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리스트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3-05)

컬러리스트기사
(2017-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색채심리 마케팅

1. 색채 시장조사 기법 중 서베이(Survey) 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 소비자들의 제품구매 및 이용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법이다.
  2. 조사원이 직접 거리나 가정을 방문하여 조사하는 방법이다.
  3. 조사의 주목적은 시장 점유율의 변화와 마케팅 변화의 변수를 파악하는 것이다.
  4. 기업의 전반적 마케팅 전략수립의 기본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조사로 활용된다.
(정답률: 36%)
  • "조사의 주목적은 시장 점유율의 변화와 마케팅 변화의 변수를 파악하는 것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서베이 조사는 일반 소비자들의 제품구매 및 이용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법이며, 조사원이 직접 거리나 가정을 방문하여 조사하는 방법이 아니라 온라인이나 전화 등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결과를 수집한다. 따라서 "조사원이 직접 거리나 가정을 방문하여 조사하는 방법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조사의 주목적은 시장 점유율의 변화와 마케팅 변화의 변수를 파악하는 것이 맞다. 이를 통해 기업은 자사 제품의 경쟁력을 파악하고,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서베이 조사는 기업의 전반적인 마케팅 전략수립의 기본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조사로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색채마케팅에서 표적고객에게 광고를 통해 가장 내세우고자 하는 제품의 특징을 의미하는 용어는?

  1. 소구점
  2. 카피
  3. 일러스트레이션
  4. 배열
(정답률: 56%)
  • 정답인 "소구점"은 색채마케팅에서 표적고객에게 광고를 통해 가장 내세우고자 하는 제품의 특징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소구점"은 영어로 "unique selling point"로, 제품의 독특한 판매 포인트를 의미합니다. 이는 제품의 특징 중에서 가장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소비자들에게 제품의 가치를 전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SD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을 활용한 색채 이미지 조사법에 대한 설명 중 클린 것은?

  1. 색채 감성의 객관적 척도이다.
  2. 단색에 대한 상대적인 비교 평가가 가능하다.
  3. 색상이 다르면 항상 다른 형용사로 표현된다.
  4. 색채 기획 과정에서 의미 공간 내 이미지의 위치를 찾을 수있다.
(정답률: 53%)
  • "단색에 대한 상대적인 비교 평가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형광등 또는 백열등과 같은 다양한 조명아래에서도 사과의 빨간색이 달리 지각되지 않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착시
  2. 색채의 주관성
  3. 패흐너 효과
  4. 색채 항상성
(정답률: 82%)
  • 정답: "색채 항상성"

    색채 항상성은 물체의 색이 다양한 조명 아래에서도 일정하게 유지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빛의 파장이나 강도에 따라 색이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형광등이나 백열등과 같은 다양한 조명 아래에서도 사과의 빨간색이 항상 동일하게 인식된다. 이는 인간의 뇌가 빛의 파장과 강도를 조절하여 색채 항상성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색채의 공감각적 특징을 옳게 연결한 것은?

  1. 비렌 – 빨강 - 육각형
  2. 카스텔 – 노랑 – E 음계
  3. 뉴턴 – 주황 – 라 음계
  4. 모리스 데리베레 – 보라 - 머스크향
(정답률: 64%)
  • 카스텔은 색채의 공감각적 특징을 연구한 인물로, 노랑은 고주파수의 색채이며, E 음계는 고주파수의 음계이다. 따라서, 카스텔과 노랑은 고주파수에 대한 연관성이 있으며, E 음계는 이와 일치하는 고주파수의 음계이므로 이들이 연결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소비자구매심리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AIDMA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Attention
  2. Interest
  3. Design
  4. Action
(정답률: 90%)
  • AIDMA는 소비자구매심리 과정을 설명하는 모델로, "Attention", "Interest", "Desire", "Memory", "Action"의 약자입니다. 따라서 "Design"은 AIDMA에 속하지 않는 것입니다. "Design"은 제품 디자인이나 마케팅 캠페인 디자인 등과 관련된 요소로, 소비자구매심리 과정을 설명하는 AIDMA 모델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 변화되는 최근의 시장은 표적 마케팅을 지향한다. 표적 마케팅은 세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는데 다음 중 옳은 것은?

  1. 시장 표적화 → 시장 세분화 → 시장의 위치 선정
  2. 시장 세분화 → 시장 표적화 → 시장의 위치 선정
  3. 시장의 위치 선정 → 시장 표적화 → 시장 세분화
  4. 틈새 시장분석 → 시장 세분화 → 시장의 위치 선정
(정답률: 72%)
  • 정답은 "시장 세분화 → 시장 표적화 → 시장의 위치 선정"이다.

    시장 세분화는 전체 시장을 작은 그룹으로 나누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와 선호를 파악할 수 있다.

    시장 표적화는 세분화된 그룹 중에서 가장 유망한 그룹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마케팅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시장의 위치 선정은 선택된 그룹에 대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고객들에게 가치를 제공하고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21세기의 유행색 중 주도적 색채이며, 디지털 패러다임의 대표색으로 분류되는 색채는?

  1. 베이지색
  2. 연두색
  3. 빨간색
  4. 청색
(정답률: 60%)
  • 청색은 디지털 기술과 관련된 색상으로, 컴퓨터 모니터나 스마트폰 등의 화면에서 자주 사용되는 색상 중 하나입니다. 또한, 청색은 시원하고 깨끗한 이미지를 연상시키며, 현대적이고 세련된 느낌을 주기 때문에 21세기의 유행색 중 주도적인 색상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소비패턴에 따른 소비자 유형 중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재구매율이 높은 집단은?

  1. 감성적 집단
  2. 신소비 집단
  3. 합리적 집단
  4. 관습적 집단
(정답률: 68%)
  • 관습적 집단은 과거부터 특정 상품이나 브랜드를 선호하고 구매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상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재구매율이 높은 집단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처음 색을 보았을 때보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 특성이 약해지는 현상은?

  1. 잔상색
  2. 보색
  3. 기억색
  4. 순응색
(정답률: 65%)
  • 시간이 지나면서 처음 색을 보았을 때의 인상이 약해지는 현상을 "순응색"이라고 합니다. 이는 우리 뇌가 색상에 대한 민감도를 조절하여, 처음에는 강하게 느꼈던 색상의 영향력이 시간이 지나면서 약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처음 색을 보았을 때보다 시간이 지나면서 색상의 특성이 약해지는 현상을 순응색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색채치료에 있어서 색상과 치료효과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빨강 – 소화장애, 당뇨, 습진
  2. 노랑- 빈혈, 내분비기관 장애, 천식
  3. 파랑 – 충수염, 호흡기 질환, 경련
  4. 보라 – 방광질환, 골격성장장애, 정신질환
(정답률: 68%)
  • 보라색은 신경계와 정신적인 부분에 영향을 주는 색상으로, 방광질환, 골격성장장애, 정신질환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는 보라색이 신경계를 안정시키고 집중력을 높이며, 정신적인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컬러 마케팅에 사용되는 메슬로우(Maslow)의 욕구단계 중 가장 상위계층에 속하는 것은?

  1. 생리적 욕구단계
  2. 안전 욕구단계
  3. 사회적 욕구단계
  4. 자아실현 욕구단계
(정답률: 89%)
  • 컬러 마케팅은 제품이나 브랜드의 이미지를 강화하고 소비자들의 감정을 자극하여 구매를 유도하는 마케팅 전략입니다. 메슬로우의 욕구단계는 인간의 욕구를 다섯 가지 단계로 나눈 것으로, 이 중 가장 상위계층은 자아실현 욕구단계입니다. 이는 개인의 창의성, 자기계발, 자신의 능력을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컬러 마케팅에서는 제품이나 브랜드의 이미지를 통해 소비자들의 자아실현 욕구를 자극하여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고 구매를 유도하는 전략을 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환경색채의 영향으로 틀린 것은?

  1. 지역 거주자의 생활에 영향을 준다.
  2. 의식적·무의식적 행동을 유발한다.
  3. 자연환경인 기후와 일광에 영향을 준다.
  4. 지역의 자연적·인공적 특징을 형성한다.
(정답률: 55%)
  • 자연환경인 기후와 일광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환경색채가 자연적인 요소들과 상호작용하여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녹색이 많은 지역은 식물이 많아서 기후를 조절하고 일광을 흡수하여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환경색채는 자연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의 기후와 일광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공장의 근로자들이 실제 근무시간을 보다 짧게 인식할 수 있도록 실내 환경색채를 적용하려고 한다. 이때 사용할 가장 적합한 색은?

