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1-27)

자기비파괴검사기능사
(2002-01-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자기탐상시험법

1. 연강을 자계의 가운데에 놓으면 자석이 되고, 바깥에 내 놓으면 자석이 되지 않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자극화
  2. 자기감응
  3. 투자성
  4. 누설자속
(정답률: 48%)
  • 연강을 자계의 가운데에 놓으면 자기장이 강해져서 주변의 금속 물체들을 자기장에 끌어당기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것을 자기감응이라고 합니다. 즉, 자기장이 다른 물체에 영향을 주어 그 물체도 자기장을 가지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연강을 자계의 가운데에 놓으면 자기감응이 일어나서 자석이 되는 것입니다. 반면에, 바깥에 놓으면 자기장이 약해져서 자기감응이 일어나지 않아 자석이 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 중에서 봉강을 교류전류로 검사할 경우의 자장 분포로 맞는 것은?

(정답률: 40%)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봉강을 교류전류로 검사할 경우, 전류는 봉강을 따라 흐르게 되며, 이때 자기장의 방향은 오른손 법칙에 따라 봉강을 꽉 쥐고 엄지손가락을 전류 방향으로 향하게 하면 나머지 손가락이 갖은 방향이 됩니다. 따라서 봉강 주변의 자기장은 봉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게 됩니다. 이에 따라 자장 분포가 ""와 같이 나타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직경이 40mm, 길이가 200mm인 봉강을 코일법으로 자분탐상시험하려고 한다. 이 때 9,000[A]의 자화전류가 필요하다면 코일의 감은 수는 몇 회이어야 하는가? (단, 장비의 최대 전류치는 3,000[A]이다.)

  1. 1회
  2. 2회
  3. 3회
  4. 4회
(정답률: 53%)
  • 자화전류는 코일 내부를 흐르는 전류이므로 코일의 길이와 직경, 그리고 코일의 감수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코일의 길이와 직경이 주어졌으므로 감수를 구해야 한다.

    코일의 길이는 200mm이고, 반지름은 20mm이므로 둘레는 2πr = 40πmm이다. 이를 한 바퀴로 나누면 40π/40 = πmm가 된다. 따라서 한 바퀴를 돌 때 코일 내부를 흐르는 전류의 길이는 πmm가 된다.

    자화전류가 9,000[A]이므로 코일 내부를 흐르는 전류도 9,000[A]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장비의 최대 전류치는 3,000[A]이므로 코일의 감수는 9,000/3,000 = 3회 이하여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3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자분탐상시험의 중요 3가지 분류에 적합치 않은 것은?

  1. 검사할 시험편의 상자성화
  2. 검사할 시험편의 자화
  3. 시험할 표면에 자분적용
  4. 자분에 의한 지시모양의 관찰 및 기록
(정답률: 69%)
  • 검사할 시험편의 상자성화는 자분탐상시험에서 중요한 분류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시료의 물성을 파악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으며, 시험편의 상자성화는 시료의 보관 및 운반에 관련된 사항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자분탐상시험의 중요 3가지 분류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자분탐상검사법중 건식법의 장점은?

  1. 표면하 부근 결함검출에 유리
  2. 습식법보다 감도가 좋다.
  3. 대형물에 적합하다.
  4. 소형의 다량 제품에 적합하다.
(정답률: 30%)
  • 건식법은 검사 대상의 표면을 건조시켜 검사하기 때문에 습식법보다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면하 부근 결함검출에 유리하며, 대형물에 적합하고 소형의 다량 제품에도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의 자기이력곡선에서 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잔류자기
  2. 포화점
  3. 투자력
  4. 항자력
(정답률: 46%)
  • 는 잔류자기를 나타냅니다. 이는 자기장이 사라졌을 때 자성체 내부에 남아있는 자기장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성체가 자기장에 노출되었을 때 자기장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자성체 내부에 자기장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기장이 사라진 후에도 자성체 내부에 일정한 자기장이 유지되는 것을 잔류자기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어떤 물질을 자화시키고자 할 때 가해지는 자장강도와 자화력의 관계를 도표로 그린 곡선은?

  1. 자력선
  2. 자기이력곡선
  3. Sine 곡선
  4. French 곡선
(정답률: 86%)
  • 자기이력곡선은 자화력과 자장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으로, 자화력이 증가함에 따라 자장강도도 증가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는 자화력이 물질 내부의 자기구조를 변경시키고 자기장을 생성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기이력곡선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자기장과 관련된 곡선이지만, 자기이력곡선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막대자석을 원형으로 구부려 양끝을 서로 맞대어 폐회로를 이룬다면?

