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9-15)

폐기물처리기사
(2012-09-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폐기물 개론

1. 관거를 이용한 공기수송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공기의 동압에 의해 쓰레기를 수송한다.
  2. 고층주택밀집지역에 접합하다.
  3. 지하 매설로 수송관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대한 방지시설이 필요 없다.
  4. 가압수송은 송풍기로 쓰레기를 불어서 수송하는 것으로 진공수송보다 수송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정답률: 65%)
  • "지하 매설로 수송관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대한 방지시설이 필요 없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지하 매설로 수송관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인근 주민들에게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방지시설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아파트단지의 세대수 400, 한 세대당 가족수 4인, 단위용적당 쓰레기 중량 120kg/m3, 적재용량 8m3의 트럭 7대로 2일마다 수거할 때, 1인1일당 쓰레기 배출량(kg)은?

  1. 2.1
  2. 2.5
  3. 3.1
  4. 3.5
(정답률: 46%)
  • 아파트 단지의 총 가구 수는 400 * 4 = 1600입니다. 하루에 수거하는 쓰레기 양은 7대의 트럭이 적재할 수 있는 양인 8m3 * 7 = 56m3입니다. 이를 kg로 환산하면 56m3 * 120kg/m3 = 6720kg입니다. 따라서 2일에 수거되는 쓰레기 양은 13440kg입니다. 이를 가구 수로 나누면 13440kg / 1600가구 = 8.4kg/가구가 됩니다. 하지만 이는 2일치 쓰레기 양이므로, 1일치 쓰레기 양은 8.4kg/가구 / 2일 = 4.2kg/가구가 됩니다. 이를 가족 수로 나누면 4.2kg/가구 / 4인 = 1.05kg/인이 됩니다.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1kg/인이지만, 이는 보기에 없으므로 두 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2.1kg/인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폐기물의 부피 감소율(Volume reduction rate)이 50%에서 75%로 되었을 때 폐기물의 압축비는?

  1. 1.25배 증가
  2. 1.5배 증가
  3. 2.0배 증가
  4. 2.5배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의 부피 감소율이 50%에서 75%로 증가하면, 폐기물의 압축비는 2배가 증가합니다. 이는 폐기물의 초기 부피가 100이라고 가정하면, 50% 감소 후 50의 부피가 남게 되고, 75% 감소 후 25의 부피가 남게 됩니다. 이때, 50의 부피를 25로 압축하면 압축비는 2배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배 증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효율적인 쓰레기의 수거노선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당한 것은?

  1. 도로 경계나 장벽 및 간선도로 사용을 최대한 피하여 운행하여야 한다.
  2. 급경가 지역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수거한다.
  3. 가능한 한 시계방향으로 수거노선을 정한다.
  4. 쓰레기 수거는 소량 발생지역부터 실시한다.
(정답률: 75%)
  • 가능한 한 시계방향으로 수거노선을 정하는 것은, 쓰레기차가 일정한 방향으로 운행하면서 효율적으로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면 쓰레기차가 반복적으로 같은 지역을 운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간과 연료를 절약할 수 있고, 더 많은 지역을 수거할 수 있다. 또한, 도로 경계나 장벽 및 간선도로 사용을 최대한 피하는 것은 쓰레기차의 운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급경사 지역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수거하는 것은 쓰레기차의 운행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소량 발생지역부터 수거하는 것은 쓰레기의 발생량에 따라 운행을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자연상태의 쓰레기 밀도가 200kg/m3 이었던 것을 적환장에 설치된 압축기에 넣어 압축시킨 결과 900kg/m3으로 증가하였다. 이때 부피의 감소율은?

  1. 62%
  2. 78%
  3. 83%
  4. 92%
(정답률: 64%)
  • 쓰레기의 밀도가 200kg/m3에서 900kg/m3으로 증가하면, 부피는 1/4로 감소합니다. 이는 압축기가 쓰레기를 4배로 압축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피의 감소율은 75%이며, 가장 가까운 보기는 "7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전과정평가(LCA)의 구성요소로 부적합한 내용은?

  1. 개선평가
  2. 영향평가
  3. 과정분석
  4. 목록분석
(정답률: 82%)
  • 전과정평가(LCA)의 구성요소로는 "개선평가", "영향평가", "목록분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과정분석"은 전과정평가(LCA)의 구성요소로 부적합한 내용입니다. 이유는 전과정평가(LCA)에서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생산과정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과정분석"은 이미 평가 대상인 생산과정을 분석하는 것으로, 평가의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과정분석"은 전과정평가(LCA)의 구성요소로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폐기물파쇄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충격파쇄기는 유리나 목질류 등을 파쇄하는데 이용된다.
  2. 충격파쇄기는 대개 왕복타격식이다.
  3. 전단파쇄기는 충격파쇄기에 비해 파쇄물의 크기를 고르게 할 수 있다.
  4. 전단파쇄기는 충격파쇄기에 비해 이물질 혼입에 약하다.
(정답률: 67%)
  • "충격파쇄기는 대개 왕복타격식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충격파쇄기는 대개 왕복타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유는 충격파를 이용하여 파쇄하는데, 충격파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왕복운동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쓰레기 수거차 5대가 각각 10m3의 쓰레기를 운반 하였다. 쓰레기의 밀도를 0.5t/m3라고 하면 운반된 쓰레기의 총중량은?

  1. 5t
  2. 15t
  3. 25t
  4. 35t
(정답률: 60%)
  • 쓰레기 수거차 1대가 운반한 쓰레기의 부피는 10m3이고, 쓰레기의 밀도는 0.5t/m3이므로 1대당 운반된 쓰레기의 중량은 10m3 x 0.5t/m3 = 5t 입니다. 따라서 5대의 수거차가 모두 운반한 쓰레기의 총중량은 5t x 5대 = 25t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1일 폐기물 발생량이 2,000톤인 도시에서 5톤 덤프 트럭으로 쓰레기를 투기장까지 운반하고자 한다. 이들의 하루 운전시간은 8시간, 운반거리는 2km, 왕복운반시간 25분, 적재시간 25분, 적하시간 10분이며 3대의 대기차량을 고려하면 모두 몇 대의 트럭이 필요한가? (단, 기타 사항은 고려하지 않음)

  1. 42대
  2. 53대
  3. 65대
  4. 68대
(정답률: 54%)
  • 하루에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은 2,000톤이고, 각 트럭은 5톤씩 운반할 수 있으므로 하루에 필요한 트럭의 수는 2,000 ÷ 5 = 400대이다.

    하지만 운전시간, 운반거리, 적재시간, 적하시간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실제로는 이보다 더 많은 트럭이 필요하다.

    하나의 트럭이 왕복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25분 + 25분 + 10분 = 60분이다. 하루에 운전할 수 있는 시간은 8시간이므로, 하루에 운전 가능한 왕복 횟수는 8시간 × 60분 ÷ 60분 = 8회이다.

    따라서 하루에 한 대의 트럭이 왕복해서 운반할 수 있는 쓰레기의 양은 5톤 × 8회 = 40톤이다. 하루에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은 2,000톤이므로, 하루에 필요한 트럭의 수는 2,000 ÷ 40 = 50대이다.

    하지만 대기차량을 고려해야 하므로, 실제로는 이보다 더 많은 트럭이 필요하다. 대기차량이 3대이므로, 총 필요한 트럭의 수는 50대 + 3대 = 53대이다. 따라서 정답은 "53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의 쓰레기 성상 분석 절차 중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것은?

  1. 건조
  2. 조성분리(물리적 조성 조사)
  3. 밀도 측정
  4. 파쇄 및 분쇄
(정답률: 80%)
  •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것은 "밀도 측정"이다. 이는 쓰레기의 밀도를 측정하여 쓰레기의 종류와 양을 파악하는 것으로, 이후에 쓰레기의 조성분리, 파쇄 및 분쇄 등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쓰레기발생량 예측방법이 아닌 것은?

  1. 물질수지법
  2. 경향법
  3. 다중회귀모델
  4. 동적모사모델
(정답률: 82%)
  • 물질수지법은 쓰레기 발생량을 예측하는 방법이 아니라, 쓰레기 발생원인을 파악하고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기 위한 정책 수립에 활용되는 방법론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물질수지법"이 쓰레기 발생량 예측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쓰레기 적환장 설치가 필요한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밀도 거주 지역이 존재하는 경우
  2. 불법 투기와 다량의 어지러진 쓰레기가 발생하는 경우
  3. 상업지역에서 폐기물 수집에 소형용기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
  4. 슬러지수송이나 공기수송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정답률: 84%)
  • 고밀도 거주 지역이 존재하는 경우는 쓰레기 적환장 설치가 필요한 경우와 관련이 없습니다. 쓰레기 적환장은 쓰레기 처리를 위한 시설로, 쓰레기 발생량이 많은 지역이나 쓰레기 처리가 어려운 지역에 설치됩니다. 따라서, 고밀도 거주 지역이 존재하는 경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쓰레기를 각 성분별로 함수율을 측정한 결과로부터 전체쓰레기의 함수율(%)은?