  1. 파랑
  2. 빨강
  3. 노랑
  4. 하양
(정답률: 68%)
  • 파랑색은 진정 효과가 있어서 심신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공장 근로자들이 더 집중력을 유지하고 피로를 덜 느끼며, 실제 근무시간을 더 길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색채마케팅을 위한 마케팅(marketing)의 기초이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마케팅이란 개인이나 집단이 상호 제품과 가치를 창출하고 교환하여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사회적 관리의 과정이다.
  2. 마케팅의 기초는 인간의 욕구에서 출발하는데 욕구는 필요, 수요, 제품, 교환, 거래, 시장 등의 순환고리를 만든다.
  3. 인간의 욕구는 매우 다양하므로 제품에 따라 1차적 욕구와 2차적 욕구를 분리시켜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이 좋다.
  4. 마케팅의 가장 기초는 인간의 욕구(needs)로, 메슬로우는 인간의 욕구가 다섯 계층으로 구분된다고 설명하였다.
(정답률: 82%)
  • 틀린 것은 "인간의 욕구는 매우 다양하므로 제품에 따라 1차적 욕구와 2차적 욕구를 분리시켜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이 좋다." 이다. 인간의 욕구는 다양하지만, 제품에 따라 1차적 욕구와 2차적 욕구를 분리시켜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은 올바른 접근 방법이 아니다. 제품과 서비스는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제품과 서비스 자체가 욕구를 분리시키는 것이 아니라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마케팅에서의 색채 역할과 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주변 제품과의 색차를 고려하여 색채를 선정한다.
  2. 경기가 둔화되면 다양한 색상·톤의 제품이 선호된다.
  3. 제품이 가지고 있는 기능과 품질에 충실한 색채를 기획해야 한다.
  4. 저비용 고효율을 목적으로 제품의 색채를 변경하였다.
(정답률: 72%)
  • "저비용 고효율을 목적으로 제품의 색채를 변경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색채정보를 조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구방법으로 거리가 먼것은?

  1. 표본조사방법
  2. 현장관찰법
  3. 추리관찰법
  4. 패널조사법
(정답률: 82%)
  • 추리관찰법은 색채정보를 조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구방법 중에서 가장 간단하고 빠른 방법으로, 이미 알려진 사실을 바탕으로 추론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에 비해 거리가 먼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요하네스 이텐은 색과 모양의 조화로운 관계성을 연구하였다. 색과 형태의 관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노랑은 명시도가 높은 색으로 뾰족하고 날카로운 느낌을 준다.
  2. 파랑은 차갑고 투명한 영적인 느낌을 주는 색으로 동그라미를 연상시킨다.
  3. 빨강은 주목성이 강하고 단단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마르모꼴이 연상된다.
  4. 수직과 수평선의 특성이 있는 모양은 사각형과 관련이 있다.
(정답률: 76%)
  • "빨강은 주목성이 강하고 단단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마르모꼴이 연상된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설명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환경문제를 생각하는 소비자를 위해서 천연재료의 특성을 부각시키거나 제품이 갖는 환경보호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그린마케팅'과 관련한 색채마케팅 전략은?

  1. 보편적 색채전략
  2. 혁신적 색채전략
  3. 의미론적 색채전략
  4. 보수적 색채전략
(정답률: 69%)
  • '의미론적 색채전략'은 제품이나 브랜드가 가지는 이미지나 메시지를 강조하기 위해 색채를 선택하는 전략입니다. 그린마케팅에서는 천연재료와 환경보호와 관련된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해 자연스러운 색감이나 녹색 계열의 색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제품이나 브랜드가 환경보호와 관련된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인식을 강화시키기 위한 전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작업환경에서 색채의 역할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생산성 향상
  2. 안정성 저하
  3. 작업 재해 감소
  4. 쾌적한 작업환경
(정답률: 87%)
  • 정답은 "안정성 저하"입니다. 색채는 작업환경에서 쾌적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작업자의 집중력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적절한 색상 선택은 작업 재해를 감소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안정성 저하는 작업환경에서 색채와 관련이 없는 요소입니다. 안정성 저하는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 위험과 불안정성을 의미하며, 작업환경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소들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디자인

21. 시지각 원리에 근거를 둔 추상적, 기계적 행태의 반복과 연속 등을 통한 시각적 환영, 지각 그리고 색채의 물리적 및 심리적 효과에 관련된 착시의 회화는?

  1. 팝아트
  2. 옵아트
  3. 미니멀리즘
  4. 포스트모더니즘
(정답률: 59%)
  • 옵아트는 시지각 원리에 근거하여 추상적이고 기계적인 반복과 연속을 통해 시각적 환영, 지각, 색채의 물리적 및 심리적 효과를 표현하는 예술 형식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옵아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팝아트, 미니멀리즘, 포스트모더니즘과 관련된 예술 형식이지만, 시각적 착시와 관련된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러시아 구성주의자인 엘 리시츠키의 작품을 일컫는 대표적인 조형언어는?

  1. 팩투라(factura)
  2. 아키텍톤(architecton)
  3. 프라운(proun)
  4. 릴리프(relief)
(정답률: 40%)
  • 엘 리시츠키의 작품에서 프라운(proun)은 구성주의적인 조형언어를 대표하는 단어로, 기하학적인 도형과 색채를 이용하여 추상적인 공간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는 러시아 구성주의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공간 구성"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공간의 색채계획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보조색은 면적의 비례에서 5% ~ 10%를 차지한다.
  2. 장기체류의 공간은 색채배색이 두드러지지 않아야 한다.
  3. 색의 사용은 천장 – 벽 – 바닥의 순으로 어두워져야 한다.
  4. 디자인 분야별로 주조색의 선정방법은 다를 수 있다.
(정답률: 72%)
  • "색의 사용은 천장 – 벽 – 바닥의 순으로 어두워져야 한다."는 공간의 색채계획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천장이나 벽, 바닥의 색상이 어두워지는 순서는 따로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디자인 분야별로 주조색의 선정방법은 다를 수 있지만, "보조색은 면적의 비례에서 5% ~ 10%를 차지한다."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색채계획을 구성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기준입니다. 이는 공간의 균형과 조화를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또한, "장기체류의 공간은 색채배색이 두드러지지 않아야 한다."는 공간의 기능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상업용 공간의 파사드(facade) 디자인은 어떤 분야에 속하는가?

  1. exterior design
  2. multiful design
  3. illustration design
  4. industrial design
(정답률: 68%)
  • 상업용 공간의 파사드 디자인은 건물의 외부 디자인을 다루는 분야인 "exterior design"에 속한다. 이는 건축물의 외관을 디자인하고, 건물의 기능과 목적에 맞게 디자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업용 공간의 파사드 디자인은 건축물의 외관을 디자인하는 것으로, "exterior design"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디자인을 할 때, 필수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것은?

  1. 실용성
  2. 심미성
  3. 경제성
  4. 역사성
(정답률: 86%)
  • 역사성은 디자인을 할 때 필수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디자인은 현재와 미래를 위한 것이며, 과거의 역사성은 디자인의 기본적인 목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디자인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는 실용성, 심미성, 경제성 등이며, 역사성은 선택적으로 고려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자극의 크기나 강도를 일정방향으로 조금씩 변화시켜 나가면서 그 각각 자극에 대하여 '크다/작다, 보인다/보이지 않는다.' 등의 판단하는 색채디자인 평가방법은?