  1. 극성이 증가한다.
  2. 자화력이 증가한다.
  3. 자극을 잃는다.
  4. 극성이 감소한다.
(정답률: 58%)
  • 막대자석을 원형으로 구부려 양끝을 서로 맞대어 폐회로를 이루면, 전류가 흐르면서 자기장이 생성됩니다. 이 자기장은 처음에는 강하게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지게 됩니다. 이는 자기장이 자기를 유지하기 위해 전류를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막대자석을 원형으로 구부려 양끝을 서로 맞대어 폐회로를 이룬다면 자극을 잃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비파괴검사법 중 강자성 재료의 피로균열 검사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방사선투과검사
  2. 초음파탐상검사
  3. 자분탐상검사
  4. 누설탐상검사
(정답률: 70%)
  • 강자성 재료는 피로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피로균열 검사에는 자분탐상검사가 가장 적합합니다. 자분탐상검사는 금속의 표면에 자석을 대고 자석 주위의 자기장을 측정하여 표면 아래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피로균열 검사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의사지시가 나타날 수 있는 가장 큰 원인은?

  1. 부적절한 검사조작과 자장의 불균일한 분포
  2. 적절한 전류와 검사품 두께의 변화
  3. 완숙한 검사조작과 장비의 성능저하
  4. 검사품의 자기적 충격과 새로운 검사액(자분) 적용
(정답률: 60%)
  • 의사지시가 나타날 수 있는 가장 큰 원인은 "부적절한 검사조작과 자장의 불균일한 분포"입니다. 이는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검사자의 조작이 부적절하거나 자장이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검사결과에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오차는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의사지시가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수동아크 용접부의 중앙에 미세한 그물모양의 자분지시가 건식법으로는 잘 나타나지 않으나 습식법에서는 선명하게 나타났다면 이는 무슨 결함인가?

  1. 융합불량(LF)
  2. 기공(Porosity)
  3. 크레이터 균열
  4. 언더컷
(정답률: 62%)
  • 습식법에서 자분지시가 선명하게 나타나는 경우는 용접부의 냉각속도가 빠르기 때문입니다. 이는 용접부의 열적 수축률이 높아져 용접부의 중심부에 잔류응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잔류응력으로 인해 용접부의 중심부에서 크레이터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크레이터 균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도체나 반도체에 전류와 직각방향으로 자장을 가하면 그 사이의 직각방향으로 전위차가 생기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Hall Effect
  2. Resonance Effect
  3. EMAT
  4. Tomson Effect
(정답률: 40%)
  • 전류가 흐르는 도체나 반도체에 자기장을 가하면 전자들이 자기장에 의해 힘을 받아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전자의 이동방향과 자기장의 방향이 직각이면 전자에게서 발생하는 전위차를 Hall Effect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미세한 자성체의 입자들을 기름(oil)용액속에 분산, 현탁시킨 검사액을 사용하는 자분탐상검사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스프레이법
  2. 침적법
  3. 기름현탁법
  4. 습식법
(정답률: 29%)
  • 미세한 자성체 입자들을 기름용액에 분산시키고 현탁시킨 후, 이 현탁액에 특정 항체를 첨가하여 자성체와 항체가 결합하는 것을 이용하여 검사하는 방법을 습식법이라고 합니다. 이 방법은 검사액에 기름용액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습식법이라고 불리며,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방법들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프로드법에 의한 자분탐상시험시 자화전류의 세기를 결정할 때 다음 중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1. 프로드간의 간격
  2. 부품의 두께
  3. 부품의 길이
  4. 부품의 직경
(정답률: 67%)
  • 프로드법에 의한 자분탐상시험은 자화전류를 이용하여 부품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자화전류의 세기는 부품 내부를 통과하는 전류의 양을 나타내며, 이는 프로드간의 간격에 영향을 받습니다. 프로드간의 간격이 좁을수록 전류의 흐름이 막히기 때문에 세기가 낮아지고, 간격이 넓을수록 전류의 흐름이 원활해져 세기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프로드간의 간격이 자분탐상시험에서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검사체 표면으로부터 깊게 위치한 결함을 탐지하는데 가장 좋은 자분탐상시험법은?

  1. 직류를 사용한 건식 잔류 자기법
  2. 반파 직류를 사용한 습식 연속자화법
  3. 직류를 사용한 건식 연속자화법
  4. 교류를 사용한 건식 연속자화법
(정답률: 38%)
  • 직류를 사용한 건식 연속자화법은 검사체 표면에 자기장을 인가하여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 중 가장 깊은 위치의 결함을 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방법은 검사체 표면에 직류 자기장을 인가하여 결함 부근에서 자기장이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잔류를 측정하여 결함을 탐지합니다. 따라서 검사체 표면으로부터 깊게 위치한 결함을 탐지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선형자화법에서 자계 강도를 구하는 공식으로 맞는 것은?(단, L은 길이, D는 직경)

(정답률: 61%)
  • 정답은 ""입니다.