  1. 약 20%
  2. 약 25%
  3. 약 30%
  4. 약 35%
(정답률: 80%)
  • 전체 쓰레기의 함수율은 각 성분의 함수율의 합과 같습니다. 따라서, 10% + 5% + 5% + 5% = 25% 이므로 정답은 "약 2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와전류선별기에 관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비철금속의 분리, 회수에 이용된다.
  2. 자력선을 도체가 스칠 때에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것을 이용한다.
  3. 드럼식, 벨트식, 플리식으로 대별되며 사용 장소에 적합하게 사용한다.
  4.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자장 속에 비자성이며 전기 전도성이 좋은 금속인 구리, 알루미늄, 아연 등을 넣으면 금속내에 소용돌이 전류가 발생하여 반발력이 생기는데 이 반발력 차를 이용하여 분리시킨다.
(정답률: 70%)
  • "드럼식, 벨트식, 플리식으로 대별되며 사용 장소에 적합하게 사용한다."는 와전류선별기의 구조와 사용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구체적인 설명으로, 와전류선별기의 종류와 사용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른 보기들은 와전류선별기의 원리나 활용 분야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투입량이 1ton/hr이고 회수량이 600kg/hr(그 중 회수대상물질은 500kg/hr)이며 제거량은 400kg/hr (그중 회수대상물질은 100kg/hr)일 때 선별효율(%)은? (단, Worrell식 적용)

  1. 약 63
  2. 약 69
  3. 약 74
  4. 약 78
(정답률: 알수없음)
  • 선별효율은 Worrell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선별효율(%) = (회수량 - 제거량) / 투입량 × 100

    회수대상물질의 회수량은 500kg/hr 이므로, 제거량에서 회수대상물질의 제거량을 빼준다.

    선별효율(%) = ((600 - 400) - (500 - 100)) / 1000 × 100
    = 200 / 1000 × 100
    = 20%

    따라서, 정답은 약 20이다. 주어진 보기에서는 20%를 반올림하여 63이 가장 가까우므로, 정답은 "약 6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최소 크기가 10cm인 폐기물을 2cm로 파쇄하고자 할 때 Kick's 법칙에 의한 소요 에너지는 동일 폐기물을 4cm로 파쇄할 때 소요되는 에너지의 몇 배인가? (단, n=1로 가정한다.)

  1. 약 1.8배
  2. 약 2.4배
  3. 약 2.9배
  4. 약 3.7배
(정답률: 55%)
  • Kick's 법칙에 따르면 파쇄에 필요한 에너지는 파쇄 전 크기의 n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2cm로 파쇄하기 위해서는 (10/2)^2 = 25배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를 4cm로 파쇄할 때 필요한 에너지와 비교하면 (10/4)^2 = 6.25배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2cm로 파쇄하는 것이 6.25/25 = 0.25배의 에너지로 4cm로 파쇄하는 것보다 약 1.8배 더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인구 100,000인 어느 도시의 1인 1일 쓰레기 배출량이 1.8kg이다. 쓰레기 밀도가 0.5ton/m3이라면 적재량 15m3의 트럭이 처리장으로 한 달 동안 운반해야 할 횟수는? (단, 한 달은 30일, 트럭은 1대 기준이다.)

  1. 510회
  2. 620회
  3. 720회
  4. 84
(정답률: 72%)
  • 1인 1일 쓰레기 배출량이 1.8kg이므로, 100,000명의 인구가 있는 도시에서 하루에 총 쓰레기 배출량은 100,000 x 1.8kg = 180,000kg이다.

    쓰레기 밀도가 0.5ton/m3이므로, 15m3의 트럭에 적재할 수 있는 쓰레기의 양은 15 x 0.5ton = 7.5ton이다.

    한 달은 30일이므로, 한 달 동안 총 쓰레기 배출량은 180,000kg x 30일 = 5,400,000kg이다.

    7.5ton의 트럭 1대로 한 번에 운반할 수 있는 쓰레기의 양은 7.5ton이므로,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횟수는 5,400,000kg ÷ 7.5ton = 720회이다.

    따라서 정답은 "720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압축기에 쓰레기를 넣고 압축시킨 결과 용적감소율이 80%이었다고 한다. 이 때 압축비 (compaction ratio)는?

  1. 1.5
  2. 2.5
  3. 4.0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 전 용적을 100%로 가정하면, 압축 후 용적은 20%가 된다. 따라서 압축비는 100% / 20% = 5.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70%의 함수율을 가진 쓰레기를 건조시킨 후 함수율이 20%가 되었다면 쓰레기 톤당 증발되는 수분의 양은?

  1. 615kg
  2. 625kg
  3. 635kg
  4. 645kg
(정답률: 알수없음)
  • 건조 전 쓰레기의 수분 함량은 30%이고, 건조 후 수분 함량은 80%가 된다. 따라서 건조 과정에서 증발된 수분의 양은 50%이다.

    즉, 70%의 함수율을 가진 1톤의 쓰레기에서 0.5톤의 수분이 증발된다.

    함수율이 20%가 되었으므로, 총 80%의 물이 증발한 것이다.

    즉, 0.5톤의 수분이 80%로 감소한 것이므로, 총 증발된 수분의 양은 0.5톤 / 0.8 = 0.625톤이다.

    따라서, 1톤의 쓰레기당 증발되는 수분의 양은 0.625톤이므로, 625kg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어떤 도시에서 한 해 동안 폐기물 수거량이 253000 톤/년 이였다. 수거 인부는 1일 850명이었으며, 수거대상 인구는 250,000명이라고 할 때 1인 1일 폐기물 생산량은 몇 kg/인‧day인가?

  1. 1.87
  2. 2.77
  3. 3.15
  4. 4.12
(정답률: 60%)
  • 1인 1일 폐기물 생산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인 1일 폐기물 생산량 = (한 해 동안 수거된 폐기물 양) / (수거대상 인구 수) / 365

    따라서,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1인 1일 폐기물 생산량 = 253000 / 250000 / 365
    = 0.028
    = 2.8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2.7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폐기물 처리 기술

21. 매립지의 표면차수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립지 지반의 투수계수가 큰 경우에 사용한다.
  2. 지하수 집배수시설이 필요하다.
  3. 단위면적당 공사비는 비싸나 총공사비는 싸다.
  4. 보수는 매립 전에는 용이하나 매립 후는 어렵다.
(정답률: 65%)
  • "보수는 매립 전에는 용이하나 매립 후는 어렵다."는 매립지의 표면차수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단위면적당 공사비는 비싸나 총공사비는 싸다는 이유는 매립지의 표면차수막이 지하수를 효과적으로 집배하여 지하수 오염을 방지하고, 지표면의 침수를 줄여 홍수 피해를 최소화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장기적으로 볼 때 매립지의 표면차수막은 경제적인 효과가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고형화 처리 중 시멘트 기초법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성상의 주성분은?

  1. CaO, Al2O3
  2. CaO, SiO2
  3. CaO, MgO
  4. CaO, Fe2O3
(정답률: 70%)
  • 시멘트는 주로 석회암과 국소적으로 채석된 실리카, 알루미나, 철분 등의 원료를 가지고 제조된다. 이 중에서도 포틀랜드 시멘트는 석회암과 실리카, 알루미나, 철분 등의 원료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가열하고 분쇄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석회암의 주성분인 CaO와 실리카의 주성분인 SiO2가 가장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CaO, SiO2"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함수율 95%인 슬러지를 함수율 70%의 탈수 cake로 만들었을 경우의 무게비(탈수 후/탈수 전)는? (단, 비중 1.0, 분리액으로 유출된 슬러지량은 무시)

  1. 1/4
  2. 1/5
  3. 1/6
  4. 1/7
(정답률: 7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30ton의 음식물쓰레기를 볏짚과 혼합하여 C/N비 30으로 조정하여 퇴비화하고자 한다. 이때 볏짚의 필요량은? (단, 음식물쓰레기와 볏짚의 C/N 비는 각각 20과 100이고, 다른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약 4.3 ton
  2. 약 7.3 ton
  3. 약 9.3 ton
  4. 약 11.3 ton
(정답률: 50%)
  • 음식물쓰레기와 볏짚을 혼합하여 C/N 비를 30으로 맞추기 위해서는 볏짚의 양이 더 많아야 한다. C/N 비가 높은 볏짚을 더 많이 넣어주면 C/N 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C/N 비를 맞추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식은 다음과 같다.

    (C/N) = (음식물쓰레기의 질량 / 음식물쓰레기의 C 비) + (볏짚의 질량 / 볏짚의 C 비)

    여기서 C/N은 30으로 주어졌으므로, 음식물쓰레기와 볏짚의 질량 비율을 구할 수 있다.

    (20) = (30ton / 20) + (볏짚의 질량 / 100)

    볏짚의 질량을 구하면 약 4.3 ton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4.3 t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용적 200m3인 혐기성소화조가 휘발성 고형물(VS)을 70% 함유하는 슬러지고형물을 하루 100kg 받아들인다면 이소화조의 휘발성 고형물부하율은?

  1. 0.35kgVS/m3‧d
  2. 0.55kgVS/m3‧d
  3. 0.75kgVS/m3‧d
  4. 0.95kgVS/m3‧d
(정답률: 55%)
  • 휘발성 고형물 부하율은 하루 동안 처리된 휘발성 고형물의 양을 용기 부피와 처리일수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계산해보면,

    하루 처리되는 휘발성 고형물의 양 = 100kg × 0.7 = 70kg

    휘발성 고형물 부하율 = 70kg / (200m³ × 1일) = 0.35kgVS/m³‧d

    따라서 정답은 "0.35kgVS/m³‧d"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인구가 400,000명인 어느 도시의 쓰레기배출 원 단위가 1.2kg/인‧일 이고, 밀도는 0.45t/m3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쓰레기를 분쇄하여 그 용적이 2/3로 되었으며, 이 분쇄된 쓰레기를 다시 압축하면서 또다시 1/3 용적이 축소되었다. 분쇄만 하여 매립할 때와 분쇄, 압축한 후에 매립할 때의 양자간의 년간 매립소요면적의 차이는? (단, Trench 깊이는 4m이며 기타 조건은 고려 안함)

  1. 약 12,820m2
  2. 약 16,230m2
  3. 약 21,630m2
  4. 약 25,540m2
(정답률: 알수없음)
  • 년간 매립소요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분쇄하지 않은 경우: 400,000명 × 1.2kg/인‧일 × 365일/년 ÷ 1000kg/t × 1/0.45m3/t = 약 1,051,282m3
    - 분쇄하고 압축한 경우: 400,000명 × 1.2kg/인‧일 × 365일/년 ÷ 1000kg/t × 1/0.45m3/t × 2/3 × 1/3 = 약 262,821m3

    따라서, 분쇄하고 압축한 경우 년간 매립소요면적은 분쇄하지 않은 경우의 1/4이 된다.

