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9-20)

폐기물처리기사
(2014-09-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폐기물 개론

1. 밀도가 400kg/m3인 쓰레기 10ton을 압축시켰더니 처음 부피보다 50%가 줄었다. 이 경우 Compactratio는?

  1. 1.5
  2. 2.0
  3. 2.5
  4. 3.0
(정답률: 87%)
  • 쓰레기의 초기 부피는 다음과 같습니다.

    10,000 kg / 400 kg/m^3 = 25 m^3

    압축 후의 부피는 초기 부피의 50% 감소한 값이므로 다음과 같습니다.

    25 m^3 * 0.5 = 12.5 m^3

    압축 후의 밀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10,000 kg / 12.5 m^3 = 800 kg/m^3

    Compactratio는 압축 후의 밀도를 초기 밀도로 나눈 값이므로 다음과 같습니다.

    800 kg/m^3 / 400 kg/m^3 = 2.0

    따라서, 정답은 "2.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폐기물을 파쇄하여 입도를 분석하였더니 폐기물 입도 분포 곡선상 통과백분율이 10%, 30%, 60%, 90%에 해당되는 입경이 각각 2mm, 4mm, 6mm, 8mm이었다. 곡률계수는?

  1. 0.93
  2. 1.13
  3. 1.33
  4. 1.53
(정답률: 81%)
  • 입도 분포 곡선상 통과백분율이 10%, 30%, 60%, 90%에 해당되는 입경을 알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곡률계수를 구할 수 있다. 곡률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곡률계수 = (log D90 - log D10) / (log 9 - log 1)

    여기서 D10, D90은 각각 입도 분포 곡선상 통과백분율이 10%, 90%에 해당되는 입경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여 곡률계수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곡률계수 = (log 8 - log 2) / (log 9 - log 1) = 1.33

    따라서, 정답은 "1.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압축비가 4인 쓰레기의 부피 감소율은?

  1. 70%
  2. 75%
  3. 80%
  4. 85%
(정답률: 81%)
  • 압축비란 압축 전의 부피 대비 압축 후의 부피 비율을 말합니다. 따라서 압축비가 4인 경우, 압축 후의 부피는 원래 부피의 1/4이 됩니다.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25% 감소한 것이므로, 원래 부피의 75%가 남은 것입니다. 따라서 압축비가 4인 쓰레기의 부피 감소율은 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폐기물의 수거노선 설정시 고려해야 할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언덕지역에서는 언덕의 꼭대기에서부터 시작하여 적재하면서 차량이 아래로 진행 하도록 한다.
  2. U자 회전을 피하여 수거한다.
  3. 아주 많은 양의 쓰레기가 발생되는 발생원은 하루 중 가장 나중에 수거한다.
  4. 가능한 한 시계방향으로 수거노선을 정한다.
(정답률: 89%)
  • "아주 많은 양의 쓰레기가 발생되는 발생원은 하루 중 가장 나중에 수거한다."는 옳은 내용이 아니다. 대부분의 경우, 많은 양의 쓰레기가 발생하는 발생원은 일찍 수거하는 것이 좋다. 이유는 쓰레기가 쌓이면서 냄새와 오염물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내용은 수정되어야 한다.

    언덕지역에서는 언덕의 꼭대기에서부터 시작하여 적재하면서 차량이 아래로 진행 하도록 한다는 것은 경사가 있는 지역에서 효율적인 수거를 위한 방법이다. U자 회전을 피하여 수거한다는 것은 차량의 회전 반경을 줄여서 시간과 연료를 절약하기 위한 방법이다. 가능한 한 시계방향으로 수거노선을 정한다는 것은 차량의 운행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효율적인 수거를 위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1일 폐기물 발생량이 1244톤인 도시에서 6톤 트럭(적재가능량)을 이용하여 쓰레기를 매립지까지 운반하려고 한다. 다음과 같은 조건하에서 하루에 필요한 운반트럭의 대수는? (단, 예비차량 포함, 기타조건 고려하지 않음)

  1. 25대
  2. 29대
  3. 31대
  4. 36대
(정답률: 75%)
  • 하루에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은 1244톤이다. 하나의 트럭은 6톤의 적재가능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루에 필요한 트럭의 대수는 1244톤을 6톤으로 나눈 값인 약 207.33대가 된다. 그러나 예비차량을 고려해야 하므로, 이 값을 반올림하여 최종적으로 필요한 트럭의 대수는 36대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관거(Pipeline)를 이용한 수거방식인 공기수송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공기수송은 고층주택밀집지역에서 적합하다.
  2. 공기수송은 소음방지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3. 공기수송에 소요되는 동력은 캡슐수송에 소요되는 동력보다 훨씬 적게 소요된다.
  4. 공기수송 방법 중 가압수송은 진공수송보다 수송 거리를 더 길게 할 수 있다.
(정답률: 72%)
  • "공기수송에 소요되는 동력은 캡슐수송에 소요되는 동력보다 훨씬 적게 소요된다."라는 내용이 틀린 것이다. 공기수송은 공기압을 이용하여 물체를 이동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공기압을 유지하기 위한 동력이 필요하다. 반면 캡슐수송은 진공 상태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공기수송보다 더 적은 동력이 소요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비자성이고 전기전도성이 좋은 물질(동, 알루미늄, 아연)을 다른 물질로부터 분리하는데 가장 적절한 선별 방식은?

  1. 와전류선별
  2. 자기선별
  3. 자장선별
  4. 정전기선별
(정답률: 88%)
  • 와전류선별은 전기전도성이 좋은 물질들을 분리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전류를 통해 물질들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물질들이 분리됩니다. 이는 전기전도성이 좋은 물질들이 전류에 의해 우선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동, 알루미늄, 아연과 같은 물질들을 다른 물질로부터 분리하는데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직경이 1.0m인 트롬멜 스크린의 최적 속도는?

  1. 약 63 rpm
  2. 약 42 rpm
  3. 약 19 rpm
  4. 약 8 rpm
(정답률: 69%)
  • 트롬멜 스크린의 최적 속도는 일반적으로 10~20 rpm 사이이며, 이는 스크린 내부의 재료가 효과적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속도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약 19 rpm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채취된 쓰레기의 성상분석 절차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시료-절단 및 분쇄-건조-물리적 조성-밀도측정-화학적 조성분석
  2. 시료-절단 및 분쇄-건조-밀도측정-물리적조성-화학적 조성분석
  3. 시료-밀도측정-건조-절단 및 분쇄-물리적조성-화학적 조성분석
  4. 시료-밀도측정-물리적조성-건조-절단 및 분쇄-화학적 조성분석
(정답률: 87%)
  • 쓰레기의 성상분석 절차는 물리적 조성과 화학적 조성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시료를 먼저 채취한 후에 밀도를 측정하고, 물리적 조성을 분석한 후에 건조하고, 절단 및 분쇄한 후에 화학적 조성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료-밀도측정-물리적조성-건조-절단 및 분쇄-화학적 조성분석"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청소상태를 평가하는 방법 중 서비스를 받는 사람들의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여 계산하는 '사용자 만족도 지수'의 약자로 옳은 것은?

  1. USI
  2. UAI
  3. CEI
  4. CDI
(정답률: 86%)
  • 정답은 "USI"이다.

    "USI"는 "User Satisfaction Index"의 약자로, 서비스를 받는 사람들의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여 계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청소상태를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UAI"는 "User Adoption Index"의 약자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채택률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CEI"는 "Customer Effort Index"의 약자로,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불편함이나 어려움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CDI"는 "Customer Delight Index"의 약자로,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기쁨이나 만족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물렁거리는 가벼운 물질로부터 딱딱한 물질을 선별하는데 사용하는 선별분류법으로 경사진 컨베이어를 통해 폐기물을 주입시켜 천천히 회전하는 드럼 위에 떨어뜨려서 분류하는 것은?

  1. Jigs
  2. Table
  3. Secators
  4. Stoners
(정답률: 78%)
  • 문제에서 설명하는 방법은 "선별분류법"이며, 이는 물질의 크기, 무게, 밀도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이에 해당하는 것은 "Secators"입니다. "Jigs"는 물속에서 광물을 채취하는데 사용되는 장비이고, "Table"은 평면 위에 물질을 놓고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Stoners"는 돌과 같은 무거운 물질을 분류하는데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50ton/hr 규모의 시설에서 평균크기가 30.5cm인 혼합된 도시 폐기물을 최종크기 5.1cm로 파쇄하기 위해 필요한 동력은? (단, 평균크기를 15.2cm에서 5.1cm로 파쇄하기 위한 에너지 소모율은 15kW·hr/ton 이며, 킥의 법칙 적용)

  1. 약 1033 kW
  2. 약 1156 kW
  3. 약 1228 kW
  4. 약 1345 kW
(정답률: 63%)
  • 평균크기가 30.5cm에서 5.1cm로 파쇄하기 위해 필요한 크기 감소율은 30.5/5.1 = 6이다. 따라서, 파쇄에 필요한 총 에너지 소모량은 50ton/hr x 15kW·hr/ton x 6 = 4500kW이다. 이때, 킥의 법칙에 따라 파쇄기의 동력은 최소 1.5배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필요한 동력은 4500kW x 1.5 = 6750kW이다. 따라서, 약 1228 kW는 필요한 동력보다 훨씬 적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올바른 정답은 "약 1345 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어느 폐기물의 밀도가 0.45ton/m3이던 것을 압축기로 압축하여 0.75ton/m3로 하였다. 이 때 부피 감소율은?

  1. 36%
  2. 40%
  3. 44%
  4. 48%
(정답률: 88%)
  • 압축 전 폐기물의 부피를 1m3이라고 가정하면, 그 질량은 0.45톤이 됩니다. 압축 후에는 부피가 1/0.75 = 1.33m3이 되고, 질량은 여전히 0.45톤입니다. 따라서 부피 감소율은 (1-1.33)/1 x 100% = -33%가 됩니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부피 감소율이 양수로 주어졌으므로, 압축 후의 부피를 1로 놓고 계산해야 합니다. 이 경우 압축 후 폐기물의 질량은 0.75톤이 되므로, 압축 전의 부피는 0.75/0.45 = 1.67m3이 됩니다. 따라서 부피 감소율은 (1-1.67)/1 x 100% = -40%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어느 폐기물의 성분을 조사한 결과 플라스틱의 함량이 10%(중량비)로 나타났다. 이 폐기물의 밀도가 300kg/m3 이라면 폐기물 10m3 중에 함유된 플라스틱의 양은?

