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리스트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4-28)

컬러리스트기사
(2018-04-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색채심리 마케팅

1. 색채의 공감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의 농담과 색조에서 색의 촉감을 느낄 수 있다.
  2. 소리의 높고 낮음은 색의 명도, 채도에 의해 잘 표현된다.
  3. 좋은 냄새의 색들은 light tone의 고명도 색상에서 느껴진다.
  4. 쓴맛은 순색과 관계가 있고, 채도가 낮은 색에서 느껴진다.
(정답률: 60%)
  • "쓴맛은 순색과 관계가 있고, 채도가 낮은 색에서 느껴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쓴맛은 순색과는 관계가 없으며, 채도가 높은 색에서 느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소비자가 구매 후 자신의 선택에 대하여 불안감 느끼는 것은?

  1. 상표 충성도
  2. 인지 부조화
  3. 내적 탐색
  4. 외적 탐색
(정답률: 68%)
  • 소비자가 구매 후 자신의 선택에 대하여 불안감을 느끼는 것은 "인지 부조화"이다. 이는 소비자가 구매 전에 가지고 있던 기대와 실제 구매한 제품의 성능, 가격, 품질 등이 일치하지 않아서 생기는 불일치감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지 부조화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낮추고, 재구매 의사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외부지향적 소비자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1. 기능성
  2. 경제성
  3. 소속감
  4. 심미감
(정답률: 62%)
  • 외부지향적 소비자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소속감"이다. 외부지향적 소비자는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며 자신을 인식하고 평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소속감을 느끼는 제품이나 브랜드를 선택하게 된다. 이는 자신이 속한 집단이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자아실현과 자아확장에도 연결된다. 따라서 소속감을 느끼게 해주는 제품이나 브랜드는 외부지향적 소비자에게 매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시장세분화의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유통가능성, 접근가능성, 실질성, 실행가능성
  2. 유통가능성, 안정성, 실질성, 실행가능성
  3. 색채선호성, 계절기후성, 실질성, 실행가능성
  4. 측정가능성, 접근가능성, 실질성, 실행가능성
(정답률: 33%)
  • 시장세분화를 위해서는 고객들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측정가능성이 필요합니다. 또한, 고객들이 제품이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접근가능성이 필요합니다. 또한, 제품이나 서비스가 고객들의 실질적인 요구를 충족시켜야 하므로 실질성이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실행가능성이 있어야 시장세분화가 실제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측정가능성, 접근가능성, 실질성, 실행가능성"이 옳은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사용된 색에 따라 우울해 보이거나 따뜻해 보이거나 고가로 보이는 등의 심리적 효과는?

  1. 색의 간섭
  2. 색의 조화
  3. 색의 연상
  4. 색의 유사성
(정답률: 80%)
  • 색의 연상은 사용된 색이 우리에게 떠오르는 이미지나 감정을 연상시키는 효과입니다. 예를 들어 파란색은 바다나 하늘과 연관되어 시원하고 청량감을 느끼게 하며, 빨간색은 열정적이고 활기찬 느낌을 줍니다. 이러한 색의 연상 효과는 우울해 보이거나 따뜻해 보이거나 고가로 보이는 등의 심리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눈의 긴장과 피로를 줄여주고 사고나 재해를 감소시켜 주는데 적합한 색은?

  1. 산호색
  2. 감청색
  3. 밝은 톤의 노랑
  4. 부드러운 톤의 녹색
(정답률: 83%)
  • 부드러운 톤의 녹색은 자연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색으로, 심리적으로 안정감과 평화감을 주는 색이다. 이에 따라 눈의 긴장과 피로를 줄여주고 사고나 재해를 감소시켜 주는데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지역색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자연환경
  2. 토양
  3. 건물색
  4. 유행색
(정답률: 77%)
  • 지역색은 자연환경, 토양, 건물색 등 지역적인 요소들에 영향을 받지만, 유행색은 시간적인 요소로서 현재 유행하는 색상이므로 지역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색채기호 조사분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소비자의 색채 감성을 파악하는 것.
  2. 상품의 이미지에 의한 구매 경향을 조사하는 것
  3. 가격에 의한 제품의 구매 특성을 조사하는 것
  4. 성별, 연령별, 지역별 색채 기호 유형을 조사하는 것
(정답률: 83%)
  • 가격에 의한 제품의 구매 특성을 조사하는 것은 색채기호 조사분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주제이기 때문입니다. 색채기호 조사분석은 소비자의 색채 감성과 상품 이미지에 따른 구매 경향, 그리고 성별, 연령별, 지역별 색채 기호 유형 등을 조사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색채선호와 관련된 일반적인 설명 중 틀린 것은?

  1. 남성들은 파랑과 같은 특정한 색에 편중된 색채선호를 보이고, 여성들은 비교적 다양한 색채선호를 갖는다.
  2. 어린 아이들은 빨강과 노랑 등 난색계열을 선호한다.
  3. 여러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색은 파랑이다.
  4. 대부분 아프리카 문화권의 선호색 원리는 서양식의 색채 선호 원리와 비슷하다.
(정답률: 66%)
  • 정답은 "대부분 아프리카 문화권의 선호색 원리는 서양식의 색채 선호 원리와 비슷하다." 이다. 이 설명은 틀린 것이다. 아프리카 문화권에서는 서양과는 다른 색채 선호 원리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남성들은 빨강과 검정색을 선호하고, 여성들은 주로 노랑과 주황색을 선호한다. 또한, 아프리카 문화권에서는 색채의 의미와 상징성이 서양과는 다르게 해석되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소비자의 컬러 소비 형태를 조사하고자 한다. 시장세분화를 위한 생활유형연구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할 때 적합한 방법은?

  1. AIO법
  2. SWOP법
  3. VALS법
  4. AIDMA 법
(정답률: 38%)
  • VALS법은 소비자의 가치관, 태도, 행동양식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소비자를 8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시장세분화를 할 수 있으며, 생활유형에 따라 마케팅 전략을 세울 수 있다. AIO법은 소비자의 활동, 관심사,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이고, SWOP법은 소비자의 구매결정과정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AIDMA법은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 중에서 VALS법이 가장 적합한 이유는, 생활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가치관과 행동양식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소비자의 선호도와 구매패턴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색채정보 분석방법 중 의미의 요인분석에 주요 요인이 아닌것은?

  1. 평가차원(Evaluation)
  2. 역능차원(Potency)
  3. 활동차원(Activity)
  4. 지각차원(Perception)
(정답률: 42%)
  • 색채정보 분석방법 중 의미의 요인분석에서 주요 요인은 평가차원, 역능차원, 활동차원이다. 이들은 색채의 감정적인 평가, 힘과 활동성, 그리고 색채의 활용 가능성 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인들이다. 반면에 지각차원은 색채의 물리적인 특성과 관련된 것으로, 색채의 밝기, 채도, 색조 등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지각차원은 의미의 요인분석에서 주요 요인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색채 이미지의 수량적 척도화를 위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사 방법은?

  1. 의미분화법(SD법)
  2. 브레인스토밍법
  3. 가치진단법
  4. 매트릭스법
(정답률: 78%)
  • 의미분화법(SD법)은 색채 이미지의 수량적 척도화를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이미지를 구성하는 색채들을 각각의 의미로 분류하고, 그 의미에 따라 점수를 매기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이미지의 색채적 특성을 수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시장 세분화 기준의 분류가 잘못된 것은?

  1. 지리적변수 - 지역, 인구밀도
  2. 심리적 변수 - 생활환경, 종교
  3. 인구학적 변수 - 소득, 직업
  4. 행동분석적 변수 - 사용경험, 브랜드 충성도
(정답률: 54%)
  • 심리적 변수인 생활환경과 종교는 시장 세분화를 위한 분류 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개인의 심리적인 성향이나 선호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변수를 기준으로 시장을 세분화하면, 유사한 성향이나 선호도를 가진 고객들을 묶어내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제품 포지셔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품마다 소비자들에게 인지되는 속성의 위치가 존재한다.
  2. 특정 제품의 확고한 위치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을 돕는다.
  3. 경쟁 환경의 변화에도 항상 고정된 위치를 유지해야 한다.
  4. 세분화된 시장의 요구에 따른 차별적인 위치설정이 효과적이다.
(정답률: 85%)
  • "경쟁 환경의 변화에도 항상 고정된 위치를 유지해야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제품 포지셔닝은 경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조정되어야 하며, 시장의 변화와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적절한 위치를 찾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색채와 음악을 연결한 공감각의 이용하여 브로드웨이 부기우기(Broadway Boogie Woogie) 라는 작품을 제작한 작가는?