    선형자화법에서 자계 강도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

    자계 강도 = (4 × F) / (π × D²)

    여기서 F는 측정된 하중, D는 직경입니다.

    이 공식에서 L은 사용되지 않는 이유는, 선형자화법은 길이에 대한 측정이 아니라 하중에 대한 측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길이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자분탐상시험시 검사체를 선형자화하는 방법은?

  1. 중심도체에 전류를 흐르게 한다.
  2. 전류가 흐르고 있는 코일안에 부품을 놓는다.
  3. 부품의 길이 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한다.
  4. 접촉부 양면에 중심도체를 연결한다.
(정답률: 43%)
  • 선형자화는 검사체를 전류가 흐르는 코일 안에 놓고, 검사체 내부를 흐르는 전류와 코일 내부를 흐르는 전류가 상호작용하여 검사체 내부의 결함을 감지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전류가 흐르고 있는 코일 안에 부품을 놓는 것은 검사체 내부의 전류와 코일 내부의 전류가 상호작용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검사체 내부의 결함을 더욱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형광자분을 사용하는 자분탐상시험시 광원으로부터 38cm떨어진 시험체 표면에서 자외선등의 강도는 최소한 얼마이상이어야 하는가?

  1. 500μW/cm2
  2. 800μW/cm2
  3. 1,200μW/cm2
  4. 1,500μW/cm2
(정답률: 75%)
  • 형광자분은 자외선을 받으면 발광하므로, 자외선의 강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만 자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최소한 얼마 이상의 강도가 필요한지를 묻고 있으므로, 가장 작은 값인 500μW/cm2부터 차례대로 시도해보면서 자분이 확인될 때까지 강도를 높여가면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이미 정답이 주어져 있으므로, 정답인 800μW/cm2가 어떻게 도출되었는지를 설명하면 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준값으로, 이 강도 이상이면 자분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입증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800μW/cm2가 정답이 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자분탐상시험에 사용되는 자외선등의 필터(filter)는 깨진 것을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로 다음 중 옳은 것은?

  1. 작업자의 눈에 실명을 입힐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2. 과도한 자외선 방출로 작업자가 방사선을 피폭받기 때문이다.
  3. 시험체 표면에서 자외선의 강도가 너무 강하여 결함 검출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4. 작업자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정답률: 57%)
  • 자분탐상시험에서 사용되는 자외선등은 강력한 자외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필터를 사용해야 합니다. 깨진 필터를 사용하면 자외선 방출로 인해 작업자의 피부가 손상될 우려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자분탐상시험 장비의 보수점검시 전류계(ammeter)의 점검주기로 다음 중 옳은 것은?

  1. 시험시작 때마다 점검해야 한다.
  2. 매일 점검해야 한다.
  3. 1주일에 1회 이상 점검해야 한다.
  4. 1년에 1회이상 점검해야 한다.
(정답률: 61%)
  • 전류계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정기적인 보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1년에 1회 이상 점검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측정값이 부정확해져 자분탐상시험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측정을 위해 전류계의 보수점검은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기탐상관련규격

21. 잔류법으로 자분탐상시험을 실시할 때 시험체가 서로 접촉하거나 또는 강자성체에 접촉했을 때 누설자속에 의해 형성되는 의사모양의 자분지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재질경계지시
  2. 전류지시
  3. 자극지시
  4. 자기펜 흔적
(정답률: 38%)
  • 잔류법으로 자분탐상시험을 실시할 때 시험체가 서로 접촉하거나 또는 강자성체에 접촉했을 때 누설자속에 의해 형성되는 의사모양의 자분지시를 자기펜 흔적이라고 합니다. 이는 자기펜이 자기장을 생성하여 누설자속에 있는 자성입자들을 분리시키고, 이들이 자기펜의 자기장을 따라 움직이면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기펜 흔적은 자기장을 이용한 자분탐상시험에서 중요한 지시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자장이 가장 강할 때는 언제인가?

  1. 자화전압이 변할 때
  2. 자화전류가 흐를 때
  3. 재료가 높은 항자력을 보일 때
  4. 자화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
(정답률: 64%)
  • 자장이 가장 강할 때는 자화전류가 흐를 때입니다. 이는 자화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자화전류는 자기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자화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이 가장 강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자속밀도(Flux Density)의 표시 단위는?