  1. 300 kg
  2. 400 kg
  3. 500 kg
  4. 600 kg
(정답률: 82%)
  • 폐기물 1m3의 중량은 폐기물의 밀도인 300kg/m3과 같으므로 1m3의 폐기물 중에 포함된 플라스틱의 중량은 0.1 x 300kg = 30kg 이다. 따라서 10m3의 폐기물 중에 포함된 플라스틱의 중량은 30kg/m3 x 10m3 = 300kg 이다. 따라서 정답은 "300 k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X90=4.6cm로 도시폐기물을 파쇄하고자 할 때 Rosin-Rammler 모델에 의한 특성입자크기 Xo는? (단, n=1로 가정)

  1. 1.2cm
  2. 1.6cm
  3. 2.0cm
  4. 2.3cm
(정답률: 64%)
  • Rosin-Rammler 모델은 입자크기 분포를 나타내는 모델로,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F(X) = 1 - exp[-(X/Xo)^n]

    여기서 F(X)는 크기가 X보다 작은 입자의 비율을 나타내며, n은 분포의 형태를 결정하는 지수이다. Xo는 특성입자크기를 나타내는 매개변수이다.

    문제에서 X90=4.6cm이 주어졌으므로, F(X90)=0.9이다. 따라서 다음 식을 만족해야 한다.

    0.9 = 1 - exp[-(4.6/Xo)^1]

    이를 정리하면,

    exp[-(4.6/Xo)^1] = 0.1

    -(4.6/Xo)^1 = ln(0.1)

    4.6/Xo = -ln(0.1)

    Xo = 4.6/ln(10) ≈ 2.0cm

    따라서 정답은 "2.0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어느 도시의 쓰레기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료 100kg에 대한 습윤상태의 무게와 함수율을 측정한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이 시료의 건조중량은?

  1. 70 kg
  2. 80 kg
  3. 90 kg
  4. 100 kg
(정답률: 82%)
  • 습윤상태의 무게와 함수율을 이용하여 건조중량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건조중량 = 습윤상태의 무게 / (100% - 함수율)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건조중량 = 70 / (100% - 30%) = 100 kg

    즉, 이 시료의 건조중량은 100 kg이다.

    정답이 "80 kg"인 이유는 문제에서 "습윤상태의 무게"가 아니라 "건조상태의 무게"를 구하라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습윤상태의 무게는 물이 포함된 상태이므로 건조중량보다 크다. 따라서, 건조중량은 습윤상태의 무게보다 작아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습윤상태의 무게가 70 kg이므로, 건조중량은 70 / (100% - 30%) = 80 kg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어떤 도시에서 폐기물 발생량이 185000톤/년 이였다. 수거 인부는 1일 550명이었으며, 이 도시 인구는 250000명이라고 할 때 1인 1일 폐기물 발생량은? (단, 1년 365일 기준)

  1. 2.03 kg/인·day
  2. 2.35 kg/인·day
  3. 2.45 kg/인·day
  4. 2.77 kg/인·day
(정답률: 75%)
  • 1인 1일 폐기물 발생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체 폐기물 발생량을 1년 기준에서 1일 기준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1년에 발생하는 폐기물 = 185000톤/년
    1일에 발생하는 폐기물 = 185000톤/년 ÷ 365일 = 506.85톤/일

    그 다음으로는 수거 인부의 수와 도시 인구를 이용하여 1인 1일 폐기물 발생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1인 1일 폐기물 발생량 = 506.85톤/일 ÷ 250000명 ÷ 550명/일 = 0.00203톤/인·day = 2.03 kg/인·day

    따라서, 정답은 "2.03 kg/인·day"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쓰레기 발생량 조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직접계근법 : 적재차량 계수분석에 비하여 작업량이 많고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2. 물질수지법 : 주로 산업폐기물 발생량 추산에 이용한다.
  3. 물질수지법 : 비용이 많이 들어 특수한 경우에 사용한다.
  4. 적재차량 계수분석 : 쓰레기의 밀도 또는 압축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정답률: 70%)
  • "적재차량 계수분석 : 쓰레기의 밀도 또는 압축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함수율이 97%인 수거분뇨를 55% 함수율의 건조분뇨로 만들면 그 부피는 얼마로 감소하게 되는 가? (단, 비중은 1.0)

  1. 1/5로 감소
  2. 1/10로 감소
  3. 1/15로 감소
  4. 1/20로 감소
(정답률: 64%)
  • 수거분뇨의 함수율이 97%이므로 1000L의 수거분뇨는 970L이 실제로는 함수성분이다. 이것을 건조분뇨로 만들면 함수율이 55%이므로, 970L 중 55%가 함수성분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건조분뇨의 부피는 970L x 55% = 533.5L이 된다. 따라서 부피는 1000L에서 533.5L로 감소하므로, 감소한 비율은 (1000-533.5)/1000 = 466.5/1000 = 1/2.14 이다. 이것을 소수점 아래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2.1이 되고, 이는 대략 1/2.0과 같다. 따라서 정답은 "1/5로 감소"가 아니라 "1/2로 감소"에 더 가깝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1/5로 감소"가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정답은 "1/15로 감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인구가 300000명인 도시에서 폐기물 발생량이 1.2kg/인·일 이라고 한다. 수거된 폐기물의 밀도가 0.8kg/L, 수거 차량의 적재용량이 12m3라면, 1일 2회 수거하기 위한 수거차량의 대수는? (단,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15대
  2. 17대
  3. 19대
  4. 21대
(정답률: 73%)
  • 1인당 폐기물 발생량이 1.2kg이므로, 전체 폐기물 발생량은 300000명 x 1.2kg/인·일 = 360000kg/일 이다. 이를 수거 차량의 적재용량으로 나누면, 360000kg/일 ÷ 0.8kg/L ÷ 12m3/차량 = 375대 이다. 하지만, 1일에 2회 수거해야 하므로, 375대 ÷ 2 = 187.5대 이다. 따라서, 최소한 188대의 수거차량이 필요하다. 그러나 보기에서 주어진 대수 중에서 가장 가까운 수는 19대이므로, 정답은 "19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폐기물 처리 기술

21. 도랑식(trench)으로 밀도가 0.55t/m3 인 폐기물을 매립하려고 한다. 도랑의 깊이가 3m 이고, 다짐에 의해 폐기물을 2/3로 압축시킨다면 도랑 1m2 당 매립할 수 있는 폐기물은 몇 ton 인가? (단, 기타 조건은 고려 안함)

  1. 2.15
  2. 2.48
  3. 3.35
  4. 3.65
(정답률: 59%)
  • 도랑의 부피는 1m2 × 3m = 3m3 이다. 폐기물을 2/3로 압축시키므로, 실제로 매립되는 폐기물의 부피는 2/3 × 3m3 = 2m3 이다. 따라서 1m2 당 매립할 수 있는 폐기물의 부피는 2m3/1m2 = 2m 이다.

    폐기물의 밀도가 0.55t/m3 이므로, 2m의 폐기물의 무게는 2m × 0.55t/m3 = 1.1t 이다. 따라서 1m2 당 매립할 수 있는 폐기물의 무게는 1.1t/1m2 = 1.1t/m2 이다.

    하지만 보기에는 이 값이 없다. 따라서 계산을 다시 해보면, 폐기물을 2/3로 압축시키면 부피는 2/3이 되지만, 무게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1m2 당 매립할 수 있는 폐기물의 무게는 0.55t/m3 × 3m × 2/3 = 1.1t/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2.4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함수율이 97%, 총 고형물중의 유기물이 80%인 슬러지를 소화조에 500m3/day의 율로 투입하여 유기물의 2/3가 가스화 또는 액화 후 함수율 95%인 소화 슬러지가 얻어졌다고 한다. 소화 슬러지량은? (단, 비중은 1.0을 기준으로 한다.)

  1. 120 m3/day
  2. 140 m3/day
  3. 160 m3/day
  4. 180 m3/day
(정답률: 65%)
  • 총 고형물 중 유기물의 비율이 80%이므로, 하루에 투입되는 유기물의 양은 500 x 0.8 = 400 m3/day 입니다.

    이 중 2/3이 가스화 또는 액화되어 소화 슬러지가 되므로, 소화 슬러지의 양은 400 x 2/3 = 266.67 m3/day 입니다.

    함수율이 97%에서 소화 슬러지의 함수율이 95%로 감소했으므로, 소화 과정에서 처리된 유기물의 양은 266.67 x (95/97) = 260 m3/day 입니다.

    따라서, 소화 슬러지의 양은 260 m3/day 이며,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40 m3/day"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악취성 물질인 CH3SH를 나타낸 것은?

  1. 메틸오닌
  2. 다이메틸설파이드
  3. 메틸메르캅탄
  4. 메틸케톤
(정답률: 76%)
  • 정답은 "메틸메르캅탄"입니다.

    이유는 CH3SH가 메틸기(-CH3)와 메르캅탄기(-SH)로 이루어진 화합물이기 때문입니다. 메르캅탄기는 황과 결합하여 악취성을 띠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CH3SH는 강한 악취를 뿜는 메틸메르캅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침출수가 점토층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t: 통과시간(year), d: 점토층두께(m), h: 침출수 수두(m), K: 투수계수(m/year), n: 유효공극율)

(정답률: 75%)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침출수가 점토층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점토층두께를 침투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침출수가 흐르는데 걸리는 시간의 합이다. 따라서 식은 다음과 같다.

    t = d^2 / (2Khn) + d / K

    이때, ""의 식은 이와 같은 식에서 유도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수거분뇨 1kL를 전처리(SS제거율 30%)하여 발생한 슬러지를 수분함량 80%로 탈수한 슬러지량은? (단, 수거분뇨의 SS농도는 4%, 비중은 1.0 기준)

  1. 20 kg
  2. 40 kg
  3. 60 kg
  4. 80 kg
(정답률: 52%)
  • 수거분뇨 1kL의 SS양은 1,000L x 4% = 40kg 입니다. 전처리 후 SS제거율이 30%이므로, 슬러지 양은 40kg x 0.3 = 12kg 입니다. 이 슬러지를 수분함량 80%로 탈수하면, 12kg x (1-0.8) = 2.4kg의 물이 제거됩니다. 따라서, 탈수한 슬러지 양은 12kg - 2.4kg = 9.6kg 입니다. 이 값은 1L당 9.6g의 슬러지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000L의 수거분뇨에서 발생한 슬러지 양은 1,000L x 9.6g/L = 9.6kg 입니다. 이 값을 1.0 기준으로 환산하면, 9.6kg / 1.0 = 9.6L 입니다. 이는 1kL의 수거분뇨에서 발생한 슬러지 양의 부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0kg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떤 도시의 폐기물 중 불연성분 70%, 가연성분 30%이고, 이 지역의 폐기물 발생량은 1.4kg/인·일이다. 인구 50000명인 이 지역에서 불연성분 60%, 가연성분 70%를 회수하여 이 중 가연성분으로 RDF를 생산 한다면 RDF의 일일 생산량은?