  1. 요하네스 이텐(Johaness Itten)
  2. 몬드리안(Mondrian)
  3. 카스텔(Castel)
  4. 모리스 데리베레(Maurice Deribere)
(정답률: 56%)
  • 몬드리안은 색채와 형태를 단순화하여 추상화한 작품을 만들어내는 화가였습니다. 그는 브로드웨이 부기우기라는 작품에서도 색채와 형태를 단순화하여 격자무늬와 원형을 이용하여 구성하였습니다. 이 작품은 뉴욕의 번화가인 브로드웨이의 도시적인 모습을 추상화한 것으로, 색채와 형태를 이용하여 도시의 활기찬 분위기를 표현하고자 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파랑의 문화적 의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민주주의를 상징한다.
  2. 현대 남성복을 대표하는 색이다.
  3. 중세시대 권력의 색채이다.
  4. 비(非)노동을 상장하는 색채이다.
(정답률: 53%)
  • "비(非)노동을 상장하는 색채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파란색은 일반적으로 노동과 직결되는 색으로 여겨지며, 일부 문화에서는 신념, 진리, 충성, 자유, 평화 등의 가치를 상징하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색채마케팅의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고객만족과 경쟁력 강화
  2. 기업과 제품을 인식하여 호감도 증가
  3. 소비자의 시각을 자극하여 수요를 창출
  4. 소비자의 1차적인 욕구충족을 통한 기업만족
(정답률: 77%)
  • 색채마케팅은 기업과 제품을 소비자에게 더욱 인식시키고 호감도를 증가시켜 수요를 창출하며, 이를 통해 고객만족과 경쟁력을 강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소비자의 1차적인 욕구충족을 통한 기업만족"은 색채마케팅의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에서 설명하는 표본추출방법은?

  1. 랜덤 샘플링(random sampling)
  2. 층화 샘플링(stratified sampling)
  3. 군집 샘플링(cluster sampling)
  4. 2단계 샘플링(two-stage sampling)
(정답률: 46%)
  • 이 그림은 각 층(stratum)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층화 샘플링(stratified sampling) 방법을 보여줍니다. 각 층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므로 랜덤 샘플링(random sampling)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마케팅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마케팅이란 자기 회사 제품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2. 산업 제품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까지 전달되는 모든 과정과 관련된다.
  3. 시대에 따른 유행이나 스타일과는 관계가 없다.
  4. 산업 제품을 대량생산 하는 것을 마케팅이라고 한다.
(정답률: 81%)
  • 마케팅은 제품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까지 전달되는 모든 과정과 관련된다는 것은 제품을 만들고 판매하는 과정에서 제품의 개발, 가격, 판매, 홍보 등 모든 측면을 다루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색상과 추상적 연상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빨강 - 강렬, 위험
  2. 주황 - 따뜻함, 쾌활
  3. 초록 - 희망, 안전
  4. 보라 - 진정, 침정
(정답률: 72%)
  • 보라색은 일반적으로 진정과 침정을 상징하는 색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빨강색은 강렬하고 위험한 이미지를, 주황색은 따뜻하고 쾌활한 이미지를, 초록색은 희망과 안전한 이미지를 상징합니다. 따라서 보라색과 진정, 침정의 연결은 올바르게 이루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디자인

21. 색채 디자인에 있어서 주조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체의 30% 미만을 차지하는 색이다.
  2. 인테리어, 패션, 산업디자인 등의 주조색은 고채도여야 한다.
  3. 주조색을 선정할 때는 재료, 대상, 목적 등을 고려하여야한다.
  4. 주조색은 보조색보다 나중에 결정한다.
(정답률: 79%)
  • 주조색은 디자인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재료, 대상, 목적 등을 고려하여 선정해야 한다. 이를 통해 디자인의 일관성과 조화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하는 재료나 대상에 따라 적합한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주조색을 선정할 때는 재료, 대상, 목적 등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 )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단어는?

  1. 데생(Dessin)
  2. 디세뇨(Disegno)
  3. 플래이닝(Planning)
  4. 데시나레(Designare)
(정답률: 51%)
  • 이미지에 나타난 그림은 디자인과 관련된 것이므로, "데시나레(Designare)"가 정답이다. "데생(Dessin)"은 프랑스어로 그림을 뜻하며, "디세뇨(Disegno)"는 이탈리아어로 그림을 뜻한다. "플래이닝(Planning)"은 계획을 뜻하므로 디자인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절대주의(Suprematism)의 대표적인 러시아 예술가는?

  1. 칸딘스키(W. Kandinsky)
  2. 마티스(Henri Matisse)
  3. 몬드리안(P. Mondrian)
  4. 말레비치(K. Malevich)
(정답률: 39%)
  • 절대주의는 형태와 색상의 순수성을 강조하는 미술 운동으로, 이를 대표하는 러시아 예술가는 말레비치입니다. 말레비치는 1915년에 "검은 사각형" 작품을 발표하여 절대주의의 대표작으로 인정받았습니다. 이 작품은 형태와 색상의 순수성을 극대화한 것으로, 이후 말레비치는 다양한 형태와 색상의 순수성을 강조하는 작품을 발표하며 절대주의 운동을 이끌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광고가 집행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상황분석 → 광고기본전략 → 크리에이티브 전략 → 매체전략 → 평가
  2. 상황분석 → 광고기본전략 → 매체전략 → 크리에이티브 전략 → 평가
  3. 상황분석 → 매체전략 → 광고기본전략 → 크리에이티브 전략 → 평가
  4. 크리에이티브 전략 → 매체전략 → 상황 분석 → 광고기본전략 → 평가
(정답률: 41%)
  • 광고를 집행하기 전에는 먼저 상황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광고의 기본 전략을 수립합니다. 이후에는 크리에이티브 전략을 세우고, 이를 토대로 매체 전략을 결정합니다. 마지막으로는 광고의 효과를 평가합니다. 따라서 "상황분석 → 광고기본전략 → 크리에이티브 전략 → 매체전략 → 평가"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색은 상품 판매 전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활용되는 색채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억성 증가
  2. 시인성 향상
  3. 연색성 증가
  4. 가독성 향상
(정답률: 48%)
  • 연색성 증가는 색상의 조화를 높여서 상품이나 브랜드의 인상을 더욱 강화시키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상품 판매 전략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효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질을 추구하면서도 동시에 대량생산에 대한 양을 긍정하여 근대디자인이 탄생하는 계기가가 된 것은?

  1. 미술공예운동
  2. 독일공작연맹
  3. 런던 만국박람회
  4. 시세션
(정답률: 55%)
  • 독일공작연맹은 질을 추구하면서도 대량생산에 대한 양을 긍정하는 이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근대디자인이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는 미술공예운동과 함께 런던 만국박람회에서 선보인 제품들과 시세션에서의 실험적인 작업들과는 차별화된 특징이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디자인 사조들이 대표적으로 사용하였던 색채의 경향이 틀린것은?

  1. 옵아트는 색의 원근감, 진출감을 흑과 백 또는 단일 색조를 강조하여 사용한다.
  2. 미래주의는 기하학적 패턴과 잘 조화되어 단순하면서도 세련된 느낌을 준다.
  3. 다다이즘은 화려한 면과 어두운 면을 동시에 갖고 있으면서, 극단적인 원색대비를 사용하기도 한다.
  4. 데스틸은 기본 도형적 요소와 삼원색을 활용하여 평면적 표현을 강조한다.
(정답률: 30%)
  • 다다이즘은 화려한 면과 어두운 면을 동시에 갖고 있으면서, 극단적인 원색대비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미래주의와는 다른 경향이다. 미래주의는 기하학적 패턴과 단순하면서도 세련된 느낌을 주는 색채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디자인 매체에 따른 색채 전략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픽토그램 - 단순하고 명료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2. 실내디자인 - 각 요소의 형태, 재질과 균형을 맞추어 질서 있게 연출하여야 한다.
  3. 슈퍼 그래픽 - 제품의 이미지 및 전체 분위기를 잘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4. B.I - 브랜드의 특성을 알려주고 차별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64%)
  • 다른 매체들은 정보 전달이나 디자인적인 요소에 초점을 둔 반면, 슈퍼 그래픽은 제품의 이미지와 분위기를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색채 전략도 이를 반영하여 제품의 이미지와 분위기를 잘 나타낼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디자인의 조형적 기본요소가 아닌 것은?