  1. 가우스(Gauss)
  2. 헨리(Henry)
  3. 페러드(Farad)
  4. 암페어(Ampere)
(정답률: 10%)
  • 자속밀도의 표시 단위는 가우스(Gauss)입니다. 이는 자기장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1 가우스는 1 센티미터 거리에서 1 에르스테드(Ersted)의 자기력을 가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단위는 독일의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Karl Friedrich Gauss)의 이름에서 따온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비파괴검사법중 표면 검출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초음파탐상시험
  2. 침투탐상시험
  3. 방사선투과시험
  4. 중성자투과시험
(정답률: 80%)
  • 표면 검출에 가장 적합한 비파괴 검사법은 침투탐상시험입니다. 이는 표면에 있는 작은 결함이나 균열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침투탐상시험은 검사 대상에 액체를 침투시켜 결함 부분에서 액체가 나오게 하고, 그 위에 반응제를 놓아 시간이 지나면 반응제가 결함 부분에서 나오게 됩니다. 이렇게 나온 반응제를 흡수하는 방식으로 결함을 검출합니다. 따라서 표면 검출에 가장 적합한 비파괴 검사법은 침투탐상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자분탐상시험에서 지시의 관찰시 고려해야 할 인자가 아닌 것은?

  1. 자계의 방향
  2. 지시의 방향 및 형상
  3. 누설 자계의 세기
  4. 시험체의 크기
(정답률: 43%)
  • 자분탐상시험에서는 시험체의 크기는 중요한 인자가 아닙니다. 이는 시험체의 크기가 자분탐상시험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자분탐상시험은 시료 내부의 입자 크기 분포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시료 내부의 입자 크기 분포와 관련된 인자들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시험체의 크기는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KS D 0213에 따른 A형 표준시험편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시험편의 명칭 가운데 괄호안은 자분의 모양을 나타낸다.
  2. 시험편에의 자분의 적용은 연속법으로 한다.
  3. 시험편은 인공 흠이 있는 면이 시험면에 밀착되도록 용접하여 시험면에 붙인다.
  4. 시험편은 초기의 모양, 치수, 자기특성에 일부 변화를 일으켰을 때에도 그대로 사용한다.
(정답률: 83%)
  • 정답은 "시험편에의 자분의 적용은 연속법으로 한다."입니다. 이유는 시험편의 자분의 모양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연속법을 사용하여 자분의 적용을 일관성 있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연속법은 시험편의 모양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일정한 간격으로 자분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시험결과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KS D 0213에서 사용되는 A형 표준시험편에 표준으로 사용되는 인공결함의 모양은?

  1. 십자형, 원형
  2. 원형, 직선형
  3. 오목형, 돌출형
  4. 코나형, 장방형
(정답률: 74%)
  • A형 표준시험편은 인공결함의 크기와 모양을 표준화하여 시험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KS D 0213에서 사용되는 A형 표준시험편에는 원형과 직선형의 인공결함이 사용됩니다. 이는 원형과 직선형이 가장 간단하면서도 일반적인 모양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러한 모양은 시험 결과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도 가장 직관적이고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KS D 0213에 따라 시험조건의 기호를 기록할 때 P-1000꿴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극간법 사용
  2. 시험물 길이 1000mm
  3. 충격전류를 사용
  4. 탈자를 시행
(정답률: 38%)
  • P-1000꿴은 시험물의 길이가 1000mm인 규격입니다. 이 규격에서는 충격전류를 사용하여 시험을 진행하며, 시험조건의 기호로는 "탈자를 시행"으로 기록합니다. 이는 시험물의 표면에 탈자(불량, 결함)가 있는 경우 이를 표시하고 시험을 진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KS 규격에 의한 자분의 모양을 기재할 때 기록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1. 제조자명
  2. 형번호
  3. 색, 입도
  4. 자분형태
(정답률: 10%)
  • KS 규격에 의한 자분의 모양을 기재할 때 기록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색, 입도"입니다. 이는 자분의 모양과는 관련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분의 모양만을 나타내는 "자분형태"만을 기재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KS D 0213에서 자분모양의 분류시 다음 중 독립한 자분모양으로 분류되는 것은?