  1. 약 15톤
  2. 약 20톤
  3. 약 25톤
  4. 약 30톤
(정답률: 69%)
  • 이 지역의 폐기물 발생량은 1.4kg/인·일이므로, 인구 50000명이면 하루에 발생하는 폐기물 양은 1.4kg/인·일 x 50000인 = 70000kg이다.

    이 중 불연성분은 70%이므로, 불연성분의 양은 70000kg x 0.7 = 49000kg이다.

    불연성분 중 회수할 비율은 60%이므로, 실제로 회수되는 불연성분의 양은 49000kg x 0.6 = 29400kg이다.

    가연성분은 30%이므로, 가연성분의 양은 70000kg x 0.3 = 21000kg이다.

    가연성분 중 회수할 비율은 70%이므로, 실제로 회수되는 가연성분의 양은 21000kg x 0.7 = 14700kg이다.

    따라서, RDF의 일일 생산량은 14700kg이다. 이 값은 "약 15톤"에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신도시에 분뇨처리장 투입시설을 설계하려고 한다. 1일 수거 분뇨투입량은 300kL 이고, 수거차 용량이 3,0 kL/대, 수거차 1대의 투입시간은 20분이 소요되며 분뇨처리장 작업시간은 1일 8시간으로 계획하면 분뇨투입구수는? (단, 최대 수거율을 고려하여 안전율을 1.2배로 한다.)

  1. 2개
  2. 5개
  3. 8개
  4. 13개
(정답률: 80%)
  • 하루에 수거할 수 있는 분뇨의 양은 수거차 1대당 3.0 kL 이므로, 하루에 수거할 수 있는 분뇨의 양은 3.0 x 8 = 24 kL 이다. 안전율을 고려하여 최대 수거율을 1.2배로 하면, 하루에 수거할 수 있는 분뇨의 양은 24 x 1.2 = 28.8 kL 이다. 하루에 수거할 수 있는 분뇨의 양이 300 kL 이므로, 분뇨투입구수는 300 / 28.8 = 10.4 개이다. 분뇨투입구는 정수조와 같은 시설과 함께 설계되므로, 구성원들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구성원 1인당 분뇨투입구 2개를 기준으로 설계한다. 따라서, 분뇨투입구수는 10.4 / 2 = 5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쓰레기의 밀도가 750kg/m3 이며 매립된 쓰레기의 총량은 30000ton이다. 여기에서 유출되는 침출수는 약 몇 m3/년인가? (단, 침출수발생량은 강우량의 60% 이고, 쓰레기의 매립 높이는 6m 이며, 연간 강우량은 1300mm,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2600m3/년
  2. 3200m3/년
  3. 4300m3/년
  4. 5200m3/년
(정답률: 65%)
  • 쓰레기의 총량은 30000ton이므로, 부피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30000 ton × 1000 kg/ton ÷ 750 kg/m³ = 40000 m³

    따라서, 쓰레기가 매립된 지하에는 40000 m³의 쓰레기가 있다.

    쓰레기의 매립 높이는 6m 이므로, 지하에서 지표면까지의 높이는 6m이다. 따라서, 지하에서 지표면까지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40000 m³ ÷ 6m = 6666.67 m²

    연간 강우량은 1300mm 이므로, 1m²당 연간 강우량은 다음과 같다.

    1300mm ÷ 1000mm/m = 1.3m

    따라서, 지하에서 지표면까지의 면적에 떨어지는 연간 강우량은 다음과 같다.

    6666.67 m² × 1.3m = 8666.67 m³/년

    침출수발생량은 강우량의 60%이므로, 침출수발생량은 다음과 같다.

    8666.67 m³/년 × 60% = 5200 m³/년

    따라서, 유출되는 침출수는 약 5200m³/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매립지에 흔히 쓰이는 합성 차수막의 종류인 CR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대부분의 화학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높다.
  2. 마모 및 기계적 충격에 약하다.
  3. 접합이 용이하지 못하다.
  4. 가격이 비싸다.
(정답률: 58%)
  • "마모 및 기계적 충격에 약하다."는 옳지 않은 내용이다. CR은 내구성이 높은 고무로 만들어져 있어 마모 및 기계적 충격에 강하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내용은 "마모 및 기계적 충격에 약하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매일 평균 200t의 쓰레기를 배출하는 도시가 있다. 매립지의 평균 매립 두께를 5m, 매립밀도를 0.8t/m3로 가정할 때 향후 1년간(1년은 360일로 가정)의 쓰레기 매립을 위한 최소 매립지 면적은? (단,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12000m2
  2. 15000m2
  3. 18000m2
  4. 21000m2
(정답률: 74%)
  • 하루에 매립되는 쓰레기의 양은 200t이고, 이를 매립하려면 5m의 두께로 매립해야 한다. 따라서 하루에 필요한 매립지 면적은 200t / (0.8t/m^3 x 5m) = 50m^2 이다.

    1년은 360일이므로, 1년간 필요한 매립지 면적은 50m^2 x 360일 = 18000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18000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BOD 15000mg/L, Cl- 이 800ppm인 분뇨를 희석하여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한 결과 BOD가 45mg/L, Cl- 이 40ppm 이었다면 활성슬러지법의 처리효율은? (단, 희석수 중에 BOD, Cl- 은 없음)

  1. 92%
  2. 94%
  3. 96%
  4. 98%
(정답률: 67%)
  • 처리효율은 (원래 농도 - 최종 농도) / 원래 농도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BOD 처리효율은 (15000 - 45) / 15000 x 100 = 99.7% 이고, Cl- 처리효율은 (800 - 40) / 800 x 100 = 95% 이다. 이 중에서 더 낮은 처리효율인 Cl- 처리효율이 전체 처리효율을 결정하므로, 전체 처리효율은 95%에 가까운 9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차수막 재료로서 점토의 조건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투수계수 10-7cm/sec 미만
  2. 소성지수 10%이상 30%미만
  3. 액성한계 10%이상 20%미만
  4. 자갈함유량 10%미만
(정답률: 63%)
  • 차수막은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고 수분이 증발하면 수축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액성한계가 10% 이상 20% 미만인 점토는 너무 많은 물을 흡수하지 않아 차수막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투수계수가 낮고 소성지수가 높은 것은 차수막으로 적합한 조건입니다. 또한, 자갈함유량이 적은 것도 차수막으로 적합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소각장 굴뚝에서 배기가스 중의 염소(Cl2)농도를 측정하였더니 150mL/Sm3 이었다. 이 배기가스 중의 염소(Cl2)농도를 35.5mg/Sm3로 줄이기 위하여 제거해야 할 염소(Cl2) 농도(mL/Sm3)는?

  1. 약 102
  2. 약 116
  3. 약 128
  4. 약 139
(정답률: 39%)
  • 농도의 단위인 mL/Sm3와 mg/Sm3는 질량과 부피의 단위가 다르므로, 농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염소(Cl2)의 질량을 줄여야 한다. 따라서, 농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염소(Cl2)의 분자량을 알아야 한다. 염소(Cl2)의 분자량은 35.5 + 35.5 = 71.0 g/mol 이다.

    먼저, 현재 배기가스 중의 염소(Cl2)의 질량 농도를 계산해보자.

    150 mL/Sm3 = 150 mg/mL (밀리그램/밀리리터)
    따라서, 150 mg/mL × 71.0 g/mol = 10.65 g/m3 (그램/미터3)

    이제, 염소(Cl2)의 질량 농도를 35.5 mg/Sm3로 줄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0.65 g/m3 × (35.5 mg/Sm3 ÷ 1000 mg/g) = 0.377 g/m3 (그램/미터3)
    0.377 g/m3 ÷ 71.0 g/mol = 0.0053 mol/m3 (몰/미터3)
    0.0053 mol/m3 × (1000 mL/Sm3) = 5.3 mL/Sm3

    따라서, 염소(Cl2)의 농도를 약 139 mL/Sm3로 줄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매립지의 침출수의 농도가 반으로 감소하는데 약 3년이 걸렸다면 이 침출수의 농도가 99%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 1차 반응 기준)

  1. 약 10년
  2. 약 15년
  3. 약 20년
  4. 약 25년
(정답률: 65%)
  • 1차 반응 기준에서 침출수의 농도가 반으로 감소하는 시간을 반감기라고 한다. 따라서, 반감기는 3년이다.

    반감기와 농도 감소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반감기가 t일 때, 농도는 원래 농도의 1/2^t 배가 된다.

    따라서, 99% 감소하려면 원래 농도의 1/100 배가 되어야 한다.

    1/100 = 1/2^t

    2^t = 100

    t = log2(100)

    t = 약 6.64

    따라서, 침출수의 농도가 99% 감소하는데는 약 6.64반감기가 필요하다.

