색에서 빨간색으로 이동할 때 a*값이 증가하고, 반대로 빨간색에서 녹색으로 이동할 때 a*값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P.C.C.S 색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교육 및 미술교육 등 색채교육용 표준체계로 색채관리및 조색을 과학적으로 정확히 전달하기에 적합한 색체계이다.
  2. R, Y, G, B, P의 5색상을 색영역의 중심으로 하고, 각 색의 심리보색을 대응시켜 10색상을 기본색상으로 한다.
  3. 명도의 표준은 흰색과 검은색 사이를 정량적으로 분할한다.
  4. 채도의 기준은 지각적 등보성이 없이 절대수치인 9단계로 모든 색을 구성하였다.
(정답률: 29%)
  • P.C.C.S 색체계는 색채교육용 표준체계로, 색채를 과학적으로 정확히 전달하기에 적합합니다. 이 체계에서는 R, Y, G, B, P의 5색상을 색영역의 중심으로 하고, 각 색의 심리보색을 대응시켜 10색상을 기본색상으로 합니다. 명도의 표준은 흰색과 검은색 사이를 정량적으로 분할하며, 채도의 기준은 지각적 등보성이 없이 절대수치인 9단계로 모든 색을 구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현색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색을 측색기로 측색하여 어떤 파장의 빛을 반사 하는가에 따라 색의 특징을 판별하는 방법이다.
  2. 정확한 수치 개념에 입각해 색이 눈에 보이지 않아도 좌표또는 수치를 이용해 표현하는 체계이다.
  3. 실제 눈에 보이는 물체색과 투과색 등 눈으로 보고 비교검색할 수 있고, 색 공간에서 지각적 색 통합 또는 색스케일을 만드는 색체계이다.
  4. CIE 표색계가 대표적인 시스템이다.
(정답률: 62%)
  • 현색계는 실제 눈에 보이는 물체색과 투과색 등 눈으로 보고 비교검색할 수 있고, 색 공간에서 지각적 색 통합 또는 색스케일을 만드는 색체계입니다. 이는 측색기로 측색하여 어떤 파장의 빛을 반사하는가에 따라 색의 특징을 판별하는 방법과는 다릅니다. 또한, 정확한 수치 개념에 입각해 색이 눈에 보이지 않아도 좌표 또는 수치를 이용해 표현하는 것과도 구분됩니다. CIE 표색계가 대표적인 현색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먼셀 색입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직단면은 같은 색상이 나타나므로 등색상면이라고도 한다.
  2. 수직단면은 유사 색상의 명도, 채도 변화를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가장 안쪽의 색이 순색이다.
  3. 수평으로 자르면 같은 명도의 색이 나타나므로 등명도면이라고도 한다.
  4. 수평단면은 동일 명도에서 채도의 차이와 색상차이를 한 눈에 알 수 있다.
(정답률: 55%)
  • 정답은 "수직단면은 같은 색상이 나타나므로 등색상면이라고도 한다."이다. 이유는 먼셀 색입체에서 수직단면은 유사 색상의 명도, 채도 변화를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가장 안쪽의 색이 순색이다. 따라서, 수직단면은 등색상면이 아니라 유사 색상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문·스펜서(Moon spencer)가 주장하는 색채조화론의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경험적 배색 법칙에 정량적 근거를 부여하였다.
  2. 심리적으로 쾌적한 배색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3. 현색계와 혼색계의 조화, 부조화의 강도를 설명할 수 있다.
  4. 색채조화에 미치는 면적의 효과를 정량화하여 배색 결과의 심리적 효과를 검토할 수 있다.
(정답률: 15%)
  • 색채조화론은 색채의 혼합과 배치에 대한 이론으로, 경험적 배색 법칙에 정량적 근거를 부여하고, 심리적으로 쾌적한 배색을 실험적으로 증명하며, 현색계와 혼색계의 조화, 부조화의 강도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또한, 면적의 효과를 정량화하여 배색 결과의 심리적 효과를 검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색채조화에 미치는 면적의 효과를 정량화하여 배색 결과의 심리적 효과를 검토할 수 있다."는 설명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CIE Yxy 색체게에서 순수파장의 색은 어디에 위치하는가?

  1. 불규칙적인 곳에 위치한다.
  2. 중심의 백색광 주변에 위치한다.
  3. 말발굽형의 바깥 둘레에 위치한다.
  4. 원형의 형태로 백색광 주변에 위치한다.
(정답률: 57%)
  • CIE Yxy 색체계에서 순수파장의 색은 말발굽형의 바깥 둘레에 위치한다. 이는 순수한 색은 하나의 파장만을 가지므로 다른 색보다 더 높은 채도를 가지며, 말발굽형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은 채도가 높은 색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말발굽형은 색상의 밝기를 나타내는 Y축과 색상의 채도를 나타내는 x, y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순수한 색은 백색광과는 다른 파장을 가지므로 중심의 백색광 주변에 위치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