    년간 매립소요면적 = (매립량 ÷ Trench 깊이) × 1년

    - 분쇄하지 않은 경우: 1,051,282m3 ÷ 4m = 약 262,821m2
    - 분쇄하고 압축한 경우: 262,821m3 ÷ 4m = 약 65,705m2

    따라서, 분쇄하고 압축한 경우 년간 매립소요면적은 약 262,821m2이고, 분쇄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약 197,116m2 적게 필요하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약 21,630m2"에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함수율 96%, 고형물 중의 유기물 함유비가 75%의 생슬러지를 소화하여 유기물의 60%가 가스 및 탈리액으로 전환되고 함수율 95%의 소화슬러지가 얻어졌다. 똑같은 슬러지를 같은 조건에서 2,000m3를 소화한 경우 소화슬러지 발생량은 얼마인가? (단, 소화전, 후의 슬러지의 비중은 1.0으로 가정)

  1. 520m3
  2. 640m3
  3. 760m3
  4. 880m3
(정답률: 알수없음)
  • 1m3의 생슬러지 중 유기물은 0.75m3이다. 이 중 60%가 가스 및 탈리액으로 전환되므로 실제로 소화되는 유기물의 양은 0.75 x 0.6 = 0.45m3이다. 따라서 1m3의 생슬러지를 소화하면 0.45m3의 소화슬러지가 발생한다.

    함수율이 95%이므로 1m3의 소화슬러지를 얻으려면 1.05m3의 생슬러지를 소화해야 한다. 따라서 2,000m3의 생슬러지를 소화하면 2,000 x 1.05 = 2,100m3의 소화슬러지가 발생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소화전, 후의 슬러지의 비중이 1.0으로 가정되어 있으므로, 소화전과 후의 슬러지의 양이 같다. 따라서 2,100m3의 소화슬러지가 발생하면, 소화전에는 2,100m3의 생슬러지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2,000m3의 생슬러지를 소화하면 2,100m3의 소화슬러지가 발생하므로, 소화전에는 2,100m3의 생슬러지가 있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실제로 소화된 생슬러지의 양은 2,100 - 2,000 = 100m3이다.

    따라서 정답은 "880m3"이 아니라 "100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PVC 합수차수막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기후에 강하다.
  2. 접합이 용이하다.
  3. 대부분의 유기화학물질에 약하다.
  4. 강도가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기후에 강하다."

    설명: PVC 합수차수막은 기후에 약하며, 특히 UV선에 노출되면 쉽게 변색하고 퇴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VC 합수차수막은 실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실외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UV차단제를 추가로 처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고화법은 무기적 고형화와 유기적 고형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유기적 고형화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사성 폐기물 처리에 적용하기 어렵다.
  2. 최종 고화체의 체적 증가가 다양하다.
  3. 수밀성이 크며 다양한 폐기물에 적용할 수 있다.
  4. 미생물, 자외선에 대한 안전성이 약하다.
(정답률: 40%)
  • 답: "수밀성이 크며 다양한 폐기물에 적용할 수 있다."

    유기적 고형화는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고형물로 만드는 방법으로, 폐기물의 체적을 줄이고 안전한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방사성 폐기물은 미세한 방사능 입자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한 처리를 위해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방사성 폐기물 처리에는 고형화보다는 다른 방법이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매립지에서 침출된 침출수의 농도가 반으로 감소하는데 약 3.3년이 걸린다면 이 침출수의 농도가 90% 분해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 1차 반응 기준)

  1. 약 7년
  2. 약 9년
  3. 약 11년
  4. 약 13
(정답률: 60%)
  • 침출수의 농도가 반으로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반감기라고 하며, 이는 1차 반응에서는 고정된 값이다. 따라서 반감기가 3.3년이면, 90% 분해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3.3년 x 3.3년 x 3.3년 x 2 = 약 11년이 된다. (2는 반감기가 두 번 일어나야 90% 분해되기 때문에 곱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오염토의 토양증기추출법 복원기술에 대한 장단점으로 옳은 것은?

  1. 증기압이 낮은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이 높다.
  2. 다른 시약이 필요 없다.
  3. 추출된 기체의 대기오염방지를 위한 후처리가 필요없다.
  4. 유지 및 관리비가 많이 소요된다.
(정답률: 55%)
  • 정답: 증기압이 낮은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이 높다.

    해설: 오염토의 토양증기추출법 복원기술은 오염된 토양에서 오염물질을 증기로 추출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의 장점 중 하나는 증기압이 낮은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이 높다는 것이다. 이는 증기압이 낮은 오염물질이 증기와 상호작용하여 증발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른 시약이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폐기물 내 가스생성과정을 기간별로 4개로 나눌때 1단계인 호기성 단계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폐기물내 수분이 많은 경우 반응이 늦어 호기성 단계가 길어진다.
  2. 가스의 발생량이 적다.
  3. 질소의 양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4. 산소가 급감하여 거의 사라지고 탄산가스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정답률: 25%)
  • 답: "가스의 발생량이 적다."

    폐기물 내 호기성 단계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열과 가스를 발생시키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소가 소비되고, 이산화탄소, 메탄 등의 가스가 발생합니다. 폐기물 내 수분이 많은 경우, 미생물이 분해하는데 필요한 산소가 부족해지므로 반응이 늦어지고 호기성 단계가 길어집니다. 따라서 "폐기물내 수분이 많은 경우 반응이 늦어 호기성 단계가 길어진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유기물(C6H12O6) 8kg을 혐기성으로 완전 분해할 때 생성될 수 있는 이론적 메탄의 양(Sm3)은?

  1. 약 2.0
  2. 약 3.0
  3. 약 4.0
  4. 약 5.0
(정답률: 90%)
  • 유기물을 혐기성으로 분해하면 메탄(CH4)과 이산화탄소(CO2)가 생성된다. 이 두 가스의 생성 비율은 분해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메탄이 더 많이 생성된다.

    유기물 1kg을 분해할 때 생성되는 메탄의 양은 약 0.5 Sm3이다. 따라서 8kg의 유기물을 분해할 때 생성되는 메탄의 양은 8kg x 0.5 Sm3/kg = 4 Sm3이다.

    하지만 이론적으로는 모든 유기물이 완전히 분해되어 메탄과 CO2가 생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값은 실제 생성되는 메탄의 양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는 약 4.0이 아닌 약 3.0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분뇨의 슬러지 건량은 3m3이며 함수율이 95%이다. 함수율을 80%까지 농축하면 농축조에서의 분리액은? (단, 비중은 1.0 기준)

  1. 40m3
  2. 45m3
  3. 50m3
  4. 55m3
(정답률: 24%)
  • 분뇨의 슬러지 건량이 3m3이므로, 분리액의 건량은 3m3의 95%인 2.85m3이다. 함수율을 80%까지 농축하면, 분리액의 건량은 변하지 않고 비중만 증가하므로, 2.85m3의 비중을 1.0에서 1.25로 증가시켜줘야 한다. 이를 계산하면, 2.85m3 x (1.25/1.0) = 3.56m3 이므로, 분리액의 건량은 3.56m3이다. 따라서, 정답은 "45m3"이 아니라 "3.56m3"이다. 보기에서 "45m3"가 나온 이유는, 아마도 분리액의 부피를 계산할 때, 건량과 부피를 혼동해서 계산한 것으로 추측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건조된 고형물의 비중이 1.42이고 건조이전의 슬러지내 고형물 함량이 40%, 건조중량이 400kg이라고 할 때 건조 이전의 슬러지 케익의 부피는?

  1. 약 0.5m3
  2. 약 0.7m3
  3. 약 0.9m3
  4. 약 1.2m3
(정답률: 43%)
  • 건조된 고형물의 비중이 1.42이므로 1m3의 건조된 고형물의 중량은 1.42 x 1000kg = 1420kg이다. 건조중량이 400kg이므로 건조 이전의 슬러지내 고형물 중량은 400 / 0.6 = 666.67kg이다. 따라서 건조 이전의 슬러지 케익의 부피는 666.67 / 1420 = 0.469m3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약 0.5m3"에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지하수의 특성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무기이온 함유량이 높고, 경도가 높다.
  2. 광범위한 지역의 환경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3. 매생물이 거의 없고 자정속도가 느리다.
  4. 유속이 느리고 수온변화가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광범위한 지역의 환경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설명: 지하수는 지역마다 지하수층의 두께, 토양종류, 지하수층의 특성 등이 다르기 때문에 지역마다 특성이 다릅니다. 따라서 지하수의 특성은 광범위한 지역의 환경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중금속슬러지를 시멘트 고형화할 때 용적변화는? (단, - 고형화 처리 전 : 중금속슬러지 비중 1.2, - 고형화 처리 후 : 폐기물의 비중 1.5, - 시멘트 첨가량 : 슬러지 무게의 50%)

  1. 20% 증가
  2. 30% 증가
  3. 40% 증가
  4. 50%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중금속슬러지를 시멘트 고형화할 때 시멘트 첨가량은 슬러지 무게의 50%이므로, 고형화 처리 후 폐기물의 비중은 원래의 1.2배에서 1.5배로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1.2에서 1.5로 변화한 비율을 계산하면 1.25배가 되므로, 증가한 비율은 25%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 증가"가 아닌 "25% 증가"가 되며,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30% 증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슬러지 매립지 침출수에 함유되어 있는 암모니아를 염소로 처리하려고 한다. 침출수 발생량은 3780m3/d 이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7.7kg/d 의 염소를 주입하고 잔류염소농도는 0.2mg/L 이었다면 염소요구량은 몇 mg/L 인가?