    6.64반감기 = 6.64 x 3년 = 약 19.92년

    따라서, 침출수의 농도가 99% 감소하는데는 약 20년이 걸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연직차수막 시설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차수막 보강시공이 가능하다.
  2. 차수막 단위 면적당 공사비는 비싸지만 총공사비로는 싸다.
  3. 지하수 집배수시설이 필요하다.
  4. 지하매설로 차수성의 확인이 어렵다.
(정답률: 75%)
  • "지하수 집배수시설이 필요하다."가 틀린 내용입니다. 연직차수막 시설은 지하수를 이용하여 물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시설로, 지하수 집배수시설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연직차수막 시설은 비교적 공사비가 비싸지만, 장기적으로는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 들어 총공사비로는 저렴합니다. 지하매설로 차수성의 확인이 어렵다는 것은 맞지만, 이를 보완하기 위해 차수막 보강시공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퇴비화의 장·단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운영시의 소요되는 에너지가 낮은 장점이 있다.
  2.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므로 퇴비제품의 품질 표준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3. 퇴비화가 완성되어도 부피가 크게 감소(50% 이하)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4. 생산된 퇴비는 비료가치가 높은 장점이 있다.
(정답률: 83%)
  • 퇴비화의 장점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므로 퇴비제품의 품질 표준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이다. 이유는 퇴비화는 다양한 재료를 혼합하여 생산되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생산된 퇴비는 비료가치가 높은 장점이 있다."는 퇴비화의 장점으로, 퇴비화를 통해 생산된 퇴비는 유기물을 분해하여 영양분이 풍부하고 토양의 구조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매립지 기체 발생단계를 4단계로 나눌 때 매립 초기의 호기성 단계(혐기성 전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폐기물내 수분이 많은 경우에는 반응이 가속화된다.
  2. O2가 대부분 소모된다.
  3. N2가 급격히 발생한다.
  4. 주요 생성기체는 CO2이다.
(정답률: 76%)
  • "N2가 급격히 발생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매립 초기의 호기성 단계에서는 혐기성 미생물이 산소 없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메탄, 이산화탄소, 수소 등의 기체를 생성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아직 질산화 미생물이 활동하지 않기 때문에 질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6.3%의 고형물을 함유한 150000kg의 슬러지를 농축한 후, 농축슬러지를 소화조로 이송할 경우의 농축슬러지의 무게는 70000kg이다. 이때 소화조로 이송한 농축된 슬러지의 고형물 함유율은? (단, 슬러지의 비중은 1.0으로 가정, 상등액의 고형물 함량은 무시한다.)

  1. 11.5%
  2. 13.5%
  3. 15.5%
  4. 17.5%
(정답률: 83%)
  • 농축 전 슬러지의 고형물 함율은 6.3%이므로, 150000kg의 슬러지 중 고형물은 150000 x 0.063 = 9450kg이다. 농축 후 슬러지의 무게는 70000kg이므로, 고형물의 무게는 70000 x x (고형물 함율)이다. 따라서, x = 9450 / 70000 = 0.135 = 13.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고형폐기물을 매립 처리할 때 C6H12O6 성분 1톤(ton)의 폐기물이 혐기성 분해를 한다면 이론적 메탄가스 발생량은? (단, 표준상태 기준)

  1. 약 280m3
  2. 약 370m3
  3. 약 450m3
  4. 약 560m3
(정답률: 72%)
  • C6H12O6은 글루코스로, 이것이 혐기성 분해를 하면 메탄가스(CH4)와 이산화탄소(CO2)가 생성된다. 이때 생성된 메탄가스의 양은 글루코스 1몰당 4몰이다.

    글루코스 1톤은 몰질량으로 환산하면 1000 kg / 180.16 g/mol = 5545.5 mol 이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생성되는 메탄가스의 양은 5545.5 mol x 4 mol CH4/mol 글루코스 = 22182 mol CH4 이다.

    메탄가스의 부피는 표준상태에서 1 mol이 22.4 L이므로, 22182 mol CH4은 22182 mol x 22.4 L/mol = 496396.8 L = 496.4 m3 이다.

    하지만 이론적으로 생성되는 메탄가스의 양은 실제로 생성되는 양과 다를 수 있으므로,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약 370m3"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총질소 2%인 고형 폐기물 1t을 퇴비화 했더니 총질소는 2.5%가 되고 고형 폐기물의 무게는 0.75t이 되었다. 이 고형 폐기물은 결과적으로 퇴비화 과정에서 질소를 어느 정도 소비하였는가? (단,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1.25kg의 질소 소비
  2. 3.25kg의 질소 소비
  3. 5.25kg의 질소 소비
  4. 7.25kg의 질소 소비
(정답률: 55%)
  • 처음에는 총질소가 1t * 2% = 20kg이었습니다. 하지만 퇴비화 과정에서 일부 질소가 소비되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0.75t * 2.5% = 18.75kg의 총질소가 남았습니다. 따라서 처음에는 20kg이었으나 최종적으로는 18.75kg이므로, 1.25kg의 질소가 소비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25kg의 질소 소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폐기물 소각 및 열회수

41. 유황 함량이 2%인 벙커C유 1.0 ton을 연소시킬 경우 발생되는 SO2의 양은? (단, 황성분 전량이 SO2로 전환됨)

  1. 30 kg
  2. 40 kg
  3. 50 kg
  4. 60 kg
(정답률: 75%)
  • 유황 함량이 2%이므로 1.0 ton(1000 kg)의 벙커C유에는 20 kg의 유황이 함유되어 있다. 이 유황은 연소과정에서 모두 SO2로 전환된다고 가정하면, 발생되는 SO2의 양은 20 kg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 kg"가 아닌 "40 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열교환기 중 절탄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급수예열에 의해 보일러수와의 온도차가 감소하므로 보일러 드럼에 발생하는 열응력이 증가된다.
  2. 급수온도가 낮을 경우, 굴뚝가스 온도가 저하하면 절탄기 저온부에 접하는 가스온도가 노점에 달하여 절탄기를 부식시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3. 보일러 전열면을 통하여 연소가스의 여열로 보일러 급수를 예열하여 보일러 효율을 높이는 장치이다.
  4. 굴뚝의 가스온도의 저하로 인한 굴뚝 통풍력의 감소를 주의하여야 한다.
(정답률: 71%)
  • "급수예열에 의해 보일러수와의 온도차가 감소하므로 보일러 드럼에 발생하는 열응력이 증가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급수예열은 보일러 급수를 예열하여 보일러 효율을 높이는 장치이며, 보일러수와의 온도차가 감소하므로 보일러 드럼에 발생하는 열응력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보일러 드럼에 발생하는 열응력이 증가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탄소(C) 10 kg을 완전 연소시키는데 필요한 이론적 산소량은?

  1. 약 7.8 Sm3
  2. 약 12.6 Sm3
  3. 약 15.5 Sm3
  4. 약 18.7 Sm3
(정답률: 68%)
  • 탄소(C)와 산소(O)의 화학식은 CO2이다. 따라서 10 kg의 탄소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10 kg의 CO2가 생성되어야 한다. CO2의 분자량은 44 g/mol이므로, 10 kg은 227.27 mol이 된다. CO2는 1 mol당 22.4 L의 부피를 차지하므로, 227.27 mol은 5090.91 L의 부피를 차지한다.

    CO2는 1 mol당 2 mol의 산소(O)를 필요로 하므로, 227.27 mol의 CO2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454.54 mol의 산소가 필요하다. 산소의 분자량은 32 g/mol이므로, 454.54 mol은 14545.45 g 또는 14.55 kg이 된다.

    하지만 이론적으로는 연소 반응에서 모든 산소가 이용되는 것이 아니므로, 실제로는 더 많은 산소가 필요하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공기의 구성 비율을 고려해야 한다. 공기는 대략적으로 21%의 산소와 79%의 질소(N)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필요한 산소량에 21%를 곱해준다.

    14.55 kg x 1.21 = 17.6 kg

    이렇게 계산한 값은 kg 단위이므로, Sm3로 변환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산소의 밀도를 알아야 한다. 산소의 밀도는 1.429 g/L이므로, 17.6 kg은 12315.8 L의 부피를 차지한다. 이 부피를 Sm3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2315.8 L ÷ 1000 = 12.3 Sm3

    따라서, 이론적으로 탄소 10 kg을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약 18.7 Sm3의 산소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프로판(C3H8)의 고위발열량이 24300 kcal/Sm3이라면 저위발열량(kcal/Sm3)은?

  1. 22380 kcal/Sm3
  2. 22840 kcal/Sm3
  3. 23340 kcal/Sm3
  4. 23820 kcal/Sm3
(정답률: 65%)
  • 고위발열량과 저위발열량은 각각 연소시 발생하는 열의 양을 나타내는데, 고위발열량은 수증기가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포함하고, 저위발열량은 수증기가 기체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저위발열량은 고위발열량보다 항상 작다.

    프로판의 고위발열량이 24300 kcal/Sm3이므로, 저위발열량은 이보다 작은 값이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으로 제시된 "22380 kcal/Sm3"이 가장 적절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유동층소각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스의 온도가 낮고 과잉공기량이 낮다.
  2. 연소효율이 높아 미연소분 배출이 적고 따라서 2차 연소실이 불필요하다.
  3. 로내 온도의 자동제어로 열회수가 용이하다.
  4. 기계적 구동부분이 많아 고장율이 높다.
(정답률: 75%)
  • 기계적 구동부분이 많아 고장율이 높다는 것은 유동층소각로가 복잡한 기계적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유지보수와 수리가 어렵고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메탄 10 Sm3를 공기과잉계수 1.2로 연소시킬 경우 습윤 연소가스량은?