  1. 균열에 의한 자분모양
  2. 선상의 자분모양
  3. 연속한 자분모양
  4. 분산한 자분모양
(정답률: 45%)
  • KS D 0213에서 자분모양의 분류는 균열에 의한 자분모양, 선상의 자분모양, 연속한 자분모양, 분산한 자분모양으로 나뉩니다. 이 중 독립한 자분모양으로 분류되는 것은 선상의 자분모양입니다. 이유는 선상의 자분모양은 다른 자분모양과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선상의 자분모양은 바닥면과 수직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한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른 자분모양과는 구분되는 명확한 경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선상의 자분모양은 독립적인 형태를 가진 자분모양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KS D 0213에서 시험방법의 분류를 올바르게 연결한 것은?

  1. 자분의 적용시기 : 건식법, 습식법
  2. 자분의 분산매 : 연속법, 잔류법
  3. 자화전류의 종류 : 극간법, 코일법 등
  4. 자분의 종류 : 형광자분, 비형광자분
(정답률: 71%)
  • 자분의 종류가 형광자분과 비형광자분으로 나뉘는 이유는 자분의 성질에 따라 시험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형광자분은 자외선 등의 자극에 반응하여 빛을 내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형광법으로 시험할 수 있고, 비형광자분은 이와 달리 빛을 내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비형광법으로 시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KS규격에 의한 자화방법의 분류부호가 올바르게 표시된 것은?

  1. 축통전법 : ER
  2. 직각통전법 : EA
  3. 프로드법 : C
  4. 극간법 : M
(정답률: 78%)
  • 극간법은 자화시키는 전류의 방향이 자석의 극성과 반대 방향인 경우에 사용되는 방법이며, 이를 나타내는 분류부호는 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KS D 0213에서 용접부의 자분탐상시험시 전처리의 범위는 시험범위보다 넓게 잡아야 하는데 모재측으로부터 원칙적으로 얼마나 넓게 잡도록 규정하고 있는가?

  1. 약 10mm
  2. 약 20mm
  3. 약 50mm
  4. 약 100mm
(정답률: 50%)
  • KS D 0213에서는 용접부의 자분탐상시험시 전처리의 범위를 시험범위보다 넓게 잡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용접부의 결함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모재측으로부터는 원칙적으로 약 20mm 넓게 잡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용접부의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부분까지 검사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약 2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KS D 0213에 규정한 탐상에 필요한 자계의 강도가 올바르게 설명된 것은?

  1. 일반적인 용접부를 연속법으로 탐상시 500 ∼1200A/m
  2. 퀜칭한 기계부품을 연속법으로 탐상시 2500A/m이상
  3. 일반적인 퀜칭한 부품을 잔류법으로 탐상시 6400∼8000A/m
  4. 공구강 등의 특수계 부품을 잔류법으로 탐상시 1500A/m이상
(정답률: 64%)
  • KS D 0213에서는 일반적인 퀜칭한 부품을 잔류법으로 탐상할 때 6400~8000A/m의 자계 강도가 필요하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일반적인 용접부를 연속법으로 탐상할 때 필요한 자계 강도(500~1200A/m)보다 높고, 퀜칭한 기계부품을 연속법으로 탐상할 때 필요한 자계 강도(2500A/m 이상)보다는 낮은 범위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퀜칭한 부품을 잔류법으로 탐상할 때는 6400~8000A/m의 자계 강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KS규격에 의한 표준시험편 A1-15/100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사선의 오른쪽이 판의 두께, 사선의 왼쪽이 인공흠의 깊이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2. 사선의 왼쪽이 판의 두께, 사선의 오른쪽이 인공흠의 깊이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3. 이 때의 치수단위는 mm로 한다.
  4. 이 때의 치수단위는 cm로 한다.
(정답률: 41%)
  • "사선의 오른쪽이 판의 두께, 사선의 왼쪽이 인공흠의 깊이를 나타내는 수치이다."가 정답입니다. 이유는 KS규격에서 A1-15/100은 인공흠 시험에 대한 규격으로, 시험편의 한쪽 면에 인공흠을 만들고 그 깊이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이 때, 시험편의 두께와 인공흠의 깊이는 사선으로 표시되며, 오른쪽이 판의 두께, 왼쪽이 인공흠의 깊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치수단위는 mm로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KS D 0213의 자분탐상시험 장치 중에서 자분 및 검사액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검사액 및 자분은 필요에 따라 버너로 태워서 그 성능을 확인하여야 한다.
  2. 자분의 입도는 육안으로 측정하여 입자의 크기를 대, 중, 소로 표시하여 기록해 둔다.
  3. 검사액속의 자분 분산농도는 자분의 무게를 단위용적으로 나눈 값을 말하며 %로 표시한다.
  4. 습식법에는 등유, 물 등을 분산매로 하여 필요에 따라 적당한 방청제 및 계면활성제를 넣은 검사액을 사용한다.
(정답률: 60%)
  • 습식법은 자분을 분산시키기 위해 등유, 물 등을 분산매로 사용하며, 이때 적당한 방청제 및 계면활성제를 넣어 자분이 분산되도록 돕는다. 따라서 보기 중 "습식법에는 등유, 물 등을 분산매로 하여 필요에 따라 적당한 방청제 및 계면활성제를 넣은 검사액을 사용한다."가 바르게 설명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KS 규격에 의하면 자외선조사장치가 필터면에서 38cm 떨어진 위치의 자외선강도 값이 얼마 이하일 때 수리 또는 폐기하여야 하는가?