  1. 형태
  2. 질감
  3. 재료
(정답률: 72%)
  • 재료는 디자인의 조형적 기본요소가 아닙니다. 디자인의 형태, 색, 질감은 디자인을 구성하는 중요한 조형적 요소이지만, 재료는 디자인을 구성하는 물질적인 요소로서 디자인의 형태, 색, 질감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재료는 디자인의 조형적 기본요소가 아니라 디자인을 구성하는 물질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색채조절의 사항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비렌, 체스킨
  2. 미적효과, 감각적 배색
  3. 색채관리, 색채조화
  4. 안전 확보, 생산효율 등대
(정답률: 21%)
  • 정답은 "안전 확보, 생산효율 등대"입니다.

    미적효과는 디자인적으로 아름다운 효과를 말하며, 감각적 배색은 색상을 조합하여 감각적으로 인상적인 효과를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색채조절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안전 확보와 생산효율 등대는 색채조절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공의 장점을 살리되, 예술작품처럼 한 점만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양산(量産)이 가능하도로 설계, 제작하는 생활조형 디자인의 총을 의미하는 것은?

  1. 크라프트 디자인(Craft Design)
  2. 오가닉 디자인(Organic Design)
  3. 어드밴스 디자인(Advanced Design)
  4. 미니멀 디자인(Minimal Design)
(정답률: 49%)
  • 크라프트 디자인은 수공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어느 정도의 양산이 가능하도록 설계, 제작하는 생활조형 디자인의 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오가닉 디자인, 어드밴스 디자인, 미니멀 디자인은 수공의 장점을 살리는 것보다는 각각 유기농적인 디자인, 고급스러운 디자인, 최소주의적인 디자인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디자인의 조형예술 측면의 역사적 발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구석기 시대에는 주로 디자인의 아름다움과 실용성을 강조하였다.
  2. 인도에서는 실용성있는 거대한 토목사업로 건축예술을 승화시켰다.
  3. 르네상스운동은 갑골문자, 불교의 융성과 함께 문화를 발전시켰다.
  4. 유럽 중세문화에서는 종교적 감성을 표현한 건축양식이 발전하였다.
(정답률: 76%)
  • 유럽 중세문화에서는 종교적 감성을 표현한 건축양식이 발전하였다. - 중세 유럽에서는 기독교 교회 건축물이 중심이 되어 종교적 감성을 표현한 건축양식이 발전하였습니다. 이는 곧 조형예술의 발전으로 이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사물을 지각할 때 불완전한 형태나 벌어진 도형들의 집단을 완전한 형태들의 집단으로 지각하려는 경향이 있는 시지각의 원리는?

  1. 폐쇄성
  2. 근접성
  3. 지속성
  4. 연상성
(정답률: 70%)
  • 이것은 폐쇄성 원리이다. 이는 우리가 불완전한 형태나 벌어진 도형들의 집단을 완전한 형태들의 집단으로 지각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의 뇌가 불완전한 정보를 보완하려는 자연스러운 경향 때문이며, 이러한 경향은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고 인식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중 디자인의 기본조건이 아닌 것은?

  1. 합목적성
  2. 심미성
  3. 복합성
  4. 경제성
(정답률: 64%)
  • 복합성은 디자인의 기본조건이 아닙니다. 복합성은 디자인의 특성 중 하나로, 다양한 요소들을 조합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를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디자인의 기본조건은 합목적성, 심미성, 경제성으로, 디자인이 목적에 맞게 기능하며, 미적으로 아름다우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경제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시각 디자인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시각 디자인의 역할은 의미전달보다는 감성적 만족을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2. 시각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색채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디자인 요소이다.
  3. 시각 디자인은 일차적으로 시각적 흥미를 불러 일으킬 필요가 있다.
  4. 시각 디자인의 매체는 인쇄매체에서 점차 영상매체로 확대되고 있다.
(정답률: 79%)
  • "시각 디자인의 역할은 의미전달보다는 감성적 만족을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 내용이 틀린 것이다. 시각 디자인은 의미전달과 감성적 만족을 모두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디자인이 의미전달을 못하면 그 디자인은 실패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환경 디자인의 분류와 그 설명이 틀린 것은?

  1. 도시계획 - 국토계획 뿐 아니라 농어촌계획 지역계획까지도 포함한다.
  2. 조경 디자인 - 건축물의 표면에 그래픽적 의미를 부여하여 도시환경을 개선한다.
  3. 건축 디자인 - 주생활 환경을 인간이 조형적으로 종합 구성한 유기체적 조직체이다.
  4. 실내 디자인 - 건축물의 내부를 그 쓰임에 따라 아름답게 꾸미는 일이다.
(정답률: 64%)
  • 정답은 "조경 디자인 - 건축물의 표면에 그래픽적 의미를 부여하여 도시환경을 개선한다." 이다. 조경 디자인은 건축물 주변의 공간을 디자인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건축물의 표면에 그래픽적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건축 디자인의 일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디자인의 목적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디자인은 실용적이고 미적인 조형의 형태를 개발하는 것이다.
  2. 디자인은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하여 즉흥적이고 무의식적인 조형의 방법을 개발하고 무의식적인 조형의 방법을 개발하고 연구하는 것이다.
  3. 디자인은 사용하기 쉽고, 편리하며, 아름다운 생활환경을 창조는 조형행위이다.
  4. 디자인은 일련의 목적을 마음에 두고, 이의 실천을 위하여 세우는 일련의 행위 개념이다.
(정답률: 62%)
  • "디자인은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하여 즉흥적이고 무의식적인 조형의 방법을 개발하고 무의식적인 조형의 방법을 개발하고 연구하는 것이다." 이것이 목적과 관련이 없는 것은 없다. 다른 보기들은 디자인의 목적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지만, 이 보기는 디자인의 목적을 아름다움 추구로 규정하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모형의 종류 중 디자인 과정 초기 개념화 단계에서 형태감과 비례파악을 위해 만드는 모형은?

  1. 스터디 모형(study model)
  2. 작동 모형(working model)
  3. 미니어쳐 모형(miniature model)
  4. 실적 모형(full scale model)
(정답률: 44%)
  • 스터디 모형은 디자인 과정 초기에 형태감과 비례를 파악하기 위해 만드는 모형으로, 실제 작동하지 않고 단순히 형태와 비례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작동 모형과는 달리 기능적인 측면보다는 디자인적인 측면에 중점을 둡니다. 미니어쳐 모형은 작은 크기의 모형으로 제작되며, 주로 전시나 교육용으로 사용됩니다. 실적 모형은 실제 크기로 제작된 모형으로, 제품의 성능이나 디자인 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건축 디자인의 일반적인 프로세스는?

  1. 기획 → 기본계획 → 기본설계 → 실시설계 → 감리
  2. 기획 → 기본설계 → 조사 → 실시설계 → 감리
  3. 기본계획 → 기획 → 기본설계 → 실시설계 → 감리
  4. 조사 → 기획 → 실시설계 → 기본설계 → 감리
(정답률: 51%)
  • 건축 디자인의 일반적인 프로세스는 "기획 → 기본계획 → 기본설계 → 실시설계 → 감리" 이다. 이는 먼저 기획 단계에서 프로젝트의 목적과 필요성을 파악하고, 기본계획 단계에서는 대략적인 디자인 아이디어와 공간 계획을 수립한다. 그 다음 기본설계 단계에서는 디자인의 상세한 내용을 결정하고, 실시설계 단계에서는 구체적인 시공 계획과 자재 등을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감리 단계에서는 시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최종 완성된 건축물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검토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일상생활 동구로서 실용 목적을 가진 디자인 행위와 관련이 있는 분야는?