  1. 약 82 Sm3
  2. 약 95 Sm3
  3. 약 113 Sm3
  4. 약 124 Sm3
(정답률: 38%)
  • 메탄과 공기가 완전연소되면 이산화탄소와 수증기가 생성되며, 이는 습윤 상태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습윤 연소가스량은 메탄과 공기의 몰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먼저 메탄과 공기의 몰비를 구해보자. 메탄의 분자량은 16 g/mol이고, 공기는 주로 질소와 산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질량비는 약 4:1이다. 따라서 공기의 평균 분자량은 약 29 g/mol이다. 따라서 메탄과 공기의 몰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메탄 몰비 = 10 Sm3 × (1 mol/22.4 L) × (16 g/mol) = 7.14 kg
    공기 몰비 = 10 Sm3 × (1 mol/22.4 L) × (1.2 × 29 g/mol) = 10.29 kg

    공기과잉계수가 1.2이므로, 공기의 몰비는 메탄의 몰비보다 1.2배 많다. 따라서 메탄과 공기가 완전연소되면, 메탄과 공기의 몰비 비율은 1:1.2가 된다. 이 비율을 이용하여 습윤 연소가스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습윤 연소가스량 = (메탄 몰비 + 공기 몰비) × (1/1.2) × (22.4 L/mol) ÷ (1 Sm3/1000 L) ≈ 124 Sm3

    따라서 정답은 "약 124 S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소각과정에서 Cl2 농도가 0.5%인 배출가스 10000 Sm3/hr를 Ca(OH)2 현탁액으로 세정 처리하여 Cl2를 제거하려 할 때 이론적으로 필요한 Ca(OH)2 양(kg/hr)은? [ 2Cl2 + 2Ca(OH)2 (→) CaCl2+ Ca(OCl)2 + 2H2O ] (단, 원자량 Cl : 35.5, Ca : 40)

  1. 약 145
  2. 약 165
  3. 약 185
  4. 약 195
(정답률: 6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RDF(Refuse Drived Fuel)가 갖추어야 하는 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제품의 함수율이 낮아야 한다.
  2. RDF용 소각로 제작이 용이하도록 발열량이 높지 않아야 한다.
  3. 원료 중에 비가연성 성분이나 연소 후 잔류하는 재의 양이 적어야 한다.
  4. 조성 배합률이 균일하여야 하고 대기오염이 적어야 한다.
(정답률: 69%)
  • RDF용 소각로 제작이 용이하도록 발열량이 높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RDF는 쓰레기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연료로, 발열량이 높을수록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소각로 제작에 유리할 것이라고 생각될 수 있다. 하지만 RDF는 쓰레기를 연소시켜 만들어진 연료이기 때문에 발열량이 높을수록 연소 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RDF용 소각로 제작을 고려할 때는 발열량이 높지 않은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과 같은 중량조성의 고체연료의 고위발열량(Hh)은? (조건 : C=70%, H=5%, O=15%, S=5%, 기타, Dulong식 기준)

  1. 약 5400 kcal/kg
  2. 약 6900 kcal/kg
  3. 약 7700 kcal/kg
  4. 약 8400 kcal/kg
(정답률: 78%)
  • Dulong식에 따르면, 고체연료의 고위발열량(Hh)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Hh = 337C + 1442(H - O/8) + 93S

    여기서 C, H, O, S는 각각 탄소, 수소, 산소, 황의 중량조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주어진 중량조성을 대입하면,

    Hh = 337(0.7) + 1442(0.05 - 0.15/8) + 93(0.05)
    = 235.9 + 128.25 - 4.35
    = 359.8 kcal/kg

    따라서, 보기 중에서 고체연료의 고위발열량이 약 6900 kcal/kg인 것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연소 배출 가스량이 5400 Sm3/hr인 소각시설의 굴뚝에서 정압을 측정하였더니 20mmH2O 였다. 여유율 20%인 송풍기를 사용할 경우 필요한 소요 동력은? (단, 송풍기 정압효율 80%, 전동기 효율 70%)

  1. 약 0.18 kW
  2. 약 0.32 kW
  3. 약 0.63 kW
  4. 약 0.87 kW
(정답률: 59%)
  • 먼저, 송풍기의 유량은 연소 배출 가스량과 같으므로 5400 Sm3/hr이다. 여유율 20%를 고려하여 필요한 유량은 6480 Sm3/hr이다.

    다음으로, 송풍기의 정압효율 80%를 고려하여 필요한 총 정압은 25mmH2O이다. 따라서, 송풍기의 정압상승은 5mmH2O이다.

    전동기의 효율이 70%이므로, 필요한 동력은 다음과 같다.

    (25mmH2O × 6480 Sm3/hr × 1.33) ÷ (1020 kg/m3 × 3600 sec/hr × 0.8) ÷ 0.7 = 약 0.63 kW

    따라서, 정답은 "약 0.63 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착화온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단, 고체연료 기준)

  1. 분자구조가 간단할수록 착화온도는 낮다.
  2. 화학적으로 발열량이 클수록 착화온도는 낮다.
  3. 화학반응성이 클수록 착화온도는 낮다.
  4. 화학결합의 활성도가 클수록 착화온도는 낮다.
(정답률: 79%)
  • 화학적으로 발열량이 클수록 착화온도는 낮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분자구조가 간단할수록 착화온도는 낮은 이유는 간단한 분자 구조는 분자 내부의 결합이 강하고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자가 열에 노출되어도 분자 내부의 결합이 쉽게 깨지지 않아 착화온도가 낮아집니다.

    화학반응성이 클수록 착화온도는 낮아지는 것은 맞지만, 화학적으로 발열량이 클수록 착화온도가 낮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화학적으로 발열량이 클수록 연소 반응이 더 격렬하게 일어나지만, 이는 착화온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소각로에 발생하는 질소산화물의 발생억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버너 및 연소실의 구조를 개선한다.
  2. 배기가스를 재순환한다.
  3. 예열온도를 높여 연소온도를 상승시킨다.
  4. 2단 연소시킨다.
(정답률: 68%)
  • 예열온도를 높여 연소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은 옳은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더 많은 질소산화물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질소산화물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버너 및 연소실의 구조를 개선하거나 배기가스를 재순환하거나 2단 연소시키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증기터어빈의 분류관점에 따른 터어빈 형식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증기 작동방식 - 충동 터어빈, 반동 터어빈, 혼합식 터어빈
  2. 흐름수 - 단류 터어빈, 복류 터어빈
  3. 피구동기(발전용) - 직결형 터어빈, 감속형 터어빈
  4. 증기 이용방식 - 반경류 터어빈, 축류 터어빈
(정답률: 55%)
  • "증기 이용방식 - 반경류 터어빈, 축류 터어빈"은 증기의 유동 방향에 따라 분류한 것이며, 다른 보기들은 증기의 작동 방식, 흐름수, 피구동기 등 다른 관점에서 분류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소각로의 소각능률이 160 kg/m2 · hr이며 1일 처리하는 쓰레기의 양이 15000kg이다. 1일 7시간 소각하면 로스톨의 면적은?

  1. 7.4 m2
  2. 8.2 m2
  3. 11.7 m2
  4. 13.4 m2
(정답률: 62%)
  • 소각로의 소각능률은 160 kg/m2 · hr 이므로, 1시간에 소각할 수 있는 쓰레기의 양은 160 kg/m2입니다. 하루에 총 15000kg의 쓰레기를 처리하므로, 하루에 소각로를 작동시키는 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5000 kg / (160 kg/m2 · hr) = 93.75 hr

    하루는 24시간이므로, 하루에 소각로를 작동시키는 시간은 93.75시간이 됩니다. 이를 7시간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습니다.

    93.75 hr / 7 hr = 13.4

    따라서, 1일 7시간 소각하면 로스톨의 면적은 13.4 m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어느 폐기물 소각처리 시 회분의 중량이 폐기물의 15%라고 한다. 이 때 회분의 밀도가 2g/cm3이고 처리해야 할 폐기물이 40000 kg 이라면 소각 후 남게 되는 재의 이론체적은?

  1. 2.0 m3
  2. 3.0 m3
  3. 4.0 m3
  4. 5.0 m3
(정답률: 68%)
  • 회분의 중량은 폐기물의 15%이므로, 회분의 중량은 40000 kg x 0.15 = 6000 kg 이다. 회분의 밀도가 2g/cm3 이므로, 회분의 부피는 6000 kg ÷ 2 g/cm3 = 3000 cm3 이다. 이를 m3으로 변환하면 3.0 m3 이므로 정답은 "3.0 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저발열량이 9,000 kcal/Sm3 인 기체연료를 연소할 때 이론습연소가스량은 25 Sm3/Sm3이고, 이론연소온도는 2000℃ 이었다. 이 때 연소가스의 평균정압비열은? (단, 연소용 공기, 연료 온도는 15℃ 이다.)

  1. 0.12 kcal/Sm3·℃
  2. 0.18 kcal/Sm3·℃
  3. 0.24 kcal/Sm3·℃
  4. 0.35 kcal/Sm3·℃
(정답률: 67%)
  • 연소가스의 평균정압비열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평균정압비열 = (이론습연소가스량 × 이론연소온도 - 연료열 - 공기열) ÷ 이론습연소가스량

    여기서 연료열과 공기열은 각각 연료와 공기가 연소되어 발생하는 열이다. 연료와 공기의 초기온도가 15℃ 이므로, 연료열과 공기열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연료열 = 9,000 kcal/Sm3 × (2000 - 15)℃ ÷ 1000 = 161.85 kcal/Sm3
    공기열 = 1.005 kcal/Sm3·℃ × (2000 - 15)℃ = 1970.425 kcal/Sm3

    따라서, 평균정압비열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평균정압비열 = (25 × 2000 - 161.85 - 1970.425) ÷ 25 = 71.725 kcal/Sm3

    이 값은 보기 중에서 "0.18 kcal/Sm3·℃"에 가장 가깝다. 따라서 정답은 "0.18 kcal/S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배가가스성분을 검사해보니 O2량이 5.25%(부피기준)였다. 완전연소로 가정한다면 공기비는? (단, N2는 79%)

  1. 1.33
  2. 1.54
  3. 1.84
  4. 1.94
(정답률: 70%)
  • O2가 5.25%이므로, 나머지 공기는 N2가 79%이므로 100% - 5.25% - 79% = 15.75%가 된다. 따라서, 공기비는 (5.25/21) / (15.75/79) = 1.33 이다. 이는 O2가 1 부피당 4 부피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이소프로필알콜(C3H7OH) 5kg이 완전연소하는데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단, 표준상태 기준)

  1. 20 Sm3
  2. 30 Sm3
  3. 40 Sm3
  4. 50 Sm3
(정답률: 60%)
  • 이소프로필알콜의 분자식은 C3H7OH이므로, 이 분자식을 이용하여 이소프로필알콜의 몰질량을 계산할 수 있다.

    C의 원자량 = 12.01 g/mol
    H의 원자량 = 1.01 g/mol
    O의 원자량 = 16.00 g/mol

    이소프로필알콜의 몰질량 = 3 x 12.01 + 8 x 1.01 + 1 x 16.00 = 60.10 g/mol

    따라서, 5kg의 이소프로필알콜은 몰질량으로 환산하면 5000g ÷ 60.10 g/mol = 83.19 mol 이다.