  1. 조정법
  2. 극한법
  3. 항상법
  4. 선택법
(정답률: 29%)
  • 극한법은 자극의 크기나 강도를 일정 방향으로 조금씩 변화시켜 나가면서 그 각각 자극에 대하여 판단하는 색채디자인 평가방법이다. 이 방법은 자극의 크기나 강도를 조금씩 변화시켜 나가다가, 특정한 순간에 자극이 보이지 않거나,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사이의 경계를 찾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극한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디자인의 기본 조건인 합목적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대성, 유행, 개성이 복합된 것이다.
  2. 기능성과 실용성을 고려한 것이다.
  3. 사용될 재료, 실용성을 고려한 것이다.
  4. 창의적인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것이다.
(정답률: 87%)
  • 합목적성은 디자인의 기본 조건 중 하나로, 디자인이 기능성과 실용성을 고려하여 제작되었는지를 의미합니다. 디자인이 단순히 아름다움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와 필요에 부합하며 기능적인 면에서도 효율적인 디자인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기능성과 실용성을 고려한 것이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형과(Figure and Ground)의 법칙이 적용된 예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가구와 벽면의 관계
  2. 건물표면과 간판의 관계
  3. 자연환경과 아파트의 관계
  4. 기업이미지와 상품의 관계
(정답률: 82%)
  • 기업이미지와 상품의 관계는 형과(Figure)과 그라운드(Ground)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적합하지 않은 예이다. 형과 그라운드의 법칙은 물체와 배경, 즉 두 가지 요소가 서로 구분되어 인식되는 것을 말하는데, 기업이미지와 상품은 서로 구분되어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업이미지가 상품에 노출되어 있을 경우, 둘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져 형과 그라운드의 구분이 어려워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색채계획에 따른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의 배색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주조색 –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색이다.
  2. 주조색 – 전체의 이미지를 좌우하게 된다.
  3. 보조색 – 색채계획 시 주조색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한다.
  4. 강조색 – 전체의 30% 정도이므로 디자인 대상을 변화시키기 어렵다.
(정답률: 74%)
  • "강조색 – 전체의 30% 정도이므로 디자인 대상을 변화시키기 어렵다."가 틀린 설명이다. 강조색은 전체 색채 계획에서 주조색과 보조색을 강화하거나 대조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디자인 대상을 변화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강조색은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하며, 디자인의 목적과 컨셉에 맞게 사용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디자인에 관한 전반적인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인간 생활의 목적에 맞고 실용적이며 미적인 조형을 계획하고 그를 실현하는 과정과 그에 따른 결과이다.
  2. 라틴어의 designare가 그 어원이며 이는 모든 조형 활동에 대한 계획을 의미한다.
  3. 기능에 충실한 효율적 형태가 가장 아름다운 것이며 기능을 최대로 만족시키는 형식을 추구함이 목표이다.
  4. 지적 수준을 가지고 표현된 내용을 구체화시키기 위한 의식적이고 지적인 구성요소들의 조작이다.
(정답률: 54%)
  • "지적 수준을 가지고 표현된 내용을 구체화시키기 위한 의식적이고 지적인 구성요소들의 조작이다."는 디자인에 관한 전반적인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디자인은 인간 생활의 목적에 맞고 실용적이며 미적인 조형을 계획하고 그를 실현하는 과정과 그에 따른 결과이며, 라틴어의 designare가 그 어원이며 이는 모든 조형 활동에 대한 계획을 의미한다. 또한, 기능에 충실한 효율적 형태가 가장 아름다운 것이며 기능을 최대로 만족시키는 형식을 추구함이 목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색채계획을 함에 앞서 색채를 적용할 대상을 검토할 때 고려할 조건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거리감 – 대상과 사물의 거리
  2. 면적효과 – 대상이 차지하는 면적
  3. 조명조건 – 광원의 종류 및 조도
  4. 공공성의 정도 – 개인용, 공동사용의 구분
(정답률: 39%)
  • "거리감 – 대상과 사물의 거리"는 색채를 적용할 대상과 주변 사물과의 거리가 멀수록 색채의 명도와 채도를 강하게 적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멀리 있는 대상은 가까이 있는 대상보다 시각적으로 더 어둡고 흐릿하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멀리 있는 대상에는 강한 명도와 채도의 색채를 적용하여 시각적으로 더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좋은 디자인의 조건 중 여러 대(代는)를 거치면서 형태의 세련과 사용상의 개선이 이루어져 생태계에 유기적으로 적응하는 인간 중심의 디자인으로 적응하는 인간 중심의 디자인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친자연성
  2. 문화성
  3. 질서성
  4. 지역성
(정답률: 50%)
  • 여러 대(代)를 거치면서 형태와 사용성이 개선되어 생태계에 적응하는 디자인은 문화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인간 중심의 디자인으로서, 인간의 문화와 가치관을 반영하며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문화성은 디자인의 지속 가능성과 환경 적응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컬러 플래닝의 기획단계 조사항목이 아닌 것은?

  1. 환경요소
  2. 시설요소
  3. 인간요소
  4. 비용요소
(정답률: 54%)
  • 컬러 플래닝의 기획단계에서는 주로 디자인적인 측면을 고려하며, 비용 요소는 이후 구현 단계에서 고려되는 사항이기 때문에 기획단계에서는 해당되지 않는다. 따라서 "비용요소"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유니버설디자인의 7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누구라도 사용할 수 있고, 손에 넣을 수 있는 것
  2. 적은 노력으로 효율적으로,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
  3. 실수를 하면 중대한 결과가 초래되도록 할 것
  4. 접근하고 사용하는데 적절한 공간이 있을 것
(정답률: 75%)
  • "실수를 하면 중대한 결과가 초래되도록 할 것"은 유니버설디자인의 7원칙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오히려 안전성과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유니버설디자인의 7원칙은 모든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노력성을 최소화하고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실수를 하면 중대한 결과가 초래되도록 할 것"은 유니버설디자인의 7원칙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게슈탈트 시지각 원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근접성
  2. 연속성
  3. 폐쇄성
  4. 역동성
(정답률: 77%)
  • 게슈탈트 시지각 원리에서는 "근접성", "연속성", "폐쇄성"이 해당되지만 "역동성"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역동성"은 물체나 현상의 움직임이나 변화를 의미하는데, 게슈탈트 시지각 원리는 정적인 상태에서의 인식 원리를 다루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역동성"은 게슈탈트 시지각 원리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멀티미디어 디자인에 정보의 위치를 탐색하기 위하여 비교적 중요하게 다뤄지는 개념과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성(usability)
  2. 가독성(legibility)
  3. 상호작용성(interactivity)
  4. 항해(navigation)
(정답률: 45%)
  • 정답은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입니다.

    멀티미디어 디자인에서 정보의 위치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쉽게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가독성(legibility)은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가독성이란 텍스트나 이미지 등의 정보가 쉽게 읽히고 이해될 수 있는 정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디자인에서는 폰트 크기, 색상, 배치 등을 고려하여 가독성을 높이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반면에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강화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정보의 위치를 탐색하는 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멀티미디어 디자인에서 정보의 위치를 탐색하기 위하여 비교적 중요하게 다뤄지는 개념과 거리가 먼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디자인의 원리에는 조화, 균형, 리듬, 통일과 변화가 있다.
  2. 리듬에는 반복, 점진, 방사, 황금분할이 있다.
  3. 디자인의 균형에는 대칭적 균형과 비대칭적 균형이 있다.
  4. 디자인에 있어 강조되는 요소는 다른 요소들과 변화 또는 대조를 이루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정답률: 77%)
  • 정답은 "디자인에 있어 강조되는 요소는 다른 요소들과 변화 또는 대조를 이루도록 계획되어야 한다."입니다. 이는 정보의 위치를 탐색하는 개념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리듬은 디자인에서 요소들의 반복적인 패턴을 의미하며, 이 패턴에는 반복, 점진, 방사, 황금분할이 포함됩니다. 이는 정보의 위치를 탐색하는 데 중요한 개념으로 다뤄집니다.

    반면, 강조는 디자인에서 특정 요소를 강조하여 시선을 끌거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정보의 위치를 탐색하는 데 직접적으로 관련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연결이 틀린 것은?

  1. 소스: 메시지 송신자, 디자이너
  2. 메시지: 시각적 기호, 텍스트, 통신데이터
  3. 경로: 기호의 해석 및 시각화
  4. 수신자: 체험, 경험, 해석, 기호의 언어화
(정답률: 59%)
  • 정답은 "소스: 메시지 송신자, 디자이너"입니다. 이유는 소스는 커뮤니케이션의 요소 중 하나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소스는 메시지를 만드는 사람이나 그것을 디자인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용어이며, 메시지와 경로를 통해 수신자에게 전달됩니다. 따라서, 소스는 연결의 요소가 아니며, 올바른 연결은 메시지, 경로, 수신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하나의 상품이 특정 제조업체의 제품임을 나타내는 상품명이라고 불리어지는 것은?

  1. naming
  2. brand
  3. C.I
  4. concept
(정답률: 52%)
  • "Brand"는 특정 제조업체가 생산한 제품을 나타내는 상표나 상호명을 말합니다. 따라서, 하나의 상품이 특정 제조업체의 제품임을 나타내는 상품명은 "brand"입니다. "Naming"은 이름을 지정하는 것, "C.I"는 기업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것, "concept"는 아이디어나 개념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신예술 야식이라 불렀으며 곡선적이고 장식적이며 추상형식이 유행하게 되었으며 유럽 전역으로 확대되었던 디자인 사조는?