  1. 시각 디자인
  2. 제품 디자인
  3. 환경 디자인
  4. 실내 디자인
(정답률: 78%)
  • 제품 디자인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제품들을 디자인하는 분야로, 실용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품 디자인은 제품의 기능성과 사용성을 고려하여 디자인하며, 디자인적인 아름다움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제작됩니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실용적인 목적을 가진 디자인 행위와 관련이 있는 분야는 제품 디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색채관리

41. 도료의 전색제 중 합성수지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페놀 수지
  2. 요소 수지
  3. 셸락 수지
  4. 멜라민 수지
(정답률: 40%)
  • 셸락 수지는 유기화학적으로 다른 합성수지와 구조가 매우 다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다른 합성수지들은 대부분 페놀, 요소, 멜라민 등의 화학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셸락 수지는 폴리에스터나 폴리우레탄 등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셸락 수지는 다른 합성수지들과는 화학적으로 구분되며, 다른 종류의 용도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색채 측정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측정 시 시료의 오염은 측정값에 오류를 가져올 수 있다.
  2. 낮아진 계측기의 정확성은 교정을 통하여 확보할 수 있다.
  3. 분광 광도계의 적분구 내부는 정확도와 무관하다.
  4. 계측기는 측정 전 충분히 켜두어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70%)
  • "분광 광도계의 적분구 내부는 정확도와 무관하다."가 틀린 것이다. 분광 광도계의 적분구 내부는 정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적분구의 크기와 형태가 측정값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적분구의 크기와 형태를 규정하고 교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이 색온도와 관련된 용어들 중 설명이 틀린 것은?

  1. 색온도 - 완전 복사체의 색도를 그것의 절대 온도로 표시한 것
  2. 분포 온도 - 완전 복사체의 상대 분광 분포와 동등하거나 또는 근사적으로 동등한 시료 복사의 상대 분광 분포의 1차원적 표시로서, 그 시료 복사에 상대 분광분포가 가장 근사한 완전 복사체의 절대 온도로 표시한 것
  3. 상관 색온도 - 완전 복사체의 색도와 근사하는 시료 복사의 색도 표시로, 그 시료 복사에 색도가 가장 가까운 완전 복사체의 절대 온도로 표시한 것. 이때 사용하는 색 공간은 CIE 1931 x, y를 적용한다.
  4. 역수 상관 색온도 - 상관 색 온도의 역수
(정답률: 50%)
  • 설명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모든 용어들의 설명이 정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육안조색 시 자연주광 조명에 의한 색 비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북반구에서의 주광은 북창을 통해서 확산된 광을 사용한다.
  2. 붉은 벽돌 벽 또는 초록의 수목과 같은 진한 색의 물체에서 반사하지 않는 확산 주광을 이용해야 한다.
  3. 시료면의 범위보다 넓은 범위를 균일하게 조명해야 한다.
  4. 적어도 4000lx의 조도가 되어야 한다.
(정답률: 56%)
  • "북반구에서의 주광은 북창을 통해서 확산된 광을 사용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북반구에서의 자연주광은 태양으로부터 직접 비추는 광이며, 북창을 통해 들어오는 광은 인공조명이다. 따라서 자연주광 조건에서는 북창을 통해 들어오는 광을 사용하지 않는다.

    적어도 4000lx의 조도가 되어야 하는 이유는 시료의 색상을 정확하게 비교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밝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조도가 낮으면 시료의 색상이 흐릿하게 보이거나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4000lx의 조도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이미지 센서가 컬러를 나누는 기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Bayer Filter Senior
  2. Foveon Sensor
  3. Flat Panel Sensor
  4. 3CCD
(정답률: 26%)
  • Flat Panel Sensor는 컬러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모든 픽셀이 RGB 컬러 정보를 동시에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각각의 픽셀이 하나의 색상 정보만을 수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염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투명성이 뛰어나다.
  2. 유기물이이다.
  3. 물에 가라앉는다.
  4. 물체와의 친화력이 있다.
(정답률: 41%)
  • "물에 가라앉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염료는 물에 용해되어 분산되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물에 가라앉지 않습니다. 오히려 물에 녹아서 색을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모니터에서 삼원색의 가법혼색으로 만들어지는 모든 색을 포함하는 색공간 내의 재현 영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색입체(color solid)
  2. 스펙트럼 궤적(spectrum locus)
  3. 완전 복사체 궤적(planckian locus)
  4. 색영역(color gamut)
(정답률: 61%)
  • 색영역(color gamut)은 모니터에서 삼원색의 가법혼색으로 만들어지는 모든 색을 포함하는 색공간 내의 재현 영역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색공간 내의 특정한 경로나 궤적을 나타내는 용어이지만, 색영역은 색공간 내에서 실제로 재현 가능한 모든 색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색영역(color gamu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컬러 잉크젯 프린터의 재현 색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용지의 크기
  2. 프린터 드라이버의 설정
  3. 용지의 종류
  4. 잉크의 종류
(정답률: 67%)
  • 용지의 크기는 컬러 잉크젯 프린터의 재현 색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프린터 드라이버의 설정은 인쇄 품질과 색상에 영향을 미치며, 용지의 종류와 잉크의 종류는 색상의 선명도와 채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용지의 크기는 인쇄물의 크기와 관련이 있지만 색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형광 물체색 측정에 필요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조명 및 수광의 기하학적 조건은 원칙적으로 45° 조명 및 0° 수광 또는 0° 조명 및 45° 수광을 따른다.
  2. 분광 측색 방법에서는 단색광 조명 또는 분광 관측에서 유효 파장폭 및 측정 파장 간격은 원칙적으로 1nm 혹은 2nm로 한다.
  3. 측정용 광원은 300nm 미만의 파장역에는 복사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표준 백색판은 시료면 조명광으로 조명했을 때 형광을 발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32%)
  • "측정용 광원은 300nm 미만의 파장역에는 복사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가 틀린 것이다. 형광 물체의 측정에서는 측정용 광원이 형광 물질을 자극하여 발광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측정용 광원은 형광 물질이 흡수하는 파장대역에 대한 복사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측정용 광원은 300nm 미만의 파장대역에 대한 복사가 있어도 무방하다.

    "분광 측색 방법에서는 단색광 조명 또는 분광 관측에서 유효 파장폭 및 측정 파장 간격은 원칙적으로 1nm 혹은 2nm로 한다."의 이유는, 형광 물질의 스펙트럼은 매우 좁은 파장대역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좁은 파장대역에서 측정을 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유효 파장폭과 측정 파장 간격을 좁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명 및 수광의 기하학적 조건은 원칙적으로 45° 조명 및 0° 수광 또는 0° 조명 및 45° 수광을 따른다."의 이유는, 형광 물질은 조명광을 받아 발광하는데, 조명광과 수광의 기하학적 조건이 다르면 발광량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명과 수광의 기하학적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측정을 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표준 백색판은 시료면 조명광으로 조명했을 때 형광을 발하지 않아야 한다."의 이유는, 표준 백색판은 형광 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시료와 같은 방식으로 조명을 하더라도 형광을 발하지 않아야 한다. 이를 통해, 측정 결과에서 표준 백색판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단 한 번의 컬러 측정으로 표준광 조건에서의 CIELAB값을 얻을 수 있는 장비는?

  1. 분광복사계
  2. 조도계
  3. 분광광도계
  4. 광택계
(정답률: 66%)
  • 분광광도계는 색의 밝기, 채도, 색상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로, 특정 파장의 빛을 샘플에 비추어 반사되는 빛의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CIELAB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 한 번의 컬러 측정으로 표준광 조건에서의 CIELAB값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장비는 분광광도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육안조색과 CCM 장비를 이용한 조색의 관계에 대해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육안조색은 CCM을 이용한 조색보다 더 정확하다.
  2. CCM 장비를 이용한 조색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정확한 색료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다.
  3. 육안조색으로도 무조건등색을 실현할 수 있다.
  4. CCM 장비는 가법 혼합 방식에 기반한 조색에 사용한다.
(정답률: 67%)
  • CCM 장비를 이용한 조색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정확한 색료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다. 이는 CCM 장비가 가법 혼합 방식에 기반한 조색에 사용되기 때문이다. 육안조색은 CCM을 이용한 조색보다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육안조색으로도 무조건등색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KS C 0074에서 정의된 측색용 보조 표준광이 아닌 것은?

  1. D0
  2. D60
  3. D75
  4. B
(정답률: 34%)
  • KS C 0074에서는 측색용 보조 표준광으로 D65, D50, A, F2, F11 등을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D60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D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광원의 색 특성과 관련된 용어가 아닌 것은?