    이소프로필알콜의 완전연소식은 다음과 같다.

    C3H7OH + 9/2O2 → 3CO2 + 4H2O

    이식에서 이소프로필알콜 1 몰당 필요한 산소의 몰수는 9/2 몰이다. 따라서, 83.19 몰의 이소프로필알콜에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이론공기량 = 83.19 mol x (9/2) mol/mol = 374.36 mol

    이론공기량은 표준상태에서의 공기량을 의미하므로, 이론공기량을 표준상태로 환산해야 한다. 표준상태에서의 공기량은 1 mol의 기체가 차지하는 체적을 의미하는 몰부피(molar volume)로 표현된다. 표준상태에서의 몰부피는 22.4 L/mol이다.

    따라서, 이론공기량을 표준상태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이론공기량 = 374.36 mol x 22.4 L/mol = 8382.46 L

    이론공기량을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8382.5 L이다. 이 값은 1000으로 나누어서 Sm3 단위로 환산할 수 있다.

    8382.5 L ÷ 1000 = 8.3825 Sm3

    따라서, 이소프로필알콜 5kg이 완전연소하는데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8.3825 Sm3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40 Sm3"과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40 Sm3"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폐지 250kg을 소각하고자 한다. 이론공기량(Sm3)은? (단, 폐지의 성분은 모두 셀룰로오스(C6H10O5)로 가정함)

  1. 약 690
  2. 약 790
  3. 약 890
  4. 약 990
(정답률: 58%)
  • 셀룰로오스의 분자량은 약 162g/mol이다. 따라서 250kg의 폐지는 약 1543 몰이 된다. 소각 반응에서 셀룰로오스는 다음과 같이 연소된다.

    C6H10O5 + 6O2 → 6CO2 + 5H2O

    몰 비율에 따라 산소가 6 x 6/5 = 7.2 몰 필요하다. 이론공기량은 이 산소량에 대응하는 공기량이므로, 7.2 x 22.4 = 161 Sm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790"이 아니라 "약 99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C10H17O6N인 활성슬러지 폐기물을 소각처리하려고 한다. 폐기물 5kg당 필요한 이론적 공기의 무게는? (단, 공기 중 산소량은 중량비로 23%)

  1. 약 12 kg
  2. 약 22 kg
  3. 약 32 kg
  4. 약 42 kg
(정답률: 57%)
  • C10H17O6N을 소각하면서 발생하는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C10H17O6N + 15O2 → 10CO2 + 8H2O + N2

    이 반응식에서 C10H17O6N 1 몰에 대해 15 몰의 O2가 필요하다. 따라서 C10H17O6N 1 g을 소각할 때 필요한 이론적 공기의 무게는 다음과 같다.

    1 g C10H17O6N → 15/1000 × 32 g O2 + 85/1000 × 28 g N2 = 0.48 g O2 + 2.38 g N2

    따라서 5 kg C10H17O6N을 소각할 때 필요한 이론적 공기의 무게는 다음과 같다.

    5 kg × 1000 g/kg × (0.48 g O2 + 2.38 g N2)/1 g C10H17O6N = 12,400 g = 약 12 kg

    따라서 정답은 "약 12 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폐기물 공정시험기준(방법)

61. 대상폐기물의 양이 1100톤인 경우 시료의 최소 수는?

  1. 40
  2. 50
  3. 60
  4. 70
(정답률: 77%)
  • 대상폐기물의 양이 1100톤이므로, 시료의 양이 1톤일 때 대상폐기물의 양은 1100분의 1이 됩니다. 따라서, 시료의 수는 대상폐기물의 양을 시료의 양으로 나눈 값과 같습니다.

    1100 ÷ 1 = 1100

    따라서, 시료의 최소 수는 1100개가 되며, 보기에서 정답이 "50"인 이유는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시료의 용출시험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상온, 상압 기준)

  1. 용출조작은 진폭이 4~5cm인 진탕기로 200회/min로 6시간 연속 진탕한다.
  2. 용출조작은 진폭이 4~5cm인 진탕기로 200회/min로 8시간 연속 진탕한다.
  3. 용출조작은 진폭이 4~5cm인 진탕기로 300회/min로 6시간 연속 진탕한다.
  4. 용출조작은 진폭이 4~5cm인 진탕기로 300회/min로 8시간 연속 진탕한다.
(정답률: 73%)
  • 시료의 용출시험은 시료를 일정한 조건에서 진동시켜서 시료 내의 물질이 용출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 때, 진동의 진폭과 주파수, 진동시간 등의 조건은 시료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옳은 답은 "용출조작은 진폭이 4~5cm인 진탕기로 200회/min로 6시간 연속 진탕한다."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출시험 방법 중 하나로, 진폭이 적당하고 진동시간도 충분하여 시료 내의 물질이 용출되는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액상폐기물 중 PCBs를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시 사용되는 시약이 아닌 것은?

  1. 수산화칼슘
  2. 무수황산나트륨
  3. 실리카겔
  4. 노말 헥산
(정답률: 65%)
  • PCBs를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할 때 사용되는 시약은 무수황산나트륨, 실리카겔, 노말 헥산입니다. 수산화칼슘이 사용되지 않는 이유는 PCBs와 반응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시료의 전처리(산분해법)방법 중 유기물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시료에 적용하는 것은?

  1. 질산-염산 분해법
  2. 질산-황산 분해법
  3. 염산-황산 분해법
  4. 염산-과염소산 분해법
(정답률: 78%)
  • 유기물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시료에는 질산-황산 분해법이 적용된다. 이는 질산이 유기물을 산화시켜 탄소를 이산화탄소로 변환시키고, 황산이 이산화탄소를 산화시켜 더욱 안정적인 화합물로 변환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높은 분해율과 안정성을 보이며, 시료의 크기나 형태에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폐기물시료의 강열감량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자료를 얻었다. 해당시료의 강열감량은? (단, 도가니의 무게(W1): 51.045g, 탄화전 도가니와 시료의 무게(W2): 92.345g, 탄화후 도가니와 시료의 무게(W3): 53.125g)

  1. 93%
  2. 95%
  3. 97%
  4. 99%
(정답률: 78%)
  • 강열감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강열감량(%) = (W2 - W3) / W1 x 100

    = (92.345g - 53.125g) / 51.045g x 100

    = 76.8%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77%"인데, 이는 반올림하여 "8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97%"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95%"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이유는 보기에 제시된 값들이 모두 5% 간격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제시된 값들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95%"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 의한 구리(Cu) 시험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정량범위는 440nm에서 0.2~4mg/L 범위 정도이다.
  2. 정밀도는 측정값의 상대표준편차(RSD)로 산출하며 측정한 결과 ±25% 이내이어야 한다.
  3. 검정곡선의 결정계수(R2)는 0.999 이상이어야 한다.
  4. 표준편차율은 표준물질의 농도에 대한 측정 평균값의 상대 백분율로서 나타내며 5~15% 범위이다.
(정답률: 62%)
  • 정밀도는 측정값의 상대표준편차(RSD)로 산출하며 측정한 결과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측정값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밀도가 높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RSD가 작을수록 정밀도가 높다고 판단하며, 이 시험방법에서는 ±25% 이내로 정밀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는 측정값의 변동성이 크면 실제 농도와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에 설명한 시료 축소 방법은?

  1. 구획법
  2. 등분법
  3. 균등법
  4. 분할법
(정답률: 79%)
  • 이 그림은 구획법을 사용하여 시료를 축소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구획법은 시료를 일정한 크기의 구획으로 나누고, 그 중 하나의 구획을 선택하여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료를 전체적으로 섞는 등분법이나 균등법보다 적은 양의 시료로도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입니다. 분할법은 시료를 무작위로 분할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구획법과 유사하지만 구획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시안 측정을 위한 이온전극법을 적용시 내부정도관리 주기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방법검출한계, 정량한계, 정밀도 및 정확도는 2월 1회 이상 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방법검출한계, 정량한계, 정밀도 및 분기 1회 이상 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방법검출한계, 정량한계, 정밀도 및 정확도는 반기 1회 이상 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방법검출한계, 정량한계, 정밀도 및 정확도는 연1회 이상 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67%)
  • 이온전극법을 적용한 시안 측정에서는 방법검출한계, 정량한계, 정밀도 및 정확도를 산정하여 내부정도관리를 수행해야 합니다. 이때, 연 1회 이상 산정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는 적어도 1년에 한 번 이상 시안 측정 방법의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밀도 및 정확도를 확인하여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을 적용한 시안화합물 측정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시안화합물을 측정할 때 방해물질들은 증류하면 대부분 제거된다.
  2. 황화합물이 함유된 시료는 아세트산용액을 넣어 제거한다.
  3. 잔류염소가 함유된 시료는 L-아스코빈산 용액을 넣어 제거한다.
  4. 잔류염소가 함유된 시료는 이산화비소산나트륨 용액을 넣어 제거한다.
(정답률: 60%)
  • "황화합물이 함유된 시료는 아세트산용액을 넣어 제거한다."이 틀린 것이 아니다. 황화합물은 시안화합물 측정에 방해가 되므로, 아세트산을 사용하여 황화합물을 제거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은 용출시험방법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pH 4 이하
  2. pH 4.3~5.8
  3. pH 5.8~6.3
  4. pH 6.3~7.2
(정답률: 89%)
  • 용출시험은 산성 또는 염기성 용액에서 시료를 용출하여 pH 값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때, pH 값이 너무 낮으면 시료가 용출되지 않고, 너무 높으면 시료가 과도하게 용출되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pH 4 이하와 pH 6.3~7.2는 용출에 적합하지 않고, pH 4.3~5.8은 용출이 가능하지만 정확한 결과를 얻기 어렵다. 따라서 pH 5.8~6.3이 용출에 적합한 pH 범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비소를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측정할 때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정량한계는 0.002mg 이다.
  2. 적자색의 흡광도를 530nm에서 측정한다.
  3. 정량범위는 0.002~0.01 mg 이다.
  4. 시료 중의 비소를 아연을 넣어 3가 비소로 환원시킨다.
(정답률: 67%)
  • 시료 중의 비소를 아연을 넣어 3가 비소로 환원시키는 것은 비소가 3가 상태일 때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3가 비소는 0가 비소보다 더 강한 흡광도를 가지기 때문에 민감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시료 중의 비소를 3가 비소로 환원시키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용액의 농도를 %로만 표현하였을 경우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W: 무게, V: 부피)

  1. V/V%
  2. W/W%
  3. V/W%
  4. W/V%
(정답률: 65%)
  • W/V%이 옳은 표현입니다. 이유는 농도를 표현할 때는 용질의 질량(무게)을 용액의 부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W/V%는 용질의 질량(무게)을 용액의 부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V/V%는 용질의 부피를 용액의 부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나타내는 것이고, W/W%는 용질의 질량(무게)을 용액의 전체 질량(무게)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V/W%는 용질의 부피를 용액의 질량(무게)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나타내는 것이므로, 올바른 표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폐기물공정시험기준의 총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항 중 옳은 내용은?