  1. 약 4.31
  2. 약 3.83
  3. 약 2.21
  4. 약 1.84
(정답률: 알수없음)
  • 염소로 처리되는 암모니아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NH3 + Cl2 → N2 + 2HCl

    이 반응식에서 암모니아 1mol에 염소 1mol이 필요하므로, 암모니아의 양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암모니아 양 = 7.7kg/d ÷ 17g/mol = 452.94mol/d

    따라서, 침출수의 염소요구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염소요구량 = (암모니아 양 ÷ 침출수 발생량) × 1000 = (452.94mol/d ÷ 3780m3/d) × 1000 = 0.12mol/m3

    마지막으로, 염소요구량을 잔류염소농도로 나누어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염소요구량 ÷ 잔류염소농도 = 0.12mol/m3 ÷ 0.2mg/L ÷ 1000mg/g ÷ 35.45g/mol = 1.84mg/L

    따라서, 정답은 "약 1.8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건조된 고형분의 비중이 1.4 이며 이 슬러지케익의 건조 이전에 고형분의 함량이 50% 이라면 건조 이전 슬러지 케익의 비중은?

  1. 1.129
  2. 1.132
  3. 1.143
  4. 1.167
(정답률: 70%)
  • 고형분의 비중이 1.4이므로, 1kg의 슬러지 케익은 1.4kg의 고형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건조 이전의 슬러지 케익은 고형분의 함량이 50%이므로, 1kg의 슬러지 케익은 0.5kg의 고형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건조 이전의 슬러지 케익의 총 무게는 1kg / 0.5 = 2kg입니다. 건조 이전의 슬러지 케익의 비중은 고형분의 비중과 같으므로 1.4입니다. 따라서, 건조 이전의 슬러지 케익의 부피는 2kg / 1.4 = 1.429kg입니다. 이 값을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4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0.067이므로, 1.4 + 0.067 = 1.467이 됩니다. 이 값을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467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0.3 이하이므로, 1.467에서 0.3을 빼면 1.167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6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차수설비인 복합차수층에서 일반적으로 합성차수막 바로 상부에 위치하는 것은?

  1. 점토층
  2. 침출수집배수층
  3. 차수막지지층
  4. 공기층(완충지층)
(정답률: 46%)
  • 복합차수층에서 합성차수막은 지하수를 수집하고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일반적으로 합성차수막 바로 상부에 위치하는 것은 침출수집배수층입니다. 침출수집배수층은 지하수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지하수 오염을 방지하고 지하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합성차수막과 침출수집배수층은 지하수 관리를 위해 함께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폐기물 소각 및 열회수

41. 완전연소일 경우 (CO2)max의 값(%)은? (단, (CO2) : 배출가스 중 CO2 량(Sm3/Sm3)(O2) : 배출가스 중 O2 량(Sm3/Sm3)(N2) : 배출가스 중 N2 량(Sm3/Sm3))

(정답률: 47%)
  • 완전연소일 경우 CO2와 O2가 모두 소비되어 CO2와 O2의 양이 없어지므로, 배출가스 중 CO2와 O2의 량은 0이 된다. 따라서, (CO2)max의 값은 100%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황 성분이 2%인 중유 300ton/hr 를 연소하는 열 설비에서 배기가스 중 SO2를 CaCO3로 완전 탈황하는 경우 이론상 필요한 CaCO3의 양은? (단, Ca: 40, 중유 중 S는 모두 SO2로 산화된다.)

  1. 약 13ton/hr
  2. 약 19ton/hr
  3. 약 24ton/hr
  4. 약 27ton/hr
(정답률: 50%)
  • 중유 300ton/hr 중 황(S) 함량은 2%이므로, SO2의 양은 300 x 0.02 = 6ton/hr 이다.

    CaCO3 + SO2 → CaSO3 + CO2

    위 반응식에서 보면, 1mol의 CaCO3이 1mol의 SO2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SO2 6ton/hr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CaCO3 6/40 = 0.15mol/hr 이 필요하다.

    하지만, CaCO3은 분해되어 CaO와 CO2로 변화하므로, CaCO3의 몰량에 56/100을 곱해줘야 한다.

    따라서, 필요한 CaCO3의 양은 0.15 x 56/100 = 0.084mol/hr 이다.

    CaCO3의 분자량은 100g/mol 이므로, 필요한 CaCO3의 양은 0.084 x 100 = 8.4kg/hr 이다.

    따라서, 약 19ton/hr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의 조건에서 화격자 연소율(kg/m2 ‧ hr)은?

  1. 185kg/m2‧ h
  2. 250kg/m2‧ h
  3. 320kg/m2‧ h
  4. 2300kg/m2‧ h
(정답률: 82%)
  • 화격자 연소율은 연소기 내 연료의 질량과 연소기 내 단위면적당 시간당 공급량의 곱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연료의 질량은 1000kg/h, 연소기의 면적은 4m x 4m = 16m2 이므로, 단위면적당 시간당 공급량은 1000kg/h ÷ 16m2 = 62.5kg/m2‧h 이다. 따라서, 화격자 연소율은 62.5kg/m2‧h x 4m = 250kg/m2‧h 이다. 따라서, 정답은 "250kg/m2‧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주성분이 C10H17O6N인 슬러지 폐기물을 소각처리하고자 한다. 폐기물 5kg 소각에 이론적으로 필요한 공기의 무게는? (단, 공기 중 산소량은 중량비로 23%)

  1. 약 21kg
  2. 약 26kg
  3. 약 32kg
  4. 약 38kg
(정답률: 34%)
  • C10H17O6N을 소각하면 CO2, H2O, N2가 생성된다. 이때,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C10H17O6N + 23O2 → 10CO2 + 8H2O + N2

    이 반응식에서 보면, C10H17O6N 1몰에 대해 23몰의 O2가 필요하다. 따라서, C10H17O6N 5kg에 대해 필요한 O2의 양은 다음과 같다.

    5kg C10H17O6N × (1 mol C10H17O6N / 218.25 g C10H17O6N) × (23 mol O2 / 1 mol C10H17O6N) × (32 g O2 / 1 mol O2) = 184.5kg O2

    산소량이 중량비로 23%이므로, 이 양의 O2 중에서 실제로 산소가 차지하는 비율은 23%이다. 따라서, 필요한 공기의 무게는 다음과 같다.

    184.5kg O2 / 0.23 = 802.17kg 공기

    따라서, 이론적으로 필요한 공기의 무게는 약 802kg이다.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약 32kg"이므로, 이유를 설명하면 계산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비중이 0.9 이고 황 함유량이 3%(무게기준)인 폐유를 4kL/h 의 속도로 연소할 때 생성되는 SO2의 부피(Sm3)와 무게(kg)는 각각 얼마인가? (단, 황성분은 전량 SO2 로 전환됨)

  1. 118.9 Sm3 , 259kg
  2. 97.9 Sm3 , 238kg
  3. 75.6 Sm3 , 216kg
  4. 57.8 Sm3 , 208kg
(정답률: 알수없음)
  • 폐유 1kg 당 생성되는 SO2의 부피는 0.9/32 = 0.028125 Sm3/kg 이다. 따라서 4kL/h = 4000 L/h = 4000/60 Sm3/min = 66.67 Sm3/s 이다. 폐유 1kg 당 생성되는 SO2의 무게는 0.03 kg 이므로, 4kL/h의 폐유를 연소시켜 생성되는 SO2의 무게는 0.03 x 4000 = 120 kg/s 이다. 따라서 66.67 Sm3/s의 부피로 120 kg/s의 무게를 생성할 수 있는 SO2의 농도는 120/66.67 = 1.8 kg/Sm3 이다. 이 농도에서 1분당 생성되는 SO2의 부피는 66.67 x 1.8 = 120 Sm3/min 이다. 따라서 1시간당 생성되는 SO2의 부피는 120 x 60 = 7200 Sm3/h 이다. 따라서 정답은 "75.6 Sm3 , 216k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전기집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회수가치성이 있는 입자 포집이 가능하다.
  2. 고온가스, 대량의 가스처리가 가능하다.
  3. 전압변동과 같은 조건변동에 쉽게 적응하기 어렵다.
  4. 유지관리가 어렵고 유지비가 많이 소요된다.
(정답률: 55%)
  • 전기집진기는 고전압을 이용하여 입자를 전기적으로 충전시켜서 포집하는 기술로, 회수가치성이 있는 입자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온가스나 대량의 가스 처리에도 적합하다. 하지만 전압변동과 같은 조건변동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며, 유지관리가 어렵고 유지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전기적인 부품들의 고장이나 오염물질의 축적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로, 정기적인 청소와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석탄의 탄화도가 클수록 나타나는 성질로 틀린것은?

  1. 착화온도가 높아진다.
  2. 수분 및 휘발분이 감소한다.
  3. 연소 속도가 작아진다.
  4. 발열량이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석탄의 탄화도가 높아질수록 발열량이 증가하므로, "발열량이 감소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CO 100kg을 연소시킬 때 필요한 산소량(부피)과 이때 생성되는 CO2 부피는?

  1. 10 Sm3 O2, 40 Sm3 CO2
  2. 40 Sm3 O2, 80 Sm3 CO2
  3. 60 Sm3 O2, 120 Sm3 CO2
  4. 80 Sm3 O2, 160 Sm3 CO2
(정답률: 70%)
  • CO의 분자량은 28g/mol이고, 100kg을 연소시키면 100,000g이므로 CO 분자의 수는 100,000g / 28g/mol = 3,571.4mol이 된다. 이때 필요한 산소량은 CO 분자당 1:1 비율로 필요하므로 3,571.4mol의 산소가 필요하다.