  1. 아르데코
  2. 아르누보
  3. 미술공예운동
  4. 바우하우스
(정답률: 76%)
  • 아르누보는 20세기 초 유럽에서 일어난 디자인 사조 중 하나로, 신예술 야식이라 불리는 곡선적이고 장식적이며 추상형식이 유행하는 시기에 등장했습니다. 이후 유럽 전역으로 확대되었으며, 예술과 디자인을 융합하고 새로운 형태와 기술을 탐구하는 등 혁신적인 활동을 펼쳤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아르누보"가 가장 적절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색채관리

41. 디지털 색채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디지털 색채는 가법혼색과 감법혼색 체계를 기본으로 한다.
  2. 디지털 색채에서의 가법혼색은 빛의 삼원색을 다양한 비율과 강도로 혼합하여 만들어진다.
  3. 모니터와 프린터의 색역(gamut)은 서로 다르다.
  4. 모니터와 프린터는 항상 동일한 프로파일을 갖는다.
(정답률: 88%)
  • "모니터와 프린터는 항상 동일한 프로파일을 갖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이는 모니터와 프린터가 서로 다른 장치이기 때문에 각각의 장치마다 색상을 표현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각의 장치에 맞는 프로파일을 설정해야 정확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분광반사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회색계통의 색들은 반사율이 동일하게 나타난다.
  2. 밝은 색일수록 전반적으로 반사율이 높다.
  3. 채도가 높은 선명한 색일수록 분광 반사율의 차이가 크다.
  4. 반사율은 색채 시료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정답률: 73%)
  • "회색계통의 색들은 반사율이 동일하게 나타난다."가 틀린 것이다. 회색계통의 색들은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밝은 회색은 높은 반사율을 가지고 어두운 회색은 낮은 반사율을 가질 수 있다.

    채도가 높은 선명한 색일수록 분광 반사율의 차이가 크다는 것은 맞다. 색의 채도가 높을수록 해당 색의 파장이 강하게 반사되기 때문에 분광 반사율의 차이가 커진다.

    반사율은 색채 시료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도 맞다. 색채 시료의 조성, 구조, 농도 등이 반사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밝은 색일수록 전반적으로 반사율이 높다는 것도 맞다. 밝은 색은 빛을 많이 반사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높은 반사율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CCM의 과정 중에서 가장 마지막에 하는 일은?

  1. CCM 배색 처방 계산
  2. 기초 컬러런트 데이터 입력
  3. 시편 도장 또는 염색
  4. 표준색 측색
(정답률: 70%)
  • 시편 도장 또는 염색은 CCM 과정 중에서 가장 마지막에 하는 일이다. 이는 CCM에서 만든 색상을 실제로 제품에 적용하기 전에 시험해보는 과정으로, 시편 도장은 인쇄물이나 플라스틱 등에 색상을 도장하여 색상의 밝기, 채도, 진한 정도 등을 확인하는 것이고, 염색은 직물이나 실 등에 색상을 염색하여 색상의 밝기, 채도, 진한 정도 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CCM에서 만든 색상이 실제 제품에 적용될 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확인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광 측정 요소와 그 단위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광도 - K
  2. 휘도 - nt
  3. 조도 - lx
  4. 광속 - lm
(정답률: 46%)
  • 광도는 물체가 방출하는 빛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단위는 캔델(Cd)입니다. 따라서 "광도 - K"는 잘못된 연결입니다. K는 온도를 나타내는 단위인 켈빈(K)이므로 광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컬러런트(Coloran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컬러런트는 원색이며 하나의 색을 만들기 위해 색상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2. 색소는 안료와 염료로 구성된다.
  3. 안료는 친화력이 있어 별도의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4. 채도를 낮추기 위해 보색을 사용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다
(정답률: 80%)
  • 안료는 분자 구조가 특별히 설계되어 있어서 다른 물질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안정적인 색상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육안조색 시 필요한 도구로 옳은 것은?

  1. 측색기, 어플리케이터, CCM, 측정지
  2. 표준광원, 어플리케이터, 스포이드, 믹서
  3. 표준광원, 소프트웨어, 믹서, 스포이드
  4. 은폐율지, 측색기 믹서, CCM
(정답률: 67%)
  • 육안조색 시에는 색상을 비교하고 분석하기 위해 표준광원이 필요하며, 색상을 적용하는 어플리케이터와 색상을 섞는 데에 사용되는 믹서가 필요합니다. 또한 색상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스포이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표준광원, 어플리케이터, 스포이드, 믹서"가 옳은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육안검색 시 조명방법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자연주광의 특성은 변화기 쉬워 인공조명만 사용할 수 있다.
  2. 관찰자는 무채색계열의 의복을 착용해야 한다.
  3. 관찰자의 시야 내에는 시험할 시료의 색 외에 연한 표면색이 있어서는 안 된다.
  4. 시료면의 범위보다 넓은 범위를 균일하게 조명해야하며 적어도 500lx의 조도가 필요하다.
(정답률: 77%)
  • 육안검색 시 조명방법은 시료면의 범위보다 넓은 범위를 균일하게 조명해야하며 적어도 500lx의 조도가 필요하다. 관찰자는 무채색계열의 의복을 착용해야 하는 이유는 시료의 색에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컴퓨터 자동배색(Computer Color Matching)을 도입하는 목적 또는 장점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다품종 소량에 대응
  2. 고객의 신뢰도 구축
  3. 메타머리즘의 효율적인 형성과 실현
  4. 컬러런트 구성의 효율화
(정답률: 50%)
  • 메타머리즘은 색상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입니다. 컴퓨터 자동배색은 이러한 메타머리즘을 효율적으로 형성하고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도입하는 목적 또는 장점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메타머리즘의 효율적인 형성과 실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디지털 색채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RGB: 빛을 더할수록 밝아지는 감법혼색 체계이다.
  2. HSB: 색상은 0도에서 360도 단계의 각도 값에 의해 표현된다.
  3. CMYK: 각 색상은 0에서 255까지 256단계로 표현된다.
  4. Indexes: 일반적인 컬러 색상을 칙셀 밝기 정보만 가지고 이미지를 구현한다.
(정답률: 70%)
  • HSB는 색상을 색상환에서 0도에서 360도 단계의 각도 값으로 표현하는 색채 시스템입니다. 즉, 색상을 각도 값으로 표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회화나무의 꽃봉오리로 황색염료가 되며 매염제에 따라서 황색, 회록색 등으로 다양하게 염색되는 것은?

  1. 황벽(黃蘗)
  2. 소방목(蘇方木)
  3. 괴화(槐花)
  4. 울금(鬱金)
(정답률: 47%)
  • 괴화는 황색 염료로 사용되며, 매염제에 따라 황색, 회록색 등으로 다양하게 염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이미지의 투명성과 관련된 알파채널에서 향상된 기능 제공, 트루컬러 지원, 비손실 압축을 사용 하여 이미지 변형 없이 원래 이미지를 웹상에 그대로 표현할 수 있는 파일 포맷은?