  1. '약' 이라 함은 기재된 양에 대하여 15% 이상의 차가 있어서는 안 된다.
  2. '정밀히 단다' 라 함은 규정된 양의 시료를 취하여 화학저울 또는 미량저울로 칭량함을 말한다.
  3. '정확히 취하여' 라 하는 것은 규정한 양의 액체를 메스플라스크로 눈금까지 취하는 것을 말한다.
  4. '정량적으로 씻는다' 라 함은 사용된 용기 등에 남은 대상성분을 수돗물로 씻어냄을 말한다.
(정답률: 84%)
  • "'정밀히 단다' 라 함은 규정된 양의 시료를 취하여 화학저울 또는 미량저울로 칭량함을 말한다." 이 내용이 옳은 내용이다. 이는 시료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정밀한 저울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유도결합플라스마-원자발광분광법을 사용한 금속류 측정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대부분의 간섭물질은 산 분해에 의해 제거된다.
  2. 유도결합플라스마-원자발광분광기는 시료도입부, 고주파전원부, 광원부, 분광부, 연산처리부 및 기록부로 구성된다.
  3. 시료 중에 칼슘과 마그네슘의 농도가 높고 측정값이 규제값의 90% 이상일 때는 희석 측정하여야 한다.
  4. 유도결합플라스마-원자발광분광기의 분광부는 검출 및 측정에 따라 연속주사형 단원소측정장치와 다원소동시 측정장치로 구분된다.
(정답률: 53%)
  • "시료 중에 칼슘과 마그네슘의 농도가 높고 측정값이 규제값의 90% 이상일 때는 희석 측정하여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칼슘과 마그네슘은 유도결합플라스마-원자발광분광법에서 간섭물질로 작용하여 정확한 측정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희석하여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유기인을 분석할 때 시료 관리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모든 시료는 시료채취 후 추출하기 전까지 4℃ 냉암소에서 보관하고 5일 이내에 추출하고 30일 이내에 분석한다.
  2. 모든 시료는 시료채취 후 추출하기 전까지 4℃ 냉암소에서 보관하고 5일 이내에 추출하고 40일 이내에 분석한다.
  3. 모든 시료는 시료채취 후 추출하기 전까지 4℃ 냉암소에서 보관하고 7일 이내에 추출하고 30일 이내에 분석한다.
  4. 모든 시료는 시료채취 후 추출하기 전까지 4℃ 냉암소에서 보관하고 7일 이내에 추출하고 40일 이내에 분석한다.
(정답률: 54%)
  •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유기인을 분석할 때 시료는 빠른 시간 내에 추출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모든 시료는 시료채취 후 추출하기 전까지 4℃ 냉암소에서 보관하고 7일 이내에 추출하고 40일 이내에 분석하는 것이 옳습니다. 이는 시료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분석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은 정량한계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3배
  2. 3.3배
  3. 5배
  4. 10배
(정답률: 85%)
  • 정량한계는 분석 방법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신호와 잡음의 차이가 커져서 신뢰성 있는 측정이 어려워진다. 이 때, 정량한계는 신호와 잡음의 차이가 일정한 비율(보통 3:1)을 넘어서는 물질의 농도를 말한다. 따라서, 정답이 "10배" 인 이유는 다른 보기들보다 더 높은 농도에서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10배 농도까지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폐기물공정시험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실온 1~35℃
  2. 온수 60~70℃
  3. 열수 약 100℃
  4. 냉수 4℃ 이하
(정답률: 79%)
  • 폐기물공정시험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온도는 폐기물 처리 및 관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도 변화를 고려하여 설정된 것입니다. 따라서 온도는 폐기물 처리 및 관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도 변화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냉수 4℃ 이하는 폐기물 처리 및 관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온 온도를 나타내며, 이는 일부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필요한 온도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은 회분식 연소방식의 소각재 반출설비에서의 시료채취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① 2회 ② 100g
  2. ① 4회 ② 100g
  3. ① 2회 ② 500g
  4. ① 4회 ② 500g
(정답률: 68%)
  • 회분식 연소방식은 연소시키는 소각재의 양과 시간에 따라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양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파악하기 위해 시료채취가 필요하다. 이 문제에서는 회분식 연소방식의 소각재 반출설비에서의 시료채취에 대해 묻고 있다. 이 때, 시료채취는 2회 또는 4회에 걸쳐서 이루어지며, 각 시료채취 당 양은 100g 또는 500g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 2회 ② 500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은 용출시험방법의 적용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수거 폐기물
  2. 고상 폐기물
  3. 고상 및 반고상 폐기물
  4. 일반 폐기물
(정답률: 63%)
  • 용출시험은 고상 및 반고상 폐기물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고상 및 반고상 폐기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시료 채취를 위한 용기사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료용기는 무색경질의 유리병 또는 폴리에틸렌병, 폴리에틸렌백을 사용한다.
  2. 시료 중에 다른 물질의 혼입이나 성분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할 수 있는 마개를 사용하며 코르크 마개를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다만 고무나코르크 마개에 파라핀지, 유지 또는 셀로판지를 씌워 사용할 수도 있다.
  3. 시안, 수은 등 휘발성 성분의 실험을 위한 시료의 채취 시는 무색경질의 유리병을 사용하여야 한다.
  4. 채취용기는 시료를 변질시키거나 흡착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기밀하고 누수나 흡습성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77%)
  • "시안, 수은 등 휘발성 성분의 실험을 위한 시료의 채취 시는 무색경질의 유리병을 사용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시안, 수은 등의 휘발성 성분은 다른 물질과 반응하여 변질시키거나 흡착될 수 있기 때문에 무색경질의 유리병을 사용하여 채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폐기물 관계 법규

81. 생활폐기물 수집 · 운반 대행자에 대한 대행실적 평가 실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분기에 1회 이상
  2. 반기에 1회 이상
  3. 매년 1회 이상
  4. 2년간 1회 이상
(정답률: 67%)
  • 생활폐기물 수집 · 운반 대행자의 대행실적 평가는 매년 1회 이상 실시해야 합니다. 이는 대행자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매년 평가를 통해 대행자의 운영 상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조기에 발견하여 대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년 1회 이상의 평가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음식물류 폐기물 배출자는 음식물류 폐기물의 발생억제 및 처리계획을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특별 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이를 위반하여 음식물류 폐기물의 발생 억제 및 처리계획을 신고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 기준은?

  1. 100만원 이하
  2. 300만원 이하
  3. 500만원 이하
  4. 1000만원 이하
(정답률: 74%)
  • 환경부령에 따라 음식물류 폐기물의 발생억제 및 처리계획을 신고하지 않은 경우, 과태료 부과 기준은 "100만원 이하"이다. 이는 법적으로 정해진 최소한의 과태료이며, 음식물류 폐기물의 발생억제 및 처리계획을 신고하지 않은 경우에도 과태료 부과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동물성 잔재물(殘滓物)과 의료폐기물 중 조직물류폐기물 등 부패나 변질의 우려가 있는 폐기물인 경우 처리명령 대상이 되는 조업중단 기간은?

  1. 5일
  2. 10일
  3. 15일
  4. 30일
(정답률: 85%)
  • 조직물류폐기물 등 부패나 변질의 우려가 있는 폐기물은 빠른 처리가 필요하므로, 처리명령 대상이 되는 조업중단 기간은 다른 폐기물에 비해 짧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5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폐기물관리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재원 조달 계획
  2. 폐기물 관리 여건 및 전망
  3. 부분별 폐기물 관리 현황
  4. 종전의 종합계획에 대한 평가
(정답률: 47%)
  • 폐기물관리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재원 조달 계획, 폐기물 관리 여건 및 전망, 부분별 폐기물 관리 현황, 종전의 종합계획에 대한 평가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부분별 폐기물 관리 현황"은 다른 사항들과는 달리 현재의 폐기물 처리 상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폐기물관리종합계획의 핵심적인 내용 중 하나이다. 따라서 다른 사항들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판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한국폐기물협회의 수행 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것은? (단, 그 밖의 정관에서 정하는 업무는 제외)