  1. 1500μW/cm2
  2. 1500μW/m2
  3. 800μW/cm2
  4. 800μW/m2
(정답률: 63%)
  • KS 규격에 따르면 자외선조사장치의 필터면에서 38cm 떨어진 위치의 자외선강도 값이 800μW/cm2 이하일 때 수리 또는 폐기하여야 합니다. 이유는 이 값 이상의 자외선 강도는 인체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단위가 잘못되었거나, 값이 너무 높거나 낮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KS D 0213(철강 재료의 자분탐상시험방법)의 목적은?

  1. 시험체 표면의 라미네이션 등 초음파탐상으로 검사가 어려운 결함을 검출하는 목적
  2. 부도체에 관계없이 표면의 결함을 검출하는 목적
  3. 시험체 내부의 기공 및 용입부족을 검출하는 목적
  4. 시험체의 표면 및 표면부근에 있는 균열, 기타 흠을 검출하는 목적
(정답률: 57%)
  • KS D 0213(철강 재료의 자분탐상시험방법)의 목적은 "시험체의 표면 및 표면부근에 있는 균열, 기타 흠을 검출하는 목적"입니다. 이는 자분탐상시험을 통해 시험체의 표면과 표면부근에 있는 결함을 검출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KS D 0213에 의한 용어의 정의가 잘못 설명된 것은?

  1. 자화전류란 시험품에 자속을 발생시키는데 사용하는 전류를 말한다.
  2. 택류란 주기적으로 크기가 변화하는 자화전류를 말한다.
  3. 분산매란 자분이 여러 검사체에 잘 분산되는 정도를 매수로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4. 검사액이란 습식법에 사용하는 자분을 분산 현탁시킨 액을 말한다.
(정답률: 34%)
  • 정답은 "분산매란 자분이 여러 검사체에 잘 분산되는 정도를 매수로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입니다. 이유는 KS D 0213에서는 분산매란 자분이 여러 검사체에 잘 분산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분산도"라고 정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KS D 0213에 따라 "시험품에 가한 교류전류나 교류 자속이 표면의 가까운 부분에 생기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 가?

  1. 교류효과
  2. 모서리 효과
  3. 표피효과
  4. 자속효과
(정답률: 65%)
  • KS D 0213에 따르면 "시험품에 가한 교류전류나 교류 자속이 표면의 가까운 부분에 생기는 현상"을 표피효과라고 합니다. 이는 시험품의 표면에 인가된 전류나 자속이 표면의 깊은 부분으로 들어가지 않고, 표면에서만 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표피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재료일반 및 용접일반

41. KS D 0213에 따른 자분탐상시험시의 주의사항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잔류법을 사용시는 자화조작후 자분모양을 관찰할 때 다른 시험체를 접촉시키면 좋은 효과가 있다.
  2. 자기펜자국의 의사모양은 축통전법 사용시 발생하므로 프로드법을 사용하면 사라진다.
  3. 충격전류를 사용할 때는 일반적으로 통전시간이 길기 때문에 연속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4. 전류지시는 전류를 작게 하거나 잔류법으로 재시험하면 자분모양이 사라진다.
(정답률: 60%)
  • KS D 0213에 따른 자분탐상시험시의 주의사항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전류지시는 전류를 작게 하거나 잔류법으로 재시험하면 자분모양이 사라진다." 이다. 이유는 자분탐상시험에서 전류지시를 사용할 때 전류가 강하면 자성체 내부에서 자기장이 형성되어 자분모양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류를 작게 하거나 잔류법으로 재시험하면 자성체 내부의 자기장이 약해져서 자분모양이 사라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동소변태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고체내에서 결정격자의 변화
  2. 고체내에서 전자격자의 활동
  3. 액체내에서 결정격자의 변화
  4. 기체내에서 결정격자의 변화
(정답률: 70%)
  • 동소변태란 고체내에서 결정격자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이는 고체 내부에서 원자나 이온의 위치가 변화하면서 결정격자의 구조가 바뀌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온도나 압력의 변화에 따라 일어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고체의 물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소성가공이 아닌 것은?