  1. EPS
  2. PNG
  3. PSD
  4. PCX
(정답률: 87%)
  • PNG 파일 포맷은 알파채널을 지원하여 이미지의 투명성을 표현할 수 있고, 트루컬러를 지원하여 색상의 변형 없이 원래 이미지를 그대로 표현할 수 있으며, 비손실 압축을 사용하여 이미지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이미지 변형 없이 원래 이미지를 웹상에 그대로 표현할 수 있는 파일 포맷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디지털 색채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비트는 흑과 백의 2가지 색채 정보를 가진다.
  2. Full HD는 약 100만 화소로 해상도는 1366*768 이다.
  3. RGB를 채널당 8비트로 사용하는 겨우 약 100만 컬러의 표현이 가능하다.
  4. 컬러 채널당 8비트를 사용하는 경우 각 채널당 356단계의 계조가 표현된다.
(정답률: 48%)
  • 정답은 "Full HD는 약 100만 화소로 해상도는 1366*768 이다." 이다. Full HD는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지며, 약 207만 화소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분광광도계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컴퓨터로 제어하고 고정밀 측정이 가능하며 투명색 측정도 가능하다.
  2. d/0, 0/d 광학계를 이용하여 투과색 측정이 가능하다.
  3. 분광분포를 얻을 수 있다.
  4. 표준광 D65를 기준광원으로 한다.
(정답률: 29%)
  • 표준광 D65는 일반적인 주광원의 색온도와 유사하며, 광원의 색온도를 표준화하여 측정 결과를 비교 가능하게 하기 위해 분광광도계에서 기준광원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는 올바른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색채측정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IE에서 광원과 물체의 반사각도, 그리고 관찰자의 조건을 표준화하였다.
  2. 측색기의 특성에 따라 분광광도계와 색차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3. KS A 0011에 제정되어 있다.
  4. 목적에 따라 RGB CMYK를 측정하는 측정기도 있다.
(정답률: 38%)
  • "목적에 따라 RGB CMYK를 측정하는 측정기도 있다."가 틀린 것입니다. 색채측정기는 RGB CMYK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CIE에서 표준화한 색공간에서 측정한 후 변환하여 표시합니다. KS A 0011은 색채측정기의 기술적 요건과 시험 방법에 관한 국가 표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안료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백색안료 중에는 바라이트, 호분, 백악, 클레어, 석고 등의 체질안료가 있다.
  2. 안료는 성분에 따라 무기안료와 유기안료로 분류한다.
  3. 무리안료 중에는 백색의 색조를 띠는 백색 안료가 많으며, 다른 안료에 섞어 사용하면 은폐력이 떨어진다.
  4. 유기안료는 무기안료에 비해 빛깔이 선명하고 착색력도 좋으며 임의의 색조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46%)
  • 안료에 대한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컬러와 관련한 용어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chrominance: 시료색 자극의 특정 무채색 자극에서의 색도차와 휘도의 곱
  2. color gamut: 특정 조건에 따라 발색되는 모든 색을 포함하는 색도 좌표도 또는 색 공간 내의 영역
  3. lightness: 광원 또는 물체 표면의 명암에 관한 시지각의 속성
  4. luminance: 유연한 면적을 갖고 있는 발광면의 밝기를 나타내는 양
(정답률: 35%)
  • 정답은 "chrominance: 시료색 자극의 특정 무채색 자극에서의 색도차와 휘도의 곱"이다.

    lightness는 광원이나 물체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밝기와 어두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속성이다. 즉, 색의 밝기를 의미한다.

    chrominance는 색의 채도와 색조를 나타내는 속성으로, 특정 무채색 자극에서의 색도차와 휘도의 곱으로 계산된다.

    color gamut은 특정 조건에 따라 발색되는 모든 색을 포함하는 색도 좌표도 또는 색 공간 내의 영역을 의미한다.

    luminance는 유연한 면적을 갖고 있는 발광면의 밝기를 나타내는 양으로, 광원의 세기와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KS 색에 관한 용어 중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 용어는?

  1. 채도(chroma)
  2. 선명도(colorfulness)
  3. 포화도(saturation)
  4. 먼셀 크로마(munsell chroma)
(정답률: 38%)
  • 이미지에서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는 것은 "선명도(colorfulness)"이다. 이는 색의 밝기와 채도를 모두 고려하여 해당 색이 얼마나 선명하게 느껴지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다른 보기들은 색에 관한 용어이지만, 선명도와는 조금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염료 및 염색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염료 이온이 피염제에 화학적인 결합을 하는 것을 이용한다.
  2. 염료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분자가 직물에 흡착되어야 한다.
  3. 최초의 합성염료가 만들어진 것은 20세기 초이다.
  4. 효율적인 염색을 위해서 염료가 용매에 잘 용해되어야 한다.
(정답률: 68%)
  • "최초의 합성염료가 만들어진 것은 20세기 초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1856년 영국 화학자 윌리엄 퍼킨이 합성염료 중 하나인 "마우법스"를 발견하였고, 이것이 최초의 합성염료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조명과 관련이 있는 측정값이 아닌 것은?

  1. CIE 연색지수(coor rendering index)
  2. 상관색온도(CCT: Correlated Color)
  3. 반사스펙트럼
  4. 조도
(정답률: 59%)
  • 반사스펙트럼은 물체가 빛을 받아 반사되는 스펙트럼으로, 조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 CIE 연색지수는 조명이 물체의 색상을 얼마나 정확하게 보여주는지를 나타내는 지수이고, 상관색온도는 빛의 색상을 표현하는 지수이며, 조도는 조명의 밝기를 나타내는 측정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색채 소재의 분류에 있어 각 소재별 사례가 잘못된 것은?

  1. 천연수지 도료: 옻, 유성페인트, 유성에나멜
  2. 합성수지 도료: 주정 도료, 캐슈계 도료, 래커
  3. 천염안료: 동물염료, 광물염료, 식물염료
  4. 무기안료: 아연, 철, 구리 등 금속 화학물
(정답률: 42%)
  • 정답은 "천연수지 도료: 옻, 유성페인트, 유성에나멜"이다. 옻은 천연수지 도료가 아니라 천연수지의 분해 생성물이며, 유성페인트와 유성에나멜은 천연수지 도료가 아니라 유화수지 도료이다. 합성수지 도료 중 래커는 오히려 정확한 예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색채지각론

61. 회전혼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혼합된 색의 명도는 혼합하려는 색들의 중간 명도가 된다.
  2. 혼합된 색상은 중간색상이 되며, 면적에 따라 다르다.
  3. 보색 관계의 색상 혼합은 중간명도의 회색이 된다.
  4. 혼합된 색의 채도는 원래의 채도보다 높아진다.
(정답률: 84%)
  • "혼합된 색의 채도는 원래의 채도보다 높아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혼합된 색의 채도는 원래의 채도보다 낮아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혼합된 색상이 더 많은 색상을 포함하게 되어 색의 진하기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빨강과 노랑을 혼합하면 주황색이 되는데, 이는 빨강과 노랑보다 채도가 낮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명도대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명도대비는 명도의 차이가 클수록 더욱 뚜렷하다.
  2. 삼속성에 의한 대비 중 명도대비의 효과가 가장 크다.
  3. 명도가 다른 두 색을 인접했을 때 밝은 색은 더욱 밝아 보인다.
  4. 색채가 검정 바탕에서 가장 어둡게 보이고, 흰색 바탕에서 가장 밝게 보인다.
(정답률: 70%)
  • "명도대비는 명도의 차이가 클수록 더욱 뚜렷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명도대비는 두 색의 명도 차이가 클수록 뚜렷하게 인식되지만, 일정한 기준 이상으로 명도 차이가 커져도 인식하는 능력이 한계에 다다르게 된다. 따라서 명도대비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만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색채 현상(효과)에 관한 설명이 옳게 연결된 것은?

  1. 푸르킨예 현상: 교통신호기의 색 중에서 빨강이 빨리 지각된다.
  2. 색음 현상: 해가 질 때 빨강 꽃은 어두워 보이고 푸른 잎이 밝게 보인다.
  3. 베졸드 브뤼케 현상: 주황색 원통에 빛이 강하게 닿는 부분은 노랑으로 보인다.
  4. 브로커 슐처 효과: 석양에서 양초에 비친 연필의 그림자가 파랑으로 보인다.
(정답률: 66%)
  • 베졸드 브뤼케 현상: 주황색 원통에 빛이 강하게 닿는 부분은 노랑으로 보인다. - 주황색 원통은 빛을 흡수하고, 그 중심부에 있는 부분은 빛이 많이 모여 밝게 보이고, 주변은 그만큼 어둡게 보이기 때문에 노란색으로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청록과 노랑으로 구성된 그림을 집중해서 보다가 흰 벽을 쳐다보면 보이는 잔상의 색은?

  1. 시안과 노랑
  2. 빨강과 파랑
  3. 주황과 녹색
  4. 자주와 보라
(정답률: 69%)
  • 청록은 시안과 녹색의 혼합색이고, 노랑은 빨강과 초록의 상보색입니다. 따라서 청록과 노랑으로 구성된 그림을 보면 빨강과 초록이 부족하게 됩니다. 이 부족한 색이 보이는 잔상의 색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빨강과 파랑은 상보색 관계이기 때문에 빨강과 파랑의 잔상이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대낮 어두운 극장에 들어가면 처음에는 전혀 안보이다가 서서히 보이기 시작한다. 이 때 활발하게 반응하기 시작하는 광수용기는?

  1. 홍체
  2. 추상체
  3. 간상체
  4. 초자체
(정답률: 59%)
  • 대낮에 극장에 들어가면 눈이 어둡기 때문에 처음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눈이 적응하여 조금씩 보이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활발하게 반응하는 광수용기는 빛을 받아들이는 능력이 뛰어난데, 이를 간단히 말하면 "간상체"입니다. 간상체는 빛을 받아들이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어둡거나 밝은 상황에서도 빛을 잘 받아들여 활발하게 반응합니다. 따라서 대낮 어두운 극장에서도 활발하게 반응하는 광수용기는 간상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어떤 물체 위에서 빛이 투과하거나 흡수되지 않고 거의 완전 반사에 가까운 색은?