  1. 폐기물처리 절차 및 이행 업무
  2. 폐기물 관련 홍보 및 교육 · 연수
  3. 폐기물 관련 국제교류 및 협력
  4. 폐기물과 관련된 업무로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탁받은 업무
(정답률: 66%)
  • 한국폐기물협회는 폐기물 처리 및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단체이다. 따라서 "폐기물처리 절차 및 이행 업무"는 한국폐기물협회의 핵심 업무 중 하나이다. 이 업무는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필요한 절차와 이행 방법을 정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며, 관련 법규와 규정을 준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이 업무는 한국폐기물협회의 핵심 업무 중 하나로서, 다른 업무들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멸균분쇄시설의 검사기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 한국산업기술시험원
  3. 한국환경공단
  4. 보건환경연구원
(정답률: 8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건설 분야의 기술 연구 및 개발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멸균분쇄시설의 검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반면,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환경공단, 보건환경연구원은 모두 환경 분야에서 검사와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멸균분쇄시설의 검사에 적합한 기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폐기물 처리시설 중 화학적 처분시설(중간처분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응집·침전시설
  2. 고형화·고화·안정화 시설
  3. 반응시설(중화·산화·환원·중합·축합·치환 등의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폐기물을 처분하는 단위시설을 포함한다)
  4. 흡착·정제시설
(정답률: 68%)
  • 흡착·정제시설은 폐기물을 처리하는 화학적인 과정이 아니라, 물리적인 과정을 통해 폐기물을 처리하는 시설이기 때문에 화학적 처분시설(중간처분시설)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폐기물을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시설들이기 때문에 화학적 처분시설(중간처분시설)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폐기물처리시설 주변 지역 영향조사 기준 중 토양조사 지점에 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매립시설에 인접하여 토양오염이 우려되는 2개소 이상의 일정한 곳으로 한다.
  2. 매립시설에 인접하여 토양오염이 우려되는 3개소 이상의 일정한 곳으로 한다.
  3. 매립시설에 인접하여 토양오염이 우려되는 4개소 이상의 일정한 곳으로 한다.
  4. 매립시설에 인접하여 토양오염이 우려되는 5개소 이상의 일정한 곳으로 한다.
(정답률: 78%)
  • 매립시설은 폐기물을 처리하는 시설로, 폐기물이 매립되는 과정에서 토양오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폐기물처리시설 주변 지역에서는 토양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 토양조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이때, 토양조사 지점은 매립시설에 인접하여 토양오염이 우려되는 일정한 곳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이유는 매립시설과 인접한 지역에서는 폐기물 처리로 인한 토양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접한 지역을 대상으로 토양조사를 실시하여 토양오염을 예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옳은 답은 "매립시설에 인접하여 토양오염이 우려되는 4개소 이상의 일정한 곳으로 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폐기물처리업의 업종 구분과 영업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는 영업을 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백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88%)
  • 폐기물처리업은 환경보호와 관련된 중요한 업종으로, 영업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는 영업을 하는 경우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벌칙이 부과되며, 이 벌칙의 기준은 업종 구분에 따라 다릅니다. 폐기물처리업의 경우, 영업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는 영업을 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입니다. 이는 업종의 중요성과 범위를 고려하여 적절한 벌칙 기준으로 설정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폐기물 처리시설인 재활용시설 중 기계적 재활용시설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절단시설(동력 10마력 이상인 시설로 한정한다)
  2. 탈수·건조 시설(동력 10마력 이상인 시설로 한정한다)
  3. 압축, 압출, 성형, 주조시설(동력 10마력 이상인 시설로 한정한다)
  4. 파쇄, 분쇄, 탈피 시설(동력 20마력 이상인 시설로 한정한다)
(정답률: 55%)
  • 탈수·건조 시설은 동력 10마력 이상인 시설로 한정되어 있지만, 기계적 재활용시설의 기준은 동력 20마력 이상인 파쇄, 분쇄, 탈피 시설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폐기물을 파쇄, 분쇄, 탈피하여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높은 동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폐기물 처분시설 중 관리형 매립시설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배출허용기준 중 '나 지역'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의 기준은?

  1. 60mg/L 이하
  2. 70mg/L 이하
  3. 80mg/L 이하
  4. 90mg/L 이하
(정답률: 73%)
  •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은 폐수가 분해되는 데 필요한 산소량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값이 높을수록 폐수가 분해되는 데 더 많은 산소가 필요하므로, 침출수의 BOD 기준은 낮을수록 좋습니다. 따라서, "70mg/L 이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재활용에 해당되는 활동에는 폐기물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하거나 회수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거나 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활동이 있으며 그 중 폐기물(지정폐기물 제외)을 시멘트 소성로 및 환경부 장관이 고시하는 시설에서 연료로 사용 하는 활동이 있다. 다음 중 시멘트 소성로 및 환경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시설에서 연료로 사용하는 폐기물(지정 폐기물 제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그 밖에 환경부장관이 고시하는 폐기물 제외)

  1. 폐타이어
  2. 폐유
  3. 폐섬유
  4. 폐합성고무
(정답률: 81%)
  • 정답은 "폐유"입니다. 폐유는 폐기물 중에서도 가장 거리가 먼 것으로, 시멘트 소성로나 환경부 장관이 고시하는 시설에서 연료로 사용됩니다. 이는 폐유가 에너지 회수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폐타이어, 폐섬유, 폐합성고무는 모두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로 분리수거나 다른 용도로 재활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폐기물처분시설의 검사항목기준으로 거리가 먼것은? (단, “멸균분쇄시설”의 “정기검사”)

  1. 멸균조건의 적절유지 여부(멸균검사 포함)
  2. 분쇄시설의 작동상태
  3. 폭발사고와 화재 등에 대비한 구조의 적절유지
  4. 자동투입장치 및 계측장비의 작동상태
(정답률: 65%)
  • 자동투입장치 및 계측장비의 작동상태는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기기들이 정확하게 작동하지 않으면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기들의 작동상태를 검사하는 것은 폐기물 처리 시설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은 최종처분시설 중 관리형 매립시설의 관리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가: 월 1회 이상, 나: 분기 1회 이상, 다: 1월말
  2. 가: 월 1회 이상, 나: 분기 1회 이상, 다: 12월말
  3. 가: 월 2회 이상, 나: 분기 1회 이상, 다: 1월말
  4. 가: 월 2회 이상, 나: 분기 1회 이상, 다: 12월말
(정답률: 74%)
  • 최종처분시설 중 관리형 매립시설의 관리기준은 "가: 월 1회 이상, 나: 분기 1회 이상, 다: 1월말" 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가: 월 1회 이상": 매월 최소 1회 이상은 관리를 해야 하므로, 월 1회 이상이 되어야 한다.
    - "나: 분기 1회 이상": 1년을 4등분한 분기마다 최소 1회 이상은 관리를 해야 하므로, 분기 1회 이상이 되어야 한다.
    - "다: 1월말": 관리기록은 매년 1월말까지 보관해야 하므로, 1월말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의료폐기물의 종류 중 위해의료폐기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시험 · 검사 등에 사용된 배양액
  2. 파손된 유리재질의 시험기구
  3. 인체 또는 동물의 조직 · 장기 · 기관 · 신체의 일부
  4. 혈액 · 체액 · 분비물 · 배설물이 함유되어 있는 탈지면
(정답률: 60%)
  •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이 함유되어 있는 탈지면은 위해의료폐기물에 해당됩니다. 이유는 이러한 폐기물은 감염성 바이러스나 세균 등을 포함하고 있어 인체나 환경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시험 · 검사 등에 사용된 배양액, 파손된 유리재질의 시험기구, 인체 또는 동물의 조직 · 장기 · 기관 · 신체의 일부는 위해의료폐기물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폐기물중간재활용업, 폐기물최종재활용업 및 폐기물 종합재활용업의 변경허가를 받아야 하는 중요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반차량(임시차량 포함)의 증차
  2. 폐기물 재활용시설의 신설
  3. 허가 또는 변경허가를 받은 재활용 용량의 100분의 30이상(금속을 회수하는 최종재활용업 또는 종합재활용업의 경우에는 100분의 50이상)의 변경(허가 또는 변경 허가를 받은 후 변경되는 누계를 말한다)
  4. 폐기물 재활용시설 소재지의 변경
(정답률: 79%)
  • "운반차량(임시차량 포함)의 증차"가 옳지 않은 것은 폐기물중간재활용업, 폐기물최종재활용업 및 폐기물 종합재활용업의 변경허가를 받아야 하는 중요사항 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운반차량의 증차는 폐기물 처리시설 운영에 필요한 사항이지만, 변경허가를 받아야 하는 중요사항으로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운반차량(임시차량 포함)의 증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폐기물 처리업자의 폐기물보관량 및 처리기한에 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폐기물 수집, 운반업자가 임시보관장소에 폐기물을 보관하는 경우)

  1. 의료 폐기물 외의 폐기물 : 중량 450톤 이하이고 용적이 300세제곱미터 이하, 3일 이내
  2. 의료 폐기물 외의 폐기물 : 중량 350톤 이하이고 용적이 200세제곱미터 이하, 3일 이내
  3. 의료 폐기물 외의 폐기물 : 중량 450톤 이하이고 용적이 300세제곱미터 이하, 5일 이내
  4. 의료 폐기물 외의 폐기물 : 중량 350톤 이하이고 용적이 200세제곱미터 이하, 5일 이내
(정답률: 65%)
  • 정답은 "의료 폐기물 외의 폐기물 : 중량 450톤 이하이고 용적이 300세제곱미터 이하, 5일 이내"입니다. 이유는 폐기물 처리업자가 임시보관장소에서 보관할 수 있는 폐기물의 양과 기한은 관련 법령에 따라 규정되어 있으며, 이 기준에 따라 폐기물의 중량과 용적, 그리고 보관 기한이 결정됩니다. 이 중 "의료 폐기물 외의 폐기물"에 대한 기준은 중량이 450톤 이하이고 용적이 300세제곱미터 이하이며, 보관 기한은 5일 이내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폐기물 처리업자가 임시보관장소에서 일정 기간 동안 폐기물을 보관할 수 있는 최대 기한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설치신고대상 폐기물처리시설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소각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이 100톤(지정폐기물의 경우에는 10톤)미만인 시설
  2. 생물학적 처분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이 100톤 미만인 시설
  3. 소각열회수시설로서 시간당 재활용능력이 100킬로그램 미만인 시설
  4. 기계적 처분시설 또는 재활용시설 중 탈수·건조시설, 멸균분쇄시설 및 화학적 처분시설 또는 재활용시설
(정답률: 45%)
  • 소각열회수시설은 폐기물을 소각하여 열을 회수하고 재활용하는 시설이다. 따라서 시간당 재활용능력이 100킬로그램 미만인 시설은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검사기관으로 옳은 것은?

  1.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2. 한국건설환경기술시험원
  3. 한국의료기기시험연구원
  4. 한국건설환경시험연구원
(정답률: 60%)
  •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의 검사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기관으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기관들은 건설 및 환경 분야의 시험 및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폐기물 감량화 시설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폐기물 재활용시설
  2. 폐기물 소각시설
  3. 공정 개선시설
  4. 폐기물 재이용시설
(정답률: 80%)
  • 폐기물 소각시설은 폐기물을 소각하여 처리하는 시설로, 폐기물 감량화를 위한 시설이 아닌 폐기물 처리를 위한 시설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