  1. 단조
  2. 인발
  3. 주조
  4. 압연
(정답률: 40%)
  • 주조는 소성가공이 아닙니다. 소성가공은 금속을 가열하여 성형하는 공정을 말하는데, 주조는 금속을 용융 상태로 만들어 주형에 부어 성형하는 공정입니다. 따라서 주조는 소성가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금속의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원인과 관련이 깊은 것은?

  1. 비중
  2. 비열
  3. 경도
  4. 슬립
(정답률: 55%)
  • 금속의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원인은 외력에 의한 변형이며, 이때 금속 내부의 결정 구조가 이동하면서 일어납니다. 이러한 결정 구조의 이동을 슬립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슬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시험편 파괴되기 직전의 단면적을 A, 원단면적을 Ao라 할때 단면 수축율의 산출공식은?

(정답률: 27%)
  • 단면 수축율의 산출공식은 (Ao - A) / Ao x 100% 입니다.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이 공식에서 Ao는 분모에 있고, A는 분자에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가 작아지면 분자가 작아지고, 수축율이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금속 시료(試料)의 연마에서 전해 연마(electrolyticpolishing)는 어디에 속하는가?

  1. 쇼트 블라스트
  2. 중간 연마
  3. 미세 연마
  4. 샌드 블라스트
(정답률: 30%)
  • 전해 연마는 금속 시료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부드러운 표면을 만드는 방법으로, 미세 연마에 속합니다. 이는 시료의 표면을 부드럽게 연마하여 미세한 결함이나 표면 거칠기를 제거하고, 더욱 정확한 분석을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전해 연마는 미세 연마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미세 펄라이트(fine pearlite)라고도 하는 것은?

  1. 레데브라이트
  2. 페라이트
  3. 오스테나이트
  4. 결절상 투루스타이트
(정답률: 42%)
  • 미세 펄라이트는 강철의 미세 구조 중 하나로, 펄라이트와 같이 시멘타이트와 페라이트의 혼합물이다. 이 중에서도 결절상 투루스타이트는 매우 작은 크기의 투루스타이트 결정체가 많이 분포한 것을 의미한다. 이는 강도와 경도를 높이는데 기여하며, 높은 내구성을 가진 강재를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고속도강(SKH)의 특징을 설명한것 중 옳지 못한 것은?

  1. 열처리에 의해 경화한다.
  2. 마멸성이 크다.
  3. 마텐자이트(martensite)는 안정되어 1900℃까지도 고속절삭이 가능하다.
  4. 열전도도가 나쁘므로 담금질온도에서 적당한 유지 시간이 필요하다.
(정답률: 34%)
  • "마텐자이트(martensite)는 안정되어 1900℃까지도 고속절삭이 가능하다." 이것이 옳지 못한 것이다. 마텐자이트는 고온에서 안정적이지 않으며, 고온에서는 변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속절삭은 일반적으로 1000℃ 이하에서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반도체 기판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금속은?

  1. 구리
  2. 실리콘
(정답률: 50%)
  • 실리콘은 반도체 소자를 만들기 위한 기본 재료로 사용되는 반도체 기판의 주요 구성 요소입니다. 실리콘은 전기적으로 안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쉽게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반도체 산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금속입니다. 또한, 실리콘은 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600℃ 에서 6 : 4 황동(muntz metal)의 평형상태도 조직은?

  1. α + β
  2. β + γ
  3. β
  4. α
(정답률: 61%)
  • 6 : 4 황동은 α와 β 두 상으로 이루어진 이종 이상질체입니다. 600℃에서는 α와 β가 평형상태에 있으며, 이는 고체 상태에서의 고용체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α + β"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강(steel)의 고체 침탄법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다.
  2. 균일가열에 의한 균일침탄이 힘들다.
  3. 침탄층의 조정이 어렵다.
  4. 코크스가루나 탄산바륨은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48%)
  • 코크스가루나 탄산바륨은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강의 품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입니다. 코크스가루는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어 침탄층의 조정이 어렵고, 탄산바륨은 침탄층이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은 사용하지 않고 다른 침탄제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금속을 냉간 가공하면 결정입자가 미세화 되어 재료가 단단해지는 현상은?

  1. 가공경화
  2. 시효경화
  3. 고용경화
  4. 석출경화
(정답률: 79%)
  • 금속을 냉간 가공하면 결정입자가 미세화되어 재료 내부의 결함이 줄어들고 결정구조가 밀도 높은 방향으로 정렬되어 단단해지는 현상을 가공경화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공경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금속적 성질과 비금속적 성질을 같이 나타낸 것은?