  1. 백색도(whiteness)
  2. 상관색온도(correlated color temperature)
  3. 연색성(color rendering properties)
  4. 완전 복사체(planckian radiator)
(정답률: 20%)
  • 백색도(whiteness)는 광원이 얼마나 백색에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용어이며, 다른 세 가지 용어는 광원의 색 특성과 관련된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측색 장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시감 색채계 - 광전 수광기를 사용하여 분광 특성을 측정
  2. 분광 광도계 - 물체의 분광 반사율, 분광 투과율 등을 파장의 함수로 측정
  3. 분광 복사계 - 복사의 분광 분포를 파장의 함수로 측정
  4. 색채계 - 색을 표시하는 수치를 측정
(정답률: 50%)
  • 시감 색채계는 광전 수광기를 사용하여 분광 특성을 측정하는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잘못된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입력 색역에서 표현된 색이 출력 색역에서 재현불가할 때 ICC에서 규정한 렌더링 의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지각적(perceptual) 렌더링은 전체 색간의 관계는 유지하면서 출력 색역으로 색을 압축한다.
  2. 채도(saturation) 렌더링은 입력측의 채도가 높은 색을 출력에서도 채도가 높은 색으로 변환한다.
  3. 상대색도(relative colorimetric) 렌더링은 입력의 흰색을 출력의 흰색으로 매핑하며, 전체 색간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출력 색역으로 색을 압축한다.
  4. 절대색도(absolute colorimetric) 렌더링은 입력의 흰색을 출력의 흰색으로 매핑하지 않는다.
(정답률: 28%)
  • "채도(saturation) 렌더링은 입력측의 채도가 높은 색을 출력에서도 채도가 높은 색으로 변환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채도 렌더링은 입력의 채도를 유지하면서 출력 색역으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채도를 조절하여 출력 색역에 맞게 변환하는 것이다. 따라서 입력의 채도가 높은 색이 출력에서도 채도가 높은 색으로 변환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유한한 면적을 갖고 있는 발광면의 밝기를 나타내는 양을 의미하는 용어는?

  1. 휘도
  2. 비시감도
  3. 색자극
  4. 순도
(정답률: 69%)
  • 휘도는 발광면에서 발산되는 빛의 양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즉, 유한한 면적을 갖고 있는 발광체의 밝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비시감도는 눈이 인식하는 빛의 밝기에 대한 민감도를 나타내는 용어이며, 색자극은 빛의 색상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순도는 한 가지 색상으로 이루어진 빛의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발광면의 밝기를 나타내는 용어는 휘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모니터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4K 해상도는 4096×2160의 해상도를 의미한다.
  2. 400ppi의 모미터는 500ppi의 스마트폰보다 해상도가 높다.
  3. 동일한 크기의 화면에서 FHD는 UHD보다 해상도가 높다.
  4. 동일한 크기의 화면에서 4K 해상도의 화소수는 2K 해상도의 2배이다.
(정답률: 31%)
  • 4K 해상도는 4096×2160의 해상도를 의미한다. 이는 가로 4096픽셀, 세로 2160픽셀로 이루어진 해상도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표면색의 육안 검색 환경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인 색 비교를 위해서는 자연주광 또는 인공주광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2. 자연주광에서의 비교에서는 1000lx가 적합하다.
  3. 어두운 색 비교를 위한 작업면의 조도는 4000lx에 가까운 것이 좋다.
  4. 색 비교를 위한 부스의 내부는 먼셀 명도 N4~N5로 한다.
(정답률: 26%)
  • "자연주광에서의 비교에서는 1000lx가 적합하다."가 틀린 것이다. 자연주광에서의 비교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5000lx 이상의 조도가 필요하다. 1000lx는 너무 어둡기 때문에 색상의 정확도를 보장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컬러 모델(Color Model)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원료의 종류(색료 또는 빛)에 따라 달라진다.
  2. 재현성(reproducibility)을 가져야 한다.
  3. 원료들을 특정 비율로 섞었을 때 특정 관측환경에서 어떤 컬러로 표현되는가를 예측할 수 있다.
  4. 동일한 CIELAB값을 갖는 색을 만들기 위한 원료 구성 비율은 모든 관측환경 하에서 동일하다.
(정답률: 57%)
  • "동일한 CIELAB값을 갖는 색을 만들기 위한 원료 구성 비율은 모든 관측환경 하에서 동일하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이는 사실이 아닌데, 관측환경에 따라 색상이 다르게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색상을 일관되게 재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관측환경에서 동일한 색상을 보장할 수 있는 색 모델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CIE 표준광 및 광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IE 표준광은 CIE에서 규정한 측색용 표준광으로 A, D5 가 있다.
  2. CIE C광은 2004년 이후 표준광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3. CIE A광은 색온도 2700K의 텅스텐램프이다.
  4. 표준광 D65 는 상관 색온도가 약 6500K인 CIE 주광이다.
(정답률: 28%)
  • "CIE A광은 색온도 2700K의 텅스텐램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CIE A광은 색온도 2856K의 텅스텐램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색채지각론

61. 다음 중 눈의 구조 중 물체의 상이 맺히는 곳은?

  1. 각막(Cornea)
  2. 동공(Pupil)
  3. 망막(Retina)
  4. 수정체(Lens)
(정답률: 64%)
  • 망막은 눈의 후면에 위치하며,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빛이 눈에 들어오면 각막과 수정체를 통과하여 동공을 통해 망막에 도달하게 됩니다. 망막은 빛을 감지하는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세포들은 빛이 맺히는 곳에 따라 신호를 생성하여 뇌로 전달합니다. 따라서 물체의 상이 맺히는 곳은 망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차선을 표시하는 노란색을 밝은 회색의 시멘트 도로 위에 도색하면 시인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도로 위에 도색하면 시인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이 표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 차선표시 주변에 같은 채도의 보색으로 파란색을 칠한다.
  2. 차선표시 주변에 검은 색을 칠한다.
  3. 노란색 도료에 형광제를 첨가시킨다.
  4. 재귀반사율이 높아지도록 작은 유리구슬을 뿌린다.
(정답률: 69%)
  • 차선표시 주변에 검은 색을 칠하는 것은 대비 효과를 높여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밝은 회색의 도로 위에 노란색을 칠하면 대비가 낮아 시인성이 떨어지지만, 검은 색을 주변에 칠하면 노란색과 대비가 높아져 시인성이 향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색채학자와 혼색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맥스웰은 회전원판 실험을 통해 혼색의 원리를 이론화하였다.
  2. 오스트발트는 회전원판에 이용한 혼색을 활용하여 색체계를 구성하였다.
  3. 베졸드는 색필터의 중첩에 의한 색자극의 혼합으로 혼색의 원리를 이론화하였다.
  4. 시냐크는 점묘법으로 채도를 낮추지 않고 중간색을 만들 수 있는 혼색을 보여주었다.
(정답률: 37%)
  • "시냐크는 점묘법으로 채도를 낮추지 않고 중간색을 만들 수 있는 혼색을 보여주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 시냐크는 점묘법으로 채도를 낮추지 않고 중간색을 만들 수 있는 혼색을 보여주었지만, 이는 혼색의 원리를 이론화한 것이 아니라 혼색 기술의 하나입니다. 베졸드는 색필터의 중첩에 의한 색자극의 혼합으로 혼색의 원리를 이론화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점을 찍어가며 그렸던 인상주의 점묘파 화가들의 그림에 영향을 준 색채연구자는?