  1. 금속색
  2. 간섭색
  3. 경영색
  4. 형광색
(정답률: 55%)
  • 정답은 "경영색"입니다. 경영색은 거의 완전 반사에 가까운 색으로, 빛이 투과되거나 흡수되지 않아서 매우 밝고 선명한 색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경영 분야에서는 주로 로고나 광고 등에서 사용되어 눈에 띄게 만들기 위해 많이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명시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명도가 같을 때 채도가 높은 쪽이 쉽게 식별된다.
  2. 채도차이가 삼속성 차이 중 가장 효과가 높다.
  3. 바탕색과의 관계에서 명도의 차이가 클 때 높다.
  4. 차가운 색보다 따뜻한 색이 명시성이 높다.
(정답률: 58%)
  • "차가운 색보다 따뜻한 색이 명시성이 높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명시성은 색상의 명도와 채도 차이에 영향을 받으며,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의 명시성은 색상의 명도와 채도 차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따뜻한 색이 항상 명시성이 높은 것은 아닙니다.

    "채도차이가 삼속성 차이 중 가장 효과가 높다."의 이유는, 인간의 눈은 색상을 인식할 때 삼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의 조합으로 인식합니다. 이 때, 채도는 색상의 강도를 나타내며, 삼원색의 조합에서 채도 차이가 가장 크게 인식됩니다. 따라서, 채도 차이가 명시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흰 종이 위에 빨강색 원을 놓고 얼마동안 보다가 그 바탕의 흰 종이를 빨간 종이로 바꾸어 놓으면 감정의 원이 느껴지는 것과 관련한 대비현상은?

  1. 채도대비
  2. 동시대비
  3. 연변대비
  4. 계시대비
(정답률: 51%)
  • 이 경우에는 빨간색 원과 흰색 바탕의 대비가 계시대비에 해당합니다. 계시대비란 두 가지 색상이나 형태가 서로 바뀌었을 때, 이전에 봤던 색상이나 형태가 뇌에 남아있어 새로운 색상이나 형태와 대비되어 더욱 강하게 느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빨간색 원을 보고 있을 때 뇌에 빨간색이 강하게 인식되어 있기 때문에, 흰색 바탕이 빨간색으로 바뀌면 더욱 강한 감정의 원을 느끼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밤하늘의 별을 볼 때 정면으로 보는 것보다 곁눈으로 보는 것이 더 잘 보이는 이유는?

  1. 망막의 맹점에는 광수용기가 없으므로
  2. 망막의 중심부에는 추상체만 있고, 주변망막에는 간상체가 많이 분포되어 있으므로
  3. 추상체와 간상체가 각기 다른 해상도를 갖기 때문에
  4. 추상체에 의한 순응이 간상체에 의한 순응보다 신속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정답률: 56%)
  • 밤하늘의 별을 볼 때 정면으로 보는 것보다 곁눈으로 보는 것이 더 잘 보이는 이유는 "망막의 중심부에는 추상체만 있고, 주변망막에는 간상체가 많이 분포되어 있으므로" 이다. 추상체는 고해상도를 갖고 있어 세부적인 정보를 처리하는 데 유리하고, 간상체는 저해상도를 갖고 있어 넓은 범위의 정보를 처리하는 데 유리하다. 따라서 곁눈으로 볼 때는 주변망막의 간상체가 별들의 넓은 범위를 처리하고, 중심부의 추상체가 별들의 세부적인 정보를 처리하여 더 잘 보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도로 안내 표지를 디자인할 때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하는 것은?

  1. 배경색과 글씨의 보색대비 효과를 고려한다.
  2. 배경색과 글씨의 명도차를 고려한다.
  3. 배경색과 글씨의 색상차를 고려한다.
  4. 배경색과 글씨의 채도차를 고려한다.
(정답률: 58%)
  • 도로 안내 표지는 주행 중에 빠르게 인식되어야 하므로, 글씨와 배경색의 명도차가 크면 더욱 빠르게 인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보색대비나 색상차, 채도차도 중요하지만, 명도차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음성적 잔상으로 보이는 색은 원래의 색과 어떤 관계의 색이 보이게 되는가?

  1. 보색
  2. 유사색
  3. 동일색
  4. 기억색
(정답률: 84%)
  • 음성적 잔상으로 보이는 색은 원래의 색과 "보색" 관계의 색이 보이게 됩니다. 이는 빛의 삼원색 중 하나가 강하게 자극되어 뇌에서 그 색의 보색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을 보고 나서 눈을 감으면 초록색이 보이는 것입니다. 이는 빨간색과 초록색이 보색 관계에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물리적, 생리적 원인에 따른 색채 지각변화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망막의 지체현상은 약한 빛 아래서 운전하는 사람의 반응시간을 짧게 만든다.
  2. 망막 수용기에 의해 지각된 색은 지배적 주변상황에서 오는 변수에 따른 반응이 사람마다 동일하다.
  3. 빛 강도가 해질녘의 경우처럼 약할 때는 망막의 화학적 변화가 급속히 일어나 시자극을 빠르게 받아들인다.
  4. 빛의 강도가 주어진 최소수준 아래로 떨어질 경우 스펙트럼의 단파장과 중파장에 민감한 간상체가 작용하기 시작한다.
(정답률: 50%)
  • 빛의 강도가 주어진 최소수준 아래로 떨어질 경우 스펙트럼의 단파장과 중파장에 민감한 간상체가 작용하기 시작한다는 것은, 망막에 있는 간상체들 중 일부는 빛의 강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활성화되어 작용하기 시작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간상체들은 스펙트럼의 단파장과 중파장에 민감하며, 이에 따라 색채 지각이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는 어떤 색깔이 빛나는지에 따라 눈이 감지하는 색깔이 달라지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푸르킨예 현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낮에는 빨간 사과가 밤이 되면 검게 보이며, 낮에는 파란 공이 밤이 되며 밝은 회색으로 보이는 현상
  2. 조명이 점차로 어두워지면 파장이 짧은 색이 먼저 사라지고 파장이 긴 색이 나중에 사라지는 현상
  3. 어두운 곳앳 비시감도곡선은 단파장 쪽으로 이동
  4. 해가 지고 황혼일 때 초록이 잎이 밝게 보이는 현상
(정답률: 42%)
  • "조명이 점차로 어두워지면 파장이 짧은 색이 먼저 사라지고 파장이 긴 색이 나중에 사라지는 현상"이 틀린 설명은 아닙니다. 이것이 바로 푸르킨예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백색광이 어떤 과일에 비추어졌을 때 600nm~700nm에서 일부의 빛을 흡수하고 나머지는 반사시켰다면 이 과일의 색은?

  1. 빨간색
  2. 초록색
  3. 노란색
  4. 파란색
(정답률: 41%)
  • 백색광은 모든 색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과일이 일부 빛을 흡수하면 그 흡수된 색의 보완색인 빨간색이 반사됩니다. 따라서 이 과일의 색은 빨간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인상파 화가 쇠라는 작은 색 점을 찍어서 그림을 그리는 기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방식의 색 혼합 방법은?

  1. 병치혼합
  2. 회전혼합
  3. 감법혼합
  4. 계시혼합
(정답률: 86%)
  • 쇠라가 사용한 작은 색 점을 찍어서 그리는 방식은 병치혼합이다. 병치혼합은 색을 여러 개의 작은 점으로 나누어서 그림을 그리는 방식으로, 작은 점들이 서로 겹쳐지면서 색이 혼합되어 보인다. 이 방식은 인상파 화가들이 선호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컬러인쇄, 사진 등에 사용되고 있는 색료의 3원색이 아닌것은?

  1. 마젠타(magenta)
  2. 노랑(yellow)
  3. 녹색(green)
  4. 시안(cyan)
(정답률: 74%)
  • 컬러인쇄에서 사용되는 색상은 일반적으로 "CMYK" 색공간을 사용합니다. 이 색공간에서 "마젠타", "노랑", "시안"은 모두 3원색인 "시안", "마젠타", "노랑"을 조합하여 만들어지는 보조색상입니다. 하지만 "녹색"은 3원색 중 하나이기 때문에 보조색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녹색"은 컬러인쇄에서 사용되지 않는 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백색광을 투사했을 때 시안색(cyan) 염료로 염색된 직물에 의해 가장 많이 흠수되는 파장은?