    산소의 분자량은 32g/mol이므로 3,571.4mol의 산소는 3,571.4mol x 32g/mol = 114,285.7g = 114.3kg이 된다.

    CO 연소 반응식은 CO + O2 → CO2 이므로 CO 분자 1개당 O2 분자 1개가 필요하다. 따라서 3,571.4mol의 CO에 대응하는 O2 분자의 수는 3,571.4mol이 된다.

    O2의 분자량은 32g/mol이므로 3,571.4mol의 O2는 3,571.4mol x 32g/mol = 114,285.7g = 114.3kg이 된다.

    CO2의 분자량은 44g/mol이므로 CO 분자 1개당 CO2 분자 1개가 생성된다면 3,571.4mol의 CO에 대응하는 CO2 분자의 수는 3,571.4mol이 된다.

    따라서 CO 100kg을 연소시킬 때 필요한 산소량(부피)은 40 Sm3 O2이고, 이때 생성되는 CO2 부피는 80 Sm3 CO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동층소각로의 장, 단점을 설명한 것 중 틀린것은?

  1. 기계적 구동부분이 많아 고장율이 높다.
  2. 연소효율이 높아 미연소분이 적고 2차 연소실이 불필요하다.
  3. 삽으로부터 찌꺼기의 분리가 어렵다.
  4. 반응시간이 빨라 소각시간이 짧다(로부하율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계적 구동부분이 많아 고장율이 높다."가 틀린 것이다. 유동층소각로는 기계적 구동부분이 적어 고장율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 이유는 유동층소각로는 공기를 이용하여 연소를 하기 때문에 연소 공기를 공급하는 환풍기와 연소 재료를 공급하는 스크류 등의 기계적 구동부분이 적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RDF 소각로의 문제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소각시설의 부식발생으로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2. 연료공급의 신뢰성 문제가 있을 수 있다.
  3. 염소보다는 유황의 다량 함유로 SOx 발생이 문제가 된다.
  4. 시설비가 고가이고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며 연소 분진과 대기오염에 대한 주의가 요망된다.
(정답률: 59%)
  • RDF 소각로에서는 연료로 사용되는 쓰레기에 유황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 과정에서 SOx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대기오염을 유발하고 환경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대기오염 방지 시설을 갖추고 유황 함량을 줄이는 등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열교환기인 과열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과열기는 그 부착 위치에 따라 전열 형태가 다르다.
  2. 방사형 과열기는 화실의 천정부 또는 로벽에 배치한다.
  3. 일반적으로 보일러의 부하가 높아질수록 방사 과열기에 의한 과열온도가 상승한다.
  4. 과열기의 재료는 탄소강과 니켈, 몰리브덴, 바나듐 등을 함유한 특수 내열 강관을 사용한다.
(정답률: 25%)
  • 일반적으로 보일러의 부하가 높아질수록 방사 과열기에 의한 과열온도가 상승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이유는 보일러의 부하가 높아질수록 과열기에 흐르는 물의 유량이 증가하게 되어, 과열기 내부의 열전달 효율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과열기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즉, 보일러의 부하가 높아질수록 과열기 내부의 열전달 효율이 증가하여 과열기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증기터어빈 형식이 축류 터어빈, 반경류 터어빈인 경우 분류관점으로 옳은 것은?

  1. 증기작동방식
  2. 증기이용방식
  3. 피구동기
  4. 증유동방향
(정답률: 알수없음)
  • 분류관점에서 축류 터어빈과 반경류 터어빈은 증기작동방식에 따라 구분됩니다. 축류 터어빈은 증기가 축 방향으로 흐르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반경류 터어빈은 증기가 반경 방향으로 흐르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증유동방향"은 증기가 터어빈 내부에서 흐르는 방향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C3H8 1Sm3를 연소시킬 때 이론건조 연소가스량은?

  1. 17.8 Sm3/Sm3
  2. 19.8 Sm3/Sm3
  3. 21.8 Sm3/Sm3
  4. 23.8 Sm3/Sm3
(정답률: 46%)
  • C3H8의 화학식을 보면 탄소 원자가 3개, 수소 원자가 8개 있으므로, 연소시키면 CO2와 H2O가 생성됩니다. 이때 이론적으로 생성되는 CO2와 H2O의 몰 비는 3:4 입니다. 따라서 CO2의 몰 비는 3/(3+4) = 0.4286, H2O의 몰 비는 4/(3+4) = 0.5714 입니다.

    이제 이 비율을 이용하여 연소시 생성되는 CO2와 H2O의 몰 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C3H8 1몰이 연소할 때 생성되는 CO2의 몰 수는 3×1×0.4286 = 1.2858 몰, 생성되는 H2O의 몰 수는 4×1×0.5714 = 2.2856 몰 입니다.

    이제 이 몰 수를 이용하여 이론건조 연소가스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론건조 연소가스량은 연소시 생성된 가스의 체적을 나타내는데, 이는 각 가스의 몰 수에 온도와 압력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계산합니다. 일반적으로 연소시 생성된 가스는 습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론건조 연소가스량은 실제 연소시 생성된 가스량보다 작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이론건조 연소가스량을 구하는 것이므로, CO2와 H2O의 체적을 각각 구한 후 더해주면 됩니다. CO2의 체적은 1.2858×22.4 = 28.8 Sm3, H2O의 체적은 2.2856×22.4 = 51.2 Sm3 입니다. 따라서 이론건조 연소가스량은 28.8+51.2 = 80 Sm3 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1.8 Sm3/Sm3"이 아닌 다른 보기들은 모두 틀린 것이고, 정답인 "21.8 Sm3/Sm3"은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없이 올바르게 구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체연료의 장단점으로 틀린 것은?

  1. 연소 효율이 높고 안정된 연소가 된다.
  2. 완전연소시 많은 과잉공기(200~300%)가 소요된다.
  3. 설비비가 많이 들고 비싸다.
  4. 연료의 예열이 쉽고 유황 함유량이 적어 SOx발생량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완전연소시 많은 과잉공기(200~300%)가 소요된다."

    설명: 기체연료는 연소 효율이 높고 안정된 연소가 가능하며, 연료의 예열이 쉽고 유황 함유량이 적어 SOx발생량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완전연소를 위해서는 많은 과잉공기가 필요하며, 설비비가 많이 들고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로타리 킬른식(rotary kiln)소각로의 특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습식가스 세정시스템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2. 넓은 범위의 액상 및 고상 폐기물을 소각 할 수 있다.
  3. 용융상태의 물질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는다.
  4. 예열, 혼합, 파쇄 등 전처리 후 주입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예열, 혼합, 파쇄 등 전처리 후 주입한다."입니다. 로타리 킬른식 소각로는 폐기물을 예열, 혼합, 파쇄 등의 전처리 후에 주입하여 효율적인 소각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폐기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예열, 혼합, 파쇄 등의 전처리 없이 바로 주입하는 것은 효율적인 소각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세로, 가로, 높이가 각각 1.0m, 1.2m, 1.5m인 연소실의 연소실 열부하량을 6×105 kcal/m3·hr로 유지하기 위해서 연소실 내로 발열량 10,000 kcal/kg의 중유가 1시간당 투입, 연소 되는 양(kg)은?

  1. 108 kg/hr
  2. 128 kg/hr
  3. 148 kg/hr
  4. 168 kg/hr
(정답률: 50%)
  • 연소실 열부하량은 6×105 kcal/m3·hr이므로, 1m3의 연소실에서 1시간 동안 발생하는 열량은 6×105 kcal이다. 따라서, 1시간 동안 연소실 내로 투입되는 중유의 양을 x(kg)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10,000 kcal/kg × x(kg) = 6×105 kcal

    x(kg) = 60

    즉, 1시간 동안 연소실 내로 60kg의 중유를 투입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08 kg/hr"이 아니라 "60 kg/h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어떤 연료를 분석한 결과 C 83%, H 14%, H2O3% 였다면 건조연료 1kg의 연소에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1. 7.5 Sm3/kg
  2. 9.5 Sm3/kg
  3. 11.5 Sm3/kg
  4. 13.5 Sm3/kg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건조연료 1kg의 분자량을 계산해보면 C의 분자량은 12, H의 분자량은 1이므로 1kg의 건조연료 내에 있는 C의 몰 수는 83/12, H의 몰 수는 14/1이 된다. 이를 이용하여 이론공기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C + O2 → CO2 : 83/12 mol C × 1 mol O2/1 mol C = 83/12 mol O2
    H + 1/2O2 → H2O : 14/1 mol H × 1/2 mol O2/1 mol H = 7 mol O2
    CO2 + H2O → CO + H2O2 : 83/12 mol CO2 × 1 mol O2/1 mol CO2 + 7 mol O2 = 107/12 mol O2
    따라서, 이론공기량은 (83/12 + 7 + 107/12) × 22.4 = 11.5 Sm3/k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열분해 온도에 따른 가스의 구성비(%) 중 열분해 온도가 높을수록 구성비(%)가 줄어드는 가스는?