  1. 양성금속(metalloid)
  2. 중금속(heavy metal)
  3. 연성금속(ductility metal)
  4. 경금속(light metal)
(정답률: 62%)
  • 양성금속은 금속적 성질과 비금속적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양성금속인 규소는 전기전도성이 있지만, 반도체 속성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양성금속인 비소는 금속적인 물성을 가지고 있지만, 독성이 있어 중금속으로 분류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양성금속은 금속과 비금속의 경계에 위치하여 두 가지 속성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원소 중 용접부의 용착금속 내에서 편석되면 가장 해로운 원소는?

  1. 규소(Si)
  2. 유황(S)
  3. 망간(Mn)
  4. 구리(Cu)
(정답률: 70%)
  • 용접부에서 편석이 발생하면 용착금속 내부의 결함이 생기게 됩니다. 이 결함은 용접부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파열 등의 결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해로운 원소는 유황(S)입니다. 이는 용착금속 내에서 산화되어 황산가스를 생성하고, 이로 인해 용접부의 부식과 파괴를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시에는 유황 함량이 적은 용접재료를 사용하거나, 용접부의 환경을 제어하여 유황의 산화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이산화탄소 아크용접시 용착 금속 내에 생성되는 기공의 발생 원인이 아닌 것은?

  1. 가스 유량이 부족하다.
  2. 가스에 공기가 혼입되어 있다.
  3. 노즐과 모재간의 거리가 너무 짧다.
  4. 노즐에 스패터가 많이 부착되어 있다.
(정답률: 39%)
  • 노즐과 모재간의 거리가 너무 짧으면, 아크가 금속 표면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면서 금속 표면이 녹아내리고 기공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용접부의 예열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축응력 감소
  2. 용착금속의 경화 방지
  3. 수소성분의 이탈 촉진
  4. 냉각속도의 증가
(정답률: 54%)
  • 용접부의 예열 목적 중 "냉각속도의 증가"는 틀린 설명입니다. 예열은 용접 전에 부위를 가열하여 용접 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용접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정입니다. 예열로 인해 수축응력이 감소하고 용착금속의 경화가 방지되며, 수소성분의 이탈이 촉진됩니다. 하지만 냉각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예열의 목적이 아니며, 오히려 용접부의 파열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UNIX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시분할 시스템이다.
  2. Bell 연구소에서 개발되었다.
  3. 멀티태스킹을 지원한다.
  4. 실시간 시스템이다.
(정답률: 39%)
  • UNIX는 실시간 시스템이 아닙니다. UNIX는 시분할 시스템으로, CPU 시간을 분할하여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실시간 시스템은 정해진 시간 안에 반드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시스템으로, UNIX와는 목적과 특성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Window 환경에서 공유된 폴더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 올바른 순서로 나열된 것은?

  1. 네트워크 환경- 컴퓨터 아이콘-공유 폴더-암호 입력
  2. 컴퓨터 아이콘-네트워크 환경-암호 입력-공유 폴더
  3. 네트워크 환경-암호 입력-컴퓨터 아이콘-공유 폴더
  4. 네트워크 환경-암호 입력-컴퓨터 아이콘-공유 폴더
(정답률: 40%)
  • 정답은 "네트워크 환경- 컴퓨터 아이콘-공유 폴더-암호 입력"입니다. 이유는 먼저 네트워크 환경에서 공유된 폴더를 찾아 접근해야 하며, 이를 위해 컴퓨터 아이콘을 클릭하여 네트워크 환경에 접속합니다. 그리고 공유 폴더를 선택하고, 해당 폴더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암호를 입력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네트워크 환경- 컴퓨터 아이콘-공유 폴더-암호 입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Windows 98의 단축키에 대한 설명 중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1. Ctrl + X : 잘라내기
  2. Ctrl + A : 복사하기
  3. Ctrl + V : 붙여넣기
  4. F5 : 새로 고침
(정답률: 53%)
  • 정답: "Ctrl + A : 복사하기"

    이유: Ctrl + A 단축키는 선택 영역 전체를 선택하는 단축키이며, 복사하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Ctrl + C가 복사하기의 단축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HTML에서 ID,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은 무엇인가?

  1. Form
  2. Table
  3. Link
  4. Frame
(정답률: 27%)
  • Form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요소로, ID, 패스워드 등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 필드를 제공합니다. 다른 보기인 Table은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요소, Link는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링크를 제공하는 요소, Frame은 웹 페이지 내에서 다른 웹 페이지를 불러오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ID,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Form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