  1. 헬름홀쯔
  2. 맥스웰
  3. 쉐브럴
  4. 져드
(정답률: 38%)
  • 점묘파 화가들은 색채의 조합과 상호작용을 통해 광과 색의 변화를 표현하였는데, 이러한 색채 연구는 쉐브럴에 의해 발전되었다. 따라서 정답은 "쉐브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공간색(Volume colo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색의 구체적인 지각 표면이 배제되어 거리감이나 입체감 같은 지각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색
  2. 사물이 질감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색으로 거의 불투명도를 가진 물체의 표면에서 느낄 수 있는 색
  3. 투명한 착색액이 투명유리에 들어있는 것을 볼 때처럼 색의 존재감이 그 내부에도 느껴지는 용적색
  4. 거울과 같이 광택이 나는 불투명한 물질의 표면에 나타나는 완전반사에 가까운 색
(정답률: 63%)
  • 정답은 "투명한 착색액이 투명유리에 들어있는 것을 볼 때처럼 색의 존재감이 그 내부에도 느껴지는 용적색"입니다. 이는 용적색의 특징 중 하나로, 색이 물체 내부에 스며들어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정의 잔상(양성적 잔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색자극에 대한 잔상으로 대체로 반대색으로 남는다.
  2. 어두운 곳에서 빨간 성냥불을 돌리면 길고 선명한 빨간 원이 그려지는 현상이다.
  3. 원자극과 같은 정도의 밝기와 반대색의 기미를 지속하는 현상이다.
  4. 원자극이 선명한 파랑이면 밝은 주황색의 잔상이 보인다.
(정답률: 67%)
  • 정의 잔상(양성적 잔상)은 색자극에 대한 잔상으로 대체로 반대색으로 남는 현상이다. 어두운 곳에서 빨간 성냥불을 돌리면 길고 선명한 빨간 원이 그려지는 것은 이러한 정의 잔상의 예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컬러인쇄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작은 망점으로 이루어진 것이 보인다. 이 망점 인쇄의 원리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망점의 색은 노랑, 시안, 빨강으로 되어 있다.
  2. 색이 겹쳐진 부분은 가법혼색의 원리가 적용된다.
  3. 일부 나열된 색에는 병치혼색의 원리가 적용된다.
  4. 인쇄된 형태의 어두운 부분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빨강, 녹색, 파랑을 사용한다.
(정답률: 49%)
  • 망점 인쇄는 가법혼색의 원리에 따라 작은 노랑, 시안, 빨강의 점들이 겹쳐져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색이 겹쳐진 부분은 가법혼색의 원리가 적용된다."가 옳다. 일부 나열된 색에는 병치혼색의 원리가 적용되는데, 이는 인쇄된 색상이 서로 섞이지 않고 옆에 나란히 배치되어 인쇄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일부 나열된 색에는 병치혼색의 원리가 적용된다."가 정답이다. 인쇄된 형태의 어두운 부분을 안정시키기 위해 빨강, 녹색, 파랑을 사용하는 것은 CMYK 색공간에서 K(검정)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는 망점 인쇄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시각을 일으키는 물리적 자극의 범위에 해당하는 파장으로 옳은 것은?

  1. 200~700nm
  2. 200~900nm
  3. 380~780nm
  4. 380~980nm
(정답률: 80%)
  • 시각을 일으키는 물리적 자극은 빛이며, 이는 전자기파의 일종입니다. 인간의 눈은 380~780nm 파장의 빛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만 시각적 자극이 일어납니다. 200~700nm은 이 범위를 벗어나고, 200~900nm과 380~980nm은 인간의 눈이 감지할 수 있는 파장 범위를 넘어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달토니즘(Daltonism)으로 불리는 색각이상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M 추상체의 결핍으로 나타난다.
  2. 제3색약이다.
  3. 추상체 보조장치로 해결된다.
  4. Blue~Green을 보기 어렵다.
(정답률: 39%)
  • 달토니즘은 M추상체의 결핍으로 인해 나타나는 색각이상 현상이다. M추상체는 녹색과 빨간색을 구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추상체의 결핍으로 인해 녹색과 빨간색을 구별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달토니즘은 제3색약으로 분류되며, 추상체 보조장치를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또한, Blue~Green을 보기 어렵다는 것도 달토니즘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영ㆍ헬름홀츠의 색채 지각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망막에는 3종의 색각세포와 세 가지 종류의 신경선의 흥분과 혼합에 의해 다양한 색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2. 4원색을 기본으로 설명하였다.
  3. 동시대비, 잔상과 같은 현상을 설명할 때 유용하다.
  4. 색의 잔상효과와 베졸드 브뤼케 현상 등을 설명하기에 중요한 근거가 되는 학설이다.
(정답률: 41%)
  • 망막에는 3종의 색각세포와 세 가지 종류의 신경선의 흥분과 혼합에 의해 다양한 색이 발생한다는 것이 영ㆍ헬름홀츠의 색채 지각설이다. 이는 색의 인지와 관련된 중요한 학설로, 색의 잔상효과와 베졸드 브뤼케 현상 등을 설명하기에도 중요한 근거가 된다. 4원색을 기본으로 설명하는 다른 학설과는 구분되며, 동시대비, 잔상과 같은 현상을 설명할 때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색의 지각과 감정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멀리 보이는 경치는 가까운 경치보다 푸르게 느껴진다.
  2. 크기와 형태가 같은 물체가 물체색에 따라 진출 또는 후퇴되어 보이는 것에는 채도의 영향이 가장 크다.
  3. 주황색 원피스가 청록색 원피스보다 더 날씬해 보인다.
  4. 색의 삼속성 중 감정효과는 주로 명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정답률: 44%)
  • "멀리 보이는 경치는 가까운 경치보다 푸르게 느껴진다." 이유는 대기 중의 물분자들이 빛을 산란시키는데,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되어 눈에 더 잘 보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교통표지나 광고물 등에 사용될 색을 선정할 때 흰 바탕에서 가장 명시성이 높은 색은?

  1. 파랑
  2. 초록
  3. 빨강
  4. 주황
(정답률: 32%)
  • 흰 바탕에서 가장 명시성이 높은 색은 인간의 시각적인 특성 때문에 "초록"이다. 인간의 눈은 초록색을 인식하는 데 가장 민감하며, 빨강과 파랑보다 더욱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교통표지나 광고물 등에서는 초록색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순응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순응이란 조명조건이 변화함에 따라 수용기의 민감도가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2. 터널 내 조명설치 간격은 명암순응현상과 관련이 있다.
  3. 조도가 낮아지면 시인도는 장파장인 노랑보다 단파장인 파랑이 높아진다.
  4. 박명시는 추상체와 간상체 모두 활동하고 있는 시각상태로 시각적인 정확성이 높다.
(정답률: 57%)
  • "박명시는 추상체와 간상체 모두 활동하고 있는 시각상태로 시각적인 정확성이 높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박명시는 간상체보다는 추상체에 더 높은 시각적인 정확성을 보입니다. 추상체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상상하여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시각적인 정보를 더 많이 활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보색대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상대비 중에서 서로 보색이 되 색들끼리 나타나는 대비효과를 보색대비라고 한다.
  2. 두 색은 서로 영향을 받아 본래의 색보다 채도가 높아지고 선명해진다.
  3. 유채색과 무채색이 인접될 때 무채색은 유채색의 보색기미가 있는 듯이 보인다.
  4. 서로 보색대비가 되는 색끼리 어울리면 채도가 낮아져 탁하게 보인다.
(정답률: 52%)
  • 정답은 "두 색은 서로 영향을 받아 본래의 색보다 채도가 높아지고 선명해진다."이다. 보색대비는 서로 대비가 강하고 선명한 효과를 주는데, 이로 인해 채도가 높아지고 선명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보색대비가 되는 색끼리 어울리면 채도가 낮아져 탁하게 보인다는 설명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채도대비를 활용하여 차분하면서도 선명한 이미지의 패턴을 만들고자 할 때 패턴 컬러인 파랑과 가장 잘 조화되는 배경색은?

  1. 빨강
  2. 노랑
  3. 초록
  4. 회색
(정답률: 47%)
  • 패턴 컬러인 파랑은 차분하면서도 선명한 이미지를 만들어내기에 적합한 색상입니다. 이에 따라 파랑과 잘 어울리는 배경색은 차분하면서도 선명한 이미지를 방해하지 않는 회색이 가장 적합합니다. 빨강, 노랑, 초록은 파랑과 대비가 강해서 이미지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형광작용에 의해 무대나 간판 등의 조명에 주로 활용되는 파장역과 열적작용으로 온열효과에 이용되는 파장역을 단파장에서 장파장의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자외선 - 가시광선 - X 선
  2. 자외선 - 가시광선 - 적외선
  3. 가시광선 - 자외선 - 적외선
  4. 적외선 - X 선 - 가시광선
(정답률: 62%)
  • 자외선은 단파장으로 빛을 발산하여 무대나 간판 등의 조명에 주로 사용되며, 가시광선은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넓은 파장 범위를 가지고 있어서 빛의 색상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적외선은 열을 발산하여 온열효과에 이용되는 파장으로, 인체나 동물의 체온 측정, 열화상 카메라 등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외선 - 가시광선 - 적외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잔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극을 제거한 후에 시각적인 상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2. 자극의 강도가 클수록 잔상의 출현도 강하게 나타난다.
  3. 물체색에 있어서의 잔상은 거의 원래 색상과 보색관계에 있는 보색잔상으로 나타난다.
  4. 원래의 자극에 대해 보색으로 나타나는 것은 양성잔상에 해당 된다.
(정답률: 63%)
  • 원래의 자극에 대해 보색으로 나타나는 것은 양성잔상에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보색잔상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특정색을 바라보다가 흰색 도화지를 응시할 경우 잔상이 나타난다. 이때 잔상이 가장 강하게 느껴지는 색은?