  1. 약 400~450nm
  2. 약 450~500nm
  3. 약 500~550nm
  4. 약 500~600nm
(정답률: 19%)
  • 시안색 염료는 파란색과 초록색을 흡수하고, 노란색과 빨간색을 반사합니다. 따라서 백색광 중 파란색과 초록색이 가장 많이 흡수되는 파장대인 약 500~600nm가 시안색 염료로 염색된 직물에 가장 많이 흠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보색대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보색끼리의 색은 상대 쪽의 채도를 높여 색상을 강하게 드러나 보이게 한다.
  2. 보색끼리의 색은 상대편의 명도를 더욱 낮게 만든다.
  3. 노랑 배경 위의 파랑이 녹색 배경 위의 파랑보다 더 약하게 보인다.
  4. 주황 배경 위의 빨강이 청록 배경 위의 빨강보다 더 선명하게 보인다.
(정답률: 76%)
  • "보색끼리의 색은 상대 쪽의 채도를 높여 색상을 강하게 드러나 보이게 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보색끼리의 조합이 서로 상반되는 색상이기 때문에, 서로를 강화시켜 더욱 선명하게 보이게 만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노랑 배경 위의 파랑과 파랑 배경 위의 녹색을 비교하면, 노랑과 파랑은 보색이므로 서로를 강화시켜 더욱 선명하게 보이지만, 파랑과 녹색은 비슷한 색상이므로 서로를 약화시켜 더욱 희미하게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색의 지각과 감정효과를 적용한 사례로 옳은 것은?

  1. 저학년 아동들을 위한 놀이 공간에 밝은 회색을 사용하였다.
  2. 여름이 되어 실내 가구, 소파를 밝은 주황색으로 바꾸었다.
  3. 고학년 아동들을 위한 학습공간에 연한 파란색을 사용하였다.
  4. 레스토랑에 식욕을 돋우기 위해 밝은 녹색을 사용하였다.
(정답률: 80%)
  • 고학년 아동들을 위한 학습공간에 연한 파란색을 사용하였다. - 파란색은 집중력을 높이고, 논리적 사고와 창의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학습공간에 적합하다. 또한 연한 파란색은 부드러운 느낌을 주어 안정감을 높이기 때문에 고학년 아동들의 스트레스를 줄이는 효과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감법혼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색료의 삼원색을 모두 혼합하면 검정이나 검정에 가까운 회색이 된다.
  2. 색료의 삼원색을 같은 비율로 혼합한 2차색은 Red, Green, Yellow이다.
  3. 색료의 두 보색을 균형 있게 혼합하면 중성의 회색이 된다.
  4. 색료의 순색에 회색을 혼합하면 탁색이 된다.
(정답률: 61%)
  • "색료의 삼원색을 같은 비율로 혼합한 2차색은 Red, Green, Yellow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삼원색인 Red, Green, Blue를 같은 비율로 혼합한 2차색은 White이 됩니다. Yellow는 Red와 Green을 혼합한 보조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색채체계론

81. CIE 색체계의 색공간 읽는 법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Yxy에서 Y는 색의 밝기를 의미한다.
  2. L*a*b*에서 L*는 인간의 시감과 같은 명도를 의미한다.
  3. L*C*h*에서 C*는 색상의 종류, 즉 Color를 의미한다.
  4. L*u*v*에서 u*와 v*는 두 개의 채도 축을 표현한다.
(정답률: 63%)
  • "L*C*h*에서 C*는 색상의 종류, 즉 Color를 의미한다."라는 설명이 틀렸습니다. L*C*h*에서 C*는 채도를 의미합니다. L*는 명도, h*는 색상의 색조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한국산업표준(KS)에서 색이름 수식형으로 사용 하지 않는 것은?

  1. Olivish
  2. Purplish
  3. Pinkish
  4. Whitish
(정답률: 44%)
  • 정답은 "Olivish"입니다. KS에서는 색이름을 수식형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Olivish"는 수식형으로 만들어진 색 이름이기 때문에 KS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문과 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조화영역을 동등, 유사, 대비조화로 그리고 부조화 영역을 제1불명료, 제2불명료, 제3불명료로 분류하였다.
  2. 1944년에 오스트발트 색체계를 오메가공간으로 개량하여 정량적인 색채조화론을 발표하였다.
  3. 복잡성의 요소가 적으면 적을수록 미도가 높으므로 대조색상 배색이 가장 미도가 높다.
  4. 미도 공식은 M=O/C이며, 역서 O는 색상의 미적계수 + 명도의 미적계수 + 채도의 미적계수로 구한다.
(정답률: 42%)
  • 문과 스펜서의 색채조화론은 색채를 조화롭게 사용하는 방법을 연구한 이론으로, 조화영역과 부조화영역으로 나누어 분류하였습니다. 또한, 미도 공식을 제시하여 대조색상 배색의 미도가 가장 높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미도 공식은 M=O/C이며, 역서 O는 색상의 미적계수 + 명도의 미적계수 + 채도의 미적계수로 구합니다. 이론은 1944년에 오스트발트 색체계를 개량하여 발표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오간색(五間色)을 옳게 나열한 것은?

  1. 적색, 청색, 황색, 백색, 흑색
  2. 홍색, 벽색, 녹색, 유황색, 자색
  3. 적색, 벽색, 녹색, 백색, 자색
  4. 적색, 녹색, 청색, 백색, 흑색
(정답률: 49%)
  • 정답은 "홍색, 벽색, 녹색, 유황색, 자색" 입니다.

    오간색은 일본에서 사용하는 색종이며, 다섯 가지 색상을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홍색은 가장 먼저 나오는 색상으로, 벽색, 녹색, 유황색, 자색 순으로 나열됩니다. 이는 색상의 조화와 균형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적색, 청색, 황색, 백색, 흑색"과 "적색, 벽색, 녹색, 백색, 자색", "적색, 녹색, 청색, 백색, 흑색"은 오간색의 순서와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CIE L*a*b 색좌표계에 다음 색을 표기할 때 가장 밝은 노란색에 해당되는 것은?

  1. L* = 0, a* = 0, b* =0
  2. L* = +80, a* = 0, b* = -40
  3. L* = +80, a* = +40, b* = 0
  4. L* = +80, a* = 0, b* = +40
(정답률: 72%)
  • L*는 밝기를 나타내는 값이므로 가장 밝은 노란색은 L* 값이 가장 큰 "+80"이어야 한다. a*와 b* 값은 색조와 채도를 나타내는데, 이 중에서 b* 값이 양수인 것은 노란색 계열에 해당한다. 따라서 b* 값이 "+40"인 "L* = +80, a* = 0, b* = +40"이 가장 밝은 노란색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ISCC-NIST 색명법의 톤 기호의 약호와 풀이가 틀린 것은?

  1. vp - very pale
  2. m - moderate
  3. v - vivid
  4. d - deep
(정답률: 41%)
  • 정답은 "d - deep"입니다. ISCC-NIST 색명법에서 톤 기호는 색의 밝기와 어두움을 나타내며, 약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vp - very pale (매우 연한)

    p - pale (연한)

    l - light (가벼운)

    m - moderate (보통의)

    d - dark (어두운)

    vd - very dark (매우 어두운)

    따라서 "d - deep"는 ISCC-NIST 색명법에서 사용되지 않는 약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P.C.C.S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최고 채도차가 색상마다 각각 다르다.
  2. 각 색상 최고 채도차의 명도는 다르다.
  3. 색상은 영·헬름홀쯔의 지각원리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4. 유채색은 7개의 톤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35%)
  • P.C.C.S는 각 색상의 최고 채도를 표준으로 삼는 색상 체계이기 때문에, 각 색상의 최고 채도차는 색상마다 다릅니다. 이에 따라 각 색상의 최고 채도차의 명도도 다르게 설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NCS 색체계의 색표기 중 동일한 채도선의 m(Constant Saturation) 값이 나머지와 다른 하나는?