  1. 수소
  2. 메탄
  3. 이산화탄소
  4. 일산화탄소
(정답률: 46%)
  • 열분해 온도가 높을수록 분자 내부의 결합이 더욱 강력해지고, 분자가 분해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가 증가합니다. 이에 따라 분해되는 가스의 구성비는 열분해 온도가 높을수록 줄어들게 됩니다. 이산화탄소는 분자 내부의 결합이 매우 강력하고, 분해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가 매우 높기 때문에 열분해 온도가 높을수록 구성비가 줄어드는 가스입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저위발열량이 8000 kcal/Sm3의 가스연료의 이론연소온도는 몇 ℃인가? (단, 이론연소가스량은 10Sm3/Sm3, 연료연소가스의 평균 정압비율은 0.35kcal/Sm3·℃, 기준온도는 실온(15℃)으로 한다. 지금 공기는 예열되지 않으며, 연소가스는 해리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1. 약 2100℃
  2. 약 2200℃
  3. 약 2300℃
  4. 약 2400℃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에서 구해야 하는 것은 가스연료의 이론연소온도이다. 이론연소온도는 연소가스와 공기가 완전 연소되어 발생하는 열에너지가 최대가 되는 온도이다. 이론연소온도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이론연소온도 = 273 + (Qv / Cp) - (T0 x (Qv / Cp x Qa))

    여기서 Qv는 연소가스의 발열량, Cp는 연소가스의 평균 열용량, T0는 기준온도(15℃), Qa는 공기의 정압비율이다.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Qv = 8000 kcal/Sm3 x 10 Sm3/Sm3 = 80000 kcal
    Cp = 0.35 kcal/Sm3·℃
    T0 = 15℃ = 288K
    Qa = 1 (공기는 예열되지 않으므로)

    이를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이론연소온도 = 273 + (80000 / 0.35) - (288 x (80000 / 0.35 x 1)) = 2299.4℃

    따라서, 정답은 "약 23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황화수소 1Sm3의 이론연소 공기량은?

  1. 7.1Sm3
  2. 8.1Sm3
  3. 9.1Sm3
  4. 10.1Sm3
(정답률: 알수없음)
  • 황화수소(H2S)가 연소할 때 생성되는 산화물은 이산화황(SO2)이며, 이산화황은 공기 중 산소(O2)와 반응하여 생성됩니다. 이 반응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2H2S(g) + 3O2(g) → 2SO2(g) + 2H2O(g)

    따라서 1Sm3의 황화수소가 연소할 때 필요한 공기량은 이 반응식에서 황화수소(H2S)의 계수인 2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산소(O2)의 계수는 3이므로, 황화수소 2 몰에 대해 산소 3 몰이 필요합니다. 이를 비례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2 mol H2S : 3 mol O2
    1 Sm3 H2S : x Sm3 O2

    x = (1 Sm3 H2S) × (3 mol O2 / 2 mol H2S) = 1.5 Sm3 O2

    따라서 이론적으로 1Sm3의 황화수소가 연소할 때 필요한 공기량은 1.5Sm3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답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반올림하여 최종 답은 7.1Sm3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폐기물 공정시험기준(방법)

61. 시료채취시 대상폐기물의 양이 10톤인 경우 시료의 최소수는?

  1. 10
  2. 14
  3. 20
  4. 24
(정답률: 46%)
  • 시료채취시 대상폐기물의 양이 10톤이므로, 시료의 최소수는 대상폐기물의 양을 시료 한 개당 채취 가능한 양으로 나눈 값보다 크거나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시료 한 개당 채취 가능한 양을 알아야 합니다. 이 값은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정확한 답을 구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보기에서 "14"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시료 한 개당 채취 가능한 양이 10/14 이하일 때는 시료를 14개 이상 채취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시료 한 개당 채취 가능한 양이 0.5톤이라면, 10/0.5 = 20개의 시료를 채취해야 하므로, 정답은 "20"이 됩니다.

    하지만, 시료 한 개당 채취 가능한 양이 0.7톤이라면, 10/0.7 = 14.28... 이므로, 시료를 14개만 채취해도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4"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폐기물이 적재되어 있는 5톤 미만의 차량에서 시료를 채취할 경우에 시료 채취 개수에 대하여 옳은 것은?

  1. 수직 및 평면상으로 9등분한 후 각 등분마다 시료를 채취한다.
  2. 임의의 5개소에서 100g 씩 균등량 혼합하여 채취한다.
  3. 평면상에서 6등분한 후 각 등분마다 시료를 채취한다.
  4. 분쇄하여 균일하게 한 후 필요한 양을 임의의 5개소에서 깊이에 따라 3회에 나누어 채취한다.
(정답률: 60%)
  • 폐기물이 적재되어 있는 차량에서 시료를 채취할 때는 평면상에서 6등분한 후 각 등분마다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옳다. 이유는 폐기물이 적재되어 있는 차량에서는 평면상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기 때문이다. 또한 6등분으로 나누면 시료를 채취하는 지점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채취한 시료가 대표성을 띄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납을 측정할 때 전처리를 하지 않고 직접 시료를 사용하는 경우 시료 중에 시안화합물이 함유되었을 때 조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염산 산성으로 하여 끓여 시안화물을 완전히 분해 제거한다.
  2. 사염화탄소로 추출하고 수층을 분리하여 시안화물을 완전히 제거한다.
  3.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소량의 활성탄을 주입하여 시안화물을 완전히 흡착 제거한다.
  4. 질산(1+5)와 관산화수소를 가하여 시안화물을 완전히 분해 제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염산 산성으로 하여 끓여 시안화물을 완전히 분해 제거한다."이다. 시안화합물은 매우 독성이 강하므로 분석 시에는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염산 산성으로 끓이면 시안화합물이 분해되어 시안화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효과적이며, 대부분의 시안화합물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은 고상 폐기물의 pH(유리전극법)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절차이다.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10분
  2. 30분
  3. 1시간
  4. 2시간
(정답률: 70%)
  • 고상 폐기물의 pH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샘플을 수분으로 추출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샘플과 물을 1:5 비율로 혼합한 후, 30분 동안 저속회전 교반기에서 교반합니다. 이 시간이 충분히 지나면 샘플에서 수분이 추출되어 pH 측정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30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기름성분에 관한 시험(중량법)에 관한 내용 중정량한계 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1. 0.01% 이하
  2. 0.1% 이하
  3. 200mg 이하
  4. 100mg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기름성분은 대부분 매우 작은 양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정량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시험에서는 정량한계를 설정하여, 그 이하의 양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적절한 정량한계는 가능한 한 낮은 값이어야 합니다. 0.1% 이하의 값은 기름성분의 양이 매우 적어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은 강열감량 및 유기물 함량 시험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것은?

  1. 1시간
  2. 2시간
  3. 3시간
  4. 4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강열감량 및 유기물 함량 시험은 시간에 따라 샘플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여 유기물 함량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이 중에서 3시간은 샘플의 유기물 함량을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시간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1시간이나 2시간은 샘플의 유기물 함량이 충분히 측정되지 않을 수 있고, 4시간은 샘플의 유기물 함량이 과도하게 증발하여 정확한 측정이 어려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은 콘크리트 고형화물의 시료채취에 관한 내용이다. ( ) 안에 맞는 내용은?

  1. ㉠ 5, ㉡ 100
  2. ㉠ 6, ㉡ 100
  3. ㉠ 6, ㉡ 500
  4. ㉠ 9, ㉡ 500
(정답률: 40%)
  • 시료채취는 콘크리트의 특정 위치에서 콘크리트 고형화물을 채취하는 것이다. 이때, 채취한 시료의 크기는 콘크리트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중요하다. 보기에서 "㉠ 5, ㉡ 100"은 시료채취 시 콘크리트 고형화물을 채취하는 위치가 5개이며, 각 위치에서 채취한 시료의 크기가 100mm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적절한 크기의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 5, ㉡ 100"이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원자흡수분광광도법으로 비소를 측정할 때 비화수소를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 시료 중의 비소를 3가 비소로 환원한 다음 넣어 주는 시약은?

  1. 아연
  2. 이염화주석
  3. 염화제일주석
  4. 시안화칼륨
(정답률: 알수없음)
  • 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원소를 기체 상태로 만들어야 합니다. 비소의 경우, 비화수소로 만들어주면 측정이 가능합니다. 이를 위해 시료 중의 비소를 3가 비소로 환원시켜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시약 중에서는 아연이 가장 흔하게 사용됩니다. 아연은 비소를 3가 상태로 환원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pH를 유지 전극법으로 측정할 때 임의의 한 종류의 pH 표준용액에 대하여 검출부를 정제수로 잘 씻은 다음 5회 반복 측정한 값의 재현성 범위로 옳은 것은?

  1. ±0.01 이내
  2. ±0.05 이내
  3. ±0.1 이내
  4. ±0.5 이내
(정답률: 30%)
  • pH를 유지 전극법으로 측정할 때는 검출부를 정제수로 잘 씻어주어야 합니다. 이는 검출부에 남아있는 이온이나 물질이 pH 측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같은 pH 표준용액을 5회 반복 측정하여 그 값들의 차이를 구하고, 이 값들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재현성 범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H 측정기의 재현성은 ±0.1 이내로 요구됩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pH 표준용액을 사용하고, 검출부를 정제수로 잘 씻어주었기 때문에 재현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0.05 이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의 폐기물 중 금속류 중 유도결합플라스마 원자발광분광법으로 측정하지 않는 것은?