  1. 5R 4/14
  2. 5R 8/2
  3. 5Y 2/2
  4. 5Y 8/10
(정답률: 52%)
  • 잔상은 보는 색의 보색이 나타나기 때문에, 특정색을 바라보다가 흰색 도화지를 응시할 경우 가장 강하게 느껴지는 색은 "5R 4/14"이다. 이는 빨간색 계열의 색상으로, 보색은 초록색 계열의 색상이기 때문이다. "5R 4/14"는 빨간색 계열 중에서도 적색과 주홍색의 중간 쯤에 위치한 색상으로, 보색인 초록색과 대비가 크기 때문에 잔상이 가장 강하게 느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색채혼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색실로 직조된 직물의 색은 병치혼색을 한다.
  2. 색필터를 통한 혼색실험은 가법혼색을 한다.
  3. 컬러인쇄에 사용된 망점의 색점은 병치감법혼색을 한다.
  4. 컬러텔레비전은 병치가법혼색을 한다.
(정답률: 49%)
  • "다색실로 직조된 직물의 색은 병치혼색을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색필터를 통한 혼색실험은 가법혼색을 한다는 이유는, 가법혼색은 빛의 삼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을 만들어내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색필터는 이 세 가지 색 중 하나를 차단하여 다른 두 색만을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실험은 가법혼색을 시뮬레이션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반면에 병치혼색은 색소를 직접 혼합하여 새로운 색을 만들어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색실로 직조된 직물의 색은 병치혼색을 한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컬러인쇄에 사용된 망점의 색점은 병치감법혼색을 한다는 것은, 인쇄에서 사용되는 색상을 만들어내는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그리고 검정(Black)이라는 네 가지 색상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내는 방식에서 유래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병치혼색과 감법혼색을 혼합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컬러텔레비전은 병치가법혼색을 한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컬러텔레비전에서는 빨강, 초록, 파랑의 삼원색을 이용하여 색상을 만들어내는 가법혼색 방식과, 이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색상을 다시 병치혼색하여 더욱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내는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색의 온도감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귤색은 난색에 속한다.
  2. 연두색은 한색에 속한다.
  3. 파란색은 중성색에 속한다.
  4. 자주색은 난색에 속한다.
(정답률: 77%)
  • 색의 온도감은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와 관련이 있으며, 빨간색과 주황색은 따뜻한 색으로 온도가 높아 보이고, 파란색과 초록색은 차가운 색으로 온도가 낮아 보입니다. 따라서 귤색은 주황색과 노란색의 혼합으로 이루어져 따뜻한 색이므로 난색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색채체계론

81. 먼셀 색체계의 색상 중 기본색의 명도가 가장 높은 색상은?

  1. RED
  2. YELLOW
  3. GREEN
  4. PURPLE
(정답률: 68%)
  • 먼셀 색체계에서 기본색 중 명도가 가장 높은 색상은 YELLOW입니다. 이는 먼셀 색체계에서 기본색 중 가장 밝은 색상이기 때문입니다. 먼셀 색체계에서 기본색은 RED, YELLOW, GREEN, PURPLE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YELLOW는 빛의 파장이 가장 길어 밝은 색상으로 인식됩니다. 따라서 YELLOW가 먼셀 색체계에서 기본색 중 명도가 가장 높은 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NCS 색체계의 S2030-Y90R 색상에 대한 옳은 설명은?

  1. 90%의 노란색도를 지니고 있는 빨간색
  2. 노란색도 20%, 빨간색도 30%를 지니고 있는 주황색
  3. 90%의 빨간색도를 지니고 있는 노란색
  4. 빨간색 노란색도 30%를 지니고 있는 주황색
(정답률: 62%)
  • S2030-Y90R은 노란색과 빨간색을 혼합한 색상이며, 이 중에서 노란색이 90%의 비중을 차지하고 빨간색은 10%의 비중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90%의 빨간색도를 지니고 있는 노란색"이라는 설명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한국의 전통색채에 나타나는 특징이 아닌 것은?

  1. 음양오행사상에 근거한 색채문화를 지녔다.
  2. 관념적 색채가 아닌 직접적, 감각적 지각체험을 중시하였다.
  3. 색채는 계급표현의 수단이었다.
  4. 오방색을 중심으로 한 색채문화를 지녔다.
(정답률: 65%)
  • 한국의 전통색채는 관념적인 색채가 아닌 직접적이고 감각적인 지각체험을 중시하였습니다.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예술과 철학에서도 나타나는 특징으로, 색채는 단순히 계급표현의 수단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따라서 음양오행사상에 근거한 색채문화와 오방색을 중심으로 한 색채문화도 함께 지녔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CIEXYZ 체계의 색 값으로 가장 밝은 색은?

  1. X=29.08, Y=19.77, Z=12.41
  2. X=76.45, Y=78.66, Z=80.87
  3. X=55.51, Y=59.10, Z=76.28
  4. X=4.70, Y=6.55, Z=6.09
(정답률: 63%)
  • CIEXYZ 체계에서 가장 밝은 색은 Y 값이 가장 큰 색이다. 따라서, 보기 중 Y 값이 가장 큰 "X=76.45, Y=78.66, Z=80.87"이 가장 밝은 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색채표준화의 단계 중 최초의 3원색 지각론으로 체계화를 시도한 인물이 아닌 사람은?

  1. 토마스 영
  2. 헬름홀츠
  3. 에발트 헤링
  4. 맥스웰
(정답률: 56%)
  • 색채표준화의 최초의 3원색 지각론으로 체계화를 시도한 인물은 토마스 영이 아니라 에발트 헤링입니다. 토마스 영은 색채에 대한 연구를 하였지만, 3원색 지각론을 체계화한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배색기법에 관한 중 틀린 것은?

  1. 연속배색은 리듬감이나 운동감을 주는 배색방법이다.
  2. 분리배색은 단조로운 배색에 대조되는 색을 배색하여 강조하는 기법이다.
  3. 토널배색은 전체적으로 안정되며 편안한 느낌을 연출할 수있다.
  4. 트리콜로 배색은 명쾌한 콘트라스트가 표현되는 것이 특징이다.
(정답률: 28%)
  • 배색기법에 관한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분리배색은 단조로운 배색에 대조되는 색을 배색하여 강조하는 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검정과 흰색으로 이루어진 단조로운 디자인에 빨간색을 강조색으로 추가하여 분리배색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빨간색이 더욱 강조되어 디자인에 활기와 생동감을 더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미국의 색채학자 저드(Judd)의 색채조화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질서의 원리 - 규칙적으로 선정된 명도, 채도, 색상 등 색채의 요소가 일정하면 조화된다.
  2. 친근감의 원리 - 자연경관과 같이 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색은 조화된다.
  3. 유사성의 원리 - 사용자의 환경에 익숙한 색은 조화된다.
  4. 명료성의 원리 - 여러 색의 관계가 애매하지 않고 명쾌하면 조화된다.
(정답률: 60%)
  • 정답은 "유사성의 원리 - 사용자의 환경에 익숙한 색은 조화된다." 이다.

    유사성의 원리는 색상, 명도, 채도 등이 비슷한 색들이 함께 사용될 때 조화를 이룬다는 원리이다. 이는 사용자가 익숙한 색들이 함께 사용될 때 더욱 강조되고 조화롭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봄에는 연두색과 분홍색, 노란색 등이 함께 사용되는 것이 자연스럽다. 이러한 색들은 우리가 익숙한 색들이기 때문에 함께 사용될 때 더욱 조화롭게 느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먼셀의 표색기호 10Y 8/2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색상 10Y, 명도 2, 채도 8
  2. 색상 10Y, 명도 8, 채도 2
  3. 명도 10, 색상 Y, 채도 8.2
  4. 명도 8.2, 색상 Y, 채도 10
(정답률: 74%)
  • 정답은 "색상 10Y, 명도 8, 채도 2"이다.