  1. S6010-R90B
  2. S2040-R90B
  3. S4030-R90B
  4. S6020-R90B
(정답률: 16%)
  • NCS 색체계에서 m(Constant Saturation) 값은 채도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동일한 채도선 상에서 색상의 진하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S6010-R90B" 이외의 보기들은 모두 다른 채도선 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m 값이 다릅니다. "S6010-R90B"는 채도선이 동일하면서도 다른 보기들과 구분되는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CIELAB(L*a*b*)색공간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CIELAB 색공간은 재현상의 수치 기록과 기준색과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정확히 측정하는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2. CIELAB 색공간은 중앙이 무색이며, a*, b*값이 증가하면 채도는 증가하게 된다.
  3. CIELAB에서 L*, a*, b*좌료들은 생리지각의 4원색인 R-G, Y-B 색상들과 대응된다.
  4. 로부터 명도수치값(L*), 색상각(hab) 크로마(C*ab)가 CIELUV 공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유도되지 않으며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
(정답률: 46%)
  • CIELAB에서 L*, a*, b* 좌표들은 생리지각의 4원색인 R-G, Y-B 색상들과 대응되는 것이 맞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올바르다. 하지만 로부터 명도수치값(L*), 색상각(hab) 크로마(C*ab)가 CIELUV 공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유도되지 않으며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는 설명은 틀렸다. 실제로 L*, a*, b* 좌표들은 CIELUV 공간에서 L*, u*, v* 좌표들로 변환될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호환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맥스웰(Maxwell)의 색삼각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과학적으로 색을 취급하는데 있어서 합리성을 가지고 있다.
  2. RGB 색체계가 만들어진 근원이 되고 있다.
  3. 현색계의 원리를 설명하는 수단으로 크게 활용되고 있다.
  4. 단색광을 크게 나누어 3개의 기본색을 구성한다는 토머스 영과 헬름홀쯔의 학설을 증명하고 있다.
(정답률: 48%)
  • 정답은 "RGB 색체계가 만들어진 근원이 되고 있다."이다. 맥스웰의 색삼각형은 단색광을 크게 나누어 3개의 기본색을 구성한다는 토머스 영과 헬름홀쯔의 학설을 증명하고, 과학적으로 색을 취급하는데 있어서 합리성을 가지고 있으며, 현색계의 원리를 설명하는 수단으로 크게 활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RGB 색체계가 만들어진 근원이 되고 있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RGB 색체계는 빛의 혼합에 대한 이론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맥스웰의 색삼각형과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NCS의 표색기호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S - 순색의 량
  2. 40 - 백색의 량
  3. 20 – 흑색의 량
  4. Y70R –색상
(정답률: 72%)
  • NCS의 표색기호는 색상, 순색의 량, 백색의 량, 흑색의 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Y70R"은 이 색상의 표현을 나타내며, "S", "40", "20"은 이 색상을 구성하는 색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Y70R –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색채 표준화의 조건과 목적으로 옳은 것은?

  1. 색의 배색원리 설명
  2. 관측자의 색좌표 정의
  3. 색의 정확한 측정 및 전달
  4. 눈으로 표본을 보면서 재현
(정답률: 63%)
  • 색채 표준화의 조건은 관측자의 색좌표 정의와 눈으로 표본을 보면서 재현하는 것이며, 목적은 색의 정확한 측정 및 전달을 위한 것입니다. 이는 색을 일관되게 사용하고 전달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을 높이고, 색의 표현에 있어서 오해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먼셀 색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채색을 0으로 하여 채도의 시감에 의한 등간격의 증가에 따라 채도 값이 증가한다.
  2. 색입체를 명도 5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절단하면 명도는 5로 동일하며 색상과 채도가 다른 색이 보인다.
  3. 실제 관찰되는 명도는 1.5 / 단계에서 8.5 단계에 이르며 '먼셀 컬러 북'에도 이와 같이 표현하고 있다.
  4. 색입체를 수직으로 자르면 빨강과 청록처럼 보색관계의 등색상면이 보인다.
(정답률: 60%)
  • 틀린 것은 없다. 모든 보기가 맞는 설명이다. 먼셀 색체계는 색의 명도, 채도, 색상을 나타내는 색 공간으로, 무채색을 0으로 하여 채도의 시감에 의한 등간격의 증가에 따라 채도 값이 증가하며, 색입체를 명도 5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절단하면 명도는 5로 동일하며 색상과 채도가 다른 색이 보인다. 또한, 실제 관찰되는 명도는 1.5 단계에서 8.5 단계에 이르며 '먼셀 컬러 북'에도 이와 같이 표현하고 있으며, 색입체를 수직으로 자르면 빨강과 청록처럼 보색관계의 등색상면이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먼셀 기호의 표기인 “5Y 8/10"의 뜻으로 옳은 것은?

  1. 명도가 8이다.
  2. 명도가 10이다.
  3. 채도가 5이다.
  4. 채도가 8이다.
(정답률: 84%)
  • 정답은 "명도가 8이다."입니다.

    먼셀 기호는 색상을 표현하기 위한 시스템 중 하나로, 색상의 채도와 명도를 나타냅니다. "5Y"는 색상의 채도를 나타내며, 이 경우에는 노란색 계열의 색상을 의미합니다. "8/10"은 색상의 명도를 나타내며, 0부터 10까지의 범위에서 숫자가 클수록 더 밝은 색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5Y 8/10"은 노란색 계열의 밝은 색상이며, 명도가 8인 색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오정색의 방위와 오상(五常)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청색 - 동쪽 - 인
  2. 백색 - 서쪽 - 예
  3. 적색 - 중앙 - 지
  4. 흑색 - 북쪽 -신
(정답률: 57%)
  • 오정색은 동쪽을 나타내며, 오상(五常) 중 하나인 인(仁)은 동방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청색과 동쪽, 인과 연결되어 "청색 - 동쪽 - 인"이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오상과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방위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오스트발트 색채조화론 중 c-nc-n 로 배열되는 조화는?

  1. 등백계열과 등흑계열의 조화
  2. 등가치색 조화
  3. 유채색과 무채색의 조화
  4. 등색상의 계열 분리 조화
(정답률: 30%)
  • c-nc-n 조화는 색의 밝기와 진하기를 조절하여 유채색과 무채색을 조화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색의 대비를 줄여서 부드러운 느낌을 연출하며, 유채색과 무채색을 조화시켜서 균형있는 색감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채색과 무채색의 조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비렌의 색채조화론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색삼각형의 연속된 선상에 위치한 색들을 조합하면 조화된다.
  2. color, white, black, gray, tint, shade, tone 7개 범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3. 좋은 배색을 위해서는 오메가 공간에 나타낸 점이 간단한 기하학적 관계에 있어야 한다.
  4. 다빈치, 렘브란트 등 화가의 훌륭한 배색 원리를 찾아 색삼각형에서 보여 준다.
(정답률: 54%)
  • "좋은 배색을 위해서는 오메가 공간에 나타낸 점이 간단한 기하학적 관계에 있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비렌의 색채조화론에서는 색삼각형 내의 색들을 연속된 선상에 위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오메가 공간이나 기하학적 관계에 대한 언급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중명도·중채도인 중간색조의 덜(dull) 톤을 중심으로 한 배색기법으로 각각의 색 이미지 보다는 차분한 톤의 이미지가 강조되는 배색은?

  1. 톤온톤 배색
  2. 트리콜로 배색
  3. 토널 배색
  4. 까마이외 배색
(정답률: 46%)
  • 토널 배색은 중간색조의 덜 톤을 중심으로 한 배색기법으로, 각각의 색 이미지보다는 차분한 톤의 이미지가 강조되는 배색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토널"이라는 단어가 이 배색기법을 가장 잘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색상 T, 포화도 S, 암도 D의 속성으로 표시하는 색체계는?

  1. DIN 색체계
  2. NCS 색체계
  3. JIS 색체계
  4. CIE 색체계
(정답률: 68%)
  • DIN 색체계는 색상, 포화도, 암도의 세 가지 속성을 이용하여 색을 표시하는 색체계입니다. 이러한 속성들은 색의 인식과 구분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DIN 색체계는 색의 정확한 표현을 위해 사용됩니다. NCS 색체계는 색의 질감을 고려하여 색을 표시하는 색체계이고, JIS 색체계는 일본 산업 표준화 기구에서 개발한 색체계입니다. CIE 색체계는 광의 파장과 색의 밝기를 고려하여 색을 표시하는 색체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먼셀 색체계에서 가장 높은 채도 단계를 가진 색상은?

  1. 5RP
  2. 5BG
  3. 5YR
  4. 5GY
(정답률: 57%)
  • 먼셀 색체계에서 채도는 2단계부터 9단계까지 나뉘며, 숫자가 높을수록 더 높은 채도를 가집니다. 따라서 "5YR"은 "5RP", "5BG", "5GY"보다 높은 채도를 가지므로 가장 높은 채도 단계를 가진 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