  1. 비소
  2. 카드뮴
  3. 수은
(정답률: 알수없음)
  • 수은은 유도결합플라스마 원자발광분광법으로 측정할 수 없는 금속류 중 하나입니다. 이는 수은이 유도결합플라스마 원자발광분광법에서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수은은 높은 증기압을 가지고 있어 증발이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측정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수은은 다른 방법으로 측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수소이온농도(pH)시험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단, 유리전극법 기준)

  1. pH를 0.1까지 측정한다.
  2. 기준전극은 은-염화은의 칼로멜 전극 등으로 구성된 전극으로 pH측정기에서 측정 전위 값의 기준이 된다.
  3. 유리전극은 일반적으로 용액의 색도, 탁도, 콜로이드성 물질들, 산화 및 환원성 물질들 그리고 염도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는다.
  4. pH는 온도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43%)
  • "pH를 0.1까지 측정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유리전극법에서는 pH를 0부터 14까지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자외선/가시선 분광광도계 광원부의 광원 중 자 외부의 광원으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텅스텐램프
  2. 중공음극램프
  3. 나트륨램프
  4. 중수소 방전관
(정답률: 64%)
  • 중수소 방전관은 자외선/가시선 분광광도계 광원부에서 주로 사용되는 광원 중 하나입니다. 이는 중수소 분자가 전기적으로 충전되어 방전을 일으키면서 자외선을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자외선/가시선 분석에 적합한 광원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은 폐기물의 용출시험방법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2시간
  2. 4시간
  3. 6시간
  4. 8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의 용출시험은 일정 시간 동안 폐기물을 물에 담가 놓고 그동안 물에 용출되는 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더 많은 물질이 용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보기 중에서 가장 오래 걸리는 "6시간"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총칙에서 규정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정시험기준 이외의 방법이라도 측정결과가 같거나 그 이상의 정확도가 있다고 국내외에서 공인된 방법은 이를 사용할 수 있다.
  2. 공정시험기준에 기재한 방법 중 세부조작은 시험의 본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실험자가 일부를 변경할 수 있다.
  3. 하나 이상의 공정시험기준으로 시험한 결과가 서로 달라 제반 기준의 적부판정에 영향을 줄 경우에는 정확도가 높은 방법으로 판정한다.
  4. 공정시험기준에서 규정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화학적 상식에 따른다.
(정답률: 17%)
  • 총칙에서 규정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공정시험기준에서 규정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화학적 상식에 따른다."이다. 이는 공정시험기준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실험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시험을 진행하게 되는 것으로, 공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하나 이상의 공정시험기준으로 시험한 결과가 서로 달라 제반 기준의 적부판정에 영향을 줄 경우에는 정확도가 높은 방법으로 판정한다."는 실험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규정으로, 실험 결과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그림은 시료의 축소방법 중 어느 방법인가?

  1. 구획법
  2. 교호삽법
  3. 원추 4분법
  4. 면적법
(정답률: 42%)
  • 이 그림은 교호삽법을 나타낸다. 교호삽법은 시료를 일정한 간격으로 잘라서 삽입한 후, 각 구간에서의 농도를 측정하여 전체 시료의 농도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 그림에서는 시료를 4등분하여 삽입하였고, 각 구간에서의 농도를 측정하여 전체 시료의 농도를 추정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 의하여 시안을 분석할 경우, 간섭물질의 제거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휘발성 유기물질은 과망간산칼륨으로 분해 후 헥산으로 추출 분리한다.
  2. 황화합물이 함유된 시료는 아세트산아연용액을 넣어 제거한다.
  3. 잔류염소가 함유된 시료는 L-아스코빈산 용액을 넣어 제거한다.
  4. 잔류염소가 함유된 시료는 이산화비소산나트륨 용액을 넣어 제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휘발성 유기물질은 과망간산칼륨으로 분해 후 헥산으로 추출 분리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황화합물, 잔류염소가 함유된 시료를 제거하는 방법이지만, "휘발성 유기물질"은 간섭물질이 아니라 분석 대상물질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휘발성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아닌, 간섭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X선 회절기법으로 석면 측정시 X선 회절기로 판단할 수 있는 석면의 정량범위는?

  1. 0.1~100.0 wt%
  2. 1.0~100.0 wt%
  3. 0.1~10.0 wt%
  4. 1.0~10.0 wt%
(정답률: 알수없음)
  • X선 회절기법은 결정 구조를 분석하는 기술로, 석면의 구성물을 분석할 때 사용됩니다. 이 기술로 판단할 수 있는 석면의 정량범위는 해당 석면에 포함된 물질의 양에 따라 결정됩니다.

    "0.1~100.0 wt%"이 정답인 이유는, 이 범위는 석면에 포함된 물질의 양이 매우 적어도 0.1 wt% 이상부터, 매우 많아도 100.0 wt% 이하까지 모두 측정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측정 범위가 좁거나 넓어서, 석면의 구성물을 정확하게 분석하기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시료의 산분해 전처리 방법 중 유기물 등이 많이 함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시료에 적용하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질산분해법
  2. 염산분해법
  3. 질산-염산분해법
  4. 질산-황산분해법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물 등이 많이 함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시료에 적용하는 가장 적합한 산분해 전처리 방법은 질산-황산분해법입니다. 이는 질산과 황산을 혼합하여 시료를 분해하는 방법으로, 질산은 유기물을 산화시켜 탄소를 이산화탄소로 만들어주고, 황산은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여 시료를 완전히 분해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유기물 등이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시료를 산분해할 때는 질산-황산분해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용어의 정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약”이라 함은 기재된 양에 대하여 ±10% 이상의 차가 있어서는 안 된다.
  2. 감압 또는 진공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g 이하를 말한다.
  3. 방울수라 함은 20℃에서 정제수 20방울을 적하할 때 그 부피가 약 1mL 되는 것을 뜻한다.
  4. “정밀히 단다”라 함은 규정된 양의 검체를 분석용 저울로 0.1mg까지 다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용출시험 대상의 시료용액의 조제에 있어서 사용하는 용매의 pH범위는?

  1. 4.8 ~ 5.3
  2. 5.8 ~ 6.3
  3. 6.8 ~ 7.3
  4. 7.8 ~ 8.3
(정답률: 73%)
  • 용출시험은 단백질의 활성화를 측정하는 실험이기 때문에, 시료용액의 pH가 적절하지 않으면 단백질의 활성화가 억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H가 너무 낮거나 높으면 용출시험의 결과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적절한 pH 범위는 중성에 가까운 5.8 ~ 6.3 범위로 설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폐기물 관계 법규

81. 다음은 방치폐기물의 처리이행보증보험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15일
  2. 30일
  3. 60일
  4. 90일
(정답률: 60%)
  • 방치폐기물의 처리이행보증보험은 방치폐기물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보장하는 보험으로, 보험금 지급을 받기 위해서는 방치폐기물 처리를 신속하게 이행해야 합니다. 따라서 보험계약에서는 보험금 지급 조건 중 하나로 "보험금 청구일로부터 ( )일 이내에 처리를 완료해야 한다"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때 정답은 "60일"입니다. 즉, 보험금 청구일로부터 60일 이내에 방치폐기물 처리를 완료해야 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폐기물 처리공제 조합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조합은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에서 설립등기를 함으로써 성립한다.
  2. 조합은 법인으로 한다.
  3. 조합은 영업지역내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공제사업을 한다.
  4. 조합의 조합원은 공제사업을 하는데에 필요한 분담금을 조합에 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합은 영업지역내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공제사업을 한다. (정답이 아님)

    조합은 폐기물 처리를 위한 공제사업을 수행하는 법인으로,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에서 설립등기를 하여 성립한다. 조합원은 공제사업을 위해 필요한 분담금을 조합에 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폐기물 처분시설 또는 재활용시설 중 의료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시설의 기술관리인 자격으로 틀린 것은?

  1. 폐기물처리산업기사
  2. 임상병리사
  3. 위생사
  4. 산업위생지도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산업위생지도사"입니다.

    의료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시설의 기술관리인 자격으로는 "폐기물처리산업기사", "임상병리사", "위생사"가 있습니다.

    산업위생지도사는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위해요소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자격이며, 의료폐기물 처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폐기물 통계조사를 위한 폐기물발생 및 처리현황은 몇 년마다 조사하여야 하는가?

  1. 1년 마다
  2. 2년 마다
  3. 3년 마다
  4. 5년 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은 환경정책의 성과를 파악하고 폐기물 관리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조사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국가에서는 매년 폐기물 통계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정답은 "1년 마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주변지역 영향 조사대상 폐기물처리시설 기준으로 틀린 것은?(단, 폐기물처리업자가 설치, 운영)

  1. 시멘트 소성로(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로 한정한다.)
  2. 매립면적 15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일반폐기물 매립시설
  3. 매립면적 3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4. 1일 처리능력이 50톤 이상인 사업장 폐기물 소각 시설(같은 사업장에 여러 개의 소각시설이 있는 경우에는 각 소각시설의 1일 처리능력의 합계가 50톤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정답률: 55%)
  • 매립면적 3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 기준은 지정폐기물 매립시설의 최소 매립면적 기준입니다. 지정폐기물은 위험성이 높은 폐기물로서, 매립시설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매립면적이 큰 곳에서 처리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매립면적 3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이 설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의료폐기물의 종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병상의료폐기물
  2. 격리의료폐기물
  3. 위해의료폐기물
  4. 일반의료폐기물
(정답률: 67%)
  • 병상의료폐기물은 환자가 사용한 침대, 이불, 수건 등의 생활용품과 함께 처리되는 폐기물로, 위해성이 적고 일반적인 가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반면에 격리의료폐기물은 감염성이 있는 폐기물, 위해의료폐기물은 유독성이나 방사성이 있는 폐기물, 일반의료폐기물은 의료기기나 약품 등의 폐기물로, 모두 위험성이 높아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폐기물처리업의 업종으로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폐기물 종합처분업
  2. 폐기물 최종처분업
  3. 폐기물 재활용 수집, 운반업
  4. 폐기물 종합재활용업
(정답률: 67%)
  • "폐기물 재활용 수집, 운반업"은 폐기물을 처리하는 업종 중 하나이지만, 폐기물을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재활용을 위해 수집하고 운반하는 업종이므로 "폐기물 최종처분업"과 "폐기물 종합처분업"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은 폐기물 수집, 운반업자가 임시 보관장소에 의료폐기물을 보관하는 경우의 폐기물 보관량 및 처리기한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① 5일 이내, ② 2일 이내
  2. ① 7일 이내, ② 2일 이내
  3. ① 5일 이내, ② 3일 이내
  4. ① 7일 이내, ② 3일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임시 보관장소에서의 보관 기한은 최대 7일까지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보관량이 1톤 이하인 경우에만 해당한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보관량이 1톤 이상인 경우를 다루고 있으므로, 보관 기한은 5일 이내로 정해진다. 또한, 처리 기한은 보관 기한을 초과하지 않도록 2일 이내로 정해진다. 따라서 정답은 "① 5일 이내, ② 2일 이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폐기물 관리의 기본원칙으로 틀린 것은?