    - 색상 10Y: 먼셀 색상 체계에서 10Y는 노란색 계열의 색상을 나타낸다.
    - 명도 8: 색상의 밝기를 나타내며, 0부터 10까지의 숫자로 표현된다. 8은 상당히 밝은 색상을 의미한다.
    - 채도 2: 색상의 선명도를 나타내며, 0부터 20까지의 숫자로 표현된다. 2는 색상이 상대적으로 탁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표색기호는 상당히 밝은 노란색 계열의 색상이지만, 색상이 상대적으로 탁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한국의 전통색명인 벽람색(碧藍色)이 해당하는 색은?

  1. 밝은 남색
  2. 연한 남색
  3. 어두운 남색
  4. 진한 남색
(정답률: 36%)
  • 벽람색은 밝은 남색에 가깝습니다. "벽람"은 푸른 바다를 뜻하는데, 밝은 남색은 바다의 색상과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각 색체계에 따른 색표기 중에서 가장 어두운 색은?

  1. N8
  2. L10
  3. ca
  4. S 4000 N
(정답률: 30%)
  • 정답은 "L10"입니다.

    L, N, ca, S는 모두 색체계를 나타내는 약어입니다.

    L은 밝기를 나타내는 색체계로, 숫자가 작을수록 어두운 색을 의미합니다.

    N은 중성을 나타내는 색체계로, 숫자가 작을수록 더 녹색이 강한 색을 의미합니다.

    ca는 색도를 나타내는 색체계로, 숫자가 작을수록 색이 더 연한 색을 의미합니다.

    S는 색온도를 나타내는 색체계로, 숫자가 작을수록 더 노란색에 가까운 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L10"은 가장 어두운 색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오스트발트 색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독일의 물리화학자 오스트발트가 연구한 색체계로서 회전혼색 기의 색채 분할면적의 비율을 가지고 여러색을 만들고 있다.
  2. 페흐너의 법칙을 적용하여 동등한 시각 거리들을 표현하는 색단위를 얻어내려 시도하였다.
  3. 어느 한 색상에 포함되는 색은 모두 B(흑) + W(백) + C(순색)의 합이 100이 되는 혼합비를 구성하고 있다.
  4. 오스트발트의 색상환은 헤링의 반대색설의 보색대비에 따라 5분할하고 그 중간색을 포함하여 10등분한 색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정답률: 47%)
  • 오스트발트의 색상환은 헤링의 반대색설의 보색대비에 따라 5분할하고 그 중간색을 포함하여 10등분한 색을 기준으로 하고 있지 않다. 오스트발트의 색상환은 회전혼색 기의 색채 분할면적의 비율을 가지고 여러색을 만들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10R 7/8의 일반색명이 아닌 것은?

  1. 진한 빨강
  2. 밝은 빨강
  3. 연한 갈색
  4. 노란 분홍
(정답률: 19%)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색상명은 "진한 빨강", "밝은 빨강", "연한 갈색"이지만, "노란 분홍"은 일반적인 색상명이 아닙니다. 이유는 노란색과 분홍색은 서로 다른 색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란 분홍"은 혼합색상이나 특정 상황에서만 사용되는 특수한 색상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오스트발트 색체계의 순색 중 초록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장파장 반사율이 0%이고, 단파장 반사율이 100%가 되는 색
  2. 단파장 반사율이 0%이고, 장파장 반사율이 100%가 되는 색
  3. 단파장과 장파장의 반사율이 100%이고, 중파장의 반사율이 0%가 되는 색
  4. 단파장과 장파장의 반사율이 0%이고, 중파장의 반사율이 100%가 되는 색
(정답률: 62%)
  • 단파장과 장파장의 반사율이 0%이고, 중파장의 반사율이 100%가 되는 색은 초록색이다. 이는 오스트발트 색체계에서 초록색이 중파장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상용색표계로 짝지어진 것은?

  1. DIN, PCCS
  2. MUNSELL, PANTONE
  3. DIN, MUNSELL,
  4. PCCS,PANTONE
(정답률: 38%)
  • 정답은 "PCCS, PANTONE"입니다.

    PCCS는 "Physical Color System"의 약자로, 색상을 물리적인 속성으로 분류하는 색표시 시스템입니다. 이에 비해 PANTONE은 색상을 명칭으로 분류하는 상용색표시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둘은 서로 다른 색표시 시스템이며, 상용색표시 시스템으로 짝지어진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한국산업표준(KS A 0062)에서 규정한 색채표준은?

  1. 색의 3속성 표
  2. CIE 표기
  3. 계통색 체계
  4. 관용색 체계
(정답률: 28%)
  • KS A 0062에서 규정한 색채표준은 "색의 3속성 표"입니다. 이는 색을 나타내는 세 가지 속성인 색상, 채도, 명도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색의 특성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CIE 표기"는 국제조명위원회에서 제정한 색공간을 나타내는 방식이며, "계통색 체계"는 색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분류하는 방식입니다. "관용색 체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색의 이름과 관련된 체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P.C.C.S. 색채계의 톤(tone) 분류 체계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무채색 고명도순은 sf(soft) - p(pale) - g(grayish) 이다.
  2. 고채도순은 v(vivid) - s(strong) - lt(light) - p(pale) 이다.
  3. 중채도의 톤으로 lt(light), b(right), s(strong), dp(deep) 등이 있다.
  4. 고채도의 v(vivid)톤은 색명에 따른 명도차이가 거의 없다.
(정답률: 45%)
  • P.C.C.S. 색채계의 톤 분류 체계는 색의 명도와 채도를 고려하여 색을 분류하는 체계이다. 고채도순은 색의 채도가 높은 순서대로 v(vivid) - s(strong) - lt(light) - p(pale)이다. 이는 색의 선명도와 밝기를 고려하여 분류한 것이다. 무채색 고명도순은 sf(soft) - p(pale) - g(grayish)이며, 중채도의 톤으로 lt(light), b(right), s(strong), dp(deep) 등이 있다. 고채도의 v(vivid)톤은 색명에 따른 명도차이가 거의 없다는 것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그림의 NCS 색삼각형과 색환에 표기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S3050-G70Y
  2. S5030-Y30G
  3. 유채색도(c)에서 green이 70%, yellow는 30%의 비율
  4. 검정색도(s) 30%, 하양색도(w) 50%, 유채색도(c) 70%의 비율
(정답률: 35%)
  • NCS 색환에서 S는 색조(hue)를 나타내고, 3050은 그 색조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이는 노란색과 초록색의 중간 쯤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G70Y는 그 색조의 채도(saturation)와 밝기(value)를 나타내는데, 이는 초록색의 채도가 70%, 노란색의 밝기가 30%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S3050-G70Y"는 노란색과 초록색의 중간 쯤에 위치하면서 초록색의 채도가 높고 노란색의 밝기가 낮은 색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5R 9/2와 5R 3/8인 색은 명도와 채도 측면에서 볼 때 문ㆍ스 펜서의 어느 조화원리에 해당하는가?

  1. 유사조화(similarity)
  2. 동등조화(identity)
  3. 대비조화(contrast)
  4. 제1부조화(1st ambiguity)
(정답률: 24%)
  • 5R 9/2와 5R 3/8인 색은 대비조화(contrast) 원리에 해당한다. 이는 두 색이 명도와 채도 측면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대비조화는 색의 차이를 강조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높이는 원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L*a*b* 색체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체의 색을 측정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실제로 모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2. L*a*b* 색공간 좌표에서 L* 는 명도, a* 와 b* 는 색방향을 나타낸다.
  3. a*는 빨간색 방향, -a*는 노란색 방향, +b*는 초록 방향,-b*는 파란 방향을 나타낸다.
  4. 조색할 색채의 오차를 알기 쉽게 나타내며 색채의 변화방향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정답률: 66%)
  • 정답은 "a*는 빨간색 방향, -a*는 노란색 방향, +b*는 초록 방향,-b*는 파란 방향을 나타낸다."이다. 이유는 a*는 녹색-적색 축을 나타내고, -a*는 노란색-청색 축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CIe Yxy 와 CIE LUV 색체계에서 백색광의 위치는?

  1. 왼쪽
  2. 오른쪽
  3. 가운데
  4. 상단
(정답률: 60%)
  • CIE Yxy와 CIE LUV 색체계에서 백색광은 모든 색상의 균등한 혼합으로 정의됩니다. 이러한 균등한 혼합은 색상 공간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므로, 백색광의 위치는 "가운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