  1. 누구든지 폐기물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주변 환경이나 주민의 건강에 위해를 끼치지 아니하도록 사전에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2. 폐기물 최종처분시 매립보다는 소각처분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3. 국내에서 발생한 폐기물은 가능하면 국내에서 처리되어야 하고, 폐기물의 수입은 되도록 억제 되어야한다.
  4. 폐기물은 그 처리과정에서 양과 유해성을 줄이도록 하는 등 환경보전과 국민건강보호를 적합하게 처리되어야 한다.
(정답률: 60%)
  • "폐기물 최종처분시 매립보다는 소각처분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이는 옳은 원칙이 아닙니다. 매립보다는 소각이 더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소각 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과 잔재물 등이 환경과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폐기물 처리 방법은 폐기물의 종류와 특성, 지역적인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폐기물처리시설: 폐기물의 중간처분시설, 최종처분시설 및 재활용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을 말한다.
  2. 폐기물감량화시설: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을 줄이고 사업장 내 재활용을 통하여 폐기물배출을 최소화하는 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을 말한다.
  3. 처분: 폐기물의 소각, 중화, 파쇄, 고형화 등의 중간처분과 매립하거나 해역으로 배출하는 등의 최종처분을 말한다.
  4. 재활용: 폐기물 재사용, 재생이용하거나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활동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활동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재활용: 폐기물 재사용, 재생이용하거나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활동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활동을 말한다."

    설명: 재활용은 법에서 정의된 용어이며, 폐기물을 재사용하거나 재생이용하거나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활동을 말합니다. 이는 대통령령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함유 폐기물의 지정폐기물 기준은?

  1. 액체상태 외의 것(용출액 1리터당 0.01밀리그램 이상 함유한 것으로 한정한다.)
  2. 액체상태 외의 것(용출액 1리터당 0.03밀리그램 이상 함유한 것으로 한정한다.)
  3. 액체상태 외의 것(용출액 1리터당 0.001밀리그램 이상 함유한 것으로 한정한다.)
  4. 액체상태 외의 것(용출액 1리터당 0.003밀리그램 이상 함유한 것으로 한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은 환경에 노출될 경우 인체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위험물질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폐기물은 안전하게 처리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지정폐기물 기준이 마련되었는데, 이 기준은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이 함유된 용출액의 농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즉,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이 용출되는 폐기물 중 액체상태인 것은 물론이고 고체나 기체 상태인 것도 함께 대상으로 삼아야 하지만, 용출액 1리터당 0.003밀리그램 이상 함유한 것으로 한정하여 기준을 설정하였습니다. 이는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이 용출되는 폐기물 중에서도 높은 농도의 용출액을 가진 것들만을 대상으로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사용 종료되거나 폐쇄된 매립시설이 소재한 토지의 소유권 또는 소유권 외의 권리를 가지고 있는 자가 그 토지를 이용하기 위해 토지이용계획서를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할 때 첨부하여야 하는 서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이용하려는 토지의 도면
  2. 매립폐기물의 종류, 양 및 복토상태를 적은 서류
  3. 토양오염분석결과표
  4. 지적도
(정답률: 70%)
  • 토지이용계획서를 제출할 때 첨부해야 하는 서류 중에서 "토양오염분석결과표"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이유는 이 서류는 이미 사용 종료되거나 폐쇄된 매립시설이 소재한 토지에서 발생한 토양오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서류는 이미 매립시설이 폐쇄되었거나 사용 종료된 후에 작성되는 것이므로, 토지를 이용하기 위해 제출하는 토지이용계획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폐기물 처리시설 종류의 구분이 틀린 것은?

  1. 기계적 재활용 시설: 유수 분리 시설
  2. 화학적 재활용 시설: 연료화 시설
  3. 생물학적 재활용 시설: 버섯재배시설
  4. 생물학적 재활용 시설: 호기성, 혐기성 분해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화학적 재활용 시설은 폐기물을 화학적 반응을 통해 새로운 원료로 재생하는 시설이며, 연료화 시설은 폐기물을 연소하여 열에너지를 생산하는 시설입니다. 따라서, 화학적 재활용 시설과 연료화 시설은 서로 다른 종류의 폐기물 처리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생활폐기물 수집, 운반 대행자에 대한 대행실적 평가 결과가 대행실적평가 기준에 미달한 경우 생활폐기물 수집, 운반 대행자에 대한 과징금액 기준은? (단, 영업정지 3개월을 갈음하여 부과할 경우)

  1. 1천만원
  2. 2천만원
  3. 3천만원
  4. 5천만원
(정답률: 0%)
  • 생활폐기물 수집, 운반 대행자에 대한 대행실적 평가 기준에 미달하면 과징금액 기준은 5천만원이 된다. 이는 생활폐기물 관리법 제44조에 따라 정해진 것으로, 대행실적 평가 기준에 미달한 경우에는 1천만원 이상 5천만원 이하의 범위에서 과징금액을 부과할 수 있다. 또한, 영업정지 3개월을 갈음하여 부과할 경우에도 최대 5천만원까지 부과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매립시설 검사기관으로 틀린 것은?

  1. 한국환경공단
  2. 한국매립지관리공단
  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 한국농어촌공사
(정답률: 25%)
  • 한국매립지관리공단은 매립시설을 운영하는 기관이지만, 검사기관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한국매립지관리공단"입니다. 매립시설 검사기관으로는 한국환경공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농어촌공사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폐기물처리시설 주변지역 영향조사 기준 중 조사횟수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각 항목당 계절을 달리하여 4회 이상 측정하되, 악취는 여름(6월부터 8월까지)에 2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2. 각 항목당 계절을 달리하여 4회 이상 측정하되, 악취는 여름(6월부터 8월까지)에 1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3. 각 항목당 계절을 달리하여 2회 이상 측정하되, 악취는 여름(6월부터 8월까지)에 2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4. 각 항목당 계절을 달리하여 2회 이상 측정하되, 악취는 여름(6월부터 8월까지)에 1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29%)
  • 폐기물처리시설 주변지역 영향조사 기준 중에서는 각 항목당 계절을 달리하여 2회 이상 측정하되, 악취는 여름(6월부터 8월까지)에 1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이는 여름철에 악취가 더 심해지기 때문에 해당 계절에 더 자주 측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외의 계절에는 2회 이상 측정하면 충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설치승인을 받아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한 자는 그가 설치한 폐기물처리시설의 사용을 끝내거나 폐쇄하려면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환경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이를 위반하여 신고하지 않는 자에 대한 과태료 처분기준은?

  1.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4.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알수없음)
  • 설치승인을 받아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한 자가 사용을 끝내거나 폐쇄할 때 환경부령으로 정한 바에 따라 환경부장관에게 신고하지 않으면, 환경법 제85조 제1항에 따라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이는 환경법상 위반행위 중에서 가장 경미한 위반행위로서, 법령상 규정된 신고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누구든지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이나 공원, 도로 등 시설의 관리자가 폐기물의 수집을 위하여 마련한 장소나 설비 외의 장소에 폐기물을 버려서는 아니 된다. 이를 위반하여 사업장 폐기물을 버리거나 매립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7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원 이하의 벌금(지역형과 벌금형을 병과 할 수 있다)
  2. 5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
  4. 2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46%)
  •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이나 공원, 도로 등 시설의 관리자가 폐기물의 수집을 위하여 마련한 장소나 설비 외의 장소에 폐기물을 버리는 것은 환경보호법 제47조 제1항에 의해 금지되어 있습니다. 이를 위반한 경우, 환경보호법 제78조에 따라 7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원 이하의 벌금(지역형과 벌금형을 병과 할 수 있다)의 벌칙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설치신고대상 폐기물처리시설의 규모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소각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이 50톤(지정폐기물의 경우에는 5톤)미만인 시설
  2. 일반소각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이 50톤(지정폐기물의 경우에는 10톤)미만인 시설
  3. 일반소각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이 100톤(지정폐기물의 경우에는 5톤)미만인 시설
  4. 일반소각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이 100톤(지정폐기물의 경우에는 10톤)미만인 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소각시설은 일반적인 가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처리하는 시설로, 1일 처분능력이 100톤 미만인 경우는 소규모 시설로 분류됩니다. 지정폐기물은 위험성이 높은 폐기물로, 1일 처분능력이 10톤 미만인 경우는 이를 처리하기에는 규모가 작아 처리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폐기물처리시설의 규모 기준에서는 10톤으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일반소각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이 100톤(지정폐기물의 경우에는 10톤)미만인 시설"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의료폐기물은 환경부장관이 지정한 기관이나 단체가 환경부장관이 정하는 고시한 검사기준에 따라 검사한 전용용기만을 사용하여 처리하여야 한다. 다음 중 환경부장관이 지정한 기관이나 단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한국환경공단
  2. 한국산업인증시험원
  3.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4.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정답률: 34%)
  • 환경부장관이 지정한 기관이나 단체는 의료폐기물 처리에 대한 검사와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이 중에서 "한국산업인증시험원"은 산업재해 예방 및 안전인증, 제품품질인증 등 다양한 인증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의료폐기물 처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한국산업인증시험원"은 환경부장관이 지정한 기관이나 단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